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증시캘린더는 개인적으로 관련된 소식을 확인후 작성한 일정이라 변동 또는 오류의 소지가 있습니다.

참고시 유의하시고 배포시엔 블러그 링크로 공유해 주셔요.


 

2021년 7월 증시 이슈캘린더_Issue_20210623_Hana_718488.pdf
0.29MB
2021년 7월 키움 증시 캘린더_편집.pdf
0.12MB
미래에셋_7월 주요 경제지표 및 일정 캘린더 .pdf
0.41MB

728x90
728x90

 

주식투자 스터디를 위해 개인적으로 스크랩한 시황, 뉴스 자료를 공유합니다.

1) 노션 링크는 익스플로러에선 제대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크롬에 최적화 되어있으며, 엣지, 웨일에서도 잘 작동합니다.

 

2) 공유한 자료링크는 1~2일후 공유 해지 합니다.

 

게시물은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한 것이라

불확실하거나 오류가 많을 수 있으므로 투자 활용시 유의하시기 바라며, 개별적인 종목 추천이나 상담은 하지 않습니다.

 

모쪼록 제 공간에 오신 모든 분들이 주식스터디를 통해 인생 한 방보다, 꾸준함을 믿으며...

복리의 마법으로 모든 분들이 성공한 개인투자자가 되시길...

 


2021년 6월 29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가 석달 만에 역사적 신고가를 경신했습니다.

 

(2) 유전자가위 기업 인텔리아가 간 단백질을 타깃팅한 정맥주사 임상에 성공했습니다.

 

(3) Ark가 비트코인 ETF 설립을 신청했습니다.

 

미 5년 breakeven rate 2.473%, -0.025%p (2% 상회시 유의, 2.5% 상회시 경고)

한국 고객예탁금, 67.0조원 +0.4조원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10%

1개월 NDF 환율 1,130.50원 (+0.40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6/28 미국 혼조 = 빅테크 + 성장주]

(Feat. 확연한 실적 성장주 장세)

 

<About Market>

FOMC이후, 결국 예상대로 시장은 계속 오르고 있습니다. 크게보면 성장주와 경기민감주가 2~3일 텀으로 주도권을 주고 받으며 지수를 끌어올리고 있습니다. 매우 선순환적인 상승장입니다. 그러나 대표적으로 바이오텍과 같은 상대적으로 불확실성이 큰 성장섹터는 여전히 소외받고 있습니다. 반면 바이든 인프라법안 합의로 불확실성이 사라진 신재생에너지섹터는 전체적으로 급등하였습니다.

 

오늘 결정된 facebook의 독점법위반 기각은 시사하는 바가 큽니다. 향후 빅테크들의 독점력은 더욱 커질것입니다. 아이러니하지만 미국정부가 독점법을 기반으로 facebook을 공격하면, 그 수혜는 중국기업인 tiktok이 받게 됩니다. 미국 정부는 구조적으로 빅테크의 독점을 용인할 수 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Facebook 독점금지법 위반 소송 기각

-미국 연방법원은 공정위가 제기한 페이스북의 독점금지법위반 소송을 기각

-인스타그램, 와츠앱의 강제분할 및 매각 가능성 소멸

☑️Facebook 4% 급등하며 역사상 처음으로 시가총액 $1t 돌파

 

*ARK 인베스트먼트

-ARKK : 5/14 이후 저점대비 +34%

-Bitcoin ETF 런칭예정(서류제출)

 

*Big Tech Trillion 5총사

-Apple : $2.31t

-Microsoft : $2.02t

-Amazon : $1.74t

-Alphabet : $1.70t

-facebook : $1.01t

 

•나스닥 +1.0% / 러셀2000 -1.1%

•S&P500 +0.2% / 다우 -0.4%

-나스닥 Top10 : 상승 9 vs 하락 1

 

-비트코인 : $34,000

-미국채금리(10y) : 1.478 (-3.8%)

-WTI : $72.80 (-1.7%)

 

*코로나 : 신규확진자 감소

(전일 5,081 / WoW -35.5%)

 

SMART한 주식투자

https://t.me/frankinvest

 

 

[미래에셋증권] 해외 금융시장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02-3774-1621)

 

◆ 미국 증시

- DOW: 34,283.27p (-150.57p, -0.44%)

- S&P500: 4,290.58p (9.88p, +0.23%)

- NASDAQ: 14,500.51p (140.12p, +0.98%)

 

◆ 한국 관련

- MSCI 한국지수 ETF: 93.48p (-0.53p, -0.56%)

- MSCI 이머징지수 ETF: 55.56p (+0.06p, +0.11%)

- Eurex kospi 200: 439.30p (+0.45p, +0.10%)

- NDF 환율(1개월물): 1,130.56원 / 전일 대비 1원 하락 출발 예상

 

◆ 외환시장

- 달러인덱스: 91.903 (+0.052, +0.06%)

- 유로/달러: 1.1924 (-0.0011, -0.09%)

- 달러/엔: 110.61 (-0.14, -0.13%)

- 파운드/달러: 1.3875 (-0.0004, -0.03%)

 

◆ 미국 국채시장

- 2년물: 0.2543% (-1.2bp)

- 5년물: 0.8974% (-2.4bp)

- 10년물: 1.4765% (-4.8bp)

- 30년물: 2.0959% (-5.3bp)

- 스프레드(10Y-2Y): +122.22bp (-3.58bp)

(국채선물)

- 2YR T-Notes: 110*04   (+0*01 , +0.03%)

- 5YR T-Notes: 123*11   (+0*04 1/2, +0.11%)

- 10YR T-Notes: 132*08 1/2 (+0*13 , +0.31%)

- US T-Bonds: 160*02   (+1*10 , +0.83%)

- Ultra US T-Bonds: 191*14   (+2*18 , +1.36%)

 

◆ 상품시장 ($, 단 곡물, 구리는 센트)

- WTI: 72.91 (-1.14, -1.54%)

- 브렌트유: 74.68 (-1.5, -1.97%)

- 금: 1,780.70 (+2.9, +0.16%)

- 은: 26.254 (+0.128, +0.49%)

- 아연(LME, 3M): 2,905.00 (-2.5, -0.09%)

- 구리: 427.85 (-1.1, -0.26%)

- 옥수수: 547.25 (+28, +5.39%)

- 밀: 651.5 (+10.75, +1.68%)

- 대두: 1,312.50 (+42.75, +3.37%)

- BDI: 3,255.00 (+80, +2.52%)

 

*동 자료는 2021년 6월 29일 미래에셋증권 홈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를 요약한 것입니다.

 

글로벌 주식시장 변화와 전망(6월 28일)

미래에셋증권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02-3774-1621)

 

델타 변이 바이러스로 다우 하락 Vs. 나스닥 상승

 

미 증시는 공화당이 초당적 인프라 투자안에 대해 긍정적으로 발표하자 상승 출발 했지만, 코로나 델타 변이 바이러스 문제가 확산되자 여행, 레저, 항공, 에너지 업종이 부진해 다우지수는 하락 전환. 반면, 개별 호재성 재료가 유입된 반도체 및 언텍트 관련 기업들은 강세를 보여 나스닥은 상승 행진 지속. 더불어 연방 법원이 페이스북(+4.18%)에 대한 FTC의 독점 금지 고소를 기각한 점도 나스닥 상승 확대 요인(다우 -0.44%, 나스닥 +0.98%, S&P500 +0.23%, 러셀2000 -0.52%)

 

변화 요인: ①델타 변이 바이러스 ②반독점 ③인프라투자

 

http://securities.miraeasset.com/bbs/maildownload/2021062905515400_3431

 

 

[6/29 미국 증시 리뷰 및 평가, 키움 전략/시황 한지영]

 

1. 미국 증시 리뷰

 

28일(월) 미국 3대 증시는 공화당의 인프라투자 추진 소식에도, 변종 코로나 확산 우려에 따른 경기 민감주 약세 VS 독점 규제 우려 완화로 급등한 페이스북(+4.2%), ARM지분 인수완료로 상승한 엔비디아(+5.0%) 등 성장주 강세로 업종 및 스타일간 차별화된 주가 흐름을 보이면서 혼조세 마감(다우 -0.4%, S&P500 +0.2%, 나스닥 +1.0%).

 

업종별로는 기술(+1.1%), 커뮤니케이션(+0.8%), 유틸리티(+0.6%) 등이 강세, 에너지(-3.3%), 금융(-0.8%), 산업재(-0.5%) 등이 약세.

 

공화당 상원에서는 지난주 바이든 대통령이 발표한 약 1.2조 달러 규모의 초당적 인프라투자 합의안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힘.

 

지난 금요일 바이든 대통령은 인프라투자 뿐만 아니라 가족 계획 법안이 동시에 처리되지 않는 이상, 서명할 의사가 없다고 밝히면서 논란이 발생. 그러나 주말 중 해당 발언을 철회했다는 점이 공화당의 인프라투자 합의안 추진 의사를 이끌어낸 모습.

 

2. 미국 증시 평가

 

전거래일 경기 민감주들이 동반 약세를 보인 배경은 인도발 변종코로나의 전세계 대유행 우려가 지속되고 있기 때문.

 

영국의 일간 확진자수가 2만명대를 상회하며 5개월 이래 최고치를 기록함에 따라, 독일, 포르투갈, 홍콩 등 주요 국가들은 영국 여행금지를 발표했으며, 호주에서는 일부지역들에 대한 봉쇄조치를 단행.

 

이로 인해 전세계 경기 회복세가 지연될 것이라는 불안감이 재차 부상하고 있는 모습.

 

그러나 (돌파 감염의 사례도 존재하지만) 대부분 변종 코로나 확진자수가 백신 미접종자들 위주로 나타났다는 점, 변종 코로나 확진으로 인한 사망자수가 적다는 점(기존 코로나 대비 낮은 치명률)에 주목할 필요.

 

전염병으로 인한 사망에 대한 공포가 적다는 점을 감안 시 정부 입장에서 부분적인 봉쇄 조치는 취할 수 있겠으나, 지난해처럼 전면적인 경제 봉쇄 단계까지 갈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판단.

 

주식시장 입장에서도 코로나는 이미 수차례 경험하며 소화한 악재인 만큼, 단기 차익실현의 명분을 제공할 수는 있어도 시장의 방향성에는 제한적인 영향만 가할 것으로 전망.

 

[6/29 한국 증시 리뷰 및 평가, 키움 전략/시황 한지영]

 

1. 한국 증시 리뷰

 

28일(월) 코스피는 중간 배당 기대감, 경기 정상화 기대감 등에 따른 증권, 섬유의복, 해운 업종 위주로 강세를 보이면서 장 초반 3,310선을 상회. 

 

그러나 이후 단기적인 지수 레벨 부담감에 따른 외국인과 기관의 차익실현성 동반순매도로 하방압력을 받으면서 약보합세로 마감(코스피 -0.03%, 코스닥 +0.6%).

 

업종별로는 섬유의복(+2.38%), 종이목재(+1.6%), 증권(+1.2%) 등이 강세, 기계(-2.0%), 운수장비(-0.6%), 화학(-0.3%) 등이 강세.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740억원, 3,040억원 순매도에 나선 반면, 개인이 3,860억원 순매수를 기록.

 

2. 한국 증시 전망

 

한국 증시는 미국 증시와 유사하게 업종간 차별화된 장세가 전개됨에 따라 일간 박스권 흐름을 보일 것으로 전망.

 

미국발 인프라 투자에 따른 전세계 경기 모멘텀 기대감은 유효하지만, 단기적으로 인도발 변종 코로나 확산이 경기 민감, 경제 재개 관련 업종들에 대한 투자심리를 위축시킬 것으로 전망.

 

최근 한은의 연내 금리인상 기정 사실화 이후 국내 시장 금리 급등세가 진정되지 않고 있으나, 국내 성장주들은 미국 금리 변화에 영향을 더 많이 받는 경향.

 

따라서 미국 10년물 금리 하락, 2분기 실적 시즌에 대한 기대감도 유효함을 감안 시 금일 성장주들이 상대적으로 선방하는 모습을 보일 것으로 예상.

 

https://www.kiwoom.com/h/invest/research/VMarketSDDetailView?sqno=4735

 

 

 

[한투증권 박소연] 21.06.29 GIS daily

 

요약: 델타 변이 확산에 성장주 강세. 페이스북 반독점 소송 기각,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2.5% 상승

 

============

 

- 미국증시 혼조 마감. 델타변이 확산에 경제재개 수혜주가 하락하면서 다우존스는 약세 마감했으나, 미국채 10년물 금리가 큰 폭 하락하며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2.5% 상승했고 페이스북이 반독점소송 기각 소식에 4% 급등하며 나스닥 사상 최고 경신

 

- 델타 변이가 유럽과 동남아시아에서 빠르게 확산되면서 봉쇄조치 다수 재개. 호주는 6/27부터 시드니 등 봉쇄조치를 강화했고 홍콩은 영국발 항공기 입국을 재차 금지. 말레이시아, 방글라데시, 태국도 델타 변이 확산으로 봉쇄조치를 다시금 단행

 

- 이에 유나이티드항공(-2.7%), 아메리칸에어(-3.7%) 등 항공주 약세 보였고 카니발(-7.0%) 등 크루즈사와 부킹(-3.4%) 등 여행주도 약세

 

- 이에 성장주 로테이션이 재차 강화. 워싱턴DC 연방법원은 연방거래위원회(FTC)가 제기한 페이스북 반독점 소송을 기각하면서 '페이스북의 주장에 모두 동의하는 것은 아니지만, 이번 제소는 법적으로 근거가 불충분해 기각했다'고 설명. 이에 인스타그램과 왓츠앱 강세 분할 조치 우려가 완화됐고 아마존(+1.3%), 애플(+1.3%) 등 동반 상승

 

- 종목별로는 코인베이스(+9.9%)가 독일 금융감독원(Bafin) 크립토 수탁기관 라이센스 수취에 급등. NVIDIA(+5.0%)는 브로드컴/미디어텍/마벨 등 주요 고객사가 ARM 인수 지지하며 강세. 반면 보잉(-3.4%)은 777X 롱레인지 모델 인증 불확실성에 하락

 

- 유럽증시는 하락 마감. 버버리(-8.8%)는 CEO 마크로 고베티가 사임하고 살바토레 페라가모로 이적한다는 뉴스에 급락. 다임러(-2.5%), 글렌코어(-1.5%), AXA(-1.4%) 등 자동차, 소재, 보험 등 가치주 전반 약세

 

 

 

[2021.06.28 (월) 필라델피아 반도체] 하나금융투자 반도체 애널리스트 김경민, CFA

 

전일 대비 +2.52%, 3,323선 마감

상승주 30, 하락주 0

 

다우 -0.44%, 나스닥 +0.98%, S&P 500 +0.23%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금요일에 -0.38% 하락한 이후 월요일에 +2.52%로 마감하며 52주 신고가 경신

 

전방산업에서 Bitcoin 가격이 6월 중순 이후 30,000달러를 하회하며 내려갔다가 다시 34,000달러 수준까지 회복한 것이 반도체 업종의 투자 심리에 긍정적 기여. 그밖에 차량용 반도체 NXP가 Arizona의 질화갈륨 (GaN) 생산라인에서 5G massive MIMO를 지원하는 RF 솔루션을 생산할 것이라는 발표도 긍정적 영향. 아울러 반도체 설계 자동화 툴 공급사 Synopsys가 삼성전자의 3nm GAA 공정을 이용한 시스템 온 칩의 tape-out을 발표한 것도 긍정적. 반도체 업종의 전방 산업에서 5G 또는 선단 공정 미세화와 관련된 뉴스들이 이어지며 각 사의 주가에서 EPS보다 PER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침

 

최대 상승주는 엔비디아. 52주 신고가 경신하며 주도주 역할. 고성장 종목 & 고퀄리티 종목으로서의 대표성 유지. 전일 대비 +5.01% 마감. Bitcoin 가격 반등이 주가에 긍정적 영향. 아울러 영국의 반도체 회사 ARM Holdings를 인수하는 것에 관해 그동안 영국의 규제 당국이나 미국의 일부 테크 기업이 부정적 견해였는데, 이제는 브로드컴, 미디어텍, 마벨 등 일부 반도체 기업이 엔비디아의 ARM Holdings 인수를 지지한다는 뉴스가 전해지자, 엔비디아가 ARM Holdings를 인수할 가능성이 조금 더 커졌다는 점이 주가에 긍정적 영향

 

그밖에 상승 폭이 컸던 종목은 특정 업종에 국한되지 않고 개별 종목 장세 흐름 연출. 엔비디아에 이어 크게 상승한 종목은 5G 통신장비 관련주 마벨 +4.09%, 반도체 장비주 AMAT +3.52%, 반도체 공정소재 및 소모품 공급사 Entegris +3.10%, 차량용 반도체 공급사 +3.07%. 이러한 여러 업종 중에 상대적으로 상승 폭이 낮았던 종목들도 있음. 차량용 반도체 공급사 NXPI +0.98%, 5G 수혜주 퀄컴 +1.50%, 반도체 장비주 KLAC +1.90% 등

 

메모리 반도체 및 스토리지 업종에서 마이크론과 실리콘 모션은 상승. 스토리지 관련주인 WDC와 Seagate가 상대적으로 약세인데 동남아 지역의 코로나 확산 때문으로 추정. 2020년 상반기에 코로나가 필리핀 등지로 퍼질 때 스토리지 업종의 밸류 체인 타격이 컸음. 마이크론 +1.65%, WDC -1.07%, 실리콘 모션 +1.78%, Seagate -0.34%

 

[CPU & GPU] 인텔 +2.81%, AMD +1.71%, 엔비디아 +5.01%

 

[파운드리 ADR 및 후공정] TSMC +2.64%, UMC +0.74%, Amkor +1.14%,

 

[장비] ASML ADR +2.61%, AMAT +3.52%, 램리서치 +2.62%, KLA +1.90%, 테라다인 +2.47%

 

[5G] 퀄컴 +1.50%, Skyworks +2.24%, 코보 +2.17%, 브로드컴 +2.29%, Two Six +1.70%,

 

[아날로그] TXN +1.79%, ADI +1.74%, NXP +0.98%, 마이크로칩 +2.39%, 온세미 +3.07%

 

[공정소재] 캐봇 마이크로 +1.94%, 인테그리스 +3.10%

 

[웨이퍼] 신에츠화학 -0.1%, Sumco -0.8%, Globalwafers -1.6%

 

감사합니다.

 

[한투증권 전기전자/핸드셋 조철희]

6월29일 IT 주요뉴스

 

● 애플, 벌써부터 아이폰13 주요부품 출하

-TSMC는 올해 아이폰 신모델용 A15 칩 생산 시작. 아이폰용 전력 조절장치 주요 공급사인 신텍도 2분기 매출 25% 증가 전망

-오실레이터 공급업체 TXC도 올해 애플로부터 주문량 증가

Link: https://bit.ly/3jojVcs

 

● 中 럭스쉐어, 애플 아이폰13 시리즈 생산

-협력업체들은 아이폰 시리즈 출하량을 2.3억대~2.4억대에 이를 것으로 보고있음

-럭스쉐어는 이미 천만대 이상의 아이폰13 조립생산 주문을 받음

Link: https://bit.ly/3h09NVp

 

● TSMC likely to post record June revenue(Digitimes prime)

-TSMC is expected to see its revenue hit another record high in June 2021, driven by shipments for the upcoming iPhones, according to industry sources.

 

● 美제재 영향 없는 中 내 아이폰 입지…1초 만에 매진

-징둥닷컴은 지난 '6·18 쇼핑 축제'에서 아이폰은 판매 시작과 함께 1초 만에 약 1억 위안(약 174억원) 팔리며 매진

-아이폰은 6·18 쇼핑 축제에서 매출 기준으로 단일 제품 판매 1위를 차지

Link: https://bit.ly/3w4KlCq

 

● 노스볼트, 전기차 배터리에 한국산 부품 사용 추진…"中 각형 캔 품질 문제"

-노스볼트는 당초 중국 기업으로부터 각형 배터리 금속캔 공급을 받으려 했지만, 중국 제품의 품질에 만족하지 못해 한국산 배터리 부품으로 교체를 추진 중인 것으로 파악

-중국에 전극·조립·검사 장비를 일괄 공급할 업체 장비로 배터리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 국내 기업들과 장비 공급을 위한 발주 협상을 진행

Link: https://bit.ly/35ZcNeI

 

 

 

 

 

 

『하루를 여는 혁신투자자문 IPO News Letter💌 - 20210629』

 【 텔레그램 채널 주소 : https://t.me/KoreaIB

 【 IPO상장문의 및 이경준 대표 Contact ☞ 📧 ipo@kakao.com 】

 

===========================

 

★ 금일 IPO 일정 ★

 06/28~06/29 오비고 수요예측⚖️

 

☆ 금주 남은 IPO 일정 ☆

 07/01~07/02 오비고 청약🖨

 

 ------------------------------------------

 

▣ 기관IR 일정 ▣

 - 소규모 간담회로만 진행 中 -

 

▣ 상장 일정(예정, 변경가능) ▣

 07/13 오비고(NH투자증권)

 07/20 SD바이오센서(NH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07/23 큐라클(삼성증권)

 07/27 맥스트(하나금융투자)

 07/28 브레인즈컴퍼니(키움증권)

 07/29 에브리봇(NH투자증권)

 07/29 플래티어(KB증권)

 미정 - 딥노이드(KB증권)

 08/05 카카오뱅크(KB증권)

 미정 - 원티드랩(한국투자증권)

 미정 - 크래프톤(미래에셋증권)

 미정 - 바이젠셀(대신증권)

 

▣ 심사 승인 ▣

 - 한컴라이프케어(미래에셋증권)

 - 실리콘투(삼성증권, 미래에셋증권)

 - 엠로(한국투자증권)

 - 에이치케이이노엔(한국투자증권, 삼성증권)

 - 엠씨넥스(한국투자증권)

 - 아주스틸(미래에셋증권)

 - 카카오페이(삼성증권)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 국내 IPO 개별종목

■ '기업가치 16조~19조' 카뱅 8월초 상장…2조원대 자금조달(종합)

https://www.yna.co.kr/view/AKR20210628120151002?input=1195m

 

■ 카카오페이 상장예비심사 통과…이르면 8월 증시 입성(종합)

https://www.yna.co.kr/view/AKR20210628151551002?input=1195m

 

■ [시그널] 보령제약 관계사 ‘바이젠셀’ 8월 IPO 청약···상장 몸 값 5,000억 제시

https://www.sedaily.com/NewsView/22NTA179DJ

 

■ 공모가 낮출까?...상장 앞두고 '직장 내 갑질'·'가격 거품' 논란에 발목 잡힌 크래프톤

http://psnews.co.kr/View.aspx?No=1835583

 

■ 기술특례상장 나선 오비고···최대주주 장영준, 모친 한무경 신화 재현?

http://www.sisajournal-e.com/news/articleView.html?idxno=233657

 

■ AI 진단 '딥노이드' 투자 VC, 엑시트 최대 난관은 오버행?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6251548293520107139&lcode=00&page=7&svccode=00

 

■ 코어라인소프트, 투자유치 막바지···IPO 본격화

https://paxnetnews.com/articles/75592

 

 

▶️▶️▷ IPOmarket(해외IPO포함)

■ 깐깐해진 금융당국의 눈···하반기 IPO 숙제된 ‘고평가 논란’

http://www.sisajournal-e.com/news/articleView.html?idxno=233647

 

 

▶️▶️▷ 시장 이모저모

■ [단독] 6개월 직접조달 41兆···기업들, 사상 최대로 자금 모았다

https://www.sedaily.com/NewsView/22NTAG4RRJ

 

■ [단독] 불 붙는 휴젤 인수전, GS도 뛰어들었다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106285988i

 

■ [단독]야놀자 간부, 가맹점 지급 쿠폰, 아내 운영 호텔에 몰아주기 의혹

http://naver.me/5On6kVSE

 

■ [단독] 스틱, 하이브 지분 8,500억어치 블록딜 한다

https://www.sedaily.com/NewsView/22NT90ZW65

 

 

▶️▶️▷ 시세/시황

[표]IPO장외 주요 종목 시세(6월 28일)

https://www.sedaily.com/NewsView/22NT9AATB3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728x90
728x90

 

증시캘린더는 개인적으로 관련된 소식을 확인후 작성한 일정이라 변동 또는 오류의 소지가 있습니다.

참고시 유의하시고 배포시엔 블러그 링크로 공유해 주셔요.


 

728x90
728x90

 

주식투자 스터디를 위해 개인적으로 스크랩한 시황, 뉴스 자료를 공유합니다.

1) 노션 링크는 익스플로러에선 제대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크롬에 최적화 되어있으며, 엣지, 웨일에서도 잘 작동합니다.

 

2) 공유한 자료링크는 1~2일후 공유 해지 합니다.

 

게시물은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한 것이라

불확실하거나 오류가 많을 수 있으므로 투자 활용시 유의하시기 바라며, 개별적인 종목 추천이나 상담은 하지 않습니다.

 

모쪼록 제 공간에 오신 모든 분들이 주식스터디를 통해 인생 한 방보다, 꾸준함을 믿으며...

복리의 마법으로 모든 분들이 성공한 개인투자자가 되시길...

 


 

2021년 6월 28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래리 서머스가 올 연말 미국 인플레가 5%를 기록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2) 인텔 CEO가 2분기 중 반도체 부족이 바닥을 찍었다고 진단했습니다. 

 

(3) 인도의 석유화학 재벌 릴라이언스가 3년간 친환경에 100억달러를 투자합니다.

 

미 5년 breakeven rate 2.498%, +0.028%p (2% 상회시 유의, 2.5% 상회시 경고)

한국 고객예탁금, 66.6조원 +0.6조원

 

한국 백신 접종률 19.3%(+0.4%p, 집단면역 70%)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06%

1개월 NDF 환율 1,127.56원 (-0.19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미래에셋증권] 해외 금융시장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02-3774-1621)

 

◆ 미국 증시

- DOW: 34433.84p (+237.02p, +0.69%)

- S&P500: 4280.7p (+14.21p, +0.33%)

- NASDAQ: 14360.39p (-9.32p, -0.06%)

 

◆ 한국 관련

- MSCI 한국지수 ETF: 94.01p (+0.56p, +0.6%)

- MSCI 이머징지수 ETF: 55.5p (+0.46p, +0.84%)

  Eurex kospi 200: 439.95p(+0.25p. +0.06%)

- NDF 환율(1개월물): 1,127.56원 / 전일 대비 1원 하락 출발 예상

 

◆ 외환시장

- 달러인덱스: 91.851 (+0.037, +0.04%)

- 유로/달러: 1.1935 (+0.0003, +0.03%)

- 달러/엔: 110.75 (-0.12, -0.11%)

- 파운드/달러: 1.3879 (-0.0043, -0.31%)

 

◆ 미국 국채시장

- 2년물: 0.2661% (-0.2bp)

- 5년물: 0.9215% (+0.8bp)

- 10년물: 1.5241% (+3.2bp)

- 30년물: 2.1487% (+5.1bp)

(국채선물)

- 2YR T-Notes: 110*03   (-0*00 , 0%)

- 5YR T-Notes: 123*06 1/2 (-0*03 1/4, -0.08%)

- 10YR T-Notes: 131*27 1/2 (+0*-10 , -0.24%)

- US T-Bonds: 158*24   (-1*26 , -0.74%)

- Ultra US T-Bonds: 188*28   (-2*25 , -1.45%)

 

◆ 상품시장 ($, 단 곡물, 구리는 센트)

- WTI: 74.05 (+0.75, +1.02%)

- 브렌트유: 76.18 (+0.62, +0.82%)

- 금: 1777.8 (+1.1, +0.06%)

- 은: 26.126 (+0.037, +0.14%)

- 아연(LME, 3M): 2907.5 (-8.5, -0.29%)

- 구리: 428.95 (-1.55, -0.36%)

- 옥수수: 519.25 (-16.75, -3.13%)

- 밀: 640.75 (-11.25, -1.73%)

- 대두: 1269.75 (-22, -1.7%)

- BDI: 3255 (+80, +2.52%)

 

*동 자료는 2021년 6월 28일 미래에셋증권 홈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를 요약한 것입니다.

 

글로벌 주식시장 변화와 전망(6월 28일)

미래에셋증권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02-3774-1621)

 

인플레, 콘택트 관련 종목 중심 강세

 

미 증시는 인플레이션 압력 확대 우려가 완화되자 상승 출발. 특히 연준의 스트레스 테스트 결과 및 국채 금리 상승으로 금융주가 상승을 주도. 더불어 나이키 등 콘택트 관련 종목군들의 실적 개선 지속 가능성이 부각되며 관련주가 강세를 보인 점도 특징. 반면, 언택트 관련 종목군은 부진하거나 관망. 결국 금융, 소비재, 여행 등 경기 민감주 및 콘택트 관련주가 상승하며 다우 지수 강세를 이끌었으나, 언택트 관련 기술주가 부진해 나스닥은 하락하는 등 혼조 마감(다우 +0.69%, 나스닥 -0.06%, S&P500 +0.33%, 러셀2000 +0.03%)

 

http://securities.miraeasset.com/bbs/maildownload/2021062711355430_3431

 

 

 

[한투증권 박소연] 7월 첫째주 GIS weekly

 

지난 주 글로벌 증시는 가치주 로테이션이 다시 강화되는 분위기였죠. 그래도 여전히 성장주 미련이 남는 분들이 많으실겁니다.

 

해외에서도 비슷한 고민을 하는지 주말 FT weekend 판에도 비슷한 내용의 칼럼이 실렸네요. 간단히 소개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https://on.ft.com/3jjppF8

 

통화/재정정책 강도 약화, 증세 부담 등 우려가 많긴 하지만....

 

1) 가치주는 오랫동안 언더퍼폼했다가 이제야 리셋되었음. 인플레가 2~3% 수준에서 안정적으로 등락만 한다면 가치주 계속 갈 것

 

2) 경기 사이클의 길이(duration)를 과소평가하면 안됨. 경기가 더 좋아질텐데 인플레 민감도가 높은 주식 선호하는 것은 당연

 

3) 가치주가 부담스럽다면 블루칩 우량주인 퀄러티 주식 비중확대도 추천. 대형주 대비 20년래 최대 할인율 기록중

 

불확실성이 여전하지만 가치주 대세론이 아직은 끝나지 않은 것 같네요

 

============

 

▲ 주말 해외동향 : 뉴욕증시 혼조 마감. 인프라 투자안 양당 합의, 물가지표가 예상치 부합에 경제재개 수혜주와 가치주는 상승, 나스닥은 하락

 

- 5월 근원 PCE 물가지표가 YoY 3.4% 상승해 1992년 이후 최고였으나 시장 예상에 부합해 안도

 

- 이런 상황이다보니 연준 인사 매파적 발언 여전. 로젠그렌 보스턴 연은총재는 '완화적 통화정책의 부작용에 대해 생각해 봐야한다고 언급. 미국채 10년물 금리 1.52%까지 반등

 

- 종목별로는 JP모건(+1.0%), 웰스파고(+2.7%) 등 은행주가 연준 스트레스 테스트 통과로 배당/자사주매입 재개 기대로 강세. 나이키(+15.5%) 중국 불매운동 우려 완화, 디지털 매출 급증에 강세

 

- 유럽증시도 경기회복 낙관론에 상승. 아디다스(+5.9%) 등 의류주와 티센크루프(+3.5%), 산탄데르(+1.1%) 등 철강/은행주 강세

 

▲ 52주 신고/테마 : 소매/의류(타겟, 이베이, 나이키, 아베크롬비&피치, 얼반아웃피터스, L브랜즈, 데커스아웃도어), 에너지(옥시덴탈 페트롤리움, 컨티넨탈 리소스), 통신장비(모토로라, 차터커뮤니케이션), 금융/카드(아메리칸익스프레스, VISA), 총기(스미스&웨슨)

 

▲ 종합판단 : 6월 FOMC 매파적 스탠스에 원자재 가격 급락세 우려 많으나 자정작용으로 이해. 단기 변동성 확대시 저가 매수 대응 필요. 가치주 큰 트렌드 아직 종료되지 않아

 

- 금주 일정: 7/2(금) 6월 고용지표 발표

 

 

 

 

 

 

** 바이든 부양책 : EV 보조금 배제

> 현안 기준 충전소 인프라 투자만 지원

> 미국 EV 현지화 투자회수 불확실성 증대

Biden's proposed plan, titled the American Jobs Plan, initially called for a whopping $100 billion in direct subsidies for electric vehicles, but according to a White House fact sheet, the compromise plan excludes such funds.

https://www.cnet.com/google-amp/news/biden-infrastructure-ev-subsidies-charging-network/

 

 

[6/25 미국 혼조 = 차익실현+저가매수]

(Feat. 계속 신고가 모드)

 

*특별한 이슈와 변동성이 없었던 하루

 

•나스닥 -0.1% / 러셀2000 +0.3%

•S&P500 +0.3% / 다우 +0.7%

-나스닥 Top10 : 상승 1 vs 하락 9

 

-비트코인 : $32,000

-미국채금리(10y) : 1.524

-WTI : $74.00 (+1.0%)

 

*코로나 : 신규확진자 감소

(전일 15,432 / WoW +14.8%)

 

SMART한 주식투자

https://t.me/frankinvest

 

 

 

[2021.06.25 (금) 필라델피아 반도체] 하나금융투자 반도체 애널리스트 김경민, CFA

 

전일 대비 -0.38%, 3,241선 마감

상승주 10, 하락주 20

 

다우 +0.69%, 나스닥 -0.06%, S&P 500 +0.33%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월요일부터 목요일까지 4영업일 동안 상승한 이후 금요일에 -0.38% 하락. 상승주보다 하락주가 많았음

 

차량용 반도체 등 부품 부족이 완화되는 시그널이 금주에 이어지며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연이어 상승하다가, 금요일에 칩 공급 부족의 장기화 가능성에 대해 인텔과 Suzuki Motor에서 언급하며 투자 심리가 부정적으로 작용. 인텔 CEO인 Pat Gelsinger는 차량용부터 생활가전용까지 아우르는 반도체 공급 부족 사태가 2021년 하반기에 바닥을 통과할 것이라고 언급하면서, 과거처럼 건전한 반도체 수요-공급 상황이 재개되는 것은 2023년까지 어려울 것이라는 견해 피력. 한편 Suzuki Motor에서는 반도체와 배터리의 공급이 당분간 타이트하므로 결과적으로 재고 축적을 늘릴 것이라고 금요일에 열린 주주총회에서 밝힘

 

이와 같은 소식 때문에 차량용 반도체 업종 약세. On Semiconductor -0.66%, 마이크로칩 -0.23%, 텍사스 인스트루먼트 -0.23%. 차량용 반도체 2위 공급사 NXP만 유일하게 +0.17% 상승. 그 밖에 반도체 공정장비주와 공정소재주도 약세

 

가장 크게 상승한 종목은 7월 1일 실적 발표 예정인 마이크론, 전일 대비 +1.80%. 금주에 반도체 시장 조사 기관 DRAMeXchange에서 발표하는 PC DRAM 현물가격이 반등한 것이 심리적으로 긍정적 영향. 금요일 기준, DDR4 8G (1G*8) 2400 Mbps 제품은 전일 대비 +0.72% 상승. DDR4 4G (512M*8) 2400 Mbps 제품은 전일 대비 +1.44% 상승. 현물가격 반등에 힘입어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에 포함되지 않은 메모리 반도체 및 스토리지 관련주 중에 Western Digital +1.38%, Seagate +0.13% 기록. 다만, 실리콘 모션은 -0.60%로 하락

 

그밖에 나름대로 주가가 양호했던 업종은 5G 관련주 Skyworks +0.51%, Qorvo +0.25%

 

[CPU & GPU] 인텔 -0.29%, AMD -0.56%, 엔비디아 -0.91%

 

[파운드리 ADR 및 후공정] TSMC -0.61%, UMC -1.15%, Amkor -0.80%,

 

[장비] ASML ADR -1.26%, AMAT -1.50%, 램리서치 -0.72%, KLA +0.12%, 테라다인 -0.81%

 

[5G] 퀄컴 -0.20%, Skyworks +0.51%, 코보 +0.25%, 브로드컴 -1.67%, Two Six -0.41%,

 

[아날로그] TXN -0.23%, ADI +0.37%, NXP +0.17%, 마이크로칩 -0.23%, 온세미 -0.66%

 

[공정소재] 캐봇 마이크로 -1.91%, 인테그리스 -1.30%

 

[웨이퍼] 신에츠화학 +1.7%, Sumco +1.9%, Globalwafers -1.6%

 

감사합니다.

 

 

[2021.06.25 (금) 대만 가권지수 +0.55%, 17,503p] 하나금융투자 반도체 애널리스트 김경민, CFA

 

업종별: 반도체 +0.15%, 금융 +0.86%, 플라스틱 +0.32%, 해운/운송 +4.96%, 철강 +0.51%, 건설 -0.27%, 시멘트 +0.08%, 제지 -1.06%, 자동차 +1.28%, 석유/가스/전기 -0.43%

 

외국인 순매수 3,559억 원

 

금요일 대만 가권지수는 17,500선을 돌파하며 17,503선으로 마감. 미국 정부에서 초당파적으로 대규모 인프라 투자안에 합의한 것이 대만 가권지수의 투자 심리에 긍정적 영향. 업종 중에서는 인프라 투자와 관련성 높은 산업재 혹은 경기 민감 업종이 상대적으로 강세. 해운/운송 업종 +4.96%, 철강 업종 +0.51% 기록. 반면에, 반도체 업종은 +0.15%로 소폭 상승. 반도체 업종 내에서는 시총 대표주 TSMC가 전일 대비 +0.17%를 기록한 가운데, 메모리 업종 관련주인 난야테크(DRAM 제조)와 ADATA(메모리 모듈 및 유통)가 전일 대비 각각 +3.1%, +2.4% 기록. 금주에 PC DRAM 현물가격이 반등했기 때문. 난야테크는 7월 9일 금요일 오후에 2분기 실적을 발표할 예정

 

대만달러는 전일 대비 강세. TWD 27.89 기록

 

[파운드리] TSMC +0.2%, UMC -0.2%

 

[메모리] 난야테크 +3.1%, 윈본드 +0.4%, 매크로닉스 -1.0%

 

[서버] Aspeed -1.9%, Nuvoton +1.0%, Wiwynn -0.5%

 

[팹리스] 미디어텍 -0.2%, 노바텍 -1.6%

 

[후공정] ASE +1.7%, 칩모스 -1.3%, 칩본드 +0.3%, 파워텍 -1.8%

 

[애플 벤더] 혼하이정밀 +0.0%, Largan +4.2%, 지니어스 +7.7%, 페가트론 +0.0%, Catcher +0.8%

 

[5G 화합물] 윈세미 -0.5%, VPEC +6.2%

 

[반도체 유통] ADATA +2.4%, Transcend -0.5%, Phison -0.9%

 

[PC] ACER +1.0%, ASUSTEK -1.7%, Lenovo(HK) +0.2%

 

[기타] Global Unichip -1.4%

 

감사합니다.

 

 

[하나 리서치 중국/신흥국 전략 김경환]

>중국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 중국산 및 수입 테슬라 28.5만대 리콜 명령(모델 3/모델 Y). 자동주행 관련 설정 및 오작동 위험 등 문제가 리콜 원인. 테슬라 측은 즉각적인 사과문과 함께 고객 방문 없이 원격 업그레이드 가능하다고 공지.

 

•차량결함보다 최근 사고들 관련 오작동 등 문제 같은데 일단 차주 중국 전기차 관련주 투자심리에는 부정적 이슈로 보이네요.

 

>特斯拉召回部分口和Model 3、Model Y电动285520

家市场监局 ( http://www.samr.gov.cn/zw/zh/202106/t20210626_331554.html):本次召回范车辆由于主巡航控制系统问题,易造成驾驶员在相情形激活主巡航功能。主巡航控制被激活后,如果车辆设置的巡航速度不是速,且速低于定速度车辆加速到定速度,出现车辆速度突增情形,驾驶员车辆操控判,端情下可能车辆发撞,存在安全

摘要:特斯拉表示,深表歉意,用无需到店即可通车远程升完成。

 

 

[메리츠 중국 최설화]

안녕하세요~ 델타 변이 바이러스 때문에 광저우 등 지역의 통제 조치가 강화되고 있어, 관련 내용 전달드립니다.

중국 광저우시, 변이 바이러스 통제를 위해 25만m2의 격리 시설 건설 중

** 델타 바이러스의 중국 내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광저우시에서는 시외에 25만 제곱미터의 격리시설을 건설 중이랍니다.

 

** 해당 격리시설에는 5,000개의 분리방 설치했고, 엄격한 격리 기준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 신규 시설을 건설하는 이유는 1) 델타 변이 바이러스는 일반 호텔 등 격리 시설로는 부족하고, 2) 광저우가 중국의 80% 이상 입국자를 수용하기에 초기 단절이 중요해서리고 설명합니다.

 

기사 링크(중): https://bit.ly/3zZAjFU

 

** 본 내용은 당사의 코멘트 없이 국내외 언론사 뉴스 및 전사공시자료 등을 인용한 것으로 별도의 승인없이 제공합니다. 한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에 유의 바랍니다.

 

위 사진은 중국 내 첫 델타 바이러스가 발생한 광저우 아파트를 방역 관리자가 감독하는 사진입니다(2021년 6월 20일)

 

출처: Caixin Media

 

* 본 내용은 당사의 코멘트 없이 국내외 언론사 뉴스 및 전사공시자료 등을 인용한 것으로 별도의 승인없이 제공합니다.

 

 

 

[하나금융투자 중국/신흥국전략 김경환]

*텔레그램 채널 : https://t.me/HANAchina

 ( https://t.me/HANAchina)

•중국 주말에는 무슨 일이?

 

■중국 중요 일정 : 6월 관방 제조업 PMI (30일), 공산당 창당 100주년 행사(1일~), 홍콩 반환 기념일, 휴장(1일), 6월 차이신 제조업 PMI(1일) 

 

★거시경제/정책/자본시장★

 

■6월 24일 기준 중국 백신 접종 11억회 돌파 : 31개 성 전체 기준. 한편, 광둥성 광저우시는 기존 확진자 발생으로 지정한 위험지역을 모두 해제. 다만, 변이 바이러스 관련 별도의 격리시설을 건설하면서 해외 입국자 등에 대비 시작

 

■발개위, 상품가격 안정 위해 공작조 파견 : 발개위, 각 성(省)에 공작조를 파견해 상품 공급과 가격 문제 조사 예정. 관련 기업들의 선물시장 거래 상황, 후방산업의 공급 물량과 가격 변화 상황을 파악하고, 투기와 공급안정에 대한 건의 사항을 조사

 

■1-5월 국유기업 이익 YoY+170% : 재정부, 1-5월 국유기업 매출 YoY+30.5%, 2년 평균 YoY+8.9%, 국유기업 이익은 YoY+170%, 2년 평균 YoY+13.5%. 5월 말까지 국유기업 자산부채비율은 64.3%로 전년 동기 대비 0.2%p 하락

 

■중국 증감회(CSRC) 부주석, 과학혁신기업의 과창판, 창업판 IPO를 통한 자금조달을 적극 지지 : 발언에서 첨단장비제조, IT, 신재생, 샌소재, 바이오, 환경 등 화학 혁신 기업의 IPO와 자금조달을 적극 지원할 것. 사모펀드 시장 육성을 통해 관련 펀드의 혁신기업 투자도 적극 장려할 예정. 한편, 장마감 후 상해거래소는 반도체 포함 8개 기업 과창판 상장 승인 발표.

 

■중국 발개위 <14/5계획’인구고령화 대응 작업 및 보육위탁 시설건설 방안> 발표 : 규격화된 양로/의료 서비스 기관 건설. 공공 보육위탁 서비스 시설 건설 등. 한편, 후난성 악양시 통계국이 관방 웹사이트에 올린 세자녀 지원 정책 건의도 화제. 건의에서 세자녀 가정의 12년 의무교육 모두 지원. 세사녀 자연출산 지원금 제공, 온오프라인 과외 금지. 세자녀 맞벌이 가정의 엄마는 3년간 매일 최소 2시간 보육 시간 제공. 기업체는 해고할 수 없고 무조건 복직 허용 등

 

■인민은행, 전주 공개시장조작 통해 이틀 연속 200억위안 순공급하며 6개월만에 완화적인 스탠스 부각. 7월 유동성 기대감 빠르게 상승. 25일 금융주 반등에 일조.

 

★산업/기업/정책★

 

■중국 4선 도시 박스오피스 비중 22%까지 확대 : 증권시보, 중국 영화산업에서 1, 2선 도시 구매력이 여전히 높지만, 최근 3~4선 도시의 중요성이 부각. 2021년 4선 도시의 박스오피스 비중은 2014년 12.1%에서 22%로 확대됐고, 1, 2선 도시가 차지하는 비중은 2014년 73.6%에서 58.8%로 축소됨

 

■중국 자동차 보유량 2.2억대, 중고차 시장 고성장 전망 : 광저우일보, 공안부, 현재 중국 자동차 보유량 2.2억 대로, 중고차 시장 고성장 전망. 중국자동차공업협회(CAAM)에 따르면, 2020년 중국 중고차 거래량은 1,434만 대로, 그중 중고차 타지역간 거래량 비중은 27.5%로 낮은 수준. 올해 대도시들은 중고차 타지역 이동금지 규제를 완화하고, 20개 도시는 6월부터 중고차 거래 등록과 중고차 타지역 이동 문제 해결 예정

 

■중국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 중국산 및 수입 테슬라 28.5만대 리콜 명령(모델 3/모델 Y) : 자동주행 관련 설정 및 오작동 위험 등 문제가 리콜 원인. 테슬라 측은 즉각적인 사과문과 함께 고객 방문 없이 원격 업그레이드 가능하다고 공지.

 

■바이두 AI 반도체 부문이 ‘쿤룬반도체’로 분사 예정 : 해당 부문은 3월에 이미 자금조달을 한바 있음. 밸류에이션은 130억달러로 추정(중국언론). 한편, 전주 BYD 역시 반도체 분사 선언으로 주가 급등. 반도체 관련 민관 행보 가속화 주목.

 

■샤오펑 전기차는 홍공 거래소에 7월 7일 정식 상장 예정. 발행가격은 주당 180HKD 이하 예상.

 

■지리자동차, 상해 과창판 상장 신청 철회 : 홍콩 거래소에 상장된 지리자동차는 이사회 결정에 따라 과창판을 통한 자금조달 결정을 철회할 것이라고 발표.

 

■태양광 EVA 시트 가격 급등 : 증권시보, 태양광 모듈을 보호하는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EVA) 가격이 2만1000위안/1톤으로 사상 최고 수준 기록. 현재 중국산 제품의 주문주기는 한달 이상이며 수입품은 더욱 오래 걸리는 것으로 알려짐. 올해 들어, 전방산업 태양광 EVA시트 수요가 급증으로 공급이 타이트한 상황

 

■중국 제5회 전국 의약품 집중구매 251개 제품 선정, 역대 최대 : 신화통신, 중국 제5회 전국 의약품 집중구매(입찰)에서 61개 품목과 251개 제품 선정하며 역대 최대 수준 기록. 이번 품목에는 고혈압, 심장병, 당뇨병, 알레르기, 면연력, 소화질환, 만성질환 관련 의약품 포함

 

■콰이쇼우 올림픽 영상 저작권 승인 획득 : 콰이쇼우가 CCTV와 업무협약을 맺고 2020년 도쿄 올림픽과 2022년 베이징 동계올림픽 영상과 숏클립 저작권 승인을 받아냄. 콰이쇼우 월간 활성 이용자수(MAU)는 10억 명에 달함

 

■BYD 내연차 중단 계획 없음 : BYD가 내년부터 내연차 계획 전면 중단 예정이란 보도에 ‘현재 시장, 소비자, 고객들의 수요가 꾸준하다며 중단 계획은 없다’고 답하며 관련 보도 반박

 

■4월까지 홍콩 상장 녹색채권 900억HKD 조달 : 스메이런(史美) 홍콩거래소 회장, 2021년 4월까지 30개의 녹색채권이 홍콩거래소에 상장돼 900억HKD 이상의 자금을 조달하며 2020년 총 발행액을 넘어섬. 2020년까지 56개의 녹색채권과 ESG채권이 홍콩증권거래소에 상장, 누적 시가총액은 2,140억HKD

 

■ ‘중국판 우버’ 디디추싱, 중국기업 역대 최고 규모 예상 : 디디추싱의 목표 기업가치는 620~670억달러. 이번 IPO를 통해2.88억주 미국예탁주식(ADS)를 발행 예정이며, 발행가는 13~14달러/ADS로 예상. IPO 발행가의 중간값인 13.5달러를 적용하면 이번 IPO를 통해 39억 달러의 자금 조달 예상

 

■항서제약(600276.CH), 신약 임상시험 허가 획득 공지 : 항서제약이 의약품 집중 구매에 신청한 약품은 8개, 그중 6개 편입 확정. 편입된 약품의 판가는 동종 업계 대비 낮은 편(예시, 편입된 마취제는 타제약사 대비 40% 이상 저렴). 항서제약은 신약 HRS3658의 임상시험 허가 획득 공지. 해당 약물은 악성 종양 지료제로 동일 약물 출시된 적 없으며, 누적 연구개발비는 3791만위안 사용

 

■상해공항(600009.CH), 홍교공항 지분 100% 인수 완료, 거래 재개 : 상해공항은 홍교공항 지분 100%, 물류 회사 지분 100% 인수완료. 푸동공항 제4도로 또한 상해공항 자산으로 등록. 금번 발행주식 가격은 44위안으로 최대 60억위안 조달 예상

 

■[태양광] 전국적으로 분산형 옥상 태양광 개발 시범사업 추진 : 6/20, 중국 국가에너지국은 <전국 현(시/구)의 분산형 옥상 태양광 개발 시범사업 신고 방안 통지>를 공식 발표. 전국에서 분산형 옥상 태양광 개발 시범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힘. 시범사업 신고 시, 1)정부기관 건물 경우 옥상 총면적의 50% 이상, 2)학교, 병원 등 공공건물은 40% 이상, 3)상공업 공장은 30% 이상, 4)농촌 거주민 옥상은 20% 이상 해당되는 면적에 태양광발전이 설치가 가능해야 함. 분산형 태양광 시장은 해당 시범사업 방안을 기반으로 고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며, 태양광산업 밸류체인 모두 수혜를 받을 것으로 기대.

 

(위 문자의 내용은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득하였음)

 

 

하나금융투자 중국/글로벌전략 김경환(T.02-3771-7616)

*텔레그램 채널 : https://t.me/HANAchina

 

•이번달 월보는 7월 중국 행사 이벤트 관련 정책과 연결해서 정리했습니다. 중국 정책은 오픈북 테스트와 유사해고 중국 수출이 정점에 도달한 상태에서 또다른 아이디어가 될 것입니다. 중국 수뇌부 생각과 정책 흐름을 이해하고 투자전략 수립에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3분기 중국 전망과 전략] Road to 2022 : 당과 시장이 만드는 주도주

 

▶️자료: https://bit.ly/3vXLuMb

 

[창당100주년 : Road to 2022] 3연임 세팅의 시작점, 강력한 의지가 담길 정책 주목

 

-중국증시는 7월 창당 100주년 이벤트를 시작으로 2022년 10월 3기 지도부 출범을 관통할 정책 견인형 주도주 결정. 금번 100주년 행사는 건국 100주년(2049년) 이전 최대 이벤트이자, 2022년 10월 3연임을 세팅하는 시작점. 주목할 메시지로는 ①선부론(先富論)에서 공부론(共富論)으로 전환, ②기술자립을 위한 액션 플랜 공개, ③탈탄소 정책의 구체화, ④금융시장과 지역경제 개혁개방 다시금 강조 전망.

 

[당이 점지한 주도주] 정책에 순응하는 전략 유리, 중국발 인플레 압력과 미중 경쟁 영역 성장성 주목  

 

-중국증시 시사점. ①정책 방향성을 가격보다 우선적으로 고려, ②미중 경쟁 영역에 부여될 성장성에 주목, ③모든 새로운 정책이 중국발 인플레 압력을 시사, ④중국 제조업(선두기업)의 부활과 CAPEX 강요, ⑤정책 의지가 투영될 ‘과창판+창업판 50’ 등 신규 벤치마크 주목.

 

[3분기 경제와 정책] 2022년까지 안정적 성장세, 단기적으로 생산/수출 Peak-Out과 소비는 고민

 

-중국경제는 2021년 내수 기반 W자형 회복, 2022년까지 주요국 중 가장 안정적인 성장세 예상, 다만, 3분기를 앞두고 두 가지 고민은 ①경기 V자 회복을 견인했던 생산과 수출의 급격한 둔화 우려, ②예상보다 더딘 소비 회복세로 요약. 3분기 전자는 경계가 필요하고, 후자는 방향성에는 문제가 없다고 판단. 한편, 통화정책은 미국 테이퍼링 부담과 하반기 긴축 유인 모두 제한적. 재정정책은 하반기를 위해 힘을 아꼈고, 신형 인프라투자와 정부소비 회복 기대. 위안화는 정부 마음과 달리 4분기 이전 평가절상 압력이 더 크고, 상품가격은 2차 랠리까지 아직 시간이 필요.

 

[시장이 만드는 주도주] 제조업 CAPEX, 신형 인프라, 물량(Q) 레벨업 품목, 소비 고도화 

 

-3분기 중국 투자전략은 정부가 세팅하고 시장이 따라가는 업종/테마에 계속 집중. ①제조업의 강력한 CAPEX 사이클에 계속 배팅. 최근 5개 분기 CAPEX 상향 추세인 업종은 전기설비, 전자(반도체/부품/장비), 유틸리티(탄소배출권), 제약, 비철, 기계(자동화), ②하반기 재정정책 수혜가 집중되는 신형 인프라투자 관련 5G, IDC, 전기차 충전소 투자에 주목, ③생산 둔화 가능성에 따라 물량(Q)이 레벨업된 품목(전기차/배터리/신재생/화섬/펄프)과 중기적으로 가격 전가율(P)이 높은 업종을 계속 주목, ④소비 고도화 관련 인구정책 변화와 애국소비 열풍도 중요한 아이디어.

 

[중국증시] 펀더멘털과 투자심리가 견인하는 3차 반등

 

-하반기 중국증시 비중확대 의견을 유지. 펜데믹 이후 세 번째 ‘채권-주식-상품 가격‘ 로테이션이 진행중이며 3분기는 주식에 유리. 2021년 2월까지 1-2차 주식 반등은 ‘유동성과 펀더멘털(1차)’이 견인했다면, 3차 반등은 ‘펀더멘털(2차)과 투자심리‘의 조합. 상반기 자발적인 통화긴축(거시/초과유동성 급락)과 미국 금리 상승 충격은 선제적으로 반영. 지수 흐름은 7월(반기)과 10월(3분기) 실적시즌이 단기 변곡점이며, 3분기는 중소형지수(창업/과창판)가 좀더 우위.

 

(위 문자의 내용은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득하였음)

 

 

 

 

 

 

 

『하루를 여는 혁신투자자문 IPO News Letter💌 - 20210628』

 【 텔레그램 채널 주소 : https://t.me/KoreaIB

 【 IPO상장문의 및 이경준 대표 Contact ☞ 📧 ipo@kakao.com 】

 

===========================

 

 

📌Today's Topic》

하반기 IPO 풍년…연간 공모액 30조 '사상 최대' 전망

https://newsis.com/view/?id=NISX20210625_0001489872&cID=15001&pID=15000

☞ 이경준 혁신투자자문 대표는 "LG에너지솔루션 하나만으로도 공모액이 7조~8조원 이상으로 예상되면서 올해 연간 IPO 조달 규모는 사상 최대치를 기록할 것"이라며 "기업들이 LG에너지솔루션 전에 청약을 진행하기 위해 일정을 앞당기면서 하반기에 이례적인 집중 현상이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이 대표는 "IPO 시장은 LG에너지솔루션 전후로 달라질 것"이라면서 "하반기에 공모하는 기업들로 자금이 몰려 묶이게 되면 LG에너지솔루션 이후에 나오는 기업은 상대적으로 흥행이 저조하게 나타날 수 있다"고 내다봤다.

 

 

===========================

 

★ 금일 IPO 일정 ★

 06/28~06/29  오비고 수요예측⚖️

 

☆ 금주 남은 IPO 일정 ☆

 06/28~06/29 오비고 수요예측⚖️

 07/01~07/02 오비고 청약🖨

 

 ------------------------------------------

 

▣ 기관IR 일정 ▣

 - 소규모 간담회로만 진행 中 -

 

▣ 상장 일정(예정, 변경가능) ▣

 07/13 오비고(NH투자증권)

 07/20 SD바이오센서(NH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07/23 큐라클(삼성증권)

 07/27 맥스트(하나금융투자)

 07/29 에브리봇(NH투자증권)

 미정 - 브레인즈컴퍼니(키움증권)

 미정 - 플래티어(KB증권)

 미정 - 딥노이드(KB증권)

 미정 - 원티드랩(한국투자증권)

 미정 - 크래프톤(미래에셋증권)

 

▣ 심사 승인 ▣

 - 바이젠셀(대신증권)

 - 카카오뱅크(KB증권)

 - 한컴라이프케어(미래에셋증권)

 - 실리콘투(삼성증권)

 - 엠로(한국투자증권)

 - 에이치케이이노엔(한국투자증권)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 국내 IPO 개별종목

■ [단독]공모가 거품 논란 크래프톤, 청약 내달 21·22일로 연기

https://newsis.com/view/?id=NISX20210625_0001490356&cID=10401&pID=10400

 

■ [시그널] ‘IPO 대어' 크래프톤, 청약 일정 연기···공모가는 아직 ‘변동 無’

https://www.sedaily.com/NewsView/22NRW6IJDV

 

■ 크래프톤, 직원 퇴사 무서워 공모가 높였나...장병규 의장은 2500억 돈방석

http://www.investchosun.com/2021/06/25/3263329

 

■ 고평가 논란 SD바이오센서 두고 NH證 '시끌시끌'

http://naver.me/GROTvEQj

 

■ [김민석의 IPO브리핑] 카카오뱅크 ‘몸 값 40조’ 근거는?

http://naver.me/FiLe64CM

 

■ KTB투자증권, '상장 추진' KTB네트워크 지분 일부 매각

https://www.yna.co.kr/view/AKR20210625085100002?input=1195m

 

■ 잘나가는 SK매직 유일 고민은… 'IPO'

http://biz.newdaily.co.kr/site/data/html/2021/06/25/2021062500086.html

 

■ IPO 임박 플래티어, 밸류 2배↑···FI 자금 회수 가시화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6231131518680105922&lcode=00&page=3&svccode=00

 

■ 몸값 2조 HK이노엔, 상장 예심 통과…7월 공모 청신호 [마켓인사이트]

HK이노엔의 최대주주는 한국콜마로 지분의 53%를 가지고 있다. 상장 주식수는 2890만3499주, 공모주식수는 1012만주다.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106255507i

 

■ [IB토마토]증시 데뷔 앞둔 카카오페이, 뛰는 몸값 거품일까

http://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1054086&inflow=N

 

■ IPO 중단한 한화종합화학 '구설수'

https://paxnetnews.com/articles/75542

 

■ 크리오스 코스닥 상장 절차 돌입…주관사 계약 체결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1062558906

 

■ SK리츠, 상장전 1500억 유치 성공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1062581331

 

 

▶️▶️▷ IPOmarket(해외IPO포함)

■ 대어 상장 앞두고 ‘청약 장사’ 나선 증권사

https://www.sedaily.com/NewsView/22NRWE1S2M

 

■ 日 롯데홀딩스, 1조 손실…상장 계획 차질 빚나

http://gotosearchresultpage.helpstart.co.kr/ad/cpc_open.php?app=202&domain=dailian.co.kr&type=1&aid=8291&browser=chrome

 

■ 中 기업의 美 증시 IPO, 올해 상반기 사상 최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154409

 

 

▶️▶️▷ 시장 이모저모

■ "지하실도 뚫렸다"…곱버스에 몰려든 불개미 코스피 질주에 '곡소리'

https://www.mk.co.kr/news/stock/view/2021/06/617095/

 

 

▶️▶️▷ 시세/시황

[표]IPO장외 주요 종목 시세(6월 25일)

https://www.sedaily.com/NewsView/22NRWAD54P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728x90
728x90

 

증시캘린더는 개인적으로 관련된 소식을 확인후 작성한 일정이라 변동 또는 오류의 소지가 있습니다.

참고시 유의하시고 배포시엔 블러그 링크로 공유해 주셔요.


728x90

'주요 증시 일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년 7월 증시 캘린더  (0) 2021.06.29
6월 29일(화) 증시캘린더  (0) 2021.06.29
6월 25일(금) 증시캘린더  (0) 2021.06.25
6월 24일(목) 증시캘린더  (0) 2021.06.24
6월 23일(수) 증시캘린더  (1) 2021.06.2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