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투자 스터디를 위해 개인적으로 스크랩한 시황, 뉴스 자료를 공유합니다.
1) 노션 링크는 익스플로러에선 제대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크롬에 최적화 되어있으며, 엣지, 웨일에서도 잘 작동합니다.
2) 장 시작전 올려드리는 해외마감시황~ 게시글은 저녁 10시 이전 업데이트 완료시 제목 마지막에 '업데이트중' 문구가 삭제됩니다.
3) 공유한 자료링크는 1~2일후 공유 해지 합니다.
게시물은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한 것이라
불확실하거나 오류가 많을 수 있으므로 투자 활용시 유의하시기 바라며, 개별적인 종목 추천이나 상담은 하지 않습니다.
모쪼록 제 공간에 오신 모든 분들이 주식스터디를 통해 인생 한 방보다, 꾸준함을 믿으며...
복리의 마법으로 모든 분들이 성공한 개인투자자가 되시길...





2021년 3월 11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미국 정부가 화웨이 공급업체들의 5G 수출허가를 다시 제한할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2) 국제유가가 4거래일 만에 연중 신고가를 재경신했습니다.
(3) 쿠팡이 첫 거래를 공모가대비 40.7% 상승하며 마감했습니다.
미 5년 breakeve rate 2.573%, +0.053%p (2% 상회시 유의, 2.5% 상회시 경고)
한국 고객예탁금, 60.4조원 -7.6조원
미국 백신 접종률 15.3%(+0.4%p, 집단면역 70%)
한국 백신 접종률 0.4%(+0.0%p, 집단면역 70%)
K200 미니 야간선물, 413.18 (+0.41%)
1개월 NDF 환율 1,129.95원 (-5.90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3/12 전일 목요일(11일) 국내 시황, 케이프투자증권 한지영(02-6923-7349)]
▶️코스피, 인플레 우려 완화 속 동시만기일 소화하며 6거래일만에 반등
- 코스피는 글로벌 인플레이션 우려 완화 및 시장 금리 상승세 진정, 원/달러 환율 하락 전환 등으로 매크로 환경이 개선된 가운데, 선물옵션 동시 만기일도 외국인의 1.7조원대 순매수로 소화해낸 영향에 힘입어 1.8%대 강세를 보이면서 6거래일 만에 반등
- 코스닥은 국내외 금리 하락에 따른 안도감 형성으로 최근 큰 폭의 조정을 받았던 제약, 바이오, 2차 전지 등 금리에 따른 밸류에이션 민감주들이 일제히 반등에 나섬에 따라 2.0%대 상승 마감
▶️시장지표
- 코스피: 3,013.70(+55.58, +1.88%)
- 코스닥: 908.01(+17.94, +2.02%)
- 원/달러: 1,126.10원(+1.00원)
- 국채 3년물: 1.179%(-0.3bp)
- 국채 10년물: 2.027%(-0.9bp)
▶️업종
- 강세: 기계(+3.39%), 화학(+3.29%), 비금속(+3.15%) 등
- 약세: 보험(-0.90%), 섬유의복(-0.66%), 전기가스업(-0.34%) 등
▶️수급(외국인/기관/개인)
- 코스피: +17,069억원/-5,917억원/-11,110억원
- 코스닥: -2,122억원/-336억원/-1,586억원
▶️특징종목
- 한화에어로스페이스(+11.34%)는 동사의 미국법인이 세계적 항공엔진 제조사인 P&W의 최고 파트너로 선정됨에 따라 수주 확대 기대감이 부각되며 급등
- 삼성SDI(+8.02%)는 작년 유럽향 매출액이 급증한 가운데, 차세대 원통형 배터리 연구개발을 위한 중국 텐진공장 증설 소식에 강세
- 아이진(+25.20%)은 개발 중인 코로나19 백신의 비임상 효능평가에서 모더나 백신과 유사한 수준의 중화항체 형성이 확인됨에 따라 급등
해당 내용은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필하였습니다.
[3/12 전일 목요일(11일) 글로벌 시황, 케이프투자증권 한지영(02-6923-7349)]
▶️미국 3대 증시, 금리 레벨 적응구간 진입하며 강세
- 다우: +0.6%, S&P500: +1.0%, 나스닥: +2.5%
- 미국 3대 증시는 ECB의 채권매입 속도 확대, 양호했던 미 30년물 입찰 결과, 바이든의 1.9조달러 부양책 서명 등 대내외 호재성 재료가 출현한 가운데, 금리 급등세 진정에 따른 시장참여자들의 금리 레벨 적응 구간 진입하며 상승 마감
- ECB는기준금리 및 코로나 판데믹 긴급 매입 프로그램(1조 8,500억유로)을 동결했으나, 금리 급등으로 불안해진 금융시장 여건 개선을 위해 2분기부터 매입속도를 확대하기로 결정. 또한 필요 시 채권매입규모의 총량이 재보정될 수 있다고 밝히는 등 최근 금리 급등세에 대해 사태 진화에 나서고 있는 모습
- 또한 2021년 경제성장률(3.9%→4.0%)과 인플레이션(1.0%→1.5%) 전망치를 모두 상향. 2022년 경제성장률(4.2%→4.1%) 전망치는 하향, 인플레이션(1.1%→1.2%) 전망치는 상향
- 바이든은 최근 하원에서 통과된 1.9조달러 부양책 서명을 하루 일정을 앞당겨서 진행했으며, 금주 주말부터 인당 1,400달러 현금 지급 등이 포함된 부양패키지가 실물경제에 투입될 예정
- 미국 30년물 응찰률은 2.28배, 발행금리는 2.295%에 확정되는 등 예상보다 양호했던 입찰 결과를 보인 가운데, 시장참여자들도 10년물 기준으로 1.4~1.5% 레벨에 대해서 적응해나가고 있는 양상
▶️시장지표
-DOW : 32,485.59 pt (188.57 pt, 0.58%)
-NASDAQ : 13,398.67 pt (329.84 pt, 2.52%)
-S&P500 : 3,939.34 pt (40.53 pt, 1.04%)
-Vix Index : 21.91 pt (-0.65 pt, -2.88%)
-KRW/US$_1NDF_Point : 1,129.0 원/$ (-2.46 원/$, -0.22%)
-Dollar Index : 91.408 pt (-0.4 pt, -0.45%)
-US 10Yr Bond : 1.5422 % (2.4 bp)
-WTI : 66.07 $/bbl (1.63 $/bbl, 2.53%)
-MSCI South Korea : 88.75 pt (2.58 pt, 2.99%)
▶️업종
- 강세: 기술(+2.12%), 커뮤니케이션(+1.77%), 경기소비재(+1.56%) 등
- 약세: 금융(-0.28%), 유틸리티(-0.26%), 필수소비재(-0.18) 등
▶️특징종목
- 로블록스(+6.33%)는 아크인베스트먼트가 Next Generation Internet ETF 편입을 목적으로 동사 주식 50만주를 매입했다는 소식에 강세
- 쿠팡(+40.71%)은 첫 상장 이후 기자 간담회에서, 한국과 인구밀도가 다른 미국에서도 당사의 기술력을 앞세워 새벽 배송이 가능하다는 자신감을 표명함에 따라 강세
- 카누(+13.89%)는 오는 23년까지 기존과 다른 전기차 픽업트럭 출시를 예고함에 따라, 테슬라의 사이버트럭을 능가할 혁신적인 전기차 개발이 기대되며 강세
해당 내용은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필하였습니다.
------
* 텔레그램 채널 링크
------
[키움증권] 한미 주요 ETF 동향
투자전략팀 서상영(02-3787-5241)
ㅇ 국내
대형주 +1.94%
중소형주 +1.88%
가치주 +1.34%
성장주 +2.55%
배당주 +1.02%
대형성장 +2.69%
중소형성장 +2.01%
대형가치 +1.29%
중소형가치 +1.75%
*미 주요 업종 ETF
원유시추업체 ETF(XOP) +1.92%
에너지섹터 ETF(OIH) -1.62%
소매업체 ETF(XRT) +0.99%
금융섹터 ETF(XLF) -0.29%
기술섹터 ETF(XLK) +2.14%
소셜 미디어업체 ETF(SOCL) +4.84%
인터넷업체 ETF(FDN) +3.76%
리츠업체 ETF(XLRE) +1.48%
주택건설업체 ETF(XHB) +0.41%
바이오섹터 ETF(IBB) +2.82%
헬스케어 ETF(XLV) +0.61%
곡물 ETF(DBA) +0.70%
반도체 ETF(SMH) +4.20%
*미 주요 스타일별 ETF
대형 가치주 ETF(IVE) +0.05%
중형 가치주 ETF(IWS) +0.96%
소형 가치주 ETF(IWN) +1.20%
대형 성장주 ETF(VUG) +2.25%
중형 성장주 ETF(IWP) +2.78%
소형 성장주 ETF(IWO) +3.25%
배당주 ETF(DVY) -0.21%
신흥국 고배당 ETF(DEM) +1.86%
신흥국 저변동성 ETF(EEMV) +1.70%
미국 국채 ETF(IEF) -0.03%
하이일드 ETF(JNK) +0.35%
물가연동채 ETF(TIP) +0.09%
Long/short ETF(BTAL) +0.06%
*동 자료는 2021년 3월 12일 키움증권 홈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를 요약한 것입니다.
[키움증권] 해외 금융시장
투자전략/시황 서상영(02-3787-5241)
◆ 미국 증시
- DOW: 32485.59p (+188.57p, +0.58%)
- S&P500: 3939.34p (+40.53p, +1.04%)
- NASDAQ: 13398.67p (+329.84p, +2.52%)
◆ 한국 관련
- MSCI 한국지수 ETF: 88.75p (+2.58p, +2.99%)
- MSCI 이머징지수 ETF: 54.97p (+1.68p, +3.15%)
- NDF 환율(1개월물): 1,129.89원 / 전일 대비 7원 하락 출발 예상
◆ 외환시장
- 달러인덱스: 91.389 (-0.434, -0.47%)
- 유로/달러: 1.1986 (+0.0057, +0.48%)
- 달러/엔: 108.48 (+0.1, +0.09%)
- 파운드/달러: 1.399 (+0.0058, +0.42%)
◆ 미국 국채시장
- 2년물: 0.1409% (-1.2bp)
- 5년물: 0.7811% (-0.8bp)
- 10년물: 1.5266% (+0.9bp)
- 30년물: 2.2837% (+4.6bp)
(국채선물)
- 2YR T-Notes: 110*13 (+0*01 1/4, +0.04%)
- 5YR T-Notes: 124*00 1/4 (+0*02 1/4, +0.06%)
- 10YR T-Notes: 132*19 1/2 (+0*02 1/2, +0.06%)
- US T-Bonds: 157*29 (-0*08 , -0.16%)
- Ultra US T-Bonds: 186*16 (-1*10 , -0.7%)
◆ 상품시장 ($, 단 곡물, 구리는 센트)
- WTI: 66.02 (+1.58, +2.45%)
- 브렌트유: 69.63 (+1.73, +2.55%)
- 금: 1722.6 (+0.8, +0.05%)
- 은: 26.193 (+0.063, +0.24%)
- 아연(LME, 3M): 2823 (+59, +2.13%)
- 구리: 413.9 (+10.65, +2.64%)
- 옥수수: 538.5 (+4.5, +0.84%)
- 밀: 642.5 (-10, -1.53%)
- 대두: 1413.5 (+3.75, +0.27%)
- BDI: 1980 (+79, +4.16%)
*동 자료는 2021년 3월 12일 키움증권 홈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를 요약한 것입니다.
[키움증권] 미 증시 동향
투자전략팀 서상영(02-3787-5241)
미 증시 변화 요인: ECB 통화정책회의, 미국 추가 부양책 효과
미 증시는 추가 부양책 통과에 따른 주식시장으로의 유동성 공급 기대에 힘입어 상승. 특히 금리가 부양책 통과와 국채입찰에서 수요 부진에도 불구하고 안정을 보이자 기술주 중심의 강세가 뚜렷한 모습. 더불어 ECB 통화정책 회의에서 라가르드 총재가 금리 상승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며 채권 매입 속도를 조절하겠다고 언급한 점도 금리 안정에 영향을 주며 나스닥 상승을 이끔(다우 +0.58%, 나스닥 +2.52%, S&P500 +1.04%, 러셀2000 +2.31%)
미 의회가 1.9조 달러 규모의 추가 부양책 관련 입법을 마무리 하고 바이든 대통령도 이날 서명하자 주식시장은 상승. 시장은 공화당과 합의를 통해 1조달러~1.2조 달러 규모를 예상했으나 금액이 커진 만큼 유동성 유입에 우호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 이번 부양책으로 당장 추가 실업급여 집행은 이어지고 약 10만달러 연봉 이하 국민들(미국 가정 약 90%)은 빠르면 이번 주부터 3월 말까지1,400달러의 자금을 받게 됨. 이 조치만으로도 이달 말에 약 1,250억 달러 규모의 신규 자금이 주식시장에 유입 될 수 있음. 이는 미국 개인투자자들의 관심이 큰 테마주는 물론 대형 기술주 등 성장주에 대한 수급 개선 효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관련 업종 강세가 지속
ECB 통화정책회의 또한 주식시장에 긍정적. ECB는 금리를 동결하고 올해 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1.5%로 지난 12월보다 0.5%p 대폭 상향 조정. 이런 가운데 라가르드 ECB 총재는 최근 국채 금리의 상승이 경기 회복에 부담을 주고 있다며 우려를 표명. 특히 금리 상승 추세가 이어지면 자금 조달 여건과 관련해 리스크가 발생될 수 있고 이를 완화시키기 위해 채권 매입 속도를 내겠다고 발표. 결국 인플레 압력이 높아진 가운데 금리 상승세가 이어지자 ECB는 행동에 나섰다고 볼 수 있음. 물론 구체적인 매입 속도가 어느 정도인지 알 수는 없으나 금리 상승을 제어 했다는 점에서 시장 참여자들은 FOMC를 앞두고 연준 또한 이러한 정책을 시사할 것이라는 기대. 이는 최근 조정을 보였던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상승을 이끈 요인 중 하나
*동 자료는 2021년 3월 12일 키움증권 홈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를 요약한 것입니다.
[키움증권] 한국 증시 전망
투자전략팀 서상영(02-3787-5241)
위험자산 선호심리 확산 Vs. 신흥국 자금 이탈 우려
MSCI 한국 지수 ETF는 2.99% MSCI 신흥 지수 ETF는 3.15% 상승. NDF 달러/원 환율 1개월물은 1,129.89원으로 이를 반영하면 달러/원 환율은 7원 하락 출발 예상
전일 한국 증시는 선물옵션 만기일 외국인의 현/선물 순매수로 강한 상승. 특히 중국 증시가 미국 부양책 통과로 본격적인 경제 정상화 이슈가 유입되며 인프라, 소비재 관련 업종이 강세를 보이는 등 증시 주변 영향도 긍정적.
이런 가운데 ECB가 채권 매입 속도 확대를 발표하자 금리가 안정을 보였고, 이에 힘입어 미 증시에서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가 4.09% 강세를 보이는 등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이 급등한 점은 한국 증시에 긍정적 요인.
더불어 달러화가 약세를 보였고 국제유가가 상승하는 등 경제 정상화 관련 위험자산 선호심리가 높아진 점도 우호적. 여기에 쿠팡의 모회사인 쿠팡 INC가 미국에 상장 후 40.71% 급등해 시가 총액으로 약 844.7억 달러(96조원)을 기록한 점을 감안 관련 기업들의 강세 또한 지수에 우호적.
다만, 인플레이션 압력이 확산 되고 있고 미 증시로의 자금 유입 등은 신흥국에서 미국으로의 자금 이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점은 부담. 그렇기 때문에 다음 주 미국과 중국의 실물경제지표 및 FOMC 등을 앞두고 방향성을 두고 지속적인 강세를 보이기 보다는 여전히 업종별 차별화 속 변화폭이 큰 시장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
*동 자료는 2021년 3월 12일 키움증권 홈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를 요약한 것입니다.
03/12 나스닥, 금리 안정과 유동성 유입 기대로 상승
키움증권 투자전략팀 서상영(02-3787-5241)
미 증시 변화 요인: ECB 통화정책회의, 미국 추가 부양책 효과
미 증시는 추가 부양책 통과에 따른 주식시장으로의 유동성 공급 기대에 힘입어 상승. 특히 금리가 부양책 통과와 국채입찰에서 수요 부진에도 불구하고 안정을 보이자 기술주 중심의 강세가 뚜렷한 모습. 더불어 ECB 통화정책 회의에서 라가르드 총재가 금리 상승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며 채권 매입 속도를 조절하겠다고 언급한 점도 금리 안정에 영향을 주며 나스닥 상승을 이끔(다우 +0.58%, 나스닥 +2.52%, S&P500 +1.04%, 러셀2000 +2.31%)
https://www.kiwoom.co.kr/nkw.templateFrameSet.do?m=m0601020101&s_menu=SD&s_sqno=7741
[03/12 팟빵] 키움증권 주식, 글로벌 시황 투자전략
[서상영의 아침시황] 나스닥, 금리 안정과 유동성 유입 기대로 상승
3월 12일 우리시장은?
http://www.podbbang.com/ch/7226?e=23986709
[미중 반도체 산업 기술과 무역 제한 TF팀 설립](한투증권 최설화)
중국 언론에 따르면 미중 반도체 협회에서 여러번의 협상을 거쳐, 오늘 <미중 반도체 산업 기술과 무역 제한 TF팀>을 설립했습니다.
각 나라에서 10개 기업의 대표자로 구성된 이 업무팀은, 양국 반도체 산업에 관한 소통의 체제로 수출제한, 공급망 안전, 보안 등 기술과 무역 규제에 관한 정책 교류를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해당 팀은 1년에 2번 정기 회의를 진행할 예정인데, 올해는 코로나로 온라인으로 우선 진행하고 향후 대면이 가능해지면 대면으로 하겠다는 입장입니다.
Implication: 너무 오랫 만에 미중이 대화를 하는 창구가 열렸네요. 오바마 시대 때 양국이 정기적으로 전략회의를 했다가, 트럼프 시대에 완전 중단이 되었는데 말이죠. 이런 방식으로 소통을 시작한다는 점은 긍정적입니다.
조만간 알레스카에서 양국 대면 대화 소식도 전해지던데...조용했던 양국 관계의 난기류가 주식시장에 호재로 작용하기 기대합니다.
금일 중국 반도체 파운드리 기업인 SMIC와 화홍반도체는 해당 소식에 힘입어 오전장 각각 7%, 9% 올랐습니다.
(위) SMIC와 화홍반도체 주가
해외 언론에서는 관련 기사가 아직 없는 것으로 확인되어서, 관련 중국 기사 링크 우선 드립니다.
양국 반도체협회에서 추진하는 것이기에, 국가적 차원이라고 보긴 어렵지만, 민감한 영역에서 간만에 이런 변화가 나타난 것 자체가 의미는 있어 보입니다.
【中美半导体行业协会宣布成立中美半导体产业技术和贸易限制工作组】https://mq.mbd.baidu.com/r/j5FPDuvG4o?f=cp&rs=3681298979&ruk=fuhulyEcjm5eZ9ZycivXaA&u=7d96d3eb365f9dca
LG에너지솔루션, 원통형 배터리 증설·품질 개선 나선다
20GWh에서 35~40GWh 확대…출력·용량·가격도 획기적 개선
전기차·LEV 시장 급성장 영향…"애물단지가 효자될 줄 몰랐다"
(서울=뉴스1) 문창석 기자 | 2021-03-12 06:00
12일 업계에 따르면 LG에너지솔루션은 국내 오창공장과 중국 남경공장의 원통형 배터리 생산 능력을 기존의 연간 20기가와트(GWh)에서 올해 연말까지 35~40GWh까지 확대할 예정이다.
출처: <https://www.news1.kr/articles/?4238474>
<< 나인테크(오창), 신성델타테크(오창), 나라엠앤디(중국 남경) >>
리커창 中총리, 미국에 화해 손길.."다양한 분야 대화 희망"
심재훈 입력 2021. 03. 11. 19:16
"미중 갈등 불가피..내정 간섭은 안돼"
출처: <https://news.v.daum.net/v/20210311191618475>
'ESG 기준' 11년 만에 바뀐다
입력2021.03.11 17:33 수정2021.03.12 00:28
한국기업지배구조원 개정 추진
녹색채권·인권영향평가 등 도입

앞으로 국내 상장회사들은 기후변화에 직면해 자산가치가 급격히 낮아지는 설비 등을 ‘좌초자산’으로 미리 분류해야 한다. 금융회사들은 기후변화 대응에 소극적인 기업과 분야에 대한 투자를 대폭 축소해야 한다.
출처: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1031139771>
'반도체 품귀'에 뒤에서 웃는 알짜기업…"90% 독점 공급"
신문A14면 1단 기사입력 2021.03.11. 오후 5:29
휴켐스, 질산 90% 공급 화학사
반도체 세정제·폭약 필수소재
여수공장 증설해 생산능력 키워
영업이익률 20% 달하는 알짜
국내 수요에 의존하는 건 '한계'
탄소배출권, 실적 견인 또다른 축
160만t 보유…단일기업 최대
출처: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sec&oid=015&aid=0004511781>
[하나IT 김경민, 김록호, 김현수]
삼성전자와 비슷한 시기인 2/15에 오스틴 팹을 셧다운했던 차량용 반도체 공급사 NXP가 초기 가동 재개했다고 발표했습니다. (NXP Semiconductors N.V. today announced it has resumed initial operations at its manufacturing facilities in Austin.)
이미 투입됐던 웨이퍼 중에서 재공재고에 대한 실사가 이뤄지고 있습니다. (Personnel are currently evaluating the wafer-level work in process (WIP) to ensure appropriate product quality.)
생산 차질은 대략 1개월입니다. (Due to damage from the storm, subsequent loss of utilities and the ongoing restarting of production, approximately one month of wafer production has been lost to date from NXP’s two Austin-based wafer manufacturing facilities.)
이번 발표문은 반도체 업종의 P, Q 중에서 Q 측면에서 일부 긍정적입니다. NXP 주가는 전일 대비 +4.47%로 마감했습니다. 감사합니다. (하나금투 반도체 김경민, 김주연 드림)
———————————
하나금투 IT 김록호/김현수
———————————
3/12(금) 하나 테크 헤드라인
📱 안녕하세요. 김록호입니다.
대만 패키지기판 업체 Unimicron이 증설을 준비중입니다. 관련해서 수차례 언급드렸지만, 고사양은 물론 패키지기판 전반적으로 공급이 부족해 증설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Unimicron은 화재도 있었기 때문에 증설이 더욱 필요합니다.
한국 Ceramic Capacitor와 카메라모듈의 10일까지 잠정치 기반 월환산 수출액은 전년동월대비 21%, 44% 증가 추정됩니다. 아이폰12 미니 주문 감소에도 불구하고 카메라모듈 수출액이 양호합니다. 고사양 카메라를 주로 담당하고 있어 미니와 관련도가 낮기 때문일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주요 뉴스>
# Digitimes: Unimicron to lease land for IC substrate capacity expansion
대만 패키지기판 업체인 유니마이크론이 추후 Capa 증설을 위해 대만 북부지역의 땅을 임대한 것으로 전해진다.
<기타 뉴스>
# 중국 제4이통 CBN, 700MHz 대역 5G로 돌풍 예고
중국 제4 이동통신 사업자 CBN이 700㎒ 대역 5세대(5G) 이동통신 국제 표준화와 기술 진화에 성공, 돌풍을 예고하고 있다.
# 애플, 아이폰12 인도서도 생산…"中 의존도 줄인다"
애플이 최신 스마트폰 기종인 아이폰12를 중국뿐만 아니라 인도에서 생산할 계획이다.
# LG엔솔, 원통형 배터리 투자 속도낸다
LG에너지솔루션이 기존 주력 제품이던 파우치형에 이어 원통형 배터리 투자 속도를 높인다.
# 폴더블폰 경쟁 '점화'…'LGD+애플' 폴더블폰 2023년 출시
접는(Foldable, 폴더블) 디스플레이 시장이 확대될 전망이다.
<글로벌 업체 주가 동향>
애플 +1.65%
샤오미 +0.23%
ZTE +2.08%
레노버 +3.71%
무라타 -3.09%
타이요유덴 0.00%
야교 +5.81%
Ibiden +1.22%
Shinko +1.04%
인텔 +1.70%
마이크론 +4.57%
TSMC +2.01%
퀄컴 +3.03%
미디어텍 +2.78%
UDC +4.54%
BOE -1.18%
AUO +0.27%
Tesla +4.72%
CATL +5.34%
Umicore -1.07%
Albemarle +6.16%
(위 내용은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득함)
★하나IT텔레그램: https://t.me/ITforYouFromHana
[2021.03.11 (목) 필라델피아 반도체] 하나금투 반도체 김경민, 김주연
전일 대비 +4.09%, 2,997선 마감
상승주 30, 하락주 0
미국 10년물 채권 금리 안정화, 바이든의 1조 9천억 달러 규모의 부양책 서명, ECB의 기준금리 동결 및 채권 매입 속도 가속화로 인플레이션 우려가 완화되면서 뉴욕 증시는 기술주 중심으로 상승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장 초반에 등락 반복, 이후 미중 반도체 협회의 대화에 대한 기대감으로 상승하며 전일 대비 117,82p 상승한 2,997p선에서 마감. 미중 무역분쟁 당시 화웨이 피해주로 분류되었던 종목 위주로 크게 반등. CREE +8.13%, 자일링스 +6.19%
텍사스 오스틴 Fab 일부 재개 소식에 힘입어 NXP +4.47% 상승
퀄컴은 반도체지수 상승폭 대비 낮은 수준인 +3.03% 상승. 5nm 부족으로 스냅드래곤 888 공급 부족하다는 뉴스가 Reuters에 보도
TSMC ADR +5.93% 상승. 가상화폐 채굴용 반도체를 설계하는 Canaan (Ticker: CAN US)이 전일 대비 +30.09% 상승. 가상화폐 채굴용 반도체 설계사들은 TSMC나 삼성전자의 파운드리 선단 공정 이용중
메모리 반도체 혼조. 마이크론 +4.57%, WDC +3.17%, 실리콘모션 -2.09%. 실리콘모션은 NAND 컨트롤러 공급사로 최근 조정장에서 상대적으로 선방. 어제의 하락을 감안하더라도 연초 대비 +30.46% 상승
감사합니다.
[메리츠증권 전기전자/2차전지 주민우]
★ 2차전지 주요 뉴스 (2021.3.12)
LG에너지솔루션, 2025년까지 미국에 독자적으로 45억달러(약 5조원) 이상 투자해 최소 2개 이상의 미국 공장 건설로 70GWh 이상의 배터리 생산능력을 추가 확보할 계획. 투자가 이뤄지면 LG에너지솔루션 독자적인 생산능력은 기존 미시간 공장(5GWh)과 함께 총 75GWh이 될 예정 (Reuters)
SK이노베이션과 LG에너지솔루션, 지난 5일 한 차례 합의를 타진했으나 이견만 재확인. SK이노베이션은 10일 이사회를 열어 “SK이노베이션이 미국 배터리 사업을 지속할 의미가 없어지거나 사업 경쟁력을 현격히 낮추는 수준의 요구 조건은 수용 불가능하다”고 보고. 양측의 대립으로 합의를 통한 문제 해결이 장기화될 전망 (서울경제)
GM, 리튬 메탈 배터리 회사인 SolidEnergy Systems와의 새로운 합작 투자 및 차세대 리튬 메탈 배터리 셀 프로토 타입 공개. GM은 새로운 배터리 셀이 기존 비용의 60%로 현재 배터리의 두 배 이상의 에너지 밀도를 제공할 것이라고 언급 (Electrek)
에스엠랩, 고객사로부터 2차전지 단결정 소재 양산 생산을 위한 품질 검증. ‘단결정 Ni80(니켈 함량 80% 이상)’이상 소재의 양산 검증 첫 사례. 올해 설비 계획은 월 600톤의 단결정 양극재를 양산으로 상장 후 추가 증설도 고려 (이투데이)
Fisker, Foxconn과의 협업으로 세금 인센티브 없이 $30,000 미만의 저가 EV 개발 중. 미국 연방 세금 인센티브가 포함될 시 $22,500미만이 될 예정. 이는 Tesla가 곧 출시한다고 발표한 25,000달러 전기차 모델과 유사 (InsideEVs)
국내 배터리 3사, 유럽 전기차(EV) 배터리 공장 증설 진행 중. LG에너지솔루션은 폴란드 3공장용 장비 발주 진행 중. 3공장 포함 연산 100GWh 달성 목표. SK이노베이션은 헝가리 이반차에 10GWh 규모의 3공장 건설 계획. 삼성SDI는 헝가리 괴드 2공장 증설 작업 진행 중. 2공장은 1공장의 두 배 이상 규모로 신소재, 신공법이 적용된 5세대(Gen5) 배터리가 생산될 예정 (디일렉)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하루를 여는 혁신투자자문 IPO News Letter💌 - 20210312』
【 텔레그램 채널 주소 : https://t.me/KoreaIB 】
【 IPO상장문의 및 이경준 대표 Contact ☞ 📧 ipo@kakao.com 】
===========================
《📌Today's Topic》
IPO '균등 배정'의 함정…'복수청약 금지·추첨제'로 혼란 가중될 듯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136454
☞ 부지런히 차명계좌를 만들어야 돈 버는 IPO제도.
===========================
★ 금일 IPO 일정 ★
03/11~12 라이프시맨틱스 청약🖨
03/12 에스케이바이오사이언스 납입🏧
☆ 다음주 IPO 일정 ☆
03/15~16 제노코 청약🖨
03/15~16 자이언트스텝 청약🖨
03/16 네오이뮨텍 상장★
03/16 라이프시맨틱스 납입🏧
03/16~17 엔시스 수요예측⚖️
03/17 바이오다인 상장★
03/17~18 해성티피씨 수요예측⚖️
03/18 에스케이바이오사이언스 상장★
03/18 제노코 납입🏧
03/18 해성티피씨 납입🏧
------------------------------------------
▣ 기관IR 일정 ▣
- 소규모 간담회로만 진행 中 -
▣ 상장 일정(예정, 변경가능) ▣
03/16 네오이뮨텍(하나금융투자/미래에셋대우)
03/17 바이오다인(대신증권)
03/18 에스케이바이오사이언스(NH투자증권)
03/23 라이프시맨틱스(한국투자증권)
03/24 제노코(DB금융투자)
03/24 자이언트스텝(한국투자증권)
04/01 엔시스(미래에셋대우)
04/09 아모센스(신한금융투자)
미정 - 해성티피씨(한국투자증권)
▣ 심사 승인 ▣
- 이삭엔지니어링(신한금융투자)
- 쿠콘(하나금융투자)
- 삼영에스앤씨(미래에셋대우)
- 제주맥주(대신증권)
- 에이치피오(대신증권)
- 씨앤씨인터내셔널(NH투자증권)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 국내 IPO 개별종목
■ [IPO] 제노코, 이달 상장..."국내 항공우주산업 경쟁력에 이바지"
https://www.asiatime.co.kr/article/20210311500181
■ SK바이오사이언스 따상 기대…SK바이오팜 넘어설까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034006628982336&mediaCodeNo=257&OutLnkChk=Y
■ 상장심사기한 넘긴 '또다른 대어' SK IET…거래소 "추가 검토중"
https://www.news1.kr/articles/?4237678
■ 차백신연구소, 코스닥 기술특례 상장 기술성 평가 통과…연내 상장 추진
http://www.mdtoday.co.kr/mdtoday/index.html?no=415884
■ IPO앞둔 카카오페이, 거침없는 ‘성장 드라이브
http://www.mediasr.co.kr/news/articleView.html?idxno=67104
■ 내년 말 IPO 목표 에스엠랩…단결정 양극소재 양산 품질 검증
https://www.etoday.co.kr/news/view/2003352
▶️▶️▷ IPOmarket(해외IPO포함)
■ WSJ "쿠팡 공모가 35달러로 책정…기업가치 72조원"
https://www.yna.co.kr/view/AKR20210311056500072?input=1195m
■ 코인베이스·스트라이프…美증시 IPO 유망주자 '관심'
https://www.mk.co.kr/news/stock/view/2021/03/235418/
▶️▶️▷ 시장 이모저모
■ 금투협, 사모펀드팀 '부'로 격상…운용업계 ‘반색’
▶️▶️▷ 시세/시황
[표]IPO장외 주요 종목 시세(3월 11일)
https://www.sedaily.com/NewsView/22JRNDA66I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시황종합] '미국발 훈풍' 코스피 1% 넘게 올라 3054로 마감
코스닥 1.93% 오른 925.49…달러/원 환율 2.1원 내린 1133.8원
출처: <https://www.news1.kr/articles/?4239356>
[시황종합] '미국발 훈풍' 코스피 1% 넘게 올라 3054로 마감
사실 앞에 겸손한 민영 종합 뉴스통신사 뉴스1
www.news1.kr









'시황 & 뉴스 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 3월 16일(화) 해외마감시황, 장전 봐야할 주요뉴스 : 마감시황 (0) | 2021.03.16 |
|---|---|
| 3월 15일(월) 해외마감시황, 장전 봐야할 주요뉴스 : 마감시황 (0) | 2021.03.15 |
| 3월 11일(목) 해외마감시황, 장전 봐야할 주요뉴스 : 마감시황 (0) | 2021.03.11 |
| 3월 10일(수) 해외마감시황, 장전 봐야할 주요뉴스, 관심레포트 : 마감시황 (1) | 2021.03.10 |
| 3월 9일(화) 해외마감시황, 장전 봐야할 주요뉴스, 관심레포트 : 마감시황 (0) | 2021.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