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투자 스터디를 위해 개인적으로 스크랩한 시황, 뉴스 자료를 공유합니다.
1) 노션 링크는 익스플로러에선 제대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크롬에 최적화 되어있으며, 엣지, 웨일에서도 잘 작동합니다.
2) 장 시작전 올려드리는 해외마감시황~ 게시글은 저녁 10시 이전 업데이트 완료시 제목 마지막에 '업데이트중' 문구가 삭제됩니다.
3) 공유한 자료링크는 1~2일후 공유 해지 합니다.
게시물은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한 것이라
불확실하거나 오류가 많을 수 있으므로 투자 활용시 유의하시기 바라며, 개별적인 종목 추천이나 상담은 하지 않습니다.
모쪼록 제 공간에 오신 모든 분들이 주식스터디를 통해 인생 한 방보다, 꾸준함을 믿으며...
복리의 마법으로 모든 분들이 성공한 개인투자자가 되시길...





[3/11 전일 수요일(10일) 국내 시황, 케이프투자증권 한지영(02-6923-7349)]
▶️코스피, 위험회피심리 지속되며 5거래일 연속 약세
- 코스피는 미국 기술주 급등 효과에 힘입어 장 초반 1% 넘게 상승했으나, 이후 중국발 유동성 회수 우려, 미국 국채 입찰 및 국내 11일 선물옵션 동시만기일 경계심리가 확산된 여파로 상승폭을 모두 반납하며 0.6%대 하락 마감
- 코스닥은 미국 반도체 및 전기차주 급등 영향으로 국내 관련 밸류체인주들이 지수 상승을 견인하며 장중 1.5% 넘는 급등세를 연출했으나, 이후 CFD 및 신용계좌 반대대매 불안감 속 코스피와 함께 동반 약세 압력을 받으면서 0.7%대 하락 마감
▶️시장지표
- 코스피: 2,958.12(-18.00, -0.60%)
- 코스닥: 890.07(-6.29, -0.70%)
- 원/달러: 1,142.70원(+2.40원)
- 국채 3년물: 1.182%(-2.4bp)
- 국채 10년물: 2.036%(+0.2bp)
▶️업종
- 강세: 운수창고(+1.78%), 의료정밀(+1.77%), 비금속(+0.77%) 등
- 약세: 철강금속(-4.84%), 운수장비(-2.02%), 건설업(-1.66%) 등
▶️수급(외국인/기관/개인)
- 코스피: -1,258억원/-3,777억원/+5,253억원
- 코스닥: -1,773억원/-133억원/+2,052억원
▶️특징종목
- POSCO(-7.41%)는 경영진의 자사주 매입 노이즈 속, 중국 다롄 상품거래소에서 철광석 선물 가격이 급락한 영향으로 제품가격의 변동성 확대가 우려되며 급락
- NAVER(+2.90%)는 전일 이마트와의 지분교환 공시로 전략적 제휴 가능성이 제기되는 가운데, 경쟁사 쿠팡의 공모가 상향 조정이 동사의 기업가치 상승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기대감도 부각되며 강세
- LG화학(+3.48%)은 전일 테슬라 주가 반등에 따른 전기차 관련주 강세 속, 자회사 LG에너지솔루션의 테슬라 공급향 해외공장건설 검토 소식에 강세
해당 내용은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필하였습니다.
[3/11 전일 수요일(10일) 글로벌 시황, 케이프투자증권 한지영(02-6923-7349)]
▶️미국 3대 증시, 기술주 차익실현, 부양책 통과 기대감 등으로 혼조세
- 다우: +1.5%, S&P500: +0.6%, 나스닥: -0.04%
- 미국 3대 증시는 미 하원의 1.9조달러 부양책 통과 기대감, 인플레 우려 완화 및 양호한 10년물 입찰에 따른 금리 상승 진정 등에 힘입어 경기 민감주 위주들이 강세를 보였으나, 전일 단기 급등했던 기술주들의 차익실현 압박으로 혼조세 마감(다우는 신고가 경신)
- 미 하원에서는 지난주 상원에서 통과된 1,400달러 현금 지급 등이 1.9조달러 부양책 수정안을 220대 211로 통과시켰으며, 해당 법안은 백악관으로 넘어감에 따라 12일(금) 중에 바이든 대통령이 서명할 예정
- 미국의 2월 소비자물가는 1.7%(YoY)로 전월(1.7%) 및 예상치(1.7%)에 부합했으며, 가격 변동성이 큰 에너지 및 식료품을 제외한 근원소비자물가는 1.3%로 전월(1.4%) 및 예상치(1.4%)를 하회함에 따라 미국 내 인플레이션 급등 우려가 다소 완화되고 있는 상황
- 10일 진행된 380억달러 규모의 미국 10년물 국채 입찰률이 2.41배, 발행금리 1.523%를 기록하는 등 최근 시장에서 소화하지 못할 것이라고 우려했던 것보다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는 점이 10년물 금리 상승세를 진정시키는 요인으로 작용
- 반면, 중국의 2월 소비자물가는 -0.2%(YoY)로 전월(-0.3%) 및 예상치(-0.4%)를 소폭 상회한 가운데, 2월 생산자물가는 1.7%(YoY)도 전월(0.3%) 및 예상치(1.5%)를 상회하는 등 중국 내 인플레 압력도 높아지고 있는 모습
▶️시장지표
-DOW : 32,297.02 pt (464.28 pt, 1.46%)
-NASDAQ : 13,068.83 pt (-4.99 pt, -0.04%)
-S&P500 : 3,898.81 pt (23.37 pt, 0.6%)
-Vix Index : 22.56 pt (-1.47 pt, -6.12%)
-KRW/US$_1NDF_Point : 1,136.8 원/$ (-1.64 원/$, -0.14%)
-Dollar Index : 91.783 pt (-0.2 pt, -0.19%)
-US 10Yr Bond : 1.5178 % (-0.8 bp)
-WTI : 64.68 $/bbl (0.67 $/bbl, 1.05%)
-MSCI South Korea : 86.17 pt (-1.29 pt, -1.47%)
▶️업종
- 강세: 에너지(+2.63%), 금융(+1.92%), 원자재(+1.64%) 등 상승
- 약세: 기술(-0.40%) 업종만 약세
▶️특징종목
- 로블록스(+54.44%)는 코로나 특수에 의한 수요 상승에 힘입어 현재 미국 어린이(9세) 게임 통계에서 가장 높은 평가를 받으며 상장 첫날 급등
- GE(-5.36%)는 주력 사업으로 평가 받았던 항공기 임대사업 'Gecas' 매각을 표명함에 따라 향후 현금흐름이 훼손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됨에 따라 약세
- 애플(-0.91%)은 오는 23일(화) 신제품 공개가 예상되는 한편, 아이폰 12미니에 대한 상반기 생산량 20% 감축 요청이 악재로 작용하며 약세
해당 내용은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필하였습니다.
------
* 텔레그램 채널 링크
------
[키움증권] 한미 주요 ETF 동향
투자전략팀 서상영(02-3787-5241)
ㅇ 국내
대형주 -0.54%
중소형주 -0.97%
가치주 -1.14%
성장주 -0.12%
배당주 -1.04%
대형성장 -0.08%
중소형성장 -0.78%
대형가치 -1%
중소형가치 -1.16%
*미 주요 업종 ETF
원유시추업체 ETF(XOP) +3.58%
에너지섹터 ETF(OIH) +4.72%
소매업체 ETF(XRT) +1.95%
금융섹터 ETF(XLF) +2.04%
기술섹터 ETF(XLK) -0.40%
소셜 미디어업체 ETF(SOCL) -0.98%
인터넷업체 ETF(FDN) -0.42%
리츠업체 ETF(XLRE) +0.99%
주택건설업체 ETF(XHB) +2.41%
바이오섹터 ETF(IBB) +0.03%
헬스케어 ETF(XLV) +0.23%
곡물 ETF(DBA) -0.35%
반도체 ETF(SMH) -2.03%
*미 주요 스타일별 ETF
대형 가치주 ETF(IVE) +1.33%
중형 가치주 ETF(IWS) +1.24%
소형 가치주 ETF(IWN) +2.46%
대형 성장주 ETF(VUG) -0.02%
중형 성장주 ETF(IWP) -0.04%
소형 성장주 ETF(IWO) +1.21%
배당주 ETF(DVY) +1.88%
신흥국 고배당 ETF(DEM) +0.09%
신흥국 저변동성 ETF(EEMV) -0.02%
미국 국채 ETF(IEF) +0.21%
하이일드 ETF(JNK) +0.32%
물가연동채 ETF(TIP) +0.45%
Long/short ETF(BTAL) -0.47%
*동 자료는 2021년 3월 11일 키움증권 홈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를 요약한 것입니다.
[키움증권] 해외 금융시장
투자전략/시황 서상영(02-3787-5241)
◆ 미국 증시
- DOW: 32297.02p (+464.28p, +1.46%)
- S&P500: 3898.81p (+23.37p, +0.6%)
- NASDAQ: 13068.83p (-4.99p, -0.04%)
◆ 한국 관련
- MSCI 한국지수 ETF: 86.17p (-1.29p, -1.47%)
- MSCI 이머징지수 ETF: 53.29p (-0.24p, -0.45%)
- NDF 환율(1개월물): 1,136.65원 / 전일 대비 7원 하락 출발 예상
◆ 외환시장
- 달러인덱스: 91.784 (-0.174, -0.19%)
- 유로/달러: 1.1929 (+0.0028, +0.24%)
- 달러/엔: 108.4 (-0.08, -0.07%)
- 파운드/달러: 1.3935 (+0.0043, +0.31%)
◆ 미국 국채시장
- 2년물: 0.1548% (-0.6bp)
- 5년물: 0.7923% (-1.3bp)
- 10년물: 1.523% (-0.3bp)
- 30년물: 2.2441% (+1.1bp)
(국채선물)
- 2YR T-Notes: 110*11 3/4 (+0*00 1/2, +0.01%)
- 5YR T-Notes: 123*30 (+0*05 , +0.13%)
- 10YR T-Notes: 132*17 (+0*07 1/2, +0.18%)
- US T-Bonds: 158*05 (+0*12 , +0.24%)
- Ultra US T-Bonds: 187*26 (+0*13 , +0.22%)
◆ 상품시장 ($, 단 곡물, 구리는 센트)
- WTI: 64.44 (+0.43, +0.67%)
- 브렌트유: 67.9 (+0.38, +0.56%)
- 금: 1721.8 (+4.9, +0.29%)
- 은: 26.13 (-0.053, -0.2%)
- 아연(LME, 3M): 2764 (-13.5, -0.49%)
- 구리: 403.25 (+2.4, +0.6%)
- 옥수수: 534 (-11.75, -2.15%)
- 밀: 652.5 (-4, -0.61%)
- 대두: 1409.75 (-30.25, -2.1%)
- BDI: 1901 (+48, +2.59%)
*동 자료는 2021년 3월 11일 키움증권 홈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를 요약한 것입니다.
[키움증권] 미국 증시 동향
투자전략팀 서상영(02-3787-5241)
미 증시 변화 요인: 소비자 물가지수, 10년물 국채 입찰
미 증시는 예상과 부합된 소비자 물가지수에 따른 국채 금리의 변화가 제한되자 상승 출발. 특히 나스닥이 1.6%나 상승을 하며 이를 주도. 이후 전일 급등에 따른 매물 출회와 개별 이슈로 나스닥은 상승분을 반납했고, 다우는 경제 정상화 기대가 유입되며 경기 민감주가 강세를 보이며 나스닥 대비 상승폭이 큼. 특히 미 하원이 1.9조 달러 규모의 부양책을 통과하자 다우의 상승폭이 더욱 확대(다우 +1.46%, 나스닥 -0.04%, S&P500 +0.60%, 러셀2000 +1.81%)
2월 소비자 물가지수가 전월 대비 0.4%, 전년 대비 1.7% 상승해 예상과 부합.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소비자 물가지수는 0.1%, 전년 대비 1.3% 상승에 그치며 예상 소폭 하회. 세부적으로 보면 에너지 가격이 지난 1월 전월 대비 3.5% 상승에 이어 3.9% 상승하며 이를 주도. 특히 가솔린 가격이 6.4% 급등하며 3개월 연속 강세를 보였고 전기요금도 1월 0.2% 하락에서 0.7% 상승. 식량은 0.1% 상승에 이어 0.2% 상승했으며 전년 대비로는 3.6% 상승. 서비스 가격도 2개월간 안정을 유지한 후 0.2% 상승. 반면, 의류는 3개월간의 강한 상승 후 전월 대비 0.7% 하락했고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상품 가격은 2개월 연속 0.1% 상승 후 0.2% 하락으로 전환. 대체로 완만한 물가 상승을 기록하자 금리가 하락하는 등 안정을 보였고 장 초반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의 1.6% 상승 요인
한편, 380억 달러 규모의 10년물 국채입찰에서 응찰률은 12개월 평균인 2.42배를 소폭 하회한 2.38배를 기록. 간접 입찰은 12개월 평균인 61.1% 보다 둔화된 56.8%를 기록. 대체로 수요 부진을 의미해 금리 상승 요인으로 작용하며 금융주와 산업재, 에너지 등의 강세를 촉발. 물론 미지근한 수요로 입찰이 종료 되었으나 금리는 하락. 입찰 초반 강한 매수세가 유입되었으며 지난 2월 25일 7년물 입찰 부진과 달리 우려했던 상황이 나오지 않았다는 안도감에 따른 것으로 추정. 그렇다 하더라도 금리 상승 요인은 여전하기 때문에 전일 급등 했던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은 하락 전환 하는 등 변동성이 확대. 다만 하원의 부양책 통과 소속이 전해지며 금리 하락폭이 축소되고 이에 힘입어 경기 민감주 중심으로 상승폭을 확대되는 등 전일과 정 반대의 움직임이 전개
*동 자료는 2021년 3월 11일 키움증권 홈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를 요약한 것입니다.
[키움증권] 한국 증시 전망
투자전략팀 서상영(02-3787-5241)
외국인 선물 동향에 따라 변동성 확대 예상
MSCI 한국 지수 ETF는 1.48% MSCI 신흥 지수 ETF는 0.45% 하락. NDF 달러/원 환율 1개월물은 1,136.65원으로 이를 반영하면 달러/원 환율은 7원 하락 출발 예상.
전일 한국 증시는 미 증시의 강세로 1% 상승 하기도 했으나, 중국의 물가가 예상을 상회하고 유동성 흡수 이슈가 부각되자 하락 전환. 특히 중국의 은행들이 투기성 자금으로 변질 될 우려가 높은 자금에 대해 회수를 시작 했다는 보도가 나오는 등 유동성 흡수 이슈 또한 부담. 실제 2월 중국 은행들은 1조 3, 600억 위안 규모의 신규 대출을 처리해 1월의 3조 5,800억 위안의 대출 보다 감소.
그렇지만 미국 의회가 추가 부양책을 통과 시키며 미국의 유동성 공급이 지속되고 있다는 점은 중국의 유동성 흡수 우려에도 불구하고 투자심리에 긍정적. 특히 미국의 부양책 통과로 경제 정상화 기대가 확산 된 점, 여기에 달러화가 약세를 보였고, 국제유가 또한 상승하고 국채금리가 하락한 점은 외국인 수급에 긍정적이라는 점도 투자심리에 우호적.
다만, 선물옵션 만기일을 맞아 외국인 선물 시장의 수급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 금융투자의 미니 kospi 선물에 대한 시장 조성이 종료되기 때문. 그동안 시장에서는 헤지성 매매로 금융투자의 거래가 컸지만, 이번 조치로 감소하게 된다. 이로 인해 외국인의 선물 수급에 따른 현물시장의 변화가 확대되는 ‘웩더독’ 현상이 더욱 심화 될 것으로 예상. 특히 다음주 월요일(15일) 부터 시행 되기 때문에 오늘 선물옵션 만기일에 그동안의 헤지성 수급 청산 이슈가 발생 할 수 있어 장중 등락폭 확대는 불가피. 이를 감안 한국 증시는 외국인 선물 동향에 따라 변동성이 확대되는 가운데 미국의 부양책 통과에 따른 경기 민감주에 주목
*동 자료는 2021년 3월 11일 키움증권 홈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를 요약한 것입니다.
03/11 미 증시, 완만한 물가와 부양책 통과로 변화
키움증권 투자전략팀 서상영(02-3787-5241)
미 증시 변화 요인: 소비자 물가지수, 10년물 국채 입찰
미 증시는 예상과 부합된 소비자 물가지수에 따른 국채 금리의 변화가 제한되자 상승 출발. 특히 나스닥이 1.6%나 상승을 하며 이를 주도. 이후 전일 급등에 따른 매물 출회와 개별 이슈로 나스닥은 상승분을 반납했고, 다우는 경제 정상화 기대가 유입되며 경기 민감주가 강세를 보이며 나스닥 대비 상승폭이 큼. 특히 미 하원이 1.9조 달러 규모의 부양책을 통과하자 다우의 상승폭이 더욱 확대(다우 +1.46%, 나스닥 -0.04%, S&P500 +0.60%, 러셀2000 +1.81%)
https://www.kiwoom.co.kr/nkw.templateFrameSet.do?m=m0601020101&s_menu=SD&s_sqno=7739
[03/11 팟빵] 키움증권 주식, 글로벌 시황 투자전략
[서상영의 아침시황] 미 증시, 완만한 물가와 부양책 통과로 변화
3월 11일 우리시장은?
http://www.podbbang.com/ch/7226?e=23985700
서초동 '노른자땅' 코오롱부지에 운동·업무시설 들어선다
서울시 사전협상 마무리…내달 중 도시·건축공동위 상정 예정
25층 업무시설·지하2층~지상3층 스포츠 콤플렉스몰 건설
제2종 일반주거→준주거 상향…공공기여금 666억 상당
등록 2021-03-11 오전 6:00:00
출처: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259526628982336&mediaCodeNo=257>
봄철 관광객 놓칠 수 없다…스페인, 5월부터 백신여권 도입추진
입력2021.03.11 02:13
출처: <https://www.hankyung.com/society/article/202103116214Y>
이 와중에···오늘 올해 첫 '네 마녀의 날'
신문21면 3단 기사입력 2021.03.11. 오전 6:11
시장 체력 둔화 속 수급변화 촉각
"기관·외인 대거 매도 상황 아냐"
"소폭 매물에도 시장 충격" 팽팽
출처: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1&aid=0003881606>
검찰, 일동제약 압수수색…오너 지분 늘리려 시세조종 혐의
입력2021.03.11. 오전 4:31
윤웅섭 대표 등 오너일가 자본시장법 위반 혐의
지주사 체제 전환 과정서 인위적 시세조종 정황
회사 분할 전후 오너 일가 지분 20%→40%대로
출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69/0000587157?sid=102>
'약병 들고 휘청'…이재용이 찾은 또다른 성형외과
입력 2021-03-10 20:19
출처: <https://imnews.imbc.com/replay/2021/nwdesk/article/6114700_34936.html>
미국 10년물 국채입찰 나쁘지 않았다…응찰률 2.38배
기사입력 2021.03.11. 오전 6:07
출처: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8&aid=0004872668>
카카오페이 '6월 상장' 레이스 돌입
신문19면 TOP 기사입력 2021.03.10. 오후 3:03
이달 말 상장예비심사 청구 예정
이르면 5월부터 공모주 청약 개시
거래액·가입자 수 등 지속 성장세
디지털손보사 출범 눈앞 영역 확장
출처: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sec&oid=030&aid=0002932562>
美中, 싸움 잠시 접고 ‘기후변화 대응’ 손잡았다
입력2021.03.10. 오후 8:11
G20 실무그룹 공동의장...‘기후변화 리스크’ 주도
미중 모두 상대 공동의장국 언급 없이 역할 수행
두 나라 미묘한 긴장 속 ‘불안한 동거’ 관측도
출처: <https://n.news.naver.com/article/081/0003170013>
———————————
하나금투 IT 김록호/김현수
———————————
3/11(목) 하나 테크 헤드라인
<주요 뉴스>
# Digitimes: Passive component materials enjoy strong shipment momentum
수동부품의 강한 수요로 인해 AFT(Ample Electronics Technology)와 같은 업스트림 자재 기업들의 매출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파악된다.
# 삼성, 이례적으로 중저가폰 갤럭시A 출시회 여는 배경
삼성전자가 중저가 모델인 갤럭시A 시리즈의 신제품 공개(언팩) 행사를 온라인 생중계로 진행한다.
<기타 뉴스>
# 애플, '인기 시들' 아이폰12 미니 감산한다
애플이 아이폰12 미니의 감산을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 ‘엎치락뒤치락’...삼성, 1분기 애플 제치고 스마트폰 분기 1위 재탈환
삼성전자가 올 1분기 신제품 효과에 힘입어 애플을 제치고 다시 1위 자리에 올라설 전망이다.
# 삼성-LG 올해 주총 키워드는 'ESG'
삼성과 LG 등 올해 주요 기업들의 주총에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이슈가 관전 포인트가 될 전망이다.
<글로벌 업체 주가 동향>
애플 -0.91%
샤오미 -0.68%
ZTE -0.36%
레노버 +3.42%
무라타 +0.39%
타이요유덴 +0.96%
야교 -0.19%
Ibiden +3.55%
Shinko +2.39%
인텔 -0.67%
마이크론 -4.36%
TSMC +0.34%
퀄컴 -0.96%
미디어텍 -1.71%
UDC -1.25%
BOE 0.00%
AUO 0.00%
Tesla -0.82%
CATL +4.83%
Umicore +0.27%
Albemarle +4.35%
(위 내용은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득함)
★하나IT텔레그램: https://t.me/ITforYouFromHana
[2021.03.10 (수) 필라델피아 반도체] 하나금투 반도체 김경민, 김주연
전일 대비 -1.80%, 2,879선 마감
상승주 2, 하락주 28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2,900선 내외에서 퐁당퐁당 등락 중. 금요일 상회, 월요일 하회, 화요일 상회, 수요일 하회 마감. 실적 시즌 끝난 상태로 미국 금리 등 매크로 지표가 반도체 업종 투자 심리 좌우. 수요일의 경우 전일 대비 상승하며 시작, 장중에 2,976선까지 올라가며 3,000선에 근접하다가 오후에 낙폭 확대하며 2,879선 마감
가장 크게 하락한 종목은 램리서치 -4.56%, 마이크론 -4.36%. 양사 모두 눈에 띌 만한 악재 없었음. 램리서치를 비롯한 장비주 전반적 약세. 테라다인 -3.91%, KLAC -3.62%, ASML -3.00%
상승 종목은 공정 소재 공급사 CCMP (캐봇) +2.20% 및 화합물 반도체 관련주 CREE +1.40%. CREE의 경우 최근 낙폭 과대 이후 반등
그 외의 시총 상위주는 1% 내외 하락. 엔비디아 -0.42%, 텍사스 인스트루먼트 -0.55%, 인텔 -0.67%, 퀄컴 -0.96%
감사합니다.
[메리츠증권 반도체/디스플레이 김선우]
Meritz Overnight Tech 2021.3.11 (목)
★ 메모리 스팟가격
DRAM(DDR4 8Gb: 1D 1.13%, 1W 1.13%, 1M 20.62%)
DDR3 / DDR4 x16 브랜드 칩에 수요가 집중되고 구매 모멘텀 지속 증가. 구매 환경은 활동적이고 구매 가격 및 호가 상승. 그러나 그 외 칩에 대한 문의는 약세
NAND(MLC 64Gb: 1D 0.08%, 1W 0.32%, 1M 3.37%)
eMMC 4G / 8G의 거래는 활발하고 저가 부분에서 일부 주문이 체결. 전체 가격 추세 상승. 그러나 전반적인 구매 환경은 여전히 Kioxia의 칩에 집중되고, 실거래량은 제한적
★ 주요 뉴스 플로우
Oracle FY 3Q21 매출 $10.09B (vs 컨센서스 $10.07B) EPS $1.16 (vs 컨센서스 $1.11). Cloud services and license support와 Cloud license and on-premise license 매출 각각 5%와 4% 성장. 시간 외 주가 -2.3% 거래 중 (Oracle)
TSMC 2월 매출 NT$106.5B (-16.0% MoM, +14.1% YoY) 기록 (TSMC)
Apple, 독일 Munich에 $1.2B 규모 Silicon design center 설립 (Reuters)
NAND Flash 고정거래가 2분기부터 반등 전망 (Digitimes)
이유 있는 日 언론의 탄식…삼성, 반도체 '日 의존도' 낮췄다 (디지털 데일리)
Apple, 상반기 아이폰 12 미니 감산 (Nikkei)
자율주행 산업 발전으로 전체 DRAM 비트 소비의 3% 이상을 자동차 산업이 차지할 것으로 전망 (TrendForce)
★ 전일 해외 관련업체 주요 주가 등락 (2%p 이상)
Micron(-4.4%), WDC(-4.0%), Lenovo(+3.4%), STMicro(-2.5%), Marvell(-2.3%), KLA(-3.6%), LAM Research(-4.6%), CATL(+4.8%), BYD(+3.8%)
(자료: DRAMeXchange, Bloomberg, 언론자료)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메리츠증권 전기전자/2차전지 주민우]
★ 2차전지 주요 뉴스 (2021.3.11)
Tesla, 다른 자동차 기업에 비해 배터리 셀 비용면에서 상당한 우위를 점하고 있다는 보고서 발표. Cairn Energy Research에 따르면 Tesla는 Panasonic, LG Chem 및 CATL의 3 개 공급 업체로부터 구입 한 배터리 셀에 대해 KWh 당 평균 142달러를 지불. 이에 비해 GM은 배터리 셀에 대해 KWh 당 평균 169달러를 지불하는 반면 업계 평균은 KWh 당 약 186달러 (Electrek)
영국, 무공해 차량 혁신 기금 조성. 무공해 차량, 충전 기술 또는 EV 배터리 재활용등의 새로운 기술에 대해 2천만 파운드의 자금 지원. 자금 지원의 목표는 2035년까지 화석 연료 및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모든 판매를 단계적으로 중단하려는 영국 정부의 목표 지원 (Electrive)
스웨덴 전기차 배터리 제조사 노스볼트, 미국 차세대 배터리 기술 스타트업 큐버그(Cuberg) 인수. 큐버그는 에너지 밀도를 일반 리튬이온 배터리 대비 70% 이상 높인 리튬메탈 배터리 기술을 보유한 스타트업. 구체적인 인수 금액은 공개되지 않은 상황 (WSJ)
티에스아이, LG 폴란드 전기차 배터리 3공장용 믹싱 장비 수주 성공. 현재 양산이 진행 중인 폴란드 1공장과 2공장 믹싱 장비는 여러 업체가 나눠서 맡았으나 3공장의 경우는 티에스아이가 단독으로 장비를 공급할 전망. 수주 금액은 500억원 내외로 추정 (디일렉)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하루를 여는 혁신투자자문 IPO News Letter💌 - 20210311』
【 텔레그램 채널 주소 : https://t.me/KoreaIB 】
【 IPO상장문의 및 이경준 대표 Contact ☞ 📧 ipo@kakao.com 】
===========================
《📌Today's Topic》
SK바사, 개인 배정 확대에도 '0주' 속출....과열 부추긴 균등배분제
https://www.ajunews.com/view/20210310145113076
☞ 이경준 혁신투자자문 대표는 "공모주 투자는 정보 접근이 제한된 비상장 기업이 대상인 만큼 일반적인 투자보다 치밀한 분석이 필요하다"며 "지금처럼 다수 계좌를 확보해 청약을 넣고 보자는 식으로 투자가 이뤄진다면 균등배분의 취지 왜곡은 물론 향후 개인투자자들의 피해가 커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
금일은 [ 싸이버원 / 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스 ] 상장일 입니다.
[ 싸이버원_공모가 9,500원 ]
º 시가총액 : 441억원(4,640,830주)
º 유통가능 : 145억원(1,524,945주, 32.86%)
º 수요예측 내역
총 참여건수 : 1,360건
실 유효건수 : 1,242건(91.32%)
총 경쟁률 : 1,303.1 대 1
총 확약 비중 : 135건(9.9%), 수량기준 9.7%
º 일반청약률 : 1,880.43 대 1(102,429건)
------------------------------------------
금일은 [ 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스(피비로직스 아님) ] 상장일 입니다.
[ 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스_공모가 12,400원 ]
*전일 장외가 : 13,500원(공모가대비 +8.87%)
º 시가총액 : 5,314억원(42,851,915주)
º 유통가능 : 2,379억원(19,183,312주, 44.77%)
º 수요예측 내역
총 참여건수 : 864건
실 유효건수 : 796건(92.13%)
총 경쟁률 : 369.91 대 1
총 확약 비중 : 39건(4.5%), 수량기준 6.5%
º 일반청약률 : 126.06 대 1(87,748건)
===========================
★ 금일 IPO 일정 ★
03/11 싸이버원 상장★
03/11 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스 상장★
03/11 바이오다인 납입🏧
03/11~12 라이프시맨틱스 청약🖨
☆ 금주 남은 IPO 일정 ☆
03/11~12 라이프시맨틱스 청약🖨
03/12 에스케이바이오사이언스 납입🏧
------------------------------------------
▣ 기관IR 일정 ▣
- 소규모 간담회로만 진행 中 -
▣ 상장 일정(예정, 변경가능) ▣
03/11 싸이버원(키움증권)
03/11 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스(미래에셋대우)
03/16 네오이뮨텍(하나금융투자/미래에셋대우)
03/17 바이오다인(대신증권)
03/18 에스케이바이오사이언스(NH투자증권)
03/23 라이프시맨틱스(한국투자증권)
03/24 제노코(DB금융투자)
03/24 자이언트스텝(한국투자증권)
04/01 엔시스(미래에셋대우)
04/09 아모센스(신한금융투자)
미정 - 해성티피씨(한국투자증권)
▣ 심사 승인 ▣
- 이삭엔지니어링(신한금융투자)
- 쿠콘(하나금융투자)
- 삼영에스앤씨(미래에셋대우)
- 제주맥주(대신증권)
- 에이치피오(대신증권)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 국내 IPO 개별종목
■ [속보]63조 몰린 SK바이오사이언스 '역대 최대'…공모주 새역사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1031016551238810
■ [IPO] 제노코 “항공우주산업 글로벌 경쟁력 갖추는데 이바지할 것”
http://www.viva100.com/main/view.php?key=20210310010002842
■ [이슈] LG에너지솔루션 IPO앞두고 악재 돌출…코나 리콜 비용이 IPO 발목 잡나
http://www.lkp.news/news/articleView.html?idxno=15618
■ IPO 추진 제주맥주, FI '오버행 우려' 최소화
■ '현대차'가 찜한 벤처기업 맥스트, IPO 예심 청구
■ 큐로셀, 무상증자 단행 'IPO 초읽기'
▶️▶️▷ IPOmarket(해외IPO포함)
■ NH·한국·미래, 조단위 IPO공모 '토종 IB' 전력 보였다
■ [포커스] IPO 최적기 맞은 건설사, 신사업 확장·기업가치 높이기 잰걸음
http://www.updow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9000
■ 상장 앞두고 공모가 밴드 올린 쿠팡, '흥행 자신감'?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1031014594384524
▶️▶️▷ 시장 이모저모
■ ‘닷컴버블과 다르다고?’...“2021년 주식시장은 2000년과 끔찍하게 닮았다”
https://www.etoday.co.kr/news/view/2002969
■ 원조 중고거래 플랫폼 중고나라 매각 임박
▶️▶️▷ 시세/시황
[표]IPO장외 주요 종목 시세(3월 10일)
https://www.sedaily.com/NewsView/22JR60DDE1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시황종합]'美금리 진정' 코스피 3010선 회복…연기금 50일째 팔아
코스피 1.88% 오른 3013.7, 코스닥 2.02% 오른 908.01
달러/원 환율 6.8원 내린 1135.9원
출처: <https://www.news1.kr/articles/?4238092>










'시황 & 뉴스 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 3월 15일(월) 해외마감시황, 장전 봐야할 주요뉴스 : 마감시황 (0) | 2021.03.15 |
|---|---|
| 3월 12일(금) 해외마감시황, 장전 봐야할 주요뉴스 : 마감시황 (0) | 2021.03.12 |
| 3월 10일(수) 해외마감시황, 장전 봐야할 주요뉴스, 관심레포트 : 마감시황 (1) | 2021.03.10 |
| 3월 9일(화) 해외마감시황, 장전 봐야할 주요뉴스, 관심레포트 : 마감시황 (0) | 2021.03.09 |
| 3월 8일(월) 해외마감시황, 장전 봐야할 주요뉴스, 관심레포트 : 마감시황 (0) | 2021.03.08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