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주식투자 스터디를 위해 개인적으로 스크랩한 시황, 뉴스 자료를 공유합니다.

1) 노션 링크는 익스플로러에선 제대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크롬에 최적화 되어있으며, 엣지, 웨일에서도 잘 작동합니다.

 

2) 공유한 자료링크는 1~2일후 공유 해지 합니다.

 

게시물은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한 것이라

불확실하거나 오류가 많을 수 있으므로 투자 활용시 유의하시기 바라며, 개별적인 종목 추천이나 상담은 하지 않습니다.

 

모쪼록 제 공간에 오신 모든 분들이 주식스터디를 통해 인생 한 방보다, 꾸준함을 믿으며...

복리의 마법으로 모든 분들이 성공한 개인투자자가 되시길...

 


뉴욕증시, 경기둔화 우려로 하락…엔비디아 2.3%↓ [출근전 꼭 글로벌브리핑]

미 증시, 델타 변이·경기둔화 우려에 하락

아마존 제외 주요 기술주 약세

미 10년물 국채금리 1.2%대 추락

유럽·베트남 하락, 중국 혼조

출처: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107090001&t=NN>

 

 

화이자, 델타 변이 막을 ‘3번째 백신’ 다음달 승인 신청

기사입력 2021.07.09. 오전 7:05

출처: <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001&oid=005&aid=0001455081>

 

 

 

원자재값 급등 여파, 中 9일 지급준비율 인하 발표할 듯

국무원 상무회의서 “적시에 통화정책 운용”

중소기업 맞춤 선별 적용될 듯

입력 : 2021-07-08 17:42

출처: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6035534&code=61131811&cp=nv>

 

 

 

 

 

2021년 7월 9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수도권 거리두기 상향으로 야간선물이 하락하고 역외 환율이 1,150원에 근접했습니다.

 

(2) 중국 정부가 디디의 미증시 상장전 민감한 정부시설 노출 우려를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3) 치매 치료제를 타깃하는 글로벌 제약사들 주가가 신고가를 경신했습니다.

 

미 5년 breakeven rate 2.413%, -0.037%p (2% 상회시 유의, 2.5% 상회시 경고)

한국 고객예탁금, 67.9조원 +1.2조원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78%

1개월 NDF 환율 1,147.71원 (+2.76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증시 Key factor 점검]

 

<Key factor>

•Negative : 경제회복 둔화 우려

-코로나 : 델타변이 재확산 우려 급증

-고용 : ‘경제재개+부양책’ 효과소멸 회복둔화

-국채금리 : 급락 지속 / 경기 피크아웃우려

 

•Positive : 연준 유동성공급 지속 기대

-연준 : 테이퍼링 본격 논의는 내년으로?

-증시 : 믿고 사는 빅테크 선호도 급증

-인플레 : 우려 쏙 들어감

 

<국내증시 : Smart한 View>

시장에 유동성은 계속해서 급증하고 있는데, 경기회복에 대한 우려가 커진다고 유동성이 증시에서 탈출할까요?

 

유동성은 증시안에서도 어떤 상황에도 확실하게 성장이 보장된 기업(주식)에 집중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경우 소수의 고성장 기업들(빅테크)의 프리미엄이 급증할 수 있습니다.

 

국내증시도 마찬가지입니다. 아주 단순하게 코로나구간에도 상장세를 유지한 기업들이 프리미엄 상승가능성이 높은 기업들입니다.

 

대표적으로 엔터/컨텐츠 기업들이 있습니다. 이들은 콘서트가 어려운 코로나 팬데믹 환경에서 대다수의 우려를 털고 오히려 이익구조가 견고해지는 상황입니다. 즉, 코로나가 극복될 경우 콘서트가 재개되면 이익규모 자체가 퀀텀점프할 수 있습니다.

 

국내의 컨텐츠기업들은, 코로나 팬데믹 구간을 지나며 영상컨텐츠 유통시장을 장악한 글로벌 OTT업체들에게 절대적인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보통 OTT기업들은 핵심권역별로 컨텐츠를 제작하고 여기에 더빙을 입혀 글로벌로 서비스합니다. 비록 우리 한국어는 사용인구기준 1억명이 안되는 마이너언어중 하나이지만, K컨텐츠는 헐리우드컨텐츠를 제외하면, 전세계 인구기준 60%(46억명)를 점유하는 아시아시장 전체를 커버할 수 있는 유일한 컨텐츠입니다.

 

NAVER+KAKAO조합은 미국의 Amazon+Google+facebook이라고 보면될 것같습니다. 사실상 유틸리티화에 성공한 플랫폼입니다. 물론 시장자체가 인구0.5억명 국내에 국한되지만 이들은 일부사업(컨텐츠/웹툰, 메타버스 등)에 대하여 글로벌 진출을 노력하고 가시적인 성과도 보여주고 있습니다. 비록 유틸리티 플랫폼 사업자로 북미/유럽/중국 등 핵심 권역에 진출은 어렵지만, 이들의 다양하고 창의적인 컨텐츠들은 국내시장에서 검증받았고, 해외로 진출하기에 충분한 퀄리티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Today US Market>

일부 국가들의 델타변이 확산과 일본 올림픽 무관중 이슈가 보도되며 전일 아시아/유럽증시 하락에 이어 미국도 전반적으로 약세시작하였습니다. 그러나 실적이 견조한 빅테크 중심으로 저가매수세가 지속유입되며 장마감싸지 하락폭을 일정부분 만회하며 마감하였습니자.

 

경제재개로 정상화에 대한 기대감이 주가를 신고가레벨로 이끈 코로나 피해주들이 하락을 주도하였습니다.

 

*주간 실업급여 청구건수

-전주 : 373K / 컨센 350K / 이전 371K

-연속 : 3,339K / 3,335K / 3,484K

☑️고용의 개선폭이 점점 명확하게 둔화되고 있습니다.

 

•나스닥 -0.7% / 러셀2000 -1.3%

•S&P500 -0.8% / 다우 -0.8%

-나스닥 Top10 : 상승 3 vs 하락 7

 

-비트코인 : $33,000

-WTI : $73.14 (+1.3%)

-미국채금리(10y) : 1.290 (-2.4%)

☑️불과 얼마전까지 인플레로 국채금리 상승을 우려하던 시장은 이제 국채금리 하락을 우려하고 있습니다. 경제회복이 둔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코로나 : 신규확진자 감소

(전일 16,812 / WoW -4.6%)

☑️미국은 아직까지 의미있는 스파이크는 관찰되지 않고 있습니다. 미국은 사실상 전 접종자가 mRNA만 접종한 상태입니다.

 

SMART한 주식투자

https://t.me/frankinvest

 

 

 

(2021.07.09) U.S. & EU Market Closing

2021.07.09  허단

U.S. Market Closing – 05:00 기준

지수 종가 등락폭 등락률 상승/하락/보합
DOW 34,421.93 -259.86 -0.7% 4/25/1
S&P500 4,320.82 -37.31 -0.9% 64/438/3
NASDAQ 14,559.79 -105.27 -0.7% 1037/2138/182
RUSS 2K 2,231.68 -21.17 -0.9% 492/1461/29
PHLX 반도체지수 3,222.81 -38.92 -1.2% 1/29/0
VIX지수 19.00 2.80 17.3%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미국 증시는 코로나 델타 변이 확산 우려에 하락 마감.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따르면 최근 미국 내 코로나 확진자의 51.7%가 델타변이에 감염된 것으로 집계돼 델타 변이가 미국의 지배종이 되었으며, 일본 정부는 오는 12일부터 도쿄 지역에 긴급사태를 발효. 시장에서는 미국 경제지표와 델타 변이 확산 소식에 경제 회복 둔화에 대한 우려가 번지며 투자 심리가 위축된 모습. 금일 뉴욕증시에서 모든 업종이 하락하며 3대 지수는 일제히 내림세로 마감하였으며, 경기에 민감한 소재와 산업재, 금융 섹터가 증시 하락을 견인. FAANG 기업의 주가 역시 하락했으며 앤디 제시 체제 이후 상승세를 이어온 아마존(AMZN)만이 0.9% 올라 주가 최고치 경신. 한편 금일 미 노동부가 발표한 주간 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는 37.3만건을 기록해 예상치(35만 건)보다 소폭 부진한 것으로 집계.

 

U.S. ETF Closing – 05:00 기준

Sector

분류 티커 현재가 등락률 t신호 수익률






1개월 3개월 1년
유틸리티 XLU 64.5 -0.3% 안개 -1.7% -1.7% 14.9%
자유소비재 XLY 180.8 -0.3% 햇빛 4.7% 1.8% 37.8%
부동산 VNQ 103.4 -0.3% 햇빛 -1.7% 10.0% 38.4%
필수소비재 XLP 69.8 -0.3% 안개 -1.3% 1.6% 18.6%
헬스케어 XLV 128.4 -0.5% 햇빛 2.4% 8.3% 28.3%
에너지 XLE 51.8 -0.5% 안개 -6.3% 5.8% 53.3%
IT XLK 149.8 -1.0% 햇빛 5.9% 6.1% 42.2%
커뮤니케이션 XLC 80.9 -1.1% 햇빛 1.4% 6.5% 43.8%
산업재 XLI 101.9 -1.4% 안개 -1.4% 1.3% 50.8%
소재 XLB 81.4 -1.4% 안개 -5.1% 0.9% 42.4%
금융 XLF 35.7 -2.0% 안개 -4.4% 1.4% 53.7%

자료: 티레이더, 유안타증권해외투자전략팀

 

금일 섹터별 ETF는 모두 하락한 가운데 산업재(XLI/-1.4%),소재(XLB/-1.4%), 금융(XLF/-2.0%)이큰 폭 하락. 경기민감주인 해당 섹터들은 경기 둔화 우려에 큰 폭 하락하였으며, 금융(XLF) ETF의 경우 금일 10년물 국채 금리가 장중 한때 1.27%, 30년물 금리는 올해 2월 이후 처음으로 1.9%를 밑돌며 은행주가 부진한 것이 하락 원인으로 작용. 한편 에너지정보청(EIA)이 발표한 주간원유재고는 686.6만 배럴 줄어든 것으로 집계돼 컨센서스(390만배럴 감소)보다 큰 폭 줄어 3거래일 연속 약세를 시현한 유가는 상승 전환. 다만 증시 전반의 약세에 에너지(XLE) 섹터는0.5% 하락.

 

Thematic

분류 티커 현재가 등락률 t신호 수익률






1개월 3개월 1년
리튬/배터리테크 LIT 75.8 0.5% 햇빛 7.9% 23.8% 104.4%
생명공학 IBB 161.8 0.2% 햇빛 -0.2% 5.6% 15.5%
여행/관광산업 AWAY 28.1 -2.0% 안개 -10.8% -8.0% 51.8%
수송 XTN 82.6 -2.1% 안개 -6.9% -7.7% 55.5%
미국 인프라 개발 PAVE 25.3 -2.1% 안개 -3.9% -0.6% 65.7%

자료: 티레이더, 유안타증권해외투자전략팀

 

금일 테마 ETF에서 리튬/배터리테크(LIT/+0.5%), 생명공학(IBB/+0.2%) 테마가 상승. 여행/관광산업(AWAY/-2.0%),수송(XTN/-2.1%), 미국 인프라 개발(PAVE/-2.1%)이하락. 코로나 확산 우려에 항공, 숙박을 비롯해 올 여름 운항 재개를 앞둔 노르위전 크루즈(NCLH/-1.2%), 카니발(CCL/-1.5%)의 주가가 하락하며 여행/관광산업(AWAY) 은 2.0% 하락. 한편 바이든 행정부가 이번주 내 미국 철도와 해상 운송업계의 가격 담합 행위를 제한하기 위한 행정명령에 서명할 예정이라는 보도가 전해지며 캔자스시티서던(KSU/-7.9%)과 같은 철도주 전반의 주가가 부진하며 수송(XTN) 테마는 2.1% 하락 마감.

 

EU Market Closing – 01:00 기준

지수 종가 등락률 구분 업종 등락률
STOXX 600 451.61 -1.7% 상승




하락 유틸리티 -2.0 %




금융 -2.3%




자유소비재 -2.7%
지수 종가 고가 저가 등락폭 등락률
獨 DAX 15,420.64 15,591.65 15,304.41 -272.07 -1.7%
英 FTSE 100 7,030.66 7,151.02 6,981.57 -120.36 -1.7%
佛 CAC 40 6,396.73 6,483.32 6,348.64 -130.99 -2.0%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유럽증시는 아시아 증시 약세와 경제 회복 둔화 우려에 큰 폭 하락. 전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에 구체적인 테이퍼링 신호는 없었지만 코로나 재확산에 따른 경제 회복 둔화와 중국의 기술주 규제에 투자 심리가 위축되며 유럽 증시에 영향. 금일 유럽에서 모든 업종이 하락하였으며 유틸리티(-2.0%), 금융(-2.3%), 자유소비재(-2.7%)가 가장 큰 낙폭 시현. 특히 10년물 미 국채 금리가 장중 1.26%선을 기록하며 금융주 주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유럽연합이 자동차 배기조정 시스템 개발을 하지 않기로 담합한 독일의 4대 자동차 제조사(BMW,폭스바겐 등)에 10억 달러의 과징금을 부과하며 자동차주가 증시 하락을 견인. 한편, 유럽중앙은행(ECB)은18년만에 처음으로 인플레이션 목표치를 2%로 상향하였으며, 오랜 기간 완화적 스탠스를 유지해 경기 부양에 나설 것을 시사.

 

출처: < https://m.myasset.com/extern/researchPortal/RP_0001000_P1.cmd?menuid=RP_0105000_P1&searchKeyGubun=1&keyword=&page=1&base_date=20210709053812&gbn=B&res_seq=172144>

 

 

[7/9 미국 증시 리뷰 및 평가, 키움 전략/시황 한지영]

 

1. 미국 증시 리뷰

 

8일(목) 미국 3대 증시는 ECB의 물가 목표 상향에도, 주간실업지표 부진(33.7만, 예상 35.0만), 델타 변이 대유행에 따른 경기 둔화 우려가 부각됨에 따라 장 초반 1% 넘는 급락세를 연출. 다만, 델타 변이 발 경기 둔화 충격은 제한적일 것이라는 전망에 힘입어 장 초반 이후 낙폭을 축소(다우 -0.8%, S&P500 -0.9%, 나스닥 -0.7%).

 

업종별로는 금융(-2.0%), 산업재(-1.4%), 소재(-1.4%), 커뮤니케이션(-1.1%) 등 전업종이 약세.

 

ECB는 인플레이션 목표치를 2%로 상향하기로 결정(기존에는 2%로 바로 아래). 또한 인플레이션 산출 시 주택 가격을 포함할 것이며, 기후변화 대응에 노력할 것이라고 밝힘.

 

인플레이션 목표 상향은 18년만에 처음으로 단행된 것이며, 이는 물가가 2% 이상 상승한다고해도 일정기간 용인이 가능해짐에 따라, 상당기간 완화적 통화정책 기조를 유지할 수 있음을 시사.

 

2. 미국 증시 평가

 

전거래일 10년물 금리가 장중 1.25%대까지 급락하는 등 최근 시장 금리 하락의 배경으로 타이트한 수급 여건, 기대 인플레 하락 등 이외에도 델타 변이 발 경기 둔화 우려가 지목.

 

실제로 미국 신규 확진자의 약 50% 델타 변이였으며, 일본도 국가 비상상태를 다시 선포하고 도쿄 올림픽도 무관중 운영키로 결정.

 

이처럼 전세계적인 델타 변이 대유행으로 코로나 이전으로 돌아가지 못한다는 두려움과 경기가 다시 침체에 빠질 것이라는 불안감이 다시 자라나고 있는 상황.

 

그러나 확진자수가 늘어나고 있더라도 치명률은 이전 코로나 대유행 사례들에 비해서 현저하게 낮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

 

경기가 다시 침체에 빠지려면 국가 차원에서 강도 높은 봉쇄 정책을 실행해야 하나, 작년 판데믹 당시에 봉쇄정책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영구적인 경제 손실 리스크에 직면했던 경험을 상기.

 

향후 미국 정부가 부분적 봉쇄정책 정도만 실행할 것으로 보이며, 강제가 아닌 권고 수준에서 국한될 공산이 크다고 판단.

 

결국 최근 시장이 델타 변이로 하락 압력을 받았던 것은 시장참여자들이 미국 증시의 지수 레벨과 속도에 대한 부담이 누적됨에 따라 차익실현 명분을 찾는 과정에서 유발된 성격이 강하다고 볼 수 있음.

 

인플레이션, 연준 발 불확실성은 완전히 해소되지 못한 것은 사실이나, 코로나발 경기 둔화 가능성은 제한적이라고 판단.

 

 

 

 

 

[미래에셋증권] 해외 금융시장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02-3774-1621)

 

◆ 미국 증시

- DOW: 34421.93p (-259.86p, -0.75%)

- S&P500: 4320.82p (-37.31p, -0.86%)

- NASDAQ: 14559.79p (-105.27p, -0.72%)

 

◆ 한국 관련

- MSCI 한국지수 ETF: 89.54p (-2.04p, -2.23%)

- MSCI 이머징지수 ETF: 52.64p (-1.12p, -2.08%)

- Eurex kospi 200: 427.50p (-3.35p, -0.78%)

- NDF 환율(1개월물): 1,147.40원 / 전일 대비 2원 상승 출발 예상

 

◆ 외환시장

- 달러인덱스: 92.371 (-0.273, -0.29%)

- 유로/달러: 1.1844 (+0.0054, +0.46%)

- 달러/엔: 109.76 (-0.9, -0.81%)

- 파운드/달러: 1.379 (-0.0011, -0.08%)

 

◆ 미국 국채시장

- 2년물: 0.1944% (-2bp)

- 5년물: 0.7388% (-4bp)

- 10년물: 1.2878% (-2.9bp)

- 30년물: 1.9169% (-2.1bp)

(국채선물)

- 2YR T-Notes: 110*09   (+0*01 , +0.04%)

- 5YR T-Notes: 124*05 3/4 (+0*08 1/2, +0.21%)

- 10YR T-Notes: 133*28 1/2 (+0*11 , +0.26%)

- US T-Bonds: 163*30   (+0*21 , +0.4%)

- Ultra US T-Bonds: 198*21   (+1*7 , +0.62%)

 

◆ 상품시장 ($, 단 곡물, 구리는 센트)

- WTI: 72.94 (+0.74, +1.02%)

- 브렌트유: 74.12 (+0.69, +0.94%)

- 금: 1800.2 (-1.9, -0.11%)

- 은: 25.987 (-0.142, -0.54%)

- 아연(LME, 3M): 2933.5 (-25, -0.85%)

- 구리: 426.45 (-5.8, -1.34%)

- 옥수수: 523.75 (-7.25, -1.37%)

- 밀: 618 (-4.25, -0.68%)

- 대두: 1319.5 (-7.75, -0.58%)

- BDI: 3241 (+62, +1.95%)

 

*동 자료는 2021년 7월 9일 미래에셋증권 홈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를 요약한 것입니다.

 

글로벌 주식시장 변화와 전망(7월 9일)

미래에셋증권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02-3774-1621)

 

 

글로벌 경기 회복 속도 둔화 우려 부각

 

미 증시는 중국 정부의 지준율 인하 발표에 따른 글로벌 경기 회복 속도 둔화에 대한 우려가 부각되자 안전자산 선호심리가 높아지며 하락 출발. 더불어 ECB의 물가 목표치 상향 조정과 중국의 IT 기업 규제도 부담 요인. 여기에 일본 정부가 도쿄 비상사태 선포를 시사하자 델타 변이 바이러스 우려도 부담. 그러나 경기 회복 속도 둔화일 뿐이지 경기 침체가 아니라는 점을 감안 한때 2% 하락했던 나스닥 등은 장 후반 낙폭이 축소되며 마감(다우 -0.75%, 나스닥 -0.72%, S&P500 -0.86%, 러셀2000 -0.94%)

 

http://securities.miraeasset.com/bbs/maildownload/2021070905470882_3431

 

 

[메리츠증권 전기전자/2차전지 주민우]

 

★ 2차전지 주요 뉴스 (2021.7.8)

 

LG화학, 국내 양극재 생산량을 13만톤까지 높일 계획. 현재 생산량인 4만톤(익산 5,000톤, 청주 1~3공장 3만 5,000톤)의 세 배 이상 규모. 핵심은 청주, 구미 공장으로 청주 4공장, 구미 1공장 생산 계획이 6만톤에 육박. 구미 2공장과 중국 등 해외 공장 가동이 본격화되는 2024년 이후 양극재 내재화율을 50%까지 끌어올릴 계획 (디일렉)

https://bit.ly/3jZdHA5

 

CATL, 홍콩 최대 가스 회사인 홍콩중국가스와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전략적 협업 관계를 구축. 양사는 전반적인 차세대 녹색에너지 사업을 위해  배터리부터 에너지저장장치(ESS) 사업까지 전방위로 협력하고 합작사도 설립할 예정. CATL은 전 세계 탄소중립 기조에 맞춰 소재 확보부터 전력 사용까지 친환경 전략을 비즈니스 모델 곳곳에 적용 중 (더구루)

https://bit.ly/3dTCjWO

 

바스프, 독일 슈바르츠하이데 소재 양극재 생산단지에 2023년 가동을 목표로 배터리 재활용 공장을 신설. 바스프는 배터리 재활용 공정을 통해 소재 생산 과정에 발생하는 탄소를 업계의 60% 수준까지 줄이고 제조공정 폐기물을 재활용 할 예정. 배터리 재활용은 희소자원에 대한 효율성과 회수 목표를 제시한 EU 배터리 규제안에 따라 보다 엄격해질  전망 (이투뉴스)

https://bit.ly/3hHRYtz

 

Nio, 자사의 Super charger와 Battery swap stations 서비스를 노르웨이에서도 제공할 계획. 가정용 충전기와 Super chargers는 9월부터 노르웨이 고객에게 공식적으로 제공될 예정. Battery swap stations는 올해 노르웨이에 4개의 초기 2세대 모델을 구현할 계획이며 2022년에는 노르웨이 5개 도시로 확장할 계획 (Electrek)

https://bit.ly/3hpy7R6

 

VW의 자회사 Electrify America, Citi와 협력하여 Electrify America에 10 억 달러를 투자할 공동 투자자 모색 중. Electrify America는 현재 초고속 충전소를 포함해 전기차 충전소 635곳을 보유. 연내 충전소를 800곳으로 늘리는 등 2026년까지 총 20억달러를 들여 충전소 네트워크를 확대할 계획 (Reuters)

https://reut.rs/3jSAbm5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하루를 여는 혁신투자자문 IPO News Letter💌 - 20210709』

 【 텔레그램 채널 주소 : https://t.me/KoreaIB

 【 IPO상장문의 및 이경준 대표 Contact ☞ 📧 ipo@kakao.com 】

 

===========================

 

★ 금일 IPO 일정 ★

 07/08~09 에스디바이오센서 청약🖨

 

☆ 다음주 IPO 일정 ☆

 07/12~13 맥스트 수요예측⚖️

 07/13 오비고 상장★

 07/13 에스디바이오센서 납입🏧

 07/13~14 에브리봇 수요예측⚖️

 07/13~14 큐라클 청약🖨

 07/14~27 크래프톤 수요예측⚖️

 07/15~16 엠로 수요예측⚖️

 07/16 에스디바이오센서 상장★

 07/16 큐라클 납입🏧

 

 ------------------------------------------

 

 

▣ 기관IR 일정 ▣

 - 소규모 간담회로만 진행 中 -

 

▣ 상장 일정(예정, 변경가능) ▣

 07/13 오비고(NH투자증권)

 07/16 SD바이오센서(NH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07/22 큐라클(삼성증권)

 07/27 맥스트(하나금융투자)

 07/28 에브리봇(NH투자증권)

 07/30 엠로(한국투자증권)

 08/05 카카오뱅크(KB증권)

 08/10 에이치케이이노엔(한국투자증권, 삼성증권)

 08/10 크래프톤(미래에셋증권)

 미정 - 원티드랩(한국투자증권)

 08/12 카카오페이(삼성증권)

 08/17 플래티어(KB증권)

 08/17 한컴라이프케어(미래에셋증권)

 08/19 아주스틸(미래에셋증권)

 08/20 바이젠셀(대신증권)

 미정 - 브레인즈컴퍼니(키움증권)

 미정 - 딥노이드(KB증권)

 

▣ 심사 승인 ▣

 - 실리콘투(삼성증권, 미래에셋증권)

 - 에이비온(미래에셋증권, 한화투자증권)

 - 롯데렌탈(한국투자증권, NH투자증권)

 - 일진하이솔루스(삼성증권, 미래에셋증권)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 국내 IPO 개별종목

■ [시그널] 롯데렌탈도 IPO 청약 대열 합류···상장 심사 통과

https://www.sedaily.com/NewsView/22OU0NK13V

 

■ 국내 상장으로 돌아선 마켓컬리 증권사…'주관사 전쟁' 불붙었다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1070874271

 

■ [단독] 임원들 주식 미리 팔고 회의록도 없다... 더블유게임즈 '상장연기' 파장

http://www.meconomy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55294

 

■ '의류 빅3' 한솔섬유 상장 추진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1070874571

 

■ 계속되는 경영진 이탈 왜?…IPO 앞두고 고심 깊어지는 티몬

https://www.newspim.com/index.php/news/view/20210707000881

 

■ '피크아웃' 우려에 카카오페이 투자 망설이는 기관들

http://www.investchosun.com/2021/07/08/3263858

 

■ 컬러강판 업체 아주스틸, IPO 착수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7071724363120106223&lcode=00&page=2&svccode=00

 

■ 실리콘투, 8월 공모 돌입 '상장 밸류 2730억'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7061326578880105524&lcode=00&page=1&svccode=00

 

■ [시그널] 드론 시스템 개발사 ‘숨비’ 2022년 목표로 IPO 추진

https://www.sedaily.com/NewsView/22OTYZBOJW

 

■ '패션 AI' 옴니어스, 기업공개 추진...주관사 계약 체결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107086547i

 

■ '메타버스' 유망주 포바이포, 상장 닻 올렸다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7061730195520102323&lcode=00&page=1&svccode=00

 

■ 엑소코바이오, '엑소좀' 제품 매출로 IPO 재도전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7071118131520108177&lcode=00&page=2&svccode=00

 

 

▶️▶️▷ IPOmarket(해외IPO포함)

■ 계속되는 '대어급' 공모주 고평가 논란…비교그룹 적정했나?

https://www.news1.kr/articles/?4364180

 

■ [하반기 IPO ‘빅3’ 출격] ② 공모주 투자, 무조건 오를 것이란 낙관은 금물

https://economist.co.kr/2021/07/08/stock/stockNormal/20210708171800183.html

 

■ 증권사들, 대거 IPO 앞두고 청약 수수료 유료화

http://www.sisafoc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62902

 

■ 10년 만에 찾아온 역대급 IPO … 하반기 ‘큰 장’ 선다

http://www.naeil.com/news_view/?id_art=391927

 

■ ‘7말8초’ IPO 슈퍼위크 오는데..증권가는 ‘전산장애 주의보’

http://kpenews.com/View.aspx?No=1852782

 

■ 어센틱브랜즈그룹, IPO 신청

http://www.apparelnews.co.kr/news/news_view/?idx=191395

 

 

▶️▶️▷ 시장 이모저모

■ 멈출 줄 모르는 증시에 ‘Sell 리포트’ 쏟아내는 외국계 증권사들

http://www.investchosun.com/2021/07/08/3263868

 

 

▶️▶️▷ 시세/시황

[표]IPO장외 주요 종목 시세(7월 8일)

https://www.sedaily.com/NewsView/22OTZTTN7Y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