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주식투자 스터디를 위해 개인적으로 스크랩한 시황, 뉴스 자료를 공유합니다.

1) 노션 링크는 익스플로러에선 제대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크롬에 최적화 되어있으며, 엣지, 웨일에서도 잘 작동합니다.

 

2) 공유한 자료링크는 1~2일후 공유 해지 합니다.

 

게시물은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한 것이라

불확실하거나 오류가 많을 수 있으므로 투자 활용시 유의하시기 바라며, 개별적인 종목 추천이나 상담은 하지 않습니다.

 

모쪼록 제 공간에 오신 모든 분들이 주식스터디를 통해 인생 한 방보다, 꾸준함을 믿으며...

복리의 마법으로 모든 분들이 성공한 개인투자자가 되시길...

 


2021년 6월 16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FOMC를 하루 앞두고 경계매물이 출회되며 글로벌 주식시장이 조정을 받았습니다.

 

(2) 원자재 물류기업 Trafigura가 투자부족으로 유가가 100달러를 돌파할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3) 호실적 기대로 도요타 주가가 사상최고를 경신했습니다. 

 

미 5년 breakeven rate 2.488%, +0.028%p (2% 상회시 유의, 2.5% 상회시 경고)

한국 고객예탁금, 66.8조원 +0.2조원

 

한국 백신 접종률 11.7%(0.0%p, 집단면역 70%)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20%

1개월 NDF 환율 1,117.84원 (+0.84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6/15 미국 하락 = 차분하게 차익실현]

(Feat. 과연 연준의 결정은?)

 

☑️연준이 어떤 결정을 하던 증시는 이벤트 소멸로 상승할 것으로 전망합니다. 똑같은 상황을 우리는 버냉키시대에 이미 경험한바 있습니다.

 

☑️BOA 인플레이션 서베이

(224명 펀드매니저 / 총 운용자산 $667b)

: 73%는 현재의 인플레가 일시적이라고 응답

 

<시장 분위기>

전체적으로 차분한 분위기였지만 최근 몇주간 바닥에서 반등을 크게했던 일부 성장주들은 조정을 받았습니다. NYSE는 차분했고, NASDAQ은 소폭이지만 하루종일 조정을 받으며 하락폭을 늘렸습니다.

 

*5월 생산자물가(YoY)

-PPI : 6.6% / 컨센 6.3% / 4월 6.2%

-Core PPI : 4.8% / 4.8% / 4.1%

 

*5월 소매판매(MoM)

-Retail : -1.3% /컨센 -0.8% /4월 +0.9%

 

•나스닥 -0.7% / 러셀2000 -0.3%

•S&P500 -0.2% / 다우 -0.3%

-나스닥 Top10 : 상승 10 vs 하락 0

 

-비트코인 : $40,000

-미국채금리(10y) : 1.499 (-0.1%)

-WTI : $72.17 (+2.0%)

 

*코로나 : 신규확진자 감소

(전일 11,217 / WoW -38.2%)

 

SMART한 주식투자

https://t.me/frankinvest

 

[6/16 미국 증시 리뷰 및 평가, 키움 전략/시황 한지영]

 

1. 미국 증시 리뷰

 

15일(화) 미국 증시는 5월 생산자물가, 소매판매, 산업생산 등 주요 지표간 엇갈린 결과를 기록한 가운데, 6월 FOMC 경계심리 확산, 성장주들의 단기 차익실현 물량 출회 등으로 하락 전환(다우 -0.3%, S&P500 -0.2%, 나스닥 -0.7%).

 

업종별로는 에너지(+2.1%), 산업재(+0.5%), 유틸리티(+0.4%) 등이 강세, 부동산(-1.0%), 기술(-0.6%), 커뮤니케이션(-0.5%) 등이 약세

 

5월 생산자물가는 6.6%(YoY)로 전월(6.2%) 및 예상치(6.3%)를 상회하며 약 11년만에 최대 상승률을 기록하면서 미국 내 인플레이션 압력이 높아졌음을 재확인. 근원 생산자물가는 4.8%(YoY)로 전월(4.1%)에 비해 상승했으나, 예상치(4.8%)를 하회.

 

5월 소매판매는 -1.3%(MoM)로 전월(-0.4%) 및 예상치(-0.6%)에 비해 감소폭이 확대. 지난 3월 이후 정부의 코로나 부양책 일환으로 지급했던 현금 지원금이 소진된 여파가 소매판매 둔화를 견인.

 

반면, 5월 산업생산은 +0.8%(MoM)로 전월(+0.1%) 및 예상치(+0.6%)를 상회하면서 산업 경기는 견조한 흐름을 보이는 등 주요 실물 지표간 혼재된 모습을 보임.

 

2. 미국 증시 평가

 

5월 생산자물가의 급등(+6.6%, YoY)은 에너지(+46.6%), 중간재(+21.9%) 등 국제 상품가격 강세에서 기인했으며, 미국 내 인플레이션 압력이 높아진 것은 사실.

 

그러나 최근 고점 대비 약 50% 하락한 목재 포함 구리, 곡물 등 주요 상품 가격들이 하락 전환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

 

이는 추후 생산자 물라 급등세가 장기화될 가능성이 낮음을 시사하며, 전거래일 생산자 물가 발표 이후 시장 반응이 격렬하지 않았던 배경으로 볼 수 있음.

 

17일(목) 한국 시간 새벽에 발표되는 6월 FOMC의 경우, 직접적인 정책 변화는 없을 것으로 전망.

 

다만, 점도표 상 미래 금리 전망치, 성명서 상 물가 및 경기 판단에 대한 문구 변화 등 테이퍼링 일정 및 속도와 같이 향후 연준의 정책 변화를 둘러싼 힌트가 등장할 지 여부에 주목할 필요.

 

[6/16 한국 증시 리뷰 및 전망, 키움 전략/시황 한지영]

 

1. 한국 증시 리뷰

 

15일(화) 코스피는 6월 FOMC 대기 심리 속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순매도로 장중 내내 지수 상단은 제한된 모습이었으나, 개별 업황 호전 기대감에서 기인한 전기전자, 화학, 인터넷 등 일부 대형 업종 강세에 힘입어 종가 기준으로 사상최고치(3,258.63pt)를 경신한 채로 마감(코스피 +0.2%, 코스닥-0.0%).

 

업종별로는 섬유의복(+1.7%), 증권(+1.4%), 화학(+0.8%) 등이 강세, 운수창고(-1.3%), 건설(-1.2%), 의약품(-0.9%) 등이 강세.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550억원, 434억원 순매도한 반면, 개인은 1,992억원 순매수에 나서면서 지수의 하단을 지지.

 

2. 한국 증시 전망

 

한국 증시는 6월 FOMC 경계심리로 약보합 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상.

 

순환매 장세는 여전히 전개되고 있는 만큼 장중 미국 선물 시장 및 10년물 금리 변화, 중국의 5월 소매판매, 산업생산 지표 결과에 따라 업종간 엇갈린 주가흐름을 보일 것으로 전망.

 

한편, 코스피가 연이은 신고가를 경신하고 있음에도, 시장 분위기가 상대적으로 차분하고 또 일정부분 소외감도 존재하고 있는 모습.

 

최근 뚜렷한 주도 업종 및 테마가 좀처럼 등장하지 가운데, 순환매도 불특정한 패턴으로 발생하고 있는 영향이 크다고 판단.

 

즉, 신고가 경신에 따른 전반적인 증시의 레벨 부담이 과거 신고가 경신 당시에 비해 크지 않기 때문에, 수급상 매물대 부담은 적을 것으로 예상. 

 

https://www.kiwoom.com/h/invest/research/VMarketSDDetailView?sqno=4719

 

 

 

 

[미래에셋증권] 해외 금융시장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02-3774-1621)

 

◆ 미국 증시

- DOW: 34299.33p (-94.42p, -0.27%)

- S&P500: 4246.59p (-8.56p, -0.2%)

- NASDAQ: 14072.86p (-101.28p, -0.71%)

 

◆ 한국 관련

- MSCI 한국지수 ETF: 92.87p (-0.1p, -0.11%)

- MSCI 이머징지수 ETF: 55.06p (-0.38p, -0.69%)

  Eurex kospi 200: 432.60p(-0.85p. -0.20%)

- NDF 환율(1개월물): 1,117.85원 / 전일 대비 보합 출발 예상

 

◆ 외환시장

- 달러인덱스: 90.508 (-0.014, -0.02%)

- 유로/달러: 1.2129 (+0.0009, +0.07%)

- 달러/엔: 110.05 (-0.02, -0.02%)

- 파운드/달러: 1.4082 (-0.003, -0.21%)

 

◆ 미국 국채시장

- 2년물: 0.163% (+0.6bp)

- 5년물: 0.779% (-0.3bp)

- 10년물: 1.4905% (-0.4bp)

- 30년물: 2.1871% (+0.5bp)

(국채선물)

- 2YR T-Notes: 110*10   (-0*00 , -0.01%)

- 5YR T-Notes: 123*30   (0*00 , 0%)

- 10YR T-Notes: 132*17   (+0*00 1/2, +0.01%)

- US T-Bonds: 158*17   (-0*02 , -0.04%)

- Ultra US T-Bonds: 188*06   (-0*08 , -0.13%)

 

◆ 상품시장 ($, 단 곡물, 구리는 센트)

- WTI: 72.12 (+1.24, +1.75%)

- 브렌트유: 73.99 (+1.13, +1.55%)

- 금: 1856.4 (-9.5, -0.51%)

- 은: 27.693 (-0.346, -1.23%)

- 아연(LME, 3M): 3029 (-15.5, -0.51%)

- 구리: 434.1 (-19.3, -4.26%)

- 옥수수: 573.75 (-7.5, -1.29%)

- 밀: 666 (-13, -1.91%)

- 대두: 1373.5 (-21.75, -1.56%)

- BDI: 2944 (+87, +3.05%)

 

*동 자료는 2021년 6월 16일 미래에셋증권 홈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를 요약한 것입니다.

글로벌 주식시장 변화와 전망(6월 16일)

미래에셋증권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02-3774-1621)

 

물가 상승 압력 확대로 성장주 부진

 

미 증시는 FOMC를 결과를 기다리며 보합권 출발 했으나, 높은 생산자물가지수 발표로 인플레 압력 이슈가 부각되자 기술주 중심으로 약세를 보이며 하락. 더불어 소매판매 등 일부 경제지표 결과도 부담을 줬으나, 견고한 산업생산을 비롯해 경제 정상화 기대가 부각되자 금융, 산업재, 에너지 업종이 강세를 보이며 낙폭 제한. 이후 매물 소화 과정을 보이며 제한적인 하락을 보인 가운데 업종 차별화 진행(다우 -0.27%, 나스닥 -0.71%, S&P500 -0.20%, 러셀2000 -0.26%)

 

http://securities.miraeasset.com/bbs/maildownload/2021061606103953_3431

 

 

뉴욕증시, FOMC 경계 속 하락 마감…유가 초강세 [출근전 꼭 글로벌브리핑]

입력 2021-06-16 06:33   수정 2021-06-16 06:41

출처: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106160016&t=NN>


 

 

[메리츠증권 전기전자/2차전지 주민우]

 

★ 2차전지 주요 뉴스 (2021.6.16)

 

VW, 독일 BASF 포함 양극재, 흑연, 리튬 등 배터리 원재료에 대한 직접적인 접근을 확보하기 위해 공급 업체들과 협의 중. 또한 VW는 살츠기터에 있는 배터리 공장의 파트너 선정이 임박했으며 6개의 공장 모두 전략적 파트너십을 포함시킬 것이라고 발표 (Reuters) 

https://reut.rs/3vtCGxh

 

Tesla, Model Y의 차체가 현장에서 발견됨에 따라 Gigafactory Texas에서 생산 임박. Gigafactory Texas는 먼저 북미 시장을 위해 업데이트 된 Model Y 버전을 생산할 예정이며 공식적으로는 연말내로 생산을 시작할 것이라고 발표. Gigafactory Texas와 Gigafactory Berlin의 생산 시작은 올해 Tesla의 가장 중요한 성장동력이 될 전망 (Electrek)

https://bit.ly/2SDbbE3

 

GM, 이번 주 후반에 더 많은 배터리 생산공장 계획을 발표할 예정. 모든 공장은 바이든 정부의 전폭적인 지지하에 미국내에 건설될 예정. LG에너지솔루션이 이번 GM의 배터리 공장 추가건설 발표 관련해서 별도로 합의된 내용이 없다고 밝힘에 따라 다른 배터리업체와의 새로운 합작 프로젝트 여부에 관심 집중 (오토데일리)

https://bit.ly/2U4Y52R

 

LG-GM 합작사 얼티엄셀즈, 중국 상해은첩(Semcorp)과 2억5,800만달러(약 2,900억원) 규모 배터리 분리막 공급 계약을 체결. 구체적인 공급 시기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얼티엄셀즈 1공장이 가동되는 내년초쯤 공급이 이뤄질 전망. 얼티엄셀즈는 현재 1공장 외에도 2공장을 건설 중이라 중국 분리막 업계의 미국 진출에 속도가 붙을 전망 (디일렉)

https://bit.ly/3q4swlJ

 

중국 리튬배터리 업체 간펑리튬, 1억3,000만 달러(약 1,453억)로 네덜란드 SPV 회사의 지분 50%를 인수. 자금지원을 통해 SPV의 자회사 LMSA의 쿠라미나 스포듀민 개발 프로젝트 추진. 이번 지문 인수로 쿠림나 프로젝트에서 생산될 45만 5,000t 스포듀민 중 50%의 판매권을 확보 (글로벌이코노믹)

https://bit.ly/3xqi8Hm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하나금투 IT 김록호/김현수

———————————

 

6/16(수) 하나 테크 헤드라인

 

👨‍🔧 안녕하세요. 김록호입니다.

말레이시아 봉쇄조치가 2주 연장된다고 하는데, 반도체 후공정(패키징/테스트) 공장들이 있어 공급 부족 우려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일단 뉴스 상으로는 대부분이 자동화되어 있어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합니다. 이래저래 2분기 내내 공급 부족 관련 소식이 투자심리를 위축시키고 있습니다.

말레이시아에는 MLCC 업체인 타이요유덴의 공장이 있는데, 지난 4일 코로나 확진자가 나와서 봉쇄조치 기간인 14일까지 공장을 폐쇄한 바 있습니다. 공장 가동은 다시 시작하겠지만, 봉쇄조치 연장으로 인해 종업원 수의 출근이 제한되어 생산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참고로 Taiyo yuden의 점유율은 15% 미만, 말레이시아 공장은 Taiyo yuden의 CAPA 내에서 20% 내외로 추정됩니다. 감사합니다.

 

<주요 뉴스>

 

# Digitimes: Malaysia lockdown may affect capacity sufficiency at IDMs

 

말레이시아의 폐쇄 조치는 많은 국제 자동차 IDM 공장의 새로운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https://bit.ly/3gFaiTu

 

<기타 뉴스>

 

# "부품난에도 올해 글로벌 스마트폰 14억대 출하, 5G폰 내년부터 대세”

 

반도체 공급난에도 올해 글로벌 스마트폰 출하량이 전체 14억대 수준으로 늘어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https://bit.ly/3gwDeNw

 

# 애플·삼성 없는 무선이어폰 시장, 소니·LG '틈새' 파고든다

 

소니와 LG전자가 무선이어폰 신제품을 선보인다.

 

https://bit.ly/3vts4yH

 

# Digitimes: New investments mounting for mini/microLED product developments

 

많은 대만, 한국, 중국 업체들이 2025년 전에 미니/마이크로 LED를 만들기 위해 투자하고 있다.

 

https://bit.ly/2UbmRyr

 

# 미니 LED TV도 한·중 주도권 경쟁 심화

 

글로벌 TV 업체가 일제히 상반기에 미니 LED TV를 출시하면서, 올해 프리미엄 LCD 시장이 본격적인 태동기에 접어들었다.

 

https://bit.ly/3xoNv5k

 

 

<글로벌 업체 주가 동향>

 

애플   -0.64%

샤오미   0.00

ZTE  -0.62%

레노버  -1.53%

  

무라타   +1.57%

타이요유덴  +3.75%

야교  +5.87%

Ibiden   +2.68%

Shinko   +1.06%

  

인텔  -0.34%

마이크론   +2.10%

TSMC  +1.16%

퀄컴   -1.26%

미디어텍  +0.92%

  

UDC   -0.04%

BOE   -0.16%

AUO  -3.69%

  

Tesla   -2.97%

CATL   -1.54%

Umicore  +0.57%

Albemarle  -1.37%

 

(위 내용은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득함)

★하나IT텔레그램: https://t.me/ITforYouFromHana

 

 

 

 

 

 

7월부터 주52시간 전면적용…정부, 지원책 내놓아도 계도기간은 더 안줄듯

기사입력 2021.06.16. 오전 12:01

출처: < https://news.naver.com/main/ranking/read.nhn?mode=LSD&mid=shm&sid1=001&oid=003&aid=0010553565&rankingType=RANKING>

 

 

 

"신차 뽑자마자 냉각수 사라진다".. 정의선 야심작 '아이오닉5'가 수상하다

류종은 입력 2021. 06. 16. 04:31

출처: < https://news.v.daum.net/v/20210616043135452>

 

 

 

 

 

 

 

 

 

 

 

 

 

 

 

 

 

『하루를 여는 혁신투자자문 IPO News Letter💌 - 20210616』

 【 텔레그램 채널 주소 : https://t.me/KoreaIB

 【 IPO상장문의 및 이경준 대표 Contact ☞ 📧 ipo@kakao.com 】

 

===========================

 

★ 금일 IPO 일정 ★

 06/15~16 아모센스 청약🖨

 

☆ 금주 남은 IPO 일정 ☆

 06/17 라온테크 상장★

 06/18 이노뎁 상장★

 06/18 아모센스 납입🏧

 

 ------------------------------------------

 

▣ 기관IR 일정 ▣

 - 소규모 간담회로만 진행 中 -

 

▣ 상장 일정(예정, 변경가능) ▣

 06/17 라온테크(KB증권)

 06/18 이노뎁(하이투자증권)

 06/25 아모센스(신한금융투자)

 07/07 맥스트(하나금융투자)

 07/09 에브리봇(NH투자증권)

 07/13 오비고(NH투자증권)

 07/20 SD바이오센서(NH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07/23 큐라클(삼성증권)

 

▣ 심사 승인 ▣

 - 플래티어(KB증권)

 - 딥노이드(KB증권)

 - 크래프톤(미래에셋증권)

 - 원티드랩(한국투자증권)

 - 바이젠셀(대신증권)

 - 브레인즈컴퍼니(키움증권)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 국내 IPO 개별종목

■ [시그널] 크래프톤 ‘기업가치 28조’ 공모가 55.7만원 사상최고

https://www.sedaily.com/NewsView/22NNA6OATW

 

■ 신약개발 회사 큐라클, 증권신고서 제출…"IPO 돌입"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106150296&t=NN

 

■ 지아이이노베이션, 면역항암제 미 FDA 임상승인…이달 임상 돌입

https://www.yna.co.kr/view/AKR20210615046900017?input=1195m

 

■ 아이씨엠, IPO 주관사에 한국투자증권 선정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6111801415080102880&lcode=00&page=1&svccode=00

 

 

▶️▶️▷ IPOmarket(해외IPO포함)

■ 앞으로 ‘공모주 쓸어담기’ 못한다… 증권사, 중복배정땐 처벌 받을수도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21061501072230341003

 

■ ‘공모주 거품’ 만드는 대형 증권사 IPO 경쟁

http://www.kbanker.co.kr/news/articleView.html?idxno=99191

 

■ '대어 피해라'...IPO 기업 청약일정 '눈치싸움'

https://www.fnnews.com/news/202106151150332687

 

■ 공모주 청약수수료 무료 '디폴트' 아니다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6101023431040109168&lcode=00&page=3&svccode=00

 

■ 신선식품 줄줄이 IPO행…'참치 강자' 동원도 새벽배송 강화

http://www.newsprime.co.kr/news/article/?no=546663

 

 

▶️▶️▷ 시장 이모저모

■ 카카오 첫 시총 3위 마감…7년만에 네이버 추월(종합)

https://www.yna.co.kr/view/AKR20210614137251002?input=1195m

 

■ "1200억 CB 발행말라" 바이오 소액주주 반발…"계획 취소"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1061515474421895

 

 

▶️▶️▷ 시세/시황

[표]IPO장외 주요 종목 시세(6월 15일)

https://www.sedaily.com/NewsView/22NNAKITRA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728x90
728x90

 

증시캘린더는 개인적으로 관련된 소식을 확인후 작성한 일정이라 변동 또는 오류의 소지가 있습니다.

참고시 유의하시고 배포시엔 블러그 링크로 공유해 주셔요.


728x90

'주요 증시 일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6월 18일(금) 증시캘린더  (0) 2021.06.18
6월 17일(목) 증시캘린더  (0) 2021.06.17
6월 15일(화) 증시캘린더  (0) 2021.06.15
6월 14일(월) 증시캘린더  (0) 2021.06.14
6월 11일(금) 증시캘린더  (0) 2021.06.11
728x90

 

주식투자 스터디를 위해 개인적으로 스크랩한 시황, 뉴스 자료를 공유합니다.

1) 노션 링크는 익스플로러에선 제대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크롬에 최적화 되어있으며, 엣지, 웨일에서도 잘 작동합니다.

 

2) 공유한 자료링크는 1~2일후 공유 해지 합니다.

 

게시물은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한 것이라

불확실하거나 오류가 많을 수 있으므로 투자 활용시 유의하시기 바라며, 개별적인 종목 추천이나 상담은 하지 않습니다.

 

모쪼록 제 공간에 오신 모든 분들이 주식스터디를 통해 인생 한 방보다, 꾸준함을 믿으며...

복리의 마법으로 모든 분들이 성공한 개인투자자가 되시길...

 


2021년 6월 15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나스닥지수가 한달반 만에 신고가를 경신했습니다.

 

(2) JP모건 CEO가 금리가 상당기간 낮은 수준에 머무를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3) 6월 FOMC에서 금리인상 예상 시기가 앞당겨질 것이라고 WSJ가 보도했습니다.

 

미 5년 breakeven rate 2.459%, +0.013%p (2% 상회시 유의, 2.5% 상회시 경고)

 

한국 고객예탁금, 66.6조원 -0.5조원

 

한국 백신 접종률 11.7%(0.0%p, 집단면역 70%)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01%

1개월 NDF 환율 1,117.45원 (+0.65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미래에셋증권] 해외 금융시장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02-3774-1621)

 

◆ 미국 증시

- DOW: 34393.75p (-85.85p, -0.25%)

- S&P500: 4255.15p (+7.71p, +0.18%)

- NASDAQ: 14174.14p (+104.72p, +0.74%)

 

◆ 한국 관련

- MSCI 한국지수 ETF: 92.97p (+0.33p, +0.36%)

- MSCI 이머징지수 ETF: 55.46p (+0.17p, +0.31%)

  Eurex kospi 200: 432.35p(+0.05p. +0.01%)

- NDF 환율(1개월물): 1,117.45원 / 전일 대비 1원 상승 출발 예상

 

◆ 외환시장

- 달러인덱스: 90.507 (-0.048, -0.05%)

- 유로/달러: 1.2119 (+0.001, +0.08%)

- 달러/엔: 110.09 (+0.43, +0.39%)

- 파운드/달러: 1.4107 (0, 0%)

 

◆ 미국 국채시장

- 2년물: 0.159% (+1.2bp)

- 5년물: 0.7854% (+4.7bp)

- 10년물: 1.4956% (+4.4bp)

- 30년물: 2.1822% (+4.4bp)

(국채선물)

- 2YR T-Notes: 110*10   (-0*00 3/4, -0.02%)

- 5YR T-Notes: 123*30   (-0*05 3/4, -0.14%)

- 10YR T-Notes: 132*16 1/2 (-0*10 1/2, -0.25%)

- US T-Bonds: 158*19   (-0*20 , -0.39%)

- Ultra US T-Bonds: 188*14   (-1*12 , -0.72%)

 

◆ 상품시장 ($, 단 곡물, 구리는 센트)

- WTI: 70.88 (-0.03, -0.04%)

- 브렌트유: 72.86 (+0.17, +0.23%)

- 금: 1865.9 (-13.7, -0.73%)

- 은: 28.039 (-0.107, -0.38%)

- 아연(LME, 3M): 3044.5 (0, 0%)

- 구리: 452.7 (-1.05, -0.23%)

- 옥수수: 581.25 (-28.5, -4.67%)

- 밀: 679 (-6.75, -0.98%)

- 대두: 1395.25 (-43.5, -3.02%)

- BDI: 2857 (+188, +7.04%)

 

*동 자료는 2021년 6월 15일 미래에셋증권 홈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를 요약한 것입니다.

 

글로벌 주식시장 변화와 전망(6월 15일)

미래에셋증권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02-3774-1621)

 

FOMC 보다 실적 관련 소식에 민감한 하루

 

미 증시는 경제 정상화 기대에도 불구하고 고점 부담으로 매물이 출회되며 보합 출발. 특히 다이먼 JP모건 CEO가 올해 실적 추정치를 하향 조정 하자 금융주가 낙폭을 확대했으며, 바이든 행정부의 인프라 법안 논란 속 철강 업종이 급락하자 다우는 부진. 다만, 개별 기업 중심으로 실적 개선 관련 재료가 부각된 기술주가 강세를 보였고, 장 마감 앞두고 경제 정상화 기대 속 반등이 이어지자 견고한 모습을 보이며 혼조 마감(다우 -0.25%, 나스닥 +0.74%, S&P500 +0.18%, 러셀2000 -0.41%)

 

 

변화 요인: ①컨텍트 관련주 부진 ②금융주 하락 원인

 

http://securities.miraeasset.com/bbs/maildownload/2021061505460518_156

 

 

 

[한투증권 박소연] 21.06.15 GIS daily

 

요약: 영국 델타 변이 확산과 FOMC 경계감에 가치주 약세

 

==============

 

- 뉴욕증시 FOMC 경계감 속 혼조 마감. 국채금리 반등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가치주보다 성장주가 우세했던 하루. 영국이 코로나 변히 바이러스 확산으로 당초 6월 21일 예정했던 봉쇄해제 시점을 4주 미룬다고 발표한 것도 경제재개 관련주에 악재로 작용

 

- 면화(-2.3%), 대두(-2.4%), 옥수수(-3.7%) 등 농산물 가격이 큰 폭 하락했고 구리(-0.2%), 은(-0.4%) 등 금속가격도 약보합

 

- 우리시간 17일(목) 새벽에 발표될 6월 FOMC 결과문에서는 경제지표 전망치와 점도표 상향 여부가 가장 큰 이슈. 지난 3월 점도표에서는 연준이사 18명 중 14명이 2022년까지 제로금리 유지에 베팅했고 11명은 2023년까지도 제로금리 유지 의견이었음. 이번에 몇명이나 의견을 바꿀지가 관건.

 

- 유명 헤지펀드 매니저 폴 튜더 존스는 CNBC 인터뷰에서 연준이 물가 상승세를 무시하는 태도를 보인다면 인플레 베팅에 올인할 것이라면서 원자재, 금, 가상화폐에 청신호라고 주장

 

- 기술주들이 전체적으로 강세. 아마존(+1.1%), 엔비디아(+1.1%), 페이스북(+1.7%) 등 대표 성장주들이 강세를 보였고 테슬라(+1.3%), 스퀘어(+5.3%), 마이크로스트래터지(+15.9%) 등 비트코인 보유회사들이 급등. 일론 머스크가 채굴에 재생에너지를 사용한다면 비트코인 결제를 다시 허용할 수 있다고 발언하며 비트코인 가격이 4만달러까지 반등했기 때문

 

- 반면 포드(-2.7%), 시티그룹(-1.7%), 캐터필라(-0.8%), 카니발(-3.9%), 트립어드바이저(-5.5%) 등 가치주/경제재개 수혜주군들은 하락

 

- 유럽증시는 강보합 마감. 자동차/여행/레저 등 경제재개 수혜주군 하락했지만 로얄더치셸(+2.8%) 등 에너지주 강세

 

 

[한투증권 박소연] 21.06.15 오늘의 칼럼

 

비트코인 회계처리 골치, 테슬라 역풍 맞나 (WSJ)

 

===============

 

- 일론 머스크의 변덕 때문에 크립토 시장의 변동성이 더 커지고 있다. 한 달 전 일론 머스크는 테슬라가 비트코인을 차량 구매용으로 받지 않을 것이라고 발표하고, 트위터에 깨진 하트를 그려 넣으면서 비트코인 투매를 부추겼다. 그러나 일요일에는 다시 비트코인 채굴자들이 재생 에너지를 사용한다면 비트코인 거래를 재개할 것이라고 발표해 시세를 급등시켰다.

 

- 테슬라는 1분기 말 기준 약 13억 달러의 비트코인을 보유하고 있는데 소프트웨어 개발회사인 Microstrategy, 결제 앱 제공업체인 Square 등 몇몇 회사도 비트코인을 가지고 있는 상태다. 그러나 문제는 이 회사들이 회계처리 위험에 직면하고 있다는 점이다.

 

- 비트코인 등 디지털 자산은 통화가 아닌 '무형자산'으로 간주되기 때문에 일시적으로 매수가보다 떨어질 수 있다. 이렇게 되면 회사가 손상차손(imparement charge)을 인식해야 한다. 그런데 반대로 가격이 오르더라도 회사는 이익으로 기재할 수 없다. 자산을 매각할 때에만 이익을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다.

 

- 2월 가트너 조사에 의하면 CFO 중 84%가 아직 비트코인을 보유할 계획이 없다고 답했다. 테슬라의 비트코인 매수 평균단가가 얼마인지는 명시되지 않았지만, 약 3만 5천달러선에서 매수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지금 현재 가격이 그 정도인데 비트코인이 3만 달러 미만으로 하락하면 손상차손 인식이 매우 커질 수도 있다. 비트코인 보유가 순풍(tailwind)에서 역풍(headwind)으로 바뀔 수 있는 것이다.

 

 

[6/15 미국 증시 리뷰 및 평가, 키움 전략/시황 한지영]

 

1. 미국 증시 리뷰

 

14일(월) 미국 증시는 지수 레벨 부담과 6월 FOMC 경계심리가 상존한 가운데, 경기 민감주 관련 업종 위주로 차익실현 압력을 받으면서 장중 부진한 주가흐름을 보임.

 

다만 장 후반 이후 단기적인 금리 상단 제한 인식 속 기술 및 성장주를 중심으로 반등에 나서면서 혼조세로 마감(다우 -0.3%, S&P500 +0.2%, 나스닥 +0.7%).

 

업종별로는 기술(+1.0%), 커뮤니케이션(+0.7%), 부동산(+0.4%) 등이 강세, 소재(-1.3%), 금융(-1.0%), 산업재(-0.5%) 등이 약세.

 

현재 미국에서는 관광객수 회복, 코로나 확진자 감소추세 지속 등 코로나 국면이 진정되고 있는 모습.

 

그러나 영국에서는 인도발 변종 코로나로 인해 최근 신규 확진자가 8,000명대로 증가함에 따라, 사회적 거리두기 전면 해제를 7월 19일로 연기(기존 6월 21일)하기로 결정하는 등 유럽내 코로나 확산 우려가 경기 민감주들의 차익실현 명분을 제공.

 

반면 기술, 성장주들은 테슬라(+1.3%), 애플(+2.5%) 등 대표주들의 개별호재성 재료에서 기인한 주가 강세 및 시장금리 상승 부담 완화 등에 힘입어 상대적으로 양호한 주가 흐름을 보임.

 

2. 미국 증시 평가

 

지난 10일(목) 미국 소비자 물가 발표 이후 인플레이션에 대한 안도감이 시장 참여자들 사이에서 우위에 있는 모습이지만, 이를 둘러싼 불안심리는 완전히 해소되지 못한 상황.

 

뉴욕 연은에서 소비자 대상으로 실시한 향후 1년 인플레이션 전망치는 4.0%으로 전월(3.4%)에 비해 상승하면서,집계 이후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후 수개월 동안에는 수시로 인플레이션 노이즈가 시장에 부각될 것으로 판단.

 

15~16일(현지시간) 예정된 6월 FOMC에서는 직접적인 정책 변화는 없을 것으로 보이지만, 향후 정책 변화에 대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있는 만큼 금번 회의 결과를 주시할 필요.

 

또한 6월 FOMC 이후 블랙아웃 기간이 해제됨에 따라, 5월 근원 소비자 물가 급등에 대한 연준 위원들의 진단도 짚고 넘어가야할 요인이라고 판단.

 

[6/15 한국 증시 리뷰 및 전망, 키움 전략/시황 한지영]

 

1. 한국 증시 리뷰

 

14일(월) 코스피는 미국 소비자물가 이후 안도감 지속, 미국 금리 하락 등으로 언택트, 제약 및 바이오주들이 강세로 상승 출발.

 

이후 6월 FOMC 경계심리 속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순매도로 대부분 시가총액 상위 대형주들이 약세압력을 받으면서 장중 정체된 주가흐름을 보임.

 

다만 장 후반 외국인의 순매도 규모 축소에 힘입어 상승 흐름을 연출하면서 종가 기준으로 사상최고치(3,252pt)를 경신(코스피 +0.1%, 코스닥 +0.6%).

 

업종별로는 종이목재(+3.0%), 서비스(+2.2%), 의약품(+2.0%) 등이 강세, 증권(-1.0%), 금융(-0.8%), 보험(-0.7%) 등이 약세.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03억원, 3,330억원 순매도, 개인이 3,515억원 순매수를 기록

 

2. 한국 증시 전망

 

한국 증시에서는 미국 기술주 강세에 영향을 받아 금리 민감도가 완화된 인터넷, 바이오 등 성장주들로 순환매가 일어나면서 장중 강세 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상.

 

현재 업종 뿐만 아니라 테마 측면에서도 뚜렷한(or 무거운) 주도 테마가 부재한 상황이므로, 개별 이슈에 따라 테마주들 간에도 빠른 순환매가 일어날 것으로 판단.

 

장중에 코스피는 신고가를 재차 경신할 가능성이 있지만, 금일 장 마감 후 미국 소매판매, 산업생산, 생산자 물가 등 미국의 주요 경제 지표 발표가 집중되어 있는 만큼, 이를 둘러싼 관망심리가 외국인 수급에 영향을 주면서 전반적인 증시 상단을 제약할 것으로 전망.

 

 

https://www.kiwoom.com/h/inv

 

 

 

[2021.06.14 (월) 필라델피아 반도체] 하나금융투자 반도체 애널리스트 김경민, CFA

 

전일 대비 +1.41%, 3,255선 마감

상승주 30, 하락주 0

 

다우 -0.25%, S&P 500 +0.18%, 나스닥 +0.74%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지난주 목, 금요일에 이어 월요일에도 상승. FOMC 회의 앞두고 관망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전반적 분위기가 나쁘지 않았음. 10년물 국채 금리의 반등이 1.5024%선까지 제한되어 반도체를 비롯한 기술주의 투자 심리에 긍정적 영향. 오후장에서 10년물 국채 금리가 점점 오르자 이에 맞춰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도 3,255선에서 3,232선까지 하락했다가 장 막판에 다시 3,255선까지 상승하며 마감

 

전방산업에서 게임 시장 관련 호재가 반도체 업종의 투자 심리에 긍정적 영향. 아마존은 6/21~22 프라임 데이 이벤트의 일환으로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 '루나'를 아마존 프라임 서비스 가입자 모두에게 7일간 무료 제공하기로 결정. 루나의 요금은 월 5.99달러이고, 만약 14.99달러를 지불하면 유비소프트 플러스 베타 채널로 업그레이드 가능. 아마존의 '루나'는 마이크로소프트의 xCloud 및 구글의 Stadia와 경쟁

 

한편 시장조사기관 NPD Group에 따르면 2021년 5월 비디오게임 시장의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 증가한 44.5억 달러 기록. 3% 성장률은 낮아 보이지만, 전년 동기에 코로나 영향으로 비디오게임 수요가 워낙 견조했었기 때문에, 이번 5월에 상대적으로 역기저가 예상되던 상황에서 발표된 수치이므로 시장의 피드백은 긍정적. 각 분야별로 전년 대비 매출 증가율은 주변 기기 판매 -8%, 하드웨어 판매 +5%, 게임 content 판매 +3% 기록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의 편입 종목이 모두 상승한 가운데 가장 크게 상승한 업종은 5G 관련주. 화합물 반도체 공급사 Two Six +3.91% 기록, Cree +3.29% 기록. 통신장비용 칩 공급사 Marvell Technology +3.26%. 모바일 기기용 통신 칩 공급사 퀄컴 +2.00% 기록. 이와 반대로 전통적 대형주는 상대적으로 완만하게 상승. 인텔 +0.59%, AMD +0.30%, 텍사스 인스트루먼트 +0.84% 기록

 

메모리 반도체 및 스토리지 업종에서 마이크론 상승. 마이크론 주가는 6월 9일 수요일에 80달러를 하회한 이후 목, 금요일까지 80달러 미만으로 종가 마감 이후 월요일에 80.48달러로 마감. 마이크론 +1.45%, WDC -0.09%, 실리콘 모션 +1.33%, Seagate -2.18%

 

[CPU & GPU] 인텔 +0.59%, AMD +0.30%, 엔비디아 +1.09%

 

[파운드리 ADR 및 후공정] TSMC +2.32%, UMC +0.63%, Amkor -0.08%,

 

[장비] ASML ADR +1.76%, AMAT +1.62%, 램리서치 +1.27%, KLA +1.59%, 테라다인 +2.73%

 

[5G] 퀄컴 +2.00%, Skyworks +1.58%, 코보 +0.89%, 브로드컴 +1.09%, Two Six +3.91%

 

[아날로그] TXN +0.84%, ADI +0.50%, NXP +1.21%, 마이크로칩 +1.08%, 온세미 +1.43%

 

[공정소재] 캐봇 마이크로 +3.69%, 인테그리스 +2.53%

 

[웨이퍼] 신에츠화학 +2.4%, Sumco +1.0%, Globalwafers (대만휴장)

 

감사합니다.

 

 

 

———————————

하나금투 IT 김록호/김현수

———————————

 

6/15(화) 하나 테크 헤드라인

 

<주요 뉴스>

 

# "갤럭시Z폴드3, 8월 3일 공개 후 27일 출시"

 

삼성전자의 차기 폴더블 스마트폰인 '갤럭시Z폴드3'와 '갤럭시Z플립3'이 8월 3일 공개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https://bit.ly/3iIpiTs

 

<기타 뉴스>

 

# 중국, 작년 디스플레이 산업 매출 20% 성장

 

지난해 중국 디스플레이 산업 규모가 20% 성장했다는 주장이 나왔다. 

 

https://bit.ly/3wkgabv

 

# 이수페타시스, 이수엑사보드 PCB 사업 철수 공식화

 

인쇄회로기판(PCB) 업체 이수페타시스가 종속회사인 이수엑사보드 PCB 사업 철수를 11일 공식화했다. 

 

https://bit.ly/3zq792C

 

# 갤럭시S22, 올해 나온 갤럭시21보다 작아질 전망

 

삼성전자 갤럭시S22의 디스플레이가 올해 나온 갤럭시S21보다 작아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https://bit.ly/3cGQI8t

 

 

<글로벌 업체 주가 동향>

 

애플   +2.46%

샤오미  

ZTE 

레노버 

  

무라타   +1.58%

타이요유덴  +3.29%

야교 

Ibiden   +0.72%

Shinko   +1.26%

  

인텔  +0.59%

마이크론   +1.45%

TSMC  +0.50%

퀄컴   +2.00%

미디어텍 

  

UDC   -2.93%

BOE  

AUO 

  

Tesla   +1.28%

CATL  

Umicore  +0.47%

Albemarle  -1.08%

 

(위 내용은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득함)

★하나IT텔레그램: https://t.me/ITforYouFromHana

 

 

 

 

[메리츠증권 전기전자/2차전지 주민우]

 

★ 2차전지 주요 뉴스 (2021.6.15)

 

SK이노베이션, 중국 롱바이테크놀로지 양극재를 신규 배터리에 적용할 계획. 니켈 함량 80% 이상의 하이니켈 제품 대상으로 롱바이테크놀로지는 현재 2025년까지 6,000억원을 투자해 연간 약 6만 5,000톤 규모의 양극재 공장 건설 중. 향후 에코프로비엠이 NCM9와 같은 고급 제품을 담당하고 롱바이테크놀로지가 중저가 제품군을 담당할 전망 (디일렉)

https://bit.ly/3wqjh1G

 

인도네시아, 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2050년이후에는 모두 전기차와 전동이륜차만 판매할 계획 공개. 인도네시아에서는 지난 10년간 평균 연간 650만대의 이륜차와 100만대의 승용차가 판매되었으며 도네시아 국내에서 이용되는 승용차는 1,500만대 이상이며 이륜차는 1억1,200만대. 현재는 내연기관차를 금지하는 정책은 없고 인센티브만 제공하는 상황 (Reuters)

https://reut.rs/3iI7gQX

 

뉴질랜드 정부, 7월부터 전기차 및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구입에 최대 $8,625 보조금을 지급할 예정. 보조금에는 중고 차량도 포함되며 구체적으로 새로운 전기차 $8,625, 새로운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5,750, 중고 전기차 $3,450, 중고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2,300 제공. 뉴질랜드 정부의 목표는 새로운 차량 판매에서 전기차의 비율이 2029년까지 50%, 2032년까지 100% 도달 (Electrive)

https://bit.ly/3wp0XGh

 

SK이노베이션, 현재 양산 중인 파우치형 배터리에 더해 각형 배터리 연구개발 착수. 각형 개발 계획은 세계 최대 완성차 업체이자 SK이노의 주요 고객사인 폭스바겐의 각형 배터리 표준 채택 이후 본격적으로 추진. 각형 배터리 개발은 향후 SK이노의 수주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전망 (뉴스토마토)

https://bit.ly/3vygYZj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영국 보다폰, 5G 네트워크 장비 공급업체로 삼성전자 선정"

송고시간2021-06-14 21:35

출처: <https://www.yna.co.kr/view/AKR20210614149500081>

 

 

 

 

 

'누출 신고' 중국 원전에 비활성 기체 축적…"문제 해결 중"

송고시간2021-06-15 01:54

출처: < https://www.yna.co.kr/view/AKR20210615002900081?input=1195m>

 

 

"미국서도 델타변이 빠르게 확산..가을에 새로운 확산 부를수도"

정성호 입력 2021. 06. 15. 03:09

전 FDA 국장 경고..항공여객은 팬데믹 후 처음 200만명 넘기며 새 기록

출처: < https://news.v.daum.net/v/20210615030936756>

 

 

윤석열, 이르면 다음 주부터 ‘전국 민심 투어’

기사입력 2021.06.14. 오후 7:44

출처: < https://news.naver.com/main/ranking/read.nhn?mode=LSD&mid=shm&sid1=001&oid=449&aid=0000210257&rankingType=RANKING>

 

 

 

금감원, 암호화폐 거래소에 '코인 살생부' 요청

최소 ISMS 받은 20곳 거래소에 e메일

"투자 유의 종목·상폐 리스트 제출해라"

7~16일 유의종목, 거래지원 중단 리스트 제출

당분간 매일 유의종목 등 제출 요청도

당국 "관리감독 위한 시장 상황 파악 차원"

도예리 기자,이태규 기자

2021-06-14 16:58:03

출처: < https://decenter.kr/NewsView/22NMUHT4YU>

 

 

 

 

 

자율車 1대에 반도체 2천개씩…현대차 공급망 안정 나섰다

2021-06-14 17:47:17 

현대자동차그룹과 DB하이텍·키파운드리가 국산 차량용 반도체 공동 개발을 위한 첫발을 뗐다. 비교적 구조가 단순한 전력 반도체가 국산화의 첫 목표가 될 것으로 보인다.

출처: < http://vip.mk.co.kr/newSt/news/news_view.php?p_page=&sCode=21&t_uid=20&c_uid=1888377&topGubun=>

 

 

 

 

 

 

『하루를 여는 혁신투자자문 IPO News Letter💌 - 20210615』

 【 텔레그램 채널 주소 : https://t.me/KoreaIB

 【 IPO상장문의 및 이경준 대표 Contact ☞ 📧 ipo@kakao.com 】

 

===========================

 

 

★ 금일 IPO 일정 ★

 06/15~16 아모센스 청약🖨

 

☆ 금주 남은 IPO 일정 ☆

 06/15~16 아모센스 청약🖨

 06/17 라온테크 상장★

 06/18 이노뎁 상장★

 06/18 아모센스 납입🏧

 

 ------------------------------------------

 

▣ 기관IR 일정 ▣

 - 소규모 간담회로만 진행 中 -

 

▣ 상장 일정(예정, 변경가능) ▣

 06/17 라온테크(KB증권)

 06/18 이노뎁(하이투자증권)

 06/25 아모센스(신한금융투자)

 07/07 맥스트(하나금융투자)

 07/09 에브리봇(NH투자증권)

 07/13 오비고(NH투자증권)

 07/20 SD바이오센서(NH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 심사 승인 ▣

 - 플래티어(KB증권)

 - 딥노이드(KB증권)

 - 큐라클(삼성증권)

 - 크래프톤(미래에셋증권)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 국내 IPO 개별종목

■ 현대오일뱅크, 내년목표 상장 '3수 도전'

http://www.econotelling.com/news/articleView.html?idxno=5067

 

■ SKT 자회사, '코스피 상장' 원칙 정한 배경은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6111000244560108953&lcode=00&page=4&svccode=00

 

■ '버블'로 유명세 탄 SM 자회사 디어유 "하반기 내 IPO 추진"

https://www.sedaily.com/NewsView/22NMTB7G32

 

■ [시그널] 의료 AI 루닛 상장 파란불···‘AA' 등급으로 기평 통과

https://www.sedaily.com/NewsView/22NMSLX8K9

 

 

▶️▶️▷ IPOmarket(해외IPO포함)

■ 무턱대고 투자했다간… 공모주, 대박 노리다 ‘쪽박 주의보’

https://moneys.mt.co.kr/news/mwView.php?no=2021061117268099110

 

■ SKIET '따상' 실패→투자심리 위축… 공모주 살아날까

https://moneys.mt.co.kr/news/mwView.php?no=2021061116468070763

 

 

▶️▶️▷ 시장 이모저모

■ 은행 '실명계좌 인증' 안 풀려... 가상화폐 거래소 '줄폐업 위기감' 고조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1061316030001182?did=NA

 

 

▶️▶️▷ 시세/시황

[표]IPO장외 주요 종목 시세(6월 14일)

https://www.sedaily.com/NewsView/22NMTN3V0E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728x90
728x90

 

증시캘린더는 개인적으로 관련된 소식을 확인후 작성한 일정이라 변동 또는 오류의 소지가 있습니다.

참고시 유의하시고 배포시엔 블러그 링크로 공유해 주셔요.


 

728x90

'주요 증시 일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6월 17일(목) 증시캘린더  (0) 2021.06.17
6월 16일(수) 증시캘린더  (1) 2021.06.16
6월 14일(월) 증시캘린더  (0) 2021.06.14
6월 11일(금) 증시캘린더  (0) 2021.06.11
6월 10일(목) 증시캘린더  (0) 2021.06.10
728x90

 

주식투자 스터디를 위해 개인적으로 스크랩한 시황, 뉴스 자료를 공유합니다.

1) 노션 링크는 익스플로러에선 제대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크롬에 최적화 되어있으며, 엣지, 웨일에서도 잘 작동합니다.

 

2) 공유한 자료링크는 1~2일후 공유 해지 합니다.

 

게시물은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한 것이라

불확실하거나 오류가 많을 수 있으므로 투자 활용시 유의하시기 바라며, 개별적인 종목 추천이나 상담은 하지 않습니다.

 

모쪼록 제 공간에 오신 모든 분들이 주식스터디를 통해 인생 한 방보다, 꾸준함을 믿으며...

복리의 마법으로 모든 분들이 성공한 개인투자자가 되시길...

 


2021년 6월 14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G7이 글로벌 공급망 내 강제노동 근절을 촉구하며 중국을 압박했습니다.

 

(2) 반도체 부족이 계속되며 자동차 핸셋 생산이 차질을 빚고 있습니다.

 

(3) 빌 게이츠가 메타물질에 투자하는 벤처펀드 자금 1억달러를 조성했습니다.

 

미 5년 breakeven rate 2.446%, -0.044%p (2% 상회시 유의, 2.5% 상회시 경고)

 

한국 고객예탁금, 67.1조원 +2.1조원

 

한국 백신 접종률 11.7%(+0.6%p, 집단면역 70%)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08%

1개월 NDF 환율 1,112.60원 (-2.90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06/14 Kiwoom Weekly, 키움 전략/시황 한지영]

 

"After CPI, 두 번째 고비를 치러야 하는 주간"

 

한국 증시는 1) 6월 FOMC, 2) 미국과 중국의 5월 소매판매, 산업생산 등 주요 경제 지표를 앞둔 대기 심리에 영향을 받으면서 박스권 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상.

 

단기적으로는 인플레이션 불안심리가 완화됐으나, 6월 FOMC에서의 연준의 물가와 경기 전망 변화 여부를 둘러싼 불확실성이 해소되지 않은 상황이라는 점에 주목할 필요 (주간 예상 코스피 레인지 3,210~3,260pt)

 

5월 이후 미국의 기대인플레이션과 시장금리가 모두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 것은 안전자산선호심리 확산의 성격보다는, 고 인플레이션이 일시적일 것이라는 전망으로 시장 참여자들의 무게 중심이 이동했다고 판단.

 

그러나 일시적”에 해당하는 기간에 대한 불확실성이 남아있는 가운데, 연준 위원들 사이에서도 인플레이션 판단, 테이퍼링 시점을 둘러싸고 여전히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는 점은 경계할 필요.

 

6월 FOMC(한국시간 17일 목요일 새벽 발표) 결과를 확인하기 까지는 경계심리를 유지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

 

직접적인 정책 변화는 없겠지만, 점도표 변화 및 테이퍼링에 대한 성명서 상 스탠스 변화 등 확인하고 넘어가야할 사안들이 존재하기 때문.

 

15일(화) 발표 예정인 미국의 5월 생산자물가지수, 소매판매, 산업생산 등 주요 경제지표에도 주목해야할 관전 포인트.

 

해당 지표들이 서프라이즈를 기록 시 미국 경기 과열 우려, 연준의 조기 테이퍼링 논란이 부상됨에 따라, 이틀 후 6월 FOMC까지 시장 불확실성을 추가적으로 확대시킬 가능성에 유의.

 

결론적으로 대외 불확실성을 유발한 이벤트들이 집중되어 있는 것은 사실.

 

또한 지난주 후반 한은 총재의 매파적 발언 이후 연내 금리 인상의 기정 사실화로 인한 국내 금리 상승세가 고밸류에이션 국내 성장주들에게 단기적으로 부담이 될 수 있음.

 

그러나 백신 접종 확대에 따른 경제 정상화 기대감 유효, 6월 1~10일 수출지표(+40.9%YoY) 상으로 확인된 국내 수출 대형주들의 2분기 호실적 기대감 지속 등은 금주 전반적인 국내 증시의 하방 경직성을 확보시켜 줄 것으로 전망.

 

https://www.kiwoom.com/h/invest/research/VMarketSWDetailView?sqno=529

 


[한투증권 박소연] 6월 셋째주 GIS weekly

 

지난 주 S&P500이 다시 한 번 사상 최고가를 경신했습니다.

 

그러나 매우 확연한 현상은 중소형주가 좀 더 강했다는 것인데요. 중소형주 전체를 포괄하는 Russell2000이 1% 올랐고, 중형주인 iShares S&P Midcap 지수는 0.75% 상승했습니다.

 

이것은 현재 모든 정책적 초점이 내수경기 활성화에 맞추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백신 접종도 원인이겠지만 글로벌 최저 법인세 15% 도입도 사실 미국 내로 세수를 끌어오기 위해서죠.

 

ETF로 보면 중소형주(IWN, IWO, IWN), 중형주(IJH, IJK, IJJ) 등이 내수 중소형에 집중 투자하는 형태입니다.

 

테이퍼링 논란, 법인세 인상, 중국 반덤핑 제재 등 시끄러운 뉴스들이 많지만 오히려 이럴 때 내수/중소형주들은 더욱 돋보일 수 있는 기회 아닐지요. 일요일 오후 편안하게 마무리 하세요. 감사합니다.

 

============

 

▲ 주말 해외동향 : S&P500 사상 최고치 재차 경신. 물가 급등은 중고차/주거렌트 등 제외하면 일시적이라는 의견에 긴축 우려 완화. 미국채 10년물 금리 1.45%에서 안정적

 

- 엔비디아(+2.3%), 줌비디오(+5.7%), 펠로톤(+6.6%) 등 대표 성장주 강세. VF(+4.6%), 카프리홀딩스(+5.0%), 코티(+4.3%) 등 의류/악세사리/화장품 등 소비재도 강세

 

- 반면 캐터필라(-2.2%), 보잉(-0.4%), 시티그룹(-0.5%) 등 산업재/은행 등 시클리컬 약세. 전체적으로 성장이든 가치든 중소형주가 강한 경향

 

- 유럽증시도 상승 마감. 스페인 호텔 체인 멜리아(+2.0%) 15개월만에 흑자 전환 예고해 여행/레저 강세

 

▲ 52주 신고/테마 : 하드웨어/반도체(엔비디아, 시스코, 주니퍼), SW/플랫폼(알파벳, 어도비, 인튜이트), 바이오/의료기기(알렉시온, 애질런트, 워터즈), 원자력(카메코), 차량공유/대여(에이비스), 부동산/리츠(프롤로지스, 퍼블릭스토리지), 금융서비스(나스닥, 무디스, 블랙스톤)

 

▲ 종합판단 : 6월 FOMC까지 테이퍼링 경계감에 답보상태 보일 것. 그러나 경제재개 수혜주들 점진적 상승세 이어질 전망. 소비재/음식료, 자동차, IT 등 점진적 비중 확대

 

- 금주 일정 : 16일(수) FOMC 통화정책회의

 

 

 

[미래에셋증권] 해외 금융시장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02-3774-1621)

 

◆ 미국 증시

- DOW: 34479.6p (+13.36p, +0.04%)

- S&P500: 4247.44p (+8.26p, +0.19%)

- NASDAQ: 14069.42p (+49.09p, +0.35%)

 

◆ 한국 관련

- MSCI 한국지수 ETF: 92.64p (-0.04p, -0.04%)

- MSCI 이머징지수 ETF: 55.29p (-0.19p, -0.34%)

  Eurex kospi 200: 431.70p(-0.35p. -0.08%)

- NDF 환율(1개월물): 1,116.45원 / 전일 대비 5원 상승 출발 예상

 

◆ 외환시장

- 달러인덱스: 90.555 (+0.48, +0.53%)

- 유로/달러: 1.2109 (-0.0061, -0.5%)

- 달러/엔: 109.66 (+0.33, +0.3%)

- 파운드/달러: 1.4107 (-0.007, -0.49%)

 

◆ 미국 국채시장

- 2년물: 0.1469% (+0.4bp)

- 5년물: 0.7387% (+2.7bp)

- 10년물: 1.4518% (+2bp)

- 30년물: 2.1379% (+1.1bp)

(국채선물)

- 2YR T-Notes: 110*11   (0*00 , 0%)

- 5YR T-Notes: 124*03 3/4 (-0*02 3/4, -0.07%)

- 10YR T-Notes: 132*27   (-0*03 , -0.07%)

- US T-Bonds: 159*07   (-0*03 , -0.06%)

- Ultra US T-Bonds: 189*26   (+0*02 , +0.03%)

 

◆ 상품시장 ($, 단 곡물, 구리는 센트)

- WTI: 70.91 (+0.62, +0.88%)

- 브렌트유: 72.69 (+0.17, +0.23%)

- 금: 1879.6 (-16.8, -0.89%)

- 은: 28.146 (+0.115, +0.41%)

- 아연(LME, 3M): 3044.5 (+49.5, +1.65%)

- 구리: 453.75 (+5.25, +1.17%)

- 옥수수: 609.75 (-6.75, -1.09%)

- 밀: 685.75 (-4, -0.58%)

- 대두: 1438.75 (-20.75, -1.42%)

- BDI: 2857 (+188, +7.04%)

 

*동 자료는 2021년 6월 14일 미래에셋증권 홈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를 요약한 것입니다.

 

글로벌 주식시장 변화와 전망(6월 14일)

미래에셋증권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02-3774-1621)

 

인프라 투자 기대와 FOMC 앞둔 관망세

 

미 증시는 양호한 소비 심리 지표 및 인프라 투자 법안에 대한 기대 심리로 상승 출발. 소매판매, 금융주, 인프라 관련주가 상승 했으나 기술주가 부진한 가운데 최근 강세를 보인 제약, 바이오주의 낙폭이 확대되자 장중 하락 전환. 그러나 FOMC를 앞두고 인플레 압력이 완화되고 있다는 점이 부각되자 상승 전환. 이후 변화가 제한된 가운데 강 보합권 등락을 보였고, 장 마감 직전 상승폭 확대 마감(다우 +0.04%, 나스닥 +0.35%, S&P500 +0.19%, 러셀2000 +1.06%)

 

변화 요인: ①미 국채 금리 ②인프라 법안 ③바이오젠 

 

http://securities.miraeasset.com/bbs/maildownload/2021061314401234_156

 

 

 

 

 

 

 

[속보] 머스크 에너지 문제 해결되면 비트코인 결제 허용할 것

기사입력 2021.06.14. 오전 6:07

출처: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421&aid=0005412001>

 

 

 

이스타항공 우선매수권자는 ‘성정’

신문B4면 TOP 기사입력 2021.06.14. 오전 3:03

 

출처: <https://news.naver.com/main/ranking/read.nhn?mode=LSD&mid=shm&sid1=001&oid=020&aid=0003363723&rankingType=RANKING>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2달만에 美 재방문

서형석 기자 입력 2021-06-13 13:22

출처: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10613/107405992/1>

 

 

베일 벗는 한은 'CBDC', 금융권에 '개봉 박두'

파이낸셜뉴스입력 2021.06.13 06:00

출처: <https://www.fnnews.com//news/202106112100341155>

 

 

더네이쳐홀딩스, 테일러메이드 인수 참여.. SI 선정

이선목 기자 입력 2021. 06. 13. 20:36

출처: < https://news.v.daum.net/v/20210613203630866>

 

 

H&M·TSMC, 中 反외국제재법 첫 희생양?

맹준호 기자 입력 2021. 06. 13. 15:01

신장면화 사용금지 다국적 기업

화웨이에 공급 중단 TSMC 등

"최우선 소송대상 될수도" 관측

출처: < https://news.v.daum.net/v/20210613150119930>

 

 

"G7, 중국 대응 둘러싸고 심각한 이견" 미 고위 관계자

송경재 입력 2021. 06. 13. 05:34

출처: < https://news.v.daum.net/v/20210613053453393>

 

 

 

'페이코인, 업비트서 거래 제한..'코인 정리'에 투자자 부글부글

이설영 입력 2021. 06. 13. 15:42

출처: < https://news.v.daum.net/v/20210613154201881>

 

 

"페이스북이 스마트워치를?"…빅테크 왜 '웨어러블' 뛰어드나

기사입력 2021.06.12. 오후 8:02

출처: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9&aid=0004808163>

 

 

백신 접종 믿고 마스크 벗고 놀던 英…석 달 만에 '충격'

입력2021.06.12. 오전 10:51

변이 코로나에 하루 확진 8000명대

최근 영국 코로나19 감염자가 치솟은 이유는 인도발 변이 바이러스인 '델타' 변이가 급속도로 퍼지면서다.

맷 행콕 영국 보건장관은 10일 신규 확진 사례의 91%가 델타 변이 감염자라고 했다. 영국 잉글랜드 공중보건국(HPE)에 따르면 델타 변이가 자국 켄트발 변이인 '알파'보다 전파력이 64% 높고 감염 시 입원 확률도 알파의 2배라고 밝혔다.

영국 정부는 이달 21일로 예정된 봉쇄 해제 시점을 최대 4주 미루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출처: <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4561436>

 

 

 

 

 

 

[하나금융투자 중국/신흥국전략 김경환]

* 텔레그램 채널 : https://t.me/HANAchina

 

•중국 주말에는 무슨 일이?

 

★거시경제/정책/자본시장★

 

■영국 G7 회의, 중국 일대일로 대응할 인프라 계획 합의 (2일차) : 영국에서 진행 중인 G7 2일차 회의에서 바이든은 각국 정상들과 중국과의 전략적 경쟁을 논의하면서 중국의 일대일로 전략에 대응하는 글로벌 인프라 계획, 사업명 B3W(Build Back Better World) 계획에 합의했다고 발표. 동 계획은 저개발국과 개발도상국이 겪고 있는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2035년까지 누적 40조달러 규모의 인프라를 제공하는 방안. 한편, 13일까지 회의에서 G7은 신장 자치구 인권 문제와 코로나19 기원 조사 등 중국을 겨냥한 합의사항을 발표할 전망. ▶️코멘트 : G7에서 신장 인권 문제 포함은 예상된 것이며 대만 관련 최종 합의는 주목할 필요. 일명 B3W 구상은 당초 예상을 뛰어넘는 규모이며 미중 양국이 각자 공급망을 구축하는 가운데, 미국이 개발도상국과 중국 주변국에 대한 정치경제적 영향력 확대를 위한 대응을 시작하면서 일대일로와 함께 새로운 인프라 투자 붐이 해당 지역을 중심으로 펼쳐질 가능성. 미중 투자 경쟁의 접점에 있는 국가와 영역에 대한 면밀한 모니터링이 필요한 시점.

 

■중국정부, 비철금속 국가비축분 방출 시사 : 중국 국가비축국은 2021년 연말까지 매월말 구리, 알루미늄, 아연 등 비철금속 비축분을 전방산업 기업에게 최소 조건으로 방출할 예정. 구리의 경우 현재 중국 국가 비축분은 총 200만톤이며 2006년 이후 방출한 적은 없음. 기타 비철금속 역시 최근 15년간 비축량 대비 방출량은 극히 적었음. 과거 방출 직전 비철금속 가격은 하락했으나, 방출 이후 오히려 상승했던 패턴. 현지 증권사들은 방출로 인한 시장가격 영향은 중기적으로 크지 않을 것으로 평가.

 

■광동성 불산(佛山)시 확진자 차단 위해 교통시설 10일간 폐쇄 : 불산공항 12-22일까지 전체 항공편 취소, 기타 지역과 연결되는 기차, 지하철, 버스 운행 중단. 이밖에 일반 택시, 렌터카, 차량 공유서비스. 한편, 11일 중국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본토 8명 발생 모두 광동성 지역.

 

■상무부 등 17개 부처 연합 <농촌지역 상업시스템 강화와 농촌 소비 촉진을 위한 의견> 발표 : 농촌 소비와 비즈니스 활성화를 위한 정책을 발표. 농촌 상업시설 확대, 편의점 시설 고도화, 공동구매/우편/택배 등 유통 인프라에 5G/빅데이터 등 적용, 이커머스 활성화 등 방대한 내용.

 

■상무부, 중국 1-5월 FDI YoY+35.4% : 1-5월 중국 내 외자기업 신규 설립 18,49개로 YoY+48.6%, 실제 사용 FDI는 4,810억위안 규모

 

■중국 증감회 주석,IPO 시장 안정적으로 평가 : 이회만(易) 증감회 주석, 중국 IPO 시장 안정적이라 전하며, 5월 말까지 과창판에 상장된 회사는 총 282개(시가총액 4.1조위안), IPO 공모금액은 3,615억위안으로 같은 기간 A주 IPO 공모금액의 40%를 넘어섰다고 발표. 2020년 과창판 상장사 순이익은 YoY+59%로 전체 시장보다 월등히 높았음.

 

■전인대 상임위, <중화인민공화국 반외국제재> 최종 통과 : 핵심 내용 (제3조) 어떤 국가라도 어떤 빌미를 가지고 중국 내정 간섭에 반대. 외국국가가 국제법과 국제관계를 위반해 각종 이유를 빌미로 중국과 국민을 제재할 경우 중국은 상응하는 조치를 취할 수 있음 ▶️코멘트 : 중국정부가 미국과 유로존 제재에 대한 보호장치를 만들어 어제 전인대 상임위에서 최종 공표. 중국 관련 제재에 동참하는 국가의 중국내 외자기업들은 난감한 상황이 연출될 가능성.

 

■후베이성, 우한 제외한 전체 성내 지역 호적 제한 폐지 : 2021년 신형도시화 관련 지침에 따라 우한시 제외한 모든 도시의 호적제한 폐지.

 

■중국 단오절 연휴기간, 단거리 여행 인기 : CCTV, 단오절 연휴기간 친척 방문, 단거리 여행이 주를 이루며 11일과 13일 이틀간 인파가 가장 많이 몰릴 것으로 예상. 현재 인기 노선 포함 대부분의 항공권이 50% 할인 중이며, 항공권 평균 가격은 30% 하락.

 

■중국 5월 강재 생산량 YoY+7.1% : 중국철강협회, 5월 철강 생산량 발표. 조강 9,808만톤으로 YoY+6.3%, 철 7,727만톤으로 YoY-0.1%, 강재 12,269만톤으로 YoY+7.1%. 5월 말, 철강업체 강재 재고량은 1,341만톤으로 YoY+0.9%, MoM-0.1%.

 

★산업/기업/정책★

 

■중국 세계 최대 반도체 소비국, 점유율 34.4% : CCTV, 2020년 세계 반도체 시장 규모 4,400억달러로 YoY+6.8%. 중국은 세계 최대 반도체 소비시장으로 시장 점유율 34.4% 차지. 미국, 유럽, 일본 시장 점유율은 각각 27.1%, 8.5%, 8.3%.

 

■중국 반도체 장비주 뜨거운 관심 : 광발증권, 중국 반도체 장비 산업 고속 성장 전망. 북방화창(식각/PVD/열처리/세척 등), AMEC(식각), 장천테크놀로지(테스트), 지순테크놀로지(세척), 화봉측공(테스트), 만업기업(이온주입), 정측전자(양측/테스트), 심원미(트랙)에 주목.

 

■중국 1분기 TWS 판매량 YoY+93% : 카운터포인트리서치, 1분기 전세계 TWS 이어폰 판매량 YoY+44%. 중국은 YoY+93%로 가장 큰 폭 성장, 북미 시장은 YoY+15%로 그쳤지만, 여전히 세계 최대 시장. 100달러 이상의 TWS 시장 점유율은 애플이 57%, 삼성이 17%

 

■중국 ‘탄소 중립’ 관련 투자자 관심 증가 : 류구이핑(劉桂平) 중앙은행 부총재, 탄소 중립 투자 냉정한 판단 권고. 탄소 중립에 필요한 투자 규모 150조~300조위안으로 연평균 3.8~7.5조위안 예상되며 막대한 자금 수요와 다양한 투자 기회로 국내외 투자자들의 관심 증가.

 

■중국 시멘트 업체 하절기 피크시간 교차생산 예정 : 중국 지린, 헤이룽장, 랴오닝성에 위치한 시멘트 업체들에 하절기 피크시간 교차 생산 통지. 지린, 헤이룽장 업체는 6월 10일부터 교차 생산 시작, 소성로 가동은 15일간 중단. 7월 중에도 15일간 교차 생산 진행 예정.

 

■화웨이, 2025년까지 완전자율주행 목표 : 제13차 중국자동차청서포럼에서 화웨이의 스마트카솔루션BU 왕쥔(王) 총재는 "화웨이의 스마트카그룹의 목표는 2025년 승용차에서 진정한 무인 자율주행을 실현하는 것"이라고 전함.

 

■니오 내년 신규 브랜드 ‘제미니’ 출시 : 니오, 내년 '제미니(Gemini)' 브랜드 출시 예정. 제미니가 니오의 저가형 전기차 브랜드가 될 것이라고 알려졌으나 고급형 브랜드 지위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

 

■2021년 글로벌 제약사 Top 50에 중국기업 5개 포함 : 중국기업은 운담백약(37위), 항서제약(38위), 중국생물제약(40위) 등 5개로 역대 최다

 

■중국 의료미용 시장 활황 : CICC, 2015-2019년간 중국 의료미용 산업 연평균 성장률 22.5%로 빠르게 성장. 1인당 진료 횟수, 침투율은 해외보다 6배 이상 증가 가능. 향후 5-10년간 의료미용 업종 활황이 예상되며 그중 주사, 피부미용 관련 사업의 시장 점유율 확대 기대.

 

■한편, 국가위생보건위 등 관련 부처 <불법의료미용시술 타격 및 정리를 위한 업무 방안> 발표. 6월 12일부터 본격적인 정리작업 시작 예고. 

 

■태양광 원자재 가격 인상으로 산업 전반 타격 : 중국 태양광산업협회, 최근 3개월간 폴리실리콘 가격 상승으로 태양광 산업 전반에 타격. 협회는 폴리실리콘, 웨이퍼 제품의 과도한 사재기 행위 자제 당부. 유관부서에는 폴리실리콘 등 태양광 원자재 가격 급등 모니터링 요구.

 

 

 

 

 

[KODEX 2차전지 리밸런싱 완료]

 

*수량은 무시하시고 비중을 보시면 됩니다.

 

이번 리밸런싱에서 발생한 변동성의 원인은 SKIET가 신규 편입되었기 때문입니다. 거기에 에코프로에이치엔의 편출도 있었습니다. 대형주의 신규편출입이 없으면 사실상 큰 변동성은 없는 경우가 대부분 입니다.

 

문제는 추후 상장될 LG에너지솔루션입니다. 예컨대 LG에너지솔류션이 LG화학을 대체한다면 변동성은 LG화학만 대규모 매도가 나오면서 발생할 가능성이 큽니다. 그러나 LG화학은 내부적으로 2차전지 소재부문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지수를 결정하는 Fn가이드는 에코프로-에코프로비엠 처럼 LG화학을 지수안에 일정비중 남겨둘 가능성이 큽니다. 만약 LG에너지솔루션 15%-LG화학 5%로 조절한다면, 역시 LG화학 매도+LG에너지솔루션 매수만 발생할 것입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최대한 빠르게 상장을 진행할 경우 아마 4분기 만기(12/9 목)에는 코스피200과 주요 2차전지 관련지수에 모두 편입될 가능성이 큽니다.(그렇게 추진하는 것이겠죠?)

 

•SKIET : 20201218 신청

               20210511 상장

•LGES : 20210608 신청

               상장까지 약5개월 소요예상

☑️추정컨데 LG에너지솔루션의 상장일은 10월말~11월초가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SMART한 주식투자

https://t.me/frankinvest

 

 

2021-06-11  [오늘 2차전지 주요종목 변동성 원인]

 

☑️결론적으로 오늘의 변동성은 모두 ‘비 펀더멘탈’ 요인으로 오늘 종가 동시호가에 크게 하락한 종목은 대부분 월요일 오르고, 반대로 급등한 종목은 일정부분 가격을 되돌릴 가능성이 높습니다. 시장은 합리적이기 때문입니다.

 

 

오늘 2차전지 주요종목의 종가 급변 원인은 삼성자산운용의 KODEX 2차전지산업 ETF(시가총액 1.23조)의 리밸런싱 때문입니다.

 

오늘종가로 동ETF가 추종하는 Fn가이드 2차전지 테마지수의 변경이 있었고, 이에 맞춰서 펀드도 리밸런싱을 하였기 때문입니다.

 

리밸런싱은 예컨대 지난3개월간 추종하는 지수보다 많이 오른 종목은 일부 매도하고, 빠진종목은 매수하여 펀드 편입 종목을 추종하는 지수와 같게 만드는 작업입니다. 이론상 동 리밸런싱 작업은 모두 종가기준으로 시행해야 하기 때문에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 종가 동시호가에 변동성이 발생됩니다.

 

현재 펀드규모(시가총액)가 1.23조로, 예컨대 SKIET를 신규 편입할 경우 1%편입당 약123억원의 매수가 발생합니다. SKIET는 추정컨데 6%~7%정도 편입된 것으로 보여집니다. 이는 SKIET를 KODEX 2차전지산업 ETF에서 오늘 약 800억원 정도 매수했다는 의미입니다.

 

에코프로에이치엔의 경우 기존 구성종목이었던 에코프로에서 인적분할되어 편입된 경우로 오늘 모두 편출되었습니다. 추정컨데 오늘 전량 매도된 것으로 보이며 수량은 약 43만주입니다.(기존 편입비율 5.33%*1.23조=약650억원) 에코프로에이치엔의 경우 거래량이 워낙 작기 때문에 종가동시호가가 아닌 장중 분할매도가 이뤄진 것으로 추정됩니다.

 

•신규편입/편출 종목 추정•

-SKIET : 신규편입

-이엔드디 : 신규편입

-에코프로에이치엔 : 편출

-필옵틱스 : 편출

 

•큰폭의 비중조절 종목 추정•

-LG화학 : 매수

-삼성SDI : 매수

-SKC : 매수

-천보 : 매수

-SK이노베이션 : 매도

-포스코케미칼 : 매도

-엘앤에프 : 매도

-일진머티리얼즈 : 매도

 

*위 내역은 저희의 추정내역입니다. 정확한 리밸런싱내역은 아직 발표되지 않았습니다. 주말안에 발표될 예정입니다.

 

SMART한 주식투자

https://t.me/frankinvest

 

 

 

 

 

『하루를 여는 혁신투자자문 IPO News Letter💌 - 20210614』

 【 텔레그램 채널 주소 : https://t.me/KoreaIB

 【 IPO상장문의 및 이경준 대표 Contact ☞ 📧 ipo@kakao.com 】

 

===========================

 

★ 금일 IPO 일정 ★

 06/14 이노뎁 납입🏧

 

☆ 금주 남은 IPO 일정 ☆

 06/15~16 아모센스 청약🖨

 06/17 라온테크 상장★

 06/18 이노뎁 상장★

 06/18 아모센스 납입🏧

 

 ------------------------------------------

 

▣ 기관IR 일정 ▣

 - 소규모 간담회로만 진행 中 -

 

▣ 상장 일정(예정, 변경가능) ▣

 06/17 라온테크(KB증권)

 06/18 이노뎁(하이투자증권)

 06/25 아모센스(신한금융투자)

 07/07 맥스트(하나금융투자)

 07/09 에브리봇(NH투자증권)

 07/13 오비고(NH투자증권)

 07/20 SD바이오센서(NH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 심사 승인 ▣

 - 플래티어(KB증권)

 - 딥노이드(KB증권)

 - 큐라클(삼성증권)

 - 크래프톤(미래에셋증권)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 국내 IPO 개별종목

■ [시그널] '장외 몸 값 23兆' IPO 뜬다···크래프톤 이르면 다음달 공모

https://www.sedaily.com/NewsView/22NLHH21NQ

 

■ [LG에너지솔루션 IPO]적정 기업가치 50~60조…공모 규모 15조 예상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6091551540680104338&lcode=00&page=1&svccode=00

 

■ 롯데렌탈, 상장 시계 빨라진다…6월말 공모 절차 '개시'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6100925318520103875&lcode=00&page=1&svccode=00

 

■ 상장 한 달 앞 한화종합화학, '지주회사'식 가치 산정 유력

http://www.investchosun.com/2021/06/11/3262766

 

■ 'IPO 목표' 현대로보틱스, 어떤 회사?

http://news.bizwatch.co.kr/article/industry/2021/06/09/0024

 

■ 오에스피, IPO 자진철회…연내 재도전 기약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6091456040360102270&lcode=00&page=1&svccode=00

 

■ [시그널] 명품 핸드백 제조사 시몬느 하반기 증시 입성···IPO 심사 청구

https://www.sedaily.com/NewsView/22NLFZS0R0

 

■ 지아이텍, 상장 예비심사청구서 제출…"하반기 목표"

https://newsis.com/view/?id=NISX20210611_0001473087&cID=10403&pID=15000

 

 

▶️▶️▷ IPOmarket(해외IPO포함)

■ [그래픽뉴스] 조 단위 대어 몰려온다… 하반기 IPO 최대어는?

https://moneys.mt.co.kr/news/mwView.php?no=2021061117478026940

 

■ 디디추싱, 美 나스닥 IPO 신청…알리바바 이후 최대 기대

https://newsis.com/view/?id=NISX20210611_0001473006&cID=10101&pID=10100

 

 

▶️▶️▷ 시장 이모저모

■ 달랑 21원으로 정리매매…국내상장 중국기업의 '고의 상폐'

http://naver.me/5Q49AiEn

 

 

▶️▶️▷ 시세/시황

[표]IPO장외 주요 종목 시세(6월 11일)

https://www.sedaily.com/NewsView/22NLFU2YOB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