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투자 스터디를 위해 개인적으로 스크랩한 시황, 뉴스 자료를 공유합니다.
1) 노션 링크는 익스플로러에선 제대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크롬에 최적화 되어있으며, 엣지, 웨일에서도 잘 작동합니다.
2) 공유한 자료링크는 1~2일후 공유 해지 합니다.
게시물은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한 것이라
불확실하거나 오류가 많을 수 있으므로 투자 활용시 유의하시기 바라며, 개별적인 종목 추천이나 상담은 하지 않습니다.
모쪼록 제 공간에 오신 모든 분들이 주식스터디를 통해 인생 한 방보다, 꾸준함을 믿으며...
복리의 마법으로 모든 분들이 성공한 개인투자자가 되시길...
2021년 6월 17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FOMC에서 점도표가 2023년 두차례 인상으로 바뀌었습니다.
(2) 달러가 오르면서 원달러 환율도 역외에서 16원 올랐습니다.
(3) 중국이 구리 등 주요금속의 국가비축분을 곧 방출할 예정입니다.
미 5년 breakeven rate 2.398%, -0.089%p (2% 상회시 유의, 2.5% 상회시 경고)
한국 고객예탁금, 67.4조원 +0.6조원
한국 백신 접종률 11.7%(0.0%p, 집단면역 70%)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46%
1개월 NDF 환율 1,133.38원 (+16.33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6/17 미국 증시 리뷰 및 평가, 키움 전략/시황 한지영]
1. 미국 증시 리뷰
16일(수) 미국 증시는 장 중반까지 6월 FOMC 경계심리로 약세흐름을 보인 가운데, 6월 FOMC에서 조기 금리인상을 시사함에 따라 10년물 금리 상승, 달러화 강세 출현 등으로 하락 압력이 심화.
다만, 이후 파월 의장의 기자 회견 발언을 소화하며 성장주를 중심으로 반등에 나서면서 낙폭을 만회하며 마감(다우 -0.8%, S&P500 -0.5%, 나스닥 -0.2%).
업종별로는 경기소비재(+0.2%)를 제외한 유틸리티(-1.5%), 필수소비재(-1.2%), 소재(-1.2%) 등 전업종이 약세.
6월 FOMC에서 연준은 기준금리 및 자산매입 프로그램 규모를 동결. 초과지준금리(IOER, 0.10%→0.15%), 역레포금리(0.0%→0.05%)는 인상.
2021년 경제성장률(6.5%→7.0%), PCE 인플레이션(2.4%→3.4%), Core PCE 인플레이션(2.2%→3.0%)은 상향.
점도표상 금리 중간 값은 2021년과 2022년에 0.1%로 제시했으나, 2023년 중간값을 0.6%로 제시하면서 2023년에 2차례 금리인상에 나설 것임을 시사(2023년 금리 인상 예상한 위원 수는 지난 3월 7명에서 13명으로 증가).
2. 미국 증시 평가
6월 매파적이었던 FOMC 결과 발표 이후 주식시장 약세, 금리 상승, 달러 강세 등이 동반 출현한 것은 파월 의장의 기자 회견에 있음.
파월의장은 높은 인플레이션이 연준의 예상보다 오래 지속될 수 있지만 올해가 지나면 해소될 것이라고 전망한 점은 연준이 일시적인 인플레이션 쪽으로 여전히 무게를 두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음.
향후 테이퍼링을 단행하더라도 시장에 정책 변화를 미리 제공할 것이며, 테이퍼링 시점도 일정보다는 진전 속도에 달려있다고 강조했다는 점은 연준의 정책 변화는 데이터 의존적으로 진행될 것임을 시사.
점도표상으로도 예상보다 이른 시점인 2023년 금리 인상으로 예고했으나, 향후 실제 금리에 대한 예측치가 아니라고 언급. 이는 시장참여자들로 하여금 점도표에 대한 지나친 의존을 경계하라는 신호로 해석할 수 있음.
따라서 이 같은 파월 의장의 발언은 6월 FOMC가 예상했던 수준의 매파적인 결과로 받아들이게 만들면서 16일 미국 증시가 장 후반에 반등의 동력을 제공했던 것으로 판단.
[6/17 한국 증시 리뷰 및 전망, 키움 전략/시황 한지영]
1. 한국 증시 리뷰
16일(수) 코스피는 장 마감 후 발표 예정인 6월 FOMC 결과를 둘러싼 관망심리가 상존했음에도, 경제 정상화 기대감 지속, 인플레이션 불안감 선반영 인식 속 외국인의 현선물 시장 동반 순매수세에 힘입어 최근 주가가 상대적으로 부진했던 금융, 시클리컬 업종 위주로 강세를 보임에 따라, 사상최고치(3,278.68pt)를 재차 경신(코스피 +0.6%, 코스닥 +0.1%).
업종별로는 은행(+2.3%), 운수창고(+2.0%), 의료정밀(+1.6%) 등이 강세, 섬유의복(-2.1%), 의약품(-0.8%), 통신(-0.8%) 등이 약세.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2,866억원, 327억원 순매수한 반면, 개인이 3,259억원 순매도를 기록.
2. 한국 증시 전망
한국 증시는 달러 강세, 시장금리 상승 등 6월 FOMC 이후 나타난 외환 및 채권 시장 변화에 영향을 받아 약세 압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
전거래일 미국 증시가 파월 의장의 발언을 긍정적으로 해석하면서 장 후반 낙폭을 만회하긴 했으나, 금리, 달러 등 매크로 환경 변화에 한국 증시가 상대적으로 더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
또한 금일 원/달러 환율 급등세가 예상된다는 점을 감안 시 외국인 수급 여건도 우호적이지 않을 것으로 전망.
다만 매파적이었던 6월 FOMC가 예상했던 수준이었다는 점, 유동성 장세 종료까지는 시간이 남았다는 점, 경제 정상화 기대감은 여전히 유효하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
이는 금일 국내 증시에서 업종 무관한 자금 유출이 아닌 개별 이슈에 따른 업종 간 순환매를 지속하게 만들면서 전반적인 증시 하단을 지지 시켜줄 것으로 판단.
https://www.kiwoom.com/h/invest/research/VMarketSDDetailView?sqno=4721
[미래에셋증권] 해외 금융시장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02-3774-1621)
◆ 미국 증시
- DOW: 34033.67p (-265.66p, -0.77%)
- S&P500: 4223.7p (-22.89p, -0.54%)
- NASDAQ: 14039.68p (-33.18p, -0.24%)
◆ 한국 관련
- MSCI 한국지수 ETF: 91.88p (-0.99p, -1.07%)
- MSCI 이머징지수 ETF: 54.31p (-0.75p, -1.36%)
Eurex kospi 200: 434.15p(-2.00p. -0.46%)
- NDF 환율(1개월물): 1,132.60원 / 전일 대비 14원 상승 출발 예상
◆ 외환시장
- 달러인덱스: 91.365 (+0.829, +0.92%)
- 유로/달러: 1.1999 (-0.0127, -1.05%)
- 달러/엔: 110.67 (+0.59, +0.54%)
- 파운드/달러: 1.3989 (-0.0094, -0.67%)
◆ 미국 국채시장
- 2년물: 0.2032% (+4bp)
- 5년물: 0.8906% (+11bp)
- 10년물: 1.572% (+8bp)
- 30년물: 2.2038% (+1.7bp)
(국채선물)
- 2YR T-Notes: 110*07 1/4 (-0*02 3/4, -0.08%)
- 5YR T-Notes: 123*13 (-0*17 , -0.43%)
- 10YR T-Notes: 131*24 (-0*25 , -0.59%)
- US T-Bonds: 157*26 (-0*23 , -0.45%)
- Ultra US T-Bonds: 187*27 (-0*11 , -0.18%)
◆ 상품시장 ($, 단 곡물, 구리는 센트)
- WTI: 72.15 (+0.03, +0.04%)
- 브렌트유: 74.39 (+0.4, +0.54%)
- 금: 1861.4 (+5, +0.27%)
- 은: 27.812 (+0.119, +0.43%)
- 아연(LME, 3M): 3024 (-5, -0.17%)
- 구리: 439.1 (+5, +1.15%)
- 옥수수: 572.5 (-1.25, -0.22%)
- 밀: 665.75 (-0.25, -0.04%)
- 대두: 1343.25 (-30.25, -2.2%)
- BDI: 3025 (+81, +2.75%)
*동 자료는 2021년 6월 17일 미래에셋증권 홈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를 요약한 것입니다.
글로벌 주식시장 변화와 전망(6월 17일)
미래에셋증권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02-3774-1621)
FOMC 통해 금리인상 속도를 높인 연준
미 증시는 FOMC를 앞두고 보합권 혼조세로 출발 했으나, 금융주 중심으로 실적 둔화 우려가 부각되자 매물 출회되며 하락 전환. 이런 가운데 연준이 FOMC를 통해 인플레이션 전망을 크게 상향 조정하고 2023년 금리를 2번 인상할 것이라고 발표하자 급격하게 매물이 출회되며 낙폭 확대. 그러나 파월 연준 의장이 점도표 등 금리 움직임에 대한 확대 해석을 경계하는 발언을 하자 낙폭을 축소. 특히 이벤트 소화 이후 실적 장세를 준비하는 과정도 특징(다우 -0.77%, 나스닥 -0.24%, S&P500 -0.54%, 러셀2000 -0.23%)
변화 요인: ①FOMC 결과 ②실적 우려 부각
http://securities.miraeasset.com/bbs/maildownload/2021061705483373_3431
[메리츠증권 전기전자/2차전지 주민우]
★ 2차전지 주요 뉴스 (2021.6.17)
GM, 전기차 및 자율주행차에 대한 글로벌 지출을 350억 달러로 늘릴 것으로 발표. 이는 코로나 이전에 발표된 초기 계획보다 75% 증가한 수치. 증액된 투자금에는 미국에 두 개의 새로운 배터리 셀 공장 건설 계획 포함. 새로운 미국 배터리 공장에 대한 세부 내용은 향후 공개될 예정으로 현재 GM은 2025년까지 연간 100만 개의 전기차 판매를 목표 (Electrek)
정부, 배터리 기술을 ‘핵심전략기술’로 지정하는 방안 검토 중. 핵심전략기술로 지정된 산업군은 R&D 및 시설투자에 대해서, 기업 규모에 따라 6~16%의 시설투자 세액공제가 되며 현행 신성장⋅원천기술 투자에 대한 세액공제에 비해 세제지원이 2배 이상 확대. 구체적으로 대기업의 6%, 중견기업 8%, 중소기업 16%까지 공제액 증가. 그 외에도 초과투자, R&D 등에 대한 세액공제 확대 (조선비즈)
영국 정부, 삼성SDI, LG에너지솔루션, 포드, 닛산, 브리티시볼트, 이노뱃오토 등과 전기차 배터리 공장 설립 협의 중. 특히 삼성SDI와 LG에너지솔루션의 경우 초기 협상 단계에 있으며 대형 완성차 기업과 거래가 있어야 한다는 조건을 제시. 영국은 2030년부터 내연기관 신차 판매, 2035년부터는 하이브리드 신차 판매를 중단할 계획 (Reuters)
폭스콘, Giga Solar Materials에 3,600만 달러 상당 투자를 통해 전기차용 배터리 소재를 공동으로 개발할 계획. 이번 투자로 인해 폭스콘은 Giga Solar Materials의 두 번째로 큰 주주가 될 예정이며 두 회사가 공동으로 개발할 배터리 소재는 공개되지 않은 상황. 폭스콘은 현재 전기차 영역에 있어서 Geely, Fisker, Nidec 등과 협력 중 (Electrive)
SK이노베이션, 전기차 배터리 생산성 높인 3세대 'Z-스태킹' 공법 도입. 스태킹은 활물질을 바른 양극과 음극 사이에 분리막을 끼워넣고 적층하는 작업으로 3세대 Z-스태킹 장비는 분당 생산속도(PPM)가 30PPM. 2010년대 초반에 사용한 1세대 장비와 비교해 속도 2배 이상 증가 (디일렉)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FOMC 포인트]
-다우 : -0.77%
-S&P500 : -0.54%
-나스닥 : -0.24%
-러셀2000 : -0.12%
-국채금리 10yr : 1.581 (+5.44%)
-WTI : 71.64 (-0.67%)
-비트코인 : 38,700 (-4.2%)
-Gold : 1,812.60 (+0.01%)
*FOMC 요약*
•테이퍼링 등 정책변화 : X
-일부 논의? / 더많은 데이타 확인 필요
•금리 인상 시기 : 24년->23년 으로 변경
-점도표 변경 / 점도표는 정책결정이 아님
•올해 경제성장률 변경 : 6.5%->7.0%
•내년 경제성장률 : 3.5%
-매우 인상적이며 기대
•단기 인플레이션 : 일시적 스파이크
-일부 항목에서 조금 오랫동안 발생 가능
•장기 인플레이션 : 2%
*SMART한 생각*
-오늘날짜는 2021년6월17일로 2023년의 금리인상은 그때가서 생각하면 됩니다.
☑️첫번째 금리인상 전후로는 상당한 조정을 염두해둬야하긴 합니다.
-경제는 건전하게 회복중이며, 특히 파월의장은 Q&A세션에서 2022년의 아름다운 경제전망을 강조하였습니다.
(2022년 = 쇼크 회복해의 다음해)
-테이퍼링은 시작하더라도 유동성축소가 아닌 공급량의 조절입니다. 내년 상반기 테이퍼링이 진행되어도, 연준의 예상대로라면 내년 미국경제는 아름다운 경제 성장률과 제로금리의 앙상블이 될 것입니다.
-FOMC는 아직 코로나를 완전히 극복했다고 단정하기에는 이르다고 생각하고 있습미다. 파월의장은 백신접종을 독려했습니다. 결국 백신접종률과 신규확진자 추이도 연준의 결정에 어느정도 영향을 주는 것 같습니다.
SMART한 주식투자
부산벤처스 "랜디 주커버그, 부산에 법인 설립후 미디어 콘텐츠에 투자"
입력2021.06.17. 오전 7:18
출처: <https://n.news.naver.com/article/417/0000705100>
[속보]경기도 이천 쿠팡 덕평 물류센터 화재...직원 140여명 대피
기사입력 2021.06.17. 오전 7:01
출처: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421&aid=0005419748>
송영길표 주택 공급 폭탄…그린벨트·용산기지·군 공항 개발?
기사입력 2021.06.17. 오전 5:30
바이든에 열받은 중국, 군용기 28대 대만 ADIZ 진입
이철재 입력 2021. 06. 17. 00:03
출처: <https://news.v.daum.net/v/20210617000335894>
성정, 이스타항공 인수확정?..."사실과 달라"
기사입력 2021.06.16. 오후 7:21
[2021.06.16 (수) 필라델피아 반도체] 하나금융투자 반도체 애널리스트 김경민, CFA
전일 대비 -0.77%, 3,201선 마감
상승주 3, 하락주 27
다우 -0.77%, S&P 500 -0.54%, 나스닥 -0.24%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화요일에 이어 수요일에도 하락. 화요일에 하락한 이유는 말레이시아 등 동아시아 지역에서의 코로나 확산에 대한 우려 때문. 수요일에 하락한 이유는 연준이 FOMC에서 조기 금리 인상을 시사했기 때문. 첫 금리 인상 시점을 기존의 2023년 이후에서 2023년으로 앞당김. 2023년 말까지 금리는 2차례 0.5%p 오를 것이라는 전망. 미국 10년물 명목 금리는 한때 1.589%까지 상승.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장중에 3,173선까지 하락했다가 장 마감 직전에 낙폭을 일부 만회하며 전일 대비 -0.77% 수준인 3,201선으로 마감
반도체 지수 편입주 중에서 상승주는 3개사에 불과. 마벨(지난 분기 호실적 및 긍정적 가이던스) +0.87%, 인테그리스(공정 소재 및 소모품 공급사로서 안정적 실적 유지 가능) +0.17%, 엔비디아(주도주 역할 지속) +0.12%
메모리 반도체 및 스토리지 업종은 하락 마감. 마이크론 -2.06%, WDC -2.20%, 실리콘 모션 -1.63%, Seagate -1.33%
[CPU & GPU] 인텔 -1.33%, AMD -0.45%, 엔비디아 +0.12%
[파운드리 ADR 및 후공정] TSMC -1.20%, UMC -1.67%, Amkor -1.27%,
[장비] ASML ADR -0.39%, AMAT -1.20%, 램리서치 -0.74%, KLA -1.46%, 테라다인 -1.56%
[5G] 퀄컴 -0.46%, Skyworks -0.40%, 코보 -0.11%, 브로드컴 -1.06%, 자일링스 -0.68%, Two Six -3.06%,
[아날로그] TXN -0.47%, ADI -0.95%, NXP -1.34%, 마이크로칩 -1.01%, 온세미 -0.40%
[공정소재] 캐봇 마이크로 -0.96%, 인테그리스 +0.17%
[웨이퍼] 신에츠화학 -0.5%, Sumco -0.5%, Globalwafers -0.7%
감사합니다.
[2021.06.16 (수) 대만 가권지수 -0.37%, 17,308p] 하나금융투자 반도체 애널리스트 김경민, CFA
업종별: 반도체 -0.86%, 금융 -0.07%, 플라스틱 +0.50%, 해운/운송 +0.81%, 철강 -1.25%, 건설 -0.02%, 시멘트 +0.87%, 제지 -1.75%, 자동차 +1.03%, 석유/가스/전기 +2.57%
외국인 순매도 7,353억 원
월요일 휴장 이후 대만 가권지수는 화요일에 +0.92% 상승했다가 수요일에 -0.37% 하락. 미국 FOMC 회의 앞두고 관망세 형성. 반도체 업종에서는 차익 실현 분위기 형성되며 전일 대비 -0.86% 마감. 전통적인 구경제 업종에 해당되는 플라스틱, 시멘트, 자동차가 각각 +0.50%, +0.87%, +1.03%를 기록하며 상대적 견조. 가장 크게 오른 업종은 포모사 페트로케미칼이 편입된 석유/가스/전기 업종, 전일 대비 +2.57%
대만달러는 전일 대비 약세. TWD 27.652 기록
[파운드리] TSMC -0.7%, UMC -2.4%
[메모리] 난야테크 +0.5%, 윈본드 -3.9%, 매크로닉스 -1.6%
[서버] Aspeed -1.6%, Nuvoton -2.9%, Wiwynn +2.8%
[팹리스] 미디어텍 -0.4%, 노바텍 -2.3%
[후공정] ASE -2.1%, 칩모스 +0.3%, 칩본드 -0.3%, 파워텍 -0.5%
[애플 벤더] 혼하이정밀 -1.3%, Largan +1.7%, 지니어스 -2.9%, 페가트론 +1.1%, Catcher +1.4%
[5G 화합물] 윈세미 -3.1%, VPEC +1.3%
[반도체 유통] ADATA -2.9%, Transcend -1.5%, Phison -1.7%
[PC] ACER +2.6%, ASUSTEK +1.2%, Lenovo(HK) -0.7%
[기타] Global Unichip +1.2%
감사합니다.
『하루를 여는 혁신투자자문 IPO News Letter💌 - 20210617』
【 텔레그램 채널 주소 : https://t.me/KoreaIB 】
【 IPO상장문의 및 이경준 대표 Contact ☞ 📧 ipo@kakao.com 】
===========================
《📌Today's Topic》
디즈니와 몸값 비교한 크래프톤···"부담 스럽다" vs "실적 모멘텀"
https://www.sedaily.com/NewsView/22NNRK97CQ
[시그널] 크래프톤, 비교회사가 디즈니?···‘IP기반 콘텐츠’ 비전 통할까
https://www.sedaily.com/NewsView/22NNQH2MPX
☞ 이경준 혁신투자자문 대표는 “안정적인 사업구조와 수익성을 기반으로 밸류에이션으로 산정했지만 과거 게임업종이 흥행한 사례가 거의 없었기 때문에 크래프톤의 콘텐츠 확장 비전이 통할지 관심이 쏠린다”며 “기존 투자자들의 취득 단가가 워낙 낮고 공모규모도 역대급이라 IPO 흥행여부는 수요예측 마지막 날까지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
금일은 [ 라온테크 ] 상장일 입니다.
[ 라온테크_공모가 18,000원 ]
*전일 Konex종가 : 22,950원, 공모가 대비 +27.5%
º 시가총액 : 879억원(4,886,005주)
º 유통가능 : 469억원(2,607,926주, 53.38%)
º 수요예측 내역
총 참여건수 : 1,444건
실 유효건수 : 1,154건(79.92%)
총 경쟁률 : 1,526.2 대 1
총 확약 비중 : 126건(8.7%), 수량기준 8.9%
º 일반청약률 : 779.10 대 1(119,868건)
#반도체용_진공로봇 #SK하이닉스
===========================
★ 금일 IPO 일정 ★
06/17 라온테크 상장★
☆ 금주 남은 IPO 일정 ☆
06/18 이노뎁 상장★
06/18 아모센스 납입🏧
------------------------------------------
▣ 기관IR 일정 ▣
- 소규모 간담회로만 진행 中 -
▣ 상장 일정(예정, 변경가능) ▣
06/17 라온테크(KB증권)
06/18 이노뎁(하이투자증권)
06/25 아모센스(신한금융투자)
07/07 맥스트(하나금융투자)
07/09 에브리봇(NH투자증권)
07/13 오비고(NH투자증권)
07/20 SD바이오센서(NH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07/23 큐라클(삼성증권)
07/26 크래프톤(미래에셋증권)
▣ 심사 승인 ▣
- 플래티어(KB증권)
- 딥노이드(KB증권)
- 원티드랩(한국투자증권)
- 바이젠셀(대신증권)
- 브레인즈컴퍼니(키움증권)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 국내 IPO 개별종목
■ "상장하면 수백억 차익"....스톡옵션 50만주 받은 직원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106160305&t=NN
■ [마켓인사이트]수요예측 경쟁률 저조한 아모센스, 공모주 열기 한풀 꺾일까
http://marketinsight.hankyung.com/apps.free/free.news.view?aid=202106166365u&category=IB_FREE
■ [마켓인사이트]큐라클, "IPO 통해 글로벌 신약기업 도약"
http://marketinsight.hankyung.com/apps.free/free.news.view?aid=202106163039u&category=IB_FREE
■ 채용 플랫폼 원티드랩, 코스닥 상장 예심 청구 승인
https://newsis.com/view/?id=NISX20210616_0001478459&cID=13001&pID=13000
■ 일본계 씨유테크, 상장 예심 청구…연내 IPO '속도'
■ 카페24 성공한 '테슬라 상장' 티몬은 어렵다는 이유
https://www.ajunews.com/view/20210615155341623
■ 한국콜마 자회사 콜마스크, IPO 추진 [마켓인사이트]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106163030i
■ 휴온스바이오파마, IPO 앞두고 잇단 성과 도출
http://www.dailypharm.com/Users/News/NewsView.html?ID=277467&REFERER=NP
■ 사회적기업 사랑과선행, 키움증권과 대표 주관사 계약
https://www.etoday.co.kr/news/view/2035977
■ 모티브 인텔리전스, 100억 투자유치 “IPO 준비 박차”
https://www.venturesquare.net/831018
▶️▶️▷ IPOmarket(해외IPO포함)
■ '따상'은커녕…올 상장 48개중 6곳은 공모가 밑돌아
https://www.mk.co.kr/news/stock/view/2021/06/584113/
■ 올해 미국 IPO 벌써 191조원 '사상 최대'
https://www.yna.co.kr/view/AKR20210616049300009?input=1195m
■ 디디추싱, 올해 최대 IPO 대어로 미국 증시에 상장한다
https://news.appstory.co.kr/daily14619
■ '삼성-LG 고객사' 독일 BMZ, IPO 추진
https://www.theguru.co.kr/news/article.html?no=22395
▶️▶️▷ 시장 이모저모
■ [단독] 금감원, 가상화폐거래소 감독 TF 가동…코인 구조조정 본격화
https://www.etoday.co.kr/news/view/2036087
■ 반디앤루니스 최종 부도
▶️▶️▷ 시세/시황
[표]IPO장외 주요 종목 시세(6월 16일)
https://www.sedaily.com/NewsView/22NNR43JU1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시황 & 뉴스 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6월 21일(월) 장전 봐야할 주요뉴스 (0) | 2021.06.21 |
---|---|
6월 19일(토)~20일(일) 해외마감시황, 장전 봐야할 주요뉴스 (0) | 2021.06.20 |
6월 16일(수) 해외마감시황, 장전 봐야할 주요뉴스 (0) | 2021.06.16 |
6월 15일(화) 해외마감시황, 장전 봐야할 주요뉴스 (0) | 2021.06.15 |
6월 14일(월) 해외마감시황, 장전 봐야할 주요뉴스 (0) | 2021.06.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