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주식투자 스터디를 위해 개인적으로 스크랩한 시황, 뉴스 자료를 공유합니다.

1) 노션 링크는 익스플로러에선 제대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크롬에 최적화 되어있으며, 엣지, 웨일에서도 잘 작동합니다.

 

2) 장 시작전 올려드리는 해외마감시황~ 게시글은 저녁 10시 이전 업데이트 완료시 제목 마지막에 '업데이트중' 문구가 삭제됩니다.

 

3) 공유한 자료링크는 1~2일후 공유 해지 합니다.

 

게시물은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한 것이라

불확실하거나 오류가 많을 수 있으므로 투자 활용시 유의하시기 바라며, 개별적인 종목 추천이나 상담은 하지 않습니다.

 

모쪼록 제 공간에 오신 모든 분들이 주식스터디를 통해 인생 한 방보다, 꾸준함을 믿으며...

복리의 마법으로 모든 분들이 성공한 개인투자자가 되시길...

 


2021년 3월 2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제조업지수 호조와 1.9조달러 경기부양안 통과로 미 증시가 급등했습니다.

(2) 미국의 백신 접종률 상승 속도가 두배로 올라갔습니다.

(3) LG화학이 미국내 배터리 생산능력 확대를 논의중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미 5년 breakeve rate 2.445%, +0.086%p (2% 상회시 유의, 2.5% 상회시 경고)

 

한국 고객예탁금, 65.0조원 +0.7조원

 

미국 백신 접종률 12.3%(+2.0%p, 집단면역 70%)

 

iShare MSCI Korea 조정 등락률 +4.31%

1개월 NDF 환율 1,119.50원 (-3.90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3/2 지난주 금요일(26일) 국내 시황, 케이프투자증권 한지영(02-6923-7349)]

▶️코스피, 패닉셀링 장세 출현하며 2%대 급락

 

- 코스피는 미국, 한국 등 주요국 시장금리 급등세가 재차 출현했다는 점이 시장 불안을 유발한 가운데, MSCI 리밸런싱에 따른 기계적인 패시브 매도 물량까지 출회된 여파로 장중 3,000선을 하회하는 등 2.8%대 급락세로 마감

 

- 코스닥도 전거래일 동반 순매수세를 보였던 외국인과 기관이 재차 동반 순매도세로 전환한 상황 속에서, 금리 변화에 민감한 성장주, 고 PER 주 위주로 급락세를 보임에 따라 2.3%대 하락세로 마감

 

▶️시장지표

- 코스피: 3,012.95(-86.74, -2.80%)

- 코스닥: 913.94(-22.27, -2.38%)

- 원/달러: 1,127.80원(+17.50원)

- 국채 3년물: 1.020%(+2.5bp)

- 국채 10년물: 1.960%(+7.6bp)

 

▶️업종

- 화학(-3.68%), 전기전자(+3.63%), 기계(-3.25%) 등 전업종이 약세

 

▶️수급(외국인/기관/개인)

- 코스피: -28,191억원/-10,304억원/+37,823억원

- 코스닥: -2,287억원/-1,576억원/+3,982억원

 

▶️특징종목

 

- 현대공업(+6.00%)은 첫 전기차 플랫폼(E-GMP) 모델 '아이오닉5'에 적용될 암레스트와 헤드레스트 부품 공급계약을 맺고 오는 3월 양산에 돌입한다는 소식에 강세

 

- 기아차(+3.12%)는 애플과 킥보드, 전기자전거 등 일명 '라스트마일 모빌리티' 분야의 협업을 논의 중이라는 보도에 강세

 

해당 내용은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필하였습니다.

 

[국내 휴일기간(2/26~3/1) 글로벌 시황, 케이프투자증권 한지영(02-6923-7349)]

▶️미국 3대 증시, 2거래일동안 금리 불안 완화 등으로 상승

- 다우: +0.4%, S&P500: +1.9%, 나스닥: +3.6%(26일~1일 누적)

 

- 26일에는 시장 금리 급등락세로 장중 변동성 확대국면이 전개되면서 혼조세를 보였으나, 1일에는 금리 오버슈팅 인식, 연준위원의 발언으로 금리 급등세가 진정된 영향에 힘입어 3대 증시 모두 2% 넘는 강세로 마감

 

[26일]

 

- 다우: -1.5%, S&P500: -0.5%, 나스닥: +0.6%

 

- 1월 개인소비지출(2.4%YoY, 예상 2.5%), 2월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76.8, 예상 76.8), 2월 시카고 PMI(59.5, 예상 61.0) 등 주요지표가 대체로 부진했음에도, 1.4%~1.5%대를 장중 넘나드는 10년물 금리에 영향을 받아 장중 변동성이 확대되며 혼조세로 마감

 

- 장 마감 후 미국 하원에서는 1,400달러 현급 지급, 실업급여 연장, 최저임금 인상(7.5달러->15달러) 등이 포함된 1.9조달러 코로나 추가 부양책을 통과시켰으며, 상원에서는 2주 동안 논의를 거친 후 표결에 들어갈 예정

 

[1일]

 

- 다우: +2.0%, S&P500: +2.4%, 나스닥: +3.0%

 

- 2월 ISM 제조업 PMI 호조 속 시장금리 오버슈팅 인식 및 연준위원의 금리 불안 완화 발언에 힘입어 10년물 금리가 1.4%대로 하락하는 등 금리 상승세가 진정됨에 따라 급등 마감

 

- 미국의 2월 ISM 제조업 PMI는 60.8로 전월(58.7) 및 예상치(58.8)를 상회했으며, 2월 Markit 제조업 PMI도 58.6으로 전월(59.2)에 비해 다소 부진했으나 예상치(58.5)를 상회하는 등 미국 제조업황은 호조세가 지속되고 있는 모습

 

- 리치몬드 연은 총재는 긍정적인 경기 전망을 고려 시 금리 상승은 놀라운 수준이 아니며 경기 회복을 제약하지 않을 것이라고 진단한 가운데, 추가 부양책이 경기를 과열시키면서 인플레 문제를 유발하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

 

▶️시장지표(26일~1일 누적)

-DOW : 31,535.51 pt  (133.5 pt, 0.43%)

-NASDAQ : 13,588.83 pt  (469.4 pt, 3.58%)

-S&P500 : 3,901.82 pt  (72.48 pt, 1.89%)

-Vix Index : 23.35 pt  (-5.54 pt, -19.18%)

-KRW/US$_1NDF_Point : 1,117.9 원/$  (-10.52 원/$, -0.93%)

-Dollar Index : 91.017 pt  (0.9 pt, 0.98%)

-US 10Yr Bond : 1.417 %  (-10.3 bp)

-WTI : 60.23 $/bbl  (-3.3 $/bbl, -5.19%)

-MSCI South Korea : 90.32 pt  (1.31 pt, 1.47%)

 

▶️업종(26일~1일 누적)

- 기술(+3.18%), 금융(+3.12%), 에너지(+2.58%) 등 전업종이 강세

 

▶️특징종목

 

[26일]

 

- 버진 갤럭틱(-11.86%)은 기존 2월 예정이었던 우주비행테스트를 5월까지 지연시킨 사실이 4분기 실적 발표에서 공개됨에 따라, 우주비행 상용화가 미뤄질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며 급락

 

- 니콜라(-8.22%)는 창립자 트레버 밀튼이 과거 외부 업체에 홍보하거나 공매도 회사와의 대립 사태 당시 회사의 기술력에 대해 일부 허위 진술한 사실을 인정했다는 소식에 급락

 

[1일]

- 지난주 금리 부담으로 조정을 받았던 테슬라(+6.36%), 니오(8.69%) 등 전기차 관련주는 시장금리 급등세 진정 및 외사 리서치 Wedbush의 전기차 시장에 대한 긍정적 발언에 힘입어 동반 강세

 

- 애플(+5.39%)은 코로나 확산으로 인해 전국적으로 폐쇄됐던 애플 스토어가 1년만에 모두 재개장하고, 아이폰13 초기 주문이 아이폰12를 상회하는 실적을 기록했다는 소식에 강세

 

해당 내용은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필하였습니다.

 

------

* 텔레그램 채널 링크

https://t.me/hedgecat0301

------

 

 

 

[키움증권] 한미 주요 ETF 동향

투자전략팀 서상영(02-3787-5241)

 

ㅇ 국내

대형주 -3.10%

중소형주 -1.48%

가치주 -2.58%

성장주 -3.04%

배당주 -1.91%

대형성장 -3.53%

중소형성장 -1.41%

대형가치 -2.60%

중소형가치 -1.54%

 

*미 주요 업종 ETF

원유시추업체 ETF(XOP)  +2.82%

에너지섹터 ETF(OIH)  +5.01%

소매업체 ETF(XRT)  +5.11%

금융섹터 ETF(XLF)  +3.13%

기술섹터 ETF(XLK)  +3.22%

소셜 미디어업체 ETF(SOCL)  +3.73%

인터넷업체 ETF(FDN)  +3.25%

리츠업체 ETF(XLRE)  +0.11%

주택건설업체 ETF(XHB)  +2.11%

바이오섹터 ETF(IBB)  +1.73%

헬스케어 ETF(XLV)  +1.31%

곡물 ETF(DBA)  -0.64%

반도체 ETF(SMH)  +3.01%

 

*미 주요 스타일별 ETF

대형 가치주 ETF(IVE)  +2.17%

중형 가치주 ETF(IWS)  +2.32%

소형 가치주 ETF(IWN)  +3.48%

대형 성장주 ETF(VUG)  +2.70%

중형 성장주 ETF(IWP)  +2.83%

소형 성장주 ETF(IWO)  +3.50%

배당주 ETF(DVY)  +2.66%

신흥국 고배당 ETF(DEM)  +1.84%

신흥국 저변동성 ETF(EEMV)  +1.80%

미국 국채 ETF(IEF)  -0.11%

하이일드 ETF(JNK)  +0.99%

물가연동채 ETF(TIP)  -0.33%

Long/short ETF(BTAL)  -0.58%

 

*동 자료는 2021년 3월 2일 키움증권 홈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를 요약한 것입니다.

 

[키움증권] 해외 금융시장

투자전략/시황 서상영(02-3787-5241)

 

◆ 미국 증시

- DOW: 31535.51p (+603.14p, +1.95%)

- S&P500: 3901.82p (+90.67p, +2.38%)

- NASDAQ: 13588.83p (+396.48p, +3.01%)

 

◆ 한국 관련

- MSCI 한국지수 ETF: 90.32p (+2.35p, +2.67%)

- MSCI 이머징지수 ETF: 55.16p (+1.43p, +2.66%)

- NDF 환율(1개월물): 1,119.35원 / 전일 대비 5원 하락 출발 예상

 

◆ 외환시장

- 달러인덱스: 91.039 (+0.16, +0.18%)

- 유로/달러: 1.2044 (-0.0031, -0.26%)

- 달러/엔: 106.77 (+0.2, +0.19%)

- 파운드/달러: 1.3919 (-0.0014, -0.1%)

 

◆ 미국 국채시장

- 2년물: 0.1152% (-1.2bp)

- 5년물: 0.6929% (-3.8bp)

- 10년물: 1.4221% (+1.7bp)

- 30년물: 2.1921% (+4.1bp)

(국채선물)

- 2YR T-Notes: 110*14   (+0*01 , +0.05%)

- 5YR T-Notes: 124*10 3/4 (+0*11 3/4, +0.3%)

- 10YR T-Notes: 133*06   (+0*15 , +0.35%)

- US T-Bonds: 159*06   (-0*01 , -0.02%)

- Ultra US T-Bonds: 188*11   (-0*23 , -0.38%)

 

◆ 상품시장 ($, 단 곡물, 구리는 센트)

- WTI: 60.64 (-0.86, -1.4%)

- 브렌트유: 63.69 (-0.73, -1.13%)

- 금: 1723 (-5.8, -0.34%)

- 은: 26.678 (+0.238, +0.9%)

- 아연(LME, 3M): 2816 (+23.5, +0.84%)

- 구리: 411.3 (+2.05, +0.5%)

- 옥수수: 538.25 (-9.25, -1.69%)

- 밀: 650.25 (-10, -1.51%)

- 대두: 1391.25 (-13, -0.93%)

- BDI: 1675 (-25, -1.47%)

 

*동 자료는 2021년 3월 2일 키움증권 홈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를 요약한 것입니다.

 

[키움증권] 미 증시 동향

투자전략팀 서상영(02-3787-5241)

미 증시 변화 요인: 금리 안정, 지표 호전, 부양책 기대

 

미 증시는 양호한 경제지표 발표에도 불구하고 국채 금리가 하락하자 상승 출발. 더불어 추가 부양책 통과에 대한 기대 심리도 긍정적인 영향. 한편, 지난 주 밸류 부담을 이유로 하락을 주도했던 일부 전기차, 태양광 등 테마주가 강세를 보이는 등 반발 매수세가 유입된 점도 상승 요인. 대부분의 업종이 강세를 보인 가운데 소프트웨어, 반도체, 산업재, 유틸리티, 에너지 업종이 상승 주도(다우 +1.95%, 나스닥 +3.01%, S&P500 +2.38%, 러셀2000 +3.27%)

 

지난 주 주식시장의 화두였던 미 국채 금리가 양호한 경제지표 결과에도 불구하고 하락 출발. 2월 ISM 제조업지수가 전월 발표치(58.7)와 예상(58.9)을 상회한 60.8로 발표. 세부항목을 보면 향후 전망을 알 수 있는 신규주문이 61.1에서 64.8로 개선 되었으며 고용지수도 52.6에서 54.4로 발표되는 등 대부분의 항목이 개선. 물론 가격 결정력을 말하는 가격지불지수는 86.0으로 2008년 7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해 인플레 압력은 높아지는 경향을 보임. 이렇듯 양호한 경제지표라는 국채금리 상승 요인에도 불구하고 지난 주 상승이 과도 했다는 평가가 많아지자 금리가 하락 하는 등 안정세를 보이자 주식시장은 상승 출발

 

한편, 1.9조 달러 규모의 추가 부양책이 하원을 통과 했고, 이제는 상원에서 논의되는 데 민주당 일부 의원들이 반대하던 최저임금 인상을 제외한 부양책을 상원에서 논의한다고 발표. 이는 일부 규모 축소 가능성이 높아졌으나, 부양책의 의회 통과 기대를 높였다는 점도 투자 심리 개선에 우호적. 물론 이 또한 국채금리 상승 요인이나 금리는 안정세. 이러한 요인으로 기술주는 물론 전기차, 태양광, 대마초 등 테마주들이 지난 주 하락에 대한 반발 매수세가 유입되며 상승 주도. 더불어 인플레 압력은 지속되고 정부의 부양책 통과 기대가 높아진 가운데 코로나 백신 접종 속도 확대에 따른 경제 정상화 기대로 산업재, 금융, 에너지, 유틸리티 등도 동반 강세

 

*동 자료는 2021년 3월 2일 키움증권 홈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를 요약한 것입니다.

 

[키움증권] 한국 증시 전망

투자전략팀 서상영(02-3787-5241)

급등 출발 후 매물 소화 과정 예상

MSCI 한국 지수 ETF는 2.67% MSCI 신흥 지수 ETF는 2.68% 상승. NDF 달러/원 환율 1개월물은 1,119.35원으로 이를 반영하면 달러/원 환율은 5원 하락 출발 예상

 

전일 한국 증시가 휴장인 가운데 아시아 시장은 급등. 중국 정부가 본토 시장에서 인지세(거래세)를 유지한다고 발표하고 미 국채금리가 과도한 상승에 대한 되돌림 현상이 유입된 데 따른 것으로 추정. 이런 가운데 미국 증시가 지표 호전과 추가 부양책 통과 기대에도 불구하고 금리의 안정으로 모든 업종이 강세를 보인 점은 한국 증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

 

특히 2월 한국 수출이 전년 대비 9.5%, 조업일수를 감안하면 무려 26.4%나 급증한 점도 투자심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 더불어 이날 발표된 ISM 제조업지수에서 한국 수출의 선행 지표 중 하나인 신규주문지수가 개선되는 등 향후 수출 증가세가 지속될 것이라는 점도 긍정적. 또한 미 증시에서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가 칩 수요 증가 기대로 3.31% 급등 한 점도 우호적.

 

다만, 지난 금요일 상품시장 변동성 확대에 이어 오늘도 국제유가가 매물이 출회되며 하락하고 있다는 점, 미 국채금리가 안정을 보이고 있으나 여전히 인플레 압력이 높아지고 있다는 점, 달러 강세가 이어지고 있다는 점은 부담. 이를 감안 한국 증시는 전일 휴장 분 등을 감안 3% 내외 상승 출발 후 개별 종목에 대한 매물 소화 과정을 보일 것으로 예상. 특히 외국인의 매물 출회 여부 및 중국 유동성 흡수 여부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

 

*동 자료는 2021년 3월 2일 키움증권 홈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를 요약한 것입니다.

 

03/02 미 증시, 경제 정상화 및 금리 안정으로 급등

키움증권 투자전략팀 서상영(02-3787-5241)

 

미 증시 변화 요인: 금리 안정, 지표 호전, 부양책 기대

미 증시는 양호한 경제지표 발표에도 불구하고 국채 금리가 하락하자 상승 출발. 더불어 추가 부양책 통과에 대한 기대 심리도 긍정적인 영향. 한편, 지난 주 밸류 부담을 이유로 하락을 주도했던 일부 전기차, 태양광 등 테마주가 강세를 보이는 등 반발 매수세가 유입된 점도 상승 요인. 대부분의 업종이 강세를 보인 가운데 소프트웨어, 반도체, 산업재, 유틸리티, 에너지 업종이 상승 주도(다우 +1.95%, 나스닥 +3.01%, S&P500 +2.38%, 러셀2000 +3.27%)

https://www.kiwoom.co.kr/nkw.templateFrameSet.do?m=m0601020101&s_menu=SD&s_sqno=7726

 

 

[03/02 팟빵] 키움증권 주식, 글로벌 시황 투자전략

[서상영의 아침시황] 미 증시, 경제 정상화 및 금리 안정으로 급등

 

3월 2일 우리시장은?

http://www.podbbang.com/ch/7226?e=23977337

 

 

 

[하나금융투자 중국/신흥국전략 김경환] : 3월 1일

*텔레그램 채널 : https://t.me/HANAchina

 

‘우리는 지금까지 희토류의 ‘희소성(稀)’의 가격을 판 것이 아니라, ‘땅(土)’의 가격을 팔았다.’

 

•중국이 1)희토류에 전례없는 통제의지 피력, 유관 산업 가격상승 등 영향 확대될 전망, 2)반도체 대규모 지원 필요성, 3)철강 제련 능력 대폭 축소 필요, 4)통신산업 최초 개방 시사.

 

>금일 중국 공업부 몇가지 중요 발언 요약. 특희, 희토류와 독점산업 외자개방 이슈 부각. 중국/홍콩 희토류 테마지수 급등.

 

>금일 10시 중국 공업신식부 공식발표와 기자회견. 희토, 반도체, 철강, 산업개방 등 관련 의견 표명.

 

>최근 입안한 <희토류 관리 조례> 관련 부연설명을 보면 몇가지 발언 의미심장.

 

-최근 어떤 국가들은 우리가 희토류 수출을 제한한다고 질책하는데, 결국 그들이 사는 희토류도 대부분 우리가 수출한 것. 우리는 지금까지 희토류의 ‘희소성(稀)’의 가격을 판 것이 아니라, ‘땅(土)’의 가격을 팔았다. 이는 악성경쟁과 가격인하로 귀중한 자원을 낭비했다.

 

-희토 생산에 환경 문제 크다. 무분별한 개발과 자원낭비, 특수 품목 생산 편중과 비효율성 문제 크다. (중략)

 

>한편, 최초로 독점산업(통신/에너지/인터넷) 중에서 통신업 외자개방 가능성 시사. 철강은 예상보다 강한 생산제한 가능성. 반도체 역시 국가차원의 지원 필요성 시사.

>(A주 희토 테마지수 5일) 금일 중국 당국이 희토류를 결국 ‘싸게 안팔겠다는’ 의견을 공식화하면서 중국과 홍콩증시 관련주 급등. 산업 전방위적으로 소재부품가격 더 오를까봐 걱정되는 상황이네요.

 

 

 

[하나금융투자 중국/신흥국전략 김경환]

*텔레그램 채널 : https://t.me/HANAchina

 

>3월 첫 거래일 중국과 홍콩증시 2-3%대 동반 급등. 심천, 창업판, 항생테크 등 중소형/성장주 아웃퍼폼. 미중 국채금리 하락과 기관 매수세 회복이 반등 견인. 블루칩 투자심리 일부 회복하고, 리플레이션 플레이 쏠림현상 극단적으로 심화. 위안화 환율 강세, 국채금리 하락. 거래대금 1조위안 하회, 외국인은 50억위안 순매수. 강구퉁 홍콩 유입은 여전히 미미.

 

>중국 공업신식부의 희토/철강/반도체 발언이 리플레이션 플레이에 기름 부으며 화학/철강/비철/제지/반도체 Commodity 업종 전면적인 강세. 환경, 농업 등 정책 수혜 업종도 강세. 전주 급락한 소비재 블루칩 매수세는 여전히 미미, 기관과 외인 뚜렷한 로테이션 변화.

 

>본토 테마 중에서 희토/차량용칩/고체배터리/3세대반도체/타이어/공장기계 상위. 반면, 업종은 증권/공항/보험/백주/부동산 하위. 블루칩 종목은 수닝/싼이중공업/칭화그룹주/CATL/BYD/강봉리튬/중국중면 등 상위.

 

>홍콩 역시 항생(+1.5%), 항생H(+1.8%), 항생테크(+3.8%) 급등. 반도체/빅테크/자동차/통신/원자재 대형주 강세. SMIC/화훙반도체/메이퇀/텐센트 급등.

 

•국내의 경우 내일 반도체 모르지만, 중국 철강업 구조조정 호재, 화학 제품  및 인프라 밸류체인 주가강세 영향을 주목합니다. 물론 소재가격 상승이 가격전가 부담이 계속 높아지고 있습니다. 2월 중국 제조업 PMI를 볼때 P와 Q 대비 Cost 경쟁력이 더더 부각되는 시기입니다.

 

>중국 제조업 PMI 주요 항목별 3개월 변동

 

 

 

 

 

삼성전자, 커넥티드카 美 스타트업 인수

신문A15면 1단 기사입력 2021.03.01. 오후 5:27

하만 통해 '사바리' 품어

자율주행 경쟁력 강화 포석

전장기업 M&A 본격화 전망

출처: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sec&oid=015&aid=0004506375>

 

 

 

WHO “코로나 올해 말 종식? 비현실적”

기사입력 2021.03.02. 오전 7:11

WHO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7주 만에 다시 증가세”

출처: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sec&oid=023&aid=0003598976>

 

 

 

주식 13조 던진 국민연금, 16조 더 판다

신문A1면 TOP 기사입력 2021.03.01. 오후 5:41

작년말 이후 42일째 순매도

2009년보다 14일이나 길어

코스피 3000선 유지된다면

주식비중 16.8% 목표 맞추려

올해 추가매도 불가피할듯

출처: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sec&oid=009&aid=0004756280>

 

이스라엘, 대이란 보복 시작했나… 전운 감도는 중동

입력 2021.03.01 21:28

출처: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1030121220001186>

 

 

'ERP 강자' 더존비즈온, 4000억 투자 유치

신문A1면 1단 기사입력 2021.03.01. 오후 5:42

美 사모펀드 베인캐피탈서

출처: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sec&oid=015&aid=0004506388>

 

 

 

1억5000만명 북새통…'메타버스' 벨류체인에 투자하라

신문A21면 1단 기사입력 2021.03.01. 오후 5:04

MZ세대 열광하는 '메타버스'

포트나이트, BTS 무대 공연

게임 넘어 '메타버스 플랫폼' 진화

'로블록스' 10대 게이머 1.5억명 달해

10일 상장…기업가치 290억달러

텐센트뮤직, 가상공연 '웨이브' 투자

메타버스 플랫폼은 게임·엔터가 선점

출처: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sec&oid=015&aid=0004506343>

 

 

 

 

강철보다 200배 강한 '꿈의 신소재' 생산…한국 기업 일냈다

신문A18면 1단 기사입력 2021.03.01. 오후 5:17

그래핀스퀘어, 12년 R&D 결실

'꿈의 신소재' 연구장비 수출한다

'그래핀 권위자'홍병희 대표

화학기상증착 기술 세계 첫 개발

전기차·반도체 장비에 활용

이스라엘 등과 공급 계약

"내년 초 코스닥 상장 목표"

출처: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sec&oid=015&aid=0004506359>

 

 

SK이노베이션, LG와 '배터리 분쟁'에 백악관 개입 요청

기사입력 2021.03.02. 오전 6:43

출처: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215&aid=0000940559>

 

 

"비트코인 무역 결제 수단으로 인정해야"-시티그룹

기사입력 2021.03.02. 오전 6:38

출처: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4&oid=421&aid=0005194941>

 

 

 

비트코인 채굴 성지 中 내몽고, 채굴업체와 전쟁선언

기사입력 2021.03.02. 오전 6:42

내몽고는 전기료도 산데다 인건비도 싸 비트코인 채굴업체들이 가장 선호하는 지역이다. 내몽고에서 전세계 비트코인의 약 8%가 채굴되는 것으로 추산된다.

출처: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421&aid=0005194946>

 

 

美, 3.7~4.2㎓ 주파수 경매 '버라이즌' 큰 손...전체 60% 확보

신문6면 3단 기사입력 2021.03.01. 오전 11:38

출처: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sec&oid=030&aid=0002930785>

 

 

삼성 5G 장비, AT&T 수주 '빨간불'…믿었던 美·日서 위기

기사입력 2021.03.02. 오전 6:03

美 버라이즌 깜짝 수출 성과 이후 감감무소식

日, 자국 통신장비사 NEC·후지쓰 쓰면 세금 감면

"에릭슨·노키아 선전에 日까지 난립하며 치열"

2일 복수의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미국 5G 통신장비 시장에서 마지막 남은 대어였던 통신사 AT&T가 에릭슨, 노키아를 장비사로 선정하는 것으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알려졌다. 애초 수주 기대감이 점쳐지던 삼성전자가 고배를 마실 가능성이 커진 것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지난해부터 수주를 위해 공을 들여왔던 T모바일에 이어 AT&T마저 탈락 분위기가 감지되면서 삼성 네트워크사업부가 침통한 분위기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AT&T가 공식적으로 어떤 장비사를 택하는지는 따로 공지하지 않는다.

출처: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5&oid=366&aid=0000676974>

 

 

 

백신 나오자 K진단키트 수출 주춤한데…1위 씨젠, 생산능력 2배 늘린 이유는

기사입력 2021.03.02. 오전 6:03 

K진단키트, 1월 수출액 44% 감소했지만

팬데믹 장기화·변이 확산 등에 따른 수요 기대

씨젠, 생산능력 2배로…업계 전반 공급 확대 전망

정확도·속도 높이고, 백신 효능 측정용 키트 개발

출처: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5&oid=366&aid=0000676973>

 

 

위세아이텍·드림아이즈, 외산 뚫고 공공·대기업 시장 확대...국산 SW 우수성 입증

신문9면 TOP 기사입력 2021.03.01. 오후 5:01

출처: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sec&oid=030&aid=0002930877>

 

 

삼성, 'D램·낸드·파운드리' 전방위 반도체 투자 속도

신문2면 TOP 기사입력 2021.03.01. 오후 2:14

D램, 1분기에만 설비투자 60% 집중

파운드리, 5나노 라인 28K→43K 확대

낸드플래시, 中 시안 2공장 증설 전망

투자 계획 바짝 앞당겨 기술 격차 유지

출처: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sec&oid=030&aid=0002930840>

 

 

GC녹십자, 모더나 백신 국내 유통한다

신문A19면 1단 기사입력 2021.03.01. 오후 5:17

인허가부터 정부 납품까지 맡아

출처: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sec&oid=015&aid=0004506360>

 

 

카카오, 연내 전기차 충전 서비스 진출

입력2021.03.01. 오후 4:01

충전소 위치·충전기 사용상태 등

실시간 정보부터 과금결제 제공

카카오 택시와 유사한 모델 예상

中企 중심 시장 대기업 종속 우려도

출처: <https://n.news.naver.com/article/030/0002930857>

 

 

SK·현대차도 수소동맹…정세균·최태원·정의선 내일 만난다

머니투데이 최민경 기자2021.03.01 13:24

출처: <https://m.mt.co.kr/renew/view.html?no=2021030112552594877&type=outlink&ref=%3A%2F%2F#_enliple>

 

 

 

 

 

『하루를 여는 혁신투자자문 IPO News Letter💌 - 20210302』

 【 텔레그램 채널 주소 :  https://t.me/KoreaIB

 【 IPO상장문의 및 이경준 대표 Contact ☞ 📧 ipo@kakao.com 】

 

===========================

 

★ 금일 IPO 일정 ★

 03/02~03 바이오다인 수요예측⚖️

 03/02~03 싸이버원 청약🖨

 03/02~03 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스 청약🖨

 

☆ 금주 남은 IPO 일정 ☆

 03/02~03 바이오다인 수요예측⚖️

 03/02~03 싸이버원 청약🖨

 03/02~03 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스 청약🖨

 03/03 나노씨엠에스 납입🏧

 03/04~05 에스케이바이오사이언스 수요예측⚖️

 03/04~05 네오이뮨텍 청약🖨

 03/05 싸이버원 납입🏧

 03/05 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스 납입🏧

 

 ------------------------------------------

 

▣ 기관IR 일정 ▣

 -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03월 14일까지)로 소규모 간담회만 진행 中

 

▣ 상장 일정(예정, 변경가능) ▣

 03/09 나노씨엠에스(키움증권)

 03/11 싸이버원(키움증권)

 03/11 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스(미래에셋대우)

 03/16 네오이뮨텍(하나금융투자/미래에셋대우)

 03/17 바이오다인(대신증권)

 03/18 에스케이바이오사이언스(NH투자증권)

 03/23 라이프시맨틱스(한국투자증권)

 03/24 제노코(DB금융투자)

 03/25 자이언트스텝(한국투자증권)

 04/01 엔시스(미래에셋대우)

 04/01 해성티피씨(한국투자증권)

 

▣ 심사 승인 ▣

 - 이삭엔지니어링(신한금융투자)

 - 쿠콘(하나금융투자)

 - 삼영에스앤씨(미래에셋대우)

 - 제주맥주(대신증권)

 - 에이치피오(대신증권)

 - 아모센스(신한금융투자)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 국내 IPO 개별종목

■ [IB토마토]네오이뮨텍, 수요예측 경쟁률 1374 대 1

http://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1027919

 

■ '모텔 앱' 넘어 '슈퍼 앱'으로…'몸값 5조' 야놀자, IPO 시동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1022676931

 

■ SK바이오사이언스 청약 본격화…바이오팜 열풍 재현할까

http://naver.me/GXEhB8ag

 

■ 현대중공업, 상장 주관사 선정 임박…'기업가치 6조' 인정 받을까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1022807781

 

■ 김종현 LG엔솔 대표, IPO 흥행성공할까…“고민 깊어”

https://www.asiatoday.co.kr/view.php?key=20210225010015860

 

■ SK종합화학, IPO 아닌 매각 택한 이유는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2231510169920108091&lcode=00&page=4&svccode=00

 

■ ‘부채 늪’에 빠진 호텔롯데, 경영정상화+IPO로 반전 나선다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181606628954456&mediaCodeNo=257&OutLnkChk=Y

 

■ 싸이버로지텍, 적자 지속…IPO 멀어지나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2241326335400104950&lcode=00&page=1&svccode=00

 

■ 명품백 ODM업체 시몬느액세서리, IPO PT 착수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2241801404040104377&lcode=00&page=3&svccode=00

 

■ 코스닥 상장 앞둔 KTB네트워크 "바이오·AI·친환경 분야 집중 투자"

http://naver.me/FjorVcH4

 

■ 코스닥 입성 피엔에이치테크, VC 엑시트 본격화되나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2241252043440104057&lcode=00&page=11&svccode=00

 

■ 상장 준비 ‘에이조스바이오’, 자가면역질환 신약연구계약 체결

http://www.thevaluenews.co.kr/news/view.php?idx=162582

 

 

▶️▶️▷ IPOmarket(해외IPO포함)

■ "쿠팡 같은 해외 공모주…투자할 방법 없나요?"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1022807751

 

■ 올해도 공모주 불티…청약 광풍 몰아친다

https://newsis.com/view/?id=NISX20210226_0001353589&cID=10401&pID=10400

 

■ 내달 기업 공개 큰장…10개 기업 공모 나선다

http://www.mediapen.com/news/view/605014

 

■ 게임스톱으로 뜬 로빈후드, 이르면 3월 IPO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676086628954784&mediaCodeNo=257&OutLnkChk=Y

 

 

▶️▶️▷ 시장 이모저모

■ 금리發 증시충격에도 동학개미 코스피 3조원대 순매수

https://www.yna.co.kr/view/AKR20210226110000002?input=1195m

 

■ '여의도 유명 술집' 사장·손님·가족 12명 집단감염(종합)

http://naver.me/xaPscmdV

 

 

▶️▶️▷ 시세/시황

[표]IPO장외 주요 종목 시세(2월 26일)

https://www.sedaily.com/NewsView/22IOL1ZE7U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https://www.sedaily.com/NewsView/22JNGWOYRE

 

[단독] 신속항원검사 양성자 3명 중 1명은 '허위'

지난 1월4일 오전 서울역 광장에 설치된 서울 중구 임시 선별검사소에서 의료진이 채취한 검체로 코로나19 신속 항원 검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임시 선별 진료소에서 시행되고 있는 신종 코로

www.sedaily.com



[케이프투자증권 전략 시황 한지영]

(장중 하락 숏코멘트)

 

어제 미국장이 그렇게 좋았고 오늘 우리나라 증시도 장 초반에 2% 넘게 급등하나 싶더니 장 끝나갈 수록 계속 상승분을 반납하고 있습니다.

 

오늘 장이 밀리는 배경을 추정해보자면,

 

금리 급등세 진정 여부를 둘러싸고 시장의 의심과 불안이 완전히 해소되지 않은 가운데,

 

오늘 중국 금융당국 관계자가 유동성 버블이 우려된다는 코멘트에 중국 증시가 하락하고 있다는 것도 아시아 증시 전반적으로 투자심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네요

 

그러다보니 "이거 내내 불안한데 일단 오늘 반등 나오니까, 이참에 좀 포지션 정리하고 마음 편하게 가자"라는 성격의 매도 수요를 만들어내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케이프 한지영

 

 

[한투 중국 최설화]

[장 중 중국시황] 누가 시장 하락을 야기했나?

금일 중국 본토시장 하락폭이 큽니다. 상해종합지수는 현재 1.8% 급락하며 3,500선을 하회했습니다.

 

대부분 업종이 하락한 가운데, 비철금속(-3.8%), 음식료(-3.5%), 화학(-2.5%), 제약(-2.4%) 업종 낙폭이 큽니다.

 

그렇다면 무엇이 본토시장 급락을 초래했을가요? 크게 2가지 배경에 주목합니다.

 

1)  유가 급락: 금일 유가가 60달러를 하회하면서 리플레이션 트레이딩이 약화되고 있습니다. 중국시장에서도 하락폭 상위 업종에 비철금속, 에너지, 화학이 있고, 홍콩시장에서도 CNOOC, 시노펙 등이 급락하고 있지요.

 

2)  정책당국의 리스크 관리 발언입니다. 금일 은행감독관리위원회 궈수칭 회장은 기자회견에서 해외시장 버블 우려, 부동산 가격 안정화 등 내용을 언급하는 등 리스크 관리를 강조했습니다. 양회를 앞두고 요행을 바라는 투자심리 위축으로 연결되며 중국 쏠림주(백주/제약) 약세를 초래했습니다.

 

개인적으로 시장 하락을 유도한 주요 원인은 2번보다 1번이 더 크다고 생각합니다. 중국의 정책 정상화는  이미 1월 말부터 인민은행이 행동에 옮기고 있기 때문이지요.

 

3월 대내외 불확실성으로 중국시장 변동성은 한층 강화될 예정입니다. 단기적으로 업종 비중 조절이 필요하지만, 중장기 쌍순환 전략 하에 내수 확대, 디지털경제 추진, 신재생투자 확대 등 중장기 방향은 변하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시황종합] '외인+기관 사자' 코스피 1% 올라 3040선…LG화학 7%↑

시간외 뉴욕 지수 선물 하락 전환으로 상승폭 축소

코스닥 1.01% 오른 923.17…환율 0.5원 오른 1124.0원

출처: <https://www.news1.kr/articles/?4227810>

 

728x90
728x90

 

증시캘린더는 개인적으로 관련된 소식을 확인후 작성한 일정이라 변동 또는 오류의 소지가 있습니다.

참고시 유의하시고 배포시엔 블러그 링크로 공유해 주셔요.


 

728x90
728x90

 

주식투자 스터디를 위해 개인적으로 스크랩한 시황, 뉴스 자료를 공유합니다.

1) 노션 링크는 익스플로러에선 제대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크롬에 최적화 되어있으며, 엣지, 웨일에서도 잘 작동합니다.

 

2) 장 시작전 올려드리는 해외마감시황~ 게시글은 저녁 10시 이전 업데이트 완료시 제목 마지막에 '업데이트중' 문구가 삭제됩니다.

 

3) 공유한 자료링크는 1~2일후 공유 해지 합니다.

 

게시물은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한 것이라

불확실하거나 오류가 많을 수 있으므로 투자 활용시 유의하시기 바라며, 개별적인 종목 추천이나 상담은 하지 않습니다.

 

모쪼록 제 공간에 오신 모든 분들이 주식스터디를 통해 인생 한 방보다, 꾸준함을 믿으며...

복리의 마법으로 모든 분들이 성공한 개인투자자가 되시길...

 


02/27 미 증시 특징: 채권, 상품, 외환시장 변동성 확대

-  1월 핵심 PCE 물가지수 전월 대비 0.3% 상승(예상 mom +0.1%)

-  1월 핵심 PCE 물가지수 전년 대비 1.5% 상승(예상 +1.4%)

-  1월 개인 소비지출 전월 대비 2.4% 증가(예상 mom +2.2%)

-  상품가격 급락: WTI -3.2%, 구리 -3.6%, 아연 -3.4%, 금 -2.6%, 은 -4.5%

-  미 10년물 국채 금리 11bp 하락한 1.410%

-  대형 기술주 2~3% 하락하다 보합~1% 상승으로 폭 축소

-  금융, 경기 민감주 부진 Vs. 반도체 업종 강세

 

장중 변화: 금융, 에너지, 광산, 산업재 하락 Vs. 반도체, 대형 기술주 반등

미 증시는 경제지표 발표 후 금리 안정 속 대형 기술주 중심으로 상승 출발. 그러나 바이든 행정부가 중국 기술주에 대한 규제 언급과 디지털세 관련 이슈 부각 등의 영향으로 하락하기도 하는 등 변화를 보임. 특히 금리 하락 영향으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은 상승했으나 상품가격 급락으로 다우지수가 부진한 차별화 진행(다우 -1.50%, 나스닥 +0.56%, S&P500 -0.47%, 러셀2000 +0.04%)

 

 

장중 변화 요인: 금리 하락, 미-중 마찰, 상품가격 급락, 디지털세

 

금리 하락: 미국 10년물 국채금리가 11.7bp 하락한 1.40%를 기록. 전일 1.6%를 상회하는 등 변동성을 보인 이후 이날 급락한 것. 최근 금리 상승폭이 과도 했다는 인식이 부각된 가운데 경제 지표 부진, 핵심 PCE 디플레이터가 예상을 상회했으나 우려 보다는 완만한 상승을 보인 점, 그리고 상품가격 급락 등에 따른 것으로 추정. 이 영향으로 JP모건(-2.65%), BOA(-3.40%) 등 금융주가 급락 했으며, 여타 경기 민감주 중심으로 매물 출회

 

미-중 마찰: 바이든 행정부 관계자는 공급망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국가 안보 위협이 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기술 거래 관련해 상무부에 금지 권한을 부여 할 것이라고 언급. 이는 중국과의 마찰 확대 가능성을 높여 매물 출회된 요인. 관련 기술은 소프트웨어, 고급 컴퓨팅, 드론, 자율주행 관련 기술 등이 해당. 상무부는 3월 22일 까지 기업들로부터 의견을 청취 후 최종 결정을 할 것이라고 발표. 그렇지만 관련해 행정부 관계자는 공격적으로 시행하지 않을 것이라고 언급해 트럼프와는 다른 모습. 물론 시장은 바이든 행정부가 경재력을 손상시키고 혁신을 늦출 수 있기 때문에 관련 규제는 강경하게 시행하지 않을 것으로 전망

 

디지털세: 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에서 미국의 옐런 재무장관은 “더 이상 미국은 디지털세를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규정인 ‘세이프하버’를 주장하지 않겠다” 라고 발표. 그동안 디지털세 관련해 트럼프 행정부는 세이프하버 규정을 발표해 전체 기업에 대한 의무적인 세금 부과를 반대해 유럽과 마찰이 진행 중 이었음. 그러나 바이든 행정부가 이를 취소. 이는 유럽과의 마찰이 완화된 점은 긍정적이기는 하지만, 대형 기술주에 대한 세금 부과 등을 감안 향후 관련 기업들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 최근 옐런을 비롯해 주요 인사들이 규제와 관련 발언들이 많이 나오고 있어 시장의 예상보다 빠른 시기에 규제, 분배 이슈로의 전환 가능성에 주목. 이 영향으로 2~3% 넘게 상승하던 알파벳(+0.30%), 페이스북(+1.15%), 아마존(+1.17%), MS(+1.48%), 애플(+0.22%) 등은 상승분을 대부분 반납하며 마감

 

상품가격 급락: 국제유가를 비롯해 금, 비철금속 등이 3% 내외 급락. 국제유가의 경우는 OPEC+ 국가들의 감산 이행률 103% 기록 등 상승요인에도 불구하고 중국 수입 감소 우려로 급락. 중국의 원유 재고량이 100일 수입에 해당하는 수준에 도달했다는 소식이 전해짐. 중국이 작년에 원유를 비롯해 주요 원자재를 비축하기 시작했으며 가격 상승세가 확대되자 그 속도가 빨라졌었음. 그런 가운데 중국의 원유 재고량이 급증해 저장 공간 부족 우려가 확산. 더 나아가 3월부터는 정유시설 정비 시작을 감안하면 재고량 증가 속도는 더욱 확대될 것이라는 전망도 유입되며 매물 출회된 것. 여기에 3월 4일 OPEC+ 정례회의에서 감산 규모 축소가 된다는 점도 부담. 더불어 미국의 시추공 수도 증가해 미국의 텍사스 지역 겨울 폭풍 이슈가 해소되고 있다는 점도 영향

 

금의 경우는 금리 상승에 대한 우려 속 달러 강세까지 겹치며 2.6% 하락. 은도 4.5% 급락. 구리를 비롯한 여타 비철금속도 3% 내외 급락. 이는 국채 금리 급등으로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이슈가 부각된 후 그동안 상승폭이 컸던 상품 시장에서 자금 이탈 이슈가 부각된 점도 영향. 더 나아가 중국의 원유 재고가 큰 폭으로 확대된 가운데 원유와 함께 주요 원자재 매입도 둔화 될 수 있다는 분석이 재기되며 상품 선물시장에서 롱포지션 청산이 연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소식도 하락 요인. 이러한 상품시장 급락으로 엑손모빌(-2.49%), 셰브론(-2.30%) 등 에너지 업종은 물론 구리 관련 프리포트 맥모란(-4.96%), 금 관련 뉴몬트 마이닝(-3.10%) 등 광산 업종도 급락.

 

 

주요 ETF

*미 주요 업종 ETF

원유시추업체 ETF(XOP)  -2.23%

에너지섹터 ETF(OIH)  -1.12%

소매업체 ETF(XRT)  -0.44%

온라인소매업종 ETF(IBUY)  +3.50%

금융섹터 ETF(XLF)  -1.91%

지방은행 ETF(KRE)  -2.31%

기술섹터 ETF(XLK)  +0.53%

소셜 미디어업체 ETF(SOCL)  -0.10%

인터넷업체 ETF(FDN)  +0.96%

리츠업체 ETF(XLRE)  -1.74%

주택건설업체 ETF(XHB)  -1.36%

바이오섹터 ETF(IBB)  -0.14%

헬스케어 ETF(XLV)  -0.86%

곡물 ETF(DBA)  -1.42%

반도체 ETF(SMH)  +2.06%

 

*미 주요 스타일별 ETF

대형 가치주 ETF(IVE)  -1.31%

중형 가치주 ETF(IWS)  -0.60%

소형 가치주 ETF(IWN)  -0.66%

대형 성장주 ETF(VUG)  +0.35%

중형 성장주 ETF(IWP)  +0.91%

소형 성장주 ETF(IWO)  +0.50%

배당주 ETF(DVY)  -1.58%

신흥국 고배당 ETF(DEM)  -1.35%

신흥국 저변동성 ETF(EEMV)  -1.21%

미국 국채 ETF(IEF)  +0.90%

하이일드 ETF(JNK)  -0.20%

물가연동채 ETF(TIP)  +1.24%

Long/short ETF(BTAL)  -0.98%

MSCI 미국 모멘텀 ETF(MTUM)  +0.80%

 

 

한국 관련

-  MSCI 한국 지수 ETF -1.17% 하락

-  MSCI 신흥국 지수 ETF -1.34% 하락

-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2.28% 상승

-  NDF 달러/원 환율 1개월물 1,126.00원

 

 

[하나금융투자 중국/신흥국전략 김경환]

*텔레그램 채널 : https://t.me/HANAchina

 

•중국 주말에는 무슨 일이?

 

>>총평 : 금주 중국증시는 미국 금리 상승과 3대 지역(본토/홍콩/ADR) 급락 충격에서 점차 회복 예상. 2월 제조업PMI는 계절성으로 하락했지만, 3월 반등 유효. 5일 전인대 앞두고 주말 부동산/증권/교통인프라/인공지능/백신/마오타이 관련 호재 상존.

 

•전주 CSI300, 심천 창업판 및 중국, 홍콩, 미국 ADR 소비재/전기차/헬스케어/인터넷 관련 블루칩 10-15%대 급락. 미국 금리 상승이 사실상 채권화된 소비재 블루칩(독점종목)의 멀티플에 타격, 기타 성장주(전기차/인터넷 등) 역시 단기 정당성 고민 확대. 이는 3개월간 초과 포지션을 가져갔던 펀드자금 중심으로 포트 비중 축소를 촉발.  다행히 위안화와 중국 금리는 상대적으로 안정적. 3월 중국 펀드의 균형 포트폴리오 전환에 따라 높은 변동성 속 반등 모색 . 단기 리플레이션 플레이, 금융, 산업재, 서비스(컨택) 상대우위

 

•3월 미국 금리 인상과 인민은행 출구전략 악재 단기 정점 통과를 예상. 미중 금리차는 250bp 고점에서 2월말 170bp로 축소. 자본유출과 위안화 표시자산 관점에서  80-100bp가 보루이기 때문에 여전히 여유. 미국 금리 2%가 되어도 130bp이기 때문에 과도한 우려를 경계.

 

•금주 5일(금) 전인대 개막, 단기 부양책 기대 제한적.  첫날 총리업무보고에 양적목표 하향조정, 산업정책 강화 예상. 지방전인대 31개성 성장목표 평균 7% 제시하며  작년 목표 6.5%와 상반기 기저효과 감안할때 보수적인 수치. 기타 재정적자와 지방채 한도 역시 소폭 하향조정 예상. 거시 부양책 기대 보다는 인프라투자(신형/전도), 테크, 증권, 인구정책 등 중장기 정책 관심.

 

>>주말 뉴스와 코멘트

 

>중국 2월 제조업PMI 지수 예상 하회 : 2월 50.6 기록(1월 51.3), 예상 51.0 소폭 하회. 생산과 신규주문이  전월비 -1.6, -0.8 하락, 춘절 연휴와 월초 확진자 증가 여파 뚜렷하게 부정적으로 작용. 춘절 조업 조기 복귀 영향은 3월부터 반영, 재고확충에 따라 반등은 확실시

 

>힘빠진 2월 중국 펀드 발행 : 2월 시장 변동성 확대에 따라 신규 펀드 발행 35개로 41개월 최저, 발행액 1300억위안으로 2020년 1월 이후 최저. 발행액은 1월의 1/5 수준으로 급감. 당장 대기물량 많아 3월 수급에 영향이 없으나, 3-4개월 시차를 두고 하반기 시장 수급에 부담으로 작용할 것.

 

>2021 년 교통 인프라 투자 관심 고조 : 증권시보, 춘절 이후 지방정부 2021년 투자 규모 34조위안을 보도. 다만, 신뢰도 낮은 투자 총액보다는 지역별 투자 방향이 ‘제조업 고도화’, ‘신형 인프라’, 궤도열차 중심 ‘전통 인프라’가 핵심임을 크게 강조. 한편, 중국 교통부는 1월 중국 교통인프라 관련 고정투자가 2019년 1월 대비 13.8% 증가했다고 발표.

 

- 한편, NDRC(발개위)는 2021년 일부 국유자본 회수/활용해 철도, 환경, 수리, 물류 및 신형 인프라(IDC/5G/AI)에 투입할 것임을 강조. 전인대 이후 회수 강도와 구체안 발표될 경우 관련 업종에 호재 예상.

 

>3 월 회사채 만기 상환액 급증 : 2021년 중국 회사채(신용채) 만기상환액 YoY+17%, 3-4월이 정점으로 각 YoY+66%, YoY+21%. 일부 민영기업 및 공사 채권 평균 YoY+80% 증가. (•3월 인민은행의 출구전략은 임시휴업)

 

> 중국, 미국산 제품 65종 추가 관세 면제 9월까지 연장 : 작년 2월부터 1년간 추가관세 면제 대상으로 목재, 서적, 항공부품 등. (*당장 큰 의미는 없으나, 9월안에 무역 관련 채널은 복귀하자는 요구가 아닐지…)

 

>2020년 중국경제 글로벌 비중 17% 돌파 : 통계국 연간 GDP 최종치 발표, 101.6조위안으로 연간 2.3%. 글로벌 비중 2009년 16.3%에서 17% 상회.

 

>26 일 중앙정치국회의 개최 : 정치/사회 주제인 월간회의에서 14차5개년계획 초안 논의. 거시경제 운용은 연속성, 안정성, 지속성 강조. 적극적인 재정/안정적인 통화정책은 유연성 강조. (*12월 경제공작회의와 동일)

 

> 중국 자연자원부, 2021년 대대적인 택지 공급을 최우선 목표로 선언, 부동산 가격 안정을 위한 강력한 의지. (*최근 반등한 중국 디벨로퍼 주가에 또 호재)

 

> 중국 과기부, 14차5개년계획 기간에 인공지능, 양자컴퓨팅, 바이오종자 산업 관련 대형 프로젝트 투자

 

>금요일 중 ADR 급락세 지속 : 전주 마지막 거래일  컨텐츠, 게임, 전기차, 전자상거래 등 전반 급락. 전주 누적 알리바바 -10%, JD -11%, 비리비리/핀둬둬 -12%, 바이두 -16%, 니오 -17%

 

>마오타이 2020년 매출 YoY 18% 증가, 예상 상회

 

>중국증권보, 구리가격 상승이 중국 가전 업체에 큰 충격이며 가격 인상 압력이 계속 높다고 보도.

 

>장안자동차 CEO, 양회에 제출한 건의해서 차량용 반도체 공급부족 심각, 국가차원의 정책 출시 필요성 언급.

 

>화웨이는 자동차 제조 관련 루머에 대해 기존 전략은 바뀌지 않으며, 자동차 제조는 안한다고 강조. 한편, 런정페이 대표는 ‘클라우딩 서비스’ 집중을 다시 강조.

 

>복성제약과 BioTech, 홍콩과 마카오 지역 대상 백신을 독일에서 홍콩 공항으로 인도.

 

>넷이즈 뮤직, 2020년 신규 유저 60%가 ‘00년대’, MAU 90%가 29세 이하.

 

>앤트그룹, 당국 요구사항에 맞추기 위해 300억위안(46억달러) 규모 자본확충이 필요하다고 평가.

 

> 중국 증권업 중요 이슈(2분기 중국 탑픽)

(1)증감회(CSRC) 발언-현재 과창판/창업판 IPO 전과정 5개월 소요로 과거 2-3년대비 대폭 축소. 2021년 IPO 심사 템포 안정적, 민영기업 상황에 따라 속도조절 고려. 과창판 T+0 거래제도 출시를 심각하게 논의중. (*중국 개인투자자 최대 관심사 중 하나)

 

(2)중국 1월 신규 주식투자자 209만명(YoY+161%), 계좌 기준 전체 투자자 1.798억명(YoY+12%)

 

(3)2020년 중국 증권사 매출 Top 3는 중신, 해통, 국태국안 증권 순. Top 3 증권사 연간 매출 모두 300억위안(한화 5조원) 돌파

 

(4)대표증권사 중신증권(CITIC), 280억위안 규모 증자 규모 발표, 중계와 디지털 업무 확장 목적), (5)전인대 상무위, 중국 증권거래세(인화세) 법안 최초로 상정, 세율 변동 없을 전망

 

(위 문자의 내용은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득하였음)

 

 

 

디지털 위안화 속도내는 중국… 美·中 ‘화폐전쟁’ 불붙나

신문A8면 1단 기사입력 2021.03.01. 오전 11:03

인민은행, DCEP 상용화 고삐

전자지갑 속 법정화폐

2014년부터 국가차원 디지털 통화 연구

지방 대도시 이어 2021년 베이징서 공개 실험

현금소비 대체서 무역결제까지 확대 구상

2022년 베이징 올림픽 전 정식 도입 관측

달러화 패권에 도전장

경제블록 ‘일대일로’ 통해 활용 늘릴 듯

국내외 자금 흐름 파악… 돈세탁·탈루 방지

체제 강화·국민 통제 수단 활용 가능성도

자본 규제로 유동성 한계… 금융개혁 필요

출처: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22&aid=0003556826>

 

 

스포티파이, '카카오M' 음원 글로벌 서비스 중단…협상 무산되나

홍성일 기자 hong62@theguru.co.kr

등록 2021.03.01 09:33:59

출처: <https://www.theguru.co.kr/news/article.html?no=19231>

 

 

테슬라 탑재 전기차 부품에…현대차·SK·포스코도 '공격 투자'

신문A13면 1단 기사입력 2021.02.28. 오후 5:55

SK, 관련기업에 추가 투자 검토

현대차, 전력효율 개선 제품 개발

28일 전자업계에 따르면 SK(주)는 SiC 전력반도체 기업인 예스파워테크닉스에 추가 투자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SK(주)는 올초 예스파워테크닉스에 268억원을 투자해 지분 33.6%를 인수했다.

출처: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sec&oid=015&aid=0004506072>

<< 예스티 >>

 

 

아이오닉5, 한국 이어 유럽서도 완판…기아도 내달 CV 출시

신문A13면 1단 기사입력 2021.02.28. 오후 5:54

사전계약 첫날 물량의 세 배 몰려

기아 CV 내달 출시 '쌍끌이' 기대

출처: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sec&oid=015&aid=0004506071>

 

 

 

개미들 '3월 투자 전략'…성장주 대신 담을 저평가 종목은?

신문A14면 1단 기사입력 2021.02.28. 오후 5:04

성장주 주춤…개미들 '포트폴리오 교체' 고심

효성티앤씨·HMM·삼성증권 등

실적 개선 될 가치주 주목해야

소외받던 철강·은행주 급반등

출처: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sec&oid=015&aid=0004506007>

 

 

 

매출액 1조원도 ‘어닝쇼크’?···고삐 풀린 증권사 리포트

김찬호 기자 flycloser@kyunghyang.com

출처: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2102280956001&code=940100>

 

 

 

 

2021년 워런 버핏의 연례서한에서 가장 중요한 5가지 내용

 

1. 영업이익에 집중

영업이익은 회사의 성과를 가장 정확하게 표현한다.

 

2. 이익 잉여금의 힘을 과소 평가하지 마라

이익 잉여금은 장기적으로 주주들에게 수백만달러를 벌어들이게 하는 마법이다. 이익 잉여금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인수하고 부채를 갚고, 종종 주식을 매입하기 때문이다.

 

3. 좋은 경제적 특성과 좋은 관리자를 가진 사업에 투자하라

 

4. 상식을 사용하여 회사의 경쟁력과 핵심 역량을 살펴봐라

회사의 경쟁 강점, 경영진의 능력과 특성, 가격을 기반으로 가장 합리적이라고 생각하는 곳에 자본을 배치하기만 하면 노력이 거의 필요로 하지 않을 정도로 훨씬 더 좋다

 

5. 비싸게 사지 마라

내재 가치보다 비싸게 매입하면 포트폴리오 성과를 저해하는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워런 버핏의 연례 서한

https://fm.cnbc.com/applications/cnbc.com/resources/editorialfiles/2021/02/27/2020ltr.pdf

728x90
728x90


1. 유가증권시장

(단위 : )

해제일

종 목 명

사유

해제주식수

총 발행주식수

비율(%)

3.13

하나투어

모집(전매제한)

2,323,000

13,939,185

16.67

3.17

삼성제약

모집(전매제한)

2,555,583

66,847,367

3.82

3.20

제이콘텐트리

모집(전매제한)

1,978,173

16,385,071

12.07

3.24

큐로

모집(전매제한)

11,216,772

227,211,638

4.94

3.24

미래에셋맵스제1

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부동산(상장)

5,700,000

20,100,000

28.36

3.31

세화아이엠씨

모집(전매제한)

24,200,000

157,607,815

15.35

합 계 (6개사)

47,973,528

502,091,076

 

 

2. 코스닥시장

(단위 : )

해제일

종 목 명

사유

해제주식수

총 발행주식수

비율(%)

3.01

한류타임즈

3자배정유상증자(코스닥)

6,500,000

9,211,102

70.57

3.01

핑거

기관투자가

127,877

8,839,014

1.45

3.01

기타 보호예수 필요 주주

267,946

3.03

3.01

벤처금융

790,043

8.94

3.01

더블유에스아이

합병(코스닥)

899,938

29,237,963

3.08

3.02

앱코

상장주선인(국내기업)

41,152

9,688,732

0.42

3.02

엔에프씨

상장주선인(국내기업)

60,000

8,931,800

0.67

3.03

레인보우로보틱스

벤처금융

285,714

15,870,214

1.8

3.03

포인트모바일

벤처금융

1,687,180

6,430,586

26.24

3.03

상장주선인(국내기업)

32,850

0.51

3.03

와이더플래닛

기관투자가

159,868

6,835,948

2.34

3.03

기타 보호예수 필요 주주

283,211

4.14

3.04

덱스터스튜디오

모집(전매제한)

690,607

25,348,136

2.72

3.04

클리노믹스

기타 보호예수 필요 주주

415,677

13,315,141

3.12

3.04

상장주선인(국내기업)

59,169

0.44

3.05

에코프로비엠

최대주주(코스닥)

8,920,000

21,035,166

42.41

3.05

아이퀘스트

벤처금융

1,470,000

9,860,000

14.91

3.06

엠젠플러스

모집(전매제한)

1,070,000

21,962,565

4.87

3.06

큐로컴

모집(전매제한)

4,098,360

119,466,889

3.43

3.06

라이트론

모집(전매제한)

1,555,556

23,174,379

6.71

3.09

지엔원에너지

합병(코스닥)

13,300,107

31,208,908

42.62

3.09

피엔케이피부임상

연구센타

기타 보호예수 필요 주주

250,000

7,502,644

3.33

3.09

상장주선인(50%이상)

79,330

1.06

3.09

최대주주(3자배정)

217,015

2.89

3.10

카카오게임즈

기타 보호예수 필요 주주

3,861,990

74,521,551

5.18

3.10

최대주주(3자배정)

781,460

1.05

3.10

최대주주(코스닥)

39,264,315

52.69

3.10

엔젠바이오

상장주선인(국내기업)

71,428

12,364,912

0.58

3.11

인바이오

상장주선인(국내기업)

48,900

10,084,400

0.48

3.14

티엘비

상장주선인(국내기업)

26,315

4,916,315

0.54

3.15

에코마이스터

자발적보호예수

1,519,931

26,691,608

5.69

3.16

하림

모집(전매제한)

19,263,764

106,209,702

18.14

3.16

엔피디

최대주주(코스닥)

6,900,000

21,535,185

32.04

3.16

피엔에이치테크

기타 보호예수 필요 주주

638,210

4,516,016

14.13

3.17

에프앤가이드

기타 보호예수 필요 주주

773,262

12,080,000

6.4

3.17

상장주선인(국내기업)

48,786

0.4

3.18

아래스

3자배정유상증자(코스닥)

1,000,000

45,661,760

2.19

3.18

핌스

기타 보호예수 필요 주주

51,687

7,368,317

0.7

3.18

최대주주(3자배정)

344,169

4.67

3.18

최대주주(코스닥)

51,687

0.7

3.20

아리온테크놀로지

모집(전매제한)

1,901,140

38,974,244

4.88

3.21

비비씨

최대주주(코스닥)

306,000

5,403,683

5.66

3.21

알체라

상장주선인(국내기업)

60,000

13,368,794

0.45

3.22

프리시젼바이오

기관투자가

128,205

11,243,846

1.14

3.22

벤처금융

897,435

7.98

3.22

상장주선인(국내기업)

45,000

0.4

3.23

에프앤리퍼블릭

모집(전매제한)

5,357,142

109,894,095

4.87

3.23

비나텍

상장주선인(국내기업)

18,000

4,901,300

0.37

3.23

최대주주(코스닥)

1,865,937

38.07

3.23

석경에이티

상장주선인(국내기업)

30,000

5,455,000

0.55

3.24

원방테크

최대주주(코스닥)

2,452,758

4,294,143

57.12

3.24

오로스테크놀로지

기관투자가

110,000

9,309,542

1.18

3.24

기타 보호예수 필요 주주

280,607

3.01

3.24

벤처금융

724,501

7.78

3.25

유일에너테크

벤처금융

477,081

10,590,044

4.5

3.25

최대주주(코스닥)

55,550

0.52

3.26

휘닉스소재

모집(전매제한)

10,000,000

79,138,942

12.64

3.28

케이엠제약

합병(코스닥)

7,281,247

27,887,050

26.11

3.30

제낙스

모집(전매제한)

454,545

4,951,894

9.18

3.31

톱텍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2,988,480

38,023,245

7.86

합 계 (42개사)

153,341,132

1,057,304,775

 

 

 

 

728x90
728x90

 

주식투자 스터디를 위해 개인적으로 스크랩한 시황, 뉴스 자료를 공유합니다.

1) 노션 링크는 익스플로러에선 제대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크롬에 최적화 되어있으며, 엣지, 웨일에서도 잘 작동합니다.

 

2) 장 시작전 올려드리는 해외마감시황~ 게시글은 저녁 10시 이전 업데이트 완료시 제목 마지막에 '업데이트중' 문구가 삭제됩니다.

 

3) 공유한 자료링크는 1~2일후 공유 해지 합니다.

 

게시물은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한 것이라

불확실하거나 오류가 많을 수 있으므로 투자 활용시 유의하시기 바라며, 개별적인 종목 추천이나 상담은 하지 않습니다.

 

모쪼록 제 공간에 오신 모든 분들이 주식스터디를 통해 인생 한 방보다, 꾸준함을 믿으며...

복리의 마법으로 모든 분들이 성공한 개인투자자가 되시길...

 


[2/26 미증시 혼조 = 국채금리 하락]

(Feat. 힘겹지만 지킨 나스닥 60ma)

 

☑️부양책 상원통과하면 시장은 국채금리 상승보다 부양책 효과에 집중할 것으로 예상

=>부양책 실행되면, 국채금리 상승베팅 동력 상실 전망

 

☑️부양책은 기존 실업급여 보너스 만료일인 3/14 이전에 실행될 예정

 

*부양책 : $1.9t 하원통과 / 상원예정

-실업급여 보너스 : $400/week/person

-현금보너스 : $1,400/person

-아이들지원금 : $3,600/child

-백신보급 : $20b

-테스트 : $50b

-주정부지원 : $350b

-학교지원 : $170b

-연방 최저시급 : $15 by 2025년

 

*J&J 1샷 백신 : FDA 패널 투표 통과

-다음주 중 긴급사용승인 예상

 

*코로나 : 신규확진자 증가 지속

(전일 78,004 / WoW +17.6%)

 

•나스닥 +0.6% / 러셀2000 +0.3%

•S&P500 -0.5% / 다우 -1.5%

-나스닥 Top10 : 상승10 vs 하락2

 

-미국 국채금리(10y) : 1.407 (-0.049)

-WTI : $61.62 (-3.0%)

-Bitcoin : $46,000

 

SMART한 주식투자

https://t.me/frankinvest

 

(2021.02.26) U.S. & EU Market Closing

2021.02.27

허단

U.S. Market Closing – 06:00 기준

지수

종가

등락폭

등락률

상승/하락/보합

DOW

30,932.37

-469.64

-1.5%

5/25/0

S&P500

3,811.15

-18.19

-0.5%

162/341/2

NASDAQ

13,192.34

72.91

0.6%

1035/1929/63

RUSS 2K

2,201.05

0.88

0.0%

706/1298/23

PHLX 반도체지수

3,067.63

68.46

2.3%

29/1/0

VIX지수

27.95

-0.94

-3.3%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미국 주요 지수는 시장 예상치를 부합하는 경제지표와 국채 금리 하락에 따른 투자심리가 회복되며 혼조세로마감. 뉴욕증시는 장 초반 금리의 움직임과 주요 경제지표를 주시하며 등락을 반복했으며, S&P500은 -0.5% 하락한 3,810선, 나스닥은 +0.6% 상승한13,190선, DOW는-1.5% 하락한 30,900선에 마감. 미10년물 국채 금리는 1.5%선 밑으로 하락하며 밸류에이션우려가 번지던 테크 기업들은 다시 상승 동력을 얻음. 특히 애플(APPL,+0.22%), 마이크로소프트(MSFT, +1.48%), 페이스북(FB, +1.15%)가 일제히 상승하며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의 상승을 주도. 반면에너지 관련 기업과 국채금리 상승에 따른 금융 기업은 금일 장에서 하락하며 다우존스 하락세를 견인. 한편미국 상무부는 1월 개인소비지출(PCE)이 전월 대비 2.4% 증가했다고 발표했으며, 물가 관련 지표인 근원 PCE가 전년 동기 대비 1.5%오르며 시장 예상치에 부합하며 시장에안도감을 제공함.

U.S. ETF Closing – 06:00 기준

Sector

분류

티커

현재가

등락률

t신호

수익률

 

 

 

 

 

 

 

1개월

3개월

1년

IT

XLK

130.69

0.5%

안개

1.3%

4.7%

47.0%

자유소비재

XLY

161.15

0.4%

안개

-0.5%

1.9%

39.4%

커뮤니케이션

XLC

71.57

0.4%

햇빛

7.0%

7.6%

42.1%

헬스케어

XLV

112.61

-0.9%

안개

-2.1%

2.2%

21.2%

산업재

XLI

90.61

-1.0%

햇빛

6.9%

3.6%

25.3%

소재

XLB

73.55

-1.3%

햇빛

4.1%

3.0%

37.9%

부동산

VNQ

87.87

-1.5%

햇빛

3.4%

4.9%

0.8%

필수소비재

XLP

63.3

-1.6%

안개

-1.2%

-5.4%

8.0%

유틸리티

XLU

58.36

-1.9%

안개

-6.1%

-7.0%

-7.1%

금융

XLF

32.31

-1.9%

햇빛

11.5%

14.7%

23.2%

에너지

XLE

48.15

-2.4%

햇빛

22.4%

32.0%

12.4%

자료: 티레이더,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섹터별 ETF는 IT(XLK/ +0.5%), 커뮤니케이션(XLC / +0.4 %), 자유소비재(XLY, +0.4%) 섹터가 오름세를 시현했으며, 에너지(XLE / -2.4%), 금융(XLF / -1.9%) 섹터는 약세로마감. 금일 금리 하락으로 위험자산 선호 심리가 살아나자 상승 동력을 얻은 IT 기업들의 주가가 상승했고 커뮤니케이션 섹터와 IT 섹터는 강세를시현했으며, E-커머스 기업인 엣시(ETSY)는 분기실적결과 코로나로 인해 온라인 매출이 크게 증대되며 자유소비재 섹터의 상승을 견인. 한편 달러 강세로 원자재와4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가 -2.5% 하락하며 에너지 섹터의 하락을 견인.

 

Thematic

분류

티커

현재가

등락률

t신호

수익률

 

 

 

 

 

 

 

1개월

3개월

1년

반도체

SOXX

416.9

2.3%

안개

6.4%

13.5%

82.0%

스포츠베팅/iGaming

BETZ

30.45

0.2%

햇빛

10.1%

28.6%

0.0%

스트리밍 서비스

SUBZ

14.27

0.3%

 

0.0%

0.0%

0.0%

데이터/인프라 리츠

SRVR

34.98

-0.3%

안개

-3.4%

-1.9%

4.0%

글로벌 천연자원

GNR

49.11

-2.5%

햇빛

8.9%

14.5%

31.2%

자료: 티레이더,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테마 ETF의 경우 반도체(SOXX)ETF가 전일 하락분을 반납하며 금일 +2.34% 상승 마감. 또한 달러 강세에 따른 원자재 가격 하락으로 글로벌 천연자원(GNR) 섹터는-2.34%를 기록. 한편 온라인 갬블링 업체인 드래프트킹즈(DKNG)는 마케팅 효과와 스포츠 갬블링 합법화 움직임에 금일 +5.22% 상승하며스포츠베팅/iGaming(BETZ) 섹터의 상승을 주도.

 

EU Market Closing – 02:00 기준

지수

종가

등락률

구분

업종

등락률

STOXX 600

404.99

-1.6%

상승

 

 

 

 

 

하락

필수소비재

-2.0%

 

 

 

 

소재

-2.3%

 

 

 

 

에너지

-3.0%

지수

종가

고가

저가

등락폭

등락률

獨 DAX

13,786.29

13,881.26

13,673.07

-93.04

-0.7%

英 FTSE 100

6,483.43

6,651.96

6,465.57

-168.53

-2.5%

佛 CAC 40

5,703.22

5,768.03

5,688.26

-80.67

-1.4%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유럽증시는 투자자들의 위험자산 선호 심리 위축과 달러 강세로 원자재 가격이 하락하며 이번 달 최고 폭인 -1.6% 하락 마감. 금일 유럽증시는 미 10년물 국채 금리 상승에 따른 변동성이 커지며 장 초반 1% 급락 출발하였으며, 달러가 강세로 나타나자 2월동안 좋은 성적을 내던경기민감주 종목의 주가가 하락하며 증시의 낙폭을 키움. 금일 유럽 증시 내 모든 업종은 일제히 하락 마감했으며, 에너지, 금융, 기초소재 섹터가가장 큰 하락 폭을 기록. 석탄 채광과 강철을 제조하는 에브라즈(EVR EU)는 -2.19% 하락했으며, 구리와 은을 생산하는 폴스카미에츠(KGHEU) 역시 -5.33% 하락하며 증시 하락에 기여.

 

 

 

출처: <https://m.myasset.com/extern/researchPortal/RP_0001000_P1.cmd?menuid=RP_0105000_P1&searchKeyGubun=1&keyword=&page=1&res_seq=168262>

 

 

 

뉴욕증시, 美금리 연동한 변동 끝에 혼조…다우, 1.5% 하락 마감

송고시간2021-02-27 06:42

미 국채 10년물 금리는 장 초반 1.52%를 넘었다가 1.41% 부근까지 떨어지는 등 널뛰기 장세를 보였다. 금리가 장 초반 이후 하락하면서 주가지수도 반등하는 흐름을 보였지만, 장 후반 금리가 저점에서 반등하자 지수도 다시 고꾸라졌다. 미 국채 10년물 금리는 증시 마감 무렵 1.42% 수준을 기록했다.

다만 전일 지난해 10월 이후 최대폭인 3.5% 이상 급락했던 나스닥은 이날은 상대적으로 강세를 나타냈다.

국제유가의 큰 폭 하락 등으로 에너지 관련주가 급락하는 등 경기 민감 종목은 상대적으로 더 부진했다.

물가 등 주요 지표가 안정적이었던 점이 금리 상승세를 다소 누그러뜨렸다.

출처: <https://www.yna.co.kr/view/AKR20210227010500009>

 

 

[뉴욕증시 마감] '1.5%' 넘은 美국채 금리에 극심한 등락...다우 470p↓·나스닥 반등

최지현 기자입력 : 2021-02-27 08:22

10년물 美국채 금리 1.52~1.41% 널뛰기 장세에 증시도 불안세WTI 3.2% 급락에 에너지주도 휘청...다우지수 부진에도 영향 줘

출처: <https://www.ajunews.com/view/20210227072124150>

 

 

[뉴욕유가] 증산 가능성·레벨 부담에 3.2% 급락

송고시간2021-02-27 05:21

출처: <https://www.yna.co.kr/view/AKR20210227007900009?input=1195m>

 

 

'애플·구글에 더 많은 세금을' 美 디지털세 반대 입장 철회

기사입력 2021.02.27. 오전 7:54

옐런 "세이프 하버'(safe-harbor) 규정을 주장하지 않을 것"

미와 갈등 프랑스 즉각 환영

출처: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5&oid=277&aid=0004855843>

 

 

"미국, 백신 접종 순항…집단면역 이르면 6월 가능성"

기사입력 2021.02.27. 오전 9:22

출처: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sec&oid=015&aid=0004505733>

 

 

GS홈쇼핑, 물류 스타트업 '부릉' 3대주주로 참여

신문A11면 1단 기사입력 2021.02.26. 오후 8:45

GS홈쇼핑이 물류 브랜드 '부릉(VROONG)'을 운영하는 종합물류 스타트업 메쉬코리아의 3대 주주로 참여한다. 26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GS홈쇼핑은 메쉬코리아의 주주인 휴맥스와 휴맥스홀딩스가 보유한 메쉬코리아 지분 18.4%를 인수하기로 의결했다

출처: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sec&oid=009&aid=0004755623>

 

 

'베이징 올림픽' 보이콧?…'중국 견제' 강도 높이는 미국

신문A11면 1단 기사입력 2021.02.26. 오후 5:37

"관세 철회 없다"…美, 더 세진 對中 무역압박

USTR 대표 내정자 인준 청문회

"反中 연합 재건 위해 WTO 참여"

출처: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sec&oid=015&aid=0004505613>

 

 

'모텔 앱' 넘어 '슈퍼 앱'으로…'몸값 5조' 야놀자, IPO 시동

신문A15면 1단 기사입력 2021.02.26. 오후 5:07

출처: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sec&oid=015&aid=0004505562>

<< 아주IB투자 >>

 

 

"일반인은 언제 맞을 수 있나"…코로나 백신 Q&A [이지현의 생생헬스]

신문A17면 1단 기사입력 2021.02.26. 오후 5:09

백신 1억명 맞았지만 심각 증상 극소수

경미한 부작용 3일이면 '싹~'

일반인 접종 어떻게 되나

접종 전후 주의할 점

백신 접종 후 효과는

출처: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sec&oid=015&aid=0004505564>

 

 

 

[한경바이오인사이트]

아티바 시리즈B $120mn 조달 완료

 

머크와 딜 한지 한달도 안되서 자금조달B 완료

빨리 자금 조달하는 이유로 CEO Fred는 NK 세포 생산 과정에 집중하기 위함

 

(시리즈A는 파이프라인 IND 제출 등에 사용)

 

NK 세포 품질 손상 없이 동결 배송 가능하다는 점에서 머크 등 빅파마 관심

 

AB101+리툭시맙 1상 이르면 연말 발표 가능

 

이번 시리즈B는 IPO로 가기위한 사전 단계라고 언급. IPO에 대한 구체적 질문에 이 단계에 모든 회사들이 IPO를 생각한다며 구체적 계획은 없다고 말함

 

참여 회사: Venrock Healthcare, Acuta Capital, Cormorant, EcoR1, Franklin Templeton, Janus Henderson, Logos, TRW, LP, Surveyor, Wellington Management, 5AM Ventures, RA Capital, venBio, GC LabCell, GC도 참여

 

[키움 허혜민]

https://bwnews.pr/3b2Ungt

https://bit.ly/37SbDTw

 

 

 

[(삼성/조현렬) 2/26일 Daily 화학]

▶️ 국제유가 하락 속에 제품가격 상승.

주요 상승제품은 SBR(+5.1%), 에틸렌(+5.0%), 부타디엔(+4.4%), 벤젠(+2.5%), SM(+2.4%).

주요 하락제품은 PX(-1.6%), PTA(-1.4%).

 

[원자재]

√ 두바이 원유: 63.1달러(-1.6%DoD)

√ 나프타: 600달러(-1.6%DoD)

 

[올레핀]

√ 에틸렌: 1,050달러(+5.0%DoD)

√ HDPE: 1,170달러(Flat DoD)

√ LDPE: 1,545달러(Flat DoD)

√ LLDPE: 1,170달러(Flat DoD)

√ MEG: 830달러(+1.6%DoD)

√ 프로필렌: 1,115달러(Flat DoD)

√ PP: 1,200달러(Flat DoD)

√ 부타디엔: 940달러(+4.4%DoD)

 

[아로마틱]

√ 벤젠: 898달러(+2.5%DoD)

√ SM: 1,348달러(+2.4%DoD)

√ 톨루엔: 777달러(-0.4%DoD)

√ 자일렌: 804달러(-0.1%DoD)

√ PX: 864달러(-1.6%DoD)

√ PTA: 680달러(-1.4%DoD)

 

[금일 발표된 주간가격]

√ SBR: 1,850달러(+5.1%WoW)

 

[Spot 스프레드]

√ 에틸렌: 450달러(+15.3%DoD)

√ HDPE: 570달러(+1.7%DoD)

√ LDPE: 945달러(+1.0%DoD)

√ LLDPE: 570달러(+1.7%DoD)

√ MEG: 470달러(+4.2%DoD)

√ PP: 600달러(+1.7%DoD)

√ 부타디엔: 340달러(+17.1%DoD)

√ 벤젠: 298달러(+11.9%DoD)

√ PX: 264달러(-1.6%DoD)

 

[1M래깅 스프레드]

√ 에틸렌: 532달러(+9.1%DoD)

√ HDPE: 652달러(-0.9%DoD)

√ LDPE: 1027달러(-0.6%DoD)

√ LLDPE: 652달러(-0.9%DoD)

√ MEG: 519달러(+1.9%DoD)

√ PP: 682달러(-0.8%DoD)

√ 부타디엔: 422달러(+8.8%DoD)

√ 벤젠: 380달러(+4.5%DoD)

√ PX: 346달러(-5.4%DoD)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 정유화학 텔레그램 채널주소]

<https://goo.gl/1huPr8>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