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스터디를 위해 개인적으로 스크랩한 증시캘린더, 국내 및 해외마감 시황, 뉴스 자료를 공유합니다.
1) 증시캘린더는 개인적으로 관련된 소식을 확인후 작성한 일정이라 변동 또는 오류의 소지가 있습니다.
2) 노션으로 공유한 링크는 익스플로러에선 제대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크롬에 최적화, 엣지, 웨일에서도 잘 작동합니다.
( 공유 자료링크는 1~2일후 공유 해지 합니다.)
게시물은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한 것이라
불확실하거나 오류가 많을 수 있으므로 투자 활용시 유의하시기 바라며, 개별적인 종목 추천이나 상담은 하지 않습니다.
모쪼록 제 공간에 오신 모든 분들이 주식스터디를 통해 인생 한 방보다, 꾸준함을 믿으며...
복리의 마법으로 모든 분들이 성공한 개인투자자가 되시길...
뉴욕증시, 파월 25bp 인상 시사에 상승 마감…포드 8.3%↑ [출근전 꼭 글로벌브리핑]
파월 "우크라 사태는 게임체인저 될것" 신중론 펼쳐
미 장기국채금리 1.8%대로 다시 상승
유럽 상승·중국·베트남 하락
[미국증시 마감시황]
뉴욕증시가 2일(현지시간) 상승 마감했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다우지수는 전날보다 596.40포인트(1.79%) 오른 3만3891.35로 마감했다. S&P500지수는 80.25포인트(1.86%) 오른 4386.51로 장을 마쳤다. 나스닥지수는 219.56포인트(1.62%) 오른 1만3752.02로 거래를 마쳤다.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은 이날 하원 금융서비스위원회에 출석해 3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25bp의 금리 인상을 지지한다고 밝혔다.
파월 의장은 "우리는 인플레이션이 올해 정점을 찍고 하락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더 높아질 경우 더욱 공격적으로 움직일 준비가 돼 있다"고 강조했다. 또 "현재 상황에서 정책 조정을 이동시키는 과정은 연방 금리 목표 인상과 연준 대차대조표 규모를 축소하는 것 모두를 수반할 것"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우크라이나 사태는 판도를 바꿀 `게임체인저`가 될 것으로 보이며 "매우 오랫동안 우리와 함께 할 것 같다"고 진단했다. 파월은 “우리가 (금리인상을) 계속 진행해 나가겠지만, 전쟁이 경제에 대해 미칠 영향에 대해 더 알게 된다면 신중하게 할 것"이라며 신중론을 펼쳤다.
파월의 이같은 발언에 시장은 안도하는 모습을 보였다. 펀드스트랫의 톰 리는 “0.25%포인트의 금리인상은 시장에 긍정적인 요소”라며 “증시는 훨씬 더 강경한 연준을 우려해왔다”고 전했다.
한편 이날 전장에서 1.6%대까지 떨어졌었던 미 10년물 국채금리는 1.8%대로 다시 상승했다.
[특징주]
■ 기술주
이날 기술주는 오름세를 기록했다.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메타는 각각 1.82%, 2.03%, 2.25% 올랐다. 알파벳, 아마존은 강보합권에서 거래를 마쳤다.
■ 노드스트롬
의류 소매유통업체 노드스트롬의 주가는 회사의 분기 실적이 예상치를 웃돌았다는 소식에 37.82% 올랐다.
■ 석유주
셰브론과 엑손모빌은 각각 2.95%, 1.72% 상승마감했다.
■ 포드
포드 자동차가 전기차 회사로의 변신을 가속화하기 위해 전기차 사업부문과 내연기관차 사업부문을 분사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이날 주가가 8.38% 뛰었다.
■ 스노우플레이크
클라우드 업체 스노우플레이크는 정규 거래서 강보합권에서 거래를 마쳤으나, 장 마감 뒤 공개한 분기실적이 저조한 것으로 알려지자 시간외 거래에서 30% 가까이 폭락했다.
[유럽증시 마감시황]
유럽증시는 이날 상승했다.
영국 런던 증시의 FTSE 100 지수는 1.36% 오른 7429.56에 마감했다. 독일 프랑크푸르트 증시의 DAX 지수는 0.69%, 프랑스 파리 증시의 CAC40 지수는 1.59% 각각 올랐다.
범유럽 지수인 유로 Stoxx 50지수는 전날보다 1.5% 반등한 3,822.21로 거래를 종료했다.
[중국증시 마감시황]
중국증시는 이날 하락 마감했다.
상해종합지수는 전일대비 0.13% 내린 3,484.19포인트에 마쳤고, 선전성분지수는 1.05%, 기술주 중심의 창업판 지수는 1.77% 떨어졌다.
이날 하락세는 미국이 러시아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면서 투자 심리가 악화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한편 이날 인민은행은 7일물 역환매조건부채권(역RP)을 100억 위안어치 매입했다.
[베트남증시 마감시황]
베트남증시는 이날 하락 마감했다.
VN지수는 전날에 비해 13.26p, 0.88% 하락한 1,485.52p를 기록했다. 베트남증시 시가총액 상위30대 종목 바스켓 VN30지수는 21.52p(1.42%) 급락한 1,498.61p로 마감했고 7개 종목 상승, 20개 종목이 하락했다. 중소형주 위주의 하노이증권거래소(HNX)는 1.31p 하락한 442.25p를, 비상장기업 시장의 UPCoM지수도 0.57p 소폭 내린 111.80p를 기록하며 이날 장을 마쳤다.
비엣스톡(Vietstock)은 “국제 유가의 급등으로 에너지 관련주들이 이날 시장의 전반적인 약세장을 일부 상승 견인하는데 기여했다"며 "반면 금융주와 부동산주등의 매도세는 투자심리를 더욱 관망세을 유지하게 했다”고 진단했다.
산업별로 살펴보면 은행업 -2.47%, 증권업 -2.03%, 보험업 -0.99%, 건설·부동산업 -0.20%, 정보통신(ICT)업 -0.34%, 도매업 -0.04%, 소매업 -1.21%, 기계류 -0.04%, 물류업 0.70%, 보건·의료업 0.96%, F&B업 0.29%, 채굴·석유업 4.04%를 각각 기록했다.
외국인 투자자들은 1조1천7백억동 순매도로 하루만에 전환됐다.
[국제유가]
국제유가는 이날 상승했다. 미국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3월물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전장보다 배럴당 7.94달러(7.68%) 오른 111.35달러를 기록했다.
[금]
금값은 하락했다.
이날 뉴욕상품거래소(COMEX)에서 4월물 금 선물 가격은 전 거래일 대비 21.50달러(1.1%) 하락한 온스당 1,922.30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출처: <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203030004&t=NN>
2022년 3월 3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Fed 의장이 3월 FOMC 25bp 인상을 시사하며 주가가 반등했습니다.
(2) 유럽 가스를 시작으로 원유, 밀 등 러시아와 관련된 원자재가 급등했습니다.
(3) 중국이 제로 코로나 정책 중단을 모색하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360%p (-0.041%p)
한국 고객예탁금, 63.4조원 -1.5조원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62%
1개월 NDF 환율 1,204.11원 (-1.89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파월 + 전쟁 / 점점 감소하는 불확실성]
<파월 : 하원 금융위원회 청문>
(Feat. 상당히 완화된 톤 / Dovish)
•3월 25bp인상 지지
•금리인상 시작후 연준 자산매각 천천히
•암호화폐에 대한 의회차원의 조치가 필요
•전쟁이 경제에 어떤 영향줄지 지금은 알 수 없으나, 연준은 민첩하게 대응 필요(based on Data)
•전쟁은 경제, 연준정책 등의 게임체인저
•러시아 제재의 파급효과 예측불가
<시장 불확실성 : 연준 + 전쟁>
☑️1~2월이 걸쳐 진행된 증시의 조정은 연준의 출구전략 강도에 대한 불확실성과 이어진 전쟁 불확실성이 원인
☑️아이러니하지만 전쟁으로 연준의 출구전략 강도는 상당히 완화될 가능성, 또한 3월/4월 CPI부터는 역기저효과로 YoY상승폭은 제한적일 가능성이 높으며, 시장은 인플레 피크아웃으로 받아들 일 가능성
☑️결국 전쟁 불확실성의 소멸(점령 or 타협 or 격퇴)이 가시화되는 시점부터 시장의 본격 반등 기대
☑️본격적인 With 코로나 era진입하며 추가적인 경제(기업실적) 성장 기대감 유효
•현재 가장 큰 불확실성은 전쟁
-언제 끝날지?
-러시아 제재의 경제 파급효과는?
-원자재(Oil&Gas) 상승 언제까지?
•역기저효과로 3~4월 부터 Core CPI YoY상승폭은 피크아웃 시작할 가능성이 높음
-Oil&Gas가격(CPI)은 전쟁 영향 예측불가
•CPI(YoY) 추이
SMART한 주식투자
(2022.03.03) U.S. & EU Market Closing
- 2022.03.03 진상우
U.S. Market Closing – 06:00 기준
지수 | 종가 | 등락폭 | 등락률 | 상승/하락/보합 |
DOW | 33,891.35 | 596.40 | 1.8% | 29/1/0 |
S&P500 | 4,386.54 | 80.28 | 1.9% | 466/39/0 |
NASDAQ | 13,752.02 | 219.56 | 1.6% | 2338/1068/319 |
RUSS 2K | 2,058.87 | 50.37 | 2.5% | 1620/376/24 |
PHLX 반도체지수 | 3,416.16 | 111.31 | 3.4% | 29/1/0 |
VIX지수 | 30.74 | -2.58 | -7.7% |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 티레이더에서 나스닥•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실시간 제공
미국 증시는 파월 연준(FED) 의장 발언에 주목하며 강세로 마감. S&P500지수는 1.9% 상승한 4,386선에서 거래를 마쳤고, 다우지수는 1.8% 상승해 33,891.35에 마감. 나스닥 지수는 1.6% 오른 13,752.02에 마감.
시장에서는 이날 미국 하원 금융위원회에 출석한 제롬 파월 연준(FED) 의장 발언에 주목. 파월 의장은 3월 금리 인상이 필요하다고 언급하면서도 조심스럽게 진행할 것이라고 발언. 파월 의장은 이달 예정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25bp 인상하는 것을 지지하며 인플레이션이 강할 경우 기준금리는 어떤 회의에서도 50bp 인상할 수 있음을 시사. 한편,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략하면서 국제유가가 배럴당 100달러를 돌파했음에도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러시아 등 비OPEC 산유국 협의체인 OPEC+가 하루 40만 배럴의 원유 증산 규모를 유지. 이날 발표된 주요 경제지표로는 미국의 2월 ADP 민간부문 고용이 47만5천 명으로 집계돼 월가의 예상치를 웃도는 수준을 기록. 한편, 유럽연합은 러시아 은행 7곳에 대한 국제은행간통신협회(SWIFT0 퇴출 제재를 단행하는 등 러시아•우크라이나 리스크가 지속. 시장에서는 이날 예정된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2차회담에 주목하고 있는 모습.
미국주식 하이라이트 – 06:00 기준
* 세일스포스닷컴(CRM) $210.39/+0.72%
– Wedbush의 Dan Ives 애널리스트는 세일스포스닷컴의 성장 펀더멘털이 견고하다고 언급. 세일스포스가 클라우드 소프트웨어 시장에서 확고한 입지를 다지고 있으며, 향후 수 년간 견고한 이익률을 누릴 것으로 예상
* 콜스(KSS) $58.99/+3.86%
– Baird의 Mark Altschwager 애널리스트는 인수 제안 등이 콜스 주가 하방을 제한하고 있어, 투자매력이 있다고 언급. 콜스에 대한 목표주가를 하향 조정하지만, 현재 콜스 주가가 매우 매력적인 수준에 있다는 점은 분명하다고 발언.
U.S. ETF Closing – 06:00 기준
Sector
분류 | 티커 | 현재가 | 등락률 | t신호 | 수익률 | ||
1개월 | 3개월 | 1년 | |||||
금융 | XLF | 38.1 | 2.6% | 안개 | -3.4% | -2.7% | 14.5% |
에너지 | XLE | 72.9 | 2.3% | 햇빛 | 7.5% | 29.0% | 46.4% |
소재 | XLB | 83.3 | 2.2% | 안개 | -1.5% | -4.8% | 10.4% |
IT | XLK | 154.3 | 2.2% | 안개 | -3.0% | -10.4% | 19.5% |
산업재 | XLI | 100.5 | 2.1% | 안개 | -0.7% | -3.9% | 8.3% |
자유소비재 | XLY | 178.4 | 2.1% | 안개 | -0.5% | -13.5% | 10.1% |
부동산 | VNQ | 103.9 | 1.9% | 안개 | -2.0% | -5.7% | 21.2% |
헬스케어 | XLV | 131.2 | 1.5% | 햇빛 | -1.2% | -0.8% | 17.4% |
유틸리티 | XLU | 68.2 | 1.2% | 햇빛 | -1.3% | -0.3% | 14.6% |
필수소비재 | XLP | 75.3 | 1.1% | 안개 | -2.0% | 3.8% | 18.8% |
커뮤니케이션 | XLC | 68.2 | 0.9% | 안개 | -4.0% | -10.9% | -6.2% |
자료: 티레이더,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금일 섹터별 ETF에서는 금융(XLF/+2.6%), 에너지(XLE/+2.3%), IT(XLK/+2.2%) ETF가 상승. 국제유가가 약 8년 만에 최고가를 기록한 가운데, 원유 관련주가 일제히 강세를 보이며 에너지(XLE) ETF가 상승. 원유 관련주의 강세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장기화하면서 국제유가가 급등한 영향으로 풀이. 서방의 러시아에 대한 제재로 원유 수급 차질에 대한 우려가 증폭. 미국 석유서비스 기업 베이커휴즈(BKR)가 7.3% 상승, 석유기업 옥시덴털 페트롤리엄(OXY)가 3.4% 상승. IT(XLK) ETF에서는 2주전 실적호조와 함께 발표했던 수익과 매출 전망을 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한 불확실성으로 철회한다고 밝히며 폭락했던 소프트웨어 기업 이펨 시스템스(EPAM)가 저가 매수세에 16.1% 상승, 미국 기업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기업 휴렛 팩커드 엔터프라이즈(HPE)가 시장 예상치를 웃도는 실적을 발표할 것이라는 전망과 함께 10.3% 상승.
Thematic
분류 | 티커 | 현재가 | 등락률 | t신호 | 수익률 | ||
1개월 | 3개월 | 1년 | |||||
은행 | KRE | 73.4 | 4.5% | 안개 | 1.8% | 3.5% | 10.8% |
반도체 | SOXX | 471.9 | 3.3% | 안개 | -0.4% | -14.1% | 19.3% |
주거건축 | XHB | 71.2 | 2.9% | 안개 | -2.6% | -16.5% | 11.3% |
기술혁신 | ARKK | 67.6 | -1.1% | 안개 | -2.1% | -32.0% | -44.0% |
클린에너지 | ICLN | 20.2 | -1.5% | 햇빛 | 11.2% | -11.4% | -15.3% |
자료: 티레이더,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금일 테마 ETF에서는 은행(KRE/+4.5%), 반도체(SOXX/+3.3%), 주거건축(XHB/+2.9%) ETF가 강세로 마감. 반도체(SOXX) ETF에서는 미국 반도체기업 마블테크놀러지그룹(MRVL)이 실적발표를 앞두고 실적 호조에 대한 기대감에 4.2% 올랐고, 투자기업 스레드니들(Threadneedle) 인베스트먼츠가 이날 3만주 가량 추가 매수한 반도체 기업 퀄컴(QCOM)이 3.8% 상승. 주거건축(XHB) ETF에서는 미국 건축 자제 제조업체 빌더스퍼스트소스(BLDR)이 컨센서스를 웃도는 실적 발표에 5.8% 상승, 미국 주택 건설 회사 테일러모리슨홈(TMHC)이 8.8% 오르며 주거건축(XHB) ETF 상승을 주도.
EU Market Closing – 04:00 기준
지수 | 종가 | 등락률 | 구분 | 업종 | 등락률 |
STOXX 600 | 446.33 | 0.9% | 상승 | 에너지 | +5.5% |
산업재 | +1.5% | ||||
커뮤니케이션 | +1.3% | ||||
하락 | 유틸리티 | -1.7% | |||
필수소비재 | -0.6% | ||||
지수 | 종가 | 고가 | 저가 | 등락폭 | 등락률 |
獨 DAX | 14,000.11 | 14,114.79 | 13,707.86 | 95.26 | 0.7% |
英 FTSE 100 | 7,429.56 | 7,462.22 | 7,320.77 | 99.36 | 1.4% |
佛 CAC 40 | 6,498.02 | 6,544.15 | 6,312.30 | 101.53 | 1.6% |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유럽증시는 저가 매수세와 에너지주 강세에 상승 마감 / 우크라이나 사태의 영향으로 급격한 하락에 대한 저가 매수세가 이어지며 급락세를 만회하며 사흘만에 증시가 소폭 반등한 모습 / 유로존의 2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대비 5.8% 상승하며 유로존 통계가 시작된 1997년 이후 역대 최고치를 기록 / 증시 전문가들은 높은 에너지 가격의 영향으로 물가가 급등한 것으로 분석하며 한동안 가파른 상승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
[한화투자증권 김성수 - 채권로부터 전달받음]
Jerome Powell 연준 의장(중립, 당연직)
1. 인플레이션은 2%를 훨씬 웃돌고 고용시장은 굉장히 타이트(extremely tight). 금번 FOMC에서 기준금리 인상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예상
2. 현 상황에서 정책 정상화는 기준금리 인상과 함께 대차대조표 축소도 수반될 것
3. 강력한 고용시장 유지 위해서는 장기적인 경기 팽창 촉진 필요. 이는 물가 안정 하에 달성 가능
4. QT는 재투자 중단 등 예측이 가능한 방법으로 진행될 것
5. 우크라이나 사태가 미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불확실하지만 모니터링 중
6. 오미크론으로 인한 경기 둔화는 일시적
Charles Evans 시카고 연은 총재(비둘기파, 2023년 투표권)
1. 우크라이나 사태는 아직 미국에 뚜렷한 여파(obvious spillovers)를 남기지 않고 있음
2. 인플레이션이 극도로 높기 때문에 통화정책으로 해결해야 함
3. 3월 기준금리 인상 지지하며 추후 추가 인상도 필요. 통화정책은 신속하게 중립 금리를 향해 나아갈 것
4. 연말까지 물가는 3%대 유지 전망. 2023, 2024년 각각 2.50%, 2.00% 수준으로 완화될 것. 물가는 개선될 것
『하루를 여는 혁신투자자문 IPO Daily💌 - 20220303』
【 텔레그램 채널 주소 : https://t.me/KoreaIB 】
【 IPO상장문의 ☞ 📧 ipo@kakao.com 】
===========================
★ 금일 IPO 일정 ★
03/03 노을 상장★
03/03 비씨엔씨 상장★
03/03 모아데이타 납입🏧
☆ 다음주 IPO 일정 ☆
03/07~08 공구우먼 수요예측⚖️
03/07~08 유일로보틱스 청약🖨
03/10 모아데이타 상장★
03/10~11 세아메카닉스 수요예측⚖️
03/11 유일로보틱스 납입🏧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 기관IR 일정 ▣
- 온라인 간담회로만 진행 -
▣ 상장 일정(예정, 변경가능) ▣
03/03 노을(한국투자증권, 삼성증권)
03/03 비씨엔씨(NH투자증권)
03/10 모아데이타(하나금융투자)
03/18 유일로보틱스(한국투자증권)
03/24 공구우먼(미래에셋증권)
03/24 세아메카닉스(신한금융투자)
03/31 보로노이(한국투자증권, 미래에셋증권)
04/01 지투파워(한국투자증권)
▣ 심사 승인 ▣
- 태림페이퍼(신한금융투자,하나금융투자)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시황 & 뉴스 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3월 7일(월) 증시캘린더 / 해외마감시황 (1) | 2022.03.07 |
---|---|
3월 4일(금) 증시캘린더 / 해외마감시황 (0) | 2022.03.04 |
3월 1일(화) ~ 3월 2일(수) 증시캘린더 / 해외마감시황 (0) | 2022.03.02 |
2월 28일(월) 증시캘린더 / 해외마감시황 (0) | 2022.02.28 |
2월 25일(금) 증시캘린더 / 해외마감시황 (0) | 2022.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