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스터디를 위해 개인적으로 스크랩한 증시캘린더, 국내 및 해외마감 시황, 뉴스 자료를 공유합니다.
증시캘린더는 개인적으로 관련된 소식을 확인후 작성한 일정이라 변동 또는 오류의 소지가 있습니다.
게시물은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한 것이라
불확실하거나 오류가 많을 수 있으므로 투자 활용시 유의하시기 바라며, 개별적인 종목 추천이나 상담은 하지 않습니다.
모쪼록 제 공간에 오신 모든 분들이 주식스터디를 통해 인생 한 방보다, 꾸준함을 믿으며...
복리의 마법으로 모든 분들이 성공한 개인투자자가 되시길...
[간밤 월드뉴스 총정리 2월14일] “약세 짧고 강세 길다”/ 2차 감원 태풍/ 팰런티어 실적/ BofA “60% 뛸 종목”/ 디즈니의 복귀/ “유럽도 침체 피할 것”
나스닥 올랐는데 테슬라는 또 하락…슈퍼볼 때문? 너무 올라서?
테슬라가 13일(현지시간) 2거래일째 하락세를 이어갔다. 테슬라는 이날 1.14% 내려간 194.64달러로 마감했다. 지난 10일 5.03% 급... 머니투데이 | 2023-02-14 07:56
뉴욕증시, CPI 대기 속 상승…'추가 감원' 메타 3%↑ [뉴욕증시 브리핑]
뉴욕증시는 1월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가 임박한 가운데 상승했다. 13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 한국경제 | 2023-02-14 07:22
“금리 더 오래 안 되면 더 높게”…“파월 1월 CPI 데이터 노렸나” [김영필의 3분 월..
13일(현지 시간) 미국 뉴욕증시의 주요 지수가 1월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를 앞두고 상승 마감했습니다. 나스닥이 1.48% 오른 것을 비... 서울경제 | 2023-02-14 07:10
[뉴욕증시]랠리 지속인가, 다시 약세인가…CPI에 달렸다
미국 뉴욕 증시가 일제히 반등했다. 하루 앞으로 다가온 소비자물가지수(CPI) 보고서를 기다리면서 소폭 올랐다. CPI 결과에 따라 시장 변동성... 이데일리 | 2023-02-14 07:03
'CPI 잘 나올까' 예의주시…S&P500 1.14%↑[데일리국제금융시장]
1월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를 앞두고 투자자들이 인플레이션 추이를 예의 주시하는 가운데 뉴욕증시가 상승했다. 13일(현지 시간) CNBC에... 서울경제 | 2023-02-14 07:01
뉴욕증시, 1월 CPI 발표 앞두고 상승…나스닥 1.48%↑
1월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를 하루 앞두고 뉴욕증시가 상승 마감했다. 3대 지수 모두 일제히 반등했다. 13일(미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 매일경제 | 2023-02-14 07:01
뉴욕증시, 인플레 완화 베팅 늘며 일제 상승 ‘MS 3.2%↑’…유가·비트코인 하락 [출근..
뉴욕증시는 13일(현지시간) 상승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376.66포인트(1.11%) 상승한 3만4245... 한국경제TV | 2023-02-14 06:48
뉴욕증시, CPI 대기하며 상승…나스닥 1.48%↑ 마감
윤영숙 연합인포맥스 특파원 = 뉴욕증시는 다음날 나오는 1월 소비자물가지수(CPI)를 기다리며 상승했다. 13일(미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 연합뉴스 | 2023-02-14 06:34
출처: <https://finance.naver.com/news/news_list.naver?mode=LSS3D§ion_id=101§ion_id2=258§ion_id3=403>
뉴욕증시, 인플레 완화 베팅 늘며 일제 상승 ‘MS 3.2%↑’…유가·비트코인 하락 [출근전 꼭 글로벌브리핑]
출처: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302140014&t=NN>
2023년 2월 14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이번 주 후반 블링컨과 왕이가 회동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2) 뉴욕연은의 소비자 조사에서 인플레 기대가 유지됐습니다.
(3) 일본은행 신임 총재가 YCC를 폐기할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됐습니다.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819%p (-0.034%p)
한국 고객예탁금, 47.0조원 -0.8조원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68% (오전 5시 기준)
1개월 NDF 환율 1,272.32원 (-5.18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2/14 [미래에셋증권] 해외 금융시장
디지털리서치팀 김석환(02-3774-6049)
◆ 미국 증시
- DOW: 34,245.93p (+376.66p, +1.11%)
- S&P500: 4,133.66p (+43.20p, +1.06%)
- NASDAQ: 11,891.79p (+173.67p, +1.48%)
- 러셀2000: 1,939.63p (+20.81p, +1.08%)
◆ 한국 관련
- MSCI 한국지수 ETF: $62.56 (+0.08, +0.12%)
- MSCI 이머징지수 ETF: $40.54 (+0.35, +0.86%)
- Eurex kospi 200: 324.70p (+2.10p, +0.65%)
- NDF 환율(1개월물): 1,272.15원 / 전일 대비 6원 하락 출발 예상
- 필라델피아 반도체: 3,057.32 (+46.17, +1.53%)
◆ 외환시장
- 달러인덱스: 103.274 (-0.356, -0.34%)
- 유로/달러: 1.0724 (+0.0046, +0.43%)
- 달러/엔: 132.30 (+0.94, +0.72%)
- 파운드/달러: 1.2138 (+0.0076, +0.63%)
◆ 미국 국채시장
- 2년물: 4.5196% (+0.3bp)
- 5년물: 3.9122% (-1.0bp)
- 10년물: 3.7054% (-2.7bp)
- 30년물: 3.7826% (-3.3bp)
- 10Y-2Y: -81.42bp (2.92bp 역전 확대)
(국채선물)
- 2YR T-Notes: 102*05 3/4 (-0*00 , -0.02%)
- 5YR T-Notes: 107*27 1/4 (0*00 , 0%)
- 10YR T-Notes: 112*25 (+0*05 , +0.14%)
- US T-Bonds: 127*12 (+0*20 , +0.49%)
- Ultra US T-Bonds: 139*00 (+1*7 , +0.88%)
◆ 상품시장 ($, 단 곡물, 구리는 센트)
- WTI: 80.14 (-0.39, -0.49%)
- 브렌트유: 86.61 (-0.40, -0.46%)
- 금: 1,863.50 (-9.70, -0.52%)
- 은: 21.85 (-0.10, -0.45%)
- 아연(LME, 3M): 3,097.50 (+55.00, +1.81%)
- 구리: 405.75 (+4.45, +1.11%)
- 옥수수: 685.00 (+4.25, +0.62%)
- 밀: 800.75 (+3.75, +0.47%)
- 대두: 1,542.75 (+0.25, +0.02%)
*동 자료는 2023년 2월 14일 미래에셋증권 홈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를 요약한 것입니다.
2/14 미 증시, CPI 발표 앞두고 저가매수 유입되며 상승
미래에셋증권 디지털리서치팀 김석환(02-3774-6049)
유럽집행위원회(EC)는 2023년 유럽 경제에 대한 전망을 업데이트하며 이전대비 성장 전망을 높이고 인플레이션 전망을 낮춰. 지난 금요일 미시건대 소비자기대조사에 이어 오늘 뉴욕 연은 소비자기대조사 결과는 시장 예상 수준에 부합. 특히 투자자들이 관심 가지고 지켜봤던 1년 후 기대인플레이션은 이전과 동일한 5%로 나와. 이 날 발언에 나선 미셸보우먼 연준 이사는 경제 및 인플레이션 전망은 상당히 불확실하다면서 물가 안정을 달성하려면 멀었다고 평가. 그렇기 때문에 연방기금금리를 충분히 제한적인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지속적인 인상이 적절하고, 물가안정을 회복하기 위해 한동안 그 수준을 유지해야 한다고 강조 (다우 +1.11%, 나스닥 +1.48%, S&P500 +1.06%, 러셀2000 +1.08%)
변화요인: ① 유럽2023전망 ② 소비자기대조사
https://securities.miraeasset.com/bbs/download/2102458.pdf?attachmentId=2102458
02/14 미 증시, 달러 약세 및 개별 기업 호재로 상승
미 증시는 소비자 물가지수 발표를 앞두고 최근 하락에 따른 반발 매수세에 힘입어 소폭 상승 출발. 특히 MS와 메타 플랫폼, 엔비디아 등이 긍정적인 소식이 전해지며 강세를 보이자 상승폭 확대. 더불어 뉴욕 연은의 기대 인플레이션이 안정적으로 발표된 점, EU집행위의 유로존 경제전망 상향 조정에 따른 유로화 강세 또한 긍정적인 영향. 결국 미 증시는 소비자 물가지수 발표를 앞두고 경기에 대한 우려가 여전하지만 이를 상쇄하는 여러 호재성 재료가 유입되며 전체적인 시장의 강세가 이어졌다고 볼 수 있음(다우 +1.11%, 나스닥 +1.48%, S&P500 +1.14%)
이날 발표된 뉴욕 연은의 소비가 기대 조사를 통해 1년 기대 인플레이션은 5.0%를 유지한 가운데 3년 기대 인플레이션은 3.0%에서 2.7%로 하향 조정하는 등 인플레이션은 안정을 보인 점은 긍정적. 그렇지만, 가계 소득 증가 기대가 4.6%에서 3.3%로 크게 하향 조정 되었으며 가계 지출 기대도 5.9%에서 5.7%로 둔화. 여기에 가계 부채 연체율도 11.4%에서 12.1%로 상승하는 등 전반적인 경기에 대한 우려는 여전히 확대. 그렇지만, 오늘은 이러한 경기 위축에 대한 우려보다 개별 기업들 중심으로 호재성 재료에 반응을 하며 긍정적인 움직임을 보였으나 향후 변동성 확대는 불가피 할 것으로 전망
한편, 달러화가 유로화 강세에 기인해 약세를 보인 점도 기술주 중심의 강세를 견인. 유로화는 EU집행위가 올해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0.3%에서 0.9%로 상향 조정 했는데 천연가스 가격 하락, 확고한 가계 지출 강화 등으로 우려했던 경기 침체를 피할 수 있다는 전망에 기인해 달러 대비 강세를 보임. 결국 지난해 여름 유럽 천연가스 급등으로 겨울 에너지 위기와 그에 따른 유로존 경기 경착륙 가능성이 부각되었으나, 천연가스 급락으로 유로존 경기에 대한 우려가 완화되며 4분기 유럽 증시 급등이 이어졌고, 이 결과가 연초 투자심리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는 가운데 EU집행위의 경제 전망 발표도 우호적인 영향
이런 가운데 MS는 모건스탠리가 단기적인 주가 하락은 장기적 성장을 기반으로 한 매력적인 진입점을 만들 수 있다며 비중 확대 의견을 재확인하자 급등. 더불어 지난해 연말 Grand View Research가 글로벌 AI 시장은 2023년에서 2030년 사이에 연평균 37.3%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해 관련 종목군에 대한 투자 심리는 여전히 긍정적인 점도 호재성 재료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는 점도 우호적.
2/14 한국 증시: BOJ 총재 인선 후 환율동향 주목
미래에셋증권 디지털리서치팀 김석환(02-3774-6049)
MSCI 한국 지수 ETF는 0.12%, MSCI 신흥 지수 ETF는 0.86% 상승. NDF 달러/원 환율 1개월물은 1272.15원으로 이를 반영한 달러/원 환율은 6원 하락 출발 예상. Eurex KOSPI200 선물은 0.65% 상승. KOSPI는 0.4% 내외 상승 출발할 것으로 예상. 금일 국내증시는 14일(화) 예정되어 있는 대외이벤트를 앞두고 관망심리가 큰 가운데 개별종목 이슈에 따른 차별화 움직임 나타날 것으로 전망. 또한 2월 초 1210원대까지 하락했던 달러/원 환율이 현재 1270원대로 상승하는 등 변동성을 키운 만큼 대외 이벤트 주목해야
(2023.02.14) U.S.& EU Market Closing
- 2023.02.14 마지원
- U.S. Market Closing – 06:00 기준
지수 | 종가 | 등락폭 | 등락률 | 상승/하락/보합 |
DOW | 34,245.93 | 376.66 | 1.1% | 28/2/0 |
S&P500 | 4,137.29 | 46.83 | 1.1% | 449/54/0 |
NASDAQ | 11,891.79 | 173.67 | 1.5% | 2009/1330/275 |
RUSS 2K | 1,941.14 | 22.33 | 1.2% | 1435/464/38 |
PHLX 반도체지수 | 3,057.32 | 46.17 | 1.5% | 30/0/0 |
VIX지수 | 20.34 | -0.19 | -0.9% |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 티레이더에서 나스닥•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실시간 제공
금일 뉴욕증시는 익일 발표를 앞둔 CPI지표를 대기하며 상승 출발 후 그 상승세를 지속하며 마감. CNBC는 미국 경제가 순차침체를 경험하고 있으며, 아직까지는 고용시장이 견고하지만 접대 섹터가 둔화되기 시작하면서 대대적인 경기침체가 발생할 수 있음을 보도함. 고용시장을 필두로 미국 경제지표들이 대체로 견고한 모습을 보이면서, 미국 경제가'23년 경기침체를 회피하고 연착륙할 수 있다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지만, 미국 경제는 '22년 초부터 경기둔화가 시작된 상태이기도 하다며 이에 따라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순차침체(rolling recessions)에 대한 우려가 나타나고 있음을 언급. LinkedIn의 Ghayad 국장은 순차침체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라면, 미국의 고용시장은 전체적으로는 견고하더라도 향후 수 개월에 걸쳐 특정 부문에서 집중적으로 해고가 증가하는 상황이 번갈아 나타날 것으로 분석함. 외신은 대표적으로 미국 주택시장은 이미 '22년에 극심한 둔화를 경험하고 침체되었던 바 있다며 주택시장이 안정된 이후에는 제조업 지표들이 저조한 모습을 보여왔음을 언급. 최근에는 금융 기업들이 신용평가 기준을 강화하는 한편 인력을 감축하고 있다며 마무리지음. 이러한 현상이 미국 고용시장에서 섹터별로 돌아가면서 해고가 증가하는 여건이 나타나고 있다고 볼 수 있다며 미국 경제는 일자리가 풍부한 상태이므로 실업자 증가가 발생하지 않고 해고 이후 재취직이 이어지고 있으나, 지금 일자리 창출이 이루어지고 있는 섹터가 둔화되는 시기에도 실업자 증가가 억제될 수 있을지는 불투명하다고 전달함.
미국 주식 하이라이트 – 06:00 기준
* 모빌아이 (MBLY) $ 42.88 / +2.34%
Baird는 동사가 강력한 성장세로 수익성이 개선될 것이며, 이를 바탕으로 더 높은 주가배수가 책정될 것으로 전망함. 이에 투자의견 ‘outperform’을 유지했고, 목표주가를 40달러에서 50달러로 상향 조정함.
* 익스피디아 (EXPE) $ 111.35 / +3.45%
오펜하이머는 동사의 4분기 실적이 부진했음에도 불구하고, 1월 숙박 자료 등에서 강력한 수요가 확인되고 있음을 언급하며 동사의 성장여력이 시장에서 저평가되고 있음을 지적. 이에 투자의견 ‘outperform’을 유지하면서 목표주가를 120달러에서135달러로 상향 조정함.
U.S. ETF Closing – 06:00 기준
Sector
분류 | 티커 | 현재가 | 등락률 | t신호 | 수익률 | ||
1개월 | 3개월 | 1년 | |||||
IT | XLK | 142.83 | 1.75% | 햇빛 | 10.40% | 8.50% | -9.10% |
자유소비재 | XLY | 150.33 | 1.47% | 햇빛 | 8.90% | 7.10% | -18.50% |
커뮤니케이션 | XLC | 55.76 | 1.46% | 햇빛 | 8.80% | 12.50% | -19.40% |
필수소비재 | XLP | 73.81 | 1.15% | 안개 | 1.40% | 0.60% | 0.50% |
금융 | XLF | 36.89 | 1.10% | 햇빛 | 4.80% | 5.80% | -6.40% |
산업재 | XLI | 103.07 | 0.91% | 햇빛 | 3.40% | 4.90% | 3.80% |
부동산 | VNQ | 90.77 | 0.90% | 햇빛 | 4.20% | 9.00% | -9.20% |
헬스케어 | XLV | 133.59 | 0.83% | 안개 | 0.50% | 0.90% | 3.90% |
유틸리티 | XLU | 68.11 | 0.59% | 안개 | -2.00% | 1.90% | 5.80% |
소재 | XLB | 82.46 | 0.53% | 안개 | 0.80% | 4.40% | -1.30% |
에너지 | XLE | 90 | -0.23% | 햇빛 | 1.70% | -1.50% | 36.80% |
자료: 티레이더,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섹터별 ETF는 자유소비재(XLY/+1.47%)섹터와, IT(XLK/+1.75%)섹터가 상승하며 마감. Benzinga는 작년 12월 구글 경영진이 ChatGPT의 위협에 대해 코드 레드를 선언한 사항을 보도함. 뉴욕 타임즈는 구글이 신규 AI서비스 원형 및 상품을 개발하여 올해 5월 내 출시하도록 구글의 리서치 부서에 업무를 분배해왔음을 언급. 이에 구글은 직원들에게 OpenAI가 예술작품과 이미지를 창조할 수 있는 새로운 AI 상품 개발 임무를 부여함. 또한, 타사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용으로 동사 언어모델인 람다 기반의 챗봇 기술을 구축하려 하고 있는 상황임을 언급.
Thematic – 06:00 기준
분류 | 티커 | 현재가 | 등락률 | t신호 | 수익률 | ||
1개월 | 3개월 | 1년 | |||||
기술혁신 | ARKK | 39.83 | 1.72% | 햇빛 | 10.80% | 7.30% | -45.30% |
반도체 | SOXX | 423.67 | 1.47% | 햇빛 | 10.10% | 14.20% | -12.60% |
워런 버핏 | MOAT | 73.6 | 1.38% | 햇빛 | 7.00% | 11.30% | 0.70% |
클린에너지 | ICLN | 19.87 | 0.97% | 안개 | -5.90% | -3.00% | 6.90% |
글로벌 천연자원 | GNR | 60.01 | 0.31% | 안개 | 0.20% | 5.30% | 4.70% |
자료: 티레이더,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테마별 ETF는 글로벌 클린에너지(ICLN/+0.97%)ETF와 글로벌 천연자원(GNR/+0.31%)ETF가 강보합세를 시현하며 마감.주요 태양광 기업들에 대한 투자의견이 다음과 같이 제시되고 있음. 트루이스트 파이낸셜은 솔라에지 테크놀로지스가 지난 수 개월간 미국 주택용 태양광 시장의 둔화 전망에 따라 동사 주가의 변동성이 심했던 것으로 분석되나, 미국 외 해외 시장에서의 호조와 상업용 태양광 사업 확충을 바탕으로 동사의 리스크가 해소되고 있음을 언급. 한편, Roth MKM은 선파워의 ‘23년 판매량 증가, 매출, BITDA 등이 당사가 예상하고 있는 것보다 견고할 것으로 전망함. 기존 대여를 받아 사업을 영위했던 반면, 이제는 대여를 해주는 쪽으로 사업 모델의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근거로 제시하면서 실적 성장여력에는 긍정적임에도 불구하고 불확실성이 확실히 해소되지 않음을 언급. 이에 투자자들이 선파워 투자에는 조심스러운 접근이 필요할 것을 권고함.
EU Market Closing – 02:30 기준
지수 | 종가 | 등락률 | 구분 | 업종 | 등락률 |
STOXX 600 | 462.03 | 0.9% | 필수소비재 | 1.5% | |
상승 | 산업재 | 1.3% | |||
자유소비재 | 1.0% | ||||
하락 | |||||
지수 | 종가 | 고가 | 저가 | 등락폭 | 등락률 |
獨 DAX | 15,397.34 | 15,409.27 | 15,305.94 | 89.36 | 0.6% |
英 FTSE 100 | 7,947.60 | 7,947.60 | 7,881.86 | 65.15 | 0.8% |
佛 CAC 40 | 7,208.59 | 7,213.94 | 7,138.91 | 78.86 | 1.1% |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금일 유럽 증시는 투자자들이 미 연준으로부터 발표된 경제 전망 및 추가 긴축정책의 전망을 평가하면서 상승 마감. 화요일에 발표가 예정된 미국 CPI지수가 미 연준의 진로를 결정할 것으로 평가했고, 유럽과 일본 전역에서 나올 경제지표들을 대기하는 듯한 모습이었음을 분석함. 범유럽지수 스톡스600의 대부분의 섹터 및 주요 증시가 상승으로 마감하면서 0.9% 상승 마감. 생활용품 섹터가 2% 상승하며 상승세를 주도. 독일 닥스지수는 0.6%, 영국 FTSE지수는 0.8%, 프랑스 CAC지수는 1.1% 상승하며 마감.
[신영증권 자산전략팀] 23.2.14 모닝 브리프
- 뉴욕증시 3대지수 동반상승 마감. CPI (오늘 발표) 경계감 속 안정적인 뉴욕 연은 기대인플레이션에 IT/자유소비재 관련주 강세
- WTI, 터키 경유 공급 재개 및 미 전략비축유 추가방출 소식에도 상승. NDF 원/달러 환율 1,273.3원 호가
- 미 국채금리, 1월 CPI 발표 앞둔 가운데 장기물 하락/중단기물 상승. 2y10y 스프레드 역전폭 1.2bp 확대, 커브 베어-플랫
==================
◆ 미국 증시
-DOW 34,245.93p (+1.11%)
-NASDAQ 11,891.79p (+1.48%)
-S&P500 4,137.29p (+1.14%)
-Russell 2000 1,941.14p (+1.16%)
◆ 미국 주요 종목
Top Gainers 3
-NETFLIX (+3.23%)
-BOOKING HOLDINGS (+3.18%)
-MICROSOFT (+3.12%)
Top Losers 3
-CONOCOPHILLIPS (-2.39%)
-PAYPAL HOLDINGS (-1.67%)
-EXXON MOBIL (-1.15%)
기타 주요 종목
-아마존 (+1.98%)
-테슬라 (-1.14%)
-코카콜라 (+1.64%)
-NVIDIA (+2.46%)
-Apple (+1.88%)
-Ford (+2.83%)
-Microsoft (+3.12%)
-메타 플랫폼스 (+3.03%)
-유니티 소프트웨어 (+4.84%)
-ASML Holding (+1.89%)
-AT&T (+1.00%)
-로블록스 (-1.12%)
-Airbnb (+6.93%)
-디즈니 (-0.37%)
-리얼티 인컴 (+0.45%)
-화이자 (+0.25%)
-머크 (+0.90%)
-길리어드 (+0.91%)
-IBM (+1.29%)
-에스티로더 (+2.02%)
-사이먼 프라퍼티 (+1.15%)
-보스턴 프라퍼티 (+0.95%)
-구글 c (+0.15%)
-Star Bulk (-0.39%)
-Waste Management (-0.84%)
◆ 유로지역
-이탈리아-독일 2년물 29.5bp (-5.0bp)
-크레딧 스위스 CDS 331.2bp (+3.6bp)
◆ 외환시장
-달러인덱스 103.29 (-0.32%)
-달러/엔 132.42 (+0.81%)
◆ 미국 국채시장
-2년물 4.521% (+0.1bp)
-10년물 3.703% (-1.1bp)
-30년물 3.775% (-3.6bp)
◆ 한국 국고채시장
-3년물 3.452% (+5.4bp)
-10년물 3.430% (+6.5bp)
-한국 5년 CDS 42.1bp (+0.0bp)
◆ 상품시장
-WTI (bbl) $80.14 (+0.53%)
-금 (t oz) $1,863.50 (-0.59%)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배정연연구원
02-2004-9891
[한투증권 전기전자/2차전지 조철희]
2월14일 IT 주요뉴스
● LG이노텍, FC-BGA 새 심장부 공개...글로벌 공급협상 개시
-LG이노텍이 올해 10월부터 대량 양산 예정인 FC-BGA 시제품 개발을 완료하고 글로벌 고객사들과 공급 협상에 돌입
-FC-BGA 공급부족 현상은 2027년까지 지속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는 가운데, LG이노텍의 FC-BGA 사업은 기판소재 사업부의 수익성(지난해 기준 OPM 22.8%)을 더욱 높일 것으로 전망
Link: http://bit.ly/3ImCPfT
● 삼성 "갤럭시에 '100% 재활용 플라스틱' 2050년까지 적용"
-삼성전자는 갤럭시S23 시리즈 친환경 기술 브리핑에서 오는 2025년까지 모든 갤럭시 신제품에 재활용 소재를 적용할 계획을 발표. 스마트폰 뿐만 아니라 태블릿, 무선이어폰 등에도 적용을 확대할 방침
-박성선 MX사업부 부사장은 재활용 소재 사용에 따른 원가 인상 이슈에 있어서 가격 인상을 최소화해 소비자에게 전가하지 않는 게 목표라고 밝힘
Link: http://bit.ly/40S0gVj
● 테슬라보다 많이 팔았다…中 BYD, 전기차 판매 1위 등극
-SNE리서치에 따르면, BYD의 글로벌 판매량이 187만대로 전년 대비 204.6% 증가하며 1위를 기록. 테슬라는 131만대를 판매하며 2위
-23년 중국 전기차 시장 성장이 전년 대비 다소 둔화될 것으로 전망되는 상황에서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시행이 중국 전기차 시장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 지 주목할 필요
Link: http://bit.ly/3XtHtN8
● BMW 주요 경영진 다음주 삼성SDI 헝가리공장 방문
-다음 주 BMW 핵심 경영진들이 삼성SDI 헝가리 괴드 1·2공장을 방문하고 합작공상 건설안에 대해 논의할 예정. BMW와의 합작공장인 3공장은 기존 1·2 공장 인근에 건설될 것이 유력하며 규모는 1조 원 이상
-3공장은 BMW의 전기차 전용 노이에 클라세에 들어가는 6세대 원통형 배터리가 제작될 전망이며, 이는 삼성SDI의 첫 번째 유럽 합작공장이 될 것. 다만, 삼성SDI 측은 결정되지 않은 사안이라는 입장
Link: http://bit.ly/3HQuM9w
● BOE, 올해도 아이폰15 OLED 1종만 납품 유력
-BOE가 올해 애플 아이폰 시리즈에서도 OLED를 1종만 납품할 것으로 예상. 업계에선 아이폰15 시리즈 중 하위 라인업 2종에 납품할 것이라고 추정
-애플의 위험 분산 의도와 삼디플의 특허침해경고 등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 BOE는 OLED 주력 공장인 B11의 수율 개선 및 물량 확대와 더불어 상위 라인업용인 LTPO 모델도 생산해야 흑자 전환이 가능할 것
Link: http://bit.ly/3lmzap6
● Tablet shipments to slip below 30 million units in 1Q23, says DIGITIMES Research(Digitimes)
-디지타임스 리서치에 따르면, 22년 4분기 7.7% 감소(전분기 대비)한 데 이어, 이번 분기에는 두 자릿수 감소가 예상되며 20년 2분기 이후 최저 수준을 기록할 것
-애플의 22년 4분기 태블릿 출하량은 전분기 대비 1.9% 증가에 그쳤고, 비 애플 진영은 전분기 대비 10% 이상 감소. 23년 1분기에는 Apple과 Amazon의 태블릿 출하량이 순차적으로 감소하면서 전분기와 비슷한 흐름 이어갈 것
Link: http://bit.ly/3RSrVSb
● Huawei gearing up for foldable smartphone shipment ramp-up(Digitimes prime)
-Suppliers engaged in the supply chain for Huawei's foldable smartphones are poised to kick off production in March, according to industry sources.
『하루를 여는 이경준 혁신IB자산운용 대표의 화(話)가 담긴 IPO Daily💌 - 20230214』
【 텔레그램 채널 주소 : https://t.me/KoreaIB 】
【 IPO상장 및 투자자문 문의 ☞ 📧 ipo@kakao.com 】
===========================
《📌Today's Topic1》
컬리 이어 오아시스 너마저…상장 철회 결정
http://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1176979&inflow=N
🎙 이경준 혁신IB자산운용 대표는 “앞서 컬리가 4조원의 밸류에이션을 평가받고 쿠팡이 나스닥에서 100조원에 상장했던 당시와 지금은 상황이 다르다”며 “상장 기업과 주관사들이 눈높이를 낮출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는 “컬리가 4조원의 평가를 받은 이후 장외에서 컬리 시가총액이 8000억원 수준까지 떨어졌다”며 “오아시스는 상장 당시부터 업계 유일의 흑자 기업을 강조했는데, 영업이익 100억원 수준의 기업을 1조원 이상으로 평가하긴 힘들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
《📌Today's Topic2》
'이커머스 1호' 오아시스 결국 철회… IPO시장 한파 지속
https://moneys.mt.co.kr/news/mwView.php?no=2023021316405730872
🎙 이경준 혁신IB자산운용 대표는 "오아시스를 신선식품 업체로 볼지, 아니면 제조·유통까지 하는 업체로 볼지에 따라 다르지만, 공모가가 다소 고평가됐다고 본다"면서 "국내 증시가 연초 계속 올라 조만간 조정이 될 수 있는데 IPO 시장 전체가 타격을 받을 수 있어 우려된다"고 말했다.
===========================
★ 금일 일정 ★
02/13~14 바이오인프라 수요예측⚖️
02/14 이노진 납입🏧
02/14~15 나노팀 수요예측⚖️
☆ 금주 남은 일정 ☆
02/14~15 나노팀 수요예측⚖️
02/15 샌즈랩 상장⭐️
02/15~16 자람테크놀로지 수요예측⚖️
02/16 제이오 상장⭐️
< 출처 : 🇰🇷이경준 혁신IB자산운용 대표의 화(話)💬 https://t.me/KoreaIB >
------------------------------------------
▣ 기관IR 일정 ▣
- 온라인 및 소규모 간담회로만 진행 -
▣ 상장 일정(예정, 변경가능) ▣
02/15 샌즈랩(키움증권)
02/16 제이오(한국투자증권)
02/20 이노진(IBK투자증권)
03/02 나노팀(한국투자증권)
03/02 바이오인프라(DB금융투자)
03/07 자람테크놀로지(신영증권)
03/09 지아이이노베이션(NH투자증권, 하나증권)
03/13 금양그린파워(삼성증권)
03/14 엘비인베스트먼트(미래에셋증권)
03/22 블루포인트파트너스(한국투자증권)
03/24 에스바이오메딕스(미래에셋증권)
▣ 심사 승인 ▣
- 트루엔(미래에셋증권)
- 큐라티스(대신증권, 신영증권)
- 토마토시스템(교보증권)
- 씨유박스(신한투자증권, SK증권)
- 모니터랩(미래에셋증권)
- 틸론(키움증권)
< 출처 : 🇰🇷이경준 혁신IB자산운용 대표의 화(話)💬 https://t.me/KoreaIB >
===========================
'시황 & 뉴스 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2월 16일(목) 증시캘린더 / 해외마감시황 (0) | 2023.02.16 |
---|---|
2월 15일(수) 증시캘린더 / 해외마감시황 (0) | 2023.02.15 |
2월 13일(월) 증시캘린더 / 해외마감시황 (0) | 2023.02.13 |
2월 10일(금) 증시캘린더 / 해외마감시황 (0) | 2023.02.10 |
2월 9일(목) 증시캘린더 / 해외마감시황 (0) | 2023.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