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스터디를 위해 개인적으로 스크랩한 증시캘린더, 국내 및 해외마감 시황, 뉴스 자료를 공유합니다.
1) 증시캘린더는 개인적으로 관련된 소식을 확인후 작성한 일정이라 변동 또는 오류의 소지가 있습니다.
2) 노션으로 공유한 링크는 익스플로러에선 제대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크롬에 최적화, 엣지, 웨일에서도 잘 작동합니다.
( 공유 자료링크는 1~2일후 공유 해지 합니다.)
게시물은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한 것이라
불확실하거나 오류가 많을 수 있으므로 투자 활용시 유의하시기 바라며, 개별적인 종목 추천이나 상담은 하지 않습니다.
모쪼록 제 공간에 오신 모든 분들이 주식스터디를 통해 인생 한 방보다, 꾸준함을 믿으며...
복리의 마법으로 모든 분들이 성공한 개인투자자가 되시길...
뉴욕증시, 경기둔화·테이퍼링 우려에 하락…경기방어주는 강세 [출근전 꼭 글로벌브리핑]
연내 테이퍼링 개시 가능성 재확인
아마존 제외 주요기술주 하락세…코인베이스 3%대 하락
유럽·중국·베트남 하락
[글로벌시장 지표 / 9월 9일 오전 6시 현재]
[미국증시 마감시황]
■ 경기둔화 우려에 하락 마감
뉴욕증시가 현지시각으로 8일 델타 변이 확산 우려로 하락했다.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68.93포인트(0.20%) 하락한 35,031.07로 장을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5.96포인트(0.13%) 떨어진 4,514.07을,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87.69포인트(0.57%) 밀린 15,286.64로 거래를 끝냈다. 다우지수와 S&P500지수는 3거래일 연속 떨어졌으며, 나스닥지수는 5거래일만에 하락세로 전환했다.
연방준비제도(Fed·연준) 핵심 인사가 연내 테이퍼링(자산매입 축소) 개시 가능성을 재확인한 것도 뉴욕 주요증시 하락에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분석된다. 제임스 불라드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에 이어 이날 존 윌리엄스 뉴욕연은 총재도 “경제가 지금 수준으로 계속 좋아지면 연내 테이퍼링을 시작하는 게 적절할 것”이라고 밝혔다.
연방준비제도(Fed 연준)가 공표한 지구 연준은행 경제보고(베이지북)에서 코로나19 재유행으로 올여름 경기회복이 다소 둔화했다는 지적도 나왔다.
한편 스토벌 전략가는 CFRA의 이코노미스트들이 3분기 성장률 전망치를 하향 조정했지만 남은 기간 경제가 성장할 것이라는 낙관론은 여전하다고 강조했다.
[특징주]
■ FAANG
주요 기술주인 팡(FAANG) 종목은 아마존 제외 모두 하락했다. 아마존은 이날 강보합(0.46%) 마감했다. 애플과 페이스북은 각각 1.01%, 1.21% 하락했다. 넷플릭스와 구글은 각각 0.11%, 0.41% 하락하며 약보합권에서 거래를 마쳤다. 구글의 모기업 알파벳도 0.44% 내렸다.
■ 금융주
이날 주요 국채금리 하락 속에 주요 금융주들의 주가도 하락세를 보였다. 뱅크오브아메리카의 주가는 1.31%, 골드만삭스의 주가는 1.30% 각각 떨어졌다. JP모간체이스도 약보합 마감했다.
■ 보잉
이날 보잉의 주가는 주력 기종인 787 드림라이너의 인도가 늦어질 것이라는 보도에 영향을 받은 탓에 1.33% 하락했다.
■ 코인베이스
코인베이스는 미 증권거래위원회(SEC)로부터 향후 출시할 대출 상품에 대해 소송 가능성을 경고하는 통지서를 받았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3.23% 하락했다.
■ 경기방어주
델타 변이 확산 속 필수 소비 등 경기방어 섹터의 주가는 강세를 보였다. 외식주 맥도날드는 이날 1.03% 상승했다. 가구업체 RH도 1.26% 상승했다.
코카콜라가 1.80% 상승했고 디즈니와 월마트도 각각 0.44%, 0.13% 상승 마감했다.
출처: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109090017&t=NN>
2021년 9월 9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한국의 백신 접종횟수가 5,000만회를 돌파했습니다.
(2) 인민은행이 매크로 레버리지 안정 기조를 재확인했습니다.
(3) 미 SEC 의장이 가상화폐 규제 가능성을 시사했습니다.
미 5년 breakeven rate 2.570%, +0.022%p (2% 상회시 유의, 2.5% 상회시 경고)
한국 고객예탁금, 69.3조원 -0.2조원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46%
1개월 NDF 환율 1,167.75원 (+1.20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미국 하락=나스닥 차익실현+경기둔화]
(feat. 과연 연준이 테이퍼할 수 있을까?)
☑️연준은 베이지북에서 경기회복속도가 정상적인 레벨로 다운되었다고 언급했습니다. 원인으로는 코로나 델타변이 확산에 따른 소비자들의 조심성이 증가했기 때문입니다. 과연 연준이 경기상황과 무관하게 테이퍼를 결정할 수 있을 까요?
<about US Market>
미국증시는 약보합세로 시작하여 오전중 경기둔화에 대한 우려로 하락폭을 키웠습니다. 실상은 역사상 신고가 후 차익실현이라고 보면 될것 같습니다. 그러나 점심을 지나며 빅테크 중심으로 저가매수세가 유입되며 장중 하락폭은 대부분 만회하며 약보합 수준에서 마감하였습니다.
*Job Openings(7월)
-10.934m / 컨센10.000m / 6월10.185m
*코로나 : 신규확진자 감소
(전일 107,060 / WoW -42%)
-미국 : 성인75% 백신1회이상 접종 도달
☑️전주 수요일 대비 큰폭으로 감소
•나스닥 -0.6% / 러셀2000 -1.1%
•S&P500 -0.1% / 다우 -0.2%
-나스닥 Top10 : 상승 4 vs 하락 6
-종목수 : 상승 2,230 / 하락 4,493
-비트코인 : $46,000
-미국채금리(10y) : 1.338 (-2.4%)
-WTI : $69.33 (+1.3%)
SMART한 주식투자
(2021.09.09) U.S. & EU Market Closing
2021.09.09 허단
U.S. Market Closing – 05:00 기준
지수 | 종가 | 등락폭 | 등락률 | 상승/하락/보합 |
DOW | 35,031.07 | -68.93 | -0.2% | 14/16/0 |
S&P500 | 4,514.07 | -5.96 | -0.1% | 250/254/1 |
NASDAQ | 15,286.64 | -87.69 | -0.6% | 916/2381/157 |
RUSS 2K | 2,249.73 | -25.88 | -1.1% | 470/1480/18 |
PHLX 반도체지수 | 3,377.68 | -42.05 | -1.2% | 1/29/0 |
VIX지수 | 17.96 | -0.18 | -1.0% |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미국 증시는 경제 회복 둔화 우려에 하락 마감. 금일 발표된 미 연준(Fed) 베이지북에서는 미국 경제의 인플레이션 압력이 높아지고 있으며, 델타 변이 확산으로 회복세는 완만한 속도로 둔화된 것으로 평가. 이는 최근 부진한 고용지표와 주요 투자은행인 모건스탠리, 씨티그룹이 미국 주식에 대한 투자 의견 조정과 맞물려 시장의 위험자산 회피심리가 증대되었으며, 증시 하방 압력으로 작용. 금일 뉴욕증시는 장 초반 베이지북 발표를 주시하며 혼조세를 보였으나 장 중반 이후 다우지수가 하락 전환해 3대 지수 모두 내림세로 마감하였으며, 경제 둔화 우려에도 대형 기술주로 자금이 유입되며 고점 랠리를 이어온 나스닥은 금일 알파벳(GOOGL/-0.4%), 애플(AAPL/-1.0%) 등 메가캡 기업의 주가가 내림세를 기록하며 지수는 0.6% 하락 마감. 한편, 금일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와 존 윌리엄스 뉴욕 연은 총재는 경제가 개선된다면 올해 안에 테이퍼링을 시행하는 것은 적절하다고 평가. 다만 테이퍼링이 기준 금리 인상과 연결되는 것은 아니라며 선을 그으며 시장에 안도감을 제공.
U.S. ETF Closing – 05:00 기준
Sector
분류 | 티커 | 현재가 | 등락률 | t신호 | 수익률 | ||
1개월 | 3개월 | 1년 | |||||
유틸리티 | XLU | 69.8 | 1.8% | 햇빛 | 2.3% | 7.5% | 20.6% |
필수소비재 | XLP | 72.6 | 0.9% | 햇빛 | 1.0% | 4.7% | 14.5% |
부동산 | VNQ | 110.2 | 0.5% | 햇빛 | 3.8% | 7.0% | 39.0% |
산업재 | XLI | 102.9 | 0.1% | 안개 | -2.3% | 0.7% | 32.7% |
자유소비재 | XLY | 184.3 | 0.1% | 햇빛 | 1.2% | 7.0% | 25.7% |
헬스케어 | XLV | 136.0 | 0.0% | 햇빛 | 2.3% | 9.9% | 30.2% |
금융 | XLF | 37.8 | -0.2% | 햇빛 | -2.9% | 1.9% | 53.6% |
IT | XLK | 158.8 | -0.4% | 햇빛 | 3.0% | 12.2% | 38.9% |
커뮤니케이션 | XLC | 85.2 | -0.5% | 햇빛 | 2.5% | 7.8% | 43.1% |
소재 | XLB | 84.0 | -1.0% | 안개 | -2.7% | 0.5% | 29.6% |
에너지 | XLE | 47.7 | -1.3% | 안개 | -4.6% | -13.8% | 52.6% |
자료: 티레이더,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섹터별 ETF에서는 유틸리티(XLU/+1.8%), 필수소비재(XLP/+0.9%), 부동산(VNQ/+0.5%)이 상승, IT(XLK/-0.4%), 소재(XLB/-1.0%), 에너지(XLE/-1.3%) 섹터가 하락 마감. 금일 시장의 위험자산 회피 심리가 뚜렷해지며 경기방어주인 유틸리티 섹터로 자금이 유입되었으며, 아메렌(AEE/+2.7%), 에버소스에너지(ES/+2.4%)를 비롯한 대부분의 공공서비스 기업이 오름세를 시현하며 해당 섹터는 1.8% 상승. 경기방어주인 필수소비재(XLP)에서는 식료품 기업이 강세를 보인 가운데, 당해 매출액 전망치를 상향 조정한 제너럴 밀즈(GIS/+4.6%)와 크래프트하인즈(KHC/+3.9%)가 섹터 상승 견인. 반면 경제 성장세 둔화에 따른 달러 강세와 비철금속 가격 약세에 뉴코(NUE/-2.3%), 프리포트-맥모란(FCX/-5.5%)이 큰 폭 하락하며 소재(XLB) 섹터는 1.0% 하락 마감.
Thematic
분류 | 티커 | 현재가 | 등락률 | t신호 | 수익률 | ||
1개월 | 3개월 | 1년 | |||||
우주항공 | UFO | 31.6 | 0.7% | 햇빛 | 4.9% | 4.1% | 47.0% |
인프라 | IGF | 47.2 | 0.5% | 햇빛 | 2.2% | -0.2% | 22.1% |
반도체 | SOXX | 463.1 | -1.3% | 햇빛 | 2.3% | 6.7% | 57.4% |
IPO | IPO | 68.1 | -1.6% | 햇빛 | 5.1% | 8.0% | 39.1% |
기술혁신 | ARKK | 121.2 | -2.8% | 햇빛 | -0.6% | 5.8% | 40.4% |
자료: 티레이더,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테마 ETF는 우주항공(UFO/+0.7%), 인프라(IGF/+0.5%)가 상승, 반도체(SOXX/-1.3%), 기술혁신(ARKK/-2.8%) 테마가 하락 마감. 최근 미 연방항공청(FAA)으로부터 우주선 발사 금지 처분을 받은 버진 갤럭틱(SPCE)에 매수세가 유입되며 3.4% 올랐으며, 애플 아이폰13의 저궤도 위성 서비스 잠재적 파트너로 거론된 글로벌스타(GSAT/+30%)가 애플과 파트너십을 맺을 것이라는 루머에 강세를 보이며 우주항공(UFO) 테마는 0.7% 상승. 반면, 위험자산 회피 심리에 기술혁신(ARKK) 테마에서는 테슬라(TSLA/+0.1%)를 제외한 모든 종목이 내림세를 기록하며 해당 ETF는 2.8% 하락 마감.
EU Market Closing – 01:00 기준
지수 | 종가 | 등락률 | 구분 | 업종 | 등락률 |
STOXX 600 | 467.87 | -1.1% | 상승 | 유틸리티 | +0.1% |
하락 | 정보기술 | -1.4% | |||
산업재 | -1.5% | ||||
부동산 | -2.0% | ||||
지수 | 종가 | 고가 | 저가 | 등락폭 | 등락률 |
獨 DAX | 15,610.28 | 15,755.30 | 15,590.41 | -232.81 | -1.5% |
英 FTSE 100 | 7,095.53 | 7,149.37 | 7,061.13 | -53.84 | -0.8% |
佛 CAC 40 | 6,668.89 | 6,712.05 | 6,628.98 | -57.18 | -0.9% |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유럽증시는 ECB 통화정책회의를 주목하며 하락 마감. 시장은 최근 유로존 내 인플레이션 압력과 경제 개선에 ECB의 자산매입 규모 축소 시기가 앞당겨질 것이란 예상에 무게추가 기운 모습. 로이터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시장은 ECB가 팬데믹긴급매입프로그램(PEPP) 매입액을 현행 800억 유로에서 600억 유로로 낮출 것으로 전망하였으며, 금일 오스트리아 중앙은행 총재이자 매파 ECB 위원으로 분류되는 로베르트 홀츠만은 유럽 내 인플레이션 압력이 지속되고 있어 많은 이들의 예상과 달리 중앙은행의 테이퍼링이 빨라질 수 있음을 시사해 금일 시장 하방 압력으로 작용. 이에 범유럽지수인 STOXX600은 경기민감주가 증시 하락을 견인하며 지수는 1.1% 내린 467.8선 마감해 3주래 최대 하락 폭을 기록하였으며, 영국의 FTSE100과 독일의 DAX 역시 각 0.8%, 1.5% 하락. 업종별로는 금융, 에너지가 각 1.3% 하락하였으며, 예상보다 낮은 가이던스를 제시한 핀란드 타이어 업체 노키안 렌카트(TYRES FH/-4.4%)를 중심으로 자동차 업종이 2.2% 내려 증시 하락을 견인.
『하루를 여는 혁신투자자문 IPO News Daily💌 - 20210909』
【 텔레그램 채널 주소 : https://t.me/KoreaIB 】
【 IPO상장문의 및 이경준 대표 Contact ☞ 📧 ipo@kakao.com 】
===========================
《📌Today's Topic1~6》
★혁신투자자문, 혁신AI신기술조합 운용...딥브레인AI에 투자
https://www.fnnews.com/news/202109080905399332
★혁신투자-이베스트證, '김주하AI 앵커' 딥브레인에 투자
https://newsis.com/view/?id=NISX20210908_0001575941&cID=10401&pID=10400
★혁신투자자문, 혁신AI신기술조합 통해 딥브레인AI(전 머니브레인)에 투자
http://www.ddaily.co.kr/news/article/?no=221502
★[시그널] 혁신투자자문, 혁신AI신기술조합 통해 ‘딥브레인AI’에 투자
https://www.sedaily.com/NewsView/22RDUS63YG
★혁신투자자문, 혁신AI신기술조합 통해 딥브레인AI에 투자
http://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1072433&inflow=N
★혁신투자자문, 혁신AI신기술조합 통해 딥브레인AI 투자
https://www.ebn.co.kr/news/view/1499820/?sc=Naver
------------------------------------------
《📌Today's Topic7》
카카오페이, 100% 균등배정 기대 효과는?
https://paxnetnews.com/articles/78303
☞ 이경준 혁신투자자문 대표는 "카카오페이가 100% 균등배정을 통해 '전국민 1인 1주'라는 국민주 타이틀을 노리고 있는데 회사의 사업 본질 자체에 대한 마케팅 전략으로 볼 수 있다"며 "주식을 보유하고 있는 투자자들이 카카오페이를 더 많이 사용할 수 있어 전략적으로 균등배정을 결정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청약률은 낮아지겠지만 청약 건수로는 역대 최대가 될 수 있을 것"이라며 "먼저 상장한 카카오뱅크보다 성장성이 높아 락업(수요예측)을 걸 기관들이 많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진단했다. 한번에 많은 물량이 쏟아질 우려가 낮은 만큼 따상(시초가가 공모가 2배로 형성된 후 상한가)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
《📌Today's Topic8》
상장 한달 앞두고 '날벼락', 카카오페이 "IPO일정 그대로"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1090816575462687
☞ 이경준 혁신투자자문 대표는 "카카오페이와 금융당국 간의 입장차가 얼마나 좁혀질 수 있을 지가 상장 일정에 가장 큰 핵심 요소로 보인다"며 "6월에 거래소로부터 예비심사 통과를 받아서 올해 안에 상장을 하지 않으면 안 되는 점을 카카오페이도 잘 알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금일 IPO 일정 ★
09/08~09 바이오플러스 수요예측⚖️
09/09~10 실리콘투 수요예측⚖️
09/09~10 프롬바이오 수요예측⚖️
☆ 금주 남은 IPO 일정 ☆
09/09~10 실리콘투 수요예측⚖️
09/09~10 프롬바이오 수요예측⚖️
09/10 와이엠텍 상장★
09/10 현대중공업 납입🏧
------------------------------------------
▣ 기관IR 일정 ▣
- 온라인 간담회로만 진행 中 -
▣ 상장 일정(예정, 변경가능) ▣
09/10 와이엠텍(KB증권)
09/17 현대중공업(미래에셋대우, 한국투자증권)
09/24 실리콘투(삼성증권)
09/24 프롬바이오(NH투자증권)
09/27 바이오플러스(키움증권)
09/29 에스앤디(유진투자증권)
10/07 원준(NH투자증권)
10/07 아스플로(미래에셋증권)
10/08 리파인(KB증권)
10/08 씨유테크(대신증권)
10/12 시몬느액세서리컬렉션(삼성증권, 미래에셋증권)
10/13 케이카(NH투자증권)
10/14 카카오페이(삼성증권)
10/22 차백신연구소(삼성증권)
미정 - 비트나인(하나금융투자)
미정 - 지아이텍(미래에셋증권)
미정 - 지오엘리먼트(NH투자증권)
▣ 심사 승인 ▣
- 아이패밀리에스씨(삼성증권)
- 피코그램(IBK투자증권)
- 지앤비에스엔지니어링(삼성증권)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 국내 IPO 개별종목
■ 지오엘리먼트, 증권신고서 제출..."10월 코스닥 상장"
https://www.fnnews.com/news/202109081520386111
■ '2차 전지 부품주' 지아이텍, IPO절차 돌입…장·단점은?
https://www.ajunews.com/view/20210908150906018
■ '꼬인' LG엔솔 상장 어떻게… "공모주 초대어 촉각"
http://www.cbci.co.kr/news/articleView.html?idxno=419088
■ "코로나19 장기화에…롯데그룹, 호텔롯데 IPO 빨간불"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460406629178152&mediaCodeNo=257&OutLnkChk=Y
■ 디어유 IPO, SM 지분 매각 변수되나
https://paxnetnews.com/articles/78269
■ “실패? 삼수라도 한다”… 인카금융, 코스닥 상장 재도전
https://moneys.mt.co.kr/news/mwView.php?no=2021090807328063828
■ '밀키트 1위' 프레시지, 상장 미루는 속내
http://news.bizwatch.co.kr/article/consumer/2021/09/08/0024
■ 엠투아이 파는 코메스, '바이아웃→IPO→매각' VC 첫사례…1500억 '잭팟'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1090809300995351
▶️▶️▷ IPOmarket(해외IPO포함)
■ 올해 신규 상장한 '새내기 성적표'
http://www.itooza.com/common/iview.php?no=2021090718481805129
■ IPO 시장에 10조 뭉칫돈이 움직인다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210908000409
■ [단독] ‘스팩 소멸’ 새 합병방식 내년 3월 도입된다
https://cnews.thekpm.com/view.php?ud=2021090810313694924398dcfde9_17
▶️▶️▷ 시장 이모저모
■ "누가 '규제' 소리를 내었는가"…네이버·카카오 주가 털썩
http://www.inews24.com/view/1402881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시황 & 뉴스 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9월 13일(월) 증시캘린더 / 해외마감시황 (1) | 2021.09.13 |
---|---|
9월 10일(금) 증시캘린더 / 해외마감시황 (0) | 2021.09.10 |
9월 8일(수) 장마감후 기관 및 외인 수급분석 (0) | 2021.09.08 |
9월 8일(수) 증시캘린더 / 해외마감시황 (0) | 2021.09.08 |
9월 7일(화) 증시캘린더 / 해외마감시황 (0) | 2021.09.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