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스터디를 위해 개인적으로 스크랩한 증시캘린더, 국내 및 해외마감 시황, 뉴스 자료를 공유합니다.
1) 증시캘린더는 개인적으로 관련된 소식을 확인후 작성한 일정이라 변동 또는 오류의 소지가 있습니다.
2) 노션으로 공유한 링크는 익스플로러에선 제대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크롬에 최적화, 엣지, 웨일에서도 잘 작동합니다.
( 공유 자료링크는 1~2일후 공유 해지 합니다.)
게시물은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한 것이라
불확실하거나 오류가 많을 수 있으므로 투자 활용시 유의하시기 바라며, 개별적인 종목 추천이나 상담은 하지 않습니다.
모쪼록 제 공간에 오신 모든 분들이 주식스터디를 통해 인생 한 방보다, 꾸준함을 믿으며...
복리의 마법으로 모든 분들이 성공한 개인투자자가 되시길...
나스닥, 국채금리 상승세에 발목…모더나 5.7%↓ [출근전 꼭 글로벌브리핑]
미 증시, 1조달러 투자 법안 통과 속 혼조…다우·S&P 최고치
유럽 상승, 중국 혼조·베트남 상승
[글로벌시장 지표/8월 11일 오전 6시 현재]
[미국증시 마감시황]
■ 1조달러 투자 법안 통과…다우·S&P 최고치
현지시간 10일 뉴욕증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우려 속에 상원에서 1조 달러 규모의 사회기반시설(인프라) 투자 법안이 통과됐다는 소식으로 혼조세로 마감했다. 다우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0.46% 오른 35,264.67로 거래를 마쳤다. S&P500지수는 0.10% 상승한 4,436.75를,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0.49% 하락한 14,788.09로 장을 마감했다. 다우지수와 S&P500지수는 사상 최고치를 또다시 경신했고, 나스닥지수는 국채 금리 상승 흐름에 하락했다.
이날 투자자들의 관심사는 인프라 법안과 코로나19 델타 변이 우려, 국채 금리 움직임 등이었다. 미 상원은 1조 달러 규모의 인프라 법안을 통과시켰다. 이는 도로, 교량, 수도, 광대역 통신 등에 투자하는 법안으로 5천500억 달러 규모의 신규 투자도 포함하고 있다. 조 바이든 대통령이 의회에 요청한 4조 달러의 초대형 예산안 중 일부에 해당하며 이번 법안이 미 하원을 통과하려면 여름 휴회를 거쳐 9월 중순 이후까지 기다려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날 국채금리가 상승세를 이어가면서 은행주는 강세를 보였다. 웰스파고와 골드만삭스는 2%대 뛰었고 뱅크오브아메리카도 1.87% 올랐다. 에너지주 역시 반등에 성공했다. 유가 반등에 엑손모빌과 셰브런의 주가는 각각 1.7%, 1.8% 올랐다.
[특징주]
■ FAANG
주요 기술주인 팡(FAANG) 종목은 모두 약세를 보였다. 넷플릭스가 0.79% 가장 큰 하락률을 기록했고 이어 아마존(-0.63%), 애플(-0.34%), 페이스북(-0.13%), 구글(-0.08%) 모두 약보합권에서 거래를 마쳤다.
■ 코인베이스
코인베이스 주가는 정규장에서 3.85% 하락 마감했다. 장 마감 후 2분기 실적을 발표한 코인베이스는 22억3천만 달러의 매출을 기록해 시장 예상치(17억8천만 달러)를 가뿐히 상회했다. 조정 주당 순이익 역시 3.45달러로 시장 예상(2.33달러)을 웃돌았다.
■ AMC
AMC 주가는 전날 장 마감 후 예상보다 더 낮은 분기 손실을 발표했다는 소식에 오르다가 6% 하락 마감했다. AMC는 모든 미국 영화관 체인에서 비트코인을 결제 수단으로 허용하기로 했다.
■ 모더나
전날 17%대 급등한 모더나 주가는 장중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지만 차익 실현 움직임에 5.7% 떨어졌다.
출처: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108110012&t=NN>
2021년 8월 11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미 상원이 인프라 예산을 통과시키면서 은행 등 금융주가 올랐습니다.
(2) 4분기 PC D램 가격이 5% 하락할 수 있다는 우려로 마이크론이 5% 내렸습니다.
(3) 소프트뱅크가 최근 중국 포지션을 줄였고 AI 기업들 투자를 10% 증액했다고 밝혔습니다.
미 5년 breakeven rate 2.588%, +0.029%p (2% 상회시 유의, 2.5% 상회시 경고)
한국 고객예탁금, 71.5조원 +1.6조원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22%
1개월 NDF 환율 1,153.99원 (+4.19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미국 혼조 = 경기민감주 상승]
(Feat.다우 신고가 vs 나스닥 차익실현)
<about Market>
오전 주요지수 모두 강세로 시작했습니다. 그러나 시작 직후부터 나스닥 성장주들은 차익실현 매물에 하락전환하였습니다. 반면 경기민감주를 중심으로 다우와 S&P500은 장초반 상승세를 끝까지 유지하며, 역사상 신고가로 마감하였습니다.
*인프라 부양책 : 신규예산 $1t 상원통과
<Transportation>
=$110b : 도로
=$66b : 철도
=$39b : 대중교통
=$25b : 공항
=$17b : 항만
=$15b : 전기차 (민주당 Original $174b)
<Non transportation>
=$65b : 전력망 개선
=$65b : 인터넷 보급
=$55b : 물
=$50b : 유틸리티 인프라&보안
=$47b : 기후변화대응
=$21b : 환경정화(폐유전 등)
=$2b : 인터넷 보안
*코인베이스 2Q21 실적 : 슈퍼 서플
-시가총액 : $56b
-매출 : $2.23b / 컨센 $1.88b
-EPS : $6.78 / 컨센 $2.69
-순이익 : $1.6b / 컨센 $0.6b
☑️논쟁은 많지만, 결국 미국 자본주의는 코인을 하나의 합법적인 자산(화폐는 아님)으로 인정(과세+규제+시스템)하려 하고있습니다.
*코로나 : 신규확진자 증가
(전일 102,375 / WoW +38.1%)
•나스닥 -0.5% / 러셀2000 +0.1%
•S&P500 +0.1% / 다우 +0.5%
-나스닥 Top10 : 상승 2 vs 하락 8
-비트코인 : $46,000
-미국채금리(10y) : 1.347 (+2.3%)
-WTI : $68.41 (+2.9%)
SMART한 주식투자
(2021.08.11) U.S. & EU Market Closing
2021.08.11 진상우
U.S. Market Closing – 05:00 기준
지수 | 종가 | 등락폭 | 등락률 | 상승/하락/보합 |
DOW | 35,264.60 | 162.75 | 0.5% | 20/10/0 |
S&P500 | 4,436.82 | 4.47 | 0.1% | 325/180/0 |
NASDAQ | 14,788.09 | -72.09 | -0.5% | 1426/1690/308 |
RUSS 2K | 2,239.37 | 4.56 | 0.2% | 1179/774/21 |
PHLX 반도체지수 | 3,358.87 | -40.89 | -1.2% | 7/23/0 |
VIX지수 | 16.73 | 0.01 | 0.1% |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 티레이더에서 나스닥•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실시간 제공
미국 증시는 1조 달러 규모의 인프라 투자 법안 가결 소식에 주목하며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 우려에도 강세로 마감. 업종별로는 에너지와 자재, 필수소비재 섹터가 상승했고, 유틸리티, 헬스케어, 부동산 관련 주가 하락. 엑슨모빌(XON)과 쉐브론(CVX)는 유가 반등에 2% 가량 상승, 미국 식품 및 식자재 유통업체 시스코(SYY)가 컨센서스를 웃도는 경영 실적을 발표하며 7.3% 상승. 이날 미국 상원이 1조 달러 규모의 인프라 투자 법안을 가결. 해당 법안에는 운송, 도로 및 광대역 부문에 5천500억 달러 규모의 신규 투자를 포함하고 있으며 최근 들어 부각되고 있는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가 완화된 모습. 한편, 해당 법안의 하원 통과 시점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으며 하원은 9월 20일까지 휴회할 예정이라 여전히 몇 달이 더 소요될 예정. 한편, 미국의 코로나 19 신규 확진자 수는 7일 평균 하루 약 12만4천명으로 또다시 증가,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프랑스, 이스라엘 등을 포함한 7개국에 대한 여행 경보를 4단계로 상향조정하며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한 우려가 지속. 이날 발표된 경제지표로는 미국의 2분기 비농업 부문 노동 생산성이 전 분기 대비 2.3% 상승하며 시장 예상치를 하회, 2분기 비농업 단위 노동비용은 전 분기 대비 1.0% 상승.
U.S. ETF Closing – 05:00 기준
Sector
분류 | 티커 | 현재가 | 등락률 | t신호 | 수익률 | ||
1개월 | 3개월 | 1년 | |||||
에너지 | XLE | 49.7 | 1.8% | 안개 | -0.9% | -6.1% | 36.8% |
소재 | XLB | 85.3 | 1.5% | 햇빛 | 3.6% | -2.3% | 38.7% |
금융 | XLF | 38.4 | 1.1% | 햇빛 | 4.8% | 2.9% | 55.3% |
산업재 | XLI | 104.2 | 1.0% | 햇빛 | 1.3% | 1.6% | 36.3% |
필수소비재 | XLP | 71.7 | 0.7% | 햇빛 | 1.1% | 2.2% | 14.7% |
자유소비재 | XLY | 181.5 | 0.4% | 햇빛 | 0.7% | 7.5% | 27.3% |
커뮤니케이션 | XLC | 82.8 | 0.2% | 햇빛 | 1.8% | 9.6% | 39.5% |
유틸리티 | XLU | 67.5 | 0.1% | 햇빛 | 2.9% | 4.1% | 15.4% |
헬스케어 | XLV | 133.1 | -0.2% | 햇빛 | 3.8% | 8.4% | 26.6% |
IT | XLK | 153.2 | -0.8% | 햇빛 | 0.9% | 14.6% | 35.7% |
부동산 | VNQ | 105.3 | -1.0% | 햇빛 | -0.1% | 9.1% | 34.6% |
자료: 티레이더,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금일 섹터별 ETF에서는 에너지(XLE/+1.8%), 소재(XLB/+1.5%), 금융(XLF/+1.1%) ETF가 상승한 반면, IT(XLK/-0.8%) ETF가 하락. 미국 에너지정보청(EIA)이 이날 발표한 월간 에너지 전망 보고서에서 올해 상반기 미국의 휘발유 소비가 하루 평균 860만 배럴로 지난해 하반기보다 증가했다고 발표, 국제유가가 반등하며 에너지(XLE) ETF 상승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 9월물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장보다 2.7% 상승한 배럴당 68.29달러에, 10월물 브렌트유 가격은 2.5% 상승한 배럴당 70.76달러에 거래. 한편, 반도체 기업 마이크론 테크놀로지(MU) 매출 구조에서 60% 이상을 차지하는 디램(DRAM) 가격 하락 예상에 마이크론 테크놀러지(MU)가 5.4% 하락하며 IT(XLK) ETF 하락을 견인.
Thematic
분류 | 티커 | 현재가 | 등락률 | t신호 | 수익률 | ||
1개월 | 3개월 | 1년 | |||||
미국 인프라 개발 | PAVE | 27.1 | 2.2% | 햇빛 | 5.9% | 3.1% | 57.4% |
수송 | XTN | 84.6 | 1.7% | 햇빛 | 1.7% | -6.6% | 44.9% |
기초소재 | IYM | 134.1 | 1.7% | 햇빛 | 3.1% | -3.6% | 36.8% |
생명공학 | IBB | 173.0 | -1.8% | 햇빛 | 8.6% | 14.9% | 30.0% |
기술혁신 | ARKK | 121.4 | -2.6% | 햇빛 | 4.3% | 15.9% | 48.0% |
자료: 티레이더,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금일 테마 ETF에서는 미국인프라개발(PAVE/+2.2%), 수송(XTN/+1.7%), 기초소재(IYM/+1.7%) ETF가 상승한 반면, 기술혁신(ARKK/-2.6%), 생명공학(IBB/-1.8%) ETF가 하락. 미국 인프라 법안의 상원 통과에 대한 기대가 미국인프라개발(PAVE) ETF 상승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 민주당 척 슈머 상원 원내대표는 이날 3조5천억 달러에 달하는 예산안 처리에 필요한 예산 결의안을 공개. 슈머 원내대표는 결의안에서 상원의 12개 상임위원회가 다음 달 15일까지 상임위별 예산안을 제출하면 이를 취합해 심사에 들어간다는 일정표를 제시. 수송(XTN) ETF에서는 캐나다 철도회사 캐나디언퍼시픽(CP/+1.6%)이 미국 철도회사 캔자스시티서던(KSU)에 대한 인수 금액을 310억달러로 높여 제시했다는 소식에 9.9% 상승, 미국 항공사 스카이웨스트(SKYW)이 16대의 '엠브라에르 E175 리저널' 제트 여객기들을 주문, 델타 커넥선 브랜드로 운항을 진행할 예정이라는 소식에 5.8% 상승.
EU Market Closing – 04:00 기준
지수 | 종가 | 등락률 | 구분 | 업종 | 등락률 |
STOXX 600 | 472.21 | +0.3% | 상승 | 소재 | 0.9% |
에너지 | 0.7% | ||||
자유소비재 | 0.5% | ||||
하락 | 부동산 | -0.2% | |||
헬스케어 | -0.1% | ||||
정보기술 | -0.1% | ||||
지수 | 종가 | 고가 | 저가 | 등락폭 | 등락률 |
獨 DAX | 15,773.67 | 15,802.15 | 15,733.65 | 28.26 | 0.2% |
英 FTSE 100 | 7,162.65 | 7,164.25 | 7,115.87 | 30.35 | 0.4% |
佛 CAC 40 | 6,824.04 | 6,833.12 | 6,811.77 | 10.86 | 0.2% |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유럽 증시는 기업들이 어닝 서프라이즈 행진을 이어가며 상승세로 마감. 이날 2분기 경영 실적을 발표한 주요 기업으로 아일랜드의 판타지 스포츠 기업 플러터 엔터테인먼트(FLTR)의 상반기 경영 실적이 컨센서스를 상회, 당해 매출 가이던스를 상향 조정하며 7.8% 상승, 독일 음식배달업체 딜리버리 히어로가 경쟁업체인 영국 딜리버루(ROO)의 지분 5.09%를 취득했다는 소식에 딜리버루(ROO)가 7.5% 상승. 한편,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 우려가 지속하며 증시 상승폭을 제한, 최근 중국을 중심으로 방역 규제가 뒤따르면서 시장의 우려가 커진 모습. 금주 주요 경제지표 발표로는 독일 8월 ZEW 경기기대지수가 40.4로 집계돼 시장 예상치를 하회. ZEW의 아킴 웜바크 대표는 가을부터 4차 코로나 확산 가능성과 중국의 경제 성장 둔화에 독일 경제에 대한 위험이 커진 점을 경제신뢰지수 하락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 시장에서는 11일 발표 예정인 미국의 물가지수 발표에 주목하고 있는 모습.
[2021.08.10 (화) 필라델피아 반도체] 하나금융투자 반도체 애널리스트 김경민, CFA
전일 대비 -1.20%, 3,359선 마감
상승주 6, 하락주 24
다우 +0.46%, 나스닥 -0.49%, S&P 500 +0.10%
뉴욕 증시에서 다우 지수는 상대적으로 선방했으나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전일 대비 1.2% 하락
지난주에 52주 신고가 경신한 이후 목, 금, 월, 화요일까지 4영업일 연속 조정
미국 상원이 1조 달러 규모의 인프라 투자 법안을 통과시켰는데 이러한 뉴스가 반도체 업종 수요와 연관성이 낮아 반도체 업종이 상대적으로 소외됨
한편 반도체 공급 부족 관련해 칩의 리드 타임이 줄어들지 않는다는 블룸버그 뉴스도 반도체 업종 투자 심리에 부정적 영향을 끼침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내에서 상승주보다 하락주가 많았음
상승주 중에 비교적 대형주라고 할만한 종목은 노광 장비 공급사 ASML ADR +0.08%, 차량용 반도체 공급사 NXP +0.07%. 양사 모두 최근에 52주 신고가 경신. 실적 발표 내용도 전반적으로 양호했었음
한편 마이크론과 Two Six가 각각 -5.36%, -4.35% 기록하며 가장 크게 하락
마이크론의 경우 최근 PC DRAM 현물 가격 하락과 더불어 분기 실적 및 업황의 피크 아웃 우려가 주가 하락에 영향을 끼침
Two Six의 경우 이번 분기 실적은 무난했으나 다음 분기 가이던스 중에서 EPS 가이던스가 0.75~0.90달러로 컨센서스(0.80~1.06달러)를 하회해 실적 발표 이후 주가 하락
감사합니다.
———————————
하나금투 IT 김록호/김현수
———————————
8/11 (수) 하나 테크 헤드라인
<주요 뉴스>
# Global tablet shipments slip in 2Q21, but to grow 30% in 3Q21
태블릿 출하량은 3분기에 30% 가까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기타 뉴스>
# 급부상한 샤오미, 5G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1위…삼성은 4위
샤오미가 전 세계 5세대 이동통신(5G)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제조사 중 점유율 1위에 올랐다.
# 한국 찾은 애플카 실무진, 'K배터리·전장' 택할까
애플의 자율주행 전기차 ‘애플카’를 개발하는 실무진이 비밀리에 방한해 LG·SK그룹 등을 만난 것으로 알려지면서, ‘애플카’의 핵심 부품·배터리 등을 국내 기업이 공급할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 LG전자 무료 콘텐츠 플랫폼 'LG 채널' 서비스 대폭 확대
LG전자[066570]는 웹OS(webOS) TV에 기본 탑재하고 있는 무료 콘텐츠 플랫폼인 'LG 채널' 서비스를 대폭 확대한다고 10일 밝혔다.
<글로벌 업체 주가 동향>
애플 -0.34%
샤오미 +2.43%
ZTE +0.45%
레노버 +1.91%
무라타 +0.63%
타이요유덴 +1.50%
야교 -2.57%
Ibiden -0.84%
Shinko -1.23%
인텔 -0.20%
마이크론 -5.36%
TSMC -0.67%
퀄컴 -0.71%
미디어텍 +0.11%
UDC -1.42%
BOE +0.34%
AUO -2.08%
Tesla -0.53%
CATL -1.07%
Umicore +2.51%
Albemarle +3.31%
(위 내용은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득함)
★하나IT텔레그램: https://t.me/ITforYouFromHana
[2021.08.10 (화) 대만 가권지수 -0.92%, 17,324p] 하나금융투자 반도체 애널리스트 김경민, CFA
업종별 등락: 반도체 -0.75%, 금융 -0.35%, 플라스틱 -1.50%, 해운/운송 -2.02%, 철강 -1.69%, 건설 -0.36%, 시멘트 -0.81%, 제지 -1.82%, 자동차 -1.23%, 석유/가스/전기 -0.17%
외국인 순매도 2,656억 원
대만 가권지수는 전일 (월요일) 뉴욕 증시 혼조세 영향과 WTI 유가 하락 (69 -> 68 -> 66달러) 영향을 받아 동반 하락. 반도체 업종이 부진한 가운데 경기 민감 업종을 대표하는 플라스틱, 해운/운송 업종이 모두 부진
반도체 업종에서 각 섹터별 대표주가 대체로 부진. 시총 대표주 TSMC -0.7% 마감. 메모리 업종에서 난야테크 -3.8%, 윈본드 -0.9%, 매크로닉스 -0.9% 기록. 서버 업종에서 Aspeed -5.3%, Nuvoton -2.5%, Wiwynn -0.2% 마감. 7월 대만 매출은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으나 서버 업종에서 부품 공급 이슈 상존
대만달러는 전일 대비 약세. TWD 27.838 기록
감사합니다.
『하루를 여는 혁신투자자문 IPO News Daily💌 - 20210811』
【 텔레그램 채널 주소 : https://t.me/KoreaIB 】
【 IPO상장문의 및 이경준 대표 Contact ☞ 📧 ipo@kakao.com 】
===========================
《📌Today's Topic1》
‘따상’은커녕…공모가 무너진 크래프톤
http://www.kookje.co.kr/mobile/view.asp?gbn=v&code=0200&key=20210811.22013002886
☞ 공모주 투자 전문가인 이경준 혁신투자자문 대표는 “크래프톤은 특정 게임과 국가에 대한 매출 편중이 과도하다”며 “공모가가 지나치게 높아 부진을 예상했다. 오히려 첫날 주가 흐름은 선방한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
《📌Today's Topic2》
[시그널] “참여 기관 99%가 공모가 싸다”···롯데렌탈 공모주 더 받는 방법은?
https://www.sedaily.com/NewsView/22Q4UB8YO2
☞ 이경준 혁신투자자문 대표는 “비교기업 등을 볼 때 공모가 자체는 낮은 편“이라며 ”카셰어링 사업 부문의 매출이 본격화되지 않았고 최근 공모주 고평가 논란이 시장에서 계속되고 있어 비교적 보수적으로 가격을 책정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금일은 [ 원티드랩 ] 상장일 입니다.
[ 원티드랩 _공모가 35,000원 ]
º 시가총액 : 1,646억원(4,703,068주)
º 유통가능 : 338억원(964,393주, 20.51%)
º 수요예측 내역
총 참여건수 : 1,597건
실 유효건수 : 1,596건(99.94%)
총 경쟁률 : 1,503.91 대 1
총 확약 비중 : 건수 기준 172건(10.77%), 수량 기준 10.98%
º 일반청약률 : 1,731.23 대 1(237,467건)
#채용플랫폼 #AI
===========================
★ 금일 IPO 일정 ★
08/11 원티드랩 상장★
☆ 금주 남은 IPO 일정 ☆
08/12 플래티어 상장★
08/12 롯데렌탈 납입🏧
08/12 아주스틸 납입🏧
08/12 브레인즈컴퍼니 납입🏧
08/12~13 바이젠셀 청약🖨
08/13 엠로 상장★
------------------------------------------
▣ 기관IR 일정 ▣
- 온라인 간담회로만 진행 中 -
▣ 상장 일정(예정, 변경가능) ▣
08/11 원티드랩(한국투자증권)
08/12 플래티어(KB증권)
08/13 엠로(한국투자증권)
08/17 딥노이드(KB증권)
08/17 한컴라이프케어(미래에셋증권)
08/19 브레인즈컴퍼니(키움증권)
08/19 롯데렌탈(NH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08/20 아주스틸(미래에셋증권)
08/25 바이젠셀(대신증권)
09/02 에스앤디(유진투자증권)
09/03 일진하이솔루스(미래에셋증권, 삼성증권)
09/08 에이비온(미래에셋증권)
09/10 와이엠텍(KB증권)
09/16 현대중공업(미래에셋대우, 한국투자증권)
09/17 차백신연구소(삼성증권)
미정 - 카카오페이(삼성증권)
▣ 심사 승인 ▣
- 실리콘투(삼성증권, 미래에셋증권)
- 아스플로(미래에셋증권)
- 원준(NH투자증권)
- 바이오플러스(키움증권)
- 프롬바이오(NH투자증권)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 국내 IPO 개별종목
■ 大魚 크래프톤, 따상커녕 ‘참혹한 데뷔전’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21081001072427100002
■ '5조+8조'…현대중공업·오일뱅크 상장 '본격화'
■ [단독] SK배터리, 수조원대 프리IPO 시동···글로벌 PEF와 협상
■ [시그널] 차백신, B형간염 백신 앞세워 다음달 IPO 공모
https://www.sedaily.com/NewsView/22Q4TQZFDP
■ 시몬느, 실적도 업종도 '화창'…IPO 흥행 기대
▶️▶️▷ IPOmarket(해외IPO포함)
■ 옥석 가리기 본격화...하반기 눈여겨 볼 공모주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210810000579
■ '독립형 워런트' 필요성 제기…기관투자자 참여 유인 확대
▶️▶️▷ 시장 이모저모
■ S·K·K 3총사에 몰린 돈 8조… 오늘 코스피 거래대금의 38%
■ 백약이 무효한 코넥스...올들어 코넥스 상장 2곳뿐
https://www.etoday.co.kr/news/view/2052539
■ '라임투자사 주가조작' 주범 2심도 징역 12년…"반성하게 장기 격리해야"
https://www.news1.kr/articles/?4399645
■ [IB토마토]서비스 인프라 인색한 SK증권, 민원최다 불명예
http://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1065030&inflow=N
■ [단독] '곰표맥주' 세븐브로이 대표, 소액주주 지분 헐값매입 의혹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시황 & 뉴스 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8월 13일(금) 증시캘린더 / 해외마감시황 (0) | 2021.08.13 |
---|---|
8월 12일(목) 증시캘린더 / 해외마감시황 (0) | 2021.08.12 |
8월 10일(화) 증시캘린더 / 해외마감시황 (0) | 2021.08.10 |
8월 9일(월) 증시캘린더 / 해외마감시황 (0) | 2021.08.09 |
8월 6일(금) 증시캘린더 / 해외마감시황 (0) | 2021.08.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