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투자 스터디를 위해 개인적으로 스크랩한 시황, 뉴스 자료를 공유합니다.
1) 노션 링크는 익스플로러에선 제대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크롬에 최적화 되어있으며, 엣지, 웨일에서도 잘 작동합니다.
2) 공유한 자료링크는 1~2일후 공유 해지 합니다.
게시물은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한 것이라
불확실하거나 오류가 많을 수 있으므로 투자 활용시 유의하시기 바라며, 개별적인 종목 추천이나 상담은 하지 않습니다.
모쪼록 제 공간에 오신 모든 분들이 주식스터디를 통해 인생 한 방보다, 꾸준함을 믿으며...
복리의 마법으로 모든 분들이 성공한 개인투자자가 되시길...
北추정, 대우조선해양 해킹…핵잠수함 자료도 포함
[중앙일보] 입력 2021.06.20 14:39
출처: <https://news.joins.com/article/24086464>
다시 불붙은 수출…中企 해외 공략 '재시동'
텔레칩스, 러시아 아브토바즈 차량용 반도체 첫 공급
인산가, 미국 FDA 인증 받은 죽염 아마존에 첫 입점
비올, 피부과 의료기기 '실펌X' 미국 수출 본격화
"미국 등 백신 보급 확대, 중소기업 수출 다시 활기"
등록 2021-06-20 오후 12:10:40
수정 2021-06-20 오후 12:10:40
출처: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466166629083688&mediaCodeNo=257&OutLnkChk=Y>
도쿄올림픽, 쿠팡이 온라인 단독 중계한다…500억 지불한 듯
신문A1면 1단 기사입력 2021.06.20. 오후 5:34
네이버·카카오 제치고 따내
'경기관람 유료화' 논란 일듯
쿠팡이 지상파 3사에 제시한 온라인 중계권 가격이 최고 5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올림픽 중계' 유료화 논란이 거세질 것으로 예상된다.
출처: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9&aid=0004811727>
7월1일부터 새 거리두기…500명 2단계부터 모임·영업 제한
출처: <https://newsis.com/view/?id=NISX20210620_0001482532&cid=>
[미래에셋증권] 해외 금융시장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02-3774-1621)
◆ 미국 증시
- DOW: 33290.08p (-533.37p, -1.58%)
- S&P500: 4166.45p (-55.41p, -1.31%)
- NASDAQ: 14030.38p (-130.97p, -0.92%)
◆ 한국 관련
- MSCI 한국지수 ETF: 91.1p (-0.62p, -0.68%)
- MSCI 이머징지수 ETF: 54.23p (-0.38p, -0.70%)
Eurex kospi 200: 430.95p(-3.55p. -0.82%)
- NDF 환율(1개월물): 1,135.29원 / 전일 대비 2원 상승 출발 예상
◆ 외환시장
- 달러인덱스: 92.225 (+0.336, +0.37%)
- 유로/달러: 1.1864 (-0.0043, -0.36%)
- 달러/엔: 110.21 (0, 0%)
- 파운드/달러: 1.381 (-0.0112, -0.8%)
◆ 미국 국채시장
- 2년물: 0.2541% (+4.5bp)
- 5년물: 0.8746% (-0.6bp)
- 10년물: 1.4381% (-6.6bp)
- 30년물: 2.0127% (-8bp)
(국채선물)
- 2YR T-Notes: 110*03 1/2 (-0*03 , -0.09%)
- 5YR T-Notes: 123*09 1/4 (-0*02 3/4, -0.07%)
- 10YR T-Notes: 132*10 (+0*09 1/2, +0.22%)
- US T-Bonds: 160*30 (+1*7 , +0.76%)
- Ultra US T-Bonds: 194*00 (+2*9 , +1.19%)
◆ 상품시장 ($, 단 곡물, 구리는 센트)
- WTI: 71.64 (+0.6, +0.84%)
- 브렌트유: 73.51 (+0.43, +0.59%)
- 금: 1769 (-5.8, -0.33%)
- 은: 25.969 (+0.113, +0.44%)
- 아연(LME, 3M): 2822.5 (-89, -3.06%)
- 구리: 416.35 (-2.2, -0.53%)
- 옥수수: 566.25 (+33.75, +6.34%)
- 밀: 665.75 (+22.75, +3.54%)
- 대두: 1313 (+60.25, +4.81%)
- BDI: 3218 (-49, -1.5%)
*동 자료는 2021년 6월 21일 미래에셋증권 홈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를 요약한 것입니다.
글로벌 주식시장 변화와 전망(6월 21일)
미래에셋증권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02-3774-1621)
코로나 델타 변이, 매파 연준 여파로 하락
미 증시는 블라드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의 매파적인 발언 여파로 하락 출발. 더불어 2분기 어닝시즌을 앞두고 실적 피크아웃 논란이 부각 된 점도 낙폭 확대 요인. 여기에 코로나 델타 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우려가 확산된 점도 투자심리 위축 요인. 장 마감 직전 선물옵션 만기일 영향에 따른 수급적인 요인으로 낙폭 확대하며 마감(다우 -1.58%, 나스닥 -0.92%, S&P500 -1.31%, 러셀2000 -2.17%)
변화요인: ①블라드 총재 ②델타 변이 ③실적 피크아웃
http://securities.miraeasset.com/bbs/maildownload/2021062012350782_3431
[한투증권 박소연] 6월 넷째주 GIS weekly
원자재 가격 하락세가 거셉니다. 고점대비 하락률로 보면 목재(-47%)가 거의 반토막 수준이고 팔라듐(-18%), 구리(-15%), 대두(-16%), 옥수수(-15%) 등 대부분 10~20% 정도 밀렸네요.
원인은 1) 미국 연준이 테이퍼링 논의를 시작하면서 긴축 우려가 불거졌고 2) 중국 정부가 투기 근절을 위해 원자재 비축분을 방출하겠다고 발표했기 때문인데요.
이에 가치주와 경제재개주가 급락 중이지만, 너무 걱정하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최근 원자재 가격 급등세가 거세지면서 비용(cost) 상승, 마진(margin) 압박 우려가 상당했는데 원자재 가격이 하향 안정화되면 부담도 덜해지죠. 사실상 '자정작용'이 시작된 것으로 이해하면 됩니다.
최근 성장주가 안전지대로 인식되면서 순환매가 유입되고 있지만 가치주 대세론이라는 큰 트렌드는 아직 종료되지 않았다고 판단됩니다.
============
▲ 주말 해외동향 : 뉴욕증시 하락 마감. 델타 변이 확산 우려가 커진 가운데 조기 금리인상론까지 불거졌기 때문
- 내년 연준 투표권자인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루이스 연은총재가 CNBC 인터뷰에서 '물가 압력이 예상보다 강해 2022년 말 금리인상을 시작해야 한다, 매파적으로 기울어지는 것은 당연하다'고 발언. 이는 6월 FOMC 점도표 중간값보다 훨씬 빠른 것
- 채권시장 일드커브 플래트닝 심화. 2년물 국채금리는 연준 조기 금리인상 가능성에 0.25%까지 급등한 반면, 미국채 10년물은 1.44%까지 밀렸고 30년물 금리는 올해 2월
수준인 2.0%까지 후퇴
- 시클리컬에 매도세 집중. 셰브론(-3.8%), 모건스탠리(-4.4%) 등 에너지/금융주 약세. 성장주가 도피처 역할을 하며 나스닥 하락폭 상대적으로 적었지만 시장 견인에는 역부족
▲ 52주 신고/테마 : 반도체(엔비디아), 사이버보안(포티넷), 총기업체(스미스&웨슨), 반려동물(IDEXX), 클라우드/SW(어도비, 클라우드플레어, 스프라우트소셜, 스퀘어스페이스), 창고(퍼블릭스토리지) 등
▲ 종합판단 : 6월 FOMC 매파적 스탠스에 원자재 가격 급락세 거세지고 있으나 자정작용으로 이해. 단기 변동성 확대 불가피하겠으나 저가 매수 대응 필요. 가치주 큰 트렌드 아직 종료되지 않아
- 금주 일정: 22일(화) 파월 의장 '판데믹 프로그램과 경제' 연설 예정
(2021.06.19) U.S. & EU Market Closing
2021.06.19 진상우
U.S. Market Closing – 05:00 기준
지수 | 종가 | 등락폭 | 등락률 | 상승/하락/보합 |
DOW | 33,291.53 | -531.92 | -1.6% | 1/29/0 |
S&P500 | 4,166.38 | -55.48 | -1.3% | 69/436/0 |
NASDAQ | 14,030.38 | -130.97 | -0.9% | 674/2441/196 |
RUSS 2K | 2,236.67 | -50.79 | -2.2% | 244/1779/10 |
PHLX 반도체지수 | 3,152.81 | -78.90 | -2.4% | 1/29/0 |
VIX지수 | 20.99 | 3.24 | 18.3% |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미국증시는 이날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루이스 연준(FED) 총재의 발언에 내림세로 마감. S&P500지수는 1.3% 하락한 4,166선에서 거래를 마쳤고, 다우지수는 1.6% 하락해 33,291.53에 마감. 나스닥 지수는 0.9% 하락한 14,030.38에 마감. 개별종목으로는 미국 주택 건설업체 레너(LEN)에 대한 제이피 모건의 투자의견이 ‘비중확대’로 상향조정되며 4.5% 상승, 온라인 지급 결제 회사 페이팔(PYPL)이 새롭게 출시하는 상품에 대한 수수료를 상향한다는 소식에 1.9% 상승. 한편, 제약회사 오파자임(ORPH)의 신약 치료제에 대한 미국 FDA 승인 거절 소식에 49.7% 급락. 이날 주요 이슈로 연준 내에서 비둘기파(통화 완화 선호)로 분류되는 블러드 총재가 CNBC와의 인터뷰에서 연준의 첫 금리 인상 시기를 2022년 말로 예상한다고 발언. 또한, 테이퍼링에 대한 논의가 공식적으로 개시했다고 언급하며 글로벌 시장을 냉각시킨 모습. 증시 전문가들은 연준이 조기 긴축 신호를 보낼수록 시장의 불안이 커질 것으로 예상, 이날 변동성지수(VIX)는 전장보다 12% 이상 오르며 5월 말 이후 최고치로 상승. 아울러, 세계보건기구(WHO)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전염력이 강한 코로나 19 델타 변이가 세계 지배적인 변이가 될 수 있다고 경고하며 코로나 19 펜데믹에 대한 우려가 커진 모습. 전 세계 코로나 19 누적 사망자는 400만 명을 넘어섰으며 변이 바이러스의 영향으로 6개월도 안 돼 200만 명이 증가.
U.S. ETF Closing – 05:00 기준
Sector
분류 | 티커 | 현재가 | 등락률 | t신호 | 수익률 | ||
1개월 | 3개월 | 1년 | |||||
자유소비재 | XLY | 172.1 | -0.6% | 햇빛 | 2.1% | 4.5% | 33.7% |
IT | XLK | 142.0 | -1.0% | 햇빛 | 4.3% | 9.7% | 36.6% |
커뮤니케이션 | XLC | 78.6 | -1.2% | 햇빛 | 2.2% | 7.5% | 41.3% |
헬스케어 | XLV | 123.6 | -1.2% | 햇빛 | -0.6% | 7.6% | 24.6% |
산업재 | XLI | 99.6 | -1.3% | 안개 | -3.4% | 3.0% | 45.8% |
소재 | XLB | 80.7 | -1.6% | 안개 | -6.8% | 3.8% | 45.6% |
부동산 | VNQ | 101.8 | -1.7% | 햇빛 | 4.0% | 12.0% | 32.9% |
필수소비재 | XLP | 68.8 | -1.8% | 안개 | -3.1% | 2.1% | 19.1% |
금융 | XLF | 35.2 | -2.4% | 안개 | -6.3% | 4.1% | 50.1% |
유틸리티 | XLU | 64.1 | -2.7% | 안개 | -3.2% | 1.3% | 15.2% |
에너지 | XLE | 52.4 | -3.0% | 햇빛 | 0.4% | 6.4% | 38.8% |
자료: 티레이더, 유안타증권해외투자전략팀
금일 섹터별 ETF에서는 에너지(XLE/-3.0%) ETF와 금융(XLF/-2.4%) ETF가 전일 하락세를 이어가는 모습. 원자재 가격이 급락하면서 몇 달 동안 이어오던 상승세가 꺾이며 에너지(XLE) ETF가 하락. 전일 연준(FED)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결과 발표 후 달러화 상승압력이 원자재 하락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
Thematic
분류 | 티커 | 현재가 | 등락률 | t신호 | 수익률 | ||
1개월 | 3개월 | 1년 | |||||
IPO | IPO | 64.5 | 0.5% | 햇빛 | 10.6% | 6.8% | 54.7% |
기술혁신 | ARKK | 118.9 | 0.3% | 햇빛 | 12.3% | 3.9% | 69.6% |
인프라 | IGF | 46.0 | -2.2% | 안개 | -1.2% | 5.0% | 21.3% |
글로벌 천연자원 | GNR | 51.6 | -2.4% | 안개 | -4.3% | 5.4% | 40.7% |
반도체 | SOXX | 427.9 | -2.5% | 햇빛 | 3.5% | 6.7% | 59.7% |
자료: 티레이더, 유안타증권해외투자전략팀
금일 테마ETF에서는 대다수의 ETF가 하락 마감한 가운데, 기술혁신(ARKK/+0.5%) ETF와 IPO(IPO/+0.3%) ETF가 소폭 상승 마감. 기술혁신(ARKK) ETF에서는 웨드부시증권이 도큐사인(DOCU)에 대한 목표주가를 290달러로 상향하여 5.3% 상승, TV 스트리밍 플랫폼 로쿠(ROKU)가 자체 오리지날 시리즈를 개시한다는 소식에 4.9% 상승, 기술혁신(ARKK) ETF 상승을 주도.
EU Market Closing – 04:00 기준
지수 | 종가 | 등락률 | 구분 | 업종 | 등락률 |
STOXX 600 | 452.42 | -1.5% | 상승 | ||
하락 | 에너지 | -2.8% | |||
금융 | -2.2% | ||||
정보기술 | -2.0% | ||||
지수 | 종가 | 고가 | 저가 | 등락폭 | 등락률 |
獨 DAX | 15,460.04 | 15,736.93 | 15,426.76 | -267.63 | -1.7% |
英 FTSE 100 | 7,024.26 | 7,154.63 | 7,016.60 | -129.17 | -1.8% |
佛 CAC 40 | 6,578.35 | 6,687.29 | 6,560.12 | -87.91 | -1.3% |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유럽증시는 연방준비제도(FED) 위원의 금리 인상 시기 특정 발언에 하락세로 마감. 독일 DAX지수는 1.7% 하락하며 15,460.04에 마감하였고, 범유럽지수 STOXX 600지수는 452.42 에 마감하며 1.5% 하락. 섹터별로는 에너지, 금융, 정보기술 섹터에서 2%가량 내려. 영국 FTSE 지수는 7,024.26에 마감하며 1.8% 하락.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내 비둘기파로 불리는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가 2022년 말 첫 금리 인상을 예상한다고 언급해 글로벌 증시 하락압력으로 작용한 모습. 금리 인상 시기 예측과 더불어 블러드 총재는 테이퍼링에 대한 더 상세한 논의가 앞으로 이뤄질 것이라고 언급. 개별 종목으로는 보험, 통신, 에너지 관련 업종이 0.8%~1.2%가량 하락한 반면, 부동산 관련주가 소폭 상승 마감. 영국 프루덴셜그룹(PRU)과 피닉스홀딩스(PHNXGBX)가 3% 하락한 반면, 벨기에 부동산 신탁 아에디피카(AED)와 영국 부동산 기업 런던메트릭프로퍼티(LSP)가 2%가량 상승. 주요 경제지표 발표로는 유로존의 지난 4월 경상수지가 230억 유로 흑자로 집계, 전월대비 50억 유로 증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천390억 유로 상승 기록. 금일에는 유럽투자은행(EIB) 연례회의와 유럽연합(EU) 재무장관 회의가 진행.
[하나금융투자 중국/신흥국전략 김경환]
* 텔레그램 채널 : https://t.me/HANAchina
•중국 주말에는 무슨 일이?
★거시경제/정책/자본시장★
■중국 광둥성 확진자 산발적 발생 지속 : 18일 저녁 광둥성 동관시 13개 지역 봉쇄, 심천 공항 변이 바이러스 확진자 2명 발생으로 업무 차질.
■발개위(NDRC), 원자재 가격 안정 위해 비축재고 방출 : 중국 주력상품시장감독 시장거래실태 조사. 주요 기업과 협회 면담 통해, 시장조작 의혹과 가격담합 문제 조사, 시장주체들의 준법 경영을 촉구할 예정. 시장감독총국과 증감회가 선물시장감독 정례회의도 개최할 계획. 또한, 원자재 가격 안정을 위해 구리, 알루미늄, 아연 등 정부 비축 재고를 풀어 공급량 확대 예정.
■중국 컨테이너 운임지수 상승세 심각, 유럽/미국향 수출 차질 우려 : 6월 18일 기준 SCFI(상하이 컨테이선 운임지수)는 3748.36p로 신고가 계속 경신, 2020년 저점 대비 358% 폭등. CCFI는 2526.65p로 역시 저점 대비 203% 폭등. 미국과 유럽향 실제 운임 5-10배 상승.
■세 자녀 정책 시행을 앞두고 중국 주요 지방 당국 출산 연령 여성 대상 설문조사 시작: 6월 18일 국무원상무회의가 <중국 인구와 계획 생육법> 수정 초안 통과, 전인대의 최종 입법 카운트다운 돌입. 입법 직전 각 지방 당국은 출산 연령 여성군 대상 설물조사를 시작, 의견수렴 돌입.
■‘과창판+창업판 50 ETF’ 첫 출시 : 6월 21일 상해 과창판(커촹반)과 심천 창업판을 처음 혼합한 ‘중증(中證)과창창업50지수’ ETF 9개가 상장 예정.
■중국 1-5월 선물시장 누적 거래액 YoY+77.8% 증가 : 상품가격 급등과 기업측 선제적인 리스크 관리, 새로운 선물 상품 도입이 급증 유도
■5월 주택가격 안정적 : 통계국, 70개 도시의 전월대비 신규 주택가격은 62개 도시 상승, 3개 도시 유지, 5개 도시 하락.
■중국 돼지고기 가격 급락세 지속, 후속 대책 예고 : 발개위, 6/7~11일 중국 돈육 가격과 사료 가격 평균 배율이 5.88:1로 6:1보다 낮은 수준으로 떨어지며 3급 예비 경보 구간 진입. 돼지 사육 농가에 효율적인 생산운영과 돼지 생산능력을 합리적 수준으로 유지할 것을 권고.
■브라질, 중국 칸시노 백신 6,000만회분 공급 예정 : 중신왕, 브라질 정부는 중국 칸시노로부터 코로나19 백신 6,000만 도스를 구입해 2021년 3분기와 4분기에 공급받을 예정. 중국 칸시노 코로나19 백신은 2020년 아르헨티나에서 3기 임상시험을 진행한 바 있음. 브라질 당국은 앞서 영국 아스트라제네카 백신과 중국 시노백 백신 긴급 사용을 승인하고 접종하고 있음.
■프랑스 백신 접종자 ‘긴급 사유’ 제출 면제, 중국 백신은 제외 : 주 프랑스 중국대사관, 백신 접종자는 프랑스 입국 시 '긴급 사유' 신청서 제출 면제. 프랑스 정부가 승인한 백신에는 화이자, 모더나, 아스트라제네카, 얀센이 포함돼 있지만, WHO가 승인한 중국산 백신은 포함되지 않음.
★산업/기업/정책★
■중국 동영상 플랫폼 틱톡의 바이트 댄스의 성장세, 텐센트와 알리바바를 위협 : 2012년 3월 창업한 바이트 댄스가 텐센트와 알리바바를 위협하는 세 번째 빅테크 기업으로 부각. 2020년 연간 매출은 이미 텐센트의 1/2, 알리바바의 1/3, 콰이쇼우의 4배 육박. 2020년 매출 2,366억위안으로 YoY+111, 매출이익률 55.5% 달성. 글로벌 MAU는 19억명으로 Facebook 유저의 70% 육박. 150개 국가와 지역, 35개 언어 커버.
■중국 남방지역 전력난 점차 해소 : 발개위, 중국 남방지역 전력난 6월 들어 점차 해소. 광동에서는 6월 5일부터 전기 사용 제안을 완전히 완화하고, 윈난에서는 전력 사용 제한 점차 감소. 전기 수요가 많은 장마철을 맞아 남방 지역의 전력난 빠른 해소 필요.
■쓰촨성 교육청 및 관련 부처, <사립 의무교육학교 설립 허가 중단> 발표 : 교육 운영 규모를 합리적으로 통제하기 위해 4개 부처는 학교 설립 허가를 보류한다고 전함. 또한, 각 시(市)와 현( )은 학교 설립 허가를 즉시 중단할 것을 요구. 교육 당국은 각 지역에서는 관련 내용을 중시해달라고 전하며 위반 시 관련 행정 지도자와 당사자의 책임을 엄중히 물을 것이라 경고. 한편, 산둥성 교육청도 방과후 과외 모임을 금지.
■충칭시 교육위원회, <일반고 재수생 모집 금지> 발표 : 일반고에서 재수생 모집을 금지하고, 명문고 진학을 위한 재수반을 편성 등 심각한 교육법 위반 행위를 바로 잡겠다고 강조. 이미 고교에 합격한 고득점자에게 복습 학습이나 재수 홍보 금지.
■백주 2위 우량예 CEO, 초고급 백주 공급 부족 평가 : 백주는 현금배당 비율 높고 경영실적 매우 안정적인 업종. 백주 산업 전체적인 공급과잉 우려는 상존하지만, 초고급 우량 백주 공급 부족 문제 상존. 향후 소비고도화와 중산층 성장을 감안하면 고급주 수요 꾸준할 것.
■중국 자동차공업협회장, 중국 신에너지차 판매 향후 5년간 평균 40%대 성장률 유지 전망. 2025년 신차 비중은 20% 혹은 그 이상을 전망.
■5월 중국 테슬라 모델 Y 등록대수 큰 폭 증가 : 모델 Y 등록 수는 4월 5,520대에서 5월 12,785대. 모델 3는 6,429대에서 9,324대로 증가
■LFP배터리 생산량 최고치 경신 : LFP배터리 생산량이 사상 첫 삼원계 배터리를 상회하며 최고치 경신. 적재량은 삼원계 배터리가 우위.
■중국 제일자동차, 자율 발레파킹 시스템 소프트웨어 공개 : 중국 제일자동차(FAW)가 정식으로 L4급 자율 발레파킹 시스템(AVPS) 공개. 제일자동차 산하 고급브랜드 훙치의 자율주행 기술 발전에 중요한 역할 할 것으로 예상.
■인프라 시설 스마트화 가속화 : 주건부, 인프라 시설 디지털화, 인터넷화, 스마트화 가속화. 지역별로 신기술을 적용해 수전기 등의 인프라 시설을 업그레이드하고, 각종 센서와 사물인터넷에 기반한 스마트 플랫폼을 통해 실시간 모니터링, 인프라의 작동 효율과 안전성 제고 할 계획.
■BOE, 향후 10년 LCD, OLED 주역으로 할 것 : 류샤오둥(刘晓东) BOE 총재, 향후 10년 LCD, OLED 주역으로 할 것. 2021년 중국 디스플레이 생산능력은 전세계의 60%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하며, 2025년에는 70%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
■중국 버블 밀크티 ‘나이슈’ 6/30 홍콩 상장 예정 : 시나재경, 중국 버블 밀크티 ‘나이슈’ 6월 18일부터 공모 절차 시작. 공모가는 17.20HKD-19.80HKD로 공모 자금은 최대 58.6억HKD 예상. 나이슈는 6월 30일 홍콩 상장 예정으로 글로벌 최초 차 음료 상장기업이 됨
■디디추싱 IPO에 5개 투자은행 새로 참여 : 로이터, 미국 뉴욕증시 상장을 앞둔 ‘중국판 우버’ 디디추싱 IPO에 BOA, Barclays, CICC, Citi, HSBC 등 5개 투자은행이 새로 참여한다고 보도. 디디추싱은 이와 관련해서 입장을 밝히지 않은 상태.
■중국 알리바바, 드론 관련 상품 판매 중단 : 중국 알리바바, 2021년 7월 15일까지 헤드업 디스플레이, 이미지 전송 모듈, 플라이 컨트롤 모듈 등 드론 관련 상품 판매를 중단한다고 밝힘. 드론 비행 및 광고도 함께 금지.
■MissFresh, 딩동마이차이 IPO : 중국 신선식품 O2O 강자 MissFresh, 딩동마이차이 IPO 신청서 제출. MissFresh, 딩동마이차이 2020년 매출액 각각 61억, 113억위안 기록, 순손실 각각 16억위안, 32억위안. 두 업체 모두 직매입 구조 사용, 신선식품 업계의 낮은 마진율 구조 및 높은 제품 원가로 적자 상태
( 위 문자의 내용은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득하였음)
[2021.06.18 (금) 필라델피아 반도체] 하나금융투자 반도체 애널리스트 김경민, CFA
전일 대비 -2.44%, 3,153선 마감
상승주 1, 하락주 29
다우 -1.58%, 나스닥 -0.92%, S&P 500 -1.31%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목요일 +0.96% 상승한 이후 금요일 -2.33% 하락 마감. 제임스 블라드 세인트루이스 연준 총재가 2022년 말 금리 인상 전망을 언급하며 지난 6월 16일 FOMC 회의 직후 연준의 신호보다 더욱 매파적 발언을 한 것이 반도체 업종 투자 심리에 부정적 영향을 끼침
편입종목 30개사 중에 성장주에 해당되는 AMD만 유일하게 상승 +0.11%. AMD의 경쟁사 엔비디아도 -0.10%로 마감하며 비교적 선방. AMD가 유일하게 상승한 이유는 금주 AMD 관련 호재가 금요일에도 주가를 방어했기 때문. 구글 클라우드에서 AMD의 3세대 EPYC 프로세서를 Tau Virtual Machine 신규 서비스 T2D에 적용. 구글은 T2D 인스턴스를 2021년 3분기에 출시 예정
AMD를 제외한 나머지 종목이 하락한 가운데 메모리 반도체 및 스토리지 업종도 하락. 마이크론 -4.58%, WDC -1.84%, 실리콘 모션 -1.38%, Seagate -3.96% 기록. 마이크론의 경우 셀사이드 2곳(Lynx, Cleveland Research)의 투자 의견 하향 조정이 투자 심리에 부정적 영향을 끼침. 하향 조정 사유는 PC 및 모바일향 메모리 수요의 둔화 전망
[CPU & GPU] 인텔 -2.64%, AMD +0.11%, 엔비디아 -0.10%
[파운드리 ADR 및 후공정] TSMC -2.80%, UMC -4.98%, Amkor -2.51%,
[장비] ASML ADR -3.97%, AMAT -4.43%, 램리서치 -4.24%, KLA -4.38%, 테라다인 -3.65%
[5G] 퀄컴 -1.74%, Skyworks -2.41%, 코보 -3.94%, 브로드컴 -1.63%, 자일링스 -0.32%, Two Six -2.74%,
[아날로그] TXN -2.44%, ADI -2.42%, NXP -2.69%, 마이크로칩 -3.07%, 온세미 -3.30%
[공정소재] 캐봇 마이크로 -0.88%, 인테그리스 -2.21%
[웨이퍼] 신에츠화학 +1.5%, Sumco +3.2%, Globalwafers -0.2%
감사합니다.
[2021.06.18 (금) 대만 가권지수 -0.41%, 17,319p] 하나금융투자 반도체 애널리스트 김경민, CFA
업종별: 반도체 -0.60%, 금융 -0.81%, 플라스틱 -2.23%, 해운/운송 +5.28%, 철강 -0.91%, 건설 -0.24%, 시멘트 -1.07%, 제지 -0.64%, 자동차 -0.48%, 석유/가스/전기 -3.43%
외국인 순매도 6,461억 원
대만 가권지수는 목요일 +0.48% 상승 이후 금요일 -0.41% 마감. 미국 FOMC 회의 이후 뚜렷한 특징 없이 관망세 형성. 외국인은 수요일부터 금요일까지 3일 연속 순매도. 금요일에는 반도체 업종이 -0.60%로 부진했고 나머지 주력 업종도 대부분 부진한 가운데 해운/운송 업종이 +5.28% 상승하며 지수 방어 주도
대만 내의 코로나 확산 대응을 위해 차이잉원 총통이 TSMC의 회장 Mark Liu와 혼하이정밀의 창업자 Terry Gou를 만났고, 독일 바이오엔텍으로부터 백신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 중
대만달러는 전일 대비 약세. TWD 27.764 기록
[파운드리] TSMC -0.5%, UMC -2.1%
[메모리] 난야테크 +0.0%, 윈본드 +0.3%, 매크로닉스 +0.9%
[서버] Aspeed -3.4%, Nuvoton -2.3%, Wiwynn -1.5%
[팹리스] 미디어텍 -1.3%, 노바텍 -1.2%
[후공정] ASE -1.3%, 칩모스 -2.8%, 칩본드 -2.3%, 파워텍 +0.9%
[애플 벤더] 혼하이정밀 -1.3%, Largan +0.0%, 지니어스 -1.3%, 페가트론 +0.9%, Catcher -1.9%
[5G 화합물] 윈세미 -1.4%, VPEC -0.8%
[반도체 유통] ADATA -1.5%, Transcend -1.1%, Phison +0.0%
[PC] ACER +1.4%, ASUSTEK -0.8%, Lenovo(HK) -2.4%
[기타] Global Unichip -1.2%
감사합니다.
'시황 & 뉴스 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6월 22일(화) 해외마감시황, 장전 봐야할 주요뉴스 (1) | 2021.06.22 |
---|---|
6월 21일(월) 장전 봐야할 주요뉴스 (0) | 2021.06.21 |
6월 17일(목) 해외마감시황, 장전 봐야할 주요뉴스 (0) | 2021.06.17 |
6월 16일(수) 해외마감시황, 장전 봐야할 주요뉴스 (0) | 2021.06.16 |
6월 15일(화) 해외마감시황, 장전 봐야할 주요뉴스 (0) | 2021.06.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