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스터디를 위해 개인적으로 스크랩한 증시캘린더, 국내 및 해외마감 시황, 뉴스 자료를 공유합니다.
1) 증시캘린더는 개인적으로 관련된 소식을 확인후 작성한 일정이라 변동 또는 오류의 소지가 있습니다.
2) 노션으로 공유한 링크는 익스플로러에선 제대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크롬에 최적화, 엣지, 웨일에서도 잘 작동합니다.
( 공유 자료링크는 1~2일후 공유 해지 합니다.)
게시물은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한 것이라
불확실하거나 오류가 많을 수 있으므로 투자 활용시 유의하시기 바라며, 개별적인 종목 추천이나 상담은 하지 않습니다.
모쪼록 제 공간에 오신 모든 분들이 주식스터디를 통해 인생 한 방보다, 꾸준함을 믿으며...
복리의 마법으로 모든 분들이 성공한 개인투자자가 되시길...
뉴욕증시, 고용 회복에 최고치 경신...아메리카항공 7.5%↑ [출근전 꼭 글로벌브리핑]
[미국증시 마감시황]
■ 고용지표 앞두고 상승…S&P500·나스닥 최고치
현지시간 5일 뉴욕 증시에서 주요 지수가 일제히 상승했다. 투자자들은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감소한 데 주목하며 내일(6일) 발표될 7월 고용보고서에 큰 기대를 나타냈다.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0.78% 상승한 3만5064.25에 마감했다. 대형주 위주의 (S&P)500지수는 0.60% 오른 4429.10,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0.78% 상승한 1만4895.12로 각각 최고치를 경신했다.
지난주 미국의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38만5000건으로 감소세를 보였다. 특히 직전 주 연속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팬데믹 이후 최소치를 나타내 고용시장 개선세를 확인했다.
[특징주]
■ FAANG
주요 기술주인 팡(FAANG) 종목은 모두 상승세를 보였다. 앞서 FAANG은 지난 달 부터 실적을 공개한 바 있는데, 구글과 애플을 비롯해 호실적을 발표하면서 주당순이익과 매출 모두 시장 전망치를 상회했다.
■ 로빈 후드
개인들의 매매가 몰리며 전날 50% 폭등했던 로빈후드는 기존 주주들이 9790만 주를 매각할 계획이라는 소식에 27.5%나 추락했다.
■ 항공주
코로나19 델타 변이 확산으로 연일 약세를 보였던 항공주를 포함한 여행주는 반등했다. 아메리카항공 주가는 전장보다 7.51% 올랐고 델타항공 주가도 4.28% 상승했다.
■ 에너지주
유가 상승세에 에너지 주가는 반등했다. 데본 에너지가 5.29% 오른 가운데, 옥시덴탈 페트롤륨도 1.94% 상승했다.
[글로벌시장 주요 이슈]
美 증시, 주요 경제 지표 및 연준 인사 발언 주목
美 주간 실업보험청구 38만5천명...예상 부합
美 6월 무역적자 757억 달러...역대 최고
美 7월 감원 계획 1만8,942명...2000년 6월 이후 최저
출처: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108060017&t=NN>
2021년 8월 6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델타 변이로 미 FDA가 추가 접종 계획을 고려 중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2) 아디다스가 2분기 중 중국 수요가 완만하게 회복됐다고 밝혔습니다.
(3) 텐센트가 위챗 신규가입을 재개했습니다.
미 5년 breakeven rate 2.540%, -0.015%p (2% 상회시 유의, 2.5% 상회시 경고)
한국 고객예탁금, 70.0조원 +0.2조원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25%
1개월 NDF 환율 1,143.50원 (-0.25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미국 상승=달리는 말에서 함부로 내리지말자!]
(Feat. 적당히 안좋을 고용보고서??)
<about Market>
오전 강보합으로 시작한 시장은 장중 계속해서 오르며 주요지수 모두 종가 고가로 마감했습니다. 오늘은 S&P500이 종가기준 사상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여행/레저 관련주와 바이오가 큰폭의 상승세를 기록했습니다.
일단 시장은 내일 고용보고서가 적당히 안좋을 것을 예상하는 것처럼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전체 6,739종목중에 70%에 가까운 4,590종목이 상승마감했습니다. 성장하는 기업실적과, 넘쳐나는 유동성에 대한 가정이 바꿜때까지는 업사이드 리스크를 염두해두어야 합니다.
*주간 실업급여 청구건수 : 고용개선 둔화
-전주 : 385K / 컨센 384K / 이전 399K
=코로나 이전 수준 : 210K
-연속 : 2,930K / 3,260K / 3,296K
=코로나 이전 수준 : 1,700K
*코로나 : 신규확진자 증가
(전일 112,279 / WoW +13.5%)
•나스닥 +0.8% / 러셀2000 +1.7%
•S&P500 +0.6% / 다우 +0.8%
-나스닥 Top10 : 상승 9 vs 하락 1
-비트코인 : $41,000
-미국채금리(10y) : 1.224 (+3.4%)
-WTI : $69.20 (+1.5%)
SMART한 주식투자
(2021.08.06) U.S. & EU Market Closing
2021.08.06 진상우
U.S. Market Closing – 05:00 기준
지수 | 종가 | 등락폭 | 등락률 | 상승/하락/보합 |
DOW | 35,064.25 | 271.58 | 0.8% | 26/4/0 |
S&P500 | 4,429.10 | 26.44 | 0.6% | 351/153/1 |
NASDAQ | 14,895.12 | 114.59 | 0.8% | 2283/862/271 |
RUSS 2K | 2,234.66 | 38.33 | 1.7% | 1624/324/26 |
PHLX 반도체지수 | 3,424.46 | -12.43 | -0.4% | 11/19/0 |
VIX지수 | 17.32 | -0.65 | -3.6% |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 티레이더에서 나스닥•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실시간 제공
미국 증시는 개선된 실업 지표와 기업실적 어닝 서프라이즈에 상승세로 마감. 이날 발표된 미국의 주간 실업 보험 청구자 수가 2 연속 감소하며 증시 상승 압력으로 작용. 지난달 7월31일로 끝난 한 주간 실업 보험 청구자 수가 전주 대비 1만4천 명 감소한 38만5천 명을 기록, 지난해 3월 이후 처음으로 300만 명을 하회. 지난 6월 미국의 무역적자는 예상치보다 소폭 증가해 역대 최대 규모를 경신. 상무부가 발표한 6월 무역적자는 전월 대비 6.7% 오른 757억 달러를 기록. 미국 기업들은 견조한 2분기 실적을 발표하며 증시 상승을 지지. 차량 공유업체 우버(UBER)가 올해 2분기 순이익을 11억4천만 달러 기록하며 흑자 전환하며 3.1% 상승, 제약기업 리제네톤 파마슈티컬스(REGN)이 컨센서스를 상회하는 실적을 발표, 코로나 19 예방 및 치료용 이중 항체 칵테일 요법제의 긴급사용 승인 적용범위를 확대하며 4.1% 상승. 아울러, 미국 바이든 대통령이 이날 탄소 배출과 전기차 이슈에 대해 연설, 전기차 확대에 대해 언급하며 자동차 관련주들이 상승. 증시 전문가들은 기업들의 탄탄한 실적이 주가의 강한 모습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 시장은 6일 발표 예정인 미국의 실업률과 비농업부분 고용지표에 주목하고 있는 모습.
U.S. ETF Closing – 05:00 기준
Sector
분류 | 티커 | 현재가 | 등락률 | t신호 | 수익률 | ||
1개월 | 3개월 | 1년 | |||||
금융 | XLF | 37.1 | 1.3% | 햇빛 | 0.1% | -0.1% | 49.4% |
부동산 | VNQ | 107.1 | 1.2% | 햇빛 | 1.1% | 12.4% | 36.6% |
에너지 | XLE | 49.1 | 1.1% | 안개 | -7.0% | -4.4% | 35.1% |
유틸리티 | XLU | 67.5 | 1.1% | 햇빛 | 4.1% | 3.7% | 15.9% |
자유소비재 | XLY | 182.3 | 1.0% | 햇빛 | -0.8% | 8.8% | 29.5% |
커뮤니케이션 | XLC | 82.8 | 0.9% | 햇빛 | 0.7% | 9.7% | 41.8% |
IT | XLK | 155.0 | 0.6% | 햇빛 | 2.4% | 16.7% | 40.3% |
필수소비재 | XLP | 70.9 | 0.5% | 햇빛 | 1.3% | 1.1% | 14.9% |
산업재 | XLI | 103.1 | 0.5% | 햇빛 | -0.6% | 0.1% | 35.1% |
소재 | XLB | 82.9 | -0.1% | 햇빛 | -0.4% | -4.1% | 35.8% |
헬스케어 | XLV | 133.1 | -0.4% | 햇빛 | 3.2% | 8.7% | 28.2% |
자료: 티레이더,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금일 섹터별 ETF에서는 에너지(XLE/+1.1%), 금융(XLF/+1.3%) ETF가 상승한 반면, 헬스케어(XLV/-0.4%) ETF가 하락. 에너지 업종 기업들의 견조한 실적 발표가 에너지(XLE) ETF 상승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 미국 석유기업 마라톤오일(MRO)이 2분기 시장 예상치를 상회하는 매출과 순이익을 발표하며 6.9% 상승, 데본에너지(DVN)의 배당으로 44% 오른 주당 49센트를 지급한다는 소식에 5.4% 상승. 금융(XLF) ETF에서는 미국 금융사 링컨내셔널(LNC)의 영업이익이 49억 달러로 집계돼 컨센서스를 상회하며 7.8% 상승, 금융(XLF) ETF 상승을 주도. 한편, 보험회사 시그나(CI/-10.8%)의 의료 비용 청구 금액이 예상보다 큰 폭으로 증가하며 헬스케어 섹터 ETF의 하락을 주도.
Thematic
분류 | 티커 | 현재가 | 등락률 | t신호 | 수익률 | ||
1개월 | 3개월 | 1년 | |||||
레져/엔터테인먼트 | PEJ | 49.3 | 2.4% | 안개 | -4.4% | 15.4% | 56.6% |
기술혁신 | ARKK | 125.6 | 1.9% | 햇빛 | 0.7% | 26.2% | 58.9% |
수송 | XTN | 83.5 | 1.8% | 안개 | -1.1% | -6.4% | 42.2% |
기초소재 | IYM | 130.4 | -0.1% | 햇빛 | -1.0% | -4.7% | 33.9% |
클린에너지 | ICLN | 22.9 | -0.8% | 햇빛 | -2.3% | 11.0% | 47.3% |
자료: 티레이더,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금일 테마 ETF에서는 레저/엔터테인먼트(PEJ/+2.4%), 기술혁신(ARKK/+1.9%) ETF가 상승한 반면, 클린에너지(ICLN/-0.8%) ETF가 하락. 레저/엔터테인먼트(PEJ) ETF에서는 미디어 그룹 비아콤(VIAC/+7.1%)과 소셜 카지노 업체인 플레이티카(PLTK/+9.7%)가 시장 예상을 웃도는 2분기 실적 지표를 발표하며 상승을 주도. 기술혁신(ARKK) ETF에서는 바이오테크 기업 인텔리아 세리퓨틱스(NTLA), 생명공학기업 에디타스메디신(EDIT)의 견조한 실적 발표에 15%가량 상승. 한편, 기술혁신(ARKK) ETF의 로빈후드(HOOD)의 주가가 기존 주주들이 9천790만 주를 매각할 계획이라는 소식에 전일 50.4% 오른 이후 이날 27.3% 하락.
EU Market Closing – 04:00 기준
지수 | 종가 | 등락률 | 구분 | 업종 | 등락률 |
STOXX 600 | 469.96 | +0.4% | 상승 | 부동산 | 1.0% |
정보기술 | 0.8% | ||||
헬스케어 | 0.8% | ||||
하락 | 소재 | -0.7% | |||
필수소비재 | -0.2% | ||||
자유소비재 | -0.1% | ||||
지수 | 종가 | 고가 | 저가 | 등락폭 | 등락률 |
獨 DAX | 15,744.67 | 15,751.88 | 15,672.27 | 52.54 | 0.3% |
英 FTSE 100 | 7,120.43 | 7,130.35 | 7,099.03 | -3.43 | 0.0% |
佛 CAC 40 | 6,781.19 | 6,788.69 | 6,750.86 | 34.96 | 0.5% |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유럽 증시는 기업실적 호조에 대부분 상승 마감. 이날 발표된 주요 기업의 실적이 시장 예상치를 웃도는 수치를 기록하며 증시 상승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 덴마크 제약기업 노보 노디스크(NOVO-B)가 컨센서스를 상회하는 2분기 실적을 발표, 당해 매출 전망치를 상향 조정하며 5.2% 상승, 독일 가전제품 기업 시멘스(SIE)가 올해에만 3차례 당해 가이던스를 상향 조정하며 2.6% 상승. 이날 발표된 경제지표로는 독일 제조업 수주가 전월 대비 4.1% 상승하며 시장 예상치 1.5% 상승을 큰 폭으로 상회하며 증시 상승압력으로 작용. 세계 주요국의 경제가 코로나 펜데믹으로부터 회복세를 보이면서 독일 제조업이 외부 수요에 힘입어 강세를 기록. 영국에서는 영란은행(BOE)이 기준금리를 0.1%로 동결하고 자산 매입 프로그램을 유지하기로 결정. 한편, 영란은행(BOE)은 성명을 통해 인플레이션이 단기적으로는 예상보다 크게 상승할 것이며 올해 4분기와 내년 1분기에는 일시적으로 4%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 아울러, 예측 기간 동안 통화정책의 다소 완만한 긴축이 필요하다고 언급하며 인플레이션이 예상보다 크게 오를 경우 완만한 긴축에 나설 수 있음을 시사하며 증시 상승폭을 제한.
'시황 & 뉴스 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8월 10일(화) 증시캘린더 / 해외마감시황 (0) | 2021.08.10 |
---|---|
8월 9일(월) 증시캘린더 / 해외마감시황 (0) | 2021.08.09 |
8월 5일(목) 증시캘린더 / 해외마감시황 (0) | 2021.08.05 |
8월 4일(수) 증시캘린더 / 해외마감시황 (0) | 2021.08.04 |
8월 3일(화) 증시캘린더 / 해외마감시황 (0) | 2021.0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