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스터디를 위해 개인적으로 스크랩한 증시캘린더, 국내 및 해외마감 시황, 뉴스 자료를 공유합니다.
증시캘린더는 개인적으로 관련된 소식을 확인후 작성한 일정이라 변동 또는 오류의 소지가 있습니다.
게시물은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한 것이라
불확실하거나 오류가 많을 수 있으므로 투자 활용시 유의하시기 바라며, 개별적인 종목 추천이나 상담은 하지 않습니다.
모쪼록 제 공간에 오신 모든 분들이 주식스터디를 통해 인생 한 방보다, 꾸준함을 믿으며...
복리의 마법으로 모든 분들이 성공한 개인투자자가 되시길...
[간밤 월드뉴스 총정리 1월20일] “나쁜 뉴스는 나쁘다”/ 넷플릭스 급등/ 美서부 집값 30%↓/ 노드스트롬·P&G 경고 의미/ 고먼의 예측/ UBS 추천주 4개
- '아직 뜨거운' 노동시장에 금리 우려...美증시↓[뉴욕마감](종합)
A street sign on Wall Street outside the New York Stock Exchange September .. 머니투데이 | 2023-01-20 07:50:24
- 뉴욕증시, 긴축·침체 우려에 하락…실내 마스크 의무 해제 눈앞 [모닝브리핑]
◆뉴욕증시 하락 마감…긴축·침체 우려뉴욕증시가 하락 마감했습니다. 미국 중앙은행(Fed) 긴축 위험과 이에 따른 경기 침체 우려가 커져.. 한국경제 | 2023-01-20 07:09:01 - '금리인상 지속' 우려에 美증시 하락...에너지주 강세[뉴욕마감]
The Wall Street entrance to the New York Stock Exchange is pictured March 2.. 머니투데이 | 2023-01-20 06:56:58
출처: <https://finance.naver.com/news/mainnews.nhn>
뉴욕증시, 연준 매파 발언에 일제히 하락 ‘넷플릭스 호실적` 시간외 7%↑…유가·비트코인 상승 [출근전 꼭 글로벌브리핑]
출처: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301200013&t=NN>
2023년 1월 20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브레이너드 Fed 부의장이 연착륙 가능성을 시사했습니다.
(2) 넷플릭스의 4분기 유료 가입자 수가 예상을 웃돌았습니다.
(3) 애플이 스마트 홈 사업을 가속화할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719%p (-0.006%p)
한국 고객예탁금, 45.6조원 +0.4조원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06% (오전 5시 기준)
1개월 NDF 환율 1,231.83원 (-0.62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01/20 [미래에셋증권] 해외 금융시장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 (02-3774-1621)
◆ 미국 증시
- DOW: 33,044.56p (-252.40p, -0.76%)
- S&P500: 3,898.85p (-30.01p, -0.76%)
- NASDAQ: 10,852.27p (-104.74p, -0.96%)
- 러셀2000: 1,836.35p (-18.02p, -0.97%)
◆ 한국 관련
- MSCI 한국지수 ETF: $62.17 (+0.85, +1.39%)
- MSCI 이머징지수 ETF: $41.10 (+0.31, +0.76%)
- Eurex kospi 200: 314.95p (+0.20p, +0.06%)
- NDF 환율(1개월물): 1,231.59원 / 전일 대비 2원 하락 출발 예상
- 필라델피아 반도체: 2,710.44 (-79.03, -2.83%)
◆ 외환시장
- 달러인덱스: 102.073 (-0.290, -0.28%)
- 유로/달러: 1.0830 (+0.0036, +0.33%)
- 달러/엔: 128.39 (-0.51, -0.40%)
- 파운드/달러: 1.2389 (+0.0041, +0.33%)
◆ 미국 국채시장
- 2년물: 4.1117% (+2.9bp)
- 5년물: 3.4811% (+4.3bp)
- 10년물: 3.3933% (+2.4bp)
- 30년물: 3.5645% (+2.7bp)
- 10Y-2Y: -71.84bp (0.57bp 역전 확대)
(국채선물)
- 2YR T-Notes: 103*03 3/4 (-0*02 , -0.07%)
- 5YR T-Notes: 110*00 3/4 (-0*07 3/4, -0.22%)
- 10YR T-Notes: 115*20 1/2 (-0*09 , -0.24%)
- US T-Bonds: 131*24 (-0*12 , -0.28%)
- Ultra US T-Bonds: 144*01 (-0*20 , -0.43%)
◆ 상품시장 ($, 단 곡물, 구리는 센트)
- WTI: 80.33 (+0.90, +1.13%)
- 브렌트유: 86.16 (+1.25, +1.47%)
- 금: 1,923.90 (+27.20, +1.43%)
- 은: 23.87 (+0.36, +1.51%)
- 아연(LME, 3M): 3,457.50 (+52.50, +1.54%)
- 구리: 423.15 (+1.50, +0.35%)
- 옥수수: 677.25 (-5.00, -0.73%)
- 밀: 734.50 (-8.75, -1.18%)
- 대두: 1,514.75 (-9.00, -0.59%)
*동 자료는 2023년 1월 20일 미래에셋증권 홈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를 요약한 것입니다.
글로벌 주식시장 변화와 전망(1월 20일)
미래에셋증권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02-3774-1621)
미 증시, 부채한도 및 긴축 우려로 하락 후 종목 차별화 진행
미 증시는 견조한 고용지표 등을 기반으로 연준의 긴축에 대한 우려가 지속되며 하락 출발. 여기에 실물 경제지표 등으로 인한 경기 침체 이슈도 전일에 이어 부담을 주는 등 매물 출회 욕구가 강화. 특히 최근 상승폭이 컸던 반도체 업종은 물론, 산업재 등이 하락 주도. 그러나 브레이너드 연준 부의장이 정책 금리가 충분히 제한적인 수준에 가깝게 이동해 향후 더 많은 데이터를 평가해야 한다고 주장 후 낙폭 일부 축소되기도 했으나, 장 마감 앞두고 차익 매물 출회되며 마감(다우 -0.76%, 나스닥 -0.96%, S&P500 -0.76%, 러셀2000 -0.97%)
변화요인: ①연준 위원들 발언 ②부채한도 협상
https://securities.miraeasset.com/bbs/download/2100740.pdf?attachmentId=2100740
01/20 한국 증시: 제한적인 등락 속 중국과 외국인 수급 주목
미래에셋증권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02-3774-1621)
MSCI 한국 지수 ETF는 1.39%, MSCI 신흥 지수 ETF는 0.76% 등은 상승. NDF 달러/원 환율 1개월물은 1,231.59원으로 이를 반영하면 달러/원 환율은 2원 하락 출발 예상. Eurex KOSPI200 선물은 0.06% 상승. KOSPI는 0.3% 내외 상승 출발 예상
미 증시가 물가 안정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높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는 우려 속 연준 위원들의 발언과 고용지표 등을 토대로 긴축이 지속될 수 있다는 점이 부각되며 하락한 점은 한국 증시에 부담. 특히 실물 경제지표 둔화에 따른 경기 위축 우려가 높아진 점, 부채 한도를 둘러싼 미국의 정치 불확실성은 투자심리에 부담을 줄 것으로 전망. 물론, 이미 알려져 있던 내용이라는 점을 감안 영향이 제한되겠지만, 차익실현 매물 출회 가능성을 높일 수 있음
한편, 연준 위원들의 경기에 대한 자신감 표명, 옐런 미 재무장관과 류허 중국 부총리의 회담과 추가적인 옐런의 중국 방문 등은 향후 미-중 갈등을 완화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투자심리에 우호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 특히 이날 미 증시에서 미-중 갈등 완화를 기반으로 중국 기업들이 상승해 오늘 중국 증시의 견고함이 예상된다는 점도 우호적. 더불어 넷플릭스가 예상을 상회한 가입자수 발표로 상승하고 있다는 점도 긍정적. 이를 감안 한국 증시는 0.3% 내외 상승 출발 후 중국 증시의 움직임과 전일 시장을 이끈 외국인의 수급에 따라 방향성이 결정될 것으로 전망.
[신영증권 자산전략팀] 23.01.20 모닝 브리프
- 뉴욕증시 3대지수 하락 마감. 노동지표 예상치 상회에도 경기 침체 우려 지속되며 산업/자유소비재/금융 관련주 중심 약세
- WTI, 리세션 우려에도 중국 수요 회복 기대감에 상승. NDF 원/달러 환율 1,232.6원 호가
- 미 국채금리, ECB 총재의 매파적 발언에 따른 독일 분트 금리 상승 영향 및 미 노동지표 호조에 전구간 상승. 2y10y 스프레드 역전폭 0.30bp 축소, 커브 불-스팁
==================
◆ 미국 증시
-DOW 33,044.56p (-0.76%)
-NASDAQ 10,852.27p (-0.96%)
-S&P500 3,898.85p (-0.76%)
-Russell 2000 1,836.35p (-0.97%)
◆ 미국 주요 종목
Top Gainers 3
-META (+2.35%)
-ALPHABET C (+2.32%)
-BRISTOL MYERS SQUIBB (+2.23%)
Top Losers 3
-ALLSTATE (-5.88%)
-HOME DEPOT (-3.96%)
-CAPITAL ONE FINANCIAL (-3.92%)
기타 주요 종목
-아마존 (-1.86%)
-테슬라 (-1.25%)
-코카콜라 (-0.15%)
-NVIDIA (-3.52%)
-Apple (+0.04%)
-Ford (-1.85%)
-Microsoft (-1.65%)
-메타 플랫폼스 (+2.35%)
-유니티 소프트웨어 (-5.80%)
-ASML Holding (-3.38%)
-AT&T (-0.42%)
-로블록스 (-6.57%)
-Airbnb (-1.99%)
-디즈니 (+0.04%)
-리얼티 인컴 (-1.11%)
-화이자 (-0.09%)
-머크 (+1.02%)
-길리어드 (-0.14%)
-IBM (+0.15%)
-에스티로더 (-1.42%)
-사이먼 프라퍼티 (-1.08%)
-보스턴 프라퍼티 (-0.98%)
-구글 (+2.32%)
-Star Bulk (+0.51%)
-Waste Management (-0.27%)
◆ 유로지역
-이탈리아-독일 2년물 28.8bp (+2.4bp)
-크레딧 스위스 CDS 313.7bp (+5.1bp)
◆ 외환시장
-달러인덱스 102.07 (-0.28%)
-달러/엔 128.51 (-0.53%)
◆ 미국 국채시장
-2년물 4.127% (+4.2bp)
-10년물 3.393% (+4.5bp)
-30년물 3.562% (+2.0bp)
◆ 한국 국고채시장
-3년물 3.390% (-10.0bp)
-10년물 3.337% (-10.6bp)
-한국 5년 CDS 42.1bp (-0.0bp)
◆ 상품시장
-WTI (bbl) $80.33 (+1.88%)
-금 (t oz) $1,923.90 (+1.21%)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배정연연구원
문의사항 및 수신거부 02-2004-9891
[한화투자증권 경제 임혜윤]
<오늘 개장전 꼭 알아야할 5가지_Bloomberg 1/20>
1) 연준 최종 금리 5% 위
라엘 브레이너드 연준 부의장은 인플레이션이 최근 둔화 조짐을 보이고 있지만, 여전히 높기 때문에 금리가 일정 기간 충분히 제약적 수준을 유지해야 한다고 주장. 그는 인플레이션을 2%로 낮추려면 시간과 의지가 필요하다고 강조. 다만, 질의응답에서 정책이 이미 제약적 영역에 있다고 말해 연준의 긴축 행진이 거의 막바지에 있다는 비둘기파적 견해를 암시. 수잔 콜린스 보스턴 연은 총재는 정책 금리가 이제 제약적 영역에 들어섰다며, 현재 지표상 정점에 근접하고 있는 듯 보여 그동안 가팔랐던 긴축 속도를 보다 느리게 가져가는 것이 적절하다는 생각이라고 밝힘. “현 단계에서 보다 신중하게 금리를 조정한다면 통화정책이 직면한 서로 대립적인 위험 요인들을 더욱 잘 다룰 수 있을 것”이라고 진단. 올해 FOMC 금리 결정 투표권이 없는 콜린스는 물가 안정 회복이 여전히 연준의 목표라는 점을 강조하면서 “금리를 좀더 올려, 5% 약간 위까지 간 뒤 그 수준에서 일정 기간 유지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예상한다”고 언급. 또한 노동시장의 회복력과 기업 및 가계의 지출을 지적하며 연준의 공격적 긴축으로 미국 경제가 불황에 빠질 수 있다는 우려를 일축
2) 채권시장은 5% 아래 베팅
채권 트레이더들이 또다시 연준을 코너에 몰아넣고 있음. 시장은 연준 최종 금리가 5%까지 가기 어려울 것으로 베팅하며 5% 위를 고수하고 있는 연준 인사들의 스탠스에 맞서는 모습. 목요일 2023년 6월물 SOFR 옵션 거래에서 정책금리 피크를 4.75%~4.875%로 보고 약 525만 달러의 프리미엄을 지불하는 헤징 베팅이 눈길을 끌었음. 투자자들은 또한 잠재적 경기침체에 앞서 미국채 안전자산에 포지션을 취하고 있음. 전일 미국채 금리의 급락과 더불어 선물시장에서 신규 롱 포지션이 줄지어 체결. 한편 글로벌 채권시장이 연초 랠리를 펼치자 전세계 정부와 기업들이 앞다투어 채권 발행에 나서면서 발행 물량이 올해 들어 벌써 5,000억 달러를 넘어섬
3) 대중 반도체 포위
반도체 제조장비의 주요 공급처인 네덜란드와 일본이 대중 기술 수출을 규제하고 중국의 첨단 반도체 개발을 저지하려는 바이든 행정부의 노력에 합류할 것으로 예상. 사안에 정통한 소식통에 따르면 네덜란드와 일본의 수출 통제는 이르면 1월 말 합의해 최종 결정될 수도 있음. 바이든 대통령은 앞서 백악관에서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및 마르크 뤼터 네덜란드 총리와 연이어 만나 이 문제에 대해 논의. 뤼터 총리는 수출 통제 합의에 도달할 것으로 “매우 확신한다”고 언급. 네덜란드나 일본이 미국산 제조장비의 수출은 물론 미국 시민의 중국 반도체업체 근무마저 제한한 바이든 행정부만큼 강하게 압박하진 않겠지만, 이들 3국이 힘을 합쳐 포위망을 좁힐 경우 중국은 첨단 반도체 생산에 필요한 기술을 확보하기 어려울 수도 있음. 상하이 소재 텔레콤 소프트웨어 공급업체인 Agora는 해당 소식이 전해진 뒤 미국 거래에서 ADR 가격이 한때 8.3% 급락
4) ECB 추가 인상
크리스틴 라가르드 유럽중앙은행(ECB) 총재는 인플레이션이 여전히 너무 높다며 물가 안정 목표를 달성하겠다는 정책 당국의 의지를 재다짐. 그는 “모든 면에서 인플레이션은 지나치게 높다”며, “적시에 인플레이션을 2%로 되돌릴 수 있도록 충분히 오랫동안 제한적인 영역으로 이동할 때까지 현재 경로를 유지할 방침”이라고 언급. Francois Villeroy de Galhau와 Klaas Knot 정책위원은 단기적으로 50bp 인상이 필요하다는 라가르드의 지난달 발언이 현재도 유효하다고 강조. 간밤 공개된 지난 ECB 정책회의 의사록에 따르면 당시 “많은 수”의 위원들이 처음엔 필립 레인 수석 이코노미스트가 제안한 50bp 인상 대신 75bp를 선호했던 것으로 나타났음. 일부는 결국 50bp에 동의하고 대신 라가르드에게 다음 회의에서 빅스텝 추가 인상을 공개적으로 약속하도록 했음. 유로존 인플레이션이 마침내 둔화되고 천연가스 가격이 급락함에 따라 몇몇 정책 입안자들은 2월 50bp 인상 이후 속도 조절이 적절할지 고민 중인 것으로 알려짐
5) 러시아 원유 제재
일부 유럽 국가들이 보다 강한 압박을 요구하고 있지만 바이든 행정부는 러시아산 원유에 대한 수출가격 상한선을 낮추는데 현재로선 반대하는 입장. 러시아의 대표적인 우랄산 원유는 국제 시세보다 훨씬 낮은 수준으로, 지난 12월 발효된 주요 7개국(G-7)의 배럴당 60달러 상한선을 밑돌고 있어 제재로서 실효성이 없다는 지적이 제기. 유럽연합(EU)은 가격 통제선을 시장평균 대비 최소 5% 아래에서 유지한다는 목표 아래 1월 중순부터 2개월마다 검토하기로 결정. 미국은 상한선을 재검토하기 전에 디젤과 같은 정제 연료에 대한 G-7의 추가 가격 상한제가 다음 달 시행될 때까지 기다리고 싶어한다고 소식통은 전언. 상한선 조정은 동맹국의 만장일치가 필요. 한편 골드만삭스가 중국 수요 회복 및 만성적인 투자 부족으로 유가가 105달러 이상으로 치솟을 수 있다고 전망한 반면, JP모간은 중국 리오프닝에도 불구하고 지정학적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는 한 브렌트유가 100달러를 돌파하기 어렵다고 주장
(2023.01.20) U.S.& EU Market Closing
- 2023.01.20
- 류재형
U.S. Market Closing – 06:00 기준
지수 | 종가 | 등락폭 | 등락률 | 상승/하락/보합 |
DOW | 33,044.56 | -252.40 | -0.8% | 13/17/0 |
S&P500 | 3,898.85 | -30.01 | -0.8% | 131/371/1 |
NASDAQ | 10,852.27 | -104.74 | -1.0% | 1185/2049/395 |
RUSS 2K | 1,838.51 | -15.86 | -0.9% | 636/1267/41 |
PHLX 반도체지수 | 2,710.44 | -79.03 | -2.8% | 0/30/0 |
VIX지수 | 20.43 | 0.09 | 0.4% |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 티레이더에서 나스닥 •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실시간 제공
새해 들어 강세를 나타내던시장은 어제에 이어 오늘까지 완연한 약세를 보이며 하락 마감. 그동안 고 인플레와 금리 인상이 이어지면서경제지표의 약세가 주식시장을 호재로 받아들여져 왔지만 최근 들어 대두된 경기침체 우려와 여전히 강경한 중앙은행 당국의 발언들이 나오고 있는 상황에서시장은 조금 더 난해한 상황으로 빠져들고 있는 것으로 보임. 최근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등 대기업들이 감원을 하고 있는 상황에서 발표된 신규실업수당 청구건수는 예상치(214,000)를 하회하는190,000로 발표되었음. ECB총재는 금리인상 속도 조절을 기대하는 시장의 기대가 잘못되었다고 발언함.
미국 주식 하이라이트 – 06:00 기준
* 디스커버 파이낸셜 서비스(DFS) $ 101.9050/ -0.43%
온라인 은행인 디스커버는예상치를 뛰어넘는 주당 순이익을 달성했으나 장 초반 8% 가까운 하락을 보인 후 반등. 디스커버는 전 회계연도 대비 큰 폭으로 증가한 신용 손실 충당금 준비하고 있으며, 이는 동사의 올해 사업 여건이 좋지 않음을 반증하는 것으로 해석됨.
* 프록터 앤 갬블(PG) $ 142.37/ -2.15%
동사의 분기 매출은 레피니티브가 집계한 월가 전망치인 207억 3000만달러를 소폭 상회하였으며 EPS는 1.59달러로 시장 전망과 정확히 일치. 하지만 투자자들은 실망스런 가이던스를 내놓음에 따라 동사의 주가는 부진한 모습을 보임.
U.S. ETF Closing – 05:00 기준
Sector
분류 | 티커 | 현재가 | 등락률 | t신호 | 수익률 | ||
1개월 | 3개월 | 1년 | |||||
에너지 | XLE | 89.56 | 1.21% | 햇빛 | 3.70% | 3.50% | 48.50% |
커뮤니케이션 | XLC | 51.48 | 0.49% | 햇빛 | 7.80% | -0.40% | -28.50% |
헬스케어 | XLV | 133.25 | 0.25% | 안개 | -2.20% | 2.90% | 4.80% |
부동산 | VNQ | 86.67 | -0.54% | 햇빛 | 5.20% | 8.20% | -14.70% |
소재 | XLB | 81.16 | -0.76% | 햇빛 | 3.10% | 10.90% | -1.30% |
필수소비재 | XLP | 72.06 | -0.95% | 안개 | -3.90% | 2.10% | -2.30% |
유틸리티 | XLU | 68.83 | -0.99% | 안개 | -2.50% | 6.50% | 4.00% |
IT | XLK | 127.91 | -1.14% | 안개 | 0.10% | -0.20% | -16.80% |
금융 | XLF | 34.78 | -1.22% | 햇빛 | 2.10% | 6.00% | -7.30% |
자유소비재 | XLY | 135.67 | -1.67% | 햇빛 | 2.80% | -7.20% | -25.00% |
산업재 | XLI | 97.65 | -2.04% | 안개 | -1.50% | 7.70% | -2.40% |
자료: 티레이더, 유안타증권해외투자전략팀
경기침체에 대한 우려와FED 관계자들의 발언이 이어지면서 이틀째 하락세를 보이는 가운데 헬스케어 섹터가 강세를 보임. UBS가 큐어백(CVAC)의 mRNA인플루엔자 치료제에 대한 임상1상 결과에 대해 긍정적인 전망을 내놓으면서 9.18% 상승 마감. 동사의 주가는 2023년 들어 강세를 보인 후 최근 조정을 보였으나 다시 상승세에 시동을 건 모습.
Thematic
분류 | 티커 | 현재가 | 등락률 | t신호 | 수익률 | ||
1개월 | 3개월 | 1년 | |||||
비트코인 | BITO | 13.4 | 1.86% | 햇빛 | 28.00% | 6.90% | -42.90% |
글로벌 천연자원 | GNR | 60.14 | 0.35% | 햇빛 | 4.90% | 13.10% | 13.70% |
은행 | KRE | 58.14 | 0.09% | 안개 | 0.10% | -6.10% | -18.00% |
생명공학 | IBB | 134.05 | -0.89% | 햇빛 | 0.20% | 7.60% | 3.60% |
반도체 | SOXX | 373.83 | -2.81% | 햇빛 | 2.90% | 13.50% | -20.90% |
자료: 티레이더, 유안타증권해외투자전략팀
시장 전반적으로 경기 침체우려와 연준 관계자들의 발언에 촉각을 기울이는 가운데 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음. 비트코인 테마는 금일도소폭의 상승세를 이어감. 동 섹터의 1개월 수익율이 25%를 넘어가는 등 강세를 이어가고 있는 상황이며 전통적인 자산시장의 부진이 이어질 경우 가상자산 선호심리가살아날 수 있을 가능성에 주목해야 할 상황으로 보임. S&P Global은 자동차 업계에 대해반도체 공급 부족이 아직 해결되지 않았으며, 매크로 여건 악화, 원자재의불확실성, 금리인상으로 인한 자본비용 상승 등의 이유를 들어 업황이 좋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기도함.
EU Market Closing – 02:30 기준
지수 | 종가 | 등락률 | 구분 | 업종 | 등락률 |
STOXX 600 | 450.45 | -1.5% | |||
상승 | |||||
자유소비재 | -2.2% | ||||
하락 | 산업재 | -2.3% | |||
정보기술 | -3.2% | ||||
지수 | 종가 | 고가 | 저가 | 등락폭 | 등락률 |
獨 DAX | 14,920.36 |
15,134.07 |
14,906.27 |
-261.44 |
-1.7% |
英 FTSE 100 | 7,747.29 |
7,830.80 |
7,726.23 |
-83.41 |
-1.1% |
佛 CAC 40 | 6,951.87 | 7,056.14 | 6,946.74 | -131.52 | -1.9% |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해외투자전략팀
연초 상승세를 이어가던 유럽증시는 새해 들어 처음으로 하락마감. 어제 미국의 PPI발표와 예상을 하회하는 기업들의 실적 발표, 미국 산업생산의 약세 등으로 시장은 이제 경기침체를 우려해야 하는 국면으로 들어선 것으로 보임. 미 연준이나 ECB관계자들이 금리인상 속도 조절에 대한 시장의 기대에반하는 메시지를 내고 있는 것도 부담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임. 시장은 지난달 ECB 금리결정 회의록과 다보스 경제 포럼에서의 ECB총재의 언급에주목하고 있는 것으로 보임.
[한투증권 전기전자/2차전지 조철희]
1월20일 IT 주요뉴스
● 中에 '세계 1위' 빼앗긴 韓 디스플레이…尹 정부, '전방위 지원' 본격화
-높은 세액공제율을 적용하는 국가전략기술에 디스플레이가 추가됨
-디스플레이 부문에 9000억원의 정책금융 자금 지원, OLED 신시장창출 실증 및 소부장 R&D 등에 2115억원 투자
Link: https://bit.ly/3ZJjwE2
● "갤럭시S23에 맞춤형 스냅드래곤 8 2세대 AP 탑재"
-더 높은 클럭 속도(3.36GHz)를 지원하는 갤럭시 맞춤형 퀄컴의 스냅드래곤8 2세대 탑재 예정
-TSMC 파운드리가 아닌 삼성전자의 파운드리에서 생산될 전망
Link: https://bit.ly/3XEmh7D
● "스마트워치 마이크로 LED 목표가격, OLED의 2배 웃돌 것"
-마이크로 LED 스마트워치 출시를 위해서는 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 가격이 OLED의 2배 수준까지 낮아져야 할 것으로 예상
-LG디스플레이가 애플워치용 마이크로 LED에 우선 대응할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
Link: https://bit.ly/3GYvv8m
● LCD panel makers bracing for headwinds in 2023(Digitimes prime)
-Although LCD panel makers have recently seen a short-term surge of their capacity utilization rate to 60-70%, up from 60% in September 2022, most makers in the line believe demand for their products will remain weak in 2023.
● Samsung reportedly struggling to collect PLI incentives in India(Digitimes)
-인도 정부는 삼성전자의 예측(1억1000만 달러)보다 적은 2천만 달러의 인센티브를 제공할 의향
-삼성전자가 PLI 제도에서 제시하는 제조 비용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기 때문
『하루를 여는 이경준 혁신IB자산운용 대표의 화(話)가 담긴 IPO Daily💌 - 20230120』
【 텔레그램 채널 주소 : https://t.me/KoreaIB 】
【 IPO상장 및 투자자문 문의 ☞ 📧 ipo@kakao.com 】
===========================
《📌Today's Topic1》
[톡톡 리딩금융인] '12배 성장' 이경준 혁신IB자산운용 대표 "중소형주 IPO 틈새 노려라"
https://daily.hankooki.com/news/articleView.html?idxno=915873
🎙 인터뷰가 부끄럽지 않은 사람이 되도록 더 노력하겠습니다.
------------------------------------------
《📌Today's Topic2》
(새해 첫 새내기주)②달라진 공모주 투자법…규모 작을수록 흥행에 유리
http://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1173094&inflow=N
🎙 이경준 혁신IB자산운용 대표는 “과거부터 매번 소형주의 공모는 흥행에 유리했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시장의 변화라면 대어급 IPO의 흥행이 예전보다 어려워졌다는 것인데, 소형주의 경우 큰 의미가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수많은 기관 투자자들이 있는데 소형주의 경우 배정 받아봐야 몇주 안되기 때문에 사실상 수익에 큰 영향은 없다”면서“종목에 대한 수급은 많고 공급은 적어지는 불균형이 발생하고 유통물량이 적은 만큼 예전부터 소형주는 좀 더 안전하다는 일종의 합의가 있었다”고 덧붙였습니다.
------------------------------------------
《📌Today's Topic3》
K뱅크 상장, 철회 수순 밟을 듯…최대주주 KT 결정 못 하고 美 투자 유치도 물 건너가
🎙 이경준 혁신IB자산운용 대표는 “조 단위 규모의 IPO이기 때문에 제대로 된 기업가치를 평가받기 어려운 지금 공모가를 낮춰 IPO를 하기보다는 시기를 늦춰서 제값을 받고 공모를 하려고 할 것”이라면서 “적자가 나는 기업도 아니기 때문에 기업공개로 자금을 급하게 조달해야 할 상황도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
★ 금일 일정 ★
숨 고르고,
☆ 다음주 일정 ☆
~ 01/24 설연휴🐇
01/25~26 삼기이브이 청약🖨
01/26~27 꿈비 수요예측⚖️
01/26~27 스튜디오미르 청약🖨
01/27 미래반도체 상장⭐️
< 출처 : 🇰🇷이경준 혁신IB자산운용 대표의 화(話)💬 https://t.me/KoreaIB >
------------------------------------------
▣ 기관IR 일정 ▣
- 온라인 및 소규모 간담회로만 진행 -
▣ 상장 일정(예정, 변경가능) ▣
01/19 티이엠씨(한화투자증권)
01/19 한주라이트메탈(미래에셋증권, 현대차증권)
01/27 미래반도체(신한투자증권)
01/30 오브젠(한국투자증권)
02/03 삼기이브이(대신증권)
02/07 미르(미래에셋증권)
02/09 꿈비(키움증권)
02/15 샌즈랩(키움증권)
02/16 제이오(한국투자증권)
02/20 이노진(IBK투자증권)
02/24 오아시스(NH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03/02 나노팀(한국투자증권)
03/03 바이오인프라(DB금융투자)
03/06 블루포인트파트너스(한국투자증권)
03/07 자람테크놀로지(신영증권)
▣ 심사 승인 ▣
- 엘비인베스트먼트(미래에셋증권)
- 지아이이노베이션(NH투자증권, 하나증권, 삼성증권)
- 트루엔(미래에셋증권)
- 큐라티스(대신증권, 신영증권)
- 금양그린파워(삼성증권)
- 토마토시스템(교보증권)
< 출처 : 🇰🇷이경준 혁신IB자산운용 대표의 화(話)💬 https://t.me/KoreaIB >
===========================
'시황 & 뉴스 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월 25일(수) 증시캘린더 / 해외마감시황 (3) | 2023.01.25 |
---|---|
1월 21일(토) 증시캘린더 / 해외마감시황 (0) | 2023.01.21 |
1월 19일(목) 증시캘린더 / 해외마감시황 (0) | 2023.01.19 |
1월 18일(수) 증시캘린더 / 해외마감시황 (0) | 2023.01.18 |
1월 17일(화) 증시캘린더 / 해외마감시황 (0) | 2023.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