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스터디를 위해 개인적으로 스크랩한 증시캘린더, 국내 및 해외마감 시황, 뉴스 자료를 공유합니다.
1) 증시캘린더는 개인적으로 관련된 소식을 확인후 작성한 일정이라 변동 또는 오류의 소지가 있습니다.
2) 노션으로 공유한 링크는 익스플로러에선 제대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크롬에 최적화, 엣지, 웨일에서도 잘 작동합니다.
( 공유 자료링크는 1~2일후 공유 해지 합니다.)
게시물은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한 것이라
불확실하거나 오류가 많을 수 있으므로 투자 활용시 유의하시기 바라며, 개별적인 종목 추천이나 상담은 하지 않습니다.
모쪼록 제 공간에 오신 모든 분들이 주식스터디를 통해 인생 한 방보다, 꾸준함을 믿으며...
복리의 마법으로 모든 분들이 성공한 개인투자자가 되시길...
연준 `인플레 우려` 발언에 3대지수 하락…에너지주 강세 [출근전 꼭 글로벌브리핑]
클리블랜드 연준 총재 "연준, 금리 상당히 빨리 인상해야 할 수도"
美국채 가격 혼조세
유럽·중국 하락·베트남 상승
[글로벌시장 지표 / 3월 4일 오전 6시 현재]
[미국증시 마감시황]
뉴욕증시는 3일(현지시간) 하락 마감했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96.69포인트(0.29%) 하락한 33,794.66에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23.05포인트(0.53%) 내린 4,363.49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214.07포인트(1.56%) 하락한 13,537.94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도 시장은 연방준비제도의 긴축 행보와 러-우크라 사태에 주목했다.
먼저 우크라이나는 러시아와 또 다른 협상을 벌였다. 양측은 전투가 벌어지는 지역에 식량과 의약품을 전달하기 위한 인도주의 통로를 제공하기로 합의했다. 민간인 대피가 이뤄지는 동안에는 일시 휴전도 가능하다. 다만, 민간인 부문에서만 일부 진전이 있었을 뿐이라는 한계가 있었다.
연준의 엇갈린 발언도 시장에 불안감을 줬다.
전날에 이어 이날도 파월 의장은 전날 하원에 이어 이날 상원에 출석해 3월에 0.25%포인트의 금리인상을 하겠다는 발언을 유지했다.
다만 로레타 메스터 클리블랜드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CNBC에 인플레이션이 곧 완화되지 않으면 연준이 금리를 상당히 빨리 인상해야 할 수도 있다고 말한 후 시장에 불확실성은 증폭됐다. 그는 연방기금 금리가 중립금리(Neutral rate)보다 높아야 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이날 미국 국채 가격은 혼조세를 보였다. 10년물 미 국채 금리는 1.6bp 하락한 1.8490%를 기록했다.
이같이 연준의 긴축행보와 지정학적 리스크가 맞물린 상황에서도 일각에선 미국 경제가 탄탄해 위기가 종료되면 주가가 오름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했다.
웰스파고 인베스트먼트의 스콧 렌 선임 글로벌 시장 전략가는 CNBC에 "우크라이나 현장 상황이 매우 유동적"이라며 "우리는 시장의 궁극적인 바닥이 어디인지 알지 못하지만, 미국 경제는 올해 평균을 웃도는 성장세를 계속할 것으로 믿고 있다"고 말했다.
[특징주]
■ 기술주
이날 기술주는 반락했다. 애플 0.2%, 마이크로소프트 1.42%, 아마존 2.73% 등 일제히 하락했다. 반도체주들도 마이크론 4.42%, 엔비디아 2.09% 하락하며 전날의 상승세를 반납했다. 인텔은 모건스탠리가 중립에서 매도로 등급을 강등한 여파로 1.92% 하락했다.
■ 소프트웨어주
옥타, 스노우플레이크가 각각 8.06%, 15.4% 폭락했다.
■ 에너지주
유가 급등세 속 에너지주는 상승했다. 엑손모빌은 강보합권에서 거래를 마쳤고 셰브론은 1.35% 뛰었다.
■ 베스트 바이
전자제품 소매업체 베스트바이는 베스트 바이 주가는 장기 전망 호조에 주가가 9.22% 급등했다.
■ 크로거
식료품 소매업체 크로거는 시장 예상치를 뛰어넘는 실적 공개 후 주가가 11.61% 올랐다.
[유럽증시 마감시황]
유럽증시는 이날 하락마감했다. 범유럽지수인 STOXX 600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8.97포인트(2.01%) 하락한 437.36에 거래를 마쳤다.
독일 프랑크푸르트 증시의 DAX지수는 301.71포인트(2.16%) 내린 1만3698.40에, 프랑스 파리 증시의 CAC40지수는 119.65포인트(1.84%) 하락한 6378.37에, 영국 런던 증시의 FTSE100지수는 190.71포인트(2.57%) 급락한 7238.85에 각각 장을 마감했다.
[중국증시 마감시황]
중국증시는 이날 일제히 하락했다.
상해종합지수는 전일대비 0.09% 내린 3,481.11포인트에 마쳤고, 선전성분지수는 1.09%, 기술주 중심의 창업판 지수는 1.51% 떨어졌다. 이날 하락세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리스크 회피를 위한 매도세가 출회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이날 후강퉁·선강퉁을 통해 중국 본토 증시에서 7억 3,100만 위안 규모의 외국인 자금이 빠져나갔다.
[베트남증시 마감시황]
베트남 증시가 이날 상승 마감했다.
VN지수는 전날에 비해 19.48p, 1.31% 급등한 1,505.00p를 기록하고 2주 만에 최대 상승하고 장을 마쳤다.
베트남증시 시가총액 상위30대 종목 바스켓 VN30지수는 23.88p(1.59%) 급등한 1,522.49p로 마감했고 24개 종목 상승, 5개 종목이 하락했다.
중소형주 위주의 하노이증권거래소(HNX)는 7.06p 상승한 449.31p를, 비상장기업 시장의 UPCoM지수도 1.39p 오른 113.19p를 기록하며 이날 장을 마쳤다.
산업별로 살펴보면 은행업 1.24%, 증권업 1.27%, 보험업 0.33%, 건설·부동산업 0.84%, 정보통신(ICT)업 0.60%, 도매업 1.72%, 소매업 1.39%, 기계류 1.20%, 물류업 1.47%, 보건·의료업 0.27%, F&B업 0.52%, 채굴·석유업 1.40%를 각각 기록했다.
외국인 투자자들은 5천390억동 순매수로 하루만에 전환됐다.
[국제유가]
국제유가는 하락했다. 뉴욕상업거래소에서 4월 인도분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전날보다 2.6% 떨어진 107.67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금]
국제금값은 상승했다.
이날 뉴욕상품거래소(COMEX)에서 4월 인도분 금 선물 가격은 온스당 17.70달러(0.92%) 오른 1,940.00달러에 마감했다.
출처: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203040004&t=NN>
2022년 3월 4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우크라-러시아 2차 회담이 소득 없이 끝났습니다.
(2)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가 코로나 이후 최저인 0.319%p까지 하락했습니다.
(3) 키옥시아가 플래시 메모리 오염 문제를 해결했다고 밝혔습니다.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319%p (-0.042%p)
한국 고객예탁금, 64.3조원 +0.9조원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45%
1개월 NDF 환율 1,208.59원 (+3.94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2022.03.04) U.S. & EU Market Closing
- 2022.03.04 진상우
U.S. Market Closing – 06:00 기준
지수 | 종가 | 등락폭 | 등락률 | 상승/하락/보합 |
DOW | 33,794.66 | -96.69 | -0.3% | 15/15/0 |
S&P500 | 4,363.49 | -23.05 | -0.5% | 249/255/1 |
NASDAQ | 13,537.94 | -214.08 | -1.6% | 1059/2379/291 |
RUSS 2K | 2,032.41 | -26.46 | -1.3% | 617/1378/24 |
PHLX 반도체지수 | 3,339.76 | -76.40 | -2.2% | 2/28/0 |
VIX지수 | 30.48 | -0.26 | -0.8% |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 티레이더에서 나스닥•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실시간 제공
미국 증시는 제롬 파월 연준(FED) 의장의 발언과 러시아•우크라이나 교전에 주목하며 약세로 마감. S&P500지수는 0.5% 하락한 4,363선에서 거래를 마쳤고, 다우지수는 0.3% 하락해 33,794.66에 마감. 나스닥 지수는 1.6% 내린 13,537.94에 마감. 시장에서는 제롬 파월 의장의 의회 증언,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교전에 따른 유가 폭등 등에 주목하고 있는 모습. 파월 의장은 하원 금융서비스 위원회에 출석해 3월 예정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연방기금금리를 25bp 인상하는 것을 지지한다고 언급하며 시장의 불확실성이 일부 해소.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교전이 지속하는 가운데 양측은 2차 회담을 시작했지만, 타협점을 찾을 수 있을지는 불확실한 상황. 이날 발표된 주요 경제지표로는 미국의 2월 서비스 구매관리자지수(PMI) 확정치가 56.5로 최종 집계돼 전월치인 51.2에 비해 개선된 수준을 기록. 정보제공업체 IHS마킷은 미국내 오미크론 변이 확산세가 진정되면서 경기가 개선됐다고 설명. 미국의 주간 실업보험 청구자 수는 전주보다 1만8천 명 감소한 21만5천 명을 기록.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교전이 지속하는 가운데 이번 달부터 미국 연준(FED)의 금리인상 사이클을 시작으로 양적긴축이 예정돼 있어 시장의 높은 변동성이 지속할 것으로 예상.
미국주식 하이라이트 – 06:00 기준
* 셰브론(CVX) $156.22/+1.35%
–트루이스트파이낸셜은 우수한 잉여현금흐름과 이를 바탕으로 한 주주환원 확대 의지에 주목. 다만 동종기업 대비 잉여현금흐름 창출능력이 떨어지는 점 등은 부정적으로 언급.
* 웨스턴 디지털(WDC) $52.02/+0.35%
–스티펄은 일본 설비에서의 NAND 플래시 메모리 오염 문제로 재고가 타격을 입은 점을 반영하여 목표주가를 83달러에서 80달러로 하향 조정. 투자의견은 매수로 유지.
U.S. ETF Closing – 06:00 기준
Sector
분류 | 티커 | 현재가 | 등락률 | t신호 | 수익률 | ||
1개월 | 3개월 | 1년 | |||||
유틸리티 | XLU | 69.4 | 1.8% | 햇빛 | 1.3% | 1.5% | 15.8% |
부동산 | VNQ | 104.8 | 0.8% | 햇빛 | -0.2% | -5.6% | 21.0% |
필수소비재 | XLP | 75.8 | 0.8% | 안개 | -0.1% | 4.9% | 18.2% |
헬스케어 | XLV | 131.8 | 0.5% | 햇빛 | -0.3% | -1.1% | 17.7% |
에너지 | XLE | 73.1 | 0.3% | 햇빛 | 6.1% | 29.4% | 43.2% |
산업재 | XLI | 100.7 | 0.2% | 햇빛 | 0.6% | -4.0% | 6.9% |
소재 | XLB | 83.4 | 0.1% | 안개 | 0.3% | -5.1% | 8.7% |
금융 | XLF | 38.0 | -0.2% | 안개 | -5.3% | -2.4% | 11.9% |
커뮤니케이션 | XLC | 67.5 | -1.0% | 안개 | -5.2% | -12.5% | -7.6% |
IT | XLK | 152.4 | -1.2% | 안개 | -4.5% | -11.9% | 18.5% |
자유소비재 | XLY | 174.4 | -2.3% | 안개 | -5.4% | -15.7% | 7.1% |
자료: 티레이더,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금일 섹터별 ETF에서는 부동산(VNQ/+0.8%), 필수소비재(XLP/+0.8%), 헬스케어(XLV/+0.5%) ETF가 상승. 필수소비재(XLP) ETF에서는 미국 종합유통체인인 크로거(KR)가 시장예상치를 웃도는 실적 발표에 11.6% 상승, 주류기업 브라운포맨(BF.A)가 실적 발표를 앞두고 6.3% 오르며 필수소비재(XLP) ETF 상승을 주도. 헬스케어(XLV) ETF에서는 미국 제약기업 일라이릴리(LLY)가 파트너사 인사이트(Incyte)와 공동개발한 관절염 치료제가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에 의한 사망률을 급격하게 낮춘다는 영국 연구자료에 1.8% 상승, 미국 제약사 바이오젠(BIIB)에 대한 캐나다 RBC은행의 투자의견 상향조정에 1.7% 상승.
Thematic
분류 | 티커 | 현재가 | 등락률 | t신호 | 수익률 | ||
1개월 | 3개월 | 1년 | |||||
기초소재 | IYM | 139.5 | 0.7% | 햇빛 | 5.9% | 3.0% | 14.3% |
미국 인프라 개발 | PAVE | 27.3 | 0.6% | 햇빛 | 4.6% | -4.5% | 12.6% |
수송 | IYT | 259.4 | -0.3% | 안개 | -0.5% | -4.1% | 6.8% |
IPO | IPO | 42.5 | -6.1% | 안개 | -7.9% | -30.0% | -32.5% |
기술혁신 | ARKK | 63.3 | -6.4% | 안개 | -13.0% | -38.2% | -47.4% |
자료: 티레이더,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금일 테마 ETF에서는 기초소재(IYM/+0.7%), 미국인프라개발(PAVE/+0.6%) ETF가 상승한 반면, 수송(IYT/-0.3%) ETF가 소폭 하락. 미국인프라개발(PAVE) ETF에서는 미국 최대 알루미늄 기업 센추리 알루미늄(CENX)이 알루미늄 가격 급등과 미국 금융기업 B.라일리증권의 투자의견 상향에 5.4% 상승, 미국 철강업체 클리블랜드 클리프스(CLF)가 7.6% 오르며 미국인프라개발(PAVE) ETF 상승을 견인. 수송(IYT) ETF에서는 트럭 제조기업 마텐 트랜스포트(MRTN)이 배당금 인상을 발표하며 1.6% 상승한 반면, 중국 자율주행 트럭기업 투심플(TSP)의 최고경영자(CEO) 교체 이슈가 악재로 작용하며 21.9% 하락.
EU Market Closing – 04:00 기준
지수 | 종가 | 등락률 | 구분 | 업종 | 등락률 |
STOXX 600 | 437.36 | -2.0% | 상승 | ||
하락 | 에너지 | -4.0% | |||
자유소비재 | -3.6% | ||||
유틸리티 | -3.4% | ||||
지수 | 종가 | 고가 | 저가 | 등락폭 | 등락률 |
獨 DAX | 13,698.40 | 14,057.15 | 13,669.10 | -301.71 | -2.2% |
英 FTSE 100 | 7,238.85 | 7,468.83 | 7,231.51 | -190.71 | -2.6% |
佛 CAC 40 | 6,378.37 | 6,543.77 | 6,361.60 | -119.65 | -1.8% |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유럽증시는 우크라이나 사태에 주목하며 약세로 마감 / 이날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2차 회담이 시작됐으나 군사작전은 지속하며 증시 하락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 / 원자재 가격 급등으로 유로화는 약 2년만에 최저치로 하락, 영국 파운드는 6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 / 한편, 이날 발표된 유럽중앙은행(ECB) 회의 의사록에 따르면 지난 12월과 비교해 인플레이션 전망에 상방 위험이 단기적으로 증가했으며 우크라이나 전쟁이 인플레이션을 더욱 부추길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
『하루를 여는 혁신투자자문 IPO Daily💌 - 20220304』
【 텔레그램 채널 주소 : https://t.me/KoreaIB 】
【 IPO상장문의 ☞ 📧 ipo@kakao.com 】
===========================
★ 금일 IPO 일정 ★
- 없음 -
☆ 다음주 IPO 일정 ☆
03/07~08 공구우먼 수요예측⚖️
03/07~08 유일로보틱스 청약🖨
03/10 모아데이타 상장★
03/10~11 세아메카닉스 수요예측⚖️
03/11 유일로보틱스 납입🏧
< 내가 보고 있는 줄도 모르고 아직도 열심히 출처 다 지우고 퍼다 나르네,
당신의 인생도 언젠간 도용 당하길! >
------------------------------------------
▣ 기관IR 일정 ▣
- 온라인 간담회로만 진행 -
▣ 상장 일정(예정, 변경가능) ▣
03/10 모아데이타(하나금융투자)
03/18 유일로보틱스(한국투자증권)
03/24 공구우먼(미래에셋증권)
03/24 세아메카닉스(신한금융투자)
03/31 보로노이(한국투자증권, 미래에셋증권)
04/01 지투파워(한국투자증권)
▣ 심사 승인 ▣
- 태림페이퍼(신한금융투자,하나금융투자)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시황 & 뉴스 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3월 8일(화) 증시캘린더 / 해외마감시황 (0) | 2022.03.08 |
---|---|
3월 7일(월) 증시캘린더 / 해외마감시황 (1) | 2022.03.07 |
3월 3일(목) 증시캘린더 / 해외마감시황 (0) | 2022.03.03 |
3월 1일(화) ~ 3월 2일(수) 증시캘린더 / 해외마감시황 (0) | 2022.03.02 |
2월 28일(월) 증시캘린더 / 해외마감시황 (0) | 2022.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