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스터디를 위해 개인적으로 스크랩한 증시캘린더, 국내 및 해외마감 시황, 뉴스 자료를 공유합니다.
증시캘린더는 개인적으로 관련된 소식을 확인후 작성한 일정이라 변동 또는 오류의 소지가 있습니다.
게시물은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한 것이라
불확실하거나 오류가 많을 수 있으므로 투자 활용시 유의하시기 바라며, 개별적인 종목 추천이나 상담은 하지 않습니다.
모쪼록 제 공간에 오신 모든 분들이 주식스터디를 통해 인생 한 방보다, 꾸준함을 믿으며...
복리의 마법으로 모든 분들이 성공한 개인투자자가 되시길...
[간밤 월드뉴스 총정리 2월7일] 테슬라·리비안·카누 분석/ 올해 침체 확률 낮춘 GS/ 월가·시장 “금리 더 높게”/ “기술주, 잃어버린 10년 온다” 왜?/ 디즈니 호재
2023년 2월 7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미 1월 고용 영향이 이어지며 시중금리가 올랐습니다.
(2) 마이크론이 자금조달에 나서고 양츠메모리가 인력을 감축합니다.
(3) 구글이 Chat GPT에 대항하는 AI 'Bard'를 수주내 공개합니다.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820%p (-0.056%p)
한국 고객예탁금, 47.7조원 +1.2조원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28% (오전 5시 기준)
1개월 NDF 환율 1,260.05원 (+6.90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2/7 [미래에셋증권] 해외 금융시장
디지털리서치팀 김석환(02-3774-6049)
◆ 미국 증시
- DOW: 33,891.02p (-34.99p, -0.10%)
- S&P500: 4,111.08p (-25.40p, -0.61%)
- NASDAQ: 11,887.45p (-119.51p, -1.00%)
- 러셀2000: 1,957.72p (-27.82p, -1.40%)
◆ 한국 관련
- MSCI 한국지수 ETF: $61.59 (-1.81, -2.85%)
- MSCI 이머징지수 ETF: $40.28 (-0.60, -1.47%)
- Eurex kospi 200: 317.10p (-1.00p, -0.31%)
- NDF 환율(1개월물): 1,259.90원 / 전일 대비 6원 상승 출발 예상
- 필라델피아 반도체: 3,029.74 (-52.36, -1.70%)
◆ 외환시장
- 달러인덱스: 103.639 (+0.724, +0.70%)
- 유로/달러: 1.0725 (-0.0070, -0.65%)
- 달러/엔: 132.62 (+1.43, +1.09%)
- 파운드/달러: 1.2018 (-0.0038, -0.32%)
◆ 미국 국채시장
- 2년물: 4.4786% (+19.0bp)
- 5년물: 3.8353% (+17.6bp)
- 10년물: 3.6455% (+12.1bp)
- 30년물: 3.6752% (+6.1bp)
- 10Y-2Y: -83.31bp (6.91bp 역전 확대)
(국채선물)
- 2YR T-Notes: 102*11 (-0*11 1/4, -0.34%)
- 5YR T-Notes: 108*12 1/2 (-0*26 1/4, -0.75%)
- 10YR T-Notes: 113*16 (-1*31 1/2, -0.91%)
- US T-Bonds: 129*00 (-1*28 , -0.86%)
- Ultra US T-Bonds: 141*21 (-1*23 , -0.9%)
◆ 상품시장 ($, 단 곡물, 구리는 센트)
- WTI: 74.11 (+1.07, +1.46%)
- 브렌트유: 80.99 (+1.42, +1.78%)
- 금: 1,879.50 (+4.20, +0.22%)
- 은: 22.24 (-0.12, -0.54%)
- 아연(LME, 3M): 3,131.00 (-110.50, -3.41%)
- 구리: 403.50 (-1.95, -0.48%)
- 옥수수: 679.00 (+0.50, +0.07%)
- 밀: 750.25 (-7.25, -0.96%)
- 대두: 1,521.25 (-11.00, -0.72%)
*동 자료는 2023년 2월 7일 미래에셋증권 홈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를 요약한 것입니다.
2/7 미 증시, 차익실현 및 커진 관망심리
미래에셋증권 디지털리서치팀 김석환(02-3774-6049)
미 증시는 지난 금요일 견고한 고용보고서 결과에 따른 달러강세 및 금리상승세가 이어지자 차익실현 매물이 출회하며 하락 출발. 이런 가운데 장중 발표된 고용동향지수가 전월보다 소폭 개선된 결과를 내놓자 달러강세, 국채금리 상승폭 확대되며 나스닥이 장중 1% 넘게 하락하는 등 기술주 중심으로 매물 출회. 다만 경기에 대한 자신감이 유입되며 일부 반발 매수세가 유입되기는 했으나 그 폭은 제한적인 가운데 3대 지수 모두 하락 마감 (다우 -0.10%, 나스닥 -1.00%, S&P500 -0.61%, 러셀2000 -1.40%)
변화요인: ① 고용동향지수(ETI) ② 금리전망
https://securities.miraeasset.com/bbs/download/2102025.pdf?attachmentId=2102025
02/07 나스닥, 견조한 지표 결과 달러 강세, 금리 급등세 이어지며 하락
미 증시는 지난 금요일 견고한 고용보고서 결과에 따른 달러 강세 및 금리 상승세가 이어지자 차익실현 매물이 출회되며 하락 출발. 이런 가운데 장중 발표된 고용동향지수가 전월 보다 소폭 개선된 결과를 내놓자 달러 강세, 금리 상승폭이 확대되며 나스닥이 1.4% 하락하는 등 기술주 중심으로 매물이 출회. 다만 경기에 대한 자신감이 유입되며 일부 반발 매수세가 유입되기는 했으나 그폭은 제한된 가운데 3대 지수 모두 하락 마감
지난 금요일 큰 폭으로 증가한 1월 비농업 고용자수가 발표되며 연준 정책의 매파적인 행보가 지속될 수 있다는 우려가 부각되며 달러 강세, 금리 급등 흐름이 이어졌음. 이런 가운데 이날 발표된 컨퍼런스보드의 고용동향지수는 지난달 발표된 117.06에서 118.74로 개선되어 향후 고용 증가 가능성이 부각되자 이러한 달러 강세 및 금리 급등이 더욱 확대되는 경향을 보임. 물론, 지난 금요일 발표된 고용보고서 결과를 보면 임시직과 서비스업종 중심으로만 급증 했고, 장기 실업자수가 오히려 증가하는 등 질적으로는 그리 좋은 모습은 아니지만, 전체적인 수치가 견고함을 보이자 매파적인 연준의 행보가 지속될 수 있다고 볼 수 있음. 이 영향으로 연초 대비 상승폭이 컸던 기술주 중심으로 매물이 출회되며 전반적인 주식시장의 위축 우려가 높아짐
한편, 델 컴퓨터가 고용인력의 5%를 해고할 계획을 발표했는데 PC와 노트북 수요 둔화에 대한 대처라고 언급. 이 여파로 3% 넘게 하락한 가운데 TSMC도 수요 악화를 이유로 부진한 실적에 대한 우려가 부각되자 3% 하락. 여기에 인텔은 경쟁 업체들인 엔비디아와 AMD등에 점유율을 뺏길 것이라는 소식이 전해지자 급락하는 등 악재성 재료가 유입된 반도체 업종이 부진. 여기에 아마존, 알파벳, MS등을 비롯해 클라우드 서비스 관련 종목도 약세를 보이는 등 기술주 중심으로 기존에 나왔던 악재성 재료가 재 부각된 점도 부진 요인. 결국 미 증시는 달러 강세, 금리 급등세가 이어지자 과거의 악재성 재료를 빌미로 매물을 소화하는 과정을 보임
(2023.02.07) U.S.& EU Market Closing
- 2023.02.07 마지원
- U.S. Market Closing – 06:00 기준
지수 | 종가 | 등락폭 | 등락률 | 상승/하락/보합 |
DOW | 33,891.02 | -34.99 | -0.1% | 12/18/0 |
S&P500 | 4,111.07 | -25.41 | -0.6% | 155/348/0 |
NASDAQ | 11,887.45 | -119.51 | -1.0% | 1150/2176/285 |
RUSS 2K | 1,955.68 | -29.86 | -1.5% | 370/1541/26 |
PHLX 반도체지수 | 3,029.74 | -52.36 | -1.7% | 1/29/0 |
VIX지수 | 19.43 | 1.10 | 6.0% |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 티레이더에서 나스닥•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실시간 제공
금일 뉴욕증시는 하락 마감. Miler Tabak의 Matt Maley 스트래터지스트는 1월 랠리를 견인했던 증시 낙관론이 위태로워지고 있다고 평가함. 미국의 1월 고용지표에서 신규고용이 50만 명을 넘고, 실업률이 추가로 하락하며 3.4%를 기록한 것은 '22년에 걸쳐 강력한 금리인상이 진행되었고 글로벌 경기둔화가 나타나고 있는 상황에서 설명하기 어려운 현상임을 지적. 이에 미 연준의 금리인하가 연내 이루어질 것이라고 예상했던 투자자들은 그러한 기대감을 거둬야 할 것으로 발언함. '23년 1월 미국 증시는 강력한 랠리를 경험했으나 금리인하 기대를 더 이상 적용하기 어려워진 상황에서, 이러한 랠리를 지탱했던 요소들은 제거되고 있고 미국 증시는 근시일 내 상당한 하락리스크를 내포하고 있음을 언급함. S&P 500 지수는 '23년 실적 전망치 기준 19배 이상의 주가배수에 거래되고 있는데, 어닝시즌에서는 이러한 주가배수를 지지할 만큼 강력한 실적 추이가 나타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함. 나아가 미국 증시가 하락하기 시작한다면, 그 하락세의 패턴도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며 특히, 매도세가 강력하고 하락종목의 폭(breadth)이 크게 나타난다면 미국 증시는 장기간 하락세를 경험할 수 있다고 전달함.
미국 주식 하이라이트 – 06:00 기준
* 테슬라 (TSLA) $ 194.76 / +2.52%
Webush는 테슬라사의 중국 전기차 수요 회복세가 본 궤도에 오르기 시작했음을 분석함. 봉쇄조치 및 매크로 불확실성이 ‘22년 4분기 약세로 작용했지만, 중국 내 전기차 소비자들이 내수 브랜드인 BYD, 니오, 샤오펑보다 테슬라를 선호하고 있는 상황에서 일어나고 있는 턴어라운드는 주목할만 한 것으로 발언함. 이에 투자의견 ‘outperform’을 유지했고, 목표주가를 175달러에서 225달러로 상향 조정함.
* 카누 (GOEV) $ 1.09 / -12.40%
PRNewswire는 카누가 동사 보통주 5,000만주 유상증자 발표를 보도했음. 상세 내용으로는 주당 1.05달러에 매입할 수 있는 워런트를 함께 매입/매각할 수 있는 계약을 맺었다고 했으며, 이번 증자로 총 5,250만 달러의 자본이 유입될 것으로 예상함. Seeking Alpha는 이와 같은 유상증자 소식이 동사의 주가를 12%가량 급락시킨 요인으로 작용하였음을 추측함.
U.S. ETF Closing – 06:00 기준
Sector
분류 | 티커 | 현재가 | 등락률 | t신호 | 수익률 | ||
1개월 | 3개월 | 1년 | |||||
유틸리티 | XLU | 68.51 | 0.88% | 안개 | -4.20% | 0.30% | 2.60% |
필수소비재 | XLP | 73.5 | 0.14% | 안개 | -1.90% | 0.60% | -1.20% |
금융 | XLF | 36.57 | -0.05% | 햇빛 | 3.20% | 3.40% | -9.00% |
자유소비재 | XLY | 151.11 | -0.16% | 햇빛 | 12.30% | 6.90% | -19.40% |
산업재 | XLI | 102.65 | -0.19% | 햇빛 | 1.60% | 3.60% | 1.80% |
에너지 | XLE | 85.64 | -0.37% | 안개 | -2.50% | -4.40% | 29.70% |
헬스케어 | XLV | 131.93 | -0.57% | 안개 | -1.90% | -1.70% | -0.10% |
부동산 | VNQ | 91.29 | -0.71% | 햇빛 | 7.90% | 6.40% | -11.30% |
소재 | XLB | 82.49 | -1.10% | 햇빛 | 1.00% | 3.40% | -1.70% |
IT | XLK | 140.1 | -1.18% | 햇빛 | 10.30% | 7.30% | -13.80% |
커뮤니케이션 | XLC | 57.5 | -1.20% | 햇빛 | 12.20% | 18.30% | -19.20% |
자료: 티레이더,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섹터별 ETF는 IT(XLK/-1.18%)섹터와 커뮤니케이션(XLC/-1.20%)섹터가 하락을 주도하며 마감. Seeking Alpha는 애플(AAPL)의 최고 사양 iPhone 기종인 iPhone 14 Pro가 중국 유통사에 의해 100달러 이상 할인되고 있는 것으로 보도함. 이는 글로벌 최다 인구 수를 자랑하는 중국 스마트폰 시장이 저조한 상태를 이어나가고 있는 가운데 전해진 소식이다고 덧붙임. China Securities Journal에 따르면, 징동닷컴(JD.com), 중국 통신사인 China Mobile 및 오프라인 애플 공식 판매사에서 상기와 같은 iPhone 14 Pro 가격 인하가 진행되고 있다고 전달함. 이어 지난달, Canalys는2022년 4분기 글로벌 스마트폰 판매 대수가 전년 동기 대비 17% 감소한 약 3만 대라고 발표했고, 이는 2022년 글로벌 스마트폰 판매대수는 전년 대비 11% 감소한 12억 대로 집계됐다고 보도함. 한편, 애플의 Tim Cook CEO는 FY23 1분기(2022년 10~12월) 어닝스 콜에서, 중국 시장 내 동사 지위가 2022년 말로 향하면서 개선되고 있음을 언급함.
Thematic – 06:00 기준
분류 | 티커 | 현재가 | 등락률 | t신호 | 수익률 | ||
1개월 | 3개월 | 1년 | |||||
워런 버핏 | MOAT | 73.87 | -0.87% | 햇빛 | 8.40% | 11.20% | -0.10% |
기술혁신 | ARKK | 42.26 | -1.38% | 햇빛 | 25.60% | 13.20% | -44.50% |
비트코인 | BITO | 14.4 | -1.61% | 햇빛 | 31.30% | 34.00% | -48.50% |
반도체 | SOXX | 419.12 | -1.64% | 햇빛 | 11.70% | 14.60% | -16.00% |
주거건축 | XHB | 69.98 | -1.73% | 햇빛 | 8.80% | 13.20% | -5.00% |
자료: 티레이더,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테마별 ETF는 기술혁신(ARKK/-1.38%)ETF와 반도체(SOXX/-1.64%)ETF가 하락하며 마감.
ARKK ETF 설립자 캐시 우드는 동ETF가 올해 나스닥 100의 두 배 이상인 42% 상승하였다며, 여전히 2년 전 고점 대비 70% 이상 하락하여 지수를 약 10배 하회하고 있는 점과, 5년간 벤치마크 수익률인 89% 중 12%밖에 달성하지 못했다는 점을 언급하며 동 ETF가 언더퍼폼하고 있음을 발언함. 캐시 우드는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작년 한 해가 금리 인상에 대한 두려움과 파월 의장의 연설에 시장이 뒤흔들렸던 만큼, ARKK ETF가 약세일 수 밖에 없었던 시장이었음을 지적하며, 향후 예측대로 운영될 경우 ‘새로운 나스닥’일 것이라 발언함. 한편, 블룸버그가 수집한 데이터에 따르면 이 펀드는 지난해 13억2000만 달러의 순유입을 기록했으나, 투자자들은 ARKK ETF에서1억 1,780만 달러를 인출하면서, 아크이노베이션 ETF 자산은 1.4% 감소한 81억 5천만 달러로 집계되었음을 보도함.
EU Market Closing – 02:30 기준
지수 | 종가 | 등락률 | 구분 | 업종 | 등락률 |
STOXX 600 | 457.16 | -0.8% | 건강관리 | 0.3% | |
상승 | 유틸리티 | 0.1% | |||
자유소비재 | -1.6% | ||||
하락 | 정보기술 | -2.0% | |||
부동산 | -2.2% | ||||
지수 | 종가 | 고가 | 저가 | 등락폭 | 등락률 |
獨 DAX | 15,345.91 | 15,406.93 | 15,275.57 | -130.52 | -0.8% |
英 FTSE 100 | 7,836.71 | 7,901.80 | 7,808.39 | -65.09 | -0.8% |
佛 CAC 40 | 7,137.10 | 7,187.27 | 7,104.52 | -96.84 | -1.3% |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금일 투자자들이 경제와 금리 전망을 비관적으로 바라보면서 유럽증시는 하락 마감. 범유럽지수 스톡스600은 0.8% 하락, 자유소비재 업종과 정보기술 업종이 하락했고, 낙폭을 2.2% 기록한 부동산 업종이 하락을 주도함. 독일 DAX 지수와 영국 FTSE지수는 각각 0.8% 하락,프랑스 CAC 지수는 1.3% 하락 마감. 유로존 채권 수익율은 월요일 유럽중앙은행의 발언과 금리 인상 주기에 대한 의견을 토대로 트레이더들의 컨센서스가 반영되면서 상승. 독일 10년만기 채권 수익률은 8bp 상승하며 2.28%를, 이탈리아와 그리스의 10년만기 채권 수익률은 각 12bp 상승하며 4.15% 기록. 한편, 미국의 고용지표가 견고하게 발표되면서 미 연준의 추가 금리인상 가능성 혹은 그 기간이 길어질 것으로 예측한 투자자들의 부정적인 의견 또한 하락세에 반영된 것으로 해석되고 있는 상황.
[한투증권 전기전자/2차전지 조철희]
2월7일 IT 주요뉴스
● 패키지 기판 전성시대 끝나나…’FC-BGA 쇼티지’ 완화
-이비덴, 유니마이크론, AT&S 상반기 가이던스 하향 조정. IT 세트 제품들의 전반적인 수요 약세에 기인
-고객사 재고 조정으로 PC용 FC-BGA 가격 하락할 것. 다만, 탑티어 패키지 기판 기업들 중심으로 투자는 지속될 전망
Link: http://bit.ly/3X9eSwH
● “신형 아이폰,15만원 가격 내린다” 콧대 높은 애플 웬일인가 했더니…또 중국만
-애플의 아이폰14가 중국에서 약 15만원 할인된 가격에 판매. 이는 올해 1월 3~4%보다 추가적으로 확대된 할인 폭(7~9%) . 중국 내 스마트폰 수요 감소에 대한 대응으로 풀이
-중국 스마트폰 시장 침체에도 22년 애플 총 출하량은 전년대비 4% 증가했지만 여전히 부족하다는 평가. 이에 당분간 중국 내 공격적인 아이폰 판매 전략 이어질 것
Link: https://bit.ly/3laSS7d
● '애플 협력업체' 폭스콘 1월 매출 사상 최대… '위드 코로나' 효과
-애플 최대 협력업체인 대만 폭스콘의 1월 매출이 전년 동월 대비 48% 급증하며 사상 최대치 기록. 정저우 공장 운영이 정상화된 영향
-폭스콘은 1월 매출이 시장예상치를 소폭 상회했고 1분기 매출 역시 시장 예상치에 근접할 가능성이 높다고 밝힘
Link: http://bit.ly/3HZPmpj
● MLCC inventory to return to normal in 2Q23 on mounting replenishment demand(Digitimes)
-컨슈머용 MLCC 출하량이 1월 중순 이후 반등 조짐. 공급업체들의 재고수준은 약 3개월로 올 2분기에는 정상 수준으로 낮아질 것
-대만 내 대표적인 MLCC업체는 재고 보충 수요 증가로 가동률이 1분기 55~60%에서 2,3분기에 70%까지 상승할 것으로 전망. 일본 Murata는 전장용 MLCC 부문에서 견조한 흐름 이어갈 것
Link: https://bit.ly/3Y4PKby
● Csun sees strong demand for high-end substrates(Digitimes)
--Equipment demand for the production of high-end IC substrates remains optimistic, according to Equipment supplier Csun Manufacturing, which has seen its delivery lead times approach four to six months
-
Link:
『하루를 여는 이경준 혁신IB자산운용 대표의 화(話)가 담긴 IPO Daily💌 - 20230207』
【 텔레그램 채널 주소 : https://t.me/KoreaIB 】
【 IPO상장 및 투자자문 문의 ☞ 📧 ipo@kakao.com 】
===========================
《📌Today's Topic》
새해 '불장'인데… '곱버스 베팅' 개미 성적표는 '우울'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3020616065811477
===========================
★ 금일 일정 ★
02/06~07 이노진 수요예측⚖️
02/06~07 샌즈랩 청약🖨
02/07 스튜디오미르 상장⭐️
02/07~08 오아시스 수요예측⚖️
02/07~08 제이오 청약🖨
☆ 금주 남은 일정 ☆
02/07~08 오아시스 수요예측⚖️
02/07~08 제이오 청약🖨
02/09 꿈비 상장⭐️
02/09 샌즈랩 납입🏧
02/10 제이오 납입🏧
< 출처 : 🇰🇷이경준 혁신IB자산운용 대표의 화(話)💬 https://t.me/KoreaIB >
------------------------------------------
▣ 기관IR 일정 ▣
- 온라인 및 소규모 간담회로만 진행 -
▣ 상장 일정(예정, 변경가능) ▣
02/07 스튜디오미르(미래에셋증권)
02/09 꿈비(키움증권)
02/15 샌즈랩(키움증권)
02/16 제이오(한국투자증권)
02/20 이노진(IBK투자증권)
02/23 오아시스(NH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03/02 나노팀(한국투자증권)
03/03 바이오인프라(DB금융투자)
03/06 블루포인트파트너스(한국투자증권)
03/07 자람테크놀로지(신영증권)
03/10 지아이이노베이션(NH투자증권, 하나증권)
03/14 엘비인베스트먼트(미래에셋증권)
03/14 금양그린파워(삼성증권)
▣ 심사 승인 ▣
- 트루엔(미래에셋증권)
- 큐라티스(대신증권, 신영증권)
- 토마토시스템(교보증권)
- 씨유박스(신한투자증권, SK증권)
< 출처 : 🇰🇷이경준 혁신IB자산운용 대표의 화(話)💬 https://t.me/KoreaIB >
===========================
'시황 & 뉴스 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2월 9일(목) 증시캘린더 / 해외마감시황 (0) | 2023.02.09 |
---|---|
2월 8일(수) 증시캘린더 / 해외마감시황 (0) | 2023.02.08 |
2월 6일(월) 증시캘린더 / 해외마감시황 (0) | 2023.02.06 |
2월 3일(금) 증시캘린더 / 해외마감시황 (0) | 2023.02.03 |
2월 2일(목) 증시캘린더 / 해외마감시황 (2) | 2023.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