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주식 스터디를 위해 개인적으로 스크랩한 증시캘린더, 국내 및 해외마감 시황, 뉴스 자료를 공유합니다.

증시캘린더는 개인적으로 관련된 소식을 확인후 작성한 일정이라 변동 또는 오류의 소지가 있습니다.

게시물은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한 것이라

불확실하거나 오류가 많을 수 있으므로 투자 활용시 유의하시기 바라며, 개별적인 종목 추천이나 상담은 하지 않습니다.

 

모쪼록 제 공간에 오신 모든 분들이 주식스터디를 통해 인생 한 방보다, 꾸준함을 믿으며...

복리의 마법으로 모든 분들이 성공한 개인투자자가 되시길...


[간밤 월드뉴스 총정리 330] “반도체, 터널 빛”/ “금융주 매수 적기” 왜?/ 우드 팔자 날개 단 종목 / 호주서도 물가 청신호/ 애플·마스터카드 공생/ 코인 급등

 

뉴욕증시, 국채금리 안정·은행위기 진정에 일제 상승 ‘테슬라 2.48%↑’…유가 하락·비트..

뉴욕증시가 29일(현지시간) 상승했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지수는 전장 대비 323.35포인트(1.00%) 상승한 3만2717... 한국경제TV | 2023-03-30 06:49

 

“S&P, 투기채 연체 두배 증가 전망”…“美 소형은행 수년 힘들 수도” [김영필의 3분 ..

29일(현지 시간) 미국 뉴욕증시의 주요 지수가 은행 위기 안정세가 이어지면서 상승 마감했습니다. 나스닥이 1.79% 오른 것을 비롯해 스탠더드... 서울경제 | 2023-03-30 06:43

 

불장 진입한 나스닥 100···마이크론 나쁜 실적서 오히려 '저점' 가능성 본 월가 [신인..

오늘 3대 지수 모두 상승 마감했는데, 시장을 들어올린 주요 체크포인트 살펴볼까요. 은행주에 대한 우려는 조금 잦아들었고, 대형 기술주에 대한 ... 한국경제TV | 2023-03-30 06:31

 

위험 선호 심리 회복에 상승…나스닥 1.79%↑[뉴욕증시 브리핑]

간밤 뉴욕증시에서 주요지수는 위험 선호 심리가 되살아나며 상승했다. 29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 한국경제 | 2023-03-30 06:17

 

[뉴욕증시]채권시장 안정에 모처럼 투심↑…안심 단계는 아니다

미국 뉴욕 증시가 모처럼 일제히 상승했다. 이번 은행권 불안이 일단 소강 상태를 보이는 가운데 뉴욕채권시장 변동성이 줄면서 위험 선호 심리가 덩... 이데일리 | 2023-03-30 06:16

 

뉴욕증시, 위험 선호 심리에 상승…다우 1%↑마감

윤영숙 연합인포맥스 특파원 = 뉴욕증시는 시장을 짓눌렀던 은행권에 대한 우려가 진정되고, 위험선호 심리가 되살아나며 상승했다. 29일(미 동부시... 연합뉴스 | 2023-03-30 05:41

 

출처: < https://finance.naver.com/news/news_list.naver?mode=LSS3D§ion_id=101§ion_id2=258§ion_id3=403>

 

뉴욕증시, 국채금리 안정·은행위기 진정에 일제 상승 ‘테슬라 2.48%↑’…유가 하락·비트코인 상승 [출근전 꼭 글로벌브리핑]

출처: <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303300021&t=NN>

 

 

2023년 3월 30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목표가가 상향된 마이크론이 7.2% 올랐고 나스닥100이 기술적으로 강세장에 진입했습니다.

 

(2) 무디스가 SK하이닉스의 신용등급을 부정적으로 하향했습니다.

 

(3) 미 대형은행들이 크레딧 세컨더리 펀드를 조성할 계획입니다.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529%p (-0.020%p)

한국 고객예탁금, 49.2조원 -1.3조원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22% (오전 5시 기준)

1개월 NDF 환율 1,304.25원 (+1.35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03/30 [미래에셋증권] 해외 금융시장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 (02-3774-1621)

 

◆ 미국 증시

- DOW: 32,717.60p (+323.35p, +1.00%)

- S&P500: 4,027.81p (+56.54p, +1.42%)

- NASDAQ: 11,926.24p (+210.16p, +1.79%)

- 러셀2000: 1,771.60p (+18.97p, +1.08%)

 

◆ 한국 관련

- MSCI 한국지수 ETF: $60.00 (-0.03, -0.05%)

- MSCI 이머징지수 ETF: $39.12 (+0.11, +0.28%)

- Eurex kospi 200: 318.60p (+0.70p, +0.22%)

- NDF 환율(1개월물): 1,304.25원 / 전일 대비 1원 상승 출발 예상

- 필라델피아 반도체: 3,157.11 (+99.85, +3.27%)

 

◆ 외환시장

- 달러인덱스: 102.669 (+0.239, +0.23%)

- 유로/달러: 1.0843 (-0.0002, -0.02%)

- 달러/엔: 132.87 (+1.98, +1.51%)

- 파운드/달러: 1.2317 (-0.0025, -0.20%)

 

◆ 미국 국채시장

- 2년물: 4.0907% (+1.2bp)

- 5년물: 3.6733% (-0.2bp)

- 10년물: 3.5601% (-1.0bp)

- 30년물: 3.7613% (-0.8bp)

- 10Y-2Y: -53.06bp (2.19bp 역전 확대)

(국채선물)

- 2YR T-Notes: 103*07   (-0*02 , -0.06%)

- 5YR T-Notes: 109*07 3/4 (-0*02 3/4, -0.08%)

- 10YR T-Notes: 114*17   (-0*04 , -0.11%)

- US T-Bonds: 129*26   (-0*01 , -0.02%)

- Ultra US T-Bonds: 139*06   (+0*10 , +0.22%)

 

◆ 상품시장 ($, 단 곡물, 구리는 센트)

- WTI: 72.97 (-0.39, -0.53%)

- 브렌트유: 78.28 (-0.56, -0.71%)

- 금: 1,984.50 (-8.40, -0.42%)

- 은: 23.47 (+0.04, +0.17%)

- 아연(LME, 3M): 2,968.00 (+31.50, +1.07%)

- 구리: 408.65 (-0.50, -0.12%)

- 옥수수: 650.50 (+3.50, +0.54%)

- 밀: 704.75 (+5.00, +0.71%)

- 대두: 1,477.25 (+7.75, +0.53%)

 

*동 자료는 2023년 3월 30일 미래에셋증권 홈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를 요약한 것입니다.

 

글로벌 주식시장 변화와 전망(3월 30일)

미래에셋증권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02-3774-1621)

 

미 증시, 마이크론 효과로 안도랠리 속 연준 주목하며 상승

 

미 증시는 CS를 인수한 UBS에 대해 스위스 정부가 자금 지원 승인을 발표하자 은행 리스크 완화 기대로 상승 출발. 여기에 마이크론(+7.19%)이 반도체 업황 전망에 대해 낙관적이라고 발표하자 반도체 업종 중심으로 상승폭 확대. 더불어 기관 투자자 심리가 점차 개선되고 있다는 지표 결과 또한 투자심리에 긍정적. 결국 시장은 최근 은행 리스크가 개별 요인이라는 마이클 바 연준 부의장의 발언으로 안정을 찾은 가운데 연준의 금리인상 기조 종료 기대와 개별 기업 이슈로 기술주 중심으로 상승(다우 +1.00%, 나스닥 +1.79%, S&P500 +1.42%, 러셀2000 +1.08%)

 

변화요인: ①기관 투자자 심리 ②마이크론 등 개별 기업

https://securities.miraeasset.com/bbs/maildownload/20230330054911703_3533

 

03/30 한국 증시: 반도체 업종에 대한 기대 속 분기말 수급 주목

미래에셋증권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02-3774-1621)

 

MSCI 한국 지수 ETF 0.05% 하락, MSCI 신흥 지수 ETF는 0.28% 상승. NDF 달러/원 환율 1개월물은 1,304.25원으로 이를 반영하면 달러/원 환율은 1원 상승 출발 예상. Eurex KOSPI200 선물은 0.22% 상승. KOSPI는 0.5% 내외 상승 출발 예상

 

미 증시가 은행 리스크 완화와 연준의 금리인상 기조 종료 기대 등으로 안도랠리를 보이며 상승한 점은 한국 증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 특히 전일 장 마감 후 마이크론이 실적발표를 통해 업황 개선 기대를 높였음에도 국내 관련주는 부진했지만, 오늘 미 증시에서는 관련 소식에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가 3.27% 상승한 점을 감안 우호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

 

한편, 달러화가 강세를 보인 점은 부담이나 이는 엔화가 분기말 수급적인 요인과 안전자산 선호심리 약화 등으로 크게 약세를 보인데 따른 것이란 점을 감안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돼 달러 강세 부담은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 더불어 신용평가사 무디스가 미국 은행 부문이 다소 약한 성장을 하겠지만 약세는 제한될 것으로 전망한 가운데 올해 미국의 경기 침체가 온건할 것이라고 전망한 점도 긍정적. 이를 감안 한국 증시는 0.5% 내외 상승 출발한 가운데 안도랠리 기대 속 외국인 수급에 따라 그 폭이 결정될 것으로 전망.

 

 

 

 

 

 

 

(2023.03.30) U.S.& EU Market Closing

  • 2023.03.30  허기호
  • U.S. Market Closing – 05:00 기준
지수 종가 등락폭 등락률 상승/하락/보합
DOW 32,717.6 323.3 1.0% 28/2/0
S&P500 4,027.8 56.5 1.4% 465/37/0
NASDAQ 11,926.2 210.2 1.8% 2145/1041/383
RUSS 2K 1,771.2 18.6 1.1% 1400/504/19
PHLX 반도체지수 3,157.1 99.8 3.3% 29/0/0
VIX지수 19.1 -0.8 -4.2%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 티레이더에서 나스닥•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실시간 제공

금일 뉴욕 증시는 미국 금융 당국의 신속한 대응에 대한 시장의 인식이 상승하며 투자 심리가 개선, 이에 나스닥 지수를 중심으로 뉴욕 3대 지수 모두 상승 마감. 특히 미 연방준비제도이시회(Fed)의 금리인상 사이클 종료에 대한 시장의 기대감 또한 증시 상승을 지지하는 요인으로 작용. 한편 일각에서는 미국과 유럽 양쪽에서 은행들의 유동성 리스크가 시장의 문제로 대두되었으나 금리인상 완화 및 동결을 고려하고 있는 미국과 달리 유럽중앙은행(ECB)에선 고강도의 긴축통화정책이 지속될 것이란 분석이 제기. 따라서 달러 약세 및 유로 강세가 나타남에 따라 통화 격차가 심화되며 위험자산 선호 심리가 다소 회복될 것으로 전망.

 

U.S. ETF Closing – 05:00 기준

Sector

분류 티커 현재가 등락률 t신호 수익률






1개월 3개월 1년
부동산 VNQ 80.3 2.3% 안개 -6.8% -4.0% -24.3%
IT XLK 147.2 2.1% 햇빛 5.2% 19.4% -6.2%
자유소비재 XLY 144.4 1.9% 햇빛 -1.0% 11.2% -21.3%
유틸리티 XLU 66.9 1.5% 햇빛 1.7% -5.3% -8.6%
금융 XLF 31.9 1.5% 안개 -11.0% -8.1% -14.8%
산업재 XLI 99.6 1.4% 안개 -3.5% 0.8% -0.7%
에너지 XLE 81.9 1.4% 안개 -5.2% -1.9% 10.9%
소재 XLB 78.8 1.4% 안개 -6.4% 0.3% -9.4%
커뮤니케이션 XLC 56.6 1.3% 햇빛 3.7% 14.6% -17.5%
필수소비재 XLP 73.9 0.5% 햇빛 2.4% -0.4% -1.0%
헬스케어 XLV 127.4 0.3% 안개 -1.0% -5.8% -6.2%

자료: 티레이더,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섹터별 ETF는 부동산(VNQ/+2.3%)섹터와 에너지(XLE/+1.4%) 섹터가 상승 마감.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의 금리인상 사이클 종료에 대한 시장의 기대감이 상승하며 경기침체 우려로 인해 지난 낙폭을 확대하였던 부동산과 에너지 섹터를 중심으로 상승을 주도. 특히 에너지 섹터에서는 이라크 쿠르드 자치정부의 원유 수출 차질에 대한 우려가 지속됨에 따라 국제유가 상승 압력을 지지하며 에너지 섹터의 상승 압력을 가중.

 

 

Thematic

분류 티커 현재가 등락률 t신호 수익률






1개월 3개월 1년
기술혁신 ARKK 38.6 3.8% 안개 -4.6% 21.4% -42.9%
비트코인 BITO 17.5 3.6% 햇빛 27.8% 68.0% -38.9%
반도체 SOXX 434.8 3.2% 햇빛 3.9% 23.3% -5.2%
IPO IPO 28.0 2.3% 햇빛 -2.3% 12.5% -37.2%
클린에너지 ICLN 19.2 2.0% 안개 -3.1% -3.2% -10.7%

자료: 티레이더,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테마별 ETF는 비트코인(BITO/+3.6%)ETF와 반도체(SOXX/+3.2%)ETF가 상승 마감. 크레딧 스위스와 SVB 사태 등 금융 섹터의 유동성 우려 이후 줄곧 강세를 시현하던 가상화폐에 대한 위험자산 선호 심리가 지속적으로 상승. 이에 비트코인 ETF의 주된 상승 요인으로 작용. 특히 일각에선 높은 기준금리 기조 속에 가상화폐가 인플레이션 헷지 자산으로서 주목되며 투자심리를 견인. 한편 미 연준의 금리인상 사이클 종료 기대감이 반도체 시장에서의 수요 회복으로 이어질 것이란 분석이 제기되며 반도체 ETF의 상승 요인으로 작용.

 

 

EU Market Closing – 01:30 기준

지수 종가 등락률 구분 업종 등락률
STOXX 600 450.21 1.3%
부동산 +2.8%



상승 정보기술 +2.7%




금융 +1.9%



하락

지수 종가 고가 저가 등락폭 등락률
獨 DAX 15,328.78 15,342.27 15,186.75 186.76 1.2%
英 FTSE 100 7,564.27 7,566.80 7,484.21 80.02 1.1%
佛 CAC 40 7,186.99 7,201.25 7,125.12 98.65 1.4%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금일 유럽증시는 중국의 다국적 IT기업 알리바바(BABA/+1.5%)의 사업 분할 발표 등 아시아 시장의 낙관적인 전망이 제기되며 상승 마감. 이에 범유럽지수인 STOXX 600은 부동산 섹터가 상승을 주도하며 1.3% 상승한 450.2선에서 거래를 마감했으며 영국FTSE 지수와 프랑스CAC 지수를 포함한 유럽의 3대 지수 모두 상승 마감. 글로벌 투자은행 제이피모건체이스에 따르면 이번 중국 알리바바의 기업 분할은 대대적인 구조조정과 리브랜딩과 상당히 유사한 측면이 있다고 언급하며 주가 단기 상승 여력이 강력하다고 평가. 하지만 일각에서는 당사의 사업 분할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세부 내용이 공개 되기 전까진 투자에 신중 해야할 필요가 있다 전망.

 

출처: < https://m.myasset.com/extern/researchPortal/RP_0001000_P1.cmd?menuid=RP_0105000_P1&searchKeyGubun=1&keyword=&page=1&base_date=20230330051711&gbn=B&res_seq=186948>

 

 

[한화투자증권 경제 임혜윤]

<오늘 개장전 꼭 알아야할 5가지_Bloomberg 3/30>

 

1) 美은행 실패 비용 충당

미국 연방예금보험공사(FDIC)가 실리콘밸리은행(SVB)과 시그니처은행 등 최근 은행 실패로 거의 230억 달러에 달하는 비용이 예상됨에 따라 월가 대형은행들에게 평소보다 더 많은 부담을 압박하는 방안을 검토. FDIC는 타격을 받게 될 1,280억 달러 규모의 예금보험기금을 강화하기 위해 5월 소위 특별 평가(special assessment)를 제안할 방침으로, 그 규모나 시기에 대한 논의는 아직 초기 단계. 당국 관계자들은 지역은행의 부담을 제한하기 위해 대규모 금융기관에 보다 큰 비중으로 비용 부담을 떠넘기는 방안을 들여다보고 있음. 대형은행에 주로 의존하는 것은 정치적으로 가장 구미에 당기는 해법이라고 일부 소식통은 언급. 금융 당국이 문제가 된 은행들의 모든 예금을 보장하겠다며 이례적 백스톱 조치를 취하자 의회 의원들은 누가 최종적으로 부담을 지게 될지를 놓고 옐런 재무장관과 파월 연준의장, 그룬버그 FDIC 의장을 강하게 압박. 은행들은 FDIC 보험기금에 매 분기마다 예금보험료를 내며, FDIC는 수수료를 정할 때 개별 은행의 규모를 고려. FDIC의 주요 기금이 타격을 입을 경우 FDIC는 기금 보충 속도를 높이는 시스템

 

2) 여전히 불안한 AT1. 파이낸싱 비용↑

2560억 달러 규모의 신종자본증권(AT1) 시장이 아직도 크레디트스위스(CS) AT1 전액 상각에 따른 충격으로부터 고통받고 있음. 은행 규제 당국과 정치인들이 시장 불안을 진정시키기 위해 연일 발언을 쏟아내고 있지만 CS 긴급 구제 과정에서 CS 주식은 UBS 주식으로 교환돼 가치가 일부 보존된 반면 AT1 채권은 휴지조각이 되면서 거대한 후폭풍을 일으켰음. ING의 Timothy Rahill는 “은행들이 곧 새로운 AT1을 발행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며, “AT1 시장은 여전히 림보 상태로, 이 상품의 실제 가치와 그에 따른 책임 구조에 대한 질문이 사라지지 않고 있다”고 지적. AT1 채권을 발행한 은행은 채권투자자와 주식보유자, 규제 기관의 서로 다른 이익 사이에서 균형을 찾아야 하는 어려운 결정에 직면해 있음. 대개 AT1은 조기상환(콜옵션 행사)을 한 뒤 다른 AT1을 발행해 차환하는 것이 관례지만 현재 높은 리파이낸싱 비용을 감안할 때 이를 건너뛰고 쿠폰 이자를 지급하는게 발행자 입장에선 유리할 수 있음. 그러나 자칫 AT1 투자자들을 실망시킬 위험이 있음. 그렇다고 막대한 비용을 감수하고 무리하게 조기상환을 강행할 경우 주주들에게 역공을 당할 수 있음. 유럽에서 올해 첫 콜 시점이 도래하는 조건부 전환사채가 약 180억 달러에 이름. 바클레이즈는 “올해 대부분의 벤치마크 AT1이 조기 상환될 것으로 예상한다”며, “발행사와 규제당국이 보다 투자자 친화적인 접근 방식을 따를 것”으로 전망. Natixis는 AT1 시장이 되살아나겠지만 투자자들이 어떤 채권을 살지 좀 더 까다로워질 수 있다고 지적. Kepler Cheuvreux는 “CS발 전이가 없다 하더라도 시장이 이를 소화하고 다시 확신을 갖기 위해선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전망

 

3) 외환 유동성 위기 경고

금융 여건이 타이트해지고 경제 성장이 둔화됨에 따라 글로벌 외환시장이 유동성 경색에 직면할 수 있다는 우려 제기. BofA는 외환시장이 최근 은행 위기에서 상대적으로 타격을 크게 입지 않았지만 미국 은행권에 대한 우려가 달러 약세와 엔화 강세를 부추김에 따라 주요 통화쌍 환율의 내재 변동성이 이달 들어 급등했다고 지적. 그러나 미 달러에 대한 수요 급증이 유로-달러 1개월 내재변동성을 2020년초 이래 최고 수준으로 끌어 올렸던 작년 후반과 비교할 때 아직 위기 수준과는 거리가 멀다고 진단. 실리콘밸리은행 붕괴와 UBS의 크레디트스위스 인수 이후 연준이 비둘기파적 스탠스를 보이면서 시장을 진정시켰지만, 인플레이션이 고집스럽게 높은 수준에 머물 경우 변동성이 다시 튀어오를 리스크가 있다고 지적. “은행-신용 긴축이 시차를 두고 큰 충격을 줄 수 있는데다 경제는 주기 상 위축 국면에 진입하는 듯 보인다”며, “인플레이션이 지나치게 경직적인 모습을 보일 경우 현물 유동성이 다시 시험대 위에 오를 수도 있다”고 전망

 

4) 예금인출 2차파동 경고

바클레이즈는 은행권에서 또다시 대규모 예금인출이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 고객들이 머니마켓펀드(MMF)에서 더 높은 금리가 존재함을 깨닫고 있기 때문. 일단 SVB 붕괴 여파로 은행 지급여력에 대한 두려움이 초래한 1차 예금인출은 이제 거의 마무리된 듯 보이지만, SVB 사태는 일반인들로 하여금 그들이 저축한 예금에 대해 얼마나 낮은 이자를 받고 있는지 깨닫게 했을 수도 있다고 지적. “예금 안전에 대한 최근의 혼란은 ‘잠자고 있던’ 예금자들을 깨워 MMF로 돈을 옮기는 예금인출 2차 파동을 가동시켰을 수도 있다”고 주장. 또한 은행과 달리 MMF 자산은 만기가 짧아 연준의 긴축 주기에서 금리 리스크가 예금에 비해 훨씬 적다고 설명. 현재 연방기금금리와 은행예금금리 간의 격차는 역사적으로 큰 편이며, 이번 긴축 주기에서 빠른 속도로 확대되어 돈을 빼내고 싶어하는 강한 유인으로 작용

 

5) ECB 추가 금리 인상

유럽중앙은행(ECB) 수석 이코노미스트인 필립 레인은 최근의 금융 시스템 긴장이 확산되지 않는다면 금리를 더 올려야 한다고 주장. ECB 기본 시나리오상 금융 스트레스가 제한적일 것으로 보고 추가적 금리 인상이 필요하다는 생각이라고 밝혔음. 다만 금융 불안이 보다 강해질 경우 “무엇이 적절할지 봐야 한다”고 언급. 그의 발언은 ECB가 글로벌 금융 불안과 인플레이션 압박이라는 이중고를 어떻게 헤쳐나갈 지에 대해 단초를 제공. 앞서 피터 카지미르 ECB 정책위원 겸 슬로바키아 총재는 금융 산업을 둘러싼 혼란에도 불구하고 ECB가 금리 인상을 포기해선 안된다며, 다만 인상 속도를 늦출 필요가 있을 수도 있다고 언급. 그는 은행들이 대출을 억제할 우려가 있다면서도, 향후 금리 결정에 있어서 근원 물가 압력을 잘 살펴봐야 한다고 주장. 5월 정책회의에 대해서는 그 결과를 추측하기엔 아직 시기상조라며, 경제지표는 물론 금융시장 상황과 특히 자본조달 여건을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

 

[한투증권 전기전자/2차전지 조철희]

3월30일 IT 주요뉴스

 

● [단독]LG엔솔, 美 IRA 보조금..세액공제 대신 '현금 수령' 검토

-LG에너지솔루션이 IRA 보조금 혜택을 현금으로 수령하는 방안을 검토. 현금으로 수령할 경우를 대비해 회계적으로 무리가 없는 지 검토하는 것으로 전해짐. 세액공제로 받지 않고 현금으로 수령할 경우 영업이익으로 반영돼 막대한 실적개선 효과를 기대

-투자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이와 관련해 세부규칙이 확정되면 IRA에 따른 재무 영향을 설명하는 자리를 준비 중. 일각에서는 25년까지 약 10조원 규모의 이익이 늘어날 것이란 전망도 제기

Link: https://bit.ly/3zfVKU9

 

● SK온·에코프로비엠·포드, 캐나다 양극재 합작공장 기초공사 착수

-캐나다 매체에 따르면, SK온과 에코프로비엠, 포드는 퀘벡주 베캉쿠아에서 양극재 합작공장 건설 준비를 위한 기초공사에 착수

-미 재무부는 오는 30일 IRA 세부지침을 발표할 예정. 해당 양극재 공장에서 생산한 물량을 활용해 블루오벌SK의 양극재 수요를 안정적으로 대응할 것

Link: https://bit.ly/3Kr8KNj

 

● SK·포드 美 배터리 합작사, 신재생에너지 도입 차질

-SK온과 포드 합작사인 '블루오벌S K 배터리 파크'의 신재생 에너지 도입이 차질을 빚을 전망. 미국 태양광 개발업체 칸델라리네블스는 블루오벌SK와 신재생 에너지 도입 관련 긴급 논의를 진행

-배터리 공장 전력 문제 해소를 위한 '스톤필드 솔라 프로젝트'가 지역 주민들의 반대로 전면 중단 위기에 놓임. 해당 지역 지주들은 지난 20일 지방정부에 해당 프로젝트에 대한 모라토리엄을 요청

Link: https://bit.ly/3lSaANA

 

● SK온, 1조원대 실탄 확보했지만…차입금 고민은 여전

-SK온이 추가 투자로 자금 조달 문제를 일부 해소했으나, 새만금 전구체 생산 공장 확충 등으로 불어난 차입금 탓에 추가적인 자금 수혈도 병행해야 되는 것으로 파악

-남은 투자 금액을 SNB 캐피탈로부터 추가로 받을 계획. 모회사 SK이노베이션은 올해만 7조원을 투자해 SK온에 힘을 싣는다는 방침. 다만, 여전히 천문학적인 공장 증설 비용과 차입금은 규모가 막대한 상황

Link: https://bit.ly/40nS5PX

 

● LG그룹·베트남 하이퐁시 회동…추가 투자 논의

-LG그룹 전자계열 3사 베트남법인 법인장들과 하이퐁시 당서기가 회동

-안정적인 인프라 구축과 추가 투자 등 다양한 협력 방안 논의. LG그룹은 하이퐁 시의 지원에 감사를 표하면서도 안정적인 전력 공급망 보장을 강력하게 주장. 25년까지 재생에너지 개발 사업을 적극 추진해줄 것으로 건의

Link: https://bit.ly/3ZkyOhf

 

● LG이노텍, 차세대 자율주행 통신모듈 개발…부품시장 선점

-LG이노텍이 차량과 사물간 원거리 데이터 송수신 속도를 대폭 개선한 퀄컴침 기반 2세대 '5G-V2X 통신모듈'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힘. 이는 안전한 자율주행의 필수 요소

-25년까지 해당 모듈의 상용화를 목표. 한편, TSR에 따르면, 5G 통신모듈을 탑재한 전세계 차량이 올해 170만대에서 2027년 2,180만대로 늘어날 것

Link: https://bit.ly/3zlj82o

 

● BOE의 베트남 디스플레이 모듈 공장, 박닌에 들어선다

-중국 BOE는 베트남 북부 박닌에 디스플레이 모듈 공장을 건설할 계획. 공장 입지까지 파악된 것은 이번이 처음

-해당 모델의 오픈 세일은 4월 6일에 시작될 것

Link: http://bit.ly/40Kv0qE

 

● Honor introduces two affordable mid-range Android-driven phones(Phonearena)

-Honor는 중가형 모델인 'Honor Play 7T', 'Play 7T Pro'를 출시. 해당 모델은 메모리를 8GB에서 13GB까지 메모리 양을 늘리도록 하는 가상 RAM이 포함

-해당 모델의 오픈 세일은 4월 6일에 시작될 것

Link: http://bit.ly/40Kv0qE

 

● PCB and IC substrate makers upbeat about demand for AI servers(Digitimes prime)

-PCB and IC substrate makers are bracing for a challenging 2023, but expects demand for AI servers to drive their sales growth later this year, according to industry sources.

 

 

 

 

『하루를 여는 이경준 혁신IB자산운용 대표의  화(話)가 담긴 IPO Daily💌 - 20230330』

【 텔레그램 채널 주소 : https://t.me/KoreaIB

【 IPO상장 및 투자자문 문의 / 기사제보 ☞ 📧 ipo@kakao.com 】

 

===========================

 

 

📌Today's Topic1》

[코벤펀드 일몰 리스크] 코스닥 살리기 vs 공모혜택 과도, 의견 분분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303241210381840104530

🎙하이일드(펀드+일임 합산)의 배정비율이 5%인데, 코벤펀드가 30%면 6배인데,

사실 좀 많긴 함...

 

 

------------------------------------------

 

📌Today's Topic2》

이복현 "연내 공매도 재개 희망...권도형 韓송환 원한다"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303290067&t=NN

 

 

 

===========================

 

★ 금일 일정 ★

 03/30 지아이이노베이션 상장⭐️

 

☆ 다음주 일정 ☆

 스팩 이외에 없음.

< 출처 : 🇰🇷이경준 혁신IB자산운용 대표의 화(話)💬 https://t.me/KoreaIB >

------------------------------------------

 

▣ 기관IR 일정 ▣

- 온라인 및 소규모 간담회로만 진행 -

 

▣ 상장 일정(예정, 변경가능) ▣

 03/30 지아이이노베이션(NH투자증권, 하나증권)

 04/26 마이크로투나노(한국투자증권)

 미정 : 토마토시스템(교보증권)

 05/02 나라셀라(신영증권)

 05/04 모니터랩(미래에셋증권)

 미정 : 에스바이오메딕스(미래에셋증권)

 미정 :  씨유박스(신한투자증권)

 미정 : 틸론(키움증권)

 

▣ 심사 승인 ▣

 - 트루엔(미래에셋증권)

 - 큐라티스(대신증권, 신영증권)

 - 진영(하이투자증권)

 - 마녀공장(한국투자증권)

 - 파로스아이바이오(한국투자증권)

< 출처 : 🇰🇷이경준 혁신IB자산운용 대표의 화(話)💬 https://t.me/KoreaIB >

===========================

728x90
728x90

주식 스터디를 위해 개인적으로 스크랩한 증시캘린더, 국내 및 해외마감 시황, 뉴스 자료를 공유합니다.

증시캘린더는 개인적으로 관련된 소식을 확인후 작성한 일정이라 변동 또는 오류의 소지가 있습니다.

게시물은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한 것이라

불확실하거나 오류가 많을 수 있으므로 투자 활용시 유의하시기 바라며, 개별적인 종목 추천이나 상담은 하지 않습니다.

 

모쪼록 제 공간에 오신 모든 분들이 주식스터디를 통해 인생 한 방보다, 꾸준함을 믿으며...

복리의 마법으로 모든 분들이 성공한 개인투자자가 되시길...


[간밤 월드뉴스 총정리 329] 마이크론·룰루레몬 실적/ 금리 인하의 조건/ 애플의 BNPL…불 떨어진 어펌/ 확실한 버핏주/ 中테크 급등 왜?/ 실러 교수의 집값 예측

 

 

 

“ECB, CDS 시장 매우 불투명”…“美 A급 오피스도 임대 감소” [김영필의 3분 월스..

28일(현지 시간) 미국 뉴욕증시의 주요 지수가 은행 위기가 다소 잦아들자 국채금리가 상승하면서 하락 마감했습니다. 나스닥이 0.45% 내린 것... 서울경제 | 2023-03-29 06:41

[뉴욕증시]"연내 인하 없다"…국채금리 상승에 투심 약화

미국 뉴욕 증시가 일제히 하락했다. 이번 은행권 위기 이후 규제를 더 강화할 수 있다는 당국 기조가 확인되면서 투자 심리는 약화했다. 게다가 장... 이데일리 | 2023-03-29 06:12

‘은행 걱정 잦아들자 금리 걱정’…나스닥 0.45%↓[데일리국제금융시장]

은행 위기 우려가 공포 단계를 넘어서면서 뉴욕증시가 금리 인상 우려에 하락했다. 은행주는 규제 당국자들이 중소형 은행의 규제 기준을 강화하겠다는... 서울경제 | 2023-03-29 05:47

뉴욕증시, 국채금리 상승에 하락…나스닥 0.45%↓마감

윤영숙 연합인포맥스 특파원 = 뉴욕증시는 국채금리가 상승한 영향으로 기술주들이 부진한 모습을 보이면서 하락했다. 28일(미 동부시간) 뉴욕증권거... 연합뉴스 | 2023-03-29 05:36

출처: <https://finance.naver.com/news/news_list.naver?mode=LSS3D§ion_id=101§ion_id2=258§ion_id3=403>

 

뉴욕증시, 국채금리 상승 부담에 일제히 하락 ‘테슬라 1.37%↑’…유가·비트코인 상승 [출근전 꼭 글로벌브리핑]

출처: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303290027&t=NN>

 

 

2023년 3월 29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마이크론이 재고일수가 고점이고 매출은 순환적으로 증가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2) 알리바바가 사업부를 6개로 분할한다고 발표하며 ADR이 14% 올랐습니다.

 

(3) EU가 2035년까지 탄소배출 자동차의 판매를 금지합니다.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509%p (-0.036%p)

한국 고객예탁금, 50.5조원 +1.9조원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19% (오전 5시 기준)

1개월 NDF 환율 1,294.78원 (-4.17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03/29 [미래에셋증권] 해외 금융시장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 (02-3774-1621)

 

◆ 미국 증시

- DOW: 32,394.25p (-37.83p, -0.12%)

- S&P500: 3,971.27p (-6.26p, -0.16%)

- NASDAQ: 11,716.08p (-52.76p, -0.45%)

- 러셀2000: 1,752.63p (-1.04p, -0.06%)

 

◆ 한국 관련

- MSCI 한국지수 ETF: $60.03 (+0.54, +0.91%)

- MSCI 이머징지수 ETF: $39.01 (+0.55, +1.43%)

- Eurex kospi 200: 316.85p (-0.60p, -0.19%)

- NDF 환율(1개월물): 1,294.73원 / 전일 대비 5원 하락 출발 예상

- 필라델피아 반도체: 3,057.27 (-26.31, -0.85%)

 

◆ 외환시장

- 달러인덱스: 102.425 (-0.432, -0.42%)

- 유로/달러: 1.0846 (+0.0048, +0.44%)

- 달러/엔: 130.90 (-0.67, -0.51%)

- 파운드/달러: 1.2341 (+0.0054, +0.44%)

 

◆ 미국 국채시장

- 2년물: 4.0763% (+8.1bp)

- 5년물: 3.6723% (+8.1bp)

- 10년물: 3.5677% (+3.8bp)

- 30년물: 3.7738% (+1.3bp)

- 10Y-2Y: -50.86bp (4.33bp 역전 확대)

(국채선물)

- 2YR T-Notes: 103*08   (-0*07 3/4, -0.23%)

- 5YR T-Notes: 109*10 1/4 (-0*12 1/2, -0.36%)

- 10YR T-Notes: 114*20 1/2 (-0*14 , -0.38%)

- US T-Bonds: 129*30   (-0*15 , -0.36%)

- Ultra US T-Bonds: 139*04   (-0*19 , -0.43%)

 

◆ 상품시장 ($, 단 곡물, 구리는 센트)

- WTI: 73.20 (+0.68, +0.93%)

- 브렌트유: 78.65 (+0.74, +0.95%)

- 금: 1,990.40 (+20.20, +1.02%)

- 은: 23.42 (+0.32, +1.40%)

- 아연(LME, 3M): 2,936.50 (+24.50, +0.84%)

- 구리: 408.55 (-0.25, -0.06%)

- 옥수수: 647.25 (-1.50, -0.23%)

- 밀: 699.75 (+1.25, +0.18%)

- 대두: 1,467.75 (+24.50, +1.70%)

 

*동 자료는 2023년 3월 29일 미래에셋증권 홈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를 요약한 것입니다.

 

글로벌 주식시장 변화와 전망(3월 29일)

미래에셋증권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02-3774-1621)

 

나스닥, 실적 시즌 앞두고 차익 실현 집중하며 하락 후 낙폭 축소

 

미 증시는 은행 리스크 완화에도 불구하고 실적 시즌을 앞두고 실적 둔화에 대한 우려 속 차익 매물 출회되는 경향. 특히 디즈니가 메타버스 사업부를 폐지하자 관련 종목이 약세를 보이는 등 대형 기술주와 반도체 업종이 부진한 모습을 보여 나스닥의 낙폭이 컸음. 더불어 금융주도 상승하다 마이클 바 연준 부의장의 규제 강화 언급 등으로 하락 전환해 부담. 결국 미 증시는 실적 시즌 앞두고 차익 실현에 집중하며 하락. 다만, 장 마감 앞두고 달러 약세 등을 기반으로 낙폭 축소 마감(다우 -0.12%, 나스닥 -0.45%, S&P500 -0.16%, 러셀2000 -0.06%)

 

변화요인: ①경제와 개별 종목에 주목

https://securities.miraeasset.com/bbs/maildownload/20230329055350030_3533

 

03/29 한국 증시: 마이크론 효과 감안 반도체 업종 변화 주목

미래에셋증권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02-3774-1621)

 

MSCI 한국 지수 ETF 0.91% 상승, MSCI 신흥 지수 ETF도 1.43% 상승. NDF 달러/원 환율 1개월물은 1,294.73원으로 이를 반영하면 달러/원 환율은 5원 하락 출발 예상. Eurex KOSPI200 선물은 0.19% 하락. KOSPI는 소폭 하락 출발 예상

 

미 증시에서 차익 실현 욕구가 높아진 가운데 그동안 상승을 견인했던 반도체 및 대형 기술주가 부진한 점은 한국 증시에 부담. 물론, 미국 경제지표가 개선되는 경향을 보여 경기 둔화 우려가 일부 완화된 점은 긍정적이나, 이 또한 세부항목을 보면 최근 미국 소매판매 증가를 견인했던 외부활동 부분이 둔화되는 모습을 보여 이 점도 부담.

 

그렇지만, 미 증시의 약세가 차익 실현 매물로 인한 것이라는 점. 그보다 달러화 약세에 따른 원화 강세 기대, 미국 주택 임대료 둔화 등으로 인한 향후 물가 하방 압력 강화 기대, 그로 인한 연준의 금리 인상 기조 종료에 대한 기대 등이 유입될 수 있다는 점은 긍정적.

 

더 나아가 알리바바 효과로 홍콩 증시 강세 기대도 우호적. 물론, 마이크론이 장 마감 후 실적 발표에서 부진한 실적 발표 불구 재고 개선과 수급 균형 기대를 언급해 시간외 상승하고 있다는 점도 우호적. 이를 감안 한국 증시는 소폭 하락 출발 후 마이크론의 반도체 업종에 대한 영향으로 견조한 모습을 보일 것으로 전망.

 

 

 

 

 

 

 

(2023.03.29) U.S.& EU Market Closing

  • 2023.03.29  허기호
  • U.S. Market Closing – 05:00 기준
지수 종가 등락폭 등락률 상승/하락/보합
DOW 32,394.25 -37.83 -0.1% 15/15/0
S&P500 3,971.27 -6.26 -0.2% 309/192/2
NASDAQ 11,716.08 -52.76 -0.4% 1361/1942/269
RUSS 2K 1,752.53 -1.14 -0.1% 851/1022/50
PHLX 반도체지수 3,057.27 -26.31 -0.9% 8/21/0
VIX지수 19.94 -0.66 -3.2%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 티레이더에서 나스닥•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실시간 제공

금일 뉴욕 증시는 미국 중소은행들의 유동성 리스크 우려를 소화하였지만 인플레이션을 통제하기 위한 미 연준(Fed)의 추가 금리인상 전망이 제기되며 약보합세로 장을 마감. 마이클 바는 연준 금융감독 부의장은 상원 의회 청문회에서 미국 은행 시스템은 강한 자본력과 유동성을 갖추고 있으며 이번 실리콘밸리은행 파산 사태는 당사의 잘못된 경영으로 인한 결과라 평가. 반면 일각에서는 금융 섹터의 우려가 완전히 해소되지 않은 상황인 점을 고려하여 미 연준에서 기준금리를 추가로 올리기는 어려운 상황이라 분석하며 금리인상 사이클 종료로 인한 달러화 약세가 이번 2분기에 나타날 것으로 예상. 특히 영국과 독일 등 미국을 제외한 주요국에서 기준금리를 지속적으로 인상하며 이러한 달러 인덱스의 하방 압력이 가중될 것으로 전망.  

 

 

U.S. ETF Closing – 05:00 기준

Sector

분류 티커 현재가 등락률 t신호 수익률






1개월 3개월 1년
에너지 XLE 80.8 1.5% 안개 -4.4% -6.8% 8.7%
필수소비재 XLP 73.5 0.2% 햇빛 3.5% -0.7% -0.6%
유틸리티 XLU 66.0 0.3% 햇빛 4.0% -5.7% -8.8%
소재 XLB 77.8 0.5% 안개 -5.5% 0.3% -11.1%
산업재 XLI 98.2 0.5% 안개 -3.0% 0.1% -4.7%
헬스케어 XLV 127.1 -0.6% 안개 0.6% -6.0% -6.5%
금융 XLF 31.4 -0.1% 안개 -11.8% -8.1% -18.5%
자유소비재 XLY 141.7 -0.1% 안개 -1.6% 9.5% -24.5%
부동산 VNQ 78.5 -0.2% 안개 -6.7% -4.2% -25.7%
커뮤니케이션 XLC 55.9 -0.8% 햇빛 5.1% 16.3% -19.9%
IT XLK 144.2 -0.5% 햇빛 5.8% 15.2% -10.4%

자료: 티레이더,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섹터별 ETF는 에너지(XLE/+1.5%)섹터가 상승한 반면 IT(XLK/-0.5%) 섹터는 하락 마감. 현재 은행권의 유동성 위기로 투자심리가 악화되는 상황에서 미국의 견고한 고용지표와 소비지출이 경기 침체 발생 가능성을 낮추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되며 에너지 섹터의 상승 압력을 지지. 한편 글로벌 반도체 제조업체 마이크론 테크놀로지(MU)의 이익률 하락 가능성이 제기. 특히 메모리 반도체 수요 악화 및 재고과잉으로 인한 매출 하락이 불가피하다는 분석이 언급되며 IT섹터의 하방을 가중.

 

  

Thematic

분류 티커 현재가 등락률 t신호 수익률






1개월 3개월 1년
미국 인프라 개발 PAVE 27.5 0.8% 안개 -7.5% 3.7% -1.9%
수송 IYT 219.8 0.4% 안개 -6.5% 3.1% -17.4%
생명공학 IBB 126.1 0.0% 안개 -1.7% -3.0% -3.0%
반도체 SOXX 421.2 -0.8% 햇빛 2.2% 22.5% -9.9%
기술혁신 ARKK 37.2 -1.5% 안개 -5.1% 22.1% -43.9%

자료: 티레이더,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테마별 ETF는 미국 인프라 개발(PAVE/+0.8%)ETF가 상승한 반면 기술혁신(ARKK/-1.5%)ETF는 하락세로 장을 마감. 글로벌 금융 서비스 기업 Smead Capital에 따르면 현재 미 연준의 강력한 통화긴축이 지속되며 위축되어 있던 주택건설 부문을 포함한 인프라 섹터의 주가 상승 여력을 전망. 한편 모건스탠리는 전기차 시장의 가격 경쟁 심화로 인해 테슬라(TSLA)의 이익률 하락 가능성을 언급하며 향후 중국산 전기차의 해외 진출로 인한 하방 압력이 심화될 것이라 전망. 이에 테슬라의 주가는 1.4% 가량 하락하며 기술혁신 EFT의 하방을 가중.  

 

EU Market Closing – 02:30 기준

지수 종가 등락률 구분 업종 등락률
STOXX 600 444.45 -0.1%
에너지 +2.0%



상승 소재 +0.7%




산업재 +0.3%




커뮤니케이션 -0.4%



하락 정보기술 -1.9%




부동산 -2.6%
지수 종가 고가 저가 등락폭 등락률
獨 DAX 15,142.02 15,261.49 15,103.76 14.34 0.1%
英 FTSE 100 7,484.25 7,524.55 7,464.61 12.48 0.2%
佛 CAC 40 7,088.34 7,154.56 7,066.27 10.07 0.1%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금일 유럽증시는 은행 섹터에 대한 투자자들의 우려가 해소되지 않은 채 보합세를 시현하며 장을 마감. 이에 범유럽지수인 STOXX 600은 부동산 섹터가 하락을 주도하며 444.5선에서 거래를 마감했으며 영국FTSE 지수와 프랑스CAC 지수를 포함한 유럽의 3대 지수 모두 보합세로 마감. 유럽중앙은행(ECB)의 최고 감독관에 따르면 독일의 최대 상업은행 중 하나인 도이치뱅크(DB)에 대한 경기침체 공포가 투자심리 악화로 이어지고 있다 평가. 특히 신용 경색으로 인한 상업용 부동산 시장 하락 또한 잠재적인 리스크로 작용하고 있는 상황이라 분석.

 

출처: <https://m.myasset.com/extern/researchPortal/RP_0001000_P1.cmd?menuid=RP_0105000_P1&searchKeyGubun=1&keyword=&page=1&base_date=20230329052041&gbn=B&res_seq=186921>

 

 

 

『하루를 여는 이경준 혁신IB자산운용 대표의  화(話)가 담긴 IPO Daily💌 - 20230329』

【 텔레그램 채널 주소 : https://t.me/KoreaIB

【 IPO상장 및 투자자문 문의 / 기사제보 ☞ 📧 ipo@kakao.com 】

 

===========================

 

 

📌Today's Topic》

“보릿고개도 아니고 그냥 고개”…IPO 대어 실종에 스팩만 활개

https://naver.me/5P2CeKXn

 

 

 

===========================

 

★ 금일 일정 ★

 03/29 엘비인베스트먼트 상장⭐️

 

☆ 금주 남은 일정 ☆

 03/30 지아이이노베이션 상장⭐️

< 출처 : 🇰🇷이경준 혁신IB자산운용 대표의 화(話)💬 https://t.me/KoreaIB >

------------------------------------------

 

▣ 기관IR 일정 ▣

- 온라인 및 소규모 간담회로만 진행 -

 

▣ 상장 일정(예정, 변경가능) ▣

 03/29 엘비인베스트먼트(미래에셋증권)

 03/30 지아이이노베이션(NH투자증권, 하나증권)

 04/26 마이크로투나노(한국투자증권)

 미정 : 토마토시스템(교보증권)

 05/02 나라셀라(신영증권)

 05/04 모니터랩(미래에셋증권)

 미정 : 에스바이오메딕스(미래에셋증권)

 미정 :  씨유박스(신한투자증권)

 미정 : 틸론(키움증권)

 

▣ 심사 승인 ▣

 - 트루엔(미래에셋증권)

 - 큐라티스(대신증권, 신영증권)

 - 진영(하이투자증권)

 - 마녀공장(한국투자증권)

 - 파로스아이바이오(한국투자증권)

< 출처 : 🇰🇷이경준 혁신IB자산운용 대표의 화(話)💬 https://t.me/KoreaIB >

===========================

728x90
728x90

주식 스터디를 위해 개인적으로 스크랩한 증시캘린더, 국내 및 해외마감 시황, 뉴스 자료를 공유합니다.

증시캘린더는 개인적으로 관련된 소식을 확인후 작성한 일정이라 변동 또는 오류의 소지가 있습니다.

게시물은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한 것이라

불확실하거나 오류가 많을 수 있으므로 투자 활용시 유의하시기 바라며, 개별적인 종목 추천이나 상담은 하지 않습니다.

 

모쪼록 제 공간에 오신 모든 분들이 주식스터디를 통해 인생 한 방보다, 꾸준함을 믿으며...

복리의 마법으로 모든 분들이 성공한 개인투자자가 되시길...


[간밤 월드뉴스 총정리 328] 세계은행의 ‘잃어버린 10년’ 경고/ IPO 70%↓/ 카니발 실적의 의미/ 코인 급락·유가 급등 왜?/ 하루 54% 급등한 은행주

 

 

 

뉴욕증시, 은행 위기 진정 속 혼조 마감 ‘넷플릭스 9%↑’…유가 하락·비트코인 상승 [출근전 꼭 글로벌브리핑]

출처: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303270367&t=NN>

 

 

2023년 3월 28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미 퍼스트시티즌 은행이 SVB를 인수했습니다. 금리는 오르고 주가는 엇갈렸습니다.

 

(2) 주총서 국내 행동주의 펀드들이 승기를 못잡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3) EU가 2030년까지 자국산 배터리로 수요의 85%를 채운다는 계획입니다.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471%p (-0.082%p)

한국 고객예탁금, 48.6조원 +1.2조원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05% (오전 5시 기준)

1개월 NDF 환율 1,295.45원 (-5.95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03/28 [미래에셋증권] 해외 금융시장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 (02-3774-1621)

 

◆ 미국 증시

- DOW: 32,432.08p (+194.55p, +0.60%)

- S&P500: 3,977.53p (+6.54p, +0.16%)

- NASDAQ: 11,768.84p (-55.12p, -0.47%)

- 러셀2000: 1,753.67p (+18.75p, +1.08%)

 

◆ 한국 관련

- MSCI 한국지수 ETF: $59.49 (-0.20, -0.34%)

- MSCI 이머징지수 ETF: $38.46 (-0.21, -0.54%)

- Eurex kospi 200: 314.40p (+0.15p, +0.05%)

- NDF 환율(1개월물): 1,295.55원 / 전일 대비 7원 하락 출발 예상

- 필라델피아 반도체: 3,083.58 (-37.69, -1.21%)

 

◆ 외환시장

- 달러인덱스: 102.835 (-0.281, -0.27%)

- 유로/달러: 1.0798 (+0.0038, +0.35%)

- 달러/엔: 131.53 (+0.80, +0.61%)

- 파운드/달러: 1.2289 (+0.0056, +0.46%)

 

◆ 미국 국채시장

- 2년물: 4.0057% (+23.9bp)

- 5년물: 3.5963% (+18.9bp)

- 10년물: 3.5355% (+15.9bp)

- 30년물: 3.7658% (+12.2bp)

- 10Y-2Y: -47.02bp (7.97bp 역전 확대)

(국채선물)

- 2YR T-Notes: 103*14   (-0*15 , -0.45%)

- 5YR T-Notes: 109*20 1/4 (-0*28 3/4, -0.81%)

- 10YR T-Notes: 114*31 1/2 (-1*26 1/2, -1.04%)

- US T-Bonds: 130*11   (-2*28 , -1.61%)

- Ultra US T-Bonds: 139*22   (-3*24 , -2.28%)

 

◆ 상품시장 ($, 단 곡물, 구리는 센트)

- WTI: 72.81 (+3.68, +5.31%)

- 브렌트유: 78.12 (+3.16, +4.21%)

- 금: 1,971.50 (-25.50, -1.27%)

- 은: 23.15 (-0.12, -0.53%)

- 아연(LME, 3M): 2,912.00 (+20.50, +0.71%)

- 구리: 407.85 (+2.60, +0.64%)

- 옥수수: 648.25 (+4.25, +0.66%)

- 밀: 698.00 (+9.00, +1.31%)

- 대두: 1,442.25 (+13.25, +0.93%)

 

*동 자료는 2023년 3월 28일 미래에셋증권 홈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를 요약한 것입니다.

 

글로벌 주식시장 변화와 전망(3월 28일)

미래에셋증권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02-3774-1621)

 

미 증시, 은행 리스크 완화 속 기술주 중심 차익 매물로 상승 반납

 

미 증시는 퍼스트 시티즌스(+53.74%)가 실리콘밸리 은행 인수를 발표하자 지역 은행 우려가 완화되며 상승 출발. 더불어 도이치뱅크(+4.71%)의 CDS 프리미엄이 크게 하락하는 등 안정을 찾은 점도 긍정적인 영향. 그렇지만, AI가 범죄에 이용될 수 있다는 우려가 부각되자 관련 종목 중심으로 잠시 쉬어가는 차익실현 매물이 출회되며 나스닥이 하락 전환하는 등 개별 종목의 영향이 확대. 결국 시장은 본격적인 실적 시즌을 앞두고 은행 리스크가 완화 불구 기술주 중심으로 차익실현 매물이 출회되며 혼조 마감(다우 +0.60%, 나스닥 -0.47%, S&P500 +0.16%, 러셀2000 +1.08%)

 

변화요인: ①은행 리스크 완화와 전망

https://securities.miraeasset.com/bbs/maildownload/20230328055518680_3533

 

 

03/28 한국 증시: 마이크론 실적 발표 앞두고 종목 장세 지속 전망

미래에셋증권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02-3774-1621)

 

MSCI 한국 지수 ETF는 0.40%, MSCI 신흥 지수 ETF는 0.72% 하락. NDF 달러/원 환율 1개월물은 1,294.85원으로 이를 반영하면 달러/원 환율은 8원 하락 출발 예상. Eurex KOSPI200 선물은 0.05% 상승. KOSPI는 보합권 출발 예상

 

미 증시는 지역 은행 리스크가 완화된 데 이어 도이치뱅크(+4.71%) CDS 프리미엄이 급락하는 등 대체로 안정을 보이며 상승 출발해 한국 증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 더 나아가 은행 리스크 완화로 국제유가가 급등하고 산업재를 비롯한 대부분의 종목이 강세를 보인 점도 우호적.

 

물론, 대형 기술주가 AI 산업의 범죄 이용 가능성을 언급한 유로폴의 발표를 빌미로 차익 매물을 내놓은 점은 부담이나 AI 산업의 성장에 대한 기대 심리는 여전해 엔비디아 등 일부 종목군의 목표주가 상향 조정이 지속되고 있다는 점은 긍정적.

 

다만, 중국 기업들이 미 증시에서 개별 악재와 바이든의 PCB 생산을 위한 국방 생산법 발동으로 미-중 갈등 우려가 높아져 부진한 모습을 보인 점은 부담. 더불어 화요일 마이크론(-2.24%)이 실적 발표를 앞두고 정부가 반도체 지원금에 대한 심사를 세밀하게 검토할 것이라는 소식에 하락해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가 1.21% 하락한 점도 부담.

 

이를 감안 한국 증시는 보합권 출발 후 미 증시의 특징처럼 실적 시즌을 앞두고 개별 종목 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

 

 

 

 

 

 

(2023.03.28) U.S.& EU Market Closing

  • 2023.03.28   허기호
  • U.S. Market Closing – 05:00 기준
지수 종가 등락폭 등락률 상승/하락/보합
DOW 32,432.1 194.6 0.6% 22/8/0
S&P500 3,977.5 6.5 0.2% 374/127/2
NASDAQ 11,768.8 -55.1 -0.5% 1968/1362/245
RUSS 2K 1,757.7 22.7 1.3% 1369/513/41
PHLX 반도체지수 3,083.6 -37.7 -1.2% 3/26/0
VIX지수 20.6 -1.1 -5.1%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 티레이더에서 나스닥• 필라델피아반도체 지수 실시간 제공

금일 뉴욕 증시는 미국의 중소 은행인 퍼스트 시티즌스 은행(FCNCA/+53.7%)의 SVB 은행 인수 소식 및 미국 금융 당국의 추가 지원 계획 소식이 전해지며 장초반 상승 출발 하였지만, 은행 섹터에 대한 투자자들의 우려가 완전히 해소되지 못한 채 혼조세로 장을 마감. 미국의 경제 주간지 바론스는 현재 금리 인상 사이클 종료에 대한 시장의 기대감과 은행권의 유동성 리크스에 대한우려가 증시 변동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상항이라 평가. 특히 금융 당국에서 은행 섹터를 지속적으로모니터링 하고 있는 상황이지만 강세장을 예상한 포지션 구축은 지나친 낙관이라 평가하며 금리인상이 종료된다 해도 변동성 확대에 따른 투자 포지션구축의 필요성을 역설.

   

U.S. ETF Closing – 05:00 기준

Sector

분류 티커 현재가 등락률 t신호 수익률






1개월 3개월 1년
에너지 XLE 79.5 2.1% 안개 -5.8% -8.1% 7.1%
금융 XLF 31.4 1.4% 안개 -11.3% -7.6% -18.1%
산업재 XLI 97.7 0.8% 안개 -3.2% -0.1% -4.9%
소재 XLB 77.4 0.8% 안개 -5.8% 0.0% -11.3%
필수소비재 XLP 73.3 0.5% 햇빛 3.1% -1.1% -1.0%
헬스케어 XLV 127.8 0.4% 안개 1.1% -5.5% -6.1%
자유소비재 XLY 141.9 0.2% 안개 -1.0% 10.2% -24.0%
유틸리티 XLU 65.8 0.1% 안개 3.6% -6.0% -9.1%
부동산 VNQ 78.7 -0.1% 안개 -6.1% -3.6% -25.3%
커뮤니케이션 XLC 56.3 -0.6% 햇빛 6.4% 17.7% -18.9%
IT XLK 144.8 -0.8% 햇빛 7.1% 16.6% -9.3%

자료: 티레이더, 유안타증권해외투자전략팀

섹터별 ETF는 금융(XLF/+1.4%)섹터와 에너지(XLE/+2.1%)섹터가 상승세로 장을 마감. 미국 금융 당국에서은행권의 유동성 리스크 완화를 위한 추가 지원 조치를 계획한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위기 해소에 따른 투자심리가 상승, 지난 증시 낙폭을 확대하였던 금융 섹터의 상승 요인으로 작용. 한편이러한 금융 섹터의 불안감이 다소 진정되며 경기 침체 발생 가능성에 따른 국제 유가 하락의 하방 압력 역시 다소 제한. 하지만 일각에선 미 연준(Fed)의 고금리 기조가 당분간 지속함에따라 변동성 확대는 불가피 하다는 분석이 제기.

  

Thematic

분류 티커 현재가 등락률 t신호 수익률






1개월 3개월 1년
수송 IYT 218.7 1.2% 안개 -5.5% 2.9% -19.0%
기술혁신 ARKK 37.8 0.1% 안개 -2.4% 20.9% -45.0%
클린에너지 ICLN 18.8 0.1% 안개 -3.5% -5.3% -11.4%
반도체 SOXX 424.3 -1.2% 햇빛 3.8% 22.3% -11.3%
비트코인 BITO 16.6 -3.3% 햇빛 15.0% 61.9% -42.7%

자료: 티레이더, 유안타증권해외투자전략팀

테마별 ETF는 수송(IYT/+1.2%)ETF가상승한 반면 기술혁신(SOXX/+0.1%)ETF는 보합세로 장을 마감.글로벌 투자은행 뱅크오브아메리카는 신용카드 및 체크카드 결제 추이를 고려하였을 때 미국 항공사 예약률이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 특히 은행 유동성 위기로 인한 항공권 예약 감소 추이가 더 뚜렷해질 거라는 전망을 제기. 한편 일각에선 커넥티트 TV 시장에서 로쿠(ROKU/+4.7%)의 광고 유입 증가가 예상. 또한 광고주들의 TV광고 예산 증액 및 그로 인한 당사의 실적 컨센서스 상승으로 향후 주가 상승 가능성을 전망. .

  

EU Market Closing – 02:30 기준

지수 종가 등락률 구분 업종 등락률
STOXX 600 444.72 +1.0%
건강관리 +1.9%



상승 에너지 +1.3%




유틸리티 +1.3%



하락

지수 종가 고가 저가 등락폭 등락률
獨 DAX 15,127.68 15,185.35 15,020.07 170.45 1.1%
英 FTSE 100 7,471.77 7,491.74 7,405.45 66.32 0.9%
佛 CAC 40 7,078.27 7,119.59 7,039.09 63.17 0.9%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해외투자전략팀

금일 유럽증시는 퍼스트 시티즌스 은행의 SVB은행 인수 소식에 독일의 도이치 뱅크(DB/+0.0%)의CDS 확대로 인한 낙폭이 다소 회복되며 상승 마감. 이에범유럽지수인 STOXX 600은 헬스케어 섹터가 상승을 주도하며 1.0%상승한 444.7선에서 거래를 마감했으며 영국FTSE 지수와프랑스CAC 지수를 포함한 유럽의 3대 지수 모두 상승 마감. 일각에선 은행 섹터의 불안 요인이 완전히 해소되지는 않은 상황이지만 그로 인한 투자심리 위축은 확대되지 않으며향후 발표될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를 포함한 주요경제 지표 발표를 주목하는 상황.

 

출처: <https://m.myasset.com/extern/researchPortal/RP_0001000_P1.cmd?menuid=RP_0105000_P1&searchKeyGubun=1&keyword=&page=1&base_date=20230328052622&gbn=B&res_seq=186896>

 

 

 

 

 

[한투증권 전기전자/2차전지 조철희]

3월28일 IT 주요뉴스

 

● 공고해지는 포드·SK 동맹…차세대 전기 픽업트럭도 SK 배터리 탑재

-포드가 개최한 '블루오벌시티 라이브' 이벤트에서 블루오벌 시티가 프로젝트 T3(Trust the truck)인 포드의 2세대 전기트럭이 될 것이라 밝힘. 해당 모델은 구체적인 스펙을 언급하지 않았으나 블루오벌SK의 배터리가 탑재될 가능성 높음

-한편, 포드는 지난해부터 유럽특허청에 '메버릭 라이트닝', '레인저 라이트닝' 등 두 개의 상표권을 출원하며 차세대 전기트럭 출시를 준비. F-150과 같은 네이밍 전략 적용

Link: https://bit.ly/3FU3hfg

 

● 中 CATL, 전기차 배터리 시장 독주...국내 3사 압도

-SNE리서치에 따르면, CATL이 판매실적에서 매출액 기준 27.5%의 점유율을 기록하며 국내 3사를 크게 앞지름. 특히 3사의 점유율을 모두 합한 것보다 높은 수준(CATL>LGES>BYD>SDI>SK on)

-현재 자동차 기업들이 배터리 내재화를 위해 자체 배터리 공장 증설 및 합작 공장 설립을 진행하고 있어서 배터리 공장들이 정상 가동되기까지 현 구도는 큰 변동없이 유지될 것으로 전망

Link: https://bit.ly/3lOcX3V

 

● 삼성디스플레이, 아이폰15 OLED 5월부터 양산

-삼성디스플레이가 5월부터 아이폰15 OLED 양산에 돌입할 것. BOE의 생산차질로 일부 모델의 OLED 양산 일정이 앞당겨짐. 상위 라인업용 OLED는 예정대로 6월부터 양산할 것

-BOE가 초도 물량은 놓쳤지만, 기술력 보완 정도에 따라 연내에 아이폰15 신제품 OLED에 적용될 가능성도 존재. 업계에선 보급형 아이폰SE4 모델 OLED를 BOE가 주력으로 공급할 것으로 예상

Link: http://bit.ly/3LUrS7f

 

● 애플, MR 헤드셋 공개 임박했나…"지난 주 임원들에 시연"

-애플이 애플 최고 경영진 100명 대상으로 6월에 공개 예정인 MR 헤드셋을 시연했다고 보도. 블룸버그에 따르면, 해당 시연회는 6월 공개에 앞서 진행된 핵심 이정표

-해당 제품에 대한 기대감은 커지고 있으나 높은 가격, 킬럽 앱 부재 등 몇 가지 문제점을 안고 출시될 것. 이에 경영진들도 출시 초반 크게 흥행하지 못한 애플워치와 유사한 수순을 따를 가능성도 염두

Link: https://bit.ly/3LR7iVt

 

● 삼성전기 솔루엠 지분 전량매각, 주력사업 투자위한 자금 확보 움직임

-삼성전기가 24일 블록딜 방식으로 솔루엠 지분을 매각. 시세보다 8~9% 할인된 가격에 판 것으로 전해짐. 매각된 지분은 외국인 기관이 대량으로 매입한 것으로 파악

-이번 블록딜은 글로벌 경기 상황에 대비해 현금을 확보하기 위한 움직임으로 풀이. 이번 매각으로 현금 약 1천억 규모를 확보해 MLCC 등 주력사업에 투자를 늘릴 것

Link: http://bit.ly/3JMe2B9

 

● “카메라 렌즈 기술 확보하라”… 삼성전기·LG이노텍, 1년새 특허 1000건 늘려

-삼성전기와 LG이노텍은 각각 지난해 1만 5,894건(YoY +7.7%), 1만 274건(YoY +16%)의 특허를 출원하며 최근 3년간 가장 큰 폭의 특허 수 증가

-그 중 카메라 모듈에 삽입되는 렌즈와 관련된 기술이 다수. 프리미엄 스마트폰과 전장 시장에서 점유율을 늘리기 위해 렌즈 기술 확보에 주력하는 것으로 파악

Link: https://bit.ly/3ZgiVIt

 

● Vivo aiming for Taiwan's top 3 smartphone brands(Digitimes prime)

-Vivo has adjusted its marketing strategy in Taiwan, with the goal of breaking into the top three smartphone brands in the market.

 

 

[한투증권 조철희] 애플(AAPL US): 아이폰 유저 어디 안간다

 

● 상반기 아이폰 출하량 부진으로 부진한 실적 전망

 

- 아이폰 상반기 출하량이 부진. 지난해 하반기 폭스콘 정저우 공장 생산차질 문제에서 벗어나 올해 상반기 출하량은 전년대비 양호할 것으로 기대했지만, 1~2월 합산 4.9% 감소. CY1Q23 예상 출하량은 5,470만대로 컨센서스 5,676만대에 3.6% 못 미칠 전망. 아이폰14 cycle 성수기는 금리인상, 강달러 지속, 그리고 중국 공장 생산차질로 아쉽게 마무리되는 양상

- 이에 따라 애플의 CY1Q23 실적도 시장 컨센서스 928억달러를 소폭 하회할 전망. 그러나 매출액 부진에도 수익성은 크게 훼손되지는 않을 것. 지난 CY4Q22 실적 컨퍼런스콜에서 밝힌 것처럼 매출액 부진을 비용 효율화(부품 가격 인하 등)로 방어하고 있기 때문

 

● 하반기는 예상보다 더 좋을 것

 

- 아이폰은 SE 시리즈를 제외하면 전 모델이 high-end 스마트폰. High-end 스마트폰 구매자들은 출시 초반 구매하려는 성향이 강하기 때문에 지난해 하반기 생산차질은 아이폰14 cycle에는 치명적

- 그러나 아이폰 유저들은 iOS eco-system 충성도가 높기 때문에, 아이폰14 출하가 부진한 만큼 아이폰15 잠재 고객수는 더욱 늘어남. 특히 아이폰15에서는 프로맥스 모델에 folded-zoom 기능의 카메라가 추가되고, 프로/프로맥스 모델에 적용됐었던 dynamic island(펀치홀 노치)가 일반 모델로 확대 적용되면서 기능상 개선도 예상됨. 이에 아이폰 출하량 전망도 2.36억대를 유지(+4.1% YoY)

 

● 중국 리오프닝 대표 수혜주

 

- 애플의 매출에서 중국 비중은 19%에 달함. 아이폰, 아이패드를 포함해 주요 제품들이 모두 중국에서 잘 팔림. 아직 중국의 소비가 서비스 위주로 회복되고 있지만, 2~3분기부터는 점진적으로 스마트폰 등의 재화 구매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 여러모로 아이폰15 cycle에 대한 기대감이 올라가고 있음

 

리포트: http://bit.ly/3FRvR0r

전기전자/2차전지 텔레그램: https://bit.ly/2SEXAbh

 

 

 

 

『하루를 여는 이경준 혁신IB자산운용 대표의  화(話)가 담긴 IPO Daily💌 - 20230328』

【 텔레그램 채널 주소 : https://t.me/KoreaIB

【 IPO상장 및 투자자문 문의 / 기사제보 ☞ 📧 ipo@kakao.com 】

 

===========================

 

 

📌Today's Topic1》

제약·바이오 기업 흥행몰이…“물 들어올 때 노 젓자”

https://economychosun.com/site/data/html_dir/2023/03/20/2023032000023.html

🎙이경준 혁신IB자산운용 대표는 “지난해 증시가 위축되자 기업 가치를 낮춰 상장을 준비한 기업들이 늘어났고, 이들이 상장하는 시기에 IPO 시장에 돈이 들어오면서 중소형사에 우호적인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다”며 “VC의 자금 회수 의지, 주관사의 기업 밀어내기가 맞물려 당분간 중소형 제약·바이오 기업들의 상장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

 

 

📌Today's Topic2》

LG엔솔·성일하이텍 …'IPO 빅딜' 주관

https://www.mk.co.kr/news/special-edition/10697265

🎙압도적 1위를 기록해 국내 자본시장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 기사 中 -

자본시장 발전에 크게 기여한 평가를 받고 있는 사장님 존경합니다👍

 

 

------------------------------------------

 

📌Today's Topic3》

‘비적정’ 감사보고서 제출 전 주식 팔아치운 내부자들

https://naver.me/IFFAj95R

 

 

 

===========================

 

★ 금일 일정 ★

 없음

 

☆ 금주 남은 일정 ☆

 03/29 엘비인베스트먼트 상장⭐️

 03/30 지아이이노베이션 상장⭐️

< 출처 : 🇰🇷이경준 혁신IB자산운용 대표의 화(話)💬 https://t.me/KoreaIB >

------------------------------------------

 

▣ 기관IR 일정 ▣

- 온라인 및 소규모 간담회로만 진행 -

 

▣ 상장 일정(예정, 변경가능) ▣

 03/29 엘비인베스트먼트(미래에셋증권)

 03/30 지아이이노베이션(NH투자증권, 하나증권)

 04/26 마이크로투나노(한국투자증권)

 미정 : 토마토시스템(교보증권)

 05/02 나라셀라(신영증권)

 05/04 모니터랩(미래에셋증권)

 미정 : 에스바이오메딕스(미래에셋증권)

 미정 : 틸론(키움증권)

 

▣ 심사 승인 ▣

 - 트루엔(미래에셋증권)

 - 큐라티스(대신증권, 신영증권)

 - 씨유박스(신한투자증권, SK증권)

 - 진영(하이투자증권)

 - 마녀공장(한국투자증권)

 - 파로스아이바이오(한국투자증권)

< 출처 : 🇰🇷이경준 혁신IB자산운용 대표의 화(話)💬 https://t.me/KoreaIB >

===========================

728x90
728x90

주식 스터디를 위해 개인적으로 스크랩한 증시캘린더, 국내 및 해외마감 시황, 뉴스 자료를 공유합니다.

증시캘린더는 개인적으로 관련된 소식을 확인후 작성한 일정이라 변동 또는 오류의 소지가 있습니다.

게시물은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한 것이라

불확실하거나 오류가 많을 수 있으므로 투자 활용시 유의하시기 바라며, 개별적인 종목 추천이나 상담은 하지 않습니다.

 

모쪼록 제 공간에 오신 모든 분들이 주식스터디를 통해 인생 한 방보다, 꾸준함을 믿으며...

복리의 마법으로 모든 분들이 성공한 개인투자자가 되시길...


[간밤 월드뉴스 총정리 325] 도이치은행發 위기/ “침체 임박→금리 큰 폭 인하”/ 코인 불안 왜?/ 심상찮은 내구재 주문/ 다음주 위기 확산·PCE물가·마이크론 실적

 

 

“도이치뱅크 묻지마 흔들기”…“건들락, 침체 적색경고” [김영필의 3분 월스트리트]

? 24일(현지 시간) 미국 뉴욕증시의 주요 지수가 도이치뱅크 주가 급락에 따른 불안심리에 고전했지만 크레디트스위스(CS)와는 다르다는 판단이그... 서울경제 | 2023-03-25 06:41

 

[뉴욕증시]유럽 은행권 우려 딛고 상승 마감...다우 0.4%↑

뉴욕증시는 금융권 위기의 여진으로 도이체방크를 비롯한 유럽 은행들의 주가가 크게 밀리면서 장 초반 약세를 보였으나, 시장의 우려가 과도하다는 분... 한국경제TV | 2023-03-25 06:19

 

‘은행위기 아직 안 끝났다’ 도이체방크 주가 출렁…뉴욕증시 강보합 마감 [월가월부]

24일 미국 주요 지수 소폭 상승 부도위험 치솟은 도이체방크-3% 실적 순항 부각되면서 낙폭 축소 美 국채 가격 보합·달러지수 상승 24일(미국... 매일경제 | 2023-03-25 06:12

 

[뉴욕증시]유럽이 불안하다…도이체방크發 '롤러코스터'

미국 뉴욕 증시가 롤러코스터를 탄 끝에 강보합 마감했다. 크레디트스위스(CS)의 신종자본증권(AT1) 전액 상각 후폭풍이 독일 최대 은행 도이체... 이데일리 | 2023-03-25 06:09

 

뉴욕증시, 유럽 은행권 우려 속에 상승…다우 0.4%↑마감

윤영숙 연합인포맥스 특파원 = 뉴욕증시는 도이체방크를 비롯한 유럽 은행들의 주가가 크게 밀리면서 장 초반 약세를 보였으나, 시장의 우려가 과도하... 연합뉴스 | 2023-03-25 05:46

 

출처: <https://finance.naver.com/news/news_list.naver?mode=LSS3D§ion_id=101§ion_id2=258§ion_id3=403>

 

 

 

 

 

 

 

 

2023년 3월 27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미 시중은행 예금이 감소하면서 당국이 긴급대출 프로그램 확대를 고려 중입니다.

 

(2) 독일 등 유럽 제조업 지수가 하락했습니다. 자동차 공급망 정상화로 풀이됐습니다.

 

(3) 바이든과 시진핑의 전화 통화가 예상보다 미뤄질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391%p (+0.011%p)

한국 고객예탁금, 47.4조원 +1.0조원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05% (오전 5시 기준)

1개월 NDF 환율 1,293.01원 (-0.99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03/27 [미래에셋증권] 해외 금융시장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 (02-3774-1621)

 

◆ 미국 증시

- DOW: 32,237.53p (+132.28p, +0.41%)

- S&P500: 3,970.99p (+22.27p, +0.56%)

- NASDAQ: 11,823.96p (+36.56p, +0.31%)

- 러셀2000: 1,734.92p (+14.63p, +0.85%)

 

◆ 한국 관련

- MSCI 한국지수 ETF: $59.69 (-0.78, -1.29%)

- MSCI 이머징지수 ETF: $38.67 (-0.10, -0.26%)

- Eurex kospi 200: 315.45p (+0.15p, +0.05%)

- NDF 환율(1개월물): 1,293.01원 / 전일 대비 2원 하락 출발 예상

- 필라델피아 반도체: 3,121.26 (-53.10, -1.67%)

 

◆ 외환시장

- 달러인덱스: 103.116 (+0.584, +0.57%)

- 유로/달러: 1.0760 (-0.0071, -0.66%)

- 달러/엔: 130.73 (-0.12, -0.09%)

- 파운드/달러: 1.2233 (-0.0054, -0.44%)

 

◆ 미국 국채시장

- 2년물: 3.7667% (-6.6bp)

- 5년물: 3.4075% (-3.2bp)

- 10년물: 3.3762% (-5.0bp)

- 30년물: 3.6438% (-5.4bp)

- 10Y-2Y: -39.05bp (1.59bp 역전 축소)

(국채선물)

- 2YR T-Notes: 103*28 1/2 (+0*01 1/2, +0.05%)

- 5YR T-Notes: 110*15 1/2 (+0*00 3/4, +0.02%)

- 10YR T-Notes: 116*03 1/2 (+0*04 , +0.11%)

- US T-Bonds: 132*11   (+0*18 , +0.43%)

- Ultra US T-Bonds: 142*19   (+0*30 , +0.66%)

 

◆ 상품시장 ($, 단 곡물, 구리는 센트)

- WTI: 69.26 (-0.70, -1.00%)

- 브렌트유: 74.99 (-0.92, -1.21%)

- 금: 2,001.70 (-11.60, -0.58%)

- 은: 23.34 (+0.08, +0.36%)

- 아연(LME, 3M): 2,891.50 (-15.50, -0.53%)

- 구리: 407.50 (-4.85, -1.18%)

- 옥수수: 643.00 (+11.25, +1.78%)

- 밀: 688.50 (+26.50, +4.00%)

- 대두: 1,428.25 (+8.75, +0.62%)

 

*동 자료는 2023년 3월 26일 미래에셋증권 홈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를 요약한 것입니다.

 

글로벌 주식시장 변화와 전망(3월 27일)

미래에셋증권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02-3774-1621)

 

미 증시, 도이체방크 우려 불구 주요 인사들 발언으로 상승 전환

 

미 증시는 도이체방크(-3.11%)의 CDS 프리미엄이 급등하자 안정을 찾던 은행 불안이 재 부각되며 하락 출발. 그러나 CS(-1.23%)와 달리 유동성에 대한 우려가 없다는 소식에 낙폭 축소. 라가르드 ECB 총재가 EU 정상회담에서 은행 부문에 대한 긍정적인 발언을 하고, 불라드, 보스틱 총재등의 발언도 우호적. 물론, 여전히 불안 심리는 남아 있어 경기 방어주 중심으로 강세를 보이는 등 업종 차별화가 뚜렷한 모습을 보임(다우 +0.41%, 나스닥 +0.31%, S&P500 +0.56%, 러셀2000 +0.85%)

 

변화요인: ①도이체방크 ②라가르드, 불라드, 보스틱 발언

https://securities.miraeasset.com/bbs/maildownload/20230326103317533_3533

 

03/27 한국 증시: 종목, 업종 차별화 장세 지속 전망

미래에셋증권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02-3774-1621)

 

MSCI 한국 지수 ETF는 1.29%, MSCI 신흥 지수 ETF는 0.26% 하락. NDF 달러/원 환율 1개월물은 1,293.01원으로 이를 반영하면 달러/원 환율은 2원 하락 출발 예상. Eurex KOSPI200 선물은 0.05% 상승. KOSPI는 보합권 출발 예상

 

미 증시는 도이체방크 우려에도 불구하고 라가르드, 불라드 총재등의 발언으로 은행 리스크가 확대되기 보다는 안정을 찾아가며 상승 전환한 점은 한국 증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 특히 파월 연준 의장과 옐런 미 재무장관이 최근 미국의 은행 시스템이 견고하다고 주장한데 이어 불라드 총재, 토마스 바킨 총재, 보스틱 총재 등과 라가르드 ECB 총재 등 이날 발언이 있었던 주요 인사들 또한 은행 시스템의 견고함을 주장해 도이체 방크 이슈의 확대 가능성을 제어한 점도 우호적

 

다만, 무디스를 비롯한 여타 신용평가사들은 여전히 은행 리스크에 대한 우려를 지속적으로 언급하고 있고, 그에 따른 경기 침체 이슈도 재 부각될 수 있다는 점은 부담. 지난 FOMC에서 연준은 미국의 성장률을 하향 조정했고, 이는 올해 경기 침체 가능성을 시사한다는 점에서 지수의 상승 가능성은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

 

이런 가운데 AI 관련 산업의 성장에도 과매수 상태라는 분석이 제기되며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가 1.67% 하락한 점도 부담. 이를 감안 한국 증시는 보합권 출발 후 여전히 지수 보다는 종목과 업종 중심으로 변화하는 종목 장세가 당분간 진행될 것으로 전망

 

 

 

 

 

 

(2023.03.25) U.S.& EU Market Closing

  • 2023.03.25  허기호
  • U.S. Market Closing – 05:00 기준
지수 종가 등락폭 등락률 상승/하락/보합
DOW 32,237.53 132.28 0.4% 21/9/0
S&P500 3,970.99 22.27 0.6% 378/124/1
NASDAQ 11,823.96 36.56 0.3% 1912/1364/300
RUSS 2K 1,731.38 11.09 0.6% 1263/620/42
PHLX 반도체지수 3,121.26 -53.10 -1.7% 3/26/0
VIX지수 21.82 -0.79 -3.5%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 티레이더에서 나스닥•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실시간 제공

금일 뉴욕 증시는 독일의 도이치 뱅크(DB/-3.1%)의 신용부도스와프(CDS) 확대 소식에 금융 섹터를 중심으로 투자심리가 악화, 제한적인 움직임을 시현하며 소폭 상승세로 장을 마감. 글로벌 투자은행 뱅크오브아메리카에 따르면 재무상태가 불안한 중소규모 은행에서 대형은행으로의 자금 이동 흐름을 고려하였을 때 큰 폭의 증시 하락이 나타날 수 있다고 경고, 향후 금리인상 사이클 종료라는 미 연준의 발표가 나타날 때까지 변동성 확대가 불가피 할 것으로 전망. 반면 제이피모건체이스는 이번 도이치뱅크의 CDS 확대에 대해 유동성 커버리지 비율 142%라는 점을 지목하며 재무상태가 매우 강력한 기업이라 평가. 따라서 이번 도이치 뱅크 상황은 크게 우려하기에는 부적절할 것으로 판단. 한편 일각에서는 미 연준과 재무부가 은행들의 유동성 위기와 관련하여 적절한 소통을 하지 못하고 있으며 일관적이지 않은 발언을 이어가며 금융시장에 혼선을 야기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

 

 

U.S. ETF Closing – 05:00 기준

Sector

분류 티커 현재가 등락률 t신호 수익률






1개월 3개월 1년
유틸리티 XLU 65.7 3.2% 안개 0.0% -6.4% -7.6%
부동산 VNQ 78.8 2.6% 안개 -8.2% -3.1% -24.3%
필수소비재 XLP 73.0 1.7% 햇빛 0.9% -1.7% -0.6%
헬스케어 XLV 127.3 1.4% 안개 -0.3% -5.3% -5.8%
소재 XLB 76.8 0.8% 안개 -5.3% -0.3% -11.5%
커뮤니케이션 XLC 56.7 0.5% 햇빛 6.3% 21.7% -17.6%
산업재 XLI 96.9 0.4% 안개 -3.8% -0.1% -4.9%
에너지 XLE 77.9 0.4% 안개 -7.3% -8.5% 5.8%
IT XLK 146.0 0.3% 햇빛 6.9% 20.5% -7.9%
금융 XLF 31.0 0.0% 안개 -12.6% -7.9% -19.6%
자유소비재 XLY 141.6 -0.3% 안개 -2.5% 12.5% -24.0%

자료: 티레이더,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섹터별 ETF는 금융(XLF/-%)섹터와 에너지(XLE/+0.4%)섹터가 혼조세로 장을 마감. 세계 3대 신용평가사인 무디스는 높은 기준금리 여파로 인해 은행 섹터의 유동성 위기가 지속적으로 나타날 것으로 주장. 이러한 반복적인 은행 섹터의 변동성은 경제에 큰 충격으로 다가올 것이며 신용시장 경색을 초래할 것이라 우려의 목소리를 제기. 한편 경기침체 장기화에 대한 전망이 불가피 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됨에 따라 원유 수요 또한 꾸준히 하락할 수 밖에 없다는 분석.

 

Thematic

분류 티커 현재가 등락률 t신호 수익률






1개월 3개월 1년
은행 KRE 44 3.0% 안개 -28.8% -24.2% -37.1%
생명공학 IBB 126 1.2% 안개 -0.7% -1.9% -2.2%
항공방산 XAR 113 0.9% 안개 -5.2% 4.7% -8.9%
반도체 SOXX 429 -1.7% 햇빛 5.4% 27.5% -11.1%
비트코인 BITO 17 -2.5% 햇빛 19.3% 68.7% -42.0%

자료: 티레이더,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테마별 ETF는 반도체(SOXX/-1.7%)ETF와 비트코인(BITO/-2.5%)ETF가 하락 마감. 글로벌 금융 서비스 기업 Wedbush에 따르면 현재 반도체 수요 회복까지 다소 시간이 걸릴 것이라 분석하면서도 인공지능 AI 산업에 대한 데이터 센서 반도체에 대한 수요는 빠르게 회복할 것으로 평가. 한편 시중 은행들의 유동성 위기가 부각되는 가운데 인플레이션 대체 헤지 수단으로서 가상화폐의 투자심리가 상승. 다만 올해 안에 기준금리 인하 계획이 없다는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발언으로 다소 제한적인 움직임을 시현.

  

EU Market Closing – 02:30 기준

지수 종가 등락률 구분 업종 등락률
STOXX 600 440.11 -1.4%
필수소비재 +0.2%



상승 건강관리 +0.1%




산업재 -2.6%



하락 부동산 -2.7%




에너지 -2.7%
지수 종가 고가 저가 등락폭 등락률
獨 DAX 14,957.23 15,135.65 14,809.82 -253.16 -1.7%
英 FTSE 100 7,405.45 7,499.60 7,335.71 -94.15 -1.3%
佛 CAC 40 7,015.10 7,108.66 6,953.58 -124.15 -1.7%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금일 유럽증시는 독일의 상업은행인 도이치 뱅크(DB/-3.1%)의 채무불이행 스와프 확대로 인한 금융 섹터의 불안감이 다시 고조되며 하락세로 장을 마감. 이에 필수소비재 섹터를 제외한 대부분의 섹터에 전방위적인 하방 압력이 가중되며 독일 DAX 지수와 프랑스CAC 지수를 포함한 유럽의 3대 지수 모두 1.3% 이상 하락세 시현. 이에 대해 일각에선 높은 기준금리로 인하여 은행권의 유동성 위기 반복이 불가피 할 것이란 분석이 제기되었으며 뱅크런 사태에 대비한 금융사들의 보험 비용이 상승하며 이익 감소를 야기할 것이라 전망.

 

 

출처: < https://m.myasset.com/extern/researchPortal/RP_0001000_P1.cmd?menuid=RP_0105000_P1&searchKeyGubun=1&keyword=&page=1&base_date=20230325052049&gbn=B&res_seq=186871>

 

 

[한투증권 전기전자/2차전지 조철희]

3월27일 IT 주요뉴스

 

● 권영수 LG엔솔 부회장 "도요타와 공급 논의 잘돼"…배터리 한일협력 급물살

-권영수 LG엔솔 부회장이 일본 완성차 업체 도요타와 배터리 공급 논의를 잘 진행하고 있다고 밝힘. 한일정상회담과 맞물려 한일 간 첨단산업협력이 급물살 타고 있다는 관측

-업계에선 북미 전기차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LG엔솔의 도요타 수주 계약이 가시화되고 있다고 판단. 도요타는 내연기관차와 전기차를 함께 생산하는 방식으로 기존 켄터키주 라인을 개조해 26년 연간 20만 대의 생산 능력을 보유할 것

Link: http://bit.ly/3TLXsG7

 

● CATL, 中 베이징차와 협력 강화

-중국 CATL이 베이지자동차(BAIC)와 배터리셀 사업 협력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고 보도. 양사는 2010년부터 배터리 기술 개발과 공급, AS 등에서 협업을 해옴

-BAIC는 CATL을 통해 전기차 시장을 공략할 것. 최근 전기차 제조사로 변모하고자 자회사 'BAIC 블루파크'를 설립. 샤오미와도 전기차 합작 생산 논의 중. 배터리 공급망도 다각화하는 것으로 파악(SK온 배터리 탑재한 이력 존재)

Link: https://bit.ly/3JT9s4q

 

● 어느새 中이 야금야금… 중저가폰 셈법 복잡해진 삼성

-삼성전자는 이달 안에 갤럭시A34 모델을 국내에 선보일 예정. 다만 국내에선 A34 모델을 먼저 선보인 뒤 추후 갤럭시 A54을 내놓는다는 전략(세계 시장에선 같이 출시)

-더불어 올해는 갤럭시 A7 모델에 대한 소식이 부재. 단종 수순에 들어간 것 아니냐는 분석 제기. 플래그십 선호 현상이 심화되는 가운데 해외 중저가 시장에서 중국 업체들과의 경쟁이 과열되는 상황. 일각에선 점유율 경쟁을 위해 라인업 조정 가능성이 점쳐짐

Link: https://bit.ly/3Zl0KBv

 

● “삼성 긴장했다?” 애플 작정하고 만든 ‘아이폰’ 이렇게 나온다

-아이폰 15 시리즈의 유력 이미지가 공개. 그간 큰 변화가 없었던 아이폰 타 시리즈와 달리 15에선 많은 부분이 변할 것으로 예상

-티타늄 소재 적용, A17 바이오닉 칩셋, 잠망경식 카메라 렌즈 등 하드웨어적 개선 사항이 다수 반영

Link: https://bit.ly/40UhgK7

 

● LG전자, GM '전장 부품 최우수 공급사'로 선정

-LG전자가 GM으루부터 전장부품의 우수성을 인정받음. 코로나 등 어려운 환경에서 LG전자가 부품을 적기 공급하며 함께 위기를 극복하고자 했던 점을 인정받은 것

-앞서 LG전자는 지난해 11월 GM과 상하이자동차 합작사인 상하이GM으로부터 올해의 우수 공급사로 선정된 바 있음. 지난해 VS사업부의 연간 영업이익이 처음으로 턴어라운드에 성공했고 수주잔고 역시 지난해 말 기준 80조원을 상회하며 지속 확대중

Link: https://bit.ly/3lKh01c

 

 

『하루를 여는 이경준 혁신IB자산운용 대표의  화(話)가 담긴 IPO Daily💌 - 20230327』

【 텔레그램 채널 주소 : https://t.me/KoreaIB

【 IPO상장 및 투자자문 문의 / 기사제보 ☞ 📧 ipo@kakao.com 】

 

===========================

 

📌Today's Topic1》

‘기술력이 힘’…코넥스 제약바이오, 코스닥 이전 상장 노린다

https://www.econovill.com/news/articleView.html?idxno=606423

 

------------------------------------------

 

📌Today's Topic2》

더현대·IFC 품은 브라이튼 여의도, 4월 민간임대 공급

https://www.sedaily.com/NewsView/29N5FZWRUU

 

 

===========================

 

★ 금일 일정 ★

 없음

 

☆ 금주 남은 일정 ☆

 03/29 엘비인베스트먼트 상장⭐️

 03/30 지아이이노베이션 상장⭐️

< 출처 : 🇰🇷이경준 혁신IB자산운용 대표의 화(話)💬 https://t.me/KoreaIB >

------------------------------------------

 

▣ 기관IR 일정 ▣

- 온라인 및 소규모 간담회로만 진행 -

 

▣ 상장 일정(예정, 변경가능) ▣

 03/29 엘비인베스트먼트(미래에셋증권)

 03/30 지아이이노베이션(NH투자증권, 하나증권)

 04/26 마이크로투나노(한국투자증권)

 미정 : 토마토시스템(교보증권)

 05/02 나라셀라(신영증권)

 05/04 모니터랩(미래에셋증권)

 미정 : 에스바이오메딕스(미래에셋증권)

 미정 : 틸론(키움증권)

 

▣ 심사 승인 ▣

 - 트루엔(미래에셋증권)

 - 큐라티스(대신증권, 신영증권)

 - 씨유박스(신한투자증권, SK증권)

 - 진영(하이투자증권)

 - 마녀공장(한국투자증권)

 - 파로스아이바이오(한국투자증권)

< 출처 : 🇰🇷이경준 혁신IB자산운용 대표의 화(話)💬 https://t.me/KoreaIB >

===========================

728x90
728x90

주식 스터디를 위해 개인적으로 스크랩한 증시캘린더, 국내 및 해외마감 시황, 뉴스 자료를 공유합니다.

증시캘린더는 개인적으로 관련된 소식을 확인후 작성한 일정이라 변동 또는 오류의 소지가 있습니다.

게시물은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한 것이라

불확실하거나 오류가 많을 수 있으므로 투자 활용시 유의하시기 바라며, 개별적인 종목 추천이나 상담은 하지 않습니다.

 

모쪼록 제 공간에 오신 모든 분들이 주식스터디를 통해 인생 한 방보다, 꾸준함을 믿으며...

복리의 마법으로 모든 분들이 성공한 개인투자자가 되시길...


[간밤 월드뉴스 총정리 324] 영·스위스·노르웨이 줄인상/ 달라진 Fed 금리 전망/ 말 바꾼 옐런/ 저승사자 “이번엔 블록”/ 날개 단 SNS·넷플릭스/ 딱 걸린 권도형

 

 

뉴욕증시, 긴축중단 기대·옐런 발언 번복에 상승 ‘넷플릭스 9%↑’…유가 하락·비트코인 상..

뉴욕증시는 23일(현지시간) 상승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75.14포인트(0.23%) 상승한 3만2105.... 한국경제TV | 2023-03-24 06:57

 

단타 몰린 ‘한국인 순매수 3위’ FRC 연일 급락…‘루나 사태’ 권도형 체포 [월가월부]

23일 미국 주요 지수 동반 상승 13~23일 한국 순매수 3위 FRC ‘단타’ 몰린 해당 기간 주가 85%↓ 공매도 폭로에 블락 15% 하락 ... 매일경제 | 2023-03-24 06:44

 

“시장의 큰 기대 옐런의 예금보장 소동”…“연준, 분기당 -0.2% 성장예측” [김영필의 ..

23일(현지 시간) 미국 뉴욕증시의 주요 지수가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인상이 막바지에 다다랐다는 판단과 국채금리 하락에 기술주가 오르... 서울경제 | 2023-03-24 06:41

 

[뉴욕증시]"금리 인상 끝나간다" 호재…변수는 '경기 침체'

미국 뉴욕 증시가 장중 롤러코스터를 탄 끝에 강보합 마감했다. 연방준비제도(Fed)의 기준금리 인상 사이클이 막바지에 다다랐지만, 은행권 위기로... 이데일리 | 2023-03-24 06:10

 

“시장은 이제 연준 걱정 안해”…나스닥 1.01%↑[데일리국제금융시장]

금리 인상이 막바지에 다다랐다는 전망에 뉴욕 증시가 상승했다. 23일(현지 시간) CNBC에 따르면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75.14포인트(+0.... 서울경제 | 2023-03-24 05:55

 

뉴욕증시, FOMC 결과 소화하며 상승…나스닥 1%↑마감

윤영숙 연합인포맥스 특파원 = 뉴욕증시는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결과를 소화하며 상승했다. 23... 연합뉴스 | 2023-03-24 05:29

 

출처: <https://finance.naver.com/news/news_list.naver?mode=LSS3D§ion_id=101§ion_id2=258§ion_id3=403>

 

뉴욕증시, 긴축중단 기대·옐런 발언 번복에 상승 ‘넷플릭스 9%↑’…유가 하락·비트코인 상승 [출근전 꼭 글로벌브리핑]

출처: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303240019&t=NN>

 

뉴욕증시 긴축중단 기대옐런 발언 번복에 상승 넷플릭스 9유가 하락비트코인 상승 출근전 꼭 글

[글로벌시장 지표 / 3월 24일 오전 6시 현재] [미국증시 마감시황] 뉴욕증시는 23일(현지시간) 상승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75.14포인트(0.23%) 상승한 3만2105.25에 마

www.wowtv.co.kr

 

 

 

 

 

2023년 3월 24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일본계 사모펀드가 도시바를 2조엔에 인수한다고 니혼게이자이가 보도했습니다.

 

(2) 마이크론이 5.5% 올라 11주 만에 최대 상승폭을 기록했습니다.

 

(3) Fed 총자산이 전주대비 1.1% 늘어 지난주(+3.6%)보다 증가속도가 느려졌습니다.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401%p (+0.122%p)

한국 고객예탁금, 47.2조원 +1.0조원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03% (오전 5시 기준)

1개월 NDF 환율 1,284.51원 (+6.36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03/24 [미래에셋증권] 해외 금융시장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 (02-3774-1621)

 

◆ 미국 증시

- DOW: 32,105.25p (+75.14p, +0.23%)

- S&P500: 3,948.72p (+11.75p, +0.30%)

- NASDAQ: 11,787.40p (+117.44p, +1.01%)

- 러셀2000: 1,720.29p (-7.07p, -0.41%)

 

◆ 한국 관련

- MSCI 한국지수 ETF: $60.47 (+0.98, +1.65%)

- MSCI 이머징지수 ETF: $38.77 (+0.53, +1.39%)

- Eurex kospi 200: 316.00p (-0.10p, -0.03%)

- NDF 환율(1개월물): 1,283.93원 / 전일 대비 5원 상승 출발 예상

- 필라델피아 반도체: 3,174.36 (+82.65, +2.67%)

 

◆ 외환시장

- 달러인덱스: 102.572 (+0.226, +0.22%)

- 유로/달러: 1.0837 (-0.0019, -0.18%)

- 달러/엔: 130.85 (-0.59, -0.45%)

- 파운드/달러: 1.2286 (+0.0018, +0.15%)

 

◆ 미국 국채시장

- 2년물: 3.8204% (-11.6bp)

- 5년물: 3.4307% (-8.1bp)

- 10년물: 3.4098% (-2.4bp)

- 30년물: 3.6733% (+2.2bp)

- 10Y-2Y: -41.06bp (9.20bp 역전 축소)

(국채선물)

- 2YR T-Notes: 103*27   (+0*11 , +0.36%)

- 5YR T-Notes: 110*14 3/4 (+0*24 1/2, +0.7%)

- 10YR T-Notes: 115*31 1/2 (+0*30 , +0.81%)

- US T-Bonds: 131*25   (+0*31 , +0.74%)

- Ultra US T-Bonds: 141*21   (+0*18 , +0.4%)

 

◆ 상품시장 ($, 단 곡물, 구리는 센트)

- WTI: 69.96 (-1.61, -2.27%)

- 브렌트유: 75.91 (-1.40, -1.83%)

- 금: 2,013.30 (+48.00, +2.44%)

- 은: 23.26 (+0.43, +1.88%)

- 아연(LME, 3M): 2,907.00 (+41.00, +1.43%)

- 구리: 412.35 (+5.40, +1.34%)

- 옥수수: 631.75 (-2.75, -0.43%)

- 밀: 662.00 (-5.00, -0.75%)

- 대두: 1,419.50 (-30.50, -2.11%)

 

*동 자료는 2023년 3월 24일 미래에셋증권 홈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를 요약한 것입니다.

글로벌 주식시장 변화와 전망(3월 24일)

미래에셋증권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02-3774-1621)

 

미 증시, 지역 은행 우려로 상승 반납 후 옐런 발언으로 재차 상승

 

미 증시는 전일 파월 연준의장과 옐런 재무장관 발언으로 인한 하락을 뒤로하고 반발 매수세가 유입되며 상승 출발. 특히 달러화가 연준의 금리인상 기조 종료 가능성이 높아진 가운데 BOE 통화정책 등으로 6일 연속 약세를 보이자 기술주 중심으로 상승폭을 확대해 나스닥이 한 때 2.5% 급등. 그러나 달러화가 강세로 전환하고 여전히 이어진 지역은행 급락 등으로 매물이 출회되며 상승 반납. 다만 옐런 장관이 예금 보호 조치를 취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언급 후 재차 반등을 주는 등 변동성 확대 후 상승 마감(다우 +0.23%, 나스닥 +1.01%, S&P500 +0.30%, 러셀2000 -0.41%)

 

변화요인: ①BOE 통화정책회의 ②지역 은행 불안 지속

https://securities.miraeasset.com/bbs/download/2104645.pdf?attachmentId=2104645

 

03/24 한국 증시: 기술주 중심 개별 종목 장세

미래에셋증권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02-3774-1621)

 

MSCI 한국 지수 ETF는 1.65%, MSCI 신흥 지수 ETF는 1.39% 상승. NDF 달러/원 환율 1개월물은 1,283.93원으로 이를 반영하면 달러/원 환율은 5원 상승 출발 예상. Eurex KOSPI200 선물은 0.03% 하락. KOSPI는 보합권 출발 예상

 

미 증시가 전일 하락을 뒤로하고 달러 약세에 힘입어 나스닥이 한 때 2.5% 급등하기도 했으나, 여전히 이어진 지역 은행 리스크로 인해 매물이 출회되며 하락전환 하는 등 변동성을 키운 점은 한국 증시에 부담. 이는 향후 경기 침체 리스크를 확대시킬 수 있어 수출의존도가 높은 한국 증시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

 

그렇지만, GTC 컨퍼런스 이후 여러 투자은행들의 긍정적인 평가가 이어지는 엔비디아가 상승하고, 업황 바닥에 대한 기대로 마이크론이 상승해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가 2.67% 상승한 점은 한국 증시에 긍정적. 더 나아가 미국 지역은행들에 대한 불안 심리가 여전하지만, 은행 시스템의 견고함을 주장한 파월 연준의장과 옐런 재무장관의 발언 등으로 관련 리스크 확산 가능성은 제한된다는 점도 우호적.

 

이를 감안 한국 증시는 보합권 출발 후 주요 이슈 소화 후 4월 1분기 실적 발표를 앞두고 지수보다는 종목에 집중하는 종목 장세가 진행될 것으로 전망.

 

 

 

 

 

 

 

 

(2023.03.24) U.S.& EU Market Closing

  • 2023.03.24  허기호
  • U.S. Market Closing – 05:00 기준
지수 종가 등락폭 등락률 상승/하락/보합
DOW 32,105.25 75.14 0.2% 19/11/0
S&P500 3,948.72 11.75 0.3% 200/302/1
NASDAQ 11,787.40 117.44 1.0% 1477/1710/387
RUSS 2K 1,722.55 -4.80 -0.3% 755/1133/36
PHLX 반도체지수 3,174.36 82.65 2.7% 29/00/0
VIX지수 22.72 0.46 2.1%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 티레이더에서 나스닥•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실시간 제공

금일 뉴욕 증시는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의 금리인상 사이클 종료에 대한 시장의 기대감이 투자심리를 견인. 하지만 예금 보험의 일방적 확대를 고려하고 있지 않다는 재닛 옐런 미국 재무부 장관의 발언이 언급되며 다우와 S&P500 지수는 제한적인 움직임을 시현. 한편 제롬 파월 연준 의장에 따르면 현재로선 연내 기준금리 인하 계획이 없다는 발언을 하였지만 일각에선 올 연말 기준금리 인하에 대한 전망이 제기되며 증시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다고 분석. 또한 연준 의원들은 현재 은행 시스템에 대한 불안정성에 대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으며 더 이상의 추가적인 금리인상 보다는 현재의 긴축 수준을 유지하는 방안으로 해석되며 증시 상승을 지지. 따라서 기준금리 인상에 민감한 IT섹터를 중심으로 은행 유동성 리스크에 대한 시장의 우려가 완화. 하지만 글로벌 자산운용사 피델리티는 금리곡선 역전현상 및 은행 유동성 위기를 언급하며 과거 금융위기와 유사한 패턴의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우려의 목소리를 제기.  

 

U.S. ETF Closing – 05:00 기준

Sector

분류 티커 현재가 등락률 t신호 수익률






1개월 3개월 1년
커뮤니케이션 XLC 56.4 1.6% 햇빛 5.8% 21.1% -18.0%
IT XLK 145.6 1.6% 햇빛 6.6% 20.1% -8.1%
자유소비재 XLY 142.0 -0.1% 안개 -2.2% 12.8% -23.8%
소재 XLB 76.2 -0.1% 안개 -6.1% -1.1% -12.3%
헬스케어 XLV 125.5 -0.2% 안개 -1.6% -6.5% -7.0%
산업재 XLI 96.5 -0.3% 안개 -4.2% -0.5% -5.3%
필수소비재 XLP 71.7 -0.4% 안개 -0.7% -3.3% -2.3%
부동산 VNQ 77.6 -0.7% 안개 -9.6% -4.6% -25.4%
금융 XLF 31.0 -0.7% 안개 -12.6% -7.8% -19.6%
유틸리티 XLU 63.7 -1.1% 안개 -3.0% -9.2% -10.4%
에너지 XLE 77.6 -1.4% 안개 -7.7% -8.9% 5.4%

자료: 티레이더,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섹터별 ETF는 IT(XLK/+1.6%)는 상승한 반면 자유소비재(XLY/-0.1%)섹터는 보합세로 마감. 경영 컨설팅 서비스 기업 엑센추어(ACN)는 221억 달러의 신규수주 및 잉여현금흐름 가이던스가 상향 조절되며 주가는 7.3% 상승, IT 섹터의 상승을 주도. 한편 글로벌 스포츠 브랜드 기업 나이키(NKE B/+1.2%)는 이번 실적 발표를 통해 향후 당사의 재고관리를 통한 이익률 상승이 나타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 특히 일각에서는 당사의 제품 혁신화와 디지털 판매 확대 등으로 인한 성장 여력으로 인해 향후 주가 상승을 이끌 것으로 평가.

  

Thematic

분류 티커 현재가 등락률 t신호 수익률






1개월 3개월 1년
비트코인 BITO 17.6 7.1% 햇빛 22.3% 72.8% -40.6%
반도체 SOXX 437.0 2.7% 햇빛 7.0% 29.5% -9.8%
글로벌 천연자원 GNR 54.5 -0.7% 안개 -5.4% -3.9% -9.9%
기술혁신 ARKK 37.8 -1.5% 안개 -2.6% 27.5% -43.6%
은행 KRE 42.2 -2.8% 안개 -30.9% -26.4% -38.9%

자료: 티레이더,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테마별 ETF는 반도체(SOXX/+2.7%)ETF는 상승한 반면 은행(KRE/-2.8%)ETF는 하락 마감. 반도체 제조업체 엔비디아(NVDA/+2.8%)의 Gen-AI, Grace Hopper 아키텍처 제품, Omniverse 등 경쟁력을 지닌 제품 및 그에 따른 시장 점유율 확대가 이루어 질것이라는 전문가들의 분석이 제기되며 반도체 ETF섹터의 상승을 주도. 한편 이번 연준의 은행 유동성 위기 관련 발언으로 인하여 유동성 리스크에 대한 시장 리스크로 대출 시장의 경색이 불가피 할 것이라는 평가가 은행 섹터의 주가 하락 주요 원인으로 작용.  

 

EU Market Closing – 02:30 기준

지수 종가 등락률 구분 업종 등락률
STOXX 600 446.22 -0.2%
정보기술 +1.8%



상승 유틸리티 +0.5%




자유소비재 +0.5%




필수소비재 -0.6%



하락 에너지 -1.4%




금융 -1.6%
지수 종가 고가 저가 등락폭 등락률
獨 DAX 15,210.39 15,244.32 15,078.72 -5.8 0.0%
英 FTSE 100 7,499.60 7,566.84 7,476.13 -67.24 -0.9%
佛 CAC 40 7,139.25 7,149.92 7,073.50 8.13 0.1%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금일 유럽증시는 유럽 내 은행들의 유동성 위기에 대한 시장의 우려가 투자심리를 악화시키며 소폭 하락세 시현. 이에 범유럽지수인 STOXX 600은 금융 섹터가 하방 압력을 가중하며 전장 대비 0.0% 소폭 하락한 447.2선에서 거래를 마감했으며 독일 DAX 지수와 프랑스CAC 지수를 포함한 유럽의 3대 지수 모두 제한적인 움직임을 시현. 현재 은행들은 재무상태 강화를 위해 대출 기준 상향 조치에 나서고 있는 상황이며 이는 장기간의 경기침체를 야기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

 

 

출처: <https://m.myasset.com/extern/researchPortal/RP_0001000_P1.cmd?menuid=RP_0105000_P1&searchKeyGubun=1&keyword=&page=1&base_date=20230324051634&gbn=B&res_seq=186845>

 

 

 

 

 

[한투증권 전기전자/2차전지 조철희]

3월24일 IT 주요뉴스

 

● U.S. lays out possible critical raw materials agreement with EU -Handelsblatt(Reuters)

-Handelsblatt에 따르면, 미국과 EU 집행위는 유럽연합에서 추출 또는 가공된 핵심 광물이 사용된 전기차가 미국의 녹색 보조금을 받을 수 있도록 허용케하는 것에 대해 협상함

-바이든 대통령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은 이달 초에 유럽에서 조달 및 가공된 광물이 탑재된 차량이 혜택받을 수 있도록 하는 협정과 관련한 회담을 갖기로 함. 다만, 집행위 대변인은 이에 대해 즉각적인 코멘트를 하지 않은 상황

Link: http://bit.ly/42vFlbL

 

● Exclusive: Canada budget to have tax credit for equipment used to produce EVs -sources(Reuters)

-캐나다가 다음주 전기 자동차 등 친환경 기술 제조를 진작하고자 예산에 30% 투자 세액 공제를 도입할 것이라 밝힘

-해당 세액공제는 EV에 사용되는 핵심광물을 추출하고 가공하는데 사용되는 장비에 대한 투자와 배터리를 포함한 전체 전기차 공급망 전반에 사용되는 장비에 대한 구입에 적용될 것

Link: http://bit.ly/3FNfbHL

 

● SK온 배터리 전구체 생산 추진, 에코프로 및 중국기업과 합작법인 설립

-SK온이 에코프로, 중국 거린메이(GEM)와 전구체 생산을 위한 3자 합작법인인 '지이엠코리안뉴에너지머티리얼즈' 설립 MOU 체결

-세 회사는 최대 1조 2천억원을 투자해 새만금에 연간 5만 톤 규모의 전구체 공장을 지을 예정. 이는 전기차 30만여 대에 필요한 양극재를 생산할 수 있는 양

Link: http://bit.ly/3Zd621T

 

● 완성차기업, 배터리 내재화 야심…"단기엔 양산 힘들 수도"

-폭스바겐, GM, 포드 등 주요 완성차 업체들이 최근 향후 배터리 내재화를 염두에 둔 행보들을 보이고 있음. 다만, 실상 양산까지 들어가기 어렵다는 것이 중론

-수율 문제가 존재. 테슬라 4680배터리도 에너지 밀도와 관련해 차질을 빚고 있음. 또한, 업력이 짧기에 단기간 안정성을 끌어올리기도 쉽지 않음

Link: https://bit.ly/3TChRNS

 

● ‘제2의 원석’ 폐배터리…2045년에는 수산화리튬 2만톤 조달

-대한상공회의소는 국내 전기차 보급이 본격적으로 이뤄지면서 오는 2035년에는 폐배터리 재활용이 크게 확대될 것으로 전망

-구체적으로는 2045년 수산화리튬 2만톤, 황산망간 2만 1,000톤 등을 재활용으로 회수할 수 있을 것. 국내 배터리 재활용 설비용량은 22년 3만 7,000톤에서 27년 16만 8,000톤으로 확대될 것

Link: https://bit.ly/3ndh2ir

 

● [단독] 성일하이텍, 흑연 재활용 기술 확보…호주 에코그라프 협업 결실

-성일하이텍이 호주 배터리 소재기업 에코그라프와 협력해 흑연 재활용 기술을 확보. 양사 간 파트너십 3년여만에 일궈낸 결과. 이에 성일하이텍은 해당 흑연 재활용 공정을 한국과 유럽에 있는 자사 생산시설에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할 것

-이에 따라 배터리 5대 소재에 이어 음극재 핵심 원재료인 흑연까지 제품 포트폴리오 확보

Link: https://bit.ly/3TEHnCf

 

● 애플, 삼성에 아이폰 OLED 추가 주문...삼성 의존도 더 커진다

-애플이 SDC에 아이폰14 OLED 패널을 추가 주문. 규모는 1,000만~1,500만대로 조만간 양산에 착수할 것. 프로와 프로맥스 모델은 기존에 SDC가 사실상 독점 공급

-해당 노동법 개정은 노동시간 확대 등 생산성 향상에 초점. 기존 8시간씩 3교대에서 12시간씩 2교대로 바꾸는 방향으로 인도 정부 관계를 설득한 것으로 파악. 여성 노동력 확대방안도 함께 논의

Link: http://bit.ly/3Zc4XHJ

 

● 인도정부 애플 아이폰 생산공장 유치에 총력, 노동법 개정도 추진

-블룸버그에 따르면, 애플 관계자가 인도 남부 타밀나두주 정부 인사와 6개월에 걸쳐 노동법 개정을 논의. 이는 인도 내 폭스콘 생산 공장 때문

-해당 노동법 개정은 노동시간 확대 등 생산성 향상에 초점. 기존 8시간씩 3교대에서 12시간씩 2교대로 바꾸는 방향으로 인도 정부 관계를 설득한 것으로 파악. 여성 노동력 확대방안도 함께 논의

Link: http://bit.ly/3Zc4XHJ

 

 

 

 

『하루를 여는 이경준 혁신IB자산운용 대표의  화(話)가 담긴 IPO Daily💌 - 20230324』

【 텔레그램 채널 주소 : https://t.me/KoreaIB

【 IPO상장 및 투자자문 문의 / 기사제보 ☞ 📧 ipo@kakao.com 】

 

===========================

 

📌Today's Topic》

IPO 죽쑤는 KB증권…공모가 담합 의혹까지

http://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1181885&inflow=N

🎙더블유씨피가 최근까지 상장한 종목 중 가장 큰 규모이기도 했고, 더블유씨피 상장한 이후로 대어가 등장하지 못하고 있으며, 동시에 잡음도 많아 중요도에 따라 관련 기사를 여러 번 싣긴 했으나, 이젠 좀 물리기도 해서,

새로운 내용이 나오기 전까지는 당분간 다양한 주제로 Topic을 다뤄볼까 합니다.

 

제 SNS는 여러분들의 다양한 이야기를 귀기울이고자 합니다.

언제든 기사화가 필요한 내용을  ipo@kakao.com 로 제보해 주시면, 기자님들에게 전달드릴 예정이니 많은 제보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 금일 일정 ★

 03/24 지아이이노베이션 납입🏧

 

☆ 다음주 일정 ☆

 03/29 엘비인베스트먼트 상장⭐️

 03/30 지아이이노베이션 상장⭐️

< 출처 : 🇰🇷이경준 혁신IB자산운용 대표의 화(話)💬 https://t.me/KoreaIB >

------------------------------------------

 

▣ 기관IR 일정 ▣

- 온라인 및 소규모 간담회로만 진행 -

 

▣ 상장 일정(예정, 변경가능) ▣

 03/29 엘비인베스트먼트(미래에셋증권)

 03/30 지아이이노베이션(NH투자증권, 하나증권)

 04/26 마이크로투나노(한국투자증권)

 미정 : 토마토시스템(교보증권)

 05/02 나라셀라(신영증권)

 05/04 모니터랩(미래에셋증권)

 미정 : 에스바이오메딕스(미래에셋증권)

 미정 : 틸론(키움증권)

 

▣ 심사 승인 ▣

 - 트루엔(미래에셋증권)

 - 큐라티스(대신증권, 신영증권)

 - 씨유박스(신한투자증권, SK증권)

 - 진영(하이투자증권)

 - 마녀공장(한국투자증권)

 - 파로스아이바이오(한국투자증권)

< 출처 : 🇰🇷이경준 혁신IB자산운용 대표의 화(話)💬 https://t.me/KoreaIB >

===========================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