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주식투자 스터디를 위해 개인적으로 스크랩한 시황, 뉴스 자료를 공유합니다.

1) 노션 링크는 익스플로러에선 제대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크롬에 최적화 되어있으며, 엣지, 웨일에서도 잘 작동합니다.

 

2) 공유한 자료링크는 1~2일후 공유 해지 합니다.

 

게시물은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한 것이라

불확실하거나 오류가 많을 수 있으므로 투자 활용시 유의하시기 바라며, 개별적인 종목 추천이나 상담은 하지 않습니다.

 

모쪼록 제 공간에 오신 모든 분들이 주식스터디를 통해 인생 한 방보다, 꾸준함을 믿으며...

복리의 마법으로 모든 분들이 성공한 개인투자자가 되시길...

 


나스닥 사상 최고…아마존 4.7%↑ 유가 2%↓ [출근전 꼭 글로벌브리핑]

미 증시, 혼조세 마감…나스닥은 최고치

국제유가, 6년래 최고치 기록 후 차익매물 실현

미 국방부, '아마존·MS 분쟁' 제다이 클라우드 계약 취소

유럽·중국·베트남 증시 하락

출처: <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107070006&t=NN>

 

 

 

 

2021년 7월 7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월말 미 정부부채 한도 협상시한을 앞두고 공급감소가 예상되며 금리가 내렸습니다.  

 

(2) 미 정부가 OPEC+에 협상재개를 촉구하며 유가가 반락했습니다.

 

(3) 독일의 5월 공장주문, 6월 ISM 서비스업지수가 반락했습니다.

 

미 5년 breakeven rate 2.499%, -0.016%p (2% 상회시 유의, 2.5% 상회시 경고)

한국 고객예탁금, 67.8조원 +0.8조원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38%

1개월 NDF 환율 1,137.50원 (+7.75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미래에셋증권] 해외 금융시장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02-3774-1621)

 

◆ 미국 증시

- DOW: 34577.37p (-208.98p, -0.60%)

- S&P500: 4343.54p (-8.8p, -0.20%)

- NASDAQ: 14663.64p (+24.31p, +0.17%)

 

◆ 한국 관련

- MSCI 한국지수 ETF: 92.32p (-0.68p, -0.73%)

- MSCI 이머징지수 ETF: 53.82p (-0.96p, -1.75%)

  Eurex kospi 200: 437.50p(-1.65p. -0.38%)

- NDF 환율(1개월물): 1,137.49원 / 전일 대비 7원 상승 출발 예상

 

◆ 외환시장

- 달러인덱스: 92.545 (+0.333, +0.36%)

- 유로/달러: 1.1824 (-0.004, -0.34%)

- 달러/엔: 110.63 (-0.34, -0.31%)

- 파운드/달러: 1.3803 (-0.0041, -0.3%)

 

◆ 미국 국채시장

- 2년물: 0.2179% (-1.6bp)

- 5년물: 0.7965% (-6.1bp)

- 10년물: 1.3498% (-7.4bp)

- 30년물: 1.9811% (-5.9bp)

(국채선물)

- 2YR T-Notes: 110*07 1/4 (+0*01 , +0.04%)

- 5YR T-Notes: 123*24 3/4 (+0*08 3/4, +0.22%)

- 10YR T-Notes: 133*07   (+0*17 1/2, +0.41%)

- US T-Bonds: 162*03   (+1*6 , +0.74%)

- Ultra US T-Bonds: 195*05   (+1*27 , +0.95%)

 

◆ 상품시장 ($, 단 곡물, 구리는 센트)

- WTI: 73.37 (-1.79, -2.38%)

- 브렌트유: 74.53 (-2.63, -3.41%)

- 금: 1794.2 (+10.9, +0.61%)

- 은: 26.174 (-0.327, -1.23%)

- 아연(LME, 3M): 2934.5 (-11, -0.37%)

- 구리: 425.1 (-2.5, -0.58%)

- 옥수수: 539.75 (-40, -6.9%)

- 밀: 626 (-26.75, -4.1%)

- 대두: 1305 (-94, -6.72%)

- BDI: 3224 (-61, -1.86%)

 

*동 자료는 2021년 7월 7일 미래에셋증권 홈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를 요약한 것입니다.

 

글로벌 주식시장 변화와 전망(7월 7일)

미래에셋증권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02-3774-1621)

 

안전 자산 강세 불구 나스닥 상승 전환 성공

 

미 증시는 상승 출발 했으나 ISM 서비스업지수가 예상을 크게 하회하자 경기 확장이 약화 될 것이라는 우려가 높아지며 하락 전환 후 낙폭 확대. 더불어 델타 변이 바이러스 확산과 그에 따른 경기 우려 또한 지수 하락 요인으로 작용. 금융주와 에너지, 산업재가 개별적인 요인에 의해 약세를 보인 점이 특징. 다만 오후 들어 아마존(+4.69%)에 대한 긍정적인 소식과 국방부의 제다이 프로젝트 관련 언급 이후 클라우드 관련주가 강세를 보이자 나스닥은 상승 전환 성공(다우 -0.60%, 나스닥 +0.17%, S&P500 -0.20%, 러셀2000 -1.36%)

 

변화요인: 금융, 에너지 업종 하락 요인, 아마존 상승 요인

 

http://securities.miraeasset.com/bbs/maildownload/2021070706054831_3431

 

 

(2021.07.07) U.S. & EU Market Closing

2021.07.07  허단

U.S. Market Closing – 05:00 기준

지수 종가 등락폭 등락률 상승/하락/보합
DOW 34,577.37 -208.98 -0.6% 8/22/0
S&P500 4,343.54 -8.80 -0.2% 154/351/0
NASDAQ 14,663.64 24.31 0.2% 908/2302/145
RUSS 2K 2,274.50 -31.26 -1.4% 447/1522/13
PHLX 반도체지수 3,307.92 -7.91 -0.2% 8/22/0
VIX지수 16.44 1.37 9.1%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미국 증시는 국채 금리 하락과 달러 강세에 혼조세 마감. 금일 발표된 6월 ISM 서비스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60.1로 집계돼 전달 역대 최고치(64.0) 에서 소폭 둔화된 모습을 보였으며, 시장 예상치를 하회. 해당 지표 발표 이후 10년물 국채 금리는 장중 한때 7.4bp 내린 1.35%를 밑돌며 올해 2월 이후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한 점과 FOMC 의사록을 주시하며 달러가 강세를 시현한 점이 증시 혼조세에 기여. 금일 빅테크 기업의 주가는 희비가 갈린 가운데 아마존(AMZN)이 미 국방부와 마이크로소프트(MSFT)가 맺은 제다이(JEDI) 클라우드 컴퓨팅 프로젝트에 대한 이의 제기에서 승리하며 금일 4.7% 상승해 나스닥의 상승을 견인. 반면 마이크로소프트(MSFT)는 보합세로 장 마감. 한편, 중국 당국은 미국 증시에 상장한 중국 기업들이 자국에서 수집한 정보의 유출 가능성을 지적하며 규제 움직임을 보이자 만방(YMM/-6.7%), 디디추싱(DIDI/-19.6%)과 같은 기업의 주가가 큰 폭 하락.

 

U.S. ETF Closing – 05:00 기준

Sector

분류 티커 현재가 등락률 t신호 수익률






1개월 3개월 1년
부동산 VNQ 103.3 0.7% 햇빛 -0.7% 9.8% 37.1%
유틸리티 XLU 64.3 0.4% 안개 -1.1% -1.3% 15.0%
IT XLK 150.4 0.4% 햇빛 7.6% 5.8% 40.4%
자유소비재 XLY 181.4 0.1% 햇빛 5.9% 1.5% 37.0%
헬스케어 XLV 128.2 -0.1% 햇빛 4.3% 8.5% 29.2%
커뮤니케이션 XLC 81.9 -0.2% 햇빛 3.5% 7.0% 43.0%
필수소비재 XLP 69.6 -0.4% 안개 -0.5% 1.7% 18.6%
산업재 XLI 102.3 -1.0% 안개 -1.1% 2.2% 52.6%
소재 XLB 81.7 -1.5% 안개 -5.0% 2.3% 43.4%
금융 XLF 36.4 -1.6% 안개 -3.3% 4.4% 58.0%
에너지 XLE 52.9 -3.3% 햇빛 -3.9% 11.7% 56.5%

자료: 티레이더,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금일 섹터별 ETF는 부동산(VNQ/+0.7%), IT(XLK/+0.4%), 유틸리티(XLU/+0.4%)가 상승하였으며, 달러 강세와 금리 하락에 소재(XLB/-1.5%), 금융(XLF/-1.6%), 에너지(XLE/-3.3%)가 하락 마감. 금일 JP모건은 신제품 출시를 앞둔 애플(AAPL)의 목표가를 $170로 상향 조정하자 애플의 주가가 1.5% 상승하며 IT(XLK) 섹터의 상승을 주도. 반면 국채 금리 하락에 골드만삭스(GS/-1.2%), 모건스탠리(MS/-2.0%)와 같은 금융주가 부진하였으며,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OPEC+ 합의가 불발되며 장중 한때 6년래 최고치인 배럴당 $76선을 기록했으나, 최고치 경신 이후 차익실현 매물이 출회되며 배럴당 $73선으로 내려앉아 에너지(XLE) 섹터는 3.3% 하락 마감.

 

Thematic

분류 티커 현재가 등락률 t신호 수익률






1개월 3개월 1년
4차 산업혁명 CLOU 29.2 1.5% 햇빛 10.1% 6.4% 27.4%
리튬/배터리테크 LIT 72.8 1.0% 햇빛 7.1% 21.7% 100.5%
반도체 SOXX 449.7 -0.2% 햇빛 4.9% 2.0% 61.4%
기초소재 IYM 129.3 -1.7% 안개 -5.8% 2.2% 43.0%
레져/엔터테인먼트 PEJ 51.4 -1.8% 햇빛 -3.9% 11.6% 74.4%

자료: 티레이더,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금일 테마 ETF에서 4차 산업혁명(CLOU/+1.5%)와 리튬/배터리테크(LIT/+1.0%)가 상승하였으며, 기초소재(IYM/-1.7%), 레져/엔터테인먼트(PEJ/-1.8%)는 하락 마감. 4차 산업혁명(CLOU) 테마에서 아마존(AMZN)과 쇼피파이(SHOP)가 각 4.7%, 5.0% 상승하여 해당 ETF의 상승을 견인하였으며, 달러 강세에 따른 비철금속 가격 하락으로 프리포트-맥모란(FCX/-3.1%), 알코아(AA/-3.8%)의 주가가 하락하며 기초소재 ETF는 약세 시현.

 

EU Market Closing – 01:00 기준

지수 종가 등락률 구분 업종 등락률
STOXX 600 455.98 -0.5% 상승 부동산 +0.8%




건강관리 +0.7%




정보기술 +0.5%



하락 소재 -1.5%




금융 -1.7%




에너지 -2.4%
지수 종가 고가 저가 등락폭 등락률
獨 DAX 15,511.38 15,647.88 15,466.66 -150.59 -1.0%
英 FTSE 100 7,100.88 7,170.60 7,075.73 -64.03 -0.9%
佛 CAC 40 6,507.48 6,561.51 6,483.20 -60.06 -0.9%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유럽증시는 원자재 가격 하락과 예상치를 하회한 경제지표에 하락 마감. 금일 발표된 독일 5월 제조업 수주는 유로존 이외 국가의 수요가 줄어든 영향으로 전월대비 3.7% 감소해 시장의 투자 심리가 위축되었으며, FOMC 의사록 발표를 앞두고 달러 강세에 따른 원자재와 유가 하락이 증시 하방 압력을 높인 모습. 상승 업종으로는 부동산, 헬스케어가 각 0.8%, 0.7% 오른 반면 증시 상승을 주도해온 경기순환주는 약세를 시현하며 장 마감. 특히 비철금속과 국채금리 하락에 소재는 1.5%, 금융은 1.7% 하락하였으며 자동차와 부품은 공급망 병목 현상에 대한 우려가 지속되며 2.9% 하락하여 증시 하락 견인. 개별 기업으로는 프랑스 운송 설비 제조업체 알스톰(ALO FP)이 당해 잉여현금흐름이 악화될 것으로 예상하자 8.4% 하락해 STOXX600 내 가장 큰 하락 폭 기록.

 

 

 

 

출처: < https://m.myasset.com/extern/researchPortal/RP_0001000_P1.cmd?menuid=RP_0105000_P1&searchKeyGubun=1&keyword=&page=1&base_date=20210707053726&gbn=B&res_seq=172066>

 

 

[7/7 미국 증시 리뷰 및 평가, 키움/전략 시황 한지영]

 

1. 미국 증시 리뷰

 

6일(화) 미국 3대 증시는 사상최고치 경신 부담 속 6월 ISM 서비스업 PMI 부진 등이 경기 민감주를 중심으로 장중 하방 압력을 확대시킴.

 

6월 FOMC 의사록 경계심리도 지수 움직임을 제한했으나, 금리 하락, 미 국방부의 클라우드 사업 취소 등에 힘입어 기술주를 중심으로 장 중반 이후 반등에 나서면서 혼조세 마감(다우 -0.6%, S&P500 -0.2%, 나스닥 +0.2%).

 

업종별로는 부동산(+0.9%), 경기소비재(+0.8%), 유틸리티(+0.4%) 등이 강세, 에너지(-3.20%), 금융(-1.6%), 소재(-1.4%) 등이 강세.

 

6월 ISM 서비스업 PMI는 60.1로 전월(64.0) 및 예상치(63.3)를 모두 하회. 신규주문(63.9→62.1), 기업활동(66.2→60.4), 가격(80.6→79.5) 등 대부분 하위 항목들이 모두 둔화된 모습.                                                               

 

미 국방부는 산업 발전, 약 100억달러 규모의 합동방어인프라사업(JEDI) 클라우드 프로젝트를 취소. 2019년 트럼프 행정부 당시 마이크로소프트(+0.0%)가 수주했던 해당 프로젝트가 취소됨에 따라, 유력 후보로 급부상한 아마존(+4.7%) 주가가 급등. 이 영향으로 클라우드 등 여타 기술주들의 투자심리가 개선되며 나스닥 강세를 견인.

 

2. 미국 증시 평가

 

6월 FOMC 이후 한동안 시장참여자들의 인플레이션 민감도가 낮아졌다는 점이 미국 증시 강세의 배경이었음.

 

그러나 서비스업 PMI 부진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공급 부족, 비용 상승 등이 인플레이션 부담이 미국 서비스업체들의 심리를 둔화시키고 있는 모습.

 

10년물 금리가 약 20일만에 1.3%대로 하락한 것도 (델타 변이 확산 영향도 있으나), 서비스 PMI 부진에 따른 미국 경기 고점 및 성장률 둔화 우려가 반영됐던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음.

 

2차 보복소비 여력, 인프라 투자 기대감 등을 감안 시 경기 모멘텀이 이른 시일 내에 피크아웃할 것으로는 보이지 않지만, 단기적으로는 경계할 필요.

 

연준도 8월말 잭슨홀 미팅 전까지 6~7월 인플레이션 추이를 확인할 것임을 감안 시, 추후 인플레이션 민감 장세가 재차 출현할 가능성을 대비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

 

[7/7 한국 증시 리뷰 및 전망, 키움 전략/시황 한지영]

 

1. 한국 증시 리뷰

 

6일(화) 코스피는 개별 악재성 재료에서 기인한 바이오주 주가 조정, 중소형주 차익실현 물량 출회에도,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순매수 속 2분기 실적 시즌 기대감에 따른 삼성전자(+1.0%) 등 반도체 포함 IT 업종 주가 강세에 힘입어 상승 마감(코스피 +0.4%, 코스닥 -0.2%)

 

업종별로는 기계(+1.9%), 전기전자(+1.2%), 비금속광물(+0.9%) 등이 강세, 의약품(-3.0%), 운수창고(-0.4%), 철강금속(-0.4%) 등이 약세.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692억원, 2,237억원 순매수, 개인이 2,920억원 순매도를 기록

 

2. 한국 증시 전망

 

한국 증시는 단기적인 레벨 부담 속 미국발 경기모멘텀 둔화, 6월 FOMC 의사록 경계심리 등 대외 부담요인으로 금일 하락 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상.

 

역외 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이 약 7원 가까이 급등했음을 감안 시 외국인 수급도 우호적이지 않을 것으로 판단.

 

물론 장 개시전 발표예정인 삼성전자의 2분기 실적(영업이익 컨센서스 10.9~11.0조원)에 따라 장중 지수 방향성이 달라질 수 있음.

 

2분기에 대부분 기업들의 실적이 좋을 것이다라는 전망은 현재 주가에 상당부분 반영이 된 것은 사실.

 

그러나 4~6월 한국의 반도체 수출 호조세를 감안 시, 통상적인 서프라이즈 이상으로 삼성전자의 2분기 실적이 발표될 가능성을 열어둘 필요.

 

이 경우 전반적인 2분기 실적시즌에 대한 기대감이 재차 확대됨에 따라, 금일 대외 악재성 재료들을 상쇄시켜줄 수 있다고 판단.

 

https://www.kiwoom.com/h/invest/research/VMarketSDDetailView?sqno=4744

 

 

 

[한투증권 전기전자/핸드셋 조철희]

7월7일 IT 주요뉴스

 

● 삼성SDI도 韓美배터리 동맹 합류… 3조원대 美공장 건설 추진

-삼성SDI 미국 배터리 공장 건설이 초읽기에 들어감. 미국 3위 완성차 업체 스텔란티스와 미국 내 합작사 설립을 위해 양자 협의 중

-3조 원대에 이를 합작 공장의 세부 위치는 확정되지 않음. 합작사 설립에 최종 합의하면 미국에 약 30GWh 규모의 공장 설립에 나설 것

Link: https://bit.ly/2V5BV0S

 

● Hinge makers see orders for foldable smartphones ramp up(Digitimes prime)

-Hinge makers expect their shipments for foldable smartphones to ramp up and start making a positive contribution to revenue in the second half of 2021, according to industry sources.

 

● 中 폴더블 폰 몰려온다…비보·오포·샤오미 출시 대기

-비보, 오포, 샤오미 등 중국 기업이 올 하반기 폴더블 스마트폰 출시를 앞두고 있음. 롤러블 스마트폰 출시 역시 가시화

-오포는 3분기 인폴딩형 폴더블 출시 예상, 샤오미는 4분기에 폴더블 차기작 발표. 비보는 지금까지 나온 인폴딩 타입 중 카장 큰 디스플레이를 갖춘 폴더블을 내년 출시 전망

Link: https://bit.ly/3dP4N48

 

● “이것도 너무 비싸?” 삼성 야심작 ‘갤플립3’ 140만원?

-트론은 갤럭시Z플립 신모델 가격은 1249달러로 전작대비 200달러 인하할 것이라고 전함

-샘모바일은 Z폴드3가 400달러 가량 저렴해 질 것이라고 앞서 보도

Link: https://bit.ly/3dPogBC

 

● Memory module makers to embrace strong 3Q21(Digitimes prime)

-Memory module makers are poised to embrace brisk results in the third quarter of 2021, when the supply of memory chips remains tight, according to industry sources.

 

● 삼성 가성비폰 ‘갤럭시S21 FE’ 생산 시작…9~10월 출격 전망

-삼성전자 무선사업부는 이달부터 갤럭시S21 FE 생산을 시작한 상황. 초도물량 계획은 110만대, 올해 말까지 출하 목표는 600만대 정도

-상반기 중국 스마트폰 업체(오포·비보·샤오미)의 반도체 사재기로 인한 공급난이 어느 정도 해소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

Link: https://bit.ly/36gLJYf

 

● Foxconn posts flat revenue growth in 2Q21(Digitimes)

-Foxconn의 2분기 매출은 487억달러(+0.7% QoQ). 애플 신모델은 3분기에 출시될 준비 되어있음

-Foxconn이 6.7인치 모델, 6.1인치 모델 중 하나를 Foxconn과 Pegatron이, 다른 6.1인치는 Foxconn과 Luxhare가, 5.4인치 모델은 Pegatron이 조립할 것

Link: https://bit.ly/3dPMYSu

 

 

[메리츠증권 전기전자/2차전지 주민우]

 

★ 2차전지 주요 뉴스 (2021.7.7)

 

삼성SDI, 미국 3위 완성차 업체 스텔란티스와 지난달 중순 스텔란티스 본사가 있는 오번힐스에서 회담을 갖는 등 미국 내 합작사 설립을 위해 세부 내용 조율 중. LG에너지솔루션과 SK이노베이션도 스텔란티스 수주전에 뛰어들었지만 다양한 조건을 고려해 빠지고 삼성SDI와만 협상 중인 상황. 양사의 합작 공장은 3조원대 규모로 연간 30GWh를 생산할 계획 (동아일보)

https://bit.ly/3AylKcS 

 

일본 Sumitomo Metal (Panasonic 메인벤더), 2차전지용 양극재 생산 능력을 높이기 위해 470억엔 (약 4억 4,200만 달러) 투자 발표. 470억엔 중 400억엔은 일본 에히메현 양극재 공장 신축에 사용되고 나머지 금액은 일본 하리마 고잔 전구체 생산 능력 확대에 사용될 계획.  Sumitomo Metal은 현재 약 월 5,000톤에 양극재 생산량을 2025년 7,000톤, 2027년 1만톤까지 늘릴 계획 (Reuters)

https://reut.rs/3hMDEjE

 

Stellantis, Ellesmere Port 영국 공장을 BEV 전용 공장으로 전환시키는 계획 발표. 해당 공장을 바꾸기 위해 1억 파운드(약 1억 3,800만 달러)를 투자할 계획. 2022년부터 해당 공장은 영국 및 유럽에서 판매되는 Vauxhall, Opel, Peugeot 및 Citroen 용 소형 전기 밴을 생산할 예정 (InsideEVs)

https://bit.ly/2SWT1xu

 

Envison AESC, Nissan과의 계약에 이어 Jaguar Land Rover와 배터리 공급 계약 논의 중. Nissan과의 영국 배터리 합작 공장의 생산 능력은 9GWh이지만 Nissan 새 모델의 생산 능력은 연간 최대 100,000대로 60Kwh 배터리를 가정하면 배터리 요구 사항은 6GWh. 이로 인해 AESC는 LEVC와도 계약을 논의 중이며 두 회사는 이미 중국 제작 차량에 대해 공급 계약 체결 (영국 생산은 LG와 계약 체결) (InsideEVs)

https://bit.ly/3jV55uh

 

SK이노베이션, 배터리 분할 신호탄. SK는 지난 달 25일 ‘SK on’이라는 명칭으로 총 14건의 상표권을 출원. 상품 분류는 연료전지 소매업, 이차전지 소매업, 자동차용 배터리 등으로 구성. 배터리 사업 분할을 앞둔 SK이노베이션이 사명 검토에 들어간 것으로 풀이 (신아일보)

https://bit.ly/2TyWmTN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2021.07.06 (화) 필라델피아 반도체] 하나금융투자 반도체 애널리스트 김경민, CFA

 

전일 대비 -0.24%, 3,308선 마감

상승주 8, 하락주 22

 

다우 -0.60%, 나스닥 +0.17%, S&P 500 -0.20%

 

뉴욕 증시의 혼조 마감 영향으로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도 차익 실현 분위기 형성

 

전 세계 반도체 기업의 5월 매출은 $43.6B로 전년 동기 대비 +26%, 전월 대비 +4% 기록. 발표 기관 Semiconductor Industry Association에 따르면 5월 반도체 수요는 견조해 Y/Y, M/M 기준으로 매출 증가. 늘어난 수요에 대해 대응하기 위해 제품 출하가 활발하게 이루어짐. 특히 전월 대비 매출 증가율은 주요 지역에서 모두 플러스 기록. 북미/남미 +6%, 중국 +5%, 일본 +3%, 아시아 +3%, 유럽 +1%

 

이처럼 5월 전 세계 반도체 기업의 매출이 긍정적이지만,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의 반등에 크게 영향을 끼치지 못한 이유는 동 데이터가 발표된 전후 '6월' 대만 반도체 업종의 매출 발표가 시작됐는데, 전월 대비 flat에 가까운 기업들이 있기 때문. 대만 반도체 기업 중에서 6월 매출이 5월 대비 flat에 가까운 기업은 UMC +0.9% M/M, 난야테크, +0.5% M/M

 

실적의 Peak out 논란이 가시지 않는 가운데 주요 상승주는 실적보다 장기 성장성이 부각되는 화합물 반도체 수혜주, CREE +1.57%, Two Six +1.22%. 중국에서 화합물 반도체를 의미하는 '3세대 반도체'를 정책적으로 육성한다는 뉴스 보도 이후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내에서도 화합물 반도체 수혜주에 관심 집중

 

그 외의 상승주는 5G 통신장비 수혜주 브로드컴 +1.09%, 마벨 +0.14%

 

프로세서/파운드리 관련주 중에 엔비디아는 주도주 역할 지속. 전일 대비 +1.03%, TSMC ADR은 +0.96% 마감

 

메모리 반도체 및 스토리지 업종에서 마이크론만 상승. 마이크론은 지난주 실적 발표 시 P, Q, C 중에서 원가(Cost) 상승 및 업황 peak out 우려로 하락했다가 저가 매수세 유입. 마이크론 +0.93%, WDC -1.51%, 실리콘 모션 -0.39%, Seagate -1.61%

 

그 밖의 반도체 업종 및 전방 산업 관련 뉴스는 다음과 같음

 

아마존, 전일 대비 +4.69%. 2대 CEO Andy Jassy 부임. 원래 2003년부터 아마존 클라우드 서비스의 헤드 역할. 아마존 클라우드 사업부의 2020년 매출은 $26.2B, 시장 점유율 41%로 2위 경쟁사 마이크로소프트 클라우드의 2배를 상회하는 수준. 신임 CEO는 부임 첫날 서신을 통해 아마존 클라우드의 고객사가 Zoom, Netflix, Epic Games 등이라고 밝힘

 

마이크로소프트, 전일 대비 +0.004%. 미국 국방부는 $10bn 규모의 Joint Enterprise Defense Infrastructure 클라우드 프로젝트 취소. 동 프로젝트를 수주했던 마이크로소프트와 아마존 클라우드 사업부 사이에 논쟁이 있었음. 동 프로젝트를 취소한다고 해서 클라우드 투자를 안 하겠다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멀티 벤더 형태로 재추진. 아마존과 마이크로소프트 양사에 동시에 기회를 줄 것으로 전망

 

닌텐도, 전일 대비 +2.47%. 올해 10월 8일부터 신규 Switch 게임기 판매 추진. 대당 350달러. 2017년 $299짜리 제품 이후 첫 번째 하드웨어 업그레이드, 7인치 OLED 디스플레이 및 64GB 저장 공간 제공. 일부 뉴스에 따르면 Game console 시장에서 부품 공급 부족으로 이번 업그레이드 버전이 2017년 모델과 큰 차이가 없다고 함

 

AMD, 전일 대비 -0.24%. Xilinx 인수 건에 대해 영국 규제 당국으로부터는 승인을 받았고, 이제 중국 규제 당국이 반독점 규제 관련 승인 여부 검토 중. AMD의 Xilinx 인수 프로젝트는 현재까지 순항하는 분위기였으나, 최근 중국의 디디추싱이 중국 내 앱스토어에서 잠정 퇴출당한 이후 중국 규제 당국의 스탠스에 대해 불확실성 증가

 

퀄컴, 전일 대비 -0.97%. 5월 중순 이후 주가가 124달러에서 141달러까지 상승한 이후 단기 차익 실현. 실제로는 호재가 이어짐. Mobile World Congress 2021에서 10Gbps 데이터 전송 데모 선보임. 퀄컴의 스냅드래곤 X65 5G 모뎀-RF 제품과 QTM545 mmWave 안테나 모듈 적용. 퀄컴은 5G 기술 도입을 대비해 RF 프론트엔드에서 안테나까지 아우르는 솔루션 공급 추진

 

감사합니다.

 

 

『하루를 여는 혁신투자자문 IPO News Letter💌 - 20210707』

 【 텔레그램 채널 주소 : https://t.me/KoreaIB

 【 IPO상장문의 및 이경준 대표 Contact ☞ 📧 ipo@kakao.com 】

 

===========================

 

 

📌Today's Topic》

[시그널] 'IPO 수요예측 흥행' SD바이오센서 공모가 5.2만 원 유력

https://www.sedaily.com/NewsView/22OT444LG7

☞ 이경준 혁신투자자문 대표는 “낮아진 공모가와 변이바이러스의 국내 확산으로 기관 투자가 사이에서 SD바이오센서 재평가 바람이 불고 있다“며 ”공모 일정 연기가 독이 아닌 약이 된 긍정적 사례로 평가될 것“이라 말했다.

 

 

===========================

 

★ 금일 IPO 일정 ★

 07/07~08 큐라클 수요예측⚖️

 

☆ 금주 남은 IPO 일정 ☆

 07/07~08 큐라클 수요예측⚖️

 07/08~09 에스디바이오센서 청약🖨

 

 ------------------------------------------

 

▣ 기관IR 일정 ▣

 - 소규모 간담회로만 진행 中 -

 

▣ 상장 일정(예정, 변경가능) ▣

 07/13 오비고(NH투자증권)

 07/20 SD바이오센서(NH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07/22 큐라클(삼성증권)

 07/27 맥스트(하나금융투자)

 07/28 브레인즈컴퍼니(키움증권)

 07/29 에브리봇(NH투자증권)

 07/29 플래티어(KB증권)

 07/30 엠로(한국투자증권)

 미정 - 딥노이드(KB증권)

 08/05 카카오뱅크(KB증권)

 08/10 에이치케이이노엔(한국투자증권, 삼성증권)

 08/10 크래프톤(미래에셋증권)

 미정 - 원티드랩(한국투자증권)

 08/12 카카오페이(삼성증권)

 08/17 한컴라이프케어(미래에셋증권)

 08/20 바이젠셀(대신증권)

 

 

▣ 심사 승인 ▣

 - 실리콘투(삼성증권, 미래에셋증권)

 - 아주스틸(미래에셋증권)

 - 에이비온(미래에셋증권, 한화투자증권)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 국내 IPO 개별종목

■ 카카오페이, 고심 끝 내놓은 기업가치 방정식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7051505589960109548&lcode=00&page=1&svccode=00

 

■ '배당금 부담' 11번가, IPO도 가물가물

https://paxnetnews.com/articles/75884

 

■ SK팜테코 올해 상장 추진할까...지속적인 성장세 기대

http://www.ezy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111825

 

■ 지엔티파마, 창사 23년만에 기업공개 추진…"연말 상장 목표"

https://biz.sbs.co.kr/article/20000021938?division=NAVER

 

■ [시그널] LG전자·HDC가 찜한 IoT 보안 솔루션 노르마, 코스닥 상장 추진

https://www.sedaily.com/NewsView/22OT3A4P40

 

 ■ 베어링PEA, 로젠택배 대명화학에 매각 추진…IPO는 중단될 듯

http://www.investchosun.com/2021/07/06/3263777

 

■ 부광약품 자회사 콘테라파마, IPO 본격화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7051349198520108494&lcode=00&page=6&svccode=00

 

■ [KTB네트워크 상장 도전기]VC 중 9번째 IPO…다사다난 홀로서기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6281333427320103286&lcode=00&page=6&svccode=00

 

■ 파트너원인베, IPO 임박 한컴라이프케어 블록딜 타진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7051359386120107453&lcode=00&page=1&svccode=00

 

 

▶️▶️▷ IPOmarket(해외IPO포함)

■ 금감원 증권신고서 정정 요구, 형평성 논란 불가피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7021725124160107668&lcode=00&page=2&svccode=00

 

 ■ 잇단 공모가 거품 논란…이유는?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296406629111896&mediaCodeNo=257&OutLnkChk=Y

 

 ■ 兆 단위 ‘바이오 대어’ 온다…하반기 IPO 후끈

https://www.econovill.com/news/articleView.html?idxno=539586

 

 

▶️▶️▷ 시장 이모저모

■ [속보] 백악관 OPEC 긴급 중재 국제유가 와르르 급락, 뉴욕증시 환호 나스닥기술주↑국채금리↓ https://cmobile.g-enews.com/view.php?ud=2021070705563888694a01bf698f_1&md=20210707060334_R#

 

■ [단독]전인천 티몬 신임 대표, 취임 한달만에 사임

http://www.newsway.co.kr/news/view?tp=1&ud=2021070608582321628

 

■ [관점뉴스] 경쟁사 크래프톤은 'IPO 최대어' 됐는데 스마일게이트는 '감감무소식'…왜?

https://www.news2day.co.kr/article/20210706500002

 

 ■ KTB투자증권, 유진저축은행 지분 51%를 2003억 주고 인수

https://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239548

 

■ [단독] SK이노, 배터리 분할 신호탄…사명 'SK ON' 우선순위

http://www.shina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32603

 

 

▶️▶️▷ 시세/시황

[표]IPO장외 주요 종목 시세(7월 6일)

https://www.sedaily.com/NewsView/22OT2YLSNF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