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주식 스터디를 위해 개인적으로 스크랩한 증시캘린더, 국내 및 해외마감 시황, 뉴스 자료를 공유합니다.

1) 증시캘린더는 개인적으로 관련된 소식을 확인후 작성한 일정이라 변동 또는 오류의 소지가 있습니다.

2) 노션으로 공유한 링크는 익스플로러에선 제대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크롬에 최적화, 엣지, 웨일에서도 잘 작동합니다.

    ( 공유 자료링크는 1~2일후 공유 해지 합니다.)

 

게시물은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한 것이라

불확실하거나 오류가 많을 수 있으므로 투자 활용시 유의하시기 바라며, 개별적인 종목 추천이나 상담은 하지 않습니다.

 

모쪼록 제 공간에 오신 모든 분들이 주식스터디를 통해 인생 한 방보다, 꾸준함을 믿으며...

복리의 마법으로 모든 분들이 성공한 개인투자자가 되시길...


뉴욕증시, 기업 호실적에 급등…S&P, 7개월 만에 최대폭 상승 [출근전 꼭 글로벌 브리핑]

 

[미국증시 마감시황]

 

■ 기업 어닝 서프라이즈에 상승

 

현지시간 14일 뉴욕증시는 대형 은행 등 주요 기업들의 3분기 실적이 긍정적으로 나오면서 상승했다.

 

다우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56% 상승한 34,912.56에 거래를 마쳤다. S&P500지수는 1.71% 오른 4,438.26을,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1.73% 상승한 14,823.43에 장을 마감했다.

 

S&P500 지수는 지난 3월 5일 이후 7개월여 만에, 나스닥 지수는 5월 20일 이후 5개월여 만에 각각 최대 상승폭을 기록했다.

 

이날 개장 전 뱅크오브아메리카, 씨티그룹, 웰스파고, 모건스탠리 등 월가 은행주들이 일제히 전년 동기보다 순이익이 50% 안팎으로 급증했다는 어닝 서프라이즈를 내놓았다.

 

다우지수에 편입된 유나이티드 헬스와 월그린스 부츠 얼라이언스도 호실적을 발표하며 투심을 이끌었다.

 

크레딧스위스에 따르면 현재까지 실적을 발표한 S&P500지수 기업의 순익은 예상치를 평균 11% 상회했다.

 

생산자물가는 월가의 예상을 밑돌았다. 미 노동부가 발표한 9월 생산자물가지수(PPI)는 전월 대비 0.5% 상승했다.

 

[특징주]

 

■ 기술주

 

주요 기술주인 팡(FAANG) 종목도 일제히 강세를 보였다. 구글과 애플이 2%대 상승세를 보였고, 페이스북 1.23%, 넷플릭스 0.64%, 아마존이 0.47% 모두 상승하며 거래를 마쳤다.

 

이날 테슬라 주가는 0.89% 오른 818.32달러에서 마감했다.

 

■ 반도체주

 

반도체 섹터도 주가가 치솟았다.

 

퀄컴(+2.90%) 엔비디아(+3.85%) ASML홀딩(+4.55%) 램 리서치(+4.32%) 자일링스(+2.57%) 웨스턴 디지털(+4.32%) 등의 모두 큰 폭의 상승세를 보였다. 대만 반도체와 유럽 반도체칩 업체들의 실적 호전이 뉴욕증시까지 훈풍을 전했다는 분석이다.

 

[유럽증시 마감시황]

 

■ 실적 호조에 일제히 상승 마감

 

유럽 주요국 증시 역시 일제히 상승세를 보였다. 독일 프랑크푸르트 증시의 DAX30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4% 오른 15,462.72로 장을 마쳤고, 프랑스 파리 증시의 CAC40 지수는 1.33% 뛴 6,685.21로 거래를 마쳤다.

 

영국 런던의 FTSE 100 증시는 0.92% 오른 7,207.71, 범유럽 지수인 유로 Stoxx50은 1.61% 상승한 4,149.06으로 장을 끝냈다.

 

[중국증시 마감시황]

 

■ 생산물가 상승에 인플레 우려 `고개`…하락 마감

 

14일 중국 증시는 혼조세로 마감했다. 상하이종합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0.1% 하락한 3558.28로 장을 마쳤고, 선전지수도 0.08% 하락한 1만4341.38로 마감했다. 창업판지수만이 0.17% 상승한 3215.74로 장을 닫았다.

 

중국의 9월 생산자물가지수가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면서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진 점이 증시에 악재로 작용했다. 9월의 생산자물가지수는 전년 동기 대비 10.7% 상승하며 1996년 10월 국가통계국이 통계를 시작한 이후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베트남증시 마감시황]

 

■ 시장 불확실성 속 관망 및 혼조세…약보합 마감

 

VN지수는 0.00%(0.06p) 소폭 하락한 1391.85p를 기록하며, 1400선 돌파는 다음으로 연기하게 됐다.

 

증권 전문가들은 "이날 베트남증시의 VN지수는 투자자 심리가 불확실하고 단기적으로 주가 상승에 어려움이 많다는 것을 보여줬다고 평가된다"고 전했다.

 

하지만 "지난 20거래일 평균을 상회하는 유동성과 거래량 회복은 베트남증시가 개선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고 진단했다.

 

총 거래액은 전날에 비해 18% 증가한 22조1100억동(VND) 미화로는 약 9억7600만달러를 기록했다.

 

호찌민거래소와 하노이거래소, 비상장기업 UPCoM거래소를 모두 합해 514개 종목이 상승을, 308개 종목이 하락했다.

 

베트남증시 시가총액 상위30대 종목 바스켓 VN30지수도 0.14%(2.17p) 하락하며 1503.38p로 마감했다. 11개 종목이 올랐고 15개 종목이 하락했다.

 

중소형주 위주의 하노이증권거래소(HNX)는 1.45% 오른 384.84p를, 비상장기업 시장의 UPCoM지수도 0.51% 상승한 99.28p을 기록하며 이날 장을 마쳤다.

 

외국인 투자자들은 9월 17일 이후로 가장 많은 약 6450억 동(VND) 이상 순매도하며 3거래일 연속 순매도했다.

 

[국제유가]

 

최소 연말까지 원유 공급난이 지속될 것이란 전망에 국제유가는 다시 상승했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11월물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가격은 1.1% 오른 배럴당 81.31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지난 2014년 10월 이후 7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금]

 

국제 금값은 소폭 상승했다. 12월물 국제 금값은 트로이온스당 1798.20 달러로 0.19% 올랐다. 또 이날 국제 은값은 1.79%, 구리값은 2.08%나 급등했다. 달러가치 약세 속 대체제인 상품시장의 호재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출처: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110150019&t=NN>

 

 

출처: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110150019&t=NN>

 

 

 

 

 

 

 

 

2021년 10월 15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미국 9월 생산자물가가 예상을 밑돌면서 금리가 하락했고 주가가 급등했습니다.

 

(2) 금융당국이 다음주부터 전세대출을 재개하기로 했습니다.

 

(3) TSMC가 예상을 웃도는 4분기 가이던스를 제시했습니다.

 

미 5년 breakeven rate 2.719%, +0.010%p (2% 상회시 유의, 2.5% 상회시 경고)

한국 고객예탁금, 65.1조원 -1.9조원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50%

1개월 NDF 환율 1,183.98원 (-2.92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미국 상승 = 빅테크 급등 + 전약후강]

(feat. 자금 리로케이션 마무리 단계?)

 

☑️결국 돌고돌아 실적으로

*당일 실적발표 서프라이즈 기업군

-Walgreen : 유통

-United Health : 보험

-Morgan Stanley, BOA, Citi, Wellsfargo : 금융

 

<미국 시장전략>

작년 코로나 급락 이후 올해 2월말까지 초급등했던 중소형 초고성장주들은 2월 고점이후 대부분 고점대비 1/2~1/4 토막이 난 상태입니다. 최근 약 6개월간 인플레이션 슈화와 함께 연준의 유동성초과공급 축소전망이 지속되며, 수익성없는 초고성장주에서 이탈한 자금들은 다양한 분야로 리로케이션 되어왔습니다. 연준의 테이퍼링시작은 동 자금로케이션이 마무리되는 시점일 수 있습니다. 이후 증시는 실적 성장이 담보되어있는 빅테크 중심으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합니다.(지난 십수년간의 정상적인 미국증시 상승트렌드로 회귀) 따라서 지금은 고점대비 10%내외 조정받아 쉬고있는 빅테크들의 좋은 매수타이밍일 수 있습니다.

=Apple, Amazon, facebook, Adobe, Paypal 등

 

<불확실성 요인 현황>

•10/23 헝다 디폴트

=예상 : 달러채 최종부도 가능성 높음

•11/03 미국 FOMC

=예상 : 테이퍼링 확정 + 금리인상은 별개

•11월초 중국 6중전회

=예상 : 시진핑3연임 잠정확정(후계발표X)

•12/03 미국 정부부채한도상향 기간연장

=예상 : 민주당-공화당 합의

 

*코로나 : 신규확진자 감소

(전일 99,775 / WoW -10.6%)

 

•나스닥 +1.7% / 러셀2000 +1.7%

•S&P500 +1.7% / 다우 +1.6%

-나스닥 Top10 : 상승 10 vs 하락 0

 

-비트코인 : $58,000

-미국채금리(10y) : 1.518 (-2.0%)

-WTI : $81.47 (+1.3%)

-Natural Gas : $5.668 (+1.4%)

 

SMART한 주식투자

https://t.me/frankinvest

 

 

(2021.10.15) U.S. & EU Market Closing

2021.10.15  박진홍

U.S. Market Closing – 05:00 기준

지수 종가 등락폭 등락률 상승/하락/보합
DOW 34,912.56 534.75 1.6% 28/2/0
S&P500 4,438.26 74.46 1.7% 479/26/0
NASDAQ 14,823.43 251.80 1.7% 2164/1151/208
RUSS 2K 2,274.18 32.21 1.4% 1519/471/33
PHLX 반도체지수 3,291.24 98.49 3.1% 30/0/0
VIX지수 16.86 -1.78 -9.5%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미국증시는 3분기 기업 실적 발표와 경제지표를 주시하며 상승 마감. 이날 뱅크오브아메리카(BAC), 모건스탠리(MS), 웰스파고(WFC) 등 금융과 헬스케어 관련 주들이 예상치를 상회는 실적을 발표하며 지수 상승 견인. 크레디트스위스에 따르면, 현재까지 발표한 S&P500지수 상장 기업들의 순익은 평균 11%를 상회. 이어 미 노동부가 발표한 한 주간 실업보험 청구자 수는 3만 6천명 감소한 29만 3천명으로 경기 회복 기대. 하지만, 생산자물가지수(PPI)는 전월 대비 0.5%가 상승, 전년 동월대비 8.6%가 상승함으로써 인플레이션 압력, 글로벌 에너지 가격 상승, 공급망 이슈 및 금리 인상 우려는 여전히 주시하는 모습. ING의 카스텐 글로벌 리서치 팀장에 따르면, 투자자들은 현재 팬데믹 이후 경기 사이클에서 현재 어디에 위치해 있는지, 기업의 실적발표와 테이퍼링(자산 매입 축소), 금리 인상 가운데 투자전략을 모색하는 분위기라고 언급.

 

  

미국주식 하이라이트 – 05:00 기준

*유나이티드헬스(UNH/$420.40/+4.2%)

– Canor Fitzgerald는 단기적으로 의료비용 예측이 불확실하지만, 동사의 의료보험 사업 및 펀더멘털이 견고하여 2022년 실적 또한 기대할 수 있다고 언급. 목표주가는 $450로 유지

 

*우버(UBER/$47.28/+1.9%)

– John Blackledge 애널리스트는 동사의 3분기 실적 회복에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이는 차량 이용 증가와 건당 요금 상승이 매출 증가의 요인이라고 언급. UBER 경영진은 차량공유(RIDE)와 음식배달(EATS) 두 사업 부문에서 모두 수익성이 개선되고 있으며, 이는 2분기 EBITDA손실이 3분기 흑자로 기록하는데 배경이 되었다고 언급. 현재 동사에 대한 목표주가는 $82 유지.

 

 

U.S. ETF Closing – 05:00 기준

Sector

분류 티커
현재가 등락률 t신호 수익률







1개월 3개월 1년
소재
XLB 83.9 2.4% 햇빛 3.6% 3.8% 30.4%
IT
XLK 154.6 2.2% 안개 -0.5% 1.1% 31.0%
산업재
XLI 101.9 1.9% 햇빛 1.8% -1.0% 28.1%
헬스케어
XLV 127.3 1.4% 안개 -3.9% -1.7% 21.7%
금융
XLF 38.9 1.7% 햇빛 3.8% 7.7% 60.7%
커뮤니케이션
XLC 80.5 1.4% 안개 -3.1% -1.1% 35.6%
부동산
VNQ 106.5 1.2% 햇빛 0.7% 2.1% 38.6%
에너지
XLE 57.1 1.2% 햇빛 17.0% 18.5% 102.0%
필수소비재
XLP 71.0 1.1% 햇빛 0.1% 1.3% 11.6%
유틸리티
XLU 65.9 1.2% 안개 -0.1% 2.2% 7.0%
자유소비재
XLY 186.2 1.1% 햇빛 1.2% 2.6% 24.0%

자료: 티레이더,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섹터별 ETF 에서는 소재(XLB/+2.4%), IT(KLK/+2.2%), 산업재(XLI/+1.9%), 헬스케어(XLV/+1.4%), 커뮤니케이션(XLC/+1.4%) 섹터 상승 마감. 공급망 및 인플레이션 우려에도 팬데믹 가운데 예상보다 상회하는 기업 실적에 투자자들은 모든 섹터 상승 렐리를 이어가는 모습. 소재(XLB) 섹터에서는 프리포트맥모란(FCX/+3.9%)과 뉴몬트골드(NEM/+2.4%)가 상승 견인 마감. IT섹터에서는 애플(AAPL/+2.2%)과 엔비디아(NVDA/+3.9%)가 상승 견인 마감.

 

 

Thematic

분류
티커 현재가 등락률 t신호 수익률







1개월 3개월 1년
반도체 SOXX
451.2 3.1% 안개 -1.1% 1.6% 40.5%
주거건축 XHB
74.8 2.8% 안개 0.4% 0.7% 33.1%
기초소재 IYM
133.1 2.4% 햇빛 8.2% 3.5% 32.4%
모바일결제 IPAY
68.8 2.2% 안개 -0.2% -4.4% 21.9%
클린에너지 ICLN
22.9 -0.4% 안개 4.4% 1.4% 8.9%

자료: 티레이더,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금일 테마 ETF에서는 반도체(SOXX/+3.1%), 주거건축(XHB/+2.8%), 기초소재(IYM/+2.4%), 모바일결제(IPAY/+2.2%)가 상승한 반면, 클린에너지(ICLN/-0.4%) 테마는 하락 마감.

 

 

EU Market Closing – 01:00 기준

지수 현재가 등락률 구분 업종 등락률
STOXX 600 465.92 +1.2% 상승 정보기술 +2.6%




소재 1.6%




자유소비재 +1.3%



하락

지수 현재가 고가 저가 등락폭 등락률
DAX 15,462.72 15,464.38 15,303.39 213.34 1.4%
FTSE100 7,207.71 7,216.15 7,141.82 65.89 0.9%
CAC40 6,685.21 6,692.94 6,618.79 87.83 1.3%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유럽증시는 인플레이션 우려에도 불구하고 팬데믹 가운데 기업들의 실적 호재 소식에 상승 마감. IG의 크리스 애널리스트에 따르면, 주식 시장이 최근 하락세에서 반등하며, 금융주, 명품브랜드, 반도체기업 TSMC의 긍정적인 실적 소식에 강한 상승세가 이어질것으로 예상. 하지만, 9월 중국의 공장 물가 상승률은 원자재 가격 급등으로 사상 최고치 기록. 투자자들은 여전히 인플레이션, 공급망 이슈, 글로벌 에너지 위기 및 노동력 부족 가운데 중앙은행의 금리 인상에 주목하는 모습. 개별주식으로는 덴마크 식품 재료 제조업체 Chr Hansen(CHR)는 4분기 예상 실적을 하향 조정 후 6.7% 하락 마감. 독일 소프트웨어 회사 에스에이피(SAP)는 분기 실적 보고 후 2.9% 상승 마감.

 

 

출처: <https://m.myasset.com/extern/researchPortal/RP_0001000_P1.cmd?menuid=RP_0105000_P1&searchKeyGubun=1&keyword=&page=1&base_date=20211015054122&gbn=B&res_seq=174746>

 

 

 

 

 

『하루를 여는 혁신투자자문 IPO News Daily💌 - 20211015』

 【 텔레그램 채널 주소 : https://t.me/KoreaIB

 【 IPO상장문의 및 이경준 대표 Contact ☞ 📧 ipo@kakao.com 】

 

===========================

 

★ 금일 IPO 일정 ★

 10/14~15 리파인 수요예측⚖️

 10/14~15 지앤비에스엔지니어링 수요예측⚖️

 10/15 차백신연구소 납입🏧

 10/15 지아이텍 납입🏧

 10/15~18 엔켐 수요예측⚖️

 

☆ 다음주 IPO 일정 ☆

 10/15~18 엔켐 수요예측⚖️

 10/18~19 시몬느액세서리컬렉션 수요예측⚖️

 10/18~19 아이패밀리에스씨 청약🖨

 10/19~20 피코그램 수요예측⚖️

 10/19~20 지앤비에스엔지니어링 청약🖨

 10/20~21 카카오페이 수요예측⚖️

 10/20~21 리파인 청약🖨

 10/21 지아이텍 상장★

 10/21 아이패밀리에스씨 납입🏧

 10/21~22 지니너스 수요예측⚖️

 10/21~22 엔켐 청약🖨

 10/22 차백신연구소 상장★

 10/22 지앤비에스엔지니어링 납입🏧

 

 ------------------------------------------

 

▣ 기관IR 일정 ▣

 - 온라인 간담회로만 진행 中 -

 

▣ 상장 일정(예정, 변경가능) ▣

 10/21 지아이텍(미래에셋증권)

 10/22 차백신연구소(삼성증권)

 10/28 아이패밀리에스씨(삼성증권)

 10/29 지앤비에스엔지니어링(삼성증권)

 10/29 리파인(KB증권)

 11/01 엔켐(대신증권, 신한금융투자)

 11/03 카카오페이(삼성증권)

 11월 초 - 시몬느액세서리컬렉션(삼성증권, 미래에셋증권)

 11/03 피코그램(IBK투자증권)

 11/08 지니너스(대신증권)

 11/10 디어유(한국투자증권)

 11/11 비트나인(하나금융투자)

 11/11 아이티아이즈(신한금융투자)

 11/12 지오엘리먼트(NH투자증권)

 11/15 에스엠상선(NH투자증권)

 11/17 트윔(대신증권)

 11/18 바이옵트로(한국투자증권)

 11/23 알비더블유(미래에셋증권)

 

▣ 심사 승인 ▣

 - 마인즈랩(NH투자증권, 하나금융투자)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 국내 IPO 개별종목

■ [IPO출사표]지앤비에스엔지니어링 "친환경으로 글로벌 조준"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588326629212920&mediaCodeNo=257&OutLnkChk=Y

 

■ [톡톡IPO] 리파인 “서민 주거안정·차별화된 플랫폼 서비스 제공할 것”

http://www.seoulwire.com/news/articleView.html?idxno=453073

 

■ 엔켐, 15·18일 수요예측…"배터리 시장 성장 수혜주로 주목"

http://apnews.kr/View.aspx?No=2079073

 

■ [시그널] 마마무 소속사 RBW 다음달 코스닥 입성···기업가치 1,700억 제시

https://www.sedaily.com/NewsView/22SQLXNJYQ

 

■ 보령바이오파마, IPO 주관사 선정…"내년 4분기 상장 추진"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110140266&t=NN

 

 

▶️▶️▷ IPOmarket(해외IPO포함)

■ 활활 타다 꺼진 공모주 시장에 무슨 일이···

http://www.newsway.co.kr/news/view?tp=1&ud=2021101416300375500

 

■ 강세장 드문 10月...스팩주 다시 뛴다

https://www.etoday.co.kr/news/view/2069144

 

■ 공모株 옥석 가리기···일단 승자는 2차 전지株

https://paxnetnews.com/articles/79254

 

■ 中 토종 커피 체인 매너커피 홍콩서 IPO

https://view.asiae.co.kr/article/2021101411094335830

 

 

▶️▶️▷ 시장 이모저모

■ 야놀자, 인터파크 2천940억원에 인수…"해외 여행시장 공략"(종합)

http://naver.me/GFpXYnlL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