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투자 스터디를 위해 개인적으로 스크랩한 시황, 뉴스 자료를 공유합니다.
1) 노션 링크는 익스플로러에선 제대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크롬에 최적화 되어있으며, 엣지, 웨일에서도 잘 작동합니다.
2) 공유한 자료링크는 1~2일후 공유 해지 합니다.
게시물은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한 것이라
불확실하거나 오류가 많을 수 있으므로 투자 활용시 유의하시기 바라며, 개별적인 종목 추천이나 상담은 하지 않습니다.
모쪼록 제 공간에 오신 모든 분들이 주식스터디를 통해 인생 한 방보다, 꾸준함을 믿으며...
복리의 마법으로 모든 분들이 성공한 개인투자자가 되시길...




2021년 4월 9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마이크론 CEO가 올해 메모리 수급이 더 타이트해질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2) 미국, 유럽에 공장이 있는 글로벌파운드리가 200억달러 가치에 상장계획을 밝혔습니다.
(3) 대체육 기업 임파서블푸즈가 12개월내 상장계획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미 5년 breakeven rate 2.567%, -0.025%p (2% 상회시 유의, 2.5% 상회시 경고)
한국 고객예탁금, 63.7조원 +0.2조원
미국 백신 접종률 26.0%(0.0%p, 집단면역 70%)
한국 백신 접종률 1.0%(0.0%p, 집단면역 70%)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06%
1개월 NDF 환율 1,117.05원 (-0.35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연준이 의사결정 하기 애매한 차트>

[4/8 미국 상승 = 이슈없으면 상승]
(Feat. 매일매일 신고가)
✔️신규실업급여 신청 : 쇼크
-실제744k / 컨센680k / 전주728k
☑️지속적인 고용개선이 불분명한 것은 연준이 함부로 정책방향을 바꾸기 어려운 이유
☑️국채매입규모 축소(테이퍼링)를 결정한 후 다시 매입규모를 늘리기는 어려움
✔️바이든 대통령 색깔
-총기 : 적극 반대
-환경 : 적극 친환경
-과세 : 세율인상/부자증세
-분배 : 재정지출/복지정책 확대
✔️플로리다주 CDC에 소송
-크루즈 운항재개를 위한 소송제기
✔️Levis 1Q21서플 : 소비주실적🔝
-매출 : 실제 $1.31b / 컨센 $1.25b
-EPS : 실제 $0.34 / 컨센 $0.25
-2Q21 긍정적 실적 전망 제시
-소비섹터 긍정적 실적 기대
*코로나 : 신규확진자 증가
(전일 75,183 / WoW +43.8%)
•나스닥 +1.0% / 러셀2000 +0.8%
•S&P500 +0.4% / 다우 +0.2%
-나스닥 Top10 : 상승 9 vs 하락 1
-미국채금리(10y) : 1.624 (+1.8%)
-WTI : $59.89 (+0.2%)
-Bitcoin : $58,000
SMART한 주식투자
[4/9 전거래일(8일) 국내외 증시 팩트 & 코멘트, 케이프 한지영]
(Fact)
어제도 코스피는 장 중 계속해서 좀처럼 방향성을 잡지 못했지만, 끝내 상승세로 마감하면서 6거래일 연속 강세를 보였습니다. 3월 FOMC 의사록에서 연준의 완화적인 기조를 재확인했으나 시장에는 별 다른 영향을 주지 못했습니다.
코로나 백신 안전성 문제, 국내외 코로나 재확산세가 출현했다는 점이 백신, 진단키트 등 제약 및 바이오주들의 강세를 주도했고, 언택트, 2차전지 등 성장주들도 상대적으로 선방을 하면서 국내 증시 상승세에 힘을 보탰습니다(코스피 +0.2%, 코스닥 +0.9%)
미국 3대 증시도 모두 강세를 보였고 이 중 S&P500은 신고가를 경신했습니다. 미국 VS 중국, 러시아와 지정학 갈등, 주간 실업지표 부진이라는 부정적인 재료가 이었습니다. 그러나 파월 의장이 IMF 연설에서 다시 한번 부양 기조를 유지하겠다고 발언한 가운데, 10년물 금리도 1.62%로 빠르게 내려왔다는 점이 2~3월중 타격을 받았던 성장주, 기술주들의 주가 상승세를 만들어냈습니다(다우 +0.2%, S&P500 +0.4%, 나스닥+1.0%)
미국의 주간 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는 74.7만건으로 전주(72.8만건) 및 예상치(69.4만건)를 상회하면서 실업자수가 2주 연속 증가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유럽도 그렇고 미국도 최근들어 코로나 재확산 우려가 점증하고 있는 것이 고용시장에도 조금씩 부정적 영향을 다시 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바이든 정부 출범 이후 미국과 중국, 그리고 러시아와의 긴장 수위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미국은 우크라이나 인근 흑해에 군함을 배치하는 것을 검토 중이라는 소식이 전해졌네요. 또 국가 안보를 명분 삼아 중국의 슈퍼컴퓨팅 7개업체를 블랙리스트에 추가하면서 중국과의 갈등도 다시 한번 고조되고 있지만, 어제 주식시장에는 별 다른 영향을 주지 못했습니다.
(Comment)
파월의장이 다시 한번 등판 했습니다. 어제 IMF 연설에서 미국 경기는 회복하고 있지만 불안정한 측면도 있고, 고용도 더 많이 늘어날 필요가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더 나아가, 연준의 정책 정상화는 단순히 데이터가 좋아지는 것 뿐 아니라 실질적인 진전이 이루어졌을 때가 바로 그 시점이라고 하면서 조기 테이퍼링 우려를 다시 한번 완화시켜 준 것으로 판단합니다.
인플레이션과 관련해서도, 원하지 않는 인플레이션 반등에 금리 인상으로 대응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금리 인상이라는 단어 자체만으로도 시장이 놀랄 법 했으나, 이제부터 한동안 기저효과 등으로 나타나는 인플레이션 급등은 지속적일 것으로 예상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는 점이 포인트였습니다.
지난 2월 중순 이후 금리 상승세 출현으로 주식시장이 많이 흔들릴 때, 한동안 시장 참여자들은 연준의 금리 통제 능력에 대해 많은 의심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연준에 대해 의심보다는 확신을 더 가지고 있는 모습입니다. 또한 경기가 점점 더 좋아지고 있다(better)는 점도 현재의 금리 수준에 정당성을 부여하면서, 시장 스스로도 적응을 해내가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주식시장은 경제가 좋아졌다, 코로나 이전으로 돌아갔다처럼 과거 완료보다는, 경제가 좋아지고 있다, 코로나 이전으로 돌아가고 있다처럼 현재 진행형에 더 좋게 반응하는 듯 합니다.
벌써 한주가 다 지나가고 있습니다. 오늘도 건강에 유의하시고, 좋은 하루 되시길 바랍니다.
케이프 한지영
[미래에셋증권 디지털리서치팀 서상영]
한국 증시는 미 증시가 보합권 혼조 마감한 여파로 보합권 등락. 바이든 행정부의 법인세 불확실성이 여전한 가운데 인프라 투자 또한 불안한 모습을 보였다는 점에서 부담. 그러다 보니 시장은 옵션만기일과 일부 선거 후 기대 속 건설주가 강세를 보이는 등 차별화가 진행되었을 뿐 방향성이 부재한 모습.
미 증시에서는 파월 연준의장이 지난번 FOMC에서 처럼 시장에 우호적인 발언들만 할 것인지, 또는 양호한 고용을 감안 새로운 내용을 언급할지 주목해야 할 듯. 발언 내용에 따라 주식시장은 물론 채권, 외환시장의 변화가 확대될 수 있음. 한편, 신규실업수당 청구건수 결과 또한 주목. 지난주에는 68만 4천건에서 71.9만건으로 증가했으나 이번주에는 68.2만건으로 다시금 70만건 이하로 개선 될 것으로 기대. 고용시장의 안정이 지속적으로 이어진다면 시장은 인플레 압력 및 연준의 변화 가능성에 주목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
[유안타 통신/지주 최남곤로부터 전달받음]
[유안타증권 통신/지주 최남곤 T.3770-5604]
현대글로비스 블록딜 루머 관련 코멘트
- 확인 불가한 사안이기에, 가정으로 설명 드리겠습니다.
- 지분 매각 이야기가 나오는 이유는 작년 말에 개정된 공정거래법에서 일감 몰아주기 대상 기업(상장사) 경우,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 지분 제한이 30%에서 20%로 낮아지기 때문입니다. 이는 올해 말까지 준수해야 하는 내용이구요
- 예상되는 선택지는 크게 세 가지.
1)현대모비스 지주사 전환 후, 현물출자 : 이 경우가 최대 주주 입장에서 가장 유리합니다. 절세가 가능하고, 현대글로비스 주가 방어, 현대모비스 지분 확보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2)현대글로비스 지분 10%를 시장에 블록딜 형태로 매각 : 오너 입장에서 불리합니다. 차익에 대한 과세, 블록딜 실패 시 주가 하락, 현대모비스 지분 매입에는 턱 없이 부족한 현금 확보 등이 고려됩니다.
3)현대글로비스 지분 10%를 FI에 PRS 방식으로 매각 : 오너 입장에서는 과세 측면에서 여전히 불리하지만, 현대글로비스 주가 방어에 유리할 것으로 판단되어, 2)안보다는 좀 더 나은 선택지로 생각됩니다.
- 어떤 방식을 택할지는 결과를 볼 때까지는 알 수 없으나, 만약 2), 3)과 같이 지분 매각을 진행한다면, 현대차 그룹은 지주회사 전환을 하지 않겠다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올해까지가 사실 상 지주사 전환의 데드라인이라고 보면, 현대차 그룹의 지배구조 개편 시나리오는 역사속으로...
- 즉, 이 경우에는 골치 아프게 뭘 사고 뭘 팔아야 하나의 판단 기준이 오롯이 펀더멘틀로 바뀜을 의미하겠습니다. 지켜보시죠.
(동 코멘트는 당사 Compliance 결재 이후 홈페이지 게시되었습니다)
[하나금투/화학/윤재성] 말레이 장갑업체, 대만 Nantex 주가 급등 배경
▶️ 블룸버그 어제 기사에서 외국인 투자자들이 말레이시아 장갑업체를 다시 사기 시작한다는 언급이 있었습니다.
▶️ Top Glove와 Supermax가 연초부터 4/2일 현재까지 외국인 Top 3 매수 종목이라고 하네요. Net Inflow가 3.4억$라고 하니, 대략 4천억원 규모입니다.
▶️ Kenanga Investment Bank는 보고서를 통해 말레이시아 장갑업체들이 2022년 기준 PER 6~10배로 배당 수익률 6~8%를 감안하면 매우 저평가 상태라고 언급했습니다.
▶️ 이런 이유 때문인지, 오늘 말레이시아 Top 4 장갑업체는 Top Glove +9%, Supermax +16%, Hartalega +8%, Kossan Rubber +7% 급등 중입니다.
▶️ 대만 Nantex는 4/7일(어제) 기준 자체결산 수치를 발표했는데, 1분기 EPS가 컨센서스를 61% 상회한 영향으로 3연속 상한가를 기록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4/7일 기준 배당수익률은 주가 급등에도 불구하고 4% 수준입니다. 참고로, Nantex의 과거 배당성향은 꾸준히 50% 내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 말레이 장갑업체/대만 Nantex 주가 상승 모두 외국인 수급 주도 하에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 국내 투자자들이 관련 업황에 대해 걱정하는 것과는 달리, 외국인들은 중장기 시황에 대해 우호적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하나 리서치 중국 신흥국 전략 김경환]
>미 상무부, 중국 7개 슈퍼컴퓨터 기업을 거래제한 관련 블랙리스트에 포함. 군사와 외교안보 측면을 고려한 결정인 것으로 판단. •상장사는 안보이는데, 바이든 정부이후 첫 지정이라 상징성은 있습니다. 역외위안화 절하폭 확대.
>美国商务部网站8日发布公告宣称,将7个中国超级计算机实体列入所谓“实体清单”,声称其涉嫌“破坏军事现代化的稳定”。报道称,美国商务部网站公告宣称,该部工业与安全局(BIS)已将7个中国超级计算机实体列入所谓“实体清单”,“因其从事的活动有悖于美国国家安全或外交政策利益”。美商务部公告显示,涉及实体包括天津飞腾信息技术有限公司( Tianjin Phytium Information Technology)、上海集成电路技术与产业促进中心(Shanghai High-Performance Integrated Circuit Design Center)、深圳市信维微电子有限公司(Sunway Microelectronics)等。(环球网)
미국 상무부 추가 제재 리스트 발표 코멘트
(한투증권 최설화)
- 7개 제재 대상 기업 리스트:
1) Tianjin Phytium Information Technology
2) Shanghai High-Performance Integrated Circuit Design Center
3) Sunway Microelectronics
4) National Supercomputing Center Jinan
5) National Supercomputing Center Shenzhen
6) National Supercomputing Center Wuxi
7) National Supercomputing Center Zhengzhou.
- 제재 목적은 미국안보위협이고
- 이반 조치로 미국 기업이나 미국의 기술을 활용한 제품을 상기 기업에 수출 시 상무부의 승인을 별도 받아야 합니다.
- 그나마 이번 제재 리스트에는 상장사가 없어 직접적인 피해 기업은 없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메디톡스 이노톡스주 국가출하승인...보툴리눔 톡신 3품목 모두 '정상 판매 재개'
기사입력 2021.04.09. 오전 6:34
출처: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8&aid=0004897245>
'1회용 액상전자담배' 500원 인상…"추가 인상 확실시"
기사입력 2021.04.09. 오전 6:33
출처: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421&aid=0005278006>
삼성, ‘백악관 반도체 긴급대책회의’ 화상 참여할듯
김현수 기자 입력 2021-04-09 03:00
출처: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10408/106322141/1>
韓, 日후쿠시마 오염수 직접 검증한다…"IAEA에 파견 추진"
日 후쿠시마 오염수 해양방출 결정 임박
원전 오염수 해양방출 자체를 막기는 어려워
韓, 자비 부담 전문가 파견으로 직접 검증 방식 추진
IAEA 통해 투명한 정보공개 약속한 日 거절 명분 약해
등록 2021-04-08 오후 6:16:25
출처: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847446629014152&mediaCodeNo=257&OutLnkChk=Y>
SK바사 코스피200 조기편입? 오늘 결정…증권가 "가능성 높다"
기사입력 2021.04.09. 오전 6:11
상장후 15거래일간 시총 50위권 이내 등 조건
지수 편입되면 패스브 펀드 자금 유입 효과
출처: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421&aid=0005277996>
3조 vs 1조 …LG-SK 배터리 소송 막판 극적 합의 이룰까
머니투데이방송 김주영 기자 2021-04-08 17:41
출처: <https://m.mtn.co.kr/news/news_view.php?id=2021040816564173202>
에스티팜, 코로나 백신 대량생산 채비
신문A16면 1단 기사입력 2021.04.08. 오후 5:58
출처: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sec&oid=015&aid=0004527301>
긴장의 대만해협...미 구축함 나타나자 중 전투기 12대 떴다
베이징|이종섭 특파원 nomad@kyunghyang.com
———————————
하나금투 IT 김록호/김현수
———————————
4/9(금) 하나 테크 헤드라인
📺 안녕하세요. 김록호입니다.
TV 가격 인상 가능성이 언급되었습니다. 노트북, PC 등도 가격 상승에 대한 언론 보도가 수차례 있었습니다. 대부분의 세트가 원재료 가격 상승과 부품 공급 부족으로 생산에 문제가 생기고 있는 상황입니다. IT 전반적으로 물량이 제한되는 가운데 가격 상승이 불가피한 상황이고, 가격을 올릴 수 있느냐가 향후 주요 이슈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감사합니다.
<주요 뉴스>
# "TV 가격 5~10% 인상 전망"
삼성전자와 일본 소니 등이 TV 가격을 올릴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 Digitimes: Additional ABF substrate output to buoy Nan Ya, Kinsus in 2021
난야 PCB와 킨서스 모두 ABF 패키지기판 증설을 진행할 것으로 예상된다.
<기타 뉴스>
# 반도체 수급난 애플, 맥북·아이패드 생산 차질
애플도 글로벌 반도체 수급난을 피해가지 못했다.
# 테슬라 만큼 한다는 화웨이, 전기차 17일 첫선
중국 화웨이가 처음 개발한 자율주행 전기차가 베일을 벗는다.
# 삼성·LG, 미래 먹거리 로봇 확 키운다
미래 신성장 동력인 로봇산업에 삼성전자와 LG전자가 힘을 쏟을 것이란 관측이 쏟아지며 향후 로봇 산업계 재편이 이뤄질지 귀추가 주목된다.
<글로벌 업체 주가 동향>
애플 +1.92%
샤오미 -0.38%
ZTE -0.82%
레노버 -0.97%
무라타 -0.25%
타이요유덴 +0.18%
야교 +2.98%
Ibiden +1.12%
Shinko -1.36%
인텔 +1.21%
마이크론 +1.42%
TSMC +0.49%
퀄컴 +0.65%
미디어텍 +2.20%
UDC +0.88%
BOE -0.76%
AUO +0.65%
Tesla +1.91%
CATL -0.55%
Umicore -0.61%
Albemarle +1.72%
(위 내용은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득함)
★하나IT텔레그램: https://t.me/ITforYouFromHana
『하루를 여는 혁신투자자문 IPO News Letter💌 - 20210409』
【 텔레그램 채널 주소 : https://t.me/KoreaIB 】
【 IPO상장문의 및 이경준 대표 Contact ☞ 📧 ipo@kakao.com 】
===========================
★ 금일 IPO 일정 ★
없음.
☆ 다음주 IPO 일정 ☆
04/12~13 이삭엔지니어링 청약🖨
04/12~13 해성티피씨 청약🖨
04/13~14 쿠콘 수요예측⚖️
04/15 이삭엔지니어링 납입🏧
04/15 해성티피씨 납입🏧
------------------------------------------
▣ 기관IR 일정 ▣
- 소규모 간담회로만 진행 中 -
▣ 상장 일정(예정, 변경가능) ▣
04/21 이삭엔지니어링(신한금융투자)
04/21 해성티피씨(한국투자증권)
04/28 쿠콘(하나금융투자)
05/10 에스케이아이이테크놀로지(미래에셋대우)
05/12 아모센스(신한금융투자)
05/13 제주맥주(대신증권)
05/13 에이치피오(대신증권)
05/17 씨앤씨인터내셔널(NH투자증권)
미정 - 삼영에스앤씨(미래에셋대우)
▣ 심사 승인 ▣
- 진시스템(삼성증권)
- 라온테크(KB증권)
- 샘씨엔에스(대신증권)
- 에이디엠코리아(하나금융투자)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 국내 IPO 개별종목
■ '올해 IPO 최대어' 크래프톤, 상장 공식 일정 돌입(종합)
https://www.yna.co.kr/view/AKR20210408157451002?input=1195m
■ [Invest]"불복 절차 진행할 것"…상장 앞두고 소송 불안 드러낸 SK IET
http://www.investchosun.com/2021/04/08/3260270
■ IPO 앞두고 악재 겹친 LG에너지솔루션…홍성 ESS 화재 발화점 "조사중" LG 책임론 부상
http://www.lkp.news/news/articleView.html?idxno=15913
■ [시그널] IPO '재도전' 패스트파이브···200억 투자 유치로 몸 만들기
https://www.sedaily.com/NewsView/22L07FAT2D
■ 수익성 개선에 IPO 기대감 상승...바디프랜드, 올해는 상장하나
http://www.ceoscoredaily.com/news/article.html?no=80733
■ 삼성이 투자한 미코세라믹스 IPO 추진
■ 종근당도 반한 바이오오케스트라, 기술이전 찍고 코스닥 간다
■ 바이오플러스, 상장 예심 청구 '임박'…IPO 열기 타나
■ 인지소프트, 곧 상장예심 청구…하반기 코스닥 입성
■ '차량용품 커머스' 오토앤, IPO 시동 건다
■ 그래핀 전문기업 케이비엘러먼트, 기술신용평가 T2 등급 획득··· 기술 특례 상장 속도 낸다
https://www.sedaily.com/NewsView/22L07H5MP6
■ GS건설, A+진입 청신호...자회사 IPO 자금 유입 '열쇠'
■ SK바사 코스피200 조기편입? 오늘 결정…증권가 "가능성 높다"
▶️▶️▷ IPOmarket(해외IPO포함)
■ [시그널] "M&A 거래가 오히려 디스카운트" IPO 카드 꺼내는 PEF
■ 비수기에도 IPO 질주는 계속…‘뉴 대형주’ 쏟아지는 IPO시장
http://www.kpi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3139
■ 스팩 상장 90%, 첫날부터 주가 뚝뚝
■ '美 개미군단 성지' 로빈후드, IPO 앞두고 자금조달 논의
https://www.hankyung.com/international/article/202104081030i
▶️▶️▷ 시장 이모저모
■ ”땡큐, 동학개미” 거래소, 역대급 실적에 배당 곳간도 열었다
https://www.etoday.co.kr/news/view/2013124
■ 1조 몸값 '지그재그' 카카오가 인수한다
https://www.hankyung.com/it/article/2021040838491
▶️▶️▷ 시세/시황
[표]IPO장외 주요 종목 시세(4월 8일)
https://www.sedaily.com/NewsView/22L07NAD7V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시황 & 뉴스 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 4월 12일(월) 장전 봐야할 주요뉴스 (0) | 2021.04.12 |
|---|---|
| 4월 11일(일) 해외마감시황, 주요뉴스 (1) | 2021.04.11 |
| 4월 8일(목) 해외마감시황, 장전 봐야할 주요뉴스 (0) | 2021.04.08 |
| 4월 7일(수) 해외마감시황, 장전 봐야할 주요뉴스 (0) | 2021.04.07 |
| 4월 6일(화) 해외마감시황, 장전 봐야할 주요뉴스 (0) | 2021.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