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밤 월드뉴스 총정리 12월23일] ‘성장률 호재’ 충격/ PCE 물가 둔화 기대/ 캐신 “산타 랠리 찬물”/ 톰 리의 확신/ 넷플릭스 5가지 우려/ 월가의 내년 지수 전망
산타랠리 어디에, 뉴욕증시 급락…尹 예산안 오늘 처리 [모닝브리핑]
◆뉴욕증시, 하루 만에 급락간밤 뉴욕증시가 급락했습니다. 투자자들이 하루 만에 주식을 던지면서 '산타 랠리'에 대한 기대감이 줄었습니다.. 한국경제 | 2022-12-23 06:57:03
'침체우려' 재부각에 美증시 하락...테슬라 8.9%↓[뉴욕마감]
A street sign on Wall Street outside the New York Stock Exchange September .. 머니투데이 | 2022-12-23 06:50:57
출처: <https://finance.naver.com/news/mainnews.nhn>
뉴욕증시, 긴축 재부각에 일제 급락 `테슬라 폭락`…유가 하락·비트코인 보합 [출근전 꼭 글로벌브리핑]
출처: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212230020&t=NN>
2022년 12월 23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테슬라가 모델3 모델Y를 7,500달러 할인합니다.
(2) 미 3분기 GDP 성장률 확정치가 3.2%로 잠정치보다 0.3%p 높아졌습니다.
(3) 마이크론의 실적이 부정적으로 해석되며 필반이 4% 내렸습니다.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595%p (-0.044%p)
한국 고객예탁금, 45.3조원 -0.0조원
K200 야간선물 등락률, -1.38% (오전 5시 기준)
1개월 NDF 환율 1,287.19원 (+11.14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 사진첩 ]
[미국증시 하락 : 너무 강한 경제?]
(Feat. 미국! 진짜 고용이 좋은 거니?)
•미국 주요지수는 장전 발표된 3분기 GDP가 컨센을 소폭 상회하는 안정적인 수치로 발표된 것에 더해 매주 목요일 장전 발표되는 주간 신규실업급여 청구건수 역시 컨센을 하회하며 주요지수 모두 1% 이상 하락 시작
•이후 최근 시장하락의 원인인 견조한 고용과 경제여건으로 연준이 계속 금리를 올려 결국 미국경제를 침체로 유도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며 주요지수 모두 하락폭 확대
•그러나 오후들어 S&P500가 장중 3800p를 하회하고, 나스닥 또한 52주 신저가에 다가서자 저가매수세와 숏커버가 크게 유입되며 나스닥 기준 저점대비 1.5%이상 반등하며 마감
•오늘 하락의 주범은 당연히 나스닥 메가테크, 성장주의 대표주자 Nvidia -7% / Tesla -8.8% 가 급락하며 하락 주도
•중국기업 ADR과 제약주는 보합권을 유지하며 선방했고, 이외 모든 섹터는 하락
•폭스뉴스는 실제 발표되고 있는 실업률이, CPI가 주택경기를 반영하고 있지 못한 것처럼 실질적인 고용상황(안좋음)을 왜곡하고 있다고 언급, 실제 주요 메가테크들이 발표한 감원내역만 보아도 규모가 역사적인데 실제 실업률은 너무 양호한 상황
☑️미국 최대 구인구직 사이트인 Indeed가 발표하는 신규구인포스팅은 올해2월 피크로 현재 반토막난 상황
•실업급여청구 역시 데이타가 실제 고용상황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음, 미국에서 실업급여를 받으려면 신청 전년도에 6개월이상 근로소득세를 납부한 기록이 있어야함, 결국 낮아진 노동참여율을 감안하면 실업이지만 실업급여청구를 못하는 사람이 많고 이는 통계에 나타나지 않음
SMART한 주식투자
12/23 [미래에셋증권] 해외 금융시장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 (02-3774-1621)
◆ 미국 증시
- DOW: 33,027.49p (-348.99p, -1.05%)
- S&P500: 3,822.39p (-56.05p, -1.45%)
- NASDAQ: 10,476.12p (-233.25p, -2.18%)
- 러셀2000: 1,754.09p (-22.86p, -1.29%)
◆ 한국 관련
- MSCI 한국지수 ETF: $56.90 (-0.42, -0.73%)
- MSCI 이머징지수 ETF: $37.85 (-0.34, -0.89%)
- Eurex kospi 200: 300.85p (-4.20p, -1.38%)
- NDF 환율(1개월물): 1,286.99원 / 전일 대비 10원 상승 출발 예상
- 필라델피아 반도체: 2,533.33 (-111.17, -4.20%)
◆ 외환시장
- 달러인덱스: 104.413 (+0.251, +0.24%)
- 유로/달러: 1.0593 (-0.0012, -0.11%)
- 달러/엔: 132.38 (-0.08, +0.06%)
- 파운드/달러: 1.2036 (-0.0046, -0.38%)
◆ 미국 국채시장
- 2년물: 4.2757% (+6.3bp)
- 5년물: 3.8028% (+3.3bp)
- 10년물: 3.6841% (+2.2bp)
- 30년물: 3.7432% (+3.0bp)
- 10Y-2Y: -59.16bp (4.09bp 역전 확대)
(국채선물)
- 2YR T-Notes: 102*29 1/4 (-0*03 3/4, -0.11%)
- 5YR T-Notes: 108*24 3/4 (-0*04 1/4, -0.12%)
- 10YR T-Notes: 113*17 1/2 (-0*04 , -0.11%)
- US T-Bonds: 128*14 (+0*03 , +0.07%)
- Ultra US T-Bonds: 139*13 (+0*03 , +0.07%)
◆ 상품시장 ($, 단 곡물, 구리는 센트)
- WTI: 77.49 (-0.13, -0.17%)
- 브렌트유: 80.98 (-0.65, -0.79%)
- 금: 1,795.30 (-25.90, -1.42%)
- 은: 23.62 (-0.47, -1.96%)
- 아연(LME, 3M): 2,948.00 (-61.50, -2.04%)
- 구리: 375.70 (-4.60, -1.21%)
- 옥수수: 660.50 (-2.25, -0.34%)
- 밀: 762.25 (-6.75, -0.88%)
- 대두: 1,472.00 (-11.75, -0.79%)
*동 자료는 2022년 12월 23일 미래에셋증권 홈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를 요약한 것입니다.
글로벌 주식시장 변화와 전망(12월 23일)
미래에셋증권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02-3774-1621)
미 증시, 경기 침체 우려 속 반발 매수 유입되며 낙폭 일부 축소
미 증시는 마이크론(-3.44%) 실적 부진으로 반도체 업종이 약세를 보인 가운데 3분기 GDP 성장률 상향 조정 소식에 연준의 긴축 행보에 대한 우려로 하락 출발. 이런 가운데 장중 발표된 경기 선행지수의 위축이 확대되고 2023년 초 경기 침체에 돌입할 것이라는 컨퍼런스보드의 주장으로 하락이 본격화. 특히 기술주, 에너지, 소비 업종이 하락 주도. 다만, 나스닥이 한 때 3.6% 급락하자 반발 매수세 유입되며 낙폭 일부 축소(다우 -1.05%, 나스닥 -2.18%, S&P500 -1.45%, 러셀2000 -1.29%)
변화요인: ①GDP 성장률 ②경기 선행지수
https://securities.miraeasset.com/bbs/maildownload/20221223063047193_3533
FOMC 구성원들의 최근 발언 정리(12월 23일 기준)
미래에셋증권 디지털리서치팀 김석환 선임연구위원
FOMC 이후 더 강경해진 연준 위원들의 발언
https://securities.miraeasset.com/bbs/download/2099178.pdf?attachmentId=2099178
주요 경제지표 및 일정(12월 26일~12월 30일)
미래에셋증권 디지털리서치팀 김석환 선임연구위원
韓 배당락일, 日 구로다 총재 연설, BOJ 회의록
https://securities.miraeasset.com/bbs/download/2099163.pdf?attachmentId=2099163
(2022.12.23) U.S. & EU Market Closing
- 2022.12.23 이상규
- U.S. Market Closing – 06:00 기준
지수 | 종가 | 등락폭 | 등락률 | 상승/하락/보합 |
DOW | 33,027.49 | -348.99 | -1.0% | 4/26/0 |
S&P500 | 3,822.39 | -56.05 | -1.4% | 86/412/5 |
NASDAQ | 10,476.12 | -233.25 | -2.2% | 1104/2290/2741 |
RUSS 2K | 1,754.09 | -22.86 | -1.3% | 436/1484/33 |
PHLX 반도체지수 | 2,533.33 | -111.17 | -4.2% | 0/30/0 |
VIX지수 | 21.97 | 1.90 | 9.5% |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 티레이더에서 나스닥•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실시간 제공
금일 미국증시는 성장률 호조에도 하락 마감 / 오는 26일 크리스마스 연휴를 기념해 미국 증시 휴장 예정에 거래량이 급감 / 금일 발표된 미국의 3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연율 3.2%를 기록하며 1분기 -1.6%, 2분기 -0.6%의 역성장을 되될리며 경기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 / 또한, 미국 내 소비지출이 상향 수정되며 잠정치인 2.9% 웃돌며 미국의 소비가 여전히 탄탄하다는 점을 시사 / 한편, 러시아에서는 푸틴이 중대발표를 할 것이라고 예고가 나온 가운데 북한의 전쟁물자 보급 정황 포착과, 핵무기 ICMB 실전배치 계획이 전격적으로 발표되며 글로벌 증시에 긴장을 확대 / 금일 미국의 경제지표가 긍정적으로 집계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 증시 시장참가자들은 부정 반응을 보이며 하락 마감
미국주식 하이라이트 – 06:00 기준
*애플 (AAPL) $132.23 / -2.38%
- 니담의 애널리스트는 당사의 FY23 iPhone 사업은 저조할 것이나, 광고 사업이 성장하며 실적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
- 23년 글로벌 경기침체 우려가 확대되는 가운데, 동사의 제품 수요에 영향을 줄 것으로 분석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MU) $49.43 / -3.48%
- 도이치뱅크는 당사의 수요전망을 분석했을 때, 실적 회복을 예상하고 투자하기에는 이르다는 분석을 제기
- 실적 부진이 계속되서 예상되는 가운데, 동사의 리스크 대비 보상 비율이 매력적이 않다는 전망
U.S. ETF Closing – 06:00 기준
Sector
분류 | 티커 | 현재가 | 등락률 | t신호 | 수익률 | ||
1개월 | 3개월 | 1년 | |||||
자유소비재 | XLY | 128.5 | -2.6% | 안개 | -9.1% | -9.5% | -37.0% |
IT | XLK | 124.5 | -2.5% | 안개 | -4.5% | 5.1% | -28.5% |
에너지 | XLE | 84.4 | -2.3% | 안개 | -4.6% | 18.4% | 57.9% |
산업재 | XLI | 97.8 | -1.3% | 안개 | -1.2% | 18.6% | -5.9% |
소재 | XLB | 78.0 | -1.0% | 안개 | -2.5% | 15.4% | -11.9% |
금융 | XLF | 33.8 | -0.9% | 안개 | -4.3% | 11.9% | -12.1% |
커뮤니케이션 | XLC | 47.4 | -0.8% | 안개 | -3.9% | -0.9% | -39.1% |
유틸리티 | XLU | 70.2 | -0.6% | 햇빛 | 0.8% | 8.0% | 1.7% |
부동산 | VNQ | 82.0 | -0.4% | 안개 | -3.2% | 2.3% | -27.2% |
필수소비재 | XLP | 74.8 | -0.2% | 안개 | -0.8% | 12.9% | -0.1% |
헬스케어 | XLV | 136.0 | -0.1% | 안개 | 0.3% | 12.8% | -2.2% |
자료: 티레이더,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금일 섹터 ETF는 일제히 하락 마감 / 23년 글로벌 경기침체가 예상되는 가운데 IT(XLK/-2.5%)와 자유소비재(XLY/-2.6%) ETF 내 해당 종목들의 수요가 줄어들 것이라는 우려에 하락 마감 / IT(XLK) 섹터 ETF 내 램 리서치(LRCX/-8.65%)와 앤비디아(NVDA/-7.04%)가 큰 폭의 하락세 시현
Thematic
분류 | 티커 | 현재가 | 등락률 | t신호 | 수익률 | ||
1개월 | 3개월 | 1년 | |||||
생명공학 | IBB | 133.8 | 0.1% | 안개 | 0.8% | 14.5% | -12.1% |
항공방산 | XAR | 108.4 | -1.7% | 햇빛 | 0.6% | 18.3% | -6.1% |
클린에너지 | ICLN | 20.1 | -1.7% | 안개 | -1.4% | 5.5% | -3.1% |
워런 버핏 | MOAT | 64.7 | -2.2% | 안개 | -2.2% | 9.2% | -14.4% |
IPO | IPO | 24.7 | -2.4% | 안개 | -4.9% | -13.1% | -56.8% |
기술혁신 | ARKK | 31.6 | -3.4% | 안개 | -9.7% | -16.2% | -66.3% |
반도체 | SOXX | 348.6 | -4.0% | 안개 | -4.9% | 9.7% | -35.9% |
자료: 티레이더,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금일 테마 ETF는 생명공학(IBB/+0.1%)를 제외한 모든 테마 ETF가 하락 마감 / 특히 반도체(SOXX/-4.0%)와 기술혁신(ARKK/-3.4%) ETF가 큰 폭의 하락세 시현 / 기술혁신(ARKK)는 텔러닥 헬스(TDOC/-8.56%)와 테슬라(TSLA/-8.88%)가 큰 폭의 하락 마감
EU Market Closing – 04:00 기준
지수 | 종가 | 등락률 | 구분 | 업종 | 등락률 |
STOXX 600 | 427.26 | -1.7% | 상승 | ||
정보기술 | 2.6% | ||||
자유소비재 | 1.4% | ||||
소재 | 1.2% | ||||
지수 | 종가 | 고가 | 저가 | 등락폭 | 등락률 |
獨 DAX | 13,914.07 | 14,160.87 | 13,890.54 | -183.75 | -1.3% |
英 FTSE 100 | 7,469.28 | 7,540.31 | 7,463.54 | -28.04 | -0.4% |
佛 CAC 40 | 6,517.97 | 6,614.35 | 6,503.88 | -62.27 | -0.9% |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금일 유럽증시는 유럽 주요국의 매파기조에 하락 마감 / 금일 독일은행 Nord/LB는 유럽중앙은행(ECB)이 내년 상반기에 정책금리 125bp 인상할 것으로 전망 / 이에 독일은행 총리는 유로존의 경제가 크게 악화되지 않는다는 시나리오이며, 경기변화가 있다면 전망이 달라질 수 있을 것이라 언급 / 한편, 지난 날 북한이 지난 달 러시아 와그너그룹에 로켓-미사일 등 무기를 전달한 것으로 알려지며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지리적 리스크에 대한 우려가 확대 / 유럽연합의 러시아 원유가격 상한제 이후 러시아 원유 수출이 52% 감소하였고, 이에 따라 23년 에너지 위기가 다시 붉어질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 / 또한, 크리스마스 연휴를 앞두고 유럽증시의 거래량이 안전자산선호심리로 돌아서며 증시 하락 요인으로 분석
'시황 & 뉴스 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월 27일(화) 증시캘린더 / 해외마감시황 (1) | 2022.12.27 |
---|---|
12월 26일(월) 증시캘린더 / 해외마감시황 (0) | 2022.12.26 |
12월 22일(목) 증시캘린더 / 해외마감시황 (0) | 2022.12.22 |
12월 21일(수) 증시캘린더 / 해외마감시황 (2) | 2022.12.21 |
12월 20일(화) 증시캘린더 / 해외마감시황 (0) | 2022.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