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주식 스터디를 위해 개인적으로 스크랩한 증시캘린더, 국내 및 해외마감 시황, 뉴스 자료를 공유합니다.

1) 증시캘린더는 개인적으로 관련된 소식을 확인후 작성한 일정이라 변동 또는 오류의 소지가 있습니다.

2) 노션으로 공유한 링크는 익스플로러에선 제대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크롬에 최적화, 엣지, 웨일에서도 잘 작동합니다.

    ( 공유 자료링크는 1~2일후 공유 해지 합니다.)

 

게시물은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한 것이라

불확실하거나 오류가 많을 수 있으므로 투자 활용시 유의하시기 바라며, 개별적인 종목 추천이나 상담은 하지 않습니다.

 

모쪼록 제 공간에 오신 모든 분들이 주식스터디를 통해 인생 한 방보다, 꾸준함을 믿으며...

복리의 마법으로 모든 분들이 성공한 개인투자자가 되시길...


"연내 테이퍼링 준비"...이틀 연속 하락 [출근전 꼭 글로벌브리핑]

유럽 약세, 중국 상승·베트남 증시 하락

[글로벌시장 지표/8월 19일 오전 6시 현재]

 

 

[미국증시 마감시황]

 

■ 연준 테이퍼링 논의에 다우 1.08% 하락

 

현지시간 18일 뉴욕증시는 대형 유통업체 타깃, 주택자재업체 로우스 등의 기업 호실적에도 델타 변이 우려와 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자산매입 축소(테이퍼링) 논의에 이틀 연속 하락했다. 다우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08% 하락한 34,960.69에 거래를 마쳤다. S&P500지수는 1.07% 내린 4,400.27을,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0.89% 밀린 14,525.91로 장을 마감했다.

 

투자자들의 관심사는 기업 실적과 7월 FOMC 의사록, 경제지표, 코로나19 확산 등이었다. 특히 7월 FOMC 의사록에서 대부분의 참가자는 "앞으로 경제가 예상대로 광범위하게 발전할 경우 위원회의 `실질적인 추가진전` 기준이 충족되는 것으로 봤기 때문에 자산매입 속도를 줄이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했다"고 언급했다. 하지만 고용시장 판단에 따라 테이퍼링 시작 시기에 대한 의견은 엇갈렸다. 고용시장의 회복 정도를 긍정적으로 본 일부 위원들은 앞으로 몇 달 안에 자산매입 축소를 정당화할 것으로 봤고, 고용 회복이 아직 충분하지 않다고 예상한 다른 위원들은 내년 초에 자산매입 속도를 줄이는 것이 더 적절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날 발표된 경제지표인 7월 신규주택 착공실적은 전월 대비 7.0% 감소한 153만4천채(계절조정치)를 기록했다. 이는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애널리스트 예상치인 3.2% 감소보다 감소폭이 훨씬 컸다. 하지만 신규주택 착공허가 건수는 전월보다 2.6% 증가했다.

 

[특징주]

 

■ FAANG

 

주요 기술주인 팡(FAANG) 종목은 넷플릭스(+0.57%)를 제외하고 일제히 내렸다. 애플이 2.55% 가장 큰 폭의 하락률을 기록했고 아마존도 1.26% 약세를 보였다. 페이스북, 구글은 모두 0.8%대 약보합권에서 거래를 마쳤다.

 

■ 테슬라

 

테슬라 주가는 `AI 데이`를 하루 앞두고 3.5% 오른 688.99달러에 마감했다.

 

■ 백신 관련주

 

미국이 9월부터 부스터 샷(추가접종)을 공식화했지만 백신 관련 주가는 일제히 하락했다. 화이자와 모더나는 각각 2.20%, 0.76% 내렸다. 존슨앤드존슨(J&J)과 노바백스 역시 각각 1.27%, 3.23% 내림세를 기록했다.

 

■ 엔비디아

 

세계 최대 그래픽처리장치(GPU) 업체인 미국의 엔비디아가 GPU 판매 급증으로 지난 2분기 시장 기대치를 상회하는 실적을 거뒀다. CNBC에 따르면 엔비디아는 2분기 65억1000만달러의 매출액을 올렸다고 발표했다. 이는 시장 전망치 평균 63억3000만달러를 웃돈 수준이다. 주당 순이익 역시 1.04달러로 시장 예상치(1.01달러)를 상회했다. 그러나 자사의 가상화폐 칩 제품인 CMP는 지난 5월 엔비디아가 예상한 4억 달러보다 매출이 2억6600만 달러로 저조했다. 장 마감 후 실적을 발표한 엔비디아 주가는 시간외 거래에서 2%대 상승 중이다. 정규장 거래에서는 2.15% 내린 190달러 선에서 거래를 마쳤다.

 

■ 로빈후드

 

미국 주식거래 애플리케이션 업체 로빈후드가 상장 후 첫 실적 발표에서 좋은 성적표를 내놨다. 이날 발표된 2분기 매출은 5억6500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두 배 이상 증가했다. 암호화폐 거래의 급증에 힘입어서다. 그러나 거래 활동 둔화가 이번 3분기 매출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로빈후드측의 경고 후 주가는 시간외 거래에서 7%대 하락 중이다. 정규장 거래에서는 6.7% 상승 마감했다.

 

출처: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108190016&t=NN>

 

 

 

2021년 8월 19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FOMC 의사록이 연내 테이퍼링을 시사하면서 주식시장이 하락했습니다.

 

(2) 텐센트가 규제강화 가능성을 인정하고 적극 수용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3) 당근마켓이 3조원 가치를 인정받고 1,800억원을 조달했습니다.

 

미 5년 breakeven rate 2.510%, -0.023%p (2% 상회시 유의, 2.5% 상회시 경고)

한국 고객예탁금, 70.1조원 -1.8조원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30%

1개월 NDF 환율 1,171.42원 (+3.07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미국 하락 = 테이퍼링??]

(Feat. 변수는 8월고용과 코로나 재확산)

 

☑️8월 고용이 좋을 경우 9 FOMC 테이퍼링 결정, 11월 시작 정도를 전망할 수 있습니다.

 

<about Market>

오전 약보합세로 시작한 시장은 큰 변동성없이 오전을 보냈습니다. 오후 FOMC 회의록이 공개되며 변동성이 크게 증가하였습니다. 결국 시장은 하락과 회복을 반복하다 장 마감에 가까워지며 하락폭을 확대하며 마감하였습니다.

 

최근 선제적으로 조정을 받아온 PSR성장주들은 상대적으로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예컨대 테슬라는 오전 상승폭을 대부분 유지하며 마감하였습니다.

 

*7월 FOMC회의록

-고용은 아직 불완전

-물가 목표치 도달

-고용이 회복될 경우 연내 테이퍼시작

☑️7 FOMC 7월 고용레포트 발표전에 열렸습니다. 그리고 코로나 변이의 본격확산 이전이었습니다. 연내 테이퍼시작을 가정하고 두가지 변수는 8월 고용과 코로나재확산입니다.

 

*코로나 : 신규확진자 증가

(전일 138,960 / WoW +41.9%)

 

•나스닥 -0.9% / 러셀2000 -0.6%

•S&P500 -1.1% / 다우 -1.1%

-나스닥 Top10 : 상승 1 vs 하락 9

 

-비트코인 : $45,000

-미국채금리(10y) : 1.258 (-0.0%)

-WTI : $64.31 (-3.1%)

 

SMART한 주식투자

https://t.me/frankinvest

 

 

(2021.08.19) U.S. & EU Market Closing

2021.08.19 진상우

U.S. Market Closing – 05:00 기준

지수 종가 등락폭 등락률 상승/하락/보합
DOW 34,960.69 -382.59 -1.1% 3/27/0
S&P500 4,400.27 -47.81 -1.1% 65/440/0
NASDAQ 14,525.91 -130.27 -0.9% 1408/1751/281
RUSS 2K 2,164.51 -12.66 -0.6% 637/1305/32
PHLX 반도체지수 3,208.83 -47.99 -1.5% 4/26/0
VIX지수 21.15 3.24 18.1%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 티레이더에서 나스닥•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실시간 제공

 

미국 증시는 코로나 19 델타 바이러스 확산 우려와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이 다소 매파적이라는 분석에 하락세로 마감. 미국 내 코로나 바이러스 신규 감염이 급증하면서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 우려가 지속. 미국 하루 평균 코로나 19 신규 확진자가 14만 명 넘어 2주 전보다 64% 증가. 미 정부는 이날 대중교통 착용 의무화 지침을 4개월 연장하였고, 9월부터 코로나 19 백신의 추가 접종을 제공한다고 발표. 아울러, 이날 공개된 7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록에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위원들이 연내 자산매입축소(테이퍼링) 시작에 의견을 모은 것으로 확인. 한편, 대부분의 위원들이 물가 상승률 목표가 달성됐다고 인정했으나 이는 금리 인상의 전조가 아니며 금리 인상은 경제 흐름에 달려 있다고 언급. 이날 발표된 주요 경제지표로는 지난 7월 미국의 신규 주택착공 실적이 전월 대비 7% 감소한 연율 153만4천 채를 기록하며 시장 예상치를 큰 폭으로 하회, 건설사들이 높은 건설 비용에 착공을 연기한 점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 리얼터닷컴의 라티우 수석이코노미스트는 허가 신청과 완공된 주택이 증가해 8월 실적에는 낙관적이라고 언급.

 

U.S. ETF Closing – 05:00 기준

Sector

분류 티커 현재가 등락률 t신호 수익률






1개월 3개월 1년
자유소비재 XLY 177.1 0.4% 안개 -2.1% 4.3% 22.5%
커뮤니케이션 XLC 82.0 -0.8% 햇빛 1.1% 5.4% 36.5%
금융 XLF 37.7 -1.2% 햇빛 4.9% 2.0% 59.3%
유틸리티 XLU 68.8 -0.5% 햇빛 5.9% 6.2% 19.4%
산업재 XLI 103.1 -1.1% 햇빛 0.3% 0.4% 37.3%
부동산 VNQ 105.6 -0.9% 햇빛 0.6% 7.4% 35.5%
IT XLK 152.3 -1.4% 햇빛 0.1% 10.6% 30.9%
소재 XLB 84.0 -1.2% 햇빛 3.8% -2.3% 38.7%
필수소비재 XLP 72.1 -1.3% 햇빛 2.3% 1.9% 15.2%
헬스케어 XLV 134.7 -1.5% 햇빛 4.0% 9.3% 28.5%
에너지 XLE 47.0 -2.1% 안개 -2.9% -7.5% 38.0%

자료: 티레이더,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금일 섹터 별 ETF에서는 자유소비재(XLY/+0.4%) ETF가 상승한 반면, 에너지(XLE/-2.1%)와 헬스케어(XLV/-1.5%) ETF가 하락. 자유소비재(XLY) ETF에서는 유통업체 로스(LOW)와 소매업체 TJX(TJX)가 컨센서스를 큰 폭으로 상회하는 분기 경영 실적을 발표해 각각 9.9%, 5.4% 오르며 자유소비재(XLY) ETF 상승을 주도. 한편, 이날 9월물 미국서부텍사스산원유(WRI)가격은 배럴당 64.9 달러로 2.5%나 하락, 10월물 북해산 브렌트유 가격은 배럴당 67.7달러로 2%가량 하락하며 에너지 섹터가 마감 직전 급락. 지난 주 미국 원유 재고는 2주 연속 감소, 에너지정보청(EIA)에 따르면 지난주 미국 원유 재고가 전주 대비 320만 배럴 감소했다고 발표했으나 델타 변이 확산 우려와 연준(FED)의 긴축 정책 시작 우려 등에 유가가 큰 폭으로 내려 에너지(XLE) ETF 하락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

 

Thematic

분류 티커 현재가 등락률 t신호 수익률






1개월 3개월 1년
리튬/배터리테크 LIT 80.8 1.3% 안개 0.6% 26.3% 110.5%
IPO IPO 63.4 0.7% 안개 0.4% 4.5% 40.7%
클린에너지 ICLN 22.3 0.6% 안개 -1.1% -1.7% 36.3%
반도체 SOXX 438.8 -1.3% 안개 -1.4% 2.9% 46.6%
글로벌 천연자원 GNR 51.1 -1.6% 안개 -0.8% -5.0% 32.7%

자료: 티레이더,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금일 테마 ETF에서는 리튬/배터리테크(LIT/+1.3%), IPO(IPO/+0.7%), 클린에너지(ICLN/+0.6%) ETF가 상승한 반면, 글로벌 천연자원(GNR/-1.6%)과 반도체(SOXX/-1.3%) ETF가 하락. 리튬/배터리테크(LIT) ETF에서는 전기차 배터리에 대한 수요 증가에 리튬 가격이 큰 폭으로 상승한 점이 리튬/배터리테크(LIT) ETF 상승 원인으로 작용. 원자재 시장 조사기관인 미네랄 인텔리전스(BMI)에 따르면 지난달 기록적인 배터리 셀 출하량에 현물 가격이 상승, 특히 수산화리튬은 전기차 배터리 업계인 하이니켈 제품 개발과 맞물려 수요가 증가. 국제에너지기구(IEA)는 2030년까지 전기차 리튬 수요가 최소 8배에서 최대 17배까지 상승할 것으로 전망. 한편, 반도체(SOXX) ETF에서는 반도체 업체 크리(CREE)가 시장 예상치를 밑도는 실적을 발표 후 9.2% 하락.

 

EU Market Closing – 04:00 기준

지수 종가 등락률 구분 업종 등락률
STOXX 600 474.42 +0.1% 상승 유틸리티 1.3%




헬스케어 1.0%




커뮤니케이션 0.7%



하락 자유소비재 -1.0%




소재 -0.5%




필수소비재 -0.4%
지수 종가 고가 저가 등락폭 등락률
獨 DAX 15,965.97 15,969.85 15,872.99 44.02 0.3%
英 FTSE 100 7,169.32 7,1.79 7,143.55 -11.79 -0.2%
佛 CAC 40 6,770.11 6,828.33 6,759.74 -49.73 -0.7%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유럽증시는 코로나 바이러스 델타 변이 우려가 지속하며 혼조세로 마감. 글로벌 코로나 바이러스 델타 변이 확산세가 급증하면서 시장의 투자심리가 위축해 경기민감주에서 유틸리티와 헬스케어 섹터로 자금이 유입된 모습. 최근 시장은 예상치를 웃도는 어닝 시즌 결과와 경제지표 개선에 STOXX 600지수가 지난 10년 만에 가장 긴 상승세를 기록했으나, 최근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 우려와 중앙 은행 조치에 대한 불확실성에 상승세가 정체된 모습. 개별 종목으로는 덴마크 맥주회사 칼스버그(CARLSBERG)가 당해 가이던스를 상향 조정, 중국과 러시아 지역 매출이 상승했다는 발표에 2.8% 상승한 반면, 스위스 온라인 제약 기업 주어 로제(ROSE)가 컨센서스를 밑도는 실적을 발표하며 5.6% 하락. 금일 발표된 주요 경제지표로는 영국의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월과 동일한 수준을 기록, 전년 동기 대비로는 2.0% 상승. 유로존의 7월 CPI는 전월 대비 2.2% 상승하며 시장 예상치에 부합, 변동성이 큰 품목을 제외한 근원 CPI는 전월 대비 0.4% 하락, 전년 대비 0.7% 상승.  

 

 

 

출처: <https://m.myasset.com/extern/researchPortal/RP_0001000_P1.cmd?menuid=RP_0105000_P1&searchKeyGubun=1&keyword=&page=1&base_date=20210819052646&gbn=B&res_seq=173378>

 

 

 

 

 

 

 

『하루를 여는 혁신투자자문 IPO News Daily💌 - 20210819』

 【 텔레그램 채널 주소 : https://t.me/KoreaIB

 【 IPO상장문의 및 이경준 대표 Contact ☞ 📧 ipo@kakao.com 】

 

===========================

 

 

📌Today's Topic1》

상장 앞둔 '국내 렌터카 1위' 롯데렌탈, 따상 가능성은

http://naver.me/5Z0n5cA8

☞ 이경준 혁신투자자문 대표는 "실적 성장세도 이어지는 추세인 데다 단순히 PER뿐만 아니라 카셰어링 부문의 성장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며 "물량을 배정받은 기관 상당수가 장기 보유하려는 인식이 높은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

 

📌Today's Topic2》

블랙록ㆍGIC도 못 믿겠다...IPO 수요예측, 가격 발견 기능 '상실'

http://www.investchosun.com/site/data/html_dir/2021/08/17/2021081780175.html

☞ 공모가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기관수가 춘추전국시대를 뛰어넘어 춘추우주시대까지 와 버렸으니, 사실상 가격결정기능 상실.

 

 

===========================

 

금일은 [ 롯데렌탈 ] 상장일 입니다.

 

[ 롯데렌탈 _공모가 59,000원 ]

 º 시가총액 : 2조 1,614억원(36,634,063주)

 º 유통가능 : 7,287억원(12,350,520주, 33.71%)

 º 수요예측 내역

    총 참여건수 : 762건

    실 유효건수 : 718건(94.23%)

    총 경쟁률 : 217.63 대 1

    총 확약 비중 : 건수 기준 31건(4.07%), 수량 기준 14.65%

 º 일반청약률 : 65.81 대 1(709,309건)

 

#그린카 #롯데렌트카 #호텔롯데

 

 

 ------------------------------------------

 

금일은 [ 브레인즈컴퍼니 ] 상장일 입니다.

 

[ 브레인즈컴퍼니 _공모가 25,000원 ]

 º 시가총액 : 1,027억원(4,108,796주)

 º 유통가능 : 307억원(1,229,031주, 29.91%)

 º 수요예측 내역

    총 참여건수 : 1,507건

    실 유효건수 : 1,157건(76.78%)

    총 경쟁률 : 1,428.8 대 1

    총 확약 비중 : 건수 기준 132건(8.76%), 수량 기준 8.93%

 º 일반청약률 : 1,190.39 대 1(233,929건)

 

#IT인프라 #S/W

 

 

===========================

 

★ 금일 IPO 일정 ★

 08/19 롯데렌탈 상장★

 08/19 브레인즈컴퍼니 상장★

 08/19~20 일진하이솔루스 수요예측⚖️

 

☆ 금주 남은 IPO 일정 ☆

 08/19~20 일진하이솔루스 수요예측⚖️

 08/20 아주스틸 상장★

 

 ------------------------------------------

 

▣ 기관IR 일정 ▣

 - 온라인 간담회로만 진행 中 -

 

▣ 상장 일정(예정, 변경가능) ▣

 08/19 롯데렌탈(NH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08/19 브레인즈컴퍼니(키움증권)

 08/20 아주스틸(미래에셋증권)

 08/25 바이젠셀(대신증권)

 09/03 일진하이솔루스(미래에셋증권, 삼성증권)

 09/08 에이비온(미래에셋증권)

 09/10 와이엠텍(KB증권)

 09/16 현대중공업(미래에셋대우, 한국투자증권)

 09/17 차백신연구소(삼성증권)

 09/23 바이오플러스(키움증권)

 09/24 에스앤디(유진투자증권)

 09/24 실리콘투(삼성증권, 미래에셋증권)

 미정 - 카카오페이(삼성증권)

 

▣ 심사 승인 ▣

 - 아스플로(미래에셋증권)

 - 원준(NH투자증권)

 - 프롬바이오(NH투자증권)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 국내 IPO 개별종목

■ 상장 앞둔 롯데렌탈, 올 2분기 역대 최대 실적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10818/108606336/1

 

■ 현대오일뱅크, IPO 주관사에 NH·KB·CS 등 선정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163179

 

■ ‘K뷰티 전도사’ 실리콘투, 9월 증시 입성 [마켓인사이트]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108182870i

 

■ 현대중공업, 주관사단에 '최대 118억' 지급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8131756593000103281&lcode=00&page=1&svccode=00

 

■ 아벨리노랩, 기술성평가 재도전 'IPO 속도'

https://paxnetnews.com/articles/77515

 

 

▶️▶️▷ IPOmarket(해외IPO포함)

■ 증시 반등에 공모주 투자자 안도…아주스틸 따상 기대 '솔솔'

http://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1067611&inflow=N

 

■ [강세장과 함께 찾아 온 핫 IPO | ①역대급 활황] 새내기주 공모가 대비 수익률 80% 육박

http://www.naeil.com/news_view/?id_art=396151

 

■ 공매도보다 무서운 자회사 상장..."언제까지 눈뜨고 코 베이나"

https://www.sedaily.com/NewsView/22Q8KR1A4N

 

■ [K바이오 IPO 전성시대] 레졸루트 이후 ‘나스닥 2호 기업’ 언제 나올까

https://economist.co.kr/2021/08/18/bioHealth/bio/20210818150300637.html

 

■ 온라인 청약도 수수료 받는 증권사들…한투 올해만 100억 챙겨

http://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1067588&inflow=N

 

 

▶️▶️▷ 시장 이모저모

■ 연기금, 대형·경기민감株 팔고 새내기·성장株 샀다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1081827001

 

■ “외국인 앞으로 더 팔아봐야 6조… 셀코리아 바닥 왔다”

https://www.fnnews.com/news/202108181841227317

 

■ 공모주 열풍에…상반기 증권사 전산장애 분쟁 2000건

https://newsis.com/view/?id=NISX20210818_0001551805&cID=15001&pID=15000

 

■ [단독] '삼성자동차' 26년 만에 역사 속으로…지분 완전정리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1081827171

 

■ '몸값 3조' 당근마켓의 무한확장

https://www.sedaily.com/NewsView/22Q8KLDKA2

 

■ 폴라리스오피스, 비대면 환경 덕 '흑자전환'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8181106572840101768&lcode=00&page=2&svccode=00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