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주식 스터디를 위해 개인적으로 스크랩한 증시캘린더, 국내 및 해외마감 시황, 뉴스 자료를 공유합니다.

1) 증시캘린더는 개인적으로 관련된 소식을 확인후 작성한 일정이라 변동 또는 오류의 소지가 있습니다.

2) 노션으로 공유한 링크는 익스플로러에선 제대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크롬에 최적화, 엣지, 웨일에서도 잘 작동합니다.

    ( 공유 자료링크는 1~2일후 공유 해지 합니다.)

 

게시물은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한 것이라

불확실하거나 오류가 많을 수 있으므로 투자 활용시 유의하시기 바라며, 개별적인 종목 추천이나 상담은 하지 않습니다.

 

모쪼록 제 공간에 오신 모든 분들이 주식스터디를 통해 인생 한 방보다, 꾸준함을 믿으며...

복리의 마법으로 모든 분들이 성공한 개인투자자가 되시길...


[간밤 월드뉴스 총정리 113] “최종금리 높게…침체 가능”/ 다시 강달러/ 재고 급증, 퀄컴 급락/ 보잉 날다/ 22% 급등한 이 종목/ “안도 랠리 온다”

 

 

뉴욕증시, `파월 쇼크`에 일제 급락 `테슬라 5.6%↓ 에어비앤비 13.3%↓`…유가 상승·비트코인 하락 [출근전 꼭 글로벌브리핑]

출처: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211030005&t=NN>

 

 

 

2022년 11월 3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파월이 최종금리가 예상보다 높아질 가능성을 언급해 주가가 급락했습니다.

 

(2) 미 금리선물이 내년 2분기 기준금리 5% 상회 가능성을 반영했습니다.

 

(3) 컨테이너 1위 머스크가 올해 수요가 2~4%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517%p (-0.014%p)

한국 고객예탁금, 49.8조원 +1.2조원

 

K200 야간선물 등락률, -1.49% (오전 5시 기준)

1개월 NDF 환율 1,423.00원 (+5.35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Powell 키포인트]

 

명확한 Higher terminal rate

+

애매한 slower pace of hikes

 

☑️시장에 작은 희망은 주되 결코 급등하지 못하게 애쓴 흔적이 느껴짐

 

☑️12월 50bp만 올릴 가능성 높아졌지만, 4.5%~4.75%(기존 Terminal Rate) 레벨보다 결국 더 올려야 하기 때문에 국채금리 업사이드 발생

 

☑️결국 연준이 뭐라도 하려면 CPI가 좀 내려와야할 듯(명분필요)

 

•금리인상 속도

다음 FOMC(12월) 또는 그 다음 미팅에서 속도조절 시작할 가능성

 

•금리상한(Terminal Rate)

9월 예상치(4.5%~4.75%)보다 더 올려야 할 것, 12월에 업데이트 예정

 

•긴축 기간

인플레이션이 2%될 때 까지

 

-금리 더 올려야할 것

-현재 과잉긴축 아님

-조만간 긴축속도조절 논의

-금리인상중단 논의 시기상조

-노동시장 완화 시그널 X

-주택경기 안정화 단계

-모기지 신용문제 X

 

SMART한 주식투자

 

[Powell이 보여준 2가지 작은 비둘기]

 

1) Inflation is not driven by wage-increases.

 

•고용시장 완화는 중요하지만, 임금이 올라도 크게 우려하지 말라

(11/4  10월 고용보고서 발표 예정)

 

2) We use forward looking inflation metrics and not just core PCE.

 

•연준은 주택경기둔화가 CPI/PCE에 반영되기까지 시간이 걸린다는 것(OER 래깅문제)을 알고 있고, 그래서 다양한 데이타를 검토한다

•OER 래깅으로 CPI가 팍팍 안내려가도 너무 걱정말라

(그런데 아직 다른 Core항목도 팍팍 안내려 가자나?)

 

<about OER>

https://t.me/frankinvest/4222

 

SMART한 주식투자

 

 

11/03 [미래에셋증권] 해외 금융시장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 (02-3774-1621)

 

◆ 미국 증시

- DOW: 32,147.76p (-505.44p, -1.55%)

- S&P500: 3,759.69p (-96.41p, -2.50%)

- NASDAQ: 10,524.80p (-366.05p, -3.36%)

- 러셀2000: 1,789.14p (-62.25p, -3.36%)

 

◆ 한국 관련

- MSCI 한국지수 ETF: $51.74 (-0.97, -1.84%)

- MSCI 이머징지수 ETF: $34.53 (-0.29, -0.83%)

- Eurex kospi 200: 299.90p (-4.55p, -1.49%)

- NDF 환율(1개월물): 1,423.00원 / 전일 대비 5원 상승 출발 예상

- 필라델피아 반도체: 2,328.47 (-74.28, -3.09%)

 

◆ 외환시장

- 달러인덱스: 112.030 (+0.549, +0.49%)

- 유로/달러: 0.9824 (-0.0053, -0.54%)

- 달러/엔: 147.81 (-0.46, -0.31%)

- 파운드/달러: 1.1390 (-0.0094, -0.82%)

 

◆ 미국 국채시장

- 2년물: 4.6093% (+6.5bp)

- 5년물: 4.2952% (+2.8bp)

- 10년물: 4.0817% (+4.0bp)

- 30년물: 4.1236% (+3.2bp)

- 10Y-2Y: -52.76bp (-2.48bp)

(국채선물)

- 2YR T-Notes: 102*01 1/4 (-0*04 , -0.13%)

- 5YR T-Notes: 106*17 3/4 (-0*04 1/4, -0.12%)

- 10YR T-Notes: 110*20   (-0*04 1/2, -0.13%)

- US T-Bonds: 120*23   (-0*15 , -0.39%)

- Ultra US T-Bonds: 129*03   (-0*09 , -0.22%)

 

◆ 상품시장 ($, 단 곡물, 구리는 센트)

- WTI: 90.00 (+0.72, +0.81%)

- 브렌트유: 96.16 (+0.75, +0.79%)

- 금: 1,650.00 (-10.50, -0.64%)

- 은: 19.59 (-0.43, -2.17%)

- 아연(LME, 3M): 2,748.50 (+5.00, +0.18%)

- 구리: 346.85 (-3.70, -1.07%)

- 옥수수: 687.50 (-11.25, -1.61%)

- 밀: 846.00 (-57.50, -6.37%)

- 대두: 1,454.00 (+6.75, +0.47%)

 

*동 자료는 2022년 11월 3일 미래에셋증권 홈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를 요약한 것입니다.

 

글로벌 주식시장 변화와 전망(11월 3일)

미래에셋증권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02-3774-1621)

 

미 증시, 파월 연준의장의 최종 금리 상향 조정 시사로 하락

 

미 증시는 견고한 고용지표 발표 여파로 기술주 중심으로 매물 출회되며 나스닥이 1% 넘게 하락하는 모습을 보임. 그런 가운데 FOMC 결과 75bp 인상했으나 추가 금리인상은 경제와 금융 발전을 고려 할 것이라고 언급하자 달러 약세, 금리도 하락하자 지수는 상승 전환 성공. 그러나 파월 의장이 궁극적인 금리 수준은 예상보다 높을 것이라고 주장하자 재차 하락 전환 후 대형 기술주 중심으로 낙폭 확대하며 마감(다우 -1.55%, 나스닥 -3.36%, S&P500 -2.50%, 러셀2000 -3.36%)

 

변화요인: ①ADP 민간 고용보고서 ②FOMC ③파월 발언

https://securities.miraeasset.com/bbs/maildownload/20221103054344237_3533

 

 

 

 

 

 

(2022.11.03) U.S. & EU Market Closing

  • 2022.11.03  이상규
  • U.S. Market Closing – 05:00 기준
지수 종가 등락폭 등락률 상승/하락/보합
DOW 32,147.76 -505.44 -1.5% 3/26/1
S&P500 3,759.69 -96.41 -2.5% 28/474/1
NASDAQ 10,524.80 -366.05 -3.4% 769/2697/261
RUSS 2K 1,789.13 -62.26 -3.4% 185/1763/11
PHLX 반도체지수 2,328.47 -74.28 -3.1% 1/29/0
VIX지수 25.86 0.05 0.2%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 티레이더에서 나스닥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실시간 제공

미국증시는 FOMC결과 발표이후 시장에 변동성이 커지며 하락 마감 / 금일 진행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시장의 예상대로 자이언트스텝(75bp)를 단행하며 2008년 이후 처음 4%이상의 기준금리 기록 / 이에 10년물 국채금리, 달러인덱스와 유가가 상승 반전 / 이날 미 연준(Fed)의 파월 총리가 다음 FOMC회의를 기점으로 연준 금리인상폭이 줄어들 것이라는 언급 / 하지만 이는 연준 피벗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강조하였지만 금리 인상 속도에 대한 힌트를 던지며, 전문가들은 다음 정례회의부터 인상폭이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을 제기 / 하지만 소매판매 및 노동시장이 견고한 것으로 보아, 최종금리 수준이 예상보다 높을 것이라는 발언에 시장이 큰 폭의 하락세를 시전하며 하락 마감  

 

미국주식 하이라이트 – 05:00 기준

*넷플릭스 (NFLX) $273.00 / -4.80%

- 바론즈는 당사의 광고 요금제 도입을 앞두고, 가입자 증가만큼 매출 증가가 이루어질 가능성에 대해 관심을 두면 좋을 것이라는 전망을 제기

- 동사는 오는 4일부터 광고 삽입 요금제를 시행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

 

*보잉 (BA) $147.31 / +2.74%

- 시킹 알파는 당사 경영진이 항공기 인도 정상화와 잉여현금흐름 증가에 대해 자신감을 보도

- 동사는 23년 잉여현금흐름이 30억~50억 달러를 기록할 것이라는 전망을 제기

 

U.S. ETF Closing – 05:00 기준

Sector

분류 티커 현재가 등락률 t신호 수익률






1개월 3개월 1년
유틸리티 XLU 66.4 -1.0% 햇빛 4.1% -11.4% 3.2%
금융 XLF 33.7 -1.1% 햇빛 9.1% -3.2% -14.6%
헬스케어 XLV 130.5 -1.7% 햇빛 6.5% -0.6% -0.8%
필수소비재 XLP 71.2 -1.8% 햇빛 7.1% -4.2% 0.9%
산업재 XLI 92.6 -1.8% 햇빛 8.7% -5.4% -11.9%
에너지 XLE 88.9 -2.2% 햇빛 8.6% 15.3% 58.0%
소재 XLB 72.3 -2.6% 햇빛 4.1% -8.6% -16.9%
부동산 VNQ 80.6 -2.8% 햇빛 4.1% -18.5% -24.2%
커뮤니케이션 XLC 46.5 -2.9% 안개 -4.5% -20.3% -42.2%
IT XLK 122.4 -3.5% 햇빛 1.4% -16.9% -26.5%
자유소비재 XLY 137.2 -3.8% 안개 -2.4% -17.2% -33.6%

자료: 티레이더,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금일 섹터 ETF는 일제히 하락 마감 / 유틸리티(XLU/-1.0%) ETF 섹터는 금리인상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며 에너지 관련 주가 상승하며 하락폭 제한 / 한편 자유소비재(XLY/-3.8%) ETF 섹터는 전반적으로 큰폭의 하락세 시현 / 특히 테슬라 (TSLA/-5.64%)와 아마존(AMZN/-4.82%)로 하락 마감

 

Thematic

분류 티커 현재가 등락률 t신호 수익률






1개월 3개월 1년
비트코인 BITO 12.5 -1.2% 햇빛 4.3% -16.8% -70.7%
인프라 IGF 43.7 -1.3% 햇빛 4.9% -11.3% -7.2%
클린에너지 ICLN 18.6 -1.5% 안개 1.1% -20.0% -23.7%
생명공학 IBB 127.6 -1.7% 햇빛 7.3% -2.7% -18.8%
항공방산 XAR 104.5 -2.1% 햇빛 8.7% -6.3% -16.0%
은행 KRE 62.4 -2.6% 햇빛 3.4% -5.7% -14.6%
글로벌 천연자원 GNR 54.1 -2.8% 햇빛 4.0% -2.3% 3.2%

자료: 티레이더,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금일 테마 ETF또한 일제히 하락 마감 / 특히비트코인(BITO/-1.2%) 테마 ETF는 비트코인의 하락폭이 지난 나스닥의 하락폭에 비례해 적은 양상을 나타내며 하락폭을 제한

 

EU Market Closing – 04:00 기준

지수 종가 등락률 구분 업종 등락률
STOXX 600 413.39 -1.2% 상승 건강관리 1.3%




커뮤니케이션 0.2%




유틸리티 0.1%



하락 부동산 -1.3%




자유소비재 -1.1%




정보기술 -1.15
지수 종가 고가 저가 등락폭 등락률
獨 DAX 13,256.74 13,398.64 13,255.07 -82 -0.6%
英 FTSE 100 7,144.14 7,205.07 7,130.50 -42.02 -0.6%
佛 CAC 40 6,276.88 6,376.29 6,273.55 -51.37 -0.8%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금일 유럽증시는 FOMC 결과를 기다리며 하락 마감 / 금주 연준 피벗에 대한 기대가 다시 접어들며 미국 증시는 하락세 / 이에 따라 미국의 매파기조에 대한 우려가 다시 살아나며 유럽 증시에 하방 압력으로 작용 / 금주 유로존 CPI가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였는데, 에너지와 식품 가격 상승으로 인한 물가상승이 여전히 잡히지 않고 있으며, 유럽중앙은행(ECB)는 10월 통화정책회의에서 2차례 연속 자이언트스텝을 단행 / 이날 ECB 총재는 물가를 잡기 위해 경제지표를 주시해야 할 의무가 있다는 언급 / 한편, 전문가들은 무리한 금리인상이 경제적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는 목소리에 시장은 ECB의 속도 조절에 대한 기대에 상승 압력을 넣었으나, 미국의 FOMC정례회의 결과를 앞두고 파월 의장의 발언에 주시하며 하락 마감

 

출처: < https://m.myasset.com/extern/researchPortal/RP_0001000_P1.cmd?menuid=RP_0105000_P1&searchKeyGubun=1&keyword=&page=1&base_date=20221103053654&gbn=B&res_seq=183847>

 

 

 

 

[한화투자증권 김성수 - 채권로부터 전달받음]

Jerome Powell 연준 의장 기자회견 주요 내용

 

1. 충분한 긴축의 판단은 물가 둔화의 분명한 증거와 데이터가 필요하고, 충분히 낮아져야 함

 

2. 역사적으로 보면 조기 완화정책 전환에는 교훈이 있음. 인플레이션을 낮추려면 추세 이하의 성장이 지속될 가능성

 

3. 기준금리 인상을 강하고 바르게 진행해왔지만 지나친 수준은 아니었음

 

4. (PCE 상승률이 5%를 넘고 이에 따른 추가 인상 필요성에 대해)언젠가 (+) 실질 금리를 보겠지만 그 시기와 수준은 확신할 수 없음

 

5. 금리는 제약적인 영역에 진입. 속도 문제는 덜 중요한 사안

 

6. 최종 기준금리 레벨까지는 아직 갈 길이 먼 상황. 기준금리 인상 중단 논의는 매우 시기상조

 

7. 고용은 매우 강력하고 가계 재정 건전성도 준수. 이는 물가 둔화 시기를 연장시키는 요인

 

8. 부동산 시장은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영향을 받고 있으나 여전히 코로나 이전 보다 높은 가격에 머물러 있음

 

9. 실업률은 최저 수준을 유지 중이고 소폭 상승하더라도 고용시장은 견조하게 유지될 것

 

10. 아직 고용 시장의 둔화를 포착하지 못하고 있음. 임금 상승률 둔화 시그널도 뚜렷하게 나오지 못하는 상황

 

11. 임금 상승이 인플레이션의 주된 요인은 아님

 

12. 세계 경제가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미국 경제는 강력하며, 물가도 높은 수준이 이어지고 있음

 

13. 미국 물가 상승은 수요 측면에 기인. 이는 통화정책을 통해 부분적으로나마 제어가 가능한 부분

 

14. 지나치게 소극적인 행동보다 지나치게 적극적인 행동이 낫다는 견해 유지

 

15. 경제 연착륙은 여전히 가능하지만 그 가능성은 낮아지고 있음. 기준금리 인상이 종료되더라도 그 수준에서 한동안 유지될 것이기 때문

 

 

[한투증권 전기전자/2차전지 조철희]

11월 3일 IT 주요뉴스

 

● 3분기 中 스마트폰 위축에도…‘아이폰14’ 내세운 애플 '강세'

-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올 3분기 중국 스마트폰 판매량은 전년 동기대비 12.4% 감소

- 애플은 올 3분기 중국에서 점유율 15.3%로 4위를 차지. 전년 동기대비 점유율은 2.8%포인트 상승, 매출은 6.8% 증가

Link: https://bit.ly/3FDO0zy

 

● Taiwan ABF substrate suppliers to embrace sales growth in 4Q22

- 대만에 본사를 둔 IC 기판 전문업체 unimicron Technology, Nan Ya PCB, Kinsus Interconnect Technology는 여전히 견조한 ABF 기판 수요에 힘입어 2022년 4분기에도 매출이 증대될 것이라 전망

- IC 기판 3사는 올 1~3분기 ABF 기판의 매출 기여율이 혼조세를 보임. Unimicron의 비율은 30%, Nan Ya는 50%, Kinsus는 수치를 제시하지 않았지만 BT 기판과 ABF 기판이 모두 수익에 크게 기여하는 중

Link: https://bit.ly/3t8Nlit

 

● Samsung foldable smartphone sales better than expected in Taiwan

- Sales of Samsung Electronics Galaxy Z Fold 4 and Flip 4 foldable smartphones in the Taiwan market have been higher than expected since their launch, according to sources at local retail channels.

 

● Yageo to expand sensor biz through acquisitions

- Two acquisitions announced by Yageo in October may indicate the passive component company is gearing up for its sensor business expansion.

 

● TSMC, 3나노 고객사 주문량 ‘급감’…삼성전자 영향은?

- 대만 현지 언론에 따르면 인텔, 애플 등 TSMC의 주요 고객사가 3나노 공정 발주 주문을 취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TSMC의 첨단공정 반도체 주문업체의 발주량은 연초 계획 대비 40~50%가량 축소됨

Link: https://bit.ly/3h4h0WY

 

 

『하루를 여는 이경준 혁신IB자산운용 대표의 IPO Daily💌 - 20221103』

【 텔레그램 채널 주소 : https://t.me/KoreaIB

【 IPO상장 및 투자자문 문의 ☞ 📧 ipo@kakao.com 】

 

===========================

 

📌Today's Topic》

횡령·배임부터 빈번한 CB발행까지…'상폐기업' 이랬다

http://news.bizwatch.co.kr/article/market/2022/11/02/0004

🎙

 

 

===========================

 

★ 금일 IPO 일정 ★

 11/02~03 유비온 수요예측⚖️

 11/02~03 디티앤씨알오 청약🖨

 11/02~03 윤성에프앤씨 청약🖨

 11/03~04 엔젯 수요예측⚖️

 11/03~04 티에프이 수요예측⚖️

 

☆ 금주 남은 IPO 일정 ☆

 11/03~04 엔젯 수요예측⚖️

 11/03~04 티에프이 수요예측⚖️

 11/04 뉴로메카 상장⭐️

 11/04 제이아이테크 상장⭐️

 11/04~07 제이오 수요예측⚖️

 11/04~07 밀리의 서재 수요예측 ⚖️

< 출처 : 🇰🇷이경준 혁신IB자산운용 대표의 화(話)💬 https://t.me/KoreaIB >

------------------------------------------

 

▣ 기관IR 일정 ▣

- 온라인 및 소규모 간담회로만 진행 -

 

▣ 상장 일정(예정, 변경가능) ▣

 11/04 뉴로메카(대신증권)

 11/04 제이아이테크(미래에셋증권)

 11/11 디티앤씨알오(키움증권)

 11/14 윤성에프앤씨(미래에셋증권)

 11/17 티쓰리엔터테인먼트(미래에셋증권)

 11/17 티에프이(IBK투자증권)

 11/18 유비온(미래에셋증권)

 11/18 제이오(한국투자증권)

 11/21 엔젯(미래에셋증권)

 11/23 밀리의서재(미래에셋증권)

 11/23 인벤티지랩(한국투자증권)

 11/24 펨트론(하나증권)

 12/02 바이오인프라(DB금융투자)

 12/06 에스에이엠지엔터테인먼트(NH투자증권)

 미정 : 바이오노트(NH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 심사 승인 ▣

 - 컬리(한국투자증권, NH투자증권)

 - 골프존카운티(삼성증권, NH투자증권)

 - 케이뱅크(NH투자증권, 삼성증권)

 - 블루포인트파트너스(한국투자증권)

 - 한주금속(현대차증권, 미래에셋증권)

 - 삼기이브이(대신증권)

< 출처 : 🇰🇷이경준 혁신IB자산운용 대표의 화(話)💬 https://t.me/KoreaIB >

===========================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