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증시캘린더는 개인적으로 관련된 소식을 확인후 작성한 일정이라 변동 또는 오류의 소지가 있습니다.

참고시 유의하시고 배포시엔 블러그 링크로 공유해 주셔요.


 

[시황종합] 코스피 0.4% 상승 3000선 회복…3008.33 마감

코스닥 0.12% 상승…달러/원 환율 1133.30원

북한 미사일 발사에 방산주 동반 오름세

출처: <https://www.news1.kr/articles/?4253311>

 

[시황종합] 코스피 0.4% 상승 3000선 회복…3008.33 마감

사실 앞에 겸손한 민영 종합 뉴스통신사 뉴스1

www.news1.kr

중국서 H&M·나이키 등 불매 확산..서방 제재에 분노 폭발(종합)

김윤구 입력 2021. 03. 25. 16:47

출처: <https://news.v.daum.net/v/20210325164715442>

 

 

 

 

마켓컬리, 상장 주관사에 '골드만·JP모간·모간스탠리'쿠팡 나스닥 IPO 이끈 주역…연내 미국 증시 도전

강철 기자공개 2021-03-25 16:55:22

출처: <http://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3251600003360105627&lcode=00>

 

 

 

문대통령 “세계 7대 우주강국 도약”…‘누리호’ 연소시험 참관

입력 : 2021-03-25 17:34

출처: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5672262&code=61111111&sid1=pol>

 

 

 

[서상영의 미국증시 분석과 시황]

오늘 미 증시에서는 현지시각 오전 10시에 있는 경제 전망과 통화정책을 주제로한 클라리다 연준 부의장의 발언과 오후 1시에 있을 7년물 국채 입찰에 주목. 

클라리다 연준부의장은 지난 2월말 백신으로 인한 경제 정상화 기대가 확산되고 있으나 지속적인 인플레 압력도 높지 않아 긴축을 이야기 하기에는 경기 회복이 크지는 않다고 주장했었음. 이를 감안 관련 발언을 이어서 할 가능성이 높아 위험자산에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듯

7년물 국채입찰은 주목해야 할 듯. 최근 국채 금리 변화 이슈를 촉발 시켰던 요인 중 하나가 지난 달 7년물 국채입찰에서 수요 쇼크가 나왔었기 때문. 최근 2,5년물 입찰 수요 가 부진하기는 했으나 쇼크를 보이지 않아 국채 금리의 안정이 이어져 왔었는데 7년물 입찰도 비슷하다면 금리 안정 속 주식시장 강세 기대 높음. 다만 지난달에 이어 쇼크가 진행될 경우 금리 변동성을 자극할 수 있어 주목할 필요가 있음

 

728x90
728x90

2021년 3월 25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중국 정부가 빅데이터를 감독하는 정부기구 설립을 고려중이라고 밝혔습니다.

(2) EU가 백신수출 규제를 강화하는 한편 영국과 공급확대를 구체적으로 논의하고 있습니다.

(3) 텐센트가 스타트업 지분 투자를 확대할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

 

미 5년 breakeven rate 2.572%, +0.047%p (2% 상회시 유의, 2.5% 상회시 경고)

 

한국 고객예탁금, 63.2조원 -0.6조원

 

미국 백신 접종률 19.8%(+0.0%p, 집단면역 70%)

한국 백신 접종률 0.6%(+0.0%p, 집단면역 70%)

 

K200 미니 야간선물, 404.35 (-0.65%)

1개월 NDF 환율 1,135.50원 (+1.95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3/23 미국 하락 = 단기 동력 상실?]

(Feat. 악재만 보는 시장, 모멘텀은?)

☑️장초반 다우존스 중심으로 상승세로 시작, 테크 반등 모색, 그러나 오후로 넘어가며 점점 시장은 매도세가 매수세를 압도하기 시작, 장마감까지 하락폭을 늘리며 주요지수 모두 하락마감

 

✔️옐런 증세 언급 지속

 

✔️크루즈 운항규제 11월까지 연장되며 크루즈, 항공주 등 반등하던 코로나 피해주 역시 상승폭 대부분 반납

 

*코로나 : 신규확진자 증가

(전일 59,578 / WoW +38.2%)

 

•나스닥 -2.0% / 러셀2000 -2.4%

•S&P500 -0.6% / 다우 -0.0%

-나스닥 Top10 : 상승0 vs 하락10

 

-미국채금리(10y) : 1.614 (-1.48%)

-WTI : $60.83 (+5.3%)

-Bitcoin : $53,000

 

SMART한 주식투자

https://t.me/frankinvest

 

 

[3/25 전일 수요일(24일) 국내 시황, 케이프투자증권 한지영(02-6923-7349)]

▶️코스피, 경기 회복 지연 우려 등으로 약세

 

- 코스피는 금리 상승 불안 심리가 완전히 해소되지 못한 가운데, 미국과 유럽의 코로나 재확산에 따른 전세계 경기회복세 지연 우려, 중국 기업들의 실적 우려에서 기인한 중국 증시 약세 여파로 등으로 하락 마감

 

- 코스닥은 장 초반 하락세를 보이기도 했으나, 전거래일 감사보고서 미제출 우려에서 기인한 중소형주 주가 급락이 과도했다는 인식 속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순매수세에 힘입어 반등에 나서면서 0.7%대 상승 마감

 

▶️시장지표

- 코스피: 2,996.35(-8.39, -0.28%)

- 코스닥: 953.82(+7.51, +0.79%)

- 원/달러: 1,129.7원(+1.3원)

- 국채 3년물: 1.115%(-1.7bp)

- 국채 10년물: 1.992%(-4.0bp)

 

▶️업종

- 강세: 비금속(+2.54%), 의료정밀(+1.46%), 화학(+1.08%) 등

- 약세: 철강금속(-1.64%), 은행(-1.35%), 운수장비(-1.31%) 등

 

▶️수급(외국인/기관/개인)

- 코스피: -4,787억원/-4,332억원/+8,968억원

- 코스닥: +854억원/+860억원/-1,515억원

 

▶️특징종목

 

- 대한항공(-2.01%)은 유럽발 코로나 변이 바이러스 확산으로 인한 경제 재봉쇄 및 여객항공운송 수요 감소 우려가 제기됨에 따라 약세

 

- SKC(+5.14%)는 2차전지 공급부족 상황 속 안정적인 이익성장과 화장품 소비재 수요 회복에 기인한 화학부문 실적 회복 기대감이 부각되며 강세

 

- KT(+3.75%)는 2023년까지 원천 지식재산권 1000개, 오리지널 드라마 100개 확보 등의 투자 방침을 밝힘에 따라 컨텐츠 성장 모멘텀이 기대되며 강세

 

해당 내용은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필하였습니다.

 

 

[3/25 전일 수요일(24일) 글로벌 시황, 케이프투자증권 한지영(02-6923-7349)]

▶️미국 3대 증시, 금리 하락에도 기술주 중심으로 약세

- 다우: -0.01%, S&P500: -0.55%, 나스닥: -2.01%

 

- 미국 3대 증시는 장초반 양호한 제조업 및 서비스업 PMI 결과, 금리 하락 등으로 상승세를 보였으나, 최근 금리 변화를 둘러싼 시장참여자들의 엇갈린 시각 속 옐런 재무 장관의 증세 발언 부담, 잇따른 유럽 국가들의 봉쇄조치 발표 등이 부담요인으로 작용하며 하락 마감

 

- 미국의 3월 Markit 제조업 PMI는 59.0으로 전월(58.6)에 비해 상승했으나, 예상치(59.8)는 소폭 하회. 3월 서비스업 PMI도 60.0으로 전월(59.8)에 비해 상승했으나, 예상치(60.1)를 소폭 하회.  Markit 측은 백신, 부양책 효과 등으로 수요가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공급 지연으로 기업

들이 수요를 따라가기 어려워지고 있다고 평가

 

- 파월 의장은 금리 상승은 경기 자신감을 반영한 것이며, 일시적인 인플레이션 급증이 나타날 수 있지만 크게 신경쓰지 않을 것임을 시사한 가운데, 옐런 재무 장관은 코로나 대응을 위해 일시적인 재정지출 확장이 필요하다면서도 재원을 조달하기 위해서는 세입 확대가 필요하다면서 증세 가능성을 시사

 

- 애틀랜타 연은 총재는 최근 금리 상승이 연준에게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강조함과 동시에, 양적완화 축소를 실행하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남았으며 2023년에 들어서야 연준이 금리를 인상할 시점에 진입할 것이라고 전망

 

- 유로존의 3월 제조업 PMI 예비치는 62.4로 전월(57.9) 및 예상치(57.6)를 큰 폭 상회하는 서프라이즈를 기록했으나, 최근 독일, 프랑스 등 주요 회원국들의 봉쇄조치 연장 or 강화로 제조업 모멘텀이 다소 둔화될 우려도 상존

 

▶️시장지표

-DOW : 32,420.06 pt  (-3.09 pt, -0.01%)

-NASDAQ : 12,961.89 pt  (-265.81 pt, -2.01%)

-S&P500 : 3,889.14 pt  (-21.38 pt, -0.55%)

-Vix Index : 21.2 pt  (0.9 pt, 4.43%)

-KRW/US$_1NDF_Point : 1,135.5 원/$  (1.72 원/$, 0.15%)

-Dollar Index : 92.594 pt  (0.3 pt, 0.28%)

-US 10Yr Bond : 1.6084 %  (-1.2 bp)

-WTI : 61.18 $/bbl  (3.42 $/bbl, 5.92%)

-MSCI South Korea : 86.01 pt  (-0.47 pt, -0.54%)

 

▶️업종

- 강세: 에너지(+2.52%), 산업(+0.73%), 원자재(+0.69%) 등

- 약세: 커뮤니케이션(-1.66%), 경기소비재(-1.52%), 기술(-1.21%) 등

 

▶️특징종목

 

- 테슬라(-4.82%)는 자사 자동차 구매시 비트코인 사용을 금일부로 허용하겠다는 방침을 밝힌 가운데, 비트코인과 기술주 약세 흐름에 동조하며 하락함

 

- 쉐브론(+2.68%), 엑슨모빌(+2.03%) 등 에너지 관련주는 수에즈 운하에서 발생한 초대형 컨테이너선 좌초 사고의 영향으로 유조선 통행이 중단됨에 따라 국제 유가의 급등과 함께 강세

 

- 인텔(-2.27%)은 200억달러 규모의 새로운 공장 건설 발표에 따른 시장 점유율 확대 기대감으로 장중 상승했으나, 기술주 약세 영향으로 하락 마감

 

해당 내용은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필하였습니다.

 

------

* 텔레그램 채널 링크

https://t.me/hedgecat0301

------

 

 

 

03/25 미 증시 특징:  세금인상 및 규제 강화 우려로 기술주 하락

-  독일, 경제 봉쇄 발표 철회, 메르켈 총리 대국민 사과

-  파월 의장, 금리 상승 질서 있게 진행 중이며 부양책 지속 할 것

-  옐런 장관, 28% 법인세율이 적정, 정부 장기적으로 세수 늘릴 것

-  라가르드 ECB 총재, 그린 혁명, 탄소제로 경제로의 전환 투자 촉구

-  리나 칸 공식적으로 연방거래 위원위 수장 임명으로 기술주 낙폭 확대

-  국제유가 급등, 달러 강세 지속, 국채금리 하락, 비철금속 혼조

-  테슬라, 스트리밍 업종, 대형 기술주 부진 Vs. 반도체 장비, 에너지, 산업재 강세

 

장중 변화

미 증시는 예상보다 양호한 경제지표 결과로 경제 정상화 가능성이 부각되며 상승 출발. 더불어 독일이 경제 봉쇄 발표를 철회 한 점도 경기 민감주 중심으로 매수세가 유입된 점도 영향. 그러나 전일에 이어 오늘도 옐런의 세금 인상, 특히 법인세 인상 언급 후 매물이 출회되는 경향을 보임. 여기에 바이든이 연방거래 위원위 책임자로 리나 칸을 공식적으로 지명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기술주 중심으로 낙폭 확대(다우 -0.01%, 나스닥 -2.01%, S&P500 -0.55%, 러셀2000 -2.35%)

 

 

장중 변화 요인: 세금인상, 독점 금리 기조 확대

3월 미국 제조업 PMI(59.0)와 서비스업 PMI(60.0)의 개선세 지속. 백신 접종 확대 및 추가 부양책에 의한 결과로 추정되며 이로 인한 경제 정상화 기대 심리가 확산. 여기에 독일이 경제 봉쇄 정책 연장을 철회한 점과 파월 연준의장이 전일에 이어 국채 금리는 질서 있는 상승에 그치고 경제 정상화는 지속될 것이라고 주장하자 지수는 상승. 특히 국채 금리가 안정을 찾은 점이 긍정적인 영향. 5년물 국채 입찰에서 응찰률이 12개월 평균인 2.45배를 하회한 2.36배, 간접입찰 또한 12개월 평균인 59.3%를 하회한 58.1%를 기록. 전일 2년물 입찰보다 더 약한 수요를 발표했으나 우려와 달리 쇼크는 없었다는 점에서 금리 상승 압력이 확대되지는 않음.

 

그러나 전일에 이어 오늘도 옐런 재무장관이 정부 지출 위해 장기적으로 세수를 늘려야 한다며 법인세 인상을 주장한 이후 매물이 출회. 옐런 의장의 발언처럼 법인세를 기존의 21%에서 28%로 상향 조정할 경우 2022년 S&P500 EPS는 약 9% 정도 감익이 예상되기 때문. 더불어 인프라투자를 위한 지출을 위해 세수 확대 즉 법인세는 물론 자본이득세 등의 세율 인상이 먼저 진행되어야 한다는 발언은 향후 미국 정치 불확실성을 높임. 이런 가운데 바이든이 연방거래 위원위 책임자로 대형 기술주의 독점적 지위를 타파하는 활동을 주로 하고 있는 리나 칸을 공식적으로 지명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기술주 중심으로 낙폭을 좀더 확대. 물론 이미 알려진 내용이나 하락 요인에 더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

 

종목별로 보면 인텔(-2.27%)은 ‘IDM2.0’ 전략을 통해 200억 달러 투자를 발표하자 75억 달러 자사주 매입 발표한 AMAT(+4.06%)는 물론 램리서치(+1.48%) 등 반도체 장비 업종은 강세. 인텔은 6% 넘게 급등 후 매물 출회되며 하락. 1분기 실적은 이전 전망보다 개선될 것이라고 발표 했으나 2021년 전체로는 예상을 하회한 전망을 발표 한 데 따른 것으로 추정. 인텔의 부정적인 실적 전망 언급으로 여타 반도체 업종도 부진. 테슬라(-4.82%)는 중국 정부가 정부의 '구매세 면제 신에너지 자동차 모델 리스트'를 철회한 여파로 하락. 더불어 이날부터 비트코인으로 차량을 구매 할 수 있고, 유입된 비트코인은 화폐로 전환하지 않고 비트코인 그대로 유지될 것이라고 주장한 점도 하락 요인. 비아컴(-23.18%)은 30억 달러 규모의 유증을 발표한 후 급락. 더불어 스트리밍 산업이 점점 치열한 경쟁에 직면해 있다는 점이 부각된 점도 하락 요인. 넷플릭스(-2.67%), 디즈니(-2.12%) 등 스트리밍 관련 기업들도 하락 

 

주요 ETF

*미 주요 업종 ETF

원유시추업체 ETF(XOP)  +1.49%

에너지섹터 ETF(OIH)  +1.60%

소매업체 ETF(XRT)  -3.46%

금융섹터 ETF(XLF)  +0.36%

기술섹터 ETF(XLK)  -1.21%

소셜 미디어업체 ETF(SOCL)  -4.69%

인터넷업체 ETF(FDN)  -3.17%

리츠업체 ETF(XLRE)  -0.44%

주택건설업체 ETF(XHB)  -0.33%

바이오섹터 ETF(IBB)  -2.84%

헬스케어 ETF(XLV)  -0.11%

곡물 ETF(DBA)  -0.18%

반도체 ETF(SMH)  -1.71%

 

*미 주요 스타일별 ETF

대형 가치주 ETF(IVE)  +0.09%

중형 가치주 ETF(IWS)  -0.37%

소형 가치주 ETF(IWN)  -1.39%

대형 성장주 ETF(VUG)  -1.37%

중형 성장주 ETF(IWP)  -1.95%

소형 성장주 ETF(IWO)  -3.18%

배당주 ETF(DVY)  +0.14%

신흥국 고배당 ETF(DEM)  -0.78%

신흥국 저변동성 ETF(EEMV)  -0.71%

미국 국채 ETF(IEF)  +0.13%

하이일드 ETF(JNK)  +0.11%

물가연동채 ETF(TIP)  +0.26%

Long/short ETF(BTAL)  -0.52%

 

 

FICC

국제유가는 주요 원유 수송 경로인 수에즈 운하에 유조선이 좌초되자 운하 운항에 차질이 발생하자 급등했다. 이는 원유 공급 차질이 불가피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독일의 경제 봉쇄 강화 취소, 미국 경제지표 개선에 따른 수요 증가 기대 또한 우호적이다. 물론 EIA가 지난 주 원유 재고가 예상과 달리 191만 배럴 증가했다고 발표헀으나 영향은 제한된 가운데 5.9% 상승으로 마감 했다.

 

달러화는 경제지표 개선에 힘입어 여타 환율에 대해 강세. 더불어 파월을 비롯한 연준위원들이 미국 경제에 대한 자신감 표명도 다러 강세 요인. 한편, 옐런 장관이 비록 세금 인상을 언급 했으나 은행권의 자사주 매입 허용을 언급한 점도 경제에 대한 자신감을 의미 한다는 점도 긍정적

 

국채금리는 양호한 경제지표 발표로 상승하기도 했으나, 연준위원들의 적극적인 발언 등으로 재차 하락 전환. 더불어 5년물 국채 입찰에서 응찰률이 12개월 평균인 2.45배를 하회한 2.36배, 간접입찰 또한 12개월 평균인 59.3%를 하회한 58.1%를 기록. 전일 2년물 입찰보다 더 약한 수요를 발표했으나 우려와 달리 쇼크는 없었다는 점에서 금리 상승 압력이 확대되지는 않아 대체로 소폭 하락을 보임

 

 

한국 관련

-  MSCI 한국 지수 ETF -0.54% 하락

-  MSCI 신흥 지수 ETF -2.29% 하락

-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1.34% 하락

-  다우 운송 지수 +1.04% 상승

-  러셀2000 지수 -2.35% 하락

-  미국 국채 금리 하락, 국제유가 급등

-  NDF 달러/원 환율 1개월물 1,135.50원

 

 

 

대형기술주 약세…`실적 악재` 게임스톱 30%대 폭락 [출근전 꼭 미국 특징주]

출처: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103250031>

 

독일, 부활절 완전봉쇄 철회…메르켈, 대국민사과

기사입력 2021.03.25. 오전 6:32

출처: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sec&oid=277&aid=0004871796>

 

 

"없어서 못판다던 아이오닉5, '반도체' 없어서 못팔 수도"

신문1면 1단 기사입력 2021.03.24. 오후 4:50

24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현대차그룹과 기아가 확보한 차량용 반도체 재고는 적게는 3개월, 많아야 6개월 물량으로 추산된다. 현대차그룹은 지난해 와이어링 하니스 공급차질을 겪으면서 부품 재고 시스템을 재정비, 차량용 반도체를 선제적으로 확보했지만 최근 수급 상황이 악화하면서 쏘나타 등 일부 판매부빈 모델에 대해 주말 생산 등을 중단한 상태다. 파이낸셜타임스는 이날 현대차 내부 소식통을 인용해 "현대차가 4월부터 생산 차질을 겪을 수 있다"고 보도했다.

출처: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sec&oid=008&aid=0004562228>

 

 

 

 

 

 

[메리츠증권 반도체/디스플레이 김선우]

Meritz Overnight Tech 2021.3.25 (목)

 

★ 메모리 스팟가격

DRAM(DDR4 8Gb: 1D 0.00%, 1W -1.71%, 1M 3.61%)

구매 환경 부진세 지속. DDR3 2G / 4G 브랜드 칩 관련 일부 문의만 발생했으나 그도 양측의 가격 협상 불일치로 제한적. 최종 거래량 부진

 

NAND(MLC 64Gb: 1D 0.19%, 1W 1.73%, 1M 6.78%)

Kioxia 칩 관련 수요 지속 활발. 그러나 현물 공급 부족. 목표 가격은 낮고 양측은 협상 여력 약세. 거래 환경은 부진하고 전체적인 구매 모멘텀은 변동세 이후 느려짐

 

★ 주요 뉴스 플로우

대만, 극심한 가뭄으로 인한 물부족 상태로 반도체 생산에 차질 (Nikkei Asia)

https://s.nikkei.com/31fC6GS

 

Canon과 Tokyo Electron 등 주요 일본 반도체 공급업체들, 정부 지원하에 $350M 규모 선단 칩 개발 프로젝트 참여 (Nikkei Asia)

https://s.nikkei.com/31cCTs4

 

아날로그 IDM 업체들 차량용 반도체 공급을 위해 제품 출하 리드타임 최대 40주까지 연장 (Digitimes)

https://bit.ly/2Poa6OL

 

샤오미, 중국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확대로 실적 상승 (Bloomberg)

https://bloom.bg/3rdyxvq

 

일론 머스크 '비트코인으로 테슬라 결제 가능' (Reuters)

https://reut.rs/39f2sxb

 

★ 전일 해외 관련업체 주요 주가 등락 (2%p 이상)

Micron(-2.8%), WDC(-2.7%), Apple(-2.0%), Sony(-2.6%), ZTE(-2.2%), Intel(-2.3%), Qualcomm(-4.0%), Nvidia(-3.3%), Marvell(-2.0%), AMD(-2.4%), Mediatek(+2.8%), TSMC(-3.0%), UMC(-2.8%), SMIC(-3.7%), AUO(+3.8%), Sharp(-3.1%), ASML(+4.2%), AMAT(+4.1%), Tokyo Electron(+5.1%), Kanto Denka(-2.4%), UDC(-2.0%), Idemitsu Kosan(-2.0%), CATL(-5.0%), BYD(-3.7%)

 

(자료: DRAMeXchange, Bloomberg, 언론자료)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하루를 여는 혁신투자자문 IPO News Letter💌 - 20210325』

 【 텔레그램 채널 주소 :  https://t.me/KoreaIB

 【 IPO상장문의 및 이경준 대표 Contact ☞ 📧 ipo@kakao.com 】

 

===========================

 

 

📌Today's Topic1》

# SK바사, 5일째 하락세...장외개미 어쩌나

https://newsis.com/view/?id=NISX20210324_0001381101&cID=10401&pID=10400

# SK바이오사이언스, 따상 이후 5일째 하락세…소문난 잔치였나?

http://www.topstar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867558

☞ 이경준 혁신투자자문 대표는 "이미 다수의 공모주 투자자들은 상장 초반 차익을 보고 빠져나갔다고 본다"며 "SK바이오팜에서 카카오게임즈 등 지난해 대어급 공모주로 이어진 공모주 학습효과"라고 분석했다. 이어 "작년처럼 '따상상'이나 '따상상상'과 같은 공모주 시장이 나오긴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

 

📌Today's Topic2》

자이언트스텝, '메타버스' 바람 타고 '따상' 성공

https://www.ajunews.com/view/20210324145227549

☞ 이경준 혁신투자자문 대표는 "자이언트스텝의 경우 단순히 메타버스 테마에 편승한 것이 아니라 실제 핵심 기술을 보유한 기업"이라며 "상장 이전부터 잠재력을 인정받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최근 메타버스 관련 기업들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이 커지면서 급등한 측면도 있다"며 "2~3개월 전만 하더라도 이 정도의 관심을 받지는 못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

 

#비공식 알림#

상장예정인 아모센스는 현재 정정증권신고서 제출 준비중이며, 준비되는대로 정정증권신고서를 제출할 예정입니다.

아마도 그 시기는 다음주가 되지 않을까 전망해 봅니다.

이후 약 4월 중순경 수요예측을 진행하지 않을까 예상해 보며, 아직 IR 등의 전반적인 일정이 미정이니, 업무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정정 증권신고서 제출 즉시 재공지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금일 IPO 일정 ★

 03/25 엔시스 납입🏧

 

☆ 다음주 IPO 일정 ☆

 04/01 엔시스 상장★

 

 ------------------------------------------

 

▣ 기관IR 일정 ▣

 - 소규모 간담회로만 진행 中 -

 

▣ 상장 일정(예정, 변경가능) ▣

 04/01 엔시스(미래에셋대우)

 04/19 에이치피오(대신증권)

 04/21 이삭엔지니어링(신한금융투자)

 04/22 해성티피씨(한국투자증권)

 04/29 쿠콘(하나금융투자)

 05/06 삼영에스앤씨(미래에셋대우)

 미정 - 아모센스(신한금융투자)

 

▣ 심사 승인 ▣

 - 제주맥주(대신증권)

 - 씨앤씨인터내셔널(NH투자증권)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 국내 IPO 개별종목

■ 넷마블네오, IPO 앞두고 RFP 발송…1조 밸류 기대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3231609445840109084&lcode=00&page=3&svccode=00

 

■ 노보믹스, 기술성 평가 통과… "연내 코스닥 상장 본격화"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21/03/24/2021032401818.html?utm_source=naver&utm_medium=original&utm_campaign=biz

 

■ 셀바이오휴먼텍, ‘소부장 IPO' 추진…연내 상장 목표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3221410445320103871&lcode=00&page=3&svccode=00

 

 

▶️▶️▷ IPOmarket(해외IPO포함)

■ 금감원, 과도한 밸류에 철퇴? 잇따른 정정 요구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3221701072000109349&lcode=00&page=2&svccode=00

 

■ 증권사 공모주 수수료율 '꼼수인상'

http://naver.me/FVP7ZkGP

 

■ '묻지마 상단'에 무색한 수요예측…공모주 '과열주의보'

http://naver.me/5uxIPTtg

 

■ '따상 복권' 돼버린 공모주 투자…흥행 기록에 목매는 상장사도 부담

http://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1033242

 

■ 1분기에 24개사 신규 상장…공모금액 10배로 증가

https://www.yna.co.kr/view/AKR20210324143800002?input=1195m

 

■ 공모주 인기 스팩도 띄웠다...중소형사 ‘방긋’

http://naver.me/54VLYuIt

 

■ 바이오 전유물이던 '성장성 특례'…로봇·영상·SW기업도 상장 노크

http://naver.me/xScF9F72

 

■ "바이오테크 기업에 뭉칫 돈 몰린다"…전 세계 IPO 열기

http://www.medisobiza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77189

 

■ “中 ‘주식등록제’ 시행에도…IPO 신청 철회 기업 늘었다”

https://www.ajunews.com/view/20210324150720569

 

■ 로빈후드, 나스닥 상장 본격 돌입… "기업가치 200억 달러 넘어"

http://naver.me/IMQy9f7v

 

 

▶️▶️▷ 시장 이모저모

■ 증거금 '160조'도 그림의 떡?…증권사들이 시큰둥한 이유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1032315122159572

 

■ 1년치 방귀 10만원에 팔렸다…미쳐 돌아가는 NFT 시장

https://www.news1.kr/articles/?4251166

 

 

▶️▶️▷ 시세/시황

[표]IPO장외 주요 종목 시세(3월 24일)

https://www.sedaily.com/NewsView/22JXMFNLMS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728x90
728x90

 

증시캘린더는 개인적으로 관련된 소식을 확인후 작성한 일정이라 변동 또는 오류의 소지가 있습니다.

참고시 유의하시고 배포시엔 블러그 링크로 공유해 주셔요.


728x90

'주요 증시 일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3월 28일(일) 주간 증시캘린더  (0) 2021.03.28
3월 26일(금) 증시캘린더  (0) 2021.03.26
2021년 4월 증시캘린더  (0) 2021.03.24
3월 24일(수) 증시캘린더  (0) 2021.03.24
3월 23일(화) 증시캘린더  (0) 2021.03.23
728x90

주식투자 스터디를 위해 읽어볼만한 증권사 레포트를 일부 공유합니다.

개별종목의 경우 시장에서 변동성이 커질 수 있으므로 매매시엔 주의하셔야 합니다.

관심레포트는 개별종목보다는 시황, 산업레포트 위주로 추려서 공유합니다.

<< 노션으로 공유된 링크자료는 2일후 삭제됩니다 >>

 

게시물의 필기는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한 것이라 불확실하거나 오류가 많을 수 있으므로

투자 활용시 유의하시기 바라며, 개별적인 종목 추천이나 상담은 하지 않습니다.

 

모쪼록 제 공간에 오신 모든 분들이 주식스터디를 통해 인생 한 방보다, 꾸준함을 믿으며...

복리의 마법으로 모든 분들이 성공한 개인투자자가 되시길...


https://comp.wisereport.co.kr/wiseReport/summary/ReportSummary.aspx?cn=&fmt=1

 

기업 - 리포트서머리

기업 리포트 목록 기업명 기관명/작성자 투자의견 목표주가 전일수정주가 제목 요약 기아차(000270) 현대차증권 [장문수,조준우] BUY 120,000 85,800 PBV로 전동화 투자 회수 빨라질 전망 현대차그룹의 E

comp.wisereport.co.kr

www.notion.so/0325-f00f579d6a0a4946bebd9a00ab9a00b5

 

0325레포트

<< NOTION으로 공유하는 링크 자료는 2~3일후 삭제됩니다. 공유한 자료는 개인적으로 참고용으로 보시고 다른 곳에 링크 공유는 삼가해주시기 바랍니다. >>

www.notion.so

728x90

'스터디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3월 29일(월) 레포트  (0) 2021.03.28
3월 26일(금) 레포트  (0) 2021.03.26
3월 24일(수) 레포트  (0) 2021.03.23
3월 23일(화) 레포트  (0) 2021.03.23
3월 22일(월) 레포트  (0) 2021.03.21
728x90

 

증시캘린더는 개인적으로 관련된 소식을 확인후 작성한 일정이라 변동 또는 오류의 소지가 있습니다.

참고시 유의하시고 배포시엔 블러그 링크로 공유해 주셔요.


 

2021년 4월 증시 이슈캘린더_Issue_20210324_Hana_699072.pdf
0.26MB
2021년 4월 증시캘린더-키움.pdf
0.12MB

728x90

'주요 증시 일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3월 26일(금) 증시캘린더  (0) 2021.03.26
3월 25일(목) 증시캘린더  (0) 2021.03.25
3월 24일(수) 증시캘린더  (0) 2021.03.24
3월 23일(화) 증시캘린더  (0) 2021.03.23
3월 22일(월) 증시캘린더  (0) 2021.03.2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