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주식 스터디를 위해 개인적으로 스크랩한 증시캘린더, 국내 및 해외마감 시황, 뉴스 자료를 공유합니다.

1) 증시캘린더는 개인적으로 관련된 소식을 확인후 작성한 일정이라 변동 또는 오류의 소지가 있습니다.

2) 노션으로 공유한 링크는 익스플로러에선 제대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크롬에 최적화, 엣지, 웨일에서도 잘 작동합니다.

    ( 공유 자료링크는 1~2일후 공유 해지 합니다.)

 

게시물은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한 것이라

불확실하거나 오류가 많을 수 있으므로 투자 활용시 유의하시기 바라며, 개별적인 종목 추천이나 상담은 하지 않습니다.

 

모쪼록 제 공간에 오신 모든 분들이 주식스터디를 통해 인생 한 방보다, 꾸준함을 믿으며...

복리의 마법으로 모든 분들이 성공한 개인투자자가 되시길...


국정원 "한미훈련 강행 시 北 SLBM 도발 나설 것"

입력 2021.08.04 04:30

출처: <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1080316080000627?did=NA>

 

 

엑세스바이오 코로나 항원자가진단키트, 美FDA 긴급사용승인 허가

이정훈 입력 2021. 08. 04. 07:02

출처: < https://news.v.daum.net/v/20210804070244494>

 

 

 

2021년 8월 4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텐센트가 비판 하루만에 청소년의 게임접속 제한을 발표했습니다.

 

(2) 소프트뱅크가 로슈 지분 50억달러를 취득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3) 미국의 인프라 법안 통과 기대로 기계주들이 강세를 나타냈습니다.

 

미 5년 breakeven rate 2.590%, +0.012%p (2% 상회시 유의, 2.5% 상회시 경고)

한국 고객예탁금, 69.6조원 +2.4조원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33%

1개월 NDF 환율 1,149.15원 (+0.65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뉴욕증시, 기업 실적 호조에 상승...로빈후드 24%↑ [출근전 꼭 글로벌브리핑]

[미국증시 마감시황]

■ 델타 변이 우려 불구 기업 호실적에 반응...다우 0.80% ↑

현지시간 3일 뉴욕증시는 델타 변이에 대한 우려에도 기업들의 2분기 실적이 대체로 상승했다. 다우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0.80% 상승한 3만5116.40으로 거래를 마감했다. S&P500지수도 전장보다 0.82% 오른 4423.15를 기록했고,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 역시 0.55% 뛴 1만4761.29로 장을 마쳤다.

특히 S&P500지수는 마감가 기준으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미국의 코로나19 델타 변이는 장 초반 주가에 하락 압력을 가했으나 기업들의 실적 기대가 유지되면서 오후 들어 주가는 상승세로 전환했다.

미 상원의 여야 초당파 의원들은 최근 1조달러 규모의 인프라 지출안을 최종 마무리했다. 해당 지출안에는 5500억달러의 신규 지출이 포함된 것으로 민주당은 9일부터 시작되는 여름 휴회 전에 이를 처리한다는 계획이다. 투자자들은 초당파 의원들이 마련한 인프라 지출안이 이번 주 의회를 통과할지 주목했다.

 

[특징주]

■ 로빈후드

캐시 우드의 아크 자산운용이 로빈후드 주식을 매수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개인투자자들이 로빈후드 주식을 집중적으로 추격 매수하였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로빈후드 주가는 공모가 38달러를 뛰어넘어 24% 오른 46.8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 언더아머

스포츠 의류 업체 언더아머 주가는 분기 실적이 순익으로 전환된 데다 실적 전망을 상향 조정하며 7% 이상 뛰었다.

 

■ 랄프로렌

랄프 로렌의 주가는 분기 순익과 매출이 애널리스트들의 예상치를 웃돌면서 6% 이상 올랐다.

 

[글로벌시장 주요 이슈]

 

■ 애플 전략까지 바꿨는데…여전한 인기에 난감한 삼성

 

삼성전자는 스마트폰 점유율을 놓고보면 글로벌 1위지만 플래그십 기종만 따진다면 애플에 크게 밀리고 있다. 특히 삼성은 애플보다 먼저 뛰어든 5G 스마트폰 시장에서 매출 점유율 기준 14%를 차지, 애플의 점유율 54%에 크게 밀렸다.

하지만 폴더블폰에서는 여전히 삼성전자가 1위 자리를 굳히고 있기 때문에 애플과의 하반기 플래그십 부문에서 승산이 있다고 판단했을 것으로 분석된다. 삼성전자는 전체 글로벌 폴더블폰 시장에서 73%의 점유율(출하량 기준)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갤럭시노트 언팩 없는 올해 하반기가 삼성전자에게 첫 시험대가 될 전망이다. 삼성전자는 우선 폴더블폰에 모든 것을 건 상황이다. 삼성전자는 갤럭시Z폴드3에 갤럭시노트의 장점인 S펜과 대화면 모두를 탑재했다.

출처: <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108040010&t=NN>

 

 

 

[미국 상승 = 저가매수 + 유동성]

(Feat. 다시 시작된 신고가행진)

 

☑️이번주 금요일 발표될 7월 고용보고서를 통해서 대략적인 테이퍼링 시작시점을 가늠할 수 있습니다.

 

전일 연준 월러이사의 의견은 7/8월 고용보고서가 모두 서프라이즈 할 경우 9월 FOMC에서 테이퍼링을 발표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반대로 고용보고서가 만족스럽지 못할 경우 다음 FOMC는 11월이고, 이경우 테이퍼링은 내년으로 넘어갈 가능성이 높아집니다.9

 

•남은 FOMC

-9월21일~22일

-11월2일~3일

-12월14일~15일

 

<about Market>

아침 상승세로 시작한 시장은 오전 NYC(뉴욕시)가 특정 실내활동시 백신접종을 강제할 것이라고 발표하면서(코로나 우려) 주요지수 모두 상승폭을 반납하였습니다. 그러나 이후 장마감까지 저가매수세가 꾸준히 유입되며 주요지수 모두 상승마감하였습니다. S&P500은 종가기준 사상최고가를 다시 경신했습니다.

 

*NYC 백신강제

-실내에서 음식을 먹거나(실내레스토랑), 실내 휘트니스 이용시 백신접종을 스스로 증명

-시작 : 8/16~ / 강제 : 9/13~

 

*코로나 : 신규확진자 감소

(전일 74,112 / WoW +41.2%)

-신규확진지 증가로 일부 주 집계지연

 

•나스닥 +0.6% / 러셀2000 +0.3%

•S&P500 +0.8% / 다우 +0.8%

-나스닥 Top10 : 상승 9 vs 하락 1

 

-비트코인 : $38,000

-미국채금리(10y) : 1.174 (+0.2%)

-WTI : $70.27 (-1.4%)

 

SMART한 주식투자

https://t.me/frankinvest

 

 

 

 

(2021.08.04) U.S. & EU Market Closing

2021.08.04  진상우

U.S. Market Closing – 05:00 기준

지수 종가 등락폭 등락률 상승/하락/보합
DOW 35,116.40 278.24 0.8% 25/5/0
S&P500 4,423.15 35.99 0.8% 380/124/1
NASDAQ 14,761.29 80.22 0.5% 1425/1730/259
RUSS 2K 2,223.60 8.10 0.4% 1119/834/22
PHLX 반도체지수 3,396.66 19.17 0.6% 23/7/0
VIX지수 18.04 -1.42 -7.3%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 티레이더에서 나스닥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실시간 제공

 

미국 증시는 미국 기업들이 예상보다 견조한 2분 실적을 발표하며 상승세로 마감. 스포츠 의류업체 언더아머(UAA)가 월가의 예상치를 웃도는 실적을 발표하며 7.5% 상승, 언더아머의 2분기 순익은 5천920만 달러로 집계돼 지난해 같은 기간의 1억8천290만 달러의 순손실에서 흑자로 전환. 글로벌 컨설팅 업체 윌리스 타워스 왓슨(WLTW)도 분기 실적이 컨센서스를 큰 폭으로 웃돌며 5.0% 상승. 전문가들은 미국의 2분기 기업 실적이 강한 모습을 보이며 주가 상승을 지지하고 있다고 진단. 한편, 미국에서 코로나 델타 바이러스가 확산하면서 병원 입원 환자가 지난 2월 대유행 수준에 도달했다는 진단이 발표. 지난 2일 기준 코로나 19 입원환자는 5만625명으로 집계돼 한 달 전과 비교해 3배 넘게 증가, 2일 기준 신규 감염자가 12만7천 976명을 기록. 시장에서는 코로나 델타 변이 확산 속 경제 성장 둔화 가능성을 경계. 이날 발표된 주요 경제지표로는 미국의 지난 6월 공장재 수주 실적이 전월보다 1.5% 증가하며 시장 예상치인 1.0% 증가를 상회, 5월 공장재 수주는 1.7% 증가에서 2.3% 증가로 상향 조정. 한편, 시장 참가자들은 초당파 의원들이 마련한 인프라 지출안이 이번 주 의회를 통과할지 주목하고 있는 모습.

 

U.S. ETF Closing – 05:00 기준

Sector

분류 티커 현재가 등락률 t신호 수익률






1개월 3개월 1년
에너지 XLE 49.9 1.7% 안개 -3.6% -3.6% 41.0%
헬스케어 XLV 134.2 1.4% 햇빛 4.6% 9.6% 28.0%
산업재 XLI 104.0 1.3% 햇빛 2.0% 0.4% 40.3%
금융 XLF 36.9 1.1% 햇빛 3.5% 0.0% 51.6%
소재 XLB 83.9 1.0% 햇빛 3.0% -4.1% 38.4%
자유소비재 XLY 182.3 0.7% 햇빛 0.8% 5.8% 30.8%
IT XLK 153.8 0.6% 햇빛 2.7% 14.1% 36.4%
유틸리티 XLU 66.9 0.6% 햇빛 3.6% 2.3% 12.3%
필수소비재 XLP 71.5 0.5% 햇빛 2.5% 2.0% 15.6%
부동산 VNQ 106.2 0.1% 햇빛 2.7% 10.1% 33.7%
커뮤니케이션 XLC 81.8 -0.5% 햇빛 1.1% 7.1% 37.5%

자료: 티레이더,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금일 섹터별 ETF에서는 에너지(XLE/+1.7%), 산업재(XLI/+1.3%), 금융(XLF/+1.1%) ETF가 상승, 커뮤니케이션(XLC/-0.5%) ETF가 하락. 에너지(XLE) ETF에서는 미국 셰일업체 파이오니어 내츄럴 리소시즈(PXD) 예상보다 6개월 앞서 주당 1.51달러의 배당금을 지급한다는 소식에 0.0% 상승, 석유기업 다이아몬드백에너지(FANG)의 2분기 실적이 예상치를 웃돌며 7.9% 상승하며 에너지(XEL) ETF 상승을 주도. 한편, 미국 자산운용사 프랭클린 리소시스(BEN/+4.1%)와 보험중개 및 컨설팅 업체 윌리스 타워스 왓슨(WLTW/+5.0%)이 컨센서스를 상회하는 분기 실적을 발표하며 금융(XLF) ETF 상승을 견인.

 

Thematic

분류 티커 현재가 등락률 t신호 수익률






1개월 3개월 1년
클린에너지 ICLN 23.2 1.9% 햇빛 0.1% 8.8% 47.0%
미국 인프라 개발 PAVE 26.7 1.7% 햇빛 5.5% -0.5% 59.1%
글로벌 천연자원 GNR 53.3 1.4% 햇빛 2.5% -3.2% 40.0%
모바일결제 IPAY 69.6 -1.0% 안개 -0.4% 3.0% 26.9%
레져/엔터테인먼트 PEJ 48.4 -1.7% 안개 -3.5% 10.3% 56.8%

자료: 티레이더,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금일 테마 ETF에서는 클린에너지(ICLN/+1.9%), 미국인프라개발(PAVE/+1.7%), 글로벌 천연자원(GNR/+1.4%) ETF가 상승, 레저/엔터테인먼트(PEJ/-1.7%) ETF가 하락. 클린에너지(ICLN) ETF에서는 미국 태양열 발전 최적화 및 광전지 모니터링 솔루션 업체 솔라에지 테크놀로지스(SEDG)가 시장 예상치를 웃도는 2분기 실적을 발표, 미국 씨티은행이 목표주가를 300달러에서 360달러로 상향 조정하며 15.9% 오르며 클린에너지(ICLN) 상승을 주도. 한편, 미국에서 코로나 19 델타 변이가 확산하면서 병원 입원 환자가 지난 2월 대유행 수준에 도달했다는 진단에 레저/엔터테인먼트(PEJ) ETF가 2%가량 하락.

 

EU Market Closing – 04:00 기준

지수 종가 등락률 구분 업종 등락률
STOXX 600 465.42 +0.2% 상승 에너지 2.6%




소재 0.4%




금융 0.4%



하락 자유소비재 -0.3%




부동산 -0.3%




정보기술 -0.2%
지수 종가 고가 저가 등락폭 등락률
獨 DAX 15,553.03 15,608.07 15,492.58 -15.7 -0.1%
英 FTSE 100 7,106.33 7,119.19 7,074.32 24.61 0.3%
佛 CAC 40 6,725.25 6,749.88 6,688.12 49.35 0.7%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유럽 증시는 기업들의 호실적 지속에 강보합세로 마감. 한편, 이날 발표된 주요 기업의 실적이 시장 예상치를 웃도는 수치를 기록하며 증시 상승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 프랑스 투자은행 소시에트제네랄리(GLE)가 당해 이익 전망치를 상향 조정하며 5.6% 상승, 영국의 석유기업 브리티쉬 페트롤리엄(BP)의 2분기 순이익이 31억23천만 달러를 기록하며 시장예상치를 상회, 2분기 배당금을 4% 인상한 5.46센트로 결정하고 14억 달러 규모의 자사주 매입을 시행한다는 소식에 장 중 6.9% 상승. IBES 레피니티브 데이터에 따르면 현재까지 발표된 STOXX 600 기업 절반 중 66%가 전문가 예상치를 상회하는 실적을 발표. 이날 발표된 경제지표로는 유로존 6월 생산자물가지수(PPI)가 전월 대비 1.4% 상승을 기록하며 시장 전망치인 전월 대비 1.5% 상승을 소폭 하회, 에너지를 제외한 PPI는 6월 전월 대비 0.7% 상승. 공급망 혼란이 지속되는 가운데 코스트 인플레 상승이 현재 가격 동향의 핵심요인으로 전반적으로 가격 상승 압력을 가하는 것으로 보여.

 

 

 

출처: < https://m.myasset.com/extern/researchPortal/RP_0001000_P1.cmd?menuid=RP_0105000_P1&searchKeyGubun=1&keyword=&page=1&base_date=20210804052657&gbn=B&res_seq=172920>

 

 

 

 

 

하나 리서치 중국/신흥국 전략 김경환, [04.08.21 00:15]

>텐센트 논란과 중국 보도 방식 관련 개인적인 생각

 

•중국 당국(당/국무원)의 입장과 관영언론의 메시지는 취지와 맥락이 같다고 볼 수 있습니다. 오늘처럼 관영언론 사설이 즉각적으로 내려지는 것은 이례적인 것이고, 주식시장 파장 의식 혹은 텐센트측의 매우 능동적인 대응으로 평가해도 될 것 같습니다.

 

•다만, 관영언론의 철회 혹은 톤 조절을 당국 입장의 철회로 보는 것도 무리입니다. 통상 중국 당국은 관영언론을 통해 정책의 사전 테핑, 부연 설명, 여론 확인 등으로 활용하지만, 공식 정책과 입장이 나오기 전까지는 수정할 수 있고 언론사별 톤도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매우 애국적인 성향의 환구시보의 경우 본캐가 아닌 부캐의 발언으로 보니까요)

 

•그리고, 개인적인 경험상 관영언론 중에서도 인민일보/신화통신/CCTV 보도나 사설은 100% 당국 입장으로 해석하고 있고, 그 다음이 중국청년보/경제참고보(신화통신 자회사)/증권일보/차이나투데이/환구시보(글로벌타임즈) 등 매체는 각 기능이 달라서 톤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고 봅니다(급이 조금 떨어진다고 해야 하나…). 그럼에도 제가 당국 공식발표 외에 각종 관영언론 내용도 전달하는 것은 2021년 당국 규제의 강도와 깊이가 제 예상을 몇 단계 뛰어넘고 있어 유사한 전조와 예고도 최대한 전달하는 것이 대응에 좋을 것 같아서 입니다.  

 

•마지막으로, 개인적인 의견은 2021년의 경우 중국 당국이 주가(특히 역외시장)를 보면서 정책을 조율할 수 있다고 기대하지 않는 것이 더 좋은 가정이라고 생각합니다. 2022년 10월 3기 지도부 등장까지, 혹은 더 긴 그림에서 아예 큰 기조가 바뀐 정책들이 많이 보입니다. 정책 의도를 공식적으로 밝힌 것은 주가와 상관없이 직진한다는 기본 가정이 편해 보이는 2021년 입니다. 주가가 폭락하니 미국과 IPO 협상한다, 주가가 폭락하니 칼럼을 삭제하고 생각을 바꿨다는 보도는 주식시장의 눈으로 당국 행동을 평가한 것입니다. (당분간 중국정책과 향후 행동 예측은 대명분부터 탑다운 접근을… )

 

•중국 당국도 정책때문에 주식시장이 혼란스러우면 사후 대응과 설명을 하지만 유심히 보시면 큰 수정이 없습니다. 2021년 몇가지 정책들은 금융시장의 시스템위험이 아닌이상 더 상위 명분을 가진 것들로 보입니다. 안타깝지만 상위명분을 가진 중국 정책의 반대편에 서는 전략은 당분간 너무 불편합니다. 물론, 저는 앞으로도 계속 중국 교육과 부동산 규제처럼 아예 탈출이 필요한 정책 변화인지, 단순 규제와 프레임 변화인지 평가하기 위해 더 노력할 생각입니다.

 

하나 리서치 중국/신흥국 전략 김경환, [04.08.21 00:32]

>중국 민항국, 8월 4일 이전에 여행객이 구매한 8월 4일부터 31일까지 모든 국내항공편에 대해 취소 요청시 무료 환불을 지시. •강제 취소는 아니지만 확진자 발생지역 증가에 따라 중국내 이동 자제를 권고하는 조치로 판단.

 

>民航局一步明确近期国内机票免退票要求 : 8月3日,民航局下通知,明确旅客在2021年8月4日0前已购买乘机日期在8月4日至8月31日的国内机票,自8月4日0起至航班起前可以免退票,航空公司及其航空售代理人不得收取用;8月4日0前已申退票的旅客,不适用本通知。(中民航

 

 

 

[2021.08.03 (화) 필라델피아 반도체] 하나금융투자 반도체 애널리스트 김경민, CFA

 

전일 대비 +0.57%, 3,397선 마감

상승주 23, 하락주 7

 

다우 +0.80%, 나스닥 +0.55%, S&P 500 +0.82%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장중에 3,340선까지 하락하기도 했으나 마이크론의 배당금 지급 결정, 차량용 반도체 공급사 On Semiconductor의 호실적, AMD의 제품 출시 뉴스 영향에 힘입어 상승주 숫자가 하락주 숫자를 초과하며 전일 대비 상승 마감

 

마이크론 +4.15%, 분기 배당 지급 시작. 배당금은 주당 10센트. 큰 금액은 아니지만 향후 Cash flow의 안정적 흐름을 암시한다는 측면과 설비 투자의 변동성이 완화된다는 전망이 부각되며 의외로 주가에 긍정적 영향. 전일 한국 증시에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주가가 각각 상승한 것도 마이크론의 주가에 긍정적 영향

 

온세미컨덕터 +3.99%, 차량용 및 산업용 반도체 공급사. 3분기 가이던스는 시장 예상을 상회했고, 4분기 관련 질문에 대해서는 계절적으로 비수기가 맞지만 매출 감소는 마이너스 0~2% Q/Q 내외로 제한적이라고 답변한 것이 주가에 긍정적 영향. 같은 날 동종업종에서 차량용 반도체 공급사 NXP가 온세미컨덕터처럼 호실적을 달성한 것도 주가에 긍정적 영향

 

AMD +3.62%, GPU 시장의 경쟁사 엔비디아의 ARM Holdings 인수가 영국 규제 당국의 승인 불발로 성사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뉴스가 엔비디아와 경쟁하는 AMD 주가에 긍정적 영향. 한편, 엔비디아 주가는 크게 하락하지 않고 전일 대비 +0.33%로 마감. 아울러 AMD가 애플의 맥 프로 제품에 하이엔드급 Radeon PRO 그래픽카드를 공급한다는 뉴스도 긍정적 영향. 전문가용 작업에 걸맞는 3D 렌더링, 8K 해상도 구현

 

마이크로칩 +1.26%, 차량용 반도체 공급사로 온세미컨덕터와 NXP에 이어 실적 발표. 분기 실적이 사상 최고 수준 달성. 연간 설비 투자 가이던스를 225~275백만 달러에서 300~350백만 달러로 상향 조정. 전방 산업의 수요 대비용이라는 측면에서 긍정적

 

IPG 포토닉스 -18.30%, 다음 분기 매출 가이던스가 350~380백만 달러로 컨센서스 368~400백만 달러 대비 하회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에 포함되지 않은 메모리 반도체 및 스토리지 주가는 전반적 상승. 조만간 Western Digital이 실적 발표 예정. Western Digital +2.24%, 실리콘 모션 +1.65%, Seagate +2.17%

 

감사합니다.

 

『하루를 여는 혁신투자자문 IPO News Daily💌 - 20210804』

 【 텔레그램 채널 주소 : https://t.me/KoreaIB

 【 IPO상장문의 및 이경준 대표 Contact ☞ 📧 ipo@kakao.com 】

 

 

===========================

 

요즘은 왜 기사에 코멘트 없냐 질문들 있지만,

사실은...

 나름대로 익명으로 열심히 인터뷰 중...

 

===========================

 

★ 금일 IPO 일정 ★

 08/03~08/04 롯데렌탈 수요예측⚖️

 08/03~08/04 브레인즈컴퍼니 수요예측⚖️

 08/04~08/05 플래티어 청약🖨

 08/04~08/05 엠로 청약🖨

 

☆ 금주 남은 IPO 일정 ☆

 08/04~08/05 플래티어 청약🖨

 08/04~08/05 엠로 청약🖨

 08/05 크래프톤 납입🏧

 08/05 원티드랩 납입🏧

 08/05~08/06 한컴라이프케어 청약🖨

 08/05~08/06 딥노이드 청약🖨

 08/06 카카오뱅크 상장★

 08/06~08/09 바이젠셀 수요예측⚖️

 

 

 ------------------------------------------

 

▣ 기관IR 일정 ▣

 - 온라인 간담회로만 진행 中 -

 

▣ 상장 일정(예정, 변경가능) ▣

 08/06 카카오뱅크(KB증권)

 08/09 에이치케이이노엔(한국투자증권, 삼성증권)

 08/10 크래프톤(미래에셋증권)

 08/11 원티드랩(한국투자증권)

 08/12 플래티어(KB증권)

 08/13 엠로(한국투자증권)

 08/17 딥노이드(KB증권)

 08/17 한컴라이프케어(미래에셋증권)

 08/19 브레인즈컴퍼니(키움증권)

 08/19 롯데렌탈(NH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08/20 아주스틸(미래에셋증권)

 08/25 바이젠셀(대신증권)

 09/02 에스앤디(유진투자증권)

 09/03 일진하이솔루스(미래에셋증권, 삼성증권)

 09/09 에이비온(미래에셋증권)

 09/10 와이엠텍(KB증권)

 미정 - 카카오페이(삼성증권)

 

▣ 심사 승인 ▣

 - 실리콘투(삼성증권, 미래에셋증권)

 - 아스플로(미래에셋증권)

 - 원준(NH투자증권)

 - 바이오플러스(키움증권)

 - 프롬바이오(NH투자증권)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 국내 IPO 개별종목

■ 크래프톤, 경쟁률 8대1...증거금 5조원 흥행 `참패'(종합)

https://newsis.com/view/?id=NISX20210803_0001536481&cID=10401&pID=10400

 

■ 카카오뱅크, 따상 가능할까…6일로 쏠리는 시선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932726629143712&mediaCodeNo=257&OutLnkChk=Y

 

■ 바이오플러스, 상장 예심 승인…VC 회수 눈앞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8021044160720103287&lcode=00&page=1&svccode=00

 

■ 모비데이즈, 내년 IPO 목표…주관사 '하나금투' 낙점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7301029352600106888&lcode=00&page=4&svccode=00

 

 

▶️▶️▷ IPOmarket(해외IPO포함)

■ 거래소, 미국스팩&IPO·친환경 ETF 2종 5일 상장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693286629143712&mediaCodeNo=257&OutLnkChk=Y

 

 

▶️▶️▷ 시장 이모저모

■ 사모펀드, 10월부터 일반·기관용 구분

https://www.fnnews.com/news/202108031846356842

 

■ [단독]中 1위 여행사 트립닷컴, 인터파크 인수 참여 추진…야놀자와 韓·中 대결 펴나[마켓인사이트]

http://marketinsight.hankyung.com/apps.free/free.news.view?aid=202108039135u&category=IB_FREE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