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주식 스터디를 위해 개인적으로 스크랩한 증시캘린더, 국내 및 해외마감 시황, 뉴스 자료를 공유합니다.

1) 증시캘린더는 개인적으로 관련된 소식을 확인후 작성한 일정이라 변동 또는 오류의 소지가 있습니다.

2) 노션으로 공유한 링크는 익스플로러에선 제대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크롬에 최적화, 엣지, 웨일에서도 잘 작동합니다.

    ( 공유 자료링크는 1~2일후 공유 해지 합니다.)

 

게시물은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한 것이라

불확실하거나 오류가 많을 수 있으므로 투자 활용시 유의하시기 바라며, 개별적인 종목 추천이나 상담은 하지 않습니다.

 

모쪼록 제 공간에 오신 모든 분들이 주식스터디를 통해 인생 한 방보다, 꾸준함을 믿으며...

복리의 마법으로 모든 분들이 성공한 개인투자자가 되시길...


뉴욕증시, 금리급등에 은행주↑ 기술주↓ [출근전 꼭 글로벌브리핑]

국채금리 상승에 알파벳·애플 등 주요 대형 기술주 ↓

은행주·에너지주 강세

유럽 상승·중국 혼조·베트남 하락

[글로벌시장 지표 / 9월 28일 오전 6시 현재]

 

 

[미국증시 마감시황]

 

■ 국채금리 상승 속 혼조마감…다우지수 0.21%상승

 

10년물 국채 수익률이 빠르게 상승한 영향으로 27일(이하 미 동부시각) 뉴욕증시는 혼조세로 마감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일대비 71.37포인트(0.21%) 오른 3만4869.37로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일대비 12.37포인트(0.28%) 내린 4443.11로 거래를 마쳤고,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일대비 77.73포인트(0.52%) 내린 1만4969.97로 거래를 마감했다.

 

뉴욕증시는 미국 연방의회의 예산전쟁을 주목하고 있다. 예산 처리를 둘러싼 정당 및 노선 간 논쟁이 지속될 경우 연방정부의 셧다운이나 채무불이행 사태가 가능성이 있다. 이는 전 세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한편 이날 미 10년물 국채 수익률이 급등하자 알파벳과 애플, 엔비디아 등 주요 기술기업들이 일제히 하락세를 보였다. 기술기업들의 경우 부채 비용이 증가하면 성장에 악영향을 끼치는데다, 금리가 오를수록 미래 현금흐름이 나빠질 수 있기 때문에 국채금리에 적지 않은 영향을 받는다는 분석이 뒤따른다.

 

울프 리서치의 크리스 센예크는 "우리는 이러한 채권 시장의 움직임이 주식시장 전반에 걸쳐 또다른 가치 하락의 불씨를 제공했다고 생각한다"며 "장기 국채금리의 방향은 앞으로 몇 주동안 시장 수익률이나, 섹터 순환장세, 업종별 수익률 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평가하기도 했다.

 

반면 코로나19 확산세가 다소 주춤해지면서 경기회복주는 상승세를 보였다. 존스홉킨스 대학에 따르면, 지난주 하루 평균 신규 확진자 수는 약 12만건으로, 9월 초 16만6000건 대비 감소했다.

 

 

 

[특징주]

 

■ FAANG

 

이날 주요 기술주인 팡(FAANG) 종목은 엇갈린 흐름을 보였다. 특히 장기 국채금리 상승에 주식가치감정평가(밸류에이션) 부담이 있는 알파벳, 애플 등 주요 대형 기술주들은 하락했다.

 

페이스북과 넷플릭스는 각각 0.18%, 0.04% 상승했다. 반면 임금 상승에 따른 노동비용 증가 여파로 실적이 타격을 받을 것이라며 모건스탠리가 목표주가를 4300 달러에서 4100 달러로 낮춘 아마존은 이날 19.72 달러(0.58%) 하락한 3405.80 달러로 장을 마쳤다. 구글도 약보합권에서 거래를 마감했고 애플은 1.05%의 하락세를 보였다.

 

■ 은행주

 

경기순환주 상승세 속에 은행주가 대거 상승하면서 JP모건체이스는 3.94 달러(2.42%) 급등한 166.98, 뱅크 오브 아메리카(BofA)는 1.12 달러(2.66%) 폭등한 43.26 달러로 뛰었다.

 

■ 테슬라

 

테슬라 주가는 자율주행기능(FSD) 강화 조치의 영향으로 2.19% 오른 791달러에 마감, 800달러 돌파를 눈앞에 두게 됐다.

 

■ 에너지주

 

경기순환주 상승세 속에 에너지 주는 특히 강세를 보였다. 엑슨모빌(+2.97%) 쉐브론(+2.36%) 코노코필립스(+2.60%) 등 빅오일 3인방의 주가가 모두 급등했다.

 

■ 반도체주

 

반도체주는 엇갈린 흐름을 보였다. 이날 엔비디아의 주가는 1.91% 하락한 반면 AMD와 마이크론테크놀러지는 각각 2.26%, 2.44% 상승률을 기록했다. 인텔도 강보합권에서 거래를 마쳤다.

 

출처: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109280013&t=NN>

 

 

 

2021년 9월 28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겨울 한파 우려로 천연가스가 11% 올랐고 유가도 연중고점에 근접했습니다.

 

(2) 금리와 원자재 가격이 오르며 금융주와 에너지주가 상승했습니다.

 

(3) 중국의 전력 부족 사태가 주거지로 확산되고 있습니다.

 

미 5년 breakeven rate 2.554%, +0.050%p (2% 상회시 유의, 2.5% 상회시 경고)

한국 고객예탁금, 67.8조원 -1.6조원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19%

1개월 NDF 환율 1,178.15원 (+1.30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미국 혼조 = 빅테크중심 나스닥 차익실현]

(feat. 이제 다우? 오일 관련주?)

 

<Today Market>

오늘 시장은 아침부터 지수별로 크게 이분화되었습니다. 다우는 갭상승으로 시작했고, 나스닥은 갭하락으로 시작했습니다. 장중 일부 빅테크 중심의 저가매수세가 유입되었지만, 전반적으로 자금의 흐름은 Nasdaq -> NYSE가 뚜렷한 하루였습니다. 10년물 국채금리가 1.5%에 도달하며 테크주 매도분위기를 조성했습니다.

 

<천연가스 신고가>

천연가스 가격이 전고점을 돌파하며 2013-2014겨울의 고점($6.49/mmbtu)에 근접했습니다. 오늘하루만 12%넘는 상승입니다. 미국/유럽 모두 천연가스 재고는 예년 평균보다 약 10%p낮아진 상태입니다. 천연가스 급등은 유가급등(대체재), 곡물가급등(질소비료가격상승) 등 다발적인 인플레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중장기적으로 각국정부는 예정보다 빠른속도로 신재생에너지를 보급하기위해 투자확대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FOMC>

최소3명이상의 연준위원들은 인플레를 크게 우려하지 않지만, 과도한 유동성공급은 정상화시켜야 한다는 의견을 밝혔습니다. 즉, 테이퍼링을 시작하는 이유는 인플레우려가 아닌 통화정책 정상화로 보면 될것 같습니다.

☑️파월의장이 수차례 강조해온 테이퍼링과 금리인상(제로금리탈피)은 별개라는 의견과도 괴를 같이합니다.

 

<중국주식 반등>

오늘은 그동안 지속적인 약세모드였던 중국기업 주식들이 전반적으로 큰폭의 상승세를 보이며 시장을 이끌었습니다.

 

*코로나 : 신규확진자 감소

(금요일 132,135 / WoW -18.9%)

 

•나스닥 -0.5% / 러셀2000 +1.3%

•S&P500 -0.3% / 다우 +0.2%

-나스닥 Top10 : 상승 2 vs 하락 8

 

-비트코인 : $43,000

-미국채금리(10y) : 1.489 (+1.9%)

-WTI : $73.94 (+0.9%)

-Natural Gas : $5.828 (+12.1%)

☑️천연가스 급등세가 심상치 않습니다.

 

SMART한 주식투자

https://t.me/frankinvest

 

 

(2021.09.28) U.S. & EU Market Closing

2021.09.28  박진홍

U.S. Market Closing – 05:00 기준

지수 종가 등락폭 등락률 상승/하락/보합
DOW 34,869.37 71.37 0.2% 15/15/0
S&P500 4,443.11 -12.37 -0.3% 226/239/0
NASDAQ 14,969.97 -77.73 -0.5% 2131/1180/176
RUSS 2K 2,281.00 32.93 1.5% 1268/334/174
PHLX 반도체지수 3,445.44 -8.48 -0.2% 13/16/1
VIX지수 18.76 1.01 5.7%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미국 증시는 미 연준(FED)으로부터 셧다운 가능성과 긍정적 경제지표 발표 속에 혼조세 마감. 국채금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이후 인상 기대가 커지면서, 국제 벤치마크 10년 만기 미국 국채금리는 이날 장중 1.5%까지 치솟으며 강세 시현. 연준 위원들의 절반가량이 내년 말 금리 인상을 예상하고 있으며, 연내 테이퍼링(자산 매입 축소)이 기정사실화된 상황에서 시장은 조기 금리 인상 가능성을 반영한 모습. 크리스 세니예크 애널리스트는 이러한 채권시장의 움직임이 주식시장에서 또 다른 가치 하락의 불씨를 제공하고, 장기 금리의 방향이 앞으로 몇 주간 시장 수익률과 섹터 및 테마주 성과를 결정하는 첫 번째 요소가 될 것이라고 언급. 반면, 경제지표로는 8월 내구재(3년 이상 사용 가능한 제품) 수주 실적이 전월 대비 1.8% 증가 하였으며 이는 월스트리트저널이 집계한 예상치 (0.6%) 보다 상회. 이어 8월 미국의 핵심 자본재 주문은 전월 대비 0.5% 상승. 이날 발표된 내구재 지표가 긍정적으로 나오면서 경기민감주들은 상승 마감.

  

U.S. ETF Closing – 05:00 기준

Sector

분류 티커
현재가 등락률 t신호 수익률







1개월 3개월 1년
에너지
XLE 52.7 3.5% 햇빛 10.2% 0.8% 90.1%
금융
XLF 38.7 1.4% 햇빛 1.3% 7.0% 63.6%
소재
XLB 81.7 0.8% 안개 -4.2% 0.5% 32.6%
자유소비재
XLY 185.9 0.5% 햇빛 1.4% 2.7% 25.6%
산업재
XLI 101.0 0.1% 안개 -3.1% -1.0% 33.3%
커뮤니케이션
XLC 82.4 0.0% 안개 -3.5% 0.8% 37.8%
필수소비재
XLP 70.3 -0.5% 안개 -2.2% 1.5% 11.9%
IT
XLK 155.2 -1.0% 안개 -2.1% 3.3% 32.7%
유틸리티
XLU 64.4 -1.2% 안개 -5.4% 0.9% 10.7%
부동산
VNQ 103.4 -1.4% 안개 -4.2% 0.7% 33.0%
헬스케어
XLV 130.1 -1.4% 안개 -3.4% 1.9% 25.6%

자료: 티레이더,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섹터별 ETF에서는 에너지(XLE/+3.5%), 금융(XLF/+1.4%), 소재(XLB/+0.8%) 섹터는 상승한 반면, 헬스케어(XLV/-1.4%), IT(-1.0%) 섹터는 하락 마감.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 전염병이 완화 되는 가운데 수요가 증가하면서 에너지 섹터 상승 마감. 개별 주식으로는 씨마렉스(XEC/+8.5%), 카봇(COG/+8.5%), 마라톤오일(MRO/+6.2%)이 큰 폭으로 상승 마감. 이어 금일 10년물 국채가 1.5% 이상으로 상승함으로써 금융 섹터 상승. 개별 주식으로는 메트라이프(MET/+3.6%), 엠엔티은행(MTB/+5.6%) 상승 마감. 

 

Thematic

분류
티커 현재가 등락률 t신호 수익률







1개월 3개월 1년
항공방산 XAR
121.9 1.7% 안개 -0.5% -7.2% 38.6%
수송 XTN
89.3 1.3% 햇빛 4.2% 6.0% 54.9%
여행/관광산업 AWAY
29.0 0.8% 햇빛 7.5% -2.0% 50.8%
4차 산업혁명 CLOU
30.5 -1.3% 햇빛 -0.3% 4.5% 25.2%
데이터/인프라 리츠 SRVR
39.7 -2.1% 안개 -5.1% -2.4% 12.8%

자료: 티레이더,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금일 테마 ETF에서는 항공방산(XAR/+1.7%), 수송(XTN/+1.3%), 여행/관광산업(AWAY/+0.8%)이 상승한 반면, 4차 산업혁명(CLOU/-1.3%), 데이터/인프라리츠(SRVR/-2.1%) 테마 ETF는 하락 마감. 수요가 증가할 것이라는 호재 소식에 여행/관광산업 및 수송 섹터 ETF가 상승을 주도 하였으며, 개별주식으로는 세계 최대 크루즈 업체인 카니발(CAL/+5.0%)은 실적 발표 후 지속적으로 장중 상승 후 마감. 이외 아메리칸 에어라인(AAL/+0.4%), 델타에어라인(DAL/+0.6%) 상승 마감.

EU Market Closing – 01:00 기준

지수 현재가 등락률 구분 업종 등락률
STOXX 600 462.42 -0.2% 상승 에너지 +3.2%




금융 +1.5%



하락 건강관리 -1.5%




정보기술 -1.5%




소재 -0.7%
지수 현재가 고가 저가 등락폭 등락률
DAX 15,573.88 15,704.05 15,552.09 42.13 0.3%
FTSE100 7,063.40 7,122.09 7,043.21 11.92 0.2%
CAC40 6,650.91 6,688.76 6,647.08 12.45 0.2%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유럽증시는 기술주 하락이 에너지와 금융주 상승을 상쇄하면서 하락 마감. 한편, 독일은 연방의원 총 선거에서 좌파당이 앙겔라 메르켈 총리가 소속된 기독민주당(CDU), 기독사회당(CSU)을 근소한 차이로 승리를 거두면서 독일 증시는 최고치 경신. 왈리드 쿠드마니 애널리스트는 이번주 사민당의 독일 총선 승리에 유럽증시가 상승세로 출발하며, 이는 투자자들에게 쇼크로 작용하지 않았다고 언급. 이어 개별 업종으로는, 국제유가가 큰 폭으로 상승하면서 에너지 지수 최고치 경신. 개별 주식으로는 토탈에너지(TTE), 로열더치쉘(RDSA)이 큰 폭으로 상승하며 범유럽지수 STOXX600 상승 견인.

출처: < https://m.myasset.com/extern/researchPortal/RP_0001000_P1.cmd?menuid=RP_0105000_P1&searchKeyGubun=1&keyword=&page=1&base_date=20210928064314&gbn=B&res_seq=174305>

 

 

 

 

『하루를 여는 혁신투자자문 IPO News Daily💌 - 20210928』

 【 텔레그램 채널 주소 : https://t.me/KoreaIB

 【 IPO상장문의 및 이경준 대표 Contact ☞ 📧 ipo@kakao.com 】

 

===========================

 

금일은 [ 프롬바이오 ] 상장일 입니다.

 

[ 프롬바이오_공모가 18,000원 ]

 º 시가총액 : 2,490억원(13,835,000주)

 º 유통가능 : 1,018억원(5,654,8505주, 40.87%)

 º 수요예측 내역

    총 참여건수 : 304건

    실 유효건수 : 알수 없음.

    총 경쟁률 : 85.71 대 1

    총 확약 비중 : 건수 기준 1건(0.33%), 수량 기준 1.46%

 º 일반청약률 : 48.24 대 1(70,425건)

 

#건강기능식품 #에이치피오 #보스웰리아

 

===========================

 

★ 금일 IPO 일정 ★

 09/27~28 케이카 수요예측⚖️

 09/27~28 아스플로 청약🖨

 09/27~28 원준 청약🖨

 09/28 프롬바이오 상장★

 09/28~29 씨유테크 청약🖨

 

☆ 다음주 IPO 일정 ☆

 09/28~29 씨유테크 청약🖨

 09/29 실리콘투 상장★

 09/29 에스앤디 상장★

 09/29~30 카카오페이 수요예측⚖️

 09/30 아스플로 납입🏧

 09/30 원준 납입🏧

 09/30~10/01 케이카 청약🖨

 10/01 씨유테크납입🏧

 

 ------------------------------------------

 

▣ 기관IR 일정 ▣

 - 온라인 간담회로만 진행 中 -

 

▣ 상장 일정(예정, 변경가능) ▣

 09/28 프롬바이오(NH투자증권)

 09/29 실리콘투(삼성증권)

 09/29 에스앤디(유진투자증권)

 10/07 아스플로(미래에셋증권)

 10/07 원준(NH투자증권)

 10/08 씨유테크(대신증권)

 10/13 케이카(NH투자증권)

 10/22 차백신연구소(삼성증권)

 미정 - 비트나인(하나금융투자)

 미정 - 지아이텍(미래에셋증권)

 미정 - 지오엘리먼트(NH투자증권)

 10/28 아이패밀리에스씨(삼성증권)

 10/28 리파인(KB증권)

 10/29 지앤비에스엔지니어링(삼성증권)

 11/02 엔켐(대신증권, 신한금융투자)

 11/03 카카오페이(삼성증권)

 11월 초 - 시몬느액세서리컬렉션(삼성증권, 미래에셋증권)

 11/04 피코그램(IBK투자증권)

 11/08 지니너스(대신증권)

 

▣ 심사 승인 ▣

 - 디어유(한국투자증권)

 - 아이티아이즈(신한금융투자)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 국내 IPO 개별종목

■ 케이카 "IPO로 중고차 플랫폼 혁신 이어갈 것"

https://newsis.com/view/?id=NISX20210927_0001594280&cID=10403&pID=15000

 

■ IPO 대박…1억을 680억으로 불린 안주인 이야기

http://news.bizwatch.co.kr/article/industry/2021/09/27/0005

 

■ 스탠다임 기술성평가 고배...코스닥행 '빨간불'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9241703224400108715&lcode=00&page=7&svccode=00

 

■ 디앤디파마텍, 기술성 평가 통과…IPO 일정 재개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9241359092600108647&lcode=00&page=1&svccode=00

 

■ SK배터리 기업공개(IPO) 장기전으로 간다

https://view.asiae.co.kr/article/2021092710141685505

 

■ 롯데 역발상 IPO… 호텔 대신 건설·글로벌로지스·상사 먼저

http://biz.newdaily.co.kr/site/data/html/2021/09/27/2021092700029.html

 

■ 세븐브로이, 만만치 않은 상장 부담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9231101198320106092&lcode=00&page=2&svccode=00

 

■ 옵티맥, 파트론 매출 쏠림 부담됐나…IPO→합병 선회

http://www.inews24.com/view/1406541

 

 

▶️▶️▷ IPOmarket(해외IPO포함)

■ 헝다 리스크에 유통시장도 촉각…IPO 일정·밸류 '난항'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9231348087000106765&lcode=00&page=2&svccode=00

 

■ '인력은 적은데 IPO 너무 많네'...금감원 '일정 조정해달라' 요청

http://www.investchosun.com/site/data/html_dir/2021/09/25/2021092580029.html

 

■ 성장세 건기식 시장, 기업 IPO 줄 잇는다

https://pharm.edaily.co.kr/news/read?newsId=03040566629184384&mediaCodeNo=257

 

 

▶️▶️▷ 시장 이모저모

■ 주식 '빚투' 반대매매 한달새 2배 급증…연중 최고치 갱신

https://www.mk.co.kr/news/economy/view/2021/09/919717/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728x90
728x90

아래 자료는 재즈스탁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장마감후 당일 시가총액대비 기관매수세가 큰 종목 순서로 작성하였습니다.

원데이터나 엑셀의 오류로 잘못된 부분이 있을 수 있으니, 참고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http://jazzstock.net/

 

Jazzstock

수급분석, 수급차트, 창구분석, 거래원분석

jazzstock.net


기관매수, 내림차순 정렬

외인매수, 내림차순 정렬

728x90
728x90

주식 스터디를 위해 개인적으로 스크랩한 증시캘린더, 국내 및 해외마감 시황, 뉴스 자료를 공유합니다.

1) 증시캘린더는 개인적으로 관련된 소식을 확인후 작성한 일정이라 변동 또는 오류의 소지가 있습니다.

2) 노션으로 공유한 링크는 익스플로러에선 제대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크롬에 최적화, 엣지, 웨일에서도 잘 작동합니다.

    ( 공유 자료링크는 1~2일후 공유 해지 합니다.)

 

게시물은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한 것이라

불확실하거나 오류가 많을 수 있으므로 투자 활용시 유의하시기 바라며, 개별적인 종목 추천이나 상담은 하지 않습니다.

 

모쪼록 제 공간에 오신 모든 분들이 주식스터디를 통해 인생 한 방보다, 꾸준함을 믿으며...

복리의 마법으로 모든 분들이 성공한 개인투자자가 되시길...


헝다 리스크·연방정부 셧다운 우려...뉴욕증시, 변동성 장세 [출근전 꼭 글로벌 브리핑]

미 정치권 불안·연방정부 셧다운 가능성 등에 주목

[글로벌시장 지표 / 9월 27일 오전 6시 현재]

 

 

[미국시장 금주 체크포인트]

 

이번 주(27~1일) 뉴욕증시는 미국 중앙은행의 정책 흐름과 정치적 변수로 인해 변동성이 큰 한 주를 보낼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정치권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시장의 불안을 자극할 수 있다. 민주당과 공화당이 부채상한 복원 유예를 둘러싸고 갈등을 키우는 것이 투자 심리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캐피털 이코노믹스 애널리스트들은 지적했다. 오는 27일은 낸시 펠로시 미 하원 의장이 1조 달러 규모의 초당적 인프라 법안을 표결에 부치겠다고 공언한 시점이다.

 

일단 민주당 최고 지도부는 이번 주에 1조 달러의 인프라 법안과 3조5천억 달러의 지출안에 대한 표결을 모두 강행하겠다고 밝힌 상태다.

 

그러나 민주당 내에서 진보파와 온건파 간 이견으로 두 법안 모두 통과는 힘들 것으로 보인다. 진보파들은 3조5천억 달러 규모의 법안을 먼저 통과시키자고 주장하며 1조 달러의 인프라 법안을 막겠다고 위협하고 있으며, 온건파들은 1조 달러 법안을 먼저 통과시켜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낸시 펠로시 미 하원의장이 데드라인을 27일로 정했으나 법안이 정표결에 부쳐질 수 있을지도 미지수다.

 

시장은 또 오는 1일 미국의 연방정부 셧다운(부문 업무정지) 가능성에도 주목하고 있다.

 

하원은 셧다운을 막기 위한 임시예산안과 부채한도를 유예하는 방안을 통과시켰으나 상원에서는 공화당의 반대로 표결조차 못 하고 있다. 공화당은 임시예산안에서 부채한도 유예안을 뺄 경우 이를 지지하겠다는 입장이다. 이 때문에 이번 주 30일 임시예산안 표결 데드라인을 앞두고 정치적 불확실성이 금융시장에 불안을 가져올 수 있다는 분석이다.

 

이번 주에는 연준 당국자들의 발언도 줄을 잇는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오는 28일 의회에 출석해 코로나19 관련 증언에 나선다. 존 윌리엄스 뉴욕 연은 총재를 비롯해 이번 주 지역 연은 총재들도 발언도 주목할 부문이다.

 

[금주 주요 일정]

 

△ 27일

 

- 9월 댈러스 연은 제조업지수

 

- 존 윌리엄스 뉴욕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 연설

 

- 라엘 브레이너드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위원 연설

 

- 미셸 보우만 연준 이사 연설

 

△ 28일

 

- 9월 소비자신뢰지수

 

- 9월 리치먼드 연은 제조업지수

 

- 재닛 옐런 미국 재무장관·제롬 파월 연준 의장 상원 증언

 

- 찰스 에번스 시카고 연은 총재 연설

 

- 미셸 보우만 연준 이사 연설

 

- 라파엘 보스틱 애틀랜타 연은 총재 연설

 

-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 연설

 

△ 29일

 

- 제롬 파월 연준 의장 정책 토론

 

- 라파엘 보스틱 애틀랜타 연은 총재 연설

 

△ 30일

 

- 주간 신규실업보험 청구자수

 

- 라파엘 보스틱 애틀랜타 연은 총재 연설

 

- 패트릭 하커 필라델피아 연은 총재 연설

 

- 찰스 에반스 시카고 연은 총재 연설

 

-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 연설

 

△ 1일

 

- 8월 개인소비지출(PCE) 및 개인소득

 

- 패트릭 하커 필라델피아 연은 총재 연설

 

[미국증시 마감시황]

 

■ 연방정부 셧다운 우려·헝다 불안에 혼조세

 

증시는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결과에 안도 랠리를 보인 가운데 24일(현지 시각) 중국 헝다 사태 영향으로 투자 심리가 악화한 가운데 다음 주 연방 정부의 셧다운(부문 업무정지) 가능성 등으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혼조세를 보였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전날보다 33.18포인트(0.07%) 오른 34,798.00으로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날보다 6.50포인트(0.15%) 상승한 4,455.48을,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전날보다 4.54포인트(0.03%) 떨어진 15,047.70으로 장을 마감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이날 팬데믹 회복에 대한 전망을 주제로 한 연준 행사에 참석해 "팬데믹 이후 많은 지역에서의 빠른 회복 속도는 전례가 없는 수준"이라고 발언했다.

 

로레타 메스터 클리블랜드 연방준비은행 총재도 연준도 오는 11월에 자산 매입프로그램을 축소하는 테이퍼링을 시작하는 것을 지지한다고 밝혔다.

 

이같은 발언에 10년물 국채금리는 장중 1.46%까지 오르며 이는 지난 7월 초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특징주]

 

■ 기술주

 

이날 기술주는 엇갈린 흐름을 보였다. 엔비디아와 마이크로소프트는 각각 1.78%, -0.07% 하락했다. 넷플릭스는 약보합 마감했다. 반면 페이스북은 2.02% 상승했고 아마존, 애플, 구글은 강보합권에서 거래를 마감했다.

 

■ 나이키

 

나이키 주가는 이날 6.26% 하락했다. 나이키는 베트남의 생산중단 장기화, 노동력 부족, 운송 지연 등의 여파로 2022 회계년도 전망을 하향 조정했다.

 

나이키는 연간 매출이 기존 예상했던 낮은 두 자릿수 성장 대신 한 자릿수 중반의 속도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또 코로나19 델타변이 확산으로 북미 지역의 수요 감소도 실적에 부담을 준 것으로 보인다.

 

반도체주는 엇갈린 흐름을 보였다. 이날 엔비디아의 주가 상승률은 5.1%로 상승세가 두드러졌고 AMD도 0.92% 올랐다. 반면 마이크론 테크놀러지와 인텔은 각각 0.07%, 0.82% 내렸다.

 

■ 경제 재개 수혜주

 

경제재개 수혜주들은 이날 강세를 보였다. 델타 항공과 아메리칸 항공이 각각 2.20%, 2.34% 오른 가운데, 크루즈주인 카니발과 노르웨이 크루즈는 각각 3.03%, 2.96% 상승했다. 테슬라도 2.75% 올랐다.

 

출처: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109270020&t=NN>

 

 

 

 

2021년 9월 27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미 법무부의 기소 연기로 가택연금 중이던 화웨이 회장 딸이 귀국했습니다.

 

(2) 중국 정부의 전기사용 규제로 글로벌 주요 부품의 생산이 차질을 빚고 있습니다.

 

(3) 중소 바이오테크 기업들이 미 민주당의 약가규제 대상에서 제외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미 5년 breakeven rate 2.504%, +0.009%p (2% 상회시 유의, 2.5% 상회시 경고)

한국 고객예탁금, 69.4조원 +0.1조원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31%

1개월 NDF 환율 1,176.70원 (+4.06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미국 혼조 = 다시 유동성장세]

(feat.다음 FOMC 11/2-3)

 

<Today Market>

아침 주요지수는 전일 급등의 여파로 주요지수 모두 하락세로 시작하였습니다. 그러나 지속적인 저가매수세가 유입되며 결국 주요지수모두 아침 하락폭을 모두 만회하며 강보합 수준으로 마감하였습니다.

 

*비트코인 급락

-PBOC : 가상화폐관련 모든 활동은 불법

-중국고래들 대량 매도

☑️중국정부는 예전부터 가상화폐를 불법으로 규정해왔습니다. 그러나 사실상 암묵적 용인 상태입니다.

 

*코로나 : 신규확진자 감소

(전일 131,006 / WoW -18.4%)

 

•나스닥 -0.0% / 러셀2000 -0.4%

•S&P500 +0.2% / 다우 +0.1%

-나스닥 Top10 : 상승 5 vs 하락 5

 

-비트코인 : $43,000

-미국채금리(10y) : 1.418 (+6.5%)

-WTI : $73.94 (+0.9%)

-Natural Gas : $5.170 (+3.9%)

☑️이번 겨울이 예년보다 추울 것이라는 전망으로 연이틀 가스가격 급등

 

SMART한 주식투자

https://t.me/frankinvest

 

 

(2021.09.25) U.S. & EU Market Closing

2021.09.25  박진홍

U.S. Market Closing – 05:00 기준

지수 종가 등락폭 등락률 상승/하락/보합
DOW 34,797.41 32.59 0.1% 18/12/0
S&P500 4,455.54 6.56 0.1% 320/186/0
NASDAQ 15,047.70 -4.54 0.0% 1402/1747/335
RUSS 2K 2,256.34 -2.70 -0.1% 1021/975/30
PHLX 반도체지수 3,453.92 -3.52 -0.1% 19/11/0
VIX지수 17.87 -0.76 -4.1%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미국 증시는 중국 헝다 사태와 미국의 정치적 불확실성 가운데 혼조세 마감.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결과에 지난 이틀간 증시는 상승 랠리가 이어졌지만, 중국 헝다그룹이 23일 만기인 달러채를 지불하지 않음으로써 투자 심리가 다시 위축되고 하락세 시현. 헝다그룹은 30일간의 유예기간을 거쳐 디폴트가 선언될 예정. 한편, 미국 하원이 임시 예산안과 부채 한도를 유예하는 법안을 통과시켰으나 9월 말까지 상원이 통과 시키지 않을 경우 연방정부가 셧다운 가능성 예상. 이에 바이든 행정부는 각 기관에 셧다운 가능성에 대비하라고 발표. 연방준비은행(FOB)의 총재 로레타 메스터는 미 연준(FED)이 오는 11월에 테이퍼링을 착수할 것을 지지한다고 밝혔으며, 내년 말에 금리를 인상하기 위한 조건이 충족 될 것이라고 언급. 전문가들은 헝다 사태가 글로벌 경제나 시스템에 타격을 주는 체계적 위험까지는 발전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하지만, 중국 당국 경제에 미칠 영향을 주시하며, 증시는 당분간 혼조세가 이어질 것으로 분석.

  

U.S. ETF Closing – 05:00 기준

Sector

분류 티커
현재가 등락률 t신호 수익률







1개월 3개월 1년
커뮤니케이션
XLC 82.4 0.8% 안개 -2.5% 1.3% 39.8%
에너지
XLE 50.9 0.8% 햇빛 4.5% -5.9% 77.5%
금융
XLF 38.2 0.5% 햇빛 -1.6% 3.8% 63.8%
자유소비재
XLY 184.9 0.4% 햇빛 1.8% 3.1% 27.6%
산업재
XLI 100.8 0.2% 안개 -3.6% -1.9% 32.5%
IT
XLK 156.7 0.1% 안개 -0.6% 6.1% 36.5%
필수소비재
XLP 70.6 0.0% 안개 -1.0% 1.9% 14.5%
유틸리티
XLU 65.1 -0.1% 안개 -4.2% 2.7% 14.2%
소재
XLB 81.1 -0.2% 안개 -5.3% -1.6% 31.0%
헬스케어
XLV 132.0 -0.4% 안개 -1.6% 4.2% 29.0%
부동산
VNQ 104.8 -1.1% 안개 -2.0% 2.5% 37.0%

자료: 티레이더,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섹터별 ETF에서는 에너지(XLE/+0.8%), 금융(XLF/+0.5%), 산업재(XLI/+0.2%), IT(XLK/-1.3%) 섹터는 상승한 반면, 유틸리티(XLU/-0.1%) 섹터는 하락 마감. 수요 증가와 공급 부족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원유 및 천연가스 가격은 에너지 관련 기업 모두 상승 견인. 개별 기업으로는, 엑슨모빌(XOM/+1.0%), 코노코필립스(COP/+2.1%)가 상승 마감. 금융(XLF) 섹터에서는 뱅크오브아메리카(BAC/+1.2%)와 웰스파고(WFC/+0.3%)가 상승 견인.

 

 

Thematic

분류
티커 현재가 등락률 t신호 수익률







1개월 3개월 1년
수송 XTN
88.3 0.9% 햇빛 1.5% 2.6% 53.2%
여행/관광산업 AWAY
28.7 0.7% 햇빛 7.5% -3.8% 53.5%
기초소재 IYM
126.1 0.1% 안개 -6.0% -3.9% 30.4%
기술혁신 ARKK
117.1 -1.9% 안개 -4.0% -9.3% 30.4%
클린에너지 ICLN
22.3 -1.9% 안개 -3.7% -5.4% 24.6%

자료: 티레이더,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금일 테마 ETF에서는 수송(XTN/+0.9%), 여행/관광산업(AWAY/0.7%), 기초소재(IYM/+0.1%)가 상승한 반면, 기술혁신(ARKK/-1.9%), 클린에너지(ICLN/-1.9%) 테마 ETF는 하락 마감. 트립어드바이져(TRIP)의 CEO 스테판은 바이든 행정부가 코로나 예방 접종자에 한하여 여행객을 수용할 예정이며, 이에 수요가 증가할 것이라는 호재 소식을 전달함으로써 3.6% 상승 마감. 이어 우버(UBER/+2.5%)가 테마 상승 견인.

 

EU Market Closing – 01:00 기준

지수 현재가 등락률 구분 업종 등락률
STOXX 600 463.29 -0.9% 상승 에너지 +0.1%



하락 정보기술 -1.4%




부동산 -1.4%




유틸리티 -1.2%
지수 현재가 고가 저가 등락폭 등락률
DAX 15,531.75 15,573.46 15,497.17 -112.22 -0.7%
FTSE100 7,051.48 7,080.23 7,041.34 -26.87 -0.4%
CAC40 6,638.46 6,678.65 6,625.43 -63.52 -0.9%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유럽증시는 독일 경제지표의 약세와 중국 부동산 개발 회사 헝다그룹의 채무불이행 재확산 우려로 하락 마감. 기업들의 경기 신뢰도를 나타내는 기업환경지수(IFO)가 98.8로 3개월 연속 하락하고 있으며, 공급망 문제로 인해 유럽 제조업체에 병목현상이 발생하고 있다는 분석. 또한, 독일 총리 후임 투표를 앞두고 차기 정부의 윤곽이 불명확한 가운데 투자자들은 관망세 시현. IG의 크리스 애널리스트는 유럽 시장의 주저함 중 일부는 독일 선거로 귀결될 수 있으며, 시장은 지난 10년 이상 동안 볼 수 없었던 독일의 변화에 직면하였다고 언급. 중국의 헝다 그룹이 달러 채권 이자를 지급하지 못하면서 다시 시장의 투자 심리가 위축된 모습. 이에 세바스티안 애널리스트는 증시가 헝다그룹의 디폴트 가능성에 직면하면서 위축된 분위기이라고 언급. 개별주식으로는 유럽 스포츠용품 기업인 아디다스(ADS) 및 푸마(PUM) 등은 경쟁사인 나이키(NKE)가 공급망 우려로 장중 3% 하락하면서 스포츠용품 기업 모두 하락 마감.

 

 

 

출처: <https://m.myasset.com/extern/researchPortal/RP_0001000_P1.cmd?menuid=RP_0105000_P1&searchKeyGubun=1&keyword=&page=1&base_date=20210925052713&gbn=B&res_seq=174271>

 

 

 

 

[신영증권 박소연] 9월 마지막주 증시전망

 

지난 주에 노르웨이 중앙은행이 서구권에서 처음으로 기준금리를 인상했습니다. 경기가 회복 중이니 이제 슬슬 물가관리 하겠다는 거지요. 한술 더 떠서 12월에 또 올린다고 합니다.

 

10월은 헷지펀드 북클로징 등으로 늘상 변동성 확대 경향이 있는데 최근엔 테이퍼링, 헝다, 인플레 이슈까지 불거지며 더 불투명합니다. 위드코로나 기대감이 컸는데 일간 확진자 3천명 돌파로 거리두기도 더 연장될 분위기구요.

 

그러나 이럴때일수록 장기적이고 추세적인 테마는 더 빛을 발하죠. 지난주 유럽 탄소배출권 가격이 6% 올라 재차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연말까지 금리/인플레 hedge + ESG 에 집중하시길 권고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 전주 동향 : KOSPI 재차 하락. 9월 FOMC 테이퍼링 연내 개시 확인, 원/달러 환율 장중 작년 9월 이후 최고치인 1,186원까지 슈팅. 국고 3년물 10월 금통위 앞두고 19년 6월 이후 최고인 1.58%까지 상승. 중국 헝다 달러채 이자 미지급 관련 불확실성도 잔존

 

▲ 업종/종목 : 시장 전반은 부진했으나 엘앤에프(+26.3%), 대주전자재료(+18.0%) 등 2차전지 소재주 초강세. 에어부산(+22.7%) 유증 성공에 아시아나항공(+10.8%) 동반 강세. 대한항공(+4.0%)도 반등

 

- 52주 신고/근접 : 효성첨단소재, 한솔케미칼, 코오롱인더, 후성, 일진머티리얼즈, KCC, 롯데정밀화학 등 Specialty chem 강세 두드러져.  한국토지신탁, 코람코에너지리츠 등 부동산신탁/리츠도 호조

 

▲ 주말 해외동향 : 뉴욕증시 혼조 마감. 델타항공(+2.2%), 노르웨이크루즈(+3.0%), 코스트코(+3.3%), 메이시즈백화점(+2.3%) 등 경제재개 수혜주는 상승했으나 락다운으로 베트남 생산중단 장기화되며 나이키(-6.3%) 급락. FedEx(-1.0%)도 52주 신저

 

- 헝다 ADR은 OTC에서 -8.7% 하락했고 중국이 모든 종류의 가상화폐를 불법으로 규정했다는 소식에 crypto 전반 약세. NDF 원/달러 환율 1,180원선 호가

 

▲ 종합판단 : 통화긴축 우려, 공급망 교란, 연말 헷지펀드 북클로징 등으로 변동성 국면 확대 좀 더 지속될 듯. cost-push 인플레이션 헷지 + ESG 등 중장기 테마에 집중해야

 

- 금주일정 : 27일(월) 독일총선 결과 확인 / 28일(화) 파월의장 의회 증언 / 30일(목) 9월 중국 제조업 PMI / 10월 1일(금)  중국홍콩 휴장

 

 

 

 

 

 

 

 

『하루를 여는 혁신투자자문 IPO News Daily💌 - 20210927』

 【 텔레그램 채널 주소 : https://t.me/KoreaIB

 【 IPO상장문의 및 이경준 대표 Contact ☞ 📧 ipo@kakao.com 】

 

===========================

 

금일은 [ 바이오플러스 ] 상장일 입니다.

 

[ 바이오플러스_공모가 31,500원 ]

 º 시가총액 : 4,382억원(13,910,746주)

 º 유통가능 : 2,193억원(6,961,925주, 50.05%)

 º 수요예측 내역

    총 참여건수 : 1,374건

    실 유효건수 : 1,361건(99.05%)

    총 경쟁률 : 1,220.2 대 1

    총 확약 비중 : 건수 기준 94건(6.84%), 수량 기준 7.81%

 º 일반청약률 : 1,206.63 대 1(285,207건)

 

#필러 #유착방지제

 

 

===========================

 

★ 금일 IPO 일정 ★

 09/27 바이오플러스 상장★

 09/27~28 케이카 수요예측⚖️

 09/27~28 아스플로 청약🖨

 09/27~28 원준 청약🖨

 

☆ 다음주 IPO 일정 ☆

 09/27~28 케이카 수요예측⚖️

 09/27~28 아스플로 청약🖨

 09/27~28 원준 청약🖨

 09/28 프롬바이오 상장★

 09/28~29 씨유테크 청약🖨

 09/29 실리콘투 상장★

 09/29 에스앤디 상장★

 09/29~30 카카오페이 수요예측⚖️

 09/30 아스플로 납입🏧

 09/30 원준 납입🏧

 09/30~10/01 케이카 청약🖨

 10/01 씨유테크납입🏧

 

 ------------------------------------------

 

▣ 기관IR 일정 ▣

 - 온라인 간담회로만 진행 中 -

 

▣ 상장 일정(예정, 변경가능) ▣

 09/27 바이오플러스(키움증권)

 09/28 프롬바이오(NH투자증권)

 09/29 실리콘투(삼성증권)

 09/29 에스앤디(유진투자증권)

 10/07 아스플로(미래에셋증권)

 10/07 원준(NH투자증권)

 10/08 씨유테크(대신증권)

 10/13 케이카(NH투자증권)

 10/22 차백신연구소(삼성증권)

 미정 - 비트나인(하나금융투자)

 미정 - 지아이텍(미래에셋증권)

 미정 - 지오엘리먼트(NH투자증권)

 10/28 아이패밀리에스씨(삼성증권)

 10/28 리파인(KB증권)

 10/29 지앤비에스엔지니어링(삼성증권)

 11/02 엔켐(대신증권, 신한금융투자)

 11/03 카카오페이(삼성증권)

 11월 초 - 시몬느액세서리컬렉션(삼성증권, 미래에셋증권)

 11/04 피코그램(IBK투자증권)

 11/08 지니너스(대신증권)

 

▣ 심사 승인 ▣

 - 디어유(한국투자증권)

 - 아이티아이즈(신한금융투자)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 국내 IPO 개별종목

■ 카카오페이 상장 또 연기…공모가 유지에 비춰진 자신감

http://news.bizwatch.co.kr/article/finance/2021/09/24/0031

 

■ 한앤컴이 키운 'K카' 일반 청약 체크 포인트는? [김민석의 IPO브리핑]

https://www.sedaily.com/NewsView/22RM4FR52W

 

■ 아스플로, 수요예측서 IPO 사상 최고 경쟁률 경신...공모가 밴드 상단 초과

https://www.fnnews.com/news/202109241706116513

 

■ "경영 능력 놀랍네"…채시라 남편 김태욱 560억 돈방석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21092402109963048003&ref=naver

 

■ 지니너스, 공모가 산정 지노믹트리와 '닮은꼴'··· IPO 결과도 따라갈까

https://www.ajunews.com/view/20210926125528011

 

■ 씨유테크, 주관사 예우…일본계 IPO 모범 되나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9161715209200109094&lcode=00&page=3&svccode=00

 

■ IPO 추진하는 일동홀딩스, 계열사 지분 매각

http://www.kukinews.com/newsView/kuk202109240145

 

■ SKC "SK넥실리스 IPO한다면 2024년 이후"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2453446629183400&mediaCodeNo=257&OutLnkChk=Y

 

■ 스톤브릿지벤처스, 상장 본격화…내달 초 예심 청구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9231145019400106579&lcode=00&page=7&svccode=00

 

■ 더맘마, 미래에셋증권 IPO 주관사 선정…"내년 상장 추진"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10924000688

 

■ 스푸트니크 출하 지연…한국코러스 "IPO 차질없다"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9231100414720102722&lcode=00&page=7&svccode=00

 

 

▶️▶️▷ IPOmarket(해외IPO포함)

■ 역대급 흥행 vs 상장 연기…IPO 양극화

https://www.ebn.co.kr/news/view/1501587/?sc=Naver

 

■ '밑빠진 독에 물붓기'…IPO 인력 충원 중단하는 증권사들

http://www.investchosun.com/site/data/html_dir/2021/09/23/2021092380151.html

 

■ '대어' 공모주 악몽 떠오른 코스피200 편입

http://naver.me/G2Uzq0nq

 

 

▶️▶️▷ 시장 이모저모

■ 투자처 못 찾은 대기성 자금 역대 최고

https://newsis.com/view/?id=NISX20210924_0001592543&cID=15001&pID=15000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728x90
728x90

아래 자료는 재즈스탁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장마감후 당일 시가총액대비 기관매수세가 큰 종목 순서로 작성하였습니다.

원데이터나 엑셀의 오류로 잘못된 부분이 있을 수 있으니, 참고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http://jazzstock.net/

 

Jazzstock

수급분석, 수급차트, 창구분석, 거래원분석

jazzstock.net


기관매수, 내림차순 정렬

외인매수, 내림차순 정렬

 

 

728x90
728x90

주식 스터디를 위해 개인적으로 스크랩한 증시캘린더, 국내 및 해외마감 시황, 뉴스 자료를 공유합니다.

1) 증시캘린더는 개인적으로 관련된 소식을 확인후 작성한 일정이라 변동 또는 오류의 소지가 있습니다.

2) 노션으로 공유한 링크는 익스플로러에선 제대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크롬에 최적화, 엣지, 웨일에서도 잘 작동합니다.

    ( 공유 자료링크는 1~2일후 공유 해지 합니다.)

 

게시물은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한 것이라

불확실하거나 오류가 많을 수 있으므로 투자 활용시 유의하시기 바라며, 개별적인 종목 추천이나 상담은 하지 않습니다.

 

모쪼록 제 공간에 오신 모든 분들이 주식스터디를 통해 인생 한 방보다, 꾸준함을 믿으며...

복리의 마법으로 모든 분들이 성공한 개인투자자가 되시길...


다우 1.5% 상승...FOMC 소화·헝다 공포 진정 [출근전 꼭 글로벌 브리핑]

반도체·주요 기술주 일제히 상승세

헝다 그룹 공포 일부 완화…경기회복 관련주 상승

유럽·중국·베트남 상승

[글로벌시장 지표 / 9월 24일 오전 6시 현재]

 

 

[미국증시 마감시황]

 

■ FOMC 결과에 일단 안도…다우 1.48%↑

 

뉴욕증시가 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결과에 안도하며 23일(현지 시각) 상승 마감했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506.50포인트(1.48%) 오른 3만4764.82로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53.34포인트(1.21%) 상승한 4448.98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155.40포인트(1.04%) 오른 1만5052.24로 장을 마쳤다.

 

미 연방준비이사회(FRB)는 22일 열린 FOMC에서 테이퍼링(양적완화 축소)의 연내 개시를 강하게 시사했다. 시장 참가자들이 당분간 완화적 금융 정책이 지속될 것으로 해석하면서 주가는 상승세를 나타냈다.

 

중국 부동산 기업 헝다그룹의 부채 문제에 대한 공포가 일단 누그러진 것도 투자심리 개선으로 이어졌다. 중국 정부가 헝다와 관련해 구체적인 언급을 하진 않고 있지만 헝다의 핵심 사업인 부동산 사업 부분을 국유화할 것이라는 보도가 나온 이후 홍콩 항셍지수는 1.19% 상승하는 등 위험 선호 심리가 회복된 모습을 보였다.

 

 

 

[특징주]

 

■ FAANG

 

기술주 중심의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주요 기술주인 팡(FAANG) 종목은 모두 상승했다. 넷플릭스, 구글, 애플, 페이스북은 각각 0.44%, 0.66%, 0.67%, 0.80% 상승하며 강보합권에서 거래를 마쳤다. 아마존은 이날 1%대 상승률을 보였다. 이외 마이크로소프트도 0.33% 상승했다.

 

■ 세일즈포스

 

미국 클라우드 업체 세일즈포스가 내년 연간 수익 가이던스를 상향 조정한데 힘입어 주가가 7.21% 상승하면서 277달러 선에서 거래를 마감했다.

 

세일즈포스는 지난 7월 합병을 마무리한 클라우드 기반 팀 협업 소프트웨어 업체인 슬랙이 기대를 웃도는 높은 시너지 효과를 가져다준 덕에 실적 전망을 크게 높였다.

 

세일즈포스는 2023 회계연도 조정 영업마진이 약 20%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스트리트 어카운트의 설문조사에 예상된 애널리스트들 전망치 19.2%를 웃도는 수준이다.

 

■ 테슬라

 

테슬라 주가는 0.23% 상승하며 753달러 선에서 장을 마감했다. 테슬라가 삼성전자에 차세대 자율주행칩 생산을 맡긴다는 보도가 22일(현지시각) 장 마감 이후 나왔다. 해당 보도는 이날 장후 거래부터 23일(현지시각)까지 테슬라의 주가 상승세를 견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 반도체주

 

반도체주는 이날 일제히 상승세를 보였다. 엔비디아와 AMD는 각각 2.47%, 1.70% 올랐다. 또 마이크론 테크놀러지와 인텔은 강보합권에서 거래를 마쳤다.

 

 

 

■ 경기회복 관련주

 

중국발 공포가 일부 완화되면서 글로벌 경기회복 관련주가 상승세를 보였다. 제너럴일렉트릭(GE) 주가가 약 4.5% 오르고, 중국에 대한 노출이 큰 라스베이거스샌즈는 3.2% 상승했다. 건설기계주인 캐터필러 역시 2.7% 오름세를 보였다.

 

출처: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109240017&t=NN>

 

 

 

 

2021년 9월 24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테이퍼링 선언으로 미 장기 금리가 튀어오르며 금융주가 상승했습니다.

 

(2) 백악관이 반도체 수급 데이터를 얻기 위해 국가안보법 발동을 검토 중입니다.

 

(3) 중국 정부가 헝다 그룹의 안전한 파산을 준비시키고 있습니다.

 

미 5년 breakeven rate 2.495%, +0.061%p (2% 상회시 유의, 2.5% 상회시 경고)

한국 고객예탁금, 69.3조원 +0.4조원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51%

1개월 NDF 환율 1,175.30원 (-0.40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미국 상승 = 파월 + 유동성 + 실적]

(feat. 리스크요인 대부분 완화)

 

<Today Market>

월요일 급락을 유발했던 주요 요인들의 불확실성이 어느정도 걷히며 시장은 유동성의 힘으로 강력한 반등을 만들며 추석구간 하락폭을 모두 만회하였습니다.

 

<월요일 급락요인 현황>

1.헝다리스크

-헝다 : 이자지급 연기

=전체부채 350조원 / 외채 24조원

-파월 : 미국전이 가능성 매우낮음

-컨센 : 정부관여아래 질서있는 파산기대

 

2.FOMC

-테이퍼링 : 11월 결정 예정

-금리 : 내년말 인상 전망

-인플레 : 예상보다 강함 / 그러나 일시적

-경제 : 델타변이 악영향

 

3.9월

-전통적 약세월 9월 거의 지나감

 

4.코로나

-일간 17만명 레벨에서 13만명 레벨로 하락

 

5.미국정부 부채상한 조정

-부채상한 유예(22년말까지) 하원통과

-상원통과는 불확실(60석/100석 필요)

-백악관 주요 정부부처에 셧다운 대비지시

 

*코로나 : 신규확진자 감소

(전일 133,620 / WoW -20.3%)

 

•나스닥 +1.0% / 러셀2000 +1.9%

•S&P500 +1.2% / 다우 +1.5%

-나스닥 Top10 : 상승 10 vs 하락 0

 

-비트코인 : $45,000

-미국채금리(10y) : 1.418 (+6.5%)

-WTI : $73.22 (+1.4%)

-Natural Gas : $5.034 (+4.8%)

 

SMART한 주식투자

https://t.me/frankinvest

 

 

[신영증권 자산전략팀] 해외 동향

 

[미 증시 동향]

> 미국 증시는 엇갈린 경제지표에도 헝다그룹 우려 완화에 상승 마감

 

[미 채권시장 동향]

> 미 국채 금리는 매파적인 영란은행의 통화정책회의 결과에 상승한 길트 금리에 동조화되며 장기물을 중심으로 상승 마감

 

[원자재 시장 동향]

> 금 가격은 국채 금리 급등에 하락 마감

> 국제 유가는 공급 압박 속 상승 마감

 

◆ 미국 증시  

-DOW 34,764.82p (+1.48%)

-NASDAQ 15,052.24p (+1.04%)

-S&P500 4,448.98p (+1.21%)

-Russell 2000 2,259.04p (+1.82%)

  

◆ 미국 주요 종목  

Top Gainers 3  

-SALESFORCE.COM(+7.21%) 

-SCHLUMBERGER NV(+6.37%) 

-GENERAL ELECTRIC(+4.49%) 

  

Top Losers 3  

-AMERICAN TOWER REIT(-1.89%) 

-CHARTER COMMUNICATIONS(-1.28%) 

-NEXTERA ENERGY(-0.77%) 

  

기타 주요 종목  

-아마존 (+1.06%) 

-구글 (+0.66%) 

-테슬라 (+0.23%) 

-넷플릭스 (+0.44%) 

-페이스북 (+0.80%) 

-마이크로소프트 (+0.33%) 

-애플 (+0.67%) 

-골드만삭스 (+1.66%) 

-JP모건 (+3.38%) 

-보잉 (+1.90%) 

-엑슨모빌 (+3.39%) 

-옥시덴탈 (+4.52%) 

-코카콜라 (-0.17%) 

-AT&T (+0.67%) 

-3M (+0.94%) 

-에스티로더 (+0.87%) 

-ALIBABA - US (-0.46%) 

-SPG (+1.11%) 

-IBM (+1.56%) 

-에르메스 (+2.53%) 

-스타벅스 (+0.95%) 

-ALIBABA - SW (+8.43%) 

  

중국 ADR  

-알리바바 (-0.46%) 

-디디추싱 (+2.76%) 

-징둥닷컴 (+0.28%) 

-바이두 (+0.39%) 

  

기타  

-ARK INNOVATION ETF (+1.04%) 

-ARK SPACE EXPLORATION ETF (+1.18%) 

-BITCOIN  $44,710.20  (+2.90%)

  

◆ 외환시장  

-달러인덱스 93.10 (-0.39%)

-유로/달러 1.17 (+0.44%)

-달러/엔 110.33 (+0.50%)

-파운드/달러 1.37 (+0.72%)

  

◆ 미국 국채시장  

-2년물 0.261% (+2.5bp)

-5년물 0.948% (+9.8bp)

-10년물 1.430% (+13.0bp)

-30년물 1.940% (+13.2bp)

  

◆ 상품시장  

-WTI (bbl)  $73.30  (+1.48%)

-금 (t oz)  $1,749.80  (-1.63%)

-은 (t oz)  $22.68  (-1.00%)

-구리 (lb)  $4.2310  (-0.49%)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이정호 연구원

 

 

 

 

 

 

『하루를 여는 혁신투자자문 IPO News Daily💌 - 20210924』

 【 텔레그램 채널 주소 : https://t.me/KoreaIB

 【 IPO상장문의 및 이경준 대표 Contact ☞ 📧 ipo@kakao.com 】

 

===========================

 

★ 금일 IPO 일정 ★

 09/23~24 씨유테크 수요예측⚖️

 

☆ 다음주 IPO 일정 ☆

 09/27 바이오플러스 상장★

 09/27~28 케이카 수요예측⚖️

 09/27~28 아스플로 청약🖨

 09/27~28 원준 청약🖨

 09/28 프롬바이오 상장★

 09/28~29 씨유테크 청약🖨

 09/29 실리콘투 상장★

 09/29 에스앤디 상장★

 09/29~30 카카오페이 수요예측⚖️

 09/30 아스플로 납입🏧

 09/30 원준 납입🏧

 09/30~10/01 케이카 청약🖨

 10/01 씨유테크납입🏧

 

 ------------------------------------------

 

▣ 기관IR 일정 ▣

 - 온라인 간담회로만 진행 中 -

 

▣ 상장 일정(예정, 변경가능) ▣

 09/27 바이오플러스(키움증권)

 09/28 프롬바이오(NH투자증권)

 09/29 실리콘투(삼성증권)

 09/29 에스앤디(유진투자증권)

 10/07 아스플로(미래에셋증권)

 10/07 원준(NH투자증권)

 10/08 씨유테크(대신증권)

 10/13 케이카(NH투자증권)

 10/14 카카오페이(삼성증권)

 10/22 차백신연구소(삼성증권)

 미정 - 비트나인(하나금융투자)

 미정 - 지아이텍(미래에셋증권)

 미정 - 지오엘리먼트(NH투자증권)

 10/28 아이패밀리에스씨(삼성증권)

 10/28 리파인(KB증권)

 10/29 지앤비에스엔지니어링(삼성증권)

 11/02 엔켐(대신증권, 신한금융투자)

 11월 초 - 시몬느액세서리컬렉션(삼성증권, 미래에셋증권)

 11/04 피코그램(IBK투자증권)

 11/08 지니너스(대신증권)

 

▣ 심사 승인 ▣

 - 디어유(한국투자증권)

 - 아이티아이즈(신한금융투자)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 국내 IPO 개별종목

■ '95억원 돈방석'…채시라 남편 회사 직원들 얼마나 좋을까

https://www.mk.co.kr/news/business/view/2021/09/910451/

 

■ [시그널] 유전체 진단 ‘지니너스’ 다음달 IPO 일반 청약···상장 몸 값 3,500억

https://www.sedaily.com/NewsView/22RKRWNVKB

 

■ 에스앤디, 시총 논란 딛고 청약 선방...건기식 실탄 장전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9141322017080103174&lcode=00&page=1&svccode=00

 

■ [마켓인사이트]명품백제조사 시몬느, 상장 11월로 연기

http://marketinsight.hankyung.com/apps.free/free.news.view?aid=202109239710u&category=IB_FREE

 

■ [마켓인사이트]엔켐, 증권신고서 제출…코스닥 시장 상장 절차 돌입

http://marketinsight.hankyung.com/apps.free/free.news.view?aid=202109239896u&category=IB_FREE

 

■ LG에너지솔루션, 연내 상장 물건너 가나

https://view.asiae.co.kr/article/2021092309012401701

 

■ [단독] 2030 필수 화장품 정보앱 '화해', 국내 증시 상장한다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109230463i

 

■ [IT돋보기] 카카오모빌리티, IPO 급 브레이크…"기업가치 조정 불가피"

http://www.inews24.com/view/1406211

 

■ SKC에서 분사한 '쎄닉' IPO 본격 추진…IB에 RFP 송부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9171108238600102132&lcode=00&page=3&svccode=00

 

■ 티맵모빌리티, 전직원 스톡옵션 지급…IPO 로드맵 나왔다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9170840210980101082&lcode=00&page=7&svccode=00

 

■ 유일로보틱스, 특례 접고 일반 상장 도전…매출 자신감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9141402516160105655&lcode=00&page=2&svccode=00

 

■ 더맘마, 미래에셋 주관사 낙점…내년 IPO 본격화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9170817564400104029&lcode=00&page=3&svccode=00

 

■ 모트렉스, 전진건설로봇 IPO "급할 것 없다"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9171414270800102387&lcode=00&page=4&svccode=00

 

 

 

▶️▶️▷ IPOmarket(해외IPO포함)

■ 증권신고서 정정, 똑똑한 투자자 설득시키기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109228525i

 

■ 중고차에서 ‘소부장’까지···3분기 공모주 청약 막차 타볼까

http://www.newsway.co.kr/news/view?tp=1&ud=2021091715214792460

 

■ 올해 코스피 상장사 중 가장 빨리 성장한 기업은?

https://www.etoday.co.kr/news/view/2063872

 

■ 후끈 달아오른 IPO 시장...연후 이후에도 ‘역대급’ 열기 이어간다

https://cnews.fntimes.com/html/view.php?ud=2021092316523468226c0eb6f11e_18

 

■ '코로나19 뚫은 저력' 뷰티업계 잇따라 IPO 도전

https://newsis.com/view/?id=NISX20210923_0001590570&cID=13001&pID=13000

 

■ IPO에 성공한 어느 창업자의 이유 있는 한탄

http://www.thescoop.co.kr/news/articleView.html?idxno=51969

 

■ 프레시웍스, 뉴욕증시 상장 첫날 '환호'

https://www.mk.co.kr/news/stock/view/2021/09/910298/

 

 

▶️▶️▷ 시장 이모저모

■ ‘헝다’ 위기서 발빼는 2대 주주...3주 새 1억890만 주 매도

https://www.etoday.co.kr/news/view/2063985

 

■ 메가커피, 어쩐지 눈에 띄더라니...1500호점 돌파

http://www.megaeconomy.co.kr/news/newsview.php?ncode=1065580971890805

 

■ '허경영 게임' 아시나요? "드라마처럼 목숨 걸지마, 그냥 1억 준다"

https://news.jtbc.joins.com/article/article.aspx?news_id=NB12024530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