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스터디를 위해 개인적으로 스크랩한 증시캘린더, 국내 및 해외마감 시황, 뉴스 자료를 공유합니다.
1) 증시캘린더는 개인적으로 관련된 소식을 확인후 작성한 일정이라 변동 또는 오류의 소지가 있습니다.
2) 노션으로 공유한 링크는 익스플로러에선 제대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크롬에 최적화, 엣지, 웨일에서도 잘 작동합니다.
( 공유 자료링크는 1~2일후 공유 해지 합니다.)
게시물은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한 것이라
불확실하거나 오류가 많을 수 있으므로 투자 활용시 유의하시기 바라며, 개별적인 종목 추천이나 상담은 하지 않습니다.
모쪼록 제 공간에 오신 모든 분들이 주식스터디를 통해 인생 한 방보다, 꾸준함을 믿으며...
복리의 마법으로 모든 분들이 성공한 개인투자자가 되시길...
뉴욕증시, 소매판매 부진·엇갈린 실적에 하락...모더나 7.4%↑ [출근전 꼭 글로벌브리핑]
미 증시, 5거래일 연속 상승 행진 멈춰
유럽 대부분 약세, 중국·베트남 하락
[글로벌시장 지표/8월 18일 오전 6시 현재]
[미국증시 마감시황]
■ 소매판매 부진·엇갈린 실적 반응에 3대 지수↓
현지시간 17일 뉴욕증시는 7월 소매판매 부진에 이어 월마트, 홈디포 등의 2분기 실적 호조에도 엇갈린 반응이 나타나면서 하락 마감했다.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 발표를 하루 앞두고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의 발언에 시선이 집중됐지만, 통화정책에 대한 별다른 언급은 없었다.
다우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0.79% 하락한 35,343.28에 거래를 마쳤다. S&P500지수는 0.71% 내린 4,448.08을,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0.93% 밀린 14,656.18로 장을 마감했다. 다우지수와 S&P500지수는 전일까지 사상 최고치를 연달아 경신했지만, 이날은 3대 주요 지수 모두 내렸다.
투자자들의 관심사는 미국 7월 소매판매 등 경제지표와 파월 연준 의장의 연설, 대형 소매기업 실적 발표 등이었다. 이날 발표된 미국 7월 소매판매는 예상보다 큰 폭으로 줄었다. 미 상무부는 7월 소매판매가 한 달 전보다 1.1% 감소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시장 전망치 0.3%를 웃도는 감소 폭이다.
미국 FOMC 의사록 발표를 하루 앞두고 주목을 받았던 제롬 파월 의장의 발언은 통화정책에 대한 별다른 언급 없이 지나갔다. 파월 의장은 이날 교사, 학생들과의 화상 타운홀 미팅에서 "델타 변이 확산이 경제에 갖는 의미가 명확하지 않다"며 "팬데믹은 특별한 시기이며, 특별한 세대를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대형 소매기업 실적 발표에도 투자자들의 관심이 모아졌다. 전 세계 1위 유통업체 월마트의 주가는 올해 미국의 동일 점포 매출 전망치를 상향 조정했지만 0.03% 하락 마감했다. 실적을 공개한 홈디포는 동일 점포 매출(4.5% 증가)이 예상치(5%)를 밑돌면서 4.27% 떨어졌다.
[특징주]
■ FAANG
주요 기술주인 팡(FAANG) 종목은 넷플릭스(+0.19%)를 제외하고 모두 약세를 보였다. 페이스북이 2.21% 가장 큰 폭의 하락률을 기록했고 아마존과 구글은 모두 1%대 약세를 나타냈다. 애플은 0.62% 약보합권에서 거래를 마쳤다.
■ 테슬라
테슬라 주가는 2.98% 내린 665.71달러에 마감했다. 이날 골드만삭스는 테슬라의 19일 AI데이를 앞두고 강세를 보이고 있다며 매수 등급을 유지했다.
■ 모더나.화이자
델타 변이 확산 소식에 이날 모더나 주가는 7.49%, 화이자는 3.09% 올랐다.
출처: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108180011&t=NN>
2021년 8월 18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미 증권위원장이 중국 기업의 VIE 상장을 당분간 중단한다고 밝혔습니다.
(2) BofA 조사 결과 중국 주식 숏이 가장 흔한 거래 3위에 올랐습니다.
(3) 중국규제 반사수혜 등으로 인도 증시가 역사적 신고가를 기록했습니다.
미 5년 breakeven rate 2.533%, -0.030%p (2% 상회시 유의, 2.5% 상회시 경고)
한국 고객예탁금, 71.9조원 -2.3조원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36%
1개월 NDF 환율 1,178.18원 (+1.78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미국 하락 = 소비우려 -> 차익실현]
(Feat. 고용회복+인플레안정+소비둔화)
<about Market>
아침 시장은 7월 소매판매가 예상치를 하회하며 갭하락 시작했습니다. 최근 4일간 연준 위원들의 조기 테이퍼링 코멘트도 이겨내며 신고가를 경신한 시장은 소매판매 데이타에는 무릎을 꿇은 격입니다.
갭하락 후 점심무렵까지 차익실현성 매물이 지속된 시장은 점심시간을 지나며 저점을 만들며 저가매수가 유입되기 시작했습니다. 결국 이후 꾸준히 반등세를 유지하며 저점기준 절반수준을 회복하며 마무리되었습니다.
미국 GDP에서 가계소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2019년 기준 68.7%입니다. 한국의 경우 2019년 기준 48.5%입니다. 결국 미국에서 소비가 둔화되면 이는 후행적으로 생산자 경기를 둔화시킵니다. 7월 소비둔화 시그널의 가장 큰 원인은 현금보너스 효과의 소멸입니다. 다음으로 코로나 재확산을 들 수 있습니다.
결국 현재 상황을 요약하면,
1. 고용은 회복세이며(약간의 의구심),
2. 경기회복세는 피크아웃 한 것 같고,
3. 인플레이션은 안정화 단계에 진입했고,
4. 파월의장은 임기는 얼마 안남았고,
5. 대규모 재정부양책은 확정되었으며,
6. 인위적인 통화부양책(국채매입)은 끝이 보이는 상황입니다.
*소매판매(MoM)
-7월 -1.1% / 컨센 -0.3% / 6월 +0.7%
☑️소매판매 둔화 -> 경제우려 증가
*NABH 주택지수
-8월 75 / 컨센 80 / 7월 80
☑️주택시장 안정화 -> 인플레우려 감소
*코로나 : 신규확진자 증가
(8/13 금 103,797 / WoW +1.8%)
✔️5개 주 일간 신규확진자수 사상 최고치
(2회접종자 비율 /인구 10만명당 확진자수)
-Oregon : 56.8% / 39명
-Hawaii : 54.3% / 47명
-Florida : 50.3% / 101명
-Louisiana : 38.3% / 126명
-Mississippi : 35.8% / 110명
-USA : 51.0% / 39명
•나스닥 -0.9% / 러셀2000 -1.2%
•S&P500 -0.7% / 다우 -0.8%
-나스닥 Top10 : 상승 0 vs 하락 10
-비트코인 : $45,000
-미국채금리(10y) : 1.265 (+0.6%)
-WTI : $66.50 (-0.8%)
SMART한 주식투자
(2021.08.18) U.S. & EU Market Closing
2021.08.18 진상우
U.S. Market Closing – 05:00 기준
지수 | 종가 | 등락폭 | 등락률 | 상승/하락/보합 |
DOW | 35,343.28 | -282.12 | -0.8% | 7/22/1 |
S&P500 | 4,448.08 | -31.63 | -0.7% | 150/353/2 |
NASDAQ | 14,656.18 | -137.58 | -0.9% | 1038/2244/155 |
RUSS 2K | 2,177.17 | -26.24 | -1.2% | 547/1414/13 |
PHLX 반도체지수 | 3,256.82 | -65.82 | -2.0% | 1/29/0 |
VIX지수 | 17.91 | 1.79 | 11.1% |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 티레이더에서 나스닥•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실시간 제공
미국 증시는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 우려와 부진한 경제지표에 약세로 마감. 미국 내 코로나 바이러스 신규 감염이 급증하면서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 우려가 지속하며 증시 하락 압력으로 작용. 미국의 오레곤, 하와이, 루이지애나, 플로리다 등 백신 접종률이 낮은 주를 중심으로 확진자가 빠르게 증가하는 양상. 아울러 탈레반 무장조직의 아프가니스탄 수도 카불 점령에 따른 지정학적 리스크도 증시에 부담으로 작용. 바이든 대통령은 아프가니스탄에서 미군을 철수하기로한 결정을 전적으로 지지한다고 언급. . 이날 발표된 주요 경제지표로는 미국의 7월 소매판매가 전월 대비 1.1% 감소하며 시장 예상치인 0.3% 보다 큰 감소폭을 기록. 7월 산업생산은 전월 대비 0.9% 오르며 예상치를 웃도는 증가세를 기록, 제조업 생산은 전월보다 1.4% 증가. 시장 참가자들은 오는 18일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 발표를 앞두고 연준의 입장에 주목하고 있는 모습. 시장에서는 테이퍼링 축소 시간표를 앞당길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 월스트리트저널은 전일 연준 위원들이 내년 중반까지 연준의 자산매입 종료를 저울질하고 있다고 보도.
U.S. ETF Closing – 05:00 기준
Sector
분류 | 티커 | 현재가 | 등락률 | t신호 | 수익률 | ||
1개월 | 3개월 | 1년 | |||||
헬스케어 | XLV | 136.8 | 1.2% | 햇빛 | 5.9% | 10.2% | 30.0% |
필수소비재 | XLP | 73.0 | 0.1% | 햇빛 | 3.2% | 3.1% | 16.7% |
유틸리티 | XLU | 69.1 | 0.1% | 햇빛 | 6.6% | 5.4% | 20.3% |
부동산 | VNQ | 106.5 | -0.1% | 햇빛 | 0.6% | 8.2% | 36.7% |
금융 | XLF | 38.2 | -0.7% | 햇빛 | 4.3% | 1.5% | 59.8% |
커뮤니케이션 | XLC | 82.6 | -0.8% | 햇빛 | 1.7% | 5.7% | 36.3% |
IT | XLK | 154.4 | -0.8% | 햇빛 | 1.5% | 11.4% | 33.5% |
에너지 | XLE | 48.0 | -1.0% | 안개 | -2.5% | -7.9% | 39.3% |
산업재 | XLI | 104.2 | -1.1% | 햇빛 | 0.6% | 0.8% | 38.8% |
소재 | XLB | 85.0 | -1.2% | 햇빛 | 4.7% | -2.3% | 39.0% |
자유소비재 | XLY | 176.4 | -2.4% | 안개 | -2.5% | 3.8% | 22.2% |
자료: 티레이더,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금일 섹터 별 ETF에서는 헬스케어(XLV/+1.2%) ETF와 필수소비재(XLP/+0.1%) ETF가 상승한 반면, 소재(XLB/-1.2%), 자유소비재(XLY/-2.4%) ETF가 하락. 헬스케어(XLV) ETF에서는 미국에서 코로나 바이러스 델타 변이가 확산하는 가운데 일반인을 상대로 한 부스터샷 접종에 대한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거쳐 오는 가을부터 시작할 예정이라는 소식에 코로나 백신 관련 기업 모더나(MRNA/+7.3%)와 화이자(PFE/+3.0%)가 상승하며 헬스케어(XLV) ETF 상승을 주도. 한편,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에 대한 우려와 성장 둔화 가능성에 자유소비재(XLY) ETF가 약세를 시현, 미국 가정용품 유통업체 홈디포(HD/-4.3%)와 로우스(LOW/-5.8%)가 큰 폭으로 내리며 하락세를 견인.
Thematic
분류 | 티커 | 현재가 | 등락률 | t신호 | 수익률 | ||
1개월 | 3개월 | 1년 | |||||
생명공학 | IBB | 170.6 | 1.9% | 햇빛 | 3.1% | 13.9% | 28.8% |
워런 버핏 | MOAT | 76.0 | -0.2% | 햇빛 | 1.6% | 4.3% | 40.1% |
글로벌 천연자원 | GNR | 52.0 | -1.8% | 안개 | 1.0% | -3.1% | 37.4% |
반도체 | SOXX | 444.7 | -1.9% | 안개 | 0.4% | 4.5% | 50.1% |
주거건축 | XHB | 75.4 | -3.2% | 햇빛 | 3.7% | 2.4% | 41.4% |
자료: 티레이더,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금일 테마 ETF에서는 생명공학(IBB/+1.9%) ETF가 상승한 반면, 주거건축(XHB/-3.2%)과 반도체(SOXX/-1.9%) ETF가 하락. 생명공학(IBB) ETF에서는 트라베리 테라퓨티컬스(TVTX)가 최근 lgA 치료제 후보 물질인 스파르센탄에 대한 3상 연구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발표하며 14.2% 상승, 트라베리는 유럽의약품청(EMA) 산하의 희귀의약품위원회(COMP)로부터 lgAN 치료 희귀의약품 지정에 대한 긍정적인 의견을 받았고 미국과 유럽에서 FSGS 치료제로 희귀약 지정. 한편, 최근 D램 가격 하락 전망이 촉발한 반도체 업황의 불확실성이 커진 가운데 반도체주에 대한 전문가의 투자의견과 실적 전망이 엇갈리면서 반도체(SOXX) ETF가 약세로 마감.
EU Market Closing – 04:00 기준
지수 | 종가 | 등락률 | 구분 | 업종 | 등락률 |
STOXX 600 | 474.06 | +0.1% | 상승 | 헬스케어 | 1.0% |
에너지 | 1.0% | ||||
필수소비재 | 0.6% | ||||
하락 | 부동산 | -0.7% | |||
자유소비재 | -0.6% | ||||
금융 | -0.4% | ||||
지수 | 종가 | 고가 | 저가 | 등락폭 | 등락률 |
獨 DAX | 15,931.56 | 15,937.47 | 15,811.57 | 5.83 | 0.1% |
英 FTSE 100 | 7,181.66 | 7,188.55 | 7,118.67 | 27.68 | 0.4% |
佛 CAC 40 | 6,826.26 | 6,827.49 | 6,789.11 | -12.51 | -0.2% |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유럽증시는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 우려에 보합세로 마감. 글로벌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세가 급증하면서 시장의 투자심리가 위축된 모습. 시장 참가자들은 코로나 바이러스 델타 변이 신규 확진자 수가 증가해 재차 글로벌 경제가 둔화될 가능성을 우려. 델타 변이 바이러스가 코로나 우세종이 되며 미국과 유럽에서는 접종률을 높이고 부스터샷을 준비하며 위드 코로나 전환을 대비하는 움직임을 보여. 아울러 중국발 규제 강화 불확실성에 아시아 증시가 약세로 마감한 점이 증시 상승폭을 제한. 개별 종목으로는 영국 주식 거래 플랫폼 Plus500(PLUS)가 컨센서스를 웃도는 2분기 경영 실적을 발표하며 5.1% 상승한 반면, 중국 인터넷 기업 텐센트의 대주주인 네덜란드 인터넷 투자 기업 프로서스(PRX)가 중국발 규제 리스크에 3.2% 하락. 금일 발표된 주요 경제지표로는 유로존 2분기 국내총생산(GDP)가 전분기 대비 2.0% 증가하며 시장 예상치에 부합하며 반등세를 유지. 영국의 지난 7월 실업보험 청구자 수는 7천8백 명 감소, 6월까지 3개월간 실업률은 4.7% 기록.
[하나금융투자 중국/신흥국전략 김경환]
*텔레그램 채널 : https://t.me/HANAchina
>17일 중국증시 마감 하이라이트
(1) 본토와 홍콩증시 동반 급락 : 본토는 자체 수급 과열 이슈, 홍콩은 규제 공포로 외국인의 급격한 이탈 재현. 본토는 개인 신용과 테마 수급 과열 속에서 당국 발행-유통시장 감독 강화 분위기가 차익실현 빌미. 홍콩은 규제와 미 SEC 상장금지 등 이슈가 악재. 본토는 4,400개 종목 중 3,800개 하락, 심천 창업판 5거래일 연속 하락. 오후장 로컬 기관과 개인 모두 수급 과집중 고PER주 투매. 3대 성장주 테마(반도체/신재생/CXO)는 물론, 고PER 소비주(백주/제약) 역시 대거 매도. 홍콩증시는 7월말 이후 두번째 패닉 셀 발생, 강구퉁 자금보다 외국인 이탈 심화. 한편, 본토 환율, 금리, 상품시장은 안정적.
(2) 항셍테크 다시 3.1% 급락, 7월말 이후 최저 : 오후장 낙폭 확대. 오전 ‘인터넷 부정경쟁 행위 금지 의견’ 발표 외에 정부의 바이트 댄스(TiK Tok) 지분 확보(3개 국유기업 분산 취득) 루머도 외국인의 빅테크 투매 현상 재차 촉발 추정. 중국 ADR과 홍콩 빅테크의 핑퐁식 악재 전염 지속. 실적시즌 마무리되고 9월 전후 각종 법안 입법과 규제성 의견 강도 파악 이전 투자심리 근본적인 회복은 무리인 상태. 단기 키를 쥔 강구퉁 자금도 본토 안정화가 선행되야 유입될 가능성.
(3) 실적시즌 막바지, 내수경기 회복 지연과 거시정책 아쉬움에 따라 인내력을 요구하는 시기 : 반복적인 흔들림은 결국 경기/실적 1차 정점통과 이후 턴어라운드 시그널(정책/내수) 지연에 따라 각종 악재에 취약. 본토증시는 상대적으로 가치주/방어주 랠리에 유리한 대형지수 구조와 환율/금리 안정에 따라 홍콩 대비 우위 좀 더 연장될 가능성. 홍콩은 대내외 악재가 선방영된 상태에서 9월 이후 내수경기의 반등 국면(실적 추정치 상향조정)에 항생과 항생H지수 중심 모멘텀 회복 예상.
(위 문자의 내용은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득하였음)
『하루를 여는 혁신투자자문 IPO News Daily💌 - 20210818』
【 텔레그램 채널 주소 : https://t.me/KoreaIB 】
【 IPO상장문의 및 이경준 대표 Contact ☞ 📧 ipo@kakao.com 】
===========================
《📌Today's Topic》
LG엔솔·카페·현중…하반기 '공모주 대전' 온다
https://newsis.com/view/?id=NISX20210817_0001550631&cID=15001&pID=15000
☞ 이경준 혁신투자자문 대표는 "현재 증시가 내려가고 공모가는 목 끝까지 올라온 상황에서 기업별로 상장 시점에 따라 흥행 여부가 갈릴 것"이라며 "카카오페이와 LG에너지솔루션의 경우 해당 분야의 시장 상황이 좋고 탄탄한 경쟁력을 갖췄기 때문에 이와 상관없이 자금이 몰릴 것"이라고 내다봤다.
===========================
★ 금일 IPO 일정 ★
08/18 바이젠셀 납입🏧
☆ 금주 남은 IPO 일정 ☆
08/19 롯데렌탈 상장★
08/19 브레인즈컴퍼니 상장★
08/19~20 일진하이솔루스 수요예측⚖️
08/19~20 에스앤디 수요예측⚖️
08/20 아주스틸 상장★
------------------------------------------
▣ 기관IR 일정 ▣
- 온라인 간담회로만 진행 中 -
▣ 상장 일정(예정, 변경가능) ▣
08/19 롯데렌탈(NH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08/19 브레인즈컴퍼니(키움증권)
08/20 아주스틸(미래에셋증권)
08/25 바이젠셀(대신증권)
09/02 에스앤디(유진투자증권)
09/03 일진하이솔루스(미래에셋증권, 삼성증권)
09/08 에이비온(미래에셋증권)
09/10 와이엠텍(KB증권)
09/16 현대중공업(미래에셋대우, 한국투자증권)
09/17 차백신연구소(삼성증권)
09/23 바이오플러스(키움증권)
미정 - 카카오페이(삼성증권)
▣ 심사 승인 ▣
- 실리콘투(삼성증권, 미래에셋증권)
- 아스플로(미래에셋증권)
- 원준(NH투자증권)
- 프롬바이오(NH투자증권)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 국내 IPO 개별종목
■ 롯데렌탈, IPO 덕분에 '부정적' 신용등급 전망 털어내 [마켓인사이트]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108177694i
■ [단독] 현대카드, IPO 지연에 FI 자금 회수…푸본생명 백기사 등판
https://www.theguru.co.kr/news/article.html?no=24338
■ '만년 3위' 원스토어 IPO 통해 글로벌 앱마켓 겨냥
https://paxnetnews.com/articles/77431
■ NHN, 자회사 연이은 상장 추진…페이코도 상장 후보
■ "IPO 위한 사전작업?"…현대L&C, 대규모 무상증자 추진
http://www.newsprime.co.kr/news/article/?no=551036
■ LG에너지솔루션, 잇단 전기차 배터리 화재로 '뒤숭숭'…IPO도 '불안불안'
http://theviewers.co.kr/View.aspx?No=2003889
■ [현대엔지니어링 IPO]예심 청구 10월 초 마지노선…내년 2월 공모 마무리
■ 'IPO 카드' 에스에스지닷컴, 궤도 변경 '수익성→외형 성장'
■ [단독] 'IPO 앞둔' 바이오노트, 유바이오로직스 '2대 주주' 등극…"시너지 효과 기대"
https://news.mtn.co.kr/newscenter/news_viewer.mtn?gidx=2021081710170279430
■ 엔케이에테르, 독립 후 1년만에 코스닥 입성 추진
■ 키네타, 유진투자증권과 IPO 주관사 계약 체결
▶️▶️▷ IPOmarket(해외IPO포함)
■ 장외시장 가격 믿지 말라…상장 한달 뒤 수익률 평균 -20%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162776
■ 신규상장 급감·이전 상장 기업 폭등…IPO 초호황이 부른 ‘코넥스패싱’ [株포트라이트]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210817000261
■ 우리사주 청약률 보면 공모주 '따상' 보인다
https://www.mk.co.kr/news/stock/view/2021/08/796826/
■ IPO시장 활황·벤처 붐에…벤처캐피털 실적 '고공비행'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1081796681
▶️▶️▷ 시장 이모저모
■ 이사는 44억, 과장은 18억…억소리 나는 증권맨 보수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5152886629148304&mediaCodeNo=257&OutLnkChk=Y
■ 반기보고서 무더기 '의견거절'…"투자자 주의요망"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5156166629148304&mediaCodeNo=257&OutLnkChk=Y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시황 & 뉴스 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8월 20일(금) 증시캘린더 / 해외마감시황 (0) | 2021.08.20 |
---|---|
8월 19일(목) 증시캘린더 / 해외마감시황 (0) | 2021.08.19 |
8월 17일(화) 증시캘린더 / 해외마감시황 (0) | 2021.08.17 |
8월 16일(월) 증시캘린더 / 해외마감시황 (0) | 2021.08.16 |
8월 13일(금) 증시캘린더 / 해외마감시황 (0) | 2021.08.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