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주식 스터디를 위해 개인적으로 스크랩한 증시캘린더, 국내 및 해외마감 시황, 뉴스 자료를 공유합니다.

1) 증시캘린더는 개인적으로 관련된 소식을 확인후 작성한 일정이라 변동 또는 오류의 소지가 있습니다.

2) 노션으로 공유한 링크는 익스플로러에선 제대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크롬에 최적화, 엣지, 웨일에서도 잘 작동합니다.

    ( 공유 자료링크는 1~2일후 공유 해지 합니다.)

 

게시물은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한 것이라

불확실하거나 오류가 많을 수 있으므로 투자 활용시 유의하시기 바라며, 개별적인 종목 추천이나 상담은 하지 않습니다.

 

모쪼록 제 공간에 오신 모든 분들이 주식스터디를 통해 인생 한 방보다, 꾸준함을 믿으며...

복리의 마법으로 모든 분들이 성공한 개인투자자가 되시길...


 

[간밤 월드뉴스 총정리 108] “비둘기도 돌아섰다”/ 강달러…엔 저항선(145엔) 돌파/ BMO “패닉 말라”/ 천당·지옥 오간 대마초주/ 다음주 소비자물가·실적

 

 

고용보고서 충격에 휘청…나스닥 3.8% 하락 마감 [뉴욕증시 브리핑]

입력2022.10.08. 오전 7:28

 

다우·S&P 모두 2%대 하락

9월 고용보고서 발표 영향

고용호조에 긴축 우려 부각

출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4759710?sid=101>

 

"견조한 고용시장, 연준 안 멈춘다"…3대 지수 또 급락[뉴욕마감]

7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시가 또 한 번 휘청였다. 9월 고용보고서가 미국의 노동시장이 여전히 과열 상태라는 점을 확인해주면서 

출처: <https://finance.naver.com/news/mainnews.nhn>

 

 

 

“美 실업률 3.5%·유가 90달러”…“더 많은 긴축에 침체 공포↑” [김영필의 3분 월스트리트]

출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4107982?sid=101>

 

 

[미국하락 : 강력한 풋파워]

(Feat. 힘겨운 나스닥 200주선)

 

•장전 9월 고용보고서 발표전까지 보합세를 유지하던 선물은 고용보고서 발표와 함께 급락, 장시작후 주요지수도 갭하락후 장마지막까지 하락세를 유지하며 종가 저가 수준 마감, 막판 소폭의 저가매수세가 유입되었지만 방향성을 돌리기에는 역부족

 

•최근 몇일 시장의 반등은 연준이 조금 긴축속도를 조절해줄 거라는 기대감에 기인했으나, 내용이 썩 좋게만 보이지 않는 고용보고서 조차도 그 기대감을 무너뜨리기에 충분할 정도로 시장 센티는 취약한 상황

 

•오늘 매도세 자체는 강력하지 않았음, 나스닥기준 적극매도물량은 $2b규모로 최근 평균수준, 그러나 매수세가 실종되며 지수가 흘러내린상황

 

•특히 최근 중국발 수요감소 우려에 휩싸인 Apple+Tesla와 하락장에서 메가테크중 가장 하락폭이 적었던 Microsoft에 대한 숏전략이 확산되며 -5%넘게 하락해 지수하락 주도, Tesla는 주간기준으로 2020년3월 코로낙 급락주간 이후 최악의 하락률 기록

 

•오늘하락으로 나스닥은 재차 200주선을 하회하며 초장기 강력 지지선인 200주선이 저항선화 되어가는 상황

 

•그동안 글로벌 금융시장의 우려요인중 하나였던 Credit Suisse ADR은 13%넘게 급등

 

•국내시장은 다음주 목요일은 선물옵션 만기일이며, 만기일 전날인 수요일 저녁에는 미국의 9월 CPI을 확인할 예정, 미국의 월간 옵션만기는 21일(금)

 

•미국 CPI는 9월까지는 YoY효과가 크지 않아 하락폭이 완만하지만 10월 CPI부터는 하락세가 가팔라질 전망

 

<CPI 시뮬레이션>

https://t.me/frankinvest/4193

 

SMART한 주식투자

 

 

(2022.10.08) U.S. & EU Market Closing

  • 2022.10.08  마지원
  • U.S. Market Closing  05:00 기준
지수 종가 등락폭 등락률 상승/하락/보합
DOW 29,296.79 -630.15 -2.1% 1/29/0
S&P500 3,639.66 -104.86 -2.8% 28/475/0
NASDAQ 10,652.40 -420.91 -3.8% 536/2886/320
RUSS 2K 1,702.15 -50.37 -2.9% 142/1807/16
PHLX 반도체지수 2,356.75 -152.09 -6.1% 0/30/0
VIX지수 31.36 0.84 2.8%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 티레이더에서 나스닥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실시간 제공

금일 뉴욕증시는 9월 고용지표 발표 후 미 연준의 고강도 긴축이 이어질 것에 대한 예상에 따라 하락하며 출발하였고내년 초까지 큰 폭의 금리 인상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는 전문가들이 많음에 따라 증시에 하방압력이 가중되어 하락장으로 마감연합인포맥스에 따르면뉴욕 연은 총재가 뉴욕주립대학교에서 개최된 한 간담회에 참석해 역사적인 기준에서는 아직 금리가 낮은 수준이며 연방기금 금리가 4.5%까지는 올라야 함을 주장했다고 보도함이에 대형주 위주의 S&P500 지수는 전장 대비 2.8% 하락한 3,639.66 선을 기록하였으며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3.8% 하락한 10,652.40 선으로 장을 마감한편, TD Securities에 따르면, OPEC+의 엄청난 감산 소식에 유가가 상승 압력을 받고 있으나 글로벌 경기둔화가 진행되면서 원유 수요 감소를 야기할 것이라 언급함이에 WTI 유가가 배럴당 90달러를 상회하는 수준에서 유지될 것이나 100달러를 돌파하기에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함.

 

미국 주식 하이라이트 – 05:00 기준

 

테슬라(TSLA) $223.07 / -6.32%

테슬라의 실적치가 예상치를 하회하는 현상부터 시작하여 기대에 부합하지 못했던AI Day, 그리고 머스크 CEO의 트위터 인수 발언 등 다양한 악재가 이어지며 주가가 연이은 하락세를 보이고 있음한편, Seeking Alpha에 따르면 금일 테슬라가 펩시코(PEP/-0.7%)사에서 2017년에 주문했던 Semi트럭 100대의 생산을 12월 1일부터 시작하여 인도할 계획에 대해 발표했음을 보도함.

 

*바이오젠(BIIB) $257.89 / -1.67%

UBS에 따르면바이오젠의 알츠하이머 치료제 lecanemab의 임상 3상 결과가 유의미한 효용을 나타내면서 알츠하이머 치료제 판매 성과에 대한 기대감이 매우 강력하다고 언급하며 이에 상업적으로 성공을 거둘 것이라 예측하였고목표주가를 상향함.

 

U.S. ETF Closing  05:00 기준

Sector

분류 티커 현재가 등락률 t신호 수익률






1개월 3개월 1
에너지 XLE 81.8 -0.7% 햇빛 0.7% 20.5% 51.6%
필수소비재 XLP 66.5 -1.5% 안개 -9.9% -8.2% -2.6%
산업재 XLI 85.2 -1.9% 안개 -10.7% -1.5% -13.3%
유틸리티 XLU 63.7 -2.1% 안개 -17.8% -8.0% 2.1%
헬스케어 XLV 122.6 -2.1% 안개 -6.3% -5.4% -0.7%
금융 XLF 30.9 -2.2% 안개 -10.2% -2.2% -18.1%
부동산 VNQ 77.4 -2.5% 안개 -19.1% -14.7% -23.4%
소재 XLB 69.5 -2.5% 안개 -11.4% -3.0% -12.7%
커뮤니케이션 XLC 48.7 -2.8% 안개 -12.6% -11.9% -37.8%
자유소비재 XLY 140.6 -3.5% 안개 -15.4% -2.7% -22.7%
IT XLK 120.8 -4.1% 안개 -13.1% -8.5% -19.0%

자료티레이더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섹터별 ETF는 IT(XLK/-4.1%)섹터와 커뮤니케이션(XLC/-2.8%)섹터를 포함한 대부분의 섹터가 하락하며 마감. Seeking Alpha에 따르면마이크로소프(MSFT/-5.0%)의 역사적 배당 성장세와 매출 성장세를 고려하였을 때 밸류에이션이 과도하게 높은 것으로 분석됨을 지적함이에 주가가 20% 이상 추가 하락할 것으로 전망하였고 동 종목을 숏 아이디어에 추가했음을 발표함한편커뮤니케이션 섹터 또한 하락을 면치 못했으나 섹터 내 넷플릭스(NFLX/-6.3%) 종목에 대한 긍정적인 의견이 있었음코웬에 따르면 넷플릭스는 인기가 높은 스트리밍 플랫폼으로 이제는 유선 TV의 자리를 대체하고 있으며 3분기에 유료 가입자 100만명을 추가로 유인했을 것이라 발표함이에 스트리밍 시장의 경쟁심화와 매크로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넷플릭스의 입지는 견고하다는 말과 함께 투자의견비중확대와 목표주가 325달러를 유지함.

 

 

Thematic

분류 티커 현재가 등락률 t신호 수익률






1개월 3개월 1
항공방산 XAR 96.1 -1.2% 안개 -10.6% -4.1% -21.5%
비트코인 BITO 12.0 -3.1% 안개 -13.6% -8.7% 0.0%
워런 버핏 MOAT 61.3 -3.3% 안개 -11.4% -5.8% -16.8%
반도체 SOXX 325.9 -6.0% 안개 -13.2% -11.3% -24.3%
기술혁신 ARKK 37.5 -6.6% 안개 -17.8% -14.9% -66.1%

자료티레이더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테마별 ETF는 기술혁신(ARKK/-6.6%)ETF와 반도체(SOXX/-6.0%)ETF가 큰 하락세를 시현하며 마감기술혁신 ETF는 블록(SQ/-7.2%)과 테슬라(TSLA/-6.3%)주도 하에 큰 폭의 하락을 보였음바론즈에 따르면 투자자들이 블록에 대한 장기 성장 전망을 낙관하고 있다고 발표함이에 현 거시경제 상황과 도전적인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는 점에 대한 전문가들의 투자의견이 좋지 않으며대부분이 투자의견과 목표주가를 하향하고 있음을 덧붙임반도체 ETF는 엔비디아(NVDA/-8.0%)사의 하락으로 낙폭을 확대해 나감. Seeking Alpha에 따르면현재 반도체 분야의 전망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 엔비디아가 러시아 내 모든 사업을 중단하고 러시아 지사 근로자들을 타 지역으로 재배치를 해줄 것을 발표하며 러시아 철수에 대한 입지를 밝힘이에 더해 9월 조 바이든 행정부로부터 군사적 용도로 이용될 수 있는 동사의 제품을 중국이나 러시아에 판매할 수 없다는 통지를 받기도 했었음.

 

 

 

EU Market Closing  12:30 기준

지수 종가 등락률 구분 업종 등락률
STOXX 600 391.67 -1.2%
에너지 +1.5%



상승





자유소비재 -2.2%



하락 부동산 -2.3%




정보기술 -4.0%
지수 종가 고가 저가 등락폭 등락률
 DAX 12,273.00 12,497.52 12,272.59 -197.78 -1.6%
 FTSE 100 6,991.09 7,022.41 6,960.36 -6.18 -0.1%
 CAC 40 5,866.94 5,956.95 5,855.66 -69.48 -1.2%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금일 유럽증시는 미 고용지표가 견고하게 나타남에 따라 미연준의 금리인상이 유지될 것으로 나타난 후 기술주 주도 하에 하락 마감함연합인포맥스에 따르면증시의 악재가 추가되며 움직임은 혼조세를 보이며 뚜렷한 방향성이 나오지 않았음을 말하였고 독일 경제 지표가 대체로 부진했으며, 8월 소매판매는 전월 대비 1.3% 줄어 감소세로 전환했음을 언급했음이어서 같은 달 발표된 산업생산의 감소세가 시장치를 하회했음을 보도함이에 범유럽지수인 STOXX600은 1.2% 가량 하락한 391.67 선에서 거래를 마감했으며 영국 FTSE지수와 프랑스 CAC지수를 포함한 유럽 3대 지수 모두 1%대의 하락세 시현금일 에너지 가격 안정을 위해 EU는 긴급 시장 개입 조치를 하였고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부당이윤을 챙긴 에너지 기업들에 연대책임이라는 명분으로  횡제세’ 도입전력사용 제한겨울철 건물 내부온도 19도 제한 등의 에너지 사용 절감안도 검토중인 상황임개별종목으로는 Credit Suisse Group AG(CSGN.S) 은행이 최대 30억 달러의 선순위 채무증권을 매입하겠다고 발표한 후 주가가 2.7% 상승하며 상승세를 이어감.

 

출처: <https://m.myasset.com/extern/researchPortal/RP_0001000_P1.cmd?menuid=RP_0105000_P1&searchKeyGubun=1&keyword=&page=1&base_date=20221008052301&gbn=B&res_seq=183201>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