주식투자 스터디를 위해 개인적으로 스크랩한 시황, 뉴스 자료를 공유합니다.
1) 노션 링크는 익스플로러에선 제대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크롬에 최적화 되어있으며, 엣지, 웨일에서도 잘 작동합니다.
2) 장 시작전 올려드리는 해외마감시황~ 게시글은 저녁 10시 이전 업데이트 완료시 제목 마지막에 '업데이트중' 문구가 삭제됩니다.
3) 공유한 자료링크는 1~2일후 공유 해지 합니다.
게시물은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한 것이라
불확실하거나 오류가 많을 수 있으므로 투자 활용시 유의하시기 바라며, 개별적인 종목 추천이나 상담은 하지 않습니다.
모쪼록 제 공간에 오신 모든 분들이 주식스터디를 통해 인생 한 방보다, 꾸준함을 믿으며...
복리의 마법으로 모든 분들이 성공한 개인투자자가 되시길...







[2/26 미증시 혼조 = 국채금리 하락]
(Feat. 힘겹지만 지킨 나스닥 60ma)
☑️부양책 상원통과하면 시장은 국채금리 상승보다 부양책 효과에 집중할 것으로 예상
=>부양책 실행되면, 국채금리 상승베팅 동력 상실 전망
☑️부양책은 기존 실업급여 보너스 만료일인 3/14 이전에 실행될 예정
*부양책 : $1.9t 하원통과 / 상원예정
-실업급여 보너스 : $400/week/person
-현금보너스 : $1,400/person
-아이들지원금 : $3,600/child
-백신보급 : $20b
-테스트 : $50b
-주정부지원 : $350b
-학교지원 : $170b
-연방 최저시급 : $15 by 2025년
*J&J 1샷 백신 : FDA 패널 투표 통과
-다음주 중 긴급사용승인 예상
*코로나 : 신규확진자 증가 지속
(전일 78,004 / WoW +17.6%)
•나스닥 +0.6% / 러셀2000 +0.3%
•S&P500 -0.5% / 다우 -1.5%
-나스닥 Top10 : 상승10 vs 하락2
-미국 국채금리(10y) : 1.407 (-0.049)
-WTI : $61.62 (-3.0%)
-Bitcoin : $46,000
SMART한 주식투자
(2021.02.26) U.S. & EU Market Closing
2021.02.27
허단
U.S. Market Closing – 06:00 기준
|
지수 |
종가 |
등락폭 |
등락률 |
상승/하락/보합 |
|
DOW |
30,932.37 |
-469.64 |
-1.5% |
5/25/0 |
|
S&P500 |
3,811.15 |
-18.19 |
-0.5% |
162/341/2 |
|
NASDAQ |
13,192.34 |
72.91 |
0.6% |
1035/1929/63 |
|
RUSS 2K |
2,201.05 |
0.88 |
0.0% |
706/1298/23 |
|
PHLX 반도체지수 |
3,067.63 |
68.46 |
2.3% |
29/1/0 |
|
VIX지수 |
27.95 |
-0.94 |
-3.3% |
|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미국 주요 지수는 시장 예상치를 부합하는 경제지표와 국채 금리 하락에 따른 투자심리가 회복되며 혼조세로마감. 뉴욕증시는 장 초반 금리의 움직임과 주요 경제지표를 주시하며 등락을 반복했으며, S&P500은 -0.5% 하락한 3,810선, 나스닥은 +0.6% 상승한13,190선, DOW는-1.5% 하락한 30,900선에 마감. 미10년물 국채 금리는 1.5%선 밑으로 하락하며 밸류에이션우려가 번지던 테크 기업들은 다시 상승 동력을 얻음. 특히 애플(APPL,+0.22%), 마이크로소프트(MSFT, +1.48%), 페이스북(FB, +1.15%)가 일제히 상승하며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의 상승을 주도. 반면에너지 관련 기업과 국채금리 상승에 따른 금융 기업은 금일 장에서 하락하며 다우존스 하락세를 견인. 한편미국 상무부는 1월 개인소비지출(PCE)이 전월 대비 2.4% 증가했다고 발표했으며, 물가 관련 지표인 근원 PCE가 전년 동기 대비 1.5%오르며 시장 예상치에 부합하며 시장에안도감을 제공함.
U.S. ETF Closing – 06:00 기준
Sector
|
분류 |
티커 |
현재가 |
등락률 |
t신호 |
수익률 |
|
|
|
|
|
|
|
|
1개월 |
3개월 |
1년 |
|
IT |
XLK |
130.69 |
0.5% |
안개 |
1.3% |
4.7% |
47.0% |
|
자유소비재 |
XLY |
161.15 |
0.4% |
안개 |
-0.5% |
1.9% |
39.4% |
|
커뮤니케이션 |
XLC |
71.57 |
0.4% |
햇빛 |
7.0% |
7.6% |
42.1% |
|
헬스케어 |
XLV |
112.61 |
-0.9% |
안개 |
-2.1% |
2.2% |
21.2% |
|
산업재 |
XLI |
90.61 |
-1.0% |
햇빛 |
6.9% |
3.6% |
25.3% |
|
소재 |
XLB |
73.55 |
-1.3% |
햇빛 |
4.1% |
3.0% |
37.9% |
|
부동산 |
VNQ |
87.87 |
-1.5% |
햇빛 |
3.4% |
4.9% |
0.8% |
|
필수소비재 |
XLP |
63.3 |
-1.6% |
안개 |
-1.2% |
-5.4% |
8.0% |
|
유틸리티 |
XLU |
58.36 |
-1.9% |
안개 |
-6.1% |
-7.0% |
-7.1% |
|
금융 |
XLF |
32.31 |
-1.9% |
햇빛 |
11.5% |
14.7% |
23.2% |
|
에너지 |
XLE |
48.15 |
-2.4% |
햇빛 |
22.4% |
32.0% |
12.4% |
자료: 티레이더,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섹터별 ETF는 IT(XLK/ +0.5%), 커뮤니케이션(XLC / +0.4 %), 자유소비재(XLY, +0.4%) 섹터가 오름세를 시현했으며, 에너지(XLE / -2.4%), 금융(XLF / -1.9%) 섹터는 약세로마감. 금일 금리 하락으로 위험자산 선호 심리가 살아나자 상승 동력을 얻은 IT 기업들의 주가가 상승했고 커뮤니케이션 섹터와 IT 섹터는 강세를시현했으며, E-커머스 기업인 엣시(ETSY)는 분기실적결과 코로나로 인해 온라인 매출이 크게 증대되며 자유소비재 섹터의 상승을 견인. 한편 달러 강세로 원자재와4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가 -2.5% 하락하며 에너지 섹터의 하락을 견인.
Thematic
|
분류 |
티커 |
현재가 |
등락률 |
t신호 |
수익률 |
|
|
|
|
|
|
|
|
1개월 |
3개월 |
1년 |
|
반도체 |
SOXX |
416.9 |
2.3% |
안개 |
6.4% |
13.5% |
82.0% |
|
스포츠베팅/iGaming |
BETZ |
30.45 |
0.2% |
햇빛 |
10.1% |
28.6% |
0.0% |
|
스트리밍 서비스 |
SUBZ |
14.27 |
0.3% |
|
0.0% |
0.0% |
0.0% |
|
데이터/인프라 리츠 |
SRVR |
34.98 |
-0.3% |
안개 |
-3.4% |
-1.9% |
4.0% |
|
글로벌 천연자원 |
GNR |
49.11 |
-2.5% |
햇빛 |
8.9% |
14.5% |
31.2% |
자료: 티레이더,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테마 ETF의 경우 반도체(SOXX)ETF가 전일 하락분을 반납하며 금일 +2.34% 상승 마감. 또한 달러 강세에 따른 원자재 가격 하락으로 글로벌 천연자원(GNR) 섹터는-2.34%를 기록. 한편 온라인 갬블링 업체인 드래프트킹즈(DKNG)는 마케팅 효과와 스포츠 갬블링 합법화 움직임에 금일 +5.22% 상승하며스포츠베팅/iGaming(BETZ) 섹터의 상승을 주도.
EU Market Closing – 02:00 기준
|
지수 |
종가 |
등락률 |
구분 |
업종 |
등락률 |
|
STOXX 600 |
404.99 |
-1.6% |
상승 |
|
|
|
|
|
|
하락 |
필수소비재 |
-2.0% |
|
|
|
|
|
소재 |
-2.3% |
|
|
|
|
|
에너지 |
-3.0% |
|
지수 |
종가 |
고가 |
저가 |
등락폭 |
등락률 |
|
獨 DAX |
13,786.29 |
13,881.26 |
13,673.07 |
-93.04 |
-0.7% |
|
英 FTSE 100 |
6,483.43 |
6,651.96 |
6,465.57 |
-168.53 |
-2.5% |
|
佛 CAC 40 |
5,703.22 |
5,768.03 |
5,688.26 |
-80.67 |
-1.4% |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유럽증시는 투자자들의 위험자산 선호 심리 위축과 달러 강세로 원자재 가격이 하락하며 이번 달 최고 폭인 -1.6% 하락 마감. 금일 유럽증시는 미 10년물 국채 금리 상승에 따른 변동성이 커지며 장 초반 1% 급락 출발하였으며, 달러가 강세로 나타나자 2월동안 좋은 성적을 내던경기민감주 종목의 주가가 하락하며 증시의 낙폭을 키움. 금일 유럽 증시 내 모든 업종은 일제히 하락 마감했으며, 에너지, 금융, 기초소재 섹터가가장 큰 하락 폭을 기록. 석탄 채광과 강철을 제조하는 에브라즈(EVR EU)는 -2.19% 하락했으며, 구리와 은을 생산하는 폴스카미에츠(KGHEU) 역시 -5.33% 하락하며 증시 하락에 기여.

뉴욕증시, 美금리 연동한 변동 끝에 혼조…다우, 1.5% 하락 마감
송고시간2021-02-27 06:42
미 국채 10년물 금리는 장 초반 1.52%를 넘었다가 1.41% 부근까지 떨어지는 등 널뛰기 장세를 보였다. 금리가 장 초반 이후 하락하면서 주가지수도 반등하는 흐름을 보였지만, 장 후반 금리가 저점에서 반등하자 지수도 다시 고꾸라졌다. 미 국채 10년물 금리는 증시 마감 무렵 1.42% 수준을 기록했다.
다만 전일 지난해 10월 이후 최대폭인 3.5% 이상 급락했던 나스닥은 이날은 상대적으로 강세를 나타냈다.
국제유가의 큰 폭 하락 등으로 에너지 관련주가 급락하는 등 경기 민감 종목은 상대적으로 더 부진했다.
물가 등 주요 지표가 안정적이었던 점이 금리 상승세를 다소 누그러뜨렸다.
출처: <https://www.yna.co.kr/view/AKR20210227010500009>
[뉴욕증시 마감] '1.5%' 넘은 美국채 금리에 극심한 등락...다우 470p↓·나스닥 반등
최지현 기자입력 : 2021-02-27 08:22
10년물 美국채 금리 1.52~1.41% 널뛰기 장세에 증시도 불안세WTI 3.2% 급락에 에너지주도 휘청...다우지수 부진에도 영향 줘
출처: <https://www.ajunews.com/view/20210227072124150>
[뉴욕유가] 증산 가능성·레벨 부담에 3.2% 급락
송고시간2021-02-27 05:21
출처: <https://www.yna.co.kr/view/AKR20210227007900009?input=1195m>
'애플·구글에 더 많은 세금을' 美 디지털세 반대 입장 철회
기사입력 2021.02.27. 오전 7:54
옐런 "세이프 하버'(safe-harbor) 규정을 주장하지 않을 것"
미와 갈등 프랑스 즉각 환영
출처: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5&oid=277&aid=0004855843>
"미국, 백신 접종 순항…집단면역 이르면 6월 가능성"
기사입력 2021.02.27. 오전 9:22
출처: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sec&oid=015&aid=0004505733>
GS홈쇼핑, 물류 스타트업 '부릉' 3대주주로 참여
신문A11면 1단 기사입력 2021.02.26. 오후 8:45
GS홈쇼핑이 물류 브랜드 '부릉(VROONG)'을 운영하는 종합물류 스타트업 메쉬코리아의 3대 주주로 참여한다. 26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GS홈쇼핑은 메쉬코리아의 주주인 휴맥스와 휴맥스홀딩스가 보유한 메쉬코리아 지분 18.4%를 인수하기로 의결했다
출처: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sec&oid=009&aid=0004755623>
'베이징 올림픽' 보이콧?…'중국 견제' 강도 높이는 미국
신문A11면 1단 기사입력 2021.02.26. 오후 5:37
"관세 철회 없다"…美, 더 세진 對中 무역압박
USTR 대표 내정자 인준 청문회
"反中 연합 재건 위해 WTO 참여"
출처: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sec&oid=015&aid=0004505613>
'모텔 앱' 넘어 '슈퍼 앱'으로…'몸값 5조' 야놀자, IPO 시동
신문A15면 1단 기사입력 2021.02.26. 오후 5:07
출처: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sec&oid=015&aid=0004505562>
<< 아주IB투자 >>
"일반인은 언제 맞을 수 있나"…코로나 백신 Q&A [이지현의 생생헬스]
신문A17면 1단 기사입력 2021.02.26. 오후 5:09
백신 1억명 맞았지만 심각 증상 극소수
경미한 부작용 3일이면 '싹~'
일반인 접종 어떻게 되나
접종 전후 주의할 점
백신 접종 후 효과는

출처: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sec&oid=015&aid=0004505564>
[한경바이오인사이트]
아티바 시리즈B $120mn 조달 완료
머크와 딜 한지 한달도 안되서 자금조달B 완료
빨리 자금 조달하는 이유로 CEO Fred는 NK 세포 생산 과정에 집중하기 위함
(시리즈A는 파이프라인 IND 제출 등에 사용)
NK 세포 품질 손상 없이 동결 배송 가능하다는 점에서 머크 등 빅파마 관심
AB101+리툭시맙 1상 이르면 연말 발표 가능
이번 시리즈B는 IPO로 가기위한 사전 단계라고 언급. IPO에 대한 구체적 질문에 이 단계에 모든 회사들이 IPO를 생각한다며 구체적 계획은 없다고 말함
참여 회사: Venrock Healthcare, Acuta Capital, Cormorant, EcoR1, Franklin Templeton, Janus Henderson, Logos, TRW, LP, Surveyor, Wellington Management, 5AM Ventures, RA Capital, venBio, GC LabCell, GC도 참여
[키움 허혜민]
[(삼성/조현렬) 2/26일 Daily 화학]
▶️ 국제유가 하락 속에 제품가격 상승.
주요 상승제품은 SBR(+5.1%), 에틸렌(+5.0%), 부타디엔(+4.4%), 벤젠(+2.5%), SM(+2.4%).
주요 하락제품은 PX(-1.6%), PTA(-1.4%).
[원자재]
√ 두바이 원유: 63.1달러(-1.6%DoD)
√ 나프타: 600달러(-1.6%DoD)
[올레핀]
√ 에틸렌: 1,050달러(+5.0%DoD)
√ HDPE: 1,170달러(Flat DoD)
√ LDPE: 1,545달러(Flat DoD)
√ LLDPE: 1,170달러(Flat DoD)
√ MEG: 830달러(+1.6%DoD)
√ 프로필렌: 1,115달러(Flat DoD)
√ PP: 1,200달러(Flat DoD)
√ 부타디엔: 940달러(+4.4%DoD)
[아로마틱]
√ 벤젠: 898달러(+2.5%DoD)
√ SM: 1,348달러(+2.4%DoD)
√ 톨루엔: 777달러(-0.4%DoD)
√ 자일렌: 804달러(-0.1%DoD)
√ PX: 864달러(-1.6%DoD)
√ PTA: 680달러(-1.4%DoD)
[금일 발표된 주간가격]
√ SBR: 1,850달러(+5.1%WoW)
[Spot 스프레드]
√ 에틸렌: 450달러(+15.3%DoD)
√ HDPE: 570달러(+1.7%DoD)
√ LDPE: 945달러(+1.0%DoD)
√ LLDPE: 570달러(+1.7%DoD)
√ MEG: 470달러(+4.2%DoD)
√ PP: 600달러(+1.7%DoD)
√ 부타디엔: 340달러(+17.1%DoD)
√ 벤젠: 298달러(+11.9%DoD)
√ PX: 264달러(-1.6%DoD)
[1M래깅 스프레드]
√ 에틸렌: 532달러(+9.1%DoD)
√ HDPE: 652달러(-0.9%DoD)
√ LDPE: 1027달러(-0.6%DoD)
√ LLDPE: 652달러(-0.9%DoD)
√ MEG: 519달러(+1.9%DoD)
√ PP: 682달러(-0.8%DoD)
√ 부타디엔: 422달러(+8.8%DoD)
√ 벤젠: 380달러(+4.5%DoD)
√ PX: 346달러(-5.4%DoD)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 정유화학 텔레그램 채널주소]
'시황 & 뉴스 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 3월 2일(화) 해외마감시황, 장전 봐야할 주요뉴스, 관심레포트 ; 마감시황 (0) | 2021.03.02 |
|---|---|
| 3월 1일(월) 해외시황, 오늘 증시캘린더, 주요뉴스 (0) | 2021.03.01 |
| 2월 26일(금) 해외마감시황, 장전 봐야할 주요뉴스, 관심레포트 : 마감시황 (0) | 2021.02.26 |
| 2월 25일(목) 해외마감시황, 장전 봐야할 주요뉴스, 관심레포트 : 마감시황 (0) | 2021.02.25 |
| 2월 24일(수) 해외마감시황, 장전 봐야할 주요뉴스, 관심레포트 : 마감시황 (1) | 2021.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