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티스토리에 올리는 간단재무제표는 퀀트킹, 밸류툴, 네이버증권, 에프앤가이드, 증권사 레포트 등의 참고자료를 활용하여 작성하였습니다.

원데이타, 엑셀 수치의 오류 등 여러가지 요인으로 불확실한 수치가 반영될 수 있으니 참고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간단재무제표 자료는 기초 자료 수집 차원용으로 자세한 해설은 없습니다.


728x90
728x90

티스토리에 올리는 간단재무제표는 퀀트킹, 밸류툴, 네이버증권, 에프앤가이드, 증권사 레포트 등의 참고자료를 활용하여 작성하였습니다.

원데이타, 엑셀 수치의 오류 등 여러가지 요인으로 불확실한 수치가 반영될 수 있으니 참고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간단재무제표 자료는 기초 자료 수집 차원용으로 자세한 해설은 없습니다.

 


728x90
728x90

주식 스터디를 위해 개인적으로 스크랩한 증시캘린더, 국내 및 해외마감 시황, 뉴스 자료를 공유합니다.

1) 증시캘린더는 개인적으로 관련된 소식을 확인후 작성한 일정이라 변동 또는 오류의 소지가 있습니다.

2) 노션으로 공유한 링크는 익스플로러에선 제대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크롬에 최적화, 엣지, 웨일에서도 잘 작동합니다.

    ( 공유 자료링크는 1~2일후 공유 해지 합니다.)

 

게시물은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한 것이라

불확실하거나 오류가 많을 수 있으므로 투자 활용시 유의하시기 바라며, 개별적인 종목 추천이나 상담은 하지 않습니다.

 

모쪼록 제 공간에 오신 모든 분들이 주식스터디를 통해 인생 한 방보다, 꾸준함을 믿으며...

복리의 마법으로 모든 분들이 성공한 개인투자자가 되시길...


뉴욕증시, 7월 고용동향·델타변이 확산 여부 촉각 [출근전 꼭 글로벌브리핑]

미 증시, 아마존 실적 실망·물가 우려에 하락

미 의회, 1조달러 인프라 법안 처리 착수

골드만, 하이브리드 근무 환경 수혜주

유럽·중국 하락, 베트남 상승

[미국시장 금주 체크포인트]

 

■ 7월 고용보고서 주시

 

이번 주 미국 증시는 7월 고용보고서를 기다리면서도 미국 내의 빠른 코로나19 델타 변이 바이러스 확산세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7월에도 강한 고용 증가세가 나타난다면 시장은 테이퍼링(자산매입축소) 발표 가능성을 주가에 반영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지시간 2일 마킷과 ISM의 제조업 PMI가 발표된다. 3분기 들어서며 지표가 고르지 못하기 때문에 경기 회복 기대감은 다소 낮아진 상태다. 3일에는 8월 경기낙관지수와 알리바바, 니콜라 등의 실적이 나온다. 4일에는 7월 ADP 고용보고서가 발표될 예정이다. 지난주 FOMC 회의에서 연준이 테이퍼링을 위해선 고용과 물가 목표치에서 `상당한 진전`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는데 이번 고용 지표가 예상보다 강하면 다시 조기 긴축에 대한 우려가 제기될 수 있기 때문에 주가에 하락 압력을 줄 수 있다. 5일에는 스퀘어와 듀크에너지가 실적을 발표한다. 6일에는 7월 비농업 부분 고용데이터가 공개된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전문가들은 이 수치가 전달보다 적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 금주 주요 일정

△2일

- 7월 마킷 제조업 PMI

- 7월 공급관리협회(ISM) 제조업 PMI

- 6월 건설지출

- 에릭 로젠그렌 보스턴 연은 총재 연설

 

△3일

- 알리바바, 니콜라 실적 발표

- 8월 경기낙관지수

- 6월 공장재수주

- 뉴욕 연방준비은행(연은) 가계부채 보고서

- 미셸 보우만 연준 이사 연설

 

△4일

- 7월 ADP 고용보고서

- 7월 마킷 서비스업 PMI

- 리처드 클라리다 연준 부의장 연설

- 7월 공급관리협회(ISM) 비제조업 PMI

- CVS헬스,MGM, 리조트, 우버 실적 발표

 

△5일

- 7월 챌린저 감원보고서

- 6월 무역수지

- 주간 신규실업보험 청구자수

-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 연설

- 로젠그렌, 스퀘어, AIG, 듀크에너지 실적

 

△6일

- 7월 비농업부문 신규고용ㆍ실업률

- 6월 도매재고

- 6월 소비자신용

 

[글로벌시장 주요이슈]

 

■ WSJ "美·EU, 태양광 늘리자 中 석탄발전 증가"

폴리실리콘, 태양광 패널 핵심 소재

中 기업, 전 세계 폴리실리콘 80% 생산

美 폴리실리콘 기업, 中 비해 가격 경쟁력↓

출처: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108020016&t=NN>

 

 

 

 

2021년 8월 2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가 역사적 신고가를 기록했습니다. 

 

(2) 미 SEC가 중국 기업들의 IPO를 차단하기로 결정했습니다.

 

(3) 브레이너드 이사가 차기 Fed 의장에 선임되면 통화정책에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됐습니다.

 

미 5년 breakeven rate 2.622%, -0.030%p (2% 상회시 유의, 2.5% 상회시 경고)

한국 고객예탁금, 75.1조원 +9.1조원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25%

1개월 NDF 환율 1,152.50원 (+2.25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2021.07.31) U.S. & EU Market Closing

2021.07.31  허단

U.S. Market Closing – 05:00 기준

지수 종가 등락폭 등락률 상승/하락/보합
DOW 34,935.47 -149.06 -0.4% 12/18/0
S&P500 4,395.26 -23.89 -0.5% 212/293/0
NASDAQ 14,672.68 -105.58 -0.7% 1217/2006/182
RUSS 2K 2,226.25 -13.78 -0.6% 604/1349/22
PHLX 반도체지수 3,356.53 23.28 0.7% 26/4/0
VIX지수 18.24 0.54 3.1%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미국 증시는 예상치를 하회한 아마존(AMZN) 실적에 하락 마감. 전일 장 마감 후 실적을 발표한 아마존의 실적은 FAAMG 중 유일하게 매출액이 컨센서스를 밑돌았으며 매출액 증가율도 둔화한 것으로 나타나 금일 7% 하락해 2020년 5월 이후 일일 최대 하락 폭 기록. 이로써 금주 진행된 FAAMG 실적 결과, 시장은 이들 기업 대부분이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했지만 알파벳(GOOGL)을 제외한 기업에서 성장, 매출액 둔화 이슈가 존재함을 확인하였으며, 경제 회복이 둔화될 것이란 시장의 우려가 금일 증시 하방 압력으로 작용한 모습. 금일 상승 업종으로는 시장의 투자 심리가 위축되며 헬스케어, 부동산과 같은 경기방어주가 오름세를 시현하였으며, 달러화는 강세 시현. 한편, 금일 발표된 근원 PCE는 전년대비 3.5% 증가해 30년래 최고치를 기록. 다만 예상치(3.6%)를 소폭 밑돌았으며, 6월 개인소비지출은 전월비 1.0% 올라 예상치(+0.7%)를 상회.

 

U.S. ETF Closing – 05:00 기준

Sector

분류 티커 현재가 등락률 t신호 수익률






1개월 3개월 1년
소재 XLB 84.0 0.4% 햇빛 1.4% -3.0% 40.6%
필수소비재 XLP 71.5 0.2% 햇빛 2.3% 1.9% 15.9%
부동산 VNQ 106.3 0.1% 햇빛 3.7% 10.2% 35.3%
헬스케어 XLV 132.1 0.1% 햇빛 3.0% 7.6% 26.4%
IT XLK 153.4 -0.1% 햇빛 2.4% 11.5% 36.4%
산업재 XLI 103.3 -0.2% 햇빛 0.0% -0.6% 45.1%
커뮤니케이션 XLC 82.4 -0.3% 햇빛 0.3% 6.3% 41.8%
금융 XLF 36.5 -0.7% 햇빛 -1.1% -2.4% 55.2%
유틸리티 XLU 66.0 -0.9% 햇빛 3.0% 0.9% 11.9%
에너지 XLE 49.4 -1.6% 안개 -9.7% -5.3% 40.2%
자유소비재 XLY 180.5 -2.0% 햇빛 -0.3% 2.7% 31.9%

자료: 티레이더,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금일 섹터별 ETF는 소재(XLB/+0.4%), 필수소비재(XLP/+0.2%), 부동산(VNQ/+0.1%) 섹터가 상승, 에너지(XLE/-1.6%), 자유소비재(XLY/-2.0%)가 하락. 금일 소재(XLB) 섹터에서 앨버말(ALB/+1.6%)과 호실적을 발표한 린데(LIN/+2.7%)가 상승을 견인하였으며, 부동산(VNQ) 섹터에서는 데이터 센터 리츠(REITs)인 이퀴닉스(EQUIX/+4.3%)가 견조한 실적과 당해 가이던스를 상향하며 섹터 상승 주도. 반면 금일 전반적인 에너지 기업 약세에 더해 견조한 실적을 발표한 엑슨모빌(XOM/-2.3%)이 유가 상승으로 인한 이익을 주주환원이 아닌 부채 상환에 우선적으로 사용할 뜻을 발표하며 섹터 하락에 기여한 모습. 한편 금일 발표된 7월 미시간대 소비자신뢰지수는 81.2를 기록해 전달대비(85.5) 하락했으나, 예상치(80.8)보다 개선된 것으로 집계. 이에 자유소비재(XLY) 내 갭(GPS/+0.8%), PVH(PVH/+1.1%), 랄프로렌(RL/+3.1%)과 같은 의류 소매업체가 강세를 시현했으나 아마존을 비롯해 아마존과 동종사업을 영위하는 전자상거래 업체 엣시(ETSY/-7.8%)가 큰 폭 하락하며 자유소비재(XLY)는 2.0% 하락 마감.

 

Thematic

분류 티커 현재가 등락률 t신호 수익률






1개월 3개월 1년
반도체 SOXX 456.9 0.8% 햇빛 1.5% 9.8% 53.7%
리튬/배터리테크 LIT 83.3 0.7% 햇빛 15.6% 34.4% 122.3%
기술혁신 ARKK 120.0 -1.3% 안개 -6.3% 10.8% 47.2%
글로벌 천연자원 GNR 52.8 -1.4% 햇빛 -1.5% -3.1% 38.7%
여행/관광산업 AWAY 27.3 -2.6% 안개 -9.0% -4.3% 47.0%

자료: 티레이더,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금일 테마 ETF는 반도체(SOXX/+0.8%), 리튬/배터리테크(LIT/+0.7%) 테마가 상승, 기술혁신(ARKK/-1.3%), 여행/관광산업(AWAY/-2.6%)이 하락 마감. 전일 호실적을 발표한 반도체 기업 자일링스(XLNX/+1.8%), AMD(AMD/+3.2%)가 2거래일 연속 강세를 시현한 데 이어, 투자은행 Needham이 견조한 실적을 발표한 KLA(KLAC)의 투자 의견과 목표가를 $390로 상향하자 금일 9.0% 올라 반도체(SOXX) 테마는 상승 마감. 한편, 테슬라(TSLA)는 AI데이를 8월19일로 확정하였으며, 풀-셀프 드라이빙(FSD) 기술을 선보일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시장의 기대감이 반영되며 1.5% 상승. 다만, 투윌리오(TWLO/-4.8%), 투심플홀딩스(TSP/-8.1%)가 하락하며 기술혁신(ARKK) 테마는 1.3% 하락 마감.

 

EU Market Closing – 01:00 기준

지수 종가 등락률 구분 업종 등락률
STOXX 600 461.74 -0.5% 상승 건강관리 +0.5%




부동산 +0.3%




필수소비재 +0.1%



하락 자유소비재 -0.9%




유틸리티 -1.4%




에너지 -1.7%
지수 종가 고가 저가 등락폭 등락률
獨 DAX 15,544.39 15,613.66 15,440.89 -96.08 -0.6%
英 FTSE 100 7,032.30 7,078.42 6,996.93 -46.12 -0.7%
佛 CAC 40 6,612.76 6,648.20 6,596.99 -21.01 -0.3%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유럽증시는 아시아 증시 약세 영향에 하락 마감. 금일 일본 증시는 코로나 일일 확진자 수가 1만 명을 돌파하자 긴급사태 발령 지역이 확대된다는 소식에 하락하였으며, 중국 규제 당국의 규제 리스크가 여전히 지속되며 중국 증시 역시 하락 마감. 유럽증시는 금일 아시아의 약세 랠리를 이어받으며 범유럽지수인 STOXX600은 0.5% 내림세로 마감. 금일 상승 업종으로는 투자 심리 위축에 건강관리(+0.5%), 부동산(+0.3%)과 같은 경기방어주가 오름세로 마감한 반면 일본 내 코로나 확산 소식과 더불어 이탈리아 내 코로나 확진자 중 델타 변이 비중이 94.8%인 것으로 집계되자 여행/항공주(-2.5%)와 같은 경기민감주가 증시 하락을 주도. 개별기업으로는 프랑스 안경업체인 에실로룩소티카(EL/+3.4%)가 당해 가이던스를 상향하며 STOXX600 내 가장 큰 상승 폭을 시현하였으며, 산업용 가스업체인 린데(LIN/+2.5%)는 예상치를 상회한 실적과 가이던스 상향으로 종가 기준 신고가 경신. 한편, 금일 발표된 6월 유로존 실업률은 7.7%를 기록해 전월(8.0%)대비 감소하였으며, 컨센서스(7.9%) 하회.

 

 

 

출처: < https://m.myasset.com/extern/researchPortal/RP_0001000_P1.cmd?menuid=RP_0105000_P1&searchKeyGubun=1&keyword=&page=1&base_date=20210731060213&gbn=B&res_seq=172822>

 

 

 

 

 

 

 

 

 

 

『하루를 여는 혁신투자자문 IPO News Daily💌 - 20210802』

 【 텔레그램 채널 주소 : https://t.me/KoreaIB

 【 IPO상장문의 및 이경준 대표 Contact ☞ 📧 ipo@kakao.com 】

 

 

===========================

 

벌써 8월이니 2021년도 참 빠르게 지나가는 것 같습니다.

 

2021년 여름 시즌,

IPO시장에 큰 특징인 대어들의 잦은 출연과 더불어

또 다른 특징은

바로 휴가가 사라졌다는 점입니다.

매년 이맘때쯤 으레 묻고 답하던 '이번 휴가 어디가냐'고 묻는 질문들이 없어졌네요.

또 하나, 쉼은 있되, 한 번씩 밀린 IPO가 범람하여 도통 쉴 기회는 안 주는 시기네요.

목 끝까지 차 오른 IPO고평가 시대이지만, 옥석 잘 가리어서 8월도 좋은 수익 나시길 기대합니다.

 

그동안 Daily 항목에 넣어놨던 장외 주요시세종목은 이번부터 뺐습니다.

터무니없는 장외가 시세가 공모주 투자에 영향을 주면 안 된다는 생각이고,

장외가 집계하는 기관이 여럿 있는데, 한 기관만 다뤘던 것 같습니다.

 

 

뜨거운 여름, 몸 건강 잘 챙기시기 바랍니다!

 

===========================

 

📌Today's Topic》

상장 앞둔 카카오뱅크, "혁신이 있을까" 이제부터 ‘본게임’

http://kpenews.com/View.aspx?No=1986848

☞ 카카오뱅크에는 혁신(투자자문)이 있지요.

 

===========================

 

★ 금일 IPO 일정 ★

 07/30~08/02 플래티어 수요예측⚖️

 08/02~08/03 아주스틸 수요예측⚖️

 08/02~08/03 딥노이드 수요예측⚖️

 08/02~08/03 크래프톤 청약🖨

 08/02~08/03 원티드랩 청약🖨

 

☆ 금주 남은 IPO 일정 ☆

 08/02~08/03 아주스틸 수요예측⚖️

 08/02~08/03 딥노이드 수요예측⚖️

 08/02~08/03 크래프톤 청약🖨

 08/02~08/03 원티드랩 청약🖨

 08/03 에이치케이이노엔 납입🏧

 08/03~08/04 롯데렌탈 수요예측⚖️

 08/03~08/04 브레인즈컴퍼니 수요예측⚖️

 08/04~08/05 플래티어 청약🖨

 08/04~08/05 엠로 청약🖨

 08/05 크래프톤 납입🏧

 08/05 원티드랩 납입🏧

 08/05~08/06 한컴라이프케어 청약🖨

 08/05~08/06 딥노이드 청약🖨

 08/06 카카오뱅크 상장★

 08/06~08/09 바이젠셀 수요예측⚖️

 

 

 ------------------------------------------

 

▣ 기관IR 일정 ▣

 - 온라인 간담회로만 진행 中 -

 

▣ 상장 일정(예정, 변경가능) ▣

 08/06 카카오뱅크(KB증권)

 08/09 에이치케이이노엔(한국투자증권, 삼성증권)

 08/10 크래프톤(미래에셋증권)

 08/11 원티드랩(한국투자증권)

 08/13 엠로(한국투자증권)

 08/17 딥노이드(KB증권)

 08/17 플래티어(KB증권)

 08/17 한컴라이프케어(미래에셋증권)

 08/18 브레인즈컴퍼니(키움증권)

 08/19 롯데렌탈(NH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08/20 아주스틸(미래에셋증권)

 08/25 바이젠셀(대신증권)

 09/03 일진하이솔루스(미래에셋증권, 삼성증권)

 미정 - 에스앤디(유진투자증권)

 미정 - 에이비온(미래에셋증권)

 미정 - 카카오페이(삼성증권)

 

▣ 심사 승인 ▣

 - 실리콘투(삼성증권, 미래에셋증권)

 - 와이엠텍(KB증권)

 - 아스플로(미래에셋증권)

 - 원준(NH투자증권)

 - 바이오플러스(키움증권)

 - 프롬바이오(NH투자증권)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 국내 IPO 개별종목

■ '뜨거운 감자' 크래프톤, 공모가 꼼수 의혹까지

https://newsis.com/view/?id=NISX20210730_0001532434&cID=10401&pID=10400

 

■ 카뱅 지분 가진 국민은, 장기보유 결정... 따상에 '한 표'

https://www.ebn.co.kr/news/view/1494245/?sc=Naver

 

■ 상장 앞둔 LG CNS, LG그룹이 측면 지원…산업보안·DX 강조

http://www.sisao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0038

 

■ 마켓컬리, IPO 주관사 입찰 연기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7301458525920106771&lcode=00&page=1&svccode=00

 

■ [초점] 속도 조절 나선 티몬…상장 미룬 속내

http://www.inews24.com/view/1391324

 

■ 디지털 플랫폼 업체 플래티어, 8월 코스닥시장 상장

https://www.yna.co.kr/view/AKR20210730093200002?input=1195m

 

■ 바이오플러스, IPO 본격 추진…코스닥 상장 예비심사 통과

https://www.ebn.co.kr/news/view/1494285/?sc=Naver

 

■ 프롬바이오, 상장예비심사 승인…"9월 코스닥 상장 목표"

http://www.inews24.com/view/1391145

 

 

▶️▶️▷ IPOmarket(해외IPO포함)

■ 공모가 밑도는 새내기株 옥석 가려볼까

https://news.mk.co.kr/v2/economy/view.php?year=2021&no=738117

 

■ 덩치 작아도 수익률은 금메달?...숨어 있는 '알짜 IPO주'는 [선데이 부런치]

https://www.sedaily.com/NewsView/22Q0PZ2ZRP

 

■ 美 SEC, 중국기업 IPO등록 중단

https://www.mk.co.kr/news/world/view/2021/07/739845/

 

■ 40년 동안 상장 안했던 SAS, IPO 선언한 이유는?

https://byline.network/2021/07/45/

 

 

▶️▶️▷ 시장 이모저모

■ [단독] SM그룹, 쌍용차 인수전 나섰다

https://www.mk.co.kr/news/stock/view/2021/07/736325/

 

■ 여덟 가족 단칸방 살던 소년···한국 최고부자 됐다

https://www.sedaily.com/NewsView/22P452SHCU

 

■ ‘너도나도 주식’ 활동계좌 5천만개 육박

http://www.m-i.kr/news/articleView.html?idxno=849791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728x90
728x90

 

 

 

1. 유가증권시장

(단위 : )

해제일 종 목 명 사유 해제주식수 총 발행주식수 비율(%)
8.02 솔루엠 최대주주(상장) 10,196,796 49,805,551 20.47
8.05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KDR 상장주선인(국내기업) 156,250 60,096,155 0.26
8.05 최대주주(상장) 30,692,350 51.07
8.05 최대주주(3자배정) 3,139,040 5.22
8.13 중소기업은행 모집(전매제한) 62,192,786 744,300,587 8.36
8.14 씨아이테크 모집(전매제한) 1,000,000 39,951,719 2.5
8.14 한일시멘트(신설) 모집(전매제한) 2,781,184 6,926,154 40.15
합 계 (5개사) 110,158,406 901,080,166

 

2. 코스닥시장

(단위 : )

해제일 종 목 명 사유 해제주식수 총 발행주식수 비율(%)
8.01 한국바이오젠 최대주주(코스닥) 2,000,000 8,176,825 24.46
8.05 클라우드에어 모집(전매제한) 5,384,615 56,032,293 9.61
8.05 아이퀘스트 상장주선인(50%이상) 98,000 9,860,000 0.99
8.05 최대주주(3자배정) 369,000 3.74
8.05 최대주주(코스닥) 4,397,000 44.59
8.05 와이즈버즈 SPAC 합병(코스닥) 1,010,000 47,552,972 2.12
8.07 레드로버 모집(전매제한) 3,072,591 26,688,787 11.51
8.09 원바이오젠 SPAC 합병(코스닥) 620,000 34,737,566 1.78
8.09 합병(코스닥) 11,684,676 33.64
8.10 한국파마 최대주주(코스닥) 6,840,000 10,906,701 62.71
8.12 소프트센 모집(전매제한) 2,200,000 35,775,801 6.15
8.12 영림원소프트랩 기타 보호예수 필요 주주 972,130 8,131,000 11.96
8.12 최대주주(코스닥) 1,528,020 18.79
8.13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 최대주주(코스닥) 9,265,936 19,734,831 46.95
8.13 오비고 기타 보호예수 필요 주주 1,358,906 11,308,754 12.02
8.13 벤처금융 238,991 2.11
8.17 씨앤씨인터내셔널 상장주선인(국내기업) 21,052 6,675,961 0.32
8.18 미투젠과기유한회사 KDR 상장주선인(외국기업) 64,818 13,579,892 0.48
8.18 최대주주(코스닥) 730,650 5.38
8.19 디지털대성 합병(코스닥) 4,084,192 29,695,489 13.75
8.19 에이씨티 모집(전매제한) 10,875,000 34,611,984 31.42
8.19 나노브릭 최대주주(코스닥) 1,034,914 9,302,068 11.13
8.20 바이오솔루션 기술성장기업 1,424,881 8,091,426 17.61
8.20 자발적보호예수 218,600 2.7
8.20 베노홀딩스 모집(전매제한) 4,999,999 23,114,968 21.63
8.20 샘씨엔에스 상장주선인(국내기업) 153,846 50,153,846 0.31
8.21 셀레믹스 기술성장기업 8,571 8,164,148 0.1
8.21 기타 보호예수 필요 주주 771,492 9.45
8.21 삼영에스앤씨 상장주선인(국내기업) 33,150 5,557,158 0.6
8.22 네오크레마 최대주주(코스닥) 3,492,300 7,315,995 47.74
8.22 큐라클 기관투자가 556,980 13,355,968 4.17
8.22 기타 보호예수 필요 주주 1,782,646 13.35
8.22 벤처금융 889,684 6.66
8.24 오로스테크놀로지 최대주주(3자배정) 17,500 9,309,542 0.19
8.24 최대주주(코스닥) 5,614,815 60.31
8.25 유일에너테크 최대주주(코스닥) 2,107,809 10,590,044 19.9
8.26 제주맥주 기타 보호예수 필요 주주 9,219,193 56,380,461 16.35
8.26 상장주선인(국내기업) 250,860 0.44
8.26 뷰노 기타 보호예수 필요 주주 738,000 11,168,656 6.61
8.26 진시스템 상장주선인(국내기업) 42,750 6,811,080 0.63
8.27 맥스트 기관투자가 245,279 8,533,491 2.87
8.27 기타 보호예수 필요 주주 1,303,789 15.28
8.27 벤처금융 820,352 9.61
8.28 오가닉티코스메틱홀딩스 모집(전매제한) 7,486,060 79,111,060 9.46
8.28 젬백스링크 모집(전매제한) 1,346,801 83,095,755 1.62
8.28 네오리진 최대주주변경(법인또는조합) 2,408,740 53,678,041 4.49
8.28 지엘팜텍 모집(전매제한) 1,023,542 51,886,844 1.97
8.28 에브리봇 기타 보호예수 필요 주주 628,321 6,095,671 10.31
8.31 한국코퍼레이션 모집(전매제한) 12,000,000 51,185,593 23.44
8.31 에스앤에스텍 모집(전매제한) 1,716,116 21,451,447 8
8.31 베노홀딩스 최대주주변경(법인또는조합) 303,030 23,114,968 1.31
합 계 (36개사) 129,455,597 927,822,118

2021년 8월 증시 이슈캘린더_Issue_20210728_Hana_726859.pdf
0.28MB
2021년 8월 키움 증시 캘린더_최종.pdf
0.11MB

728x90

'주요 증시 일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년 11월 증시캘린더  (0) 2021.10.29
10월 의무보유해제 & 증시캘린더  (0) 2021.09.30
7월 14일(수) 증시캘린더  (0) 2021.07.14
7월 13일(화) 증시캘린더  (0) 2021.07.13
7월 12일(월) 증시캘린더  (0) 2021.07.11
728x90

주식 스터디를 위해 개인적으로 스크랩한 증시캘린더, 국내 및 해외마감 시황, 뉴스 자료를 공유합니다.

1) 증시캘린더는 개인적으로 관련된 소식을 확인후 작성한 일정이라 변동 또는 오류의 소지가 있습니다.

2) 노션으로 공유한 링크는 익스플로러에선 제대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크롬에 최적화, 엣지, 웨일에서도 잘 작동합니다.

    ( 공유 자료링크는 1~2일후 공유 해지 합니다.)

 

게시물은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한 것이라

불확실하거나 오류가 많을 수 있으므로 투자 활용시 유의하시기 바라며, 개별적인 종목 추천이나 상담은 하지 않습니다.

 

모쪼록 제 공간에 오신 모든 분들이 주식스터디를 통해 인생 한 방보다, 꾸준함을 믿으며...

복리의 마법으로 모든 분들이 성공한 개인투자자가 되시길...


뉴욕증시, 긴축시점 연기 가능성에 상승...아마존, 시간외 7%↓ [출근전 꼭 글로벌브리핑]

WSJ "디디추싱, 상장폐지 검토"

로빈후드 상장 첫 거래 부진…공모가 대비 급락

유럽·중국·베트남 상승

[미국증시 마감시황]

 

■ GDP 실망에도 강세…다우 0.44%↑

 

현지시간 29일 뉴욕증시는 미국의 2분기 국내총생산(GDP) 등 주요 경제 지표가 예상치를 하회했지만 모두 상승 마감했다. 다우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0.44% 오른 35,084.53으로 거래를 마쳤다. S&P500지수는 0.42% 상승한 4,419.15를,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0.11% 뛴 14,778.26으로 장을 마감했다.

 

다우지수는 한때 35,171.52까지 올라 장중 최고치를 경신했다. 다만 마감가 기준으로는 이전 최고치에 못 미쳤다. S&P500지수 역시 장중 4,429.97까지 올라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으나 마감가 기준으로는 이전 고점을 넘어서지 못했다.

 

투자자들의 관심사는 전날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연방 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결과를 소화하며 GDP 등 주요 경제 지표였다. 미 상무부는 2분기 미국의 GDP가 전기 대비 연율 6.5%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로이터의 전문가 전망치인 8.5%를 밑도는 수치다. 다만 1분기(6.4%)보다는 높다.

출처: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107300013&t=NN>

 

 

 

 

2021년 7월 30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중국 정부가 자국 기업의 미국 상장을 계속 허용할 것이라고 CNBC가 보도했습니다.

 

(2) CATL이 어제 나트륨 이온 배터리를 공개했습니다. 

 

(3) 애플이 회사채 65억달러를 발행합니다. 40년물 가산금리가 92bp입니다.

 

미 5년 breakeven rate 2.652%, +0.011%p (2% 상회시 유의, 2.5% 상회시 경고)

한국 고객예탁금, 66.0조원 +3.0조원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21%

1개월 NDF 환율 1,143.80원 (-2.65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미국 상승 = 유동성 파티는 계속] (Feat. 적당히 나빴던 데이타들)

 

<지나가는 한마디> 여전히 단기 조정은 무시하거나 주식을 사야하는 시점입니다. 1년동안 계속 반복하니 이제 반복하기 조금 민망합니다. 아이러니 하지만, 기업에 악재가 있어도 큰 수급(유동성)이 주식을 계속 사면 주가는 오를 수 밖에 없습니다. 지금 증시가 그런 상황입니다. 하물며 현재 글로벌 증시에는 악재가 별로 없습니다. 일단 기업 실적이 우수합니다.

 

글로벌 유동성의 회수는 연준이 시작할 것입니다. 그러나 연준이 확인하겠다는 Key 데이타들은 생각보다 호락호락하지 않습니다. 다시말하면 시간이 더 필요합니다. 다음 FOMC는 9월말입니다. 언론이 좋아하는 잭슨홀미팅은 버냉키의 QE선물들 이후 핵심적인 정책변경을 발표한 적이 없습니다. 저희는 왠만하면 나중에 조금 터지더라도 충분히 먹을 수 있을때 먹는 전략을 선호합니다.

 

☑️GDP+실업 쇼크인데 증시 상승? -경제 예상치 하회 = 유동성 지속 -고용 예상치 하회 = 유동성 지속 -인플레이션 = 일시적 -기업실적 = 우수 -공급망 부하 = 시간이 해결 -중국 규제이슈 = 소강상태 진입

 

*2분기 GDP : 쇼크 -2Q 6.5% / 컨센 8.5% / 1Q 6.3% -2Q GDP $19.4t / 4Q19 $19.2t

 

*GDP 쇼크 원인 -현금보너스(Stimulus) 고갈 -정부 지출 감소(non defense) -공급망 과부하(ex. 반도체 쇼티지) -인플레이션 -저임금 노동력 쇼티지 =재고 감소

 

*주간 실업급여 청구건수 : 고용개선 둔화 -전주 :  400K / 컨센 380K / 이전 424K =코로나 이전 수준 : 210K -연속 : 3,269K / 3,196K / 3,262K =코로나 이전 수준 : 1,700K

 

*코로나 : 신규확진자 증가 (전일 84,534 / WoW +42.9%) -연방정부 : 신규 백신 접종자 $100 지급

 

*Amazon 실적 : 쇼크(너무 오랜만) -매출 : $113.08b / 컨센 $115.2b =2Q 매출 YoY +27% =3Q 매출 가이던스 YoY +10% ~ +16% -EPS : $15.12 / 컨센 $12.30

 

<About Market : 유동성 파티 계속> 아침 주요지수 모두 상승세로 시작후 예상치보다 안좋게 발표된 주간 신규실업급여 청구건수와 2분기 GDP에 잠시 변동성을 보여주었으니 이내 안정되었습니다.

 

오후들어서 나스닥에서 일부 차익실현이 있었지만, 다우와 S&P500은 큰 변동성없이 상승세를 유지하며 마감하였습니다.

 

•나스닥 +0.1% / 러셀2000 +0.6% •S&P500 +0.4% / 다우 +0.4% -나스닥 Top10 : 상승 7 vs 하락 3

 

-비트코인 : $40,000 -미국채금리(10y) : 1.268 (+0.4%) -WTI : $73.61 (+1.7%)

 

SMART한 주식투자 https://t.me/frankinvest

 

 

(2021.07.30) U.S. & EU Market Closing

2021.07.30  허단

U.S. Market Closing – 05:00 기준

지수 종가 등락폭 등락률 상승/하락/보합
DOW 35,084.53 153.60 0.4% 24/6/0
S&P500 4,419.15 18.51 0.4% 381/123/0
NASDAQ 14,778.26 15.68 0.1% 1653/1470/275
RUSS 2K 2,240.87 15.91 0.7% 1257/686/32
PHLX 반도체지수 3,333.24 60.80 1.9% 27/3/0
VIX지수 17.64 -0.67 -3.7%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미국 증시는 주요 경제지표 발표에 상승 마감. 금일 발표된 미국 2분기 GDP는 연율 6.5%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되었으며 예상치(+8.4%) 하회. 고용지표인 주간 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 역시 전주대비 개선된 40만 건으로 집계되었으나, 예상치(38.2만 건)를 웃돈 것으로 집계. 이를 통해 시장은 전일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경제가 목표치를 향해 진전되고 있으나, 테이퍼링을 단행하기 위해 고용시장 개선과 시간이 더 필요하다는 점을 재확인하였으며, 긴축 우려의 완화가 금일 증시 상승의 동력으로 작용한 모습. 업종별로는 커뮤니케이션 섹터를 제외한 대부분 업종이 오름세를 기록하였으며, 전일 실적을 발표한 페이스북(FB/-4.0%)이 큰 낙폭을 시현하며 대형 기술주인 FAAMG는 혼조세로 마감. 시장은 금일 장 마감 후 발표 예정인 아마존(AMZN/-0.8%)의 실적을 주시하는 모습.

 

U.S. ETF Closing – 05:00 기준

Sector

분류 티커 현재가 등락률 t신호 수익률






1개월 3개월 1년
자유소비재 XLY 184.2 1.1% 햇빛 1.7% 4.8% 34.6%
소재 XLB 83.7 1.1% 햇빛 1.0% -3.4% 40.0%
금융 XLF 36.8 1.1% 햇빛 -0.4% -1.7% 56.3%
에너지 XLE 50.2 1.0% 안개 -8.2% -3.8% 42.5%
산업재 XLI 103.6 0.8% 햇빛 0.3% -0.3% 45.5%
필수소비재 XLP 71.4 0.5% 햇빛 2.1% 1.7% 15.8%
IT XLK 153.5 0.5% 햇빛 2.4% 11.5% 36.5%
유틸리티 XLU 66.5 0.3% 햇빛 3.9% 1.8% 12.9%
헬스케어 XLV 132.0 0.2% 햇빛 2.9% 7.5% 26.3%
부동산 VNQ 106.2 0.0% 햇빛 3.5% 10.0% 35.1%
커뮤니케이션 XLC 82.7 -1.1% 햇빛 0.6% 6.6% 42.2%

자료: 티레이더,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금일 섹터별 ETF는 커뮤니케이션(XLC/-1.1%) 섹터를 제외한 나머지 섹터가 모두 오름세를 기록하였으며, 금융(XLF/+1.1%), 소재(XLB/+1.1%), 자유소비재(XLY/+1.1%)가 큰 상승 폭 시현. 전일 실적을 발표한 페이스북(FB)은 순이익이 전년 동기대비 101% 증가하며 어닝 서프라이즈 기록. 다만, 월 이용자 수가 예상치를 하회한 점과, 애플의 새로운 프라이버시 정책으로 인해 하반기 광고 매출 둔화 우려가 어닝 서프라이즈를 가린 모습. 페이스북은 금일 4.0% 하락하여 커뮤니케이션(XLC) 섹터 하락을 주도. 반면 전일 미 연준의 비둘기파적 스탠스와 예상치를 하회한 미 GDP 발표에 달러인덱스는 한달래 최저 수준 기록. 이에 금, 은을 비롯한 비철금속 가격이 상승하며 소재(XLB) 섹터 내 뉴코(NUE/+4.1%), 프리포트-맥모란(FCX/+4.9%)과 같은 천연자원 업체가 섹터 상승을 견인.

 

Thematic

분류 티커 현재가 등락률 t신호 수익률






1개월 3개월 1년
반도체 SOXX 453.2 2.0% 햇빛 0.6% 8.9% 52.4%
글로벌 천연자원 GNR 53.5 1.4% 햇빛 -0.1% -1.7% 40.7%
기술혁신 ARKK 121.6 0.2% 안개 -5.1% 12.2% 49.1%
대마 MJ 18.3 -1.2% 안개 -9.7% -10.1% 38.5%
데이터/인프라 리츠 SRVR 40.0 -1.4% 안개 -1.1% 7.3% 8.0%

자료: 티레이더,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금일 테마 ETF는 반도체(SOXX/+2.0%), 글로벌 천연자원(GNR/+1.4%), 기술혁신(ARKK/+0.2%) 테마가 상승, 대마(MJ/-1.2%), 데이터/인프라 리츠(SRVR/-1.4%) 테마가 하락 마감. 시장 전반의 상승세와 더불어 금일 어닝 서프라이즈를 발표한 반도체 업체 AMD(AMD/+5.1%), 퀄컴(QCOM/+6.0%), 자일링스(XLNX/+6.3%)가 큰 상승 폭을 기록하며 반도체(SOXX) 테마는 2.0% 상승 마감. 최근 실적 발표 후 주가가 부진했던 테슬라(TSLA)는 금일 투자은행 모건스탠리가 당사 투자 의견을 Overweight으로 유지하였으며, 최근 주가가 당사의 분기 실적이 아닌 자동차 산업 전반의 약세로 지목하며 금일 4.7% 올라 해당 ETF 상승 주도. 반면 전일 호실적으로 강세를 보인 대마(MJ) ETF는 금일 차익매물이 출회되며 1.2% 하락 마감.

 

EU Market Closing – 01:00 기준

지수 종가 등락률 구분 업종 등락률
STOXX 600 463.84 +0.5% 상승 에너지 +1.7%




금융 +1.0%




소재 +0.7%



하락 유틸리티 -0.3%




부동산 -0.5%




커뮤니케이션 -0.6%
지수 종가 고가 저가 등락폭 등락률
獨 DAX 15,640.47 15,659.22 15,563.65 70.11 0.5%
英 FTSE 100 7,078.42 7,093.93 7,008.65 61.79 0.9%
佛 CAC 40 6,633.77 6,671.12 6,633.77 24.46 0.4%

자료: Bloomberg, 유안타증권 해외투자전략팀

 

유럽증시는 견조한 경제지표와 실적 발표에 최고치 마감. 금일 발표된 유로존 7월 경기기대지수는 119 포인트를 기록해 예상치(118.2)를 웃돌았으며, 데이터를 집계한 1985년 이후 최고치 기록. 아울러 기업의 호실적 랠리가 증시 상승에 동력을 제공하며 범유럽지수인 STOXX600은 다시 한 번 종가 기준 최고치 경신. 금일 상승 업종으로는 에너지(+1.7%), 금융(+1.0%), 소재(+0.7%)가 오름세를 기록하였으며 부동산(-0.5%), 커뮤니케이션(-0.6%)은 약세로 마감. 에너지 업종에서는 프랑스의 토탈에너지(TTE/+2.2%)와 로열더치쉘(RDSA/+3.8%)이 유가 상승에 따른 마진 폭 확대로 주주 환원을 위한 자사주 매입을 발표하며 섹터 상승을 견인하였으며, 소재업에서는 앵글로 아메리칸(AAL/+5.4%)이 비철금속 상승에 호실적을 발표하며 41억 달러 규모의 배당금과 자사주 매입 계획을 발표하며 상승을 견인. 한편, 레피니티브 IBES 데이터에 따르면 현재까지 STOXX600 기업 중 41%가 실적을 발표하였으며, 그 중 67% 가 컨센서스를 상회한 실적을 발표한 것으로 집계됨.

 

 

 

출처: < https://m.myasset.com/extern/researchPortal/RP_0001000_P1.cmd?menuid=RP_0105000_P1&searchKeyGubun=1&keyword=&page=1&base_date=20210730052445&gbn=B&res_seq=172775>

 

 

 

 

 

『하루를 여는 혁신투자자문 IPO News Daily💌 - 20210730』

 【 텔레그램 채널 주소 : https://t.me/KoreaIB

 【 IPO상장문의 및 이경준 대표 Contact ☞ 📧 ipo@kakao.com 】

 

 

===========================

 

★ 금일 IPO 일정 ★

 07/29~30 한컴라이프케어 수요예측⚖️

 07/29~30 엠로 수요예측⚖️

 07/29~30 에이치케이이노엔 청약🖨

 07/30~08/02 플래티어 수요예측⚖️

 

☆ 다음 주 IPO 일정 ☆

 07/30~08/02 플래티어 수요예측⚖️

 08/02~08/03 아주스틸 수요예측⚖️

 08/02~08/03 딥노이드 수요예측⚖️

 08/02~08/03 크래프톤 청약🖨

 08/02~08/03 원티드랩 청약🖨

 08/03 에이치케이이노엔 납입🏧

 08/03~08/04 롯데렌탈 수요예측⚖️

 08/03~08/04 브레인즈컴퍼니 수요예측⚖️

 08/04~08/05 플래티어 청약🖨

 08/04~08/05 엠로 청약🖨

 08/05 크래프톤 납입🏧

 08/05 원티드랩 납입🏧

 08/05~08/06 한컴라이프케어 청약🖨

 08/05~08/06 딥노이드 청약🖨

 08/06 카카오뱅크 상장★

 08/06~08/09 바이젠셀 수요예측⚖️

 

 

 ------------------------------------------

 

▣ 기관IR 일정 ▣

 - 온라인 간담회로만 진행 中 -

 

▣ 상장 일정(예정, 변경가능) ▣

 08/06 카카오뱅크(KB증권)

 08/09 에이치케이이노엔(한국투자증권, 삼성증권)

 08/10 크래프톤(미래에셋증권)

 08/11 원티드랩(한국투자증권)

 08/13 엠로(한국투자증권)

 08/17 딥노이드(KB증권)

 08/17 플래티어(KB증권)

 08/17 한컴라이프케어(미래에셋증권)

 08/18 브레인즈컴퍼니(키움증권)

 08/19 롯데렌탈(NH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08/20 아주스틸(미래에셋증권)

 08/25 바이젠셀(대신증권)

 09/03 일진하이솔루스(미래에셋증권, 삼성증권)

 미정 - 에스앤디(유진투자증권)

 미정 - 에이비온(미래에셋증권)

 미정 - 카카오페이(삼성증권)

 

▣ 심사 승인 ▣

 - 실리콘투(삼성증권, 미래에셋증권)

 - 와이엠텍(KB증권)

 - 아스플로(미래에셋증권)

 - 원준(NH투자증권)

 - 바이오플러스(키움증권)

 - 프롬바이오(NH투자증권)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 국내 IPO 개별종목

■ 크래프톤 수요예측 '참패'에도 공모가 최상단… 고평가 '꼬리표' 뗄까

https://m.metroseoul.co.kr/article/20210729500420

 

■ [단독] 야놀자 '해외 IPO'로 기울었다… 클라우드 본사, 싱가포르에

http://biz.newdaily.co.kr/site/data/html/2021/07/29/2021072900138.html

 

■ 아이패밀리SC, 감소하는 순이익…밸류 고민 커진다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7271311003240105367&lcode=00&page=1&svccode=00

 

■ JS글로벌, 늦어지는 IPO…연내에는 예심 청구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7261751564840102555&lcode=00&page=2&svccode=00

 

■ '곰표맥주' 세븐브로이, 미미한 브랜드 존재감…IPO 변수?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7271249138400108718&lcode=00&page=6&svccode=00

 

 

▶️▶️▷ IPOmarket(해외IPO포함)

■ 역대급 규모인 하반기 IPO…'코스피 재평가로 수급 부담 안 될수도'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159990

 

 

▶️▶️▷ 시장 이모저모

■ 재주는 카뱅·크래프톤이 부리고, 돈은 텐센트가 챙긴다고? [이슈+]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1072964156

 

■ [단독] 몸값 8천억 투썸…알짜매물에 '쏠린 눈'

http://naver.me/GeWKuH5b

 

■ 증권사 '공모주 청약수수료' 제각각..."책정 기준 불투명" 지적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10729000780

 

■ “‘자수성가’ 카카오 김범수, 이재용 제치고 韓최고부자”

http://naver.me/xJNxbsu7

 

 

▶️▶️▷ 시세/시황

[표]IPO장외 주요 종목 시세(7월 29일)

http://naver.me/5HSslOu5

 

 

< 출처 : 혁신투자자문 https://t.me/KoreaIB >

===========================

728x90

+ Recent posts