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주식 스터디를 위해 개인적으로 스크랩한 증시캘린더, 국내 및 해외마감 시황, 뉴스 자료를 공유합니다.

1) 증시캘린더는 개인적으로 관련된 소식을 확인후 작성한 일정이라 변동 또는 오류의 소지가 있습니다.

2) 노션으로 공유한 링크는 익스플로러에선 제대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크롬에 최적화, 엣지, 웨일에서도 잘 작동합니다.

    ( 공유 자료링크는 1~2일후 공유 해지 합니다.)

 

게시물은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한 것이라

불확실하거나 오류가 많을 수 있으므로 투자 활용시 유의하시기 바라며, 개별적인 종목 추천이나 상담은 하지 않습니다.

 

모쪼록 제 공간에 오신 모든 분들이 주식스터디를 통해 인생 한 방보다, 꾸준함을 믿으며...

복리의 마법으로 모든 분들이 성공한 개인투자자가 되시길...


 

뉴욕증시, 기술주 강세에 사흘째 상승…트위터↑·인텔↓ [출근전 꼭 글로벌브리핑]

미 주간 실업보험청구 41만9천명…예상 상회

블룸버그 "中 당국, 디디추싱에 전례없는 징계 예정"

유럽 대부분 상승, 중국 혼조·베트남 상승

출처: <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107230013&t=NN>

 

 

 

2021년 7월 23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트위터와 스냅이 예상을 웃도는 가이던스를 제시하며 빅테크가 시간외서 상승중입니다.

 

(2) 중국 정부가 전례없는 처벌을 예고한 DiDi가 11% 빠졌습니다.

 

(3) 글로벌 자동차업계가 반도체 부족이 해소되면 배터리 부족에 직면할 것으로 예상됐습니다.  

 

미 5년 breakeven rate 2.504%, +0.010%p (2% 상회시 유의, 2.5% 상회시 경고)

한국 고객예탁금, 67.9조원 +0.2조원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14%

1개월 NDF 환율 1,150.00원 (-1.00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2021.07.23) U.S. & EU Market Closing

2021.07.23  허단

U.S. Market Closing – 05:00 기준

 

지수 종가 등락폭 등락률 상승/하락/보합
DOW 34,823.35 25.35 0.1% 14/15/1
S&P500 4,367.48 8.79 0.2% 197/306/2
NASDAQ 14,684.60 52.65 0.4% 968/2272/141
RUSS 2K 2,199.47 -34.57 -1.5% 270/1694/12
PHLX 반도체지수 3,259.42 -29.33 -0.9% 4/26/0
VIX지수 17.69 -0.22 -1.2%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미국 증시는 기술주를 중심으로 상승 마감. 금일 미 노동부가 발표한 주간 신규실업수당 청구건수는 예상치(35만 명)를 대폭 상회한 41.9만 명으로 집계돼 고용 개선세가 고르지 못한 것을 확인. 또한, 경제 재개 수혜주로 분류되는 기업과 기술주 간 실적에서 희비가 갈리며 뉴욕증시는 장 초반 혼조세 시현. 이후 장 중반 국채 금리 하락과 FAAMG를 중심으로 기술주의 상승 폭이 확대되자 3대 지수는 모두 상승 전환하여 3거래일 연속 상승 마감. 금일 상승 업종으로는 IT, 헬스케어가 증시 상승을 주도하였으며, 금융, 에너지는 약세로 마감. 한편, 금일 발표된 6월 기존주택 판매는 1.4% 증가한 연율 586만 채로 집계돼 5개월 만에 증가세로 전환하였으나 예상치(1.7%)를 하회하였으며, 6월 선행지수 역시 0.7%를 기록해 예상치(0.8%)를 하회.

 

U.S. ETF Closing – 05:00 기준

Sector

분류 티커 현재가 등락률 t신호 수익률    
          1개월 3개월 1년
IT XLK 153.0 0.7% 햇빛 5.3% 8.2% 46.1%
헬스케어 XLV 130.0 0.7% 햇빛 3.3% 7.1% 24.7%
자유소비재 XLY 181.7 0.4% 햇빛 2.1% 2.0% 35.5%
커뮤니케이션 XLC 81.5 0.3% 햇빛 1.0% 3.2% 44.9%
유틸리티 XLU 64.9 0.2% 햇빛 1.4% -1.2% 10.8%
소재 XLB 81.2 0.0% 안개 -1.2% -2.9% 35.5%
필수소비재 XLP 70.6 -0.2% 햇빛 1.2% 2.1% 15.5%
산업재 XLI 103.2 -0.4% 햇빛 0.8% 0.9% 46.1%
부동산 VNQ 105.0 -0.8% 햇빛 2.0% 7.1% 35.2%
금융 XLF 36.2 -1.1% 안개 -2.0% -0.6% 53.7%
에너지 XLE 48.7 -1.1% 안개 -12.0% -2.9% 38.7%

 

자료: 티레이더,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금일 섹터별 ETF에서 IT(XLK+0.7%), 헬스케어(XLV/+0.7%), 자유소비재(XLY/+0.4%)가 상승 마감, 부동산(VNQ/-0.8%), 에너지(XLE/-1.1%), 금융(XLF/-1.1%) 섹터가 하락. 금일 맥쿼리는 세일즈포스닷컴(CRM)의 슬랙 테크놀로지(WORK) 인수가 당사의 장기 성장성을 증가시킬 요인으로 지목하였으며, 이에 2.6% 상승하여 IT 섹터(XLK)의 상승을 주도. 헬스케어(XLV) 섹터에서는 금일 견조한 실적을 발표한 다나허(DHR/+3.3%)가 섹터 상승을 견인. 반면 국채 금리가 전일 대비 소폭 하락하며 JP모건(JPM/-1.3%), 뱅크오브아메리카(BAC/-1.3%), 웰스파고(WFC/-1.7%)와 같은 은행주가 전반적인 약세를 시현하며 금융(XLF) 섹터는 1.1% 하락 마감.  

Thematic

분류 티커 현재가 등락률 t신호 수익률    
          1개월 3개월 1년
4차 산업혁명 CLOU 28.8 0.6% 햇빛 0.4% 4.5% 30.4%
생명공학 IBB 165.3 0.3% 햇빛 1.3% 6.7% 19.9%
IPO IPO 63.7 0.1% 안개 -3.5% 1.2% 49.5%
반도체 SOXX 442.8 -0.6% 햇빛 0.6% 2.0% 59.3%
주거건축 XHB 72.8 -0.8% 햇빛 0.8% -5.0% 50.3%

자료: 티레이더,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테마 ETF에서 4차 산업혁명(CLOU/+0.6%), 생명공학(IBB/+0.3%) 테마가 상승, 반도체(SOXX/-0.6%), 주거건축(XHB/-0.8%), 테마가 하락 마감. 금일 웹사이트 DNS 서비스를 제공하는 아카마이 테크놀로지스사의 서버에 문제가 생겨 오전(미국시간) 델타항공, UPS를 비롯한 미국 웹사이트 2만여 개가 다운되는 사태 발생. 이에 클라우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에버브릿지(EVBG/+2.3%), 트윌리오(TWLO/+3.0%)의 주가가 상승하며 4차 산업혁명(CLOU) 테마는 0.6% 상승 마감. 반면 금일 실적을 발표한 텍사스인스트루먼트(TXN)는 컨센서스를 상회한 실적을 발표했으나, 3분기 가이던스를 하향 제시하며 5.3% 하락 마감하였으며, 이 영향으로 반도체(SOXX) 테마는 0.6% 하락 마감.

EU Market Closing – 01:00 기준

 

지수 종가 등락률 구분 업종 등락률
STOXX 600 456.33 +0.6% 상승 정보기술 +1.9%
        산업재 +1.1%
        유틸리티 +1.0%
      하락 에너지 -1.0%
        필수소비재 -1.2%
지수 종가 고가 저가 등락폭 등락률
獨 DAX 15,514.54 15,578.75 15,471.47 92.04 0.6%
英 FTSE 100 6,968.30 7,018.95 6,956.24 -29.98 -0.4%
佛 CAC 40 6,481.59 6,525.21 6,474.05 17.11 0.3%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유럽증시는 유럽중앙은행(ECB) 통화정책 회의 결과에 상승 마감. 금일 진행된 통화정책회의에서 크리스틴 라가르드 ECB 총재는 자산매입프로그램 유지와 기준금리(0%) 동결을 발표하며 완화적 정책 기조 유지를 시사. 이에 시장은 긍정적으로 반응하여 상승 마감하였으며, 영국 소비재 기업 유니레버(ULVR/-5.9%)가 비용 인플레이션 상승에 따른 마진 감소 우려를 나타내 금일 5.9% 하락한 영향으로 FTSE100은 0.4% 내림세 마감. 상승 업종으로는 전일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가 강세로 마감한 영향으로 정보기술주가 1.9% 올랐으며, 뒤이어 산업재(+1.1%)와 유틸리티(+1.0%)가 증시 상승을 지지. 반면 에너지(-1.0%)와 필수소비재(-1.2%)는 약세로 마감. 한편 금일 발표된 7월 유로존 소비자신뢰지수(전망치)는 델타 변이 확산 우려 영향으로 전월대비 -4.4% 감소한 것으로 집계되었으며, 컨센서스(-2.5%)보다 큰 폭의 감소세 기록.

 

 

출처: < https://m.myasset.com/extern/researchPortal/RP_0001000_P1.cmd?menuid=RP_0105000_P1&searchKeyGubun=1&keyword=&page=1&base_date=20210723054301&gbn=B&res_seq=172545>

 

 

 

 

[미국 상승 = 안좋아 지는 변수들]

(Feat. But 점점 멀어지는 테이퍼링)

 

☑️연준 테이퍼링은 내년 상반기에나 본격 논의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현재 연준이 테이퍼링 등 유동성공급 축소를 논의 해야할 이유는 굳이 찾으면 신고가의 주가지수 뿐입니다. 그러면 여기서 나오는 질문은 과연 미국 정부와 연준은 증시 조정을 원할까? 입니다.

 

미국 경제에서 주식시장이 차지하는 의미는 국내와는 비교가 안됩니다. 미국의 주식시장은, 우리의 부동산시장과 같습니다. 우리에게는 아파트 한채가 노후자금입니다. 그러나 미국은 온국민의 노후가 주식시장에 달려있습니다. 당장 연금을 가지고 있는 모든 근로자의 노후는 대부분 주식시장에 매달려있습니다. 경찰, 소방관, 공무원, 선생님 등 모든 공무원들도 마찬가지입니다. 미국은 항상 경제위기가 생기면 대통령부터 나서서 증시부터 떠받치려고 하는 이유입니다.

 

<연준의 고려변수 상황>

-고용시장 : 회복둔화 점차 선명

-코로나 : 확진자수 증가(4차 웨이브)

-주택시장 : 수요둔화, 안정화 단계 진입

-원자재 가격 : 일부 조정단계

+주식시장 : 주요지수 신고가

+기업실적 : 서프라이즈

 

*코로나 : 신규확진자 증가

(전일 56,525 / WoW +53.2%)

-신규확진자 5만명 돌파(4/30 이후 처음)

-CDC, 파우치 소장 마스크 착용 권고

 

*주간 실업급여 청구건수

-전주 : 419K / 컨센 350K / 이전 368K

-연속 : 3,236K / 3,100K / 3,265K

☑️실업급여 보너스(매주 $300추가지급)지급이 상당수의 주에서 끝났음에도 불구하고 신규 실업급여 청구 증가

 

<About Market>

장초반 주간 신규실업급여 청구건수 증가와 연이틀 상승에 대한 피로감으로 보합권을 유지하던 증시는 오후 들어서며 실적이 기대되는 빅테크 중심으로 상승하며 종가 고가수준으로 마감하였습니다. 전일 3%넘게 급등한 러셀2000(중소형)만 차익실현으로 하락하였습니다.

 

•나스닥 +0.4% / 러셀2000 -1.6%

•S&P500 +0.2% / 다우 +0.1%

-나스닥 Top10 : 상승 9 vs 하락 1

 

-비트코인 : $32,000

-미국채금리(10y) : 1.263 (-1.5%)

-WTI : $71.72 (+2.0%)

 

SMART한 주식투자

https://t.me/frankinvest

 

 

 

 

 

 

[미래에셋증권] 해외 금융시장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 (02-3774-1621)

 

◆ 미국 증시

- DOW: 34,823.35p (25.35p, +0.07%)

- S&P500: 4,367.48p (8.79p, +0.20%)

- NASDAQ: 14,684.60p (52.65p, +0.36%)

 

◆ 한국 관련

- MSCI 한국지수 ETF: $90.2 (+0.74, +0.83%)

- MSCI 이머징지수 ETF: $53.3 (+0.1, +0.19%)

- Eurex kospi 200: 432.10p (+0.60p, +0.14%)

- NDF 환율(1개월물): 1,151.22원 / 전일 대비 보합 출발 예상

 

◆ 외환시장

- 달러인덱스: 92.854 (+0.1, +0.11%)

- 유로/달러: 1.177 (-0.0024, -0.2%)

- 달러/엔: 110.19 (-0.1, -0.09%)

- 파운드/달러: 1.3765 (+0.0052, +0.38%)

 

◆ 미국 국채시장

- 2년물: 0.1998% (-0.8bp)

- 5년물: 0.7137% (-2.3bp)

- 10년물: 1.2699% (-1.9bp)

- 30년물: 1.9035% (-3.5bp)

- 스프레드(10Y-2Y): +107.01bp (-1.05bp)

(국채선물)

- 2YR T-Notes: 110*08   (+0*00 1/2, +0.01%)

- 5YR T-Notes: 124*10 1/4 (+0*03 1/2, +0.09%)

- 10YR T-Notes: 134*08   (+0*04 1/2, +0.1%)

- US T-Bonds: 164*16   (+0*15 , +0.29%)

- Ultra US T-Bonds: 199*09   (+1*4 , +0.57%)

 

◆ 상품시장 ($, 단 곡물, 구리는 센트)

- WTI: 71.91 (+1.61, +2.29%)

- 브렌트유: 73.79 (+1.56, +2.16%)

- 금: 1,809.20 (+1.8, +0.1%)

- 은: 25.381 (+0.126, +0.5%)

- 아연(LME, 3M): 2,938.50 (+9.5, +0.32%)

- 구리: 433.75 (+6.55, +1.53%)

- 옥수수: 561.25 (-7.25, -1.28%)

- 밀: 692.25 (-18.5, -2.6%)

- 대두: 1,362.25 (-27.5, -1.98%)

- BDI: 3,058.00 (+5, +0.16%)

 

*동 자료는 2021년 7월 23일 미래에셋증권 홈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를 요약한 것입니다.

 

글로벌 주식시장 변화와 전망(7월 23일)

미래에셋증권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02-3774-1621)

 

‘피크 아웃’ 논란 불구 실적 주목하며 상승

 

미 증시는 다음 주 실적 발표하는 대형 기술주 중심으로 매수세가 유입되기는 했으나, 경제지표 둔화에 따른 경기 피크 논란이 부각되며 혼조세로 출발. 더불어 양호한 실적발표가 지속되고 있으나 높은 원자재 가격, 공급망 제약, 운송 비용 같은 역풍 등으로 이익 피크 논란 또한 이어지고 있다는 점도 부담. 그러나 장 후반 인프라투자 관련 기대 심리가 부각되자 경기에 대한 기대 심리가 유입되며 금융과 경기민감주들의 낙폭이 축소. 더불어 다음주 실적 발표되는 대형 기술주 중심으로 강세는 지속돼 지수는 상승 마감(다우 +0.07%, 나스닥 +0.36%, S&P500 +0.20%, 러셀2000 -1.55%)

 

http://securities.miraeasset.com/bbs/maildownload/2021072305594223_3431

 

 

 

[인텔 실적 발표] 하나금융투자 반도체 김경민, CFA

2분기 매출 185억 달러 (+2% Y/Y). 컨센서스 상회

PC CPU 포함된 client computing 사업부 매출 101억 달러

컨센서스 99.6억 달러 상회. PC 수요 기저 효과 감소 우려 대비 양호한 느낌

서버 CPU가 포함된 data center 사업부 매출 65억 달러

컨센서스 59.4억 달러 대비 앞자리가 다를 정도로 크게 상회

서버 수요 호조는 먼저 실적 발표 마친 IBM, Seagate에서 공통적 언급

2분기 매출 호조 영향으로 시간 외 주가는 장 마감 직후 종가 대비 +4% 상승

그러나 5:52 am 기준 -2.3% 하락 중. 다음 분기 매출 가이던스가 밋밋하기 때문

3분기 매출 가이던스는 182억 달러로 컨센서스 181억 달러와 거의 차이 없음

2분기 185억 달러 대비 감소하는 흐름

먼저 실적 발표 마친 대형주 중에 Texas Instruments와 Seagate도 2분기 대비 밋밋한 가이던스 제시

3분기는 성수기이지만 코로나 발발 이후 전통적인 상저하고 패턴 변화

3분기 매출이 2분기 대비 flat% 또는 감소한다는 가이던스를 제시하는 반도체/하드웨어 기업이 늘어남

3분기 매출이 2분기 대비 크게 증가하는 기업은 금주 실적 발표한 반도체 기업 중 ASML ADR (반도체 노광 장비)

 

 

 

『하루를 여는 혁신투자자문 IPO News Daily💌 - 20210723』

 【 텔레그램 채널 주소 : https://t.me/KoreaIB

 【 IPO상장문의 및 이경준 대표 Contact ☞ 📧 ipo@kakao.com 】

 

 

===========================

 

보통 방송에 나가면, 생방송이라 부끄부끄한 마음에 혼자만 알고 공유를 안 드렸는데,,,

이번에 녹화방송 뜬게 있는데, 편집이 잘 나와서 살포시 한 번 공유해 봅니다.

NH투자증권 채널인데, CJ ENM에서 제작하였고,

MC는 '경제 유튜버 신사임당'과 '장예원 아나운서'님이 맡으셨습니다.

 

시간 남으실 때 편한 마음으로 보세요 :)

 

https://youtu.be/BGJFeSqbSno

 

 

===========================

 

 

📌Today's Topic》

카뱅 시총 18조 직행…'따상' 가능성은

https://newsis.com/view/?id=NISX20210722_0001522330&cID=15001&pID=15000

☞ 이경준 혁신투자자문 대표는 "카카오뱅크가 장외에서 10만원을 넘었다가 이제 8만원대로 내려왔는데 시장에서는 카카오게임즈의 선례처럼 상장 이후에 장외가를 넘어설 것이란 기대감이 반영된 것 같다"며 "다만 비상장주식은 기업의 밸류에이션을 판단하기보다 '묻지마 식' 투자를 하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수요와 공급이 합리적으로 이뤄지지 않고 시장가격을 일시적으로 교란시키는 측면도 있다"고 설명했다.

 

 

===========================

 

★ 금일 IPO 일정 ★

 07/14~27 크래프톤 수요예측⚖️

 07/22~26 에이치케이이노엔 수요예측⚖️

 

☆ 다음주 IPO 일정 ☆

 07/14~27 크래프톤 수요예측⚖️

 07/22~26 에이치케이이노엔 수요예측⚖️

 07/26~27 원티드랩 수요예측⚖️

 07/26~27 카카오뱅크 청약🖨

 07/27 맥스트 상장★

 07/28 에브리봇 상장★

 07/29 카카오뱅크 납입🏧

 07/29~30 한컴라이프케어 수요예측⚖️

 07/29~30 엠로 수요예측⚖️

 07/29~30 에이치케이이노엔 청약🖨

 07/30~08/02 플래티어 수요예측⚖️

 

 ------------------------------------------

 

▣ 기관IR 일정 ▣

 - 온라인 간담회로만 진행 中 -

 

▣ 상장 일정(예정, 변경가능) ▣

 07/27 맥스트(하나금융투자)

 07/28 에브리봇(NH투자증권)

 08/05 카카오뱅크(KB증권)

 08/10 에이치케이이노엔(한국투자증권, 삼성증권)

 08/10 크래프톤(미래에셋증권)

 08/11 원티드랩(한국투자증권)

 08/13 엠로(한국투자증권)

 08/13 딥노이드(KB증권)

 08/17 플래티어(KB증권)

 08/17 한컴라이프케어(미래에셋증권)

 08/18 브레인즈컴퍼니(키움증권)

 08/19 아주스틸(미래에셋증권)

 08/19 롯데렌탈(NH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08/19 에스앤디(유진투자증권)

 08/24 일진하이솔루스(미래에셋증권, 삼성증권)

 08/25 바이젠셀(대신증권)

 미정 - 에이비온(미래에셋증권)

 미정 - 카카오페이(삼성증권)

 

▣ 심사 승인 ▣

 - 실리콘투(삼성증권, 미래에셋증권)

 - 와이엠텍(KB증권)

 - 아스플로(미래에셋증권)

 - 원준(NH투자증권)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 국내 IPO 개별종목

■ IPO 역사 새로 쓴 카카오뱅크…기관 2585조 역대 최대 뭉칫돈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893366629117144&mediaCodeNo=257&OutLnkChk=Y

 

■ [단독] 티몬, 올해 상장계획 철회...주관사에 통보

https://biz.chosun.com/distribution/channel/2021/07/22/UBXIFK4UIRF7HC6FCJBBCMMCKE/?utm_source=naver&utm_medium=original&utm_campaign=biz

 

■ 마켓컬리 28일 상장 주관사 선정···KB vs 미래 2파전 압축

https://biz.chosun.com/stock/analysis-prospect/2021/07/22/7YWZDWRFJNBK5GTVECIUWOXAG4/?utm_source=naver&utm_medium=original&utm_campaign=biz

 

■ SK매직, IPO 당분간 접는다… 해외 시장-신규 비즈니스 주력

http://biz.newdaily.co.kr/site/data/html/2021/07/22/2021072200089.html

 

■ 원준, IPO 본격화…코스닥 상장 예비심사 통과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1072294986

 

■ 한국조선해양, 9000억 손실에도 여유… "IPO 앞둔 악재 제거"

http://biz.newdaily.co.kr/site/data/html/2021/07/22/2021072200016.html

 

■ 롯데렌탈, 절반이 구주매출…IPO 흥행 영향은?

https://paxnetnews.com/articles/76262

 

■ 알지노믹스, IPO 채비…삼성증권 주관사로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7211500548600106286&lcode=00&page=1&svccode=00

 

■ 제이아이테크, IPO 본격화…주관사 '미래에셋'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7211246298960109233&lcode=00&page=1&svccode=00

 

 

▶️▶️▷ IPOmarket(해외IPO포함)

■ "공모가 정정 안했으면 어쩔 뻔"…최초 공모가 밑도는 새내기주들

http://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1061113&inflow=N

 

■ [이슈분석]IPO 나서는 유니콘…쿠팡 다음 주자는?

https://www.etnews.com/20210722000144

 

■ '울며겨자먹기는 옛말'…증권사, 코스닥IPO 의무인수에 '함박 웃음'

https://www.news1.kr/articles/?4379264

 

■ 따상 열풍 그 후 올해 성공 기업 얼마나 되나

https://paxnetnews.com/articles/76499

 

■ IPO 공모주로 몰리는 자금…청약 열풍 돌아오나

https://cnews.pinpointnews.co.kr/view.php?ud=202107221444063170cd1e7f0bdf_45

 

 

▶️▶️▷ 시장 이모저모

■ 코넥스 떠나는 기업들…거래소, 시장 활성화 '고심'

http://www.inews24.com/view/1387807

 

■ '연봉 5억' 꿈의 직업이었는데…애널리스트 줄퇴사하는 이유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1072215951

 

■ 금감원, 옵티머스운용 '등록취소' 의결…최고수위 제재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107221948i

 

 

▶️▶️▷ 시세/시황

[표]IPO·장외 주요 종목 시세(7월 22일)

https://www.sedaily.com/NewsView/22P0FYJLVK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728x90
728x90

주식 스터디를 위해 개인적으로 스크랩한 증시캘린더, 국내 및 해외마감 시황, 뉴스 자료를 공유합니다.

1) 증시캘린더는 개인적으로 관련된 소식을 확인후 작성한 일정이라 변동 또는 오류의 소지가 있습니다.

2) 노션으로 공유한 링크는 익스플로러에선 제대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크롬에 최적화, 엣지, 웨일에서도 잘 작동합니다.

    ( 공유 자료링크는 1~2일후 공유 해지 합니다.)

 

게시물은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한 것이라

불확실하거나 오류가 많을 수 있으므로 투자 활용시 유의하시기 바라며, 개별적인 종목 추천이나 상담은 하지 않습니다.

 

모쪼록 제 공간에 오신 모든 분들이 주식스터디를 통해 인생 한 방보다, 꾸준함을 믿으며...

복리의 마법으로 모든 분들이 성공한 개인투자자가 되시길...


뉴욕증시, 기업 호실적에 연일 상승…모더나 4.48%↑ [출근전 꼭 글로벌브리핑]

美 10년물 국채금리 오름세

비트코인 3만2천달러 회복…비트코인 콘퍼런스 영향

모건스탠리 "주식 10~20% 조정…방어주 사라"

유럽·중국 상승, 베트남 증시 하락

출처: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107220015&t=NN>

 

 

 

 

 

2021년 7월 22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ASML이 예상을 크게 웃도는 실적을 공개하며 반도체 업종이 올랐습니다.

 

(2) 엘론 머스크가 테슬라와 스페이스X의 비트코인 보유 사실을 공개했습니다.

 

(3) 비상장사 가치 상승을 반영해 사모대체 운용사들 주가가 신고가를 기록했습니다. 

 

미 5년 breakeven rate 2.493%, +0.049%p (2% 상회시 유의, 2.5% 상회시 경고)

한국 고객예탁금, 67.7조원 -0.4조원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52%

1개월 NDF 환율 1,150.35원 (-3.55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미국 상승 = 저가매수2 by 유동성]

(Feat. 이제 무섭지 않은 코로나??)

 

☑️’유동성 + 경기회복 및 성장투자자들에게는 2개의 카드가 있습니다. 두개가 공존할 시간은 얼마 안남았지만, 반대로 둘중 하나는 무조건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코로나 : 신규확진자 증가

(전일 44,232 / WoW +38.3%)

-금요일 일간 5만명 넘어설 것으로 예상

-파우치소장은 백신접종자도 마스크를 쓰는 것을 조언

 

*Crypto Family

-Elon Musk : 이더리움, 도지코인

-Tesla : 비트코인

-Space X : 비트코인

☑️회사돈으로는 대장주 사고, 개인돈으로는 종목 산 느낌입니다.

 

<About Market>

장초반 강보합세로 시작한 시장은 나스닥 성장주를 중심으로 장중 지속적으로 상승하며 종가 고가 수준으로 마감하였습니다.

 

유동성은 풍부하며, 시장에 코로나에 대한 내성이 생긴 느낌입니다.

 

•나스닥 +0.9% / 러셀2000 +1.7%

•S&P500 +0.8% / 다우 +0.8%

-나스닥 Top10 : 상승 8 vs 하락 2

 

-비트코인 : $32,000

-미국채금리(10y) : 1.290 (+6.7%)

-WTI : $70.22 (+4.5%)

 

SMART한 주식투자

https://t.me/frankinvest

 

 

(2021.07.22) U.S. & EU Market Closing

2021.07.22   허단

U.S. Market Closing – 05:00 기준

지수 종가 등락폭 등락률 상승/하락/보합
DOW 34,798.00 286.01 0.8% 25/5/0
S&P500 4,358.69 35.63 0.8% 374/130/1
NASDAQ 14,631.95 133.07 0.9% 2568/665/145
RUSS 2K 2,234.04 39.74 1.8% 1675/288/13
PHLX 반도체지수 3,288.75 97.80 3.1% 30/0/0
VIX지수 17.91 -1.82 -9.2%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미국 증시는 견조한 기업 실적에 상승 마감. 팩트셋에 따르면 현재까지 S&P500 지수 내 실적을 발표한 기업 중 85%가 예상치를 상회한 실적을 발표한 것으로 집계되었으며, 금일 실적을 발표한 버라이즌(VZ/+0.8%)과 코카콜라(KO/+1.5%) 역시 컨센서스를 웃도는 실적을 발표해 투자 심리를 자극한 모습. 이에 시장에서는 위험자산 선호 심리가 확대되며 달러가 약세를 시현하였으며, 10년물 국채 금리 역시 1.29% 선으로 올라 증시 상승을 지지. 금일 미국 3대 지수는 2거래일 연속 상승을 시현하였으며, 중소형주 중심의 러셀 2000 역시 1.8% 올라 강세 유지. 상승 업종으로는 유가(WTI)가 $70선을 회복하며 에너지가 큰 폭 상승하였으며, 뒤이어 금융과 소재가 오름세를 시현, 반면 유틸리티는 소폭 하락 마감.

 

U.S. ETF Closing – 05:00 기준

Sector

분류 티커 현재가 등락률 t신호 수익률






1개월 3개월 1년
에너지 XLE 49.3 3.5% 안개 -9.5% 3.0% 38.4%
금융 XLF 36.6 1.7% 안개 1.7% 2.8% 54.0%
소재 XLB 81.1 1.1% 안개 -0.9% -2.1% 34.4%
산업재 XLI 103.6 1.0% 햇빛 1.9% 1.5% 45.9%
IT XLK 151.9 1.0% 햇빛 4.9% 6.1% 45.3%
자유소비재 XLY 180.9 0.9% 안개 2.4% 1.3% 34.1%
커뮤니케이션 XLC 81.2 0.8% 햇빛 1.6% 6.4% 43.7%
부동산 VNQ 105.8 0.0% 햇빛 3.7% 9.1% 40.9%
헬스케어 XLV 129.0 0.2% 햇빛 3.4% 5.4% 24.4%
필수소비재 XLP 70.7 -0.3% 햇빛 2.9% 3.7% 17.0%
유틸리티 XLU 64.8 -1.1% 햇빛 2.4% -0.5% 11.1%

자료: 티레이더,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금일 섹터별 ETF에서 에너지(XLE/+3.5%), 금융(XLF/+1.7%), 소재(XLB/+1.1%) 섹터가 상승, 필수소비재(XLP/-0.3%), 유틸리티(XLU/-1.1%)가 하락 마감. 금일 에너지정보청(EIA)이 발표한 주간 원유 재고는 210.7만 배럴 증가해 9주만에 증가세로 전환. 다만, 휘발유와 정제유 재고는 감소세를 이어간 점과 오클라호마 쿠싱 원유 재고가 2020년 초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한 점이 유가 상승 압력으로 작용. 이에 9월 인도분 텍사스산원유(WTI)는 금일 4.5% 올라 $70선을 회복하였으며, 엑슨모빌(XOM/+3.2%), 쉐브론(CVX/+3.4%)과 같은 정유주가 강세를 시현하며 에너지(XLE) 섹터는 3.7% 상승 마감. 소재(XLB) 섹터에서는 22일 실적발표를 앞둔 프리포트-맥모란(FCX)이 실적 개선 기대감에 5.2% 올라 섹터 상승을 견인. 반면 위험 자산 선호 심리 확대에 따른 유틸리티(XLU) 섹터는 1.1% 하락 마감.

 

Thematic

분류 티커 현재가 등락률 t신호 수익률






1개월 3개월 1년
반도체 SOXX 445.4 3.1% 햇빛 1.0% 3.4% 57.3%
여행/관광산업 AWAY 27.9 3.0% 안개 -9.9% -10.6% 50.6%
기술혁신 ARKK 122.7 1.6% 안개 -2.1% -2.2% 54.5%
원격의료/디지털 헬스 EDOC 18.4 0.2% 안개 -4.8% -9.0% 0.0%
데이터/인프라 리츠 SRVR 40.8 -0.5% 햇빛 1.8% 7.3% 13.2%

자료: 티레이더,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금일 테마 ETF 반도체(SOXX/+3.1%), 여행/관광산업(AWAY/+3.0%), 기술혁신(ARKK/+1.6%) 테마가 상승, 데이터/인프라 리츠(SRVR/-0.5%)가 약세로 마감. 금일 네덜란드 반도체 기업 ASML 홀딩스(ASML/+5.4%)의 호실적이 반도체 기업 전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97.8 포인트 오른 3,288.7선을 기록하였으며, 이에 반도체(SOXX) 테마는 3.1% 상승. 반면 데이터/인프라 리츠(SRVR/-0.5%) 테마는 디지털 리얼티 트러스트(DLR/-1.5%), 이퀴닉스(EQIX/-1.6%)가 약세를 시현한 영향으로 소폭 하락 마감.

 

EU Market Closing – 01:00 기준

지수 종가 등락률 구분 업종 등락률
STOXX 600 453.97 +1.6% 상승 에너지 +2.9%




금융 +2.6%




자유소비재 +2.3%



하락

지수 종가 고가 저가 등락폭 등락률
獨 DAX 15,422.50 15,443.76 15,194.54 206.23 1.4%
英 FTSE 100 6,998.28 7,007.75 6,881.13 117.15 1.7%
佛 CAC 40 6,464.48 6,471.65 6,381.94 117.63 1.9%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유럽증시 역시 견조한 기업 실적 행진을 이어가며 강세로 마감. 금일 STOXX600 지수에서 실적을 발표한 기업 중 14곳 이상이 컨센서스를 상회한 실적을 발표한 것으로 집계되며 증시 상승 동력으로 작용. 특히 네덜란드의 ASML 홀딩스(ASML/+3.1%)는 전 분기대비 EUV 장비 수주액이 75% 증가하였다고 발표하였으며, 스웨덴의 툴레 그룹(THULE/+12.2%)은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하며 지수 내 가장 큰 상승 폭을 기록. 금일 상승 업종으로는 유가 강세와 경기순환주로 자금이 유입되며 에너지(+3.9%) 여행/레져(+3.7%), 금융(+2.6%) 업이 오름세를 시현하였으며, 최근 델타 변이 확산 우려에 부진했던 크루즈 업체 카니발(CCL LN)이 9.3% 올라 최근 하락 폭을 만회한 모습. 한편 레피니티브 IBES 데이터에 따르면 STOXX600에 상장된 유럽 기업의 2분기 이익은 전년 대비 115.2% 증가할 것으로 집계되었으며, 투자은행 JP모건 역시 최근 유럽 내 소비자 신뢰도가 수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것에 주목하며 하반기 유럽 증시 강세를 전망.

 

 

 

출처: < https://m.myasset.com/extern/researchPortal/RP_0001000_P1.cmd?menuid=RP_0105000_P1&searchKeyGubun=1&keyword=&page=1&base_date=20210722054914&gbn=B&res_seq=172504>

 

 

 

 

 

 

[미래에셋증권] 해외 금융시장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 (02-3774-1621)

 

◆ 미국 증시

- DOW: 34,798.00p (286.01p, +0.83%)

- S&P500: 4,358.69p (35.63p, +0.82%)

- NASDAQ: 14,631.95p (133.07p, +0.92%)

 

◆ 한국 관련

- MSCI 한국지수 ETF: $89.46 (-0.48, -0.53%)

- MSCI 이머징지수 ETF: $53.2 (+0.34, +0.64%)

- Eurex kospi 200: 427.85p (+2.20p, +0.52%)

- NDF 환율(1개월물): 1,150.35원 / 전일 대비 5원 하락 출발 예상

 

◆ 외환시장

- 달러인덱스: 92.794 (-0.179, -0.19%)

- 유로/달러: 1.1793 (+0.0012, +0.1%)

- 달러/엔: 110.3 (+0.45, +0.41%)

- 파운드/달러: 1.3716 (+0.0088, +0.65%)

 

◆ 미국 국채시장

- 2년물: 0.2078% (+0.8bp)

- 5년물: 0.7362% (+5.1bp)

- 10년물: 1.29% (+6.8bp)

- 30년물: 1.9367% (+6bp)

- 스프레드(10Y-2Y): +108.22bp (+6.00bp)

(국채선물)

- 2YR T-Notes: 110*08   (-0*01 , -0.03%)

- 5YR T-Notes: 124*06 3/4 (-0*09 , -0.23%)

- 10YR T-Notes: 134*03 1/2 (-0*18 , -0.42%)

- US T-Bonds: 164*01   (-1*20 , -0.83%)

- Ultra US T-Bonds: 198*05   (-2*6 , -1.09%)

 

◆ 상품시장 ($, 단 곡물, 구리는 센트)

- WTI: 70.3 (+3.1, +4.61%)

- 브렌트유: 72.23 (+2.88, +4.15%)

- 금: 1,807.40 (-7.8, -0.43%)

- 은: 25.255 (+0.26, +1.04%)

- 아연(LME, 3M): 2,929.00 (-33.0, -1.11%)

- 구리: 427.2 (+0.9, +0.21%)

- 옥수수: 568.5 (+2.75, +0.49%)

- 밀: 710.75 (+10.25, +1.46%)

- 대두: 1,389.75 (+1.25, +0.09%)

- BDI: 3,053.00 (-6, -0.2%)

 

*동 자료는 2021년 7월 22일 미래에셋증권 홈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를 요약한 것입니다.

 

글로벌 주식시장 변화와 전망(7월 22일)

미래에셋증권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02-3774-1621)

 

국제유가 급등과 국채금리 상승 영향으로 강세

 

미 증시는 유럽 증시가 양호한 양호한 실적 등에 힘입어 급등하는 등 위험 자산 선호심리가 높아진 데 힘입어 상승 출발. 여기에 델타 변이 바이러스 확산에도 불구하고 국제유가가 급등하고 국채 금리 상승, 달러, 엔화 약세 등 위험자산 선호심리가 높아진 점도 투자 심리에 긍정적인 요인. 특히 국채 금리 상승에 따른 금융주, 여행 증가 기대로 여행, 레저, 항공업종, 국제유가 급등으로 인한 에너지 업종이 상승을 주도한 점이 특징

(다우 +0.83%, 나스닥 +0.92%, S&P500 +0.82%, 러셀2000 +1.81%)

 

변화요인: ①경기 회복 지속 기대 ②자사주 매입 ③국제유가

 

http://securities.miraeasset.com/bbs/maildownload/2021072205451949_3431

 

 

 

 

 

 

『하루를 여는 혁신투자자문 IPO News Daily💌 - 20210722』

 【 텔레그램 채널 주소 : https://t.me/KoreaIB

 【 IPO상장문의 및 이경준 대표 Contact ☞ 📧 ipo@kakao.com 】

 

 

===========================

 

IPO News Daily는 제가 손수 작성하는 몇 년간의 습관화된 행위라,

직원을 포함한 타인에겐 맡기지 않고 있는데,

월요일에 공지드린 바와 같이 그제와 어제는 PC를 할 수 없는 곳에 있어, 불가피하게 Daily를 작성 못 드렸습니다.

많이들 궁금해 하시는데, Daily 작성시에 뉴스 검색은 보통 'IPO / 공모주 / 기업공개 / 상장'이라는 키워드로 구분, 검색하여 정리해 드리는데,

2일 쉬었더니, 총 뉴스 페이지가 200페이지가 넘네요 ㅎ

역시나 가장 많은 비중이 차지한 키워드가 카카오뱅크와 카카오페이네요.

카카오뱅크는 최근 며칠 부정적인 리포트와 고평가 논란의 기사로 수요예측 분위기를 많이들 궁금해하셨는데,

결과는 늦지 않게 나올 것 같습니다.

오늘 Daily는 7월 19일 오전 6시 ~ 지금까지 약 3일간의 검색된 뉴스를 토대로 작성했습니다.

 

그럼 오늘 상장하는 큐라클 매매도 화이팅 하십시오!

 

 

===========================

 

금일은 [ 큐라클 ] 상장일 입니다.

 

[ 큐라클_공모가 25,000원 ]

*전일 장외가 : 38,000원, 공모가 대비 +52%

 º 시가총액 : 3,339억원(13,355,968주)

 º 유통가능 : 1,314억원(5,254,505주, 39.34%)

 º 수요예측 내역

    총 참여건수 : 1,296건

    실 유효건수 : 1,296건(100%)

    총 경쟁률 : 1,219.27 대 1

    총 확약 비중 : 건수 기준 96건(8.00%), 수량 기준 7.79%

 º 일반청약률 : 1,546.90 대 1(429,609건)

 

 

#혈관질환 #바이오신약

 

 

===========================

 

 

📌Today's Topic1》

고평가 논란에 해명 나선 카뱅..."단순은행 아냐, 인정해줘야"

https://www.ajunews.com/view/20210720135036678

☞ 이경준 혁신투자자문 대표는 "카뱅은 은행이기는 하지만 비대면이라는 점, 압도적인 성장속도 등 많은 면에서 기존 은행들과 크게 다르다"며 "최근 카뱅 애플리케이션에 모바일 게임 '오딘' 광고를 실은 것만 보더라도 카뱅은 단순히 은행 앱이 아니라 전반적인 금융 플랫폼"이라고 했다.

그는 "같은 재료로 옷을 만들어도 명품 브랜드가 될 수도, 시장표가 될 수도 있다. 같은 의류업체이니까 똑같다라고 주장하면 할 말이 없어지는 것"이라며 "같은 맥락에서 카뱅을 기존 플레이어와 같다고 볼 수는 없다는 생각"이라고 강조했다.

 

------------------------------------------

 

📌Today's Topic2》

[시그널] 카카오페이 고평가 논란에 백지수표 낸 해외 큰 손만 '어부지리'?

https://www.sedaily.com/NewsView/22OZHTP1AP

☞ 이경준 혁신투자자문 대표는 “일부 제기된 카카오페이의 고평가 논란과 달리 국내(기관투자자) 수요도 충분한 것으로 보고 있다”라며 “공모가까지 할인되면 국내 기관 뿐 아니라 자금력이 풍부한 해외 기관들의 청약 투심이 더욱 뜨거워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

 

📌Today's Topic3》

(거품 논란 IPO)역대급 공모시장…이면엔 수요예측·공모가 논란

http://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1059921&inflow=N

☞ 이경준 혁신투자자문 대표는 “수요예측이 기업의 적정 가격을 결정하라고 만든 제도인데 과거와 달리 다수의 기관투자자가 참여하면서 유명무실해진 기능”이라고 언급했다.

 

------------------------------------------

 

📌Today's Topic4》

청약 기록 새로 쓴 맥스트···'메타버스' 테마 주효

https://www.ajunews.com/view/20210720133856663

☞ 이경준 혁신투자자문 대표는 "처음 공모가 희망범위도 비싼 가격은 아니라는 분위기였고, 결과적으로 수요예측 이후 이전 수준으로 공모가가 확정됐기 때문에 가격 조정이 미친 영향은 적었을 것"이라며 "공모 규모가 크지 않은 데다 앞서 상장한 자이언트스텝 등 메타버스 관련 기업들의 주가 상승세가 IPO 흥행에도 결정적인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

 

★ 금일 IPO 일정 ★

 07/14~27 크래프톤 수요예측⚖️

 07/22 큐라클 상장★

 07/22 에브리봇 납입🏧

 07/22~26 에이치케이이노엔 수요예측⚖️

 

☆ 금주 남은 IPO 일정 ☆

 07/14~27 크래프톤 수요예측⚖️

 07/22~26 에이치케이이노엔 수요예측⚖️

 

 ------------------------------------------

 

▣ 기관IR 일정 ▣

 - 온라인 간담회로만 진행 中 -

 

▣ 상장 일정(예정, 변경가능) ▣

 07/22 큐라클(삼성증권)

 07/27 맥스트(하나금융투자)

 07/28 에브리봇(NH투자증권)

 08/05 카카오뱅크(KB증권)

 08/10 에이치케이이노엔(한국투자증권, 삼성증권)

 08/10 크래프톤(미래에셋증권)

 08/11 원티드랩(한국투자증권)

 08/13 엠로(한국투자증권)

 08/13 딥노이드(KB증권)

 08/17 플래티어(KB증권)

 08/17 한컴라이프케어(미래에셋증권)

 08/18 브레인즈컴퍼니(키움증권)

 08/19 아주스틸(미래에셋증권)

 08/19 롯데렌탈(NH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08/19 에스앤디(유진투자증권)

 08/24 일진하이솔루스(미래에셋증권, 삼성증권)

 08/24 에이비온(미래에셋증권)

 08/25 바이젠셀(대신증권)

 미정 - 카카오페이(삼성증권)

 

▣ 심사 승인 ▣

 - 실리콘투(삼성증권, 미래에셋증권)

 - 와이엠텍(KB증권)

 - 아스플로(미래에셋증권)

 - 원준(NH투자증권)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 국내 IPO 개별종목

■ [단독] 카뱅 기관청약 흥행 2,400조 '사상 최대'

https://www.sedaily.com/NewsView/22P007F331

 

■ 다보링크, 8월 코스닥 상장…유안타제6호스팩과 합병

https://www.yna.co.kr/view/AKR20210721074700002?input=1195m

 

■ 신금투, 2년만의 스팩 상장 가시권…웨이비스와 합병 추진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7161232339120109286&lcode=00&page=2&svccode=00

 

■ [IB토마토]현대중, 파업에 직원 사망까지 매출 회복 '찬물'…IPO 문제 없나

http://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1060193&inflow=N

 

■ IPO 준비했지만…바이오 벤처 큐젠바이오텍, 회생절차 신청 [마켓인사이트]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107190208i

 

 

▶️▶️▷ IPOmarket(해외IPO포함)

■ ‘IPO 공모가 낮춰라’ 금감원 정정요구 뒤엔 개미들 민원 와글와글

https://www.chosun.com/economy/tech_it/2021/07/20/7JWHUB7Q3VHOVJ4JV24BYPGDOI/?utm_source=naver&utm_medium=referral&utm_campaign=naver-news

 

 

▶️▶️▷ 시장 이모저모

■ [단독] '뷰티 분야 1위' MCN 레페리, M&A 매물로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107217911i

 

 

▶️▶️▷ 시세/시황

[표]IPO장외 주요 종목 시세(7월 21일)

https://www.sedaily.com/NewsView/22OZZ45VAG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728x90
728x90

주식 스터디를 위해 개인적으로 스크랩한 증시캘린더, 국내 및 해외마감 시황, 뉴스 자료를 공유합니다.

1) 증시캘린더는 개인적으로 관련된 소식을 확인후 작성한 일정이라 변동 또는 오류의 소지가 있습니다.

2) 노션으로 공유한 링크는 익스플로러에선 제대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크롬에 최적화, 엣지, 웨일에서도 잘 작동합니다.

    ( 공유 자료링크는 1~2일후 공유 해지 합니다.)

 

게시물은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한 것이라

불확실하거나 오류가 많을 수 있으므로 투자 활용시 유의하시기 바라며, 개별적인 종목 추천이나 상담은 하지 않습니다.

 

모쪼록 제 공간에 오신 모든 분들이 주식스터디를 통해 인생 한 방보다, 꾸준함을 믿으며...

복리의 마법으로 모든 분들이 성공한 개인투자자가 되시길...


뉴욕증시, 저가 매수세에 반등…은행·항공·크루즈 강세 [출근전 꼭 글로벌브리핑]

제프 베이조스 '블루오리진' 우주 여행 성공

비트코인, 3만 달러 붕괴

유럽 상승, 중국 혼조·베트남 상승

국제유가, 반발 매수·위험자산 회복에 1.5%↑

출처: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107210014&t=NN>

 

 

 

2021년 7월 21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미 상무부 장관이 자동차용 반도체 부족이 해소돼가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2) 빌 게이츠가 워렌 버핏 소유 석탄 발전소의 원전 대체를 추진합니다. 

 

(3) 나스닥이 Pre IPO 사업부를 분사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미 5년 breakeven rate 2.444%, -0.007%p (2% 상회시 유의, 2.5% 상회시 경고)

한국 고객예탁금, 68.1조원 -0.8조원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34%

1개월 NDF 환율 1,148.85원 (-1.55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미국 상승 = 강력한 저가매수 by 유동성]

(Feat. 코로나 확진자수는 지속 증가중)

 

☑️조정은 저가매수 기회입니다. 그러나 일단 변동성은 커진 상태입니다. 용기를 가지고 크게 조정 받은날 저점매수가 안되었으면, 몇일 지켜보아도 나쁘지 않은 시점입니다.

 

*코로나 : 신규확진자 증가

(전일 32,576 / WoW +50.1%)

-신규 확진자의 83%가 델타변이

-이스라엘 Pfizer 부스터샷 우선공급계약

☑️아직 백신이 부족한데 주요국들은 부스터샷(3차접종)을 검토중입니다. 확실한건 중장기적으로 자국산 백신은 꼭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About Market>

시장은 아침부터 큰폭의 반등세로 시작했습니다. 이후 장마감까지 꾸준한 저가매수세가 유지되며 마감하였습니다.

 

미국의 코로나 신규 확진자수는 확실히

증가세입니다. 그러나 신규확진자수 증가가 아직은 치명률을 높히거나 사망자수를 증가시키지는 않고 있습니다. 기업실적은 견조하고, 유동성은 풍부합니다.

 

*주요기업 실적

•Netflix : 쇼크

-매출 : $7.34b / 컨센 $7.32b

-EPS : $2.97 / 컨센 $3.16

-신규 유료구독자 : 1.54M / 컨센 1.75M

-총 유료구독자수 : 209M

 

*Comcast + ViacomCBS OTT협력 검토

☑️Comcast의 컨텐츠 사업부인 NBC유니버셜은 Peacock이라는 스트리밍플랫폼을 1년전 런칭했으나 현재 유료구독자는 1000만명이하로 고전하고 있습니다. Comcast는 ViacomCBS와 협업을 선택했습니다. 인수가될지, 지분투자가될지, 단순 협력이될지 정해진 것은 없습니다. AT&T는 디스커버리 인수를 진행중입니다. 이제 남은 초대형 콘텐츠 공급자는 Fox 뿐입니다.

 

•나스닥 +1.6% / 러셀2000 +3.0%

•S&P500 +1.5% / 다우 +1.6%

-나스닥 Top10 : 상승 9 vs 하락 1

 

-비트코인 : $30,000

-미국채금리(10y) : 1.220 (+3.3%)

-WTI : $66.83 (+0.7%)

 

SMART한 주식투자

https://t.me/frankinvest

 

 

(2021.07.21) U.S. & EU Market Closing

2021.07.21  허단

U.S. Market Closing – 05:00 기준

지수 종가 등락폭 등락률 상승/하락/보합
DOW 34,511.99 549.95 1.6% 26/4/0
S&P500 4,323.06 64.57 1.5% 451/52/2
NASDAQ 14,498.88 223.90 1.6% 2612/596/170
RUSS 2K 2,194.30 63.62 3.0% 1830/137/10
PHLX 반도체지수 3,190.95 43.44 1.4% 29/1/0
VIX지수 19.73 -2.77 -12.3%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미국 증시는 전일 낙폭에 대한 저가 매수세(Buy The Dip)가 유입되며 상승 마감. 전일 델타 변이 확산에 따른 경제 회복 둔화 우려에 큰 폭 하락한 3대 지수는 반발 매수세가 유입되며 지난 3월 이후 최대 상승 폭 기록. 특히 중소형주 중심의 러셀2000이 3.0% 오른 2,194선을 기록하였으며, 10년물 국채 금리가 1.2% 선으로 반등하며 증시 상승을 지지한 모습. 금일 S&P500 내 11개 섹터는 모두 오름세를 시현한 가운데 산업재, 부동산, 금융 섹터가 증시 상승을 견인하였으며, 경기방어주인 유틸리티와 필수소비재는 소폭 상승 마감. 한편 금일 미 상무부가 발표한 6월 신규 주택 착공은 전월대비 6.6% 늘어 예상치(1.1%)를 큰 폭 상회했으나 주택 착공 허가 건수는 전월보다 5.1% 감소하여 예상치(-0.1%)를 대폭 하회. 이와 관련하여 시장에서는 하반기 주택 매매와 건설이 완만하게 반등할 것으로 전망.

U.S. ETF Closing – 05:00 기준

Sector

분류 티커 현재가 등락률 t신호 수익률






1개월 3개월 1년
산업재 XLI 102.57 2.8% 햇빛 1.2% 0.8% 44.8%
금융 XLF 35.98 2.5% 햇빛 -0.1% 0.9% 51.2%
부동산 VNQ 105.83 2.4% 햇빛 3.3% 8.7% 40.3%
자유소비재 XLY 179.22 1.9% 햇빛 1.7% 0.6% 33.2%
IT XLK 150.43 1.5% 햇빛 4.1% 5.3% 44.2%
에너지 XLE 47.59 1.3% 햇빛 -12.8% -0.8% 33.4%
헬스케어 XLV 128.82 1.2% 햇빛 3.5% 5.5% 24.5%
커뮤니케이션 XLC 80.53 1.1% 햇빛 0.9% 5.7% 42.7%
소재 XLB 80.25 1.1% 햇빛 -2.0% -3.1% 33.0%
유틸리티 XLU 65.5 0.4% 햇빛 3.4% 0.5% 12.2%
필수소비재 XLP 70.85 0.0% 햇빛 2.9% 3.7% 17.0%

자료: 티레이더,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금일 섹터별 ETF는 모두 상승한 가운데 산업재(XLI/+2.8%), 금융(XLF/+2.5%), 부동산(VNQ/+2.4%) 섹터가 큰 폭 상승 마감. 최근 델타 변이 확산으로 약세를 시현했던 델타에어라인(DAL/+5.5%), 유나이티드항공(UAL/+6.6%), 아메리칸에어라인(AAL/+8.4%)과 같은 항공주가 금일 강세를 보이며 산업재(XLI) 테마 상승을 견인하였으며, 국채 금리가 소폭 반등하며 금융(XLF) 테마는 2.5% 상승 마감. 반면 최근 안전자산 선호 심리에 상승세를 시현했던 유틸리티(XLU/+0.4%), 필수소비재(XLP/0.0%) 섹터는 강보합 마감.

 

Thematic

분류 티커 현재가 등락률 t신호 수익률






1개월 3개월 1년
우주항공 UFO 29.4 3.2% 햇빛 -4.6% -1.9% 44.9%
리튬/배터리테크 LIT 78.0 3.2% 햇빛 11.1% 23.9% 123.9%
반도체 SOXX 432.1 1.4% 햇빛 -0.3% -1.1% 57.5%
데이터/인프라 리츠 SRVR 41.0 0.7%
1.9% 7.6% 16.0%
인프라 IGF 44.9 0.1% 안개 -2.2% -1.3% 17.9%

자료: 티레이더,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테마 ETF 역시 전반적인 오름세를 시현한 가운데 우주항공(UFO/+3.2%), 리튬/배터리테크(LIT/+3.2%) 테마가 강세로 마감하였으며, 인프라(IGF/+0.1%)는 강보합 마감. 금일 아마존(AMZN)의 제프 베조스는 블루 오리진을 통해 카르만 라인(지구 상공 100KM)에 도달한 후 무사 귀환하였으며, 버진갤럭틱(SPCE)에 이어 민간 우주 항공 시대 개막을 알림. 이에 우주 항공 관련 주가가 오름세를 시현했으며, 위성 통신 업체인 이리디움 커뮤니케이션스(IRDM)은 9.0% 올라 테마 상승을 견인. 반면 블루 오리진의 라이벌 업체인 버진갤럭틱(SPCE)은 1.1% 내림세로 마감.

EU Market Closing – 01:00 기준

지수 종가 등락률 구분 업종 등락률
STOXX 600 446.61 +0.5% 상승 금융 +1.2%




소재 +1.2%




산업재 +1.1%



하락 유틸리티 -0.2%
지수 종가 고가 저가 등락폭 등락률
獨 DAX 15,216.27 15,300.29 15,091.90 83.07 0.5%
英 FTSE 100 6,881.13 6,929.89 6,827.26 36.74 0.5%
佛 CAC 40 6,346.85 6,386.46 6,304.85 50.88 0.8%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유럽증시는 전일 낙폭에 대한 반발 매수와 견조한 기업 실적에 상승 마감. 전일 델타 변이 확산 우려로 2.3% 하락한 STOXX600은 견조한 기업 실적 발표에 매수세가 유입되며 전일 하락분을 다소 만회한 모습. 금일 상승 업종으로는 국채 금리 반등과 스위스 은행 UBS(UBSG/+5.3%)의 전년대비 순이익이 63% 증가한 것으로 발표되며 금융이 1.2% 올랐으며, 광물 채굴 업체인 앵글로 아메리칸(AAL/+0.7%)과 BHP그룹(BHP/+1.9%)이 올해 생산량 증가를 전망하며 소재 섹터 역시 1.2% 올라 증시 상승을 견인. 반면 경기방어주인 유틸리티(-0.2%) 업종은 소폭 내림세 마감. 개별 기업으로는 스웨덴 자동차 업체 볼보(VOLVB)와 가전제품 업체 일렉트로룩스(ELUXB)가 컨센서스를 하회한 실적과 하반기 생산 위축 우려를 나타내며 각 2.5%, 6.4% 하락 마감. 한편 미국 정부가 코로나19 재확산을 이유로 영국에 대한 여행경보를 다시 가장 높은 수준인 4단계로 격상하였으며, 독일 6월 소비자물가(PPI)는 1982년 이후 최고치(전년비 +8.5%)를 기록하는 등 델타 변이 확산과 인플레이션 이슈가 지속적인 증시 변동성으로 작용할 전망. 

 

출처: < https://m.myasset.com/extern/researchPortal/RP_0001000_P1.cmd?menuid=RP_0105000_P1&searchKeyGubun=1&keyword=&page=1&base_date=20210721055053&gbn=B&res_seq=172466>

 

 

 

[미래에셋증권] 해외 금융시장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 (02-3774-1621)

 

◆ 미국 증시

- DOW: 34,511.99p (549.95p, +1.62%)

- S&P500: 4,323.06p (64.57p, +1.52%)

- NASDAQ: 14,498.88p (223.90p, +1.57%)

 

◆ 한국 관련

- MSCI 한국지수 ETF: $89.94 (+1.33, +1.5%)

- MSCI 이머징지수 ETF: $52.86 (+0.17, +0.32%)

- Eurex kospi 200: 429.95p (+1.45p, +0.34%)

- NDF 환율(1개월물): 1,148.85원 / 전일 대비 3원 하락 출발 예상

 

◆ 외환시장

- 달러인덱스: 92.958 (+0.067, +0.07%)

- 유로/달러: 1.1783 (-0.0017, -0.14%)

- 달러/엔: 109.85 (+0.39, +0.36%)

- 파운드/달러: 1.363 (-0.0045, -0.33%)

 

◆ 미국 국채시장

- 2년물: 0.1996% (-1.6bp)

- 5년물: 0.6802% (-2.4bp)

- 10년물: 1.2185% (+3bp)

- 30년물: 1.8771% (+5.7bp)

- 스프레드(10Y-2Y): +101.89bp (+4.57bp)

(국채선물)

- 2YR T-Notes: 110*09 1/2 (+0*01 , +0.04%)

- 5YR T-Notes: 124*15 3/4 (+0*04 , +0.1%)

- 10YR T-Notes: 134*21 1/2 (-0*00 1/2, -0.01%)

- US T-Bonds: 165*13   (-0*24 , -0.45%)

- Ultra US T-Bonds: 200*11   (-2*2 , -1.02%)

 

◆ 상품시장 ($, 단 곡물, 구리는 센트)

- WTI: 67.2 (+0.85, +1.28%)

- 브렌트유: 69.35 (+0.73, +1.06%)

- 금: 1,811.40 (+2.2, +0.12%)

- 은: 24.995 (-0.149, -0.59%)

- 아연(LME, 3M): 2,962.00 (-15.0, -0.50%)

- 구리: 426.3 (+6.15, +1.46%)

- 옥수수: 565.75 (+13.5, +2.44%)

- 밀: 700.5 (+2.75, +0.39%)

- 대두: 1,388.50 (+15.75, +1.15%)

- BDI: 3,059.00 (+20, +0.66%)

 

*동 자료는 2021년 7월 21일 미래에셋증권 홈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를 요약한 것입니다.

 

글로벌 주식시장 변화와 전망(7월 21일)

미래에셋증권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02-3774-1621)

 

코로나 공포 소강상태 및 애플, IBM의 힘으로 상승

 

미 증시는 코로나 델타 변이 바이러스 확산 지속에도 공포심리가 소강상태를 보인 가운데 상승. 특히 시장의 관심이 오늘은 코로나에서 실적으로 전환한 점도 특징. 애플(+2.60%)이 실적 개선 기대 확산으로 강세를 보였고, IBM(+1.49%)의 실적을 견인한 클라우드 매출 증대로 관련 기업들 즉 대형 기술주의 강세가 지수 상승을 견인. 더불어 전일 약세폭을 키웠던 금융, 산업재, 여행, 레저 업종이 코로나 확산 불구 대규모 봉쇄는 없을 것이라는 기대 속 강세를 보인 점도 특징(다우 +1.62%, 나스닥 +1.57%, S&P500 +1.52%, 러셀2000 +2.99%)

 

http://securities.miraeasset.com/bbs/maildownload/2021072105433274_3431

 

 

[2021.07.20 (화) 필라델피아 반도체] 하나금융투자 반도체 애널리스트 김경민, CFA

 

전일 대비 +1.38%, 3,191선 마감

상승주 29, 하락주 1

 

다우 +1.62%, 나스닥 +1.57%, S&P 500 +1.52%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지난주에 4영업일 연속 하락하며 3,145선까지 후퇴했다가 월요일에 강보합으로 마감한 후 화요일에 3,191선까지 회복

 

코로나 변이 확산에 대한 우려가 지속되는 가운데 반도체 및 하드웨어 업종에서 수요일 Seagate(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공급사) 및 ASML(EUV 노광 장비 공급사) 실적 발표를 앞두고 반도체 지수 편입주에 반발 매수세 유입

 

아울러 전일 실적을 발표했던 IBM이 낮았던 기대감 대비 호조세를 보여 2분기 매출이 역성장하지 않고 전년 동기 대비 3% 성장해 주가가 +1.38% 상승 마감한 것도 반도체 및 하드웨어 업종의 투자 심리에 긍정적 기여

 

반도체 지수 편입주 중에 엔비디아만 유일하게 하락. 전일 대비 -0.89% 하락한 186.12달러 기록. 어제부터 4:1 주식 분할된 기준으로 마감. 장중에 181.64달러까지 하락하기도 했으나 오후장에 낙폭을 줄이며 마감. 비트코인 가격이 하락했으나 엔비디아의 주가에 지나친 수준으로 부정적 영향을 끼친 것 같지 않음. 2018년에 비트코인 가격 변동성이 컸을 때와 달리 엔비디아가 코인 채굴용 프로세서 재고 관리를 전개하고 있기 때문

 

가장 크게 상승한 업종은 특정 업종에 국한되지 않았고, 시총이 크지 않은 중소형주 위주의 개별종목 장세 흐름을 이어감. 반도체 장비 공급사 MKSI +4.10%, Brooks +3.72%. 차량용 반도체 공급사 Microchip +3.83%. 화합물 반도체 수혜주 Two Six +3.64%, Cree +3.52%, 반도체 공정소재 공급사 Entegris +3.50% 기록

 

대형주는 상대적으로 완만하게 상승. ASML 홀딩 ADR +0.01%, 퀄컴 +0.55%, AMD +0.61%, 브로드컴 +0.63%, 텍사스 인스트루먼트 +0.82%, TSMC ADR +0.91% 기록

 

메모리 반도체 및 스토리지 업종 반등. 마이크론 +1.09%, WDC +2.62%, 실리콘 모션 +1.34%, Seagate +1.42% 기록. 내일 Seagate 실적 발표 예정. 마이크론 주가는 75.39달러로 마감

 

감사합니다.

 

 

[한투증권 전기전자/핸드셋 조철희]

7월21일 IT 주요뉴스

 

● 삼성·구글·샤오미, 폴더블폰에 120Hz LTPO 디스플레이 탑재

-DSCC는 올해 출시되는 폴더블 스마트폰이 삼성디스플레이의 폴더블 패널을 사용하기 때문에 120Hz LTPO 기술 적용될 전망

-삼성디스플레이 폴더블 패널은 삼성전자를 비롯해 구글의 7.57인치 '픽셀폴드', 오포의 7.11인치, 샤오미의 8.1인치, 비보의 8.2인치 폴더블 스마트폰 등에 탑재

Link: https://bit.ly/3xUh0wq

 

● 애플, 아이패드에 OLED 탑재 확정…삼성·LG, 중소형 OLED 투자 검토

-애플은 내년 출시 예정인 아이패드 신제품에 OLED 탑재 확정. 국내 디스플레이 업체들의 IT용 OLED 투자 검토 시작

-2023년 IT용 OLED 패널 양산을 본격적으로 시작하기 위해서는 올해 장비를 발주하고, 내년 모든 설비를 갖춰야 함

Link: https://bit.ly/3zjsOZn

 

● Chip orders for 5G smartphones picking up(Digitimes)

-대만 반도체 디자인 하우스는 3분기 5G 스마트폰용 칩 수주 증가에 따라 매출이 QoQ 10% 이상 증가할 전망

-하반기에 5G 신모델을 출시할 중화권 핸드셋 업체들과 삼성전자/애플 서플라이체인에서 주문 폭증

Link: https://bit.ly/3eH4KHU

 

● 화웨이, 차이나모바일·중국광전 5G 기지국 60% 수주

-화웨이는 중국 최대 이동통신사 차이나모바일과 신생 이통사 중국광전이 공동으로 추진한 700㎒ 5G 기지국 설비 공개 구매에서 약 60% 물량 수주

-차이나모바일과 중국광전은 공개 입찰을 통해 총 48만개 기지국 설비를 구매. 화웨이에 이어 ZTE가 31%를 공급. 노키아와 에릭슨은 각각 4%와 2%를 공급

Link: https://bit.ly/3zhseLz

 

● 2035년부터 전기차만 팔겠다는 EU가 그리는 '미래 배터리'

-EU 집행위원회는 2035년부터 유럽 내에서 내연기관 엔진차 판매를 사실상 금지하기로 결정. EU 회원국들의 수용 여부가 변수

-폭스바겐은 2030년까지 신차 판매량의 절반을 전기차로 채울 예정. 볼보와 포드는 2030년, GM은 2035년에 모든 차종을 전기차로 전환 계획

Link: https://bit.ly/3kzaeIG

 

 

 

728x90
728x90

주식 스터디를 위해 개인적으로 스크랩한 증시캘린더, 국내 및 해외마감 시황, 뉴스 자료를 공유합니다.

1) 증시캘린더는 개인적으로 관련된 소식을 확인후 작성한 일정이라 변동 또는 오류의 소지가 있습니다.

2) 노션으로 공유한 링크는 익스플로러에선 제대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크롬에 최적화, 엣지, 웨일에서도 잘 작동합니다.

    ( 공유 자료링크는 1~2일후 공유 해지 합니다.)

 

게시물은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한 것이라

불확실하거나 오류가 많을 수 있으므로 투자 활용시 유의하시기 바라며, 개별적인 종목 추천이나 상담은 하지 않습니다.

 

모쪼록 제 공간에 오신 모든 분들이 주식스터디를 통해 인생 한 방보다, 꾸준함을 믿으며...

복리의 마법으로 모든 분들이 성공한 개인투자자가 되시길...


뉴욕증시, 델타 변이 확산에 하락…유가 7.5% 추락 [출근전 꼭 글로벌브리핑]

전문가 "미 증시, 향후 3~5% 하락 가능성"

10년물 국채금리 5개월래 최저치

로빈후드 "미 개인투자자, 주식·암호화폐 거래량 감소"

유럽 하락, 중국 혼조·베트남 하락

출처: <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107200015&t=NN>

 

 

 

2021년 7월 20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미 국무부가 영국 여행단계를 방문금지로 상향했습니다.

 

(2) OPEC+ 증산과 영국 여행금지로 경기민감주가 급락하고 ARK 혁신 ETF는 올랐습니다.

 

(3) 텐센트가 영국의 게임기업 스모를 PER 60배 12억달러 가치에 인수했습니다.

 

미 5년 breakeven rate 2.451%, -0.103%p (2% 상회시 유의, 2.5% 상회시 경고)

한국 고객예탁금, 68.9조원 -0.4조원

 

K200 야간선물 등락률, -1.13%

1개월 NDF 환율 1,152.35원 (+4.65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2021.07.20) U.S. & EU Market Closing

2021.07.20  허단

U.S. Market Closing – 05:00 기준

지수 종가 등락폭 등락률 상승/하락/보합
DOW 33,962.04 -725.81 -2.1% 0/30/0
S&P500 4,258.49 -68.67 -1.6% 60/445/0
NASDAQ 14,274.98 -152.26 -1.1% 955/2274/149
RUSS 2K 2,130.68 -32.56 -1.5% 427/1529/21
PHLX 반도체지수 3,147.51 2.07 0.1% 12/18/0
VIX지수 22.50 4.05 22.0%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미국 증시는 델타 변이 확산으로 인한 경제 둔화 가능성을 주시하며 큰 폭 하락 마감. 최근 글로벌 델타 변이 확산과 더불어 미국 내에서도 백신 미접종자를 중심으로 코로나 확산세가 급증하자 재봉쇄 우려와 이에 따른 경제 회복 둔화 가능성에 위험 자산 선호 심리가 크게 위축된 모습. 금일 시장에서는 안전자산으로 자금이 유입되며 달러가 강세를 시현하였으며, 10년물 국채 금리는 장 중 한때 1.17%선을 기록해 지난 2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 이러한 영향으로 미국 증시에서 모든 업종이 내림세를 기록한 가운데 여행/항공, 금융, 에너지 섹터가 증시 하락을 주도하였으며, 빅테크 기업인 FAANG의 주가 역시 일제히 내림세로 마감. 한편, 최근 증시 하락과 관련하여 펀드스트랫 글로벌 어드바이저의 토머스 리 애널리스트는 신규 확진자 수는 포물선 형태로 10만 명까지 늘어날 수 있으나 추후 감소할 것으로 예상하며 7월 하락 장을 매수 기회로 제시.

 

U.S. ETF Closing – 05:00 기준

Sector

분류 티커 현재가 등락률 t신호 수익률






1개월 3개월 1년
필수소비재 XLP 70.8 -0.3% 햇빛 2.3% 3.6% 16.9%
헬스케어 XLV 127.3 -1.0% 햇빛 1.8% 3.7% 21.7%
자유소비재 XLY 176.0 -1.2% 안개 0.6% -1.3% 31.0%
IT XLK 148.2 -1.4% 햇빛 2.5% 3.5% 40.4%
커뮤니케이션 XLC 79.6 -1.5% 햇빛 -0.3% 4.1% 40.9%
유틸리티 XLU 65.3 -1.5% 햇빛 1.9% -0.7% 11.0%
부동산 VNQ 103.4 -1.8% 햇빛 0.8% 6.2% 36.1%
산업재 XLI 99.8 -2.1% 안개 -1.8% -1.1% 39.8%
소재 XLB 79.4 -2.2% 안개 -3.7% -4.4% 31.0%
금융 XLF 35.1 -2.8% 안개 -2.4% -0.8% 47.1%
에너지 XLE 47.0 -3.5% 안개 -13.7% -0.9% 30.9%

자료: 티레이더,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금일 섹터별 ETF는 모두 하락한 가운데 경기방어주인 필수소비재(XLP/-0.3%) 섹터가 선방하였으며, 소재(XLB/-2.2%), 금융(XLF/-2.8%), 에너지(XLE/-3.5%) 섹터가 하락 마감. 금일 필수소비재(XLP) 섹터에서는 코로나 확산으로 인한 봉쇄 시 수혜를 얻을 수 있는 식료품, 유통체인의 주가가 오름세를 기록하였으며, 크로거(KR)가 4.3% 올라 섹터 하락을 제한. 반면 달러 강세와 비철금속 가격 약세에 소재(XLB) 섹터는 2.2% 하락 마감하였으며, 국채 금리 하락 영향으로 뱅크오브아메리카(BAC/-2.6%), JP모건(JPM/-3.3%)이 약세를 시현하며 금융(XLF) 섹터는 2.8% 내림세 마감. 한편 최근 OPEC+의 원유 증산 합의 소식에 8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배럴당 7.5% 내린 $66.4선에 거래를 마쳐 10개월래 최대 하락 폭을 기록하였으며, 이 영향으로 정유 기업 전반의 주가가 약세를 시현하며 에너지(XLE) 섹터는 3.5% 하락 마감.

 

Thematic

분류 티커 현재가 등락률 t신호 수익률






1개월 3개월 1년
생명공학 IBB 161.8 0.7% 안개 0.6% 2.2% 16.2%
반도체 SOXX 426.7 0.0% 안개 -1.2% -3.2% 52.9%
주거건축 XHB 70.2 -1.0% 안개 -2.2% -6.8% 45.6%
모바일결제 IPAY 68.2 -2.9% 안개 -3.5% -6.5% 30.4%
여행/관광산업 AWAY 26.6 -3.2% 안개 -12.9% -13.7% 42.5%

자료: 티레이더,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테마 ETF는 생명공학(IBB/+0.7%) 테마가 상승, 반도체(SOXX/0.0%) 보합, 주거건축(XHB/-1.0%), 여행/관광산업(AWAY/-3.2%)이 하락 마감. 금일 모더나(MRNA)는 지난 주 S&P500 편입 소식과 델타 변이 확산 소식에 2거래일 연속 강세를 이어가며 9.5% 상승하였으며, 백신 관련주인 노바백스(NVAX)가 12.8% 상승하여 생명공학(IBB) 테마 상승을 견인. 한편, 증시 전반의 하락 속에 AMD(AMD/+0.8%)와 엔비디아(NVDA/+3.4%)가 상승하며 반도체(SOXX) 테마는 보합세로 마감하였으며, 금일 발표된 7월 주택시장지수가 지난해 8월 이후 최저치(80)로 집계되며 주거건축(XHB) 테마는 1.0% 하락 마감.  

 

출처: <https://m.myasset.com/extern/researchPortal/RP_0001000_P1.cmd?menuid=RP_0105000_P1&searchKeyGubun=1&keyword=&page=1&base_date=20210720053723&gbn=B&res_seq=172424>

 

 

 

 

 

[미국 하락 = 오랜만의 조정과 저가매수]

(Feat. 코로나? 경기 피크아웃? )

 

*코로나 : 신규확진자 감소(일요일 기준)

(전일 26,733 / WoW -6.2%)

 

•영국 (인구 68m)

-1샷이상 접종 : 46m

-주력 백신 : 아스트라제네카(50%이상)

 

•이스라엘(인구 8.8m)

-1샷이상 접종 : 5.7m

-주력 백신 : 화이자(100%)

 

•미국(인구 333m)

-1샷이상 접종 : 160m

-주력 백신 : 화이자(60%이상)

 

<About Market>

아침부터 시장은 아시아/유럽시장 하락영향과 코로나 델타변이 확산 우려로 갭하락으로 시작하였습니다. 이후 오랜만의 큰폭의 조정세에 유입되는 저가매수세로 추가적인 하락폭 확대는 제한적 이었습니다.

 

국채금리, 유가, 구리가격 등 인플레이션우려가 있던 대부분의 가격지표들은 코로나 재확산으로 인한 글로벌 경기둔화 우려로 하락하였습니다.

 

전반적으로 투자금은 NYSE(경기민감주)에서 NASDAQ(테크)로 이동하는 모습이었습니다.

 

•나스닥 -1.1% / 러셀2000 -1.5%

•S&P500 -1.6% / 다우 -2.1%

-나스닥 Top10 : 상승 3 vs 하락 7

 

-비트코인 : $31,000

-미국채금리(10y) : 1.194 (-8.1%)

-WTI : $66.39 (-7.2%)

 

SMART한 주식투자

https://t.me/frankinvest

 

 

 

[미래에셋증권] 해외 금융시장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 (02-3774-1621)

 

◆ 미국 증시

- DOW: 33,962.04p (-725.81p, -2.09%)

- S&P500: 4,258.49p (-68.67p, -1.59%)

- NASDAQ: 14,274.98p (-152.26p, -1.06%)

 

◆ 한국 관련

- MSCI 한국지수 ETF: $88.61 (-2.1, -2.32%)

- MSCI 이머징지수 ETF: $52.69 (-0.9, -1.68%)

- Eurex kospi 200: 424.45p (-4.85p, -1.13%)

- NDF 환율(1개월물): 1,152.75원 / 전일 대비 4원 상승 출발 예상

 

◆ 외환시장

- 달러인덱스: 92.845 (+0.158, +0.17%)

- 유로/달러: 1.1798 (-0.0008, -0.07%)

- 달러/엔: 109.47 (-0.6, -0.55%)

- 파운드/달러: 1.3672 (-0.0095, -0.69%)

 

◆ 미국 국채시장

- 2년물: 0.2156% (-0.6bp)

- 5년물: 0.7059% (-6.8bp)

- 10년물: 1.1921% (-9.8bp)

- 30년물: 1.8204% (-9.9bp)

- 스프레드(10Y-2Y): +97.65bp (-9.23bp)

(국채선물)

- 2YR T-Notes: 110*08   (+0*01 , +0.03%)

- 5YR T-Notes: 124*11 3/4 (+0*14 , +0.35%)

- 10YR T-Notes: 134*22   (+0*29 , +0.68%)

- US T-Bonds: 166*05   (+2*11 , +1.43%)

- Ultra US T-Bonds: 202*13   (+4*16 , +2.27%)

 

◆ 상품시장 ($, 단 곡물, 구리는 센트)

- WTI: 66.42 (-5.39, -7.51%)

- 브렌트유: 68.62 (-4.97, -6.75%)

- 금: 1,809.20 (-5.8, -0.32%)

- 은: 25.144 (-0.651, -2.52%)

- 아연(LME, 3M): 2,977.00 (-26.0, -0.87%)

- 구리: 420.15 (-12.15, -2.81%)

- 옥수수: 552.25 (+0.25, +0.05%)

- 밀: 697.75 (+5.25, +0.76%)

- 대두: 1,372.75 (-19, -1.37%)

- BDI: 3,039.00 (-34, -1.11%)

 

*동 자료는 2021년 7월 20일 미래에셋증권 홈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를 요약한 것입니다.

 

글로벌 주식시장 변화와 전망(7월 19일)

미래에셋증권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02-3774-1621)

 

미 증시, 코로나 확산과 경제 성장 우려로 하락

 

미 증시는 유럽 증시가 코로나로 인한 경기 둔화 우려로 지난 해 10월 이후 최악의 하루를 기록하자 동반 하락. 더불어 국제 유가 급락과 국채 금리 하락으로 금융, 에너지 업종이 부진한 점도 지수 하락 요인. 한편, 애플(-0.00%)이 스마트폰 출하량 부진 여파로 이틀 연속 하락하는 등 개별 기업 이슈 또한 투자심리에 부정적인 영향. 더 나아가 러셀2000 지수가 장 중 한 때 이달 들어 10% 약세를 보이며 조정장으로 전환 된 점도 투자심리 위축 요인(다우 -2.09% 나스닥 -1.06%, S&P500 -1.59%, 러셀2000 -1.50%)

 

변화요인 : ①코로나와 경기 정점 논란 ②애플 하락 원인

http://securities.miraeasset.com/bbs/maildownload/2021072005434711_3431

 

 

728x90
728x90

주식 스터디를 위해 개인적으로 스크랩한 증시캘린더, 국내 및 해외마감 시황, 뉴스 자료를 공유합니다.

1) 증시캘린더는 개인적으로 관련된 소식을 확인후 작성한 일정이라 변동 또는 오류의 소지가 있습니다.

2) 노션으로 공유한 링크는 익스플로러에선 제대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크롬에 최적화, 엣지, 웨일에서도 잘 작동합니다.

    ( 공유 자료링크는 1~2일후 공유 해지 합니다.)

 

게시물은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한 것이라

불확실하거나 오류가 많을 수 있으므로 투자 활용시 유의하시기 바라며, 개별적인 종목 추천이나 상담은 하지 않습니다.

 

모쪼록 제 공간에 오신 모든 분들이 주식스터디를 통해 인생 한 방보다, 꾸준함을 믿으며...

복리의 마법으로 모든 분들이 성공한 개인투자자가 되시길...


뉴욕증시, 2분기 실적·국채 금리 주시 [출근전 꼭 글로벌브리핑]

미 증시, 엇갈린 지표에 하락

"반도체 부품사, 부품 부족 여파로 실적 성장세 둔화"

WSJ "OPEC+, 추가 증산 합의…유가 안정 전망"

유럽·중국 하락, 베트남 증시 상승

출처: <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107190014&t=NN>

 

 

2021년 7월 19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미 민주당이 파월 Fed 의장 연임으로 기울었다고 FT가 보도했습니다.

 

(2) 미 소비심리가 인플레로 하락한 가운데 OPEC+가 감산완화에 합의했습니다.

 

(3) LBO 증가로 상반기 미 레버리지론 발행이 8년래 최대로 늘었습니다.

 

미 5년 breakeven rate 2.555%, -0.013%p (2% 상회시 유의, 2.5% 상회시 경고)

한국 고객예탁금, 69.3조원 +2.9조원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54%

1개월 NDF 환율 1,142.65원 (+2.60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7/19 Kiwoom Weekly, 키움 전략/시황 한지영]

 

"불편한 인플레이션, 불안과 기대가 공존하는 실적시즌"

 

한국 증시는 인플레이션 민감 장세 재진입이 예상되는 가운데, 2분기 실적 시즌, 주요국들의 제조업 지표 등 대내외 이벤트 관련 대기심리가 부각됨에 따라, 주중 상승세가 제한되는 주가흐름을 보일 전망.

 

7월 FOMC를 앞두고 연준 위원들이 블랙아웃 기간에 재차 돌입한다는 점도 인플레이션에 대한 시장의 민감도를 높일 것으로 판단(주중 코스피 예상 레인지 3,220~3,320pt).

 

16일(금) 미국 증시가 6월 소매판매 서프라이즈(+0.6%MoM, 예상 -0.4%)에도 하락세를 보인 배경은 고 인플레이션 민감장세의 영향권에 다시 진입한 데서 주로 기인.

 

미국의 7월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 예비치는 80.8로 전월(85.5) 및 예상치(86.3)를 모두 하회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

 

현재여건(88.6→84.5), 6개월 경기기대(83.5→78.4) 등 현재와 미래 경기에 대한 실물경제주체들의 낙관론이 후퇴. 미국인들이 예상하는 12개월 기대인플레이션(4.8%, 전월 4.2%)이 급등하면서, 그동안 견조했던 실물 소비가 잠재적으로 저해될 것이라는 우려가 부각되고 있는 모습.

 

파월의장, 옐런 재무장관 등 주요 미국의 정책 결정자들이 인플레이션을 일시적이라고 평가하면서도, 현재의 높은 인플레이션에 대해 불편함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보임.

 

이들이 일시적인 인플레이션을 판단하는 데 있어서 가변성이 존재하는 만큼, 인플레이션 민감 장세는 최소 8월말 잭슨홀 미팅 때까지 이어질 것이라는 기존의 당사 관점은 유지.

 

한국과 미국 모두 실적 시즌에 대한 경계와 불안감이 공존하고 있다는 점도, 주중 시장의 변동성을 높일 수 있는 요인.

 

선진국 중심의 글로벌 어닝 리비젼이 재차 상승 전환하고 있는 것은 긍정적으로 볼 수 있음.

 

그러나 지난주 미국 대형 은행주들의 어닝 서프라이즈 이후 부진한 주가흐름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이제 시장참여자들은 2분기가 아닌 그 이후의 호실적에 대한 정당성을 찾고 있는 것으로 보임.

 

따라서, 금주 IBM, 넷플릭스, 인텔 등 미국의 주요 기업, 현대차, NAVER 등 국내 초대형 시가총액 상위 기업들의 2분기 수치보다 컨퍼런스 콜이 이들 기업의 주가에 더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 

 

이 같은 경계요인들이 주중 대기하고 있음에도, 7월 20일까지의 국내 수출 호조 전망, 시중 풍부한 유동성 환경 지속 등으로 업종 순환매 장세가 유효할 것이라는 점은 국내 증시의 하단을 지지시켜줄 것으로 예상. 

 

https://www.kiwoom.com/h/invest/research/VMarketSWDetailView?sqno=534

 

 

 

 

 

 

[미래에셋증권] 해외 금융시장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 (02-3774-1621)

 

◆ 미국 증시

- DOW: 34,687.85p (-299.17p, -0.86%)

- S&P500: 4,327.16p (-32.87p, -0.75%)

- NASDAQ: 14,427.24p (-115.89p, -0.80%)

 

◆ 한국 관련

- MSCI 한국지수 ETF: 90.71p (-0.95p, -1.04%)

- MSCI 이머징지수 ETF: 53.59p (-0.42p, -0.78%)

- Eurex kospi 200: 431.75p (-2.35p, -0.54%)

- NDF 환율(1개월물): 1,142.65원 / 전일 대비 2원 상승 출발 예상

 

◆ 외환시장

- 달러인덱스: 92.687 (+0.063, +0.07%)

- 유로/달러: 1.1806 (-0.0006, -0.05%)

- 달러/엔: 110.07 (+0.24, +0.22%)

- 파운드/달러: 1.3767 (-0.0062, -0.45%)

 

◆ 미국 국채시장

- 2년물: 0.2215% (-0.2bp)

- 5년물: 0.7734% (-0.2bp)

- 10년물: 1.2903% (-0.9bp)

- 30년물: 1.9192% (-0.1bp)

- 스프레드(10Y-2Y): +106.88bp (-0.70bp)

(국채선물)

- 2YR T-Notes: 110*07   (+0*00 , +0%)

- 5YR T-Notes: 123*29 3/4 (0*00 , 0%)

- 10YR T-Notes: 133*25   (-0*00 1/2, -0.01%)

- US T-Bonds: 163*26   (-0*03 , -0.06%)

- Ultra US T-Bonds: 197*29   (-0*13 , -0.2%)

 

◆ 상품시장 ($, 단 곡물, 구리는 센트)

- WTI: 71.81 (+0.16, +0.22%)

- 브렌트유: 73.59 (+0.12, +0.16%)

- 금: 1815 (-14, -0.77%)

- 은: 25.795 (-0.599, -2.27%)

- 아연(LME, 3M): 3003 (+34.5, +1.16%)

- 구리: 432.3 (0, 0%)

- 옥수수: 552 (-4.25, -0.76%)

- 밀: 692.5 (+20.5, +3.05%)

- 대두: 1391.75 (+11.75, +0.85%)

- BDI: 3039 (-34, -1.11%)

 

*동 자료는 2021년 7월 19일 미래에셋증권 홈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를 요약한 것입니다.

 

글로벌 주식시장 변화와 전망(7월 19일)

미래에셋증권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02-3774-1621)

 

미 증시, 인플레 부담과 코로나 확산으로 부진

 

미 증시는 소매판매 개선에 힘입어 상승 출발 했으나, 인플레이션 압력 확산에 따른 부담으로 하락 전환. 특히 소비 심리지수 둔화의 영향이 컸음. 오후 들어 낙폭이 확대된 요인은 코로나 확산, 옵션 만기일에 따른 여행, 레저, 소비 관련 종목 등 경기 민감주 중심으로 매물이 출회된 점이 영향을 준 것으로 추정. 결국 미 증시는 인플레 압력 부담 및 코로나 확산 등으로 매물 출회되며 하락(다우 -0.86%, 나스닥 -0.80%, S&P500 -0.75%, 러셀2000 -1.24%)

 

변화요인: 인플레이션 확대에 대한 부담 부각

http://securities.miraeasset.com/bbs/maildownload/2021071811401568_3431

 

[한투증권 전기전자/핸드셋 조철희]

7월19일 IT 주요뉴스

 

● "삼성, 다음달 11일 갤럭시 언팩 행사".. 예고 이미지 등장

-팁스터의 유출 이미지에 따르면 갤럭시 언팩 행사는 8월 11일. 폴더블폰 신모델과 웨어러블 공개 예정

-폴더블 신모델의 출고가는 Z폴드3, Z플립3 두 모델 다 40만원 가량 낮아질 전망

Link: https://bit.ly/36H4K6B

 

● ‘9조4700억원’ 에릭슨, 사상 최대 5G 계약 따냈다

-에릭슨은 미국 버라이즌과 83억달러(약 9.5조원) 5G 계약 체결. 버라이즌은 에릭슨 및 삼성전자와 함께 5G 네트워크 구축

-5G 중대역(C밴드) 기지국 장비를 비롯해 매시브MIMO, 클라우드RAN, 소프트웨어 등을 제공할 예정

Link: https://bit.ly/3xR3yt4

 

● LG디스플레이, 애플 폴더블폰 패널 개발 '착착'

-LG디스플레이가 애플에 납품할 폴더블 디스플레이 개발 작업 진행 중. 애플은 2023년 ‘폴더블 아이폰’을 출시할 전망

-양사가 협업 중인 폴더블 패널은 안으로 접히는 ‘인폴딩’ 방식. 접히는 부분을 식각 공정으로 얇게 만드는 기술을 적용, 사이즈는 7.5인치 내외로 추정

Link: https://bit.ly/3eyCNSB

 

● Component crunch may constrain handset shipment growth in 3Q21(Digitimes)

-3분기 글로벌 핸드셋 출하량은 +10-15% QoQ 예상. 실제 출하량은 일부 부품 쇼티지 영향을 받을 수 있음

-하반기 삼성전자의 폴더블폰, 아이폰 신모델 등이 출시될 예정이기 때문에 부품 부족 상태는 지속될 전망

Link: https://bit.ly/3xOlMeJ

 

● Upstream PCB materials supply remains tight(Digitimes)

-동박, 에폭시 레진 등 PCB 원재료 공급 부족 현상 지속. PCB 제조업체들의 원재료 주문 속도는 계속 증가하고 있음

-PCB 업체들에 따르면 중화권 핸드셋 업체들의 주문량은 둔화

Link: https://bit.ly/3kyf8pg

 

● XR기기 급성장세...“애플글래스 내년에 나온다”

-현재 애플글래스 VR은 최종 시제품 단계. 렌즈 6개와 3D LiDAR 센서 등이 장착. 가격대는 1,000달러 안팎으로 추산

-카운터포인트에 따르면 1분기 XR 기기 출하량은 전년대비 약 3배 증가. 오큘러스 퀘스트2 출시가 성장세를 이끌었음

Link: https://bit.ly/2TkpBJP

 

 

 

 

『하루를 여는 혁신투자자문 IPO News Letter💌 - 20210719』

 【 텔레그램 채널 주소 : https://t.me/KoreaIB

 【 IPO상장문의 및 이경준 대표 Contact ☞ 📧 ipo@kakao.com 】

 

 

===========================

 

개인 일정으로, 내일과 모레 Daily는 잠시 쉬어가고,

한국경제TV 등 생방송은 그대로 방송합니다.

 

===========================

 

📌Today's Topic1》

카카오뱅크에 모바일 게임 '오딘' 광고가 실린 이유 [김민석의 IPO브리핑]

https://www.sedaily.com/NewsView/22OYKU753D

☞ 공모주를 10년 이상 투자해 온 이경준 혁신투자자문 대표가 대표적이다. 이 대표는 “카카오뱅크가 은행주인 것은 명확하다”면서도 “금융산업이 비대면·온라인화되는 가운데 시중은행들이 카카오뱅크 수준의 애플리케이션·온라인 금융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겠냐”고 반문했다.

또한 “결국 상장 이후 주가는 투심에 좌우될 수 밖에 없다”며 “비대면 금융서비스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면서 대부분의 기관들이 상단을 상회하는 가격을 써낼 것”이라고 자신했다. 실제 일부 기관들은 공모가를 이미 상단 이상으로 정해두고 의무 보유 확약 기간에 대해 고민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

 

📌Today's Topic2》

몰리는 청약증거금…공모주 '따상' 돌아오나

https://newsis.com/view/?id=NISX20210715_0001514724&cID=15001&pID=15000

공모주 경쟁률 높아지자 '따상' 기대감 고조

http://www.sisa-news.com/news/article.html?no=164592

몰리는 청약증거금…공모주 '따상' 돌아오나

http://www.fdaily.co.kr/news/article.html?no=65692

☞ 이경준 혁신투자자문 대표는 “메타버스 플랫폼 기술력을 갖춘 맥스트의 경우 기관투자자 대부분이 희망밴드 상단을 초과한 가격을 제시했다"며 "상장 당일 따상으로 직행할 가능성이 높고 따상상(따상 다음날 상한가)도 가능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이 대표는 "그밖에 카카오페이나 HK이노앤, 원티드랩 등을 따상 가능성이 있는 종목으로 보고 있다"면서 "SD바이오센서의 경우 상장일에 나올 물량이 있고 따상을 하면 10조원이 넘어가기 때문에 어느 정도 올라도 직행하긴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

 

📌Today's Topic3》

'K-진단키트' SD바이오센서, 증시 '굿 스타트'…"확진자 줄면 주가 우상향 어려울 듯" 전망도 나와

http://mbnmoney.mbn.co.kr/news/view?news_no=MM1004393095

☞ 인터뷰(☎️) : 이경준 / 혁신투자자문 대표

- "(주가는) 코로나 이슈와 동일하게 진행이 될 것 같습니다. 확진자가 늘면 자연스럽게 주가가 상승하겠죠. 확진자가 결국에는 줄어들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우상향 보다는 오르다가 유지 정도될 텐데, 그게 어느 시점인지는 모르는 거죠."

 

 

===========================

 

★ 금일 IPO 일정 ★

 07/14~27 크래프톤 수요예측⚖️

 07/16~19 맥스트 청약🖨

 07/19~20 에브리봇 청약🖨

 

☆ 금주 남은 IPO 일정 ☆

 07/14~27 크래프톤 수요예측⚖️

 07/19~20 에브리봇 청약🖨

 07/20~21 카카오뱅크 수요예측⚖️

 07/21 맥스트 납입🏧

 07/22 큐라클 상장★

 07/22 에브리봇 납입🏧

 07/22~23 에이치케이이노엔 수요예측⚖️

 

 ------------------------------------------

 

▣ 기관IR 일정 ▣

 - 온라인 간담회로만 진행 中 -

 

▣ 상장 일정(예정, 변경가능) ▣

 07/22 큐라클(삼성증권)

 07/27 맥스트(하나금융투자)

 07/28 에브리봇(NH투자증권)

 08/05 카카오뱅크(KB증권)

 08/10 에이치케이이노엔(한국투자증권, 삼성증권)

 08/10 크래프톤(미래에셋증권)

 08/11 원티드랩(한국투자증권)

 08/13 엠로(한국투자증권)

 08/13 딥노이드(KB증권)

 08/17 플래티어(KB증권)

 08/17 한컴라이프케어(미래에셋증권)

 08/18 브레인즈컴퍼니(키움증권)

 08/19 아주스틸(미래에셋증권)

 08/19 롯데렌탈(NH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08/24 일진하이솔루스(미래에셋증권, 삼성증권)

 08/24 에이비온(미래에셋증권)

 08/25 바이젠셀(대신증권)

 미정 - 카카오페이(삼성증권)

 

▣ 심사 승인 ▣

 - 실리콘투(삼성증권, 미래에셋증권)

 - 와이엠텍(KB증권)

 - 에스앤디(유진투자증권)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 국내 IPO 개별종목

■ 퇴짜맞은 카카오페이…공모가 하향·상장 연기 불가피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107160235&t=NN

 

■ [단독] 상장 앞둔 현대오일뱅크, 자회사 현대오일터미널 매각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107166884i

 

■ IPO 대어 LG에너지솔루션, 공모금액 신기록 도전

https://www.ceoscoredaily.com/page/view/2021071515432192050

 

■ 카카오엔터, 멜론 흡수로 IPO 유리한 고지 점했다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7151644031960102429&lcode=00&page=1&svccode=00

 

■ SM상선, 공모주 절반이 구주…그룹 보유 지분 나온다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7141535164240107540&lcode=00&page=2&svccode=00

 

■ GA 인카금융, 연내 IPO 재시동…지분투자 산 넘을까

https://www.econovill.com/news/articleView.html?idxno=540937

 

■ '국내 최초 멀티섹터 리츠' 디앤디플랫폼리츠, 8월 코스피 상장

https://www.fnnews.com/news/202107161403048971

 

 

▶️▶️▷ IPOmarket(해외IPO포함)

■ 금융당국 연이은 '공모가 낮추기' 행보 논란···투자자 보호 차원 의견도

https://www.etoday.co.kr/news/view/2045419

 

■ 논란 지속되는 신사업 분사후 IPO…'코리아 디스카운트' 요인 될수도

http://www.investchosun.com/2021/07/16/3264218

 

■ 갈수록 줄어드는 락업비율…하반기 IPO 시장 여파 예고?

http://www.investchosun.com/2021/07/16/3264224

 

■ 올해 상반기 전세계 신주발행·IPO 조달자금 사상 최대

https://www.fnnews.com/news/202107172311343373

 

■ 코스피 공모금액 10년만에 5조원 돌파...연내 '역대 최대치' 달성한다

https://www.fnnews.com/news/202107162010199780

 

 

▶️▶️▷ 시장 이모저모

■ 인텔, 글로벌파운드리 인수 추진...샌드위치 삼성(종합)

https://view.asiae.co.kr/article/2021071610594582552

 

■ [시그널]"문턱 낮춘 코스닥으로 직행"···규제 많은 '코넥스 패싱'에 거래 반토막

 https://www.sedaily.com/NewsView/22OYKQ5KWQ

 

 

▶️▶️▷ 시세/시황

[표]IPO장외 주요 종목 시세(7월 16일)

https://www.sedaily.com/NewsView/22OXOEKY8Q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