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스터디를 위해 개인적으로 스크랩한 증시캘린더, 국내 및 해외마감 시황, 뉴스 자료를 공유합니다.
증시캘린더는 개인적으로 관련된 소식을 확인후 작성한 일정이라 변동 또는 오류의 소지가 있습니다.
게시물은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한 것이라
불확실하거나 오류가 많을 수 있으므로 투자 활용시 유의하시기 바라며, 개별적인 종목 추천이나 상담은 하지 않습니다.
모쪼록 제 공간에 오신 모든 분들이 주식스터디를 통해 인생 한 방보다, 꾸준함을 믿으며...
복리의 마법으로 모든 분들이 성공한 개인투자자가 되시길...
[간밤 월드뉴스 총정리 4월14일] 도매물가 마이너스/ “12월까지 3번 인하”/ 공포지수, 15개월만 최저/ 엇갈린 월가 보고서/ 보험 손해율↑/ “넷플릭스 낙관”/ 은행 실적
뉴욕증시, 도매물가 하락에 기술주 랠리…금값 13개월래 최고치 [출근전 꼭 글로벌브리핑]
뉴욕증시는 13일(현지시간) 도매물가 하락 소식에 일제히 상승했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383.19포인... 한국경제TV | 2023-04-14 06:47
[뉴욕증시]PPI 예상밖 0.5%↓…'인플레 둔화론' 기우는 시장
미국 뉴욕 증시가 일제히 급등했다. 미국 생산자물가가 시장 예상보다 큰 폭 둔화하면서 장중 투심이 점점 살아났다. 연방준비제도(Fed)의 공격 ... 이데일리 | 2023-04-14 05:50
‘인플레 진정 신호 추가’ 3월 美 PPI 하락…나스닥 1.99%↑[데일리국제금융시장]
3월 생산자물가지수(PPI)에서 인플레이션이 안정되는 중이라는 또 다른 신호가 나오면서 뉴욕증시가 상승했다.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높은 ... 서울경제 | 2023-04-14 05:39
뉴욕증시, PPI 둔화에 상승…S&P500 2월 이후 최고 마감
윤영숙 연합인포맥스 특파원 = 뉴욕증시는 전날 소비자 물가에 이어 이날 생산자 물가도 둔화하고 있음이 확인되면서 상승했다. 13일(미 동부시간)... 연합뉴스 | 2023-04-14 05:31
출처: <https://finance.naver.com/news/news_list.naver?mode=LSS3D§ion_id=101§ion_id2=258§ion_id3=403>
뉴욕증시, 도매물가 하락에 기술주 랠리…금값 13개월래 최고치 [출근전 꼭 글로벌브리핑]
출처: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304140003&t=NN>
2023년 4월 14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미 3월 PPI가 예상을 밑돌며 주가가 오르고 역외서 원/달러가 1,300원을 밑돌았습니다.
(2) 브레이너드 NEC 위원장이 은행대출이 감소조짐을 보이고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3) 중국 정부의 방향 전환에도 외국인의 증시 이탈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517%p (+0.051%p)
한국 고객예탁금, 52.4조원 -0.7조원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84% (오전 5시 기준)
1개월 NDF 환율 1,298.15원 (-12.40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04/14 [미래에셋증권] 해외 금융시장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 (02-3774-1621)
◆ 미국 증시
- DOW: 34,029.69p (+383.19p, +1.14%)
- S&P500: 4,146.22p (+54.27p, +1.33%)
- NASDAQ: 12,166.27p (+236.93p, +1.99%)
- 러셀2000: 1,796.68p (+22.99p, +1.30%)
◆ 한국 관련
- MSCI 한국지수 ETF: $64.01 (+1.85, +2.98%)
- MSCI 이머징지수 ETF: $39.93 (+0.54, +1.37%)
- Eurex kospi 200: 337.10p (+2.80p, +0.84%)
- NDF 환율(1개월물): 1,299.05원 / 전일 대비 11원 하락 출발 예상
- 필라델피아 반도체: 3,074.94 (+22.43, +0.73%)
◆ 외환시장
- 달러인덱스: 101.009 (-0.491, -0.48%)
- 유로/달러: 1.1048 (+0.0056, +0.51%)
- 달러/엔: 132.61 (-0.52, -0.39%)
- 파운드/달러: 1.2525 (+0.0040, +0.32%)
◆ 미국 국채시장
- 2년물: 3.9641% (+0.6bp)
- 5년물: 3.4985% (+3.6bp)
- 10년물: 3.4468% (+5.6bp)
- 30년물: 3.6864% (+6.2bp)
- 10Y-2Y: -51.73bp (4.99bp 역전 축소)
(국채선물)
- 2YR T-Notes: 103*12 (+0*00 , +0.01%)
- 5YR T-Notes: 109*31 (-0*03 1/4, -0.09%)
- 10YR T-Notes: 115*14 1/2 (-0*05 1/2, -0.15%)
- US T-Bonds: 131*26 (-0*09 , -0.21%)
- Ultra US T-Bonds: 141*14 (-0*20 , -0.44%)
◆ 상품시장 ($, 단 곡물, 구리는 센트)
- WTI: 82.16 (-0.92, -1.10%)
- 브렌트유: 86.09 (-1.05, -1.20%)
- 금: 2,055.30 (+30.00, +1.48%)
- 은: 25.93 (+0.52, +2.03%)
- 아연(LME, 3M): 2,837.00 (+52.00, +1.87%)
- 구리: 412.40 (+4.85, +1.19%)
- 옥수수: 625.50 (-1.25, -0.20%)
- 밀: 676.00 (-11.00, -1.60%)
- 대두: 1,473.25 (+2.50, +0.17%)
*동 자료는 2023년 4월 14일 미래에셋증권 홈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를 요약한 것입니다.
글로벌 주식시장 변화와 전망(4월 14일)
미래에셋증권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02-3774-1621)
미 증시, 물가 하락과 개별 기업 이슈로 대형 기술주가 상승 주도
미 증시는 생산자 물가지수가 전월 대비 0.5% 하락하는 등 물가 하락 압력이 확대된 데 힘입어 달러화가 약세를 보이자 기술주 중심으로 상승. 특히 대형 기술주가 개별 호재성 재료로 큰 폭으로 상승하며 이를 주도. 물론, 여전히 경기 침체 이슈가 지속되고 있어 부담을 주기도 했으나, 오늘 시장은 물가 하락에 따른 달러 약세에 주목하며 기술주가 상승을 주도 했다고 볼 수 있음. 이에 힘입어 나스닥은 2% 상승(다우 +1.14%, 나스닥 +1.99%, S&P500 +1.33%, 러셀2000 +1.30%)
변화요인: ①생산자물가지수 ②개별 기업 재료
https://securities.miraeasset.com/bbs/maildownload/20230414054625680_3533
04/14 한국 증시: 개별 종목 장세 전망
미래에셋증권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02-3774-1621)
MSCI 한국 지수 ETF 2.98%, MSCI 신흥 지수 ETF는 1.37% 상승. NDF 달러/원 환율 1개월물은 1,299.05원으로 이를 반영하면 달러/원 환율은 11원 하락 출발 예상. Eurex KOSPI200 선물은 0.84% 상승. KOSPI는 0.7% 내외 상승 출발 예상.
미 증시가 소비자물가지수에 이어 생산자물가지수가 둔화되는 등 물가 하락 압력이 높아지자 기술주 중심으로 강세를 보인 점은 한국 증시에 우호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 특히 달러화가 여타 환율에 비해 약세를 보여 달러/원 환율이 1,300원을 하회하는 등 원화 강세로 외국인 수급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도 우호적.
다만, 미 증시의 강세가 물가 하락과 함께 대형 기술주의 개별 기업 이슈로 인한 상승이라는 점에서 그리고 전일 동시호가에서 옵션만기일 수급 영향으로 0.4% 추가 상승을 했던 점을 감안 미 증시의 상승폭에 비해 한국 증시는 제한적인 상승을 보일 것으로 예상. 더 나아가 경기에 대한 불안이 확대되고 있다는 점을 감안 한국 증시는 0.7% 내외 상승 출발 후 매물 소화 과정이 이어지며 종목 장세가 진행될 것으로 전망.
(2023.04.14) U.S.& EU Market Closing
- 2023.04.14 마지원
- U.S. Market Closing – 05:00 기준
지수 | 종가 | 등락폭 | 등락률 | 상승/하락/보합 |
DOW | 34,029.69 | 383.19 | 1.1% | 28/2/0 |
S&P500 | 4,146.22 | 54.27 | 1.3% | 391/110/2 |
NASDAQ | 12,166.27 | 236.93 | 2.0% | 2416/900/251 |
RUSS 2K | 1,796.68 | 22.98 | 1.3% | 1480/413/25 |
PHLX 반도체지수 | 3,074.94 | 22.43 | 0.7% | 24/4/1 |
VIX지수 | 17.80 | -1.29 | -6.8% |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 티레이더에서 나스닥•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실시간 제공
미국 인플레이션 지표가 예상치를 소폭 하회했지만 추가 금리인상에 대한 우려로 뉴욕 증시는 하락 마감. 이와 관련된 외신들의 다양한 의견이 있었음. Fundstrat의 국장 Tom Lee는 지금의 미 국채 시장이 미 연준이 기준금리 인상 사이클을 종료시키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언급함. 현재 2분기 미 국채 금리가 미 연방기금금리의 중간값을 약 83bp 하회하고 있음을 언급하며 만일 연준이 기준금리 종료를 예상보다 앞당긴다면 이는 동 기관이 추가적인 금융 여건 완화를 인용할 것임을 의미할 수도 있다는 부분을 덧붙임. 이에 상업용 부동산, 주택저당증권, 기타 상업용 대출 시장에서 스트레스가 나타나면서 시장에 신용 경색 우려가 나타난다면 상기와 같은 시나리오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음을 발언함. 마지막으로 4월이 전반적으로 연중 강한 수익률을 보여주는 달이 될 것이라 예상하며 Fundstrat는 3월 소비자 물가지수 발표 이후 매도세가 발생할 때마다 이를 주식의 투자비중을 늘릴 기회로 삼을 것이라 강조함.
U.S. ETF Closing – 05:00 기준
Sector
분류 | 티커 | 현재가 | 등락률 | t신호 | 수익률 | ||
1개월 | 3개월 | 1년 | |||||
자유소비재 | XLY | 146.69 | 2.19% | 햇빛 | 4.10% | 8.40% | -17.20% |
커뮤니케이션 | XLC | 59.25 | 2.08% | 햇빛 | 8.00% | 15.40% | -9.70% |
IT | XLK | 149.48 | 1.86% | 햇빛 | 4.40% | 17.10% | 2.60% |
헬스케어 | XLV | 135.66 | 1.30% | 햇빛 | 8.20% | 2.20% | 0.60% |
소재 | XLB | 81.51 | 1.02% | 햇빛 | 8.40% | 0.90% | -6.40% |
금융 | XLF | 32.55 | 0.87% | 안개 | 5.60% | -6.00% | -10.40% |
에너지 | XLE | 87.08 | 0.64% | 햇빛 | 14.30% | -1.80% | 12.10% |
필수소비재 | XLP | 75.64 | 0.53% | 햇빛 | 5.40% | 5.50% | -0.70% |
산업재 | XLI | 99.97 | 0.39% | 햇빛 | 3.80% | 2.80% | 2.20% |
유틸리티 | XLU | 69.66 | 0.00% | 햇빛 | 4.80% | 2.00% | -5.10% |
부동산 | VNQ | 82.46 | -0.31% | 햇빛 | 3.40% | -3.90% | -20.60% |
자료: 티레이더,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섹터별 ETF는 자유소비재(XLY/+2.19%)섹터와 필수소비재(XLP/+0.53%)섹터가 상승하며 마감. Felder Investment Research 는 미국 증시의 대표적인 블루칩 기업들도 자사주매입을 통해 주가를 방어해왔기 때문에, 고금리 환경에서의 하방 압력이 클 것이라 발언함. Dow Jones 지수를 구성하는 블루칩의 일부인 맥도날드, 캐터필러, 보잉, 3M은 '16~'18년 2년간 미국 증시를 강력하게 outperform했으며, 특히 2010년대 시장을 지배했던 IT 메가캡보다도 우수한 성적을 기록했다고 전달함. 그러나 지난 수 년간 4개 종목의 재무상태를 분석해보면, 매출 증진 등 성장이 달성되지 못했음에도 밸류에이션이 계속해서 확대되며 주가 상승을 지지해왔음을 확인할 수 있다며 이는 도합 1,000억 달러 이상의 부채를 발행하고 그만큼 자사주매입을 진행하며 이루어진 것임을 밝힘. 또한, 고금리 환경이 정착되고 은행 유동성 위기가 발생하면서 기업들의 자금조달 여건이 불투명해진 가운데, 이 4개 기업들이 지금까지와 같은 주식-부채 스와프(equity-to-debt swap)를 이어갈 수 있을지는 의문이라 경고하는 메시지를 전달함. 물론 이들 기업들의 재무상태가 위기에 처한 것은 아니지만, 금리 상승으로 인해 영업이익이 악영향을 받고 있는 가운데 현재의 밸류에이션을 지지할 수 있을 만큼 우수한 성장세가 나타날 수 있을지는 불분명하다고 지적함.
Thematic – 05:00 기준
분류 | 티커 | 현재가 | 등락률 | t신호 | 수익률 | ||
1개월 | 3개월 | 1년 | |||||
기술혁신 | ARKK | 39.15 | 3.98% | 햇빛 | 1.20% | 12.60% | -31.70% |
생명공학 | IBB | 133.58 | 2.31% | 햇빛 | 7.30% | -0.30% | 5.40% |
비트코인 | BITO | 18.14 | 1.97% | 햇빛 | 12.00% | 41.50% | -25.20% |
워런 버핏 | MOAT | 73.67 | 1.40% | 햇빛 | 5.20% | 8.20% | 3.20% |
반도체 | SOXX | 423.7 | 0.81% | 안개 | -0.10% | 13.60% | 1.40% |
자료: 티레이더,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테마별 ETF는 반도체(SOXX/+0.81%)ETF와 기술혁신(ARKK/+3.98%)ETF가 상승하며 마감. Benchmark의 Cody Acree 애널리스트는 브로드컴이 반도체 섹터에서의 견고한 입지를 유지하고 있음을 발언함. '17년 M&A 이후, 브로드컴은 인텔을 이어 반도체 시가총액 2위 기업이었으며 '23년 현재에는 엔비디아에 이은 시가총액 2위 기업으로, 반도체 시장에서의 입지가 견고하게 유지되고 있다고 전달함. 브로드컴은 지난 수 년간 안정적인 자체매출 성장세를 이어왔고, 효과적인 M&A 전략을 전개해왔으며, 다각화된 포트폴리오와 엔드마켓을 바탕으로 영업을 더 확대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음을 덧붙임. 반도체 투자자들은 앞으로도 브로드컴이 높은 이익률을 구가하는 것을 중심으로 투자기회를 찾아볼 수 있을 것이라 언급함. 브로드컴이 영위하는 시장들은 반도체 고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어 성장 전망이 밝음을 주장함.
EU Market Closing – 02:30 기준
지수 | 종가 | 등락률 | 구분 | 업종 | 등락률 |
STOXX 600 | 464.21 | 0.4% | 자유소비재 | 2.4% | 자유소비재 |
건강관리 | 0.8% | 건강관리 | |||
금융 | 0.2% | 금융 | |||
부동산 | -0.2% | 부동산 | |||
필수소비재 | -0.20% | 필수소비재 | |||
유틸리티 | -0.8% | 유틸리티 | |||
지수 | 종가 | 고가 | 저가 | 등락폭 | 등락률 |
獨 DAX | 15,729.46 | 15,754.99 | 15,675.15 | 25.86 | 0.2% |
英 FTSE 100 | 7,843.38 | 7,851.57 | 7,814.11 | 18.54 | 0.2% |
佛 CAC 40 | 7,480.83 | 7,485.59 | 7,450.76 | 83.89 | 1.1% |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금일 유럽증시는 투자자들이 미국 생산자 물가지수를 긍정적으로 해석함에 따라 상승 마감. 유럽에서는 3월 CPI가 3월에 0.1%, 전년 동기 대비 5% 상승했음을 보았지만, 이는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둔화되고 있다는 징후가 계속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고 있음. 또한, 실업수당 청구건수가 증가함에 따라 미 연준의 금리인상 싸이클이 막을 내릴 것이라는 기대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 이에 범유럽지수인 STOXX600은 0.4%, 독일 DAX지수는 0.2%, 영국 FTSE지수는 0.2%, 프랑스 CAC지수는 1.1% 상승. 개별 종목으로는 LVMH사의 우수한 1분기 매출이 유로 증시 상승세에 힘입어 5.7% 상승 마감.
[한투증권 전기전자/2차전지 조철희]
4월14일 IT 주요뉴스
● IRA 견제에도…中CATL "다수 車업체와 美배터리 공장 논의 중"
-중국 CATL이 미국에서 배터리 공장을 설립하기 위해 다수의 완성차들과 논의하고 있다고 밝힘. 테슬라와 합작 공장 추진 보도가 나온 데 이어 같은 입장을 드러낸 것
-이는 IRA 시행 이후에도 미국 완성차 업체들이 배터리 비용을 낮추기 위해 CATL에 손을 내밀고 있는 것으로 파악. CATL 측은 차후 공식적인 발표를 할 것이라고 밝힘
Link: http://bit.ly/43z5VRy
● 中 CATL "LFP배터리 이미 NCM배터리 성능 뛰어넘어"
-니젱 CATL 해외총괄 대표는 '넥스트 제너레이션 배터리 세미나 2023'에서 자사 배터리 사업 전략을 소개. 니젱 대표는 CATL이 축적해 온 배터리 생산 경험은 타 기업이 따라오기 힘들며 LFP가 NCM배터리 사용을 이미 앞서고 있음
-비용까지 고려했을 때 앞으로도 계속 LFP가 우세할 것이라는 입장. 또한, CATL은 생산설비를 확대하기 위해 희토류를 사용하지 않는 전략을 가지고 있음. 이에 화학 소재 혁신에 진력한다는 방침
Link: https://bit.ly/418Ol5j
● 수출 반토막이 진짜야?…갤럭시 S23 ‘미스터리’ [아이티라떼]
-정부가 3월 ICT 수출입 동향을 발표한 가운데 휴대폰 부문의 전년 동기 대비 감소 수준이 49.3%에 달했음. 갤럭시 S23 시리즈의 글로벌 판매 호조와 다른 양상
-과기부와 업계는 휴대폰 수출 반토막의 가장 큰 요인은 국내 생산 물량이 해외로 조기에 이동했기 때문. 유럽 판매 급증이 두드러졌던 전년도 기저효과와 스마트폰 시장 전반의 수요 침체도 영향을 줬다는 분석
Link: https://bit.ly/3KB9ga7
● 애플, 2026년 메타렌즈 탑재 애플글래스 출시 유력
-궈밍치 보고서에 따르면, 2026~27년 경 새로운 렌즈 기술인 '메타렌즈'가 채택된 애플글래스가 출시될 것. 메타렌즈 기술은 초소형 페이스ID용 렌즈 커버를 처음 적용하는 것을 시작으로 카메라 렌즈, AR 안경에까지 확대 적용될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24년 대량생산에 들어가 아이패드 프로의 페이스ID용 렌즈 커버로 사용될 예정이며 25년 혹은 26년에 아이폰에 채택될 것. 애플인사이더는 메타렌즈 기술이 28~30년까지 저가형 카메라나 라이다 시스템의 플라스틱 렌즈를 대체할 것이라고 예상
Link: https://bit.ly/3KVw0C7
● Handset sales remain sluggish in China(Digitimes)
-최근 TDDI에 대한 짧은 리드타임 주문 급증이 재고 보충 수요 증가를 뒷받침하나, 중국 내 전반적인 핸드셋 판매가 실망스러운 모습
-소식통에 따르면, 몇 주간 중국의 핸드셋 판매 수치에서 애플을 제외한 중국 안드로이드 폰 공급업체들은 전년 대비 역성장. 작년 이맘때가 코로나19 통제 시기인 것을 감안하면, 당시보다도 더 나쁘다는 증거. 618 쇼핑 페스티벌을 기대해볼만하나 재고 보충이 언제까지 지속될 지는 알 수 없는 상황
Link: http://bit.ly/3zUrr5I
● Apple Reportedly in Talks With Suppliers to Assemble MacBooks in Thailand(Macrumors)
-Nikkei Asia에 따르면, 애플이 공급망 탈중국화를 이어감에 따라 태국에서 맥북을 만들기 위해 공급업체들과 협의 중인 것으로 알려짐
-관련 회담에 참여한 공급업체는 이미 다른 고객을 위해 태국에 기반을 마련해놓은 상태. 한편, 애플은 이미 태국에서 1년 넘게 애플워치를 대량으로 생산하고 있음
Link: http://bit.ly/3KYtnk0
『하루를 여는 이경준 혁신IB자산운용 대표의 화(話)가 담긴 IPO Daily💌 - 20230414』
【 텔레그램 채널 주소 : https://t.me/KoreaIB 】
【 IPO상장 및 투자자문 문의 / 기사제보 ☞ 📧 ipo@kakao.com 】
===========================
《📌Today's Topic1》
IPO 시장 회복하나…2분기에도 중소형주 두각
https://www.metroseoul.co.kr/article/20230413500459
🎙 이경준 혁신IB자산운용 대표는 "2분기도 1분기와 마찬가지로 IPO 시장 회복세는 이어지겠지만 2분기에도 여전히 대어급 상장 일정이 없는 가운데 중소형주 위주로 IPO 시장이 비슷한 흐름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고 설명했다.
------------------------------------------
《📌Today's Topic2》
올해도 특례상장 '현미경 검토'…정정 비율 85%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304111014367000102530
===========================
★ 금일 일정 ★
없음.
☆ 다음주 일정 ☆
04/17~18 에스바이오메딕스 수요예측⚖️
04/17~18 마이크로투나노 청약🖨
04/18~19 토마토시스템 청약🖨
04/19~20 프로테옴텍 수요예측⚖️
04/20 마이크로투나노 납입🏧
04/21 토마토시스템 납입🏧
< 출처 : 🇰🇷이경준 혁신IB자산운용 대표의 화(話)💬 https://t.me/KoreaIB >
------------------------------------------
▣ 기관IR 일정 ▣
- 온라인 및 소규모 간담회로만 진행 -
▣ 상장 일정(예정, 변경가능) ▣
04/26 마이크로투나노(한국투자증권)
04/27 토마토시스템(교보증권)
05/03 에스바이오메딕스(미래에셋증권)
05/04 프로테옴텍(키움증권)
05/12 큐라티스(대신증권, 신영증권)
05/15 진영(하이투자증권)
미정 : 트루엔(미래에셋증권)
05/19 씨유박스(신한투자증권)
05/19 마녀공장(한국투자증권)
미정 : 모니터랩(미래에셋증권)
05/25 기가비스(삼성증권)
06/01 나라셀라(신영증권)
미정 : 틸론(키움증권)
▣ 심사 승인 ▣
- 파로스아이바이오(한국투자증권)
- 포커스미디어코리아(미래에셋증권)
- 오픈놀(하나증권)
- 시큐센(신한투자증권)
< 출처 : 🇰🇷이경준 혁신IB자산운용 대표의 화(話)💬 https://t.me/KoreaIB >
===========================
'시황 & 뉴스 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4월 18일(화) 증시캘린더 / 해외마감시황 (0) | 2023.04.18 |
---|---|
4월 17일(월) 증시캘린더 / 해외마감시황 (1) | 2023.04.17 |
4월 13일(목) 증시캘린더 / 해외마감시황 (0) | 2023.04.13 |
4월 12일(수) 증시캘린더 / 해외마감시황 (0) | 2023.04.12 |
4월 11일(화) 증시캘린더 / 해외마감시황 (0) | 2023.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