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주식 스터디를 위해 개인적으로 스크랩한 증시캘린더, 국내 및 해외마감 시황, 뉴스 자료를 공유합니다.

증시캘린더는 개인적으로 관련된 소식을 확인후 작성한 일정이라 변동 또는 오류의 소지가 있습니다.

게시물은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한 것이라

불확실하거나 오류가 많을 수 있으므로 투자 활용시 유의하시기 바라며, 개별적인 종목 추천이나 상담은 하지 않습니다.

 

모쪼록 제 공간에 오신 모든 분들이 주식스터디를 통해 인생 한 방보다, 꾸준함을 믿으며...

복리의 마법으로 모든 분들이 성공한 개인투자자가 되시길...


[간밤 월드뉴스 총정리 310] SVB 나비 효과…은행주 급락/ 갭·오라클 실적/ 어사나 급등 왜?/ 우드의 테슬라 편애/ 바이든 예산안 분석/ 코인 급락

 

 

“美 은행주, SVB 파이낸셜 쇼크”…“전초전 실업수당은 20만 넘어” [김영필의 3분 월..

9일(현지 시간) 미국 뉴욕증시의 주요 지수가 2월 고용보고서 발표를 하루 앞두고 SVB 파이낸셜 쇼크가 더해지면서 급락했습니다. 나스닥이 2.... 서울경제 | 2023-03-10 07:09

 

[뉴욕증시]시스템 위험 공포…'유동성 위기설' SVB 충격파

실체를 가늠하기 어려운 공포가 금융시장을 짓눌렀다. 가상자산 전문은행 실버게이트에 이어 스타트업 전문은행 SVB 파이낸셜까지 흔들리면서 금융 시... 이데일리 | 2023-03-10 07:05

 

은행주 공포의 날…S&P500 1.85%↓[데일리국제금융시장]

고금리 여파에 미국 지역 은행의 손실이 가시화되면서 은행주가 급락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고강도 긴축 정책 전망에 은행주의 손실... 서울경제 | 2023-03-10 07:00

 

국채 수익률 떨어지고 실업수당 청구 늘었지만…뉴욕증시 이번엔 하락 마감 [월가월부]

9일 미국 주요 지수 동반 하락 테슬라·엔비디아·GM 매도세 실업수당청구 늘어도 시장 눈길은 10일 나올 ‘2월 일자리 보고서’로 미 국채 수익... 매일경제 | 2023-03-10 06:54

 

뉴욕증시, 고용 대기·은행주 약세에 하락…나스닥 2%↓마감

윤영숙 연합인포맥스 특파원 = 뉴욕증시는 다음날 나오는 미국의 고용 지표를 기다리며 은행주 약세에 하락했다. 9일(미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 연합뉴스 | 2023-03-10 06:50

 

출처: <https://finance.naver.com/news/news_list.naver?mode=LSS3D§ion_id=101§ion_id2=258§ion_id3=403>

 

뉴욕증시, 고용보고서 대기·은행주 악재에 일제 급락 ‘테슬라 5%↓’…유가 하락·비트코인 급락 [출근전 꼭 글로벌브리핑]

출처: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303100026&t=NN>

 

 

 

2023년 3월 10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실리콘밸리은행의 대규모 유증 발표로 S&P 은행주가 7.3% 내렸습니다.

 

(2) 여파로 나스닥이 2% 하락했고 미 2년 국채금리는 17bp 떨어졌습니다.

 

(3) 바이든이 고소득자 자본이득 법인세 증세를 담은 예산안을 발표했습니다.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973%p (+0.106%p)

한국 고객예탁금, 48.9조원 -0.6조원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60% (오전 5시 기준)

1개월 NDF 환율 1,324.30원 (+2.10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세줄요약과 한줄평 – SVB>

 

* 실리콘밸리은행 모회사 SVB Financial Group, 22.5억달러 유상증자 발표 2022년 말 자본총계 162억달러

 

* SVB, 2021년 실리콘밸리 호경기에 예금 81% 증가. 그걸 미 국채에 투자. Fed가 금리 인상하면서 채권 + 스타트업에서 18억달러 손실. 예금 감소 -> 국채 매도

 

* 지난 2월 CFO “고객들(스타트업) 펀딩 안되면서 차입 수요 증가”. 이 와중에 2022년 2~4분기 예금 13% 감소. 1~2월에도 예금 감소

 

한줄평 : VC 핫핸드 다크 나이트, “(스타트업) 대표님들이 상황이 얼마나 심각한지 모르세요”

 

 

 

03/10 [미래에셋증권] 해외 금융시장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 (02-3774-1621)

 

◆ 미국 증시

- DOW: 32,254.86p (-543.54p, -1.66%)

- S&P500: 3,918.32p (-73.69p, -1.85%)

- NASDAQ: 11,338.35p (-237.65p, -2.05%)

- 러셀2000: 1,826.59p (-52.89p, -2.81%)

 

◆ 한국 관련

- MSCI 한국지수 ETF: $57.74 (-1.45, -2.45%)

- MSCI 이머징지수 ETF: $38.04 (-0.86, -2.21%)

- Eurex kospi 200: 314.95p (+0.30p, +0.10%)

- NDF 환율(1개월물): 1,323.65원 / 전일 대비 1원 상승 출발 예상

- 필라델피아 반도체: 2,980.21 (-61.18, -2.01%)

 

◆ 외환시장

- 달러인덱스: 105.267 (-0.391, -0.37%)

- 유로/달러: 1.0577 (+0.0032, +0.30%)

- 달러/엔: 136.11 (-1.25, -0.91%)

- 파운드/달러: 1.1916 (+0.0071, +0.60%)

 

◆ 미국 국채시장

- 2년물: 4.8742% (-19.6bp)

- 5년물: 4.1913% (-15.8bp)

- 10년물: 3.9071% (-8.4bp)

- 30년물: 3.8630% (-3.1bp)

- 10Y-2Y: -96.71bp (11.17bp 역전 축소)

(국채선물)

- 2YR T-Notes: 101*21 1/4 (+0*12 1/2, +0.39%)

- 5YR T-Notes: 106*26 1/2 (+0*21 1/2, +0.63%)

- 10YR T-Notes: 111*15 1/2 (+0*23 , +0.65%)

- US T-Bonds: 125*27   (+0*21 , +0.52%)

- Ultra US T-Bonds: 136*11   (+0*11 , +0.25%)

 

◆ 상품시장 ($, 단 곡물, 구리는 센트)

- WTI: 75.72 (-1.10, -1.43%)

- 브렌트유: 81.59 (-1.15, -1.39%)

- 금: 1,834.60 (+16.80, +0.92%)

- 은: 20.17 (-0.02, -0.10%)

- 아연(LME, 3M): 2,974.00 (-1.00, -0.03%)

- 구리: 403.90 (-1.95, -0.48%)

- 옥수수: 611.50 (-13.25, -2.12%)

- 밀: 665.75 (-22.25, -3.24%)

- 대두: 1,510.75 (-4.50, -0.30%)

 

*동 자료는 2023년 3월 10일 미래에셋증권 홈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를 요약한 것입니다.

 

글로벌 주식시장 변화와 전망(3월 10일)

미래에셋증권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02-3774-1621)

 

미 증시, 금리하락 불구 정치 불확실성과 실버게이트 여파로 하락

 

미 증시는 고용지표 부진에 따른 국채 금리 하락과 달러 약세 등에 힘입어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실버게이트(-42.16%) 자진 청산 소식에 따른 금융주의 부진이 발목을 잡으며 상승 반납. 더불어 바이든 대통령의 예산안 발표와 법인세 인상 추진 등으로 인한 정치 불확실성이 부각되며 하락 전환. 일부 기술주가 호재로 인해 강세를 보이며 견조한 모습을 보이기도 했으나, 정치 불확실성 여파로 낙폭 확대(다우 -1.66%, 나스닥 -2.05%, S&P500 -1.85%, 러셀2000 -2.81%)

 

변화요인: ①고용지표 둔화 ②바이든 예산안 ③실버게이트

https://securities.miraeasset.com/bbs/download/2103816.pdf?attachmentId=2103816

 

03/10 한국 증시: 미국 정치 불안 속 매물 소화 과정 진행 전망

미래에셋증권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02-3774-1621)

 

MSCI 한국 지수 ETF는 2.45%, MSCI 신흥 지수 ETF는 2.21% 하락. NDF 달러/원 환율 1개월물은 1,323.65원으로 이를 반영하면 달러/원 환율은 1원 상승 출발 예상. Eurex KOSPI200 선물은 0.60% 하락. KOSPI는 0.7% 내외 하락 출발 예상

 

미 증시가 장 후반 바이든 대통령의 예산안 발표에 따른 정치 불확실성이 부각되며 하락한 점은 한국 증시에 부담. 특히 최근 유입되고 있는 미국의 부채한도 협상에도 영향을 줘 투자 심리 위축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도 부정적. 더불어 예산안에 미국 자본의 대 중국 기업 투자를 통제하는 예산이 포함되었다는 점도 미-중 갈등을 야기시킬 수 있어 부담

 

한편, 미국 국채 금리가 급락한 점은 투자 심리에 우호적인 영향과 부정적인 영향을 동반한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 장 초반 국채 금리 하락은 미국 고용지표 부진에 따른 것인데 이는 연준의 3월 50bp 인상 가능성을 일부 약화시킬 수 있다는 점에 기인. 그렇지만, 추가적인 하락은 미국 정치 불확실성과 그에 따른 안전자산 선호심리가 부각되며 채권 수요가 증가한 데 따른 것이라는 점을 감안 투자심리에 부담.

 

물론, 바이든 대통령의 예산안은 의회 통과가 쉽지 않다는 점을 감안 지루한 협상이 진행될 것으로 예상돼 단기적인 영향에 그칠 수 있다는 점에서 지수 하락은 제한할 것으로 예상. 관련해 3월 16일 옐런 재무장관의 의회 청문회를 앞두고 있다는 점도 주목. 이를 감안 한국 증시는 미 정치 불확실성으로 0.7% 내외 하락 출발할 것으로 예상되나 단기적인 매물 소화 과정에 그칠 것으로 전망

 

03/10 한국 증시: 미국 정치 불안 속 매물 소화 과정 진행 전망

미래에셋증권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02-3774-1621)

 

MSCI 한국 지수 ETF는 2.45%, MSCI 신흥 지수 ETF는 2.21% 하락. NDF 달러/원 환율 1개월물은 1,323.65원으로 이를 반영하면 달러/원 환율은 1원 상승 출발 예상. Eurex KOSPI200 선물은 0.60% 하락. KOSPI는 0.7% 내외 하락 출발 예상

 

미 증시가 장 후반 바이든 대통령의 예산안 발표에 따른 정치 불확실성이 부각되며 하락한 점은 한국 증시에 부담. 특히 최근 유입되고 있는 미국의 부채한도 협상에도 영향을 줘 투자 심리 위축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도 부정적. 더불어 예산안에 미국 자본의 대 중국 기업 투자를 통제하는 예산이 포함되었다는 점도 미-중 갈등을 야기시킬 수 있어 부담

 

한편, 미국 국채 금리가 급락한 점은 투자 심리에 우호적인 영향과 부정적인 영향을 동반한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 장 초반 국채 금리 하락은 미국 고용지표 부진에 따른 것인데 이는 연준의 3월 50bp 인상 가능성을 일부 약화시킬 수 있다는 점에 기인. 그렇지만, 추가적인 하락은 미국 정치 불확실성과 그에 따른 안전자산 선호심리가 부각되며 채권 수요가 증가한 데 따른 것이라는 점을 감안 투자심리에 부담.

 

물론, 바이든 대통령의 예산안은 의회 통과가 쉽지 않다는 점을 감안 지루한 협상이 진행될 것으로 예상돼 단기적인 영향에 그칠 수 있다는 점에서 지수 하락은 제한할 것으로 예상. 관련해 3월 16일 옐런 재무장관의 의회 청문회를 앞두고 있다는 점도 주목. 이를 감안 한국 증시는 미 정치 불확실성으로 0.7% 내외 하락 출발할 것으로 예상되나 단기적인 매물 소화 과정에 그칠 것으로 전망

 

 

 

 

 

 

 

(2023.03.10) U.S.& EU Market Closing

  • 2023.03.10  류재형
  • U.S. Market Closing  06:00 기준
지수 종가 등락폭 등락률 상승/하락/보합
DOW 32,254.86 -543.54 -1.7% 1/29/0
S&P500 3,918.32 -73.69 -1.8% 30/473/0
NASDAQ 11,338.35 -237.65 -2.1% 565/2633/387
RUSS 2K 1,827.98 -51.50 -2.7% 181/1725/19
PHLX 반도체지수 2,980.21 -61.18 -2.0% 2/27/0
VIX지수 22.51 3.40 17.8%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 티레이더에서 나스닥 •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실시간 제공

 

장 초반 발표된 주간 실업수당 청구건수가 예상치(195,000)보다 많은 211,000건으로발표되면서 미국 증시는 상승세로 시작했으나 위험선호심리가 위축된 상황에서 매도 우세 국면이 진행되면서 하락폭을 키우며 3대지수 모두 2% 가까이 하락함예상보다많은 실업수당 청구건수에 대해 그동안 초 강세를 보여왔던 미국 고용시장의 변곡 신호로 받아들이는 분석이 나오기도 했으나 여전히 금일 예정된 2월 실업률비농업고용지수임금데이터 등 주요한 고용지표들에 대한 기대보다는 우려가 큰 상황임바이든 대통령은 법인세 인상부유세 신설 등 증세안을 발표함금 가격은 소폭 반등했으며 에너지가격은 오늘도 하락.

U.S. ETF Closing  06:00 기준

Sector

분류 티커 현재가 등락률 t신호 수익률






1개월 3개월 1
유틸리티 XLU 65.45 -0.80% 안개 -3.30% -9.20% -4.20%
필수소비재 XLP 71.47 -0.92% 안개 -2.10% -6.00% 2.10%
헬스케어 XLV 125.07 -1.01% 안개 -5.60% -10.20% -2.20%
에너지 XLE 83.73 -1.38% 안개 -7.20% -2.20% 17.10%
IT XLK 138.22 -1.42% 안개 -1.50% 2.40% -1.30%
산업재 XLI 100.89 -1.46% 안개 -1.20% 0.20% 4.40%
커뮤니케이션 XLC 53.01 -2.25% 안개 -3.50% 4.90% -15.90%
부동산 VNQ 83.57 -2.30% 안개 -7.10% -3.80% -15.70%
자유소비재 XLY 139.66 -2.34% 안개 -5.80% 0.10% -14.10%
소재 XLB 79.89 -2.56% 안개 -2.60% -2.90% 0.00%
금융 XLF 33.53 -4.09% 안개 -8.10% -3.80% -7.10%

자료티레이더유안타증권해외투자전략팀

고용지표 발표를 앞두고 시장의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 하에서 ETF시장도 전반적인 약세를 시현함전일 실버게이트 캐피털(SI,-41.96%)에 이어 금일은 기술중심 은행인 SVB 파이낸셜그룹(SIVB,-60.41%)이 채권판매손실 보전을 위해 20억달러규모의 자금모집 계획을 발표한후 폭락하는 등 패닉을 겪으면서 금융섹터(XLF,-4.09%) 가 큰 폭의약세를 보임.

Thematic

분류 티커 현재가 등락률 t신호 수익률






1개월 3개월 1
클린에너지 ICLN 19.46 -1.52% 안개 -1.10% -7.20% -1.70%
반도체 SOXX 412.88 -1.99% 안개 -1.10% 6.80% -0.60%
기술혁신 ARKK 37.31 -4.12% 안개 -4.80% 5.70% -28.70%
은행 KRE 53.01 -8.13% 안개 -15.80% -10.40% -22.90%
비트코인 BITO 12.32 -9.21% 안개 -8.20% 13.20% -48.30%

자료티레이더유안타증권해외투자전략팀

기술관련 은행들이 연이은 약세를 보이며 은행테마(KRE,-8.13%)의 약세가 두드러짐금리인상 우려에 금리에 민감한비트코인(BITO,-9.21%), 기술혁신(ARKK,-4.12%) 테마역시 큰폭의 약세를 기록함금일 상승을 기록한 테마가 없을 정도로 심리가 매우 취약한 것으로 보이며당분간은 금리인상 이슈가 상승을 제한할 것으로 보임.

 

EU Market Closing  02:30 기준

지수 종가 등락률 구분 업종 등락률
STOXX 600 459.98 -0.2%
정보기술 0.5%



상승 산업재 0.4%




필수소비재 0.1%




금융 -0.8%



하락 소재 -1.1%




부동산 -3.4%
지수 종가 고가 저가 등락폭 등락률
 DAX 15,633.21 15,667.05 15,535.13 1.34 0.0%
 FTSE 100 7,879.98 7,930.26 7,862.01 -49.94 -0.6%
 CAC 40 7,315.88 7,333.22 7,274.05 -8.88 -0.1%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해외투자전략팀

금리 인상이 예상보다 길어지고 높은 방향으로 움직일 것이라는 우려에 따라 약세를 보인 유럽 증시는 부동산 섹터가큰폭의 하락세를 보이며 지수의 하락을 이끌었음장중에 낙폭을 키우던 유럽증시는 장 후반 반등하면서소폭의 하락에 그침독일의 부동산 업체인 LEG Immobilien은배당금 지급을 중단을 발표한 후 11.4%하락는 등 부동산 섹터는 약세를 보이면서 3.2%하락하며 동 섹터는 2개월만의 최저치를 기록함정보기술 섹터는 전일에 이어 양호한 움직임을 보였음크레딧 스위스는미국 감독기관이 재무제표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 가운데 연례보고서 발표를 연기하면서 1.9%하락 마감함.

 

출처: <https://m.myasset.com/extern/researchPortal/RP_0001000_P1.cmd?menuid=RP_0105000_P1&searchKeyGubun=1&keyword=&page=1&base_date=20230310062325&gbn=B&res_seq=186582>

 

 

 

 

[한투증권 전기전자/2차전지 조철희]

3월10일 IT 주요뉴스

 

● 미래 고객 놓치나…GM 전기차 생산 지연

-GM이 신규 전기차 모델인 GMC 허머 EV와 캐딜락 리릭의 출고가 예상 대비 느려지면서 전기차로의 전환에 고전하고 있는 상황

-경쟁사 포드에 미국 내 전기차 시장 점유율이 뒤쳐진 가운데 생산 속도 지연이 자칫 잠재 고객의 이탈로 이어질 가능성 존재

Link: https://bit.ly/41X1Tli

 

● 앞다퉈 한국 찾는 럭셔리車 CEO… 배터리 협력 모색도

-최근 글로벌 고급차 업체 경영진들이 잇따라 방한. 한국 시장이 더욱 성장할 여지가 있다는 판단. 뿐만 아니라 슈퍼카 역시 전동화 전화이 관건인 만큼 국내 배터리사와 협력을 모색하기 위함으로 풀이

-지난 8일 방한한 홀마크 벤트리 CEO가 국내 배터리 업체와 만남을 가질 것으로 전망됐으나, 성사되지 않음. 조만간 재방문하여 기술 협력을 모색할 것. 오트보쉬 롤스로이스 CEO의 방한 행보도 주목할 필요

Link: http://bit.ly/3J7uGLg

 

● LG엔솔, 인터배터리서 LFP·전고체 전지 공개

-인터배터리에서 LG에너지솔루션은 LFP 배터리를 공개. LFP는 ESS 존에서 공개하며 국내 전시회에서 LFP셀을 공개하는 것은 처음

-뿐만 아니라, 전고체 전지와 고에너지 밀도의 경량 리튬황 전지 등 차세대 전지 기술도 공개

Link: https://bit.ly/3FbK2gK

 

● 中 비야디, 전기 상용차 시장 진출... 3년간 26조 3000억원 투입

-중국 1위 전기차 업체 비야디가 25년까지 200억 달러를 투입해 중국, 유럽, 일본 등에서 상용차 모델을 선보일 예정. 올 1~2월 버스를 제외한 상용차 판매량이 전년 대비 10배 이상 확대

-비야디 측은 '블레이드 배터리'로 전기 상용차 시장에서 승부를 볼 계획. 블레이드 배터리는 모듈을 없애고 배터리팩에 담아 차 중량과 공간을 최소화하고 에너지 밀도를 높인 LFP 배터리임

Link: https://bit.ly/3ylSuGt

 

● 파우치만 하지 않아…SK온, 각형·LFP 배터리 공개

-인터배터리에서 SK온이 각형 배터리 실물 모형을 선보인다고 발표. 그간 파우치 배터리만 공급했으나 연내 각형 시제품 생산에 돌입할 예정

-이 밖에도 코발트 프리 배터리, LFP 배터리, 전고체 배터리 등 차세대 배터리 공개가 기대할 만한 요소

Link: https://bit.ly/3ZUUNMc

 

● '내년 첫 출시' 애플 OLED 아이패드, 200만원 웃돌 가능성

-내년 처음 출시할 애플의 OLED 아이패드 가격이 200만원을 웃돌 가능성이 존재. 현재 아이패드 대비 60% 이상 높은 가격. 다만 가격 추정치는 변할 수 있음.

-LGD와 SDC가 납품할 예정인 OLED가 아직 개발 단계라 가격도 결정되지 않은 상황. OLED 아이패드의 패널 가격, 출하량 전망에 따라 LGD,SDC,BOE의 IT용 8세대 OLED 투자에도 영향을 미칠 것

Link: http://bit.ly/3J1CKgM

 

● 인도 공략 공 들이는 애플… 조직개편하고 매장 직접 운영

-애플에서 인도와 중동, 지중해, 동유럽, 아프리카 등을 총괄하던 휴그 아세만 부사장이 퇴임하면서 애플이 인도에 더 초점을 맞추기 위한 조직 개편에 나설 것

-다른 지역과 묶여 있던 인도를 따로 분류해 인도의 중요성을 간접적으로 암시. 또한, 인도에 직접 매장을 운영키로 하고 올해 중 오프라인 애플스토어 오픈을 위한 채용에 나선 것으로 알려짐

Link: http://bit.ly/3YOIP69

 

● Mexico sees industrial revival as Tesla and other big companies settle in(Digitimes)

-Reuters에 따르면, 멕시코 내 테슬라 기가팩토리를 건설하겠다는 공식 발표 이후에 멕시코 정부는 테슬라가 멕시코에 배터리 공장을 지을 것을 제안했다고 밝힘

-다만, 멕시코는 미국 IRA 인센티브에 필적하는 혜택을 제공할 수는 없을 것. 한편, Nuevo Leon 주지사인 Garcia는 테슬라 뿐만 아니라 해당 지역 내 투자 발표를 기다리는 업체가 두 곳 정도 있다고 발표

Link: http://bit.ly/3mGek4U

 

● CATL takes over Sichuan mining company to hold more lithium resources(Digitimes)

-CATL은 최근 구조조정 중인 중국 리튬 광산 회사 Sinuowei Mining을 인수. 이번 인수 건으로 CATL이 배터리 원재료 생산과 가격에 영향력을 행사하게 될 것

-CATL은 인수가 공식화 된 후 2년 이내에 Sinuowei가 생산을 재개할 수 있도록 도울 것임을 밝힘

Link: http://bit.ly/3T3TYi2

 

『하루를 여는 이경준 혁신IB자산운용 대표의  화(話)가 담긴 IPO Daily💌 - 20230310』

【 텔레그램 채널 주소 : https://t.me/KoreaIB

【 IPO상장 및 투자자문 문의 ☞ 📧 ipo@kakao.com 】

 

===========================

 

📌Today's Topic》

시장에 돈 돌때 자금 마련 미리… 대형 스팩주 연이어 증시 노크

https://naver.me/xOmwaVZf

🎙이경준 혁신IB자산운용 대표는 “대형 스팩이 늘어난다는 것은 1000억원 정도 되는 중견 기업을 붙인다는 의미”라며 “지금 시장에 1000억원대 기업도 씨가 마른 상황이라 IPO가 사실 쉽지 않지만 시장에 돈이 돌 때 미리 자금을 조달받으려는 목적”이라고 말했다. 스팩 순자산 규모가 크면 합병 대상 기업을 찾는 것 역시 어려워진다.

 

 

===========================

 

★ 금일 일정 ★

 없음

 

☆ 다음주 일정 ☆

 03/13 금양그린파워 상장⭐️

 03/13~14 엘비인베스트먼트 수요예측⚖️

 03/15~16 지아이이노베이션 수요예측⚖️

< 출처 : 🇰🇷이경준 혁신IB자산운용 대표의 화(話)💬 https://t.me/KoreaIB >

------------------------------------------

 

▣ 기관IR 일정 ▣

- 온라인 및 소규모 간담회로만 진행 -

 

▣ 상장 일정(예정, 변경가능) ▣

 03/13 금양그린파워(삼성증권)

 03/30 엘비인베스트먼트(미래에셋증권)

 03/30 지아이이노베이션(NH투자증권, 하나증권)

 04/13 에스바이오메딕스(미래에셋증권)

 미정 : 틸론(키움증권)

 미정 : 블루포인트파트너스(한국투자증권)

 

▣ 심사 승인 ▣

 - 트루엔(미래에셋증권)

 - 큐라티스(대신증권, 신영증권)

 - 토마토시스템(교보증권)

 - 씨유박스(신한투자증권, SK증권)

 - 모니터랩(미래에셋증권)

 - 마이크로투나노(한국투자증권)

 - 진영(하이투자증권)

< 출처 : 🇰🇷이경준 혁신IB자산운용 대표의 화(話)💬 https://t.me/KoreaIB >

===========================

728x90
728x90

주식 스터디를 위해 개인적으로 스크랩한 증시캘린더, 국내 및 해외마감 시황, 뉴스 자료를 공유합니다.

증시캘린더는 개인적으로 관련된 소식을 확인후 작성한 일정이라 변동 또는 오류의 소지가 있습니다.

게시물은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한 것이라

불확실하거나 오류가 많을 수 있으므로 투자 활용시 유의하시기 바라며, 개별적인 종목 추천이나 상담은 하지 않습니다.

 

모쪼록 제 공간에 오신 모든 분들이 주식스터디를 통해 인생 한 방보다, 꾸준함을 믿으며...

복리의 마법으로 모든 분들이 성공한 개인투자자가 되시길...


[간밤 월드뉴스 총정리 39] 살짝 달라진 파월/ 역시 고용이 문제/ 캐나다, 금리 인상 첫 중단/ 테슬라의 3가지 악재/ 남들 감원할 때 더 뽑는 이곳/ 연착륙의 조건

 

 

긴축 경계감 여전…고용·물가지표 기다리며 '혼조세' [뉴욕증시 브리핑]

뉴욕증시가 혼조세를 보였다. 긴축 경계감이 지속됐지만, 새로 나올 고용·물가지표를 기다리며 다소 진정하는 모습이었다. 8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 한국경제 | 2023-03-09 07:27

 

파월 발언에 적응 중인 뉴욕증시…반도체·기술주 위주 상승 마감 [월가월부]

8일 다우30 지수 제외 동반 상승 ON반도체·옥시덴털 주가 강세 파월 “3월 금리 인상폭 아직 미정” 베이지북, 소매·관광 확장 주목 국채 수... 매일경제 | 2023-03-09 07:10

 

뉴욕증시, 파월 발언·고용 지표에 혼조 마감 ‘테슬라 3.04%↓’…유가 하락·비트코인 보..

뉴욕증시는 8일(현지시간) 혼조 마감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58.06포인트(0.18%) 하락한 3만279... 한국경제TV | 2023-03-09 07:08

 

[뉴욕증시]"침체 전까지 연준 출구 없다"…고용 과열 긴장감

미국 뉴욕 증시가 혼조를 보였다.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의 매파 발언을 소화하는 와중에 고용보고서를 대기하며 통화 긴축에 대한 긴... 이데일리 | 2023-03-09 06:45

 

뉴욕증시, 파월 발언·민간 고용에 혼조…나스닥 0.4%↑마감

윤영숙 연합인포맥스 특파원 = 뉴욕증시는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연준·Fed) 의장의 의회 증언과 민간 고용 지표를 소화하며 혼조세를 보였다. ... 연합뉴스 | 2023-03-09 06:43

출처: <https://finance.naver.com/news/news_list.naver?mode=LSS3D§ion_id=101§ion_id2=258§ion_id3=403>

 

뉴욕증시, 파월 발언·고용 지표에 혼조 마감 ‘테슬라 3.04%↓’…유가 하락·비트코인 보합 [출근전 꼭 글로벌브리핑]

출처: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303090028&t=NN>

 

 

2023년 3월 9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미국 1~2월 고용지표들이 예상을 웃돌며 금리가 올랐습니다.

 

(2) 파월 상원 증언이 하원보단 약하다고 평가되며 주가 약세가 진정됐습니다.

 

(3) 네덜란드 정부가 EUV에 이어 DUV의 중국 수출도 제한합니다.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1.082%p (-0.037%p)

한국 고객예탁금, 49.5조원 +1.2조원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10% (오전 5시 기준)

1개월 NDF 환율 1,315.73원 (-5.62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미국 하락 : 파월의 반격]

(Feat.결국 2월 CPI가 결정할 것)

 

☑️결국 3/14 발표예정인 2월 CPI가, 3/22 FOMC의 선택을 결정할 것

 

<2월 CPI 시뮬레이션>

https://t.me/frankinvest/4573

 

✔️Powell 의회증언 한마디요약

1월 CPI를 보면 50bp인상해야 하지만, 3월 FOMC전 발표되는 2월 CPI를 보고 결정할 것

 

•주요 지수는 아침 소폭 상승하며 시작했으나, 파월의장이 의회증언에서 1월 CPI 레벨이 유지되면(더딘 개선) 50bp인상이 가능할 수 있다는 의사를 내비치며 하락 전환하여 주요지수 -1.5% 내외 하락 마감

 

•국채금리 2년물은 파월의장의 발언으로  상승하며 5%에 도달했으나, 10년물/30년물은 하락하며 4% 하회

 

•파월발 추가적인 빅스텝 가능성 상승이 증시 하락의 원인이었는데 지수 하락폭은 다우존스가 나스닥보다 컸고, 메가테크 역시 전반적으로 지수(나스닥) 대비 선방

 

•오늘 지수는 하락했으나, 파월의장이 발언이 많이 매파적이었음을 감안하면 50bp인상 역시 시장이 상당부분 선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가능

(‘나스닥 기준 최소 2%는 빠질줄 알았는데 1%빠졌네’ 같은 상황)

 

SMART한 주식투자

 

[Sea 4Q22 : 슈퍼슈퍼 서플]

(Feat. 미친실적 발표하다!)

 

☑️미국 시장에서 미드급(시총$10B~$50B) Named 성장주들의 4Q22실적을 분석해보면 수익성에 대한 의심으로 2022년 주가가 토막난(기본 1/4토막)기업들 중 꽤 많은 기업들이 4Q22를 기점으로 급속하게 수익성이 개선되기 시작하고 있으며, Sea의 실적 개선강도는 이들 중 화룡점정

 

이것이 미국 증시 반등의 힘중 하나가 아닐까?

 

☑️동남아/남미 이커머스 ‘독+과’점적 사업자로 GMV성장을 잠시 내려놓으니 빛의 속도로 개선된 수익성

 

이커머스사업부(shopee)의 EBITDA는 4Q21의 $525M 적자에서 4Q22 $196흑자로 1년만에 무려 1조원수준을 개선시킴

 

☑️반면 freefire(크래프톤 배틀로얄 경쟁게임)의 노후화와 포스트 코로나(실내활동 대비 실외활동 증가) 영향 지속으로 부킹금액(게임머니구매액) 하락세는 지속

 

그러나 2Q23~3Q23 Sea의 Digital Entertainment(게임) 사업부의 대작 신작게임 Undawn 베타테스트 시작 예정

 

<실적 요약>

•EPS: +$0.72  vs  -$0.79e

☑️이번 실적발표로 12m_fwd PER은 25배 수준

(역사상 첫번째 분기흑자로 첫 PER)

 

•Revenue : $3.45B  vs  $3.06Be

>Revenue

Total : YoY +7% ($3.45B)

E-commerce : YoY +44% ($1.8B)

Fintech : YoY +92% ($0.38B)

 

>Gaming Bookings : YoY -49.7%

($0.54B)

 

>E-commerce GMV

USD 기준 : YoY -1%

Local Currency 기준 : YoY +8%

 

•현금성자산 : $6.9B(QoQ -$0.4B)

☑️조만간 분기 현금성자산이

 

SMART한 주식투자

 

[Silvergate bank 셧다운]

 

☑️코인판에 악재의 소멸일지 악재의 시작일지..

 

•실버게이트은행은 영업을 중단하고 자발적으로 은행을 청산할 예정

 

SMART한 주식투자

 

 

03/09 [미래에셋증권] 해외 금융시장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 (02-3774-1621)

 

◆ 미국 증시

- DOW: 32,798.40p (-58.06p, -0.18%)

- S&P500: 3,992.01p (+5.64p, +0.14%)

- NASDAQ: 11,576.00p (+45.67p, +0.40%)

- 러셀2000: 1,879.48p (+0.75p, +0.04%)

 

◆ 한국 관련

- MSCI 한국지수 ETF: $59.19 (+0.16, +0.27%)

- MSCI 이머징지수 ETF: $38.90 (+0.16, +0.41%)

- Eurex kospi 200: 314.95p (+0.30p, +0.10%)

- NDF 환율(1개월물): 1,315.00원 / 전일 대비 7원 하락 출발 예상

- 필라델피아 반도체: 3,041.39 (+78.97, +2.67%)

 

◆ 외환시장

- 달러인덱스: 105.664 (+0.049, +0.05%)

- 유로/달러: 1.0546 (-0.0003, -0.03%)

- 달러/엔: 137.32 (+0.16, +0.12%)

- 파운드/달러: 1.1848 (+0.0018, +0.15%)

 

◆ 미국 국채시장

- 2년물: 5.0595% (+5.1bp)

- 5년물: 4.3382% (+2.7bp)

- 10년물: 3.9795% (+1.6bp)

- 30년물: 3.8831% (+1.1bp)

- 10Y-2Y: -108.00bp (3.53bp 역전 확대)

(국채선물)

- 2YR T-Notes: 101*10   (-0*03 1/2, -0.11%)

- 5YR T-Notes: 106*08   (-0*04 1/2, -0.13%)

- 10YR T-Notes: 110*29 1/2 (-0*03 , -0.08%)

- US T-Bonds: 125*11   (+0*06 , +0.15%)

- Ultra US T-Bonds: 136*02   (+0*08 , +0.18%)

 

◆ 상품시장 ($, 단 곡물, 구리는 센트)

- WTI: 76.66 (-1.10, -1.42%)

- 브렌트유: 82.66 (-0.81, -0.97%)

- 금: 1,818.60 (-1.40, -0.08%)

- 은: 20.15 (-0.09, -0.44%)

- 아연(LME, 3M): 2,975.00 (+21.00, +0.71%)

- 구리: 402.70 (+5.60, +1.41%)

- 옥수수: 625.50 (-8.00, -1.26%)

- 밀: 687.50 (-10.50, -1.50%)

- 대두: 1,517.75 (+2.75, +0.18%)

 

*동 자료는 2023년 3월 9일 미래에셋증권 홈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를 요약한 것입니다.

 

글로벌 주식시장 변화와 전망(3월 9일)

미래에셋증권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02-3774-1621)

 

나스닥, 파월의 매파적인 발언 불구 반도체 업종 강세로 상승

 

미 증시는 전일 하락에 따른 반발 매수세로 상승 출발 후 파월 연준 의장의 발언 직후 하락 전환하는 등 여전히 장중 변동성이 확대되는 경향. 물론, 고용지표가 견조한 모습을 보였으나, 둔화되고 있음을 보여줘 강세를 보이기도 했음. 다만, 전일에 이어 다우지수가 높은 금리 장기화에 따른 경기 침체 우려가 부각되며 낙폭을 지속적으로 확대하자 장 후반 하락 전환. 그러나 베이지북을 통해 임금의 하방 압력이 높아지고, 물가 상승세 완화되고 있다는 발표와 반도체 업종이 강세(*특징종목 참조)를 보여 나스닥은 재차 상승 전환(다우 -0.18%, 나스닥 +0.40%, S&P500 +0.14%, 러셀2000 +0.04%)

 

변화요인: ①파월 하원 발언 ②고용지표

https://securities.miraeasset.com/bbs/download/2103744.pdf?attachmentId=2103744

 

03/09 한국 증시: 애플 관련주와 반도체 업종 주목

미래에셋증권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02-3774-1621)

 

MSCI 한국 지수 ETF는 0.27%, MSCI 신흥 지수 ETF는 0.41% 상승. NDF 달러/원 환율 1개월물은 1,315.00원으로 이를 반영하면 달러/원 환율은 7원 하락 출발 예상. Eurex KOSPI200 선물은 0.10% 상승. KOSPI는 0.5% 내외 상승 출발 예상.

 

미 증시가 파월 연준 의장의 발언을 소화하며 장중 보합권 등락을 보였으나, 반도체 업종이 AI 산업에 대한 수혜 등을 이유로 상승해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가 2.67% 강세를 보인 점은 한국 증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 더 나아가 파월 연준의장이 매파적인 발언을 이어갔으나 시장에 미친 영향은 크지 않았으며, 경기에 대한 우려가 부각되며 다우 지수 하락을 야기시켰으나, 그 영향도 전일 반영되었다는 점도 우호적

 

물론, 미국의 높은 금리 장기화에 따른 경기 침체 이슈가 지속적으로 상승을 제한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연준의 베이지북과 이날 발표된 고용지표 등을 토대로 임금 상승률이 둔화되고 있음을 보여줘 연준의 강경한 정책 변경 가능성이 크지 않을 수 있다는 기대 심리 또한 우호적. 더 나아가 전일 급등했던 달러/원 환율이 오늘은 되돌림이 유입되며 하락하는 등 원화 강세 가능성이 높다는 점도 긍정적. 이를 감안 한국 증시는 0.5% 내외 상승 출발 후 애플 관련주와 반도체 등 개별 종목 중심으로 강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

 

 

 

 

(2023.03.09) U.S.& EU Market Closing

  • 2023.03.09  류재형
  • U.S. Market Closing  06:00 기준
지수 종가 등락폭 등락률 상승/하락/보합
DOW 32,798.40 -58.06 -0.2% 11/19/0
S&P500 3,992.08 5.71 0.1% 290/213/0
NASDAQ 11,576.00 45.67 0.4% 992/2172/422
RUSS 2K 1,877.86 -0.86 0.0% 848/1036/41
PHLX 반도체지수 3,041.39 78.97 2.7% 28/1/0
VIX지수 19.11 -0.48 -2.5%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 티레이더에서 나스닥 •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실시간 제공

 

전일 큰 폭의 하락세를 보인 미 증시는 파월 연준의장의 전일발언의 여파가 이어지는 가운데 금일 발표된 민간 고용지표인 2월 ADP비농업부문 고용변화 지표가 추정치인 200,000보다 강한 242,000으로 발표되는 등 고용지표가 계속 매우 강하게 발표되면서 금일도 약세를 보였으며 장중 낙폭을 키웠으나장 막판 매수세가 등장하며 나스닥은 상승다우는 소폭 하락 마감금일미 교통당국이 테슬라Y에 대한 예비조사에 착수했다는 소식이 나오면서 약세를 보임옥시텐털 페트롤리엄의 주가는 버크셔 헤서웨이의 지분 매입 소식에 상승파월이의회 스케줄을 마침에 따라 시장은 금요일 예정되어 있는 노동부 고용보고서를 기다리고 있음.

U.S. ETF Closing  06:00 기준

Sector

분류 티커 현재가 등락률 t신호 수익률






1개월 3개월 1
부동산 VNQ 85.55 1.16% 안개 -5.60% 1.00% -15.10%
유틸리티 XLU 65.97 0.75% 안개 -2.40% -6.50% -4.30%
IT XLK 140.23 0.84% 햇빛 -1.80% 6.70% -4.10%
소재 XLB 81.97 0.47% 안개 -1.70% 1.30% 1.10%
커뮤니케이션 XLC 54.25 0.09% 안개 -4.70% 9.60% -16.80%
필수소비재 XLP 72.14 0.17% 안개 -1.20% -4.80% 1.80%
산업재 XLI 102.37 0.22% 햇빛 -0.60% 3.10% 4.80%
금융 XLF 34.95 -0.40% 안개 -5.30% 1.50% -3.00%
헬스케어 XLV 126.35 -0.54% 안개 -4.90% -8.30% -1.50%
자유소비재 XLY 143.02 -0.17% 안개 -5.60% 2.00% -15.90%
에너지 XLE 84.97 -0.94% 안개 -3.60% 3.20% 13.60%

자료티레이더유안타증권해외투자전략팀

전일 큰폭으로 하락했던부동산(VNQ,+1.16%), IT(XLK,+0.84%)섹터가 금일 반등세를 보인 반면유가의 추가하락 영향으로 약세를 보인 에너지(XLE,-0.94%) 및금융(XLV,-0.40%)섹터는 추가적인 약세를 보였음.

Thematic

분류 티커 현재가 등락률 t신호 수익률






1개월 3개월 1
반도체 SOXX 421.25 2.66% 안개 -0.70% 10.80% -1.90%
기초소재 IYM 135.72 0.59% 안개 1.10% 4.50% 0.10%
글로벌 천연자원 GNR 58.08 0.57% 안개 -2.10% 1.10% 0.80%
은행 KRE 57.68 -0.55% 안개 -8.60% -4.10% -15.60%
생명공학 IBB 126.33 -0.72% 안개 -4.50% -5.70% 5.10%

자료티레이더유안타증권해외투자전략팀

온 세미컨덕터(ON), 마이크론(MU)등 반도체 주식들이 상승세를 보이며 반도체(SOXX,+2.66%)테마가반등세를 보였으며 전일 큰폭의 하락세를 보인 원자재 가격이 금일은 안정세를 찾음에 따라 기초소재 (IYM,+0.59%),글로벌천연자원(GNR,+0.57%)테마는 소폭 반등세를 보임은행(KRE,-0.55%), 생명공학 (IBB,-0.72%)테마는 금일도 약세를 면치 못함.

 

EU Market Closing  02:30 기준

지수 종가 등락률 구분 업종 등락률
STOXX 600 460.99 0.1%
정보기술 0.8%



상승 소재 0.5%




유틸리티 0.4%




에너지 -0.3%



하락 건강관리 -0.8%




부동산 -1.3%
지수 종가 고가 저가 등락폭 등락률
 DAX 15,631.87 15,667.21 15,524.85 72.34 0.5%
 FTSE 100 7,929.92 7,946.62 7,891.42 10.44 0.1%
 CAC 40 7,324.76 7,346.62 7,305.92 -14.51 -0.2%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해외투자전략팀

어제 나온 미 연준 의장의 발언 여파에 미국 민간 고용지표의 강세가 이어지며 계속 하락압력을 받던 유럽 증시는파월이 이틀째 이어진 미 의회 발언에서 아직까지 이번 금리 인상규모를 정한 것은 아니라는 발언과 그 동안의 하락에 대한 반발매수가 나오면서 강보합세를보이며 장을 마감. STOXX600 인덱스는 0.1%상승마감하였으며 어제 약세를 보였던 소재, IT 관련 주식들이 회복세를 보였으며 부동산에너지 관련 주식은 추가적인 약세를 보였음유럽 통계청은 유로존이2022년 4분기에 경제성장을 이루지 못했다고 밝히면서 유로존GDP와 고용성장률을 소폭 하향조정했다고 밝힘.

 

출처: < https://m.myasset.com/extern/researchPortal/RP_0001000_P1.cmd?menuid=RP_0105000_P1&searchKeyGubun=1&keyword=&page=1&base_date=20230309062554&gbn=B&res_seq=186554>

 

[신영증권 자산전략팀] 22.3.9 모닝 브리프

 

- 뉴욕증시 3대지수 혼조 마감. 파월의 매파적 발언 속 50bo 인상 재가속 우려에도 부동산 및 반도체 중심 IT 관련주 강세

 

- WTI, 긴축 장기화 예상에 원유 수요 전망 어두워진 가운데 하락. NDF 원/달러 환율 1,316.8원 호가

 

- 미 국채금리, 강한 고용지표에 FOMC 빅스텝 가능성 재차 확대되며 단기물 중심 상승. 2y10y 스프레드 역전폭 2.3bp 확대, 베어-플랫

 

==================

 

◆ 미국 증시  

-DOW 32,798.40p (-0.18%)

-NASDAQ 11,576.00p (+0.40%)

-S&P500 3,992.01p (+0.14%)

-Russell 2000 1,879.48p (+0.04%)

  

◆ 미국 주요 종목  

Top Gainers 3  

-NVIDIA             (+3.83%) 

-TEXAS INSTRUMENT       (+2.42%) 

-LOWES COMPANIES      (+1.89%) 

  

Top Losers 3  

-TESLA            (-3.04%) 

-MERCK & CO         (-2.69%) 

-METLIFE            (-2.50%) 

  

기타 주요 종목  

-아마존 (+0.40%) 

-테슬라 (-3.04%) 

-코카콜라 (+0.05%) 

-NVIDIA (+3.83%) 

-Apple (+0.84%) 

-Ford (+1.17%) 

-Microsoft (-0.18%) 

-메타 플랫폼스 (+0.25%) 

-유니티 소프트웨어 (+0.55%) 

-ASML Holding (+1.69%) 

-AT&T (-0.53%) 

-로블록스 (-0.53%) 

-Airbnb (-1.53%) 

-디즈니 (+0.24%) 

-리얼티 인컴 (+1.00%) 

-화이자 (-0.55%) 

-머크 (-2.69%) 

-길리어드 (-0.10%) 

-IBM (-0.16%) 

-에스티로더 (+1.23%) 

-사이먼 프라퍼티 (+1.30%) 

-보스턴 프라퍼티 (+1.39%) 

-구글 c (+0.51%) 

-Star Bulk (+2.12%) 

-Waste Management (+0.33%) 

  

◆ 유로지역   

-이탈리아-독일 2년물 33.7bp (-6.0bp)

-크레딧 스위스 CDS  373.3bp (+2.0bp)

  

◆ 외환시장  

-달러인덱스 105.69 (+0.07%)

-달러/엔 137.36 (+0.15%)

  

◆ 미국 국채시장  

-2년물 5.073% (+6.2bp)

-10년물 3.994% (+3.9bp)

-30년물 3.895% (+2.7bp)

  

◆ 한국 국고채시장  

-3년물 3.855% (+12.9bp)

-10년물 3.720% (+5.9bp)

-한국 5년 CDS 41.5bp (+0.0bp)

  

◆ 상품시장  

-WTI (bbl)  $76.66  (-1.19%)

-금 (t oz)  $1,818.60  (-0.08%)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배정연연구원

02-2004-9891

 

(위) 3월 FOMC

 

50bp 인상 확률이 이제는 80%까지 거래되고 있습니다.

 

연준 의장이 의뭉스럽게 이야기하는 것은 시장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 큰데, 파월 의장이 너무 확신에 차서 디플레 운운하는 바람에 변동성이 커지고 있오 안타깝습니다.

 

Data- dependent 라는 것은 데이터가 바뀌면 입장도 바뀔 수 있다는 건데 본인은 책임없다라는 회피일 수도 있다는 이야기라서 그렇습니다.

 

이러다 25bp 인상 해버리면 시장은 파월의 발언을 더 이상 신뢰하지 않겠지요.

 

 

[한투증권 전기전자/2차전지 조철희]

3월9일 IT 주요뉴스

 

● VW prioritises North American battery plant over Europe as it seeks €10bn from US(FT)

-폭스바겐이 미국에서 인센티브로 100억 유로를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되면서 동유럽 배터리 공장 증설을 보류하고 북미 증설을 우선시 하는 것으로 파악

-현재 북미나 유럽의 공장 위치에 대한 결정은 내려진 바 없음. 다만, VW 부품 사업부 책임자에 따르면 유럽에 비해 북미에서 배터리 공장 계획을 '훨씬 더 빠르게 진행'하고 있다고 밝힘

Link: http://bit.ly/3L2EsRy

 

● 유럽집행위원장, LG가 투자한 '라이사이클' 전격 방문

-북미를 순방 중인 폰데어라이엔 EU 진행위원장이 캐나다 폐배터리 재활용 회사 '라이-사이클'의 거점 시설을 방문. 이날 트뤼도 캐나다 총리와 폰데어라이엔 집행위원장은 캐나다와 유럽 간 원자재 파트너십 강화에 뜻을 모음

-유럽의 핵심원자재법(CRM)과 관련해 전략적 협력을 도모할 것. 라이사이클은 북미와 유럽 내 스포크와 허브를 구축 중이며 계획된 시설이 모두 가동될 시 연간 6만 5,000톤 규모의 처리용량을 보유할 전망

Link: https://bit.ly/3J2ZiOd

 

● EU, 핵심원자재위 설립 추진… 中 의존도 탈피 나선다

-EU 집행위가 오는 14일 CRMA 초안을 발표할 것이라 보도. 이를 위해 '유럽 핵심원자재위원회'라는 원자재 확보 중앙기관을 만들어 조율, 원자재 거래 시스템 마련 등의 역할을 수행할 것

-회원국 간의 과도한 경쟁을 막아 가격 경쟁력을 높이려는 의도로 풀이. CRMA 법안 내 광산 개발, 원자재 처리 공장 등 신규 프로젝트 인허가를 간소화하는 방안이 포함된 것이 주목할만한 점

Link: http://bit.ly/3YB3ied

 

● 베스트셀러 프리미엄 스마트폰 아니다…아이폰 뜨고 갤럭시S 실종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지난해 가장 많이 판매된 스마트폰 상위 10개 모델 중 애플이 무려 8개를 차지. 가장 많이 팔린 모델은 아이폰13 기본형 모델(전체 중 28%)

-애플 이외에 2개 자리는 삼성전자 보급형 모델인 갤럭시 A13과 A03. 해당 모델들은 개발도상국 중심으로 인기를 끌었던 것으로 풀이. 23년에는 재고 정리 및 출시 최적화에 집중하면서 상위 모델 중심으로 스마트폰 점유율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

Link: https://bit.ly/3IYATsP

 

● 애플, 아이폰15 패널 양산 준비...프로 모델만 120Hz 주사율 지원

-올 가을 출시 예정인 아이폰15 시리즈의 디스플레이 패널 대량 양산이 준비 중인 것으로 파악. 프로 모델에만 120Hz/LTPO 주사율이 지원되면 일반 모델에는 지원되지 않음

-아이폰15 표준 모델에는 올해 처음으로 노치가 사라지고 다이내믹 아일랜드 기능이 탑재될 예정. 다만 프로모션 디스플레이와 올웨이즈온 디스플레이 지원은 빠질 것

Link: https://bit.ly/3ZSrZ7h

 

● 삼성디스플레이, 당분간 폴더블 OLED 시장 독차지할 듯

-유비리서치에 따르면, 27년 삼성디스플레이가 폴더블폰용 OLED를 5천 90만대 출하하며 세계시장의 82.9%를 차지할 것

-삼성디스플레이가 폴더블 OLED 시장을 독주할 것. 중국 CSOT과 비전옥스는 27년까지 연간 100만대 이상 출하하기 어렵다는 분석. LGD도 고객사를 확보하지 못하면 폴더블폰용 패널을 언제 양산할 지 알 수 없다고 지적

Link: https://bit.ly/3IZo6qb

 

● Zhen Ding remains focused on high-end PCB and IC substrate offerings(Digitimes)

-Zhen Ding Technology는 23년 누적으로 2월까지 전년 대비 약 10% 증가. 판매 결과는 회사의 판매 예측과 일치

-Zhen Ding은 ABF 기판과 같은 고급 세그먼트에 집중하면서 제품을 다양화할 것. 3월 13일 투자자 컨퍼런스를 개최할 예정

Link: http://bit.ly/41TpFyA

 

 

『하루를 여는 이경준 혁신IB자산운용 대표의  화(話)가 담긴 IPO Daily💌 - 20230309』

【 텔레그램 채널 주소 : https://t.me/KoreaIB

【 IPO상장 및 투자자문 문의 ☞ 📧 ipo@kakao.com 】

 

===========================

 

📌Today's Topic》

GS건설 회사채 규모 꼼수 증액, 자본시장 교란 행위로 지목

http://www.newswatch.kr/news/articleView.html?idxno=62260

🎙IPO뿐만 아니라 회사채도 문제구만.

 

 

===========================

 

★ 금일 일정 ★

 없음

 

☆ 다음주 일정 ☆

 03/13 금양그린파워 상장⭐️

 03/13~14 엘비인베스트먼트 수요예측⚖️

 03/15~16 지아이이노베이션 수요예측⚖️

< 출처 : 🇰🇷이경준 혁신IB자산운용 대표의 화(話)💬 https://t.me/KoreaIB >

------------------------------------------

 

▣ 기관IR 일정 ▣

- 온라인 및 소규모 간담회로만 진행 -

 

▣ 상장 일정(예정, 변경가능) ▣

 03/13 금양그린파워(삼성증권)

 03/30 엘비인베스트먼트(미래에셋증권)

 03/30 지아이이노베이션(NH투자증권, 하나증권)

 04/13 에스바이오메딕스(미래에셋증권)

 미정 : 틸론(키움증권)

 미정 : 블루포인트파트너스(한국투자증권)

 

▣ 심사 승인 ▣

 - 트루엔(미래에셋증권)

 - 큐라티스(대신증권, 신영증권)

 - 토마토시스템(교보증권)

 - 씨유박스(신한투자증권, SK증권)

 - 모니터랩(미래에셋증권)

 - 마이크로투나노(한국투자증권)

 - 진영(하이투자증권)

< 출처 : 🇰🇷이경준 혁신IB자산운용 대표의 화(話)💬 https://t.me/KoreaIB >

===========================

 

 

728x90
728x90

주식 스터디를 위해 개인적으로 스크랩한 증시캘린더, 국내 및 해외마감 시황, 뉴스 자료를 공유합니다.

증시캘린더는 개인적으로 관련된 소식을 확인후 작성한 일정이라 변동 또는 오류의 소지가 있습니다.

게시물은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한 것이라

불확실하거나 오류가 많을 수 있으므로 투자 활용시 유의하시기 바라며, 개별적인 종목 추천이나 상담은 하지 않습니다.

 

모쪼록 제 공간에 오신 모든 분들이 주식스터디를 통해 인생 한 방보다, 꾸준함을 믿으며...

복리의 마법으로 모든 분들이 성공한 개인투자자가 되시길...


[간밤 월드뉴스 총정리 38] 파월 발언 월가 분석/ 중요해진 2월 고용지표(10일)/ 42년만 5% 넘은 2년물 금리/ 리비안은 왜?/ “3분기부터 침체”

 

 

“파월, 3월 빅스텝 문 열었다”…“2년 국채 5% 재돌파” [김영필의 3분 월스트리트]

7일(현지 시간) 미국 뉴욕증시의 주요 지수가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의 상원 청문회 매파 발언에 하락 마감했습니다. 파월 의... 서울경제 | 2023-03-08 06:51

 

'매파 파월'에 놀란 금융시장…다우 1.7%↓·국제유가 3.6%↓

3월 빅스텝 가능성 연 파월 발언 후 2년물 美국채 금리 5% 돌파 경기침체 우려 재확산에 은행주 급락…금값도 2월말 이후 최저치 강건택 특파원... 연합뉴스 | 2023-03-08 06:40

 

뉴욕증시, 파월 '매파적' 발언에 하락…다우 1.72%↓마감

윤영숙 연합인포맥스 특파원 = 뉴욕증시는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연준·Fed) 의장의 매파적 발언에 3월 회의에서 0.50%포인트 금리 인상 가... 연합뉴스 | 2023-03-08 06:32

출처: < https://finance.naver.com/news/news_list.naver?mode=LSS3D§ion_id=101§ion_id2=258§ion_id3=403>

 

뉴욕증시, 파월 ‘빅스텝’ 시사에 일제 급락 ‘테슬라 3.15%↓’…유가·비트코인 하락 [출근전 꼭 글로벌브리핑]

출처: <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303080024&t=NN>

 

 

2023년 3월 8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파월 발언으로 3월 50bp 인상이 반영됐고 미 2년 국채 금리는 5%를 넘었습니다.

 

(2) 미 정부가 메디케어 재원 마련을 위해 고소득자 증세를 추진합니다.

 

(3) 중국발 미국 입국자의 코로나 테스트가 면제될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1.051%p (-0.123%p)

한국 고객예탁금, 48.3조원 +2.6조원

 

K200 야간선물 등락률, -1.10% (오전 5시 기준)

1개월 NDF 환율 1,316.45원 (+16.60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03/08 [미래에셋증권] 해외 금융시장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 (02-3774-1621)

 

◆ 미국 증시

- DOW: 32,856.46p (-574.98p, -1.72%)

- S&P500: 3,986.38p (-62.04p, -1.53%)

- NASDAQ: 11,530.33p (-145.41p, -1.25%)

- 러셀2000: 1,878.72p (-21.03p, -1.11%)

 

◆ 한국 관련

- MSCI 한국지수 ETF: $59.03 (-1.70, -2.80%)

- MSCI 이머징지수 ETF: $38.74 (-0.66, -1.68%)

- Eurex kospi 200: 315.90p (-3.50p, -1.10%)

- NDF 환율(1개월물): 1,316.22원 / 전일 대비 16원 상승 출발 예상

- 필라델피아 반도체: 2,962.42 (-32.17, -1.07%)

 

◆ 외환시장

- 달러인덱스: 105.612 (+1.262, +1.21%)

- 유로/달러: 1.0548 (-0.0133, -1.25%)

- 달러/엔: 137.14 (+1.21, +0.89%)

- 파운드/달러: 1.1823 (-0.0202, -1.68%)

 

◆ 미국 국채시장

- 2년물: 5.0084% (+12.2bp)

- 5년물: 4.3079% (+5.5bp)

- 10년물: 3.9637% (+0.6bp)

- 30년물: 3.8748% (-1.8bp)

- 10Y-2Y: -104.47bp (11.63bp 역전 확대)

(국채선물)

- 2YR T-Notes: 101*13   (-0*07 , -0.22%)

- 5YR T-Notes: 106*12   (-0*06 3/4, -0.2%)

- 10YR T-Notes: 110*30 1/2 (-0*01 , -0.03%)

- US T-Bonds: 125*02   (+0*17 , +0.43%)

- Ultra US T-Bonds: 135*22   (+0*20 , +0.46%)

 

◆ 상품시장 ($, 단 곡물, 구리는 센트)

- WTI: 77.58 (-3.09, -3.84%)

- 브렌트유: 83.29 (-3.04, -3.53%)

- 금: 1,820.00 (-35.40, -1.91%)

- 은: 20.20 (-0.97, -4.59%)

- 아연(LME, 3M): 2,954.00 (-78.50, -2.59%)

- 구리: 397.50 (-11.85, -2.90%)

- 옥수수: 634.25 (-2.00, -0.31%)

- 밀: 698.00 (+1.75, +0.25%)

- 대두: 1,515.50 (-12.75, -0.83%)

 

*동 자료는 2023년 3월 8일 미래에셋증권 홈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를 요약한 것입니다.

 

글로벌 주식시장 변화와 전망(3월 8일)

미래에셋증권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02-3774-1621)

 

미 증시, 파월 의장의 강한 매파적인 발언으로 하락

 

미 증시는 파월 의장의 강한 매파적인 발언으로 매물이 출회되며 하락 전환. 특히 최고 금리가 이전 전망보다 높아지고 3월 회의에서 50bp 인상 가능성을 시사한 점이 부담. 이 여파로 장단기 금리 역전 현상이 확대돼 금융주가 하락 주도. 장 마감 앞두고는 친강 중국 외교 부장의 미-중 갈등 언급과 파월 발언 영향이 더욱 확대되며 2년물 금리가 2007년 이후 처음으로 5%를 넘는 등 금리 급등으로 지수 낙폭 확대 마감(다우 -1.72%, 나스닥 -1.25%, S&P500 -1.53%, 러셀2000 -1.11%)

 

변화요인: ①파월 의회 청문회 ②미-중 갈등

https://securities.miraeasset.com/bbs/download/2103671.pdf?attachmentId=2103671

 

03/08 한국 증시: 하락 출발 후 제한적인 등락을 보일 것으로 전망

미래에셋증권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02-3774-1621)

 

MSCI 한국 지수 ETF는 2.78%, MSCI 신흥 지수 ETF는 1.70% 하락. NDF 달러/원 환율 1개월물은 1,316.85원으로 이를 반영하면 달러/원 환율은 15원 상승 출발 예상. Eurex KOSPI200 선물은 1.10% 하락. KOSPI는 1% 내외 하락 출발 예상

 

미 증시가 파월 연준 의장의 강한 매파적인 발언으로 하락한 점은 한국 증시에 부담. 특히 달러화의 강세가 뚜렷해 NDF 달러/원 환율을 감안 원화 약세 가능성이 높아진 점은 외국인 수급에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 더 나아가 친강 중국 외교 부장의 발언 등으로 미-중 갈등이 확대될 수 있다는 점도 전반적인 투자 심리 위축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 물론, 미 정부는 대 중국 갈등을 추구하지 않고 있다고 주장해 친강 부장의 발언을 반박해 관련 우려가 확대되지는 않음

 

한편, 파월 연준의장의 발언에서 3월 FOMC 회의까지 고용보고서는 물론, 소비자 물가지수 등 중요한 경제지표 발표가 많이 있으며 이 지표 결과가 중요하다고 언급한 점, 그리고 1월 경제지표에서 소비와 생산, 인플레이션이 전환한 점은 온화한 기후의 영향 때문이라며 연속성이 크지 않을 수 있음을 시사한 점은 주목할 필요가 있음. 이를 감안 한국 증시는 1% 내외 하락 출발할 것으로 예상되나 일부 차익 매물 소화 과정을 보이는 정도에 그칠 것으로 전망.

 

 

 

 

 

 

 

[미국 하락 : 파월의 반격]

(Feat.결국 2월 CPI가 결정할 것)

 

☑️결국 3/14 발표예정인 2월 CPI가, 3/22 FOMC의 선택을 결정할 것

 

<2월 CPI 시뮬레이션>

https://t.me/frankinvest/4573

 

✔️Powell 의회증언 한마디요약

1월 CPI를 보면 50bp인상해야 하지만, 3월 FOMC전 발표되는 2월 CPI를 보고 결정할 것

 

•주요 지수는 아침 소폭 상승하며 시작했으나, 파월의장이 의회증언에서 1월 CPI 레벨이 유지되면(더딘 개선) 50bp인상이 가능할 수 있다는 의사를 내비치며 하락 전환하여 주요지수 -1.5% 내외 하락 마감

 

•국채금리 2년물은 파월의장의 발언으로  상승하며 5%에 도달했으나, 10년물/30년물은 하락하며 4% 하회

 

•파월발 추가적인 빅스텝 가능성 상승이 증시 하락의 원인이었는데 지수 하락폭은 다우존스가 나스닥보다 컸고, 메가테크 역시 전반적으로 지수(나스닥) 대비 선방

 

•오늘 지수는 하락했으나, 파월의장이 발언이 많이 매파적이었음을 감안하면 50bp인상 역시 시장이 상당부분 선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가능

(‘나스닥 기준 최소 2%는 빠질줄 알았는데 1%빠졌네’ 같은 상황)

 

SMART한 주식투자

 

 

(2023.03.08) U.S.& EU Market Closing

  • 2023.03.08  류재형
  •  U.S. Market Closing – 06:00 기준
지수 종가 등락폭 등락률 상승/하락/보합
DOW 32,856.79 -574.65 -1.7% 1/29/0
S&P500 3,986.42 -62.00 -1.5% 46/457/0
NASDAQ 11,530.33 -145.41 -1.2% 992/2172/422
RUSS 2K 1,880.45 -19.31 -1.0% 542/1350/33
PHLX 반도체지수 2,962.42 -32.17 -1.1% 3/26/0
VIX지수 19.60 0.99 5.3%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 티레이더에서 나스닥 •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실시간 제공

제롬 파월 연준의장은 의회 청문회 발언을 통해 최근 모든 경제지표가예상보다 높게 나왔음을 지적하며 특히 고용시장이 매우 타이트하다고 언급. 그는 금리인상으로 인한 최종금리수준이 예상보다 높아질 것으로 관측하였으며 인플레이션 목표치 2%는 여전히 유효하다고 발언함. 파월의 발언이 나오면서 약세를 보인 시장은 시간이 지나감에 따라 낙폭을 키우며 다우, S&P, 나스닥 3대 지수 모두 큰 폭의 하락세를 보임. 금일 발표된 공장 주문은 전월 대비 -1.6%로 예상치인 -1.8% 보다 강하게 발표됨. 미 국채 2년물 금리와 10년물 금리가 역전된 가운데 그 격차가 40년만에 가장 크게 벌어짐. 달러 인덱스는 상승, 귀금속, 비철금속, 원유가격은 크게 하락함.

U.S. ETF Closing – 06:00 기준

Sector

분류 티커 현재가 등락률 t신호 수익률






1개월 3개월 1년
필수소비재 XLP 72.02 -0.98% 안개 -0.80% -4.40% 2.20%
커뮤니케이션 XLC 54.18 -1.06% 안개 -4.40% 9.90% -16.50%
IT XLK 139.05 -1.25% 햇빛 -1.90% 6.50% -4.20%
산업재 XLI 102.17 -1.27% 햇빛 -0.20% 3.60% 5.30%
자유소비재 XLY 143.25 -1.37% 안개 -4.60% 3.00% -15.00%
헬스케어 XLV 127.04 -1.60% 안개 -4.10% -7.60% -0.70%
유틸리티 XLU 65.47 -1.65% 안개 -2.70% -6.80% -4.60%
에너지 XLE 85.8 -1.72% 안개 -2.00% 4.80% 15.50%
소재 XLB 81.58 -1.98% 안개 -1.60% 1.40% 1.20%
부동산 VNQ 84.55 -2.36% 안개 -6.70% -0.10% -16.00%
금융 XLF 35.1 -2.57% 안개 -4.60% 2.30% -2.30%

자료: 티레이더, 유안타증권해외투자전략팀

긴축에 대한 공포가 다시 한번 시장을 짓누르며 모든 섹터가 약세를보였음. 달러 강세 영향으로 원자재 가격이 하락함에 따라 소재(XLB,-1.98)섹터가 약세를 보였으며 부동산(XNQ,-2.36%), 금융(XLF,-2.57%)의 약세가 두드러짐.

Thematic

분류 티커 현재가 등락률 t신호 수익률






1개월 3개월 1년
클린에너지 ICLN 19.74 -1.05% 안개 -1.50% -3.90% -5.30%
반도체 SOXX 410.28 -1.07% 안개 -3.00% 9.90% -6.50%
기초소재 IYM 134.91 -2.26% 안개 -1.10% 4.90% -1.30%
글로벌 천연자원 GNR 57.69 -2.67% 안개 -3.00% 0.90% -0.40%
은행 KRE 58 -3.22% 안개 -9.40% -2.70% -15.10%

자료: 티레이더, 유안타증권해외투자전략팀

테마 ETF 역시 모두 하락세를 보임. 기초소재(IYM,-2.26%), 글로벌 천연자원(GNR,-2.67%), 은행(KRE,-3.22%) 섹터가 가장 약한 모습.

 

EU Market Closing – 02:30 기준

지수 종가 등락률 구분 업종 등락률
STOXX 600 460.60 -0.8%





상승




소재 -1.2% 소재



정보기술 -1.6% 정보기술



부동산 -2.1% 부동산
지수 종가 고가 저가 등락폭 등락률
獨 DAX 15,559.53 15,706.37 15,544.07 -94.05 -0.6%
英 FTSE 100 7,919.48 7,959.77 7,909.77 -10.31 -0.1%
佛 CAC 40 7,339.27 7,398.03 7,336.20 -33.94 -0.5%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해외투자전략팀

미 연준의 콜린 파월의 매파적 발언 여파로 유럽증시는 최근 2주만에 가장 큰 폭의 하락세를 보이며 장을 마감함. 파월은 최종 금리가예상보다 높을 것임을 언급하며 현재 노동시장의 상황으로 볼 때 경기 침체 가능성이 높지 않을 것이라 평가함. 이번달 금리 결정을 얼마 남겨놓지 않은 상황에서 시장은 추가 금리 인상을 기정 사실화 하고 있으며 50bp 인상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 금일 달러는 강세를 보였으며 원자재 가격은 전반적으로 약세를 보임. 이에 따라 원자재 관련 주식이 약세를 보였으며, 금리에 민감한 IT, 부동산 관련 종목들이 약세를 보임. STOXX600 인덱스는0.8%하락하였으며 유럽 주요국의 증시 또한 약세 마감함.

 

출처: < https://m.myasset.com/extern/researchPortal/RP_0001000_P1.cmd?menuid=RP_0105000_P1&searchKeyGubun=1&keyword=&page=1&base_date=20230308061356&gbn=B&res_seq=186530>

 

 

 

 

[한투증권 전기전자/2차전지 조철희]

3월8일 IT 주요뉴스

 

● 중국이 만들던 그 배터리, 미국이 생산 확대 나선다

-미국 내 포드(CATL 협력)를 비롯해 신규 투자에 나서는 배터리 업체들이 LFP 배터리 생산을 준비 중인 것으로 확인

-전기 픽업트럭 업체 리비안, ABF, ONE, IM3 등 미국 내 신규 플레이어들도 모두 LFP 배터리를 생산할 계획. 테슬라의 모델3 기본형 모델에 LFP 배터리를 성공적으로 활용한 사례가 다른 완성차 업체들의 도입을 부추긴 것으로 풀이

Link: http://bit.ly/3JmBu9p

 

● 中독점 중저가 LFP 뛰어든 K배터리

-삼원계 배터리에 집중했던 국내 배터리 3사가 LFP 배터리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음. SK온은 3사 중 처음으로 LFP 배터리 시제품을 이번 달 선보일 예정. 양산 시점은 확정되지 않음

-LG에너지솔루션은 보급형으로 LFP, 망간 리치 등 신규 소재를 적용할 전망. 중국 난징 생산라인을 ESS용 LFP로 전환할 계획이며 내년 미국 미시간 공장에 신규 LFP 라인 구축할 계획. 삼성SDI는 삼원계 배터리 고도화에 집중하되, 코발트 프리 배터리(NMX)로 수요 확보에 나설 것

Link: http://bit.ly/3JuQXEt

 

● '리튬판 OPEC' 뜬다

-캐나다 시굴·개발업협회(PDAC) 연례 총회'에서 글로벌 리튬 매장량의 60% 이상을 보유한 남미국가들이 OPEC과 유사한 리튬 기구 설립을 추진할 전망이라 밝힘

-아르헨티나는 칠레, 볼리비아, 브라질과 리튬 협의체 설립을 모색하고 있음. 이들은 리튬 공급을 넘어 리튬을 활용한 전기차 및 배터리 사업 진출 의지도 내비치고 있음

Link: https://bit.ly/3L7SjGb

 

● 레드우드 폐배터리 재활용률 95% 입증

-미국 폐배터리 재활용 회사 '레드우드 머티리얼즈'가 공언했던 금속 회수율 95%를 달성하며 기술력을 입증함

-레드우드는 포드, 볼보, 토요타, 폭스바겐 등 업체로부터 전기차 폐배터리를 제공받으며 1268개 배터리를 수거하였고 리튬 등 핵심 원료 회수에 성공한 것으로 알려짐

Link: https://bit.ly/3yq7enr

 

● 삼성전자, 중저가 AP 보급형 갤럭시 시리즈에 탑재

-삼성전자가 중저가 AP인 엑시노스 1380,1330을 앞세워 시장 점유율 확대를 노릴 것으로 예상. 보급형 스마트폰 갤럭시 A54, A34에 적용될 전망

-다만 업계는 중저가 시장은 미디어텍이, 프리미엄 시장은 퀄컴이 주도하고 있는 상황에서 중저가 AP 출시만으로는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기 어렵다고 보고 있음

Link: https://bit.ly/3mAfL4y

 

● 삼성, 10년만에 OLED 재도전… ‘10년 왕좌’ LG와 맞대결

-삼성전자가 10년 만에 OLED 시장에 재진입하면서 프리미엄 TV 시장에서 LG와 맞대결을 치를 것으로 전망

-특히 이번주 양사가 올해 OLED TV 신제품을 잇따라 공개할 예정인 점이 주목할만한 요소. 다만, 업계에서는 양사 OLED TV의 최대 밝기 등 사양이나 사용 환경이 다른만큼 직접 비교는 다소 무리가 있다는 평가도 존재

Link: http://bit.ly/3SZZLVJ

 

 

[한화투자증권 경제 임혜윤]

<오늘 개장전 꼭 알아야할 5가지_Bloomberg 3/8>

 

1) 파월 ‘필요 시 금리인상 속도 높이고 최종 금리 더 높게’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경제지표가 뒷받침할 경우 중앙은행이 금리 인상 속도를 높이고 기준금리를 이전에 생각했던 것보다 더 높게 올릴 준비가 되어 있다고 언급. 그는 “최근 몇 달 동안 인플레이션이 완화됐지만 인플레이션을 2%로 낮추는 과정은 갈 길이 멀고 험난할 것 같다”며, “최근 경제지표가 예상보다 강하게 나왔고, 이는 궁극적인 금리 수준이 이전에 예상했던 것보다 높을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전체 지표가 더 빠른 긴축이 필요함을 가리킬 경우 우리는 금리 인상 속도를 높일 준비가 되어 있다”고 덧붙였음. 엘리자베스 워렌 민주당 상원의원은 추가 금리 인상이 수백만 명의 실업자만 양산할 뿐 공급 제약 등 다른 요인으로 뜨거워진 인플레이션을 식히는데 별 효과가 없다며, 파월에게 “사람들의 삶으로 도박을 하고 있다”고 강하게 비판. 정치권이 이미 2024년 미국 대통령 선거를 향해 카운트다운을 시작한 상태에서 심각한 경기침체를 유발하지 않고 2% 물가 안정 목표를 달성해야 하는 파월의 어깨는 무겁기만 함

 

2) 3월 50bp ‘빅스텝’? 75bp도?

PGIM Fixed Income의 Lindsay Rosner는 “연준이 겨우 한번 25bp 갔는데 만일 50bp로 돌아간다면 75bp로 가지 않는다고 누가 말할 수 있겠는가?”라며 보다 강한 긴축 속도를 우려. BMO Capital Markets은 파월 발언이 “예상했던 것보다 매파적”이었다고 평가했고, Interactive Brokers는 “골디락스의 역공”이라며 “지표 의존적인 연준에 부합하는 발언으로, 2월 모든 주요 인플레이션 지표가 1월 대비로나 기대보다 높았고 고용 등 다른 경제보고서가 대체로 긍정적”이었다고 지적. Baird는 “시장은 금리 인상이 예상보다 큰 폭으로 또는 빠르게 이루어지는 것을 싫어한다. 투자자들은 연준의 최종금리가 어디 정도일지 이해하려 애쓰며 전망을 높이고 있다. 이는 주식에 역풍으로 작용해 모든 랠리를 보다 불안정하게 만든다”고 주장. Monex Europe는 “파월이 긴축의 재가속 가능성을 열어둠으로써 마침내 금융시장에 통제권을 넘겨줬다”고 진단. Charles Schwab은 “여러번 겪었던 상황으로, 연준이 계속 매파적이었지만 많은 경우 시장이 연준을 믿지 않아 연준이 매파적으로 나오면 시장은 다시 하락하곤 했다”고 지적. Univest Wealth Division은 한달만 가지고는 추세를 판단하기 어렵다며, 최근 뜨거운 인플레이션 지표만으로 연준이 다음 회의에서 금리를 50bp 올려야만 한다고 믿기엔 부족하다고 주장

 

3) 미국 연착륙

골드만삭스그룹 최고경영자(CEO) 데이비드 솔로몬은 미국 경제가 6개월 전에 비해 연착륙에 성공할 가능성이 “의미있게 높아졌다”고 진단. 그는 “우리가 연착륙을 할 가능성이 6개월전 내가 생각했던 것보다 더 높아졌다”고 언급. 그러나, “지금보다 더 어려워질 수 있다는 점에 대비를 해야만 한다고 본다”며, “지금까지 연준이 잘 하고 있는 듯 보이지만 세계에서 많은 일들이 벌어지고 있다. 불확실한 시기”라고 지적. U.S. Bancorp의 최고재무책임자(CFO) Terrance Dolan은 자사 임원들이 아직도 미국 경제의 완만한 침체를 예상하고 있지만 그 시기는 늦췄다고 밝혔음. 앞서 JP모간 최고경영자(CEO) 제이미 다이먼은 미국 경제가 깊은 침체는 피하겠지만, “인플레이션이 4분기까지 충분히 내려오지 않아 연준이 더 해야만 할 수도 있다”고 지적. 미국 소비의 경우 지금은 매우 좋지만 어느 시점에선가 끝날 것으로 예견. 한편 바이든 대통령은 메디케어를 살리기 위해 연간 40만 달러 넘게 버는 고소득자에 대해 세율을 3.8%에서 5%로 올릴 계획

 

4) 미-중 경색

미 행정부가 수출 통제와 제재 등 여러 수단을 동원해 중국의 첨단기술 확보를 막으려 애쓰는 가운데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보다 자급자족적이고 회복탄력적인 경제를 만들기 위해 수십년래 가장 과감한 조직 개편을 실시. 우선 60조 달러 규모의 금융 시스템에 대한 감독을 강화하기 위해 거대한 중앙 규제당국을 신설해 증권산업을 제외한 은행, 보험 등 모든 금융분야를 총괄하도록 할 예정. 앤트그룹 등 금융지주사에 대한 감독권도 중앙은행에서 이곳으로 이관. 동시에 정보를 보호·관리하는 새로운 기구를 설치하고 과학기술부 조직을 개편. “주요 핵심 기술에서의 도전을 극복하고 과학·기술의 자립을 서두르기 위해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배분”하는 것이 목적이라고 신화통신은 전달. 전인대 자료에 따르면 중국 당국은 중앙정부 부처의 일자리를 5% 줄이고 전략적으로 중요한 분야에 인력을 재배치할 계획. 한편 중국의 신임 외교부장은 미-중 긴장이 한층 치열해지면 충돌을 막는 가드레일을 마련한다 해도 궤도 이탈 우려가 있다며 양국 관계에 비참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경고. 작년 11월 바이든 미 대통령과 만나 화해를 시도했던 시진핑은 월요일 “미국이 주도하는 서방세계의 포괄적 봉쇄 및 억압”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에 민간분야의 동참을 호소

 

5) 유로존 기대 인플레이션 하락

유로존의 기대 인플레이션이 “상당히” 후퇴했다고 유럽중앙은행(ECB)이 밝혔음. 이에 따라 금리 인상 속도를 늦춰야 한다는 주장에 힘이 실릴 전망. 향후 3년 기대 인플레이션이 작년 12월 3%에서 올 1월 2.5%로 낮아졌고, 1년 후 기대 인플레이션 역시 5%에서 4.9%로 하락. 독일의 경우 3년 후 기대 인플레이션이 ECB의 목표치인 2%로 내려왔음. ECB는 다음 주 정책회의에서 단기수신금리를 3%로 50bp 인상할 것으로 예상. 2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전년비 8.5%를 기록하고 근원 CPI 상승률의 경우 5.6%으로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는 등 가파른 금리 인상에도 물가 압력이 좀처럼 꺾이지 않고 있기 때문. 한편 캐나다는 지난 1월 약속한대로 이번 주 정책회의에서 주요국 중앙은행 중 처음으로 금리 인상을 멈출 것으로 보이면서 캐나다달러 약세가 이어질 가능성 있음

 

 

 

『하루를 여는 이경준 혁신IB자산운용 대표의  화(話)가 담긴 IPO Daily💌 - 20230308』

【 텔레그램 채널 주소 : https://t.me/KoreaIB

【 IPO상장 및 투자자문 문의 ☞ 📧 ipo@kakao.com 】

 

===========================

 

📌Today's Topic》

미래에셋드림스팩1호, 일반 청약 '미달'...대형 스팩 '외면'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4818092

 

 

===========================

 

★ 금일 일정 ★

 없음

 

☆ 다음주 일정 ☆

 03/13 금양그린파워 상장⭐️

 03/13~14 엘비인베스트먼트 수요예측⚖️

 03/15~16 지아이이노베이션 수요예측⚖️

< 출처 : 🇰🇷이경준 혁신IB자산운용 대표의 화(話)💬 https://t.me/KoreaIB >

------------------------------------------

 

▣ 기관IR 일정 ▣

- 온라인 및 소규모 간담회로만 진행 -

 

▣ 상장 일정(예정, 변경가능) ▣

 03/13 금양그린파워(삼성증권)

 03/30 엘비인베스트먼트(미래에셋증권)

 03/30 지아이이노베이션(NH투자증권, 하나증권)

 04/13 에스바이오메딕스(미래에셋증권)

 미정 : 틸론(키움증권)

 미정 : 블루포인트파트너스(한국투자증권)

 

▣ 심사 승인 ▣

 - 트루엔(미래에셋증권)

 - 큐라티스(대신증권, 신영증권)

 - 토마토시스템(교보증권)

 - 씨유박스(신한투자증권, SK증권)

 - 모니터랩(미래에셋증권)

 - 마이크로투나노(한국투자증권)

 - 진영(하이투자증권)

< 출처 : 🇰🇷이경준 혁신IB자산운용 대표의 화(話)💬 https://t.me/KoreaIB >

===========================

 

728x90
728x90

주식 스터디를 위해 개인적으로 스크랩한 증시캘린더, 국내 및 해외마감 시황, 뉴스 자료를 공유합니다.

증시캘린더는 개인적으로 관련된 소식을 확인후 작성한 일정이라 변동 또는 오류의 소지가 있습니다.

게시물은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한 것이라

불확실하거나 오류가 많을 수 있으므로 투자 활용시 유의하시기 바라며, 개별적인 종목 추천이나 상담은 하지 않습니다.

 

모쪼록 제 공간에 오신 모든 분들이 주식스터디를 통해 인생 한 방보다, 꾸준함을 믿으며...

복리의 마법으로 모든 분들이 성공한 개인투자자가 되시길...


[간밤 월드뉴스 총정리 37] 등장하는 파월/ 테슬라 대체할 OOO/ 스냅 급등 왜?/ 1년 6대 생산 그친 전기차/ 유럽서 등장한 “4번 50bp↑”/ 다이먼이 주목한 것

 

 

[뉴욕증시]"6% 가능" 서머스 또 맞을까…'폭풍전야' 미 증시

말 그대로 폭풍전야다. 미국 뉴욕 증시가 이번주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의 의회 연설과 고용보고서 발표 등 초대형 이벤트를 대기하면... 이데일리 | 2023-03-07 06:42

 

뉴욕증시, 파월 의회 증언 앞두고 혼조…나스닥 0.11%↓마감

윤영숙 연합인포맥스 특파원 = 뉴욕증시는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연준·Fed) 의장의 이번 주 의회 증언과 주 후반 나오는 고용 보고서 등을 앞... 연합뉴스 | 2023-03-07 06:36

출처: <https://finance.naver.com/news/news_list.naver?mode=LSS3D§ion_id=101§ion_id2=258§ion_id3=403>

 

뉴욕증시, 파월 증언·고용 지표 앞두고 혼조 마감 ‘애플 1.85%↑’…유가 상승·비트코인 하락 [출근전 꼭 글로벌브리핑]

출처: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303070007&t=NN>

 

 

2023년 3월 7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파월의 하원 청문회를 앞두고 금리가 오르며 주가 상승폭을 반납했습니다.

 

(2) 한일 양국이 수출규제를 되돌리기 위한 협의에 나섭니다.

 

(3) 뉴욕연은이 글로벌 공급망이 3년 만에 정상화됐다고 진단했습니다.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909%p (-0.004%p)

한국 고객예탁금, 45.6조원 -2.8조원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11% (오전 5시 기준)

1개월 NDF 환율 1,298.10원 (+1.30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03/07 [미래에셋증권] 해외 금융시장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 (02-3774-1621)

 

◆ 미국 증시

- DOW: 33,431.44p (+40.47p, +0.12%)

- S&P500: 4,048.42p (+2.78p, +0.07%)

- NASDAQ: 11,675.74p (-13.27p, -0.11%)

- 러셀2000: 1,899.76p (-28.51p, -1.48%)

 

◆ 한국 관련

- MSCI 한국지수 ETF: $60.73 (+0.13, +0.21%)

- MSCI 이머징지수 ETF: $39.40 (-0.14, -0.35%)

- Eurex kospi 200: 320.65p (-0.35p, -0.11%)

- NDF 환율(1개월물): 1,298.20원 / 전일 대비 1원 상승 출발 예상

- 필라델피아 반도체: 2,994.59 (-33.75, -1.11%)

 

◆ 외환시장

- 달러인덱스: 104.321 (-0.200, -0.19%)

- 유로/달러: 1.0679 (+0.0044, +0.41%)

- 달러/엔: 135.96 (+0.09, +0.07%)

- 파운드/달러: 1.2020 (-0.0016, -0.13%)

 

◆ 미국 국채시장

- 2년물: 4.8819% (+2.5bp)

- 5년물: 4.2546% (+0.9bp)

- 10년물: 3.9675% (+1.6bp)

- 30년물: 3.9014% (+2.6bp)

- 10Y-2Y: -91.44bp (0.96bp 역전 확대)

(국채선물)

- 2YR T-Notes: 101*20   (-0*01 3/4, -0.05%)

- 5YR T-Notes: 106*18 3/4 (-0*01 1/2, -0.04%)

- 10YR T-Notes: 110*31 1/2 (-0*01 , -0.03%)

- US T-Bonds: 124*20   (-0*06 , -0.15%)

- Ultra US T-Bonds: 135*08   (-0*18 , -0.41%)

 

◆ 상품시장 ($, 단 곡물, 구리는 센트)

- WTI: 80.46 (+0.90, +1.13%)

- 브렌트유: 86.18 (+0.50, +0.58%)

- 금: 1,854.60 (-2.40, -0.13%)

- 은: 21.14 (-0.12, -0.56%)

- 아연(LME, 3M): 3,032.50 (-45.00, -1.46%)

- 구리: 408.85 (+0.85, +0.21%)

- 옥수수: 637.00 (-1.50, -0.23%)

- 밀: 695.25 (-12.75, -1.80%)

- 대두: 1,529.00 (+9.75, +0.64%)

 

*동 자료는 2023년 3월 7일 미래에셋증권 홈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를 요약한 것입니다.

 

글로벌 주식시장 변화와 전망(3월 7일)

미래에셋증권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02-3774-1621)

 

나스닥, 애플 강세 불구 파월 발언 기다리며 금리 상승으로 하락

 

미 증시는 파월 연준 의장의 의회 청문회를 앞두고 국채 금리가 하락하자 상승 출발. 특히 OECD 경기 선행지수 발표에 따른 글로벌 경기에 대한 자신감과 더불어 달러화 약세에 따른 기술주가 상승을 주도한 가운데 애플(+0.00%)이 모건스탠리에 이어 골드만삭스가 서비스 부문 성장을 이유로 매수 의견을 발표하자 급등한 점도 우호적인 영향. 다만, 국채 금리가 상승 전환 후 폭을 확대하자 매물 출회되며 하락 전환하는 등 시장은 파월 연준 의장의 발언을 기다리며 차익 실현에 주목 하고 있음을 보여줌. 특히 중소형 지수인 러셀2000지수의 낙폭 확대가 특징(다우 +0.12%, 나스닥 -0.11%, S&P500 +0.07%, 러셀2000 -1.48%)

 

변화요인: ①OECD 경기선행지수 ②달러와 금리 영향 지속

https://securities.miraeasset.com/bbs/download/2103605.pdf?attachmentId=2103605

 

03/07 한국 증시: 차익 실현 욕구 확대 전망

미래에셋증권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02-3774-1621)

 

MSCI 한국 지수 ETF는 0.21% 상승, MSCI 신흥 지수 ETF는 0.35% 하락. NDF 달러/원 환율 1개월물은 1,298.20원으로 이를 반영하면 달러/원 환율은 1원 상승 출발 예상. Eurex KOSPI200 선물은 0.11% 하락. KOSPI는 0.3% 내외 하락 출발 예상

 

미 증시가 장 초반 애플의 힘으로 상승 출발했으나, 장 중 국채 금리가 상승 전환하고 달러화도 약세폭을 축소하며 상승분을 반납한 점은 한국 증시에 부담. 특히 미 증시의 특징처럼 차익 실현 욕구가 높아져 4일 연속 상승을 뒤로하고 매물 출회 가능성이 높아진 점도 부담.

 

한편, 파월 연준 의장의 통화정책 관련 상원 청문회를 앞두고 있는 만큼 금리 상승 전환과 달러 약세폭 축소 등은 투자심리 위축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 물론, OECD 경기 선행지수를 통해 경기 선행지수 바닥이 다가오고 있음을 확인한 점은 긍정적이나, 한국의 경기 선행지수 둔화세가 여타 국가에 비해 확연하다는 점은 여전한 부담. 특히 미 중소형 지수인 러셀 2000지수(-1.48%)가 상승 출발 후 금리 상승 전환에 따른 비용 증가 우려 속 매물이 출회되며 낙폭을 확대한 점도 투자심리 위축 요인.

 

이를 감안 한국 증시는 0.3% 내외 하락 출발 예상되며 차익실현 욕구가 높아 최근 상승을 주도했던 종목군 중심으로 매물 출회가 확대돼 부진한 모습을 보일 것으로 전망.

 

 

 

 

 

(2023.03.07) U.S.& EU Market Closing

  • 2023.03.07  류재형
  • U.S. Market Closing  06:00 기준
지수 종가 등락폭 등락률 상승/하락/보합
DOW 33,431.44 40.47 0.1% 13/17/0
S&P500 4,048.42 2.78 0.1% 189/313/1
NASDAQ 11,675.74 -13.27 -0.1% 885/2322/385
RUSS 2K 1,898.24 -30.03 -1.6% 313/1591/21
PHLX 반도체지수 2,994.59 -33.74 -1.1% 1/28/0
VIX지수 18.63 0.14 0.8%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 티레이더에서 나스닥 •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실시간 제공

미 10년물 국채금리가4% 아래로 하향 조정되며 장 초반 지난 주말에 이어 강세를 이어가던 미국 증시는 불확실성 속에서 상승폭을 대부분 반납하며 장을 마감함시장은 이번주 예정된 제롬 파월 의장의 의회 증언과 주 후반 발표될 고용보고서를 기다리는 대기모드로 돌입한 분위기임현재 컨센서스는 25bp인상인 것으로 보이며 금일 발표된 1월 제조업 주문은 -1.6%로 예상치인 -1.8%보다 양호한 수치로 발표됨금일 골드만삭스가 애플에 대한 투자의견을 매수목표주가를 199달러로 제시하며 종목 커버를 시작한다고 밝히면서 애플의 주가가 강세를 보임중국은 GDP성장률 목표치를 5% 전후로 낮게 제시함.

 

U.S. ETF Closing  06:00 기준

Sector

분류 티커 현재가 등락률 t신호 수익률






1개월 3개월 1
IT XLK 140.83 0.49% 햇빛 -1.90% 7.20% -4.70%
유틸리티 XLU 66.57 0.48% 안개 -2.80% -5.70% -2.30%
필수소비재 XLP 72.73 0.26% 안개 -0.60% -4.20% 2.30%
에너지 XLE 87.32 0.07% 안개 -1.20% 4.10% 21.10%
금융 XLF 36.01 0.06% 안개 -2.70% 4.70% -0.60%
커뮤니케이션 XLC 54.76 0.00% 안개 -6.50% 11.40% -16.30%
헬스케어 XLV 129.12 -0.04% 안개 -2.80% -7.20% 0.90%
산업재 XLI 103.46 -0.20% 햇빛 0.50% 4.10% 6.50%
부동산 VNQ 86.57 -0.41% 안개 -4.90% 2.10% -13.80%
자유소비재 XLY 145.25 -0.72% 안개 -4.10% 4.00% -13.20%
소재 XLB 83.23 -1.62% 햇빛 -0.40% 2.40% 3.50%

자료티레이더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미 국채 금리 조정에 힘입어 금리에 상대적으로 민감한 IT(XLK,+0.49%), 섹터가 강세를 보였으며중국이 GDP성장률 목표치를 예상보다 낮게 발표함에 따라 중국 수요에 대한 실망감에 소재 섹터는 약세를 보였음전반적으로 혼조세를 보이는 가운데 커뮤니케이션 유틸리티(XLU,+0.48%),필수소비재(XLP,+0.26%) 등이 강세를 보였으며 부동산(VNQ,-0.41%), 소재(XLB,-1.62%) 섹터가 약세를 보임.

Thematic

분류 티커 현재가 등락률 t신호 수익률






1개월 3개월 1
클린에너지 ICLN 19.95 0.86% 안개 -1.30% -3.20% -5.70%
비트코인 BITO 13.74 0.37% 안개 -4.60% 29.70% -46.90%
반도체 SOXX 414.71 -1.16% 안개 -4.10% 10.00% -7.40%
글로벌 천연자원 GNR 59.27 -1.27% 햇빛 -1.20% 3.00% 4.50%
기초소재 IYM 138.03 -1.65% 햇빛 0.30% 6.10% 2.40%

자료티레이더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장 초반 강세를 보였던 미국 주식은 금주 중요한 이벤트를 앞두고 쉬어가는 모습을 보임섹터ETF에서는 클린에너지(ICLN,+0.86%)와 비트코인(BITO,+0.37%)이 소폭의 상승세를 보였으며 금일 반도체(SOXX, -1.16%), 글로벌 천연자원(GNR,-1.27%)과 기초소재(IYM,-1.65%)는 약세를 보였음.

  

EU Market Closing  02:30 기준

지수 종가 등락률 구분 업종 등락률
STOXX 600 464.18 +0.00%
부동산 1.8%



상승 Comm. Svc. 0.8%




정보기술 0.7%




건강관리 -0.2%



하락 필수소비재 -1.0%




소재 -1.6%
지수 종가 고가 저가 등락폭 등락률
 DAX 15,653.58 15,677.93 15,587.78 75.19 0.5%
 FTSE 100 7,929.79 7,948.67 7,897.45 -17.32 -0.2%
 CAC 40 7,373.21 7,401.15 7,349.98 25.09 0.3%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장중 상승세를 보이던 STOX600지수는ECB당국자의 추가 금리 인상 필요성에 대한 발언이 나옴에 따라 상승폭을 반납하며 약 보합세로 장을 마감함. ECB의 Chief Economist인 Philip Lane은 앞으로 몇달동안 인플레이션 완화 조짐이 나타나도 추가적인 금리인상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언급하였으며 오스트리아 중앙은행 총재도 금리인상 필요성에 대해 발언함금일 발표된 1월 유로존 소매판매는 전월대비 +0.3%, 전년동월비 -2.3%로 발표되었으며 이는 예상치에 비해 낮은 수치였음독일 DAX와 프랑스 CAC는 소폭 상승하였으나 영국 지수는 소폭하락독일의 루프트한자는 HSBC가 투자의견을 상향조정함에 따라 6% 상승마감.

 

출처: <https://m.myasset.com/extern/researchPortal/RP_0001000_P1.cmd?menuid=RP_0105000_P1&searchKeyGubun=1&keyword=&page=1&base_date=20230307061247&gbn=B&res_seq=186503>

 

 

[한투증권 전기전자/2차전지 조철희]

3월7일 IT 주요뉴스

 

● Tesla cuts U.S. Model S and Model X prices between 4% and 9%(Reuters)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가 최근 전기차 가격 인하가 수요를 자극했다고 밝힌 지 며칠 만에 미국에서 가장 비싼 전기차 2개 모델의 가격을 인하했다고 밝힘

-이는 연초 이후 다섯 번째 진행된 가격 인하로 최고급 모델인 전기세단 모델S와 전기 SUV 모델 가격을 각각 5%, 9% 할인

Link: http://bit.ly/3F1PaDU

 

● VW's Scout Motors to make electric trucks and SUVs in South Carolina(Digitimes)

-폭스바겐 EV 오프로더 브랜드 'Scout' 공장이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 주에 들어설 예정. 신규 공장에는 20억 달러가 투자되며 26년부터 본격 생산에 돌입할 전망

-폭스바겐은 완전히 새롭게 설계된 EV 플랫폼을 기반으로 제작할 예정. Electrek에 따르면 해당 공장에서 Audi EV 제조를 담당할 것으로 알려졌으나, 정확히 확인된 바는 없음

Link: http://bit.ly/3Jglg1r

 

● LG엔솔, 테슬라 공급 초읽기…4680 배터리 양산 투자 돌입

-LG에너지솔루션이 4680 배터리의 대량 생산에 돌입. 최근 장비 업체를 대상으로 견적요청서 제출을 요구한 것으로 파악

-테슬라가 자체 생산과 동시에 4680 배터리를 LG엔솔과 파나소닉으로부터 공급받기로 했는데, 현재 LG엔솔은 본격 대량 생산 단계에 진입. 라인 투자 일정을 고려하면 연내 양산이 예상. 경쟁사 파나소닉은 24년 중 양산을 계획

Link: https://bit.ly/3L1H3Lw

 

● 애플 아이폰에 삼성전자 생산 5G 반도체 안 쓴다, TSMC 3나노 공정 활용

-애플이 내년 출시하는 아이폰16 시리즈부터 자체 기술로 개발한 5G 통신 모뎀 반도체를 활용할 것. 해당 반도체는 TSMC의 3나노 파운드리 공정을 통해 생산

-현재 아이폰에는 삼성전자가 위탁생산하는 퀄컴의 5G 모뎀이 탑재되는데 TSMC가 향후 삼성전자 수주 물량을 대거 빼앗아올 가능성이 커짐

Link: http://bit.ly/3JdU2IL

 

● “전체가 화면” 삼성 작정하고 만든 새로운 ‘접는폰’ 이런 모습?

-아이스유니버스에 따르면, '갤럭시Z 플립5'의 외부 화면의 크기가 전작보다 2배 이상 커질 전망. 중국 오포의 '파인드 N2 플립'의 외부 화면보다 클 것이며, 기기 외부 전체가 디스플레이로 덮힌 형태의 디자인일 가능성이 유력하다고 보도

-또한 삼성전자가 중국업체들의 추격을 따돌리기 위해 'Z플립5'와 'Z폴드5' 출시를 예년보다 앞당길 것으로 예상

Link: https://bit.ly/3ydWMj5

 

● 스마트폰 출하량 하반기 반등…5년간 연평균 2.6% 증가 전망

-IDC에 따르면, 세계 스마트폰 출하량이 올 하반기부터 회복돼 향후 5년간 연평균 2.6% 증가할 것으로 전망. 27년 출하량이 13억 7,100만대에 달할 것이며 스마트폰 ASP는 지난해 415달러에서 27년 376달러로 하락할 것

-올해 스마트폰 출하량 전망치는 11억 9,280만대로 지난해 대비 1.1% 감소한 수치. 한편, 폴더블 스마트폰 출하량은 올해 2,200만대로 지난 해 대비 50% 늘어날 것으로 전망

Link: https://bit.ly/3kRzk8a

 

 

『하루를 여는 이경준 혁신IB자산운용 대표의  화(話)가 담긴 IPO Daily💌 - 20230307』

【 텔레그램 채널 주소 : https://t.me/KoreaIB

【 IPO상장 및 투자자문 문의 ☞ 📧 ipo@kakao.com 】

 

===========================

 

📌Today's Topic1》

“따상 쏟아지는데 왜 내 수익률은?”...부진 이어지는 공모주펀드

https://www.mk.co.kr/news/stock/10669944

🎙

공모주펀드는 공모주를 저렴하게 배정받아 추가 수익률을 노리는 펀드다.

기자님, 공모주펀드가 1% 더 비싸게 배정받아요.

공모주를 저렴하게 배정 받는다는 표현은 모르는 사람들이 봤을 때는 크게 오해 살만한 표현입니다.

 

그나저나 143개 공모주펀드의 최근 한달 수익률이 0.1%이라고?

올해 우리회사 공모주펀드 수익률이 10%가 넘는데, 이상하네, 계산을 다르게 하는 건가?...

 

 

------------------------------------------

 

📌Today's Topic2》

“비상장주식 투자하면 350% 수익”… 투자자 속여 수억원 뜯어낸 일당 징역형

https://biz.chosun.com/topics/topics_social/2023/03/06/ETMO2VDS6BHU7BORO4E2RPBNB4/?utm_source=naver&utm_medium=original&utm_campaign=biz

 

 

===========================

 

★ 금일 일정 ★

 03/07 자람테크놀로지 상장⭐️

 03/07 금양그린파워 납입🏧

 

☆ 금주 남은 일정 ☆

 03/08~09 에스바이오메딕스 수요예측⚖️

< 출처 : 🇰🇷이경준 혁신IB자산운용 대표의 화(話)💬 https://t.me/KoreaIB >

------------------------------------------

 

▣ 기관IR 일정 ▣

- 온라인 및 소규모 간담회로만 진행 -

 

▣ 상장 일정(예정, 변경가능) ▣

 03/07 자람테크놀로지(신영증권)

 03/13 금양그린파워(삼성증권)

 03/30 엘비인베스트먼트(미래에셋증권)

 03/30 지아이이노베이션(NH투자증권, 하나증권)

 04/13 에스바이오메딕스(미래에셋증권)

 미정 : 틸론(키움증권)

 미정 : 블루포인트파트너스(한국투자증권)

 

▣ 심사 승인 ▣

 - 트루엔(미래에셋증권)

 - 큐라티스(대신증권, 신영증권)

 - 토마토시스템(교보증권)

 - 씨유박스(신한투자증권, SK증권)

 - 모니터랩(미래에셋증권)

 - 마이크로투나노(한국투자증권)

 - 진영(하이투자증권)

< 출처 : 🇰🇷이경준 혁신IB자산운용 대표의 화(話)💬 https://t.me/KoreaIB >

===========================

728x90
728x90

주식 스터디를 위해 개인적으로 스크랩한 증시캘린더, 국내 및 해외마감 시황, 뉴스 자료를 공유합니다.

증시캘린더는 개인적으로 관련된 소식을 확인후 작성한 일정이라 변동 또는 오류의 소지가 있습니다.

게시물은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한 것이라

불확실하거나 오류가 많을 수 있으므로 투자 활용시 유의하시기 바라며, 개별적인 종목 추천이나 상담은 하지 않습니다.

 

모쪼록 제 공간에 오신 모든 분들이 주식스터디를 통해 인생 한 방보다, 꾸준함을 믿으며...

복리의 마법으로 모든 분들이 성공한 개인투자자가 되시길...


 

[간밤 월드뉴스 총정리 34] 3~4 고용 위축”/ 떨어진 식량 가격 / 11년만 美집값 하락/ OPEC 균열…유가 급등락/ 갑분 코인 추락/ 다음주 고용·베이지북

 

 

뉴욕증시, 파월 발언·2월 고용 주목…유가·비트코인 상승 [출근전 꼭 글로벌브리핑]

이번 주(6~10일) 뉴욕증시는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연준·Fed) 의장의 의회 증언과 2월 고용보고서에 상당한 변동성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경제TV | 2023-03-06 07:06

‘50bp인상 기폭제 될까’…美 2월 고용보고서·파월 의회 발언 주목[월가위클리]

일 구하기가 좋으니 소비자들이 돈을 쓰고, 돈을 쓰니 미국의 물가는 계속 오르고 있습니다. 이에 미국 경제를 전망하기 위한 핵심 지표는 고용과 ... 서울경제 | 2023-03-06 07:05

[데이터로 보는 증시]미국 나스닥지수 전주대비 2.58% 상승(2월 27일~3월 3일)

[서울경제] 서울경제 | 2023-03-06 06:31

이번에도 만장일치? 中 시진핑 3연임 10일 확정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3연임이 오는 10일 공식 확정될 것으로 보인다. 관심은 만장일치 여부다. 5일 외신 등에 따르면 이날 개막한 전국인민대... 서울경제 | 2023-03-05 21:01

'닥터 둠' 루비니 "금융위기 뛰어넘는 초거대 위협에 세계 분열···한국도 선택해야" [빅..

[편집자 주 : 한국경제TV는 한국경제신문과 공동으로 누리엘 루비니 뉴욕대 스턴 경영대학원 명예교수(이하 루비니)와 세계 경제 위협 요인에 대한... 한국경제TV | 2023-03-05 18:57

中, 32년만의 최저 목표…"무리한 성장 대신 체질 개선에 방점"

이 기사는 국내 최대 해외 투자정보 플랫폼 한경 글로벌마켓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시진핑 집권 3기가 공식 출범한 중국이 올해 경제성장률 목표를 ... 한국경제 | 2023-03-05 18:12

긴축 공포에 美 국채금리 4% 넘자…돈 몰리는 단기채 ETF

이 기사는 국내 최대 해외 투자정보 플랫폼 한경 글로벌마켓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미국 중앙은행(Fed)의 긴축 장기화 우려가 커지면서 단기채 상... 한국경제 | 2023-03-05 17:56

상하이 증시, 中 양회 개막 속…美와 갈등 재부각

지난주 마지막 거래일인 3일 중국 증시는 상승 마감했다. 전날보다 0.54% 오른 3328.39로 장을 마쳤다. 선전성분지수는 전장보다 0.02% 오른 11,851.92,... 한국경제 | 2023-03-05 17:52

뉴욕 증시…파월, 美 상원·하원 출석…긴축 향방은

이번주(6~10일) 뉴욕증시는 2월 고용 보고서를 앞두고 긴축 방향성에 관심이 모일 전망이다. 제롬 파월 미 중앙은행(Fed) 의장이 의회에서 할 발언 수위에 따라 변동성... 한국경제 | 2023-03-05 17:52

출처: <https://finance.naver.com/news/news_list.naver?mode=LSS3D§ion_id=101§ion_id2=258§ion_id3=403>

 

뉴욕증시, 파월 발언·2월 고용 주목…유가·비트코인 상승 [출근전 꼭 글로벌브리핑]

출처: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303060007&t=NN>

 

 

2023년 3월 6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중국 정부가 올해 성장률 목표를 기대에 못 미치는 5%로 제시했습니다.

 

(2) 3월 25bp 언급으로 10년 국채금리가 4%를 밑돌며 미 증시가 올랐습니다.

 

(3) 올해 IT 섹터 영업이익 컨센서스가 20조원을 밑돌았습니다.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905%p (-0.075%p)

한국 고객예탁금, 48.5조원 +0.7조원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92% (오전 5시 기준)

1개월 NDF 환율 1,294.17원 (-7.13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03/06 [미래에셋증권] 해외 금융시장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 (02-3774-1621)

 

◆ 미국 증시

- DOW: 33,390.97p (+387.40p, +1.17%)

- S&P500: 4,045.64p (+64.29p, +1.61%)

- NASDAQ: 11,689.01p (+226.03p, +1.97%)

- 러셀2000: 1,928.26p (+25.60p, +1.35%)

 

◆ 한국 관련

- MSCI 한국지수 ETF: $60.60 (+1.24, +2.09%)

- MSCI 이머징지수 ETF: $39.54 (+0.35, +0.89%)

- Eurex kospi 200: 319.70p (+2.90p, +0.92%)

- NDF 환율(1개월물): 1,294.17원 / 전일 대비 8원 하락 출발 예상

- 필라델피아 반도체: 3,028.34 (+44.22, +1.48%)

 

◆ 외환시장

- 달러인덱스: 104.521 (-0.506, -0.48%)

- 유로/달러: 1.0635 (+0.0038, +0.36%)

- 달러/엔: 135.87 (-0.90, -0.66%)

- 파운드/달러: 1.2036 (+0.0090, +0.75%)

 

◆ 미국 국채시장

- 2년물: 4.8565% (-2.9bp)

- 5년물: 4.2457% (-6.7bp)

- 10년물: 3.9517% (-10.4bp)

- 30년물: 3.8757% (-11.8bp)

- 10Y-2Y: -90.48bp (7.54bp 역전 확대)

(국채선물)

- 2YR T-Notes: 101*23   (+0*02 , +0.09%)

- 5YR T-Notes: 106*21 1/2 (+0*09 , +0.26%)

- 10YR T-Notes: 111*03   (+0*19 , +0.54%)

- US T-Bonds: 124*28   (+1*26 , +1.47%)

- Ultra US T-Bonds: 135*30   (+3*00 , +2.26%)

 

◆ 상품시장 ($, 단 곡물, 구리는 센트)

- WTI: 79.68 (+1.52, +1.94%)

- 브렌트유: 85.83 (+1.08, +1.27%)

- 금: 1,854.60 (+14.10, +0.77%)

- 은: 21.24 (+0.34, +1.61%)

- 아연(LME, 3M): 3,077.50 (+29.50, +0.97%)

- 구리: 406.70 (-0.90, -0.22%)

- 옥수수: 639.75 (+6.00, +0.95%)

- 밀: 708.75 (-4.00, -0.56%)

- 대두: 1,518.75 (+9.50, +0.63%)

 

*동 자료는 2023년 3월 5일 미래에셋증권 홈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를 요약한 것입니다.

 

글로벌 주식시장 변화와 전망(3월 6일)

미래에셋증권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02-3774-1621)

 

미 증시, 통화정책 보고서로 달러 약세, 금리 하락하자 상승 확대

 

미 증시는 애플(+3.51%)과 메타(+6.14%)가 호재성 재료로 강세를 보이자 상승 출발한 가운데 미 국채 금리가 하락폭을 확대한 점도 긍정적. 금리 하락은 연준이 통화정책 보고서를 통해 50bp 이상의 금리인상에 대해 부정적인 발표를 한 데 이어 ISM 서비스업 지수의 물가지수 둔화, 유로존 생산자물가지수 하락, 덜 매파적인 연준 위원들의 발언 등에 힘입은 결과. 이러한 내용으로 달러화가 약세를 보였고 국채 금리도 하락하자 호재가 유입된 AI와 전기차 등 기술주가 상승을 주도(다우 +1.17%, 나스닥 +1.97%, S&P500 +1.61%, 러셀2000 +1.35%)

 

변환요인: ①국채 금리 하락, 달러 약세 영향

https://securities.miraeasset.com/bbs/download/2103513.pdf?attachmentId=2103513

 

3/5, 전인대 개막,정부공작보고 (리커창 총리)

 

2023년 주요 목표치 예상치 부합

 

1) 과거 1년과 5년 업무 회고

- 지난 해 GDP 3.0%

- 연간 부가가치세 환급 2.4조 위안

- 3200만명 이상의 이주 노동자 탈빈곤 실현

 

- 과거 5년간 연평균 성장률 5.2%

- 식량생산 3년연속 1.3조억근 이상 안정적으로 유지

- 도시농촌 신규 취업증가는 연간 1270여 만명

- 8년간 지속적으로 노력해 약 1억 농촌민곤인구 탈빈곤 실현

 

 

2) 2023년 발전  주요 목표

- 2023년 GDP 목표치 5%

- 도시농촌 신규 취업 1200만명

- CPI 3.0%

- 식량생산 1.3조근 이상 유지

- 도시농촌 실업률 5.5%

 

3) 2023년 정부 업무 건의

- 적극적인 재정정책 발휘. 재정적자율 3% 설정

- 세제혜택 : 현행 감세, 비용 절감 정책 유지

- 고용 : 청년 고용 특별 촉진. 고졸 취업 특별 지원

- 방역 통제 : 백신 업그레이드 및 신약 연구개발 , 약품 수요에 맞는 공급 보장

- 소비 : 안정적인 상품 소비 안정, 생활서비스 소비회복 추진

- 정부투자 : 지방정부 특별채권 발행 3.8조 위안

- 제조업 중점 밸류체인 : 양질의 자원 집중, 핵심 기술 연구 추진

- 디지털경제 : 감독 상시화, 플랫폼 경제 발전 지원

- 민영경제: 민영 기업의 재산권과 기업가의 권익 보호, 민영 경제와 민영 기업의 발전과 성장 장려

- 외자유치 : 외자 유치 대표 프로젝트 추진

- 주요 경제 및 금융리스크 : 부동산 기업 리스크를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자산부채 상태 개선. 지방정부의 부채위험 방지, 부채만기 구조 최적화

- 농촌진흥 : 농촌특색산업 발전, 농민들의 소득증대 경로 확대

- 녹색전환 : 핵심 분야 에너지 절약, 탄소저감 추진(푸른하늘, 맑은 물, 깨끗한 땅 지키기 지속)

- 주택 : 주택 수요 지원, 신규시민 및 청년 등 주택 문제 해결

- 교육 : 의무교육의 질적, 균형 발전과 도시농촌 통합 추진

- 의료 : 양질의 의료자원 확장, 지역균형 배치 추진

- 사회보장 : 노인요양서비스 강화, 출산 지원정책 체계 개선

- 홍콩과 마카오 발전 : 홍콩과 마카오의 경제발전을 지지하고 민생 개선 강화

- 대만문제 : '독립'을 단호히 반대하고 통일을 추진. 양안관계의 평화적 발전을 촉진, 조국의 평화통일 과정 추진

 

 

(2023.03.04) U.S.& EU Market Closing

  • 2023.03.04   이상규   U.S. Market Closing – 06:00 기준
지수 종가 등락폭 등락률 상승/하락/보합
DOW 33,390.97 387.40 1.2% 25/5/0
S&P500 4,045.64 64.29 1.6% 444/56/3
NASDAQ 11,689.01 226.03 2.0% 2338/980/276
RUSS 2K 1,928.26 25.60 1.3% 1506/391/28
PHLX 반도체지수 3,028.34 44.22 1.5% 22/7/0
VIX지수 18.49 -1.10 -5.6%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 티레이더에서 나스닥 • 필라델피아반도체 지수 실시간 제공

 

금일 미국 증시는 국채가격 하락에 일제히급등. 최근 미국 증시를 흔들고 있던 국채금리가 지난 2일4%를 돌파 후, 2틀 연속 하락하면서 미국 증시에 상승압력으로 작용. 지난 날 장 후반, 라파엘 보스틱 애틀란타연방준비은행 총재가 25bp 금리 인상을 고수하는데 강력히 찬성한다는 발언과, 오는 여름 금리인상이 마무리가 될 것이라는 전망을 제기하며 미 연준(Fed)의매파적 기조에 따른 우려가 축소되며 국채가격하락 및 증권 시장에 상승 압력으로 작용된 것으로 분석. 일각에서는지난 통화정책회의에서 파월 의장이 디스인플레이션에 진입했다는 발언에, 오는 통화정책 회의에서 강력한매파 구조를 형성하기 어렵다는 주장 또한 제기. 한편, 여전히견고한 소매와 고용 지표 및 물가지표 등을 고려한다면, 미 연준(Fed)은지난 해 앞서 말한 목표 인플레 2% 달성을 위해 매파적인 기조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

 

 

U.S. ETF Closing – 06:00 기준

Sector

분류 티커 현재가 등락률 t신호 수익률    
          1개월 3개월 1년
자유소비재 XLY 146.3 2.2% 안개 -3.3% 5.1% -9.6%
커뮤니케이션 XLC 54.7 2.2% 안개 -5.9% 10.6% -14.0%
IT XLK 140.1 2.1% 안개 -1.1% 7.9% -1.9%
유틸리티 XLU 66.3 1.7% 안개 -2.4% -6.0% -5.0%
부동산 VNQ 87.0 1.5% 안개 -5.4% 3.4% -12.6%
금융 XLF 36.0 1.5% 안개 -1.7% 4.2% 2.4%
소재 XLB 84.6 1.4% 햇빛 1.4% 4.6% 7.9%
에너지 XLE 87.3 1.4% 안개 1.6% 3.4% 19.2%
헬스케어 XLV 129.2 1.1% 안개 -2.7% -5.6% 0.7%
산업재 XLI 103.7 1.1% 햇빛 0.8% 4.8% 7.9%
필수소비재 XLP 72.5 0.1% 안개 -1.2% -3.6% -0.1%

자료: 티레이더, 유안타증권해외투자전략팀

금일 섹터 ETF는 내 자유소비재(XLY/+2.2%)와 커뮤니케이션(XLC/+2.2%) 섹터 ETF가 상승 마감. 자유소비재(XLY) 섹터 ETF는최근 안전자산선호심리에 따른 하락에 대한 저가 매수세가 유입되며 상승세 시현. 특히 해당 섹터 ETF 내 노르웨이지언(NCL/+4.3%)와 포드(F/+4.2%)가 큰 폭의 상승 마감

 

 

Thematic

분류 티커 현재가 등락률 t신호 수익률    
          1개월 3개월 1년
기술혁신 ARKK 40.4 3.2% 안개 -5.6% 16.9% -30.3%
IPO IPO 28.7 2.6% 안개 -3.3% 9.5% -24.9%
클린에너지 ICLN 19.8 2.1% 안개 -2.5% -3.6% 0.3%
주거건축 XHB 68.8 2.1% 안개 -3.4% 14.4% 6.1%
워런 버핏 MOAT 72.5 1.8% 안개 -2.8% 9.7% 3.2%

자료: 티레이더, 유안타증권해외투자전략팀

금일 테마 ETF 내 기술혁신(ARKK/+3.2%)과IPO(IPO/+2.6%) 테마 ETF가 상승세 시현. 기술혁신(ARKK 테마 ETF 내이그젝트 사이언시스(EXAS/+7.3%)가 급등세 시현.

 

EUMarket Closing – 02:30 기준

지수 종가 등락률 구분 업종 등락률
STOXX 600 464.26 0.9%   정보기술 2.1%
      상승 자유소비재 1.6%
        소재 1.2%
        에너지 -0.5%
      하락 필수소비재 -0.1%
        정보기술 2.1%
지수 종가 고가 저가 등락폭 등락률
獨 DAX 15,578.39 15,590.44 15,409.99 250.75 1.6%
英 FTSE 100 7,947.11 7,974.40 7,920.07 3.07 0.0%
佛 CAC 40 7,348.12 7,358.04 7,308.15 63.9 0.9%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해외투자전략팀

금일 유럽증시는 지난 날의 인플레이션 지표를 소화하며 이틀 연일상승 마감. 세부적으로 정보기술, 자유소비재, 소재 섹터가 상승. 지난 날 유로존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시장의 예상치를 상회함에 따라 유럽중앙은행의 추가 긴축 우려가 확산되었지만, 추가금리 인상 우려를 소화하며 상승 마감. 영국 증시는 금일 영국의반도체 업체 Arm의 뉴욕 상장에 집중되며 하락 출발하였지만, 장후반 매수세에 힘입어 반등 후 강 보합 마감. 한편, 블룸버그는유럽의 증시는 유럽중앙은행(ECB)의 매파적인 금리 기대를 잘 견뎌냈지만, 채권 수익률의 끊임없는 급등이 주식시장에 압력을 높이고 있다는 분석을 제기.금주 유럽 증시 참가자들은 어닝데이와 경제 성장의 강세에 대비한 금리 인상 전망 등에 가중치를 둘 것으로 전망.

 

출처: <https://m.myasset.com/extern/researchPortal/RP_0001000_P1.cmd?menuid=RP_0105000_P1&searchKeyGubun=1&keyword=&page=1&base_date=20230304062115&gbn=B&res_seq=186473>

 

 

[신영증권 박소연] 3월 둘째주 증시전망

 

바이든 행정부가 2022년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이어 2023년에는 반도체 지원법(CHIPs Act)을 들고 나왔습니다.

 

세부 내용을 따져보면 한국기업에 불리한 조항이 많아 논란이 큽니다. 정보 공개, 시설 접근권, 초과이익 환수 등은 좀 무리다 싶습니다.

 

외신에서도 '이러다 중국 좋은 일만 시킬 수 있다', '공급망을 재구축하려면 친구를 만들어야지 적을 만들셈이냐' 각종 비판이 나오고 있네요.

 

그러나 '공급망을 빠르게 재구축하려는 정책적 압력이 가속화되고 있으며, CAPEX 사이클은 더욱 강화될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사실에는 변함이 없습니다.

 

물가는 높고, 금리도 높고, 달러도 강세라 금융시장은 여전히 불안합니다. 하지만 CAPEX 사이클과 Value 아웃퍼폼 기대감은 더 커질 것 같습니다.

 

================

 

▲ 전주 동향 : KOSPI 5주만에 반등. 3월 FOMC 앞두고 인플레 경계감과 50bp 인상은 없다는 기대감이 교차. 국고 3년물 35bp 급등한 3.90%, 원/달러 환율은 3원 하락한 1,301원 기록

 

▲ 업종/종목 : 반도체 대장주 약세로 2차전지/시클리컬 등 중소형주로 수급 확산. 코스모신소재(+24.9%), 코스모화학(+33.5%) 폐배터리 재활용 세제 혜택 기대로 급등. 한농화성(+54.9%), 이수화학(+35.7%) 등 전고체 배터리 소재주도 강세

 

- 52주 신고/근접 : 풍산, 한화에어로스페이스, 금호석유, DB손해보험, 휠라홀딩스, CJ, 코스모신소재, 코스모화학, 현대일렉트릭, 만호제강 / 에코프로, 나노신소재, 이녹스, 하림지주 등

 

▲ 주말 해외동향 :  뉴욕증시 강세 마감. 미국채 10년물 금리가 4% 하회하며 나스닥 기술주 강세. 그러나 실버게이트 뱅크런 사태로 비트코인/이더리움 등 약세 지속. NDF 원/달러 환율 금요일 종가 대비 5원 하락한 1,296원 호가

 

- 중국 양회 서프라이즈 없어 : GDP와 재정적자 목표치 예상 수준 발표, 국방비는 상향 조정

 

▲ 종합판단 : 인플레 고착화, 고금리 지속 우려 재확산으로 순환적 반등 마무리. Index 추가 상승 어려워. CAPEX, 소부장, 시클리컬, Value 상대 선호. 행동주의 등 중장기 핵심 Theme 집중 필요

 

- 금주 일정 : 7일(화) 파월 상원 청문회 출석, 10일(금) 미국 2월 고용지표

 

**기발간 리포트를 토대로 컴플 규정을 준수하였습니다.

 

 

 

📮[메리츠증권 중국 최설화]

 

소문난 잔치에 먹을 것이 없다고 올해 중국의 여러 가지 경제 목표도 크게 서프라이즈는 없었습니다.

 

아래 8가지 주요 사업계획에서 1번으로 내수 확대를 강조했지만 세부 조치 언급이 없었고, 재정은 확장적 기조를 유지했지만 서프라이즈는 없었으며, 부동산은 여전히 투기 억제, 실수요 부양 기조를 유지했습니다.

 

대신 국방비 지출 증가율이 ‘22년의 7.1%에서 ‘23년의 7.2%로 상향 조정되었습니다.

========

올해 8가지 주요 사업 과제:

1)내수 확대

2)현대화된 제조업 공급망 구축 가속화

3)국영기업의 핵심 경쟁력 제고 및 민영기업의 권익과 재산권 보호

4)진일보 대외개방, 외자 유치

5)중대한 금융 리스크를 효과적으로 해소

6)안정적인 식량 생산과 농촌진흥 추진

7)친환경 발전으로의 전환 추진

8)민생과 사회안전망 개선

 

출처: 전국인민대표대회 업무보고

 

중국 정책 우선 순위 변화 반영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3792349?sid=104

 

 

 

『하루를 여는 이경준 혁신IB자산운용 대표의  화(話)가 담긴 IPO Daily💌 - 20230306』

【 텔레그램 채널 주소 : https://t.me/KoreaIB

【 IPO상장 및 투자자문 문의 ☞ 📧 ipo@kakao.com 】

 

===========================

 

📌Today's Topic》

[시그널] 국내·외 7대 IB, 두산로보틱스 IPO 주관 '각축전'

https://www.sedaily.com/NewsView/29MWPGRMWJ

🎙 국내 IPO 시장에 진짜 훈풍이 불길🙏

 

 

===========================

 

★ 금일 일정 ★

 없음

 

☆ 금주 남은 일정 ☆

 03/07 자람테크놀로지 상장⭐️

 03/07 금양그린파워 납입🏧

 03/07~08 블루포인트파트너스 수요예측⚖️

 03/08~09 에스바이오메딕스 수요예측⚖️

< 출처 : 🇰🇷이경준 혁신IB자산운용 대표의 화(話)💬 https://t.me/KoreaIB >

------------------------------------------

 

▣ 기관IR 일정 ▣

- 온라인 및 소규모 간담회로만 진행 -

 

▣ 상장 일정(예정, 변경가능) ▣

 03/07 자람테크놀로지(신영증권)

 03/13 금양그린파워(삼성증권)

 03/24 에스바이오메딕스(미래에셋증권)

 03/30 엘비인베스트먼트(미래에셋증권)

 03/30 지아이이노베이션(NH투자증권, 하나증권)

 미정 : 틸론(키움증권)

 미정 : 블루포인트파트너스(한국투자증권)

 

▣ 심사 승인 ▣

 - 트루엔(미래에셋증권)

 - 큐라티스(대신증권, 신영증권)

 - 토마토시스템(교보증권)

 - 씨유박스(신한투자증권, SK증권)

 - 모니터랩(미래에셋증권)

 - 마이크로투나노(한국투자증권)

 - 진영(하이투자증권)

< 출처 : 🇰🇷이경준 혁신IB자산운용 대표의 화(話)💬 https://t.me/KoreaIB >

===========================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