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증시캘린더는 개인적으로 관련된 소식을 확인후 작성한 일정이라 변동 또는 오류의 소지가 있습니다.

참고시 유의하시고 배포시엔 블러그 링크로 공유해 주셔요.


728x90

'주요 증시 일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3월 8일(월) 증시캘린더  (0) 2021.03.08
3월 6일(토) 증시캘린더  (0) 2021.03.06
3월 4일(목) 증시캘린더  (0) 2021.03.04
3월 3일(수) 증시캘린더  (0) 2021.03.03
3월 2일(화) 증시캘린더  (0) 2021.03.02
728x90

 

주식투자 스터디를 위해 개인적으로 스크랩한 시황, 뉴스 자료를 공유합니다.

1) 노션 링크는 익스플로러에선 제대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크롬에 최적화 되어있으며, 엣지, 웨일에서도 잘 작동합니다.

 

2) 장 시작전 올려드리는 해외마감시황~ 게시글은 저녁 10시 이전 업데이트 완료시 제목 마지막에 '업데이트중' 문구가 삭제됩니다.

 

3) 공유한 자료링크는 1~2일후 공유 해지 합니다.

 

게시물은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한 것이라

불확실하거나 오류가 많을 수 있으므로 투자 활용시 유의하시기 바라며, 개별적인 종목 추천이나 상담은 하지 않습니다.

 

모쪼록 제 공간에 오신 모든 분들이 주식스터디를 통해 인생 한 방보다, 꾸준함을 믿으며...

복리의 마법으로 모든 분들이 성공한 개인투자자가 되시길...

 


2021년 3월 4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Fed가 베이지북에서 백신과 고용을 근거로 올해 경제를 낙관하며 로테이션이 강화됐습니다.

(2) YCC, 오퍼레이션 트위스트에 대한 Fed 관계자들의 발언이 엇갈렸습니다.

(3) 코스피 코스닥 합산 거래대금이 작년 11월 9일 이후 최저를 기록했습니다.

 

 

[3/3 미국 하락 = 테크vs밸류+국채금리]

(Feat. 내일 파월을 기대하며)

☑️FOMC에서 연준은 분명히 행동을 취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시장이 현재 가장 싫어하는 두가지는 ‘아무것도 안하는 연준’과 ‘유동성을 회수하는 연준’입니다:

 

연준이 Yield Curve Control을 시행하면 시장은 다음과 같이 생각할 것입니다.

 

1.연준이 어느정도 인플레를 용인하고,

2.유동성 공급은 지속되며,

3.연준은 분명히 행동한다.

 

*연방은행 총재들 : YCC 언급시작

-Operation Twist가 아닌 YCC 가능성

 

*부양책 : 공화당과 합의 노력

-현금보너스 지급 대상 축소

기존 : 개인소득 $100k / 부부 $200k

수정 : 개인소득 $75k / 부부 $150k

✔️공화당과 합의 없이도 상원통과 가능하나 백악관+민주당은 공화당과 합의 노력

 

*코로나 : 신규확진자 감소

(전일 57,071 / WoW -3.5%)

 

•나스닥 -2.7% / 러셀2000 -1.3%

•S&P500 -1.3% / 다우 -0.4%

-나스닥 Top10 : 상승0 vs 하락10

 

-미국 국채금리(10y) : 1.469 (+0.054)

-WTI : $61.22 (+2.46%)

-Bitcoin : $50,000

 

-2월 ISM 비제조업 PMI : 쇼크

실제 55.3 / 컨센 58.7 / 전월 58.7

 

SMART한 주식투자

https://t.me/frankinvest

 

 

[키움증권] 한미 주요 ETF 동향

투자전략팀 서상영(02-3787-5241)

 

ㅇ 국내

대형주 +1.32%

중소형주 +0.91%

가치주 +1.36%

성장주 +1.29%

배당주 +1.88%

대형성장 +1.47%

중소형성장 +0.58%

대형가치 +1.37%

중소형가치 +1.25%

 

*미 주요 업종 ETF

원유시추업체 ETF(XOP)  +2.03%

에너지섹터 ETF(OIH)  +0.88%

소매업체 ETF(XRT)  -0.37%

금융섹터 ETF(XLF)  +0.78%

기술섹터 ETF(XLK)  -2.52%

소셜 미디어업체 ETF(SOCL)  -2.91%

인터넷업체 ETF(FDN)  -4.27%

리츠업체 ETF(XLRE)  -1.24%

주택건설업체 ETF(XHB)  -1.88%

바이오섹터 ETF(IBB)  -3.58%

헬스케어 ETF(XLV)  -1.27%

곡물 ETF(DBA)  -0.58%

반도체 ETF(SMH)  -3.15%

 

*미 주요 스타일별 ETF

대형 가치주 ETF(IVE)  -0.01%

중형 가치주 ETF(IWS)  -0.20%

소형 가치주 ETF(IWN)  +0.54%

대형 성장주 ETF(VUG)  -2.74%

중형 성장주 ETF(IWP)  -3.63%

소형 성장주 ETF(IWO)  -2.57%

배당주 ETF(DVY)  +0.66%

신흥국 고배당 ETF(DEM)  +0.56%

신흥국 저변동성 ETF(EEMV)  +0.17%

미국 국채 ETF(IEF)  -0.54%

하이일드 ETF(JNK)  -0.17%

물가연동채 ETF(TIP)  -0.25%

Long/short ETF(BTAL)  -1.66%

 

*동 자료는 2021년 3월 4일 키움증권 홈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를 요약한 것입니다.

 

[키움증권] 해외 금융시장

투자전략/시황 서상영(02-3787-5241)

 

◆ 미국 증시

- DOW: 31270.09p (-121.43p, -0.39%)

- S&P500: 3819.72p (-50.57p, -1.31%)

- NASDAQ: 12997.75p (-361.04p, -2.7%)

 

◆ 한국 관련

- MSCI 한국지수 ETF: 89.17p (-0.26p, -0.29%)

- MSCI 이머징지수 ETF: 54.52p (-0.11p, -0.20%)

- NDF 환율(1개월물): 1,126.41원 / 전일 대비 5원 상승 출발 예상

 

◆ 외환시장

- 달러인덱스: 90.958 (+0.173, +0.19%)

- 유로/달러: 1.2064 (-0.0027, -0.22%)

- 달러/엔: 106.97 (+0.28, +0.26%)

- 파운드/달러: 1.395 (-0.0005, -0.04%)

 

◆ 미국 국채시장

- 2년물: 0.1388% (+1.8bp)

- 5년물: 0.7204% (+6.1bp)

- 10년물: 1.467% (+7.6bp)

- 30년물: 2.2591% (+6.8bp)

(국채선물)

- 2YR T-Notes: 110*13   (-0*01 1/4, -0.04%)

- 5YR T-Notes: 124*08 1/2 (-0*08 3/4, -0.22%)

- 10YR T-Notes: 133*01 1/2 (-0*16 , -0.37%)

- US T-Bonds: 158*17   (-0*30 , -0.59%)

- Ultra US T-Bonds: 187*15   (-1*6 , -0.63%)

 

◆ 상품시장 ($, 단 곡물, 구리는 센트)

- WTI: 61.28 (+1.53, +2.56%)

- 브렌트유: 64.07 (+1.37, +2.19%)

- 금: 1715.8 (-17.8, -1.03%)

- 은: 26.387 (-0.492, -1.83%)

- 아연(LME, 3M): 2787 (-64, -2.24%)

- 구리: 414.2 (-8, -1.89%)

- 옥수수: 535.25 (-9.75, -1.79%)

- 밀: 656 (-10.25, -1.54%)

- 대두: 1407.5 (-5, -0.35%)

- BDI: 1673 (+22, +1.33%)

 

*동 자료는 2021년 3월 4일 키움증권 홈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를 요약한 것입니다.

 

[키움증권] 미 증시 동향

투자전략팀 서상영(02-3787-5241)

미 증시 변화 요인: 경제 정상화 Vs. 금리 상승 빌미

 

미 증시는 중국 긴축 우려 완화에도 불구 국채금리가 상승세를 보이자 기술주 중심으로 매물이 출회되며 하락. 부양책 통과 가능성 부각 및 경제 정상화 기대가 높아지며 낙폭을 줄이기도 했으나, 금리 상승 이슈가 재 부각된 후 차익 실현 욕구가 확대. 한편, 연준은 베이지북을 통해 경제가 완만하게 개선되고 있다고 주장 했으나 영향은 제한된 가운데 나스닥 중심의 지수 하락은 지속(다우 -0.39%, 나스닥 -2.70%, S&P500 -1.31%, 러셀2000 -1.06%)

 

바이든 대통령이 5월까지 모든 성인들에게 충분한 코로나 백신과 재정 부양책을 약속하자 경제 정상화 기대가 확산되며 미국의 국채 금리 상승폭이 확대. 1.9조 달러 규모의 추가 부양책에 대한 상원 통과 기대를 높인 점도 금리 상승 요인. 더불어 전일 데일리 샌프란시스코 연은 총재 및 브레이너드 연준이사가 금리 변화를 주시하고 있으나 연준이 특별한 행동을 보이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한 데 이어서 이날 ECB 위원들도 금리 상승을 제어하기 위한 조치가 필요하지 않다고 언급한 점도 금리 상승 요인. 최근 라가르드 ECB 총재는 금리가 너무 빨리 상승하면 기업들의 이자 비용이 증가할 수 있어 이를 제어할 것이라고 주장. 그러나 ECB 위원들의 발언으로 ECB의 금리 상승 제어 정책 기대를 약화 시킨 점이 영향을 준 것으로 추정. 이 여파로 기술주 및 반도체, 소프트웨어 등이 부진

 

한편, 연준은 베이지북을 통해 미국의 경제가 ‘완만하게’ 개선되었다고 주장. 더불어 코로나 백신 보급으로 대부분의 기업이 6~12개월 전망에 대해 낙관적이라고 언급. 금융기관 대출은 감소했으나 연체율도 낮아져 나쁘지 않으며, 고용 관련 해서는 ‘느리지만’ 개선세는 유지 하고 있다고 발표. 인플레이션과 관련해서는 공급망 중단과 수요 증가로 ‘완만하게’ 상승했다고 주장. 기업들은 비용 증가를 소비자에게 전가하는 경향을 보였다고 언급. 관련 발표 후 채권 및 외환 시장의 변화는 크지 않음. 연준은 이번 보고서를 통해 인플레 압력이 급등할 위험이 낮다고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 이날 찰스 에반스 시카고 연은 총재도 “연준이 금리 수준에 대응을 할 필요가 없다” 라고 주장. 그러나 채권시장 참여자들은 여전히 인플레 압력이 높다는 점을 강조하며 국채 금리 상승세는 유지.

 

*동 자료는 2021년 3월 4일 키움증권 홈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를 요약한 것입니다.

 

[키움증권] 한국 증시 전망

투자전략팀 서상영(02-3787-5241)

하락 출발 후 낙폭 축소 전망

MSCI 한국 지수 ETF는 0.29% MSCI 신흥 지수 ETF는 0.20% 하락. NDF 달러/원 환율 1개월물은 1.126.41원으로 이를 반영하면 달러/원 환율은 5원 상승 출발 예상

 

전일 한국 증시는 중국 정부가 경기에 저해될 정도의 규제는 당분간 없을 것이라고 주장하는 등 긴축 우려가 완화된 데 힘입어 상승. 특히 철강 등 경기 민감주 등의 강세가 특징. 이런 가운데 미 증시가 또 다시 금리 상승을 빌미로 기술주 및 밸류 부담이 높은 일부 테마주 중심으로 매물을 내놓으며 하락한 점은 부담. 미국 국채 금리 상승은 결국 신흥국 증시에서 외국인의 수급에 부담을 줄 수 있기 때문. 이를 감안 한국 증시는 1.0% 내외 하락 출발할 것으로 예상하며 미 증시 특징처럼 여전히 업종별 차별화 장세가 진행 될 것으로 전망

 

한편,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가 3.11% 하락했으나 마이크론(-2.17%)이 분기 실적 가이던스를 상향 조정한 점은 긍정적. 마이크론은 이번 분기 매출에 대해 기존의 56~60억 달러에서 62~62.5억 달러로 상향 조정했으며, 주당 순이익 또한 기존의 68~82센트에서 93~98센트로 상향 조정. 이는 DRAM 공급이 타이트하고, 재고도 최근 분기 보다 더 적다는 점에 기반한 결과. 최근 반도체 수출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마이크론의 실적 가이던스 상향 조정은 국내 반도체 업종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 이를 감안 한국 증시는 하락 출발 후 반발 매수세가 유입되며 낙폭을 축소할 것으로 전망

 

*동 자료는 2021년 3월 4일 키움증권 홈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를 요약한 것입니다.

 

03/04 미 증시, 재 부각된 금리 상승 여파로 하락

키움증권 투자전략팀 서상영(02-3787-5241)

미 증시 변화 요인: 경제 정상화 Vs. 금리 상승 빌미

미 증시는 중국 긴축 우려 완화에도 불구 국채금리가 상승세를 보이자 기술주 중심으로 매물이 출회되며 하락. 부양책 통과 가능성 부각 및 경제 정상화 기대가 높아지며 낙폭을 줄이기도 했으나, 금리 상승 이슈가 재 부각된 후 차익 실현 욕구가 확대. 한편, 연준은 베이지북을 통해 경제가 완만하게 개선되고 있다고 주장 했으나 영향은 제한된 가운데 나스닥 중심의 지수 하락은 지속(다우 -0.39%, 나스닥 -2.70%, S&P500 -1.31%, 러셀2000 -1.06%)

 

https://www.kiwoom.co.kr/nkw.templateFrameSet.do?m=m0601020101&s_menu=SD&s_sqno=7730

 

 

[03/04 팟빵] 키움증권 주식, 글로벌 시황 투자전략

[서상영의 아침시황] 미 증시, 재 부각된 금리 상승 여파로 하락

3월 4일 우리시장은?

 

http://www.podbbang.com/ch/7226?e=23979520

 

 

[3/4 전일 수요일(3일) 국내 시황, 케이프투자증권 한지영(02-6923-7349)]

▶️코스피, 중국발 긴축 불안 완화 등으로 1%대 강세

 

- 코스피는 미국발 금리 불안으로 장초반 변동성 장세가 전개됐으나, 장 중반 이후 인민은행의 지준율 인하 가능성, 재정부의 부양책 지속 입장 표명 등으로 중국발 긴축 불안감이 완화된 영향에 힘입어 반등세를 보임에 따라 1.2%대 강세로 마감

 

- 코스닥도 셀트리온 그룹주들이 개별 호재로 동반 강세를 연출한 가운데, 중국발 긴축 우려 완화에 따른 아시아 전반적인 위험자산 선호심리 회복에 영향을 받으면서 장중반 이후 상승폭을 확대하며 0.8%대 강세로 마감

 

▶️시장지표

- 코스피: 3,082.99(+39.12, +1.29%)

- 코스닥: 930.80(+7.63, +0.83%)

- 원/달러: 1,120.3원(-3.7원)

- 국채 3년물: 1.019%(-0.2bp)

- 국채 10년물: 1.951%(-1.5bp)

 

▶️업종

- 철강금속(+3.59%), 운수창고(+3.17%), 전기가스업(+2.73%) 등 전 업종에서 강세

 

▶️수급(외국인/기관/개인)

- 코스피: -119억원/+6,896억원/-6,631억원

- 코스닥: -134억원/+52억원/+338억원

 

▶️특징종목

 

- HMM(+8.51%)은 화물 운임 상승으로 인한 실적 개선 기대감이 상존한 가운데, GS칼텍스와의 6,300억 상당의 원유 장기운송계약 체결 소식이 호재로 작용하면서 강세

 

- 이마트(+8.50%)는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구매가격 상승 및 유통시장 성장 수혜 기대감, 네이버(+5.83%)와 이커머스 협력 기대감 등으로 강세

 

- 코스맥스(+7.62%)는 일회성 손실을 제외시 예상을 상회한 20년 실적과 더불어, 중국 시장에서의 화장품 소비 회복, 온라인 매출 확대, 대형 고객 확보를 통해 올 하반기에 매출 실적 회복 기대감이 부각되면서 강세

 

- 셀트리온(+3.95%), 셀트리온헬스케어(+3.35%), 셀트리온제약(+2.53%) 등 셀트리온 그룹주는 유럽의약품청(EMA)가 당사 개발 코로나 치료제 렉키로나 긴급 사용을 위한 검토에 들어갔다는 소식에 동반 강세

 

해당 내용은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필하였습니다.

 

 

[3/4 전일 수요일(3일) 글로벌 시황, 케이프투자증권 한지영(02-6923-7349)]

▶️미국 3대 증시, 금리 상승 재출현으로 약세

- 다우: -0.4%, S&P500: -1.3%, 나스닥: -2.7%

 

- 미국 3대 증시는 고용 및 서비스업 지표 부진, 중국발 긴축 우려 완화, 인플레 압력을 낮게 평가한 연준 베이지북에도, 10년물 금리가 재차 상승함에 따라 금리 변화에 민감한 성장주, 기술주 위주로 매도 압력을 받으면서 하락 마감

 

- 미국의 2월 ADP 민간부문 신규고용은 11.7만건으로 예상(22.5만건)보다 부진한 가운데,  2월 ISM 서비스업 PMI도 55.3(예상 58.7)도 둔화됨과 동시에 일부 서비스업종에서 원자재 가격 상승을 고객에게 전가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

 

- 중국 재정부 부장은 코로나 방역과 경기 회복을 위해서는 부양책을 너무 이른 시기에 회수하지 말아야하며, 올해에도 중국 정부는 적극적인 재정정책과 통화정책을 지속할 것이라고 강조하면서 최근 중국발 긴축 우려를 불식시키고 있는 모습

 

- 시카고 연은 총재는 최근의 금리 상승은 경기 회복이라는 긍정적인 신호이며 인플레이션 급등에 대해서도 우려하지 않고 있으나, 필요하다면 수익률곡선통제(YCC)를 상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

 

- 연준 베이지북에서는 철강, 목재 가격이 급등했으나 대체적인 생산 비용은 크게 상승하지 않았으며, 기업들의 가격 전가 능력도 차별화되고 있다고 평가하는 등 미국 내 인플레 급등 가능성이 낮음을 시사

 

▶️시장지표

-DOW : 31,270.09 pt  (-121.43 pt, -0.39%)

-NASDAQ : 12,997.75 pt  (-361.04 pt, -2.7%)

-S&P500 : 3,819.72 pt  (-50.57 pt, -1.31%)

-Vix Index : 26.67 pt  (2.57 pt, 10.66%)

-KRW/US$_1NDF_Point : 1,125.2 원/$  (0.27 원/$, 0.02%)

-Dollar Index : 90.974 pt  (0.2 pt, 0.21%)

-US 10Yr Bond : 1.479 %  (8.8 bp)

-WTI : 61.2 $/bbl  (1.45 $/bbl, 2.43%)

-MSCI South Korea : 89.17 pt  (-0.26 pt, -0.29%)

 

▶️업종

- 강세: 에너지(+1.43%), 금융(+0.07%), 산업재(+0.07%)

- 약세: 기술(-2.49%), 경기소비재(-2.38%), 커뮤니케이션(-1.59%) 등

 

▶️특징종목

 

- 리프트(+8.24%)는 선진국들의 본격적인 백신 보급에 따른 봉쇄 정책의 완화 및 경제 활동 재개로 인한 수혜가 기대됨에 따라 강세

 

- 아메리칸항공(+3.40%), 유나이티드항공(+2.56%) 등 항공주는 바이든 대통령이 5월까지 모든 성인들에게 충분한 코로나 백신을 보급하겠다는 발언이 전거래일에 이어 호재로 작용하며 동반 강세

 

- 테슬라(-4.84%)는 시장금리 상승 재출현 속 유럽에서의 점유율이 작년 동월 5%에서 3.5%로 감소한 가운데, 미국 전기차 시장의 경쟁 심화에 따른 시장점유율 확대 우려가 제기되며 약세

 

해당 내용은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필하였습니다.

 

------

* 텔레그램 채널 링크

https://t.me/hedgecat0301

------

 

 

 

 

 

[속보] 미 하원, 추가 의사당 폭동 우려에 표결 일정 변경

파이낸셜뉴스입력 2021.03.04 07:11

출처: <https://www.fnnews.com/news/202103040710243970>

 

 

삼성전자 등 50개社 차량, 모두 전기-수소차로 바꾼다

강은지 기자 입력 2021-03-04 03:00

한정애 환경장관 “이달중 공식 선언”

출처: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10304/105709254/1>

 

 

 

[원자재시황] 감산 유지 가능성에 유가 급등..WTI 2.6%↑

기사입력 2021.03.04. 오전 7:02

출처: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4&aid=0004594407>

 

 

 

ESG낙제기업, 사모펀드 투자 막힌다

신문A1면 TOP 기사입력 2021.03.03. 오후 5:55

IMM PE, 회계법인에 의뢰

상반기중 기업 ESG 첫 실사

투자여부 결정에 활용키로

사모펀드 업계로 확산될듯

출처: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sec&oid=009&aid=0004757667>

 

 

美교통부 부장관 지명자 "SK·LG 배터리분쟁 판정 검토할 것"

기사입력 2021.03.04. 오전 5:51

LG승 ITC판결에 대해 “녹색 교통 목표에 미치는 영향 분석할 예정”

전기차 보급 확산 강조한 바이든, 거부권 행사 여부 주목

출처: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sec&oid=123&aid=0002241411>

 

 

윤석열측 “尹총장, 이르면 4일 사의 표명할 듯”

배석준 기자 대구=황성호 기자 고도예 기자 입력 2021-03-04 03:00

출처: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10304/105709380/1>

 

 

[공시]성안, 자회사서 200억 자금 횡령사고 발생

입력2021.03.03. 오후 5:07

출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4/0004594182?sid=101>

 

 

 

카카오 신세계, 이베이코리아 인수 나선다

이달 중순 예비입찰

전자상거래 업계 3위 이베이

매각가격 최대 5조원 전망

사모펀드 MBK도 인수 가세

이베이코리아 품는 기업은

네이버쇼핑·쿠팡과 3강 구도

진영태김태성강인선 기자

입력 : 2021.03.03 17:30:57

출처: <https://www.mk.co.kr/news/stock/view/2021/03/206896/>

 

 

넥스틴, 인텔과 협력해 3D 검사 장비 개발..."업계 최초"

신문16면 3단 기사입력 2021.03.03. 오후 4:02

출처: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sec&oid=030&aid=0002931388>

 

 

 

[(삼성/조현렬) 주간 태양광 시황 (2/25-3/3)]

* 태양광 시황은 수요일에 업데이트 됩니다. 관련 코멘트를 요약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가격: <https://goo.gl/nbgWah>

 

▶️ 총평: 공급 타이트에 기인한 웨이퍼 강세로 전제품 상승.

 

▶️ 폴리실리콘 (15.63달러/kg): WoW 상승(+17.7%).

멀티 제품은 공급 감소한 가운데, 웨이퍼 강세에 따른 수요개선 기대감으로 상승.

모노 폴리실리콘도 멀티-모노 전환에 따른 수요증가 및 공격적인 다운스트림 증설 영향으로 상승(+16.5%WoW).

 

▶️ 웨이퍼 (0.186달러): WoW 상승(+8.1%).

멀티 웨이퍼는 원재료 공급감소에 따른 생산량 감소 영향으로 상승.

모노 웨이퍼도 주요업체의 3월 가격 인상 영향으로 상승(+22.5%WoW).

낮은 가동률에 따른 공급타이트 및 수요개선 전망으로 두 달 연속 판가 인상.

 

▶️ 셀 (0.070달러/Watt): WoW 상승(+2.9%).

멀티 셀은 상승.

모노 셀도 원재료 강세 영향으로 상승(+2.5%WoW).

 

▶️ 모듈 (0.183달러/Watt): WoW 상승(+2.8%).

멀티 모듈은 상승.

모노 모듈도 원재료 강세에 따른 설비가동 중단으로 공급 감소하며 상승(+2.4%WoW).

 

[2Q20 태양광 가격변화]

√ 폴리실리콘: 6.37달러(-9.9%QoQ)

√ 웨이퍼: 0.127달러(-21.3%QoQ)

√ 셀: 0.063달러(-11.2%QoQ)

√ 모듈: 0.172달러(-7.3%QoQ)

 

[3Q20 태양광 가격변화]

√ 폴리실리콘: 9.57달러(+50.2%QoQ)

√ 웨이퍼: 0.146달러(+15.0%QoQ)

√ 셀: 0.065달러(+2.7%QoQ)

√ 모듈: 0.167달러(-3.3%QoQ)

 

[4Q20 태양광 가격변화]

√ 폴리실리콘: 10.23달러(+6.9%QoQ)

√ 웨이퍼: 0.152달러(+4.4%QoQ)

√ 셀: 0.066달러(+2.2%QoQ)

√ 모듈: 0.171달러(+2.9%QoQ)

 

[1QTD21 태양광 가격변화]

√ 폴리실리콘: 12.07달러(+18.0%QoQ)

√ 웨이퍼: 0.164달러(+7.8%QoQ)

√ 셀: 0.067달러(+1.4%QoQ)

√ 모듈: 0.173달러(+1.1%QoQ)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삼성 정유화학 텔레그램 채널주소]

<https://goo.gl/1huPr8>

 

 

[메리츠증권 반도체/디스플레이 김선우]

Meritz Overnight Tech 2021.3.4 (목)

 

★ 메모리 스팟가격

DRAM(DDR4 8Gb: 1D 0.00%, 1W 5.51%, 1M 25.18%)

시장 모멘텀 정체. DDR3 / DDR4 브랜드 칩 가격은 지속 상승하지만, 구매자들은 높은 가격 때문에 수동적 태도 유지. 구매자가 목표 가격을 받아들이지 않아 거래 환경 부진. 결국 거래 환경 부진

 

NAND(MLC 64Gb: 1D 0.04%, 1W 2.32%, 1M 2.91%)

현물 부족과 납기 연장으로 구매자들은 저가 제품을 찾음. 그러나 공급 업체는 재고를 판매하지 않고 구매자들도 높은 가격을 받아들이지 않음. 양측간에 눈에띄는 거래가 없으며 실거래량도 부진

 

★ 주요 뉴스 플로우

마이크론, FY2Q21 가이던스 상향조정 (Bloomberg)

[매출액] 조정 전 $5.6B~$6.0B, 조정 후 $6.2B~$6.25B (vs 컨센서스 $5.97B)

[매출총이익률] 조정 전 30%~32%, 조정 후 32%~33% (vs 컨센서스 31.8%)

[EPS] 조정 전 $0.68~$0.82, 조정 후 $0.93~$0.98 (vs 컨센서스 $0.85)

https://bloom.bg/3rr5IMI

 

AP시스템, 지난해 영업익 462억...사상 최대 (The Elec)

https://bit.ly/30c1I78

 

"매일 107억원 손실"…삼성 美 반도체 공장, 재가동 언제? (디지털 데일리)

https://bit.ly/3e86MS2

 

스마트폰 수요 강세로 4Q20 NAND Flash 시장 매출액 -2.9% QoQ 제한적 감소  (Trend Force)

https://bit.ly/3qbHsNd

 

VR시장 다시 활기…글로벌기업 신제품 쏟아낸다 (ZD Net)

https://bit.ly/3ref7aH

 

★ 전일 해외 관련업체 주요 주가 등락 (2%p 이상)

Micron(-2.2%), Nanya(-3.7%), Apple(-2.4%), Asus(+2.9%), Intel(-2.2%), Qualcomm(-3.5%), TI(-2.5%), Nvidia(-4.5%), Xilinx(-5.0%), Maxim(-3.4%), Marvell(-4.7%), AMD(-3.9%), Mediatek(+3.3%), Magnachip(+14.1%), TSMC(+2.1%), BOE(+4.8%), AUO(+2.4%), LAM Research(-3.9%), UDC(-3.9%)

 

(자료: DRAMeXchange, Bloomberg, 언론자료)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하나금투 IT 김록호/김현수

————————————

3/4 (목) 하나 테크 헤드라인

 

📱안녕하세요. 김록호입니다.

대만에서 중국 스마트폰 업체향 AP 출하량이 전년대비 12% 증가할 것으로 전망중입니다. 글로벌 스마트폰의 출하량이 10% 내외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중국 업체들의 출하량이 아웃퍼폼할 수 있다고 보는 것입니다. Huawei 빈자리를 차지하게 위한 OVX의 적극적인 움직임과 최근 중국 내외에서 물량 증가 성과가 있어 가능성 높아 보입니다. 삼성전자 스마트폰의 21년 1분기 출하량도 기존 7천만대 초반에서 7,500만대로 상향 조정했습니다. 전반적으로 Huawei의 빈자리가 기존 경쟁업체들에게 반사수혜로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핀단됩니다.

고사양 패키지기판 부족하다는 대만쪽 언론 보도가 계속 되고 있습니다. 국내 업체들도 패키지기판 증설을 진행중에 있습니다. 국내 업체들의 증설도 하반기부터 가동되기 시작하는 스케줄이 많아 일단 하반기까지도 공급 부족 현상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감사합니다.

 

<주요 뉴스>

 

# Digitimes: China smartphone AP shipments to grow 12% in 2021, says Digitimes Research

 

올해 중국 스마트폰 AP 출하량이 연간 12%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https://bit.ly/3rq0ZLe

 

<기타 뉴스>

 

# '갤럭시S21 FE' 이런 모습!..가격은 70만원대 더 싸진다? 

 

삼성전자 올해 신작 ‘갤럭시S21’의 특별판인 ‘갤럭시S21 FE(팬 에디션)’가 점차 베일을 벗고 있다. 

 

https://bit.ly/3e6vJgv

 

# Digitimes: ABF substrates to be in short supply by at least 25% in 2021

 

ABF 패키지기판 쇼티지가 올해에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https://bit.ly/3c1v11u

 

# 애플, 미국 내 270개 애플스토어 영업 정상화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이후 약 1년만에 애플이 미국 내 모든 직영점(애플스토어) 270곳의 영업을 재개했다고 CNBC 등 외신이 전했다. 

 

https://bit.ly/3bZgZgT

 

<글로벌 업체 주가 동향>

 

애플   -2.45%

샤오미   +1.54%

ZTE  +0.56%

레노버   +1.17%

  

무라타 -1.20%

타이요유덴 -1.30%

야교 +1.54%

Ibiden +2.19%

Shinko -0.66%

  

인텔 -2.19%

마이크론 -2.17%

TSMC +2.13%

퀄컴 -3.47%

미디어텍 +3.33%

  

UDC -3.91%

BOE +4.79%

AUO +2.40%

  

Tesla -4.84%

CATL +0.01%

Umicore -0.71%

Albemarle -4.37%

 

 

 

(위 내용은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득함)

 

★하나IT텔레그램: https://t.me/ITforYouFromHana

 

 

 

 

『하루를 여는 혁신투자자문 IPO News Letter💌 - 20210304』

 【 텔레그램 채널 주소 :  https://t.me/KoreaIB

 【 IPO상장문의 및 이경준 대표 Contact ☞ 📧 ipo@kakao.com 】

 

===========================

 

★ 금일 IPO 일정 ★

 03/04~05 에스케이바이오사이언스 수요예측⚖️

 03/04~05 네오이뮨텍 청약🖨

 

☆ 금주 남은 IPO 일정 ☆

 03/04~05 에스케이바이오사이언스 수요예측⚖️

 03/04~05 네오이뮨텍 청약🖨

 03/05 싸이버원 납입🏧

 03/05 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스 납입🏧

 

 ------------------------------------------

 

▣ 기관IR 일정 ▣

 -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03월 14일까지)로 소규모 간담회만 진행 中

 

▣ 상장 일정(예정, 변경가능) ▣

 03/09 나노씨엠에스(키움증권)

 03/11 싸이버원(키움증권)

 03/11 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스(미래에셋대우)

 03/16 네오이뮨텍(하나금융투자/미래에셋대우)

 03/17 바이오다인(대신증권)

 03/18 에스케이바이오사이언스(NH투자증권)

 03/23 라이프시맨틱스(한국투자증권)

 03/24 제노코(DB금융투자)

 03/25 자이언트스텝(한국투자증권)

 03/31 해성티피씨(한국투자증권)

 04/01 엔시스(미래에셋대우)

 04/09 아모센스(신한금융투자)

 

▣ 심사 승인 ▣

 - 이삭엔지니어링(신한금융투자)

 - 쿠콘(하나금융투자)

 - 삼영에스앤씨(미래에셋대우)

 - 제주맥주(대신증권)

 - 에이치피오(대신증권)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 국내 IPO 개별종목

■ "구글 대신 원스토어 쓰세요" KT-LG유플러스도 '원스토어'에 지분 투자

https://www.techm.kr/news/articleView.html?idxno=80981

 

■ SK바이오 1주라도 더 받아보자…가족계좌까지 ‘영끌’

https://www.metroseoul.co.kr/article/20210303500412

 

■ '흑전 실패' 카카오페이, IPO 선택지는 넓어져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3011504502600108670&lcode=00&page=5&svccode=00

 

■ [마켓인사이트]코스닥 상장 앞둔 네오이뮨텍, 다초점백질뇌병증 신약 임상 승인

http://marketinsight.hankyung.com/apps.free/free.news.view?aid=202103039915u&category=IB_FREE

 

■ [IB토마토](IPO현장)바이오다인, AI 진단 시스템으로 영역 확장 다짐

http://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1028625

 

■ [시그널] ‘GA 업체’ 인카금융서비스 상장 일정 철회

https://www.sedaily.com/NewsView/22JNY8WNMQ

 

■ [레이더M] 끊이지 않는 SK건설 상장설

https://www.mk.co.kr/news/stock/view/2021/03/206802/

 

■ 시몬느, IPO 대표 주관 '미래·삼성'

https://paxnetnews.com/articles/71521

 

■ IT 인프라 솔루션 '브레인즈컴퍼니' 코스닥 상장 추진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3021835449600103735&lcode=00&page=1&svccode=00

 

■ 에스엠랩, IPO 추진…한투·NH 주관사단 합류

https://paxnetnews.com/articles/71474

 

■ [단독][마켓인사이트] SK그룹, 서린빌딩·주유소 담은 리츠 상장한다

http://marketinsight.hankyung.com/apps.free/free.news.view?aid=202103039812u&category=IB_FREE

 

 

▶️▶️▷ IPOmarket(해외IPO포함)

■ ‘21년 만에’ 대기록 쓰는 3월 IPO…최다 상장ㆍ최대 공모 규모

https://www.etoday.co.kr/news/view/2000098

 

■ [시그널] IPO 호황에···꿩먹고 알먹는 상장전 지분투자

https://www.sedaily.com/NewsView/22JNYB6XR3

 

■ 공모주 고평가 논란 솔솔…“신중한 투자 요망”

http://www.viva100.com/main/view.php?key=20210303010000854

 

■ 앤트그룹 회장, IPO 재추진 의지…"상장 자신"

https://newsis.com/view/?id=NISX20210303_0001357147&cID=10101&pID=10100

 

 

▶️▶️▷ 시장 이모저모

■ [단독] 카카오 신세계, 이베이코리아 인수 나선다

https://www.mk.co.kr/news/stock/view/2021/03/206896/

 

■ 제2의 게임스톱?…미 주택담보대출 회사 주가 하루 70% 폭등

https://www.yna.co.kr/view/AKR20210303019800072?input=1195m

 

■ 중국 억만장자 수, 미국 앞질러…마윈 4위로 '추락'

https://www.mbn.co.kr/news/world/4438488

 

 

▶️▶️▷ 시세/시황

[표]IPO장외 주요 종목 시세 (3월 3일)

https://www.sedaily.com/NewsView/22JNXW40RU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중국 양회 "디지털위안화 향방 논의할 것"

추현우 기자

승인 2021.03.04 08:02

출처: <http://www.digital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65655>


[시황종합] 코스피 1.3% 하락 3040선 후퇴…개인은 2.2조 샀다

美금리 상승 부담 영향 3043.49 마감…외인+기관 동반 매도

코스닥 4.6p 내린 926.2…환율 4.8원 오른 1125.1원

 

출처: <https://www.news1.kr/articles/?4230564>

 

[시황종합] 코스피 1.3% 하락 3040선 후퇴…개인은 2.2조 샀다

사실 앞에 겸손한 민영 종합 뉴스통신사 뉴스1

www.news1.kr

 

728x90
728x90

 

증시캘린더는 개인적으로 관련된 소식을 확인후 작성한 일정이라 변동 또는 오류의 소지가 있습니다.

참고시 유의하시고 배포시엔 블러그 링크로 공유해 주셔요.


 

 

728x90

'주요 증시 일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3월 6일(토) 증시캘린더  (0) 2021.03.06
3월 5일(금) 증시캘린더  (0) 2021.03.05
3월 3일(수) 증시캘린더  (0) 2021.03.03
3월 2일(화) 증시캘린더  (0) 2021.03.02
2021년 3월 의무보유 해제  (0) 2021.02.27
728x90

 

주식투자 스터디를 위해 개인적으로 스크랩한 시황, 뉴스 자료를 공유합니다.

1) 노션 링크는 익스플로러에선 제대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크롬에 최적화 되어있으며, 엣지, 웨일에서도 잘 작동합니다.

 

2) 장 시작전 올려드리는 해외마감시황~ 게시글은 저녁 10시 이전 업데이트 완료시 제목 마지막에 '업데이트중' 문구가 삭제됩니다.

 

3) 공유한 자료링크는 1~2일후 공유 해지 합니다.

 

게시물은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한 것이라

불확실하거나 오류가 많을 수 있으므로 투자 활용시 유의하시기 바라며, 개별적인 종목 추천이나 상담은 하지 않습니다.

 

모쪼록 제 공간에 오신 모든 분들이 주식스터디를 통해 인생 한 방보다, 꾸준함을 믿으며...

복리의 마법으로 모든 분들이 성공한 개인투자자가 되시길...

 


2021년 3월 3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인플레 우려가 계속되며 나스닥을 중심으로 미 증시가 내렸습니다.

(2) 아폴로 글로벌이 인플레로 유발되는 변동성을 크레딧물 매수기회로 활용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3) 미 SEC 위원장 지명자가 거래앱과 가상화폐에 대한 조사 가능성을 시사했습니다.

 

미 5년 breakeve rate 2.474%, +0.051%p (2% 상회시 유의, 2.5% 상회시 경고)

 

한국 고객예탁금, 63.8조원 -1.2조원

 

미국 백신 접종률 12.3%(0.0%p, 집단면역 70%)

 

iShare MSCI Korea 조정 등락률 -2.25%

1개월 NDF 환율 1,123.53원 (-0.32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3/2 미증시 하락 = 변동성 감소구간]

☑️변동성 줄며, 시장이 적응하는 구간

-특별한 뉴스(악재 or 호재) X

-10yr 국채금리 안정

-FOMC : 3/16~3/17

 

*부양책

-민주당 : 3/14까지 바이든 싸인 목표

-하원 : 통과

-상원 : 검토시작

✔️공화당 동의없이 상원통과 가능

 

*부자 재산세 시행시 추정세금(2020년)

-Jeff Bezos : $5.7b

-Elon Musk : $4.6b

-Bill gates : $3.6b

-Mark Zuckerberg : $3.0b

✔️매년 납부해야함 !!!!

 

*코로나 백신

-5월말까지 모든 미국성인 대상 접종가능 백신수량 확보예정

-Merck가 J&J 1도즈 백신 생산 지원

 

*코로나 : 신규확진자 감소

(전일 53,547 / WoW -25.4%)

 

•나스닥 -1.7% / 러셀2000 -1.9%

•S&P500 -0.8% / 다우 -0.5%

-나스닥 Top10 : 상승0 vs 하락10

 

-미국 국채금리(10y) : 1.405 (-0.039)

-WTI : $59.64 (-1.65%)

-Bitcoin : $48,000

 

SMART한 주식투자

https://t.me/frankinvest

 

 

 

[3/3 전일 월요일(2일) 국내 시황, 케이프투자증권 한지영(02-6923-7349)]

▶️코스피, 금리 불안 경계심리 잔존 등으로 장 중반 이후 상승폭 반납

 

- 코스피는 전거래일 미국 증시 급등에 힘입어 장초반 2%대 급등세를 보였으나, 이후 금리 급등 불안감 미해소, 중국 은행보험감독위원회발 긴축 우려로 중화권 증시와 함께 동반 약세압력을 받음에 따라 장 초반의 상승폭을 반납하며 1.0%대 강세로 마감

 

- 코스닥도 지난주 금요일 과매도 인식 속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순매수세에 힘입어 대부분 시총 상위주들이 급등하며 지수 상승을 견인했으나, 중국발 악재 재출현 속 단기 포지션 청산 매도 압력이 심화된 여파로 상승폭을 반납하며 1.0%대 강세로 마감

 

▶️시장지표

- 코스피: 3,043.87(+30.92, +1.03%)

- 코스닥: 923.17(+9.23, +1.01%)

- 원/달러: 1,124.00원(+0.50원)

- 국채 3년물: 1.021%(+0.1bp)

- 국채 10년물: 1.966%(+0.6bp)

 

▶️업종

- 강세: 기계(+3.93%), 보험(+3.22%), 화학(+1.88%) 등

- 약세: 운수창고(-1.28%), 비금속(-0.75%), 의약품(-0.57%) 등

 

▶️수급(외국인/기관/개인)

- 코스피: +2,020억원/+4,428억원/-6,240억원

- 코스닥: +564억원/+645억원/-1,194억원

 

▶️특징종목

 

- 제넥신(+7.38%)은 국내 기업 중 가장 먼저 당사 개발 코로나 백신인 GX-19N의 임상 2a상을 시작했다는 소식이 전해진 가운데, 코로나 백신 개발 기대감이 반영되면서 강세

 

- LG화학(+7.22%), SK이노베이션(+1.73%), 삼성SDI(+1.48%) 등 배터리 업종 종목들은 코로나 백신 보급에 따른 점진적 이동 수요 증가 기대감, 중국을 중심으로한 전세계 전기차 시장 확대 기대감으로 동반 강세

 

- 한미약품(-7.00%)은 당사 개발 전이성 유방암 신약 오락솔이 미 식품의약국(FDA)로부터 시판허가에 대한 후유증 우려 관련으로 보완요구 서한(CRL)을 받았다는 소식이 악재로 작용하면서 약세

 

해당 내용은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필하였습니다.

 

 

[3/3 전일 월요일(2일) 글로벌 시황, 케이프투자증권 한지영(02-6923-7349)]

▶️미국 3대 증시, 금리 및 유동성 불안 지속되며 하락 전환

- 다우: -0.5%, S&P500: -0.8%, 나스닥: -1.7%

 

- 미국 3대 증시는 미국 내 백신 보급 확대, 연준 위원들의 지속적인 시장 달래기 발언에도 4일 파월 의장 연설 대리심리 속 금리 상승세 진정 여부를 둘러싼 경계감도 재차 부각됨에 따라 하락 마감

 

- 바이든은 국방물자생산법을 발동해 J&J와 머크의 백신 생산을 지시한 가운데, 5월말까지 미국인들에게 충분한 분량의 백신을 제공할 것이라고 전망하는 등 백신 보급 속도 기대감이 확대되고 있는 모습

 

- 브레이너드 연준 이사는 지난주 채권 시장의 채권 매도 규모와 속도 관련해 면밀한 모니터링을 하고 있다고 언급한 가운데, 올해 초 인플레이션 급등 가능성이 있음에도 추세적인 것이 아닌 일시적인 현상일 것으로 전망

 

- 샌프란시스코 연은 총재도 지속적인 2% 인플레이션을 달성하기 위해 시간이 걸릴 것이며, 선제적인 정책 정상화는 지양해야한다고 역설하는 등 연준인사들의 잇따른 시장 진화 발언이 계속되고 있는 양상

 

- 중국은행보험감독관리 위원회 주석은 주요국의 부양책의 부작용으로 금융시장과 실물경제와 괴리가 벌어지고 있다고 평가한 가운데, 해외 금융시장과 자국 부동산 시장에 버블이 형성되고 있다고 발언했다는 점이 2일 아시아 증시를 중심으로 위험자산회피심리를 유발

 

▶️시장지표

-DOW : 31,391.52 pt  (-143.99 pt, -0.46%)

-NASDAQ : 13,358.79 pt  (-230.04 pt, -1.69%)

-S&P500 : 3,870.29 pt  (-31.53 pt, -0.81%)

-Vix Index : 24.1 pt  (0.75 pt, 3.21%)

-KRW/US$_1NDF_Point : 1,125.3 원/$  (0.29 원/$, 0.03%)

-Dollar Index : 90.786 pt  (-0.3 pt, -0.28%)

-US 10Yr Bond : 1.4016 %  (-1.5 bp)

-WTI : 59.64 $/bbl  (-1 $/bbl, -1.65%)

-MSCI South Korea : 89.43 pt  (-0.89 pt, -0.99%)

 

▶️업종

- 소재(+0.58%)를 제외한 기술(-1.63%), 경기소비재(-1.27%), 부동산(-0.71%) 등 전 업종 약세

 

▶️특징종목

 

- 카니발(+4.87%), 로얄캐리비안(+2.48%) 등 크루즈 관련주은 코로나 백신의 보급으로 인해 기존에 봄까지 중단되었던 미국 항해가 재개될 수 있다는 소식이 호재로 작용하면서 강세

 

- 스퀘어(+4.65%)는 당사 서비스를 사용하는 셀러들에게 비즈니스 대출을 제공하는 자체 디지털 은행 서비스인 스퀘어 파이낸셜 서비스를 시작한다는 소식에, 핀테크 분야에서 영향력 증대가 기대되면서 강세

 

- 타깃(-6.77%)은 4분기 실적 보고에서 성수기 시즌 및 온라인 매출 활성화 등으로 인해 예상($2.54)을 상회하는 EPS($2.67)실적을 기록했음에도, 가이던스를 제시하지 않아 코로나로 인한 불확실성이 우려되면서 약세

 

- 레모네이드(-16.60%)는 예상치를 상회하는 20년 4분기 실적에도 텍사스 한파로 인한 보험 청구가 급격하게 증가, 21년 1분기 손해율이 상승하여 가이던스를 낮게 제시했다는 소식에 급락

 

해당 내용은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필하였습니다.

 

------

* 텔레그램 채널 링크

https://t.me/hedgecat0301

------

 

 

 

[키움증권] 한미 주요 ETF 동향

투자전략팀 서상영(02-3787-5241)

 

ㅇ 국내

대형주 +1.28%

중소형주 +0.42%

가치주 +0.99%

성장주 +1.26%

배당주 +0.77%

대형성장 +1.46%

중소형성장 +0.66%

대형가치 +1.08%

중소형가치 +0.18%

 

*미 주요 업종 ETF

원유시추업체 ETF(XOP)  -0.79%

에너지섹터 ETF(OIH)  -3.21%

소매업체 ETF(XRT)  -1.72%

금융섹터 ETF(XLF)  -0.36%

기술섹터 ETF(XLK)  -1.59%

소셜 미디어업체 ETF(SOCL)  -1.41%

인터넷업체 ETF(FDN)  -2.30%

리츠업체 ETF(XLRE)  -0.62%

주택건설업체 ETF(XHB)  +0.13%

바이오섹터 ETF(IBB)  -2.05%

헬스케어 ETF(XLV)  -0.29%

곡물 ETF(DBA)  +0.47%

반도체 ETF(SMH)  -3.07%

 

*미 주요 스타일별 ETF

대형 가치주 ETF(IVE)  -0.25%

중형 가치주 ETF(IWS)  -0.51%

소형 가치주 ETF(IWN)  -1.33%

대형 성장주 ETF(VUG)  -1.36%

중형 성장주 ETF(IWP)  -1.77%

소형 성장주 ETF(IWO)  -2.59%

배당주 ETF(DVY)  -0.22%

신흥국 고배당 ETF(DEM)  -0.05%

신흥국 저변동성 ETF(EEMV)  -0.54%

미국 국채 ETF(IEF)  +0.18%

하이일드 ETF(JNK)  -0.22%

물가연동채 ETF(TIP)  +0.41%

Long/short ETF(BTAL)  +0.15%

 

*동 자료는 2021년 3월 3일 키움증권 홈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를 요약한 것입니다.

 

[키움증권] 해외 금융시장

투자전략/시황 서상영(02-3787-5241)

 

◆ 미국 증시

- DOW: 31391.52p (-143.99p, -0.46%)

- S&P500: 3870.29p (-31.53p, -0.81%)

- NASDAQ: 13358.79p (-230.04p, -1.69%)

 

◆ 한국 관련

- MSCI 한국지수 ETF: 89.43p (-0.89p, -0.99%)

- MSCI 이머징지수 ETF: 54.63p (-0.54p, -0.98%)

- NDF 환율(1개월물): 1,124.27원 / 전일 대비 보합 출발 예상

 

◆ 외환시장

- 달러인덱스: 90.789 (-0.25, -0.27%)

- 유로/달러: 1.2087 (+0.0038, +0.32%)

- 달러/엔: 106.75 (-0.01, -0.01%)

- 파운드/달러: 1.3955 (+0.003, +0.22%)

 

◆ 미국 국채시장

- 2년물: 0.123% (+0.4bp)

- 5년물: 0.6658% (-3bp)

- 10년물: 1.4085% (-0.8bp)

- 30년물: 2.2063% (+1.6bp)

(국채선물)

- 2YR T-Notes: 110*14   (+0*00 1/4, +0.01%)

- 5YR T-Notes: 124*17 1/4 (+0*06 1/2, +0.16%)

- 10YR T-Notes: 133*17 1/2 (+0*11 1/2, +0.27%)

- US T-Bonds: 159*15   (+0*09 , +0.18%)

- Ultra US T-Bonds: 188*21   (+0*10 , +0.17%)

 

◆ 상품시장 ($, 단 곡물, 구리는 센트)

- WTI: 59.75 (-0.89, -1.47%)

- 브렌트유: 62.7 (-0.99, -1.55%)

- 금: 1733.6 (+10.6, +0.62%)

- 은: 26.879 (+0.201, +0.75%)

- 아연(LME, 3M): 2851 (+35, +1.24%)

- 구리: 422.2 (+10.9, +2.65%)

- 옥수수: 545 (+6.75, +1.25%)

- 밀: 666.25 (+16, +2.46%)

- 대두: 1412.5 (+21.25, +1.53%)

- BDI: 1651 (-24, -1.43%)

 

*동 자료는 2021년 3월 3일 키움증권 홈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를 요약한 것입니다.

 

[키움증권] 미 증시 동향

투자전략팀 서상영(02-3787-5241)

미 증시 변화 요인: 긴축 우려, 부양책 논란

미 증시는 추가 부양책 논란이 지속되자 전일 상승에 따른 차익 실현 매물이 출회되며 하락. 특히 중국 은보감위 위원장의 ‘버블’ 언급과 ‘유동성 흡수’ 시사도 부담. 이 여파로 반도체 등 기술주가 하락을 주도한 가운데 경제 정상화 기대 속 경기 민감주가 반등을 보이는 업종 차별화가 진행. 다만 이러한 경제 정상화 기대로 장중에 지수는 낙폭을 축소하기도 했으나 매물 출회는 지속(다우 -0.46%, 나스닥 -1.69%, S&P500 -0.81%, 러셀2000 -1.93%)

 

중국 은행, 보험 감독위원회(은보감위) 위원장인 궈수칭 주석은 전일 “유럽, 미국 및 기타 선진국에서 금융 시장은 실물 경제에 비해 높은 수준으로 거래 되고 있다” 라고 주장하고 “조만간 또는 나중에 가격 수정이 있을 것” 이라고 경고. 유동성과 관련해 “규제 당국은 자본 유입의 규모와 속도를 통제할 수 있지만 아직은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 “부동산은 투기로 거품이 형성 되어 있어 매우 위험하다” 라고 주장. 시장은 경제정책을 결정하는 인물 중 하나인 은보감위 주석의 이날 발언으로 온건한 통화정책 중단 및 긴축 가능성을 높였다고 평가. 문제는 이러한 긴축 이슈가 중국만의 문제가 아니라 캐나다를 비롯해 경제 성장률이 개선된 국가들 중심으로 나오고 있다는 점. 미국도 1분기 GDP 성장률에 대해 애틀란타 연은 등은 10% 성장을 전망하는 등 경제 정상화로 나아가고 있어 긴축 이슈에 민감

 

지난 주 미 하원은 1.9조 달러 규모의 추가 부양책을 통과. 주말에는 민주당 일부 의원이 반대하고 있던 시간당 최저 임금 상향 조정을 제외한 부양책을 상원에서 본격 논의. 물론 공화당은 이번 부양책에 대해 기업과 학교, 주정부 지원 등에서 낭비되는 지출이 있다며 반대하고 있고 민주당 내에서도 최저 임금 인상을 제외 했으나 여전히 논란이 이어지고 있음. 시장은 3일 상원에서 표결이 있을 것으로 전망 했으나 논란 확산으로 지연 될 것으로 예상. 한편, 개별 업종의 변화도 시장에 영향. 전기차 업종은 중국 전기차 업체들의 2월 판매 급감 소식으로 하락했고 크루즈 업종은 투자의견 상향으로 강세를 보이는 등 차별화 진행. 이는 최근 채권, 상품, 외환 시장의 변동성 확대가 지속되자 관망세가 짙은 가운데 개별 종목, 업종 이슈 중심으로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추정

 

*동 자료는 2021년 3월 3일 키움증권 홈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를 요약한 것입니다.

 

[키움증권] 한국 증시 전망

투자전략팀 서상영(02-3787-5241)

빠른 업종 순환매 지속

MSCI 한국 지수 ETF는 0.99% MSCI 신흥 지수 ETF는 0.98% 하락. NDF 달러/원 환율 1개월물은 1,124.27원으로 이를 반영하면 달러/원 환율은 보합 출발 예상.

 

전일 한국 증시는 미 국채금리 안정으로 급등 하기도 했으나, 중국의 긴축 우려를 높이는 은보감위 주석의 발언으로 상승폭이 축소되며 마감. 특히 2차전지 업종을 비롯해 반도체 업종이 강세를 보이는 등 전일 미 증시의 변화 요인에 민감한 반응을 보인 점이 특징. 이런 가운데 오늘 미 증시에서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가 3.10% 하락한 점은 한국 증시에 부담. 더불어 전기차 업종이 중국 판매량 급감으로 하락한 점도 관련 기업들에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

 

그렇지만, 미국을 비롯해 각국이 코로나 백신 접종으로 신규 감염자와 사망자 추이가 감소를 보이고 있다는 점은 긍정적. 이는 각국의 경제 정상화 기대 속 한국 수출 증가세 확대 가능성을 높이기 때문. 특히 미국의 노인 사망자가 1월 주당 7천명에서 현재는 2천명대로 낮아졌으며, 이 추세는 미 의회 예산처가 주장했던 올해 중순경 경제 정상화 가능성을 높임. 그렇기 때문에 한국 증시는 매물이 출회될 경우 반발 매수세 또한 높아질 수 있음. 다만, 이러한 경제 정상화 이슈는 전일 상승분 반납 요인이었던 긴축 이슈를 자극할 수 있음을 배제할 수 없음. 이를 감안 한국 증시는 1% 내외 하락 출발 후 금융시장의 변동성 확대를 이유로 주도 섹터가 없는 가운데 업종별 순환매가 빠르게 이어질 것으로 전망

 

*동 자료는 2021년 3월 3일 키움증권 홈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를 요약한 것입니다.

 

03/03 미 증시, 중국 긴축 이슈 및 차익 매물로 부진

키움증권 투자전략팀 서상영(02-3787-5241)

미 증시 변화 요인: 긴축 우려, 부양책 논란

미 증시는 추가 부양책 논란이 지속되자 전일 상승에 따른 차익 실현 매물이 출회되며 하락. 특히 중국 은보감위 위원장의 ‘버블’ 언급과 ‘유동성 흡수’ 시사도 부담. 이 여파로 반도체 등 기술주가 하락을 주도한 가운데 경제 정상화 기대 속 경기 민감주가 반등을 보이는 업종 차별화가 진행. 다만 이러한 경제 정상화 기대로 장중에 지수는 낙폭을 축소하기도 했으나 매물 출회는 지속(다우 -0.46%, 나스닥 -1.69%, S&P500 -0.81%, 러셀2000 -1.93%)

https://www.kiwoom.co.kr/nkw.templateFrameSet.do?m=m0601020101&s_menu=SD&s_sqno=7728

 

 

[03/03 팟빵] 키움증권 주식, 글로벌 시황 투자전략

[서상영의 아침시황] 미 증시, 중국 긴축 이슈 및 차익 매물로 부진

 

3월 3일 우리시장은?

http://www.podbbang.com/ch/7226?e=23978437

 

 

 

 

바이든 "5월 말까지 모든 성인 백신 접종 가능하도록 할 것"

기사입력 2021.03.03. 오전 6:47

백악관, 생산 확대 위해 국방물자생산법 발동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2일(현지시간) “오는 5월 말까지 성인 1명당 백신을 접종할 수 있도록 코로나19 백신 공급을 충분히 늘릴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당초 예상보다 두 달 빠른 것이다.

출처: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sec&oid=018&aid=0004865790>

 

 

독일, 변이 50%에 봉쇄연장 추진…2주만에 2배 증가

기사입력 2021.03.03. 오전 5:53

17일 22%였던 변이 비율 2주 만에 50%…2배 이상 증가

메르켈 "변이가 곧 주 이룰 것"…28일까지 봉쇄 3주 연장하되 일부 제한 풀어

전체 확진자수도 감소세에서 소폭 상승세로 접어들어

출처: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sec&oid=123&aid=0002241310>

 

 

[속보] SEC 위원장 내정자 "암호화폐 사기 발본색원할 것"

기사입력 2021.03.03. 오전 6:38

출처: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421&aid=0005197847>

 

 

윤석열, 오늘 대구 내려가 검사들과 간담…내부 결집 나서나

신문A3면 TOP 기사입력 2021.03.03. 오전 6:01

추가 입장 표명 가능성도…임기 4개월 남기고 사퇴 여부 주목

대검 이번주 입장 발표 전망 속 ‘전국검사회의 개최’ 목소리도

출처: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sec&oid=032&aid=0003062068>

 

 

 

美국방부 중국TF, 4개월 내 ‘中견제 대책’ 내놓는다

기사입력 2021.03.03. 오전 6:06

바이든 대통령 특명에 따라 펜타곤에 설치

對중국, 對북한 강경론자가 위원장직 맡아

출처: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sec&oid=022&aid=0003557431>

 

 

 

CNN “北, ‘용덕동 핵시설’ 은폐 구조물 위성사진에 잡혀”

기사입력 2021.03.03. 오전 6:04

출처: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sec&oid=022&aid=0003557429>

 

 

 

비상장주 대박은 옛말?...떨고 있는 SK바이오사이언스 투자자들

신문19면 4단 기사입력 2021.03.03. 오전 6:11

씨앤투스성진 -57%·솔루엠 -45%

새내기株 일제히 장외종가 밑돌아

18일 상장 앞둔 SK바이오사이언스

20만원선 거래···공모가 대비 3배 이상

 

출처: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sec&oid=011&aid=0003878053>

 

 

'미국 모기지 업체' 로켓컴퍼니 70% 이상 치솟아…한때 거래중단

기사입력 2021.03.03. 오전 6:25

이날 로켓 컴퍼니 주가는 71.19% 급등해 41달러 선에서 거래를 마쳤다. 장중 43달러까지 치솟으며 52주 신고가를 경신했다.

장중 한때 변동성으로 여러 차례 거래가 중단되기도 했다.

CNBC 등 외신에 따르면 로켓 컴퍼니는 '제2의 게임스톱'으로 시장의 관심을 끌고 있다.

출처: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215&aid=0000940898>

 

 

美 텍사스 “마스크 안써도 된다…경제 100% 재개”

기사입력 2021.03.03. 오전 6:39

그렉 애벗 주지사, 1년여 만에 첫 봉쇄 해제

미 CDC "백신 접종자간 소모임 가능" 예고

출처: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15&aid=0004507181>

 

 

 

쿠팡, 뉴욕증시 3월 11일 상장 유력…공모가 30달러선

[중앙일보] 입력 2021.03.03 05:00

출처: <https://news.joins.com/article/24003413>

 

 

 

 

서울거래소에서 만든 비상장기업 백과사전

https://www.notion.so/by-33d75704424e4087988f1d06fe62b626

 

 

 

 

————————————

하나금투 IT 김록호/김현수

————————————

 

3/3 (수) 하나 테크 헤드라인

 

🛠 안녕하세요. 김록호입니다.

대덕전자가 패키지기판(fc-BGA) 증설을 결정했습니다. 투자금액은 20년 7월에 900억원, 이번에 700억원입니다. 이번 투자는 올해 연말 완료 예정입니다. 지난 시설투자 공시의 연장선상으로 파악되며, 고객사가 추가되며 증설이 필요해진 것으로 추정됩니다. 주요 전방은 자동차와 AI 칩 등으로 판단되며, 기존 일정대로 21년 하반기에 매출 발생해 22년, 23년 매출액 규모가 계속 증가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국내 패키지기판 업체들의 투자가 증가중인데, 해당 산업의 공급이 타이트하고 미중무역 분쟁 속 다양한 분야에서 반도체 수요가 생기면서 기회를 얻고 있는 것으로 판단합니다. 감사합니다.

 

공시 링크: http://dart.fss.or.kr/api/link.jsp?rcpNo=20210302800805

 

<주요 뉴스>

 

# 21년 1월 스마트폰 판매량 잠정치: 중국은 출하-판매간 시차 고려 필요

 

https://bit.ly/380K6PX

 

# Digitimes: Global smartphone shipments to grow 50% in 1Q21

 

올해 1분기 글로벌 스마트폰 출하량은 전년동기대비 50% 가까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https://bit.ly/3rfElW0

 

<기타 뉴스>

 

# LG이노텍, 세계 최초 '와이파이 6E 모듈' 개발

 

LG이노텍은 와이파이 6E 기반의 차량용 와이파이 6E 모듈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https://bit.ly/3q8hSc7

 

# ‘삼성 안방 공략’ 애플 공세에…삼성도 체험마케팅 강화하며 맞불

 

삼성전자와 애플이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속에서도 국내에서 오프라인 기반 고객 마케팅을 강화하고 있다. 

 

https://bit.ly/2NREWyA

 

# 아이폰13, 120㎐에 4가지 모델로 나온다

 

애플이 올해 하반기 아이폰13 시리즈를 출시하면서 아이폰12 시리즈처럼 네 가지 모델을 지원할 것이라는 예상이 나온다. 

 

https://bit.ly/3b64yAA

 

<글로벌 업체 주가 동향>

 

애플   -2.09%

샤오미   +0.97%

ZTE  +0.25%

레노버   +0.19%

  

무라타 -0.56%

타이요유덴 +0.93%

야교 -1.69%

Ibiden +2.13%

Shinko -0.14%

  

인텔 -2.61%

마이크론 -3.87%

TSMC +0.50%

퀄컴 -1.76%

미디어텍 +0.45%

  

UDC -2.29%

BOE -1.78%

AUO -0.79%

  

Tesla -4.45%

CATL +1.45%

Umicore -0.12%

Albemarle +0.50%

 

 

 

(위 내용은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득함)

 

★하나IT텔레그램: https://t.me/ITforYouFromHana

 

 

 

 

 

『하루를 여는 혁신투자자문 IPO News Letter💌 - 20210303』

 【 텔레그램 채널 주소 :  https://t.me/KoreaIB

 【 IPO상장문의 및 이경준 대표 Contact ☞ 📧 ipo@kakao.com 】

 

===========================

 

★ 금일 IPO 일정 ★

 03/02~03 바이오다인 수요예측⚖️

 03/02~03 싸이버원 청약🖨

 03/02~03 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스 청약🖨

 03/03 나노씨엠에스 납입🏧

 

☆ 금주 남은 IPO 일정 ☆

 03/04~05 에스케이바이오사이언스 수요예측⚖️

 03/04~05 네오이뮨텍 청약🖨

 03/05 싸이버원 납입🏧

 03/05 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스 납입🏧

 

 ------------------------------------------

 

▣ 기관IR 일정 ▣

 -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03월 14일까지)로 소규모 간담회만 진행 中

 

▣ 상장 일정(예정, 변경가능) ▣

 03/09 나노씨엠에스(키움증권)

 03/11 싸이버원(키움증권)

 03/11 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스(미래에셋대우)

 03/16 네오이뮨텍(하나금융투자/미래에셋대우)

 03/17 바이오다인(대신증권)

 03/18 에스케이바이오사이언스(NH투자증권)

 03/23 라이프시맨틱스(한국투자증권)

 03/24 제노코(DB금융투자)

 03/25 자이언트스텝(한국투자증권)

 04/01 엔시스(미래에셋대우)

 04/01 해성티피씨(한국투자증권)

 

▣ 심사 승인 ▣

 - 이삭엔지니어링(신한금융투자)

 - 쿠콘(하나금융투자)

 - 삼영에스앤씨(미래에셋대우)

 - 제주맥주(대신증권)

 - 에이치피오(대신증권)

 - 아모센스(신한금융투자)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 국내 IPO 개별종목

■ 현대중공업, IPO 속도… 주관사 한투·미래에셋 확정

http://naver.me/xqffSN2J

 

■ [IPO 광장]'大魚' SK바이오사이언스 공모가 얼마?…백신업고 흥행예고

https://www.news1.kr/articles/?4226546

 

■ KTB네트워크, IPO 구주매출 '고민' 까닭은

https://paxnetnews.com/articles/71430

 

■ 공급과잉ㆍ증시불안ㆍ공모경쟁 과다...IPO 서둘러야 할 한화종합화학

http://www.investchosun.com/2021/03/02/3258743

 

■ [마켓인사이트]"LG화학, 배터리 품질 이슈로 부정적 영향 불가피"

http://marketinsight.hankyung.com/apps.free/free.news.view?aid=202103028614u&category=IB_FREE

 

■ SKIET, FI 잭팟 터지나…밸류 7조 이상 거론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2261754158240108621&lcode=00&page=4&svccode=00

 

■ 엔솔바이오, 기평서 또 고배…"코스닥 이전 상장 숙고"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3020810355940103222&lcode=00&page=7&svccode=00

 

■ '몸값 2조원' 거론되는 티몬, 수익성 높여 '물음표' 지울까

http://naver.me/FgiiJqE9

 

■ (IPO플러스)해성티피씨, 코스닥 상장 도전…“로봇용 감속기로 글로벌 진출”

http://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1028258

 

■ 삼영S&C 예심 통과, 변동준 회장 20년만에 회수 기회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2251555290240103390&lcode=00&page=3&svccode=00

 

■ 보안 모듈 솔루션 '에버스핀', IPO 닻 올린다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2251835067280103128&lcode=00&page=5&svccode=00

 

 

▶️▶️▷ IPOmarket(해외IPO포함)

■ '성장성 특례' IPO 러시…바이오 쏠림 현상 해소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2241441440040109285&lcode=00&page=11&svccode=00

 

■ 포스트코로나 준비하는 K진단기업…IPO·항체진단 '채비'

http://naver.me/GSiidrCp

 

■ "SK바이오사이언스만은 피하자"… IPO 기업들 일정짜기 고민

http://naver.me/x9JJ2YQH

 

■ 스팩에 열광하는 세계 증시, 개미 '묻지마 투자' 빨간불

https://www.fnnews.com/news/202103021418397523

 

■ 쿠팡 공모가 주당 27~30달러...최대 57兆 가치로 4兆 공모

http://www.investchosun.com/2021/03/02/3258778

 

 

▶️▶️▷ 시장 이모저모

■ [단독] 몸값 높아진 '매그나칩반도체' M&A 매물로 나왔다

https://www.mk.co.kr/news/stock/view/2021/03/202327/

 

 

▶️▶️▷ 시세/시황

[표]IPO장외 주요 종목 시세(3월 2일)

https://www.sedaily.com/NewsView/22JNI2UTAO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시황종합] 코스피, 中증시 훈풍에 1.3% 오른 3080선…기관 '사자'

반등 후 상승폭 확대 3082.99 마감…네이버 5%대 상승

코스닥 0.83% 오른 930.8…환율 3.7원 내린 1120.3원

 

출처: <https://www.news1.kr/articles/?4229191>

728x90
728x90

 

증시캘린더는 개인적으로 관련된 소식을 확인후 작성한 일정이라 변동 또는 오류의 소지가 있습니다.

참고시 유의하시고 배포시엔 블러그 링크로 공유해 주셔요.


 

728x90

'주요 증시 일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3월 5일(금) 증시캘린더  (0) 2021.03.05
3월 4일(목) 증시캘린더  (0) 2021.03.04
3월 2일(화) 증시캘린더  (0) 2021.03.02
2021년 3월 의무보유 해제  (0) 2021.02.27
2월 27일(토) 증시캘린더  (2) 2021.02.2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