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주식 스터디를 위해 개인적으로 스크랩한 증시캘린더, 국내 및 해외마감 시황, 뉴스 자료를 공유합니다.

1) 증시캘린더는 개인적으로 관련된 소식을 확인후 작성한 일정이라 변동 또는 오류의 소지가 있습니다.

2) 노션으로 공유한 링크는 익스플로러에선 제대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크롬에 최적화, 엣지, 웨일에서도 잘 작동합니다.

    ( 공유 자료링크는 1~2일후 공유 해지 합니다.)

 

게시물은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한 것이라

불확실하거나 오류가 많을 수 있으므로 투자 활용시 유의하시기 바라며, 개별적인 종목 추천이나 상담은 하지 않습니다.

 

모쪼록 제 공간에 오신 모든 분들이 주식스터디를 통해 인생 한 방보다, 꾸준함을 믿으며...

복리의 마법으로 모든 분들이 성공한 개인투자자가 되시길...


고용지표 부진 속 나스닥 또 최고...넷플릭스 2.2%↑ [출근전 꼭 글로벌 브리핑]

델타 변이 확산으로 고용시장 회복세 둔화…대형 기술주는 일제히 상승

줌 주가 전일 대비 0.47% 반등

유럽 대부분 상승·중국 혼조·베트남 상승

[글로벌시장 지표 / 9월 2일 오전 6시 현재]

 

 

[미국증시 마감시황]

 

■ 기술주 일제히 강세·고용지표 부진

 

현지 시각으로 1일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48.20포인트(0.14%) 하락한 35,312.53으로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1.41포인트(0.03%) 오른 4,524.09를,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50.15포인트(0.33%) 상승한 15,309.38로 장을 마쳤다.

 

이날 기술주가 상대적으로 강세를 보였다. 특히 대형 기술주는 모두 상승세를 보였다.

 

고용 지표는 부진했다. 고용조사기관 오토매틱데이터프로세싱(ADP)은 8월 민간 부문의 고용이 37만4000건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는 로이터가 집계한 전문가 기대치 61만3000건을 밑도는 수치다.

 

미국의 8월 민간 고용은 시장 예상치를 크게 밑돌았는데 이는 코로나19 델타 변이 바이러스의 확산으로 고용시장 회복세가 둔화한 것으로 풀이된다.

 

시장이 ADP 고용을 주목하는 것은 오는 3일 발표되는 노동부 고용 보고서에 앞서 지난 8월 고용 상황을 가늠해줄 수 있기 때문이다. 8월 고용은 이전보다는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지만, 둔화 폭이 예상보다 클 경우 연준은 정책에 좀 더 인내심을 가질 가능성이 크다.

 

[특징주]

 

■ FAANG

 

기술주 중심의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주요 기술주인 팡(FAANG) 종목은 모두 상승했다. 넷플릭스는 2.26% 상승하여 가장 두드러졌다.애플은 0.45%, 아마존닷컴은 0.24% 각각 올랐고 구글의 모기업 알파벳과 페이스북도0.36 %, 0.70% 상승했다.

 

■ 테슬라·줌·암바렐라

 

이날 테슬라는 약보합(0.22%) 마감했다. 또 현지 시각으로 31일부터 하락세를 보이기 시작한 웰스파고는 이날도 규제 우려로 4.92% 하락했다. 전날 급락한 줌 비디오의 주가는 0.47% 강보합 마감했다.

 

자율주행차에 사용되는 이미지 처리 프로세서를 개발하는 반도체 설계 회사 암바렐라는 기대치보다 높았던 2분기 실적이 보고된 이후 이날 27% 상승세를 보였다.

 

출처: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109020014&t=NN>

 

 

 

2021년 9월 2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중국 73개 대기업들이 시진핑의 '공동의 부' 슬로건에 서약했습니다.

 

(2) 글로벌 에너지 거래 기업들이 탄소 거래 사업을 준비 중입니다.

 

(3) 미 8월 ISM 제조업지수가 고용만 빼고 반등했습니다.

 

미 5년 breakeven rate 2.516%, +0.008%p (2% 상회시 유의, 2.5% 상회시 경고)

한국 고객예탁금, 69.5조원 -1.2조원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27%

1개월 NDF 환율 1,156.24원 (-1.06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미국 혼조 = 차익실현 vs 저가매수]

(feat. 그래도 빅테크! 구글+페북 신고가)

 

<국내증시 변수점검>

•미국증시 : 금리인상 전까지 Go(~1H22)

•개인수급 : 추가 여력 충분

•외국인수급 : 기대 but 불확실

•센티멘트 : 종목장세 vs 양도세구간 진입

•코로나 : 델타변이 증가세 vs 일단 무시

•정책 : 대선전까지 우호적일 가능성

 

<about US Market>

오늘 증시는 소폭 상승세로 시작하였습니다. 이후 최근 트렌드와 유사하게 빅테크가 지수를 주도하며 견조하게 상승폭을 키우는 모습이었습니다. 그러나 오후들어 아마존의 5.5만명 신규고용 뉴스와 함께 빅테크에 대한 전반적인 차익실현성 매물이 출회되며 시장은 나스닥기준 소폭 상승으로 마감하였습니다. 나스닥은 오늘 홀로 종가기준 역사상 최고가를 다시 경신했습니다. 자금흐름도 여전히 NYSE->NASDAQ 트렌드를 유지했습니다.

 

*ADP 비농업 일자리 증감

-8월 +374K / 컨센 613K / 7월 326K

☑️8월 고용보고서 발표는 미국시간 금요일입니다.

 

*자동차용 칩 이슈 지속

-Tesla : 로드스타 인도 2023년으로 지연

-Ford : 주력 픽업 F-150 생산축소

 

*코로나 : 신규확진자 증가

(금요일 158,666 / WoW +7.5%)

☑️신규입원환자수는 6월 이후 첫 감소하였으나, 일간 신규확진자수는 여전히 증가중

 

•나스닥 +0.3% / 러셀2000 +0.7%

•S&P500 +0.0% / 다우 -0.1%

-나스닥 Top10 : 상승 7 vs 하락 3

-종목수 : 상승 3,839 / 하락 2,908

 

-비트코인 : $48,000

-미국채금리(10y) : 1.302 (+0.0%)

-WTI : $68.25 (-0.4%)

 

SMART한 주식투자

https://t.me/frankinvest

 

 

(2021.09.02) U.S. & EU Market Closing

2021.09.02  허단

U.S. Market Closing – 05:00 기준

지수 종가 등락폭 등락률 상승/하락/보합
DOW 35,312.53 -48.20 -0.1% 10/20/0
S&P500 4,524.09 1.41 0.0% 244/260/1
NASDAQ 15,309.38 50.14 0.3% 1797/1352/303
RUSS 2K 2,286.80 13.02 0.6% 1152/791/26
PHLX 반도체지수 3,399.95 -17.77 -0.5% 7/23/0
VIX지수 16.13 -0.35 -2.1%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미국 증시는 부진한 고용 지표에 혼조세 마감. 최근 제롬 파월 연준은 고용이 강한 모습을 유지한다면 연내 테이퍼링에 나설 수 있다고 시사하였으나, 금일 발표된 8월 ADP 고용통계가 전달대비 37.4만명 증가해 예상치(60만명 증가)를 대폭 하회한 것으로 집계. 이에 시장은 연준이 정책 변화에 인내심을 가질 것이란 기대감이 작용한 모습. 해당 지표 발표 후 10년물 국채금리가 장중 한때 1.29%를 기록하자 기술주가 증시 상승을 견인하며 나스닥 지수는 최고점을 경신하였으며, 원자재 가격 하락과 금리 하락에 다우지수는 약보합, S&P500은 강보합으로 거래를 마감. 개별기업으로는 대형기술주 FAANG 모두 상승하였으며, 넷플릭스(NFLX)는 시트콤 사인펠드가 오는 10월부터 서비스된다는 소식에 2.3% 강세 시현. 한편, 금일 발표된 8월 마킷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제조업계 공급 부족 영향으로 61.1을 기록해 예비치와 예상치를 소폭 밑돌았으며, 시장은 오는 금요일 예정된 고용지표를 주목하는 모습.

 

 

U.S. ETF Closing – 05:00 기준

Sector

분류 티커 현재가 등락률 t신호 수익률






1개월 3개월 1년
부동산 VNQ 110.3 1.6% 햇빛 3.2% 5.3% 41.5%
유틸리티 XLU 69.4 1.3% 햇빛 3.0% 6.2% 21.6%
필수소비재 XLP 72.6 0.5% 햇빛 2.4% 3.1% 16.2%
커뮤니케이션 XLC 86.1 0.5% 햇빛 3.9% 8.1% 44.1%
IT XLK 158.9 0.0% 햇빛 2.6% 12.8% 42.1%
헬스케어 XLV 135.3 0.0% 햇빛 1.7% 8.2% 32.1%
자유소비재 XLY 183.6 0.0% 햇빛 1.5% 6.8% 27.4%
소재 XLB 85.4 -0.3% 햇빛 1.5% 0.0% 37.5%
산업재 XLI 104.1 -0.4% 햇빛 0.6% 1.1% 38.3%
금융 XLF 38.2 -0.6% 햇빛 0.8% 2.7% 58.0%
에너지 XLE 47.7 -1.5% 안개 -3.7% -13.3% 49.2%

자료: 티레이더,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섹터별 ETF는 부동산(VNQ/+1.6%), 유틸리티(XLU/+1.3%), 필수소비재(XLP/+0.5%)가 상승, 금융(XLF/-0.6%), 에너지(XLE/-1.5%) 섹터가 하락 마감. 최근 미국 루이지애나주를 강타한 허리케인 아이다 여파로 뉴올리언스의 100만 가구가 정전되는 사태 발생. 금일은 정전 사태 복구가 시작됐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PPL(PPL/+2.4%), 센터포인트 에너지(CNP/+1.7%)를 비롯한 유틸리티 기업 전반의 주가가 오름세를 시현해 유틸리티 섹터는 강세 마감. 반면 금융(XLF/-0.6%) 섹터는 국채 금리 하락 영향과 더불어 5년전 유령계좌 스캔들로 곤혹을 치르고 있는 웰스파고(WFC)에 금융 당국이 추가적인 제재를 부과할 수 있다는 소식에 4.9% 하락하여 섹터 하락을 견인.

 

Thematic

분류 티커 현재가 등락률 t신호 수익률






1개월 3개월 1년
여행/관광산업 AWAY 27.4 1.6% 안개 1.6% -12.8% 36.0%
게놈유전자 ARKG 87.0 1.5% 햇빛 0.0% -0.4% 58.7%
기술혁신 ARKK 123.7 1.4% 햇빛 0.6% 7.6% 53.7%
반도체 SOXX 465.6 -0.5% 햇빛 0.0% 7.4% 63.6%
리튬/배터리테크 LIT 84.2 -1.6% 햇빛 -2.6% 22.0% 127.9%

자료: 티레이더,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테마 ETF는 여행/관광산업(AWAY/+1.6%), 게놈유전자(ARKG/+1.5%), 기술혁신(ARKK/+1.4%) 테마가 상승, 반도체(SOXX/-0.5%), 리튬/배터리테크(LIT/-1.6%)가 하락 마감. 금일 키뱅크는 우버(UBER)의 식품 배달서비스 분야에서 점유율을 주목하며 비중확대 투자의견을 유지하였으며 이에 3.8% 상승하여 여행/관광산업(AWAY) 테마 상승을 견인. 반면 최근 경영진의 자사주 매도 사실이 전해진 NXP반도체(NXPI/-1.7%)와 TSM의 비용절감 계획 발표 이후 공급체인 기업의 주가가 2거래일 연속 약세를 시현하며 반도체(SOXX) 테마는 0.5% 하락 마감.

 

EU Market Closing – 01:00 기준

지수 종가 등락률 구분 업종 등락률
STOXX 600 473.12 0.5% 상승 자유소비재 +1.7%




유틸리티 +1.0%




정보기술 +0.8%



하락 소재 -0.5%




에너지 -0.5%
지수 종가 고가 저가 등락폭 등락률
獨 DAX 15,824.29 15,981.70 15,773.44 -10.8 -0.1%
英 FTSE 100 7,149.84 7,187.34 7,119.70 30.14 0.4%
佛 CAC 40 6,758.69 6,784.66 6,730.17 78.51 1.2%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유럽증시는 추가 경기 부양책 기대에 상승 마감. 전일 중국 제조업 PMI에 이어 금일 발표된 8월 중국 차이신 제조업 PMI가 2020년 4월 이후 최저치 기록. 이에 전일 인플레이션 우려로 하락 마감한 유럽증시는 아시아 시장 성장 둔화가 중앙은행의 추가 부양책을 촉발시킬 수 있다는 기대감이 금일 증시 상승 동력으로 작용한 모습. 범유럽지수인 STOXX600은 0.5% 오른 473.1선에 거래를 마감하며 전일 낙폭을 만회하였으며, 영국의 FTSE100 역시 0.4% 오른 7,149.8선 마감. 다만 독일의 경우 7월 소매판매가 전년비 0.3% 감소하여 예상치(3.6% 증가)를 대폭 하회한 영향으로 지수는 0.1% 내린 15,824.2선 마감. 금일 유럽에서 대부분 섹터가 오름세를 시현한 가운데 자유소비재(+1.7%), 유틸리티(+1.0%), 정보기술(+0.8%)가 강세를 보였으며, 원자재 가격 하락으로 소재(-0.5%)와 에너지(-0.5%0 섹터를 내림세 시현. 개별 기업으로는 프랑스 주류업체 페르노 리카(RI)가 중국 내 강한 수요 회복을 바탕으로 견조한 실적을 발표하며 3.7% 상승. 반면 프랑스 슈퍼마켓 체인 까르푸(CA)는 LVMH 그룹 CEO인 베르나르 아르노가 5.7%의 보유지분을 매각했다는 소식에 5.5% 하락 마감.

  

 

출처: <https://m.myasset.com/extern/researchPortal/RP_0001000_P1.cmd?menuid=RP_0105000_P1&searchKeyGubun=1&keyword=&page=1&base_date=20210902052912&gbn=B&res_seq=173766>

 

 

 

 

 

 

[2021.09.01 (수) 필라델피아 반도체]

 

전일 대비 -0.52%, 3,400선 마감

상승주 9, 하락주 21

 

다우 -0.14%, 나스닥 +0.33%, S&P 500 +0.03%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이틀째 조정. 가장 크게 하락한 종목은 차량용/산업용 반도체 공급사 NXP. 8월 말에 신고가 경신 이후 공시를 통해 CEO Sievers Kurt 및 CFO Peter Kelly의 주식 매도 소식이 알려지며 이틀 동안 약세. 그 외에는 반도체 장비 업종 약세. ASML ADR(+1.10%) 제외하고 대부분 하락. AMAT -1.24%, 램리서치 -0.83%, KLA -1.33%, 테라다인 -1.46% 기록. 반도체 지수 내에서 상승주가 9개사로 하락주(21개사) 대비 적었는데 지수 등락이 -0.52%로 제한적이었던 이유는 시총 대형주에 해당되는 TSMC ADR(+1.22%), ASML ADR(+1.10%), 엔비디아(+0.25%) 상승 때문. TSMC가 유의미하게 상승한 이유는 파운드리 서비스 단가 인상 현실화 및 실적 레벨업 기대감 때문. 한편 메모리 업종을 대표하는 마이크론 주가는 +0.03% 마감

 

하나금융투자 반도체 애널리스트 김경민, 변운지 드림

 

 

 

『하루를 여는 혁신투자자문 IPO News Daily💌 - 20210902』

 【 텔레그램 채널 주소 : https://t.me/KoreaIB

 【 IPO상장문의 및 이경준 대표 Contact ☞ 📧 ipo@kakao.com 】

 

===========================

 

★ 금일 IPO 일정 ★

 09/02 에이비온 납입🏧

 09/02~09/03 현대중공업 수요예측⚖️

 

☆ 금주 남은 IPO 일정 ☆

 09/02~09/03 현대중공업 수요예측⚖️

 09/03 와이엠텍 납입🏧

 

 ------------------------------------------

 

▣ 기관IR 일정 ▣

 - 온라인 간담회로만 진행 中 -

 

▣ 상장 일정(예정, 변경가능) ▣

 09/08 에이비온(미래에셋증권)

 09/10 와이엠텍(KB증권)

 09/16 현대중공업(미래에셋대우, 한국투자증권)

 09/24 실리콘투(삼성증권)

 09/24 프롬바이오(NH투자증권)

 09/27 바이오플러스(키움증권)

 09/29 에스앤디(유진투자증권)

 10/07 원준(NH투자증권)

 10/07 아스플로(미래에셋증권)

 10/08 리파인(KB증권)

 10/08 씨유테크(대신증권)

 10/12 시몬느액세서리컬렉션(삼성증권, 미래에셋증권)

 10/13 케이카(NH투자증권)

 10/14 카카오페이(삼성증권)

 10/22 차백신연구소(삼성증권)

 

▣ 심사 승인 ▣

 - 비트나인(하나금융투자)

 - 지아이텍(미래에셋증권)

 - 아이패밀리에스씨(삼성증권)

 - 피코그램(IBK투자증권)

 - 지오엘리먼트(NH투자증권)

 - 지앤비에스엔지니어링(삼성증권)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 국내 IPO 개별종목

■ '따상상' 노리는 일진하이솔루스…수소 대장주 등극할까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955686629175856&mediaCodeNo=257&OutLnkChk=Y

 

■ ‘풍요속의 빈곤’ 현대중공업, IPO 흥행여부에 관심

https://www.etoday.co.kr/news/view/2058625

 

■ 한앤코, 케이카 구주매출로만 인수가 3배 회수

https://paxnetnews.com/articles/78034

 

■ 현대오일뱅크, 신사업 위해…내년 기업공개 '세 번째 도전'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1090132321

 

■ 엑셀세라퓨틱스, 코스닥 상장 제동 배경은

https://paxnetnews.com/articles/78037

 

■ 기술특례 상장 차백신연구소, 고평가 논란 떨쳐낼까?

http://www.kpi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56602

 

■ 11번가의 승부수 ‘직구’… 상장까지 도달할까

http://www.sisaweek.com/news/articleView.html?idxno=146980

 

■ 롯데렌탈, 올해 2번째 ESG채권 수요예측에 1.2조 몰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165504

 

■ SK리츠 공모청약에 19.3조 몰려…경쟁률 552대 1 '공모 리츠 역대 최대'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165503

 

 

▶️▶️▷ IPOmarket(해외IPO포함)

■ "9월 9일 빅IPO 수급 이벤트 종료…이후 보호예수 풀리기도"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512086629175856&mediaCodeNo=257&OutLnkChk=Y

 

■ 9월 일반청약 18곳 올 들어 최다···대어에 스팩, 리츠까지 다양성도↑

http://www.sisajournal-e.com/news/articleView.html?idxno=235545

 

■ 역대급 IPO 시장에도...신통찮은 새내기주 주가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210901000499

 

■ '실리콘밸리가 사랑한 스니커즈' 올버즈, IPO 추진한다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109014244i

 

 

▶️▶️▷ 시장 이모저모

■ '여의도 저승사자' 복귀…금융증권범죄수사협력단 출범(종합)

https://www.yna.co.kr/view/AKR20210901081851004?section=news

 

■ [단독] 우정사업본부, 카카오뱅크 1조 지분 블록딜 나섰다

https://www.mk.co.kr/news/stock/view/2021/09/845710/

 

■ SK이노베이션, 중국에 전기차 배터리 4공장 신설···1.2조 투자

https://www.sedaily.com/NewsView/22RAOM5ZHE

 

■ 남양유업, ‘불성실공시법인’ 지정예고 소명한다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9011616005280105040&lcode=00&page=1&svccode=00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728x90
728x90

아래 자료는 재즈스탁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장마감후 당일 시가총액대비 기관매수세가 큰 종목 순서로 작성하였습니다.

원데이터나 엑셀의 오류로 잘못된 부분이 있을 수 있으니, 참고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http://jazzstock.net/

 

Jazzstock

수급분석, 수급차트, 창구분석, 거래원분석

jazzstock.net


기관매수, 내림차순 정렬

외인매수, 내림차순 정렬

 

728x90
728x90

티스토리에 올리는 간단재무제표는 퀀트킹, 밸류툴, 네이버증권, 에프앤가이드, 증권사 레포트 등의 참고자료를 활용하여 작성하였습니다.

원데이타, 엑셀 수치의 오류 등 여러가지 요인으로 불확실한 수치가 반영될 수 있으니 참고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간단재무제표 자료는 기초 자료 수집 차원용으로 자세한 해설은 없습니다.


728x90
728x90

주식 스터디를 위해 개인적으로 스크랩한 증시캘린더, 국내 및 해외마감 시황, 뉴스 자료를 공유합니다.

1) 증시캘린더는 개인적으로 관련된 소식을 확인후 작성한 일정이라 변동 또는 오류의 소지가 있습니다.

2) 노션으로 공유한 링크는 익스플로러에선 제대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크롬에 최적화, 엣지, 웨일에서도 잘 작동합니다.

    ( 공유 자료링크는 1~2일후 공유 해지 합니다.)

 

게시물은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한 것이라

불확실하거나 오류가 많을 수 있으므로 투자 활용시 유의하시기 바라며, 개별적인 종목 추천이나 상담은 하지 않습니다.

 

모쪼록 제 공간에 오신 모든 분들이 주식스터디를 통해 인생 한 방보다, 꾸준함을 믿으며...

복리의 마법으로 모든 분들이 성공한 개인투자자가 되시길...


뉴욕증시, 차익 매물에 숨고르기…줌 16.6%↓ [출근전 꼭 글로벌브리핑]

차익실현 매물·소비자 신뢰지수 하락으로 '약세'

팡(FAANG) 종목 희비 엇갈려…줌은 16%대 하락

유럽 하락·중국 혼조·베트남 상승

[글로벌시장 지표 / 9월 1일 오전 6시 현재]

 

 

[미국증시 마감시황]

 

■ 3대 지수 모두 약보합

 

현지 시각으로 31일 다우 지수는 전장 대비 39.11포인트(0.11%) 하락해 3만5360.73을 기록했다. 스탠다드앤푸어스(S&P)500은 6.11포인트(0.13%) 내려 4522.68, 나스닥은 6.65포인트(0.04%) 밀려 1만5259.24로 거래를 마쳤다. 뉴욕증시는 차익실현 매물과 소비자 신뢰지수가 하락한 영향 등으로 약세를 보인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S&P500지수는 이날 하락 마감했으나 이달까지 7개월 연속 상승했다. 이는 2017년 12월로 끝난 10개월간의 상승세 이후 최장기간 오른 것이다. 8월 한 달간 S&P500지수는 3%, 다우지수는 1.2%, 나스닥지수는 4%가량 올랐다. 올해 S&P500지수 상승률은 20%에 달한다. 업종별로 에너지, 기술, 산업 관련주가 하락했고, 부동산, 임의소비재, 통신 관련주는 올랐다. 부동산 업종은 0.62% 올라 비교적 큰 폭의 상승세를 기록했고, 통신서비스 업종도 0.27% 올랐다. 반면 에너지 업종은 0.73% 하락하며 가장 큰 폭의 하락세를 나타냈다. 산업 업종은 0.28%, 소재 업종은 0.31% 내렸고, 기술 업종과 유틸리티 업종 역시 각각 0.56%, 0.1% 하락했다. 금융 업종은 0.09% 약보합세를 기록했다.

 

[특징주]

 

■ 기술주

 

이날 주요 기술주인 팡(FAANG) 종목은 엇갈린 흐름을 보였다. 아마존이 1.44% 가장 큰 폭의 상승률을 기록했고 넷플릭스, 구글 모두 강보합 마감했다. 반면 페이스북과 애플은 각각 0.34%, 0.84% 하락 마감했다.

 

■ 줌

 

줌의 주가는 전장 종가(347.50달러)보다 16.69% 하락한 289.50달러로 마감했다. 지난해 10월에 기록한 최고치(588.84달러)에 비해 10개월 만에 반 토막 수준으로 떨어진 셈이다. 최근 사무실 출근 재개를 추진하는 기업들이 늘어나는 상황에서 매출이 둔화할 것이라는 소식이 주가에 악재로 작용했다는 설명이다. 다만 전문가들은 중장기적인 줌의 사업 전망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스털링 오티 JP모건 애널리스트는 "줌의 장래는 밝다고 생각한다. 시장이 코로나19 이후 성장에 대한 기대치를 합리적으로 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뉴코(Nucor)

 

이날 소재 업종은 0.31% 하락 마감했다. 미국 1위 철강업체이자 세계 1위 전기로업체인 뉴코(Nucor)가 2.88% 하락했다.

 

■ 금융주

 

이날 경기에 민감한 종목들 가운데 일부는 하락세를 보였는데 금융주도 이를 피해갈 수 없었다. 미국 투자은행 웰스파고는 이날 5.60% 하락 마감했다. JP 모간체이스는 약보합세로 마감했다.

 

출처: <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109010015&t=NN>

 

 

2021년 9월 1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ECB 위원들이 3월 PEPP 종료 등 부양책 축소 가능성을 언급했습니다.

 

(2) Ark Investment가 ESG 성격의 투명성 ETF를 출시합니다.

 

(3) 중국이 환경오염을 줄이면서 원자재 가격이 오르고 BDI가 2010년 고점을 돌파했습니다.

 

미 5년 breakeven rate 2.508%, -0.043%p (2% 상회시 유의, 2.5% 상회시 경고)

한국 고객예탁금, 70.7조원 -0.5조원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23%

1개월 NDF 환율 1,159.28원 (-0.17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미국 하락 = 차익실현]

(feat. 파월 연임 불확실성???)

 

☑️민주당의 일부 진보주의 의원들은 오늘 파월연준의장을 기후변화+인종차별 해결에 적합한 인물로 교체하라는 서명서를 바이든대통령에게 제출했습니다. 연준의장보고 이제 고용에 경제성장에 인종차별과 기후까지 해결하라는 건가싶습니다. 사실 연준은 법적으로 보호된 철저하게 독립적인 기관입니다.

 

바이든대통령은 노동절(9/6월) 이전에 파월의장의 연임을 확정하거나 새로운 연준의장을 지명할 예정입니다.

 

옐런 재무부장관은 공식적으로 파월의 지지를 발표했습니다.

 

<about US Market>

주요지수는 큰 이슈없이 보합세로 시작후 오전중 소폭 상승세를 보여주었으나 오후 들어 차익실현매물이 나오며 큰 장중 변동성없이 약보합세로 마감하였습니다.

 

지수자체는 큰 변동성이 없었지만, 자금은 지속적으로 NYSE -> NASDAQ으로 이동중입니다. 아이러니하지만 경기민감주들은 인플레+경제성장이 둔화되면 성장하기 어렵습니다. 반면에 인플레+경제성장과 무관하게 지속적으로 성장가능한 기업군이 빅테크입니다. 따라서 고성장 안전자산(빅테크)으로의 자금 이동은 당분간 지속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코로나 : 신규확진자 증가

(금요일 119,642 / WoW +7.7%)

☑️맥도날드는 일부 델타변이 확산이 심각한 지역에서는 실내식사를 다시 금지하고 오직 Pick-up and Drive thru만 운영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나스닥 +0.9% / 러셀2000 -0.4%

•S&P500 +0.4% / 다우 -0.1%

-나스닥 Top10 : 상승 3 vs 하락 7

-종목수 : 상승 2,779 / 하락 4,016

 

-비트코인 : $47,000

-미국채금리(10y) : 1.312 (+22%)

-WTI : $68.52 (-1.0)

 

SMART한 주식투자

https://t.me/frankinvest

 

 

 

(2021.09.01) U.S. & EU Market Closing

2021.09.01  허단

U.S. Market Closing – 05:00 기준

지수 종가 등락폭 등락률 상승/하락/보합
DOW 35,360.60 -39.24 -0.1% 15/15/0
S&P500 4,522.66 -6.13 -0.1% 2523/251/1
NASDAQ 15,259.24 -6.65 0.0% 1994/1180/275
RUSS 2K 2,270.86 4.87 0.2% 1164/778/29
PHLX 반도체지수 3,417.72 -28.72 -0.8% 7/22/1
VIX지수 16.46 0.27 1.7%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미국 증시는 고점 부담에 약보합 마감. 최근 위험 자산 선호심리가 회복되며 나스닥과 S&P500 지수는 이틀 연속 사상 최고치로 마감하였으며, 금일은 투자자들의 고점 부담에 차익실현 매물이 출회된 모습. 이에 S&P500 지수와 다우는 각 0.1% 하락한 반면,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은 중소형주가 선방하며 보합세로 마감. 개별기업으로는 전일 아이폰 13 위성 네트워크 탑재 소식에 강세를 시현한 애플(AAPL)이 0.8% 하락 하였으며, 전자상거래 업체 아마존(AMZN/+1.4%)은 4거래일 연속 약진하며 대형 기술주 FAAMG의 주가는 혼조세 시현. 한편, 금일 공급관리협회(ISM)가 집계한 8월 시카고 PMI는 66.8을 기록해 전월비(73.4), 예상치(69.4)를 모두 밑돌았으며, 8월 소비자신뢰지수 역시 113.8로 집계돼 지난해 2월 이후 최저치 기록. 다만 이와 관련해 린 프랑코 컨퍼런스보드 경제지표 부분 선임 디렉터는 코로나19 재확산과 인플레이션 우려가 신뢰 지수를 약화했으나, 앞으로 수개월내 소비자들이 지출을 줄일 것이라고 결론 내리기는 너무 이르다고 언급.

 

U.S. ETF Closing – 05:00 기준

Sector

분류 티커 현재가 등락률 t신호 수익률






1개월 3개월 1년
부동산 VNQ 108.6 0.5% 햇빛 1.4% 4.4% 37.5%
커뮤니케이션 XLC 85.6 0.4% 햇빛 3.4% 8.2% 39.6%
필수소비재 XLP 72.3 0.3% 햇빛 1.9% 3.2% 13.2%
자유소비재 XLY 183.7 0.2% 햇빛 0.8% 7.3% 25.7%
유틸리티 XLU 68.5 -0.1% 햇빛 1.5% 5.4% 19.2%
금융 XLF 38.4 -0.1% 햇빛 3.5% 2.1% 54.8%
헬스케어 XLV 135.2 -0.1% 햇빛 1.6% 10.1% 29.9%
소재 XLB 85.6 -0.3% 햇빛 3.2% -0.4% 35.3%
산업재 XLI 104.5 -0.3% 햇빛 1.4% 1.0% 36.2%
IT XLK 158.9 -0.5% 햇빛 2.5% 13.6% 35.6%
에너지 XLE 48.4 -0.7% 햇빛 -1.3% -12.1% 46.0%

자료: 티레이더,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섹터별 ETF는 부동산(VNQ/+0.5%), 커뮤니케이션(XLC/+0.4%) 필수소비재(XLP/+0.3%) 섹터가 상승, 소재(XLB/-0.3%), IT(XLK/-0.5%), 에너지(XLE/-0.7%) 섹터가 하락 마감. 부동산(VNQ) 섹터는 금일 발표된 6월 전미주택가격지수가 연율 18.6% 상승해 1987년 집계 이후 최대 상승률을 기록하며 0.5% 오름세 시현.  커뮤니케이션 섹터에서는 폴란드 미디어 당국이 자국 내 디스커버리(DISCA)의 방송 라이선스가 내달 만료되더라도 EU 국가 내 라이선스를 보유하고 있다면 문제가 되지 않음을 발표. 이에 사업리스크가 완화되며 디스커버리의 주가는 3.6% 올라 섹터 상승 견인. 반면 중국 PMI가 전월비 큰 폭 하락하자 중국 경제 회복 둔화 우려와 최근 중국 당국의 철강 감산 압력에 싱가폴 거래소의 철광석 선물 가격이 하락. 이에 미국 1위 철강업체인 뉴코(NUE)의 주가가 2.9% 하락하며 소재(XLB) 섹터 하락 주도.

 

Thematic

분류 티커 현재가 등락률 t신호 수익률






1개월 3개월 1년
대마 MJ 16.7 2.3% 안개 -7.4% -24.0% 41.8%
게놈유전자 ARKG 85.7 0.8% 햇빛 -3.7% 0.8% 53.3%
항공방산 XAR 122.6 0.3% 안개 -1.1% -7.5% 37.6%
반도체 SOXX 468.2 -0.8% 햇빛 0.0% 9.3% 56.8%
글로벌 천연자원 GNR 51.9 -0.9% 햇빛 -1.5% -6.3% 35.8%

자료: 티레이더,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테마 ETF는 대마(MJ/+2.2%), 게놈유전자(ARKG/+0.8%), 항공방산(XAR/+0.3%)이 상승, 반도체(SOXX/-0.8%), 글로벌 천연자원(GNR/-0.9%) 테마가 하락. 최근 미국 내 대마초 합법화 움직임이 지지부진한 가운데, 오하이오 주에서는 기호용 대마초 합법화를 위한 서명 운동이 예정된 것으로 알려짐. 이에 틸레이(TLRY/+4.3%)를 비롯한 대마 관련 주들이 전반적인 오름세를 시현하며 대마(MJ) ETF가 강세 마감. 반면 글로벌 대표 파운드리 업체인 TSM이 판매가격 인하를 목표로 비용절감 계획을 언급하자 공급체인 기업인 램리서치(LRCX/-0.5%), 어플라이드머티리얼즈(AMAT/-0.7%)가 약세를 시현했으며, NXP 반도체(NXPI)의 피터 켈리 CFO를 비롯한 경영진이 350억 원 가량의 자사주를 매도한 것으로 알려지자 금일 5.5% 하락하여 반도체(SOXX) 테마는 0.8% 하락 마감.

 

EU Market Closing – 01:00 기준

지수 종가 등락률 구분 업종 등락률
STOXX 600 470.88 -0.4% 상승 유틸리티 +0.4%




자유소비재 +0.3%



하락 소재 -0.8%




에너지 -1.0%




커뮤니케이션 -1.1%
지수 종가 고가 저가 등락폭 등락률
獨 DAX 15,835.09 16,006.76 15,761.57 -52.22 -0.3%
英 FTSE 100 7,119.70 7,160.49 7,092.03 -28.31 -0.4%
佛 CAC 40 6,680.18 6,708.14 6,650.90 -7.12 -0.1%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유럽증시는 인플레이션 지표 급등에 하락 마감. 금일 발표된 유로존 8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예비치는 전년비 3.0% 상승해 10년래 최고치 기록. 이에 시장은 인플레이션의 단기적 슈팅이 목표치(2%)를 넘어서도 용인하겠다는 유럽중앙은행(ECB)의 스탠스를 주시하며 투자 심리가 다소 주춤한 모습. 범유럽지수인 STXOX600은 금일 0.4% 내린 470.9선 거래를 마감. 다만, 견조한 2분기 기업 실적 랠리에 2013년 이후 처음으로 7달 연속 상승세를 시현하며 8월 마감. 금일 오름세를 기록한 섹터로는 유틸리티와 자유소비재가 각 0.4%, 0.3% 상승하였으며, 소재(-0.8%), 에너지(-1.0%), 커뮤니케이션(-1.1%) 섹터가 내림세로 마감. 업종으로는 전일 유럽연합(EU)이 미국을 안전여행국 명단서 제외한 여파로 루프트한자(LHA/-1.5%), IAG(IAG/-2.5%)와 같은 항공주가 약세 시현. 한편, 금일 발표된 독일 8월 계절조정 실업자 수는 5만3천명 감소하여 예상치(3만 명 감소) 보다 호조를 기록.

 

 

출처: < https://m.myasset.com/extern/researchPortal/RP_0001000_P1.cmd?menuid=RP_0105000_P1&searchKeyGubun=1&keyword=&page=1&base_date=20210901053456&gbn=B&res_seq=173734>

 

 

 

[2021.08.31 (화) 필라델피아 반도체]

 

전일 대비 -0.83%, 3,418선 마감

상승주 4, 하락주 26

 

다우 -0.11%, 나스닥 -0.04%, S&P 500 -0.13%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월요일에 52주 신고가 경신한 이후 화요일 조정. 특이한 이벤트가 없는 가운데 하락주가 많았음. 가장 크게 하락한 업종은 글로벌 수요에 영향을 받는 차량용 및 산업용 아날로그 반도체 공급사. NXP -5.50%, ADI -2.41%, 온세미 -2.01% 기록. 상승주는 4개 종목에 불과함. 마이크론 +0.74%, 퀄컴 +0.51%, 인텔 +0.22%, TSMC ADR +0.02%. 마이크론의 경우 가장 크게 상승. 별다른 호재는 없었고 PC DRAM 현물가격은 하락 지속. 다만 월요일에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가 사상 최고치를 경신할 때, 마이크론은 전일 대비 -1.12%로 오히려 부진했기에, 화요일에 저가 매수가 유입된 것으로 추정됨. 마이크론의 분기 실적 발표일은 미국 기준 9/28 (화)로 확정. 한편 TSMC ADR은 서플라이 체인의 장비/소재 조달 원가 절감 추진한다는 뉴스가 대만에서 보도되며 전일 대비 +0.02% 기록

 

하나금융투자 반도체 애널리스트 김경민, 변운지 드림

 

 

『하루를 여는 혁신투자자문 IPO News Daily💌 - 20210901』

 【 텔레그램 채널 주소 : https://t.me/KoreaIB

 【 IPO상장문의 및 이경준 대표 Contact ☞ 📧 ipo@kakao.com 】

 

===========================

 

금일은 [ 일진하이솔루스 ] 상장일 입니다.

 

[ 일진하이솔루스_공모가 34,300원 ]

 º 시가총액 : 1조 2,455억원(36,313,190주)

 º 유통가능 : 1,679억원(4,894,699주, 13.48%)

 º 수요예측 내역

    총 참여건수 : 1,611건

    실 유효건수 : 1,610건(99.94%)

    총 경쟁률 : 1,471.01 대 1

    총 확약 비중 : 건수 기준 959건(59.53%), 수량 기준 61.52%

 º 일반청약률 : 653.44 대 1(950,396건)

 

 

#수소차 #따상

 

===========================

 

★ 금일 IPO 일정 ★

 08/31~09/01 와이엠텍 청약🖨

 09/01 일진하이솔루스 상장★

 

☆ 금주 남은 IPO 일정 ☆

 09/02 에이비온 납입🏧

 09/02~09/03 현대중공업 수요예측⚖️

 09/03 와이엠텍 납입🏧

 

 ------------------------------------------

 

▣ 기관IR 일정 ▣

 - 온라인 간담회로만 진행 中 -

 

▣ 상장 일정(예정, 변경가능) ▣

 09/01 일진하이솔루스(미래에셋증권, 삼성증권)

 09/08 에이비온(미래에셋증권)

 09/10 와이엠텍(KB증권)

 09/16 현대중공업(미래에셋대우, 한국투자증권)

 09/24 실리콘투(삼성증권)

 09/24 프롬바이오(NH투자증권)

 09/27 바이오플러스(키움증권)

 09/29 에스앤디(유진투자증권)

 10/07 원준(NH투자증권)

 10/07 아스플로(미래에셋증권)

 10/08 리파인(KB증권)

 10/08 씨유테크(대신증권)

 10/12 시몬느액세서리컬렉션(삼성증권, 미래에셋증권)

 10/13 케이카(NH투자증권)

 10/14 카카오페이(삼성증권)

 10/22 차백신연구소(삼성증권)

 

▣ 심사 승인 ▣

 - 비트나인(하나금융투자)

 - 지아이텍(미래에셋증권)

 - 아이패밀리에스씨(삼성증권)

 - 피코그램(IBK투자증권)

 - 지오엘리먼트(NH투자증권)

 - 지앤비에스엔지니어링(삼성증권)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 국내 IPO 개별종목

■ 카카오페이 공모가 희망범위 6만~9만원으로 낮춰(종합)

https://www.yna.co.kr/view/AKR20210831160051002?input=1195m

 

■ 일진하이솔루스, 오늘 코스피 입성… 수소차 타고 '따상' 기대감↑

http://naver.me/xRQyDZ16

 

■ IPO로 한숨 돌린 롯데렌탈, 세번째 공모채 발행 도전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8270847461420108176&lcode=00&page=2&svccode=00

 

■ 마켓컬리 상장주관사 안개 속 내막은?

https://www.ebn.co.kr/news/view/1498584/?sc=Naver

 

■ 인카금융서비스, 세 번째 코스닥 상장 시도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210831001078

 

 

▶️▶️▷ IPOmarket(해외IPO포함)

■ IBK투자증권, 대형증권사 IPO 쏠림에도 스팩상장 입지 ‘탄탄’

http://www.sisajournal-e.com/news/articleView.html?idxno=235498

 

 

▶️▶️▷ 시장 이모저모

■ 주식거래 수수료 0%, ‘한국판 HOOD’가 나올 수 없는 이유

https://economist.co.kr/2021/08/31/stock/stockNormal/20210831190000728.html

 

■ [마켓인사이트] 큰 손들 발뺐다…'인터파크 매각' 흥행 실패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1083122321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728x90
728x90

1. 유가증권시장

(단위 : )

해제일 종 목 명 사유 해제주식수 총 발행주식수 비율(%)
9.04 오리엔트바이오 모집(전매제한) 16,770,970 118,583,005 14.14
9.18 에스케이바이오사이언스 최대주주(상장) 52,350,000 76,500,000 68.43
9.19 와이투솔루션 3자배정유상증자(상장) 59,000,000 147,235,637 40.07
9.25 오뚜기 모집(전매제한) 66,744 3,671,981 1.82
합 계 (4개사) 128,187,714 345,990,623
* 상기자료는 한국예탁결제원에 의무보유등록 된 주식수량을 기준으로 작성된 것으로 자발적 보유확약 및 기업공개 시 의무보유확약 수량 등은 포함하고 있지 않음

2. 코스닥시장

(단위 : )

해제일 종 목 명 사유 해제주식수 총 발행주식수 비율(%)
9.02 셀루메드 모집(전매제한) 2,690,351 39,606,973 6.79
9.03 에이디엠코리아 상장주선인(국내기업) 135,000 21,836,250 0.62
9.04 와이아이케이 모집(전매제한) 9,601,617 82,045,350 11.7
9.09 피엔케이피부임상연구센타 상장주선인(50%이상) 79,330 7,502,644 1.06
9.09 최대주주(3자배정) 126,725 1.69
9.09 최대주주(코스닥) 4,462,600 59.48
9.11 메디콕스 모집(전매제한) 4,863,813 74,005,675 6.57
9.11 케이프 최대주주변경(법인또는조합) 7,410,915 30,901,728 23.98
9.11 젠큐릭스 모집(전매제한) 100,000 6,558,421 1.52
9.11 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스 기타 보호예수 필요 주주 5,096,713 47,206,389 10.8
9.11 원티드랩 기타 보호예수 필요 주주 1,358,601 4,703,068 28.89
9.11 벤처금융 85,203 1.81
9.12 빛샘전자 합병(코스닥) 12,194 6,230,859 0.2
9.12 현대무벡스 SPAC 합병(코스닥) 620,000 101,722,324 0.6
9.12 합병(코스닥) 9,752,556 9.6
9.12 플래티어 기관투자가 202,800 8,269,707 2.45
9.12 기타 보호예수 필요 주주 590,429 7.14
9.14 이오플로우 기타 보호예수 필요 주주 225,936 11,528,030 1.96
9.16 압타머사이언스 기술성장기업 346,000 8,466,126 4.09
9.17 라온테크 상장주선인(국내기업) 15,000 4,886,005 0.31
9.17 바이오다인 최대주주(코스닥) 446,500 6,168,195 7.24
9.17 딥노이드 기관투자가 81,590 4,290,997 1.9
9.17 벤처금융 416,306 9.7
9.18 금빛 모집(전매제한) 9,971,509 86,766,187 11.49
9.18 시스웍 모집(전매제한) 10,800,000 74,800,958 14.44
9.18 이노뎁 상장주선인(국내기업) 32,010 7,143,151 0.45
9.19 브레인즈컴퍼니 기타 보호예수 필요 주주 340,000 4,108,796 8.27
9.20 엔피 벤처금융(합병) 3,090,917 39,049,808 7.92
9.22 스카이이앤엠 모집(전매제한) 2,064,220 41,281,205 5
9.22 박셀바이오 기술성장기업 689,860 15,223,000 4.53
9.22 기타 보호예수 필요 주주 597,820 3.93
9.23 피씨디렉트 최대주주변경(법인또는조합) 2,005,645 7,668,536 26.15
9.23 비나텍 최대주주(코스닥) 11,552 5,143,207 0.22
9.25 바이젠셀 기타 보호예수 필요 주주 2,210,728 9,432,400 23.44
9.26 샘코 3자배정유상증자(코스닥) 1,999,998 29,914,943 6.69
9.27 지노믹트리 기술성장기업 3,533,520 20,327,512 17.38
9.29 에이치엘비제약 모집(전매제한) 4,154,511 22,357,821 18.58
9.29 씨앤티85 법원M&A 30,000,000 70,703,912 42.43
9.30 제이시스메디칼 SPAC 합병(코스닥) 735,000 70,634,472 1.04
9.30 합병(코스닥) 33,513,964 47.45
합 계 (32개사) 154,471,433 970,484,649
* 상기자료는 한국예탁결제원에 의무보유등록 된 주식수량을 기준으로 작성된 것으로 자발적 보유확약 및 기업공개 시 의무보유확약 수량 등은 포함하고 있지 않음

 


2021년 9월 증시 이슈캘린더_Issue_20210827_Hana_733577.pdf
0.36MB
2021년 9월 키움 증시 캘린더_최종.pdf
0.11MB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