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스터디를 위해 개인적으로 스크랩한 증시캘린더, 국내 및 해외마감 시황, 뉴스 자료를 공유합니다.
1) 증시캘린더는 개인적으로 관련된 소식을 확인후 작성한 일정이라 변동 또는 오류의 소지가 있습니다.
2) 노션으로 공유한 링크는 익스플로러에선 제대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크롬에 최적화, 엣지, 웨일에서도 잘 작동합니다.
( 공유 자료링크는 1~2일후 공유 해지 합니다.)
게시물은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한 것이라
불확실하거나 오류가 많을 수 있으므로 투자 활용시 유의하시기 바라며, 개별적인 종목 추천이나 상담은 하지 않습니다.
모쪼록 제 공간에 오신 모든 분들이 주식스터디를 통해 인생 한 방보다, 꾸준함을 믿으며...
복리의 마법으로 모든 분들이 성공한 개인투자자가 되시길...
뉴욕증시, 기술주 강세에 사흘째 상승…트위터↑·인텔↓ [출근전 꼭 글로벌브리핑]
미 주간 실업보험청구 41만9천명…예상 상회
블룸버그 "中 당국, 디디추싱에 전례없는 징계 예정"
유럽 대부분 상승, 중국 혼조·베트남 상승
출처: <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107230013&t=NN>
2021년 7월 23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트위터와 스냅이 예상을 웃도는 가이던스를 제시하며 빅테크가 시간외서 상승중입니다.
(2) 중국 정부가 전례없는 처벌을 예고한 DiDi가 11% 빠졌습니다.
(3) 글로벌 자동차업계가 반도체 부족이 해소되면 배터리 부족에 직면할 것으로 예상됐습니다.
미 5년 breakeven rate 2.504%, +0.010%p (2% 상회시 유의, 2.5% 상회시 경고)
한국 고객예탁금, 67.9조원 +0.2조원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14%
1개월 NDF 환율 1,150.00원 (-1.00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2021.07.23) U.S. & EU Market Closing
2021.07.23 허단
U.S. Market Closing – 05:00 기준
지수 | 종가 | 등락폭 | 등락률 | 상승/하락/보합 |
DOW | 34,823.35 | 25.35 | 0.1% | 14/15/1 |
S&P500 | 4,367.48 | 8.79 | 0.2% | 197/306/2 |
NASDAQ | 14,684.60 | 52.65 | 0.4% | 968/2272/141 |
RUSS 2K | 2,199.47 | -34.57 | -1.5% | 270/1694/12 |
PHLX 반도체지수 | 3,259.42 | -29.33 | -0.9% | 4/26/0 |
VIX지수 | 17.69 | -0.22 | -1.2% |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미국 증시는 기술주를 중심으로 상승 마감. 금일 미 노동부가 발표한 주간 신규실업수당 청구건수는 예상치(35만 명)를 대폭 상회한 41.9만 명으로 집계돼 고용 개선세가 고르지 못한 것을 확인. 또한, 경제 재개 수혜주로 분류되는 기업과 기술주 간 실적에서 희비가 갈리며 뉴욕증시는 장 초반 혼조세 시현. 이후 장 중반 국채 금리 하락과 FAAMG를 중심으로 기술주의 상승 폭이 확대되자 3대 지수는 모두 상승 전환하여 3거래일 연속 상승 마감. 금일 상승 업종으로는 IT, 헬스케어가 증시 상승을 주도하였으며, 금융, 에너지는 약세로 마감. 한편, 금일 발표된 6월 기존주택 판매는 1.4% 증가한 연율 586만 채로 집계돼 5개월 만에 증가세로 전환하였으나 예상치(1.7%)를 하회하였으며, 6월 선행지수 역시 0.7%를 기록해 예상치(0.8%)를 하회.
U.S. ETF Closing – 05:00 기준
Sector
분류 | 티커 | 현재가 | 등락률 | t신호 | 수익률 | ||
1개월 | 3개월 | 1년 | |||||
IT | XLK | 153.0 | 0.7% | 햇빛 | 5.3% | 8.2% | 46.1% |
헬스케어 | XLV | 130.0 | 0.7% | 햇빛 | 3.3% | 7.1% | 24.7% |
자유소비재 | XLY | 181.7 | 0.4% | 햇빛 | 2.1% | 2.0% | 35.5% |
커뮤니케이션 | XLC | 81.5 | 0.3% | 햇빛 | 1.0% | 3.2% | 44.9% |
유틸리티 | XLU | 64.9 | 0.2% | 햇빛 | 1.4% | -1.2% | 10.8% |
소재 | XLB | 81.2 | 0.0% | 안개 | -1.2% | -2.9% | 35.5% |
필수소비재 | XLP | 70.6 | -0.2% | 햇빛 | 1.2% | 2.1% | 15.5% |
산업재 | XLI | 103.2 | -0.4% | 햇빛 | 0.8% | 0.9% | 46.1% |
부동산 | VNQ | 105.0 | -0.8% | 햇빛 | 2.0% | 7.1% | 35.2% |
금융 | XLF | 36.2 | -1.1% | 안개 | -2.0% | -0.6% | 53.7% |
에너지 | XLE | 48.7 | -1.1% | 안개 | -12.0% | -2.9% | 38.7% |
자료: 티레이더,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금일 섹터별 ETF에서 IT(XLK+0.7%), 헬스케어(XLV/+0.7%), 자유소비재(XLY/+0.4%)가 상승 마감, 부동산(VNQ/-0.8%), 에너지(XLE/-1.1%), 금융(XLF/-1.1%) 섹터가 하락. 금일 맥쿼리는 세일즈포스닷컴(CRM)의 슬랙 테크놀로지(WORK) 인수가 당사의 장기 성장성을 증가시킬 요인으로 지목하였으며, 이에 2.6% 상승하여 IT 섹터(XLK)의 상승을 주도. 헬스케어(XLV) 섹터에서는 금일 견조한 실적을 발표한 다나허(DHR/+3.3%)가 섹터 상승을 견인. 반면 국채 금리가 전일 대비 소폭 하락하며 JP모건(JPM/-1.3%), 뱅크오브아메리카(BAC/-1.3%), 웰스파고(WFC/-1.7%)와 같은 은행주가 전반적인 약세를 시현하며 금융(XLF) 섹터는 1.1% 하락 마감.
Thematic
분류 | 티커 | 현재가 | 등락률 | t신호 | 수익률 | ||
1개월 | 3개월 | 1년 | |||||
4차 산업혁명 | CLOU | 28.8 | 0.6% | 햇빛 | 0.4% | 4.5% | 30.4% |
생명공학 | IBB | 165.3 | 0.3% | 햇빛 | 1.3% | 6.7% | 19.9% |
IPO | IPO | 63.7 | 0.1% | 안개 | -3.5% | 1.2% | 49.5% |
반도체 | SOXX | 442.8 | -0.6% | 햇빛 | 0.6% | 2.0% | 59.3% |
주거건축 | XHB | 72.8 | -0.8% | 햇빛 | 0.8% | -5.0% | 50.3% |
자료: 티레이더,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테마 ETF에서 4차 산업혁명(CLOU/+0.6%), 생명공학(IBB/+0.3%) 테마가 상승, 반도체(SOXX/-0.6%), 주거건축(XHB/-0.8%), 테마가 하락 마감. 금일 웹사이트 DNS 서비스를 제공하는 아카마이 테크놀로지스사의 서버에 문제가 생겨 오전(미국시간) 델타항공, UPS를 비롯한 미국 웹사이트 2만여 개가 다운되는 사태 발생. 이에 클라우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에버브릿지(EVBG/+2.3%), 트윌리오(TWLO/+3.0%)의 주가가 상승하며 4차 산업혁명(CLOU) 테마는 0.6% 상승 마감. 반면 금일 실적을 발표한 텍사스인스트루먼트(TXN)는 컨센서스를 상회한 실적을 발표했으나, 3분기 가이던스를 하향 제시하며 5.3% 하락 마감하였으며, 이 영향으로 반도체(SOXX) 테마는 0.6% 하락 마감.
EU Market Closing – 01:00 기준
지수 | 종가 | 등락률 | 구분 | 업종 | 등락률 |
STOXX 600 | 456.33 | +0.6% | 상승 | 정보기술 | +1.9% |
산업재 | +1.1% | ||||
유틸리티 | +1.0% | ||||
하락 | 에너지 | -1.0% | |||
필수소비재 | -1.2% | ||||
지수 | 종가 | 고가 | 저가 | 등락폭 | 등락률 |
獨 DAX | 15,514.54 | 15,578.75 | 15,471.47 | 92.04 | 0.6% |
英 FTSE 100 | 6,968.30 | 7,018.95 | 6,956.24 | -29.98 | -0.4% |
佛 CAC 40 | 6,481.59 | 6,525.21 | 6,474.05 | 17.11 | 0.3% |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유럽증시는 유럽중앙은행(ECB) 통화정책 회의 결과에 상승 마감. 금일 진행된 통화정책회의에서 크리스틴 라가르드 ECB 총재는 자산매입프로그램 유지와 기준금리(0%) 동결을 발표하며 완화적 정책 기조 유지를 시사. 이에 시장은 긍정적으로 반응하여 상승 마감하였으며, 영국 소비재 기업 유니레버(ULVR/-5.9%)가 비용 인플레이션 상승에 따른 마진 감소 우려를 나타내 금일 5.9% 하락한 영향으로 FTSE100은 0.4% 내림세 마감. 상승 업종으로는 전일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가 강세로 마감한 영향으로 정보기술주가 1.9% 올랐으며, 뒤이어 산업재(+1.1%)와 유틸리티(+1.0%)가 증시 상승을 지지. 반면 에너지(-1.0%)와 필수소비재(-1.2%)는 약세로 마감. 한편 금일 발표된 7월 유로존 소비자신뢰지수(전망치)는 델타 변이 확산 우려 영향으로 전월대비 -4.4% 감소한 것으로 집계되었으며, 컨센서스(-2.5%)보다 큰 폭의 감소세 기록.
[미국 상승 = 안좋아 지는 변수들]
(Feat. But 점점 멀어지는 테이퍼링)
☑️연준 테이퍼링은 내년 상반기에나 본격 논의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현재 연준이 테이퍼링 등 유동성공급 축소를 논의 해야할 이유는 굳이 찾으면 신고가의 주가지수 뿐입니다. 그러면 여기서 나오는 질문은 과연 미국 정부와 연준은 증시 조정을 원할까? 입니다.
미국 경제에서 주식시장이 차지하는 의미는 국내와는 비교가 안됩니다. 미국의 주식시장은, 우리의 부동산시장과 같습니다. 우리에게는 아파트 한채가 노후자금입니다. 그러나 미국은 온국민의 노후가 주식시장에 달려있습니다. 당장 연금을 가지고 있는 모든 근로자의 노후는 대부분 주식시장에 매달려있습니다. 경찰, 소방관, 공무원, 선생님 등 모든 공무원들도 마찬가지입니다. 미국은 항상 경제위기가 생기면 대통령부터 나서서 증시부터 떠받치려고 하는 이유입니다.
<연준의 고려변수 상황>
-고용시장 : 회복둔화 점차 선명
-코로나 : 확진자수 증가(4차 웨이브)
-주택시장 : 수요둔화, 안정화 단계 진입
-원자재 가격 : 일부 조정단계
+주식시장 : 주요지수 신고가
+기업실적 : 서프라이즈
*코로나 : 신규확진자 증가
(전일 56,525 / WoW +53.2%)
-신규확진자 5만명 돌파(4/30 이후 처음)
-CDC, 파우치 소장 마스크 착용 권고
*주간 실업급여 청구건수
-전주 : 419K / 컨센 350K / 이전 368K
-연속 : 3,236K / 3,100K / 3,265K
☑️실업급여 보너스(매주 $300추가지급)지급이 상당수의 주에서 끝났음에도 불구하고 신규 실업급여 청구 증가
<About Market>
장초반 주간 신규실업급여 청구건수 증가와 연이틀 상승에 대한 피로감으로 보합권을 유지하던 증시는 오후 들어서며 실적이 기대되는 빅테크 중심으로 상승하며 종가 고가수준으로 마감하였습니다. 전일 3%넘게 급등한 러셀2000(중소형)만 차익실현으로 하락하였습니다.
•나스닥 +0.4% / 러셀2000 -1.6%
•S&P500 +0.2% / 다우 +0.1%
-나스닥 Top10 : 상승 9 vs 하락 1
-비트코인 : $32,000
-미국채금리(10y) : 1.263 (-1.5%)
-WTI : $71.72 (+2.0%)
SMART한 주식투자
[미래에셋증권] 해외 금융시장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 (02-3774-1621)
◆ 미국 증시
- DOW: 34,823.35p (25.35p, +0.07%)
- S&P500: 4,367.48p (8.79p, +0.20%)
- NASDAQ: 14,684.60p (52.65p, +0.36%)
◆ 한국 관련
- MSCI 한국지수 ETF: $90.2 (+0.74, +0.83%)
- MSCI 이머징지수 ETF: $53.3 (+0.1, +0.19%)
- Eurex kospi 200: 432.10p (+0.60p, +0.14%)
- NDF 환율(1개월물): 1,151.22원 / 전일 대비 보합 출발 예상
◆ 외환시장
- 달러인덱스: 92.854 (+0.1, +0.11%)
- 유로/달러: 1.177 (-0.0024, -0.2%)
- 달러/엔: 110.19 (-0.1, -0.09%)
- 파운드/달러: 1.3765 (+0.0052, +0.38%)
◆ 미국 국채시장
- 2년물: 0.1998% (-0.8bp)
- 5년물: 0.7137% (-2.3bp)
- 10년물: 1.2699% (-1.9bp)
- 30년물: 1.9035% (-3.5bp)
- 스프레드(10Y-2Y): +107.01bp (-1.05bp)
(국채선물)
- 2YR T-Notes: 110*08 (+0*00 1/2, +0.01%)
- 5YR T-Notes: 124*10 1/4 (+0*03 1/2, +0.09%)
- 10YR T-Notes: 134*08 (+0*04 1/2, +0.1%)
- US T-Bonds: 164*16 (+0*15 , +0.29%)
- Ultra US T-Bonds: 199*09 (+1*4 , +0.57%)
◆ 상품시장 ($, 단 곡물, 구리는 센트)
- WTI: 71.91 (+1.61, +2.29%)
- 브렌트유: 73.79 (+1.56, +2.16%)
- 금: 1,809.20 (+1.8, +0.1%)
- 은: 25.381 (+0.126, +0.5%)
- 아연(LME, 3M): 2,938.50 (+9.5, +0.32%)
- 구리: 433.75 (+6.55, +1.53%)
- 옥수수: 561.25 (-7.25, -1.28%)
- 밀: 692.25 (-18.5, -2.6%)
- 대두: 1,362.25 (-27.5, -1.98%)
- BDI: 3,058.00 (+5, +0.16%)
*동 자료는 2021년 7월 23일 미래에셋증권 홈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를 요약한 것입니다.
글로벌 주식시장 변화와 전망(7월 23일)
미래에셋증권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02-3774-1621)
‘피크 아웃’ 논란 불구 실적 주목하며 상승
미 증시는 다음 주 실적 발표하는 대형 기술주 중심으로 매수세가 유입되기는 했으나, 경제지표 둔화에 따른 경기 피크 논란이 부각되며 혼조세로 출발. 더불어 양호한 실적발표가 지속되고 있으나 높은 원자재 가격, 공급망 제약, 운송 비용 같은 역풍 등으로 이익 피크 논란 또한 이어지고 있다는 점도 부담. 그러나 장 후반 인프라투자 관련 기대 심리가 부각되자 경기에 대한 기대 심리가 유입되며 금융과 경기민감주들의 낙폭이 축소. 더불어 다음주 실적 발표되는 대형 기술주 중심으로 강세는 지속돼 지수는 상승 마감(다우 +0.07%, 나스닥 +0.36%, S&P500 +0.20%, 러셀2000 -1.55%)
http://securities.miraeasset.com/bbs/maildownload/2021072305594223_3431
[인텔 실적 발표] 하나금융투자 반도체 김경민, CFA
2분기 매출 185억 달러 (+2% Y/Y). 컨센서스 상회
PC CPU 포함된 client computing 사업부 매출 101억 달러
컨센서스 99.6억 달러 상회. PC 수요 기저 효과 감소 우려 대비 양호한 느낌
서버 CPU가 포함된 data center 사업부 매출 65억 달러
컨센서스 59.4억 달러 대비 앞자리가 다를 정도로 크게 상회
서버 수요 호조는 먼저 실적 발표 마친 IBM, Seagate에서 공통적 언급
2분기 매출 호조 영향으로 시간 외 주가는 장 마감 직후 종가 대비 +4% 상승
그러나 5:52 am 기준 -2.3% 하락 중. 다음 분기 매출 가이던스가 밋밋하기 때문
3분기 매출 가이던스는 182억 달러로 컨센서스 181억 달러와 거의 차이 없음
2분기 185억 달러 대비 감소하는 흐름
먼저 실적 발표 마친 대형주 중에 Texas Instruments와 Seagate도 2분기 대비 밋밋한 가이던스 제시
3분기는 성수기이지만 코로나 발발 이후 전통적인 상저하고 패턴 변화
3분기 매출이 2분기 대비 flat% 또는 감소한다는 가이던스를 제시하는 반도체/하드웨어 기업이 늘어남
3분기 매출이 2분기 대비 크게 증가하는 기업은 금주 실적 발표한 반도체 기업 중 ASML ADR (반도체 노광 장비)
『하루를 여는 혁신투자자문 IPO News Daily💌 - 20210723』
【 텔레그램 채널 주소 : https://t.me/KoreaIB 】
【 IPO상장문의 및 이경준 대표 Contact ☞ 📧 ipo@kakao.com 】
===========================
보통 방송에 나가면, 생방송이라 부끄부끄한 마음에 혼자만 알고 공유를 안 드렸는데,,,
이번에 녹화방송 뜬게 있는데, 편집이 잘 나와서 살포시 한 번 공유해 봅니다.
NH투자증권 채널인데, CJ ENM에서 제작하였고,
MC는 '경제 유튜버 신사임당'과 '장예원 아나운서'님이 맡으셨습니다.
시간 남으실 때 편한 마음으로 보세요 :)
===========================
《📌Today's Topic》
카뱅 시총 18조 직행…'따상' 가능성은
https://newsis.com/view/?id=NISX20210722_0001522330&cID=15001&pID=15000
☞ 이경준 혁신투자자문 대표는 "카카오뱅크가 장외에서 10만원을 넘었다가 이제 8만원대로 내려왔는데 시장에서는 카카오게임즈의 선례처럼 상장 이후에 장외가를 넘어설 것이란 기대감이 반영된 것 같다"며 "다만 비상장주식은 기업의 밸류에이션을 판단하기보다 '묻지마 식' 투자를 하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수요와 공급이 합리적으로 이뤄지지 않고 시장가격을 일시적으로 교란시키는 측면도 있다"고 설명했다.
===========================
★ 금일 IPO 일정 ★
07/14~27 크래프톤 수요예측⚖️
07/22~26 에이치케이이노엔 수요예측⚖️
☆ 다음주 IPO 일정 ☆
07/14~27 크래프톤 수요예측⚖️
07/22~26 에이치케이이노엔 수요예측⚖️
07/26~27 원티드랩 수요예측⚖️
07/26~27 카카오뱅크 청약🖨
07/27 맥스트 상장★
07/28 에브리봇 상장★
07/29 카카오뱅크 납입🏧
07/29~30 한컴라이프케어 수요예측⚖️
07/29~30 엠로 수요예측⚖️
07/29~30 에이치케이이노엔 청약🖨
07/30~08/02 플래티어 수요예측⚖️
------------------------------------------
▣ 기관IR 일정 ▣
- 온라인 간담회로만 진행 中 -
▣ 상장 일정(예정, 변경가능) ▣
07/27 맥스트(하나금융투자)
07/28 에브리봇(NH투자증권)
08/05 카카오뱅크(KB증권)
08/10 에이치케이이노엔(한국투자증권, 삼성증권)
08/10 크래프톤(미래에셋증권)
08/11 원티드랩(한국투자증권)
08/13 엠로(한국투자증권)
08/13 딥노이드(KB증권)
08/17 플래티어(KB증권)
08/17 한컴라이프케어(미래에셋증권)
08/18 브레인즈컴퍼니(키움증권)
08/19 아주스틸(미래에셋증권)
08/19 롯데렌탈(NH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08/19 에스앤디(유진투자증권)
08/24 일진하이솔루스(미래에셋증권, 삼성증권)
08/25 바이젠셀(대신증권)
미정 - 에이비온(미래에셋증권)
미정 - 카카오페이(삼성증권)
▣ 심사 승인 ▣
- 실리콘투(삼성증권, 미래에셋증권)
- 와이엠텍(KB증권)
- 아스플로(미래에셋증권)
- 원준(NH투자증권)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 국내 IPO 개별종목
■ IPO 역사 새로 쓴 카카오뱅크…기관 2585조 역대 최대 뭉칫돈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893366629117144&mediaCodeNo=257&OutLnkChk=Y
■ [단독] 티몬, 올해 상장계획 철회...주관사에 통보
■ 마켓컬리 28일 상장 주관사 선정···KB vs 미래 2파전 압축
■ SK매직, IPO 당분간 접는다… 해외 시장-신규 비즈니스 주력
http://biz.newdaily.co.kr/site/data/html/2021/07/22/2021072200089.html
■ 원준, IPO 본격화…코스닥 상장 예비심사 통과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1072294986
■ 한국조선해양, 9000억 손실에도 여유… "IPO 앞둔 악재 제거"
http://biz.newdaily.co.kr/site/data/html/2021/07/22/2021072200016.html
■ 롯데렌탈, 절반이 구주매출…IPO 흥행 영향은?
https://paxnetnews.com/articles/76262
■ 알지노믹스, IPO 채비…삼성증권 주관사로
■ 제이아이테크, IPO 본격화…주관사 '미래에셋'
▶️▶️▷ IPOmarket(해외IPO포함)
■ "공모가 정정 안했으면 어쩔 뻔"…최초 공모가 밑도는 새내기주들
http://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1061113&inflow=N
■ [이슈분석]IPO 나서는 유니콘…쿠팡 다음 주자는?
https://www.etnews.com/20210722000144
■ '울며겨자먹기는 옛말'…증권사, 코스닥IPO 의무인수에 '함박 웃음'
https://www.news1.kr/articles/?4379264
■ 따상 열풍 그 후 올해 성공 기업 얼마나 되나
https://paxnetnews.com/articles/76499
■ IPO 공모주로 몰리는 자금…청약 열풍 돌아오나
https://cnews.pinpointnews.co.kr/view.php?ud=202107221444063170cd1e7f0bdf_45
▶️▶️▷ 시장 이모저모
■ 코넥스 떠나는 기업들…거래소, 시장 활성화 '고심'
http://www.inews24.com/view/1387807
■ '연봉 5억' 꿈의 직업이었는데…애널리스트 줄퇴사하는 이유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1072215951
■ 금감원, 옵티머스운용 '등록취소' 의결…최고수위 제재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107221948i
▶️▶️▷ 시세/시황
[표]IPO·장외 주요 종목 시세(7월 22일)
https://www.sedaily.com/NewsView/22P0FYJLVK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시황 & 뉴스 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7월 27일(화) 증시캘린더 / 해외마감시황 (0) | 2021.07.27 |
---|---|
7월 26일(월) 증시캘린더 / 해외마감시황 (0) | 2021.07.26 |
7월 22일(목) 증시캘린더 / 해외마감시황 (0) | 2021.07.22 |
7월 21일(수) 증시캘린더 / 해외마감시황 (1) | 2021.07.21 |
7월 20일(화) 증시캘린더 / 해외마감시황 (0) | 2021.07.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