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주식투자 스터디를 위해 개인적으로 스크랩한 시황, 뉴스 자료를 공유합니다.

1) 노션 링크는 익스플로러에선 제대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크롬에 최적화 되어있으며, 엣지, 웨일에서도 잘 작동합니다.

 

2) 공유한 자료링크는 1~2일후 공유 해지 합니다.

 

게시물은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한 것이라

불확실하거나 오류가 많을 수 있으므로 투자 활용시 유의하시기 바라며, 개별적인 종목 추천이나 상담은 하지 않습니다.

 

모쪼록 제 공간에 오신 모든 분들이 주식스터디를 통해 인생 한 방보다, 꾸준함을 믿으며...

복리의 마법으로 모든 분들이 성공한 개인투자자가 되시길...

 


뉴욕증시, 연준 의사록에 `안도`...애플 신고가 [출근전 꼭 글로벌브리핑]

미 증시, FOMC 의사록 공개 속 상승…S&P500·나스닥 사상최고

연준 위원들 "물가 상승 일시적…테이퍼링 서두르지 않아"

모건스탠리 "中, 디디추싱 규제…테슬라 영향 가능성"

유럽·중국·베트남 상승

출처: <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107080005&t=NN>

 

 

 

日 도쿄에 코로나 긴급사태 재선포키로…올림픽 무관중될 듯

송고시간2021-07-07 20:12

내달 22일까지 시한…8일 코로나 대책본부회의서 공식 결정

출처: < https://www.yna.co.kr/view/AKR20210707177600073?input=1195m>

 

 

 

 

2021년 7월 8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중국 국무원이 지준율 인하 가능성을 제기했다고 CCTV가 보도했습니다.

 

(2) FOMC 위원들이 주택가격 상승으로 MBS 우선 테이퍼링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3) 애플이 신고가를 기록하며 삼성전자와 1년 수익률이 같아졌습니다.

 

미 5년 breakeven rate 2.450%, -0.049%p (2% 상회시 유의, 2.5% 상회시 경고)

한국 고객예탁금, 66.7조원 -1.1조원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02%

1개월 NDF 환율 1,141.98원 (+3.98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7/7 미국 상승 = 신고가 행진 지속]

(Feat. 결국 2분기 실적 장세)

 

<About Market>

장초반 약세를 보이는 듯하던 증시는 경기민감주와 빅테크들에 저가매수세가 유입되며 스몰캡 지수인 러셀2000을 제외하고 모두 상승마감하였습니다.

 

오늘 증시는 당분간 미국증시의 방향성을 단적으로 보여준 하루같습니다.(국내도 마찬가지)

 

오늘 상승한 섹터인 경기민감주와 빅테크의 공통점은 2분기 실적이 좋은 대표기업들이라는 것입니다.

 

실적이 없고 그나마 PSR도 없는, PDR주식들은 전주에 이어 이번주에도 지속적인 약세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FOMC 의사록

-테이퍼링 논의(언제시작+어떻게)

-아직은 너무 이르지만, 예상보다 빠른 경제회복속도와 인플레이션을 감안하여 신중하게 추후 적절한 시점에 테이퍼링을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에 대부분 동의

☑️연준과 파월의장은 ‘변화(테이퍼링)’ 전 충분한 사전 공지를 할 것이며, 무엇보다 명확하고 충분한 데이타(고용개선이 구조적이란 증거)가 확보되어야함을 지속적으로 강조하고 있습니다.

 

•나스닥 +0.0% / 러셀2000 -1.3%

•S&P500 +0.4% / 다우 +0.3%

-나스닥 Top10 : 상승 7 vs 하락 3

 

-비트코인 : $35,000

-미국채금리(10y) : 1.318 (-3.8%)

-WTI : $72.00 (-1.9%)

 

*코로나 : 신규확진자 감소

(전일 11,612 / WoW -13.1%)

 

SMART한 주식투자

https://t.me/frankinvest

 

 

[미래에셋증권] 해외 금융시장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02-3774-1621)

 

◆ 미국 증시

- DOW: 34,681.79p (104.42p, +0.30%)

- S&P500: 4,358.13p (14.59p, +0.34%)

- NASDAQ: 14,665.06p (1.42p, +0.01%)

 

◆ 한국 관련

- MSCI 한국지수 ETF: 91.58p (-0.74p, -0.8%)

- MSCI 이머징지수 ETF: 53.76p (-0.06p, -0.11%)

- Eurex kospi 200: 436.35p (-0.10p, -0.02%)

- NDF 환율(1개월물): 1,141.97원 / 전일 대비 3원 상승 출발 예상

 

◆ 외환시장

- 달러인덱스: 92.726 (+0.18, +0.19%)

- 유로/달러: 1.1792 (-0.0032, -0.27%)

- 달러/엔: 110.65 (+0.02, +0.02%)

- 파운드/달러: 1.38 (0, 0%)

 

◆ 미국 국채시장

- 2년물: 0.2161% (-0.2bp)

- 5년물: 0.782% (-1.5bp)

- 10년물: 1.3179% (-3bp)

- 30년물: 1.9365% (-3.7bp)

- 스프레드(10Y-2Y): +110.18bp (-2.84bp)

(국채선물)

- 2YR T-Notes: 110*07 3/4 (+0*00 1/2, +0.01%)

- 5YR T-Notes: 123*29 1/4 (+0*04 1/2, +0.11%)

- 10YR T-Notes: 133*17 1/2 (+0*10 1/2, +0.25%)

- US T-Bonds: 163*09   (+1*6 , +0.73%)

- Ultra US T-Bonds: 197*14   (+2*9 , +1.17%)

 

◆ 상품시장 ($, 단 곡물, 구리는 센트)

- WTI: 72.2 (-1.17, -1.59%)

- 브렌트유: 73.43 (-1.1, -1.48%)

- 금: 1,802.10 (+7.9, +0.44%)

- 은: 26.129 (-0.045, -0.17%)

- 아연(LME, 3M): 2,958.50 (24.0, +0.82%)

- 구리: 432.25 (+7.15, +1.68%)

- 옥수수: 531 (-8.75, -1.62%)

- 밀: 622.25 (-3.75, -0.6%)

- 대두: 1,327.25 (+22.25, +1.7%)

- BDI: 3,179.00 (-45, -1.4%)

 

*동 자료는 2021년 7월 8일 미래에셋증권 홈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를 요약한 것입니다.

 

글로벌 주식시장 변화와 전망(7월 8일)

미래에셋증권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02-3774-1621)

 

미 증시, 확연한 실적 시즌 준비

 

미 증시는 국채금리 하락에 따른 대형 기술주가 강세를 보이며 상승 출발 했으나 경기 확장세 정점 논란이 유입되며 투자 심리가 위축되며 하락 전환. 그러나 뚜렷한 방향성 보다는 FOMC 의사록 공개를 앞두고 보합권 등락에 그침. 한편, FOMC 의사록은 시장 우려와 달리 지난 6월 FOMC 당시보다 매파적인 내용이 크지 않아 금융시장에 큰 변화를 주지 않았음. 이후 본격적인 실적 시즌을 앞두고 실적 개선이 뚜렷한 대형 기술주가 강세를 보이며 대체로 시장은 소폭 상승 마감(다우 +0.30%, 나스닥 +0.01%, S&P500 +0.34%, 러셀2000 -0.95%)

 

http://securities.miraeasset.com/bbs/maildownload/2021070805454951_3431

 

(2021.07.08) U.S. & EU Market Closing

2021.07.08  허단  U.S. Market Closing – 05:00 기준

지수 종가 등락폭 등락률 상승/하락/보합
DOW 34,681.79 104.42 0.3% 21/9/0
S&P500 4,358.13 14.59 0.3% 338/166/1
NASDAQ 14,665.06 1.42 0.0% 878/2227/250
RUSS 2K 2,254.28 -20.22 -0.9% 613/1340/29
PHLX 반도체지수 3,261.73 -46.19 -1.4% 2/28/0
VIX지수 16.25 -0.19 -1.2%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미국 증시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에 안도하며 상승 마감. 금일 발표된 FOMC 의사록에는 테이퍼링을 논의했지만, 서두르지 않겠다는 입장을 확인. 다수 위원은 최근 시장의 인플레이션이 높은 수준이지만 이는 공급 부족과 병목현상으로 인한 일시적인 것임에 대체로 동의하였으며, 경제의 실질적 진전이 있기까지 테이퍼링을 서두르지 않을 것을 시사. FOMC에서 테이퍼링 논의가 본격화되었을 것이란 우려가 줄어든 시장은 투자 심리가 회복되며 S&P500, 나스닥 지수는 다시 한 번 최고치 경신. 금일 미국 증시에서 반도체와 유가 약세에 따른 에너지 섹터를 제외한 대부분 섹터가 상승하였으며, 메가캡 기업의 주가 역시 전반적인 상승 시현. 반면 테슬라(TSLA)는 자율주행기술 차량 충돌 사고로 소송이 제기되며 2.3% 하락 마감. 한편, 금일 발표된 미 5월 채용공고 수는 920만 9천 건을 기록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해 경제 회복세를 재확인.

U.S. ETF Closing – 05:00 기준

Sector

분류 티커 현재가 등락률 t신호 수익률






1개월 3개월 1년
소재 XLB 82.5 1.0% 안개 -3.4% 2.6% 44.9%
산업재 XLI 103.35 1.0% 안개 0.3% 3.1% 53.5%
유틸리티 XLU 64.71 0.7% 안개 -1.1% -1.1% 15.6%
헬스케어 XLV 128.95 0.6% 햇빛 3.2% 9.2% 29.3%
필수소비재 XLP 70.01 0.5% 안개 -0.6% 2.3% 19.4%
IT XLK 151.19 0.5% 햇빛 7.3% 7.5% 44.1%
부동산 VNQ 103.59 0.3% 햇빛 -1.1% 10.7% 39.2%
금융 XLF 36.4 0.1% 안개 -2.1% 3.9% 57.5%
자유소비재 XLY 181.25 -0.1% 햇빛 5.4% 2.4% 38.7%
커뮤니케이션 XLC 81.82 -0.2% 햇빛 2.8% 7.9% 45.7%
에너지 XLE 52.05 -1.6% 안개 -5.4% 6.9% 54.8%

자료: 티레이더,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금일 섹터별 ETF는 소재(XLB/+1.0%), 산업재(XLI/+1.0%), IT(XLK/+0.5%)가 상승하였으며, 유가 약세가 지속되며 에너지(XLE/-1.6%)는 하락 마감. 금일 크레디트스위스는 미국의 인프라 투자안과 재생에너지 개발로 철강 수요가 견조할 것으로 예상하였으며, 철강 제품 생산 업체인 뉴코(NUE)가 3.4% 상승하여 소재(XLI) 섹터의 상승 주도. 전일 미 국방부의 클라우드 사업인 제다이(JEDI) 프로젝트에 마이크로소프트와 맺은 계약을 취소하고 여러 기업의 입찰을 받을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금일 국방부 관계자가 소프트웨어업체 오라클(ORCL)의 입찰 적격성을 평가할 것이라는 소식에 3.6% 올라 IT(XLK)의 상승을 견인.

 

Thematic

분류 티커 현재가 등락률 t신호 수익률






1개월 3개월 1년
리튬/배터리테크 LIT 75.4 3.6% 햇빛 9.3% 23.5% 100.8%
주거건축 XHB 74.2 1.7% 햇빛 3.2% 1.5% 70.5%
수송 XTN 84.3 -0.3% 안개 -3.7% -5.4% 61.0%
반도체 SOXX 442.9 -1.5% 햇빛 2.2% 1.6% 61.6%
기술혁신 ARKK 124.3 -2.3% 햇빛 8.1% -0.5% 64.2%

자료: 티레이더,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금일 테마 ETF에서 리튬/배터리테크(LIT/+3.6%), 주거건축(XHB/+1.7%) 테마가 상승하였으며, 수송(XTN/-0.3%), 반도체(SOXX/-1.5%), 기술혁신(ARKK/-2.3%)이 하락. 금일 수송(XTN) 테마는 델타 변이 확산 우려에 델타 에어라인(DAL/-1.6%), 아메리칸 에어라인(AAL/-3.3%)등 항공주가 부진한 영향으로 하락하였으며, 마이크론 테크놀로지(MU/-3.5%), AMD(AMD/-4.2%)를 비롯한 반도체 기업 전반이 약세를 시현하며 반도체(SOXX) 테마는 1.5% 하락 마감.

 

EU Market Closing – 01:00 기준

지수 종가 등락률 구분 업종 등락률
STOXX 600 459.53 0.8% 상승 소재 +1.7%




유틸리티 +1.4%




정보기술 +1.2%



하락 에너지 -1.1%
지수 종가 고가 저가 등락폭 등락률
獨 DAX 15,692.71 15,700.95 15,604.58 181.33 1.2%
英 FTSE 100 7,151.02 7,153.68 7,100.88 50.14 0.7%
佛 CAC 40 6,527.72 6,550.95 6,497.75 20.24 0.3%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유럽증시는 비철금속 가격 상승과 국채금리 하락에 기술주로 자금이 유입되며 강세 마감. 시장은 전일 발표된 미국 서비스업 지표가 둔화되자 경기가 빠르게 회복될 것이란 기대감이 주춤한 모습. 이에 미 10년물 국채 금리는 금일 한때 1.30%를 밑돌기도 하였으며, 금리 하락에 기술주로 저가 매수세가 유입되며 증시 상승을 견인. 금일 상승 업종으로는 비철금속 가격 회복에 앵글로아메리칸(AAL LN/+3.1%), BHP그룹(BHP LN/+3.2%)이 강세를 시현하며 소재가 1.7% 올랐으며, 금리 하락 영향으로 유틸리티가 1.4% 상승 시현. 반면 전일에 이어 유가가 약세를 시현하며 에너지는 1.1% 하락. 한편, 금일 진행된 EU 집행위원회 하계 경제 전망에서 올해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4.8%로 상향하였으며, 실질 국내총생산은 올해 4분기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돌아갈 것으로 전망. 다만 이와 동시에 코로나바이러스 델타 변이 확산에 대한 경계감을 표명.

 

 

출처: < https://m.myasset.com/extern/researchPortal/RP_0001000_P1.cmd?menuid=RP_0105000_P1&searchKeyGubun=1&keyword=&page=1&base_date=20210708053400&gbn=B&res_seq=172108>

 

 

[7/8 미국 증시 리뷰 및 평가, 키움 전략/시황 한지영]

 

1. 미국 증시 리뷰

 

7일(수) 미국 3대 증시는 경기 모멘텀 둔화 우려, 2분기 실적 시즌 관망심리가 상존했음에도, 경기민감주들로의 기술적 매수세 유입 속 예상에 부합했던 6월 FOMC 의사록 결과를 소화해낸 영향에 힘입어 상승 마감(다우 +0.30%, S&P500 +0.34%, 나스닥 +0.01%).

 

업종별로는 소재(+1.0%), 산업재(+1.0%), 헬스케어(+0.6%) 등이 강세, 에너지(-1.7%), 커뮤니케이션(-0.1%), 경기소비재(-0.0%) 등이 약세.

 

6월 FOMC 의사록에 의하면, 대부분 위원들은 테이퍼링 요건이 다소 일찍 충족될 것으로 예상.

 

그러면서도 테이퍼링을 위한 경제 데이터의 실질적인 진전이 충족되지 않았다는 의견이 지배적. 다만, 일부 위원들은 실질적 진전이 지속될 것이라고 평가.

 

인플레이션과 관련해서는, 대부분 위원들이 코로나발 공급 부족과 병목현상에서 기인한 일시적인 현상이라고 진단.

 

그러나 일부 위원들은 인플레이션이 높은 수준을 이어갈 시 기대인플레이션의 부적절한 급등 출현에 대해 경계할 필요가 있다는 입장을 표명.

 

2. 미국 증시 평가

 

금번 의사록은 지난 6월 FOMC 회의 직후 공개된 성명서 및 파월 의장의 기자회견과 크게 변한 것도, 추가된 것도 없었던 것으로 볼 수 있음.

 

6월 FOMC 이후에 시장이 예상하고 있었던 수준의 매파적인 의사록이었기 때문에 시장 참여자들이 양호하게 소화해낼 수 있었던 것으로 판단.

 

그러나 테이퍼링에 대한 구체적인 시점과 규모에 대해 단서를 제공하지 않았다는 점은 향후 FOMC(8월말 잭슨홀 미팅 포함)를 앞두고 일시적인 시장 불확실성을 확대시킬 수 있음에 유의할 필요.

 

또한 연준 위원들 대부분은 현재의 고 인플레이션을 일시적 현상으로 평가하고 있지만, 직전 회의에 비해 인플레이션 경계감이 연준 내에서도 다소 높아졌음에도 주목할 필요.

 

미국도 본격적인 2분기 실적시즌에 진입하는 만큼 매크로 영향력보다는 실적 향력이 더 높아지는 장세가 전개될 것으로 전망.

 

그럼에도 차주 발표 예정인 6월 미국의 6월 소비자물가 결과를 둘러싼 불확실성 확대 가능성에도 대비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

 

[7/8 한국 증시 리뷰 및 전망, 키움 전략/시황 한지영]

 

1. 한국 증시 리뷰

 

7일(수) 코스피는 삼성전자의 2분기 어닝 서프라이즈(영업이익 12.5조원, 컨센서스 11조원), 미국 금리 하락에 따른 대형 성장주 강세에도, 미국 경기 둔화 불안, 6월 FOMC 의사록 경계심리 등 매크로 불확실성이 경기 민감주를 중심으로 약세 압력을 가하면서 하락 마감(코스피 -0.6%, 코스닥 +0.2%)

 

업종별로는 종이목재(+5.7%), 서비스(+0.5%), 의료정밀(+0.3%) 등이 강세, 보험(-1.5%), 금융(-1.3%), 섬유의복(-1.3%) 등이 약세.

 

수급별로는 개인이 1조 1,660억원 순매수, 외국인과 개인이 각각 3,408억원, 8,350억원 순매수를 기록.

 

2. 한국 증시 전망

 

한국 증시는 2분기 실적 시즌 기대감 속 6월 FOMC 의사록을 소화하면서 반등을 시도할 전망.

 

삼성전자의 어닝 서프라이즈, LG전자의 양호한 실적을 감안 시 2분기 실적 시즌에 대해 불안감보다는 기대감을 갖는 것이 유효하다고 판단.

 

아직까지 매크로 불확실성이 완전히 해소되지 않았다는 점은 삼성전자 등 초대형주들로의 외국인 수급 개선이 지연될 가능성 존재.

 

그러나 올해 상반기 공격적인 순매도를 통해 상당부분 포지션 축소가 진행된 만큼, 추가 매도 압력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

 

장중에는 전거래일 상대적으로 약세폭이 컸던 경기민감주들의 기술적 매수세 유입에 의한 주가 반등 여부를 주목할 필요.

 

옵션 만기일임을 감안 시 장중 외국인과 기관의 단기적인 현선물 수급 변동성 확대 가능성도 열어놓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

 

 

 

 

<메리츠 중국 최설화>

[국무원 상무회의 주요 내용 요약: 적절한 시기에 지준율 인하 등을 통해 종합적인 자금조달 비용의 점진적인 하락 유도]

 

금일 리커챵 총리가 주재한 상무회의 결과를 번역 및 요약해서 보내드립니다.

 

(통화정책)

- 원자재 가격 상승이 기업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환경. 과잉 유동성을 풀지 않는 전제에서 안정적인 통화기조를 유지할 것

- 적절한 시기에 지준율 인하 등 통화정책 도구를 이용해 실물경기, 특히 중소기업 지원을 강화하고 자본조달 비용의 점진적인 하락을 유도할 것

 

(의료보장)

- 농민공을 중심으로,  수억명 인민의 문진, 입원의 타지역간 결산 서비스 제공. 올해 안에 성급 지역간 최소 1개 병원의 시스템을 연결할 것

- 의료보험이 가능한 지정병원의 총 예산관리 시스템 개선 및 확대 추진

- 의료보험에 참여되는 상업보험기관과 보험 종류도 늘릴 것

 

(고용 안정)

- 다양한 신규 형태의 일자리 창출

- 기업은 노동보수를 100% 지급해야 할 것

- 외식, 배달 등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종사자의 노동 권익을 보호할 것

- 신규 형태의 직업 훈련 기관의 설립 격려, 필요시 보조금 지급

- 양로, 의료보험에 가입할 수 있는 호구제 제한을 폐지할 것

 

(탄소중립)

- 7월부터 발전 산업의 탄소배출권 거래를 가동하고, 시장화 방식으로 이산화탄소 배출을 감소할 것

 

원문 기사 링크(중): https://bit.ly/3hnTCS6

 

* 본 내용은 당사의 코멘트 없어 국내외 언론사 뉴스 및 전사공시자료 등을 인용한 것으로 별도의 승인없이 제공합니다. 한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에 유의 바랍니다.

 

 

 

 

 

 

 

 

[2021.07.07 (수) 필라델피아 반도체] 하나금융투자 반도체 애널리스트 김경민, CFA

 

전일 대비 -1.40%, 3,262선 마감

상승주 2, 하락주 28

 

다우 +0.30%, 나스닥 +0.01%, S&P 500 +0.34%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이틀 연속 하락. 반도체 업종에서 미중 갈등이 다시 확대되는 것을 암시하는 듯한 뉴스가 투자 심리에 부정적. TSMC가 중국 난징시에 증설을 추진 중인데, 이러한 프로젝트에 대해 미국 정부가 우려를 제기한다는 뉴스가 Digitimes에 보도. 한편 미국 아날로그 반도체 공급사 ADI와 Maxim의 M&A 시도에 대해 중국 규제 당국의 심사가 빨리 마무리되지 못하고 중국 내 일부 밸류 체인의 이의 제기 영향으로 연장될 것이라는 뉴스 보도. 이러한 뉴스 때문에 M&A 당사자인 ADI와 Maxim은 각각 -1.72%, -2.46% 하락. 양사처럼 M&A를 추진 중이며 역시 중국 규제 당국의 승인을 기다리고 있는 AMD와 Xilinx도 각각 -4.16%, -4.67% 하락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내의 상승주는 2개사. 공정소재 공급사 CMC Materials +2.55%, 공정장비 공급사 ASML ADR +0.63%.

 

메모리 반도체 및 스토리지 업종은 혼조. 마이크론이 가장 크게 하락. 개별 기업 관련 악재는 없었으나 어제 아시아 시장에서 삼성전자 잠정 실적 발표 이후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주가가 하락하며 마감한 것이 마이크론 주가에도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추정. 마이크론 -3.53%, WDC +0.26%, 실리콘 모션 -1.08%, Seagate +2.56%

 

한편 이틀 전에 크게 이슈가 되었던 미국 국방부의 방어 인프라 관련 JEDI 클라우드 프로젝트 취소 이후 새로운 프로젝트에 대해 연내 10월까지 클라우드 공급사들의 bidding 진행 예정. IBM, Google, Oracle도 동 프로젝트에 관심을 보임. 한편 클라우드 시장의 1위 공급사 Amazon은 CEO의 세대 교체 이후 내부에서 클라우드 사업을 담당하는 VP급 임원들이 SVP로 승진하면서 클라우드 사업에 재차 힘을 싣는 양상

 

감사합니다.

 

 

『하루를 여는 혁신투자자문 IPO News Letter💌 - 20210708』

 【 텔레그램 채널 주소 : https://t.me/KoreaIB

 【 IPO상장문의 및 이경준 대표 Contact ☞ 📧 ipo@kakao.com 】

 

===========================

 

 

📌Today's Topic》

[시그널] ‘1년 새 이익 4.4배’ 아주스틸 다음 달 IPO 청약···기업가치 3,359억 제시

http://naver.me/5GyYlKTM

☞ 이경준 혁신투자자문 대표는 "튼튼한 고객사를 둔 전통제조업 회사가 상장한다"며 "최근 가전제품의 새로운 트렌드인 ‘비스포크’ 기반의 실적, 적은 유통가능 물량 등으로 기관 투자자들의 관심도 높은 편"이라고 말했다.

 

 

===========================

 

★ 금일 IPO 일정 ★

 07/07~08 큐라클 수요예측⚖️

 07/08~09 에스디바이오센서 청약🖨

 

 

☆ 금주 남은 IPO 일정 ☆

 07/08~09 에스디바이오센서 청약🖨

 

 ------------------------------------------

 

 

▣ 기관IR 일정 ▣

 - 소규모 간담회로만 진행 中 -

 

▣ 상장 일정(예정, 변경가능) ▣

 07/13 오비고(NH투자증권)

 07/20 SD바이오센서(NH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07/22 큐라클(삼성증권)

 07/27 맥스트(하나금융투자)

 07/28 브레인즈컴퍼니(키움증권)

 07/29 에브리봇(NH투자증권)

 07/29 플래티어(KB증권)

 07/30 엠로(한국투자증권)

 미정 - 딥노이드(KB증권)

 08/05 카카오뱅크(KB증권)

 08/10 에이치케이이노엔(한국투자증권, 삼성증권)

 08/10 크래프톤(미래에셋증권)

 미정 - 원티드랩(한국투자증권)

 08/12 카카오페이(삼성증권)

 08/17 한컴라이프케어(미래에셋증권)

 08/19 아주스틸(미래에셋증권)

 08/20 바이젠셀(대신증권)

 

▣ 심사 승인 ▣

 - 실리콘투(삼성증권, 미래에셋증권)

 - 에이비온(미래에셋증권, 한화투자증권)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 국내 IPO 개별종목

■ 델타변이 기승…SD바이오센서 공모주식 120%로 확대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4398486629112224&mediaCodeNo=257&OutLnkChk=Y

 

■ 카카오뱅크·페이 IPO ‘집안싸움’… “사업 겹쳐 경쟁 불가피”

https://www.fnnews.com/news/202107071820427239

 

■ 한컴인텔리전스 RFP 발송…밸류 1200억 거론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7061221269960101230&lcode=00&page=5&svccode=00

 

■ 큐라클, 이달 코스닥 상장…"차세대 혈관 기업으로 도약"

https://newsis.com/view/?id=NISX20210707_0001504061&cID=10434&pID=13100

 

■ 영업익 8억 빅데이터 기업 모비젠, 코스닥 특례 상장 도전

http://it.chosun.com/site/data/html_dir/2021/07/07/2021070700974.html

 

■ ‘대어’ LX판토스는 IPO 시장에 등장할까

http://www.thescoop.co.kr/news/articleView.html?idxno=51220

 

■ AI 솔루션 옴니어스 IPO 추진

http://www.apparelnews.co.kr/news/news_view/?idx=191386

 

 

▶️▶️▷ IPOmarket(해외IPO포함)

■ “성장성 평가받자” IPO 앞둔 기업들, 키워드는 ‘플랫폼’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210707000771

 

■ 이름값한 상반기 IPO 대어, 하반기 대어들 기대감↑

http://www.viva100.com/main/view.php?key=20210707010001736

 

■ 올해 공모주 수익률 천차만별...5개 중 하나는 손실

https://news.g-enews.com/ko-kr/news/article/news_all/202107052207371741edf69f862c_1/article.html?md=20210706102041_R

 

■ ‘더 강한 놈들이 온다'…하반기 역대급 리츠 IPO 시장 선다[株포트라이트]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210707000785

 

■ [홍콩증시] IPO 제도 손질...공모가 책정 후 사흘 만에 상장 가능

https://www.ajunews.com/view/20210707144630963

 

■ 현실이 된 '공산당 리스크'…中기업 해외 상장 어려워진다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699846629112224&mediaCodeNo=257&OutLnkChk=Y

 

 

▶️▶️▷ 시장 이모저모

■ "폭락장 온다…수많은 돈 잃게될 것" 경고 쏟아낸 큰손들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1070743631

 

 

▶️▶️▷ 시세/시황

[표]IPO장외 주요 종목 시세(7월 7일)

https://www.sedaily.com/NewsView/22OTJV7CCI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