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개인적으로 스크랩한 사업보고서, 증권사레포트, 뉴스 등 자료를 바탕으로 개인적인 확증편향적인 생각으로 작성하는 게시글이라, 자료가 부실하기도 하고, 잘못된 부분도 있을 겁니다. 

매매를 위한 자료가 아니라 저만의 기록을 남기기위한 글로 여겨주시면 좋겠습니다.

제가 미처 언급못한 추가사항이나 잘못된 부분은 댓글로 남겨주시더라도.. 더이상 아는게 없어서 일일이 답글을 적지 못할 수 있음을 양해해주시기 바랍니다. 개인적으로 "묻지마 투자"를 지향합니다.


이번주 관심있게 보고있던 종목인데,

오늘 시장대비 강한 흐름은 LG화학의 유미코아 인수설 기사때문인듯 하네요.


기업개요

https://www.endss.com/

https://m.irgo.co.kr/IR-COMP/101360/%EC%9D%B4%EC%97%94%EB%93%9C%EB%94%94-IR-ROOM

자동차용 배기가스 정화용 촉매 및 시스템(매연저감장치)의 개발, 제조 및 판매를 목적으로 2004년 설립

2013 7 1 코넥스 시장 상장

2020 7 30 코스닥 이전 상장

 

 

 

 

 

 

22 3 31 정정 공시 : 21 3~21 10월~22 3~ 22 6 30일까지  : 신규시설투자, 공사일정 지연에 따른 투자기간 연장, 코로나19로 인한 인력수급 불안정 및 자재수급 지연, 중대재해처벌법에 따른 안전관리 강화 등 대외적인 영향

 


투자포인트

  • 정부 미세먼지 관련 정책
  • 촉매 B2C 시장 개화
  • 22 6, 2차전지 전구체 1천톤 캐파에서 5천톤 캐파로 증설 완료 예정 : 추후 거래처(유미코아) 요청시 1만톤 이상 추가 증설 가능

 

실적

  • 2020년 타사의 원가 부풀리기가 이슈화되자 환경부가 제도 개선을 이유로 예산 집행을 연기 하며, 환경부의 미세먼지 관리 종합 계획 집행 예산이 3806억원에서 1240억원으로 67.4% 감소하면서 배기가스 저감 장치 매출이 감소해 상반기 실적은 다소 부진할 것
  • 하반기부터는 이차전지 전구체 매출이 반영되고 농기계 수출 호조에 따른 엔진용 촉매의 매출증가가 실적 개선에 기여
  • 전구체 신규투자 매출은 2분기내 완공이후, 시설 안정화 단계를 거쳐 4분기부터 본격적인 매출 반영이 가능할듯

리스크

  • 정부 미세먼지 관련 예산 감소로 촉매시스템 부문 실적 감소로 상반기 실적 다소 부진할 것으로 예상
  • 2차전지 전구체 신규시설 준공이 3월말에서 6월말로 연기되며, 3분기는 시설안정화 단계를 거쳐 실제 매출은 4분기로 지연될 가능성
  • 김민용 대표이사 ()등기임원 : 2014.02.17~2014.08.21까지의 지분거래에 대해 시세조종행위 금지 위반으로 인해 자본시장법을 위반한 사실이 있으며, 이에 대해 2017년 4월 26일 기소유예 조치를 받은 이력이 있음

기타

27,909(1,074,922 전환사채 주식 전환: 21 2 17)

https://kind.krx.co.kr/common/disclsviewer.do?method=search&acptno=20220223000541&docno=&viewerhost=&viewerport=

 

[이엔드디] 주식등의대량보유상황보고서(약식)

본 문서는 최종문서가 아니므로, 최종 정정문서를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kind.krx.co.kr


1. 촉매시스템

기존 운행중인 차량에 설치하는 하나의 매연저감 ‘모듈’

촉매시스템 사업을 영위 중인 회사 중에서 촉매 사업까지 직접 하는 회사는 거의 없음.

이엔드디의 경우 자사 촉매 제품을 사용하기 때문에 촉매시스템 사업에 있어 원재료에 대한 부담이 적은 편임.

 

촉매 시스템 사업은 환경부 주관의 미세먼지 관리 종합 계획에 따라 노후화된 차량에 매연저감장치를 공급하는 사업이다. 동사를 포함, 8개의 업체가 환경부에 납품 중이며 동사의 시장 점유율은 약 18%로 추산 된다. 또한 8개 매연저감 업체 중 4개의 업체에 핵심소재인 촉매를 공급 중

 

한국자동차환경협회의 ‘배출가스저감장치 인증현황’에 따르면 이엔디드와 HK-MnS 2개사만이 1종 DPF , 2종 pDPF , 교체용 저감장치 등의 모든 인증을 보유 (HK-MnS ; 현대/기아자동차 사내벤처 3호로 2006년 설립 된 자동차 환경기술개발 전문기업)

 

주력 제품은 세라믹 필터에 백금과 팔라듐 등의 혼합물을 도포한 배기가스 저감후처리장치다. 미국과 유럽 등에서 시행중인 가장 강력한 규제인 Euro-6(On-road)와 Tier-4 Final(Off-road)를 만족시키는 우수한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환경부가 요구하는 복합재생, 동시저감 등 9종 인증을 전체 획득한 유일한 업체.

유럽의 STAGE-V, 미국의 Tier 4 등급에 해당하는 DPF(Diesel Particulate Filter, 배기가스 저감장치)생산 업체로 전국 100 개이상의 공업사에 납품 중이며, 트랙터용 배기가스 저감 촉매를 국제종합기계에 납품 중

전 세계적으로 온실가스 감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어 향후 성장성이 높은 사업으로 평가

 

 

촉매시스템(DPF)사업 실적은 2022년 감소예상 :
배출가스 5등급 차량이 감소하고 있으며 환경부에서는 2024년 노후경유차 5 등급 차량 완전 퇴출을 목표로 조기폐차 지원을 확대하고 DPF 부착 지원 예산을 축소 편성. 노후경유차 조기폐차 예산은 2021년 3,264억원(34만대), 2022년 3,456억원(36만대). DPF부착 지원 예산은 2021년 1,710억원(9만대), 2022년 578억원(3.5만대), 그러나 2021년 DPF 부착 지원 관련 실제 예산 집행은 7만대 수준으로 예상되며, 나머지 2만대는 2022년으로 이연. 2022년 예산 집행 약 5.5만대 수준이 될 것으로 추정. 관련 동사 매출액은 2021년 336억원, 2022년 250억원으로 예상

(정부는 2024년까지 운행차 배출가스 저감사업을 통해 연간 8만대 규모의 5등급 차량에 저감장치(촉매시스템) 설치 비용을 지원할 계획, 전국의 5등급 차량은 247만대로 파악되기 때문에 2024년 이후에도 촉매시스템은 지속적인 수요는 있을 것으로 예상)

 

특히 환경부 주관의 미세먼지 관리 종합 계획에 따라 노후화된 차량에 매연저감장치를 공급하는 촉매시스템 사업은 규제확대로 인해 지속적인 매출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

 

정부의 ‘운행차 배출가스 저감사업’은 대기환경보전법 제58조(저공해자동차의 운 행 등)에 의거 오염물질을 다량 배출하는 노후 경유차와 노후 건설기계를 대상으로 조기폐차, 배출가스 저감장치(DPF, p-DPF) 부착 등에 소요되는 비용을 지원 하는 사업으로, 2005년부터 2014년까지 1단계 사업을 완료, 2015년부터 2024년 까지 2단계 사업이 시행되고 있음

2019년 6월 전국 차량 2,320만대를 대상으로 1~5등급으로 배출가스 등급 분류를 완료, 규제 대상인 5등급 차량은 247만 대로 2005년 이전에 제작된 Euro-4기준을 적용받은 경유차량으로 배출 허용 기준을 초과한 차량은 배출가스 저감장치 부착 또는 저공해엔진(LPG)으로 개조, 노후 차량 조기폐차를 해야 함.

향후 4등급으로 확대 시 정부 예산 증가에 의한 실적 성장 전망

 

─────────────────────────────────────────────────────

 

2. 촉매

촉매시스템의 매연저감 역할을 하는 ‘핵심 부품

현재 환경부는 도로용 차량(on-road)에 대해 유럽의 Euro6 수준, 비도로용 차량(off-road, 지게차, 굴삭기 등)에 대해 미국의 Tier-4 final 수준의 규제를 채택, 새롭게 제조되는 디젤 및 휘발유 차량에는 모두 설치됨.

 

제조단계에서부터 고객사와의 협업을 통해 제품 공급 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고객사와의 오랜 거래 관계가 중요함. 국내 완성 차(on-road) 촉매 시장에서 동사는 후발업체이며, 기존 희성촉매 주식회사, 오덱 주식회사가 현대, 기아, 쌍용 등의 국내 자동차 제조사들과의 오랜 거래 관계를 바탕으로 95%의 완성차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음.

이와 같은 시장 환경으로 인해 완성차 제조사 타깃의 시장 확대 전략 대신 농기계 제조사를 타깃으로 한 판매 전략을 선택, 농기계 엔진에 특화된 기술을 통해 농기계 촉매 시장에서 경쟁사 대비 기술적 우위를 점함.

향후 선박에 대한 환경규제 강화에 따라 창출될 선박용 촉매 시장, 동남아 지역의 자동차 배기 규제 강화에 따른 동남아 완성차 촉매 시장에 진출할 계획.

 

촉매 사업은 2022년을 기대. 촉매OEM(Before Market)이 2020년 말, 2021년 3분기 건설기계 고객사 각 2개사씩 확보. 2022 년부터 매출 본격화. 또한 최근 호황을 누리고 있는 농기계에 공급되는 양이 증가하고 있어 매출액은 2020년 70억원에 불과했지만 2021년 150억원, 2022년 250억으로 증가. 이외에 신사업인 질소산화물을 규제하는 촉매 설비 사업에서 약 50억원 매출 발생 기대

 

자동차 배출가스 환경규제 Euro-6(도로용)와 Tier-4(비도로용) 기준에 충족하는 촉매 기술을 보유하여 9 개 업체 약 100여개 모델에 공급한 레퍼런스를 보유하고 있다. 선박/발전/가전용 시장으로 확대, 촉매 및 촉매시스템 수출, After market 등 지역별 고객의 특성에 따른 세분화 및 차별화 전략으로 16개국 대상 100여개의 프로젝트를 진행

 

기존 촉매 기술을 엔지니어링 사업으로 확대하기 위해 지난해 10월 엔지니어링 업체 기련이엔씨 인수.

과거 열병합발전소, 수도권 매립지 가스발전소에 납품하던 SCR(Selective Catalyst Reduction, 선택적 촉매 환원)설비 사업을 화력발전소, 공장 등으로 확장할 계획, 촉매를 엔지니어링 사업으로 확대, 설계부터 시공까지 턴키로 솔루션을 제공할 예정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 상향으로 발전소나 석유 화학공장 등 SCR설비 수요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해당 사업부문 영업이익률은 약 15~20% 수준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

 

 1) 신차 제작 시 들어가는 ‘신차 시장’ : 시장 규모 3조원

신차 시장에서 9개 완성차 및 전장부품 업체에 100여개 모델의 OEM 공급 레퍼런스를 보유

2020년 말, 2021년 3분기 건설기계 고객사 각 2개사씩 확보

 

 2) 기설치된 차량의 촉매시스템의 교체 부품으로 활용되는 ‘교체용 장’ : 시장 규모 3천억원

2020년부터 OEM용 촉매 제작 기술을 활용하여 교체용 촉매 정부 인증 획득하여 교체용 시장 진입

(2020년 4월 『대기환경보전법』 시행에 따라 인증된 정품으로만 교체를 해야 함, 저가형 미인증 중국산 촉매 공급 중단)

 

 

─────────────────────────────────────────────────────

3. 노후 엔진교체

건설기계 엔진교체 사업은 비도로용 건설기계를 대상으로 Tier1의 엔진을 Tier3 이상의 신형엔진으로 교체하는 사업

 

2019년 하반기 노후 건설기계 엔진교체 적격사업자로 선정

 

─────────────────────────────────────────────────────

4. 이차전지 전구체

 

 

 

NCM계열의 소입경 전구체 특허 및 생산에 강점을 지니고 있어 2014년부터 LG화학과 엘앤에프 등 업체에 납품한 이력이 있음

그동안 회사 재무상태 악화와 코스닥 이전상장 철회 등 이슈로 자금이 부족해 증설을 단행할 수 없어 사업 확장에 어려움이 있었으나, 코스닥 이전상장을 통해 344억원 조달

 

이엔드디는 촉매 기술을 기반으로 소입경 전구체 대량 생산 기술을 확보했으며 2022년 6월말까지 5천톤의 캐파(CAPA) 증설이 완료될 예정으로, 2021년 9월 2차전지 전구체 공급을 포함해 양사간 전략적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글로벌 양극재 1위 기업 유미코아에 전량 공급할 예정
(유미코아는
자체 니켈광산을 보유하고 있어 원자재 가격 상승 리스크 축소 예상)

 

양극재를 구성하는 전구체는 입자의 표면적이 넓을수록 고용량 및 고출력에 유리. 표면적이 넓을수록 전기화학적 반응이 더 빠르게 진행되고, 에너지 저장 용량 또한 증가하기 때문. 따라서, 고효율이 핵심인 EV용 이차전지에서 입자의 직경이 큰 대입경 전구체와 소입경 전구체를 7:3 정도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면 양극재 밀도가 높아져 같은 부피 대비 배터리의 효율성이 올라가는데, 이를 Bi-modal 방식 이라고 함.

전기차의 가장 한계인 주행거리의 문제점을 보완해줄 있어 최근 주요방식으로 채택

 

소입경 전구체는 기존 중국에서 수입해오는 대입경 전구체와 혼합해 사용할 경우 높은 에너지 밀도의 2차 전지를 제작 가능하게 해 시장의 관심이 높은 아이템임

 

 

1) 고용량 고함량 니켈 전구체 2) 저가형 고용량 전구체 3) 차세대 전고체전기용 양극전구체 등으로 2차전지 전구체 사업 확대

 

─────────────────────────────────────────────────────

한국의 양극재 전구체 소비 비중은 전세계 42%이지만 생산 비중은 14%에 불과해 공급리스크에 따른 국산화 필요성이 강조

 

전구체란 어떤 물질 대사나 반응에서 특정물질이 되기 전 단계의 물질로, 이차전지에서는 양극재의 주요 원료인 니켈, 코발트, 망간 (NCM)을 배합한 물질을 말한다. 전구체의 경우 2020년 10만1097톤을 수입하는 등 대부분 중국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국내 주요 양극재 업체들의 전구체 내재화율은 약 20%에 불과한 상황

 

전구체는 양극활 물질의 주요 원재료이며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키는 역할. 전구체는 니켈+코발트+망간+알루미늄 등의 원료를 배 합해 제조. 2차전지 원가 중 양극활물질 비중은 약 40% 정도이며, 양극활물질 원가 중 전구체가 차지하는 비중은 60~70%에 달할 정도로 양극활물질 전구체의 품질이 2차전지의 특성을 결정 Ÿ 전구체 생산 기준 글로벌 시장 점유율은 중국이 약 75.8%로 압도적으로 높은 반면 한국은 13.9%에 불과. 반면 소비량 점유율은 중 국 42.4%, 한국 41.5%로 비슷한 수준 Ÿ 한국은 2차전지의 주요 생산국이 되면서 2019년 전구체 수입량이 8만톤(금액 기준 약 1.3조원)으로 2018년 대비 841% 증가하였 으며, 2020년 11만톤(금액기준 약 1.7조원), 2021년 9월까지 14만톤(2.3조원)으로 급격하게 증가 / 21 기준 전구체 수입액 중 중국 비중이 90%대를 차지

 

Ÿ 전구체 국내 수요량은 약 20만톤이며, 국내 생산량은 4.5만톤에 불과. 나머지는 대부분 중국으로부터 수입. 중국으로부터 수입하는 전구체의 수급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우려. 국내 업체의 자급률은 22%에 불과

 

전기차 1종에 필요한 전구체는 연간 2만 톤

 

[2차전지]배터리 소재 르네상스_ 에코프로비엠 엘앤에프 SK아이이테크놀로지 천보 일진머티리얼즈 이녹스 대주전자재료 동화기업 이엔드디 창신신소재 ElectronicEquip_20210526_NH_712848.pdf
2.18MB
20200714_이엔드디_무료배포용.pdf
0.89MB
Monthly IPO - SK바이오팜 IPO 효과 기대_와이팜 에이프로 이엔드디 마크로밀엠브레인 Recomm_20200701_SK_640733.pdf
4.86MB
미드스몰캡-내일은 늦으리-인선이엔티 와이엔텍 제이씨케미칼 gst 이엔드디 이엔코퍼레이션 CISPPR20211115103909642.pdf
0.72MB
양극재 내 전구체 내재화_ 에코프로 이엔드디 LG화학 Chemicals_20211008_SK_741019.pdf
2.98MB
이엔드디 IR북 final.pdf
16.14MB
이엔드디[101360]_20200715_Eugene_644091.pdf
1.47MB
이엔드디[101360]‘21년은 촉매, ‘22년은 2차전지 전구체_20210715_MERITZ_723559.pdf
1.03MB
이엔드디[101360]2Q21 DPF 회복, 촉매 성장_20210817_MERITZ_731591.pdf
0.90MB
이엔드디[101360]2차전지 주가 상승 요인은 증설_20210215_MERITZ_691768.pdf
1.00MB
이엔드디[101360]4Q20 탑픽 Preview #7; 견조한 본업 + 신규 모멘텀 가시화로 2021년 최대실적 예상_20210204_Hana_689785.pdf
0.65MB
이엔드디[101360]ESG와 2차전지 소재_20201127_NH_676115.pdf
0.47MB
이엔드디[101360]그린뉴딜 + 미세먼지 + 소재 국산화 = 두 배씩 성장하는 매출액_20201021_Hana_665591.pdf
0.87MB
이엔드디[101360]그린뉴딜과 소재 국산화의 조합_20200928_MERITZ_661147.pdf
1.45MB
이엔드디[101360]글로벌 경쟁력 갖춘 소재 전문 기업, 2차전지로 도약 꿈꾼다_20200701_SK_640760.pdf
0.79MB
이엔드디[101360]미세먼지 저감 정책에 따른 외형성장 지속 전망_20191205_Kiwoom_592276.pdf
0.77MB
이엔드디[101360]소입경 전구체 매출 본격 반영될 2022_20211229_IBK_758105.pdf
0.66MB
이엔드디[101360]우리나라 미세먼지 저감 정책의 중심_20200910_SK_657367.pdf
0.82MB
이엔드디[101360]환경과 2차전지_20200630_NH_640373.pdf
0.70MB
이엔드디[101360]환경부터 2차전지 소재까지_20200813_NH_651582.pdf
0.62MB
이엔드디[101360]환경촉매 확대와 전구체 본격화_20200714_Hungkuk_643820.pdf
0.65MB
한국자동차환경협회-저감장치 및 저공해엔진 인증현황(191224).hwp
0.06MB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