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주식투자 스터디를 위해 개인적으로 스크랩한 시황, 뉴스 자료를 공유합니다.

1) 노션 링크는 익스플로러에선 제대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크롬에 최적화 되어있으며, 엣지, 웨일에서도 잘 작동합니다.

 

2) 공유한 자료링크는 1~2일후 공유 해지 합니다.

 

게시물은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한 것이라

불확실하거나 오류가 많을 수 있으므로 투자 활용시 유의하시기 바라며, 개별적인 종목 추천이나 상담은 하지 않습니다.

 

모쪼록 제 공간에 오신 모든 분들이 주식스터디를 통해 인생 한 방보다, 꾸준함을 믿으며...

복리의 마법으로 모든 분들이 성공한 개인투자자가 되시길...

 


 

뉴욕증시, 인프라 지출안 타결에 상승...테슬라 3%↑ [출근전 꼭 글로벌브리핑]

S&P500·나스닥 최고

바이든·상원, 1조 달러 인프라 지출안 합의

월가, 애플·MS 엇갈린 평가

유럽 상승, 중국 혼조·베트남 상승

출처: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106250009&t=NN>

 

 

 

WHO 예측 "코로나 고위험군 매년 백신 접종해야"

CBS노컷뉴스 장성주 기자
2021-06-25 06:42

국가 경제력에 따른 '백신격차' 더 커질수도

최악의 경우 내년 백신생산량 올해의 절반 불과

출처: < https://www.nocutnews.co.kr/news/5577415>

 

 

반도체 이어 ‘K배터리 전략’ 내달 8일 나온다

서동일 기자 입력 2021-06-25 03:00

정부와 LG-삼성-SK 3사 모여 투자계획-산업육성 전략 발표

“해외 맞설 3사 협력 메시지 낼수도”

출처: <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10625/107630930/1>

 

 

당국 "변이대응 위해 '부스터샷' 고려…교차접종도 도움 될 것"(종합)

2021-06-24 16:24

출처: < https://m.yna.co.kr/view/AKR20210624121151530>

 

 

 

2021년 6월 25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미 대형은행들이 스트레스 테스트를 쉽게 통과했습니다.

 

(2) 나이키가 도매출하 증가에 힘입어 호실적을 올렸습니다.

 

(3) 페북 어도비 등 S/W 주도로 나스닥이 사흘째 신고가를 기록했습니다. 

 

미 5년 breakeven rate 2.470%, -0.033%p (2% 상회시 유의, 2.5% 상회시 경고)

한국 고객예탁금, 66.0조원 -1.4조원

 

한국 백신 접종률 18.9%(+0.3%p, 집단면역 70%)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40%

1개월 NDF 환율 1,132.04원 (-2.71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6/24 미국 상승 = 바이든!! 부양책 합의]

(Feat.예상대로 다시 신고가 / Ark day2)

 

<About Market>

오늘 시장은 바이든대통령과 상원이 그린 인프라 부양책에 합의했다는 소식이 알려지면서 주요지수 모두 하루종일 훈훈한 모습이었습니다. 특히 점심을 지나 다우존스 중심으로 추가적인 상승세를 보이며 마감하였습니다.

 

전반적으로 대부분의 섹터가 아름답게 상승한 하루였습니다. 오랫동안 소외되었던 바이오섹터도 상승하였습니다. 또한 연이틀 Ark의 주력종목들은 대부분 상승하였습니다. 테슬라를 중심으로 ARKK펀드 포트폴리오의 80%이상이 연이틀 상승하고 있습니다.

 

국내증시도 당분한 전반적으로 훈훈한 모습을 보여줄 것으로 전망합니다. 그러나 종목/섹터 선별은 필수적입니다.

 

*바이든-상원 인프라 부양책 합의

-규모 : $953b (민주 $1.9t / 공화 $0.9t)

-예산 : 사용안한 부양책예산+세무조사

-세금인상 : 모든 세금인상안 불포함

 

<Transportation>

=$312b : 물류

=$109b : 도로

=$66b : 철도

=$49b : 대중교통

=$13b : 전기차 (민주당 Original $174b)

 

<Non transportation>

=$73b : 전력

=$65b : 인터넷

=$55b : 물

 

•나스닥 +0.7% / 러셀2000 +1.2%

•S&P500 +0.6% / 다우 +1.0%

-나스닥 Top10 : 상승 8 vs 하락 2

 

-비트코인 : $35,000

-미국채금리(10y) : 1.494 (+0.4%)

-WTI : $73.33 (+0.3%)

 

*코로나 : 신규확진자 감소

(전일 14,826 / WoW -9.4%)

 

SMART한 주식투자

https://t.me/frankinvest

 

 

[6/25 미국 증시 리뷰 및 평가, 키움 전략/시황 한지영]

 

1. 미국 증시 리뷰

 

24일(목) 미국 3대 증시는 주간 실업수당청구건수, 내구재주문 등 경제지표 부진에도, 뉴욕 연은 총재 등 연준 위원들의 완화적인 발언, 약 1조달러 규모의 인프라투자 합의 소식에 힙입어 상승 마감(다우 +1.0%, S&P500 +0.6%, 나스닥 +0.7%).

 

업종별로는 부동산(-0.5%), 유틸리티(-0.1%)를 제외한 금융(+1.2%), 에너지(+0.9%), 커뮤니케이션(+0.8%), 산업재(+0.8%) 등 전업종이 강세.

 

주간 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는 41.1만건으로 전주(41.8만건)에 비해 감소했으나, 예상치(38.0만건)는 상회. 5월 내구재주문은 +2.3%(MoM)로 전월(-0.8%) 감소세에서 증가세로 전환했지만, 예상(+2.6%)보다는 부진.

 

1분기 경제성장률 확정치는 6.4%(연율)로 이전 잠정치(6.4%) 및 예상치(6.4%)에 부합했으며, 서비스 소비(4.6%→4.2%) 하향에도 개인소비지출(11.3%→11.4%) 상향이 이를 상쇄시킨 모습.

 

바이든 대통령은 공화당과 민주당 의원들과의 회동 이후 9,530억달러 규모의 인프라투자안에 합의했다고 발표. 이는 기존에 배정된 연방 예산안에 약 5,790억달러가 추가된 금액으로, 해당 재원은 5년 동안 물류, 항만, 대중교통, 친환경 관련 인프라시설에 투자될 계획.

 

2. 미국 증시 평가

 

미국 인프라투자는 당초에 제시한 2.2조달러에 비해 절반 이상 급감한 규모이며, 세부적인 지출 내역에 대해서는 여전히 합의가 필요한 상태.

 

사실 바이든 당선 이후 지속적으로 노출되어 왔던 재료이지만, 5~6월 중 정치권의 노이즈(해당 안건을 둘러싼 정치권의 의견 갈등)로 인해 쌓였던 시장참여자들의 피로감을 해소시켜줬던 소식으로 볼 수 있음. 또 법인세 등 세금 인상을 수반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 긍정적으로 반응했던 것으로 판단.

 

전일에도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 등 일부 위원들의 매파적인 발언이 있었으나, 특별히 새로운 것이 없었던 것으로 보임.

 

그 가운데, 뉴욕 연은 총재, 필라델피아 연은 총재 등 중도파, 비둘기파 위원들이 스탠스 변화없이 완화적인 입장을 강조했다는 점이 연준 긴축 사이클 진입에 대한 부담감을 완화시켜줬던 것으로 판단.

 

[6/25 한국 증시 리뷰 및 전망, 키움 전략/시황 한지영]

 

1. 한국 증시 리뷰

 

24일(목) 코스피는 조기 금리 인상을 시사한 연준과 한국은행의 매파적인 입장 표명, 카카오(-7.4%), 네이버(-1.0%) 등 성장주 및 중소형주 주가 조정에도, 업황 개선 기대감에서 기인한 반도체 등 IT, 철강 업종 강세에 힘입어 사상최고치(3,286.10pt)를 경신한 채로 마감(코스피 +0.3%, 코스닥 -0.4%)

 

업종별로는 철강금속(+3.0%), 은행(+1.4%), 전기전자(+1.4%) 등이 강세, 섬유의복(-2.1%), 서비스(-2.0%), 기계(-1.5%) 등이 강세.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개인이 각각 1,049억원, 447억원, 기관이 1,357억원 순매수를 기록.

 

2. 한국 증시 전망

 

한국 증시는 연준의 정책 불확실성 소화, 바이든 행정부의 인프라 투자 기대감 재부각 등이 위험자산선호심리를 개선시키면서 신고가 경신을 시도할 것으로 예상.

 

전거래일 인프라투자 훈풍으로 미국 증시에서 경기 민감주, 반도체, 친환경 관련주들이 강세를 보였음을 감안 시, 금일 국내 증시에서도 관련 업종들의 외국인 수급과 주가 변화에 주목할 필요.

 

물론 빠른속도로 진행되는 순환매 장세에 대한 피로감, 지수 레벨에 대한 부담감이 공존하고 있는 것은 사실. 최근 주가가 단기에 급등했던 개별 테마주, 중소형주들의 주가 변동성에는 유의할 필요.

 

다만, 매크로 환경이 우호적으로 조성될 것임을 감안 시, 지수 관점에서는 차익실현압력으로 인한 증시의 방향성 전환 가능성은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

 

https://www.kiwoom.com/h/invest/research/VMarketSDDetailView?sqno=4732

 

 

 

 

[미래에셋증권] 해외 금융시장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02-3774-1621)

 

◆ 미국 증시

- DOW: 34196.82p (+322.58p, +0.95%)

- S&P500: 4266.49p (+24.65p, +0.58%)

- NASDAQ: 14369.71p (+97.98p, +0.69%)

 

◆ 한국 관련

- MSCI 한국지수 ETF: 93.45p (+1.1p, +1.19%)

- MSCI 이머징지수 ETF: 55.04p (+0.5p, +0.92%)

  Eurex kospi 200: 439.45p(+1.75p, +0.40%)

- NDF 환율(1개월물): 1,131.98원 / 전일 대비 4원 하락 출발 예상

 

◆ 외환시장

- 달러인덱스: 91.798 (-0.004, 0%)

- 유로/달러: 1.1933 (+0.0007, +0.06%)

- 달러/엔: 110.87 (-0.09, -0.08%)

- 파운드/달러: 1.3926 (-0.0038, -0.27%)

 

◆ 미국 국채시장

- 2년물: 0.2681% (+0.6bp)

- 5년물: 0.9102% (+2.9bp)

- 10년물: 1.4919% (+0.7bp)

- 30년물: 2.0994% (-0.9bp)

(국채선물)

- 2YR T-Notes: 110*03 3/4 (-0*00 , -0.02%)

- 5YR T-Notes: 123*09 3/4 (-0*01 1/4, -0.03%)

- 10YR T-Notes: 132*05 1/2 (-0*00 1/2, -0.01%)

- US T-Bonds: 159*30   (+0*05 , +0.1%)

- Ultra US T-Bonds: 191*21   (+0*20 , +0.33%)

 

◆ 상품시장 ($, 단 곡물, 구리는 센트)

- WTI: 73.3 (+0.22, +0.3%)

- 브렌트유: 75.56 (+0.37, +0.49%)

- 금: 1776.7 (-6.7, -0.38%)

- 은: 26.089 (-0.063, -0.24%)

- 아연(LME, 3M): 2916 (+23, +0.8%)

- 구리: 430.5 (-1.9, -0.44%)

- 옥수수: 536 (+0.25, +0.05%)

- 밀: 652 (-11.75, -1.77%)

- 대두: 1291.75 (-8.5, -0.65%)

- BDI: 3147 (+28, +0.9%)

 

*동 자료는 2021년 6월 25일 미래에셋증권 홈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를 요약한 것입니다.

 

글로벌 주식시장 변화와 전망(6월 25일)

미래에셋증권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02-3774-1621)

 

재탕에도 호재에는 즉각적으로 반응하는 시장

 

미 증시는 견고한 경제지표 결과 및 연준 위원들의 인플레 관련 언급, 인프라 관련 기대 소식에 힘입어 상승 출발. 특히 반도체, 금융, 에너지 등이 이를 주도. 오후 들어 바이든 행정부와 초당파 상원 의원간 인프라 투자 합의 소식이 전해지자 산업재 및 철강 등 인프라 관련주가 상승폭을 확대. 다만, 이 소식으로 경기 민감주 중심으로 강세를 보여 다우지수 상승폭이 확대된 반면,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은 상승폭을 일부 축소하기도 하며 마감(다우 +0.95%, 나스닥 +0.69%, S&P500 +0.58%, 러셀2000 +1.31%)

 

변화요인: ①인프라투자 법안 통과 기대 ②연준 위원 발언

 

http://securities.miraeasset.com/bbs/maildownload/2021062505502429_3431

 

 

 

———————————

하나금투 IT 김록호/김현수

———————————

 

6/25(금) 하나 테크 헤드라인

 

<주요 뉴스>

 

# '내년 출시' 아이폰 가격↓…고급형·보급형 구분

 

애플이 내년 출시 예정인 아이폰의 가격이 크게 내려갈 전망이다.

 

https://bit.ly/3deoIZQ

 

<기타 뉴스>

 

# Digitimes: BT substrate suppliers kicking off shipments for new Apple devices

 

애플 기기 공급망의 BT 기판 공급업체들은 차세대 애플워치, 에어팟, 아이폰 기기 출하량을 늘리고 있으며 이들 모두 SiP 모듈을 대량으로 채택할 것이라고 한다.

 

https://bit.ly/3qvB3yj

 

# Digitimes: New Apple Watch reportedly to adopt double-sided SiP for PMICs

 

곧 출시될 Apple Watch 시리즈는 양면 SiP 패키지를 대규모로 채택할 것으로 알려졌다.

 

https://bit.ly/3zRabgF

 

# 스티븐 왕 샤오미 총괄 “中 시장은 고가, 한국선 가성비로 승부”

 

미국 제재 영향권에 들어간 중국 화웨이가 빠르게 스마트폰 점유율에서 밀려나는 가운데 샤오미는 3분기 연속 출하량 기준 업계 3위에 이름을 올리며 ‘굳히기’에 들어갔다. 

 

https://bit.ly/35WZniZ

 

<글로벌 업체 주가 동향>

 

애플   -0.22%

샤오미   0.00%

ZTE  -2.24%

레노버  +0.67%

  

무라타   +0.01%

타이요유덴  +1.12%

야교  -0.75%

Ibiden   -1.34%

Shinko   +0.25%

  

인텔  +1.47%

마이크론   +1.97%

TSMC  -0.84%

퀄컴   +1.77%

미디어텍  -1.28%

  

UDC   +1.97%

BOE   +0.47%

AUO  -1.05%

  

Tesla   +3.54%

CATL   -0.25%

Umicore   +0.90%

Albemarle  +1.41%

 

(위 내용은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득함)

★하나IT텔레그램: https://t.me/ITforYouFromHana

 

[2021.06.24 (목) 필라델피아 반도체] 하나금융투자 반도체 애널리스트 김경민, CFA

 

전일 대비 +1.77%, 3,254선 마감

상승주 30, 하락주 0

 

상승 주도 업종: 5G

 

다우 +0.95%, 나스닥 +0.69%, S&P 500 +0.58%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월요일부터 목요일까지 연속 상승. 목요일의 상승 폭은 +1.77%로 가장 컸음. 미국 경제 회복에 대한 기대감 확대와 금리 인상에 관한 우려가 완화된 것이 투자 심리에 긍정적. 아울러 바이든 대통령이 대규모 인프라 투자 지출안에 대해 공화당과 민주당을 아우르는 초당파적 합의를 끌어냈다는 뉴스도 투자 심리에 긍정적

 

반도체 업종의 전방 산업에서 서버 시장의 1위 공급사 HP 엔터프라이즈는 미국 공군의 IT 인프라 구축 관련해 443.8백만 달러의 계약을 체결하며 인프라 투자 관련 뉴스에 힘을 보탰음. 한편 마이크로소프트는 시총 2조 달러 고지에 안착. 6년 만에 신규 운영체제 Windows 11 공개. 구글 안드로이드에서 작동하는 앱 지원하며 다른 운영체제에 대해 상대적으로 유연한 태도를 유지. 반독점 논란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는 입장

 

전방 산업의 하드웨어 수요처에서 이처럼 호재가 이어지는 가운데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의 편입 종목이 모두 상승. 30개 편입종목 중에 26개 종목이 1% 이상 상승

 

가장 크게 상승한 종목은 그동안 상대적으로 소외되었던 5G 관련주. 개별 업종 내에서도 5G Exposure가 큰 기업들이 유의미하게 상승. CREE +4.46%, Marvell +2.95%, Qorvo +2.82%, Teradyne +2.68%, Skyworks +2.63%

 

개별주 중에서는 AMD가 +2.72% 상승. Xilinx를 인수하는 딜에 대해 유럽을 비롯해 미국, 한국 등 각국의 규제 당국으로부터 반대에 직면하지 않고 무난하게 마무리할 것이라는 기대감 확산. 한편 레이저 광원 공급사 Coherent 인수를 추진 중인 Two Six는 인수 건과 관련해 양사 주주들이 이를 승인했다고 발표. 미중 무역분쟁 격화로 AMD, Two Six, 엔비디아의 인수합병 딜에 대해 기대와 우려가 교차하다가 일단 AMD와 Two Six는 예상대로 순항하고 있는 상황. 엔비디아의 ARM Holdings 딜에 대해서는 기대보다 우려가 아직 큰 상황. 엔비디아 측에서도 2021년 연내에 마무리하기는 어렵다는 입장 표명

 

메모리 반도체 및 스토리지 업종 주가는 모두 상승. 마이크론 +1.97%, WDC +0.79%, 실리콘 모션 +0.31%, Seagate +1.92%

 

[CPU & GPU] 인텔 +1.47%, AMD +2.72%, 엔비디아 +0.78%

 

[파운드리 ADR 및 후공정] TSMC +1.03%, UMC +2.80%, Amkor +3.12%,

 

[장비] ASML ADR +1.96%, AMAT +2.04%, 램리서치 +1.73%, KLA +1.62%, 테라다인 +2.68%

 

[5G] 퀄컴 +1.77%, Skyworks +2.63%, 코보 +2.82%, 브로드컴 +0.73%, Two Six +1.78%,

 

[아날로그] TXN +1.35%, ADI +2.08%, NXP +2.35%, 마이크로칩 +1.82%, 온세미 +2.33%

 

[공정소재] 캐봇 마이크로 +0.87%, 인테그리스 +0.62%

 

[웨이퍼] 신에츠화학 +0.2%, Sumco +1.9%, Globalwafers +5.4%

 

감사합니다.

 

 

[메리츠증권 반도체/디스플레이 김선우]

Meritz Overnight Tech 2021.6.25 (금)

 

★ 메모리 스팟가격

DRAM(DDR4 8Gb: 1D 0.59%, 1W 0.93%, 1M 5.42%)

전반적 구매 환경 둔화와 구매자들의 관망적 태도 지속. 특정 품목에 대해 일부 문의가 발생했지만 구매자들의 목표 가격은 여전히 시장 가격보다 낮음. 최종 거래량 부진

 

NAND(MLC 64Gb: 1D 0.00%, 1W -0.49%, 1M -4.47%)

고용량 칩 현물 공급 부족. 시장 호가는 지속 상승하며 구매자들은 목표 가격 인상에 적극적. 그러나 실거래량은 여전히 제한적이며 Kioxia 칩에서만 일부 거래 발생. 이에 가격은 혼조세

 

★ 주요 뉴스 플로우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11 공개 (CNBC)

https://cnb.cx/2T7dC1U

 

Qualcomm과 Mediatek, TSMC 6나노 공정으로 5G 모바일 AP 생산 (Digitimes)

https://bit.ly/3db6I2I

 

하이브리드 S펜 지원 '갤럭시Z폴드3' 8월 초 공개 (전자신문)

https://bit.ly/3ddZKdj

 

'내년 출시' 아이폰 가격↓…고급형·보급형 구분 (디지털 데일리)

https://bit.ly/2U5fw3y

 

Chang Wah CEO, 반도체 기업들의 캐파 확대에 우려 (Nikkei Asia)

https://s.nikkei.com/2T36N1w

 

★ 전일 해외 관련업체 주요 주가 등락 (2%p 이상)

Micron(+2.0%), ZTE(-2.2%), Xilinx(+2.2%), Maxim(+2.2%), STMicro(+2.0%), Marvell(+3.0%), AMD(+2.7%), AUO(-2.3%), ASML(+2.1%), AMAT(+2.0%), UDC(+2.0%)

 

 

(자료: DRAMeXchange, Bloomberg, 언론자료)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하루를 여는 혁신투자자문 IPO News Letter💌 - 20210625』

 【 텔레그램 채널 주소 : https://t.me/KoreaIB

 【 IPO상장문의 및 이경준 대표 Contact ☞ 📧 ipo@kakao.com 】

 

===========================

 

 

📌Today's Topic》

`막차 중복청약' 가능한 코스닥 종목은

http://www.fdaily.co.kr/news/article.html?no=65096

☞ 이경준 혁신투자자문 대표는 "다음 달 마지막으로 중복청약이 가능한 여러 종목들이 연달아 나오면서 몰리는 곳은 더 몰리고 빠지는 곳은 더 빠져 흥행이 엇갈리게 나타날 것"이라며 "코스피보다는 코스닥에서 메타버스나 AI 등 분야의 경쟁력을 갖춘 기업들이 나오기 때문에 역대 최고 기록이 7월에 나올 수 있다"고 전망했다.

 

 

===========================

 

금일은 [ 아모센스 ] 상장일 입니다.

 

[ 아모센스_공모가 12,400원 ]

 º 시가총액 : 1,389억원(11,200,076주)

 º 유통가능 : 405억원(3,267,638주, 29.18%)

 º 수요예측 내역

    총 참여건수 : 341건

    실 유효건수 : 234건(68.62%)

    총 경쟁률 : 116.79 대 1

    총 확약 비중 : 수량기준 2.57%

 º 일반청약률 : 26.56 대 1(23,514건)

 

 

#무선충전_차폐시트 #아모텍

 

===========================

 

★ 금일 IPO 일정 ★

 06/25 아모센스 상장★

 

☆ 다음주 IPO 일정 ☆

 06/28~06/29  오비고 수요예측⚖️

 06/28~07/09 크래프톤 수요예측⚖️

 07/01~07/02 오비고 청약🖨

 

 ------------------------------------------

 

▣ 기관IR 일정 ▣

 - 소규모 간담회로만 진행 中 -

 

▣ 상장 일정(예정, 변경가능) ▣

 06/25 아모센스(신한금융투자)

 07/13 오비고(NH투자증권)

 07/20 SD바이오센서(NH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07/22 크래프톤(미래에셋증권)

 07/23 큐라클(삼성증권)

 07/27 맥스트(하나금융투자)

 07/29 에브리봇(NH투자증권)

 미정 - 브레인즈컴퍼니(키움증권)

 미정 - 플래티어(KB증권)

 미정 - 딥노이드(KB증권)

 미정 - 원티드랩(한국투자증권)

 

▣ 심사 승인 ▣

 - 바이젠셀(대신증권)

 - 카카오뱅크(KB증권)

 - 한컴라이프케어(미래에셋증권)

 - 실리콘투(삼성증권)

 - 엠로(Konex 이전상장, 한국투자증권)

 - 에이치케이이노엔(한국투자증권)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 국내 IPO 개별종목

■ [단독] '몸값 1500억' 밀리의 서재, 내년 증시 상장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1062442021

 

■ ‘새벽배송 원조’ 마켓컬리 IPO 점점 더 어려워지는 까닭

https://ilyo.co.kr/?ac=article_view&entry_id=405065

 

■ 한화종합화학, IPO 접은 이유는… 미래와 외형성장, 그리고 승계

http://biz.newdaily.co.kr/site/data/html/2021/06/24/2021062400038.html

 

■ SK매직 '3년 숙원' IPO 사실상 중단··· '오너리스크' 발목 IPO 올 연말 넘길 듯

https://www.newspim.com/index.php/news/view/20210623000994

 

■ 현대오일뱅크, 주관사 다시 꾸리나...1년여 노력 외면?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6221752032680102570&lcode=00&page=3&svccode=00

 

■ 더블다운인터액티브, 대표주관사 계약해지 후 나스닥 재추진

http://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1054320&inflow=N

 

■ AI 진단 '딥노이드' IPO 임박, 9개월만에 밸류 2배 '껑충'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6221051407840103820&lcode=00&page=9&svccode=00

 

■ 툴젠, 기술평가 신청…코스닥 이전상장 추진

http://www.dailypharm.com/Users/News/NewsView.html?ID=277758&REFERER=NP

 

■ 씨엔알리서치, 상장예비심사 청구…"올해 코스닥 상장 목표"

https://www.news1.kr/articles/?4349758

 

■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유디엠텍, 연내 IPO 추진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6231310592760108082&lcode=00&page=3&svccode=00

 

■ 'VC 베팅' 이지트로닉스, 기평 통과…상장 파란불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6230816384520102136&lcode=00&page=1&svccode=00

 

 

▶️▶️▷ IPOmarket(해외IPO포함)

■ ‘중복청약 사라지고 수수료까지’···깐깐해진 공모주 투자 대응법은

http://www.sisajournal-e.com/news/articleView.html?idxno=233520

 

■ 물 들어올 때 노 젓자?…공모주 청약수수료에 대한 단상

https://view.asiae.co.kr/article/2021062413333740007

 

■ '뭉칫돈' 몰리는 비상장 바이오

https://www.hankyung.com/it/article/2021062442711

 

■ 머스크, 스페이스X 스타링크 IPO 시사

http://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1054390&inflow=N

 

 

▶️▶️▷ 시장 이모저모

■ 신세계, 3.4조에 이베이코리아 인수…e커머스 2위로 도약(종합)

https://newsis.com/view/?id=NISX20210624_0001488619&cID=13001&pID=13000

 

 

▶️▶️▷ 시세/시황

[표]IPO장외 주요 종목 시세(6월 24일)

https://www.sedaily.com/NewsView/22NRG44N67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728x90
728x90

 

증시캘린더는 개인적으로 관련된 소식을 확인후 작성한 일정이라 변동 또는 오류의 소지가 있습니다.

참고시 유의하시고 배포시엔 블러그 링크로 공유해 주셔요.


 

728x90

'주요 증시 일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6월 29일(화) 증시캘린더  (0) 2021.06.29
6월 28일(월) 증시캘린더  (0) 2021.06.27
6월 24일(목) 증시캘린더  (0) 2021.06.24
6월 23일(수) 증시캘린더  (1) 2021.06.23
6월 22일(화) 증시캘린더  (0) 2021.06.22
728x90

 

주식투자 스터디를 위해 개인적으로 스크랩한 시황, 뉴스 자료를 공유합니다.

1) 노션 링크는 익스플로러에선 제대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크롬에 최적화 되어있으며, 엣지, 웨일에서도 잘 작동합니다.

 

2) 공유한 자료링크는 1~2일후 공유 해지 합니다.

 

게시물은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한 것이라

불확실하거나 오류가 많을 수 있으므로 투자 활용시 유의하시기 바라며, 개별적인 종목 추천이나 상담은 하지 않습니다.

 

모쪼록 제 공간에 오신 모든 분들이 주식스터디를 통해 인생 한 방보다, 꾸준함을 믿으며...

복리의 마법으로 모든 분들이 성공한 개인투자자가 되시길...

 


 

‘제페토’ 뛰어든 대선 주자만 4명···메타버스 활용한 정치실험

기사입력 2021.06.24. 오전 7:01

선거 운동에 '메타버스' 활용한 정치인들

‘업글희룡’·‘우리별’ 등 자신 본뜬 아바타

가상세계에서 대선 캠프 출범식 열고

MZ세대와 접촉면 늘리는 디지털 정치

낮은 팔로워·미성년 사용층 등 한계도

출처: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11&aid=0003927437>

 

 

 

주가 오르면 CB 전환價도 상향

신문A1면 1단 기사입력 2021.06.23. 오후 5:36

출처: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sec&oid=015&aid=0004566671>

 

 

정부 “가상화폐 거래소 60곳 현장조사”… 먹튀-고의파산 집중 단속

김형민 기자 이상환 기자 입력 2021-06-24 03:00

IT전문가 파견… 계좌-전산 점검

비협조땐 경찰력 동원 압수수색

거래소 신고기한 3개월 앞둬

요건 못갖춘 거래소 줄폐업 전망

출처: <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10624/107608399/1>

 

 

 

김부겸 국무총리 "신한울 1호기 승인 추진"

신문A13면 1단 기사입력 2021.06.23. 오후 7:00

출처: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1&oid=015&aid=0004566775>

 

 

 

 

 

 

2021년 6월 24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FOMC 위원들 중 매파가 4명에서 7명으로 늘었습니다.

 

(2) 앤트 금융그룹이 중국 국유기업과 JV설립을 위해 데이터를 공유키로 했습니다.

 

(3) 주요국 6월 제조업지수가 하락할 것이란 예상과 달리 전월 수준을 유지했습니다.

 

미 5년 breakeven rate 2.502%, +0.035%p (2% 상회시 유의, 2.5% 상회시 경고)

한국 고객예탁금, 67.4조원 -0.5조원

 

한국 백신 접종률 18.6%(+0.2%p, 집단면역 70%)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03%

1개월 NDF 환율 1,136.20원 (-1.45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6/24 미국 증시 리뷰 및 평가, 키움 전략/시황 한지영]

 

1. 미국 증시 리뷰

 

23일(수) 미국 3대 증시는 6월 제조업 PMI 호조에 따른 경기 모멘텀 기대감이 유효했음에도, 경기민감주들의 단기 차익실현 물량 출회 속 일부 연준 위원들의 2022년말 금리인상 발언이 부담 요인으로 작용하며 혼조세로 마감(다우 -0.2%, S&P500 -0.1%, 나스닥 +0.1%).

 

업종별로는 경기소비재(+0.6%), 금융(+0.3%), 에너지(+0.3%) 등이 강세, 유틸리티(-1.1%), 소재(-0.6%), 필수소비재(-0.6%) 등이 약세.

 

미국의 6월 Markit 제조업 PMI 예비치는 62.6으로 전월(62.1) 및 예상치(61.5)를 상회하면서 사상최고치를 경신. 서비스업 PMI 예비치는 64.8로 전월(70.4) 및 예상치(70.0)를 하회했으나, 미국 경기 모멘텀은 유효한 상황.

 

보스틱 애틀랜타 연은 총재는 최근 예상보다 경제지표가 좋게 나오고 있기 때문에 첫 금리인상은 2022년말이 될 것이며 2023년에는 두 차례 추가 금리인상에 나설 것이라고 밝힘.

 

카플란 댈러스 연은 총재도 2022년에 금리인상을 볼 수 있을 것이며, 테이퍼링도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보다 이른 시점에 단행할 것이라고 밝히는 등 매파적인 연준 위원들의 발언이 23일 시장의 상승 탄력을 둔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

 

2. 미국 증시 평가

 

최근 연준 위원들의 발언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6월 이후 연준의 성향이 비둘기파에서 매파적으로 무게중심이 이동하고 있는 모습.

 

전반적인 미국 경제의 개선에 대해서는 의견이 일치하는 모습이나, 높은 인플레이션 지속 여부를 둘러싼 불확실성이 일부 연준 위원들의 스탠스 변화를 유발했던 것으로 판단.

 

다만, 전거래일 달러화나 시장금리가 급격한 변화가 없었다는 점은 시장참여자들도 연준발 불확실성을 점차적으로 소화하고 있음을 시사.

 

연준의 긴축 사이클은 시장에서도 기정사실화된 재료이지만, 일시적 or 추세적인 고 인플레이션을 놓고 연준 내에서 상당기간 논쟁이 이어질 것으로 보임.

 

2분기 실적시즌 진입을 앞둔 만큼, 시장 참여자들의 관심은 실적으로 무게 중심이 이동할 전망이나, 향후에도 수시로 인플레이션발 노이즈가 증폭될 수 있음에 유의할 필요.

 

 

[6/24 한국 증시 리뷰 및 전망, 키움 전략/시황 한지영]

 

1. 한국 증시 리뷰

 

23일(수) 코스피는 경기민감주들 위주로 차익실현물량이 출회됐으나, 파월 의장 발언을 통한 연준의 조기 긴축 우려 완화, 미국 성장주 강세 등 미국발 훈풍에 힘입어 네이버(+8.3%), 카카오(+6.6%) 등 고 밸류에이션 성장주들이 급등세를 연출함에 따라 상승 마감(코스피 +0.4%, 코스닥 +0.5%).

 

업종별로는 서비스(+3.7%), 의약품(+1.9%), 비금속광물(+1.3%) 등이 강세, 기계(-2.5%), 건설(-2.2%), 전기가스(-1.9%) 등이 약세.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97억원, 299억원 순매도, 개인이 832억원 순매수를 기록.

 

2. 한국 증시 전망

 

한국 증시는 선진국 제조업황 호조에 따른 수출 호조 기대감 속 일부 연준 위원들의 매파적인 발언을 소화하면서, 강보합 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상.

 

피크아웃할 것으로 예상됐던 6월 미국과 유럽의 제조업 PMI가 호조세를 보였다는 점은 선진국들의 경기 모멘텀은 둔화되지 않았음을 재확인함과 동시에, 한국의 수출 실적 개선세를 연장 시켜주는 요인이 될 것으로 전망.

 

물론 여전히 매크로발 불확실성은 상존한 가운데 카카오, 네이버 등 최근 단기 급등세를 보였던 일부 초대형 성장주들에서는 차익실현 물량이 출회될 가능성이 높으나, 업종간 순환매 장세가 지속되고 있다는 점을 고려 시 지수의 하단은 견조하게 유지될 것으로 전망.

 

https://www.kiwoom.com/h/invest/research/VMarketSDDetailView?sqno=4730

 

 

 

 

[미래에셋증권] 해외 금융시장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02-3774-1621)

 

◆ 미국 증시

- DOW: 33874.24p (-71.34p, -0.21%)

- S&P500: 4241.84p (-4.6p, -0.11%)

- NASDAQ: 14271.73p (+18.46p, +0.13%)

 

◆ 한국 관련

- MSCI 한국지수 ETF: 92.35p (+0.38p, +0.41%)

- MSCI 이머징지수 ETF: 54.54p (+0.33p, +0.61%)

  Eurex kospi 200: 435.80p(+0.18p. +0.04%)

- NDF 환율(1개월물): 1,136.28원 / 전일 대비 2원 하락 출발 예상

 

◆ 외환시장

- 달러인덱스: 91.824 (+0.068, +0.07%)

- 유로/달러: 1.1927 (-0.0013, -0.11%)

- 달러/엔: 110.98 (+0.33, +0.3%)

- 파운드/달러: 1.3962 (+0.0013, +0.09%)

 

◆ 미국 국채시장

- 2년물: 0.2622% (+3.4bp)

- 5년물: 0.8781% (+2.3bp)

- 10년물: 1.4852% (+2.2bp)

- 30년물: 2.1028% (+1.7bp)

(국채선물)

- 2YR T-Notes: 110*04   (-0*00 3/4, -0.02%)

- 5YR T-Notes: 123*11   (-0*03 1/2, -0.09%)

- 10YR T-Notes: 132*06   (-0*05 1/2, -0.13%)

- US T-Bonds: 159*25   (-0*05 , -0.1%)

- Ultra US T-Bonds: 191*01   (-0*06 , -0.1%)

 

◆ 상품시장 ($, 단 곡물, 구리는 센트)

- WTI: 73.08 (+0.23, +0.32%)

- 브렌트유: 75.19 (+0.38, +0.51%)

- 금: 1783.4 (+6, +0.34%)

- 은: 26.152 (+0.254, +0.98%)

- 아연(LME, 3M): 2893 (+31.5, +1.1%)

- 구리: 432.4 (+10.5, +2.49%)

- 옥수수: 535.75 (-3.25, -0.6%)

- 밀: 663.75 (+8.75, +1.34%)

- 대두: 1300.25 (-2, -0.15%)

- BDI: 3119 (-71, -2.23%)

 

*동 자료는 2021년 6월 24일 미래에셋증권 홈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를 요약한 것입니다.

 

글로벌 주식시장 변화와 전망(6월 24일)

미래에셋증권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02-3774-1621)

 

매파적인 연준 보다 실적 장세 전환

 

미 증시는 견고한 경제지표 등에 기반으로 경기에 대한 자신감이 유입되며 상승 출발. 연준의 통화 긴축 우려 또한 완만하게 해소되자 나스닥의 사상 최고치 경신은 지속. 다만, 여전히 차익 실현 욕구 또한 강해 오후 들어 한 때 하락 전환하기도 했음. 연준위원들의 인플레이션 기간 및 금리인상 시기 발언 등이 영향을 준 것으로 추정. 이후 변화가 제한된 가운데 일부 개별 이슈가 있던 종목 중심으로 변화를 보일 뿐 지수는 보합권 등락을 보이며 마감(다우 -0.21% 나스닥 +0.13% S&P500 -0.11%, 러셀2000 +0.33%)

 

변화 요인: ①보우만, 보스틱 연준 위원 발언 ②국채금리 안정

 

http://securities.miraeasset.com/bbs/maildownload/2021062405580742_3431

 

 

 

 

[6/23 미국 혼조 = 숨고르기]

(Feat. 오랜만에 반등한 테슬라+ARK)

 

<About Market>

오늘 시장은 조용한 하루였지만, 한마디로 ‘ARK Day’라고 정리할 수 있겠습니다. 테슬라를 중심으로 오랜만에 ARK의 플래그쉽 펀드인 ARKK의 포트폴리오 80%이상이 상승한 하루였습니다. Cathie Wood의 말처럼 성장주 장세가 다시 시작하는 것일까요? 관심있게 지켜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Comcast CEO 스트리밍 전략

-ViacomCBS or Roku와 인수, 합병, 협업 등 다양하게 고려중

☑️Comcast의 컨텐츠 사업부인 NBC유니버셜은 Peacock이라는 스트리밍플랫폼을 1년전 런칭했으나 현재 유료구독자는 1000만명이하로 고전하고 있습니다. AT&T의 디스커버리 인수로 이제 남은 초대형 컨텐츠공급자는 FOX와 ViacomCBS뿐입니다.

 

<Smart한 View : OTT전쟁>

https://t.me/frankinvest/3183

 

*Amazon Prime Day : 소비컴다운?

-아마존 코멘트는 이례적으로 절제됨

-Adobe의 분석치로 YoY+6.1%

☑️2020년 Prime day는 10월중순으로 당시 블랙프라이데이+연말 수요도 Amazon이 상당부분 흡수하여 단편적인 비교 불가능

 

•나스닥 +0.1% / 러셀2000 +0.3%

•S&P500 -0.1% / 다우 -0.2%

-나스닥 Top10 : 상승 4 vs 하락 6

 

-비트코인 : $33,000

-미국채금리(10y) : 1.485 (+0.9%)

-WTI : $73.28 (+0.6%)

 

*코로나 : 신규확진자 감소

(전일 12,874 / WoW -22.5%)

 

SMART한 주식투자

https://t.me/frankinvest

 

 

 

 

 

 

———————————

하나금투 IT 김록호/김현수

———————————

 

6/24(목) 하나 테크 헤드라인

 

👨‍🔧 안녕하세요. 김록호입니다.

TSMC가 차량용 반도체 공급을 예정보다 앞당긴다는 뉴스입니다. 하반기에 차량용 및 애플향 반도체에 집중하기 때문에 PC, 서버, 네트워크 장비향 공급에는 차질이 있을 수 있다는 전망입니다. 스마트폰향 반도체는 충분하다고 언급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주요 뉴스>

 

# Gizchina: TSMC WILL DELIVER AUTOMOTIVE CHIPS EARLIER THAN SCHEDULED

 

TSMC가 차량용 반도체 수급을 예상보다 빨리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https://bit.ly/2SmXIjH

 

<기타 뉴스>

 

# "애플, '아이폰13' 9월 14일 공개한다"

 

애플 '아이폰13(가칭)'이 오는 9월 14일 공개, 같은 달 24일 공식 출시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https://bit.ly/3xPPbES

 

# "글로벌 6G 선도에 5년간 2200억 투자"

 

한·미 정상회담 후속으로 다가올 6G 시대를 선도하기 위한 6G 전략회의가 23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열렸다. 

 

https://bit.ly/3vSuRkQ

 

# Digitimes: Unimicron accelerates construction of new ABF substrate plant

 

유니마이크론이 ABF 패키지기판 공장 설치를 사두르고 있다.

 

https://bit.ly/35Rw69m

 

# OLED 수요 넘치는데…칩 없어서 패널 못 만든다

 

스마트폰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패널 보급률이 증가하고 있다. 

 

https://bit.ly/3gOSk25

 

<글로벌 업체 주가 동향>

 

애플   -0.21%

샤오미   +1.48%

ZTE  +0.89%

레노버  0.00%

  

무라타   -2.24%

타이요유덴  +0.37%

야교  +1.71%

Ibiden   -1.98%

Shinko   +1.13%

  

인텔  -1.09%

마이크론   +1.75%

TSMC  +2.94%

퀄컴   +0.33%

미디어텍  +4.21%

  

UDC   +0.71%

BOE   +0.32%

AUO  +2.98%

  

Tesla   +5.27%

CATL   +4.05%

Umicore   -0.65%

Albemarle  +1.29%

 

(위 내용은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득함)

★하나IT텔레그램: https://t.me/ITforYouFromHana

 

 

[2021.06.23 (수) 필라델피아 반도체] 하나금융투자 반도체 애널리스트 김경민, CFA

 

전일 대비 +0.37%, 3,197선 마감

상승주 22, 하락주 8

 

다우 -0.21%, 나스닥 +0.13%, S&P 500 -0.11%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월요일부터 수요일까지 3일 연속으로 각각 +0.61%, +0.42%, +0.37% 반등. 차량용 반도체 공급 부족이 최악의 상황을 벗어났다는 시그널이 여기저기서 감지되며 2분기에 수급 불균형의 바닥을 통과할 것이라는 점이 반도체 업종 투자 심리에 긍정적 영향을 끼침. 2020년 말부터 이슈화된 차량용 반도체 공급 부족은 P와 Q 중에서 Q를 제한한다는 점에서 부정적이었음

 

7월 1일 마이크론의 실적 발표를 일주일 남겨두고 메모리 반도체 및 스토리지 업종에서 마이크론을 비롯해 모두 상승. 마이크론 +1.75%, WDC +1.14%, 실리콘 모션 +1.47%, Seagate +0.31%

 

[CPU & GPU] 인텔 -1.09%, AMD +0.29%, 엔비디아 +0.90%

 

[파운드리 ADR 및 후공정] TSMC +1.50%, UMC +1.42%, Amkor -0.52%,

 

[장비] ASML ADR -0.61%, AMAT +1.54%, 램리서치 +0.39%, KLA +0.73%, 테라다인 +0.98%

 

[5G] 퀄컴 +0.33%, Skyworks +0.84%, 코보 +0.92%, 브로드컴 +0.48%, Two Six +2.32%,

 

[아날로그] TXN -0.50%, ADI -0.02%, NXP +0.89%, 마이크로칩 +0.40%, 온세미 +0.16%

 

[공정소재] 캐봇 마이크로 -0.68%, 인테그리스 -1.76%

 

[웨이퍼] 신에츠화학 +0.3%, Sumco +1.6%, Globalwafers +3.7%

 

감사합니다.

 

 

 

 

 

 

 

 

『하루를 여는 혁신투자자문 IPO News Letter💌 - 20210624』

 【 텔레그램 채널 주소 : https://t.me/KoreaIB

 【 IPO상장문의 및 이경준 대표 Contact ☞ 📧 ipo@kakao.com 】

 

===========================

 

 

📌Today's Topic1》

SD바이오센서·크래프톤 IPO 릴레이…NH證 기대 '↑'

https://paxnetnews.com/articles/75432

☞ 시장에서도 연이은 IPO인 만큼 SD바이오센서의 환불금이 크래프톤으로 흘러갈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했다. 이경준 혁신투자자문 대표는 "크래프톤이 SD바이오센서의 환불일을 염두에 두고 일정을 결정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다만, 크래프톤이 신고서 정정을 통해 일정을 연기할 수 있다는 변수도 있다. 이 대표는 "크래프톤의 밸류에이션을 두고 시장에서 많은 논란이 제기되고 있어 금융감독원이 증권신고서 정정을 요구할 가능성도 있다"며 "금감원은 상장 이후 투자자 보호가 되느냐 아니냐에 중점을 두고 판단하기 때문에 기업가치가 너무 높다고 생각되면 관련 문제를 제기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

 

📌Today's Topic2》

`막차 중복청약' 가능한 코스닥 종목은

http://naver.me/5y476AaO

☞ 이경준 혁신투자자문 대표는 "다음 달 마지막으로 중복청약이 가능한 여러 종목들이 연달아 나오면서 몰리는 곳은 더 몰리고 빠지는 곳은 더 빠져 흥행이 엇갈리게 나타날 것"이라며 "코스피보다는 코스닥에서 메타버스나 AI 등 분야의 경쟁력을 갖춘 기업들이 나오기 때문에 역대 최고 기록이 7월에 나올 수 있다"고 전망했다.

 

 ------------------------------------------

 

📌Today's Topic3》

[금일 증권업계 주요기사]기업공개 나선 카카오뱅크 "내달 공모"..."사모펀드 감독부실" 감사원, 금감원 '중징계' 임박 外

http://www.youthdaily.co.kr/news/article.html?no=74622

☞ 이경준 혁신투자자문 대표는 "이번 수요예측 진행 방식은 그동안 수요예측에 다수 참여해봤지만 정말 이례적"이라며 "앞서 밸류에이션이 높다는 말이 계속 나왔던 만큼 부담감을 느껴 기간을 넉넉하게 둔 것 아닐까 싶다"고 말했음.

 

 ------------------------------------------

 

📌Today's Topic4》

투자자문사 등록 ‘문전성시’… “심사 기간만 1년”

https://biz.chosun.com/stock/stock_general/2021/06/23/2OZSKNGOIJCTJMHILDWQCYYLWE/?utm_source=naver&utm_medium=original&utm_campaign=biz

☞ 23일 금감원에 따르면 지난 9일 기준 투자자문업 등록을 신청해서 심사를 기다리는 회사는 216곳에 달한다.

↑ 공모주 받으려고 투자자문사(투자일임사)설립하는 분들을 뜯어말리는 이유,,, 올해 말 지나고, 내년도 공모주 받으려는 기관수요는 2천대1을 가볍게 넘을 것이고,

IPO기업공급은 한정되어 있으니, 더더더 먹을 곳이 없어지는 구조...

그래서 혁신투자자문도 내년엔 운용사로...

 

 

 ------------------------------------------

 

📌Today's Topic5》

공모주는 외국인 놀이터?…공시 더 촘촘해진다

http://news.bizwatch.co.kr/article/market/2021/06/23/0021

☞ 이번 개선을 통해 내달 1일부터 제출되는 증권신고서(정정신고서 포함)에는 기관투자자의 '의무보유 확약기간별 수요예측 참여 내역'을 6개 투자자 유형별로 구분해 기재해야 한다.

6개 투자자 유형은 △운용사(집합) △투자매매·중개업자 △연기금, 운용사(고유), 은행, 보험 △기타 △외국 기관투자자(거래실적 있음) △외국 기관투자자(거래실적 없음)다.

 

 

===========================

 

★ 금일 IPO 일정 ★

 없음.

 

☆ 금주 남은 IPO 일정 ☆

 06/25 아모센스 상장★

 

 ------------------------------------------

 

▣ 기관IR 일정 ▣

 - 소규모 간담회로만 진행 中 -

 

▣ 상장 일정(예정, 변경가능) ▣

 06/25 아모센스(신한금융투자)

 07/13 오비고(NH투자증권)

 07/20 SD바이오센서(NH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07/22 크래프톤(미래에셋증권)

 07/23 큐라클(삼성증권)

 07/27 맥스트(하나금융투자)

 07/29 에브리봇(NH투자증권)

 미정 - 브레인즈컴퍼니(키움증권)

 미정 - 플래티어(KB증권)

 미정 - 딥노이드(KB증권)

 미정 - 원티드랩(한국투자증권)

 

▣ 심사 승인 ▣

 - 바이젠셀(대신증권)

 - 카카오뱅크(KB증권)

 - 한컴라이프케어(미래에셋증권)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 국내 IPO 개별종목

■ 한화종합화학, 삼성과 ‘한지붕 두가족’ 끝났다···상장 철회(종합)

https://www.youtube.com/watch?v=8z6wJHPhJUM

 

■ [시그널] ‘장외 몸 값 40조’ 카카오뱅크 7월 공모···28일 증권신고서 제출

https://www.sedaily.com/NewsView/22NQYKEGM9

 

■ 시장점유율 확대에 '올인'…현대카드, 올해 상장될까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1062395461

 

■ 대형 IPO 대기 중인 현대重그룹, 투자금 마련 속도전

https://www.ebn.co.kr/news/view/1488768/?sc=Naver

 

■ DS네트웍스 IPO 모색, 증권사 호응 없는 이유는

https://paxnetnews.com/articles/75441

 

■ 원티드랩, 증권신고서 제출…8월 코스닥 상장 추진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1062388266

 

■ '손예진 화장품' 마녀공장, 주관사 교체…하반기 IPO 속도 [마켓인사이트]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106237055i

 

■ 디어유 IPO 추진, 이수만 SM 프로듀서 지분 매각 영향은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6221328576720106817&lcode=00&page=1&svccode=00

 

■ 기평 통과한 보로노이 "프리IPO 후 코스닥 입성"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6230827579060102281&lcode=00&page=2&svccode=00

 

■ [IPO 그 후]에이치피오, '펫 사업' 초읽기 새 수익원 장착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6221451144080107189&lcode=00&page=1&svccode=00

 

 

▶️▶️▷ IPOmarket(해외IPO포함)

■ 삼천피·천스닥 부러운 비실비실 코넥스

https://view.asiae.co.kr/article/2021062310115396404

 

■ 내달부터 기관투자자 공모주 의무보유 확약 현황 상세히 공시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1062380976

 

■ 크리스피크림 IPO, 몸값 4.5조 도전

https://paxnetnews.com/articles/75468

 

 

▶️▶️▷ 시장 이모저모

■ [단독]친구 폰 훔쳐 '이더리움' 빼돌리기까지…4년간 '코인' 범죄 5.7조

http://naver.me/5kLWM5Q6

 

 

▶️▶️▷ 시세/시황

[표]IPO장외 주요 종목 시세(6월 23일)

https://www.sedaily.com/NewsView/22NQZ4S05S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728x90
728x90

 

증시캘린더는 개인적으로 관련된 소식을 확인후 작성한 일정이라 변동 또는 오류의 소지가 있습니다.

참고시 유의하시고 배포시엔 블러그 링크로 공유해 주셔요.


 

728x90

'주요 증시 일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6월 28일(월) 증시캘린더  (0) 2021.06.27
6월 25일(금) 증시캘린더  (0) 2021.06.25
6월 23일(수) 증시캘린더  (1) 2021.06.23
6월 22일(화) 증시캘린더  (0) 2021.06.22
6월 21일(월) 증시캘린더  (0) 2021.06.20
728x90

 

주식투자 스터디를 위해 개인적으로 스크랩한 시황, 뉴스 자료를 공유합니다.

1) 노션 링크는 익스플로러에선 제대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크롬에 최적화 되어있으며, 엣지, 웨일에서도 잘 작동합니다.

 

2) 공유한 자료링크는 1~2일후 공유 해지 합니다.

 

게시물은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한 것이라

불확실하거나 오류가 많을 수 있으므로 투자 활용시 유의하시기 바라며, 개별적인 종목 추천이나 상담은 하지 않습니다.

 

모쪼록 제 공간에 오신 모든 분들이 주식스터디를 통해 인생 한 방보다, 꾸준함을 믿으며...

복리의 마법으로 모든 분들이 성공한 개인투자자가 되시길...

 


 

뉴욕증시, 파월 발언에 안도…나스닥 사상최고치 [출근전 꼭 글로벌브리핑]

미 증시, 파월 기존 입장 재확인에 상승

파월 "인플레 우려로 선제적 금리인상 안 해"

비트코인, 장중 한때 3만달러선 붕괴

유럽·중국·베트남 상승

출처: <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106230010&t=NN>

 

 

온난화의 경고···'살 파먹는 기생충' 리슈마니아, 美전역 확산 우려

기사입력 2021.06.23. 오전 7:01

출처: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4&oid=011&aid=0003926877>

 

 

 

안심은 이르다… 국내도 더 센 알파·델타 변이 ‘우려’

기사입력 2021.06.23. 오전 7:21

억누른 코로나 다시 증가 양상

최상의 대책은 백신 접종 완료

출처: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81&aid=0003196213>

 

 

 

몸값 확 낮추는 삼성전자…차기작 폴더블폰 가격 내린다

기사입력 2021.06.23. 오전 6:01

갤럭시Z폴드3·갤럭시Z플립3 8월 출시 예정…전작 대비 20%가량 저렴해질 듯

출처: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5&oid=031&aid=0000606223>

 

 

 

CJ ENM, "더 이상 헐값에 못 넘겨"...KT에 콘텐츠 사용료 열 배 올려달라

김형규 기자  / 기사승인 : 2021-06-22 17:14:31

CJ ENM, KT에 1000% 인상률 요구…“기존 콘텐츠 헐값에 공급”

KT, 실사용자 수 등 데이터 제공 가능...CJ ENM측과 협상 지속

출처: < http://www.megaeconomy.co.kr/news/newsview.php?ncode=1065600895330305>

 

 

 

우리이앤엘, LG디스플레이 LED 모듈 시장 절반 점유

이기종 기자  승인 2021.06.22 15:04

LG이노텍 LED 사업 철수로 점유율↑

모니터·노트북용 LED 모듈 물량 확대

2분기 실적 개선 기대...칩 수급은 변수

출처: < http://www.thelec.kr/news/articleView.html?idxno=12945>

 

 

2021년 6월 23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Fed 의장이 예방적 금리인상을 일축하면서 나스닥이 신고가를 경신했습니다.

 

(2) 블랙스톤이 도심외곽 주택수요를 겨냥해 홈파트너스를 인수했습니다.  

 

(3) Point72가 변동성 트레이딩 인력을 확충했습니다.

 

미 5년 breakeven rate 2.467%, +0.043%p (2% 상회시 유의, 2.5% 상회시 경고)

한국 고객예탁금, 67.9조원 +0.9조원

 

한국 백신 접종률 18.4%(+0.0%p, 집단면역 70%)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09%

1개월 NDF 환율 1,133.65원 (+1.85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국내증시+미국증시 앞으로 1년]

(Feat. 앞으로 1년 Like 2007)

 

<Summary>

☑️향후 1년은 ‘가는 놈만 가는’ 매우 선별적인 장세가 될 것입니다. 따라서 지난1년보다 10배더 기업실적에 집중해야할 것입니다.

 

☑️과거1년이 유동성공급으로 주식은 다오르는 장세였으면, 이제 시장은 그 유동성의 끝을 생각할 것입니다. 따라서 전섹터, 전종목이 오르며 지수도 편하게 오르는 상황이 아닌, 소수의 섹터와 승리한 소수 종목군이 지수를 끌어올리는 상황을 전망합니다.

 

☑️투자 종목에 대한 아이디어는 최근 1-2달간 꾸준히 상승해온 종목들에서 힌트를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Main>

오늘 미국증시도 전일에 이어서 견조함을 이어갔습니다. 전일 약세였던 빅테크는 모두 반등하였습니다. 전일 상대적으로 약세였던 신재생에너지 등 PSR 고성장 종목들은 전반적으로 상승하였고, 경기민감주들은 일부 소폭 차익실현이 있었습니다. 나스닥에는 일간으로 $2.3b 넘게 지금이 유입되었습니다. 좋은 분위기 이지만 엄청나게 빠른 로테이션장세의 지속입니다.

 

미국과 국내증시는 사실상 코로나 쇼크 이후 상관관계가 매우 높습니다. 심지어 움직이는 섹터나 투자 스타일도 유사한 흐름입니다.

 

저희는 지금부터 연준의 첫번째 금리인상 구간 전까지 가는 놈만 계속 가는 장세를 전망하고 있습니다.

 

‘가는 놈만 간다.’

 

미국증시에서 오늘만 보아도 상장된 총 6,527종목 중에서 3,319종목이 하락, 3,208종목이 상승했습니다. 그러나 주요지수는 모두 상승했습니다. 하락종목이 더많은데 지수가 오르는 것은 가는 놈만 가기 때문입니다.

 

일단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실적과 펀더멘탈이 될 것입니다.(Back to the basic) 1분기 강세분위기까지는 주식을 가진자와 가지지 못한자가 차별화되는 장세였습니다. 코로나 쇼크이후 수십차례 말씀드렸던 ‘주식을 가진자’가 승리하는 장세였습니다.

 

그러나 지금부터는 다릅니다. 지금부터 미국의 첫번째 금리인상 논의 구간(빨라도 2022년 하반기로 예상)까지 약 1년의 시간동안 지수는 계속 올라갈 것입니다. 그러나 시장은 매우 차별적으로 ‘가는놈만’ 데리고 올라갈 가능성이 높습니다.

 

문제는 개인투자자분들은 일반적으로 가는놈에 올라타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실적이 2배 개선되어 주가가 3배오른 상태의 종목에 투자하는 것은 내공이 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그런 시기가 왔다고 판단합니다.

 

조금더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보겠습니다. 1Q21까지는 코로나로 급락한 모든 주식들이 인류의 코로나 극복에 맞춰서 대부분 유동성 파도와 함께 상승하는 장세였습니다.(주식만 있으면 승리)

 

문제는 이제 시장은 유동성 파티 마무리 시점을 고민하기 시작하는 상황이며, 2022년이 되면 코로나 경제셧다운을 극복하기 위한 이연+단기초과수요도 어느정도 마무리될 것입니다. 다시 정상적인 경쟁-경제 상황으로 돌아가는 것입니다. 즉, 경쟁력이 떨어지는 기업들은 이연수요(펜트업디멘드)+초과수요(부양책+유동성)가 없어지면 빠른속도로 다시 패자의 길을 걸을 것 입니다.

 

이런부분들을 지금 시장이 반영하고 있다고 저희는 생각합니다. 국내증시의 2월 이후 지속되고 있는 주도테마 없는 빠른 섹터로테이션도 이의 대표적인 특징입니다. 아직 시장이 주도주을 찾지 못한 것입니다. 미국시장에서는 하루가 멀다고 빅테크와 경기민감주, 중소형 고PSR종목들이 오르락내리락 하고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마켓타이밍이 복잡한 이런 시점에서 우리는 답을 ‘실적’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당분간 산업별/종목별 매우 현명하고 정교한 실적 추정과, 실적전망에 대한 고민이 필요해 보입니다. 또한 ‘지금’ 오르고 있는 개별종목들이 그 힌트가 될 수 있겠습니다.

 

PS. 저희는 연준이 결국 2024년은 되어야 금리인상이 가능할 것이라 생각합니다. 이컨데 경제성장률이 아래와 같은 상황에서 언제 금리를 올릴 수 있을 것인가? 에 대한 거시적 고민을 해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2020 : -3.5%

2021 : +7.0%(여기서 못올리면)

2022 : +3.5%

2023 : +1.4%(여기서도 못올림)

 

인플레이션은 시기의 문제이나 결국 안정화 될 것이며, 고용은 완전고용까지 가기에 생각보다 시간이 많이 필요할 것입니다. 거기다 바이든행정부의 완화적 이민정책도 빠른 고용회복에는 장애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당일 미국증시>

•나스닥 +0.8% / 러셀2000 +0.4%

•S&P500 +0.5% / 다우 +0.2%

-나스닥 Top10 : 상승 10 vs 하락 0

 

-비트코인 : $33,000

-미국채금리(10y) : 1.468 (+1.1%)

-WTI : $73.16 (+0.0%)

 

*코로나 : 신규확진자 감소

(전일 10,532 / WoW -36.6%)

-닥터파우치 : 델타변이가 매우 큰 위협

 

*파월 의회연설 : 선제적 금리인상 X

 

SMART한 주식투자

https://t.me/frankinvest

 

 

[6/23 미국 증시 리뷰 및 전망, 키움 전략/시황 한지영]

 

1. 미국 증시 리뷰

 

22일(화) 미국 증시는 장 초반 암호화폐 시장 폭락, 파월 의장 의회 연설을 앞둔 대기심리로 상단이 제한된 주가 흐름을 보였으나, 이후 파월 의장을 포함한 주요 연준 위원들의 완화적 기조를 재확인한 영향에 힘입어 상승세로 마감(다우 +0.2%, S&P500 +0.5%, 나스닥 +0.8%).

 

업종별로는 유틸리티(-0.7%), 부동산(-0.4%)를 제외한 경기소비재(+1.0%), 기술(+0.9%), 커뮤니케이션(+0.8%) 등 대부분 업종이 강세,

 

파월 의장은 경제 재개에 따른 소비 회복, 에너지 가격 강세, 병목 현상 등으로 최근 수개월간 인플레이션이 상승했으나, 일시적 요인(병목현상, 코로나발 기저효과 등)이 해소되면 인플레이션은 연준의 장기적인 목표치로 내려올 것으로 전망.

 

또한 시간이 지날수록 고용 증가가 탄력을 받을 것이며, 가을에는 강력한 고용 창출이 나타날 것이라고 예상하면서도, 고용이 너무 높다고 해서 금리를 선제적으로 인상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표명.

 

뉴욕 연은 총재는 인플레 급등이 일시적이며 2021년에 2%대로 복귀할 것으로 전망. 동시에 테이퍼링은 지표 의존적으로 결정될 것이며, 과도한 혼란을 주지 않고 통화정책 조정에 나설 계획이라고 밝힘.

 

클리블랜드 연은 총재도 고용 측면에서 테이퍼링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했다고 언급했으며, 샌프란시스코 연은 총재도 경제 지표의 단기적인 급변화에는 대응하지 말아야한다고 강조.

 

2. 미국 증시 평가

 

전일 파월의장 등 주요 연준위원들의 발언에는 특별히 새로운 내용이 없었지만, 기존의 입장을 재확인했다는 것만으로도 시장에 안도감을 제공했던 것으로 판단.

 

지난 19일(금) 조기 금리인상을 주장한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의 경우, 비둘기파에서 매파로 급격한 스탠스 전환을 했다는 점이 시장 불안을 유발했던 경험이 있었기 때문.

 

이번주 남은 기간에도 내내 연준 위원들의 잇따른 발언이 예정되어 있는 만큼, 계속해서 시장은 이들의 발언 변화를 확인하고자 하는 심리가 지배적일 것으로 판단,

 

추가적으로, (지금 당장은 아니지만) 연준 위원들이 전망했던 것처럼 최근의 높은 인플레이션이 연말까지는 이어질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매월 소비자물가 발표 전후로 수시로 시장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음에 유의할 필요.

 

 

[6/23 한국 증시 리뷰 및 전망, 키움 전략/시황 한지영]

 

1. 한국 증시 리뷰

 

22일(화) 코스피는 중소형주 중심의 차익실현 물량 출회에도, 연준발 불확실성 완화, 경제 정상화 기대감 지속, 원/달러 환율 하락 등 매크로 환경 개선에 힘입어 외국인이 경기 민감주 위주로 3,000억원대 순매수세에 나섬에 따라 상승 마감(코스피 +0.7%, 코스닥 +0.01%)

 

업종별로는 의약품(-1.14%), 비금속광물(-0.1%)을 제외한 섬유의복(+3.3%), 운수장비(+2.6%), 철강금속(+2.4%), 건설(+2.2%) 등 전업종이 강세.

 

수급별로는 외국인이 3,186억원 순매수한 반면, 기관과 개인이 각각 75억원, 3,382억원 순매도를 기록.

 

2. 한국 증시 전망

 

한국 증시는 파월 의장의 발언 이후 출현한 달러화 강세 제동, 미국 시장금리 변동성 진정 등에 힘입어 상승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상.

 

최근 외국인들의 수급을 보면, 환율 변화와 미국 업종 주가 변화를 반영하여 국내 증시에서 플레이를 하는 경향.

 

전거래일 미국 반도체 포함 기술주, 소비 관련주들이 강세를 보인 만큼, 금일 국내 증시에서도 관련 업종들로의 외국인 수급 유입을 주시해볼 필요.

 

아직까지 국내 증시는 순환매 장의 성격이 짙으므로, 경기 민감주 VS 성장주, 대형주 VS 중소형주 등 업종, 테마 간 차별화 장세는 지속될 것으로 예상.

 

더 나아가, 최근에는 업종, 테마 간 순환매가 돌더라도 해당 군에 속한 종목들이 동일한 주가흐름 보이고 있지 않기 때문에, 각 업종, 테마 내에서도 2분기 포함 실적 전망이 우월한 종목군들로 대응하는 것이 현재의 장세에서는 유리하다고 판단. 

 

https://www.kiwoom.com/h/invest/research/VMarketSDDetailView?sqno=4728

 

 

 

 

 

[미래에셋증권] 해외 금융시장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02-3774-1621)

 

◆ 미국 증시

- DOW: 33945.58p (+68.61p, +0.20%)

- S&P500: 4246.44p (+21.65p, +0.51%)

- NASDAQ: 14253.27p (+111.79p, +0.79%)

 

◆ 한국 관련

- MSCI 한국지수 ETF: 91.97p (-0.09p, -0.1%)

- MSCI 이머징지수 ETF: 54.21p (-0.25p, -0.46%)

  Eurex kospi 200 야간선물: 433.80p(+0.40p, +0.09%)

- NDF 환율(1개월물): 1,133.67원 / 전일 대비 1원 상승 출발 예상

 

◆ 외환시장

- 달러인덱스: 91.729 (-0.17, -0.18%)

- 유로/달러: 1.1939 (+0.002, +0.17%)

- 달러/엔: 110.68 (+0.41, +0.37%)

- 파운드/달러: 1.3949 (+0.0015, +0.11%)

 

◆ 미국 국채시장

- 2년물: 0.2281% (-2.6bp)

- 5년물: 0.8536% (-3.4bp)

- 10년물: 1.4649% (-2.4bp)

- 30년물: 2.0879% (-2.2bp)

(국채선물)

- 2YR T-Notes: 110*05   (+0*01 , +0.04%)

- 5YR T-Notes: 123*14 1/2 (+0*04 1/4, +0.11%)

- 10YR T-Notes: 132*11 1/2 (+0*05 , +0.12%)

- US T-Bonds: 159*30   (0*00 , 0%)

- Ultra US T-Bonds: 191*07   (+0*01 , +0.02%)

 

◆ 상품시장 ($, 단 곡물, 구리는 센트)

- WTI: 72.85 (-0.27, -0.37%)

- 브렌트유: 74.81 (-0.09, -0.12%)

- 금: 1777.4 (-5.5, -0.31%)

- 은: 25.898 (-0.167, -0.64%)

- 아연(LME, 3M): 2861.5 (+24.5, +0.86%)

- 구리: 421.9 (+3.45, +0.82%)

- 옥수수: 539 (-18, -3.23%)

- 밀: 655 (-10, -1.5%)

- 대두: 1302.25 (-17, -1.29%)

- BDI: 3190 (-28, -0.87%)

 

*동 자료는 2021년 6월 23일 미래에셋증권 홈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를 요약한 것입니다.

 

글로벌 주식시장 변화와 전망(6월 23일)

미래에셋증권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02-3774-1621)

 

비트코인 회복과 파월 발언에 힘입어 상승

 

미 증시는 전일 강세에 따른 차익 매물이 출회되며 약세를 보이기도 했으나, 연준 위원들의 발언에 힘입어 반등에 성공. 더불어 2만 9천달러를 하회하는 등 급락을 하던 비트코인이 반등하며 재차 3만 2,000달러를 넘어서자 관련 기술주 중심으로 강세를 보이며 나스닥의 강세가 뚜렷. 한편, 파월 연준 의장이 의회 증언을 통해 일시적인 인플레 및 경기 개선 지속, 온건한 통화정책을 시사한 점도 투자심리에 우호적인 영향을 주며 상승폭 소폭 확대(다우 +0.20%, 나스닥 +0.79%, S&P500 +0.51%, 러셀2000 +0.43%)

 

 

변화 요인: ①파월 발언 ②비트코인 ③아마존 효과

 

http://securities.miraeasset.com/bbs/maildownload/2021062305424803_3431

 

 

 

 

 

 

 

[하나 리서치 중국/신흥국 전략 김경환]

>중국 국가물자비축조정중심, 2021년 제1기 비철금속 정부비축분 방출 시작. 구리 재고 2만톤. 아연 재고 3만톤, 알루미늄 5만톤.

 

•2020년 중국 구리 소비량이 약 1,400만톤인데...

 

>家物资储备调节中心:定近期始投放2021年第一批储备2万,第一批储备3万、第一批储备5万

 

>한편, 상해환경에너지거래소는 탄소배출권 거래 시간을 공지. 거래방식과 시간은 중국 주식시장과 동일. 정식거래 개시 공지 임박했다고 판단.

 

《公告 ( https://mp.weixin.qq.com/s/fFA8HSfZ4qzQb2nx0pO6Dg)》指出, 除法定假日及交易机公告的休市日外,采取挂牌协议方式的交易每周一至周五上午9:30-11:30、下午13:00至15:00,采取大宗协议方式的交易每周一至周五下午13:00至15:00。采取价方式的交易段由交易机另行公告。

 

 

[2021.06.22 (화) 필라델피아 반도체] 하나금융투자 반도체 애널리스트 김경민, CFA

 

전일 대비 +0.42%, 3,185선 마감

상승주 18, 하락주 11

 

다우 +0.20%, 나스닥 +0.79%, S&P 500 +0.51%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반발 매수세 유입으로 월요일에 +0.61% 반등한 이후 화요일에 다시 반등해 전일 대비 +0.42% 마감. 제롬 파월 의장이 인플레이션에 대해 "팬데믹 영향으로 예상보다 물가 상승 영향이 컸으나 시간이 지나면 완화될 것"이라고 언급한 것이 반도체 업종 투자 심리에 긍정적 영향. 연초 이후 지나치게 빠른 속도의 물가 상승은 반도체 업종 투자 심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음. 아울러 뉴욕 및 샌프란시스코 연방준비은행 총재들이 테이퍼링과 금리 인상에 대해 상대적으로 매파적이지 않은 스탠스로 발언한 것도 반도체 업종 투자 심리에 긍정적 영향을 끼침. 미국 10년물 명목 금리는 장중에 1.4599%까지 하락하는 등 성장주나 기술주에 부담을 주지 않는 모습을 이어감

 

반도체 업종 내에서는 파운드리 관련 소식이 이어짐. 미국의 파운드리 공급사 GlobalFoundries가 싱가포르에 12인치 팹을 증설한다는 소식이 알려짐. 투자 금액은 40억 달러. 연간 기준 450K, 월별 기준 37.5K로 추정. 2023년부터 양산 시작. 이와 별도로 지난달에는 GlobalFoundries가 IPO를 추진하며 자금을 조달할 것이라는 추측성 뉴스가 있었음. 이번에 뉴스로 보도된 40억 달러 금액은 GlobalFoundries가 7nm 이하 선단 공정 로드맵을 접었던 시기 전후의 연간 설비투자 금액을 초과하는 금액임

 

한편 신임 CEO 부임 이후 파운드리 생산라인 증설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인텔에서는 조직 개편이 이어지고 있음. Data Platform Group을 2개의 신설 조직으로 구분. 데이터센터 & 인공지능 사업부와 Network & Edge 사업부로 구분. 이와 별도로 2개 사업부 신설. 소프트웨어 및 신기술 그룹과 High Performance Computing & Graphics 그룹 신설. 소프트웨어 및 신기술 그룹은 새로 부임하는 CTO 산하의 조직으로 운영될 예정. 인텔 주가는 전일 대비 보합 마감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내의 상승 주도는 고멀티플 성장주로 꼽히는 엔비디아와 AMD. 각각 +2.49%, +1.20% 상승 마감. 양사 주가에 심리적으로 영향을 끼치는 Bitcoin 가격이 28,824달러까지 하락했다가 다시 회복해 32,000선 이상을 유지하는 것도 심리적으로 긍정적 영향

 

엔비디아와 AMD를 제외하고 나머지 업종에서는 개별 종목 장세 연출. 반도체 장비주 중에 일부는 상승, 일부는 하락. 차량용 반도체 업종에서도 일부는 상승, 일부는 하락

 

메모리 반도체 및 스토리지 업종에서 마이크론만 유일하게 상승. 스토리지 관련주의 약세는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시아 지역의 코로나 확산과 셧다운 때문인 것으로 추정. 마이크론 +0.77%, WDC -1.07%, 실리콘 모션 -1.28%, Seagate -0.95%

 

[CPU & GPU] 인텔 +0.00%, AMD +1.20%, 엔비디아 +2.49%

 

[파운드리 ADR 및 후공정] TSMC +0.17%, UMC -1.29%, Amkor +0.96%,

 

[장비] ASML ADR +0.76%, AMAT +0.29%, 램리서치 +0.51%, KLA -0.06%, 테라다인 -0.21%

 

[5G] 퀄컴 +0.84%, Skyworks +0.15%, 코보 +0.01%, 브로드컴 -0.03%, Two Six +0.09%,

 

[아날로그] TXN +0.50%, ADI -0.29%, NXP -0.53%, 마이크로칩 -1.27%, 온세미 +0.96%

 

[공정소재] 캐봇 마이크로 +0.01%, 인테그리스 +2.41%

 

[웨이퍼] 신에츠화학 +1.2%, Sumco +0.7%, Globalwafers -1.2%

 

감사합니다.

 

———————————

하나금투 IT 김록호/김현수

———————————

 

6/23(수) 하나 테크 헤드라인

 

👨‍🔧안녕하세요. 김록호입니다.

중국 618 쇼핑데이 기간 동안 핸드셋 판매가 양호했다는 보도가 있었습니다. 6월 데이터 확인 시점까지 2주 넘게 남은 상황인데, 오랜만에 스마트폰 관련 긍정적인 소식이 들렸습니다. 저희는 4~5월 극심한 반도체 공급 부족이 일부 완화되며 물량이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는 입장입니다. 감사합니다.

 

<주요 뉴스>

 

# Digitimes: Handset chipmakers see improving order visibility for 3Q21

 

대만 반도체 제조업체들은 중국의 618 온라인 쇼핑 축제 기간 동안 휴대폰 판매 호조 덕분에 3분기 핸드셋향 LCD 드라이버 IC와 급속 충전 솔루션에 대한 주문 가시성이 명확해졌다고 언급했다.

 

https://bit.ly/3zNtyXN

 

# Digitimes: BT substrate supply may fall short of demand in 2H21

 

2분기 BT 패키지기판 공급부족이 심화될 것으로 보이나 여전히 ABF 패키지기판의 공급부족 상황이 더 악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https://bit.ly/3qjxs6l

 

<기타 뉴스>

 

# "아이폰12 미니 생산 중단..차기폰, 아이폰13 아닌 아이폰12s"

 

애플이 '아이폰12 미니' 생산을 종료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https://bit.ly/3j1JDmC

 

# 삼성전자, 신형 무선이어폰에 중국산 배터리 확대 적용

 

삼성전자가 조만간 출시할 무선이어폰에 중국 업체가 만든 배터리를 사용한다.

 

https://bit.ly/3vJiEyV

 

 

<글로벌 업체 주가 동향>

 

애플   +1.27%

샤오미   -3.22%

ZTE  -2.12%

레노버  +3.09%

  

무라타   +1.13%

타이요유덴  +0.19%

야교  -0.38%

Ibiden   +3.06%

Shinko   +3.12%

  

인텔  0.00%

마이크론   +0.77%

TSMC  -0.86%

퀄컴   +0.84%

미디어텍  -1.63%

  

UDC   +0.23%

BOE   +1.93%

AUO  +1.73%

  

Tesla   +0.46%

CATL   -0.57%

Umicore   +0.53%

Albemarle  +0.11%

 

(위 내용은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득함)

★하나IT텔레그램: https://t.me/ITforYouFromHana

 

 

 

[메리츠증권 반도체/디스플레이 김선우]

Meritz Overnight Tech 2021.6.23 (수)

 

★ 메모리 스팟가격

DRAM(DDR4 8Gb: 1D -0.15%, 1W 1.18%, 1M 4.25%)

시장 모멘텀 여전히 약세. 월말 재고 도착 예정으로 공장들은 제한된 수요를 내놓고 공급 업체들은 즉시 일부 문의를 줄임. 최종거래량은 부진하며 전체 가격은 하락세

 

NAND(MLC 64Gb: 1D -0.41%, 1W -0.71%, 1M -3.74%)

SLC 저용량 칩과 TLC 고용량 칩에 대한 문의 발생. 그러나 전반적인 구매 모멘텀은 지속되지 못하고 가격은 수동적. 실거래 환경은 제한적

 

★ 주요 뉴스 플로우

Intel, 소프트웨어와 고성능 컴퓨팅 사업부 재편 (Reuters)

https://reut.rs/3xLqWrM

 

Amazon 프라임데이, 최근 2개년보다 올해 초기 소비액 감소 추이 보여 (Bloomberg)

https://bloom.bg/3wNXnWc

 

글로벌파운드리, 싱가포르에 $4bn 투자 반도체 팹 신설 (CNBC)

https://cnb.cx/3vJoqRn

 

크롬북 출하 증가율 예상치 하회할 것으로 전망 (Digitimes)

https://bit.ly/3xWZl75

 

북미 반도체 장비 billing 수치 지속 강세 기록 (Digitimes)

https://bit.ly/3j4cG9h

 

DB하이텍, GaN·SiC 전력 반도체 만든다 (전자신문)

https://bit.ly/3d353fB

 

日 신에츠·섬코, 반도체 웨이퍼 증설 검토…SK실트론은? (디지털 데일리)

https://bit.ly/3gPSbf7

 

★ 전일 해외 관련업체 주요 주가 등락 (2%p 이상)

Sony(+3.1%), Lenovo(+3.1%), Asus(-2.1%), ZTE(-2.1%), Nvidia(+2.5%), Xilinx(+2.0%), Sharp(+2.1%), Kanto Denka(+2.5%), Idemitsu Kosan(+2.1%), Panasonic(+4.2%)

 

 

(자료: DRAMeXchange, Bloomberg, 언론자료)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메리츠증권 전기전자/2차전지 주민우]

 

★ 2차전지 주요 뉴스 (2021.6.23)

 

Audi, 2033년까지 내연기관차의 생산을 단계적으로 중단하며 2026년부터 글로벌 시장에서 전기차 모델만 출시할 예정. 또한 Audi는 2025년까지 라인업에 20개 이상의 전기차 모델을 보유한다는 목표 설정 (Electrek)

https://bit.ly/3gYkK8H

 

LG에너지솔루션, 오는 7월 인더스트리 배터리 인도네시아(IBI)와의 인도네시아 배터리공장 착공. 배터리 공장 건립을 위해 98억 달러(약 11조1,000억 원)가 투자되고 연산 10GWh 규모 배터리 생산설비가 설치될 예정 (글로벌이코노믹)

https://bit.ly/3wR2Prx

 

Daimler, 중국의 파라시스, CATL 등과 대규모 배터리 공급 계약을 체결했으나 파라시스의 배터리셀 샘플에 실망하며 배터리 자체 생산 방안 고려. 다임러가 배터리 자체 생산을 추진할 경우 합작사 설립 등 배터리업체와의 협업을 통해 진행할 가능성이 높은 상황. Daimler는 2030년까지 전체 판매량의 50% 이상을 전기차와 PHEV로 채울 계획 (오토데일리)

https://bit.ly/3wO4duQ

 

Varta, 자체 개발한 V4Drive 원통형 배터리셀 포르쉐에 공급할 예정. 다만  Varta는 독일 Ellwangen에서 파일럿 라인을 작업 중이며 올해 후반에 생산을 시작할 계획이기 때문에 공급까지는 시간이 다소 걸릴 전망. Varta의 V4Drive 셀은 첫 출시부터 스포츠 및 고성능 전기차를 타켓 (Electrive)

https://bit.ly/2SZYenY

 

중국 삼원계 양극재 제조기업 Ningbo Ronbay, 자회사인 Guizhou Ronbay를 통해 하이니켈 양극재 2기 공장 착공. 해당 공장 건설은 1기·2기·3기에 나눠서 이뤄지며 1기 공장은 2019년 완공해 생산에 돌입했으며 연간 생산 능력은 1만5,000t. 2기 공장과 3기 공장의 연간 생산 능력은 각각 4만t씩이며 2기 공장은 2022년 전 완공할 예정 (Argusmedia)

https://bit.ly/3d6euL7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하루를 여는 혁신투자자문 IPO News Letter💌 - 20210623』

 【 텔레그램 채널 주소 : https://t.me/KoreaIB

 【 IPO상장문의 및 이경준 대표 Contact ☞ 📧 ipo@kakao.com 】

 

===========================

 

 

📌Today's Topic1》

큰손들은 다 털고 나갔다…개미지옥으로 변한 '스팩 광풍'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106224261i

큰손 차익실현…개인은 폭풍매수 스팩 '폭탄 떠넘기기' 우려 커진다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1062252641

☞ 이경준 혁신투자자문 대표는 “2000원을 기준으로 합병하는 스팩은 주가가 2300원만 넘어도 합병이 어려워진다”고 설명했다.

 

 ------------------------------------------

 

📌Today's Topic2》

크래프톤, 공모가 수요예측 왜 오래할까

http://naver.me/xC6UGP8f

☞ 이경준 혁신투자자문 대표는 "이번 수요예측 진행 방식은 그동안 수요예측에 다수 참여해봤지만 정말 이례적"이라며 "앞서 밸류에이션이 높다는 말이 계속 나왔던 만큼 부담감을 느껴 기간을 넉넉하게 둔 것 아닐까 싶다"고 말했다.

 

 ------------------------------------------

 

📌Today's Topic3》

[금일 증권업계 주요기사] "거리두기 완화에" 내수·소비株 '들썩들썩'...통화정책 정상화시 좀비기업 직격탄, 고퀄株 '이목집중' 外

http://www.youthdaily.co.kr/news/article.html?no=74547

☞ 이경준 혁신투자자문 대표는 "보통은 수요예측 기간은 국내 기관 2일, 해외 기관 2주가량 잡는 경우가 많은 편"이라며 "최대한 실수요를 모아 IPO에 집중하는 전략으로 보인다"고 말했음.

 

 

===========================

 

★ 금일 IPO 일정 ★

 없음.

 

☆ 금주 남은 IPO 일정 ☆

 06/25 아모센스 상장★

 

 ------------------------------------------

 

▣ 기관IR 일정 ▣

 - 소규모 간담회로만 진행 中 -

 

▣ 상장 일정(예정, 변경가능) ▣

 06/25 아모센스(신한금융투자)

 07/13 오비고(NH투자증권)

 07/20 SD바이오센서(NH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07/22 크래프톤(미래에셋증권)

 07/23 큐라클(삼성증권)

 07/27 맥스트(하나금융투자)

 07/29 에브리봇(NH투자증권)

 미정 - 브레인즈컴퍼니(키움증권)

 미정 - 플래티어(KB증권)

 미정 - 딥노이드(KB증권)

 

▣ 심사 승인 ▣

 - 원티드랩(한국투자증권)

 - 바이젠셀(대신증권)

 - 카카오뱅크(KB증권)

 - 한컴라이프케어(미래에셋증권)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 국내 IPO 개별종목

■ 크래프톤 IPO 왜 지금인가…'몸값 최고 판단'

https://paxnetnews.com/articles/75354

 

■ 계속되는 임원이탈에 돌려막기?…상장 앞두고 '人事'가 고민인 티몬

http://www.investchosun.com/2021/06/22/3263141

 

■ 반도체 전공정 업체 HPSP, 상장 추진한다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6201459567560101087&lcode=00&page=3&svccode=00

 

 

▶️▶️▷ IPOmarket(해외IPO포함)

■ '오너님' 엑시트 창구된 프리 IPO?...장및빛 미래 vs 독이 든 성배

http://www.investchosun.com/2021/06/22/3263136

 

■ 대어와 함께 막차…코스닥 7곳도 '중복청약 효과' 기대감

http://naver.me/GfaxDKr2

 

■ 몸값 1조 넘는 대어만 10곳, 최대 ‘IPO 장’ 선다

http://naver.me/FXZzvoHV

 

■ K-바이오, 나스닥 노크 '봇물'…쿠팡처럼 성공할까

http://www.dailypharm.com/Users/News/NewsView.html?ID=277646&REFERER=NP

 

 

▶️▶️▷ 시장 이모저모

■ [단독]이베스트투자證, 부도 처리 서울문고에 90억 물렸다

https://news.mtn.co.kr/newscenter/news_viewer.mtn?gidx=2021062217522451535

 

 

▶️▶️▷ 시세/시황

[표]IPO장외 주요 종목 시세(6월 22일)

https://www.sedaily.com/NewsView/22NQIF7A5O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