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주식 스터디를 위해 개인적으로 스크랩한 증시캘린더, 국내 및 해외마감 시황, 뉴스 자료를 공유합니다.

1) 증시캘린더는 개인적으로 관련된 소식을 확인후 작성한 일정이라 변동 또는 오류의 소지가 있습니다.

2) 노션으로 공유한 링크는 익스플로러에선 제대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크롬에 최적화, 엣지, 웨일에서도 잘 작동합니다.

    ( 공유 자료링크는 1~2일후 공유 해지 합니다.)

 

게시물은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한 것이라

불확실하거나 오류가 많을 수 있으므로 투자 활용시 유의하시기 바라며, 개별적인 종목 추천이나 상담은 하지 않습니다.

 

모쪼록 제 공간에 오신 모든 분들이 주식스터디를 통해 인생 한 방보다, 꾸준함을 믿으며...

복리의 마법으로 모든 분들이 성공한 개인투자자가 되시길...


물가 급등·FOMC 경계 하락…MS 3.2%↓ [출근전 꼭 글로벌브리핑]

[미국증시 마감시황]

 

뉴욕증시는 14일(현지시간) FOMC 테이퍼링 논의를 하루 앞두고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지면서 일제히 하락했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의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전날보다 106.77포인트(0.30%) 떨어진 3만5,544.18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은 34.88포인트(0.75%) 하락한 4,634.09, 나스닥은 175.64포인트(1.14%) 내린 1만5,237.64에 마감했다.

 

이날 주요 기술주는 오후 거래에서 하락폭을 줄였음에도 불구하고 약세를 이어갔다.

 

마이크로소프트의 주가는 전일비 3.2% 하락했고. 소프트웨어업체 어도비는 6.6% 하락했다.

 

또 도요타가 2030년까지 배터리 구동 전기차에 350억 달러를 투자할 것이라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포드의 주가는 1.9% 하락했다. 테슬라의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가 9억650만달러의 주식을 추가로 매각했다고 발표한 뒤 테슬라 주가는 0.8% 하락했다.

 

이에 마이크 윌슨 모건스탠리 최고투자책임자는 CNBC의 `하프타임 리포트`에 출연해 "대형주(Large Capital)들의 주가가 하락하기 시작했다"며 "지난 2018년에 있었던 일"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발표된 물가 지표는 연준의 급격한 매파 전환 가능성에 힘을 실어줬다.

 

미국 노동부는 11월 생산자물가지수(PPI)가 전월 대비 0.8%, 전년 대비 9.6% 급등했다고 밝혔다. 전년 대비 상승률은 노동부가 생산자물가 통계 작성을 개시한 2010년 이후 최고치였다.

 

마켓필드 애셋 매니지먼트의 마이클 야올 최고경영자(CEO)는 보고서를 통해 "오늘 아침 PPI 지표는 인플레이션 압력에 대한 과소평가가 미국 경제 전반에 퍼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줬다"고 진단했다.

 

 

 

[특징주]

 

■ 기술주

 

대형기술주들도 마이크로소프트가 3.2% 급락했고, 넷플릭스와 구글은 각각 1.0%, 1.3% 하락했다.

 

애플, 메타, 아마존은 약보합권에서 거래를 마쳤다.

 

■ 자동차주

 

테슬라의 주가는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가 9억650만 달러어치의 주식을 대량 매각했다는 소식에 이날 약보합권에서 거래를 마쳤다.

 

포드의 주가는 경쟁사 도요타가 전기자동차 판매 대수를 2030년까지 350만대로 확대하겠다는 발표를 내놓은 이후 1.8% 하락 마감했다.

 

■ 제약주

 

화이자는 먹는 코로나19 치료제가 사망률을 크게 낮춰준다는 최종 결과를 내놓았다는 소식에 0.6% 상승마감했다.

 

■ 은행주

 

골드만삭스와 JP모건체이스 같은 은행주는 금리상승 기대에 각각 1.0%, 0.7% 상승하며 강세를 보였다.

 

■ 비욘드 미트

 

대체육 기업 비욘드 미트의 주가는 투자회사 파이퍼 샌들러가 투자의견을 상향조정하면서 9.5% 상승했다.

 

■ 랄프 로렌

 

골드만삭스가 랄프로렌의 12개월 목표주가를 낮추면서 랄프로렌의 주가는 2.6% 하락 마감했다.

 

출처: <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112150012&t=NN>

 

 

 

 

 

2021년 12월 15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FOMC를 하루 앞둔 가운데 PPI가 예상을 웃돌며 주가가 내렸습니다.

 

(2) 경기 우려가 커진 가운데 필수소비재가 경기소비재를 아웃퍼폼하고 있습니다.

 

(3) 테슬라가 일부 상품의 도지코인 결제를 허용했습니다.

 

미 5년 breakeven rate 2.705%, -0.054%p (2% 상회시 유의, 2.5% 상회시 경고)

한국 고객예탁금, 64.4조원 +0.9조원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53%

1개월 NDF 환율 1,185.35원 (+2.75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미국 하락 / FOMC 악재 소멸vs시작?]

(Feat. 다시 돌아온 나스닥120일선)

 

☑️장초반 예상보다 높게 발표된 PPI로 주요지수 모두 약세로 시작후 정오까지 빅테크 중심으로 하락폭을 키워가며 나스닥기준 -2%넘게 하락, 그러나 오후들어 저가매수세가 유입되며 하락폭의 50%수준 반등하며 마감

 

☑️오늘 시장의 특이한 점은 그동안 상대적으로 강하게 버텨온 빅테크 주가가 큰폭으로 하락하고, 반대로 크게 하락했던 중소형 테크주식들은 상대적으로 선방

 

<Market>

•Omicron : 미국 신규확진자 3% 이상

-WHO : 어떤 변이보다 감염속도 빠름

-이미 전세계 퍼진 상태

-백신+마스크/거리두기 등 필요

 

•FOMC : 수요일 불확실성 소멸 기대

-테이퍼링 : 스피드업?

-금리인상 시점 : 내년3월~6월?

-금리인상 횟수 : 22년2~3회 / 23년3~4회

-인플레 : 일시적? / 지속적?

☑️인플레이션이 일시적이라는 연준의 입장은 두가지 해석이 가능합니다. 연준이 일시적으로 용인해서 일시적일 수 있고, 공급망부하로 인한 일시적현상 일수도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교과서적인 미국의 경제메커니즘상 연준이 금리를 올리면 기업/가계의 비용이 즉각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에 수요는 바로 쿨링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주택, 자동차 등 파이낸싱 기반의 수요가 핵심인 내구재성 카테고리들(CPI핵심 변수들)이 그렇습니다.

 

•11월 생산자물가(PPI) : 서프라이즈

-PPI(YoY) 9.6% / 컨센 9.2% / 10월 8.8%

-Core(YoY) 7.7% / 컨센 7.2% / 10월 7.0%

 

<Basic>

•코로나 : 신규확진자 전주대비 유사

(전영업일 95,343 / WoW +0.0%)

 

•나스닥 -1.1% / 러셀2000 -0.9%

•S&P500 -0.8% / 다우 -0.3%

-나스닥 Top10 : 상승 1 vs 하락 9

 

-비트코인 : $48,000

-미국채금리(10y) : 1.439 (+1.1%)

-WTI : $70.34 (-1.4%)

-Natural Gas : $3.779 (+1.3%)

 

SMART한 주식투자

https://t.me/frankinvest

 

 

(2021.12.15) U.S. & EU Market Closing

  • 2021.12.15  박진홍
  • U.S. Market Closing – 06:00 기준
지수 종가 등락폭 등락률 상승/하락/보합
DOW 35,544.18 -106.77 -0.3% 15/15/0
S&P500 4,634.09 -34.88 -0.7% 150/354/1
NASDAQ 15,237.64 -175.64 -1.1% 891/2402/319
RUSS 2K 2,159.92 -20.57 -0.9% 526/1450/24
PHLX 반도체지수 3,794.41 -20.02 -0.5% 8/22/0
VIX지수 21.73 1.42 7.0%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뉴욕 증시는 예정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앞두고 생산자물가가 크게 올랐다는 소식에 하락 마감. 미 노동부에 따르면, 이날 발표된 11월 생산자물가지수(PPI)는 전월 대비 0.8% 상승하였으며, 전년 동기대비 9.3% 상승. 이에 투자자들은 물가 상승으로 인한 연준(Fed)의 FOMC 회의 결과를 주시하는 모습. CNBC가 전문 애널리스트를 대상으로 조사한 바에 따르면, 연준은 자산 매입 프로그램(테이퍼링) 축소를 내년 3월까지 종료 할 것이며, 첫 금리인상은 내년 6월에 단행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발표. 반면, LPL Financial은 현재 억눌린 수요가 강력하며, 공급망 이슈 또한 해소되고 있기 때문에 고용 증가와 생산성 향상 등은 모두 22년 미국 증시 상승을 예상 할 수 있다고 언급. 이어 통화정책 또는 재정정책 변화가 증시에 조정을 야기할 수 있으나, 22년 강세장 예상에는 큰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라고 언급.

 

미국 주식 하이라이트 – 06:00 기준

* 아바노스메디컬(AVNS) $31.38 / +7.28%

외과 수술, 호흡기, 소화기 및 통증 관련 의료기술을 제공하는 아바노스메디컬은 무릎 관절염 통증 치료제 OrtogenRx 를 1억 6천만 달러에 인수할 것이라고 발표 후 상승 마감.

* MGM리조트(MGM) $41.23 / +2.21%

동사는 Mirage Hotel & Casino의 운영을 Hard Rock 기업에게 10억 7500만 달러에 매각하기로 발표 한 후 장중 3.5% 상승.  

* 제너레이션바이오(GBIO) $6.00 / -56.83%

바이오 의약품 제조 기업 제너레이션바이오는 연구중인 혈우병A(Hemophilia A) 프로그램에 대한 전임상 연구 결과를 발표한 후 급락.

* 마이크로소프트(MSFT) $328.34 / -3.26%

Keith Weiss 애널리스트는 동사의 21년 상반기 매출에서 데이터 플랫폼 솔루션이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함으로써 앞으로도 견고한 성장성 예상. 동사의 데이터 및 관련사업으로 Azure Databases, Azure Analytics, SQL Server Database 등이 있으며, 22년 마이크로소프트의 실적성장세가 컨센서스를 상회할 것이라고 언급. 이에 투자의견을 비중확대, 목표주가를 $364 유지.                                    

 

U.S. ETF Closing – 06:00 기준

Sector

분류 티커 현재가 등락률 t신호 수익률






1개월 3개월 1년
금융 XLF 38.9 0.6% 안개 -1.8% 4.9% 39.2%
필수소비재 XLP 75.2 0.1% 햇빛 3.7% 7.0% 13.7%
소재 XLB 87.7 -0.1% 햇빛 -1.2% 9.6% 23.7%
커뮤니케이션 XLC 76.1 -0.3% 안개 -5.5% -6.0% 14.2%
헬스케어 XLV 135.3 -0.4% 햇빛 1.2% 2.9% 21.6%
에너지 XLE 55.4 -0.4% 안개 -3.1% 13.6% 47.3%
자유소비재 XLY 198.6 -0.6% 안개 -4.5% 8.9% 25.0%
유틸리티 XLU 69.6 -0.6% 햇빛 3.5% 6.2% 15.3%
산업재 XLI 103.3 -1.0% 안개 -2.9% 4.3% 18.0%
부동산 VNQ 110.4 -1.3% 햇빛 0.6% 4.3% 35.1%
IT XLK 169.5 -1.6% 햇빛 0.7% 9.7% 33.3%

자료: 티레이더,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금일 섹터별 ETF로는 금융(XLF/+0.6%), 필수소비재(XLP/+0.1%)이 상승한 반면, 유틸리티(XLU/-0.6%), 부동산(VNQ/-1.3%), IT(XLK/-1.6%) 섹터는 하락 마감. 금융(XLF)섹터에서는 뱅크오브아메리카(BAC/+1.3%)와 씨티그룹(C/+0.8%)가 상승을 주도하며 상승 견인 마감. IT(XLK)섹터는 FOMC 정례회의를 앞두고 기술주들이 일제히 타격을 받으며 어도비시스템즈(ADBE/-6.6%)와 서비스나우(NOW/-4.8%)가 하락을 주도.

 

Thematic

분류 티커 현재가 등락률 t신호 수익률






1개월 3개월 1년
비트코인 BITO 30.3 2.6%
-21.6% 0.0% 0.0%
기초소재 IYM 133.7 0.1% 안개 -3.0% 8.4% 20.2%
미국 인프라 개발 PAVE 28.1 -0.8% 햇빛 -2.2% 9.4% 34.7%
주거건축 XHB 83.6 -1.3% 햇빛 -0.1% 11.5% 41.5%
클린에너지 ICLN 21.3 -3.0% 안개 -12.8% -4.8% -16.9%

자료: 티레이더,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금일 테마별 ETF로는 비트코인(BITO/+2.6%), 기초소재(IYM/+0.1%)가 상승한 반면, 미국인프라개발(PAVE/-0.8%), 주거건축(XHB/-1.3%), 클린에너지(ICLN/-3.0%) 테마는 하락 마감. 선런(RUN/-15.7%)과 선파워(SPWR/-10.8%)는 하락을 주도하며 클린에너지(ICLN) 테마 하락 견인 마감.

 

EU Market Closing – 01:30 기준

지수 종가 등락률 구분 업종 등락률
STOXX 600 469.56 -0.8% 상승 에너지 +0.7%




금융 +0.2%



하락 정보기술 -2.4%




산업재 -1.7%




건강관리 -1.4%
지수 종가 고가 저가 등락폭 등락률
獨 DAX 15,453.56 15,697.98 15,448.45 -168.16 -1.1%
英 FTSE 100 7,218.64 7,284.47 7,218.64 -12.8 -0.2%
佛 CAC 40 6,895.31 6,993.30 6,891.34 -47.6 -0.7%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유럽증시는 중앙은행 회의에 주목하며, 기술주들이 하락을 주도하며 하락 마감. 연준(Fed)의 자산 매입 프로그램은 앞당겨질 것으로 예상되며, 유럽중앙은행(ECB)과 영란은행은 금주 목요일에 2022년 통화정책 방향에 대해서 결정할 예정. UBS의 Nick Nelson 애널리스트는 오미크론으로 인한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 증가세와 중앙은행 회의를 앞두고 주식 시장은 당분간 약세를 보일 것이라고 언급. 독일 IFO연구소는 2022년 GDP 성장률 전망치를 하향 조정하였으며, 이유로는 코로나 바이러스 4차 유행 및 공급망 이슈 등으로 유럽 경제를 둔화시키고 있다고 언급. 섹터로는 에너지(+0.7%), 금융(+0.2%)이 상승한 반면, 정보기술(-2.4%), 산업재(-1.7%), 건강관리(-1.4%)섹터는 하락 마감.

 

 

출처: < https://m.myasset.com/extern/researchPortal/RP_0001000_P1.cmd?menuid=RP_0105000_P1&searchKeyGubun=1&keyword=&page=1&base_date=20211215061249&gbn=B&res_seq=176460>

 

 

 

 

 

 

 

 

『하루를 여는 혁신투자자문 IPO News Daily💌 - 20211215』

 【 텔레그램 채널 주소 : https://t.me/KoreaIB

 【 IPO상장문의 및 이경준 대표 Contact ☞ 📧 ipo@kakao.com 】

 

===========================

 

★ 금일 IPO 일정 ★

 12/15~16 래몽래인 수요예측⚖️

 

☆ 금주 남은 IPO 일정 ☆

 12/15~16 래몽래인 수요예측⚖️

 12/16 케이티비네트워크 상장★

 

 ------------------------------------------

 

▣ 기관IR 일정 ▣

 - 온라인 간담회로만 진행 中 -

 

▣ 상장 일정(예정, 변경가능) ▣

 12/16 케이티비네트워크(한국투자증권)

 12/30 래몽래인(IBK투자증권)

 2022/01/20 오토앤(미래에셋증권)

 2022/01/24 케이옥션(신영증권)

 2022/01/25 애드바이오텍(대신증권)

 2022/01/27 엘지에너지솔루션(KB증권)

 2022/02/15 현대엔지니어링(미래에셋증권, KB증권)

 

▣ 심사 승인 ▣

 - 나래나노텍(미래에셋증권)

 - 비씨엔씨(NH투자증권)

 - 이지트로닉스(NH투자증권)

 - 아셈스(한국투자증권)

 - 스코넥엔터테인먼트(신영증권)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 국내 IPO 개별종목

■ [단독] 너무 촉박했던 LG엔솔 우리사주 청약, 결국 연장했다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777766629278520&mediaCodeNo=257&OutLnkChk=Y

 

■ [포커스] 코로나 뚫고 미술품 경매시장 '후끈'...케이옥션, 3년만에 코스닥 재도전

http://www.wikileaks-kr.org/news/articleView.html?idxno=119429

 

■ 파나시아, 오너가 지분승계 과정 사익추구? 거래소 타깃 되나

https://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12101654186360105494&lcode=00&page=8&svccode=00

 

■ 오아 IPO 중단…실적 정비 시간 갖는다

https://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12091736028280107455&lcode=00&page=8&svccode=00

 

■ 현대엔지니어링, 몸값 6조 고평가 논란에도 장외가 폭주

https://newsis.com/view/?id=NISX20211214_0001686945&cID=10401&pID=10400

 

■ ‘2전3기’ 현대오일뱅크 IPO 평가지표는 '실적·구주매출·탈정유'

http://www.sisajournal-e.com/news/articleView.html?idxno=246253

 

■ LG엔솔 기업공개 순항...SK온 IPO도 속도 붙을까?

https://zdnet.co.kr/view/?no=20211214102017

 

■ 본느, 자회사 '아토세이프' 내년 코스닥 상장 추진

https://www.inews24.com/view/1432200

 

■ '데카콘' 올라선 두나무...CEO 이석우 "IPO로 주주가치 극대화"

https://www.techm.kr/news/articleView.html?idxno=92022

 

■ 보호예수 풀리는 현대중공업, 높은 공모 수익에 공매도 몰려

https://www.fnnews.com/news/202112141554010855

 

■ 드림인사이트, 스팩합병에 VC 엑시트 가시화되나

https://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12101526300200101523&lcode=00&page=1&svccode=00

 

■ 교보생명, IPO 본격 준비…분쟁 리스크 털고 내년 상반기 '대어'될까

https://cnews.pinpointnews.co.kr/view.php?ud=2021121413312590999f27410725_45

 

 

▶️▶️▷ IPOmarket(해외IPO포함)

■ LG엔솔·현대엔지니어링… 연초 ‘IPO 대어’ 출격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21121401072330316001

 

■ "LG엔솔과 공모일정 피하자"…예비 상장사들 분주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1121461421

 

■ 새해 조단위 'IPO 유통대어'…공통점은 '코로나 수혜社'

https://www.ebn.co.kr/news/view/1512040/?sc=Naver

 

■ 건설사 몸값 올려라…내년부터 IPO 본격화

https://www.ebn.co.kr/news/view/1512018/?sc=Naver

 

 

▶️▶️▷ 시장 이모저모

■ [공시 개선합시다] LG에너지솔루션 재상장신청 여부 공시엔 ‘아니오’

https://news.g-enews.com/ko-kr/news/article/news_all/202112140820032910647a96443_1/article.html?md=20211214083146_S

 

■ 계속되는 경영진 지분 매각 여파..카카오페이, 개인 실망 매물에 사흘째 급락

https://www.mk.co.kr/economy/view/2021/1135545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