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주식투자 스터디를 위해 개인적으로 스크랩한 시황, 뉴스 자료를 공유합니다.

1) 노션 링크는 익스플로러에선 제대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크롬에 최적화 되어있으며, 엣지, 웨일에서도 잘 작동합니다.

 

2) 공유한 자료링크는 1~2일후 공유 해지 합니다.

 

게시물은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한 것이라

불확실하거나 오류가 많을 수 있으므로 투자 활용시 유의하시기 바라며, 개별적인 종목 추천이나 상담은 하지 않습니다.

 

모쪼록 제 공간에 오신 모든 분들이 주식스터디를 통해 인생 한 방보다, 꾸준함을 믿으며...

복리의 마법으로 모든 분들이 성공한 개인투자자가 되시길...

 


뉴욕증시, 연준 의사록에 `안도`...애플 신고가 [출근전 꼭 글로벌브리핑]

미 증시, FOMC 의사록 공개 속 상승…S&P500·나스닥 사상최고

연준 위원들 "물가 상승 일시적…테이퍼링 서두르지 않아"

모건스탠리 "中, 디디추싱 규제…테슬라 영향 가능성"

유럽·중국·베트남 상승

출처: <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107080005&t=NN>

 

 

 

日 도쿄에 코로나 긴급사태 재선포키로…올림픽 무관중될 듯

송고시간2021-07-07 20:12

내달 22일까지 시한…8일 코로나 대책본부회의서 공식 결정

출처: < https://www.yna.co.kr/view/AKR20210707177600073?input=1195m>

 

 

 

 

2021년 7월 8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중국 국무원이 지준율 인하 가능성을 제기했다고 CCTV가 보도했습니다.

 

(2) FOMC 위원들이 주택가격 상승으로 MBS 우선 테이퍼링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3) 애플이 신고가를 기록하며 삼성전자와 1년 수익률이 같아졌습니다.

 

미 5년 breakeven rate 2.450%, -0.049%p (2% 상회시 유의, 2.5% 상회시 경고)

한국 고객예탁금, 66.7조원 -1.1조원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02%

1개월 NDF 환율 1,141.98원 (+3.98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7/7 미국 상승 = 신고가 행진 지속]

(Feat. 결국 2분기 실적 장세)

 

<About Market>

장초반 약세를 보이는 듯하던 증시는 경기민감주와 빅테크들에 저가매수세가 유입되며 스몰캡 지수인 러셀2000을 제외하고 모두 상승마감하였습니다.

 

오늘 증시는 당분간 미국증시의 방향성을 단적으로 보여준 하루같습니다.(국내도 마찬가지)

 

오늘 상승한 섹터인 경기민감주와 빅테크의 공통점은 2분기 실적이 좋은 대표기업들이라는 것입니다.

 

실적이 없고 그나마 PSR도 없는, PDR주식들은 전주에 이어 이번주에도 지속적인 약세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FOMC 의사록

-테이퍼링 논의(언제시작+어떻게)

-아직은 너무 이르지만, 예상보다 빠른 경제회복속도와 인플레이션을 감안하여 신중하게 추후 적절한 시점에 테이퍼링을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에 대부분 동의

☑️연준과 파월의장은 ‘변화(테이퍼링)’ 전 충분한 사전 공지를 할 것이며, 무엇보다 명확하고 충분한 데이타(고용개선이 구조적이란 증거)가 확보되어야함을 지속적으로 강조하고 있습니다.

 

•나스닥 +0.0% / 러셀2000 -1.3%

•S&P500 +0.4% / 다우 +0.3%

-나스닥 Top10 : 상승 7 vs 하락 3

 

-비트코인 : $35,000

-미국채금리(10y) : 1.318 (-3.8%)

-WTI : $72.00 (-1.9%)

 

*코로나 : 신규확진자 감소

(전일 11,612 / WoW -13.1%)

 

SMART한 주식투자

https://t.me/frankinvest

 

 

[미래에셋증권] 해외 금융시장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02-3774-1621)

 

◆ 미국 증시

- DOW: 34,681.79p (104.42p, +0.30%)

- S&P500: 4,358.13p (14.59p, +0.34%)

- NASDAQ: 14,665.06p (1.42p, +0.01%)

 

◆ 한국 관련

- MSCI 한국지수 ETF: 91.58p (-0.74p, -0.8%)

- MSCI 이머징지수 ETF: 53.76p (-0.06p, -0.11%)

- Eurex kospi 200: 436.35p (-0.10p, -0.02%)

- NDF 환율(1개월물): 1,141.97원 / 전일 대비 3원 상승 출발 예상

 

◆ 외환시장

- 달러인덱스: 92.726 (+0.18, +0.19%)

- 유로/달러: 1.1792 (-0.0032, -0.27%)

- 달러/엔: 110.65 (+0.02, +0.02%)

- 파운드/달러: 1.38 (0, 0%)

 

◆ 미국 국채시장

- 2년물: 0.2161% (-0.2bp)

- 5년물: 0.782% (-1.5bp)

- 10년물: 1.3179% (-3bp)

- 30년물: 1.9365% (-3.7bp)

- 스프레드(10Y-2Y): +110.18bp (-2.84bp)

(국채선물)

- 2YR T-Notes: 110*07 3/4 (+0*00 1/2, +0.01%)

- 5YR T-Notes: 123*29 1/4 (+0*04 1/2, +0.11%)

- 10YR T-Notes: 133*17 1/2 (+0*10 1/2, +0.25%)

- US T-Bonds: 163*09   (+1*6 , +0.73%)

- Ultra US T-Bonds: 197*14   (+2*9 , +1.17%)

 

◆ 상품시장 ($, 단 곡물, 구리는 센트)

- WTI: 72.2 (-1.17, -1.59%)

- 브렌트유: 73.43 (-1.1, -1.48%)

- 금: 1,802.10 (+7.9, +0.44%)

- 은: 26.129 (-0.045, -0.17%)

- 아연(LME, 3M): 2,958.50 (24.0, +0.82%)

- 구리: 432.25 (+7.15, +1.68%)

- 옥수수: 531 (-8.75, -1.62%)

- 밀: 622.25 (-3.75, -0.6%)

- 대두: 1,327.25 (+22.25, +1.7%)

- BDI: 3,179.00 (-45, -1.4%)

 

*동 자료는 2021년 7월 8일 미래에셋증권 홈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를 요약한 것입니다.

 

글로벌 주식시장 변화와 전망(7월 8일)

미래에셋증권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02-3774-1621)

 

미 증시, 확연한 실적 시즌 준비

 

미 증시는 국채금리 하락에 따른 대형 기술주가 강세를 보이며 상승 출발 했으나 경기 확장세 정점 논란이 유입되며 투자 심리가 위축되며 하락 전환. 그러나 뚜렷한 방향성 보다는 FOMC 의사록 공개를 앞두고 보합권 등락에 그침. 한편, FOMC 의사록은 시장 우려와 달리 지난 6월 FOMC 당시보다 매파적인 내용이 크지 않아 금융시장에 큰 변화를 주지 않았음. 이후 본격적인 실적 시즌을 앞두고 실적 개선이 뚜렷한 대형 기술주가 강세를 보이며 대체로 시장은 소폭 상승 마감(다우 +0.30%, 나스닥 +0.01%, S&P500 +0.34%, 러셀2000 -0.95%)

 

http://securities.miraeasset.com/bbs/maildownload/2021070805454951_3431

 

(2021.07.08) U.S. & EU Market Closing

2021.07.08  허단  U.S. Market Closing – 05:00 기준

지수 종가 등락폭 등락률 상승/하락/보합
DOW 34,681.79 104.42 0.3% 21/9/0
S&P500 4,358.13 14.59 0.3% 338/166/1
NASDAQ 14,665.06 1.42 0.0% 878/2227/250
RUSS 2K 2,254.28 -20.22 -0.9% 613/1340/29
PHLX 반도체지수 3,261.73 -46.19 -1.4% 2/28/0
VIX지수 16.25 -0.19 -1.2%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미국 증시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에 안도하며 상승 마감. 금일 발표된 FOMC 의사록에는 테이퍼링을 논의했지만, 서두르지 않겠다는 입장을 확인. 다수 위원은 최근 시장의 인플레이션이 높은 수준이지만 이는 공급 부족과 병목현상으로 인한 일시적인 것임에 대체로 동의하였으며, 경제의 실질적 진전이 있기까지 테이퍼링을 서두르지 않을 것을 시사. FOMC에서 테이퍼링 논의가 본격화되었을 것이란 우려가 줄어든 시장은 투자 심리가 회복되며 S&P500, 나스닥 지수는 다시 한 번 최고치 경신. 금일 미국 증시에서 반도체와 유가 약세에 따른 에너지 섹터를 제외한 대부분 섹터가 상승하였으며, 메가캡 기업의 주가 역시 전반적인 상승 시현. 반면 테슬라(TSLA)는 자율주행기술 차량 충돌 사고로 소송이 제기되며 2.3% 하락 마감. 한편, 금일 발표된 미 5월 채용공고 수는 920만 9천 건을 기록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해 경제 회복세를 재확인.

U.S. ETF Closing – 05:00 기준

Sector

분류 티커 현재가 등락률 t신호 수익률






1개월 3개월 1년
소재 XLB 82.5 1.0% 안개 -3.4% 2.6% 44.9%
산업재 XLI 103.35 1.0% 안개 0.3% 3.1% 53.5%
유틸리티 XLU 64.71 0.7% 안개 -1.1% -1.1% 15.6%
헬스케어 XLV 128.95 0.6% 햇빛 3.2% 9.2% 29.3%
필수소비재 XLP 70.01 0.5% 안개 -0.6% 2.3% 19.4%
IT XLK 151.19 0.5% 햇빛 7.3% 7.5% 44.1%
부동산 VNQ 103.59 0.3% 햇빛 -1.1% 10.7% 39.2%
금융 XLF 36.4 0.1% 안개 -2.1% 3.9% 57.5%
자유소비재 XLY 181.25 -0.1% 햇빛 5.4% 2.4% 38.7%
커뮤니케이션 XLC 81.82 -0.2% 햇빛 2.8% 7.9% 45.7%
에너지 XLE 52.05 -1.6% 안개 -5.4% 6.9% 54.8%

자료: 티레이더,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금일 섹터별 ETF는 소재(XLB/+1.0%), 산업재(XLI/+1.0%), IT(XLK/+0.5%)가 상승하였으며, 유가 약세가 지속되며 에너지(XLE/-1.6%)는 하락 마감. 금일 크레디트스위스는 미국의 인프라 투자안과 재생에너지 개발로 철강 수요가 견조할 것으로 예상하였으며, 철강 제품 생산 업체인 뉴코(NUE)가 3.4% 상승하여 소재(XLI) 섹터의 상승 주도. 전일 미 국방부의 클라우드 사업인 제다이(JEDI) 프로젝트에 마이크로소프트와 맺은 계약을 취소하고 여러 기업의 입찰을 받을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금일 국방부 관계자가 소프트웨어업체 오라클(ORCL)의 입찰 적격성을 평가할 것이라는 소식에 3.6% 올라 IT(XLK)의 상승을 견인.

 

Thematic

분류 티커 현재가 등락률 t신호 수익률






1개월 3개월 1년
리튬/배터리테크 LIT 75.4 3.6% 햇빛 9.3% 23.5% 100.8%
주거건축 XHB 74.2 1.7% 햇빛 3.2% 1.5% 70.5%
수송 XTN 84.3 -0.3% 안개 -3.7% -5.4% 61.0%
반도체 SOXX 442.9 -1.5% 햇빛 2.2% 1.6% 61.6%
기술혁신 ARKK 124.3 -2.3% 햇빛 8.1% -0.5% 64.2%

자료: 티레이더,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금일 테마 ETF에서 리튬/배터리테크(LIT/+3.6%), 주거건축(XHB/+1.7%) 테마가 상승하였으며, 수송(XTN/-0.3%), 반도체(SOXX/-1.5%), 기술혁신(ARKK/-2.3%)이 하락. 금일 수송(XTN) 테마는 델타 변이 확산 우려에 델타 에어라인(DAL/-1.6%), 아메리칸 에어라인(AAL/-3.3%)등 항공주가 부진한 영향으로 하락하였으며, 마이크론 테크놀로지(MU/-3.5%), AMD(AMD/-4.2%)를 비롯한 반도체 기업 전반이 약세를 시현하며 반도체(SOXX) 테마는 1.5% 하락 마감.

 

EU Market Closing – 01:00 기준

지수 종가 등락률 구분 업종 등락률
STOXX 600 459.53 0.8% 상승 소재 +1.7%




유틸리티 +1.4%




정보기술 +1.2%



하락 에너지 -1.1%
지수 종가 고가 저가 등락폭 등락률
獨 DAX 15,692.71 15,700.95 15,604.58 181.33 1.2%
英 FTSE 100 7,151.02 7,153.68 7,100.88 50.14 0.7%
佛 CAC 40 6,527.72 6,550.95 6,497.75 20.24 0.3%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유럽증시는 비철금속 가격 상승과 국채금리 하락에 기술주로 자금이 유입되며 강세 마감. 시장은 전일 발표된 미국 서비스업 지표가 둔화되자 경기가 빠르게 회복될 것이란 기대감이 주춤한 모습. 이에 미 10년물 국채 금리는 금일 한때 1.30%를 밑돌기도 하였으며, 금리 하락에 기술주로 저가 매수세가 유입되며 증시 상승을 견인. 금일 상승 업종으로는 비철금속 가격 회복에 앵글로아메리칸(AAL LN/+3.1%), BHP그룹(BHP LN/+3.2%)이 강세를 시현하며 소재가 1.7% 올랐으며, 금리 하락 영향으로 유틸리티가 1.4% 상승 시현. 반면 전일에 이어 유가가 약세를 시현하며 에너지는 1.1% 하락. 한편, 금일 진행된 EU 집행위원회 하계 경제 전망에서 올해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4.8%로 상향하였으며, 실질 국내총생산은 올해 4분기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돌아갈 것으로 전망. 다만 이와 동시에 코로나바이러스 델타 변이 확산에 대한 경계감을 표명.

 

 

출처: < https://m.myasset.com/extern/researchPortal/RP_0001000_P1.cmd?menuid=RP_0105000_P1&searchKeyGubun=1&keyword=&page=1&base_date=20210708053400&gbn=B&res_seq=172108>

 

 

[7/8 미국 증시 리뷰 및 평가, 키움 전략/시황 한지영]

 

1. 미국 증시 리뷰

 

7일(수) 미국 3대 증시는 경기 모멘텀 둔화 우려, 2분기 실적 시즌 관망심리가 상존했음에도, 경기민감주들로의 기술적 매수세 유입 속 예상에 부합했던 6월 FOMC 의사록 결과를 소화해낸 영향에 힘입어 상승 마감(다우 +0.30%, S&P500 +0.34%, 나스닥 +0.01%).

 

업종별로는 소재(+1.0%), 산업재(+1.0%), 헬스케어(+0.6%) 등이 강세, 에너지(-1.7%), 커뮤니케이션(-0.1%), 경기소비재(-0.0%) 등이 약세.

 

6월 FOMC 의사록에 의하면, 대부분 위원들은 테이퍼링 요건이 다소 일찍 충족될 것으로 예상.

 

그러면서도 테이퍼링을 위한 경제 데이터의 실질적인 진전이 충족되지 않았다는 의견이 지배적. 다만, 일부 위원들은 실질적 진전이 지속될 것이라고 평가.

 

인플레이션과 관련해서는, 대부분 위원들이 코로나발 공급 부족과 병목현상에서 기인한 일시적인 현상이라고 진단.

 

그러나 일부 위원들은 인플레이션이 높은 수준을 이어갈 시 기대인플레이션의 부적절한 급등 출현에 대해 경계할 필요가 있다는 입장을 표명.

 

2. 미국 증시 평가

 

금번 의사록은 지난 6월 FOMC 회의 직후 공개된 성명서 및 파월 의장의 기자회견과 크게 변한 것도, 추가된 것도 없었던 것으로 볼 수 있음.

 

6월 FOMC 이후에 시장이 예상하고 있었던 수준의 매파적인 의사록이었기 때문에 시장 참여자들이 양호하게 소화해낼 수 있었던 것으로 판단.

 

그러나 테이퍼링에 대한 구체적인 시점과 규모에 대해 단서를 제공하지 않았다는 점은 향후 FOMC(8월말 잭슨홀 미팅 포함)를 앞두고 일시적인 시장 불확실성을 확대시킬 수 있음에 유의할 필요.

 

또한 연준 위원들 대부분은 현재의 고 인플레이션을 일시적 현상으로 평가하고 있지만, 직전 회의에 비해 인플레이션 경계감이 연준 내에서도 다소 높아졌음에도 주목할 필요.

 

미국도 본격적인 2분기 실적시즌에 진입하는 만큼 매크로 영향력보다는 실적 향력이 더 높아지는 장세가 전개될 것으로 전망.

 

그럼에도 차주 발표 예정인 6월 미국의 6월 소비자물가 결과를 둘러싼 불확실성 확대 가능성에도 대비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

 

[7/8 한국 증시 리뷰 및 전망, 키움 전략/시황 한지영]

 

1. 한국 증시 리뷰

 

7일(수) 코스피는 삼성전자의 2분기 어닝 서프라이즈(영업이익 12.5조원, 컨센서스 11조원), 미국 금리 하락에 따른 대형 성장주 강세에도, 미국 경기 둔화 불안, 6월 FOMC 의사록 경계심리 등 매크로 불확실성이 경기 민감주를 중심으로 약세 압력을 가하면서 하락 마감(코스피 -0.6%, 코스닥 +0.2%)

 

업종별로는 종이목재(+5.7%), 서비스(+0.5%), 의료정밀(+0.3%) 등이 강세, 보험(-1.5%), 금융(-1.3%), 섬유의복(-1.3%) 등이 약세.

 

수급별로는 개인이 1조 1,660억원 순매수, 외국인과 개인이 각각 3,408억원, 8,350억원 순매수를 기록.

 

2. 한국 증시 전망

 

한국 증시는 2분기 실적 시즌 기대감 속 6월 FOMC 의사록을 소화하면서 반등을 시도할 전망.

 

삼성전자의 어닝 서프라이즈, LG전자의 양호한 실적을 감안 시 2분기 실적 시즌에 대해 불안감보다는 기대감을 갖는 것이 유효하다고 판단.

 

아직까지 매크로 불확실성이 완전히 해소되지 않았다는 점은 삼성전자 등 초대형주들로의 외국인 수급 개선이 지연될 가능성 존재.

 

그러나 올해 상반기 공격적인 순매도를 통해 상당부분 포지션 축소가 진행된 만큼, 추가 매도 압력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

 

장중에는 전거래일 상대적으로 약세폭이 컸던 경기민감주들의 기술적 매수세 유입에 의한 주가 반등 여부를 주목할 필요.

 

옵션 만기일임을 감안 시 장중 외국인과 기관의 단기적인 현선물 수급 변동성 확대 가능성도 열어놓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

 

 

 

 

<메리츠 중국 최설화>

[국무원 상무회의 주요 내용 요약: 적절한 시기에 지준율 인하 등을 통해 종합적인 자금조달 비용의 점진적인 하락 유도]

 

금일 리커챵 총리가 주재한 상무회의 결과를 번역 및 요약해서 보내드립니다.

 

(통화정책)

- 원자재 가격 상승이 기업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환경. 과잉 유동성을 풀지 않는 전제에서 안정적인 통화기조를 유지할 것

- 적절한 시기에 지준율 인하 등 통화정책 도구를 이용해 실물경기, 특히 중소기업 지원을 강화하고 자본조달 비용의 점진적인 하락을 유도할 것

 

(의료보장)

- 농민공을 중심으로,  수억명 인민의 문진, 입원의 타지역간 결산 서비스 제공. 올해 안에 성급 지역간 최소 1개 병원의 시스템을 연결할 것

- 의료보험이 가능한 지정병원의 총 예산관리 시스템 개선 및 확대 추진

- 의료보험에 참여되는 상업보험기관과 보험 종류도 늘릴 것

 

(고용 안정)

- 다양한 신규 형태의 일자리 창출

- 기업은 노동보수를 100% 지급해야 할 것

- 외식, 배달 등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종사자의 노동 권익을 보호할 것

- 신규 형태의 직업 훈련 기관의 설립 격려, 필요시 보조금 지급

- 양로, 의료보험에 가입할 수 있는 호구제 제한을 폐지할 것

 

(탄소중립)

- 7월부터 발전 산업의 탄소배출권 거래를 가동하고, 시장화 방식으로 이산화탄소 배출을 감소할 것

 

원문 기사 링크(중): https://bit.ly/3hnTCS6

 

* 본 내용은 당사의 코멘트 없어 국내외 언론사 뉴스 및 전사공시자료 등을 인용한 것으로 별도의 승인없이 제공합니다. 한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에 유의 바랍니다.

 

 

 

 

 

 

 

 

[2021.07.07 (수) 필라델피아 반도체] 하나금융투자 반도체 애널리스트 김경민, CFA

 

전일 대비 -1.40%, 3,262선 마감

상승주 2, 하락주 28

 

다우 +0.30%, 나스닥 +0.01%, S&P 500 +0.34%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이틀 연속 하락. 반도체 업종에서 미중 갈등이 다시 확대되는 것을 암시하는 듯한 뉴스가 투자 심리에 부정적. TSMC가 중국 난징시에 증설을 추진 중인데, 이러한 프로젝트에 대해 미국 정부가 우려를 제기한다는 뉴스가 Digitimes에 보도. 한편 미국 아날로그 반도체 공급사 ADI와 Maxim의 M&A 시도에 대해 중국 규제 당국의 심사가 빨리 마무리되지 못하고 중국 내 일부 밸류 체인의 이의 제기 영향으로 연장될 것이라는 뉴스 보도. 이러한 뉴스 때문에 M&A 당사자인 ADI와 Maxim은 각각 -1.72%, -2.46% 하락. 양사처럼 M&A를 추진 중이며 역시 중국 규제 당국의 승인을 기다리고 있는 AMD와 Xilinx도 각각 -4.16%, -4.67% 하락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내의 상승주는 2개사. 공정소재 공급사 CMC Materials +2.55%, 공정장비 공급사 ASML ADR +0.63%.

 

메모리 반도체 및 스토리지 업종은 혼조. 마이크론이 가장 크게 하락. 개별 기업 관련 악재는 없었으나 어제 아시아 시장에서 삼성전자 잠정 실적 발표 이후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주가가 하락하며 마감한 것이 마이크론 주가에도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추정. 마이크론 -3.53%, WDC +0.26%, 실리콘 모션 -1.08%, Seagate +2.56%

 

한편 이틀 전에 크게 이슈가 되었던 미국 국방부의 방어 인프라 관련 JEDI 클라우드 프로젝트 취소 이후 새로운 프로젝트에 대해 연내 10월까지 클라우드 공급사들의 bidding 진행 예정. IBM, Google, Oracle도 동 프로젝트에 관심을 보임. 한편 클라우드 시장의 1위 공급사 Amazon은 CEO의 세대 교체 이후 내부에서 클라우드 사업을 담당하는 VP급 임원들이 SVP로 승진하면서 클라우드 사업에 재차 힘을 싣는 양상

 

감사합니다.

 

 

『하루를 여는 혁신투자자문 IPO News Letter💌 - 20210708』

 【 텔레그램 채널 주소 : https://t.me/KoreaIB

 【 IPO상장문의 및 이경준 대표 Contact ☞ 📧 ipo@kakao.com 】

 

===========================

 

 

📌Today's Topic》

[시그널] ‘1년 새 이익 4.4배’ 아주스틸 다음 달 IPO 청약···기업가치 3,359억 제시

http://naver.me/5GyYlKTM

☞ 이경준 혁신투자자문 대표는 "튼튼한 고객사를 둔 전통제조업 회사가 상장한다"며 "최근 가전제품의 새로운 트렌드인 ‘비스포크’ 기반의 실적, 적은 유통가능 물량 등으로 기관 투자자들의 관심도 높은 편"이라고 말했다.

 

 

===========================

 

★ 금일 IPO 일정 ★

 07/07~08 큐라클 수요예측⚖️

 07/08~09 에스디바이오센서 청약🖨

 

 

☆ 금주 남은 IPO 일정 ☆

 07/08~09 에스디바이오센서 청약🖨

 

 ------------------------------------------

 

 

▣ 기관IR 일정 ▣

 - 소규모 간담회로만 진행 中 -

 

▣ 상장 일정(예정, 변경가능) ▣

 07/13 오비고(NH투자증권)

 07/20 SD바이오센서(NH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07/22 큐라클(삼성증권)

 07/27 맥스트(하나금융투자)

 07/28 브레인즈컴퍼니(키움증권)

 07/29 에브리봇(NH투자증권)

 07/29 플래티어(KB증권)

 07/30 엠로(한국투자증권)

 미정 - 딥노이드(KB증권)

 08/05 카카오뱅크(KB증권)

 08/10 에이치케이이노엔(한국투자증권, 삼성증권)

 08/10 크래프톤(미래에셋증권)

 미정 - 원티드랩(한국투자증권)

 08/12 카카오페이(삼성증권)

 08/17 한컴라이프케어(미래에셋증권)

 08/19 아주스틸(미래에셋증권)

 08/20 바이젠셀(대신증권)

 

▣ 심사 승인 ▣

 - 실리콘투(삼성증권, 미래에셋증권)

 - 에이비온(미래에셋증권, 한화투자증권)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 국내 IPO 개별종목

■ 델타변이 기승…SD바이오센서 공모주식 120%로 확대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4398486629112224&mediaCodeNo=257&OutLnkChk=Y

 

■ 카카오뱅크·페이 IPO ‘집안싸움’… “사업 겹쳐 경쟁 불가피”

https://www.fnnews.com/news/202107071820427239

 

■ 한컴인텔리전스 RFP 발송…밸류 1200억 거론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7061221269960101230&lcode=00&page=5&svccode=00

 

■ 큐라클, 이달 코스닥 상장…"차세대 혈관 기업으로 도약"

https://newsis.com/view/?id=NISX20210707_0001504061&cID=10434&pID=13100

 

■ 영업익 8억 빅데이터 기업 모비젠, 코스닥 특례 상장 도전

http://it.chosun.com/site/data/html_dir/2021/07/07/2021070700974.html

 

■ ‘대어’ LX판토스는 IPO 시장에 등장할까

http://www.thescoop.co.kr/news/articleView.html?idxno=51220

 

■ AI 솔루션 옴니어스 IPO 추진

http://www.apparelnews.co.kr/news/news_view/?idx=191386

 

 

▶️▶️▷ IPOmarket(해외IPO포함)

■ “성장성 평가받자” IPO 앞둔 기업들, 키워드는 ‘플랫폼’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210707000771

 

■ 이름값한 상반기 IPO 대어, 하반기 대어들 기대감↑

http://www.viva100.com/main/view.php?key=20210707010001736

 

■ 올해 공모주 수익률 천차만별...5개 중 하나는 손실

https://news.g-enews.com/ko-kr/news/article/news_all/202107052207371741edf69f862c_1/article.html?md=20210706102041_R

 

■ ‘더 강한 놈들이 온다'…하반기 역대급 리츠 IPO 시장 선다[株포트라이트]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210707000785

 

■ [홍콩증시] IPO 제도 손질...공모가 책정 후 사흘 만에 상장 가능

https://www.ajunews.com/view/20210707144630963

 

■ 현실이 된 '공산당 리스크'…中기업 해외 상장 어려워진다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699846629112224&mediaCodeNo=257&OutLnkChk=Y

 

 

▶️▶️▷ 시장 이모저모

■ "폭락장 온다…수많은 돈 잃게될 것" 경고 쏟아낸 큰손들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1070743631

 

 

▶️▶️▷ 시세/시황

[표]IPO장외 주요 종목 시세(7월 7일)

https://www.sedaily.com/NewsView/22OTJV7CCI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728x90
728x90

 

증시캘린더는 개인적으로 관련된 소식을 확인후 작성한 일정이라 변동 또는 오류의 소지가 있습니다.

참고시 유의하시고 배포시엔 블러그 링크로 공유해 주셔요.


728x90

'주요 증시 일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7월 12일(월) 증시캘린더  (0) 2021.07.11
7월 9일(금) 증시스캐줄  (0) 2021.07.09
7월 7일(수) 증시캘린더  (0) 2021.07.07
7월 6일(화) 증시캘린더  (0) 2021.07.06
7월 5일(월) 증시캘린더  (0) 2021.07.05
728x90

 

주식투자 스터디를 위해 개인적으로 스크랩한 시황, 뉴스 자료를 공유합니다.

1) 노션 링크는 익스플로러에선 제대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크롬에 최적화 되어있으며, 엣지, 웨일에서도 잘 작동합니다.

 

2) 공유한 자료링크는 1~2일후 공유 해지 합니다.

 

게시물은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한 것이라

불확실하거나 오류가 많을 수 있으므로 투자 활용시 유의하시기 바라며, 개별적인 종목 추천이나 상담은 하지 않습니다.

 

모쪼록 제 공간에 오신 모든 분들이 주식스터디를 통해 인생 한 방보다, 꾸준함을 믿으며...

복리의 마법으로 모든 분들이 성공한 개인투자자가 되시길...

 


나스닥 사상 최고…아마존 4.7%↑ 유가 2%↓ [출근전 꼭 글로벌브리핑]

미 증시, 혼조세 마감…나스닥은 최고치

국제유가, 6년래 최고치 기록 후 차익매물 실현

미 국방부, '아마존·MS 분쟁' 제다이 클라우드 계약 취소

유럽·중국·베트남 증시 하락

출처: <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107070006&t=NN>

 

 

 

 

2021년 7월 7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월말 미 정부부채 한도 협상시한을 앞두고 공급감소가 예상되며 금리가 내렸습니다.  

 

(2) 미 정부가 OPEC+에 협상재개를 촉구하며 유가가 반락했습니다.

 

(3) 독일의 5월 공장주문, 6월 ISM 서비스업지수가 반락했습니다.

 

미 5년 breakeven rate 2.499%, -0.016%p (2% 상회시 유의, 2.5% 상회시 경고)

한국 고객예탁금, 67.8조원 +0.8조원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38%

1개월 NDF 환율 1,137.50원 (+7.75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미래에셋증권] 해외 금융시장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02-3774-1621)

 

◆ 미국 증시

- DOW: 34577.37p (-208.98p, -0.60%)

- S&P500: 4343.54p (-8.8p, -0.20%)

- NASDAQ: 14663.64p (+24.31p, +0.17%)

 

◆ 한국 관련

- MSCI 한국지수 ETF: 92.32p (-0.68p, -0.73%)

- MSCI 이머징지수 ETF: 53.82p (-0.96p, -1.75%)

  Eurex kospi 200: 437.50p(-1.65p. -0.38%)

- NDF 환율(1개월물): 1,137.49원 / 전일 대비 7원 상승 출발 예상

 

◆ 외환시장

- 달러인덱스: 92.545 (+0.333, +0.36%)

- 유로/달러: 1.1824 (-0.004, -0.34%)

- 달러/엔: 110.63 (-0.34, -0.31%)

- 파운드/달러: 1.3803 (-0.0041, -0.3%)

 

◆ 미국 국채시장

- 2년물: 0.2179% (-1.6bp)

- 5년물: 0.7965% (-6.1bp)

- 10년물: 1.3498% (-7.4bp)

- 30년물: 1.9811% (-5.9bp)

(국채선물)

- 2YR T-Notes: 110*07 1/4 (+0*01 , +0.04%)

- 5YR T-Notes: 123*24 3/4 (+0*08 3/4, +0.22%)

- 10YR T-Notes: 133*07   (+0*17 1/2, +0.41%)

- US T-Bonds: 162*03   (+1*6 , +0.74%)

- Ultra US T-Bonds: 195*05   (+1*27 , +0.95%)

 

◆ 상품시장 ($, 단 곡물, 구리는 센트)

- WTI: 73.37 (-1.79, -2.38%)

- 브렌트유: 74.53 (-2.63, -3.41%)

- 금: 1794.2 (+10.9, +0.61%)

- 은: 26.174 (-0.327, -1.23%)

- 아연(LME, 3M): 2934.5 (-11, -0.37%)

- 구리: 425.1 (-2.5, -0.58%)

- 옥수수: 539.75 (-40, -6.9%)

- 밀: 626 (-26.75, -4.1%)

- 대두: 1305 (-94, -6.72%)

- BDI: 3224 (-61, -1.86%)

 

*동 자료는 2021년 7월 7일 미래에셋증권 홈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를 요약한 것입니다.

 

글로벌 주식시장 변화와 전망(7월 7일)

미래에셋증권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02-3774-1621)

 

안전 자산 강세 불구 나스닥 상승 전환 성공

 

미 증시는 상승 출발 했으나 ISM 서비스업지수가 예상을 크게 하회하자 경기 확장이 약화 될 것이라는 우려가 높아지며 하락 전환 후 낙폭 확대. 더불어 델타 변이 바이러스 확산과 그에 따른 경기 우려 또한 지수 하락 요인으로 작용. 금융주와 에너지, 산업재가 개별적인 요인에 의해 약세를 보인 점이 특징. 다만 오후 들어 아마존(+4.69%)에 대한 긍정적인 소식과 국방부의 제다이 프로젝트 관련 언급 이후 클라우드 관련주가 강세를 보이자 나스닥은 상승 전환 성공(다우 -0.60%, 나스닥 +0.17%, S&P500 -0.20%, 러셀2000 -1.36%)

 

변화요인: 금융, 에너지 업종 하락 요인, 아마존 상승 요인

 

http://securities.miraeasset.com/bbs/maildownload/2021070706054831_3431

 

 

(2021.07.07) U.S. & EU Market Closing

2021.07.07  허단

U.S. Market Closing – 05:00 기준

지수 종가 등락폭 등락률 상승/하락/보합
DOW 34,577.37 -208.98 -0.6% 8/22/0
S&P500 4,343.54 -8.80 -0.2% 154/351/0
NASDAQ 14,663.64 24.31 0.2% 908/2302/145
RUSS 2K 2,274.50 -31.26 -1.4% 447/1522/13
PHLX 반도체지수 3,307.92 -7.91 -0.2% 8/22/0
VIX지수 16.44 1.37 9.1%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미국 증시는 국채 금리 하락과 달러 강세에 혼조세 마감. 금일 발표된 6월 ISM 서비스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60.1로 집계돼 전달 역대 최고치(64.0) 에서 소폭 둔화된 모습을 보였으며, 시장 예상치를 하회. 해당 지표 발표 이후 10년물 국채 금리는 장중 한때 7.4bp 내린 1.35%를 밑돌며 올해 2월 이후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한 점과 FOMC 의사록을 주시하며 달러가 강세를 시현한 점이 증시 혼조세에 기여. 금일 빅테크 기업의 주가는 희비가 갈린 가운데 아마존(AMZN)이 미 국방부와 마이크로소프트(MSFT)가 맺은 제다이(JEDI) 클라우드 컴퓨팅 프로젝트에 대한 이의 제기에서 승리하며 금일 4.7% 상승해 나스닥의 상승을 견인. 반면 마이크로소프트(MSFT)는 보합세로 장 마감. 한편, 중국 당국은 미국 증시에 상장한 중국 기업들이 자국에서 수집한 정보의 유출 가능성을 지적하며 규제 움직임을 보이자 만방(YMM/-6.7%), 디디추싱(DIDI/-19.6%)과 같은 기업의 주가가 큰 폭 하락.

 

U.S. ETF Closing – 05:00 기준

Sector

분류 티커 현재가 등락률 t신호 수익률






1개월 3개월 1년
부동산 VNQ 103.3 0.7% 햇빛 -0.7% 9.8% 37.1%
유틸리티 XLU 64.3 0.4% 안개 -1.1% -1.3% 15.0%
IT XLK 150.4 0.4% 햇빛 7.6% 5.8% 40.4%
자유소비재 XLY 181.4 0.1% 햇빛 5.9% 1.5% 37.0%
헬스케어 XLV 128.2 -0.1% 햇빛 4.3% 8.5% 29.2%
커뮤니케이션 XLC 81.9 -0.2% 햇빛 3.5% 7.0% 43.0%
필수소비재 XLP 69.6 -0.4% 안개 -0.5% 1.7% 18.6%
산업재 XLI 102.3 -1.0% 안개 -1.1% 2.2% 52.6%
소재 XLB 81.7 -1.5% 안개 -5.0% 2.3% 43.4%
금융 XLF 36.4 -1.6% 안개 -3.3% 4.4% 58.0%
에너지 XLE 52.9 -3.3% 햇빛 -3.9% 11.7% 56.5%

자료: 티레이더,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금일 섹터별 ETF는 부동산(VNQ/+0.7%), IT(XLK/+0.4%), 유틸리티(XLU/+0.4%)가 상승하였으며, 달러 강세와 금리 하락에 소재(XLB/-1.5%), 금융(XLF/-1.6%), 에너지(XLE/-3.3%)가 하락 마감. 금일 JP모건은 신제품 출시를 앞둔 애플(AAPL)의 목표가를 $170로 상향 조정하자 애플의 주가가 1.5% 상승하며 IT(XLK) 섹터의 상승을 주도. 반면 국채 금리 하락에 골드만삭스(GS/-1.2%), 모건스탠리(MS/-2.0%)와 같은 금융주가 부진하였으며,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OPEC+ 합의가 불발되며 장중 한때 6년래 최고치인 배럴당 $76선을 기록했으나, 최고치 경신 이후 차익실현 매물이 출회되며 배럴당 $73선으로 내려앉아 에너지(XLE) 섹터는 3.3% 하락 마감.

 

Thematic

분류 티커 현재가 등락률 t신호 수익률






1개월 3개월 1년
4차 산업혁명 CLOU 29.2 1.5% 햇빛 10.1% 6.4% 27.4%
리튬/배터리테크 LIT 72.8 1.0% 햇빛 7.1% 21.7% 100.5%
반도체 SOXX 449.7 -0.2% 햇빛 4.9% 2.0% 61.4%
기초소재 IYM 129.3 -1.7% 안개 -5.8% 2.2% 43.0%
레져/엔터테인먼트 PEJ 51.4 -1.8% 햇빛 -3.9% 11.6% 74.4%

자료: 티레이더,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금일 테마 ETF에서 4차 산업혁명(CLOU/+1.5%)와 리튬/배터리테크(LIT/+1.0%)가 상승하였으며, 기초소재(IYM/-1.7%), 레져/엔터테인먼트(PEJ/-1.8%)는 하락 마감. 4차 산업혁명(CLOU) 테마에서 아마존(AMZN)과 쇼피파이(SHOP)가 각 4.7%, 5.0% 상승하여 해당 ETF의 상승을 견인하였으며, 달러 강세에 따른 비철금속 가격 하락으로 프리포트-맥모란(FCX/-3.1%), 알코아(AA/-3.8%)의 주가가 하락하며 기초소재 ETF는 약세 시현.

 

EU Market Closing – 01:00 기준

지수 종가 등락률 구분 업종 등락률
STOXX 600 455.98 -0.5% 상승 부동산 +0.8%




건강관리 +0.7%




정보기술 +0.5%



하락 소재 -1.5%




금융 -1.7%




에너지 -2.4%
지수 종가 고가 저가 등락폭 등락률
獨 DAX 15,511.38 15,647.88 15,466.66 -150.59 -1.0%
英 FTSE 100 7,100.88 7,170.60 7,075.73 -64.03 -0.9%
佛 CAC 40 6,507.48 6,561.51 6,483.20 -60.06 -0.9%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유럽증시는 원자재 가격 하락과 예상치를 하회한 경제지표에 하락 마감. 금일 발표된 독일 5월 제조업 수주는 유로존 이외 국가의 수요가 줄어든 영향으로 전월대비 3.7% 감소해 시장의 투자 심리가 위축되었으며, FOMC 의사록 발표를 앞두고 달러 강세에 따른 원자재와 유가 하락이 증시 하방 압력을 높인 모습. 상승 업종으로는 부동산, 헬스케어가 각 0.8%, 0.7% 오른 반면 증시 상승을 주도해온 경기순환주는 약세를 시현하며 장 마감. 특히 비철금속과 국채금리 하락에 소재는 1.5%, 금융은 1.7% 하락하였으며 자동차와 부품은 공급망 병목 현상에 대한 우려가 지속되며 2.9% 하락하여 증시 하락 견인. 개별 기업으로는 프랑스 운송 설비 제조업체 알스톰(ALO FP)이 당해 잉여현금흐름이 악화될 것으로 예상하자 8.4% 하락해 STOXX600 내 가장 큰 하락 폭 기록.

 

 

 

 

출처: < https://m.myasset.com/extern/researchPortal/RP_0001000_P1.cmd?menuid=RP_0105000_P1&searchKeyGubun=1&keyword=&page=1&base_date=20210707053726&gbn=B&res_seq=172066>

 

 

[7/7 미국 증시 리뷰 및 평가, 키움/전략 시황 한지영]

 

1. 미국 증시 리뷰

 

6일(화) 미국 3대 증시는 사상최고치 경신 부담 속 6월 ISM 서비스업 PMI 부진 등이 경기 민감주를 중심으로 장중 하방 압력을 확대시킴.

 

6월 FOMC 의사록 경계심리도 지수 움직임을 제한했으나, 금리 하락, 미 국방부의 클라우드 사업 취소 등에 힘입어 기술주를 중심으로 장 중반 이후 반등에 나서면서 혼조세 마감(다우 -0.6%, S&P500 -0.2%, 나스닥 +0.2%).

 

업종별로는 부동산(+0.9%), 경기소비재(+0.8%), 유틸리티(+0.4%) 등이 강세, 에너지(-3.20%), 금융(-1.6%), 소재(-1.4%) 등이 강세.

 

6월 ISM 서비스업 PMI는 60.1로 전월(64.0) 및 예상치(63.3)를 모두 하회. 신규주문(63.9→62.1), 기업활동(66.2→60.4), 가격(80.6→79.5) 등 대부분 하위 항목들이 모두 둔화된 모습.                                                               

 

미 국방부는 산업 발전, 약 100억달러 규모의 합동방어인프라사업(JEDI) 클라우드 프로젝트를 취소. 2019년 트럼프 행정부 당시 마이크로소프트(+0.0%)가 수주했던 해당 프로젝트가 취소됨에 따라, 유력 후보로 급부상한 아마존(+4.7%) 주가가 급등. 이 영향으로 클라우드 등 여타 기술주들의 투자심리가 개선되며 나스닥 강세를 견인.

 

2. 미국 증시 평가

 

6월 FOMC 이후 한동안 시장참여자들의 인플레이션 민감도가 낮아졌다는 점이 미국 증시 강세의 배경이었음.

 

그러나 서비스업 PMI 부진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공급 부족, 비용 상승 등이 인플레이션 부담이 미국 서비스업체들의 심리를 둔화시키고 있는 모습.

 

10년물 금리가 약 20일만에 1.3%대로 하락한 것도 (델타 변이 확산 영향도 있으나), 서비스 PMI 부진에 따른 미국 경기 고점 및 성장률 둔화 우려가 반영됐던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음.

 

2차 보복소비 여력, 인프라 투자 기대감 등을 감안 시 경기 모멘텀이 이른 시일 내에 피크아웃할 것으로는 보이지 않지만, 단기적으로는 경계할 필요.

 

연준도 8월말 잭슨홀 미팅 전까지 6~7월 인플레이션 추이를 확인할 것임을 감안 시, 추후 인플레이션 민감 장세가 재차 출현할 가능성을 대비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

 

[7/7 한국 증시 리뷰 및 전망, 키움 전략/시황 한지영]

 

1. 한국 증시 리뷰

 

6일(화) 코스피는 개별 악재성 재료에서 기인한 바이오주 주가 조정, 중소형주 차익실현 물량 출회에도,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순매수 속 2분기 실적 시즌 기대감에 따른 삼성전자(+1.0%) 등 반도체 포함 IT 업종 주가 강세에 힘입어 상승 마감(코스피 +0.4%, 코스닥 -0.2%)

 

업종별로는 기계(+1.9%), 전기전자(+1.2%), 비금속광물(+0.9%) 등이 강세, 의약품(-3.0%), 운수창고(-0.4%), 철강금속(-0.4%) 등이 약세.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692억원, 2,237억원 순매수, 개인이 2,920억원 순매도를 기록

 

2. 한국 증시 전망

 

한국 증시는 단기적인 레벨 부담 속 미국발 경기모멘텀 둔화, 6월 FOMC 의사록 경계심리 등 대외 부담요인으로 금일 하락 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상.

 

역외 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이 약 7원 가까이 급등했음을 감안 시 외국인 수급도 우호적이지 않을 것으로 판단.

 

물론 장 개시전 발표예정인 삼성전자의 2분기 실적(영업이익 컨센서스 10.9~11.0조원)에 따라 장중 지수 방향성이 달라질 수 있음.

 

2분기에 대부분 기업들의 실적이 좋을 것이다라는 전망은 현재 주가에 상당부분 반영이 된 것은 사실.

 

그러나 4~6월 한국의 반도체 수출 호조세를 감안 시, 통상적인 서프라이즈 이상으로 삼성전자의 2분기 실적이 발표될 가능성을 열어둘 필요.

 

이 경우 전반적인 2분기 실적시즌에 대한 기대감이 재차 확대됨에 따라, 금일 대외 악재성 재료들을 상쇄시켜줄 수 있다고 판단.

 

https://www.kiwoom.com/h/invest/research/VMarketSDDetailView?sqno=4744

 

 

 

[한투증권 전기전자/핸드셋 조철희]

7월7일 IT 주요뉴스

 

● 삼성SDI도 韓美배터리 동맹 합류… 3조원대 美공장 건설 추진

-삼성SDI 미국 배터리 공장 건설이 초읽기에 들어감. 미국 3위 완성차 업체 스텔란티스와 미국 내 합작사 설립을 위해 양자 협의 중

-3조 원대에 이를 합작 공장의 세부 위치는 확정되지 않음. 합작사 설립에 최종 합의하면 미국에 약 30GWh 규모의 공장 설립에 나설 것

Link: https://bit.ly/2V5BV0S

 

● Hinge makers see orders for foldable smartphones ramp up(Digitimes prime)

-Hinge makers expect their shipments for foldable smartphones to ramp up and start making a positive contribution to revenue in the second half of 2021, according to industry sources.

 

● 中 폴더블 폰 몰려온다…비보·오포·샤오미 출시 대기

-비보, 오포, 샤오미 등 중국 기업이 올 하반기 폴더블 스마트폰 출시를 앞두고 있음. 롤러블 스마트폰 출시 역시 가시화

-오포는 3분기 인폴딩형 폴더블 출시 예상, 샤오미는 4분기에 폴더블 차기작 발표. 비보는 지금까지 나온 인폴딩 타입 중 카장 큰 디스플레이를 갖춘 폴더블을 내년 출시 전망

Link: https://bit.ly/3dP4N48

 

● “이것도 너무 비싸?” 삼성 야심작 ‘갤플립3’ 140만원?

-트론은 갤럭시Z플립 신모델 가격은 1249달러로 전작대비 200달러 인하할 것이라고 전함

-샘모바일은 Z폴드3가 400달러 가량 저렴해 질 것이라고 앞서 보도

Link: https://bit.ly/3dPogBC

 

● Memory module makers to embrace strong 3Q21(Digitimes prime)

-Memory module makers are poised to embrace brisk results in the third quarter of 2021, when the supply of memory chips remains tight, according to industry sources.

 

● 삼성 가성비폰 ‘갤럭시S21 FE’ 생산 시작…9~10월 출격 전망

-삼성전자 무선사업부는 이달부터 갤럭시S21 FE 생산을 시작한 상황. 초도물량 계획은 110만대, 올해 말까지 출하 목표는 600만대 정도

-상반기 중국 스마트폰 업체(오포·비보·샤오미)의 반도체 사재기로 인한 공급난이 어느 정도 해소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

Link: https://bit.ly/36gLJYf

 

● Foxconn posts flat revenue growth in 2Q21(Digitimes)

-Foxconn의 2분기 매출은 487억달러(+0.7% QoQ). 애플 신모델은 3분기에 출시될 준비 되어있음

-Foxconn이 6.7인치 모델, 6.1인치 모델 중 하나를 Foxconn과 Pegatron이, 다른 6.1인치는 Foxconn과 Luxhare가, 5.4인치 모델은 Pegatron이 조립할 것

Link: https://bit.ly/3dPMYSu

 

 

[메리츠증권 전기전자/2차전지 주민우]

 

★ 2차전지 주요 뉴스 (2021.7.7)

 

삼성SDI, 미국 3위 완성차 업체 스텔란티스와 지난달 중순 스텔란티스 본사가 있는 오번힐스에서 회담을 갖는 등 미국 내 합작사 설립을 위해 세부 내용 조율 중. LG에너지솔루션과 SK이노베이션도 스텔란티스 수주전에 뛰어들었지만 다양한 조건을 고려해 빠지고 삼성SDI와만 협상 중인 상황. 양사의 합작 공장은 3조원대 규모로 연간 30GWh를 생산할 계획 (동아일보)

https://bit.ly/3AylKcS 

 

일본 Sumitomo Metal (Panasonic 메인벤더), 2차전지용 양극재 생산 능력을 높이기 위해 470억엔 (약 4억 4,200만 달러) 투자 발표. 470억엔 중 400억엔은 일본 에히메현 양극재 공장 신축에 사용되고 나머지 금액은 일본 하리마 고잔 전구체 생산 능력 확대에 사용될 계획.  Sumitomo Metal은 현재 약 월 5,000톤에 양극재 생산량을 2025년 7,000톤, 2027년 1만톤까지 늘릴 계획 (Reuters)

https://reut.rs/3hMDEjE

 

Stellantis, Ellesmere Port 영국 공장을 BEV 전용 공장으로 전환시키는 계획 발표. 해당 공장을 바꾸기 위해 1억 파운드(약 1억 3,800만 달러)를 투자할 계획. 2022년부터 해당 공장은 영국 및 유럽에서 판매되는 Vauxhall, Opel, Peugeot 및 Citroen 용 소형 전기 밴을 생산할 예정 (InsideEVs)

https://bit.ly/2SWT1xu

 

Envison AESC, Nissan과의 계약에 이어 Jaguar Land Rover와 배터리 공급 계약 논의 중. Nissan과의 영국 배터리 합작 공장의 생산 능력은 9GWh이지만 Nissan 새 모델의 생산 능력은 연간 최대 100,000대로 60Kwh 배터리를 가정하면 배터리 요구 사항은 6GWh. 이로 인해 AESC는 LEVC와도 계약을 논의 중이며 두 회사는 이미 중국 제작 차량에 대해 공급 계약 체결 (영국 생산은 LG와 계약 체결) (InsideEVs)

https://bit.ly/3jV55uh

 

SK이노베이션, 배터리 분할 신호탄. SK는 지난 달 25일 ‘SK on’이라는 명칭으로 총 14건의 상표권을 출원. 상품 분류는 연료전지 소매업, 이차전지 소매업, 자동차용 배터리 등으로 구성. 배터리 사업 분할을 앞둔 SK이노베이션이 사명 검토에 들어간 것으로 풀이 (신아일보)

https://bit.ly/2TyWmTN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2021.07.06 (화) 필라델피아 반도체] 하나금융투자 반도체 애널리스트 김경민, CFA

 

전일 대비 -0.24%, 3,308선 마감

상승주 8, 하락주 22

 

다우 -0.60%, 나스닥 +0.17%, S&P 500 -0.20%

 

뉴욕 증시의 혼조 마감 영향으로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도 차익 실현 분위기 형성

 

전 세계 반도체 기업의 5월 매출은 $43.6B로 전년 동기 대비 +26%, 전월 대비 +4% 기록. 발표 기관 Semiconductor Industry Association에 따르면 5월 반도체 수요는 견조해 Y/Y, M/M 기준으로 매출 증가. 늘어난 수요에 대해 대응하기 위해 제품 출하가 활발하게 이루어짐. 특히 전월 대비 매출 증가율은 주요 지역에서 모두 플러스 기록. 북미/남미 +6%, 중국 +5%, 일본 +3%, 아시아 +3%, 유럽 +1%

 

이처럼 5월 전 세계 반도체 기업의 매출이 긍정적이지만,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의 반등에 크게 영향을 끼치지 못한 이유는 동 데이터가 발표된 전후 '6월' 대만 반도체 업종의 매출 발표가 시작됐는데, 전월 대비 flat에 가까운 기업들이 있기 때문. 대만 반도체 기업 중에서 6월 매출이 5월 대비 flat에 가까운 기업은 UMC +0.9% M/M, 난야테크, +0.5% M/M

 

실적의 Peak out 논란이 가시지 않는 가운데 주요 상승주는 실적보다 장기 성장성이 부각되는 화합물 반도체 수혜주, CREE +1.57%, Two Six +1.22%. 중국에서 화합물 반도체를 의미하는 '3세대 반도체'를 정책적으로 육성한다는 뉴스 보도 이후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내에서도 화합물 반도체 수혜주에 관심 집중

 

그 외의 상승주는 5G 통신장비 수혜주 브로드컴 +1.09%, 마벨 +0.14%

 

프로세서/파운드리 관련주 중에 엔비디아는 주도주 역할 지속. 전일 대비 +1.03%, TSMC ADR은 +0.96% 마감

 

메모리 반도체 및 스토리지 업종에서 마이크론만 상승. 마이크론은 지난주 실적 발표 시 P, Q, C 중에서 원가(Cost) 상승 및 업황 peak out 우려로 하락했다가 저가 매수세 유입. 마이크론 +0.93%, WDC -1.51%, 실리콘 모션 -0.39%, Seagate -1.61%

 

그 밖의 반도체 업종 및 전방 산업 관련 뉴스는 다음과 같음

 

아마존, 전일 대비 +4.69%. 2대 CEO Andy Jassy 부임. 원래 2003년부터 아마존 클라우드 서비스의 헤드 역할. 아마존 클라우드 사업부의 2020년 매출은 $26.2B, 시장 점유율 41%로 2위 경쟁사 마이크로소프트 클라우드의 2배를 상회하는 수준. 신임 CEO는 부임 첫날 서신을 통해 아마존 클라우드의 고객사가 Zoom, Netflix, Epic Games 등이라고 밝힘

 

마이크로소프트, 전일 대비 +0.004%. 미국 국방부는 $10bn 규모의 Joint Enterprise Defense Infrastructure 클라우드 프로젝트 취소. 동 프로젝트를 수주했던 마이크로소프트와 아마존 클라우드 사업부 사이에 논쟁이 있었음. 동 프로젝트를 취소한다고 해서 클라우드 투자를 안 하겠다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멀티 벤더 형태로 재추진. 아마존과 마이크로소프트 양사에 동시에 기회를 줄 것으로 전망

 

닌텐도, 전일 대비 +2.47%. 올해 10월 8일부터 신규 Switch 게임기 판매 추진. 대당 350달러. 2017년 $299짜리 제품 이후 첫 번째 하드웨어 업그레이드, 7인치 OLED 디스플레이 및 64GB 저장 공간 제공. 일부 뉴스에 따르면 Game console 시장에서 부품 공급 부족으로 이번 업그레이드 버전이 2017년 모델과 큰 차이가 없다고 함

 

AMD, 전일 대비 -0.24%. Xilinx 인수 건에 대해 영국 규제 당국으로부터는 승인을 받았고, 이제 중국 규제 당국이 반독점 규제 관련 승인 여부 검토 중. AMD의 Xilinx 인수 프로젝트는 현재까지 순항하는 분위기였으나, 최근 중국의 디디추싱이 중국 내 앱스토어에서 잠정 퇴출당한 이후 중국 규제 당국의 스탠스에 대해 불확실성 증가

 

퀄컴, 전일 대비 -0.97%. 5월 중순 이후 주가가 124달러에서 141달러까지 상승한 이후 단기 차익 실현. 실제로는 호재가 이어짐. Mobile World Congress 2021에서 10Gbps 데이터 전송 데모 선보임. 퀄컴의 스냅드래곤 X65 5G 모뎀-RF 제품과 QTM545 mmWave 안테나 모듈 적용. 퀄컴은 5G 기술 도입을 대비해 RF 프론트엔드에서 안테나까지 아우르는 솔루션 공급 추진

 

감사합니다.

 

 

『하루를 여는 혁신투자자문 IPO News Letter💌 - 20210707』

 【 텔레그램 채널 주소 : https://t.me/KoreaIB

 【 IPO상장문의 및 이경준 대표 Contact ☞ 📧 ipo@kakao.com 】

 

===========================

 

 

📌Today's Topic》

[시그널] 'IPO 수요예측 흥행' SD바이오센서 공모가 5.2만 원 유력

https://www.sedaily.com/NewsView/22OT444LG7

☞ 이경준 혁신투자자문 대표는 “낮아진 공모가와 변이바이러스의 국내 확산으로 기관 투자가 사이에서 SD바이오센서 재평가 바람이 불고 있다“며 ”공모 일정 연기가 독이 아닌 약이 된 긍정적 사례로 평가될 것“이라 말했다.

 

 

===========================

 

★ 금일 IPO 일정 ★

 07/07~08 큐라클 수요예측⚖️

 

☆ 금주 남은 IPO 일정 ☆

 07/07~08 큐라클 수요예측⚖️

 07/08~09 에스디바이오센서 청약🖨

 

 ------------------------------------------

 

▣ 기관IR 일정 ▣

 - 소규모 간담회로만 진행 中 -

 

▣ 상장 일정(예정, 변경가능) ▣

 07/13 오비고(NH투자증권)

 07/20 SD바이오센서(NH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07/22 큐라클(삼성증권)

 07/27 맥스트(하나금융투자)

 07/28 브레인즈컴퍼니(키움증권)

 07/29 에브리봇(NH투자증권)

 07/29 플래티어(KB증권)

 07/30 엠로(한국투자증권)

 미정 - 딥노이드(KB증권)

 08/05 카카오뱅크(KB증권)

 08/10 에이치케이이노엔(한국투자증권, 삼성증권)

 08/10 크래프톤(미래에셋증권)

 미정 - 원티드랩(한국투자증권)

 08/12 카카오페이(삼성증권)

 08/17 한컴라이프케어(미래에셋증권)

 08/20 바이젠셀(대신증권)

 

 

▣ 심사 승인 ▣

 - 실리콘투(삼성증권, 미래에셋증권)

 - 아주스틸(미래에셋증권)

 - 에이비온(미래에셋증권, 한화투자증권)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 국내 IPO 개별종목

■ 카카오페이, 고심 끝 내놓은 기업가치 방정식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7051505589960109548&lcode=00&page=1&svccode=00

 

■ '배당금 부담' 11번가, IPO도 가물가물

https://paxnetnews.com/articles/75884

 

■ SK팜테코 올해 상장 추진할까...지속적인 성장세 기대

http://www.ezy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111825

 

■ 지엔티파마, 창사 23년만에 기업공개 추진…"연말 상장 목표"

https://biz.sbs.co.kr/article/20000021938?division=NAVER

 

■ [시그널] LG전자·HDC가 찜한 IoT 보안 솔루션 노르마, 코스닥 상장 추진

https://www.sedaily.com/NewsView/22OT3A4P40

 

 ■ 베어링PEA, 로젠택배 대명화학에 매각 추진…IPO는 중단될 듯

http://www.investchosun.com/2021/07/06/3263777

 

■ 부광약품 자회사 콘테라파마, IPO 본격화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7051349198520108494&lcode=00&page=6&svccode=00

 

■ [KTB네트워크 상장 도전기]VC 중 9번째 IPO…다사다난 홀로서기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6281333427320103286&lcode=00&page=6&svccode=00

 

■ 파트너원인베, IPO 임박 한컴라이프케어 블록딜 타진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7051359386120107453&lcode=00&page=1&svccode=00

 

 

▶️▶️▷ IPOmarket(해외IPO포함)

■ 금감원 증권신고서 정정 요구, 형평성 논란 불가피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7021725124160107668&lcode=00&page=2&svccode=00

 

 ■ 잇단 공모가 거품 논란…이유는?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296406629111896&mediaCodeNo=257&OutLnkChk=Y

 

 ■ 兆 단위 ‘바이오 대어’ 온다…하반기 IPO 후끈

https://www.econovill.com/news/articleView.html?idxno=539586

 

 

▶️▶️▷ 시장 이모저모

■ [속보] 백악관 OPEC 긴급 중재 국제유가 와르르 급락, 뉴욕증시 환호 나스닥기술주↑국채금리↓ https://cmobile.g-enews.com/view.php?ud=2021070705563888694a01bf698f_1&md=20210707060334_R#

 

■ [단독]전인천 티몬 신임 대표, 취임 한달만에 사임

http://www.newsway.co.kr/news/view?tp=1&ud=2021070608582321628

 

■ [관점뉴스] 경쟁사 크래프톤은 'IPO 최대어' 됐는데 스마일게이트는 '감감무소식'…왜?

https://www.news2day.co.kr/article/20210706500002

 

 ■ KTB투자증권, 유진저축은행 지분 51%를 2003억 주고 인수

https://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239548

 

■ [단독] SK이노, 배터리 분할 신호탄…사명 'SK ON' 우선순위

http://www.shina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32603

 

 

▶️▶️▷ 시세/시황

[표]IPO장외 주요 종목 시세(7월 6일)

https://www.sedaily.com/NewsView/22OT2YLSNF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728x90
728x90

 

증시캘린더는 개인적으로 관련된 소식을 확인후 작성한 일정이라 변동 또는 오류의 소지가 있습니다.

참고시 유의하시고 배포시엔 블러그 링크로 공유해 주셔요.


728x90

'주요 증시 일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7월 9일(금) 증시스캐줄  (0) 2021.07.09
7월 8일(목) 증시캘린더  (0) 2021.07.08
7월 6일(화) 증시캘린더  (0) 2021.07.06
7월 5일(월) 증시캘린더  (0) 2021.07.05
7월 2일(금) 증시캘린더  (0) 2021.07.02
728x90

 

주식투자 스터디를 위해 개인적으로 스크랩한 시황, 뉴스 자료를 공유합니다.

1) 노션 링크는 익스플로러에선 제대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크롬에 최적화 되어있으며, 엣지, 웨일에서도 잘 작동합니다.

 

2) 공유한 자료링크는 1~2일후 공유 해지 합니다.

 

게시물은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한 것이라

불확실하거나 오류가 많을 수 있으므로 투자 활용시 유의하시기 바라며, 개별적인 종목 추천이나 상담은 하지 않습니다.

 

모쪼록 제 공간에 오신 모든 분들이 주식스터디를 통해 인생 한 방보다, 꾸준함을 믿으며...

복리의 마법으로 모든 분들이 성공한 개인투자자가 되시길...

 


 

 

2021년 7월 6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미국 금융시장이 독립기념일로 휴장했습니다.

 

(2) OPEC+가 회의를 세차례나 취소하면서 WTI가 76달러까지 올랐습니다.

 

(3) 중국 정부가 미국에 상장한 중국 플랫폼 기업에 대한 조사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미 5년 breakeven rate 2.515%, 0.000%p (2% 상회시 유의, 2.5% 상회시 경고)

한국 고객예탁금, 66.9조원 -2.2조원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11%

1개월 NDF 환율 1,130.34원 (-1.46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뉴욕증시 휴장…공급차질 우려 유가 급등 [출근전 꼭 글로벌브리핑]

월가 "인플레·밸류에이션 부담…미 증시 하락 가능성"

OPEC+ 합의 도출 실패…UAE 반대

원유 증산 합의시도 무산…브렌트유 77달러 돌파

유럽·중국 상승, 베트남 하락

출처: <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107060002&t=NN>

 

 

[7/6 유럽 증시 및 주요 이슈, 키움 전략/시황 한지영]

 

@글로벌 주요 이슈 사항@

 

5일(월) 미국 증시는 독립기념일로 휴장. 유럽 증시는 델타 변이 확산에도, 6월 서비스업 PMI 호조, 영국 정부의 봉쇄조치 해제, 유가 강세 영향에 힘입어 상승 마감(유로스톡스50 +0.1%, 독일 DAX +0.1%, 영국 FTSE +0.6%).

 

중국의 6월 차이신 서비스업 PMI는 50.3으로 전월(55.1) 및 예상치(54.9)를 큰 폭 하회하며, 2020년 4월 이후로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 최대 생산지역인 남부 지역을 중심으로 델타 변이 확산세가 출현한 가운데, 인플레이션 급등 부담 등이 서비스업황 둔화를 초래한 모습.

 

반면 유로존의 6월 Marit 서비스업 PMI 확정치는 58.3으로 전월(55.2) 및 이전 예비치(58.0)를 상회하며, 2007년 7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 인플레이션 압력 확대에도 경제 정상화에 따른 수요 급증이 유로존 경기 모멘텀을 확대시키고 있는 양상.

 

이스라엘 보건당국에서는 5월 2일~6월 5일까지 조사한 화이자 백신의 코로나 예방률이 94.3% 였으나, 6월 6일~7월 2일까지 확인된 효능은 64%로 크게 하락했다고 발표. 최근 이스라엘 내 신규 확진자의 약 90%가 델타 변이에 의한 것이었으며, 신규 확진자의 약 50%는 돌파 감염으로 알려진 상황

 

영국 정부는 델타 변이 확산에 따른 신규 확진자 급증(7월 5일 기준, 일간 2.7만명)에도, 7월 19일부로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화, 거리두기 등 봉쇄조치를 전면 해제할 것이라고 발표. 존슨 총리는 코로나와 동반 삶을 사는 것을 배울 때가 됐으며, 날씨 및 학교 방학 일정을 고려 시 봉쇄조치를 풀기에 적절한 시점임을 시사.

 

5일 예정됐던 OPEC+ 장관급 산유국 회의는 일간 40만배럴 증산 및 기존 감산계획 2022년말 연장 등이 담긴 제안안 UAE가 반대를 하면서 취소. UAE 측은 감산 시한을 연장하려면 생산도 재검토 해야한다는 입장. 취소된 회의의 추후 일정은 확정되지 않았으며, 이 영향으로 국제 유가(WTI선물 +1.5%)는 강세흐름을 보임.

 

 

[7/6 한국 증시 리뷰 및 전망, 키움 전략/시황 한지영]

 

1. 한국 증시 리뷰

 

5일(월) 코스피는 지난 금요일 미국 고용 서프라이즈 이후 미국 경기 둔화 우려 완화, 연준의 조기 긴축 불안감 소강 등 우호적인 매크로 환경 속 2분기 실적 시즌 기대감 등이 델타 변이 확산 우려를 상쇄시킴에 따라 견조한 주가흐름을 보이면서 상승 마감(코스피 +0.4%, 코스닥 +0.9%).

 

업종별로는 운수창고(+3.2%), 의약품(+2.3%), 전기가스(+1.1%) 등이 강세, 종이목재(-1.2%), 보험(-1.1%), 섬유의복(-0.9%) 등이 약세. 수급별로는 개인이 2,630억원 순매도한 반면,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4억원, 2,640억원 순매수를 기록.

 

2. 한국 증시 전망

 

한국 증시는 미국 증시 휴장 여파에도 2분기 실적 시즌 기대감, 선진국 경제 정상화 진행 소식 등에 힘입어 대형주 중심의 완만한 강세 흐름을 보일 전망.

 

국내 2분기 실적시즌을 둘러싼 기대와 관망심리가 공존하고 있는 것은 사실. 그러나 반도체, IT 하드웨어, 디스플레이 등 지속적인 이익 전망 상향 조정 업종들이 출현하고 있으며 해당 업종들을 중심으로 향후 외국인 수급 여건이 점진적인 개선세를 보일 것으로 판단.

 

한편, 최근 중소형주의 상대적 우위 강세장이 전개되고 있지만, 신풍제약, 한미약품 등 일부 제약 및 바이오 업체들과 관련해 장 마감 후 코로나 치료제 임상 2상 요건 미충족, 외신의 화이자 및 모더나 백신 국내 생산 논의 오보 소식이 전해진 상황. 금일 제약 및 바이오 업종발 악재성 뉴스플로우가 전반적인 중소형주 투자심리를 단기적으로 위축시킬 가능성에 유의할 필요.

 

 

 

 

 

 

[미래에셋증권] 해외 금융시장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02-3774-1621)

 

◆ 유럽 증시

독일 +0.08%, 영국 +0.58%, 프랑스 +0.22%, 유로스톡스50 +0.07%

 

◆ 한국 관련

- Eurex kospi 200: 438.75p(+0.50p. +0.11%)

- NDF 환율(1개월물): 1,130.94원 / 전일 대비 1원 하락 출발 예상

 

◆ 외환시장

- 달러인덱스: 92.254 (+0.028, +0.03%)

- 유로/달러: 1.1864 (-0.0001, -0.01%)

- 달러/엔: 110.97 (-0.08, -0.07%)

- 파운드/달러: 1.3848 (+0.0024, +0.17%)

 

◆ 미국 국채시장

채권 시장 휴장

 

(국채선물)

- 2YR T-Notes: 110*05   (+0*01 , +0.03%)

- 5YR T-Notes: 123*16   (+0*06 1/2, +0.16%)

- 10YR T-Notes: 132*21 1/2 (+0*13 , +0.31%)

- US T-Bonds: 160*29   (+0*23 , +0.45%)

- Ultra US T-Bonds: 193*10   (+1*9 , +0.67%)

 

◆ 상품시장 ($, 단 곡물, 구리는 센트)

- WTI: 75.16 (휴장)

- 브렌트유: 77.16 (+0.99, +1.3%)

- 금: 1783.3 (휴장)

- 아연(LME, 3M): 2945.5 (+10.5, +0.36%)

- BDI: 3285 (-53, -1.59%)

 

*동 자료는 2021년 7월 6일 미래에셋증권 홈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를 요약한 것입니다.

 

글로벌 주식시장 변화와 전망(7월 6일)

미래에셋증권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02-3774-1621)

 

유럽 증시, 경기 민감주 주도로 소폭 상승

 

유럽 증시는 프랑스 보건부 장관이 델타 변이 바이러스로 4차 유행에 돌입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등 코로나 이슈가 유입되며 하락 출발. 특히 미 증시 휴장을 맞아 거래량이 급감한 가운데 유입된 델타 변이 우려로 독일 증시가 한 때 0.73% 하락. 그러나 유럽 각국의 서비스업 PMI가 전월 대비 개선된 결과를 내놓은 가운데 OPEC+ 회담 취소에 따른 국제유가가 급등 하자 낙폭이 축소되기 시작. 더불어 영국 정부가 방역 규제를 해제 할 것이라고 발표하자 본격적으로 경기 민감주 중심으로 매수세가 유입. 이에 힘입어 유럽 주요 증시는 상승 전환에 성공(독일 +0.08%, 영국 +0.58%, 프랑스 +0.22%, 유로스톡스50 +0.07%)

 

변화요인: ①영국 경제 봉쇄 종료 ②OPEC+ 회담 취소

 

http://securities.miraeasset.com/bbs/maildownload/2021070605424215_3431

 

 

 

 

(2021.07.06) U.S. & EU Market Closing

2021.07.06  허단  U.S. Market Closing – 05:00 기준

 

지수 종가 등락폭 등락률 상승/하락/보합
DOW 34,786.94 153.41 0.4% 22/8/0
S&P500 4,352.39 32.45 0.8% 313/189/3
NASDAQ 14,639.33 116.95 0.8% 1038/2036/278
RUSS 2K 2,308.97 -20.39 -0.9% 487/1464/31
PHLX 반도체지수 3,315.83 20.77 0.6% 21/9/0
VIX지수 15.12 -0.36 -2.3%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 티레이더 HTS, MTS 나스닥 •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실시간 제공

★ 미국 증시는 독립기념일(대체 공휴일) 휴장입니다.

U.S. ETF Closing – 05:00 기준

Sector

분류 티커 현재가 등락률 t신호 수익률    
          1개월 3개월 1년
IT XLK 149.9 1.3% 햇빛 7.2% 5.9% 40.3%
헬스케어 XLV 128.3 0.9% 햇빛 5.1% 9.2% 28.0%
자유소비재 XLY 181.1 0.9% 햇빛 6.1% 3.1% 38.3%
커뮤니케이션 XLC 82.1 0.7% 햇빛 3.4% 7.0% 46.0%
부동산 VNQ 102.5 0.3% 햇빛 -0.5% 10.2% 35.7%
필수소비재 XLP 69.9 0.2% 안개 -1.4% 2.1% 20.3%
유틸리티 XLU 64.0 0.2% 안개 -1.5% -0.5% 15.0%
산업재 XLI 103.3 0.1% 안개 -1.0% 3.1% 52.6%
소재 XLB 82.9 0.1% 안개 -4.1% 4.0% 46.7%
금융 XLF 36.9 -0.1% 안개 -3.0% 5.5% 62.5%
에너지 XLE 54.7 -0.2% 햇빛 -0.5% 14.6% 58.7%

자료: 티레이더, 유안타증권해외투자전략팀

Thematic

분류 티커 현재가 등락률 t신호 수익률    
          1개월 3개월 1년
모바일결제 IPAY 71.5 0.8% 햇빛 3.1% 0.5% 40.0%
반도체 SOXX 450.4 0.6% 햇빛 4.0% 0.9% 63.3%
인프라 IGF 46.0 0.6% 안개 -2.2% 1.7% 22.5%
클린에너지 ICLN 23.5 -0.2% 햇빛 5.3% 0.6% 72.0%
수송 XTN 85.7 -0.5% 안개 -3.8% -3.9% 61.9%

자료: 티레이더, 유안타증권해외투자전략팀

 

EU Market Closing – 01:00 기준

지수 종가 등락률 구분 업종 등락률
STOXX 600 458.36 0.3% 상승 금융 +1.2%
        부동산 +0.6%
        소재 +0.6%
      하락 커뮤니케이션 -0.2%
        건강관리 -0.5%
        유틸리티 -1.1%
지수 종가 고가 저가 등락폭 등락률
獨 DAX 15,661.97 15,673.88 15,535.29 11.88 0.1%
英 FTSE 100 7,164.91 7,168.03 7,111.51 41.64 0.6%
佛 CAC 40 6,567.54 6,582.87 6,520.38 14.68 0.2%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유럽증시는 견조한 경제 지표와 경제 재개 기대감에 소폭 상승 마감. 금일 유럽증시는 유로존 6월 서비스업 PMI가 58.3을 기록해 2007년 7월 이후 최고치로 집계된 것과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가 오는 19일부터 코로나 관련 규제를 해제한다고 발표한 점이 증시 상승의 동력으로 작용. 상승 업종으로는 경기순환주로 자금이 유입되며 금융과 소재가 각 1.2% 0.6% 올랐으며, 이지젯(EZJ LN/+3.2%), IAG(IAG LN/+5.0%)와 같은 항공주가 강세를 시현. 반면 유틸리티와 같은 경기방어주는 소폭 내림세 마감. 한편 금일 발표된 PMI와 관련하여 IHS 마킷의 윌리엄슨 이코노미스트는 유럽의 서비스와 제조업 모두 강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으나 이와 동시에 인플레이션 압력 역시 높아졌다고 진단하였으며, 프랑스의 올리비에 베랑 보건부 장관은 델타 변이 바이러스에 프랑스가 4차 유행에 돌입할 수 있음을 경고하는 등 코로나 확산과 인플레이션 이슈는 지속적인 증시 변동성으로 작용할 전망.

 

출처: < https://m.myasset.com/extern/researchPortal/RP_0001000_P1.cmd?menuid=RP_0105000_P1&searchKeyGubun=1&keyword=&page=1&base_date=20210706052021&gbn=B&res_seq=172033>

 

 

 

 

 

 

 

 

 

 

『하루를 여는 혁신투자자문 IPO News Letter💌 - 20210706』

 【 텔레그램 채널 주소 : https://t.me/KoreaIB

 【 IPO상장문의 및 이경준 대표 Contact ☞ 📧 ipo@kakao.com 】

 

===========================

 

 

📌Today's Topic》

'슈퍼 IPO 위크' 온다…공모주펀드 붐

https://newsis.com/view/?id=NISX20210705_0001500635&cID=15001&pID=15000

☞ 이경준 혁신투자자문 대표는 "카카오뱅크와 크래프톤, 카카오페이 등 3사의 공모 자금이 100조원에 달할 것이란 전망은 기대감이 많이 반영된 수치"라며 "중복청약이 안 되는 상황에서 공모가와 일정 조정을 거치면 총 40조원 수준이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 대표는 "지금의 공모주 열기도 LG에너지솔루션까지 정점을 찍은 이후에는 한풀 꺾이게 될 것"이라면서 "공모주펀드나 하이일드 투자 역시 펀드에 돈을 넣어두기보다는 예수금을 갖고 있는 게 낫기 때문에 자금이 빠져나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

 

★ 금일 IPO 일정 ★

 07/05~06 에스디바이오센서 수요예측⚖️

 07/06 오비고 납입🏧

 

☆ 금주 남은 IPO 일정 ☆

 07/07~08 큐라클 수요예측⚖️

 07/08~09 에스디바이오센서 청약🖨

 

 ------------------------------------------

 

▣ 기관IR 일정 ▣

 - 소규모 간담회로만 진행 中 -

 

▣ 상장 일정(예정, 변경가능) ▣

 07/13 오비고(NH투자증권)

 07/20 SD바이오센서(NH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07/22 큐라클(삼성증권)

 07/27 맥스트(하나금융투자)

 07/28 브레인즈컴퍼니(키움증권)

 07/29 에브리봇(NH투자증권)

 07/29 플래티어(KB증권)

 07/30 엠로(한국투자증권)

 미정 - 딥노이드(KB증권)

 08/05 카카오뱅크(KB증권)

 08/10 에이치케이이노엔(한국투자증권, 삼성증권)

 08/10 크래프톤(미래에셋증권)

 미정 - 원티드랩(한국투자증권)

 08/12 카카오페이(삼성증권)

 08/17 한컴라이프케어(미래에셋증권)

 08/20 바이젠셀(대신증권)

 

 

▣ 심사 승인 ▣

 - 실리콘투(삼성증권, 미래에셋증권)

 - 아주스틸(미래에셋증권)

 - 에이비온(미래에셋증권, 한화투자증권)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 국내 IPO 개별종목

■ 상장 앞두고 뒤숭숭한 카뱅…'따상과 줄퇴사' 기대와 우려 사이

https://view.asiae.co.kr/article/2021070509062983734

 

■ SK이노 배터리부문도 IPO…LGES 놓친 빅3 화색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7011354377440104482&lcode=00&page=1&svccode=00

 

■ '블록체인' 코인플러그, IPO 시동…주관사 NH증권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7020835359680103693&lcode=00&page=4&svccode=00

 

■ 신한서부티엔디리츠 상장 재추진…'6성급' 호텔 담은 첫 리츠 될까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1070580381

 

 

▶️▶️▷ IPOmarket(해외IPO포함)

■ 금감원 '공모가 거품' 제동...하반기 IPO 가격 떨어지나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10705000743

 

■ 하반기 막 오른 IPO 전쟁…실탄장전하는 투자자들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299686629111568&mediaCodeNo=257&OutLnkChk=Y

 

■ ‘7말8초’ 대형 공모주 쏠림…투자 유의점 많다

https://www.econovill.com/news/articleView.html?idxno=539406

 

 

▶️▶️▷ 시장 이모저모

■ 금융사 '채찍질' 금감원…사모펀드 감독소홀로 감사원 '몽둥이'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1070516222722476

 

 

▶️▶️▷ 시세/시황

[표]IPO장외 주요 종목 시세(7월 5일)

https://www.sedaily.com/NewsView/22OSMSA2JZ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