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주식 스터디를 위해 개인적으로 스크랩한 증시캘린더, 국내 및 해외마감 시황, 뉴스 자료를 공유합니다.

1) 증시캘린더는 개인적으로 관련된 소식을 확인후 작성한 일정이라 변동 또는 오류의 소지가 있습니다.

2) 노션으로 공유한 링크는 익스플로러에선 제대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크롬에 최적화, 엣지, 웨일에서도 잘 작동합니다.

    ( 공유 자료링크는 1~2일후 공유 해지 합니다.)

 

게시물은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한 것이라

불확실하거나 오류가 많을 수 있으므로 투자 활용시 유의하시기 바라며, 개별적인 종목 추천이나 상담은 하지 않습니다.

 

모쪼록 제 공간에 오신 모든 분들이 주식스터디를 통해 인생 한 방보다, 꾸준함을 믿으며...

복리의 마법으로 모든 분들이 성공한 개인투자자가 되시길...


나스닥, 파월 50bp 인상 검토에 2%↓...항공주 강세 [출근전 꼭 글로벌브리핑]

파월 발언 이후 나스닥 지수 '뚝'…지난 2주 사이 최대폭 하락

장중 미 10년물 수익률 2.9%까지 ↑

유럽 혼조·중국·베트남 하락

[글로벌시장 지표 / 4월 22일 오전 6시 현재]

 

 

 

[미국증시 마감시황]

 

뉴욕증시는 21일(현지시간) 하락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368.03포인트(1.05%) 하락한 3만4792.76에 마감했다. S&P500지수는 65.79포인트(1.48%) 하락한 4393.66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278.41포인트(2.07%) 하락한 1만3174.65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시장은 기업 실적을 주시하며 상승세를 보였으나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연준) 의장의 발언 공개 이후 하락세가 심화됐다.

 

파월 의장은 이날 오는 5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의 기준금리 0.5% 포인트 인상을 강력히 시사했다. 그는 국제통화기금(IMF) 총회에서 크리스틴 라가르드 유럽중앙은행(ECB) 총재 등과 패널 토론에 참석해 금리 인상을 위해 "조금 더 신속하게 움직이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한다. 5월 회의에서는 50bp(0.5% 포인트)가 테이블 위에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파월의 발언 이후 주가들의 하락세는 심화됐다. 나스닥 지수는 지난 14일 이후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다.

 

장중 미국채 10년물 수익률이 2.9%까지 치솟았다. 2018년 말 이후 최고치 부근에 머문 것으로 주식시장 투자자들의 불안감을 자극했다.

 

한편 팩트셋(FactSet)에 따르면 지금까지 S&P500 기업 중 17% 이상이 수익을 보고했으며 그 중 약 81%가 시장 기대치를 상회했다.

 

[특징주]

 

■ 기술주

 

채권 수익률 상승으로 주요 기술주는 주춤한 모습을 보였다. 메타 플랫폼과 구글 모기업 알파벳 주가는 각각 6.16%, 2.52% 내렸다. 아마존 주가도 3.70% 하락했다.

 

전날 주가가 35% 이상 폭락했던 넷플릭스(-3.52%) 이틀 연속 하락세를 보였다.

 

 항공주

 

유나이티드항공은 올해 흑자를 낼 것으로 보인다는 소식 이후 주가는 9.31% 올랐다. 아메리칸항공은 1분기 실적이 시장 예상치를 웃돌았다는 소식에 주가는 3.80% 뛰었다.

 

■ 테슬라

 

테슬라는 전날 시장 예상치를 크게 웃돈 1분기 실적을 발표하고 주가가 3.23% 상승했다.

 

■ AT&T

 

통신업체 AT&T는 예상치를 웃돈 실적 발표에 힘입어 주가가 4.01% 급등했다.

 

[유럽증시 마감시황]

 

유럽 주요국 증시는 혼조 마감했다.

 

독일 프랑크푸르트 증시의 DAX 지수는 전거래일 종가 대비 0.98% 오른 14,502.51로 장을 마쳤다. 파리 증시의 CAC 40 지수는 1.36% 상승한 6,715.10으로 끝났다. 범유럽 지수인 유로 Stoxx 50 지수도 0.80% 오른 3,928.03으로 거래를 종료했다.

 

반면 영국 런던 증시의 FTSE 100 지수는 홀로 0.02% 내린 7,627.95로 마감했다.

 

[중국증시 마감시황]

 

중국 증시는 하락 마감했다.

 

이날 상해종합지수는 전일대비 2.26% 하락한 3,079.81포인트에 마감한 가운데, 선전성분지수와 기술주 중심의 창업판 지수는 각각 2.70%, 2.17% 내렸다.

 

중국 증시 하락세는 코로나19 확산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경기 둔화 우려가 커진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이날 시장에서는 방직업 등이 강세를 보였고 여행, 재배업은 약세를 보였다.

 

[베트남증시 마감시황]

 

베트남 증시는 6거래일 연속 하락 마감했다.

 

베트남 벤치마크 VN지수는 전 거래일에 비해 14.51p, 1.05% 급락한 1,370.21p로 거래를 마쳤다. 이날 지수는 중소형 종목을 중심으로 높은 매도 압력을 받아 하락장으로 마감했는데, 이는 지난 10월 8일 이후 6개월만에 최저치다.

 

베트남증시 시가총액 상위30대 종목으로 구성된 VN30지수도 8.63p(0.60%) 하락한 1,426.87p로 마감했고 11개 종목 상승, 17개 종목이 하락했다.

 

중소형주 위주의 하노이증권거래소 HNX지수는 13.42p 하락한 366.61p를, 비상장기업 시장의 UPCoM지수도 1.51p 떨어진 104.89p를 기록하며 거래를 마쳤다.

 

외국인 투자자들은 9,350억동 순매수로 5거래일 연속 순매수를 이어갔다.

 

 

 

[국제유가]

 

국제유가는 상승했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6월물 미국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전 거래일 대비 1.60달러(1.6%) 상승한 배럴당 103.79달러에 마감했다.

 

[금]

 

금값은 하락했다. 뉴욕상품거래소(COMEX)에서 6월물 금 선물 가격은 전장대비 7.40달러(0.4%) 하락한 온스당 1948.20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출처: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204220009&t=NN>

 

 

 

 

 

 

2022년 4월 22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미 금리선물 시장이 7월 50bp 인상 가능성을 반영했습니다.

 

(2) 인터넷 기업들의 투자가 감소할 것이라는 우려로 반도체주가 내렸습니다.

 

(3) 시진핑 주석이 중국의 제로 코로나 정책 강행 의사를 고수했습니다.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227%p (-0.030%p)

한국 고객예탁금, 60.4조원 -0.6조원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78%

1개월 NDF 환율 1,241.40원 (+2.90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미국증시 하락 : 나스닥 3% 넘는 변동성]

(Feat. 테슬라효과를 눌러버린 우려)

 

☑️오늘 주가 변동을 보면 시장은 meta>Amazon>Google>MS>Apple 순서로 실적에 대해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빅테크 실적발표가 마무리되는 다음주 월~수 이후 안정화 기대

 

✔️Snap실적발표 : 하회 but 시간외 +6%

=매출 : $1.06b vs 컨센 $1.07b

=EPS : -$0.02 vs 컨센 $0.01

=DAU : 332m vs 컨센 330m

+투자자들이 성장주에게서 원하는 것은 여전히 수익성보다는, 견고한 고성장성에 대한 증명

 

✔️연준 Powell

=5월 50bp 인상 (50bp인상 1회+@)

=중립금리까지 신속하게 갈 것

=인플레 3월 피크아웃 가능성 O / 기대 X

=미국 노동시장 강력(but 과열+비정상)

=세계화트렌드 끝 = 인플레 + 생산성저하

(전쟁으로 가속화)

=연준은 공급망 해결 불가능

 

✔️연준 James Bullard (Super Hawk)

=75bp올려도 아무일 없을 것(??????)

=금리인상 전망 일부분 시장 이미 반영

=나머지는 올리면 추가반영 될 것

=연준은 늦었고, 신속하게 행동해야

 

<Market>

•전일 장마감후 서프라이즈한 실적발표와 상하이 셧다운 우려를 불식시킬만한 2분기 판매대수 가이던스를 제시한 Tesla효과로, 주요지수는 나스닥중심의 급등세로 시작

 

•그러나 시작 직후부터 하루종일 매수세를 압도하는 매도세가 나스닥에 투하되며 지수는 계속 하락하여 종가 저가 마감, 나스닥은 +1%갭상승으로 시작하여 -2%하락 마감

(일별 나스닥 적극매도규모는 1분기 하락구간의 2/3수준이지만 실종된 매수세로 지수는 계속 하락)

 

•실적에 대한 불안감이 큰 몇몇 시총상위 테크주가 하락주도

=meta -6% / Nvidia -6% / Paypal -6%

 

•항공주 강세 지속(Delta 8일연속 상승), 리오프닝관련주/전기차관련주(Tesla효과) 상대적 강세

 

•나스닥 큰 변동성에도 불구하고 가상화폐는 소폭 조정

 

<Basic>

•나스닥 -2.1% / 러셀2000 -2.3%

•S&P500 -1.5% / 다우 -1.1%

-나스닥 Top10 : 상승 1 vs 하락 9

-S&P500 Vix : 22.7

 

-비트코인 : $41,000

-미국채금리(10y) : 2.892 (+2.0%)

-미국채금리(2y) : 2.663 (+3.2%)

=금리차 : 전일 -0.05 -> +0.23

 

-WTI : $104.0 (+1.8%)

-Natural Gas : $6.896 (-0.6%)

-Nickel : LME +1.2% / MCX -0.1%

 

SMART한 주식투자

 

 

 

 

 

 

 

[신영증권 자산전략팀] 22.4.22 모닝 브리프

 

- 뉴욕증시 기술주 중심 2%대 반락 마감. 파월 의장의 5월 빅스텝 시사 발언에 국채 금리 상승하자 기술주 주도 약세 

 

- WTI, 러시아산 원유 금수 조치 흐름 속 공급 차질 우려 부각되며 상승 마감. NDF 원/달러 환율 1,242.5원 호가

 

- 미 국채금리, 미국과 유럽의 공격적 긴축 전망에 중단기물 중심 급등. 2y10y 스프레드 2.02bp 축소, 커브는 베어-플랫 마감

 

==================

 

◆ 미국 증시  

-DOW 34,792.76p (-1.05%)

-NASDAQ 13,174.65p (-2.07%)

-S&P500 4,393.66p (-1.48%)

-Russell 2000 1,991.46p (-2.29%)

  

◆ 미국 주요 종목  

Top Gainers 3  

-AT&T             (+4.01%) 

-TESLA            (+3.23%) 

-DOW             (+2.92%) 

  

Top Losers 3  

-NEXTERA ENERGY        (-6.54%) 

-FACEBOOK          (-6.16%) 

-NVIDIA             (-6.05%) 

  

기타 주요 종목  

-아마존 (-3.70%) 

-테슬라 (+3.23%) 

-사이먼 프라퍼티 (-1.31%) 

-코카콜라 (+0.38%) 

-NVIDIA (-6.05%) 

-Apple (-0.48%) 

-Ford (-2.18%) 

-Microsoft (-1.94%) 

-메타 플랫폼스 (-6.16%) 

-유니티 소프트웨어 (-6.05%) 

-ASML Holding (-2.20%) 

-American tower (-0.31%) 

-로블록스 (-5.82%) 

-Airbnb (-4.04%) 

-디즈니 (-2.34%) 

-버라이즌 (+1.10%) 

-화이자 (-1.29%) 

-머크 (-0.27%) 

-길리어드 (+0.24%) 

-콜게이트 (+0.70%) 

-Equinix (-1.37%) 

-에스티로더 (-2.27%) 

-은첩고분 (-1.15%) 

-로레알 (+2.06%) 

-Star Bulk (-3.48%) 

-Waste Management (+0.35%) 

  

기타  

-BITCOIN  $40,615.45  (-1.97%)

  

◆ 외환시장  

-달러인덱스 100.60 (+0.21%)

-유로/달러 1.08 (-0.18%)

-달러/엔 128.38 (+0.41%)

  

◆ 미국 국채시장  

-2년물 2.685% (+10.7bp)

-5년물 2.976% (+11.4bp)

-10년물 2.912% (+7.7bp)

-30년물 2.930% (+5.6bp)

  

◆ 상품시장  

-WTI (bbl)  $103.79  (+1.01%)

-금 (t oz)  $1,948.20  (-0.38%)

-은 (t oz)  $24.70  (-2.58%)

-구리 (lb)  $4.7225  (+1.01%)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배정연연구원

문의사항 및 수신거부 02-2004-9891

 

 

📮[메리츠증권 중국 최설화]

 

중국증시 급락 코멘트(4/21):

위안화 약세에 따른 2차 충격

 

- 중국시장은 3월 15일 저점 이후 2차 저점 기록. 본토에서 상해종합지수는 2.3% 하락한 3,080pt를 기록. 홍콩에서는 항셍지수 -1.3%, 항셍테크 -3.5% 기록

 

- 금일 시장 하락의 주요 배경은 그동안 견조했던 위안화마저 흔들렸기 시작했기 때문

(2월 말부터 중국시장 충격 변수: ①러-우 전쟁→ ②선전/상하이 락다운→ ③위안화 약세)

 

- 위안화의 약세 원인은 중국정부의 예상보다 낮은 경기부양 의지 때문으로 판단.

 

- 강력한 경기부양 기대에 비해 1) 지준율 25bp 인하에 그쳤고, 2) LPR 금리도 3개월째 동결했으며, 3)시진핑 주석의 기조연설에서 제로 코로나 기조를 당분간 풀 의향이 없음이 확인

 

- 이러한 변수로 올해 중국이 5.5%의 성장률을 달성할 가능성이 낮아졌음을 위안화 약세로 뒤늦게 반영.

 

- 한편 산업 단에서 태양광 대장주인 양광전원의 1Q22 실적이 시장 예상을 크게 하회했고, 태양광은 물론, 전기차, 풍력 등 산업까지 우려 확대. CATL도 장중 400위안까지 하향 돌파했다가 막판 낙폭을 소폭 축소

 

- 내일(22일) CATL 1분기 실적이 예정되어 있고, 경기둔화 우려가 지속되기에 중국시장 변동성은 당분간 지속 예상

 

- 단, 중국은 엔화와 달리 여전히 무역흑자를 기록 중이고 점진적인 조업 재개를 하고 있어, 엔화와 같은 위안화의 급격한 절하 가능성은 제한적이라는 생각

 

- 다음주에 있는 정치국회의(2분기 경제정책 기조 확정)에서 경기 회복에 긍정적인 코멘트가 발표되면서 시장은 안정화를 찾아갈 것으로 판단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