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스터디를 위해 개인적으로 스크랩한 증시캘린더, 국내 및 해외마감 시황, 뉴스 자료를 공유합니다.
1) 증시캘린더는 개인적으로 관련된 소식을 확인후 작성한 일정이라 변동 또는 오류의 소지가 있습니다.
2) 노션으로 공유한 링크는 익스플로러에선 제대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크롬에 최적화, 엣지, 웨일에서도 잘 작동합니다.
( 공유 자료링크는 1~2일후 공유 해지 합니다.)
게시물은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한 것이라
불확실하거나 오류가 많을 수 있으므로 투자 활용시 유의하시기 바라며, 개별적인 종목 추천이나 상담은 하지 않습니다.
모쪼록 제 공간에 오신 모든 분들이 주식스터디를 통해 인생 한 방보다, 꾸준함을 믿으며...
복리의 마법으로 모든 분들이 성공한 개인투자자가 되시길...
뉴욕증시, 베이지북·고용·물가지표 주목 [출근전 꼭 글로벌 브리핑]
차익실현 대비해야한다 목소리도…이번주 연은 총재 연설 등 '힌트'
당장 9월 테이퍼링 발표는 어려울 것이란 전망 힘 실려
유럽·중국 하락
[글로벌시장 지표 / 9월 6일 오전 6시 현재]
[미국 시장 금주 체크포인트]
■8월 고용 보고서 소화…베이지북 주목
이번 주 뉴욕증시는 지난주 후반 발표된 8월 고용 보고서를 소화하며 조심스러운 움직임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 주가지수는 통상 연중 9월에 가장 부진한 데다 높은 주가 수준을 고려할 때 차익실현에 대비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지수는 큰 반등을 이어가긴 쉽지 않아 보인다.
오는 8일에 나오는 존 윌리엄스 뉴욕 연방준비은행 총재의 발언이 고용에 대한 연준의 평가에 힌트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주 나오는 베이지북도 델타 변이 확산에 따른 경기 상황을 종합해주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연준은 FOMC에 앞서 나오는 베이지북을 경기 판단 자료로 참고한다.
한편 투자자들은 이번 주 발표되는 주간 실업보험 청구자 수에도 주목할 것으로 보인다. 실업보험을 청구하는 이들이 계속 줄고 있다면 고무적인 신호지만, 반대로 다시 늘어날 경우 델타 변이 확산에 대한 우려가 가중될 수 있다.
이번주 발표되는 물가지표도 주목할 만 하다. 이번주에는 생산자물가지수(PPI)가 발표되며, 다음주에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발표될 예정이다. 다음 주 예정된 소비자물가지수(CPI)보다 주목도가 떨어지지만, 고용 지표 발표 이후 스태그플레이션 우려가 커지고 있어 주목할 지표 중 하나다.
미국 증시는 비농업 고용지표 부진에 혼조세 마감. 금일 미 노동부가 발표한 8월 실업률은 5.2%로 집계돼 예상치에 부합. 다만, 비농업 부문 고용이 23.5만 명 증가해 7개월래 최저치를 기록하였으며, 시장 예상치(72만 명 증가)에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치를 기록하자 경기 회복 둔화 우려가 커지며 경기민감주를 중심으로 매물이 출회. 이에 블루칩 중심의 다우지수는 0.2% 내린 35,369선에 거래를 마감하였으며, S&P500은 대부분 섹터가 약보합세를 시현하며 지수는 보합세인 4,535.4선 마감. 한편, 최근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견조한 고용 회복세를 바탕으로 연내 테이퍼링 가능성을 시사했으나, 금일 부진한 고용지표에 시장은 9월 FOMC에서 테이퍼링 발표가 늦춰질 것으로 전망. 중앙은행의 완화적 통화정책이 시장 랠리를 뒷받침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러한 전망은 금일 나스닥의 상승 동력으로 작용하였으며, 빅테크 기업인 FANNG을 중심으로 자금이 유입되며 지수는 0.2% 오른 15,363.5선에 거래를 마쳐 최고점 경신.
섹터별 ETF는 IT(XLK/+0.4%), 헬스케어(XLV/+0.1%)가 상승, 에너지(XLE/-0.6%), 금융(XLF/-0.6%), 유틸리티(XLU/-0.8%) 섹터가 하락 마감. 금일 IT(XLK) 섹터 내 엔비디아(NVDA)는 투자은행 제프리가 데이터 센터 사업 부문의 성장성을 주목하며 목표가를 $260로 상향하자 2.0% 상승하였으며, 클라우드 기업 서비스나우(NOW)는 2.8% 올라 신고가를 경신하며 섹터 상승을 주도. 반면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고용지표가 부진하게 나온 영향과 허리케인 아이다 여파에 따른 공급 부족 우려에 1.0% 내린 $69.2선에 거래를 마감하였으며, 엑슨모빌(XOM/-0.4%), 옥시덴털페트롤리움(OXY/-2.5%) 등 정유주 기업 전반의 주가가 내림세를 시현하며 에너지(XLE) 섹터는 0.6% 하락.
테마 ETF는 반도체(SOXX/+0.8%), 글로벌 천연자원(GNR/+0.3%)이 상승, 우주항공(UFO/-0.6%), 리튬/배터리테크(LIT/-1.4%) 테마가 하락 마감. 반도체(SOXX) 테마에서는 장비주인 어플라이드 머티리얼즈(AMAT/+1.0%), KLA(KLAC/+1.2%), 램리서치(LRCX/+1.4%)가 강세를 시현하며 테마 상승 견인. 또한, 최근 경영진의 자사주 매도 소식으로 3거래일 연속 하락한 NXP반도체(NXPI/+0.5%)는 상승 전환하며 테마 상승에 기여. 한편, 지난 7월 성공적인 우주 비행에 성공한 버진갤럭틱(SPCE)의 VSS 유니트 우주선은 지구 복귀 당시 1분41초간 비행 항로를 이탈한 것으로 알려져 미 연방항공청(FAA)이 이탈 원인 조사 완료 전까지 우주관광 로켓 발사 금지 처분을 내림. 이에 금일 6.6% 하락하여 우주항공(UFO) 테마의 하락을 주도.
유럽증시는 부진한 미국 고용지표에 하락 마감. 금일 발표된 8월 미국 비농업 고용통계가 예상치에 절반도 미치지 못하자 경제 회복 둔화 우려가 증대되며 투자 심리가 위축된 모습. 특히 상대적으로 경기민감주 비중이 높은 유럽증시는 자유소비재 섹터를 중심으로 최근 2주 내 가장 큰 낙폭을 시현하였으며, 범유럽지수인 STOXX600은 0.6% 내린 471.9선, 프랑스 CAC40은 1.1% 하락한 6,689.9선 거래 마감. 금일 모든 섹터가 하락한 가운데 달러 약세에 따른 비철금속 가격 상승으로 소재(-0.2%) 섹터가 선방하였으며, 부동산(-0.9%), 자유소비재(-1.0%) 는 약세 마감. 특히, 프랑스 명품 기업인 케링(KER/-1.8%), LVMH(MC/-1.9%), 크리스챤 디올(CDI/-2.3%)의 주가가 일제히 내리며 프랑스 지수 하락을 견인. 한편, 금일 발표된 유로존 8월 서비스업 PMI는 59.0으로 집계돼 예비치를 소폭 하회했지만 여전히 견고한 확장 국면을 지속. 다만, 금일 발표된 7월 소매판매가 전달대비 2.3% 감소해 금일 경기민감주의 하방 압력을 가중시켰으며, 시장은 테이퍼링에 단서를 얻을 수 있을 다음 주 ECB 통화정책회의를 주목하는 모습.
9월도 고용환경에 크게 긍정적인 변수는 없어보입니다. 문제는 경제펀더멘탈이 아닌, 코로나 델타변이 입니다. 코로나 델타변이가 쉽게 감소하긴 어려울 것으로 보여집니다. 마스크는 여전히 안쓰고, 9/6일 노동절 - 10/31 할로윈 - 11/25 추수감사절 - 12월 크리스마스 까지 북미는 이제 본격 파티시즌에 진입합니다. 작년 겨울을 코로나 확산을 기억해보아야합니다.
•8월말 개학으로 7월/8월 Payroll(일자리) 증가에 큰 기여를 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고등학생들의 이탈이 예상됩니다. 방학때 맥도날드 등 식당 단기 근로자는 대부분 학생들입니다.
•미국의 코로나 일간 신규확진자수는 오늘까지도 지속적으로 증가중입니다.
•휴가시즌 마무리와 코로나변이 확산으로 레저/숙박 업태의 고용이 축소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코로나 이전에도 수년간 지속적으로 감소해왔던 오프라인 리테일(유통) 고용은 경제재개 이후 지속적인 일자리수 증가를 유지해왔으나, 8월에는 큰폭으로 다시 감소했습니다. ‘델타변이 확산+겨울’ 두가지 상황이 더해져서 북미 연말 쇼핑시즌은 온라인 중심이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주식 스터디를 위해 개인적으로 스크랩한 증시캘린더, 국내 및 해외마감 시황, 뉴스 자료를 공유합니다.
1) 증시캘린더는 개인적으로 관련된 소식을 확인후 작성한 일정이라 변동 또는 오류의 소지가 있습니다.
2) 노션으로 공유한 링크는 익스플로러에선 제대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크롬에 최적화, 엣지, 웨일에서도 잘 작동합니다.
( 공유 자료링크는 1~2일후 공유 해지 합니다.)
게시물은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한 것이라
불확실하거나 오류가 많을 수 있으므로 투자 활용시 유의하시기 바라며, 개별적인 종목 추천이나 상담은 하지 않습니다.
모쪼록 제 공간에 오신 모든 분들이 주식스터디를 통해 인생 한 방보다, 꾸준함을 믿으며...
복리의 마법으로 모든 분들이 성공한 개인투자자가 되시길...
S&P500·나스닥, 실업지표 개선에 최고치...스포티파이 6.9%↑ [출근전 꼭 글로벌 브리핑]
美 신규실업수당 청구건수 코로나 시작 후 '최저'
왓츠앱 벌금 부과 소식에 페이스북 1%대 하락
유럽 상승·중국혼조
[글로벌시장 지표 / 9월 3일 오전 6시 현재]
[미국증시 마감시황]
■ S&P500·나스닥 신고가…주간 실업 지표 개선에 상승
미국 뉴욕증시가 주간 실업 지표가 개선됐다는 소식에 또 한번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현지 시각으로 2일 뉴욕증권거래소(NYSE)의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전날보다 131.29포인트(0.37%) 상승한 3만5,443.82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은 12.85포인트(0.28%) 오른 4,536.94, 나스닥은 21.80포인트(0.14%) 뛴 1만5,331.18에 마감했다. S&P500과 나스닥은 신고가를 기록했다.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테이퍼링(자산매입 축소) 시기를 가늠할 수 있는 8월 고용보고서 발표를 앞두고 미국 뉴욕증시의 주요 지수가 상승 흐름을 보인 것으로 풀이된다.
또 이날 미국 노동부는 지난 한주(8월22~28일) 미국의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34만건으로 당초 예상했던 34만5000건에 못미치면서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시작 이후 최저를 기록했다고 발표하며 주식 시장의 전반적인 상승흐름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시장 참가자들은 고용지표에 따라 오는 21~22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기조가 정해질 것으로 본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고용시장의 추가 진전을 강조해 왔다.
[특징주]
■ FAANG
넷플릭스는 이날 1%대 상승했다. 애플의 주가는 전장보다 0.75% 오르며 153.65달러에 거래를 마쳐 마감가 기준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애플이 앱스토어 규제를 완화한다는 소식에 스포티파이의 주가는 6.97% 급등했다. 반면 페이스북과 구글은 각각 1.77%, 1.33% 하락했다. 아마존은 약보합(-0.46%)마감했다.
페이스북의 하락세가 가장 두드러졌는데 이는 왓츠앱이 아일랜드 당국으로부터 2억2500만 유로의 벌금을 부과 받았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인 것으로 분석된다.
■ 금융주
금융주 중에선 JP모간체이스(+0.46%) 골드만삭스(+0.20%) 뱅크오브아메리카(+0.10%) 등의 주가가 소폭 올랐다.
■ 테슬라·포드·제너럴모터스
테슬라 주가는 이날 약보합 마감했다. 차량 판매 감소 소식에 포드자동차의 주가는 0.76% 하락 마감했고 제너럴모터스(GM)도 0.33% 하락했다.
■ 츄이·파이브 빌로우
미국 반려동물 이커머스 1위 츄이(Chewy)와 미국 소매 할인점 파이브 빌로우는 이날 각각 9%대, 13%대 하락 마감했다.
■ 버라이즌
미국 1위 통신사업자 버라이즌의 주가는 분기 배당을 주당 64센트로 기존보다 2% 인상한다고 밝히면서 0.6%가량 상승했다.
미국 증시는 주간 실업 지표 개선에 상승 마감. 금일 미 노동부가 발표한 주간 신규실업수당 청구건수는 34만 건으로 집계돼 예상치(34.5만 건)를 하회하였으며, 지난해 3월 이후 최저 수준 기록하여 델타 변이 확산 속에서도 고용 개선 기대감이 증대. 이에 전일 ADP 고용통계 부진에 약세를 시현한 경기민감주로 자금이 유입되며 블루칩 중심의 다우지수는 0.3% 상승하였으며,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과 S&P500은 각 0.1%, 0.3% 올라 사상 최고치 경신. 개별기업으로는 메가캡 기업인 아마존(AMZN/-0.5%), 구글(GOOGL/-1.3%), 페이스북(FB/-1.8%)이 약세를 시현하며 나스닥 지수 상승을 다소 제한. 한편, 금일 발표된 7월 제조업수주는 전달대비 0.4% 증가해 6월 지표보다 둔화되었으나 예상치인 0.3%를 웃돈 것으로 집계돼 증시 상승에 기여했으며, 시장은 익일 발표될 8월 비농업부문 고용지표와 실업률을 주목하는 모습.
섹터별 ETF는 에너지(XLE/+2.5%), 산업재(XLI/+1.1%), 헬스케어(XLV/+1.1%)가 상승, IT(XLK/-0.1%), 커뮤니케이션(XLC/-0.7%) 섹터가 하락 마감. 최근 OPEC+의 40만 배럴 증산안 유지 결정과 전일 주간 원유재고의 감소, 익일 예정된 고용지표를 주목하며 달러가 약세를 시현한 점이 금일 유가 상승을 지지. 금일 10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장중 한 때 약 4주만에 배럴당 $70 선을 회복하였으며, 이에 엑슨모빌(XOM/+2.4%), 옥시덴털페트롤리움(OXY/+6.0%)이 강세를 시현하며 에너지(XLE) 섹터가 2.5% 상승. 산업재(XLI) 섹터는 경기민감주로 자금이 유입되며 상승한 가운데, 콴타서비스(PWR)가 재생 에너지 기업 Blattner Holdings를 약 30억 원 규모에 인수한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12.1% 올라 섹터 상승 주도. 반면 IT(XLK) 섹터 내 오토데스크(ADSK)는 금일 투자자의 날 행사를 진행하며 구독형 서비스 중심으로 전환하며 잉여현금흐름이 둔화될 수 있음을 시사. 해당 소식 이후 당사 주가는 하락 전환하여 5.2% 내림세를 기록하였으며, IT 섹터 내 가장 큰 하락 폭 시현.
유럽증시는 미국 실업 지표 개선에 상승 마감. 금일 범유럽지수인 STOXX600은 미국 고용지표 호조와 장 중 유가가 $70 선을 회복하자 지수는 0.3% 오른 474.6 선 거래를 마감하였으며, 독일 DAX 지수와 영국 FTSE100 역시 각 0.1%, 0.2% 오름세 기록. 금일 유럽증시는 경기민감주로 자급이 유입되었으며, 약 달러와 주간 원유재고 감소 소식에 에너지 섹터가 1.8% 올라 증시 상승 견인. 뒤이어 산업재가 0.7% 상승하였으며, 스웨덴 바이오 업체 스웨디시 오펀 바이오비트럼(SOBI/+25.8%)이 인수 제안에 합의했다는 소식에 25.8% 급등하여 헬스케어(+0.6%) 역시 오름세 시현. 반면 경기방어주인 유틸리티(-0.2%), 필수소비재(-0.3%), 부동산(-0.7%) 섹터는 약세로 마감. 개별기업으로는 폴란드 비디오게임 개발업체 CD프로젝트(CDR)가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하여 11.5% 상승하였으며, 독일 자동차 업체 다임러(DAI)는 하반기 메르세데스 사업 부문이 글로벌 반도체 부족으로 판매량 둔화 우려를 표명하자 0.6% 하락 마감. 한편, 금일 발표된 유로존 7월 생산자물가지수(PPI)는 전월비 2.3%, 전년비 12.1% 상승하여 예상치를 웃돌았으며, 유럽 내 인플레이션 압력이 거세지고 있음을 확인.
☑️내일 발표될 고용데이타가 예상수준을 의미있게 하회하면, 핵심 인플레요인인 주택가격이 전반적으로 안정화되어가는 상황에서 연준은 테이퍼링을 내년으로 넘길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만약 델타변이 확산에도 서프라이즈한 고용데이타가 발표될 경우 당장 9월21일~21일 FOMC에서 테이퍼링을 결정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about US Market>
오늘 증시는 주요지수 모두 상승 출발하였습니다. 그러나 오후들어 빅테크중심으로 차익실현 매물이 나오며 나스닥은 장중 하락전환도 하였으나 장마감 직전까지 지속적인 대기저가매수가 유입되며 결국 다시 지수를 끌어올리며 주요지수 모두 상승세로 마감했습니다. 마치 빅테크를 일부 차익실현하고 이돈으로 덜오른 종목들을 채워넣는 모양새였습니다.
이번주 들어서 상승종목수보다 하락종목수가 많았음에도 빅테크의 지속적인 상승으로 지수는 상승세를 유지했습니다. 반면 오늘은 빅테크가 조정을 받고 수급이 광범위하게 분산되며 상승종목수가 하락종목수를 압도하는 하루였습니다.
*자동차용 칩부족 이벤트
-Ford : 8월 매출 YoY-33%
-GM : 2H 북미생산 1H대비 10만대 감소
-Tesla : 상하이공장 8월 중 4일 생산중단
*주간 실업급여 청구건수
-전주 : 340K / 컨센 345K / 이전 354K
=코로나 이전 수준 : 210K
-연속 : 2,748K / 2,775K / 2,908K
=코로나 이전 수준 : 1,700K
*코로나 : 신규확진자 증가
(수요일 184,420 / WoW +7.4%)
☑️일간 신규확진자수 단기 고점을 찾으려 다양한 데이타가 픽아웃했다는 보도들이 있지만, 아직은 확진자수 지속 상승중입니다. 수요일 레벨이 18만명이면, 금요일은 20만명 넘어설 것으로 보입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이틀 동안 조정 후 반등. 업종별로 장비주가 강세. ASML ADR +2.27%, AMAT +0.74%, 램리서치 +0.39%, KLA +0.67%, 테라다인 +1.00%. 한편, 브로드컴 실적 발표 앞두고 경쟁사 주가 혼조. 퀄컴 -0.91%, Skyworks +0.89%, Qorvo -0.09%. 장 마감 이후 브로드컴 실적 발표. 매출 67.8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6.5% 증가. Non-GAAP EPS 6.96달러로 컨센서스 6.76달러 대비 상회. 다음 분기 매출 가이던스 73.5억 달러로 컨센서스 72.3억 달러 대비 상회. 한편 메모리 업종의 마이크론은 전일 대비 +0.37%로 나쁘지 않은 모습이고 동종업종의 WDC와 실리콘 모션은 전일 대비 각각 +0.98%, +0.05%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