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주식 스터디를 위해 개인적으로 스크랩한 증시캘린더, 국내 및 해외마감 시황, 뉴스 자료를 공유합니다.

1) 증시캘린더는 개인적으로 관련된 소식을 확인후 작성한 일정이라 변동 또는 오류의 소지가 있습니다.

2) 노션으로 공유한 링크는 익스플로러에선 제대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크롬에 최적화, 엣지, 웨일에서도 잘 작동합니다.

    ( 공유 자료링크는 1~2일후 공유 해지 합니다.)

 

게시물은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한 것이라

불확실하거나 오류가 많을 수 있으므로 투자 활용시 유의하시기 바라며, 개별적인 종목 추천이나 상담은 하지 않습니다.

 

모쪼록 제 공간에 오신 모든 분들이 주식스터디를 통해 인생 한 방보다, 꾸준함을 믿으며...

복리의 마법으로 모든 분들이 성공한 개인투자자가 되시길...


뉴욕증시, 고용지표 호조·기술주 강세...애플 2.0%↑ [출근전 꼭 글로벌브리핑]

다우·S&P500 사흘 연속 최고치

마이크론, 모건스탠리 목표가 하향조정에 6.4%↓

유럽 혼조, 중국·베트남 하락

글로벌시장 지표/8월 13일 오전 6시 현재]

 

 

[미국증시 마감시황]

 

■ 인플레 논의 재점화 속 상승…다우·S&P500 사흘 연속 사상최고

 

현지시간 12일 뉴욕증시는 투자자들이 인플레이션 위험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델타 변이의 확산을 주시한 가운데 개선된 고용지표에 투자심리가 확산되며 일제히 상승 마감했다. 다우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0.04% 상승한 3만5499.35로 거래를 마쳤다. S&P500지수는 0.30% 오른 4460.83을,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0.35% 뛴 1만4816.26으로 장을 마감했다. 다우지수와 S&P500지수는 3거래일 연속 최고치 행진을 이어갔다.

 

고용지표는 호조를 나타냈다. 노동부는 지난 주 미 노동시장이 작년 경기침체로부터 회복세를 이어가면서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소폭 감소했다고 발표했다. 지난주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37만5000건으로 3주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다. 이날 발표된 7월 생산자 물가지수(PPI)는 전월보다 1.0% 올라 시장 예상치(0.5% 상승)를 상회했다.

 

[특징주]

 

■ FAANG

 

주요 기술주인 팡(FAANG) 종목은 넷플릭스(-0.33%)를 제외하고 모두 강세를 나타냈다. 최근 주춤하던 기술주에 매수세가 유입하면서 상승 반전했다. 애플이 2.08% 가장 큰 폭의 상승률을 기록했고 페이스북과 아마존, 구글은 약보합권에서 거래를 마쳤다.

 

■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마이크론 주가는 모건스탠리가 메모리칩 시장 둔화를 예측하며 주가를 하향 조정하며 6.37% 하락 마감했다. 모건스탠리는 마이크론의 목표가를 105달러에서 75달러로 낮춰 잡았으며 투자 의견도 `비중 확대`에서 `동일 비중(equal weight)`으로 하향했다. 반도체주 인텔 역시 1%대 떨어졌다.

 

■ 디즈니

 

정규장 거래에서 0.67% 소폭 오른 디즈니 주가는 장 마감 후 호실적을 발표하면서 시간외거래에서 5%대 상승중이다. 주당 순이익은 80센트로 시장 예상치(55센트)를 가뿐하게 상회했고 매출 역시 170억2천만 달러로 월가 전망치(167억6천만 달러)를 웃돌았다.

 

■ 에어비앤비

 

장 마감 후 실적을 발표한 에어비앤비는 매출과 예약건수 모두 월가 예상치를 웃돌았다. 특히 매출이 연간 300%가량 뛰었음에도 델타 변이에 대한 우려로 시간외 거래에서 주가는 5%대 하락 중이다. 정규장 거래에서는 2% 상승 마감했다.

출처: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108130013&t=NN>

 

 

 

2021년 8월 13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홍하이가 구체적인 전기차 사업 계획을 공개했습니다. 

 

(2) 에어비앤비 디즈니의 실적 가이던스가 미국경제 정상화를 반영했습니다.  

 

(3) DB그룹이 DB하이텍을 매각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미 5년 breakeven rate 2.615%, +0.007%p (2% 상회시 유의, 2.5% 상회시 경고)

한국 고객예탁금, 66.6조원 -0.2조원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21%

1개월 NDF 환율 1,163.60원 (+2.40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미국 상승 = 나스닥 저가매수]

(Feat. 다우+S&P500 3일째 신고가)

 

<about Market>

장초반 보합권으로 시작한 주요지수는 이틀째 조정을 받은 나스닥 빅테크를 중심으로 장중 지속적으로 반등을 시도하였습니다. 반면 역사상 신고가인 다우지수는 오전 일부 차익실현이 있었지만, 이역시 오후들어 조정폭을 모두 만회하며 주요지수 모두 상승마감하였습니다. 반면 중소형 PSR성장주들은 일부 조정받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주간 실업급여 청구건수

-전주 :  375K / 컨센 375K / 이전 387K

=코로나 이전 수준 : 210K

-연속 : 2,866K / 2,880K / 2,980K

=코로나 이전 수준 : 1,700K

 

*코로나 : 신규확진자 증가

(전일 144,635 / WoW +35.5%)

☑️금요일 20만명 돌파 예상

 

•나스닥 +0.4% / 러셀2000 -0.2%

•S&P500 +0.3% / 다우 +0.0%

-나스닥 Top10 : 상승 8 vs 하락 2

 

-비트코인 : $44,000

-미국채금리(10y) : 1.362 (+0.3%)

-WTI : $68.95 (-0.4%)

 

SMART한 주식투자

https://t.me/frankinvest

 

 

(2021.08.13) U.S. & EU Market Closing

2021.08.13  진상우

U.S. Market Closing – 05:00 기준

지수 종가 등락폭 등락률 상승/하락/보합
DOW 35,499.85 14.88 0.0% 16/14/0
S&P500 4,460.83 13.13 0.3% 233/268/4
NASDAQ 14,816.26 51.13 0.3% 1235/1993/202
RUSS 2K 2,244.07 -6.27 -0.3% 705/1233/36
PHLX 반도체지수 3,312.96 -37.97 -1.1% 6/24/0
VIX지수 15.59 -0.47 -2.9%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 티레이더에서 나스닥•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실시간 제공

 

미국 증시는 주간 실업지표와 생산자물가지수,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에 주시하며 강세로 마감. 이날 발표된 미국의 주간 실업보험청구자수가 37만5천 명으로 집계돼 3주 연속 감속, 시장 예상치에 부합. 미국의 고용 동향이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 우려에도 불구하고 미국 경제의 탄탄한 회복세를 지지. 7월 생산자물가지수(PPI)는 전월 대비 0.1% 상승, 전년 대비로는 7.8% 올라 시장 예상치를 상회, 근원 PPI는 전월과 동일. 한편, 고용 회복과 인플레 가속으로 연준(FED)의 자산매입 축소, 테이퍼링에 대한 우려가 증시 상승폭을 제한. 아울러, 로버트 캐플란 댈러스 연방은행 총재는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테이퍼링에 관한 계획을 발표하고 10월부터 테이퍼링을 시작해야한다고 발언, 앞서 라파엘 보스틱 애틀란타 총재도 가을 중 테이퍼링을 시작해야한다고 언급. 개별 종목으로는 스위스 투자은행 UBS은행이 테슬라(TSLA)에 대한 목표주가를 660달러에서 725달러로 상향 조정하며 2.4% 상승, 데이터 분석 소프트웨어 기업인 팔란티어 테크놀로지(PLTR)가 컨센서스를 웃도는 경영 실적을 발표하며 10.7% 상승.

 

 

U.S. ETF Closing – 05:00 기준

Sector

분류 티커 현재가 등락률 t신호 수익률






1개월 3개월 1년
헬스케어 XLV 132.9 0.8% 햇빛 4.4% 7.3% 25.7%
IT XLK 154.2 0.6% 햇빛 4.0% 12.8% 35.1%
부동산 VNQ 106.2 0.2% 햇빛 2.7% 9.1% 35.3%
금융 XLF 38.9 0.2% 햇빛 10.7% 4.9% 61.1%
커뮤니케이션 XLC 83.1 0.2% 햇빛 4.4% 8.0% 38.6%
유틸리티 XLU 68.2 0.1% 햇빛 4.6% 4.4% 17.3%
자유소비재 XLY 182.1 0.0% 햇빛 3.5% 7.6% 25.3%
필수소비재 XLP 71.9 -0.1% 햇빛 1.5% 1.9% 13.9%
에너지 XLE 50.0 -0.1% 안개 6.5% -2.9% 40.3%
소재 XLB 86.4 -0.2% 햇빛 8.8% 0.4% 40.4%
산업재 XLI 105.3 -0.2% 햇빛 5.6% 3.0% 39.2%

자료: 티레이더,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금일 섹터별 ETF에서는 헬스케어(XLV/+0.8%), IT(XLK/+0.6%), 유틸리티(XLU/+0.1%) ETF가 상승한 반면, 소재 (XLB/-0.2%), 에너지(XLE/-0.1%) ETF가 하락. 헬스케어(XLV) ETF에서는 제약사 오가논(OGN)이 시장 예상치를 웃도는 실적과 주당 28센트의 배당금을 지급한다고 발표하며 11.9% 상승, 코로나 19 백신 업체 모더나(MRNA/+1.9%)와 화이자(PFE/+1.9%)가 반등하며 헬스케어(XLV) 상승을 주도. 한편, 국제에너지기구(IEA)의 델타 변이 확산으로 원유 수요에 타격을 줄 수 있다는 발표에 유가가 하락하며 에너지(XLE) ETF 하락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 IEA는 올해 글로벌 원유 수요 전망치를 하루 10만 배럴 가량 낮추고, 내년 하반기에 코로나 펜데믹 이전 수준으로 회복할 것으로 전망.

 

Thematic

분류 티커 현재가 등락률 t신호 수익률






1개월 3개월 1년
IPO IPO 64.8 0.9% 햇빛 6.2% 11.2% 44.3%
생명공학 IBB 169.2 0.8% 햇빛 4.6% 11.2% 25.4%
기술혁신 ARKK 121.9 0.5% 햇빛 3.9% 14.3% 42.0%
반도체 SOXX 452.3 -1.1% 햇빛 6.1% 8.8% 51.5%
클린에너지 ICLN 22.8 -1.3% 햇빛 4.0% 1.9% 40.5%

자료: 티레이더,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금일 테마 ETF에서는 생명공학(IBB/+0.8%), IPO(IPO/+0.9%), 기술혁신(ARKK/+0.5%) ETF가 상승한 반면, 클린에너지(ICLN/-1.3%)과 반도체(SOXX/-1.1%) ETF가 하락. 생명공학(IBB) ETF에서는 미국 생명공학기업 라리마테라퓨틱스(LRMR)이 희귀 유전질환인 프리드리히 운동실조증에 대한 CTI-1601 임상 1상의 긍정적인 참고자료와 데이터를 발표, 컨센서스를 상회하는 2분기 경영 실적에 27% 오르며 생명공학(IBB) ETF 상승을 견인. 한편, 미국 투자은행 모건 스탠리가 메모리 칩 시장의 둔화를 언급, 반도체업체 마이크론테크놀로지(MU)의 목표주가를 75달러로 하향 조정해 마이크론테크놀로지(MU)가 6.3% 내리며 반도체(SOXX) ETF 하락을 견인.

 

 

EU Market Closing – 04:00 기준

지수 종가 등락률 구분 업종 등락률
STOXX 600 474.96 +0.1% 상승 커뮤니케이션 0.8%




헬스케어 0.7%




자유소비재 0.4%



하락 소재 -0.7%




에너지 -0.4%




유틸리티 -0.3%
지수 종가 고가 저가 등락폭 등락률
獨 DAX 15,957.74 15,964.38 15,823.53 131.65 0.8%
英 FTSE 100 7,191.53 7,220.70 7,182.92 -28.61 -0.4%
佛 CAC 40 6,889.82 6,891.29 6,854.99 31.83 0.5%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유럽 증시는 기업 실적 발표 호조와 대기업의 투자 및 인수합병(M&A) 소식에 강세로 마감. 범유럽지수인 STOXX 600 지수는 9거래일 연속 상승하며 최고치를 경신. 개별 종목으로는 영국의 영화사 씨네월드(CINE)가 자회사 리갈(Regal)의 미국 거래소 상장 계획 발표에 3.9% 상승, CVC 사모펀드가 영국 알코올 음료 기업 스톡스피릿(STCK)을 11억 달러에 인수한다는 소식에 스톡스피릿(STCK)이 42.9% 상승. 한편, 전문가들은 현재 유럽 시장에서 뚜렷한 강세 재료가 부족해 보합권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할 수 있다고 경고. 이날 발표된 주요 경제지표로는 영국의 6월 산업생산이 전월 대비 0.7% 감소, 전년 동월 대비 9.0% 증가하며 예상보다 둔화. 6월 제조업 생산은 전월 대비 0.2% 상승했고, 전년 동월 대비 13.9% 증가. 지난 2분기 영국의 국내총생산(GDP) 예비치는 전분기 대비 4.8%, 전년 동기 대비 22.2% 증가로 집계. 한편, 영란은행(BOE)은 올해 마지막 분기에 영국 경제가 코로나 펜데믹 이전 수준으로 회복할 것으로 전망한다고 발표, 영국 경제가 6월에 예상보다 1% 더 빠르게 성장했다고 언급.

 

 

 

출처: <https://m.myasset.com/extern/researchPortal/RP_0001000_P1.cmd?menuid=RP_0105000_P1&searchKeyGubun=1&keyword=&page=1&base_date=20210813053547&gbn=B&res_seq=173228>

 

 

 

 

 

 

[2021.08.12 (목) 필라델피아 반도체] 하나금융투자 반도체 애널리스트 김경민, CFA

 

전일 대비 -1.13%, 3,313선 마감

상승주 6, 하락주 24

 

다우 +0.04%, 나스닥 +0.35%, S&P 500 +0.30%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6영업일 연속 하락. 메모리 반도체 업종 중 DRAM 업황 피크 아웃 우려가 반도체 업종 투자 심리에 전반적으로 부정적 영향을 끼침

 

수요일과 마찬가지로 마이크론과 더불어 반도체 장비주가 약세. 마이크론 -6.37%, ASML ADR -1.03%, AMAT -4.15%, 램리서치 -4.11%, KLA -4.13%, 테라다인 -2.25%

 

상승 종목은 엔비디아 +1.05%, 퀄컴 +0.32%, 브로드컴 +0.15%, Marvell +0.12% 등 6개사. 엔비디아의 경우 실적 발표 앞두고 실적 컨센서스 또는 목표 PER 상향 조정 전개

 

감사합니다.

 

 

 

 

 

 

 

『하루를 여는 혁신투자자문 IPO News Daily💌 - 20210813』

 【 텔레그램 채널 주소 : https://t.me/KoreaIB

 【 IPO상장문의 및 이경준 대표 Contact ☞ 📧 ipo@kakao.com 】

 

===========================

 

📌Today's Topic》

다보링크, 13일 코스닥 상장…유안타제6호스팩과 합병

http://naver.me/x0a3zWi9

☞ 혁신투자자문이 처음으로 발기인으로 참여한 스팩(유안타제6호스팩)이 오늘 다보링크와 합병 상장합니다.

 

최근에는 메타버스 관련주로도 편입되어서 주가가 많이 올랐지만, 앞으로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금일은 [ 엠로 ] 상장일 입니다.

 

[ 엠로 _공모가 22,600원 ]

 º 시가총액 : 1,226억원(5,426,060주)

 º 유통가능 : 661억원(2,926,247주, 53.93%)

 º 수요예측 내역

    총 참여건수 : 783건

    실 유효건수 : 709건(90.55%)

    총 경쟁률 : 685.60 대 1

    총 확약 비중 : 건수 기준 50건(6.39%), 수량 기준 6.98%

 º 일반청약률 : 250.01 대 1(98,132건)

 

#SCM #코넥스_이전상장

 

===========================

 

★ 금일 IPO 일정 ★

 08/12~13 바이젠셀 청약🖨

 08/13 엠로 상장★

 

☆ 다음주 IPO 일정 ☆

 08/17 딥노이드 상장★

 08/17 한컴라이프케어 상장★

 08/18 바이젠셀 납입🏧

 08/19 롯데렌탈 상장★

 08/19 브레인즈컴퍼니 상장★

 08/19~20 일진하이솔루스 수요예측⚖️

 08/19~20 에스앤디 수요예측⚖️

 08/20 아주스틸 상장★

 

 

 ------------------------------------------

 

▣ 기관IR 일정 ▣

 - 온라인 간담회로만 진행 中 -

 

▣ 상장 일정(예정, 변경가능) ▣

 08/13 엠로(한국투자증권)

 08/17 딥노이드(KB증권)

 08/17 한컴라이프케어(미래에셋증권)

 08/19 브레인즈컴퍼니(키움증권)

 08/19 롯데렌탈(NH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08/20 아주스틸(미래에셋증권)

 08/25 바이젠셀(대신증권)

 09/02 에스앤디(유진투자증권)

 09/03 일진하이솔루스(미래에셋증권, 삼성증권)

 09/08 에이비온(미래에셋증권)

 09/10 와이엠텍(KB증권)

 09/16 현대중공업(미래에셋대우, 한국투자증권)

 09/17 차백신연구소(삼성증권)

 미정 - 카카오페이(삼성증권)

 

▣ 심사 승인 ▣

 - 실리콘투(삼성증권, 미래에셋증권)

 - 아스플로(미래에셋증권)

 - 원준(NH투자증권)

 - 바이오플러스(키움증권)

 - 프롬바이오(NH투자증권)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 국내 IPO 개별종목

■ '코스닥 이전 상장' 엠로, 1년 만에 웃었다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8091440444600102164&lcode=00&page=4&svccode=00

 

■ 3일째 추락한 크래프톤… 투자자는 울상, 창업자는 돈방석

http://naver.me/GNyMWKeF

 

■ IPO 장고 들어간 카카오페이...'시총 42兆' 카카오뱅크 반사이익 기대감

http://www.investchosun.com/site/data/html_dir/2021/08/11/2021081180194.html

 

■ 차기 IPO 주자 카카오모빌리티…수익화·사업확장 집중 행보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162318

 

■ [단독] 글씨체 개발업체 '산돌', 내년 코스닥 상장 추진

https://www.mk.co.kr/news/stock/view/2021/08/783529/

 

■ 현대오일뱅크 세번째 상장 추진, '후계자' 정기선 승계 동력되나

http://www.insightkorea.co.kr/news/articleView.html?idxno=90992

 

■ SSG닷컴 IPO 본격 시작…‘몸값 10조’에 붙는 물음표

https://economist.co.kr/2021/08/12/industry/distribution/20210812173300327.html

 

■ 'IPO 전쟁' 컬리, '쓱닷컴·오아시스' 틈새 차별화 고심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8111347115760107513&lcode=00&page=6&svccode=00

 

 

▶️▶️▷ IPOmarket(해외IPO포함)

■ [팩트체크] 금감원의 증권신고서 정정 요구…공모가 개입일까

https://cnews.pinpointnews.co.kr/view.php?ud=202108121642595513cd1e7f0bdf_45

 

■ 대형증권사 IPO '을이 갑' 되다...기업이 '주관사' 찾아다녀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10812000426

 

■ [슈퍼위크 결산②] 디즈니? '고평가' 논란 부른 기업평가

https://www.dailian.co.kr/news/view/1021157/?sc=Naver

 

■ IPO ‘대어’ 쓸어담는 국민연금···삼성전자·하이닉스는 대량매도

https://biz.chosun.com/stock/analysis-prospect/2021/08/12/5I2K4ZBNENDEFKEH7UMNUQUXEI/?utm_source=naver&utm_medium=original&utm_campaign=biz

 

■ 스팩 급등에 스팩 쪼그라든다… 주가 너무 올라 올해 합병 고작 5건

https://www.ajunews.com/view/20210812152705770

 

 

▶️▶️▷ 시장 이모저모

■ SK이노 ‘분사’ 쇼크…주주 달래기 팔 걷었다

https://www.dnews.co.kr/uhtml/view.jsp?idxno=202108111845029240458

 

■ '원티드랩' 꼼수 수혜자 한투증권, 상장 후 얼마 벌었나

http://naver.me/GnGDtcrq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728x90
728x90

아래 자료는 재즈스탁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장마감후 당일 시가총액대비 기관매수세가 큰 종목 순서로 작성하였습니다.

원데이터나 엑셀의 오류로 잘못된 부분이 있을 수 있으니, 참고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http://jazzstock.net/

 

Jazzstock

수급분석, 수급차트, 창구분석, 거래원분석

jazzstock.net


기관매수, 내림차순 정렬

기관매수, 오름차순 정렬

외인매수, 내림차순 정렬

사모펀드, 내림차순 정렬

728x90
728x90

주식 스터디를 위해 개인적으로 스크랩한 증시캘린더, 국내 및 해외마감 시황, 뉴스 자료를 공유합니다.

1) 증시캘린더는 개인적으로 관련된 소식을 확인후 작성한 일정이라 변동 또는 오류의 소지가 있습니다.

2) 노션으로 공유한 링크는 익스플로러에선 제대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크롬에 최적화, 엣지, 웨일에서도 잘 작동합니다.

    ( 공유 자료링크는 1~2일후 공유 해지 합니다.)

 

게시물은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한 것이라

불확실하거나 오류가 많을 수 있으므로 투자 활용시 유의하시기 바라며, 개별적인 종목 추천이나 상담은 하지 않습니다.

 

모쪼록 제 공간에 오신 모든 분들이 주식스터디를 통해 인생 한 방보다, 꾸준함을 믿으며...

복리의 마법으로 모든 분들이 성공한 개인투자자가 되시길...


뉴욕증시, 물가지표 안도 속 혼조세…모더나 15.6%↓ [출근전 꼭 글로벌브리핑]

다우·S&P500 연일 최고치

유럽 상승, 중국 혼조·베트남 하락

[글로벌시장 지표/8월 12일 오전 6시 현재]

 

 

[미국증시 마감시황]

 

■ 물가 지표에 안도…다우·S&P500 연일 최고치

 

현지시간 11일 뉴욕증시는 물가 지표가 예상보다 크게 오르지 않았다는 평가에 안도했지만 기술주 약세에 혼조세로 마감했다. 다우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0.62% 오른 35,484.97로 거래를 마쳤다. S&P500지수는 0.25% 상승한 4,447.70을,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0.16% 하락한 14,765.14로 장을 마감했다. 전날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던 다우지수와 S&P500지수는 또다시 고점을 찍었다. 반면 대형 기술주들이 하락하면서 나스닥지수는 내렸다.

 

투자자들은 개장 초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예상보다 높지 않았다는 평가에 마음을 놓는 모습이었다. 7월 CPI는 한 달 전보다 0.5%, 1년 전보다 5.4% 각각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변동성이 큰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CPI 상승률도 월가의 전망치보다 둔화한 상승률을 나타내며 인플레이션이 일시적이라는 주장에 무게가 실렸다.

 

그러나 연준 내 대표적 매파(통화 긴축 선호) 위원인 로버트 카플란 댈러스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이날 CNBC와의 인터뷰에서 연준이 자산 매입 프로그램을 축소하는 테이퍼링을 오는 10월에 시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카플란 총재는 9월 회의에서 테이퍼링 계획을 발표하고, 10월에 이를 시작하는 것을 선호한다고 말했다. 에스더 조지 캔자스시티 연은 총재도 미국 경제가 강한 성장세를 보이면서 통화정책을 통해 제공되는 지원을 축소하기 시작할 때라고 언급했으나 구체적 시점은 언급하지 않았다.

 

[특징주]

 

■ FAANG

 

주요 기술주인 팡(FAANG) 종목은 애플(+0.18%)을 제외하고 모두 내렸다. 페이스북과 아마존, 넷플릭스, 구글은 모두 1% 미만의 약세를 보였다.

 

■ 모더나

 

모더나 주가는 뱅크오브아메리카(BOA)의 부정적 보고서에 15.6% 떨어졌다. 모더나 주가는 최근 실적 발표 이후 밸류에이션이 과도하다는 평가가 잇따르면서 하락 압력을 받고 있다. 이와 함께 화이자 백신의 공동개발사인 독일 바이오엔테크와 화이자는 각각 13.7%, 3.9% 하락했다.

 

 버진갤럭틱

 

버진갤럭틱 주가는 12.67% 하락한 27.36달러에 마감했다. 모건스탠리가 버진갤럭틱에 대한 투자 의견을 `비중 축소`로 하향 조정하면서다.

 

출처: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108120008&t=NN>

 

 

 

 

2021년 8월 12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미 7월 근원 CPI 상승률이 전월대비 소폭 하락하며 국채 금리가 내렸습니다.

 

(2) 풍력 터빈 기업 베스타스가 올해 매출과 영업이익률 가이던스를 낮췄습니다.

 

(3) 중국 자율주행 스타트업이 뉴욕증시 상장 계획을 보류했습니다.

 

미 5년 breakeven rate 2.608%, +0.020%p (2% 상회시 유의, 2.5% 상회시 경고)

한국 고객예탁금, 66.8조원 -4.7조원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09%

1개월 NDF 환율 1,155.85원 (-0.50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미국 혼조 = 경기민감주 상승2]

(Feat.다우 신고가2 vs 나스닥 차익실현2)

 

<about Market>

전일과 같은 패턴으로 오전 주요지수 모두 강세로 시작했습니다. 그러나 시작 직후부터 나스닥 성장주들은 차익실현 매물에 하락전환하였습니다. 반면 경기민감주를 중심으로 다우와 S&P500은 장초반 상승세를 끝까지 유지하며, 연이틀 역사상 신고가로 마감하였습니다. 완벽하게 어제와 데칼코마니인 하루였습니다.

 

*7월 소비자물가지수(YoY)

•7월 CPI

5월 : +5.0% / 컨센 +4.7%

6월 : +5.4% / 컨센 +4.9%

7월 : +5.4% / 컨센 +5.3%

 

•7월 Core CPI(=CPI-food&energy)

5월 : +3.8% / 컨센 +3.4%

6월 : +4.5% / 컨센 +4.0%

7월 : +4.3% / 컨센 +4.3%

 

*코로나 : 신규확진자 증가

(전일 102,915+@ / WoW +43.5%)

•플로리다 집계지연

-8월9일 신규확진자 28,317명으로 플로리다 사상최대치 경신

-극심한 병상부족

 

•나스닥 -0.2% / 러셀2000 +0.5%

•S&P500 +0.3% / 다우 +0.6%

-나스닥 Top10 : 상승 4 vs 하락 6

 

-비트코인 : $47,000

-미국채금리(10y) : 1.334 (-0.6%)

-WTI : $69.34 (+1.5%)

 

SMART한 주식투자

https://t.me/frankinvest

 

 

(2021.08.12) U.S. & EU Market Closing

2021.08.12  진상우

U.S. Market Closing – 05:00 기준

 

지수 종가 등락폭 등락률 상승/하락/보합
DOW 35,484.97 220.30 0.6% 25/5/0
S&P500 4,447.70 10.95 0.2% 376/126/3
NASDAQ 14,765.13 -22.96 -0.2% 1535/1587/305
RUSS 2K 2,248.84 9.48 0.4% 1200/746/28
PHLX 반도체지수 3,350.93 -7.94 -0.2% 15/15/0
VIX지수 16.07 -0.72 -4.3%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 티레이더에서 나스닥•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실시간 제공

 

미국 증시는 미국의 물가 지표가 예상보다 큰 폭으로 오르지 않았다는 평가에 강세로 마감. 이날 발표된 미국의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월 대비 0.5% 상승, 지난해 동기 대비 5.4% 오르며 시장의 예상치에 부합. 변동성이 큰 음식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CPI는 전월 대비 0.3% 상승하였고, 전년 대비로는 4.3% 상승하며 연준(FED)의 조기 긴축 정책 시행에 대한 우려가 완화된 모습. 아울러 미 상원이 전날 1조 규모의 인프라 투자안을 승인한 점도 증시 상승을 지지. 미국 상원은 이날 3조5천억 달러 규모의 지출안을 공화당의 지지 없이 민주당 자력으로 통과시키기 위한 예산결의안을 가결, 세부 예산안 마련 시기는 9월 중순으로 예정. 한편, 라파엘 보스틱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장기적으로는 물가 지표가 연준의 목표치에 근접할 것이라고 주장. 아울러, 위원회는 고용시장에 선제적으로 대응하여 금리를 인상하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한다고 발언, 테이퍼링에 대한 구체적인 의견은 밝히지 않아. 시장에서는 12일 발표 예정인 생산자물가지수(PPI) 지표에 주목하고 있는 모습.

U.S. ETF Closing – 05:00 기준

 

Sector

 

분류 티커 현재가 등락률 t신호 수익률






1개월 3개월 1년
소재 XLB 86.5 1.4% 햇빛 6.7% 0.6% 40.0%
산업재 XLI 105.5 1.3% 햇빛 3.5% 3.5% 38.7%
금융 XLF 38.8 1.2% 햇빛 7.4% 4.7% 59.7%
유틸리티 XLU 68.1 0.9% 햇빛 2.8% 5.2% 16.7%
에너지 XLE 50.1 0.8% 안개 3.0% -2.9% 38.8%
부동산 VNQ 106.0 0.6% 햇빛 0.6% 10.1% 34.3%
필수소비재 XLP 72.0 0.3% 햇빛 1.2% 2.9% 14.4%
자유소비재 XLY 182.0 0.3% 햇빛 2.2% 8.7% 26.0%
커뮤니케이션 XLC 83.0 0.2% 햇빛 2.6% 9.6% 39.5%
IT XLK 153.3 0.0% 햇빛 2.0% 14.3% 34.8%
헬스케어 XLV 131.8 -1.0% 햇빛 2.5% 7.6% 24.6%

 

자료: 티레이더,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금일 섹터별 ETF에서는 소재(XLB/+1.4%), 산업재(XLI/+1.3%), 에너지(XLE/+0.8%) ETF가 상승한 반면, 헬스케어(XLV/-1.0%) ETF가 하락. 전날 도로, 교통, 수도 광대 통신 등에 투자하는 미국의 인프라 예산안이 통과됐다는 소식에 인프라 수혜 종목인 유틸리티, 산업재, 소재 섹터가 상승하는 모습. 에너지(XLE) ETF는 미국 에너지정보청(EIA)가 지난 6일로 끝난 한 주간 원유재고가 44만8천 배럴 감소한 4억3877만 배럴로 집계됐다는 소식에 국제유가가 반등하며 0.8% 상승. 한편, 월가 전문가들이 코로나 19 백신 생산기업 화이자(PFE/-3.7%), 모더나(MRNA/-16.2%)에 대한 투자의견을 중립으로 유지, 고평가 의견을 제시하며 2거래일 연속 하락세를 기록.

Thematic

 

분류 티커 현재가 등락률 t신호 수익률






1개월 3개월 1년
주거건축 XHB 78.1 2.3% 햇빛 10.2% 7.7% 47.4%
수송 XTN 86.2 1.9% 햇빛 6.3% -4.0% 49.0%
미국 인프라 개발 PAVE 27.6 1.8% 햇빛 9.2% 6.6% 60.0%
우주항공 UFO 30.3 -0.3% 햇빛 4.1% 6.9% 38.8%
생명공학 IBB 167.9 -3.0% 햇빛 4.5% 12.6% 23.7%

자료: 티레이더,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금일 테마 ETF에서는 주거건축(XHB/+2.3%), 수송(XTN/+1.9%), 미국인프라개발(PAVE/+1.8%) ETF가 상승한 반면, 우주항공(UFO/-0.3%)과 생명공학(IBB/-3.0%) ETF가 하락. 미국 인프라 법안의 상원 통과 소식이 미국인프라개발(PAVE), 수송(XTN), 주거건축(XHB) ETF 상승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 수송(XTN) ETF에서는 투자은행 오펜하이머와 도이치은행이 전자상거래 기업 GXO로지스틱스(GXO)에 대한 목표주가를 상향 조정했다는 소식에 7%가량 상승. 한편, 미국 투자은행 모건 스탠리가 우주 관광기업 버진갤럭틱(SPCE)에 대한 투자의견을 ‘비중축소(Underweight)’로 사실상 매도의견을 제시해 12.4% 하락하며 우주항공(UFO) ETF 하락을 견인.

EU Market Closing – 04:00 기준

 

지수 종가 등락률 구분 업종 등락률
STOXX 600 472.32 +0.4% 상승 산업재 0.7%




금융 0.7%




부동산 0.6%



하락 정보기술 -0.6%
지수 종가 고가 저가 등락폭 등락률
獨 DAX 15,814.99 15,887.16 15,724.99 44.28 0.3%
英 FTSE 100 7,207.80 7,219.29 7,157.74 46.76 0.7%
佛 CAC 40 6,852.72 6,867.11 6,821.21 32.51 0.5%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유럽 증시는 견조한 기업 실적발표와 미국의 물가 지표에 안도하며 상승세로 마감. 범유럽지수인 STOXX 600지수는 8거래일 연속 상승세를 기록하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 미국 투자은행 골드만삭스는 STOXX 600에 대한 12개월 목표를 480에서 520으로 상향 조정하며 은행과 에너지 관련주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 이날 2분기 경영 실적을 발표한 주요 기업으로 네덜란드 ABN은행(ABN)이 컨센서스를 상회하는 경영 실적을 발표, 배당금 지급을 재개한다는 소식에 8.6% 상승, 미국 보안업체 노턴라이프락이 영국 사이버 보안업체 애바스트(AVST)를 86억 달러가량에 인수한다는 소식에 애바스트(AVST)가 2.9% 상승. 증시 전문가들은 STOXX 600 기업의 2분기 실적이 148.1% 상승할 것으로 전망. 아울러, 미국의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예상보다 높지 않았다는 평가에 시장의 투자심리가 개선된 모습. 금일 발표된 주요 경제지표로는 독일의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월 대비 0.9%, 전년 대비 3.8% 상승하며 시장 예상치에 부합. 

 

 

출처: < https://m.myasset.com/extern/researchPortal/RP_0001000_P1.cmd?menuid=RP_0105000_P1&searchKeyGubun=1&keyword=&page=1&base_date=20210812052638&gbn=B&res_seq=173181>

 

 

 

 

『하루를 여는 혁신투자자문 IPO News Daily💌 - 20210812』

 【 텔레그램 채널 주소 : https://t.me/KoreaIB

 【 IPO상장문의 및 이경준 대표 Contact ☞ 📧 ipo@kakao.com 】

 

===========================

 

📌Today's Topic》

대어급 '따상 신화' 끝났나

https://newsis.com/view/?id=NISX20210811_0001545094&cID=10401&pID=10400

☞ 이경준 혁신자문투자 대표는 "지난해 SK바이오팜과 카카오게임즈가 유독 크게 흥행했던 데에는 당시 코스피가 급격하게 상승하던 때였던 만큼, 공모가가 산정되던 때와 상장하던 때 증시 갭 차이가 있었던 것도 한 몫 했을 것 같다"며 "그런데 지금은 그런 메리트가 사라진 데다가 반대로 투자자들의 기대치는 높아진 측면도 작용한 것 같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이전처럼 대형 공모주라면 무조건 '따상'에 가는 시장은 지났다고 본다"며 "대어급이라고 해서 묻지마 청약에 임할 게 아니라 철저한 기업 분석을 통해 옥석 가리기를 하며 투자에 임하길 바란다"고 조언했다.

 

 

===========================

 

 

금일은 [ 플래티어 ] 상장일 입니다.

 

[ 플래티어 _공모가 11,000원 ]

 º 시가총액 : 910억원(8,269,707주)

 º 유통가능 : 223억원(2,027,858주, 24.52%)

 º 수요예측 내역

    총 참여건수 : 1,564건

    실 유효건수 : 1,491건(95.33%)

    총 경쟁률 : 1,631.00 대 1

    총 확약 비중 : 건수 기준 283건(18.09%), 수량 기준 18.30%

 º 일반청약률 : 2,304.32 대 1(467,568건)

 

#디지털플랫폼 #e커머스 #오늘도?

 

===========================

 

★ 금일 IPO 일정 ★

 08/12 플래티어 상장★

 08/12 롯데렌탈 납입🏧

 08/12 아주스틸 납입🏧

 08/12 브레인즈컴퍼니 납입🏧

 08/12~13 바이젠셀 청약🖨

 

☆ 금주 남은 IPO 일정 ☆

 08/12~13 바이젠셀 청약🖨

 08/13 엠로 상장★

 

 ------------------------------------------

 

▣ 기관IR 일정 ▣

 - 온라인 간담회로만 진행 中 -

 

▣ 상장 일정(예정, 변경가능) ▣

 08/12 플래티어(KB증권)

 08/13 엠로(한국투자증권)

 08/17 딥노이드(KB증권)

 08/17 한컴라이프케어(미래에셋증권)

 08/19 브레인즈컴퍼니(키움증권)

 08/19 롯데렌탈(NH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08/20 아주스틸(미래에셋증권)

 08/25 바이젠셀(대신증권)

 09/02 에스앤디(유진투자증권)

 09/03 일진하이솔루스(미래에셋증권, 삼성증권)

 09/08 에이비온(미래에셋증권)

 09/10 와이엠텍(KB증권)

 09/16  현대중공업(미래에셋대우, 한국투자증권)

 09/17 차백신연구소(삼성증권)

 미정 - 카카오페이(삼성증권)

 

▣ 심사 승인 ▣

 - 실리콘투(삼성증권, 미래에셋증권)

 - 아스플로(미래에셋증권)

 - 원준(NH투자증권)

 - 바이오플러스(키움증권)

 - 프롬바이오(NH투자증권)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 국내 IPO 개별종목

■ 원티드랩은 따상 갔다

https://www.fnnews.com/news/202108111850276761

 

■ 카뱅 이어 케뱅도 흥행 몰이하나…"2023년 IPO 목표"

https://newsis.com/view/?id=NISX20210810_0001544259&cID=10401&pID=10400

 

■ 롯데렌탈 이을 호텔롯데 IPO…야놀자에 뒤쳐진 혁신은 고민

http://www.investchosun.com/site/data/html_dir/2021/08/10/2021081080178.html

 

■ 쓱닷컴, '쿠팡에 밀린 물류투자' IPO로 극복할까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8100728256820104260&lcode=00&page=3&svccode=00

 

■ UCI 자회사 바이오엑스, 코넥스·코스닥 상장 주관사로 신한금투 선정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1081171396

 

 

▶️▶️▷ IPOmarket(해외IPO포함)

■ "퇴근후 IPO 청약한다"…증권업계, 청약시간 연장 확산될까

http://www.inews24.com/view/1395401

 

■ 무조건 '따상'은 옛말…옥석가리기는 필수다

http://news.bizwatch.co.kr/article/market/2021/08/11/0006

 

■ 공모주 슈퍼위크 마무리…하반기 남은 IPO는?

http://www.segyebiz.com/newsView/20210811510830?OutUrl=naver

 

■ 스팩 주가, 이상 급등…해결 방안은?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8061135344760106580&lcode=00&page=1&svccode=00

 

■ ‘NEXT 카카오 IPO’ 잡아라, 주관사 경쟁 '가속화'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8091416202320104965&lcode=00&page=2&svccode=00

 

 

▶️▶️▷ 시장 이모저모

■ 힘빠진 테마주...코스닥, 이제 ‘인수합병’이 달군다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210811000398

 

■ 시세차익 15억…개포 '무순위 청약' 신청 폭주

https://www.hankyung.com/realestate/article/2021081178721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728x90
728x90

아래 자료는 재즈스탁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장마감후 당일 시가총액대비 기관매수세가 큰 종목 순서로 작성하였습니다.

원데이터나 엑셀의 오류로 잘못된 부분이 있을 수 있으니, 참고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http://jazzstock.net/

 

Jazzstock

수급분석, 수급차트, 창구분석, 거래원분석

jazzstock.net


기관매수, 내림차순 정렬

기관매수, 오름차순 정렬

외인매수, 내림차순 정렬

외인매수, 오름차순 정렬

사모펀드, 내림차순 정렬

728x90
728x90

주식 스터디를 위해 개인적으로 스크랩한 증시캘린더, 국내 및 해외마감 시황, 뉴스 자료를 공유합니다.

1) 증시캘린더는 개인적으로 관련된 소식을 확인후 작성한 일정이라 변동 또는 오류의 소지가 있습니다.

2) 노션으로 공유한 링크는 익스플로러에선 제대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크롬에 최적화, 엣지, 웨일에서도 잘 작동합니다.

    ( 공유 자료링크는 1~2일후 공유 해지 합니다.)

 

게시물은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한 것이라

불확실하거나 오류가 많을 수 있으므로 투자 활용시 유의하시기 바라며, 개별적인 종목 추천이나 상담은 하지 않습니다.

 

모쪼록 제 공간에 오신 모든 분들이 주식스터디를 통해 인생 한 방보다, 꾸준함을 믿으며...

복리의 마법으로 모든 분들이 성공한 개인투자자가 되시길...


나스닥, 국채금리 상승세에 발목…모더나 5.7%↓ [출근전 꼭 글로벌브리핑]

미 증시, 1조달러 투자 법안 통과 속 혼조…다우·S&P 최고치

유럽 상승, 중국 혼조·베트남 상승

[글로벌시장 지표/8월 11일 오전 6시 현재]

 

 

[미국증시 마감시황]

 

■ 1조달러 투자 법안 통과…다우·S&P 최고치

 

현지시간 10일 뉴욕증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우려 속에 상원에서 1조 달러 규모의 사회기반시설(인프라) 투자 법안이 통과됐다는 소식으로 혼조세로 마감했다. 다우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0.46% 오른 35,264.67로 거래를 마쳤다. S&P500지수는 0.10% 상승한 4,436.75를,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0.49% 하락한 14,788.09로 장을 마감했다. 다우지수와 S&P500지수는 사상 최고치를 또다시 경신했고, 나스닥지수는 국채 금리 상승 흐름에 하락했다.

 

이날 투자자들의 관심사는 인프라 법안과 코로나19 델타 변이 우려, 국채 금리 움직임 등이었다. 미 상원은 1조 달러 규모의 인프라 법안을 통과시켰다. 이는 도로, 교량, 수도, 광대역 통신 등에 투자하는 법안으로 5천500억 달러 규모의 신규 투자도 포함하고 있다. 조 바이든 대통령이 의회에 요청한 4조 달러의 초대형 예산안 중 일부에 해당하며 이번 법안이 미 하원을 통과하려면 여름 휴회를 거쳐 9월 중순 이후까지 기다려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날 국채금리가 상승세를 이어가면서 은행주는 강세를 보였다. 웰스파고와 골드만삭스는 2%대 뛰었고 뱅크오브아메리카도 1.87% 올랐다. 에너지주 역시 반등에 성공했다. 유가 반등에 엑손모빌과 셰브런의 주가는 각각 1.7%, 1.8% 올랐다.

 

[특징주]

 

■ FAANG

 

주요 기술주인 팡(FAANG) 종목은 모두 약세를 보였다. 넷플릭스가 0.79% 가장 큰 하락률을 기록했고 이어 아마존(-0.63%), 애플(-0.34%), 페이스북(-0.13%), 구글(-0.08%) 모두 약보합권에서 거래를 마쳤다.

 

■ 코인베이스

 

코인베이스 주가는 정규장에서 3.85% 하락 마감했다. 장 마감 후 2분기 실적을 발표한 코인베이스는 22억3천만 달러의 매출을 기록해 시장 예상치(17억8천만 달러)를 가뿐히 상회했다. 조정 주당 순이익 역시 3.45달러로 시장 예상(2.33달러)을 웃돌았다.

 

 AMC

 

AMC 주가는 전날 장 마감 후 예상보다 더 낮은 분기 손실을 발표했다는 소식에 오르다가 6% 하락 마감했다. AMC는 모든 미국 영화관 체인에서 비트코인을 결제 수단으로 허용하기로 했다.

 

■ 모더나

 

전날 17%대 급등한 모더나 주가는 장중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지만 차익 실현 움직임에 5.7% 떨어졌다.

 

출처: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108110012&t=NN>

 

 

2021년 8월 11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미 상원이 인프라 예산을 통과시키면서 은행 등 금융주가 올랐습니다.

 

(2) 4분기 PC D램 가격이 5% 하락할 수 있다는 우려로 마이크론이 5% 내렸습니다.

 

(3) 소프트뱅크가 최근 중국 포지션을 줄였고 AI 기업들 투자를 10% 증액했다고 밝혔습니다.

 

미 5년 breakeven rate 2.588%, +0.029%p (2% 상회시 유의, 2.5% 상회시 경고)

한국 고객예탁금, 71.5조원 +1.6조원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22%

1개월 NDF 환율 1,153.99원 (+4.19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미국 혼조 = 경기민감주 상승]

(Feat.다우 신고가 vs 나스닥 차익실현)

 

<about Market>

오전 주요지수 모두 강세로 시작했습니다. 그러나 시작 직후부터 나스닥 성장주들은 차익실현 매물에 하락전환하였습니다. 반면 경기민감주를 중심으로 다우와 S&P500은 장초반 상승세를 끝까지 유지하며, 역사상 신고가로 마감하였습니다.

 

*인프라 부양책 : 신규예산 $1t 상원통과

<Transportation>

=$110b : 도로

=$66b : 철도

=$39b : 대중교통

=$25b : 공항

=$17b : 항만

=$15b : 전기차 (민주당 Original $174b)

 

<Non transportation>

=$65b : 전력망 개선

=$65b : 인터넷 보급

=$55b : 물

=$50b : 유틸리티 인프라&보안

=$47b : 기후변화대응

=$21b : 환경정화(폐유전 등)

=$2b : 인터넷 보안

 

*코인베이스 2Q21 실적 : 슈퍼 서플

-시가총액 : $56b

-매출 : $2.23b / 컨센 $1.88b

-EPS : $6.78 / 컨센 $2.69

-순이익 : $1.6b / 컨센 $0.6b

☑️논쟁은 많지만, 결국 미국 자본주의는 코인을 하나의 합법적인 자산(화폐는 아님)으로 인정(과세+규제+시스템)하려 하고있습니다.

 

*코로나 : 신규확진자 증가

(전일 102,375 / WoW +38.1%)

 

•나스닥 -0.5% / 러셀2000 +0.1%

•S&P500 +0.1% / 다우 +0.5%

-나스닥 Top10 : 상승 2 vs 하락 8

 

-비트코인 : $46,000

-미국채금리(10y) : 1.347 (+2.3%)

-WTI : $68.41 (+2.9%)

 

SMART한 주식투자

https://t.me/frankinvest

 

 

(2021.08.11) U.S. & EU Market Closing

2021.08.11  진상우

U.S. Market Closing – 05:00 기준

지수 종가 등락폭 등락률 상승/하락/보합
DOW 35,264.60 162.75 0.5% 20/10/0
S&P500 4,436.82 4.47 0.1% 325/180/0
NASDAQ 14,788.09 -72.09 -0.5% 1426/1690/308
RUSS 2K 2,239.37 4.56 0.2% 1179/774/21
PHLX 반도체지수 3,358.87 -40.89 -1.2% 7/23/0
VIX지수 16.73 0.01 0.1%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 티레이더에서 나스닥•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실시간 제공

 

미국 증시는 1조 달러 규모의 인프라 투자 법안 가결 소식에 주목하며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 우려에도 강세로 마감. 업종별로는 에너지와 자재, 필수소비재 섹터가 상승했고, 유틸리티, 헬스케어, 부동산 관련 주가 하락. 엑슨모빌(XON)과 쉐브론(CVX)는 유가 반등에 2% 가량 상승, 미국 식품 및 식자재 유통업체 시스코(SYY)가 컨센서스를 웃도는 경영 실적을 발표하며 7.3% 상승. 이날 미국 상원이 1조 달러 규모의 인프라 투자 법안을 가결. 해당 법안에는 운송, 도로 및 광대역 부문에 5천500억 달러 규모의 신규 투자를 포함하고 있으며 최근 들어 부각되고 있는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가 완화된 모습. 한편, 해당 법안의 하원 통과 시점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으며 하원은 9월 20일까지 휴회할 예정이라 여전히 몇 달이 더 소요될 예정. 한편, 미국의 코로나 19 신규 확진자 수는 7일 평균 하루 약 12만4천명으로 또다시 증가,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프랑스, 이스라엘 등을 포함한 7개국에 대한 여행 경보를 4단계로 상향조정하며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한 우려가 지속. 이날 발표된 경제지표로는 미국의 2분기 비농업 부문 노동 생산성이 전 분기 대비 2.3% 상승하며 시장 예상치를 하회, 2분기 비농업 단위 노동비용은 전 분기 대비 1.0% 상승.

 

U.S. ETF Closing – 05:00 기준

Sector

분류 티커 현재가 등락률 t신호 수익률






1개월 3개월 1년
에너지 XLE 49.7 1.8% 안개 -0.9% -6.1% 36.8%
소재 XLB 85.3 1.5% 햇빛 3.6% -2.3% 38.7%
금융 XLF 38.4 1.1% 햇빛 4.8% 2.9% 55.3%
산업재 XLI 104.2 1.0% 햇빛 1.3% 1.6% 36.3%
필수소비재 XLP 71.7 0.7% 햇빛 1.1% 2.2% 14.7%
자유소비재 XLY 181.5 0.4% 햇빛 0.7% 7.5% 27.3%
커뮤니케이션 XLC 82.8 0.2% 햇빛 1.8% 9.6% 39.5%
유틸리티 XLU 67.5 0.1% 햇빛 2.9% 4.1% 15.4%
헬스케어 XLV 133.1 -0.2% 햇빛 3.8% 8.4% 26.6%
IT XLK 153.2 -0.8% 햇빛 0.9% 14.6% 35.7%
부동산 VNQ 105.3 -1.0% 햇빛 -0.1% 9.1% 34.6%

자료: 티레이더,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금일 섹터별 ETF에서는 에너지(XLE/+1.8%), 소재(XLB/+1.5%), 금융(XLF/+1.1%) ETF가 상승한 반면, IT(XLK/-0.8%) ETF가 하락. 미국 에너지정보청(EIA)이 이날 발표한 월간 에너지 전망 보고서에서 올해 상반기 미국의 휘발유 소비가 하루 평균 860만 배럴로 지난해 하반기보다 증가했다고 발표, 국제유가가 반등하며 에너지(XLE) ETF 상승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 9월물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장보다 2.7% 상승한 배럴당 68.29달러에, 10월물 브렌트유 가격은 2.5% 상승한 배럴당 70.76달러에 거래. 한편, 반도체 기업 마이크론 테크놀로지(MU) 매출 구조에서 60% 이상을 차지하는 디램(DRAM) 가격 하락 예상에 마이크론 테크놀러지(MU)가 5.4% 하락하며 IT(XLK) ETF 하락을 견인.

 

Thematic

분류 티커 현재가 등락률 t신호 수익률






1개월 3개월 1년
미국 인프라 개발 PAVE 27.1 2.2% 햇빛 5.9% 3.1% 57.4%
수송 XTN 84.6 1.7% 햇빛 1.7% -6.6% 44.9%
기초소재 IYM 134.1 1.7% 햇빛 3.1% -3.6% 36.8%
생명공학 IBB 173.0 -1.8% 햇빛 8.6% 14.9% 30.0%
기술혁신 ARKK 121.4 -2.6% 햇빛 4.3% 15.9% 48.0%

자료: 티레이더,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금일 테마 ETF에서는 미국인프라개발(PAVE/+2.2%), 수송(XTN/+1.7%), 기초소재(IYM/+1.7%) ETF가 상승한 반면, 기술혁신(ARKK/-2.6%), 생명공학(IBB/-1.8%) ETF가 하락. 미국 인프라 법안의 상원 통과에 대한 기대가 미국인프라개발(PAVE) ETF 상승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 민주당 척 슈머 상원 원내대표는 이날 3조5천억 달러에 달하는 예산안 처리에 필요한 예산 결의안을 공개. 슈머 원내대표는 결의안에서 상원의 12개 상임위원회가 다음 달 15일까지 상임위별 예산안을 제출하면 이를 취합해 심사에 들어간다는 일정표를 제시. 수송(XTN) ETF에서는 캐나다 철도회사 캐나디언퍼시픽(CP/+1.6%)이 미국 철도회사 캔자스시티서던(KSU)에 대한 인수 금액을 310억달러로 높여 제시했다는 소식에 9.9% 상승, 미국 항공사 스카이웨스트(SKYW)이 16대의 '엠브라에르 E175 리저널' 제트 여객기들을 주문, 델타 커넥선 브랜드로 운항을 진행할 예정이라는 소식에 5.8% 상승.

 

EU Market Closing – 04:00 기준

지수 종가 등락률 구분 업종 등락률
STOXX 600 472.21 +0.3% 상승 소재 0.9%




에너지 0.7%




자유소비재 0.5%



하락 부동산 -0.2%




헬스케어 -0.1%




정보기술 -0.1%
지수 종가 고가 저가 등락폭 등락률
獨 DAX 15,773.67 15,802.15 15,733.65 28.26 0.2%
英 FTSE 100 7,162.65 7,164.25 7,115.87 30.35 0.4%
佛 CAC 40 6,824.04 6,833.12 6,811.77 10.86 0.2%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유럽 증시는 기업들이 어닝 서프라이즈 행진을 이어가며 상승세로 마감. 이날 2분기 경영 실적을 발표한 주요 기업으로 아일랜드의 판타지 스포츠 기업 플러터 엔터테인먼트(FLTR)의 상반기 경영 실적이 컨센서스를 상회, 당해 매출 가이던스를 상향 조정하며 7.8% 상승, 독일 음식배달업체 딜리버리 히어로가 경쟁업체인 영국 딜리버루(ROO)의 지분 5.09%를 취득했다는 소식에 딜리버루(ROO)가 7.5% 상승. 한편,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 우려가 지속하며 증시 상승폭을 제한, 최근 중국을 중심으로 방역 규제가 뒤따르면서 시장의 우려가 커진 모습. 금주 주요 경제지표 발표로는 독일 8월 ZEW 경기기대지수가 40.4로 집계돼 시장 예상치를 하회. ZEW의 아킴 웜바크 대표는 가을부터 4차 코로나 확산 가능성과 중국의 경제 성장 둔화에 독일 경제에 대한 위험이 커진 점을 경제신뢰지수 하락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 시장에서는 11일 발표 예정인 미국의 물가지수 발표에 주목하고 있는 모습.

 

 

출처: < https://m.myasset.com/extern/researchPortal/RP_0001000_P1.cmd?menuid=RP_0105000_P1&searchKeyGubun=1&keyword=&page=1&base_date=20210811051840&gbn=B&res_seq=173142>

 

 

 

 

[2021.08.10 (화) 필라델피아 반도체] 하나금융투자 반도체 애널리스트 김경민, CFA

 

전일 대비 -1.20%, 3,359선 마감

상승주 6, 하락주 24

 

다우 +0.46%, 나스닥 -0.49%, S&P 500 +0.10%

 

뉴욕 증시에서 다우 지수는 상대적으로 선방했으나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전일 대비 1.2% 하락

 

지난주에 52주 신고가 경신한 이후 목, 금, 월, 화요일까지 4영업일 연속 조정

 

미국 상원이 1조 달러 규모의 인프라 투자 법안을 통과시켰는데 이러한 뉴스가 반도체 업종 수요와 연관성이 낮아 반도체 업종이 상대적으로 소외됨

 

한편 반도체 공급 부족 관련해 칩의 리드 타임이 줄어들지 않는다는 블룸버그 뉴스도 반도체 업종 투자 심리에 부정적 영향을 끼침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내에서 상승주보다 하락주가 많았음

 

상승주 중에 비교적 대형주라고 할만한 종목은 노광 장비 공급사 ASML ADR +0.08%, 차량용 반도체 공급사 NXP +0.07%. 양사 모두 최근에 52주 신고가 경신. 실적 발표 내용도 전반적으로 양호했었음

 

한편 마이크론과 Two Six가 각각 -5.36%, -4.35% 기록하며 가장 크게 하락

 

마이크론의 경우 최근 PC DRAM 현물 가격 하락과 더불어 분기 실적 및 업황의 피크 아웃 우려가 주가 하락에 영향을 끼침

 

Two Six의 경우 이번 분기 실적은 무난했으나 다음 분기 가이던스 중에서 EPS 가이던스가 0.75~0.90달러로 컨센서스(0.80~1.06달러)를 하회해 실적 발표 이후 주가 하락

 

감사합니다.

 

———————————

하나금투 IT 김록호/김현수

——————————— 

 

8/11 (수) 하나 테크 헤드라인 

 

<주요 뉴스>

 

# Global tablet shipments slip in 2Q21, but to grow 30% in 3Q21

 

태블릿 출하량은 3분기에 30% 가까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https://bit.ly/3xBsILv

 

 

<기타 뉴스>

 

# 급부상한 샤오미, 5G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1위…삼성은 4위

 

샤오미가 전 세계 5세대 이동통신(5G)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제조사 중 점유율 1위에 올랐다. 

 

https://bit.ly/3CB35y3

 

# 한국 찾은 애플카 실무진, 'K배터리·전장' 택할까

 

애플의 자율주행 전기차 ‘애플카’를 개발하는 실무진이 비밀리에 방한해 LG·SK그룹 등을 만난 것으로 알려지면서, ‘애플카’의 핵심 부품·배터리 등을 국내 기업이 공급할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https://bit.ly/3fRdOuw

 

# LG전자 무료 콘텐츠 플랫폼 'LG 채널' 서비스 대폭 확대

 

LG전자[066570]는 웹OS(webOS) TV에 기본 탑재하고 있는 무료 콘텐츠 플랫폼인 'LG 채널' 서비스를 대폭 확대한다고 10일 밝혔다.

 

https://bit.ly/3fRb9AO

 

 

<글로벌 업체 주가 동향> 

 

애플 -0.34%

샤오미 +2.43%

ZTE +0.45%

레노버 +1.91%

 

무라타 +0.63%

타이요유덴 +1.50%

야교 -2.57%

Ibiden -0.84%

Shinko -1.23%

 

인텔 -0.20%

마이크론 -5.36%

TSMC -0.67%

퀄컴 -0.71%

미디어텍 +0.11%

 

UDC -1.42%

BOE +0.34%

AUO -2.08%

 

Tesla -0.53%

CATL -1.07%

Umicore +2.51%

Albemarle +3.31%

 

 

(위 내용은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득함)

★하나IT텔레그램: https://t.me/ITforYouFromHana

 

[2021.08.10 (화) 대만 가권지수 -0.92%, 17,324p] 하나금융투자 반도체 애널리스트 김경민, CFA

 

업종별 등락: 반도체 -0.75%, 금융 -0.35%, 플라스틱 -1.50%, 해운/운송 -2.02%, 철강 -1.69%, 건설 -0.36%, 시멘트 -0.81%, 제지 -1.82%, 자동차 -1.23%, 석유/가스/전기 -0.17%

 

외국인 순매도 2,656억 원

 

대만 가권지수는 전일 (월요일) 뉴욕 증시 혼조세 영향과 WTI 유가 하락 (69 -> 68 -> 66달러) 영향을 받아 동반 하락. 반도체 업종이 부진한 가운데 경기 민감 업종을 대표하는 플라스틱, 해운/운송 업종이 모두 부진

 

반도체 업종에서 각 섹터별 대표주가 대체로 부진. 시총 대표주 TSMC -0.7% 마감. 메모리 업종에서 난야테크 -3.8%, 윈본드 -0.9%, 매크로닉스 -0.9% 기록. 서버 업종에서 Aspeed -5.3%, Nuvoton -2.5%, Wiwynn -0.2% 마감. 7월 대만 매출은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으나 서버 업종에서 부품 공급 이슈 상존

 

대만달러는 전일 대비 약세. TWD 27.838 기록

 

감사합니다.

 

 

 

 

『하루를 여는 혁신투자자문 IPO News Daily💌 - 20210811』

 【 텔레그램 채널 주소 : https://t.me/KoreaIB

 【 IPO상장문의 및 이경준 대표 Contact ☞ 📧 ipo@kakao.com 】

 

 

===========================

 

 

📌Today's Topic1》

‘따상’은커녕…공모가 무너진 크래프톤

http://www.kookje.co.kr/mobile/view.asp?gbn=v&code=0200&key=20210811.22013002886

☞ 공모주 투자 전문가인 이경준 혁신투자자문 대표는 “크래프톤은 특정 게임과 국가에 대한 매출 편중이 과도하다”며 “공모가가 지나치게 높아 부진을 예상했다. 오히려 첫날 주가 흐름은 선방한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

 

📌Today's Topic2》

[시그널] “참여 기관 99%가 공모가 싸다”···롯데렌탈 공모주 더 받는 방법은?

https://www.sedaily.com/NewsView/22Q4UB8YO2

☞ 이경준 혁신투자자문 대표는 “비교기업 등을 볼 때 공모가 자체는 낮은 편“이라며 ”카셰어링 사업 부문의 매출이 본격화되지 않았고 최근 공모주 고평가 논란이 시장에서 계속되고 있어 비교적 보수적으로 가격을 책정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금일은 [ 원티드랩 ] 상장일 입니다.

 

[ 원티드랩 _공모가 35,000원 ]

 º 시가총액 : 1,646억원(4,703,068주)

 º 유통가능 : 338억원(964,393주, 20.51%)

 º 수요예측 내역

    총 참여건수 : 1,597건

    실 유효건수 : 1,596건(99.94%)

    총 경쟁률 : 1,503.91 대 1

    총 확약 비중 : 건수 기준 172건(10.77%), 수량 기준 10.98%

 º 일반청약률 : 1,731.23 대 1(237,467건)

 

#채용플랫폼 #AI

 

===========================

 

★ 금일 IPO 일정 ★

 08/11 원티드랩 상장★

 

☆ 금주 남은 IPO 일정 ☆

 08/12 플래티어 상장★

 08/12 롯데렌탈 납입🏧

 08/12 아주스틸 납입🏧

 08/12 브레인즈컴퍼니 납입🏧

 08/12~13 바이젠셀 청약🖨

 08/13 엠로 상장★

 

 ------------------------------------------

 

▣ 기관IR 일정 ▣

 - 온라인 간담회로만 진행 中 -

 

▣ 상장 일정(예정, 변경가능) ▣

 08/11 원티드랩(한국투자증권)

 08/12 플래티어(KB증권)

 08/13 엠로(한국투자증권)

 08/17 딥노이드(KB증권)

 08/17 한컴라이프케어(미래에셋증권)

 08/19 브레인즈컴퍼니(키움증권)

 08/19 롯데렌탈(NH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08/20 아주스틸(미래에셋증권)

 08/25 바이젠셀(대신증권)

 09/02 에스앤디(유진투자증권)

 09/03 일진하이솔루스(미래에셋증권, 삼성증권)

 09/08 에이비온(미래에셋증권)

 09/10 와이엠텍(KB증권)

 09/16  현대중공업(미래에셋대우, 한국투자증권)

 09/17 차백신연구소(삼성증권)

 미정 - 카카오페이(삼성증권)

 

▣ 심사 승인 ▣

 - 실리콘투(삼성증권, 미래에셋증권)

 - 아스플로(미래에셋증권)

 - 원준(NH투자증권)

 - 바이오플러스(키움증권)

 - 프롬바이오(NH투자증권)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 국내 IPO 개별종목

■ 大魚 크래프톤, 따상커녕 ‘참혹한 데뷔전’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21081001072427100002

 

■ '5조+8조'…현대중공업·오일뱅크 상장 '본격화'

http://naver.me/FIgCl7Sf

 

■ [단독] SK배터리, 수조원대 프리IPO 시동···글로벌 PEF와 협상

http://naver.me/F367njgR

 

■ [시그널] 차백신, B형간염 백신 앞세워 다음달 IPO 공모

https://www.sedaily.com/NewsView/22Q4TQZFDP

 

■ 시몬느, 실적도 업종도 '화창'…IPO 흥행 기대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8061627232760107489&lcode=00&page=1&svccode=00

 

 

▶️▶️▷ IPOmarket(해외IPO포함)

■ 옥석 가리기 본격화...하반기 눈여겨 볼 공모주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210810000579

 

■ '독립형 워런트' 필요성 제기…기관투자자 참여 유인 확대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8021147162640109643&lcode=00&page=2&svccode=00

 

 

▶️▶️▷ 시장 이모저모

■ S·K·K 3총사에 몰린 돈 8조… 오늘 코스피 거래대금의 38%

https://www.chosun.com/economy/stock-finance/2021/08/10/MW322BFQ2BE63NQPZJTHL5L7VM/?utm_source=naver&utm_medium=referral&utm_campaign=naver-news

 

■ 백약이 무효한 코넥스...올들어 코넥스 상장 2곳뿐

https://www.etoday.co.kr/news/view/2052539

 

■ '라임투자사 주가조작' 주범 2심도 징역 12년…"반성하게 장기 격리해야"

https://www.news1.kr/articles/?4399645

 

■ [IB토마토]서비스 인프라 인색한 SK증권, 민원최다 불명예

http://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1065030&inflow=N

 

■ [단독] '곰표맥주' 세븐브로이 대표, 소액주주 지분 헐값매입 의혹

http://naver.me/GozKWLIF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