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스터디를 위해 개인적으로 스크랩한 증시캘린더, 국내 및 해외마감 시황, 뉴스 자료를 공유합니다.
1) 증시캘린더는 개인적으로 관련된 소식을 확인후 작성한 일정이라 변동 또는 오류의 소지가 있습니다.
2) 노션으로 공유한 링크는 익스플로러에선 제대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크롬에 최적화, 엣지, 웨일에서도 잘 작동합니다.
( 공유 자료링크는 1~2일후 공유 해지 합니다.)
게시물은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한 것이라
불확실하거나 오류가 많을 수 있으므로 투자 활용시 유의하시기 바라며, 개별적인 종목 추천이나 상담은 하지 않습니다.
모쪼록 제 공간에 오신 모든 분들이 주식스터디를 통해 인생 한 방보다, 꾸준함을 믿으며...
복리의 마법으로 모든 분들이 성공한 개인투자자가 되시길...
뉴욕증시, 유가하락에 에너지주 급락·기술주 강세…아마존 3.6%↑·비트코인 2%↑ [출근전 꼭 글로벌브리핑]
[글로벌시장 지표 / 7월 6일 오전 6시 현재]
[미국증시 마감시황]
뉴욕증시가 5일(현지시간) 혼조 마감했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일 대비 6.06포인트(0.16%) 오른 3831.39로 마감했다. 나스닥종합지수는 전일 대비 194.39포인트(1.75%) 뛴 1만1322.24로 장을 마쳤다. 반면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전장 대비 129.44포인트(0.42%) 내린 3만967.82로 거래를 마쳤다.
S&P500의 11개 업종 가운데 8개가 내렸고 3개는 올랐다. 낙폭은 에너지가 4.01%로 가장 컸다. 에너지주는 5개월 만에 최저로 밀렸다. 상승폭은 통신주가 2.67%로 가장 컸다.
중장비업체 디어와 캐터필러는 각각 3.2%, 2.5%씩 하락하며 올 들어 최저로 내려왔다. 광산업체 프리포트맥모란은 6.6% 급락했다.
이날 채권시장에서는 2년물 미 국채 금리가 10년물 미 국채 금리를 추월하는 장단기 국채 금리 역전 현상이 나타났다. 이는 향후 경기침체와 금리인하 가능성을 전망하는 투자자들이 많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금리 부담이 줄어들자 기술주는 상승랠리를 펼쳤다. 전자서명 도큐사인과 동영상회의 줌비디오는 각각 6.7%, 8.5%씩 뛰었다.
한편 투자자들은 이번 주 발표되는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6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과 주 후반 나오는 6월 고용보고서를 주목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알리안츠의 수석경제고문인모하메드 엘-에리언은 "시장은 연방준비제도가 금리를 인상해 경기둔화를 유도할 수 밖에 없다고 보고 경기둔화에서의 가격 책정에 중점을 두고 있다"고 평가했다.
[특징주]
■ 기술주
대형기술주는 애플이 1.89% 오른 것을 비롯해 아마존과 마이크로소프트가 각각 3.6%, 1.26% 상승했다. 구글은 무려 4.41% 급등했다.
반도체주들도 엔비디아 3.04%, 마이크론 5.74%, 필라델피아반도체지수 0.78% 등 일제히 반등했다.
■ 에너지주
슐럼버거(-6.51%)는 6%이상 하락했다. 셰브론은 2.63%, 엑손모빌은 3.13%, 옥시덴털 페트롤리움은 2.20% 떨어졌다.
■ 포드 모터
포드 모터의 2분기 차량 판매량이 시장 예상치를 하회한 가운데 이날 주가는 1.06% 떨어졌다.
■ HP
에버코어ISI가 HP에 대한 투자 등급을 중립으로 하향조정한 가운데 주가는 1.04% 하락했다.
■ 크록스
루프 캐피털이 크록스의 주가가 50% 이상 오를 것이라며 ‘매수’할 때라고 밝힌 가운데 이날 주가는 12.22% 뛰었다.
[유럽증시 마감시황]
유럽 주요국 증시는 일제히 하락 마감했다.
독일 프랑크푸르트 증시의 DAX 30 지수는 전 거래일 종가 대비 2.91% 하락한 12,401.20으로 장을 마쳤다. 영국 런던 증시의 FTSE 100은 2.86% 내린 7,025.47, 프랑스 파리 증시의 CAC 40 지수는 2.68% 내린 5,794.96을 기록했다. 범유럽 지수인 유로 Stoxx 50도 2.68% 하락한 3,359.83으로 거래를 종료했다.
[중국증시 마감시황]
중국증시는 하락 마감했다.
Wind지수에 따르면 장 마감 기준 상하이종합지수는 0.04% 하락한 3404.03p, 선전성분지수는 0.41% 내린 12973.11p, 창업판지수는 0.34% 떨어진 2825.13p로 장을 마쳤다. 종목별 거래 상황을 보면 석탄, 철강, 기초화학공업 등 섹터가 상승했고 건축재료, 사회서비스, 기계 설비 등 섹터는 하락 마감했다.
한편 이날 A주 거래액은 9거래일 연속 1조 위안을 상회했다.
[베트남증시 마감시황]
베트남증시는 하락 마감했다.
이날 호찌민거래소(HOSE)에서 VN지수는 전날보다 14.24포인트(1.19%) 떨어진 1181.29에 거래를 마감했다. 호찌민거래소(HOSE)의 거래액은 전날보다 3조7200억동(37%) 많은 13조8060억동(약 7731억3600만원)으로 집계됐다. 120개 종목은 올랐고 347개 종목은 하락했다.
업종별로는 25개 업종 중 △은행(1.38%) △헬스케어(0.38%) 등 2개의 업종만 상승했다. 나머지 23개 업종은 하락세를 기록했으며, 이 중에서도 △해산물가공(-6.37%) △기타금융활동(-4.97%) 등의 주가 낙폭이 두드러졌다.
[국제유가]
국제유가는 하락했다.
이날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8월 인도분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전 거래일보다 배럴당 8.2%(8.93달러) 떨어진 99.50달러에 마감, 지난 5월11일 이후 두 달 만에 배럴당 100달러 선이 무너졌다.
[금]
금값은 하락했다.
이날 뉴욕상품거래소에서 8월 인도분 금은 전 거래일보다 온스당 2.1%(37.60달러) 떨어진 1,763.90달러에 거래를 마쳐 올해 들어 가장 낮은 종가를 기록했다.
출처: <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207060004&t=NN>
2022년 7월 6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독일이 무역적자에 이어 에너지기업 구제금융법도 통과시키면서 유로화가 1.02까지 내렸습니다.
(2) WTI가 다른 원자재에 후행해 8% 내리며 100달러를 밑돌았습니다.
(3) 미 시장 금리가 하락하며 ARK ETF가 9% 올랐습니다.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003%p (-0.050%p)
한국 고객예탁금, 57.6조원 -1.1조원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87%
1개월 NDF 환율 1,308.98원 (+8.95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미국증시 전약후슈퍼강]
•아침 막연한 리세션에 대한 불안감으로 주요지수 모두 1%이상 하락시작, 그러나 이후 WTI 및 주요 원자재하락 및 전쟁종전/휴전에 대한 기대감, 미국의 중국관세 인하 등 긍정적인 이슈들과 함께 저가 매수세가 유입되며 시장 반전, 이후 하루종일 반등하며 나스닥기준 하루 저점대비 4%수준 상승하며 마감
•주요 하이퍼성장주들이 대부분 큰폭으로 상승하며 시장반등주도, 대부분의 PSR성장주들(매출고성장+적자)은 5월13일 전후 기록한 저점을 방어하고 있음
•WTI 등 원자재가격 하락에 따른 인플레 우려 완화 기대감에 인플레 대표적 피해섹터인 이커머스+유통 기업 대부분 큰폭의 상승세
•바이든 행정부의 새로운 해양시추 허가(공약위반) 등 주요 국가들이 단기에너지 숏티지 문제해결을 위해 신재생에너지 목표를 완화하고 화석연료 사용을 다시 늘리려는 상황, 단기 상승폭이 컸던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차익실현 지속
•유가하락으로 에너지관련주도 약세
SMART한 주식투자
[한화투자증권 경제 임혜윤]
<오늘 개장전 꼭 알아야 할 5가지_Bloomberg 7/5>
1) 바이든, 대중 관세 일부 철회 근접...인플레 대응
바이든 대통령이 이르면 이번 주 중국산 소비재에 대한 미국 관세의 일부 적용 제외를 발표할 가능성. 다만 중국의 산업 보조금에 대한 새로운 조사 역시 발표하며 기술과 같은 전략적 분야는 추가 관세 부과 가능성도 존재. 바이든 대통령이 아직 최종 결정을 내리지는 않았으며 발표 시기 역시 어긋날 수 있다고 이 사안에 정통한 소식통들이 전달. 이러한 결정을 내릴 경우, 이는 미-중 무역관계에 있어 바이든의 첫번째 주요 정책 조치. 바이든 대통령은 최근 몇주간 경제 고문들과 수차례 회의를 열고 관세와 관련한 옵션들을 논의. 미국에서 인플레이션에 속도가 붙으며 정부에 소비자들의 일상 용품 가격을 낮추는 방안을 찾으라는 압박이 커지면서 바이든 행정부의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 완화 검토 징후들이 증가
2) 호주 중앙은행 오늘 기준금리 50bp 인상 전망. 캐나다 인플레 기대 최고치
호주중앙은행(RBA)이 오늘 정책회의에서 석 달 연속 금리를 올릴 것으로 전망. 블룸버그 서베이에서는 RBA가 기준금리를 1.35%로 50bp 올릴 것으로 전망. 인플레이션이 빨라지면서 더 이상 폭넓은 임금 상승 징후들을 기다릴 용의가 없을 것으로 예상. RBA는 그동안의 정책지원을 빠르게 거둬들여 연말경에는 기준금리를 중립 수준 위로 올려놓을 것으로 전망. 한편, 캐나다에서 향후 2년 인플레이션 기대가 최고치를 기록. 보다 공격적인 금리인상 베팅을 부추길 것으로 보임. 캐나다 중앙은행 서베이 대상 기업의 78%가 CPI가 향후 2년간 3%를 넘을 것으로 예상. 이스라엘 중앙은행도 기준금리를 시장 예상대로 1.25%로 50bp 인상
3) 獨 분데스방크 총재, ECB 새로운 정책도구 남용 가능성 경고
유럽중앙은행(ECB)이 역내 취약국가들의 차입비용을 억제하기 위한 도구를 사용하는데 있어 신중해야 한다고 요아힘 나겔 독일 분데스방크 총재가 밝힘. ECB가 새로운 정책도구 개발에 속도를 낸 이후 해당 사안에 관해 처음 발언한 나겔 총재는 해당 조치들을 “예외적인 상황과 세밀하게 정의된 조건”하에서만 적용해야 한다고 언급. 또한 그는 유로존 회원국들간의 (금리) 스프레드 확대가 정당한지 여부를 밝히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견해도 제시. 따라서 리스크 프리미엄을 제한하고자 통화정책 도구를 사용하는 것에 대해 신중해야 한다고 밝힘. 분데스방크가 ECB 위기 대응 도구에 대해 이렇듯 경고에 나서면서 라가르드 ECB 총재의 과제가 어려워질 가능성. 한편, ECB는 회사채 포트폴리오를 기후변화 대응을 잘하고 있는 기업을 선호하는 쪽으로 재조정할 계획. ECB는 성명에서 향후 몇 년 동안 예상되는 상당 규모의 상환 자금을 탄소배출이 심한 기업들을 처벌하는 방식으로 재투자할 것이라고 언급
4) 골드만삭스, “美 경기침체 기본 시나리오 아니다”
골드만삭스 자산운용의 Gurpreet Gill은 미국의 경기침체는 기본 전망이 아니라고 밝힘. 그는 통화긴축이 지속될 가능성이 있고 “기술적”인 의미의 침체가 있을 수도 있지만, 채권 부문에서 투자 환경과 기회에 관해 생각할 때 정말 중요한 것은 해당 경기침체의 규모와 특징이라고 지적. Gill은 중앙은행들이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금리를 인상함에 따라 일자리 증가세가 정체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덧붙임. “중앙은행들이 꾀하는 것은 노동시장 초과수요를 어느 정도 완화시키는 것”이라며 “이들은 기업들이 신규 고용 계획은 보류하지만 대규모 정리해고에 나서지는 않는 정도로 노동시장을 둔화시키고 싶어한다”고 진단
5) 크레디트 스위스, 亞 투자은행 부문서 20명 이상 감원
크레디트스위스가 손실과 글로벌 경제 전망 약화로 어려움을 겪으면서 아시아의 투자은행 부문에서 20여명 이상을 감원하고 있음. 최근 몇 주간 감원이 이뤄졌으며 딜메이킹과 트레이딩 등이 대상이었다고 소식통들은 전언. 이는 비용 절감을 위한 노력의 일환이며, 4분기에 추가 감원이 있을 수 있다고 알려짐. 감원 조치는 크레디트스위스가 시장 변동성과 고객들의 리스크 축소 등으로 3분기 연속 손실을 경고하는 가운데 등장. 그동안 크레디트스위스는 2분기 실적이 특히 아시아에서 고객들이 이탈한 영향을 받았다고 밝힘
📮[메리츠증권 중국 최설화]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미국이 첨단 EUV 장비 뿐만 아니라, 모든 반도체 장비의 중국 판매를 금지하는 사안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본 내용은 당사의 코멘트 없이 국내외 언론사 뉴스 및 전사공시자료 등을 인용한 것으로 별도의 승인없이 제공합니다.
[한화투자 중국 정정영]
> 중국에서도 아침 일찍부터 보도되는군요. ASML이 매출 3위 (16%)인 중국을 쉽게 포기할 수 있을까요
===========================
~ Bloomberg News report that the U.S. government wants to restrict the company from selling equipment to China
~ ASML has already been unable to ship its most advanced tools to China, but the report said Washington would also restrict the sale of slightly older machines, citing "people familiar with the matter
~ "The discussion is not new," the spokesperson said. "No decisions have been made, and we do not want to speculate or comment on rumours."
~ China is ASML's third largest market, after Taiwan and South Korea, representing around 16% of 2021 sales, or 2.1 billion euros.
https://www.reuters.com/technology/asml-shares-fall-report-us-wants-restrict-sales-china-2022-07-05/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위) 물러가는 숏 셀러들, 다가오는 커버링 (WSJ)
미국시장에서 공매도가 줄고 있다는 내용입니다.
5월 공매도는 610억달러가 증가했는데, 6월에는 200억달러만 증가했다네요. 과매도권이라 여기서 더 숏 치면 내가 죽을 수도 있겠다 싶은거죠.
과거 사례를 보면 S&P500이 상반기에 15% 이상 떨어진 경우, 하반기에는 24% 올랐다는 통계도 있습니다.
옵션 시장에서도 skewness 같은 지표들이 하락한다든지, 풋옵션보다 콜옵션이 비싸지는 현상이 발견되고 있어 센티멘트 이동이 감지된다고 합니다.
현재 가장 많은 숏을 보유한 개별종목은 당연히(?) Tesla이며 애플, 엔비디아도 숏이 많은 종목인데
여전히 추가 하락을 보는 사람들이 많긴 하지만, 증시가 약간만 오를 기미를 보여도 short covering이 세게 들어올 수 있어 예의 주시해야 한다는 내용입니다.
(아래) 미국이 리세션? 고민되네 (WSJ)
오랫동안 “고용없는 성장(jobless recovery)”라는 말이 유행했죠.
그런데 최근에는 “거의 완전고용 상태의 경기둔화(jobfull downturn)”라 학자들 사이에서 이걸 침체로 봐야할지 논란이 분분하다는 WSJ 기사입니다.
================
- 미국은 2차 세계대전 후 12번의 침체를 경험. 매번 원인과 특징은 달랐지만 공통점은 고용 감축
- 그러나 이번에는 고용시장이 유례없이 강함. 일부 Tech 섹터의 감축 기미가 있긴 해도 6월 마지막주 실업급여 받아간 사람은 130만명에 불과했음. 예전 침체 때는 300-600만명 나왔었음
- 그레고리 맨큐는 “이런 침체는 처음 봤다. 고용시장이 이렇게 강한데도 정말 침체가 온다면 원인은 하나밖에 없다. 연준의 긴축이다”라고 지적
1) 고용시장이 너무 강하다 : 상반기 구인공고는 1100만건에 달함. 그러나 베이비 부머 세대들의 은퇴가 시작되며 이 자리가 채워지지 않고 있음
- 물론 고용시장이 너무 강하다보니 연준이 맘놓고 금리를 올릴 수 있는 조건이 되기도 함. 그러나 이번 침체의 정도가 매우 얕을 가능성을 암시. NBER 위원회도 갸우뚱하는 상황
2) 주택시장이 세다 : 과거 리세션은 주택시장 침체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았음. 5월 신규주택건설도 14%나 감소
- 그러나 이번엔 주택시장 타격은 생각보다 완만할 가능성. 건축 붐 같은 과열이 없었고, 주택 재고도 많지 않기 때문
3) 현금도 많다 : 코로나 이전에 미국 가계 현금 보유량은 13.3조달러. 그러나 정부 지원 등으로 1분기에는 18.5조달러까지 증가. 기업들도 4조달러에 육박하는 현금 쿠션을 보유
- 물론 생산은 둔화되는데 고용은 계속 늘려야하다보니 이익 감소는 어쩔 수 없음. 그러나 리세션은 완전히 다른 문제. 마진율은 여전히 역대 최고 수준
이번주 금요일 고용지표가 침체 논란을 키울지, 종식시킬지 지켜보자는 내용입니다.
https://www.wsj.com/articles/recession-economy-unemployment-jobs-11656947596?mod=hp_lead_pos5
『하루를 여는 이경준 혁신IB자산운용 대표의 IPO Daily💌 - 20220706』
【 텔레그램 채널 주소 : https://t.me/KoreaIB 】
【 IPO상장 및 투자자문 문의 ☞ 📧 ipo@kakao.com 】
===========================
《📌Today's Topic》
[특징주] 모아데이타, 무상증자 결정에 상한가
https://www.sedaily.com/NewsView/268EKN25K3
☞ 최신 IPO트렌드
신규상장 후, 무상증자.
노터스의 1주당 8주 무상증자 이후,
공구우먼, 케이옥션, 모아데이타,,, 따상랠리 중!
근데 옛날처럼 2~3배 줘서는 반응 없음.
아이패밀리에스씨나 인카금융서비스, 원준, 지니너스 등등...
케이옥션만 예외.
아예 오늘까지만 살고 내일은 없는 것처럼 한 주당 5배, 8배는 줘야 됨.
===========================
★ 금일 IPO 일정 ★
07/06~07 에이치피에스피 청약🖨
☆ 금주 남은 IPO 일정 ☆
07/06~07 에이치피에스피 청약🖨
07/07 코난테크놀로지 상장⭐️
07/07 영창케미칼 납입🏧
07/07~08 루닛 수요예측⚖️
< 출처 : 🇰🇷이경준 혁신IB자산운용 대표의 화(話)💬 https://t.me/KoreaIB >
------------------------------------------
▣ 기관IR 일정 ▣
- 온라인 및 소규모 간담회로만 진행 -
▣ 상장 일정(예정, 변경가능) ▣
07/07 코난테크놀로지(한국투자증권)
07/14 영창케미칼(하나금융투자)
07/15 에이치피에스피(NH투자증권)
07/21 루닛(NH투자증권)
07/28 성일하이텍(대신증권, KB증권)
07/28 에이프릴바이오(NH투자증권)
07/29 아이씨에이치(삼성증권)
08/01 수산인더스트리(삼성증권)
08/04 대성하이텍(신한금융투자)
08/05 새빗켐(한국투자증권)
08/09 에이치와이티씨(신영증권)
08/18 쏘카(미래에셋증권)
▣ 심사 승인 ▣
- 알피바이오(한국투자증권)
- 샤페론(NH투자증권)
- 선바이오(하나금융투자)
- 더블유씨피(KB증권, 신한금융투자)
- 에스비비테크(미래에셋증권)
- 현대오일뱅크(KB증권, NH투자증권)
< 출처 : 🇰🇷이경준 혁신IB자산운용 대표의 화(話)💬 https://t.me/KoreaIB >
===========================
IR 정보가 필요한 주변 분들께 [IR 읽어주는 남자]를 공유해주세요.
7/6(수), 오늘의 IR 일정!!
* 태광
* ESR켄달스퀘어리츠
* 이지스레지던스리츠
* 이지스밸류플러스리츠
* 신한알파리츠
* 디앤디플랫폼리츠
* 마스턴프리미어리츠
* 현대그린푸드
총8개의 일정이 있습니다.
더 많은 정보는 IRGO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관심 기업 IR정보를 실시간 알림으로 받아보세요~
[ IRGO APP 다운로드 및 바로가기 ] ( http://me2.do/G6KWCiBl)
7/5(화), 오늘의 IR 자료!!
IR자료
* POSCO홀딩스
* 엠로
* 엠로
* 인트론바이오
* 성광벤드
* 기아
* 한국항공우주
뉴스
* 바이브컴퍼니-씨웨이브, 공중전화부스 활용한 스마트시티 디지털 트윈 사업 공동 추진
* 코스닥 21학번 선배의 '파란만장' 상장 경험담
* (월간인물)금양이노베이션 : 수소경제 전환을 앞당길 생태계 구축에 매진하는 기술 집약 전문기업
* 솔트룩스, 인공지능 법제 서비스 구축으로 리걸테크 사업 확대
IPO
* 플라즈맵, 세계 최초 플라즈마 재생활성 기술로 보건복지부 보건신기술(NET) 인증 획득
* [IPO] 에이치피에스피 수요예측 결과안내
IR자료 모아보기
'시황 & 뉴스 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7월 8일(금) 증시캘린더 / 해외마감시황 (0) | 2022.07.08 |
---|---|
7월 7일(목) 증시캘린더 / 해외마감시황 (0) | 2022.07.07 |
7월 5일(화) 증시캘린더 / 해외마감시황 (0) | 2022.07.05 |
7월 4일(월) 증시캘린더 / 해외마감시황 (0) | 2022.07.04 |
7월 1일(금) 증시캘린더 / 해외마감시황 (0) | 2022.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