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증시캘린더는 개인적으로 관련된 소식을 확인후 작성한 일정이라 변동 또는 오류의 소지가 있습니다.

참고시 유의하시고 배포시엔 블러그 링크로 공유해 주셔요.


728x90
728x90

 

주식투자 스터디를 위해 개인적으로 스크랩한 시황, 뉴스 자료를 공유합니다.

1) 노션 링크는 익스플로러에선 제대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크롬에 최적화 되어있으며, 엣지, 웨일에서도 잘 작동합니다.

 

2) 공유한 자료링크는 1~2일후 공유 해지 합니다.

 

게시물은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한 것이라

불확실하거나 오류가 많을 수 있으므로 투자 활용시 유의하시기 바라며, 개별적인 종목 추천이나 상담은 하지 않습니다.

 

모쪼록 제 공간에 오신 모든 분들이 주식스터디를 통해 인생 한 방보다, 꾸준함을 믿으며...

복리의 마법으로 모든 분들이 성공한 개인투자자가 되시길...

 


 

[속보] 한미 "기존 워킹그룹 종료 방향 검토키로 합의"

기사입력 2021.06.22. 오전 7:03

출처: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01&aid=0012474895>

 

 

 

중국발 악재에 비트코인 10% 폭락…3만 달러도 아슬아슬

기사입력 2021.06.22. 오전 7:17

출처: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5&aid=0001449702>

 

 

 

檢, 도이치 주가조작 '윤석열 장모' 관여 정황 포착

CBS노컷뉴스 김구연·김태헌·박성완·윤준호 기자 입력 2021. 06. 22. 05:03

도이치 내부자와 동일 IP로 수십 차례 주식 거래

해당 시기 도이치모터스 주가 두배 가까이 상승

전문가 "동일 IP 사용은 시세 조종의 핵심 간접 증거"

출처: < https://news.v.daum.net/v/20210622050326902?x_trkm=t>

 

 

 

'델타 변이' 확산에... 이스라엘, 12~15세 아동·청소년 접종 강력 권고

기사입력 2021.06.22. 오전 6:43

출처: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469&aid=0000612481>

 

 

 

알펜시아 매각 청신호…5차 매각 2개 업체 참여

입력2021.06.21. 오후 6:49

24일 낙찰자 선정…매각 대금 8000억 이내 전망

알펜시아 직원 고용 승계 여부도 관건

출처: < https://n.news.naver.com/article/366/0000736154?cds=news_edit>

 

 

 

2021년 6월 21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래리 서머스가 경기과열과 인플레를 경고했습니다.

 

(2) Fed 의장은 인플레가 일시적이라는 입장을 재확인했습니다.

 

(3) 베일리 기포드 CEO가 넥스트 테슬라로 모더나와 일루미나를 점찍었습니다.

 

미 5년 breakeven rate 2.425%, +0.048%p (2% 상회시 유의, 2.5% 상회시 경고)

한국 고객예탁금, 67.0조원 +0.0조원

 

한국 백신 접종률 18.4%(0.0%p, 집단면역 70%)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51%

1개월 NDF 환율 1,131.80원 (-2.80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6/22 미국 증시 리뷰 및 평가, 키움 전략/시황 한지영]

 

1. 미국 증시 리뷰

 

21일(월) 미국 증시는 시장 금리 변동성 확대,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 등 일부 위원들의 매파적 발언에도, 지난주 후반 주가 조정에 대한 낙폭 과대 인식성 매수세 유입, 뉴욕 연은 총재의 시장 달래기성 발언에 힘입어 경기민감주 위주로 급 반등에 나서면서 상승 마감(다우 +1.8%, S&P500 +1.4%, 나스닥 +0.8%).

 

업종별로는 에너지(+4.3%), 금융(+2.4%), 산업재(+2.2%), 소재(+2.1%) 등 전업종이 강세.

 

제임스 불라드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는 경제가 예상보다 강하기 때문에 테이퍼링 준비가 되어있어야 하며, 인플레이션 상방 위험에 대비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역설.

 

카플란 댈러스 연은 총재도 연준의 경기 전망이 변한 것은 경제가 호전되고 있음을 반영한 것이며, 완화적인 정책을 회수해야 한다고 강조하는 등 지난주 금요일에 이어 일부 연준 위원들의 매파적인 발언이 재차 등장.

 

그러나 뉴욕 연은 총재는 경제가 빠르게 개선되고 있음이 분명하고 중기적인 성장 전망도 긍정적이라고 평가함과 동시에 데이터 상으로는 연준의 완화적인 정책 기조를 변화시킬 만큼의 충분한 진전이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언급.

 

라가르드 ECB 총재도 유로존 경제가 예상보다 빠른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하면서도, 완화기조를 유지할 것이라고 언급하는 등 여타 중앙은행 관계자들의 완화적 발언이 21일 위험자산선호심리 회복을 견인.

 

2. 미국 증시 평가

 

현재 시장 참여자들은 6월 FOMC 여진을 소화해 나가고 있는 모습.

 

5월 근원소비자물가 급등 이후 일부 연준 위원들의 스탠스 전환이 부담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지만, 데이터 의존적으로 움직이는 연준의 성향을 감안 시 시장에서 우려하는 수준보다 조기에 정책금리를 인상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

 

최근의 인플레이션 압력 확대는 3분기 이후에는 진정될 가능성이 높으며, 연준의 이중 책무 중 하나인 완전고용 관점에서 여전히 노동시장의 정상화가 이루어지기까지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

 

물론 금주 내내 연준 위원들의 발언이 예정되어 있는 만큼, 각 위원들의 스탠스 변화에 대한 불확실성은 상존하고 있으나, 위험자산선호도를 과도하게 낮출 필요는 없다고 판단.

 

 

[6/22 한국 증시 리뷰 및 전망, 키움 전략/시황 한지영]

 

1. 한국 증시 리뷰

 

21일(월) 코스피는 지난 금요일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의 조기 금리인상 발언 충격, 인도발 변종 코로나 대유행 가능성에 따른 경기 모멘텀 둔화 불안감 등으로 외국인과 대규모 동반순매도세를 보임에 따라 하락세 마감.

 

다만, 6월 20일까지의 한국 수출 호조(29.5%, YoY) 소식 등 견조한 펀더멘털이 유효하다는 전망이 지수 하단을 지지(코스피 -0.8%, 코스닥 -0.5%)

 

업종별로는 의약품(+1.8%), 기계(+0.2%)를 제외한 전기가스(-5.6%), 의료정밀(-2.0%), 비금속광물(-2.0%), 운수창고(2-.0%) 등 전업종이 약세.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9,000억원, 1조 800억원 순매도, 개인이 1조 9,700억원 순매수를 기록.

 

2. 한국 증시 전망

 

한국 증시는 연준의 조기 긴축사이클 진입 불안 완화, 6월 수출호조에 따른 2분기 실적 시즌 기대감 등에 힘입어 반등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 이 중 6월 이후 주가 조정이 진행됐던 소재, 산업재 등 경기 민감주들의 반등 여부에 주목할 필요.

 

또한 달러화 강세 진정에 따른 원/달러 환율 하락 전망을 감안 시 최근 환율에 민감하게 플레이를 했던 외국인들의 수급도 증시에 우호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

 

최근 비트코인 포함 암호화폐시장이 중국정부의 채굴장 단속 초강화 등으로 연이은 폭락세를 기록하고 있으나, 암호화폐가 초고위험자산인 만큼 주식 등 여타 위험자산에 대해 미치는 충격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

 

https://www.kiwoom.com/h/invest/research/VMarketSDDetailView?sqno=4726

 

 

 

 

[6/21 미국 급등 = FOMC적응완료!!]

(Feat. 돈은 항상 쉬지않고 일한다.)

 

<About Market>

사전에 대부분 선반영이 되었으나, FOMC이후 하루 조정을 더 받은 증시는 급격하게 회복하는 모습입니다. 다우기준으로 3월 이후 최대 일간 상승폭입니다.

 

팩트는 경제는 견조하게 회복되고 있으나, 고용은 다소 불확실하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연준은 언젠간 테이퍼링&금리인상 하겠지만, 일단 당분간 유동성 공급 지속한다는 것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엄청난 돈(유동성)들이 전부 연준의 계좌에 역레포나 초과지불준비금 형태로 잠들어있을까요? 사실 연준이 언제 테이퍼링할지, 언제 금리인상할지 우리는 모릅니다. 돈은 결코 쉬지 않음를 보여준 하루입니다.

 

•나스닥 +0.8% / 러셀2000 +1.8%

•S&P500 +1.4% / 다우 +1.8%

-나스닥 Top10 : 상승 6 vs 하락 4

 

-비트코인 : $33,000

-미국채금리(10y) : 1.49 (+2.8%)

-WTI : $73.14 (+2.6%)

 

*코로나 : 신규확진자 감소

(전일 4,577 / WoW -71.0%)

 

SMART한 주식투자

https://t.me/frankinvest

 

 

 

 

 

[미래에셋증권] 해외 금융시장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02-3774-1621)

 

◆ 미국 증시

- DOW: 33876.97p (+586.89p, +1.76%)

- S&P500: 4224.79p (+58.34p, +1.4%)

- NASDAQ: 14141.48p (+111.1p, +0.79%)

 

◆ 한국 관련

- MSCI 한국지수 ETF: 92.06p (+0.96p, +1.05%)

- MSCI 이머징지수 ETF: 54.46p (+0.23p, +0.42%)

  Eurex kospi 200: 432.55(+2.20, +0.51%)

- NDF 환율(1개월물): 1,132.00원 / 전일 대비 4원 하락 출발 예상

 

◆ 외환시장

- 달러인덱스: 91.856 (-0.369, -0.4%)

- 유로/달러: 1.1917 (+0.0053, +0.45%)

- 달러/엔: 110.31 (+0.1, +0.09%)

- 파운드/달러: 1.3929 (+0.0119, +0.86%)

 

◆ 미국 국채시장

- 2년물: 0.2563% (+0.2bp)

- 5년물: 0.8893% (+1.5bp)

- 10년물: 1.4903% (+5.2bp)

- 30년물: 2.1111% (+9.8bp)

(국채선물)

- 2YR T-Notes: 110*03 3/4 (+0*00 1/4, +0.01%)

- 5YR T-Notes: 123*10 1/4 (+0*01 , +0.03%)

- 10YR T-Notes: 132*06 1/2 (-0*03 1/2, -0.08%)

- US T-Bonds: 159*30   (-1*00 , -0.62%)

- Ultra US T-Bonds: 191*06   (-2*26 , -1.45%)

 

◆ 상품시장 ($, 단 곡물, 구리는 센트)

- WTI: 73.66 (+2.02, +2.82%)

- 브렌트유: 74.9 (+1.39, +1.89%)

- 금: 1782.9 (+13.9, +0.79%)

- 은: 26.025 (+0.056, +0.22%)

- 아연(LME, 3M): 2837 (+14.5, +0.51%)

- 구리: 418.45 (+2.1, +0.5%)

- 옥수수: 557 (-9.25, -1.63%)

- 밀: 665 (-0.75, -0.11%)

- 대두: 1319.25 (+6.25, +0.48%)

- BDI: 3218 (-49, -1.5%)

 

*동 자료는 2021년 6월 22일 미래에셋증권 홈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를 요약한 것입니다.

 

글로벌 주식시장 변화와 전망(6월 21일)

미래에셋증권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02-3774-1621)

 

발언으로 인한 부진은 발언의 힘으로 상승을

 

미 증시는 경기 둔화 우려가 일부 완화된 데 힘입어 상승 출발. 특히 국채금리가 경기에 대한 자신감을 표명한 연준위원들의 발언으로 상승 전환한 점이 긍정적 요인. 대체로 시장은 연준의 매파적인 통화정책 발표 이후 약세를 보인 종목인 금융주, 산업재, 에너지 등 경기 민감주가 상승을 주도. 부정적인 요인이 유입된 일부 기술주는 약세를 보이는 등 업종 차별화는 지속(다우 +1.76%, 나스닥 +0.79%, S&P500 +1.40%, 러셀2000 +2.16%)

 

변화요인: ①지역 연은 총재 발언 ②라가르드 발언

 

http://securities.miraeasset.com/bbs/maildownload/2021062205494082_3431

 

 

[2021.06.21 (월) 필라델피아 반도체] 하나금융투자 반도체 애널리스트 김경민, CFA

 

전일 대비 +0.61%, 3,172선 마감

상승주 26, 하락주 4

 

다우 +1.76%, 나스닥 +0.79%, S&P 500 +1.40%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연준의 매파적 변화 신호가 보다 강해진 금요일에 -2.33% 하락한 후 반발 매수세가 유입되며 월요일에 +0.61% 반등. 뉴욕 증시의 주요 지수 대비 반등폭 제한적. 반도체 지수 내에서 상대적으로 대형주에 해당되는 종목들이 하락했기 때문

 

2분기 실적 시즌이 아직 시작되지 않은 가운데 전방 산업에서 반도체 지수의 반등에 영향을 준 뉴스는 다음과 같음. (1) TSMC가 미국 Arizona fab에 2022년 중반부터 반도체 장비 입고 예정, (2) 마이크로소프트 주가가 6월 24일에 Windows 11를 발표하는 이벤트를 앞두고 사상 최고가 경신, (3) 테슬라가 근시일 내에 AI 데이 이벤트를 개최. AI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모두 선보일 예정이며 AI 주요 기능 중에 Training 및 Inference(추론) 기능에 대해서도 공개 예정. (4) 전방 산업에서 일부 기업이 M&A 추진. 서버 공급사 HP 엔터프라이즈는 샌프란시스코의 오픈소스 인공지능 솔루션 기업 'Determined AI' 인수 추진. 한편, 반도체 설계 자동화 툴 공급사 Synopsys는 한국의 비스텔(BISTel) 인수 추진. 비스텔은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업종에 특화된 데이터 취합/분석/예측 자동화 솔루션 제공. 전반적으로 인공지능 밸류체인 관련된 새로운 뉴스가 많았음

 

이러한 분위기 가운데 어제 유의미하게 상승한 업종은 차량용 반도체 공급사. NXPI +2.78%, On Semiconductor +1.98%, 텍사스 인스트루먼트 +1.66%, 마이크로칩 +1.46%. 차량용 반도체 수요/공급은 2022년까지 타이트할 전망이나 2021년 상반기가 수급 불균형의 최고조이고 이후에 불균형 강도는 상대적으로 완만해질 것으로 전망. 전방산업에서 완성차 수요에 기저효과가 이어지고 있으며 한국의 승용차 수출은 6/1 ~ 6/20 기준으로 전년 동기 대비 +62.2%로 견조하게 증가

 

차량용 반도체에 이어 주가 상승이 유의미했던 업종은 5G 관련주와 반도체 장비주. 5G 관련주 중에서 Skyworks +1.92%, Two Six +1.43%, Qorvo +1.18% 마감. 반도체 장비주 중에 Brooks Automation +2.27%, ASML ADR +1.43%, KLAC +1.42%, AMAT +1.39% 기록

 

반도체 지수 편입주 30개 종목 중에 16개의 종목이 금요일 대비 1% 이상 상승했으나 반도체 지수 상승률이 +0.61%에 그친 이유는 가상 화폐 관련주이며 시총 비중이 높은 AMD, TSMC ADR, 엔비디아가 하락했기 때문. AMD -2.43%, TSMC ADR -1.42%, 엔비디아 -1.13% 기록. 가상 화폐 채굴용으로 선호되던 프로세서 가격이 하락했다는 뉴스가 이들 주가에 부정적으로 작용

 

메모리 반도체 및 스토리지 업종에서는 상대적으로 중소형주에 해당되는 NAND 컨트롤러 공급사 실리콘 모션이 +1.04%로 가장 크게 상승하고 마이크론과 WDC는 상대적으로 부진 . 마이크론 +0.16%, WDC -0.39%, 실리콘 모션 +1.04%, Seagate +0.01%

 

[파운드리 ADR 및 후공정] TSMC -1.42%, UMC +1.20%, Amkor +0.13%,

 

[공정소재] 캐봇 마이크로 -0.15%, 인테그리스 +0.53%

 

[웨이퍼] 신에츠화학 -5.7%, Sumco -4.6%, Globalwafers -2.0%

 

감사합니다.

 

 

———————————

하나금투 IT 김록호/김현수

———————————

 

6/22(화) 하나 테크 헤드라인

 

🐑 안녕하세요. 김록호입니다. 파운드리 업체들 입장에서 스마트폰을 필두로 한 기존 전방산업향 물량이 중요하지만, 점진적으로 자동차향 물량도 확대될 것으로 보여집니다. 지동차향 수요가 중장기적으로도 가시성이 높기도 하고, 자동차 내에서 기존대비 고사양의 반도체 사용량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5G 통신장비가 지금까지 중국 중심으로 투자되며 화웨이 점유율이 70%를 차지했다고 합니다. 앞으로는 미국과 유럽에서도 관련 투자가 본격화되며 에릭슨, 노키아, 삼성전자의 점유율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감사합니다.

 

<주요 뉴스>

 

# Digitimes: Foundries see automotive chips play increasingly important role

 

파운드리 업체들에 따르면 자동차향 반도체가 차지하는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다.

 

https://bit.ly/3wMGRWC

 

# Digitimes: CCL demand for 5G base stations may gain momentum in Europe, US in 2022

 

미국과 유럽의 5G 기지국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CCL 수요는 2022년이 돼야 실현될 것으로 보인다.

 

https://bit.ly/35ImL3K

 

<기타 뉴스>

 

# '불안한 1위' 삼성폰, 中과 '적과의 동침'

 

삼성전자가 중국 스마트폰 제조업체와 손잡고 갤럭시 기기 간 사용 가능했던 '퀵 쉐어' 기능을 확대할 전망이다.

 

https://bit.ly/3gS9pXI

 

# ‘제2의 전성기' 태블릿, 애플·삼성 ‘점유율 57%’로 시장 양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장기화로 재택근무, 온라인교육에 대한 수요가 계속되면서 태블릿PC가 제2의 전성기를 맞고 있다. 

 

https://bit.ly/3gOsI4w

 

# 삼성전자 “OLED 보다 QLED 낫다” LGD 거래설 종지부

 

삼성전자가 LG디스플레이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패널 거래설에 대해 사실무근이며 일말의 가능성도 없다는 입장을 내놨다.

 

https://bit.ly/3gLtLlK

 

<글로벌 업체 주가 동향>

 

애플   +1.41%

샤오미   -2.95%

ZTE  -2.14%

레노버  -2.68%

  

무라타   -3.25%

타이요유덴  -4.65%

야교  -2.41%

Ibiden   -1.01%

Shinko   -1.54%

  

인텔  +0.36%

마이크론   +0.16%

TSMC  -3.32%

퀄컴   +0.72%

미디어텍  -4.87%

  

UDC   +2.29%

BOE   -1.27%

AUO  +2.67%

  

Tesla   -0.40%

CATL   +0.62%

Umicore   +1.91%

Albemarle  +2.18%

 

(위 내용은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득함)

★하나IT텔레그램: https://t.me/ITforYouFromHana

 

 

 

 

[메리츠증권 반도체/디스플레이 김선우]

Meritz Overnight Tech 2021.6.22 (화)

 

★ 메모리 스팟가격

DRAM(DDR4 8Gb: 1D 0.55%, 1W 1.22%, 1M 3.79%)

시장 모멘텀 부진. 전방시장의 모멘텀이 부진하고 공장들은 재고 축적 속도를 늦춰 구매자들의 구매 의향 부진. 최종 거래량 둔화

 

NAND(MLC 64Gb: 1D 0.00%, 1W -0.52%, 1M -3.34%)

Kioxia 칩 현물 공급 부족. 구매자들의 문의는 다른 브랜드에서 발생하고, 저가 부분에서 일부 거래 발생. 그러나 전체 거래량은 제한적. 구매 가격 소폭 변동

 

★ 주요 뉴스 플로우

TSMC, 2022년 중순부터 아리조나 팹 반도체 장비 이전 (Digitimes)

https://bit.ly/3qjxpro

 

中 비트코인 채굴장 폐쇄, 그래픽카드 가격 폭락 (ZD Net)

https://bit.ly/3j3ppsK

 

파운드리 업체들 차량용 반도체 가격 15% 인상 전망 (Digitimes)

https://bit.ly/3d0dEzq

 

LG전자 스마트폰 접은 빈자리 아이폰으로 메운다 (국민일보)

https://bit.ly/3d1NYCx

 

5G 기지국 CCL 수요 2022년 미국과 유럽에서부터 모멘텀 발생 전망 (Digitimes)

https://bit.ly/3vO0Q5T

 

★ 전일 해외 관련업체 주요 주가 등락 (2%p 이상)

Nanya(-5.3%), Lenovo(-2.7%), ZTE(-2.1%), Xilinx(-3.3%), AMD(-2.4%), Mediatek(-4.9%), TSMC(-3.3%), SMIC(-3.7%), AUO(+2.7%), Sharp(-3.5%), Tokyo Electron(-4.0%), Kanto Denka(-2.0%), UDC(+2.3%), Idemitsu Kosan(-2.9%), Murata(-3.2%), Yageo(-2.4%), Panasonic(-2.7%)

 

 

(자료: DRAMeXchange, Bloomberg, 언론자료)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메리츠증권 전기전자/2차전지 주민우]

 

★ 2차전지 주요 뉴스 (2021.6.22)

 

Volvo, Northvolt와 공동으로 자사의 전기차용 배터리 개발 및 생산을 위한 연간 최대 50GWh 규모의 배터리 셀 공장 건설 계획 발표. 또한 Volvo는 2024년부터 Northvolt의 스웨덴 공장에서 매년 15GWh의 배터리 셀을 구매할 예정. Northvolt는 현재 VW, BMW, 스카니아 등과도 파트너십을 체결한 상황 (Reuters)

https://reut.rs/3gTeCPn

 

SK이노베이션, 조지아주 2공장 준공이 다가오면서 공장에 들어갈 배터리 생산 장비들 발주. SK이노베이션이 조지아 2공장 장비 주문을 낸 건 이번이 처음이다. 배터리 조립 설비부터 검사 장비까지 주문을 낸 것을 미뤄 볼 때 생산 라인을 일괄 구축할 전망. 조지아 2공장은 약 12GWh 규모의 생산능력을 갖출 계획으로 Ford에 공급될 전망 (전자신문)

https://bit.ly/3gOhaOC

 

Tesla, 인공 지능과 관련된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진전을 보여주기 위한 'AI 데이'를 한달안에 개최 할 것이라고 발표. 주요 목표는 인재를 모집하는 것이라고 밝혔지만 Tesla가 출시할 Dojo 슈퍼컴퓨터의 전신인 Telsa의 자율주행용 최신 슈퍼컴퓨터에 초점이 맞춰질 전망 (Electrek)

https://bit.ly/3zMCywc

 

CATL, Yibin시에 있는 배터리 셀 공장의 첫 확장 건설 완료. 이번 확장으로 15GWh 추가 생산이 가능하며 계획대로 2년만에 두번째 확장을 완료하면 연간 생산 능력은 30GWh 확장될 전망. 해당 프로젝트는 총 6단계로 계획되어있으며 CATL은 지난 1월 390억 위안의 비용으로 중국의 3개 공장에서 130GWh 생산 능력을 확장할 계획이라고 발표 (Electrive)

https://bit.ly/3xIeA3g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하루를 여는 혁신투자자문 IPO News Letter💌 - 20210622』

 【 텔레그램 채널 주소 : https://t.me/KoreaIB

 【 IPO상장문의 및 이경준 대표 Contact ☞ 📧 ipo@kakao.com 】

 

===========================

 

 

📌Today's Topic1》

성공 사례 9% 뿐인데...스팩주 또 '오늘은 상한가, 내일은 하한가' 요동

https://www.fnnews.com/news/202106211510082875

스팩주 또 롤러코스터 탔다… 삼성머스트스팩5호 '따상상상'

https://www.fnnews.com/news/202106211735507310

☞ 이경준 혁신투자자문 대표는 "스팩은 합병 시 일반기업과 합병비율을 정하는데, 주가가 너무 오르면 10대 2 비율로 합병이 될 것이 1대 1수준이 될 수도 있다"면서 "스팩주가가 너무 오르면 합병이 어려울 수도 있다. 결국 합병 기업을 찾는단 스팩의 목적이 사라지고 투기장이 될 수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

 

📌Today's Topic2》

'역대 최대 공모' 크래프톤 둘러싼 의문 3가지

http://naver.me/xQOvAUfY

☞ 이경준 혁신투자자문 대표는 "보통은 수요예측 기간은 국내 기관 2일, 해외 기관 2주가량 잡는 경우가 많은 편"이라며 "최대한 실수요를 모아 IPO에 집중하는 전략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 금일 IPO 일정 ★

 없음.

 

☆ 금주 남은 IPO 일정 ☆

 06/25 아모센스 상장★

 

 ------------------------------------------

 

▣ 기관IR 일정 ▣

 - 소규모 간담회로만 진행 中 -

 

▣ 상장 일정(예정, 변경가능) ▣

 06/25 아모센스(신한금융투자)

 07/13 오비고(NH투자증권)

 07/20 SD바이오센서(NH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07/22 크래프톤(미래에셋증권)

 07/23 큐라클(삼성증권)

 07/27 맥스트(하나금융투자)

 07/29 에브리봇(NH투자증권)

 미정 - 브레인즈컴퍼니(키움증권)

 미정 - 플래티어(KB증권)

 미정 - 딥노이드(KB증권)

 

▣ 심사 승인 ▣

 - 원티드랩(한국투자증권)

 - 바이젠셀(대신증권)

 - 카카오뱅크(KB증권)

 - 한컴라이프케어(미래에셋증권)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 국내 IPO 개별종목

■ 크래프톤 장병규 의장 우회 구주매출 논란 확산···공시제도 사실상 무력화

http://www.sisajournal-e.com/news/articleView.html?idxno=233394

 

■ IPO 재추진 현대오일뱅크, 기대 몸값은 3년 전 58% 수준

https://m.kr.ajunews.com/view/20210621150336660

 

■ 카카오뱅크, IPO일정 '순리대로'…빅딜간 대결 '초읽기'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6171635353920101227&lcode=00&page=5&svccode=00

 

■ 티몬, 상장 묘안 있나

https://paxnetnews.com/articles/75321

 

■ 투썸플레이스, 기업공개 철회…커피전문점 IPO 또 '쓴맛'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1062112011

 

■ [시그널] ‘AI 의료진단’ 딥노이드, 다음달 코스닥 입성···상장 몸 값 1,941억

https://www.sedaily.com/NewsView/22NQ07ZXSN

 

■ 현대중공업그룹 차기 IPO 주자 살펴보니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6181427597440104138&lcode=00&page=2&svccode=00

 

■ 피노바이오, IPO 첫발 뗀다…기술성 평가 돌입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6181026480720107254&lcode=00&page=1&svccode=00

 

 

▶️▶️▷ IPOmarket(해외IPO포함)

■ 증권사, 공모주 청약 유료화‘락인효과’ 노리나

http://www.kbanker.co.kr/news/articleView.html?idxno=99308

 

 

▶️▶️▷ 시장 이모저모

■ “어디 가서 말도 못하고”… 무더기 상폐에 두 번 우는 코인 개미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1062115550004876?did=NA

 

 

▶️▶️▷ 시세/시황

[표]IPO장외 주요 종목 시세(6월 21일)

https://www.sedaily.com/NewsView/22NQ1W8AG6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728x90
728x90

 

증시캘린더는 개인적으로 관련된 소식을 확인후 작성한 일정이라 변동 또는 오류의 소지가 있습니다.

참고시 유의하시고 배포시엔 블러그 링크로 공유해 주셔요.


728x90
728x90

 

주식투자 스터디를 위해 개인적으로 스크랩한 시황, 뉴스 자료를 공유합니다.

1) 노션 링크는 익스플로러에선 제대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크롬에 최적화 되어있으며, 엣지, 웨일에서도 잘 작동합니다.

 

2) 공유한 자료링크는 1~2일후 공유 해지 합니다.

 

게시물은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한 것이라

불확실하거나 오류가 많을 수 있으므로 투자 활용시 유의하시기 바라며, 개별적인 종목 추천이나 상담은 하지 않습니다.

 

모쪼록 제 공간에 오신 모든 분들이 주식스터디를 통해 인생 한 방보다, 꾸준함을 믿으며...

복리의 마법으로 모든 분들이 성공한 개인투자자가 되시길...

 


액화수소 연 1.3만t 공급 ‘첫발’…효성-린데 공장 착공

기사입력 2021.06.21. 오전 6:56

정부 “투자 적극 지원”… 양사 약 3000억원 공동 투자

박진규 산업 차관, 착공식에 이어 울산 북항 건설현장 방문

출처: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6&aid=0001850699>

 

 

 

中 비트코인 채굴업체 90% 폐쇄, 비트코인 1% 하락

기사입력 2021.06.21. 오전 6:50

출처: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421&aid=0005426244>

 

 

 

 

체코 원전 '8조 잭팟'? 라이벌 러시아 탈락, 이젠 외교전 변수

기사입력 2021.06.21. 오전 5:01

체코 신규 원자력 발전 수주전이 한국·미국·프랑스 3파전으로 좁혀지면서 우리 기업 수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특히 한국은 미국·프랑스와 비교해 최근에 해외 원전을 건설한 경험이 있어 수주전에 우위를 점하고 있다는 평가다

출처: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1&oid=025&aid=0003111410>

 

 

“美, 北과 4차례 접촉 시도…‘전향적 제안’ 준비 중”

입력2021.06.20. 오후 9:26

출처: < https://n.news.naver.com/article/056/0011067130?cds=news_edit>

 

 

델타변이 득세에 세계 비상…각국 방역고삐 다시 죈다

입력2021.06.20. 오후 8:32

영국 봉쇄 전면해제 연기…주변국은 영국에 빗장

미국 '우려변이' 지정 등 내부단속 강화

지배종 기정사실…학계, 항체 회피할라 우려 목소리

출처: <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2472347>

 

 

브라질, 팬데믹에 100년만의 최악 가뭄까지 겹쳐

송경재 입력 2021. 06. 20. 06:29

출처: < https://news.v.daum.net/v/20210620062904060>

 

 

 

[하나 리서치 중국 글로벌전략 김경환]

•중국언론에 따르면 이번 징둥618 쇼핑데이에서 전년 대비 최대 신장률을 기록한 분야는 디지털가전과 운동의류/용품 같네요. 특히 운동 관련 일부 로컬 브랜드 신장률은 500% 이상. 국내 업체들 동향도 궁금하네요.

 

>同比去年品成交据,动户大家、3C一起,成今年天猫618成交增速最快的品。尤其是品牌,迎高光刻。

 

数据示,2021年国潮运品牌售成交同比去年增超500%,会量同比增加超60%。安踏、李宁、匹克、特步以及361°占据品牌、店成交前五。品牌BODYDREAM(健美运动员鹿晨立的运品牌)、准者、Ankorau、MAIA ACTIVE、以及安踏需求增,占据品牌榜前五。

 

 

———————————

하나금투 IT 김록호/김현수

———————————

 

6/21(월) 하나 테크 헤드라인

 

<주요 뉴스>

 

# 車디스플레이 출하량, 2030년 2.39억대...연평균 6.5% 성장

 

전기차 시장이 급격히 성장하는 가운데 차량용 디스플레이 출하량이 오는 2030년 2억3900만대에 달할 전망이다. 

 

https://bit.ly/3gOqNgg

 

<기타 뉴스>

 

# LG전자, 올 8월부터 '아이폰' 판매…애플과 밀월 깊어진다

 

다음달 말 스마트폰 사업에서 완전 철수하는 LG전자가 8월부터 자체 유통매장인 'LG 베스트샵'을 통해 아이폰 판매에 나선다.

 

https://bit.ly/35Evp3u

 

# Digitimes: Yageo to enhance product mix through mergers, partnership

 

야교는 최근 다수의 합병을 통해 제품믹스를 개선했다.

 

https://bit.ly/2SQwbHz

 

# 시진핑 주석, 中 차세대 반도체 추진위해 류허 부총리 임명…최대 1132조원 투자 계획

 

시진핑 주석은 중국 차세대 반도체 산업을 추진하기 위해 류허 부총리를 추진 계획 책임자로 임명했다.

 

https://bit.ly/2TRhi7X

 

# 내년 스마트폰 2대 중 1대는 '5G'…삼성전기·LG이노텍 시장 공략 ‘속도’

 

5G 스마트폰이 내년 전체 스마트폰 출하량의 절반을 넘어서는 등 급격한 성장을 예고하면서 국내 부품사들이 수요 잡기에 발 빠르게 나서고 있다.

 

https://bit.ly/3zDgZy5

 

<글로벌 업체 주가 동향>

 

애플   -1.01%

샤오미   +1.77%

ZTE  +4.12%

레노버  -2.39%

  

무라타   +1.46%

타이요유덴  +1.45%

야교  -0.92%

Ibiden   +1.02%

Shinko   +0.51%

  

인텔  -2.64%

마이크론   -4.58%

TSMC  -0.50%

퀄컴   -1.74%

미디어텍  -1.33%

  

UDC   -2.96%

BOE   +3.96%

AUO  -1.53%

  

Tesla   +1.09%

CATL   +3.56%

Umicore   -2.61%

Albemarle  -3.60%

 

(위 내용은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득함)

★하나IT텔레그램: https://t.me/ITforYouFromHana

 

 

 

 

2021년 6월 21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WHO가 코로나 델타변이 바이러스가 지배종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2) 세인트루이스연은 총재가 내년말 기준금리 인상을 주장했습니다.

 

(3) 인텔이 BMW 공장이 위치한 독일 남부에 반도체 공장 설립을 논의하고 있습니다.

 

미 5년 breakeven rate 2.376%, -0.036%p (2% 상회시 유의, 2.5% 상회시 경고)

한국 고객예탁금, 67.0조원 +0.0조원

 

한국 백신 접종률 18.4%(+2.3%p, 집단면역 70%)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82%

1개월 NDF 환율 1,135.29원 (+3.19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하루를 여는 혁신투자자문 IPO News Letter💌 - 20210621』

 【 텔레그램 채널 주소 : https://t.me/KoreaIB

 【 IPO상장문의 및 이경준 대표 Contact ☞ 📧 ipo@kakao.com 】

 

===========================

 

 

📌Today's Topic》

대형 IPO 많다지만...중소형 증권사에는 '그림의 떡'

https://newsis.com/view/?id=NISX20210618_0001481797&cID=15001&pID=15000

☞ 이경준 혁신투자자문 대표는 "기업 입장에서는 한번 상장하는데 이왕이면 대형 증권사를 선호하는 게 현실"이라며 "이전상장의 경우 기존에 일을 같이 해오던 중소형사에서 새롭게 대형사를 선택하는 경우도 많다"고 설명했다.

 

 

===========================

 

 

★ 금일 IPO 일정 ★

 없음.

 

☆ 금주 남은 IPO 일정 ☆

 06/25 아모센스 상장★

 

 ------------------------------------------

 

▣ 기관IR 일정 ▣

 - 소규모 간담회로만 진행 中 -

 

▣ 상장 일정(예정, 변경가능) ▣

 06/25 아모센스(신한금융투자)

 07/13 오비고(NH투자증권)

 07/20 SD바이오센서(NH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07/22 크래프톤(미래에셋증권)

 07/23 큐라클(삼성증권)

 07/27 맥스트(하나금융투자)

 미정 - 브레인즈컴퍼니(키움증권)

 미정 - 플래티어(KB증권)

 미정 - 딥노이드(KB증권)

 미정 - 에브리봇(NH투자증권)

 

▣ 심사 승인 ▣

 - 원티드랩(한국투자증권)

 - 바이젠셀(대신증권)

 - 카카오뱅크(KB증권)

 - 한컴라이프케어(미래에셋증권)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 국내 IPO 개별종목

■ 투자자보단 구주주 이익 극대화 택한 크래프톤…기관들 "IPO 시장 물 흐려"

http://www.investchosun.com/2021/06/18/3263016

 

■ '방산 기대주' 한컴라이프케어, 7월 공모 조준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6171602279880107128&lcode=00&page=1&svccode=00

 

■ DS네트웍스, IPO 추진…'빅3', 모두 무관심

https://paxnetnews.com/articles/75363

 

■ 바이젠셀, 최대 5000억 밸류 제시…투자자 판단은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6160953371600106276&lcode=00&page=4&svccode=00

 

■ [뉴스+]사실상 올스톱?…더본코리아, 상장 늦어지는 까닭은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2089366629083032&mediaCodeNo=257&OutLnkChk=Y

 

■ 패스트트랙 올라탄 한화종합화학 IPO ‘자회사 변수’ 따져보니

https://ilyo.co.kr/?ac=article_view&entry_id=404544

 

■ '감사의견 거절' 힐세리온, 내년 IPO로 선회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6161016211400109531&lcode=00&page=3&svccode=00

 

 

▶️▶️▷ IPOmarket(해외IPO포함)

■ 금감원, 전문사모운용사 '공모주 꼼수' 검사

https://www.sedaily.com/NewsView/22NPK952PY

 

■ [단독] 한국거래소, 스팩 ‘소멸방식’ 합병상장 허용 나선다

https://cnews.fntimes.com/html/view.php?ud=2021061906361645196c0eb6f11e_18

 

 

▶️▶️▷ 시장 이모저모

■ 하루새 60달러에서 0달러로, 암호화폐 최초 뱅크런 발생(종합)

https://www.news1.kr/articles/?4343409

 

■ 카카오그룹, 국내 5대 그룹 등극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21062002100963075003&ref=naver

 

 

▶️▶️▷ 시세/시황

[표]IPO장외 주요 종목 시세(6월 18일)

https://www.sedaily.com/NewsView/22NOOGEK5E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728x90
728x90

 

주식투자 스터디를 위해 개인적으로 스크랩한 시황, 뉴스 자료를 공유합니다.

1) 노션 링크는 익스플로러에선 제대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크롬에 최적화 되어있으며, 엣지, 웨일에서도 잘 작동합니다.

 

2) 공유한 자료링크는 1~2일후 공유 해지 합니다.

 

게시물은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한 것이라

불확실하거나 오류가 많을 수 있으므로 투자 활용시 유의하시기 바라며, 개별적인 종목 추천이나 상담은 하지 않습니다.

 

모쪼록 제 공간에 오신 모든 분들이 주식스터디를 통해 인생 한 방보다, 꾸준함을 믿으며...

복리의 마법으로 모든 분들이 성공한 개인투자자가 되시길...

 


 

北추정, 대우조선해양 해킹…핵잠수함 자료도 포함

[중앙일보] 입력 2021.06.20 14:39

출처: <https://news.joins.com/article/24086464>

 

 

 

다시 불붙은 수출…中企 해외 공략 '재시동'

텔레칩스, 러시아 아브토바즈 차량용 반도체 첫 공급

인산가, 미국 FDA 인증 받은 죽염 아마존에 첫 입점

비올, 피부과 의료기기 '실펌X' 미국 수출 본격화

"미국 등 백신 보급 확대, 중소기업 수출 다시 활기"

등록 2021-06-20 오후 12:10:40
수정 2021-06-20 오후 12:10:40

출처: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466166629083688&mediaCodeNo=257&OutLnkChk=Y>

 

 

 

도쿄올림픽, 쿠팡이 온라인 단독 중계한다…500억 지불한 듯

신문A1면 1단 기사입력 2021.06.20. 오후 5:34

네이버·카카오 제치고 따내

'경기관람 유료화' 논란 일듯

쿠팡이 지상파 3사에 제시한 온라인 중계권 가격이 최고 5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올림픽 중계' 유료화 논란이 거세질 것으로 예상된다.

출처: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9&aid=0004811727>

 

 

7월1일부터 새 거리두기…500명 2단계부터 모임·영업 제한

출처: <https://newsis.com/view/?id=NISX20210620_0001482532&cid=>

 

 

 

 

 

[미래에셋증권] 해외 금융시장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02-3774-1621)

 

◆ 미국 증시

- DOW: 33290.08p (-533.37p, -1.58%)

- S&P500: 4166.45p (-55.41p, -1.31%)

- NASDAQ: 14030.38p (-130.97p, -0.92%)

 

◆ 한국 관련

- MSCI 한국지수 ETF: 91.1p (-0.62p, -0.68%)

- MSCI 이머징지수 ETF: 54.23p (-0.38p, -0.70%)

  Eurex kospi 200: 430.95p(-3.55p. -0.82%)

- NDF 환율(1개월물): 1,135.29원 / 전일 대비 2원 상승 출발 예상

 

◆ 외환시장

- 달러인덱스: 92.225 (+0.336, +0.37%)

- 유로/달러: 1.1864 (-0.0043, -0.36%)

- 달러/엔: 110.21 (0, 0%)

- 파운드/달러: 1.381 (-0.0112, -0.8%)

 

◆ 미국 국채시장

- 2년물: 0.2541% (+4.5bp)

- 5년물: 0.8746% (-0.6bp)

- 10년물: 1.4381% (-6.6bp)

- 30년물: 2.0127% (-8bp)

(국채선물)

- 2YR T-Notes: 110*03 1/2 (-0*03 , -0.09%)

- 5YR T-Notes: 123*09 1/4 (-0*02 3/4, -0.07%)

- 10YR T-Notes: 132*10   (+0*09 1/2, +0.22%)

- US T-Bonds: 160*30   (+1*7 , +0.76%)

- Ultra US T-Bonds: 194*00   (+2*9 , +1.19%)

 

◆ 상품시장 ($, 단 곡물, 구리는 센트)

- WTI: 71.64 (+0.6, +0.84%)

- 브렌트유: 73.51 (+0.43, +0.59%)

- 금: 1769 (-5.8, -0.33%)

- 은: 25.969 (+0.113, +0.44%)

- 아연(LME, 3M): 2822.5 (-89, -3.06%)

- 구리: 416.35 (-2.2, -0.53%)

- 옥수수: 566.25 (+33.75, +6.34%)

- 밀: 665.75 (+22.75, +3.54%)

- 대두: 1313 (+60.25, +4.81%)

- BDI: 3218 (-49, -1.5%)

 

*동 자료는 2021년 6월 21일 미래에셋증권 홈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를 요약한 것입니다.

 

글로벌 주식시장 변화와 전망(6월 21일)

미래에셋증권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02-3774-1621)

 

코로나 델타 변이, 매파 연준 여파로 하락

 

미 증시는 블라드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의 매파적인 발언 여파로 하락 출발. 더불어 2분기 어닝시즌을 앞두고 실적 피크아웃 논란이 부각 된 점도 낙폭 확대 요인. 여기에 코로나 델타 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우려가 확산된 점도 투자심리 위축 요인. 장 마감 직전 선물옵션 만기일 영향에 따른 수급적인 요인으로 낙폭 확대하며 마감(다우 -1.58%, 나스닥 -0.92%, S&P500 -1.31%, 러셀2000 -2.17%)

 

변화요인: ①블라드 총재 ②델타 변이 ③실적 피크아웃

 

http://securities.miraeasset.com/bbs/maildownload/2021062012350782_3431

 

 

 

 

[한투증권 박소연] 6월 넷째주 GIS weekly

 

원자재 가격 하락세가 거셉니다. 고점대비 하락률로 보면 목재(-47%)가 거의 반토막 수준이고 팔라듐(-18%), 구리(-15%), 대두(-16%), 옥수수(-15%) 등 대부분 10~20% 정도 밀렸네요.

 

원인은 1) 미국 연준이 테이퍼링 논의를 시작하면서 긴축 우려가 불거졌고 2) 중국 정부가 투기 근절을 위해 원자재 비축분을 방출하겠다고 발표했기 때문인데요.

 

이에 가치주와 경제재개주가 급락 중이지만, 너무 걱정하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최근 원자재 가격 급등세가 거세지면서 비용(cost) 상승, 마진(margin) 압박 우려가 상당했는데 원자재 가격이 하향 안정화되면 부담도 덜해지죠. 사실상 '자정작용'이 시작된 것으로 이해하면 됩니다.

 

최근 성장주가 안전지대로 인식되면서 순환매가 유입되고 있지만 가치주 대세론이라는 큰 트렌드는 아직 종료되지 않았다고 판단됩니다.

 

============

 

▲ 주말 해외동향 : 뉴욕증시 하락 마감. 델타 변이 확산 우려가 커진 가운데 조기 금리인상론까지 불거졌기 때문

 

- 내년 연준 투표권자인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루이스 연은총재가 CNBC 인터뷰에서 '물가 압력이 예상보다 강해 2022년 말 금리인상을 시작해야 한다, 매파적으로 기울어지는 것은 당연하다'고 발언. 이는 6월 FOMC 점도표 중간값보다 훨씬 빠른 것

 

- 채권시장 일드커브 플래트닝 심화. 2년물 국채금리는 연준 조기 금리인상 가능성에 0.25%까지 급등한 반면, 미국채 10년물은 1.44%까지 밀렸고 30년물 금리는 올해 2월

수준인 2.0%까지 후퇴

 

- 시클리컬에 매도세 집중. 셰브론(-3.8%), 모건스탠리(-4.4%) 등 에너지/금융주 약세. 성장주가 도피처 역할을 하며 나스닥 하락폭 상대적으로 적었지만 시장 견인에는 역부족

 

▲ 52주 신고/테마 : 반도체(엔비디아), 사이버보안(포티넷), 총기업체(스미스&웨슨), 반려동물(IDEXX), 클라우드/SW(어도비, 클라우드플레어, 스프라우트소셜, 스퀘어스페이스), 창고(퍼블릭스토리지) 등

 

▲ 종합판단 : 6월 FOMC 매파적 스탠스에 원자재 가격 급락세 거세지고 있으나 자정작용으로 이해. 단기 변동성 확대 불가피하겠으나 저가 매수 대응 필요. 가치주 큰 트렌드 아직 종료되지 않아

 

- 금주 일정: 22일(화) 파월 의장 '판데믹 프로그램과 경제' 연설 예정

 

 

 

 

(2021.06.19) U.S. & EU Market Closing

2021.06.19  진상우

U.S. Market Closing – 05:00 기준

지수 종가 등락폭 등락률 상승/하락/보합
DOW 33,291.53 -531.92 -1.6% 1/29/0
S&P500 4,166.38 -55.48 -1.3% 69/436/0
NASDAQ 14,030.38 -130.97 -0.9% 674/2441/196
RUSS 2K 2,236.67 -50.79 -2.2% 244/1779/10
PHLX 반도체지수 3,152.81 -78.90 -2.4% 1/29/0
VIX지수 20.99 3.24 18.3%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미국증시는 이날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루이스 연준(FED) 총재의 발언에 내림세로 마감. S&P500지수는 1.3% 하락한 4,166선에서 거래를 마쳤고, 다우지수는 1.6% 하락해 33,291.53에 마감. 나스닥 지수는 0.9% 하락한 14,030.38에 마감. 개별종목으로는 미국 주택 건설업체 레너(LEN)에 대한 제이피 모건의 투자의견이 ‘비중확대’로 상향조정되며 4.5% 상승, 온라인 지급 결제 회사 페이팔(PYPL)이 새롭게 출시하는 상품에 대한 수수료를 상향한다는 소식에 1.9% 상승. 한편, 제약회사 오파자임(ORPH)의 신약 치료제에 대한 미국 FDA 승인 거절 소식에 49.7% 급락. 이날 주요 이슈로 연준 내에서 비둘기파(통화 완화 선호)로 분류되는 블러드 총재가 CNBC와의 인터뷰에서 연준의 첫 금리 인상 시기를 2022년 말로 예상한다고 발언. 또한, 테이퍼링에 대한 논의가 공식적으로 개시했다고 언급하며 글로벌 시장을 냉각시킨 모습. 증시 전문가들은 연준이 조기 긴축 신호를 보낼수록 시장의 불안이 커질 것으로 예상, 이날 변동성지수(VIX)는 전장보다 12% 이상 오르며 5월 말 이후 최고치로 상승. 아울러, 세계보건기구(WHO)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전염력이 강한 코로나 19 델타 변이가 세계 지배적인 변이가 될 수 있다고 경고하며 코로나 19 펜데믹에 대한 우려가 커진 모습. 전 세계 코로나 19 누적 사망자는 400만 명을 넘어섰으며 변이 바이러스의 영향으로 6개월도 안 돼 200만 명이 증가.

 

U.S. ETF Closing – 05:00 기준

Sector

분류 티커 현재가 등락률 t신호 수익률






1개월 3개월 1년
자유소비재 XLY 172.1 -0.6% 햇빛 2.1% 4.5% 33.7%
IT XLK 142.0 -1.0% 햇빛 4.3% 9.7% 36.6%
커뮤니케이션 XLC 78.6 -1.2% 햇빛 2.2% 7.5% 41.3%
헬스케어 XLV 123.6 -1.2% 햇빛 -0.6% 7.6% 24.6%
산업재 XLI 99.6 -1.3% 안개 -3.4% 3.0% 45.8%
소재 XLB 80.7 -1.6% 안개 -6.8% 3.8% 45.6%
부동산 VNQ 101.8 -1.7% 햇빛 4.0% 12.0% 32.9%
필수소비재 XLP 68.8 -1.8% 안개 -3.1% 2.1% 19.1%
금융 XLF 35.2 -2.4% 안개 -6.3% 4.1% 50.1%
유틸리티 XLU 64.1 -2.7% 안개 -3.2% 1.3% 15.2%
에너지 XLE 52.4 -3.0% 햇빛 0.4% 6.4% 38.8%

자료: 티레이더, 유안타증권해외투자전략팀

 

금일 섹터별 ETF에서는 에너지(XLE/-3.0%) ETF와 금융(XLF/-2.4%) ETF가 전일 하락세를 이어가는 모습. 원자재 가격이 급락하면서 몇 달 동안 이어오던 상승세가 꺾이며 에너지(XLE) ETF가 하락. 전일 연준(FED)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결과 발표 후 달러화 상승압력이 원자재 하락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

 

Thematic

분류 티커 현재가 등락률 t신호 수익률






1개월 3개월 1년
IPO IPO 64.5 0.5% 햇빛 10.6% 6.8% 54.7%
기술혁신 ARKK 118.9 0.3% 햇빛 12.3% 3.9% 69.6%
인프라 IGF 46.0 -2.2% 안개 -1.2% 5.0% 21.3%
글로벌 천연자원 GNR 51.6 -2.4% 안개 -4.3% 5.4% 40.7%
반도체 SOXX 427.9 -2.5% 햇빛 3.5% 6.7% 59.7%

자료: 티레이더, 유안타증권해외투자전략팀

 

금일 테마ETF에서는 대다수의 ETF가 하락 마감한 가운데, 기술혁신(ARKK/+0.5%) ETF와 IPO(IPO/+0.3%) ETF가 소폭 상승 마감. 기술혁신(ARKK) ETF에서는 웨드부시증권이 도큐사인(DOCU)에 대한 목표주가를 290달러로 상향하여 5.3% 상승, TV 스트리밍 플랫폼 로쿠(ROKU)가 자체 오리지날 시리즈를 개시한다는 소식에 4.9% 상승, 기술혁신(ARKK) ETF 상승을 주도.

 

EU Market Closing – 04:00 기준

지수 종가 등락률 구분 업종 등락률
STOXX 600 452.42 -1.5% 상승




하락 에너지 -2.8%




금융 -2.2%




정보기술 -2.0%
지수 종가 고가 저가 등락폭 등락률
獨 DAX 15,460.04 15,736.93 15,426.76 -267.63 -1.7%
英 FTSE 100 7,024.26 7,154.63 7,016.60 -129.17 -1.8%
佛 CAC 40 6,578.35 6,687.29 6,560.12 -87.91 -1.3%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유럽증시는 연방준비제도(FED) 위원의 금리 인상 시기 특정 발언에 하락세로 마감. 독일 DAX지수는 1.7% 하락하며 15,460.04에 마감하였고, 범유럽지수 STOXX 600지수는 452.42 에 마감하며 1.5% 하락. 섹터별로는 에너지, 금융, 정보기술 섹터에서 2%가량 내려. 영국 FTSE 지수는 7,024.26에 마감하며 1.8% 하락.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내 비둘기파로 불리는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가 2022년 말 첫 금리 인상을 예상한다고 언급해 글로벌 증시 하락압력으로 작용한 모습. 금리 인상 시기 예측과 더불어 블러드 총재는 테이퍼링에 대한 더 상세한 논의가 앞으로 이뤄질 것이라고 언급. 개별 종목으로는 보험, 통신, 에너지 관련 업종이 0.8%~1.2%가량 하락한 반면, 부동산 관련주가 소폭 상승 마감. 영국 프루덴셜그룹(PRU)과 피닉스홀딩스(PHNXGBX)가 3% 하락한 반면, 벨기에 부동산 신탁 아에디피카(AED)와 영국 부동산 기업 런던메트릭프로퍼티(LSP)가 2%가량 상승. 주요 경제지표 발표로는 유로존의 지난 4월 경상수지가 230억 유로 흑자로 집계, 전월대비 50억 유로 증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천390억 유로 상승 기록. 금일에는 유럽투자은행(EIB) 연례회의와 유럽연합(EU) 재무장관 회의가 진행.

 

 

출처: < https://m.myasset.com/extern/researchPortal/RP_0001000_P1.cmd?menuid=RP_0105000_P1&searchKeyGubun=1&keyword=&page=1&base_date=20210619051933&gbn=B&res_seq=171586>

 

 

 

 

[하나금융투자 중국/신흥국전략 김경환]

* 텔레그램 채널 : https://t.me/HANAchina

 

•중국 주말에는 무슨 일이?

 

★거시경제/정책/자본시장★

 

■중국 광둥성 확진자 산발적 발생 지속 : 18일 저녁 광둥성 동관시 13개 지역 봉쇄, 심천 공항 변이 바이러스 확진자 2명 발생으로 업무 차질. 

 

■발개위(NDRC), 원자재 가격 안정 위해 비축재고 방출 : 중국 주력상품시장감독 시장거래실태 조사. 주요 기업과 협회 면담 통해, 시장조작 의혹과 가격담합 문제 조사, 시장주체들의 준법 경영을 촉구할 예정. 시장감독총국과 증감회가 선물시장감독 정례회의도 개최할 계획. 또한, 원자재 가격 안정을 위해 구리, 알루미늄, 아연 등 정부 비축 재고를 풀어 공급량 확대 예정.

 

■중국 컨테이너 운임지수 상승세 심각, 유럽/미국향 수출 차질 우려 : 6월 18일 기준 SCFI(상하이 컨테이선 운임지수)는 3748.36p로 신고가 계속 경신, 2020년 저점 대비 358% 폭등. CCFI는 2526.65p로 역시 저점 대비 203% 폭등. 미국과 유럽향 실제 운임 5-10배 상승.

 

■세 자녀 정책 시행을 앞두고 중국 주요 지방 당국 출산 연령 여성 대상 설문조사 시작: 6월 18일 국무원상무회의가 <중국 인구와 계획 생육법> 수정 초안 통과, 전인대의 최종 입법 카운트다운 돌입. 입법 직전 각 지방 당국은 출산 연령 여성군 대상 설물조사를 시작, 의견수렴 돌입.

 

■‘과창판+창업판 50 ETF’ 첫 출시 : 6월 21일 상해 과창판(커촹반)과 심천 창업판을 처음 혼합한 ‘중증(中證)과창창업50지수’ ETF 9개가 상장 예정.

 

■중국 1-5월 선물시장 누적 거래액 YoY+77.8% 증가 : 상품가격 급등과 기업측 선제적인 리스크 관리, 새로운 선물 상품 도입이 급증 유도

 

■5월 주택가격 안정적 : 통계국, 70개 도시의 전월대비 신규 주택가격은 62개 도시 상승, 3개 도시 유지, 5개 도시 하락.

 

■중국 돼지고기 가격 급락세 지속, 후속 대책 예고 : 발개위, 6/7~11일 중국 돈육 가격과 사료 가격 평균 배율이 5.88:1로 6:1보다 낮은 수준으로 떨어지며 3급 예비 경보 구간 진입. 돼지 사육 농가에 효율적인 생산운영과 돼지 생산능력을 합리적 수준으로 유지할 것을 권고.

 

■브라질, 중국 칸시노 백신 6,000만회분 공급 예정 : 중신왕, 브라질 정부는 중국 칸시노로부터 코로나19 백신 6,000만 도스를 구입해 2021년 3분기와 4분기에 공급받을 예정. 중국 칸시노 코로나19 백신은 2020년 아르헨티나에서 3기 임상시험을 진행한 바 있음. 브라질 당국은 앞서 영국 아스트라제네카 백신과 중국 시노백 백신 긴급 사용을 승인하고 접종하고 있음.

 

■프랑스 백신 접종자 ‘긴급 사유’ 제출 면제, 중국 백신은 제외 : 주 프랑스 중국대사관, 백신 접종자는 프랑스 입국 시 '긴급 사유' 신청서 제출 면제. 프랑스 정부가 승인한 백신에는 화이자, 모더나, 아스트라제네카, 얀센이 포함돼 있지만, WHO가 승인한 중국산 백신은 포함되지 않음.

 

★산업/기업/정책★

 

■중국 동영상 플랫폼 틱톡의 바이트 댄스의 성장세, 텐센트와 알리바바를 위협 : 2012년 3월 창업한 바이트 댄스가 텐센트와 알리바바를 위협하는 세 번째 빅테크 기업으로 부각. 2020년 연간 매출은 이미 텐센트의 1/2, 알리바바의 1/3, 콰이쇼우의 4배 육박. 2020년 매출 2,366억위안으로 YoY+111, 매출이익률 55.5% 달성. 글로벌 MAU는 19억명으로 Facebook 유저의 70% 육박. 150개 국가와 지역, 35개 언어 커버.

 

■중국 남방지역 전력난 점차 해소 : 발개위, 중국 남방지역 전력난 6월 들어 점차 해소. 광동에서는 6월 5일부터 전기 사용 제안을 완전히 완화하고, 윈난에서는 전력 사용 제한 점차 감소. 전기 수요가 많은 장마철을 맞아 남방 지역의 전력난 빠른 해소 필요.

 

■쓰촨성 교육청 및 관련 부처, <사립 의무교육학교 설립 허가 중단> 발표 : 교육 운영 규모를 합리적으로 통제하기 위해 4개 부처는 학교 설립 허가를 보류한다고 전함. 또한, 각 시(市)와 현( )은 학교 설립 허가를 즉시 중단할 것을 요구. 교육 당국은 각 지역에서는 관련 내용을 중시해달라고 전하며 위반 시 관련 행정 지도자와 당사자의 책임을 엄중히 물을 것이라 경고. 한편, 산둥성 교육청도 방과후 과외 모임을 금지.

 

■충칭시 교육위원회, <일반고 재수생 모집 금지> 발표 : 일반고에서 재수생 모집을 금지하고, 명문고 진학을 위한 재수반을 편성 등 심각한 교육법 위반 행위를 바로 잡겠다고 강조. 이미 고교에 합격한 고득점자에게 복습 학습이나 재수 홍보 금지.

 

■백주 2위 우량예 CEO, 초고급 백주 공급 부족 평가 : 백주는 현금배당 비율 높고 경영실적 매우 안정적인 업종. 백주 산업 전체적인 공급과잉 우려는 상존하지만, 초고급 우량 백주 공급 부족 문제 상존. 향후 소비고도화와 중산층 성장을 감안하면 고급주 수요 꾸준할 것.

 

■중국 자동차공업협회장, 중국 신에너지차 판매 향후 5년간 평균 40%대 성장률 유지 전망. 2025년 신차 비중은 20% 혹은 그 이상을 전망.

 

■5월 중국 테슬라 모델 Y 등록대수 큰 폭 증가 : 모델 Y 등록 수는 4월 5,520대에서 5월 12,785대. 모델 3는 6,429대에서 9,324대로 증가

 

■LFP배터리 생산량 최고치 경신 : LFP배터리 생산량이 사상 첫 삼원계 배터리를 상회하며 최고치 경신. 적재량은 삼원계 배터리가 우위.

 

■중국 제일자동차, 자율 발레파킹 시스템 소프트웨어 공개 : 중국 제일자동차(FAW)가 정식으로 L4급 자율 발레파킹 시스템(AVPS) 공개. 제일자동차 산하 고급브랜드 훙치의 자율주행 기술 발전에 중요한 역할 할 것으로 예상.

 

■인프라 시설 스마트화 가속화 : 주건부, 인프라 시설 디지털화, 인터넷화, 스마트화 가속화. 지역별로 신기술을 적용해 수전기 등의 인프라 시설을 업그레이드하고, 각종 센서와 사물인터넷에 기반한 스마트 플랫폼을 통해 실시간 모니터링, 인프라의 작동 효율과 안전성 제고 할 계획.

 

■BOE, 향후 10년 LCD, OLED 주역으로 할 것 : 류샤오둥(晓东) BOE 총재, 향후 10년 LCD, OLED 주역으로 할 것. 2021년 중국 디스플레이 생산능력은 전세계의 60%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하며, 2025년에는 70%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

 

■중국 버블 밀크티 ‘나이슈’ 6/30 홍콩 상장 예정 : 시나재경, 중국 버블 밀크티 ‘나이슈’ 6월 18일부터 공모 절차 시작. 공모가는 17.20HKD-19.80HKD로 공모 자금은 최대 58.6억HKD 예상. 나이슈는 6월 30일 홍콩 상장 예정으로 글로벌 최초 차 음료 상장기업이 됨

 

■디디추싱 IPO에 5개 투자은행 새로 참여 : 로이터, 미국 뉴욕증시 상장을 앞둔 ‘중국판 우버’ 디디추싱 IPO에 BOA, Barclays, CICC, Citi, HSBC 등 5개 투자은행이 새로 참여한다고 보도. 디디추싱은 이와 관련해서 입장을 밝히지 않은 상태.

 

■중국 알리바바, 드론 관련 상품 판매 중단 : 중국 알리바바, 2021년 7월 15일까지 헤드업 디스플레이, 이미지 전송 모듈, 플라이 컨트롤 모듈 등 드론 관련 상품 판매를 중단한다고 밝힘. 드론 비행 및 광고도 함께 금지.

 

■MissFresh, 딩동마이차이 IPO : 중국 신선식품 O2O 강자 MissFresh, 딩동마이차이 IPO 신청서 제출. MissFresh, 딩동마이차이 2020년 매출액 각각 61억, 113억위안 기록, 순손실 각각 16억위안, 32억위안. 두 업체 모두 직매입 구조 사용, 신선식품 업계의 낮은 마진율 구조 및 높은 제품 원가로 적자 상태

 

( 위 문자의 내용은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득하였음)

 

 

 

 

 

 

 

 

 

 

[2021.06.18 (금) 필라델피아 반도체] 하나금융투자 반도체 애널리스트 김경민, CFA

 

전일 대비 -2.44%, 3,153선 마감

상승주 1, 하락주 29

 

다우 -1.58%, 나스닥 -0.92%, S&P 500 -1.31%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목요일 +0.96% 상승한 이후 금요일 -2.33% 하락 마감. 제임스 블라드 세인트루이스 연준 총재가 2022년 말 금리 인상 전망을 언급하며 지난 6월 16일 FOMC 회의 직후 연준의 신호보다 더욱 매파적 발언을 한 것이 반도체 업종 투자 심리에 부정적 영향을 끼침

 

편입종목 30개사 중에 성장주에 해당되는 AMD만 유일하게 상승 +0.11%. AMD의 경쟁사 엔비디아도 -0.10%로 마감하며 비교적 선방. AMD가 유일하게 상승한 이유는 금주 AMD 관련 호재가 금요일에도 주가를 방어했기 때문. 구글 클라우드에서 AMD의 3세대 EPYC 프로세서를 Tau Virtual Machine 신규 서비스 T2D에 적용. 구글은 T2D 인스턴스를 2021년 3분기에 출시 예정

 

AMD를 제외한 나머지 종목이 하락한 가운데 메모리 반도체 및 스토리지 업종도 하락. 마이크론 -4.58%, WDC -1.84%, 실리콘 모션 -1.38%, Seagate -3.96% 기록. 마이크론의 경우 셀사이드 2곳(Lynx, Cleveland Research)의 투자 의견 하향 조정이 투자 심리에 부정적 영향을 끼침. 하향 조정 사유는 PC 및 모바일향 메모리 수요의 둔화 전망

 

[CPU & GPU] 인텔 -2.64%, AMD +0.11%, 엔비디아 -0.10%

 

[파운드리 ADR 및 후공정] TSMC -2.80%, UMC -4.98%, Amkor -2.51%,

 

[장비] ASML ADR -3.97%, AMAT -4.43%, 램리서치 -4.24%, KLA -4.38%, 테라다인 -3.65%

 

[5G] 퀄컴 -1.74%, Skyworks -2.41%, 코보 -3.94%, 브로드컴 -1.63%, 자일링스 -0.32%, Two Six -2.74%,

 

[아날로그] TXN -2.44%, ADI -2.42%, NXP -2.69%, 마이크로칩 -3.07%, 온세미 -3.30%

 

[공정소재] 캐봇 마이크로 -0.88%, 인테그리스 -2.21%

 

[웨이퍼] 신에츠화학 +1.5%, Sumco +3.2%, Globalwafers -0.2%

 

감사합니다.

 

 

[2021.06.18 (금) 대만 가권지수 -0.41%, 17,319p] 하나금융투자 반도체 애널리스트 김경민, CFA

 

업종별: 반도체 -0.60%, 금융 -0.81%, 플라스틱 -2.23%, 해운/운송 +5.28%, 철강 -0.91%, 건설 -0.24%, 시멘트 -1.07%, 제지 -0.64%, 자동차 -0.48%, 석유/가스/전기 -3.43%

 

외국인 순매도 6,461억 원

 

대만 가권지수는 목요일 +0.48% 상승 이후 금요일 -0.41% 마감. 미국 FOMC 회의 이후 뚜렷한 특징 없이 관망세 형성. 외국인은 수요일부터 금요일까지 3일 연속 순매도. 금요일에는 반도체 업종이 -0.60%로 부진했고 나머지 주력 업종도 대부분 부진한 가운데 해운/운송 업종이 +5.28% 상승하며 지수 방어 주도

 

대만 내의 코로나 확산 대응을 위해 차이잉원 총통이 TSMC의 회장 Mark Liu와 혼하이정밀의 창업자 Terry Gou를 만났고, 독일 바이오엔텍으로부터 백신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 중

 

대만달러는 전일 대비 약세. TWD 27.764 기록

 

[파운드리] TSMC -0.5%, UMC -2.1%

 

[메모리] 난야테크 +0.0%, 윈본드 +0.3%, 매크로닉스 +0.9%

 

[서버] Aspeed -3.4%, Nuvoton -2.3%, Wiwynn -1.5%

 

[팹리스] 미디어텍 -1.3%, 노바텍 -1.2%

 

[후공정] ASE -1.3%, 칩모스 -2.8%, 칩본드 -2.3%, 파워텍 +0.9%

 

[애플 벤더] 혼하이정밀 -1.3%, Largan +0.0%, 지니어스 -1.3%, 페가트론 +0.9%, Catcher -1.9%

 

[5G 화합물] 윈세미 -1.4%, VPEC -0.8%

 

[반도체 유통] ADATA -1.5%, Transcend -1.1%, Phison +0.0%

 

[PC] ACER +1.4%, ASUSTEK -0.8%, Lenovo(HK) -2.4%

 

[기타] Global Unichip -1.2%

 

감사합니다.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