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주식투자 스터디를 위해 개인적으로 스크랩한 시황, 뉴스 자료를 공유합니다.

1) 노션 링크는 익스플로러에선 제대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크롬에 최적화 되어있으며, 엣지, 웨일에서도 잘 작동합니다.

 

2) 공유한 자료링크는 1~2일후 공유 해지 합니다.

 

게시물은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한 것이라

불확실하거나 오류가 많을 수 있으므로 투자 활용시 유의하시기 바라며, 개별적인 종목 추천이나 상담은 하지 않습니다.

 

모쪼록 제 공간에 오신 모든 분들이 주식스터디를 통해 인생 한 방보다, 꾸준함을 믿으며...

복리의 마법으로 모든 분들이 성공한 개인투자자가 되시길...

 


2021년 6월 9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미국의 5년 인플레이션 기대가 두 달 만에 2.5%를 밑돌았습니다.

 

(2) 중국 금융당국이 시중은행들에 차이나 에버그란데 익스포져 점검을 지시했습니다.

 

(3) 미 행정부가 공급망 확충 계획 초안을 공개했습니다.

 

미 5년 breakeven rate 2.488%, -0.047%p (2% 상회시 유의, 2.5% 상회시 경고)

 

한국 고객예탁금, 66.6조원 +2.5조원

 

한국 백신 접종률 10.4%(+0.9%p, 집단면역 70%)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08%

1개월 NDF 환율 1,117.23원 (+3.03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6/8 미국 상승 = 관망+meme]

(Feat. 관망분위기 지속+개별종목장세)

 

<시장 분위기>

시장은 관망분위기입니다. 주요지수 모두 장중 변동폭은 제한적이었습니다. 당분간 시장은 FOMC(6/15-16)를 기다리며 관망세를 유지할 듯 합니다.

 

Reddit army들은 공매도 비율(Short interest)이 높은 주식들 중심으로 로테이션 공격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기관들도 이런 로테이션 급등 리스크로 과도한 개별 종목 숏포지션을 청산하고 있다고 합니다. 오늘의 특징종목은 Clover Health(CLOV)와 Root Insurance(ROOT)입니다.

 

CLOV는 SPAC의 아버지 Palihapitiya가 자신의 SPAC을 통해 우회상장시킨 헬스케어 플랫폼 기업입니다. 시니어를 중심으로 원격의료, 의료보험선택, 의사추천 등 종합적인 개인의료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미국의 의료시스템은 비싸고 복잡하기 때문에 젊은 층에게도 쥐약입니다. 자신의 건강상태에 최적화된 의사, 보험상품 등을 종합적으로 컨설팅합니다.(온라인/모바일)

 

ROOT는 전세계에서 유일하게 모든 보험가입자가 의무적으로 앱을 설치하고 약2~3주간의 테스트드라이브를 거쳐야 가입가능한 자동차보험 업체입니다. 앱을 통해 수집한 보험가입자의 드라이빙 데이타를 통해 개별 보험료를 결정하며, 주행이 너무 공격적일 경우 보험가입을 거부하기도 합니다. 모든 보험가입자는 의무적으로 앱을 설치해야하기 때문에 이를 통해 쌓이는 주행데이타는 매우 중요한 자산이 됩니다.

 

 •오늘의 meme주식•

-CLOV(+85.82%) : 헬스케어 플랫폼

-OTRK(+17.06%) : 원격진료

-ROOT(+15.41%) : AI보험 테크

-SDC(+14.51%) : 원격진료

-WKHS(+11.76%) : 전기트럭

 

*Ark’s Cathie Wood monthly

-성장주 장세 매우 가까워짐

☑️성장주 로테이션은 결국 연준이 결정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저희는 인플레의 끝을 연준이 정해주면(테이퍼링 결정), 성장주로 로테이션이 일어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합니다.

 

*바이든 인프라 부양책

-WV 상원의원(민주당) Joe Manchin 은 $2.3t 인프라 부양책 추진을 위해 공화당을 배제한 민주당 단독 표결(예산전용형태)에 반대

☑️결국 백악관은 공화당과 합의해야할 듯

 

•나스닥 +0.3% / 러셀2000 +1.0%

•S&P500 +0.0% / 다우 -0.1%

-나스닥 Top10 : 상승 4 vs 하락 6

 

-비트코인 : $33,000

-미국채금리(10y) : 1.531 (-2.5%)

-WTI : $70.24 (+1.5%)

 

*코로나 : 신규확진자 증가

(전일 12,283 / WoW +32.5%)

 

SMART한 주식투자

https://t.me/frankinvest

 

 

[미래에셋증권] 해외 금융시장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02-3774-1621)

 

◆ 미국 증시

- DOW: 34599.82p (-30.42p, -0.09%)

- S&P500: 4227.24p (+0.72p, +0.02%)

- NASDAQ: 13924.91p (+43.19p, +0.31%)

 

◆ 한국 관련

- MSCI 한국지수 ETF: 92.68p (-0.66p, -0.71%)

- MSCI 이머징지수 ETF: 55.43p (-0.28p, -0.5%)

  Eurex kospi 200: 432.60p(-0.35p. -0.08%)

- NDF 환율(1개월물): 1,116.95원 / 전일 대비 2원 상승 출발 예상

 

◆ 외환시장

- 달러인덱스: 90.11 (+0.16, +0.18%)

- 유로/달러: 1.2174 (-0.0016, -0.13%)

- 달러/엔: 109.48 (+0.23, +0.21%)

- 파운드/달러: 1.4154 (-0.0029, -0.2%)

 

◆ 미국 국채시장

- 2년물: 0.1527% (-0.2bp)

- 5년물: 0.7708% (-2.3bp)

- 10년물: 1.5314% (-3.7bp)

- 30년물: 2.2137% (-3.3bp)

(국채선물)

- 2YR T-Notes: 110*11   (+0*00 , +0.01%)

- 5YR T-Notes: 124*00 3/4 (+0*04 1/4, +0.11%)

- 10YR T-Notes: 132*14 1/2 (+0*11 , +0.26%)

- US T-Bonds: 158*00   (+0*25 , +0.5%)

- Ultra US T-Bonds: 187*23   (+1*14 , +0.77%)

 

◆ 상품시장 ($, 단 곡물, 구리는 센트)

- WTI: 70.05 (+0.82, +1.18%)

- 브렌트유: 72.22 (+0.73, +1.02%)

- 금: 1894.4 (-4.4, -0.23%)

- 은: 27.731 (-0.287, -1.02%)

- 아연(LME, 3M): 3016.5 (+17, +0.57%)

- 구리: 455.6 (+2.95, +0.65%)

- 옥수수: 609.5 (+6.75, +1.12%)

- 밀: 685 (+5, +0.74%)

- 대두: 1457 (+17, +1.18%)

- BDI: 2428 (-10, -0.41%)

 

*동 자료는 2021년 6월 9일 미래에셋증권 홈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를 요약한 것입니다.

 

 

글로벌 주식시장 변화와 전망(6월 9일)

미래에셋증권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02-3774-1621)

 

지속되는 개별 종목 영향 속 혼조 마감

 

미 증시는 개별 기업 호재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이 강세를 보이며 상승 출발. 장중 암호화폐가 급락하고 인프라 협상 난항 소식으로 매물 출회되며 변동성 확대. 더불어 코로나 관련 제약 업종 등이 약세를 보인 점도 변동성 확대 요인 중 하나. 다만, 고용지표 개선과 정부의 여행 등급 발표 등으로 경제 정상화 관련 기대가 유입되며 경기 민감주가 강세를 보이자 재차 상승 전환하는 등 보합권 등락(다우 -0.09%, 나스닥 +0.31%, S&P500 +0.02%, 러셀2000 +1.06%)

 

변화요인: 경기 민감주, 아마존 강세 그리고 비트코인

 

http://securities.miraeasset.com/bbs/maildownload/2021060906100981_156

 

 

[6/9 미국 증시 리뷰 및 평가, 키움 전략/시황 한지영]

 

1. 미국 증시 리뷰

 

8일(화) 미국 증시는 질병통제예방센터의 여행 규제 완화에 따른 경제 정상화 기대감, 4월 채용공고 급증 등 일부 긍정적인 요인들이 상존했으나, 10일(목) 소비자물가, ECB 회의 결과를 둘러싼 경계심리 지속으로 혼조세 마감(다우 -0.09%, S&P500 +0.02%, 나스닥 +0.31%).

 

업종별로는 경기소비재(+1.0%), 에너지(+0.9%), 부동산(+0.5%) 등이 강세, 유틸리티(-0.9%), 필수소비재(-0.9%), 헬스케어(-0.4%) 등이 약세.

 

4월 채용공고는 928만건으로 전월(829만건) 및 예상치(830만건)을 모두 상회하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

 

숙박 및 식음료(+34.9만건), 내구재 제조(+7.8만건) 등 대부분 산업군에서 급증하면서 미국 내 채용시장이 활황을 보이고 있음을 시사.

 

5월 NFIB 소기업 낙관지수는 99.6으로 전월(99.8) 및 예상치(101.1)를 하회. 근로자들의 일자리 복귀 지연 등 인력 부족 사태가 중소업체들의 업황에 부정적인 영향을 가하고 있는 모습.

 

2. 미국 증시 평가

 

현재 미국은 기업들의 구인난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 지난 4월, 5월 고용지표 부진이 일시적인 수급 불일치에서 기인했다는 4월 채용공고가 재확인 시켜줬다고 판단.

 

6월 이후부터는 근로자들의 고용시장 복귀 지연을 유발했던 추가실업급여프로그램이 단계적으로 종료되는 만큼, 향후 고용시장의 회복속도가 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 

 

이 같은 고용시장 개선세와 더불어, 전일 미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서는 일본 등 65개국에 대한 여행권고 등급을 완화키로 결정했다는 점은 코로나 이전으로의 일상 복귀 기대감을 재차 확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

 

물론 아직까지 많은 시장 참여자들이 물가 상승 속도, 경기 회복 속도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는 상황.

 

따라서, 10일(목)에 발표되는 5월 소비자물가가 최근까지 뚜렷한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는 미국 증시의 단기 방향성을 만들어낼 것으로 판단.

 

[6/9 한국 증시 리뷰 및 전망, 키움 전략/시황 한지영]

 

1. 한국 증시 리뷰

 

8일(화) 코스피는 원전 테마주 동반 급락에도, 미국 바이오젠발 호재에 따른 제약 및 바이오 업종 강세, 경기 회복 기대감에서 기인한 산업재 업종 강세로 장 초반 전거래일에 이어 신고가를 경신하기도 함.

 

그러나 이후 미국발 인플레이션 경계심리 속 외국인의 순매도 확대로 장중 등락을 반복하는 변동성 장세가 전개됨에 따라 약보합세로 마감(코스피 -0.13%, 코스닥 +0.03%).

 

업종별로는 운수창고(+2.8%), 통신(+1.1%), 의약품(+1.0%) 등이 강세, 전기가스(-2.6%), 의료정밀(-1.9%), 화학(-0.8%) 등이 강세.

 

외국인과 개인은 각각 2,060억원, 447억원 순매도, 기관은 2,619억원 순매수를 기록.

 

2. 한국 증시전망

 

한국 증시는 미국 소비자물가 지표 대기심리에 영향 받아 제한적인 박스권을 형성할 것으로 보이며, 개별 테마성 재료에 따라 종목간 혼재된 주가 흐름을 보일 것으로 전망.

 

최근 기관 수급이 유입되고 있긴 하지만, 지수 방향성에 베팅하는 성격이 약한 금융투자 위주로 수급이 유입되고 있다는 점은 단기적인 지수 움직임이 갇혀 있음을 보여주는 단면.

 

암호화폐 시장도 기술적으로 진입하기가 어려운 구간에 있는 가운데, 일부 투자자들은 단기 수익을 추구하기 위해서 새로운 테마를 찾고 있는 상황.

 

전 거래일 미국에서도 건강보험회사 클로버헬스(+86.8%)가 레딧 토론방의 입소문을 타고 폭등세를 연출한 것도 유사한 맥락.

 

한국과 미국 모두 짧게는 10일 미국 소비자물가, 길게는 차주 6월 FOMC까지 개별 테마주들의 주가만 탄력적으로 변화하는 장세가 지속될 가능성 존재.

 

https://www.kiwoom.com/h/invest/research/VMarketSDDetailView?sqno=4710

 

 

 

[메리츠증권 전기전자/2차전지 주민우]

 

★ 2차전지 주요 뉴스 (2021.6.9)

 

Tesla, 2021년 내로 인도에서 차량 판매 시작한다는 기대감 형성. 첫번째로 7~8월 사이에 Tesla의 Model 3가 인도 자동차 연구 협회(ARAI)의 테스트 및 승인에 사용될 예정. 또한 인도 몸바이에 본사 설립을 목표로 현지 경영진 채용 시작 (InsideEVs)

https://bit.ly/354lPGJ

 

Apple, 독자적으로 추진 중인 전기차에 중국 CATL과 BYD의 배터리를 탑재하기 위한 초기 단계의 협상 진행 중. Apple이 CATL과 비야디 측에 전기차 배터리 공급을 위한 전제 조건으로 미국 내 생산설비 구축을 제시하면서 아직까지는 최종 합의 가능성이 불투명한 상황 (Reuters)

https://reut.rs/2Sb8nhv

 

BYD, 5월 전기차 판매량 32,800대 기록. 구체적으로 BEV 18,711대(+126% YoY), PHEV 12,970대(+458% YoY) 기록하며 BYD 5월 매출의 71%를 전기차가 차지. 또한 처음으로 100대의 전기 Tang EV가 노르웨이로 배송 시작 (Electrive)

https://bit.ly/3g4eGfV

 

솔루스첨단소재, 룩셈부르크과학기술연구소(LIST)와 파트너십을 맺고 향후 4년간 동반 관련 연구 진행.  룩셈부르크 경제부, 국가연구기금(FNR), 고등 교육 연구부 등으로부터 1,800만 유로(약 244억2700만원)의 예산도 지원. 이는 현지 중소기업과 공공 연구 센터 간 체결된 가장 큰 규모의 민관 파트너십 (더구루)

https://bit.ly/2TSpiG3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하나금투 IT 김록호/김현수

———————————

 

6/9(수) 하나 테크 헤드라인

 

🔌안녕하세요. 김록호입니다.

중국 MLCC 업체들이 점유율을 확대한다는 언론 보도는 어제 장 전에 나왔던 뉴스입니다. 다만, 문의도 많고 못 보신 분들도 있어 코멘트 드리겠습니다. 중국의 MLCC 점유율 확대는 기술 격차로 인해 저가 중심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즉, 투자심리에는 부정적일 수 있지만, 실적에 주는 영향은 제한적이라 판단됩니다. 심지어 일본, 한국대비 저가 제품 비중이 높은 대만의 Yageo, Walsin의 어제 주가는 각각 4.2%, 1.8% 상승 마감했습니다.

 

애플의 폴디드줌 탑재 관련 소식이 오랜만에 올라왔습니다. 저희는 해당 기능 탑재 시기를 23년 하반기 신모델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22년 하반기 신모델에 탑재되려면 현재 시점에서 이미 개발중이었어야 하고, 카메라모듈 주력 공급업체도 이를 인지하고 있어야 한다고 판단합니다. 감사합니다.

 

<주요 뉴스>

 

# 기술 블랙홀 中, ‘전자산업의 쌀’ MLCC 내수화 선언…시장 넓히려던 韓에 악재

 

‘전자산업의 쌀’로 불리는 소형·고용량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MLCC)를 내수화하려는 중국 업체들의 작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https://bit.ly/351L3p2

 

# Gizchina: MEDIATEK IS THE NUMBER ONE CHIP MAKER IN THE WORLD

 

미디어텍이 세계 최고의 모바일 반도체 제조업체로 부상했다.

 

https://bit.ly/3g2iXQM

 

<기타 뉴스>

 

# 자화전자, 애플에 OIS 공급 유력...애플 실사 진행

 

삼성전자 스마트폰 부품 협력사 자화전자가 애플 공급망에 진입할 가능성이 커졌다. 

 

https://bit.ly/3cq88G2

 

# 중국 오포 스마트폰, 배터리 터졌다

 

유튜브에 공개된 영상에는 폭발 후 부상당한 사용자와 스마트폰의 상태가 공개됐다.

 

https://bit.ly/3isORYg

 

# 애플, 애플카용 배터리 공급 위해 中 CATL. BYD와 협의 진행 중

 

애플이 애플카용 배터리 공급을 위해 중국 CATL이나 BYD와 협의를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https://bit.ly/3gncDlS

 

 

<글로벌 업체 주가 동향>

 

애플   +0.67%

샤오미   0.00

ZTE  -1.25%

레노버  -0.87%

  

무라타   -1.08%

타이요유덴  -0.74%

야교  +4.19%

Ibiden   -1.43%

Shinko   -1.19%

  

인텔   -0.16%

마이크론   -4.18%

TSMC  -0.51%

퀄컴   +0.66%

미디어텍  -0.72%

  

UDC   +0.77%

BOE   -1.15%

AUO  -1.78%

  

Tesla   -0.25%

CATL   +0.51%

Umicore  -0.63%

Albemarle  +3.06%

 

(위 내용은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득함)

★하나IT텔레그램: https://t.me/ITforYouFromHana

 

 

 

 

 

 

 

 

'9시 출근, 11시 출차'… 택배업계 "파업해도 택배대란 없을 것"

관련이슈디지털기획

입력 : 2021-06-09 07:00:00 

출처: < https://www.segye.com/newsView/20210608517886?OutUrl=naver>

 

 

 

택배노조, 오늘부터 무기한 총파업…일부 ‘배송차질’ 예상

출처: < https://biz.sbs.co.kr/article/20000018513?division=NAVER>

 

 

美, 한국 여행경보 최저단계로…올림픽 코앞 일본 3단계로 완화(종합)

송고시간2021-06-09 05:53

 

출처: < https://www.yna.co.kr/view/AKR20210609005751071?input=1195m>

 

 

 

 

비트코인 급락 원인은 FBI가 해커 지갑 풀었기 때문

기사입력 2021.06.09. 오전 6:28

FBI가 비트코인 지갑 풀자 보안성에 대한 우려 급부상

출처: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421&aid=0005402215>

 

 

"이라크, 韓·러 등과 45조원 규모 원전 건설 논의" 블룸버그[인더머니]

기사입력 2021.06.09. 오전 6:08

출처: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4&oid=016&aid=0001845927>

 

 

 

中 견제' 美 공급망 대책‥韓 등 동맹 협력·자국 생산 확대

기사입력 2021.06.09. 오전 5:59

중국과 충돌 보다는 자체 경쟁력 강화에 방점

희토류에는 관세 부과 대응 시사

출처: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1&oid=277&aid=0004916840>

 

 

 

백악관·英정부·CNN 홈피 다운, 다운… 한때 긴장

신문A1면 1단 기사입력 2021.06.09. 오전 3:07

출처: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4&oid=023&aid=0003619019>

 

 

삼성, 日 의존했던 반도체 소재 국산화

곽도영 기자 입력 2021-06-09 03:00

백광산업과 고순도 염화수소 개발

日 수출규제 2년만에 성과

출처: <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10609/107336609/1>

 

 

'2억명 메타버스' 네이버 제페토, 한국판 로블록스 만든다

하반기 게임 만들기 선보일듯

사용자 직접 게임만들어 공유

창작자·개발자들 새 기회될듯

임영신 기자

입력 : 2021.06.08 17:37:35 

출처: < https://www.mk.co.kr/news/business/view/2021/06/553710/>

 

 

 

 

 

 

 

 

[2021.06.08 (화) 필라델피아 반도체] 하나금투 반도체 김경민, 김주연

 

전일 대비 -0.64%, 3,171선 마감

상승주 8, 하락주 22

 

다우 -0.1%, S&P 500 +0.0%, 나스닥 +0.3%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월요일에 이어 화요일에도 조정. 바이든 정부에서 2월 24일에 핵심 공급망을 점검하는 행정 명령 이후에 첫 후속 조치로 반도체의 경우에는 미국 내 반도체 제조와 연구개발을 지원하겠다는 내용을 발표했으나 반도체 업종의 투자 심리에 크게 긍정적 영향을 끼치지 못함. 반도체 지수 편입주 30개 종목 중에 22개사 하락. 3월 ~ 4월에 인텔과 TSMC가 각각 대규모 설비 투자 계획을 발표해 반도체 설비 투자 기대감이 관련 업종의 주가에 이미 반영되었기 때문

 

상승 종목은 8개사로 제한적인 가운데 특정 업종이 상승을 주도하지 못하고 개별 종목 장세 연출. Marvell (호실적 발표) +5.10%, CCMP (송유관에 사용되는 케미칼 공급. 최근 유가 상승에 힘입어 주가 상승) +3.47%, Two Six (화합물 반도체) +2.68%

 

Skyworks -0.88%, 엔비디아 -0.92%. Skyworks와 엔비디아는 각각 Silicon Lab의 인프라 & 차량용 반도체 사업과 영국 Arm Holdings의 인수를 추진 중인데, 규제 당국의 승인을 아직 받지 못하는 등 M&A의 가시성이 약화되는 뉴스가 보도되며 주가 하락 마감

 

메모리 반도체 및 스토리지 업종에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공급사 Seagate만 상승. 이번 분기 (4월 ~6월) 실적 가이던스 상향 조정.  매출 가이던스 중간값을 28.5억 달러에서 29.5억 달러로 상향 조정. 이유는 엔터프라이즈 시장의 수요 호조 및 신규 코인 (Chia) 채굴 수요 때문으로 추정. 한편, 마이크론이 가장 크게 하락. 시장 조사 기관의 하반기 DRAM 가격 상승률 전망에 대한 논란 때문으로 추정. 마이크론 -4.18%, WDC -0.56%, 실리콘 모션 -3.12%, Seagate +2.21%

 

감사합니다.

 

 

[2021.06.08 (화) 대만 가권지수 -0.05%, 17,076p] 하나금투 반도체 김경민, 김주연

 

업종별: 반도체 -0.53%, 금융 +0.32%, 플라스틱 -1.47%, 해운/운송 +4.94%, 철강 +0.48%, 건설 -0.02%, 시멘트 -0.21%, 제지 -2.23%, 자동차 +1.30%

 

외국인 순매도 2,489억 원

 

가권지수는 월요일에 조정을 받은 이후 화요일에 약보합세로 마감. 장 초반에는 전일 대비 +0.06% 수준으로 시작했으나 조금이라도 반등이 나오면 차익 실현 발생. 대만 내 코로나 확산에 대한 우려 때문. 최근 확산 지역은 Hsinchu시 남쪽의 Miaoli County (먀오리현). 코로나 확산에 대한 우려가 지속되는 가운데 매크로 지표 중에 5월 대만 수출이 호조세로 전년 동기 대비 38% 증가했으나 가권 지수의 상승을 견인하지 못함

 

반도체 업종은 파운드리, 서버, 팹리스 등 주요 업종에서 약세 기록. 다만, 후공정 업종에서 ASE, ChipMOS, Chipbond 등의 주가가 상대적으로 견조했는데 (ASE +0.0%, 칩모스 +6.2%, 칩본드 +3.5%, 파워텍 +1.0%), 최근에 후공정 업종의 경쟁사에서 코로나 확산으로 가동을 중단한 경우가 발생해 상대적 수혜 기대감이 주가에 반영된 것으로 추정. 한편 반도체 업종을 포함해 주요 업종 중에 해운/운송 업종이 +4.94%로 가장 크게 상승. 그 외에 자동차 업종이 +1.30%로 선방

 

대만달러는 전일 대비 강세. TWD 27.705 기록

 

[파운드리] TSMC -0.5%, UMC -0.2%

 

[메모리] 난야테크 +0.9%, 윈본드 -1.2%, 매크로닉스 -0.5%

 

[서버] Aspeed -1.1%, Nuvoton -7.3%, Wiwynn -0.6%

 

[팹리스] 미디어텍 -0.7%, 노바텍 -1.3%

 

[후공정] ASE +0.0%, 칩모스 +6.2%, 칩본드 +3.5%, 파워텍 +1.0%

 

[애플 벤더] 혼하이정밀 +0.0%, Largan -2.4%, 지니어스 +3.2%, 페가트론 +0.8%, Catcher -0.8%

 

[5G 화합물] 윈세미 +1.5%, VPEC -1.7%

 

[반도체 유통] ADATA +0.0%, Transcend -0.4%, Phison +1.7%

 

[PC] ACER +1.0%, ASUSTEK +0.5%, Lenovo(HK) -0.9%

 

[기타] Global Unichip +0.7%

 

감사합니다.

 

 

 

 

 

『하루를 여는 혁신투자자문 IPO News Letter💌 - 20210609』

 【 텔레그램 채널 주소 : https://t.me/KoreaIB

 【 IPO상장문의 및 이경준 대표 Contact ☞ 📧 ipo@kakao.com 】

 

===========================

 

오늘만큼은 IPO업계에서 가장 중요한 뉴스 9개를 선정하여 Today's Topic에 실었습니다...

 

 

📌Today's Topic1~9》

IPO전문투자기업 혁신투자자문, 투자자문업 진출

https://newsis.com/view/?id=NISX20210608_0001468547&cID=10403&pID=15000

 

[시그널] IPO투자 전문 혁신투자자문, 투자자문업 진출

https://www.sedaily.com/NewsView/22NK1UVX4J

 

 'IPO 전문 투자사' 혁신투자자문, 투자자문업 진출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1060852546

 

'IPO전문 투자사' 혁신투자자문, 투자자문업 본격 진출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1060814152424748

 

IPO전문 혁신투자자문, 일반투자자 대상 투자자문업 진출

https://www.ajunews.com/view/20210608143953499

 

IPO전문투자기업 혁신투자자문, 투자자문업 본격 진출

https://www.fnnews.com/news/202106081357318252

 

혁신투자자문, 투자일임업에 이어 투자자문업 진출

https://www.ebn.co.kr/news/view/1486903/?sc=Naver

 

IPO전문투자기업 ‘혁신투자자문’, 투자자문업 본격 진출

http://www.kbanker.co.kr/news/articleView.html?idxno=99070

 

IPO전문 혁신투자자문, 사업영역 확장

http://www.seoulfn.com/news/articleView.html?idxno=421989

 

===========================

 

★ 금일 IPO 일정 ★

 06/09~10 이노뎁 청약🖨

 

☆ 금주 남은 IPO 일정 ☆

 06/09~10 이노뎁 청약🖨

 06/10 라온테크 납입🏧

 06/10~11 에스디바이오센서 수요예측⚖️

 06/10~11 아모센스 수요예측⚖️

 06/11 엘비루셈 상장★

 

 ------------------------------------------

 

▣ 기관IR 일정 ▣

 - 소규모 간담회로만 진행 中 -

 

▣ 상장 일정(예정, 변경가능) ▣

 06/11 엘비루셈(한국투자증권)

 06/17 라온테크(KB증권)

 06/18 이노뎁(하이투자증권)

 06/24 SD바이오센서(NH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06/25 아모센스(신한금융투자)

 07/07 맥스트(하나금융투자)

 07/13 오비고(NH투자증권)

 

▣ 심사 승인 ▣

 - 플래티어

 - 에브리봇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 국내 IPO 개별종목

■ [시그널] '최대 100조' LG엔솔 예심 청구···9·10월 상장 관측

http://naver.me/G4rZMVep

 

■ [시그널] STX마린서비스, 내년 코스닥 상장 추진···7월 주관사 선정

https://www.sedaily.com/NewsView/22NK0WFS9M

 

■ ‘증권신고서만 4번 정정’ 아모센스, IPO 흥행 열풍 동참할까

http://www.sisajournal-e.com/news/articleView.html?idxno=232976

 

■ 쏘카, IPO 앞두고 7500대 새차로 교체…투자자 환심 사기 급급 ‘고객 관리 뒷전’

http://theviewers.co.kr/View.aspx?No=1662373

 

■ "나름 높게 불렀는데"…상장 철회한 투썸 두고 證 '만감 교차'

http://www.investchosun.com/2021/06/08/3262646

 

■ IPO 추진에 덩치만 커진 카카오뱅크..."'속 빈 강정' 되지 않아야"

http://www.wikileaks-kr.org/news/articleView.html?idxno=109252

 

■ 지니너스, 기술성평가 통과...IPO 본격화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6041523420400108669&lcode=00&page=6&svccode=00

 

■ 엔피디, 자회사 '캐프' IPO 시간표 손본다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6031520494800107054&lcode=00&page=2&svccode=00

 

 

▶️▶️▷ IPOmarket(해외IPO포함)

■ [현장에서]공모주 중복청약 금지…외국인 '단타'도 개선해야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2394406629079752&mediaCodeNo=257&OutLnkChk=Y

 

■ 공모주 무조건 돈 번다?…기업들 '영끌' 공모가에 수익률 갈수록 떨어져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1060876191

 

■ 올 새내기株 예상 몸값 220조…전체 시총의 8% 달해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1060876171

 

■ ‘따상 신드롬’에 과열된 투자열기…‘상장 전 투자 성공’은 옛말

https://www.etoday.co.kr/news/view/2033657

 

■ '큰 놈이 온다'...줄줄이 터지는 대어급 IPO

https://newsis.com/view/?id=NISX20210607_0001467970&cID=10401&pID=10400

 

■ 힘 빠진 IPO 시장… 카뱅 등 대어급, 하반기 분위기 띄울까

https://www.metroseoul.co.kr/article/20210607500157

 

 

▶️▶️▷ 시장 이모저모

■ [코인시황]트럼프 "비트코인 사기"…3700만원까지 급락(종합)

https://newsis.com/view/?id=NISX20210608_0001469473&cID=10401&pID=10400

 

 

▶️▶️▷ 시세/시황

[표]IPO장외 주요 종목 시세(6월 8일)

https://www.sedaily.com/NewsView/22NK36X6UO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728x90
728x90

 

증시캘린더는 개인적으로 관련된 소식을 확인후 작성한 일정이라 변동 또는 오류의 소지가 있습니다.

참고시 유의하시고 배포시엔 블러그 링크로 공유해 주셔요.


728x90

'주요 증시 일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6월 11일(금) 증시캘린더  (0) 2021.06.11
6월 10일(목) 증시캘린더  (0) 2021.06.10
6월 8일(화) 증시캘린더  (0) 2021.06.08
6월 7일(월) 증시캘린더  (0) 2021.06.07
6월 4일(금) 증시캘린더  (0) 2021.06.04
728x90

 

주식투자 스터디를 위해 개인적으로 스크랩한 시황, 뉴스 자료를 공유합니다.

1) 노션 링크는 익스플로러에선 제대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크롬에 최적화 되어있으며, 엣지, 웨일에서도 잘 작동합니다.

 

2) 공유한 자료링크는 1~2일후 공유 해지 합니다.

 

게시물은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한 것이라

불확실하거나 오류가 많을 수 있으므로 투자 활용시 유의하시기 바라며, 개별적인 종목 추천이나 상담은 하지 않습니다.

 

모쪼록 제 공간에 오신 모든 분들이 주식스터디를 통해 인생 한 방보다, 꾸준함을 믿으며...

복리의 마법으로 모든 분들이 성공한 개인투자자가 되시길...

 


2021년 6월 8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바이오젠의 알츠하이머 치료제가 FDA 승인을 받았습니다. 나스닥 바이오테크가 3.6% 올랐습니다.

 

(2) 독일 총리가 반도체 부족으로 경기회복이 지연되고 있다며 지원의사를 밝혔습니다.

 

(3) 코로나 여파로 세계 4위 심천항 운영이 차질을 빚고 있습니다. 

 

미 5년 breakeven rate 2.535%, -0.027%p (2% 상회시 유의, 2.5% 상회시 경고)

 

한국 고객예탁금, 64.1조원 -0.7조원

한국 백신 접종률 10.4%(+0.9%p, 집단면역 70%)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22%

1개월 NDF 환율 1,110.47원 (-2.33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6/7 미국 혼조 = 아두카누맙+FOMC]

(Feat. 오랜만에 바이오텍 급등)

 

<시장 분위기>

약보합으로 시작한 증시는 오전 바이오젠의 아두카누맙의 FDA 최종승인이 발표되며 바이오텍(나스닥, 러셀2000) 중심으로 상승하였습니다. 반면 경기민감주 중심으로는 소폭 차익실현이 있었습니다. 밈주식은 오늘도 급등세를 보여주었습니다.

 

*첫번째 알츠하이머 치료제

-Biogen’s Aducanumab

 

*FOMC 컨센서스 : 6/15~16

-공식적인 테이퍼링 논의시작 : 여름~가을

-테이퍼링 시작 : 겨울~내년

 

*코로나 : 신규확진자 급감지속

(전일 6,639 / WoW -43.8%)

 

•나스닥 +0.5% / 러셀2000 +1.3%

•S&P500 -0.1% / 다우 -0.4%

-나스닥 Top10 : 상승 6 vs 하락 4

 

-비트코인 : $36,000

-미국채금리(10y) : 1.569 (+0.6%)

-WTI : $69.23 (-0.6%)

 

SMART한 주식투자

https://t.me/frankinvest

 

 

[한투증권 박소연] 21.06.08 GIS daily

 

요약: 옐런 재무장관의 금리인상 옹호 발언에 금융시장 긴장

 

====================

 

- 미국증시 하락 마감. G7 정상회담에서 글로벌 공동으로 다국적 기업 최저한세 15% 도입을 합의했다는 소식에 대형주 부담 가중

 

- 한편 옐런 재무장관은 인터뷰에서 "현재보다 약간 금리가 높아진다 해도 이는 미국 전체적으로 보면 플러스일 수 있다, 인플레이션은 일시적 현상에 그치겠지만 연말경에는 3%에 달할 수도 있다"고 언급

 

- 정책금리에 민감한 2년물이 0.7bp 상승하며 커브 플래트닝 견인했고, 10년물 금리는 1bp 오른 1.57%로 소폭 상승. 10일(목) ECB와 미국 5월 CPI 발표 대기하며 관망세 더 짙어질 듯

 

- 종목별로는 AMC엔터테인먼트(+14.8%), 게임스톱(+12.7%) 등 밈 주식들의 급등으로 스몰캡 강세 두드러졌으나 소재/산업재/금융 등 시클리컬 업종은 차익매물 출회로 부진

 

- 시장 방향성 부재로 방어적 성격의 바이오/의료기기 주식들이 선전. 바이오젠(+38.3%)은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18년만에 알츠하이머 신약을 승인했다는 소식에 급등했고, 모더나(+6.6%)는 EU/캐나다 코로나 백신 청소년 사용 승인에 강세. 일라이릴리(+10.1%), 카디널헬스(+4.1%) 등도 동반 강세

 

- 한편 US콘크리트(+29.3%)는 건자재 업체 벌칸머티리얼즈에 금요일 종가 대비 30% 프리미엄 부여한 74달러에 피인수

 

- 달러 약세로 원자재 가격도 하락세. WTI유가(-0.6%), 구리(-0.1%), 대두(-1.5%), 옥수수(-0.5%) 등 재차 하락

 

- 유럽증시는 원자재 가격 하락에 소재주 약세. 앵글로아메리칸(-2.7%)은 유연탄 사업부 분사 불구 환경처리 비용 급증에 부정적 의견. 레킷벤키저(-0.7%)는 저출산 타격으로 중국 분유사업 부문 사모펀드에 매각키로 했고 아디다스(+0.1%)는 리복 매각 진행 중

 

 

[6/8 미국 증시 리뷰 및 평가, 키움 전략/시황 한지영]

 

1. 미국 증시 리뷰

 

7일(월) 미국 증시는 10일(목) 소비자물가 발표 경계심리, 옐런 재무장관의 금리 상승 용인 발언 부담에도, 개별 호재에서 기인한 바이오젠(+38.3%) 폭등 효과에 힘입어 헬스케어 포함 성장주를 중심으로 강세를 연출하면서 혼조세 마감(다우 -0.4%, S&P500 -0.1%, 나스닥 +0.5%).

 

업종별로는 부동산(+0.9%), 커뮤니케이션(+0.5%), 헬스케어(+0.3%) 등이 강세, 소재(-1.2%), 산업재(-0.7%), 금융(-0.6%) 등이 약세.

 

옐런 재무장관은 G7 재무장관 회의 이후 인터뷰를 통해 바이든 정부의 대규모 부양책(10년간 약 4조달러)으로 물가와 금리가 상승하더라도 미국 경제와 연준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고 언급.

 

과거 10년과 물가와 금리가 지나치게 낮은 수준에 있었기 때문에 정상화될 필요가 있다는 것이 해당 발언의 배경.

 

중국의 5월 수출은 27.9%(YoY)로 전월(32.3%) 및 예상치(32.1%)를 하회. 5월 수입은 51.1%로 전월(43.1%)에 비해 증가했으나, 원자재 가격 급등에서 주로 기인한 가운데 예상치(51.5%)도 소폭 하회.

 

다만, 높은 수준 수출입 금액 증가 추세가 이어지고 있다는 점이 7일 중국을 포함한 주요국 증시에 제한적인 영향만 가함.

 

2. 미국 증시 평가

 

현재 미국 증시는 지수 레벨 부담이 상존한 가운데, 뚜렷한 신규 모멘텀이 출현하지 않은 채 매크로발 경계심리만 짙어지고 있는 모습.

 

이는 시장의 유동성이 여전히 풍부한 상황 속에서 특정 테마주들로 수급을 치우치게 만들고 있는 상황.

 

바이오젠이 (효능에 대한 불확실성과 논란이 있음에도) 미 FDA의 알츠하이머 치료제 아두카누맙 사용 승인 소식에 장중 주가가 60% 넘는 폭등한 것이나,

 

AMC(+14.8%), 게임스톱(+12.7%) 등 Meme주식들의 급등세가 지속되고 있는 것이 대표적 사례.

 

전반적인 시장 모멘텀 부재에서 단기 수익을 추구하려는 투자자들이 늘어나고 있음을 시사.

 

5월 소비자물가, 6월 FOMC 등 대형이벤트 종료까지는 개별 테마성 재료에 따라 업종간, 종목간 차별화된 장세가 이어질 가능성 존재.

 

 

[6/8 한국 증시 리뷰 및 전망, 키움 전략/시황 한지영]

 

1. 한국 증시 리뷰

 

7일(월) 코스피는 미국 고용 안도감에 힘입어 자동차 등 대형주를 중심으로 상승 출발하면서 장 중 3,260pt선을 상회.

 

이후 금주 미국 소비자물가 관망심리, 중국의 5월 수출입 부진 등으로 하락 전환하기도 했으나, 장 중반 이후 금융투자 등 기관 순매수 확대 속 원전 테마 업종들의 동반 급등에 힘입어 재차 반등에 나서면서 사상최고치(3,252.12pt)를 경신한 채로 마감 (코스피 +0.34%, 코스닥 -0.2%]

 

업종별로는 기계(+8.0%), 전기가스(+5.5%), 의료정밀(+2.8%) 등이 강세, 철강금속(-2.1%), 섬유의복(-0.4%), 의약품(-0.2%) 등이 약세. 수급 주체별로는 외국인이 1,841억원 순매도, 기관과 개인은 각각 1,184억원, 656억원 순매수를 기록.

 

2. 한국 증시전망

 

한국 증시는 미국 소비자물가 발표를 둘러싼 불확실성과 단기 레벨 부담에 따른 차익실현 욕구 확대로 하방 압력을 받으며 출발할 것으로 예상.

 

한국의 주력 수출국가인 중국의 5월 수출입 증가율이 양호했다는 점이나, 한동안 부진했던 반도체, 자동차 등 주력 대형주들이 주가가 바닥을 다지고 있다는 점은 한국 증시 전반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볼 수 있음.

 

그러나 금주 중 대형 매크로 이벤트를 소화해내야하는 부담감이 있는 만큼, 단기적으로 지수 방향성이 정체될 것으로 보임.

 

또한 미국과 마찬가지로, 최근 폭등세를 보이고 있는 특정 테마주(Ex: 원전 등)들의 주가 변동성에도 유의할 필요.

 

https://www.kiwoom.com/h/invest/research/VMarketSDDetailView?sqno=4708

 

 

[미래에셋증권] 해외 금융시장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02-3774-1621)

 

◆ 미국 증시

- DOW: 34630.24p (-126.15p, -0.36%)

- S&P500: 4226.52p (-3.37p, -0.08%)

- NASDAQ: 13881.72p (+67.23p, +0.49%)

 

◆ 한국 관련

- MSCI 한국지수 ETF: 93.34p (-0.46p, -0.49%)

- MSCI 이머징지수 ETF: 55.71p (-0.28p, -0.50%)

  Eurex kospi 200: 432.70p(-0.95p. -0.22%)

- NDF 환율(1개월물): 1,110.49원 / 전일 대비 3원 하락 출발 예상

 

◆ 외환시장

- 달러인덱스: 89.959 (-0.177, -0.2%)

- 유로/달러: 1.2191 (+0.0024, +0.2%)

- 달러/엔: 109.27 (-0.25, -0.23%)

- 파운드/달러: 1.4179 (+0.0022, +0.16%)

 

◆ 미국 국채시장

- 2년물: 0.1547% (+1bp)

- 5년물: 0.7933% (+1.5bp)

- 10년물: 1.5704% (+1.7bp)

- 30년물: 2.2497% (+1.8bp)

(국채선물)

- 2YR T-Notes: 110*10   (-0*00 , -0.01%)

- 5YR T-Notes: 123*28 1/2 (-0*01 1/4, -0.03%)

- 10YR T-Notes: 132*03 1/2 (-0*03 , -0.07%)

- US T-Bonds: 157*07   (-0*08 , -0.16%)

- Ultra US T-Bonds: 186*09   (-0*15 , -0.25%)

 

◆ 상품시장 ($, 단 곡물, 구리는 센트)

- WTI: 69.23 (-0.39, -0.56%)

- 브렌트유: 71.49 (-0.4, -0.56%)

- 금: 1898.8 (+6.8, +0.36%)

- 은: 28.018 (+0.122, +0.44%)

- 아연(LME, 3M): 2999.5 (-11, -0.37%)

- 구리: 452.65 (-0.25, -0.06%)

- 옥수수: 602.75 (+11.25, +1.9%)

- 밀: 680 (-7.75, -1.13%)

- 대두: 1440 (+4.5, +0.31%)

- BDI: 2438 (-34, -1.38%)

 

*동 자료는 2021년 6월 8일 미래에셋증권 홈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를 요약한 것입니다.

 

 

글로벌 주식시장 변화와 전망(6월 8일)

미래에셋증권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02-3774-1621)

 

인프라 협상 불안 Vs. 바이오젠의 힘

 

미 증시는 경제 회복과 15% 최저 법인세 이슈가 충돌하며 혼조 출발. 특히 이번 주 발표되는 소비자 물가지수를 기다리며 다우는 상승하고 나스닥은 약세를 보이며 출발. 이후 인프라 협상 논란이 부각되자 산업재 중심으로 매물이 출회되며 다우는 하락 전환 했으나, 바이오젠(+38.34%) FDA 승인 소식에 나스닥은 상승 전환에 성공. 이후 개별 종목들 중심으로 변화가 진행된 가운데 지수는 보합권 혼조 마감(다우 -0.36%, 나스닥 +0.49%, S&P500 -0.08%, 러셀2000 +1.43%)

 

변화요인: ①인프라투자 ②법인세 ③바이오젠 ④밈 주식

 

http://securities.miraeasset.com/bbs/maildownload/2021060805462948_156

 

 

[6월 7일 중국 중요 뉴스 업데이트] : 하나 리서치 중국/신흥국 전략 김경환

 

> 중국 전인대 상무위 13기 27차회의에서 하이난 자유무역항 초안, 반(反)외국제재법 초안, 상하이 푸동신구 법규 제정 등 심의 시작. 가장 큰 관심은 상하이 푸동신구 관련 법안으로 상하이 국제금융센터건설을 가속화할 추가적인 개방, 금융기관의 혁신 상품 및 서비스, 내국인의 해외투자 허용 등의 법적 근거가 포함될 것으로 판단. •중국이 상하이 푸동신구를 중국판 맨하탄, 혹은 홍콩으로 설계하려는 것일까요? 내일 중국 증권주 반응 주목합니다.

 

>중국언론, 채권판 ‘강구퉁’(본토에서 홍콩)이 7월부터 시행될 것으로 보도. 홍콩 금융당국 인터뷰를 통해 발표가 임박했음을 시사. •본토 기관과 개인(상품)의 역외 달러 채권 투자가 본격화되는 신호.

 

>중국 공업부, <지역 블록화 기술응용 및 산업발전 지도의견> 발표, 중국 내 3-5개 기술혁신 클러스터 육성 지원을 통해 다양한 첨단산업의 지역별 대표 기업을 글로벌 플레이어로 육성하는 것이 목표. •예를 들면 19기5중전회에서 언급한 ‘충칭-청두’ 혁신 클러스터 조성의 경우 대표 기업이 BOE, CATL, 우씨앱텍(CMO기업) 등이 있습니다. 중앙이 아니라 지방에서 각종 혜택과 지원을 집중하는 방식이 예상되네요.

 

> 중국 5월 외환보유액 3.22조달러로 4월 대비 236억달러 증가. 최근 2개월 연속 약 260억달러 증가. 위안/달러와 위안화 실질환율 강세로 자본유입 지속. •중기적으로 보면 신흥국 내에서 중국 제조업과 서비스업 성장의 상대적인 우위, 위안화 표시 자산의 기대 수익률,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 손실 최소화 등에 따라 자본 유입과 위안화 평가절상 압력은 계속 높아질 가능성.

 

>BYD 5 월 신에너지차 판매량 32,800대 기록, 2020년 동기 11,325대의 3배 육박. 1-5월 누적 판매 113,213대로 YoY+143% 증가. •중국 전기차 시장의 하반기 판매 예상치는 ‘생산 문제가 없다면’ 계속 높아질 수도 있겠네요...

 

 

[2021.06.07 (월) 필라델피아 반도체] 하나금투 반도체 김경민, 김주연

 

전일 대비 -0.70%, 3,192선 마감

상승주 4, 하락주 26

 

다우 -0.4%, S&P 500 -0.1%, 나스닥 +0.5%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지난주 금요일에 3,200선을 회복한 이후 월요일에 다시 -0.70% 조정받으며 3,192선으로 마감. 오전장에는 한때 3,172선까지 하락. 금주의 미국 인플레이션 관련 지표 (5월 CPI, 소비자물가지수) 발표와 주요 7개국(G7)의 글로벌 법인세율 15% 협상안 이슈가 성장주의 투자 심리에 부담 요인으로 작용. 그러다가 오후에는 낙폭 줄이며 마감. 제약업체 바이오젠이 FDA로부터 알츠하이머 신약 승인을 받았다는 뉴스가 성장주의 투자 심리 회복에 일부 기여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편입종목 30개사 중 26개사가 하락. 특정 업종보다는 개별 종목별로 하락세 뚜렷. LSCC (프로그래머블 반도체) -4.42%, CCMP (반도체 공정 소재 및 소모품) -3.62%, CREE (화합물 반도체 ) -2.57% 등

 

마이크론은 상승했지만, 메모리 반도체 및 스토리지 업종은 혼조. 마이크론 +0.33%, WDC -1.35%, 실리콘 모션 +0.06%, Seagate -0.47%

 

장 마감 직후 통신장비용 및 모바일용 칩 공급사 Marvell이 실적 발표. 1분기 매출과 Non-GAAP EPS는 각각 $832 million (+20% Y/Y), 0.29달러로 각각 컨센서스 상회. 다음 분기 매출 가이던스 중간값은 $1.065 billion 제시. 컨센서스 상회.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의 편입 종목이었던 인파이 (Inphi) 인수 이후 시너지 발생 기대. 아울러 전방 산업 중에서 데이터센터 시장 수요 증가에 따른 수혜. 무역 분쟁의 와중에 Marvell이 각국 규제 당국의 승인을 받아 Inphi 인수를 마무리한 점과 호실적 및 가이던스를 발표했다는 점이 주가에 긍정적. 인파이 인수 후에 분기 매출이 본격적으로 $1 billion (십억 달러) 수준으로 커졌다는 점도 주가에 긍정적. 정규장 주가 -0.88%, 시간외 주가 +3.44% 기록 중

 

감사합니다.

 

[2021.06.07 (월) 대만 가권지수 -0.37%, 17,084p] 하나금투 반도체 김경민, 김주연

 

업종별: 반도체 -0.28%, 금융 -0.48%, 플라스틱 +0.01%, 해운/운송 -4.57%, 철강 -2.77%, 건설 -0.71%, 시멘트 -0.79%, 제지 +7.91%

 

외국인 순매도 3,136억 원

 

대만 가권지수는 지난주 금요일에 이어 월요일에도 조정. 대만 내의 코로나 확산에 대한 우려 때문. 월요일에 가권 지수가 장중에 17,000선을 하회해 16,775선까지 급락하자 저가 매수세 유입. 오후장에 낙폭이 축소되며 전일 대비 -0.37% 수준으로 마감. 대만 내의 사회적 거리 두기는 3단계 수준이며 6월 28일까지 거리 두기 조치가 연장됨

 

경기 민감 업종 중에 해운/운송과 철강이 각각 -4.57%, -2.77%를 기록하며 부진한 가운데 반도체 업종은 -0.28% 기록. 반도체 후공정 서비스 기업 KYEC (King Yuan Electronics)에서 코로나 때문에 생산라인 가동을 잠시 중단한다는 뉴스가 지난주부터 이어짐. KYEC 주가는 지난주 수, 목, 금요일에 각각 -1.26%, -2.31%, -1.18% 하락했다가 어제 (월요일) +1.92%로 반등. KYEC의 가동 중단 뉴스 보도 이후 동종업종의 반도체 후공정 경쟁사는 상대적 수혜 기대감으로 주가 상승. ASE Technology +4.1% 기록

 

후공정을 제외한 반도체 업종은 대부분 하락하거나 혼조세 기록. 반도체 대형주 주가도 전반적으로 부진한 가운데 Driver IC 및 SoC를 설계하는 팹리스 Novatek은 전일 대비 +3.80%로 유의미하게 상승. 5월 매출 호조 때문. 5월 매출은 11,447백만 대만 달러로 4월에 이어 11,000백만 달러 수준 유지. 매출 증가율은 전월 대비 +3.28% 기록. 전년 동기 대비 +84.28% 급증

 

가권지수 업종별 지수에서 월요일에 가장 크게 오른 업종 지수는 제지 (펄프, 종이류) 업종. 전일 대비 +7.91% 기록

 

대만달러는 전일 대비 강세. TWD 27.706 기록

 

[파운드리] TSMC -0.5%, UMC -1.3%

 

[메모리] 난야테크 -3.4%, 윈본드 +0.4%, 매크로닉스 +1.4%

 

[서버] Aspeed +2.6%, Nuvoton -3.4%, Wiwynn +0.7%

 

[팹리스] 미디어텍 -0.4%, 노바텍 +3.8%

 

[후공정] ASE +4.1%, 칩모스 +2.1%, 칩본드 +0.0%, 파워텍 -0.5%

 

[애플 벤더] 혼하이정밀 -1.3%, Largan +1.3%, 지니어스 +0.9%, 페가트론 -0.7%, Catcher -0.8%

 

[5G 화합물] 윈세미 -0.5%, VPEC +3.1%

 

[반도체 유통] ADATA -2.4%, Transcend -1.5%, Phison -0.8%

 

[PC] ACER -2.3%, ASUSTEK -0.5%, Lenovo(HK) +0.0%

 

[기타] Global Unichip +0.0%

 

감사합니다.

 

 

[메리츠증권 전기전자/2차전지 주민우]

 

★ 2차전지 주요 뉴스 (2021.6.8)

 

테슬라, Model S의 상위버전인 'Model S Plaid +'의 출시를 취소. 당초 Plaid +는 테슬라의 신형 배터리 4680(지름 46mm, 길이 80mm) 셀을 장착해 올해 하반기 출시할 계획이었으나 이번 취소로 인해 테슬라가 신형 배터리를 적용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는 상황 (Electrek)

https://bit.ly/3pwiFFd

 

인도 정부, EV의 주류 채택을 가속화하기 위해 모든 배터리 구동 차량에 등록비를 면제할 것을 제안. 좀 더 구체적으로 소유주와 제조업체 모두 BEV의 등록비를 면제받을 것을 강조. 해당 제안은 초안 단계로 향후 승인이 되면 EV 제조업체와 고객 모두에게 인센티브가 될 전망 (RideApart)

https://bit.ly/34Yjkpq

 

LG에너지솔루션, 폴란드 오폴레(Opole)에 배터리 추가 공장 건설 추진. 브로츠와프시에 추가 생산라인을 건설할 계획이었으나 전력망 문제로 오폴레로 방향 선회. 신설 공장에는 생산라인 5개 정도가 설치될 예정이며 폭스바겐 수주 물량을 소화할 예정 (블로터)

https://bit.ly/3g07HVl

 

LG에너지솔루션, 오창공장의 초소형 원형 배터리 생산라인 가동을 일시 중단. 중국 난징공장에서 가동하던 원형 배터리 라인은 이미 지난달 가동 중단. 무선 이어폰에 탑재되는 초소형 원형 배터리 시장이 차세대 동전형(코인셀) 배터리로 전환되면서 생산라인 조정 진행 중 (전자신문)

https://bit.ly/3x7EEob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러, 식품 수출제한 유지...국제 곡물시장 어쩌나

신문12면 3단 기사입력 2021.06.07. 오후 5:38

출처: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11&aid=0003920150>

 

 

 

 

 

 

 

 

 

『하루를 여는 혁신투자자문 IPO News Letter💌 - 20210608』

 【 텔레그램 채널 주소 : https://t.me/KoreaIB

 【 IPO상장문의 및 이경준 대표 Contact ☞ 📧 ipo@kakao.com 】

 

===========================

 

📌Today's Topic》

外人에 공모물량 더 주고, 의무보유 부담 적어…‘기울어진 운동장’

https://www.dnews.co.kr/uhtml/view.jsp?idxno=202106071553133140428

☞ 이경준 한국투자자문 대표는 “SKIET의 경우 외국인이 40% 이상의 물량을 락업(의무보유) 없이 가져가 상장 초기 매도했는데, 이는 해당 종목뿐 아니라 다른 종목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외국인의 의무보유확약을 강제할 수 없다면 최초에 증권신고서에 기재한다든지, 외국인 비중이 어느 정도인지 공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

 

★ 금일 IPO 일정 ★

 06/07~08 라온테크 청약🖨

 

☆ 금주 남은 IPO 일정 ☆

 06/09~10 이노뎁 청약🖨

 06/10 라온테크 납입🏧

 06/10~11 에스디바이오센서 수요예측⚖️

 06/10~11 아모센스 수요예측⚖️

 06/11 엘비루셈 상장★

 

 ------------------------------------------

 

▣ 기관IR 일정 ▣

 - 소규모 간담회로만 진행 中 -

 

▣ 상장 일정(예정, 변경가능) ▣

 06/11 엘비루셈(한국투자증권)

 06/17 라온테크(KB증권)

 06/18 이노뎁(하이투자증권)

 06/24 아모센스(신한금융투자)

 06/24 SD바이오센서(NH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07/07 맥스트(하나금융투자)

 07/13 오비고(NH투자증권)

 

▣ 심사 승인 ▣

 - 플래티어

 - 에브리봇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 국내 IPO 개별종목

■ [단독] '구주 매각 돌입' KTB네트워크, IPO 속도

https://www.sedaily.com/NewsView/22NJKY3NS7

 

■ 판토스 IPO說 다시… '구본준 픽' 존재감 넘쳐

http://biz.newdaily.co.kr/site/data/html/2021/06/07/2021060700054.html

 

■ 롯데렌탈 IPO, 호텔롯데 상장까지 이어질까

http://www.sisajournal-e.com/news/articleView.html?idxno=232871

 

■ 한싹시스템, IPO 상장주관사 선정…코스닥 입성 추진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2725686629079424&mediaCodeNo=257&OutLnkChk=Y

 

■ 인지소프트, 무상증자 단행…IPO 정지작업 박차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6031657053200103216&lcode=00&page=2&svccode=00

 

 

▶️▶️▷ IPOmarket(해외IPO포함)

■ IPO 중복청약 금지에 증권사 창구 '숨통'…애먹던 ‘IPO떴다방’ 사라질 듯

https://www.ajunews.com/view/20210607155018780

 

■ 공모주 ‘따상’ 주의보..무리한 신규주 '영끌' 자제해야

https://www.fnnews.com/news/202106071528281122

 

■ “공모주 가치 고평가됐다…하반기 상장주도 주의해야”

https://www.dnews.co.kr/uhtml/view.jsp?idxno=202106071549301800427

 

 

▶️▶️▷ 시장 이모저모

■ [The-이슈] ‘11번가 지분 매각설’ SK텔레콤 "사실무근"…업계 "IR 홍보 가능성"

https://www.thedailypost.kr/news/articleView.html?idxno=81970

 

 

▶️▶️▷ 시세/시황

[표]IPO장외 주요 종목 시세(6월 7일)

https://www.sedaily.com/NewsView/22NJM9OVIJ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728x90
728x90

 

증시캘린더는 개인적으로 관련된 소식을 확인후 작성한 일정이라 변동 또는 오류의 소지가 있습니다.

참고시 유의하시고 배포시엔 블러그 링크로 공유해 주셔요.


728x90

'주요 증시 일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6월 10일(목) 증시캘린더  (0) 2021.06.10
6월 9일(수) 증시캘린더  (0) 2021.06.09
6월 7일(월) 증시캘린더  (0) 2021.06.07
6월 4일(금) 증시캘린더  (0) 2021.06.04
6월 3일(목) 증시캘린더  (0) 2021.06.03
728x90

 

주식투자 스터디를 위해 개인적으로 스크랩한 시황, 뉴스 자료를 공유합니다.

1) 노션 링크는 익스플로러에선 제대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크롬에 최적화 되어있으며, 엣지, 웨일에서도 잘 작동합니다.

 

2) 공유한 자료링크는 1~2일후 공유 해지 합니다.

 

게시물은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한 것이라

불확실하거나 오류가 많을 수 있으므로 투자 활용시 유의하시기 바라며, 개별적인 종목 추천이나 상담은 하지 않습니다.

 

모쪼록 제 공간에 오신 모든 분들이 주식스터디를 통해 인생 한 방보다, 꾸준함을 믿으며...

복리의 마법으로 모든 분들이 성공한 개인투자자가 되시길...

 


2021년 6월 7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국내 백신접종회수가 1,000만회에 육박하면서 접종률도 10%에 근접했습니다.

 

(2)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가 역사적 고점을 2.5% 남겨뒀습니다.

 

(3) 옐런 재무장관이 금리상승이 사회와 Fed에 플러스가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미 5년 breakeven rate 2.562%, -0.014%p (2% 상회시 유의, 2.5% 상회시 경고)

 

한국 고객예탁금, 64.8조원 -1.0조원

 

한국 백신 접종률 9.5%(+1.3%p, 집단면역 70%)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57%

1개월 NDF 환율 1,110.64원 (-5.81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G-7 : 15% 최저세율안 + @ 합의]

(Feat. 다음달 G-20는?)

 

*G7 : 미국 캐나다 독일 영국 이탈리아 프랑스 일본

 

*G20 : G7+한국 중국 러시아 인도 인도네시아 터키 사우디 남아공 멕시코 브라질 아르헨티나 호주 유럽연합

 

☑️결론

-국가별로 돈을 많이 버는 다국적 기업들은 세금을 좀 더 많이 내야할 가능성

-그러나 전세계 모든 국가가 최저세율 등에 일괄적으로 동의하지 않는 이상 빠져나갈 구멍은 항상 있을 것

-전통 제조업의 경우 적용세율에 큰 변화가 없을 것

-시행일정은 불투명+미국 법인세리스크 소멸

 

☑️함의

-코로나 팬데믹을 거치며 미국을 중심으로 ‘Super 큰정부’에 대한 각국 정부의 공통된 의지표현

-투자자입장에서 정부의 방향성을 파악하는 것이 더욱 중요해질 것

-향후 기업인보다 정치인의 생각이 각국 경제에 더 큰 영향을 미칠 전망

 

 

*합의사항*

•세금 : 매출발생국에 납부(법인소재지x)

•최저세율 : 국가별 15%

•다국적 기업 추가과세

-다국적 기업에 대해 마진율 10%를 초과하는 이익에 대해 20% 과세 가능, 즉 마진10%까지는 15%세율, 10%마진율 넘어가는 이익에 대해서는 20% 가능

☑️삼성전자 미국법인 마진율이 20%일 경우 적용되는 법인세율은 17.5%

 

*영향*

-구글, 페이스북 등 다국적 IT서비스 기업들은 사업국 근처의 조세회피지역에 위성페이퍼컴퍼니를 만들고 그곳에서 개별국가별로 영업을 진행하는 형태로 조세회피

 

-그러나 G7합의에 이어 다음달 예정된 G20까지 합의할 경우 다국적 기업은 본점소재지가 케이먼이어도 각각의 매출이 창출되는 국가에 세금을 내야함

 

-공장(사업실체)이 필요없고 브랜드가 중요한(B2C) 인터넷 기반의 IT서비스기업들이 가장 큰 피해

 

☑️문제는 최저세율에 합의하더라도 실효성이 얼마나 있을지는 미지수, 로얄티비용 지급 등으로 얼마든지 세율이 높은 국가의 이익규모 자체를 낮출 수 있고, 국가별로도 세법자체가 모두 다르기 때문(공제항목 등)

 

☑️다만 발생된 이익은 결국 어느 국가에서건 한번은 세금을 내야하기 때문에 전세계 모든 국각가 동일한 최저세율을 적용하면, 피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음

(아마존 같은 경우 유럽지역 본사가 위치한 룩셈부르크 정부의 지원(?)으로 절세를 해왔고, 각 국가별 지사는 대부분 적자이기 때문에 유럽지역 과세이슈는 룩셈부르크가 동의하지 않으면 과세가 어려울 수 있음)

 

SMART한 주식투자

https://t.me/frankinvest

 

 

 

 

[한투증권 박소연] 6월 둘째주 GIS weekly

 

미국 고용지표가 예상을 하회했지만 골디락스라는 평가가 많습니다. 테이퍼링을 자극할 정도로 뜨겁지는 않았지만, 전월보다 55만명이나 늘어나 경기회복이 순항중임을 드러냈기 때문입니다.

 

금리가 많이 하락하면서 성장주가 일시 강세를 보였지만, 이런 때일수록 방향성이 더 중요합니다.

 

신규고용이 정체인 것은 특별 실업수당(PEUC) 때문에 직장 복귀를 늦추는 사람들이 많아서인데, 그렇다고 해서 경제재개가 도루묵 되는 것은 아니니까요.

 

애플은 9월부터 1주일에 3일 출근을 공식화했고, 맨하튼 금융가들도 6~7월부터 오피스 근무를 공식화하고 있다고 합니다. 소비재(자동차, 음식료, 화장품, 레져)와 더불어 기업용 수요 회복을 반영할 IT/반도체를 주목합니다.

 

===================

 

▲ 주말 해외동향 : 미국증시 상승 마감. 5월 고용지표가 예상을 하회해 테이퍼링 우려가 완화됐기 때문. 미국채 10년물 7bp 급락한 1.55%

 

- 5월 고용은 골디락스였다는 평가. 비농업 신규 일자리는 55.9만개로 예상치 67만건은 하회했으나 전월보다 크게 개선. 코로나 감염 우려, 실업수당 지급(PEUC, PUA 등)으로 직장 미복귀 인력 아직 많아 향후 점진적 개선을 보일 것이라는 의견 다수

 

- Tech, 커뮤니케이션 업종 강세를 보였고 금융/소재/부동산은 언더퍼폼. 테슬라(+4.6%), 줌비디오(+5.3%) 등 성장주 전반 강세 보였고 도큐사인(+19.8%) 내년 가이던스 상향으로 급등. 브로드컴(+2.2%)도 반도체 솔루션 부문 호조

 

- 비트코인 가격은 5% 넘게 하락. 그간 트위터를 통해 비트코인과 도지코인 등 크립토 가격 상승을 부추겨 SEC에게 경고까지 받았던 일론 머스크가 이번에는 비트코인 해시태그와 깨진 하트를 그려 넣은 트윗을 올림

 

▲ 52주 신고/테마 : 자동차(GM, 포드, 도요타, 매그나), 음식료(아처대니얼스미들랜드, 코카콜라, JM스머커, 몬델리즈, 노마드푸드), SW솔루션/보안(인튜이트, 오라클, 포티넷, 노턴라이프락, 포티넷), 사무용품(오피스디포, 3M), 하드웨어/반도체(엔비디아, 로지텍)

 

▲ 종합판단 : 6월 FOMC까지 테이퍼링 논란 지속되며 변동성 높은 장세 이어질 것. 그러나 경제재개 수혜주들은 점진적 상승세 이어질 전망. 소비재/음식료, 자동차, IT 등 점진적 비중확대

 

- 금주 일정 : 10일(목) CPI 발표

 

역시 속도의 민족입니다. 1차 접종 완료율이 14.5%까지 올라왔네요.

 

1차 접종자 총 745만명, 접종율 14.5%

 

https://m.yna.co.kr/view/AKR20210605022452530

 

 

 

[미래에셋증권] 해외 금융시장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02-3774-1621)

 

◆ 미국 증시

- DOW: 34756.39p (+179.35p, +0.52%)

- S&P500: 4229.89p (+37.04p, +0.88%)

- NASDAQ: 13814.49p (+199.98p, +1.47%)

 

◆ 한국 관련

- MSCI 한국지수 ETF: 93.8p (+1.08p, +1.16%)

- MSCI 이머징지수 ETF: 55.99p (+0.5p, +0.9%)

  Eurex kospi 200: 434.86p(+2.41p. +0.56%)

- NDF 환율(1개월물): 1,110.65원 / 전일 대비 7원 하락 출발 예상

 

◆ 외환시장

- 달러인덱스: 90.136 (-0.376, -0.42%)

- 유로/달러: 1.2167 (+0.004, +0.33%)

- 달러/엔: 109.52 (-0.77, -0.7%)

- 파운드/달러: 1.4157 (+0.0051, +0.36%)

 

◆ 미국 국채시장

- 2년물: 0.1448% (-1bp)

- 5년물: 0.7788% (-6.1bp)

- 10년물: 1.5534% (-7.2bp)

- 30년물: 2.2313% (-6.5bp)

(국채선물)

- 2YR T-Notes: 110*11   (+0*00 , +0.02%)

- 5YR T-Notes: 123*29 3/4 (+0*10 , +0.25%)

- 10YR T-Notes: 132*06 1/2 (+0*19 1/2, +0.46%)

- US T-Bonds: 157*15   (+1*13 , +0.9%)

- Ultra US T-Bonds: 186*24   (+2*3 , +1.13%)

 

◆ 상품시장 ($, 단 곡물, 구리는 센트)

- WTI: 69.62 (+0.81, +1.18%)

- 브렌트유: 71.89 (+0.58, +0.81%)

- 금: 1892 (+18.7, +1%)

- 은: 27.896 (+0.419, +1.52%)

- 아연(LME, 3M): 3010.5 (+26, +0.87%)

- 구리: 452.9 (+6.6, +1.48%)

- 옥수수: 682.75 (+20.75, +3.13%)

- 밀: 687.75 (+11.5, +1.7%)

- 대두: 1435.5 (+32, +2.28%)

- BDI: 2438 (-34, -1.38%)

 

*동 자료는 2021년 6월 7일 미래에셋증권 홈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를 요약한 것입니다.

 

글로벌 주식시장 변화와 전망(6월 7일)

미래에셋증권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02-3774-1621)

 

미국 고용보고서 결과와 골디락시 장세

 

미 증시는 예상을 하회한 고용보고서 발표와 그에 따른 인플레이션 압력 완화 기대가 유입되며 상승 출발. 특히 반도체, 소프트웨어 등 기술주 중심으로 강세를 보임. 특히 이번 고용 보고서 발표로 골디락스 기대가 높아져 연준의 정책 변화에 대한 우려가 완화된 점도 투자 심리 개선 요인. 연준 위원들의 경제에 대한 자신감과 정책 변화에 대한 인내 등을 언급한 점도 우호적(다우 +0.52%, 나스닥 +1.47%, S&P500 +0.88%, 러셀2000 +0.31%)

 

http://securities.miraeasset.com/bbs/maildownload/2021060612115222_156

 

 

 

 

[ 사진 ]

[5월 고용, 이번에도 미스]

 

미국의 5월 비농업부문 신규고용지표가 55.9만건으로 전월(27.8만건)에 비해 2배 가까이 증가했지만, 예상치(67.5만건)보다는 부진하게 발표됐네요

 

고용시장 회복세가 강해지고 있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지만,

 

현재는

 

연준 테이퍼링 속도,

 

인플레이션 상승 속도,

 

고용시장 회복 속도,

 

"속도"에 민감한 상황입니다.

 

일단 지금 선물시장 분위기는 금번 고용 부진을 "한숨 돌리는" 정도로 받아들이고 있는 모양새네요.

 

지난 5월 7일  발표된 4월 고용지표에 데였던(?) 경험이 있어서 그런지, 이번에는 환호랠리까지 가는 건 자제하는 듯합니다.

 

(당시에 4월 고용 쇼크가 발표 직후 호재로 인식됐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반도체 공급난, 추가 실업급여를 둘러싼 모럴해저드 등 일시적인 요인이 큰 것으로 파악됨에 따라 그 다음주에 증시가 밀렸던 경험이 있었습니다)

 

정리하자면,

 

• 5월 고용 지표는 한 고비 넘겼습니다.

 

• 다음주 5월 소비자 물가, 그 다음주 6월 FOMC 등 계속해서 시험대가 남아있는 만큼, 긴장감은 계속 유지하는 것이 좋아보입니다.

 

키움 한지영

 

 

[미국 5월 고용데이타]

(Feat. Not too hot and not too cold!)

 

•실업률

: 5.8% / 컨센 5.9% / 4월 6.1%

 

•비농업 신규일자리

: 559K / 컨센 671K / 4월 266K

 

•구직참가율

 : 61.6% / 4월 61.7% / 20년3월 63.4%

 

☑️5월 고용데이타는 4월의 쇼크에서 회복하여 경제상황에 대한 우려를 완화시키기에 적절한 수준입니다.

 

반면 연준이 확신을 가지고 출구전략을 결정하기에는 부족한 수준입니다. 여전히 구직참여율은 2020년7월 이후 추가개선이 이뤄지지 않고 있습니다. 코로나 이전과 비교해서 노동가능연령대 인구의 약 1.5%가 영구실업(자의 or 타의)으로 고착화 될 수 있다고 우려할 수 있는 상황입니다.

 

연준의 출구전략(테이퍼링)은 시작하면 되돌릴 수 없습니다. 그래서 파월의장은 충분히 인내심을 가지고 기다릴 것이라고 언급하는 것입니다. 다소 늦게 시작해서 인플레가 오더라도 연준은 충준히 컨트롤 할 수 있습니다. 반면, 영구실업자를 다시 일터로 불러내는 것은 매우 어렵습니다.

 

SMART한 주식투자

https://t.me/frankinvest

 

 

 

[2021.06.04 (금) 필라델피아 반도체] 하나금투 반도체 김경민, 김주연

 

전일 대비 +2.39%, 3,214선 마감

상승주 30, 하락주 0

 

다우 +0.5%, S&P 500 +0.9%, 나스닥 +1.5%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목요일에 고용 지표 호조와 연준 긴축 가속화 우려로 전일 대비 -1.81% 하락했다가, 금요일에는 전일 대비 +2.39% 기록하며 견조하게 상승. 종가는 3,214선으로 마감하여 4월 29일 이후 3,200선을 다시 회복

 

금요일은 목요일과 반대로 미국 고용 지표가 예상을 하회한 것이 긴축의 속도를 늦출 수 있다는 점 때문에 반도체 업종의 투자 심리 회복. 뉴욕 증시 개장 전에 5월 비농업 신규 고용은 55만 9천 명 증가하며 컨센서스 (67만 1천 명) 대비 하회. 이러한 와중에 미국 10년물 명목 금리는 장중에 1.5517%까지 하락해 연초 이후 명목 금리와 반대 방향으로 움직여왔던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의 투자 심리에 긍정적 영향

 

목요일에는 30개 편입주 중에서 엔비디아만 유일하게 상승했었던 데 반해, 금요일에는 편입주 모두 상승. Top 10 상승주 중에 눈에 띄는 종목은 엔비디아 +3.59%, CREE +3.19%, 램리서치 +3.07%, Entegris +3.05%, KLAC +2.66%, Two Six +2.62%. 특정 업종 위주의 상승보다는 개별 종목 장세에 가까운 흐름을 보이는 가운데, 일부 장비주 (램리서치, KLAC) 및 화합물 반도체 수혜주 (CREE, Two Six) 강세. 엔비디아는 목요일에 이어 금요일에도 52주 신고가를 경신하며 703.13달러 마감. 시가총액 487조 원 기록

 

목요일보다는 심리적으로 호전된 분위기 속에 상승 폭이 상대적으로 제한적이었던 종목은 목요일에도 주가 흐름이 부진했던 아날로그 반도체 공급사. NXPI +0.62%, On Semiconductor +1.25%. 아날로그 반도체 업종은 베타가 상대적으로 낮고, 특정 애플리케이션보다는 글로벌 경기 회복에 연동해 실적에 영향을 받음

 

메모리 반도체 및 스토리지 업종은 전반적 상승. 마이크론 +2.11%, WDC +0.51%, 실리콘 모션 +2.63%, Seagate +1.59%. 대만 메모리 관련주의 5월 매출 증가율 견조해 Nanya Technology는 +37.0% Y/Y, ADATA +39.3% Y/Y

 

목요일 실적 발표 이후 시간외 주가 반응이 밋밋했던 브로드컴은 +2.19% 상승 마감. 브로드컴도 다른 기업들과 마찬가지로 부품 공급 부족에 대해 언급하기는 해서 다소 부정적으로 보였지만, [1] 브로드컴이 M&A를 다양하게 전개해와 경쟁사들 대비 밸류 체인이 안정적이라는 점, [2] FQ3분기 매출 가이던스가 67.5억 달러로 컨센서스 (64.3~67.0억 달러) 상단 대비 높다는 점이 결과적으로 주가에 긍정적 영향을 끼친 듯

 

감사합니다.

 

 

 

 

[2021.06.04 (금) 대만 가권지수 -0.57%, 17,147p] 하나금투 반도체 김경민, 김주연

 

업종별: 반도체 -0.45%, 금융 -0.63%, 플라스틱 -0.63%, 해운/운송 -1.30%, 철강 -1.75%, 건설 -0.44%, 시멘트 -0.86%, 제지 -3.11%

 

외국인 순매도 6,683억 원

 

금요일 대만 가권지수는 목요일 뉴욕증시의 조정 영향으로 하락. 대만 내의 코로나 확산이 지속된 것도 투자 심리에 부정적 영향. 반도체 패키징 & 테스트 서비스 공급사 KYEC (King Yuan Electronics)는 코로나 확산 방지를 위해 48시간 동안 가동 중단. 회사 내 확진자는 51명이었다가 금요일 기준 67명까지 증가

 

업종별로는 경기 민감 업종에서 철강 -1.75%, 제지 -3.11% 기록하며 상대적 부진

 

코로나 확산 우려가 투자 심리에 부정적 영향을 끼쳤지만 가권지수의 낙폭은 크지 않았음. 매크로 지표에 대한 긍정적 전망 때문. 대만 行政院主計總處에서 2021년 GDP 성장률 전망치를 4.64%에서 5.46%로 상향 조정. 2010년 GDP 성장률 10.25% 기록 이후 11년 만에 최고치. 올해의 성장 동력은 해외 수출 및 TSMC 등의 대규모 투자

 

반도체 업종의 개별 종목에서는 Aspeed 주가가 전일 대비 -5.9% 기록하며 부진. 전방 산업의 서버 수요는 견조한데, 5월 매출의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은 0.84%로 여전히 낮았기 때문. 다만, 전월 대비 매출 증가율은 7.92%로 조금씩 나아지는 흐름 기록

 

대만달러는 전일 대비 약세. TWD 27.708 기록

 

[파운드리] TSMC -0.2%, UMC -3.6%

 

[메모리] 난야테크 -1.7%, 윈본드 -2.3%, 매크로닉스 -1.4%

 

[서버] Aspeed -5.9%, Nuvoton +0.4%, Wiwynn -1.5%

 

[팹리스] 미디어텍 -0.4%, 노바텍 -1.0%

 

[후공정] ASE -0.9%, 칩모스 -2.7%, 칩본드 +0.1%, 파워텍 -1.4%

 

[애플 벤더] 혼하이정밀 +0.9%, Largan -0.8%, 지니어스 +0.8%, 페가트론 -0.1%, Catcher -0.5%

 

[5G 화합물] 윈세미 -0.2%, VPEC -1.3%

 

[반도체 유통] ADATA +0.5%, Transcend +0.7%, Phison +0.7%

 

[PC] ACER -0.2%, ASUSTEK -0.5%, Lenovo(HK) -0.5%

 

[기타] Global Unichip -0.1%

 

감사합니다.

 

 

[하나 리서치 중국 신흥국 전략 김경환]

•다음주 주목해야할 세가지 뉴스

 

■차주 CATL 역대급 보호예수 물량 해제, 주가 급등 이후 부정적 영향 주목 : 심천 창업판의 대장주인 CATL은 5월 이후 주가 급등과 함께 시가총액 1조위안을 돌파하며 A주 시가총액 6위에 등극. 다만, 2018년 6월 11월 상장 이후 3년이 경과함에 따라 다음주부터 대주주 보호예수 물량이 대거 해제되면서 주가에 부정적 영향이 예상됨. 금번 해제 물량은 유통주식수의 70%에 육박하는 막대한 규모로, 6월 4일 주가를 반영하면 약 4,100억위안. 이는 A주 역사상 일곱번째로 큰 규모이며 1-6위는 모두 2010년 이전 4대 국유은행과 에너지 기업의 사례. 대주주 보유 단가가 평균 주당 25위안으로 약 16배 상승했다는 점에서 매도 물량에 대한 시장의 경계심 확대될 가능성. 최근 일부 IB들이 목표주가를 선제적으로 하향했고, 6월 1주차 외국인의 매도 규모가 커졌다는 점에서 차주 CATL 및 전체 배터리 관련주 주가 변동 예의주시.

 

■대만 일부 반도체 업체 확진자 발생으로 생산 중단 속출 : 6 월 4일 대만 대형 반도체 페키징과 테스트 기업 징웬덴즈(KYEC)에서 3일간 확진자 45명 발생에 따라 48시간 가동 중단 발표. 해당 기업은 대만 최대 테스트 기업으로 NVIDIA, ADI 등이 고객이며 매월 웨이퍼 40만장 이상 규모. 6월 4-6% 매출 타격을 예상. 한편, 5일 대만 신규 확진자 511명 발생하며 22일 연속 100명을 상회, 생산 영향 확산 주목. 

 

■중국 관영언론, 컨테이너 가격 폭등으로 수출기업 조달난 재차 강조 보도 : 2020년 상반기 20ft. 소형 컨테이너 가격은 1,600달러에서 현재 3,600달러, 인기종 40ft. 컨테이너는 5,950달러로 두배 상승하며 신고가 갱신. 반대로 미국 캘리포니아에 남은 공 컨테이너는 1-1.5만개, 호주 각 항에 쌓인 공 컨테이너는 5만개가 넘는다고 보도. 글로벌 중요 항구에 쌓인 공 컨테이너는 정상 수준의 3배로 추정. (•아시는 내용이지만 5월 중국 제조업 PMI지수에서 신규 수출주문지수가 급락한 원인 중 하나일텐데.. 중국정부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네요)

 





 

한화, 반도체 장비 사업 추진…반도체 '슈퍼 사이클' 겨냥

기사입력 2021.06.07. 오전 6:10

반도체 증착 공정 장비사업 추진…관련 조직 세팅 중

글로벌 반도체 역대급 투자에 장비 도입도 급증 예상

출처: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421&aid=0005397135>

 

 

"노인은 야간·고속도로 운전 못한다"…'조건부 면허' 도입 시동

고령 운전자 교통사고 4년 간 44% 급증

경찰청, '조건부 운전면허 제도 세부 도입방안' 연구용역

특정 연령·질환자, 운전에 제한두는 제도

美·獨 등서도 도입…시간·공간 제한

등록 2021-06-06 오후 3:39:37

출처: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708886629079096&mediaCodeNo=257&OutLnkChk=Y>

 

 

아마존이 한국 상륙한다····최태원 '11번가 승부수'

[중앙일보] 입력 2021.06.07 05:00

출처: <https://news.joins.com/article/24075703>

 

中수능 '가오카오' 7일부터 사흘간..코로나19 방지 '비상'

정지우 입력 2021. 06. 06. 14:41

출처: <https://news.v.daum.net/v/20210606144132779>

 

 

진격의 이준석, 지지층 49.9%로 1위…'30대 당대표' 나오나

머니투데이  박종진 기자  이창섭 기자

출처: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1060617133691776&cast=1&STAND=MT_P>

 

 

비트코인, 中 웨이보 가상화폐 계정 차단 소식에 5%대 하락

입력2021.06.06. 오전 7:26

출처: < https://n.news.naver.com/article/055/0000898842>

 

 

 

 

 

 

 

 

 

 

 

 

 

 

 

『하루를 여는 혁신투자자문 IPO News Letter💌 - 20210607』

 【 텔레그램 채널 주소 : https://t.me/KoreaIB

 【 IPO상장문의 및 이경준 대표 Contact ☞ 📧 ipo@kakao.com 】

 

===========================

 

📌Today's Topic》

돌아온 '따상'...공모주 열풍 다시 부나

https://newsis.com/view/?id=NISX20210604_0001465569&cID=15001&pID=15000

☞ 이경준 혁신투자자문 대표는 "SKIET 이후 공모주 시장이 잠시 식었었지만 예치금 규모가 크기 때문에 연말까진 열기가 이어질 것"이라며 "에이디엠코리아의 경우 워낙 공모 물량이 적어 따상에 성공했지만, 앞으로 상장이 예정된 종목들을 보면 따상을 기록하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고 전망했다.

이 대표는 "외국인의 경우 배정 물량이 많고 의무확약 부담은 없기 때문에 SKIET 상장 날 대부분을 던지면서 주가가 빠졌다"며 "국내 투자자만으로도 청약금이 충분하기 때문에 외국인 의무확약비율을 투명하게 공개하는 등 관련 배정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

 

★ 금일 IPO 일정 ★

 06/07 엘비루셈 납입🏧

 06/07~08 라온테크 청약🖨

 

☆ 금주 남은 IPO 일정 ☆

 06/07~08 라온테크 청약🖨

 06/09~10 이노뎁 청약🖨

 06/10 라온테크 납입🏧

 06/10~11 에스디바이오센서 수요예측⚖️

 06/10~11 아모센스 수요예측⚖️

 06/11 엘비루셈 상장★

 

 ------------------------------------------

 

▣ 기관IR 일정 ▣

 - 소규모 간담회로만 진행 中 -

 

▣ 상장 일정(예정, 변경가능) ▣

 06/11 엘비루셈(한국투자증권)

 06/17 라온테크(KB증권)

 06/18 이노뎁(하이투자증권)

 06/24 아모센스(신한금융투자)

 06/24 SD바이오센서(NH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07/07 맥스트(하나금융투자)

 07/13 오비고(NH투자증권)

 

▣ 심사 승인 ▣

 - 플래티어

 - 에브리봇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 국내 IPO 개별종목

■ [fn마켓워치]ADT캡스 IPO 주관사에 NH·모건·CS

https://www.fnnews.com/news/202106052008459783

 

■ [시그널] 한화종합화학 상장 심사 청구···패스트트랙으로 IPO 속도

https://www.sedaily.com/NewsView/22NI8PGFG8

 

■ 흑자전환·IPO… 부담커진 케이뱅크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21060702100863048002&ref=naver

 

■ [주목! 이번주 IPO] 이노텝, 스마트시티 수혜···시장 점유율도 독보적

https://www.sedaily.com/NewsView/22NJ519RED

 

■ [시그널] “빅 딜 못지 않네”···하나금융투자 맥스트 IPO로 60억 번다

https://www.sedaily.com/NewsView/22NJ5AAZ1Y

 

 

▶️▶️▷ IPOmarket(해외IPO포함)

■ 주춤하는 신규 상장사, 공모가 상향세 '경고등'

https://paxnetnews.com/articles/74826

 

■ 여러 증권사 통한 IPO 중복청약 20일부터 금지 "법인도 적용"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6345052&plink=ORI&cooper=NAVER&plink=COPYPASTE&cooper=SBSNEWSEND

 

■ 대기업 계열사들 줄줄이 IPO..힘 빠진 IPO 시장 살아날까

https://news.mtn.co.kr/newscenter/news_viewer.mtn?gidx=2021060415302530621

 

■ 한화종합화학·케이카·ADT캡스…줄줄이 상장 채비

https://www.mk.co.kr/news/stock/view/2021/06/545592/

 

■ 투썸플레이스 IPO 철회…이디야커피는 '보류'

https://paxnetnews.com/articles/74773

 

■ [Re-start K-조선·해운 ④] 슈퍼 사이클부터 IPO 흥행까지 과연… 엇갈리는 전망

https://www.econovill.com/news/articleView.html?idxno=534791

 

■ 유니버설뮤직, 뉴욕 상장 시도?

http://sports.khan.co.kr/entertainment/sk_index.html?art_id=202106041653003&sec_id=540301&pt=nv

 

■ 중국 앤트그룹 재상장까지 많은 시간 필요

https://view.asiae.co.kr/article/2021060410442663857

 

■ 중국 기술기업 규제강화에 얼어붙은 홍콩 IPO시장

https://www.ajunews.com/view/20210606111421923

 

 

▶️▶️▷ 시장 이모저모

■ [단독] 아마존이 한국 상륙한다····최태원 '11번가 승부수'

http://naver.me/FWJdD1nZ

 

 

▶️▶️▷ 시세/시황

[표]IPO장외 주요 종목 시세(6월 4일)

https://www.sedaily.com/NewsView/22NI8Q1NAS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